KR100466357B1 -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357B1
KR100466357B1 KR10-2003-0087315A KR20030087315A KR100466357B1 KR 100466357 B1 KR100466357 B1 KR 100466357B1 KR 20030087315 A KR20030087315 A KR 20030087315A KR 100466357 B1 KR100466357 B1 KR 100466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lias
internet
url
defi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791A (ko
Inventor
김준휘
Original Assignee
메타냅주식회사
김준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냅주식회사, 김준휘 filed Critical 메타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35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791A/ko
Priority to CN200480041182.1A priority patent/CN1922606B/zh
Priority to US10/596,136 priority patent/US20080281816A1/en
Priority to PCT/KR2004/003126 priority patent/WO200505509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주도하는 방식의 인터넷 별칭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별칭 서비스 또는 키워드 서비스 제공회사에 의해 일방적으로 제공된 별칭의 정의를 통해서 웹 사이트를 접근하는 방식과는 달리, 사용자가 직접 웹 사이트의 URL이나 도메인 이름 또는 IP 주소에 대응하는 별칭을 자신이 직접 정의하며 이러한 자신의 정의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것으로, 사용자는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기 위하여 자신의 인터넷 단말기에 별칭 처리 프로그램을 설치하며 사용자의 웹 사이트 별칭에 대한 정의는 별칭 처리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에 DB의 형태로 저장되며 별칭 처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액세스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문자열을 끌어와서 사용자가 정의한 별칭 DB를 우선적으로 검색하며, 여기에 해당 문자열이 없을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네임서버의 DB에서 별칭을 검색하는 과정을 거치며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사용자의 별칭에 대응하는 URL 또는 IP주소를 찾으면 사용자의 입력 문자열을 검색된 해당 URL 또는 IP 주소로 치환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의에 의해 인터넷을 접근하는 것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자신이 향후 방문할 웹 사이트들에 대해 사용자 자신이 사용하기 쉬운 별칭으로 정의하는 1단계, 사용자의 정의를 사용자의 인터넷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에 DB 형태로 저장하는 2단계, 자신의 정의를 갱신하거나 추가, 삭제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마다 자신에게 맞게 웹 사이트에 대한 별칭의 정의를 사용자가 주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User Specific Alias Naming Scheme and Method on Domain Names}
기존에는 키워드 서비스 회사가 도메인 이름을 닷 네임 표기 방식 대신에 표지어 형태로 별칭을 정하고 사용자가 별칭을 주소창에 입력하면 해당 별칭에 대응되는 URL 또는 IP 주소로 변환하여 포워딩 해주는 방식의 서비스 회사 주도형 키워드 서비스 방식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포워딩 방식으로 사용되는 키워드 서비스에 있어서의 키워드를 별칭이라고 명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별칭 서비스 회사가 주도하는 키워드 주소 서비스 방식은 별칭과 대응되는 URL 또는 IP주소를 서비스 업체가 일방적으로 정하는 방식이어서 사용자가 기대하는 사이트로 연결되지 않거나 별칭과 무관한 사이트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들에 대해 키워드 서비스 회사가 정의한 이름이 길어도 모두 그대로 타이핑해야만 해당 사이트로 접근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하는 별칭으로 연결되는 사이트가 실제 자신이 접근하고자 의도했던 사이트인지 여부를 실제연결이 되기 전까지는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별칭은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정의되어야 하지만 서비스 업체가 일방적으로 정하는 방식은 사용자의 편리보다는 서비스 업체의 사업 목적에 기인한 것이어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검증되지 않은 별칭들이 많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개개인이 주로 사용하는 별칭은 사용자가 별칭으로 방문하여 사용자가 직접 연결되는 것을 확인한 이후에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사용자마다 사용 빈도가 높은 별칭은 개개인마다 다르며 공통으로 주로 사용하는 별칭은 금융기관, 관공서, 주요 검색엔진과 포탈사이트 정도로 등록된 전체 별칭에 대해 극히 일부라고 할 수 있으며 키워드 주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별칭과 실제 웹 사이트와의 연관성, 해당 페이지의 유해성 여부를 검증하지 않고 등록하는 경우에는 일반 사용자가 그대로 이용할 때 피해나 별칭과 관련된 각종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사이트로의 연결성을 높이고 또한 사용자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들에 대해 사용자가 기억하고 표기하기 쉬운 사용자 중심의 별칭이 필요하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는 방식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본 발명과 관련되는 선행기술 또는 연관기술로는 공개번호 특2001-97333(공개일 2001.11.8공개) '인터넷 폰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인터넷 폰에서 인터넷 폰을 통하여 웹사이트를 접속하기 위하여 FD코드라는 숫자변환표 방식이 있다. 그러나 정해진 코드표에 의한 변환방식은 중간의 FD서버를 거쳐야 하고 또한 FD코드를 사용자가 정의할 수 없고 정보제공자가 등록한 FD 코드를 그대로 따라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개번호 특2001-76731(2001.8.16 공개) '오알엘을 이용한 인터넷 객체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오알엘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기호가 필요하며 또한 접속중계서버의 URL을 필요로 하며 객체지향적 모델링에 의해 새로운 형태로 URL을 다시 정의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가 객제지향적 사고에 의해 인터넷 자원들에 대한 모델링과정을 거쳐야 하는 초기 부담과 함께 인터넷 자원을 액세스하기 위하여 입력해야 하는 문자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진다는 불편 및 ORL 이 제시하는 제한된 형식을 지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서비스 업체 중심의 별칭 정의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액세스 방식을 따라야 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사이트 또는 향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웹 사이트의 URL 또는 IP 주소에 대응하는 별칭의 정의를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고 저장하며 이를 인터넷 접근시에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를 정의함에 있어서 간단한 준비작업으로 별칭을 정의하여 이를 향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마다 언어, 문자, 지역적 특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칭을 정의하는 문자 코드에 의한 제약이 최소화 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용자 개개인의 개별적 특성이 반영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기존의 인터넷 주소 체계 및 인터페이스에 있어서의 표준에 접목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인터넷 툴의 동작에 변경을 주지 않고 사용자의 별칭에 대한 정의와 개인적 특성이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도 1은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한 별칭 처리 프로그램가 사용자 별칭 DB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별칭을 사용자가 정의한 해당 도메인 이름으로 치환하여 인터넷을 접근하는 것을 보여주는 전체적 구성도이다.
UC : 별칭 처리 프로그램
UD : 사용자 별칭 DB
UT : 사용자 단말기
WB :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도 2는 별칭 처리 프로그램의 기능을 순서도로 나타낸 그림이다. 우측의 단계들은(st30, st40, st50) 사용자 별칭 DB의 구성과 추가, 삭제, 변경에 관한 동작을 보여주며 좌측의 단계들은(st60, st70, st80, st90, st100, st110, st120, st130, st140) 사용자 별칭 DB를 이용하여 인터넷 툴 또는 웹 브라우저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문자열에 대한 처리를 보여준다.도 3은 도 1의 전체 구성도를 세분화하여 보여주는 하나의 예이며 사용자 별칭 DB(UD)가 사용자의 단말기(UT)에 위치하는 구성 예를 보여준다.도 4은 도 1의 전체 구성도를 세분화하여 보여주는 하나의 예이며 사용자 별칭 DB(UD)가 인터넷과 연결된 외부의 서버에 위치하는 구성 예를 보여준다.도 5는 사용자 별칭 DB(UD)는 사용자 단말기(UT)에 위치하고 사용자 별칭 DB에 없는 입력문자열에 대해 외부의 네임 서버 DB를 추가로 검색할 수 있는 구성 예를 보여준다.도 6은 사용자 별칭 DB(UD)가 외부의 서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용자 별칭 DB에 없는 입력문자열에 대해 외부의 네임 서버 DB를 추가로 검색할 수 있는 구성 예를 보여준다.도 7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주소 입력창에 문자열을 입력하였을 때 해당 문자열을 별칭 처리 프로그램이 처리하여 별칭에 대응하는 URL로 치환하여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켜주는 동작을 보여준다.도 8은 사용자가 별칭을 정의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의 별칭 정의 버튼 - 도 8에서는 키워드정의 버튼 - 을 클릭하는 것을 보여주는 STEP 1과,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팝업되는 다이얼로그 박스에 의해 사용자 해당 웹 사이트를 자신이 사용할 별칭으로 입력하는 STEP 2를 보여준다.도 9는 사용자가 자신이 편집기를 이용하여 직접 사용자 별칭 DB를 추가, 삭제, 변경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STEP 3가 보여지며 그림은 기존에 m 이라는 별칭과 http://www.metanav.co.kr 이라는 URL의 쌍으로 저장된 별칭 레코드에서 사용자가 "m" 이라는 별칭을 "메" 라는 별칭으로 변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도 10은 사용자 별칭 DB가 외부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에게 저장된 별칭 정의를 하이퍼 텍스트로 제시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별칭 정의가 문자열 대신 하이퍼 텍스트 클릭에 의해 입력되고 구동되는 실시예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도 1은 발명의 전체적 구성과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본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의 하나이다.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인터넷을 액세스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과 웹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정의를 저장하는 사용자 별칭 DB(UD)와 함께 웹 브라우저(WB)와 사용자 별칭 DB(UD)의 사이에서 입력 문자열의 검색과 치환을 수행하는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존재한다. 단순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URL 또는 IP 주소를 필요로 하는 인터넷 툴을 통칭하여 WB 라고 표현하며 인터넷 툴 또는 웹 브라우저에 대해 웹 브라우저 라고만 표기한다. 이를 항목별로 설명하면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은 웹 브라우저와 연동하며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서 사용자의 입력문자열을 대기하고 있다가 입력된 문자열이 URL 인 경우에는 처리를 하지 않으며 URL이 아닌 경우에는 별칭으로 판단하여 별칭에 대응되는 URL을 사용자 별칭 DB와 네임서버의 DB에서 순서대로 검색한다. 입력된 문자열을 검색 결과로 나온 URL로 치환하여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으로 리턴한다. 또한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은 사용자의 별칭 정의를 위한 처리 부분도 가지고 있다. 만약 사용자가 현재 방문중인 웹 사이트에 대해서 자신이 별칭을 정의하려고 한다면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현재 웹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별칭 정의 추가하거나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게 한다.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로 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문자열이 그 자체로서 별칭과 별칭에 대응하는 URL이나 IP 어드레스 또는 도메인 이름을 가지고 있는 경우, 예를 들면 하이퍼 텍스트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입력문자열에 대한 검색이나 치환의 필요가 없고 단지 제공된 하이퍼 텍스트에 링크된 최종 주소로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을 구동시켜 주게 된다.도 2에서는 이러한 처리를 순서도로써 표시하고 있다. 별칭에 대한 정의를 입력받고 저장하고 변경 또는 삭제하는 루틴이 st30, st40, st40에 표시되어 있으며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로 부터 입력된 문자열을 끌어와서 사용자 별칭 DB(UD)를 검색하고 외부의 네임 서버 DB를 검색하여 검색된 URL 이나 IP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중의 하나로 치환하여 이를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에게 리턴함으로써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을 구동시키는 루틴이 st60, st70, st80, st90, st100, st110, st120, st130, st140에 나타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자신이 정의하지 않은 별칭에 대한 정의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외부의 네임 서버를 지정하며 별칭 처리 프로그램은 입력문자열이 사용자 별칭 DB(UD)에 없는 경우에는 외부의 네임 서버의 별칭 DB를 통해 입력문자열을 추가로 검색할 수 있다. 외부의 네임 서버를 통해서 별칭을 검색하고 입력된 문자열을 치환해주는 사항 자체는 이미 본 발명 이전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명세는 본 발명에서 다루지 않으나 다만 사용자 별칭 DB(UD)에 없으나 사용자가 외부의 네임 서버를 지정한 경우에는 이를 추가할 수 있다.도 3에서는 도 1의 구성도에서 사용자 별칭 DB(UD)를 사용자의 단말기(UT)에 위치한 형태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도 4에서는 도 1의 구성도에서 사용자 별칭 DB(UD)를 외부의 서버에 위치하게 하는 실시 예를 보여준다. 도 3과 도 4의 차이점은 사용자 별칭 DB(UD)가 사용자 단말기 내부에 있는가 또는 외부의 서버에 있는가의 차이일 뿐이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 내부에 있을 경우의 장점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별칭에 대한 URL, IP 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을 바로 구해서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을 구동시키므로 접속속도가 외부의 서버를 거치는 경우보다 빠르다는 점이다. 단점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 공간 및 별칭 처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므로 PC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제약이 있는 핸드폰이나 PDA의 경우에는 도 4의 구성이 보다 합리적이다. 그러나 접근을 위한 대기 시간은 도 3보다 떨어진다.도 5의 구성도는 사용자 별칭 DB(UD)는 사용자 단말기(UT)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네임서버를 지정하여 사용자 별칭 DB(UD)에 없는 별칭에 대해 네임 서버의 별칭 DB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도 6의 구성도는 사용자의 별칭 DB(UD)가 외부의 서버에 위치하며 사용자 별칭 DB(UD)에 없는 별칭에 대해 네임 서버의 별칭 DB를 이용하게 하는 구성이다. 도 5의 구성은 도 3의 구성에 네임 서버를 추가한 것이며 도 6의 구성은 도 4의 구성에 네임 서버를 추가한 것이다. 여기에서 외부의 서버는 사용자의 별칭 DB(UD)를 저장하는 역할과 네임 서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할 수 있으며 외부의 서버를 이용하면서 별도의 외부의 네임 서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도는 여기에 제시된 것 이외에도 얼마든지 더욱 세분화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사용자 별칭 DB(UD)가 사용자의 단말기 내부에 위치하는가 혹은 외부에 위치하는가 여부 및 사용자가 2차적 별칭의 검색 및 이용을 위하여 네임 서버를 지정하였는지 혹은 지정하지 않았는지의 차이에 의해 세분화된 구성도이다.도 1에 의한 전체적 구성과 도 2에 나타난 순서도에 의한 전체적 처리 흐름에 의해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을 웹 브라우저에 적용하면 도 7과 같은 실시예가 나온다. 웹 브라우저에 입력된 사용자의 별칭을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끌어와서(Hooking) 사용자 별칭 DB(UD)에서 검색한 이후 검색된 문자열로 치환하여 웹 브라우저에게 리턴함으로써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의 별칭으로 부터 사용자가 의도하는 웹 사이트를 접근할 수 있게 해 준다. 웹 브라우저가 구동되면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웹 브라우저와 연동하면서 사용자의 입력 문자열을 대기하다가 이에 대한 별칭의 처리를 수행하며 사용자가 별칭에 대한 정의를 추가, 변경, 삭제하려고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호출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화면에 대한 URL과 함께 사용자의 별칭에 대한 정의를 받아들이고 변경, 삭제할 수 있는 화면을 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은 프로그램의 구현에 달린 사항이며 첨부된 그림에 나와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하나이다.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들에 대해 자신이 기억하고 입력하기 쉬운 별칭으로 정의하여 해당 사이트를 접근하고자 하는데 것으로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인터넷 주소들에 대해 사용자 자신이 사용하기 쉬운 별칭으로 정의하는 1단계, 사용자가 정의한 내용을 사용자의 인터넷 단말기나 외부의 서버에 DB 형태로 저장하는 2단계, 자신의 정의를 갱신하거나 추가, 삭제하는 3단계로 구성된다.상기의 1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자주 접근하는 사이트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형태로 별칭을 정의한다. 도메인 이름을 닷 네임 방식으로 적고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별칭을 매핑 시킨다. 이러한 사용자의 정의는 하나의 사이트에 대해 여러 개의 중복된 정의를 만들 수 있다.
인터넷 주소 사용자가 정의한 별칭
----------------------------------------------------------------------------
http://www.kipo.go.kr 특 (예)
http://www.kipo.go.kr 1 (예)
http://www.metanav.co.kr m (예)
http://www.metanav.co.kr 메타냅 (예)
http://www.yahoo.co.kr y (예)
http://www.kbstar.co.kr kb (예) ...
이상과 같은 형태로 사용자는 하나의 사이트에 대해 여러가지의 별칭으로 표현하여 정의할 수 있으며 표현하는 별칭은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모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가능하다. 특히 PDA나 핸드폰으로 인터넷을 접근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이와 같이 자신이 입력하기 쉬운 축약형 이름으로 정의하여 접근하는 것은 입력이 불편한 단말기에서는 더욱 효과적인 표기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사이트에 대해 여러가지의 별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별칭을 이와 같이 정의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특정 웹 사이트를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로 특정 웹사이트를 방문한 상태에서, 방문중인 사이트에 대해 별칭을 정의하기 위하여 별칭 정의용 툴 또는 편집기를 열고 현재 방문 중인 웹 사이트에 대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기 쉬운 별칭으로 정의하여 별칭을 별칭 정의용 툴 또는 편집기에 입력함으로 해당 사이트에 대한 별칭을 정의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사용자 별칭 DB(UD)에 대한 편집기를 통하여 별칭에 대한 정의를 입력할 수 있다. 편집기를 통한 별칭의 정의는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 대해 익히 URL이나 도메인 이름 또는 IP 주소를 알고 있을 때 보다 바람직한 방식이다.
2 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정의한 사용자의 별칭 리스트를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에 있는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상적인 것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별칭 리스트를 DB로 저장하는 것이지만 사용자 단말기의 기기 특성상 사용자의 단말기에 직접 저장이 어렵거나 또는 사용자가 자신이 데스크탑에서 작성한 이들 별칭 DB(UD)를 자신의 핸드폰이나 PDA에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칭 DB(UD)를 외부의 서버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2단계에서는 사용자의 별칭 및 이에 대응하는 특정 웹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 또는 URL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별칭 DB에 개별적 별칭 레코드로 추가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별칭 처리 프로그램이 사용자 별칭 DB를 연결하는 단계와 입력된 별칭과 방문중인 웹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 또는 URL 중에서 어느 하나와 쌍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3 단계에서는 자신의 정의를 갱신하거나 추가, 삭제하는 사항이며 해당 사이트의 인터넷 주소나 사이트의 내용이 변경 되었거나 또는 자신이 사용하는 별칭을 다른 이름으로 바꾸고 싶은 경우에 이를 사용자 자신이 정의했던 별칭 DB(UD)에서 변경하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버튼의 클릭이나 하이퍼 텍스트로 표시된 편집기의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별칭 DB(UD)에 대한 편집기를 열어주는 단계와 사용자 별칭 DB(UD)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별칭 DB를 화면에 출력해 주는 단계와 사용자가 사용자 별칭 DB에서 특정 항목의 별칭 레코드를 변경 또는 삭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변경 또는 삭제된 내용을 사용자 별칭 DB에 반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편집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별칭을 삭제, 변경하는 것 뿐만아니라 새로운 별칭 정의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1 단계와 3 단계를 위한 인터페이스로는 마우스 클릭 메뉴에 별칭 DB(UD) 갱신에 대한 메뉴를 추가하여 사용자가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을 하여 나타난 사이트의 주소와 설명에 대해 마우스 클릭으로 해당 내용을 가져와서 편집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별도의 에디터를 이용하는 방법, 여러 개의 리스트를 준비해서 열거한 이후 이를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입력방식이 제공된다.
상기의 작업 단계들 이외에 실제 사용자가 인터넷 주소 창에 문자열을 입력했을 때 이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별칭 처리 프로그램(UC)라고 칭한다.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되며 별칭 처리 프로그램이 조회하는 사용자 별칭 DB는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에 위치한다. 별칭 처리 프로그램(UC) 프로그램은 사용자로 부터 입력된 문자열을 받아들여서 별칭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별칭 DB(UD)와 네임서버의 DB 순서로 검색을 실시하여 입력된 별칭에 대응되는 URL 주소를 검색하여 입력 문자열을 검색된 URL로 치환하여 리턴한다.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의 역할은 사용자가 인터넷 주소 창에 입력한 문자열이 닷 네임 표기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이며 닷 네임이 아닌 경우 이를 별칭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사용자 별칭 DB(UD)에서 해당 별칭에 대응되는 도메인 이름을 조회하여 사용자의 인터넷 주소 창에 치환해주는 것이다. 닷 네임에 의한 표기에는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의 치환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의 역할은 단지 문자열의 치환 작업이므로 사용자 단말기의 네트워크 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트를 별칭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의 역활에서 치환이라함은 사용자가 인터넷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이 키워드였을 때 해당 키워드와 대응된 URL을 먼저 사용자가 정의한 DB에서 검색하여 있는 경우 해당 URL로 변환하여 웹 브라우저나 인터넷 툴로 넘겨주며 만약 사용자가 정의한 DB에 없을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네임서버에서 입력문자열로 들어온 키워드에 대응되는 URL로 변환하여 웹 브라우저나 인터넷 툴로 넘겨주는 동작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읽어와서(Hooking) 닷(.)이 없으면 키워드로 판단하여 해당 키워드에 대응되는 IP 주소나 도메인 이름 또는 URL을 사용자 별칭 DB(UD)에서 검색한다. 닷(.)이 있는지의 여부로 판단하는 것은 URL과 키워드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의 한가지 예이며 이것은 본 발명의 청구사항에 포함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한글코드를 사용하는 한글.com 이 도메인 이름 표준 방법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기에 이러한 환경에서는 한글코드의 포함여부만으로는 즉시 키워드라고 판단할 수 없으며 닷(.)의 포함여부가 키워드인지 URL인지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이므로 단지 키워드 판별방식의 한가지 예로써 제시되었을 뿐이다.
검색과정은 우선적으로 사용자가 정의해 둔 키워드 DB에서 해당 문자열이 있는지를 먼저 검색하며 해당 문자열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URL로 변환하여 인터넷 툴의 주소창으로 리턴한다. 만약 사용자가 정의해 둔 DB에 해당 문자열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해 둔 네임서버의 DB에서 해당 문자열을 검색하여 해당 문자열에 대응되는 URL로 변환하여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으로 URL을 리턴한다. 즉, 사용자가 인터넷 웹사이트를 액세스하는 과정에서의 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하는 역활이란 사용자의 입력문자열에 닷(.)이 없는 경우 이를 키워드라 판단하여 사용자의 키워드 DB와 네임서버의 키워드 DB에서 검색을 실행하며 대응되는 URL로 변환하여 인터넷 툴로 리턴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URL을 리턴받은 웹 브라우저는 웹 브라우저의 동작 방식에 변화없이 입력받은 URL을 그대로 처리하여 인터넷을 액세스한다.만약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이 사용자로 부터 받아들이는 입력문자열이 만약 하이퍼텍스트(Hyper Text)의 형태로 되어 있어서 별칭의 정의와 함께 링크에 대한 정의도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별칭 처리 프로그램의 별칭과 별칭에 대응되는 URL, 도메인 이름 또는 IP 주소를 검색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입력된 별칭의 링크를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로 리턴하여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WB)이 해당 링크로 바로 구동할 수 있게 한다.별칭 처리 프로그램(UC)이 주소창에 입력된 문자열의 처리를 치환으로 한정했을때의 장점은 기존의 인터넷 액세스의 표준 방식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고 툴의 변화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별칭 처리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여 대기하다가 주소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별칭인 경우 처리하는 사항은 치환에 국한된다. 즉, 인터넷 툴의 입장에서는 사용자와 툴 사이에서 별칭 처리 프로그램의 Hooking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입력받는 문자열이 표준 방식의 URL이므로 인터넷 툴의 변형을 요구하지 않으며 인터넷 사용의 표준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별칭 정의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접근할 수 있다.상기한 치환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인터넷 프로그래밍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후킹(Hooking) 기술이 사용이며 후킹 기술은 인터넷 프로그래밍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기술이다. 사용자가 외부의 네임서버를 지정하지 않았거나 또는 지정해 둔 외부의 네임서버에도 해당 문자열에 대응되는 URL이 없는 경우에는 입력문자열을 검색 엔진으로 보내어 검색을 실행하는 방법 또는 해당문자열이 키워드 정의에 없다는 출력메시지를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예시는 프로그램 구현에 따른 방법의 차이이며 없는 키워드에 대한 처리 방식은 본 발명이 다루는 항목은 아니다.사용자가 자신의 별칭을 직접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은 실제 별칭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사이트가 사용자가 검증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들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기에 이것은 구현 및 사용의 타당성을 지닌다. 본 발명의 이전에 포워딩 서비스나 기타 이름으로 제공되는 별칭 서비스들은 실제 별칭으로 주로 접근되는 사이트는 금융기관, 관공서, 검색 및 포탈 사이트가 대부분이며 다른 사이트의 경우 별칭으로 입력했을 때 별칭과 무관한 성인, 기타 유해 사이트인 경우가 많기에 사용자들의 실제 별칭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편리함과 함께 서비스 업체의 일방적 등록에 의해 검증이 안된 사이트는 별칭을 사용하지 않고 검색을 하여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본 발명은 기존의 서비스 업체 일방적인 정의를 사용자가 이용했을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별칭 정의를 자신이 기억하고 입력하기 쉬운 방식으로 정의하여 사용하게 한다는 점이 다르며 사용자 별칭 DB(UD)는 사용자 자신에게 한정되므로 타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도 없고 네트워크의 구성을 변경시키는 사항도 없으며 사용자 개개인에게 기대햇던 사이트로의 연결성을 높임으로써 별칭이 갖는 편리함을 사용자 개개인이 자신에게 맞게 재단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기업체에서는 업무상 주로 사용하는 분야에 대한 사이트들이 있으며 또한 회사의 보안이나 업무의 성격상 연결을 차단해야 할 사이트들도 있을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들에 있어서도 개개인의 연령이나 인터넷 활용 용도에 따라 연결을 기대하는 분야의 사이트와 함께 연결을 원하지 않는 범주의 사이트들도 있을 수 있다. 인터넷 주소의 표기에서 닷 표기법 대신 별칭의 사용은 인터넷 초심자나 어린 학생들에게 보다 편리할 수 있는데 사용자 자신의 접근이 많은 사이트들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별칭을 직접 정의함으로써 별칭에 대한 서비스 회사의 일방적인 별칭등록으로 인한 부작용을 막을 수 있고 인터넷 상의 표지와 관련된 권리침해나 선점 등에 대한 문제를 사용자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사이트로의 연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UT)의 별칭 DB(UD)를 이용함으로써 네임서버를 거치지 않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트로의 연결속도가 빨라지며 사용자는 자신의 언어와 자신의 정의에 의하여 인터넷을 접근할 수 있다.본 발명은 사용자 별칭 DB의 저장 위치 변경한다든지, 외부의 서버를 추가로 더욱 세분화한다든지, DB를 분산구조로 구성한다든지, DB 대신 화일(File)이나 쿠키(Cookie)의 형태로 저장한다든지, 별칭 처리 프로그램을 서버에 위치시키고 사용자 별칭 DB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한다든지, 사용자의 별칭 정의를 아이콘화 하거나 버튼화하거나 텍스트화 한다든지, 또는 일부 항목을 불완전한 형태로 구성하거나 추가 또는 삭제에 의해 무수히 많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그러나 특정 웹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별칭 정의를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의 정의를 활용하여 해당 웹 사이트를 사용자가 보다 수월하게 접근하게 지원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이며 이러한 사용자가 주도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별칭의 정의와 활용은 변형 실시로 부터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특정 웹 사이트에 대한 인터넷 주소 표기를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 또는 URL로 표기되는 웹 사이트에 대하여 사용자 자신이 정의한 별칭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인터넷에 접근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에 있어서,
    특정 웹 사이트에 대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기 쉬운 별칭으로 정의하여 별칭을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사용자의 별칭 및 이에 대응하는 특정 웹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 또는 URL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별칭 DB에 개별적 별칭 레코드로 추가하여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사용자의 별칭 DB를 새로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한 특정 웹 사이트에 대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기 쉬운 별칭으로 정의하여 별칭을 입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특정 웹 사이트를 웹 브라우저 또는 인터넷 툴로 방문하는 단계; 사용자가 별칭을 정의하기 위하여 별칭 정의용 툴 또는 편집기를 여는 단계; 현재 방문 중인 웹 사이트에 대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기 쉬운 별칭으로 정의하여 별칭을 별칭 정의용 툴 또는 편집기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한 입력된 사용자의 별칭 및 이에 대응하는 특정 웹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 또는 URL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별칭 DB에 개별적 별칭 레코드로 추가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별칭 처리 프로그램이 사용자 별칭 DB를 연결하는 단계; 입력된 별칭과 방문중인 웹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 또는 URL 중에서 어느 하나와 쌍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한 저장된 사용자의 별칭 DB를 새로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게 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에게 별칭 DB 편집기를 열어주는 단계; 사용자에게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별칭 DB를 화면에 출력해 주는 단계; 사용자가 사용자 별칭 DB에서 특정 항목의 별칭 레코드를 변경 또는 삭제하는 단계; 사용자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된 내용을 사용자 별칭 DB에 반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
  2. 청구항 1의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별칭 DB의 저장 위치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직접 저장되는 방식,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외부의 서버에 저장되는 방식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
  3. 청구항 1에서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에 대해 사용자가 정의하는 별칭의 이름은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입력 가능한 모든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
  4. 삭제
KR10-2003-0087315A 2003-12-01 2003-12-03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 KR100466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315A KR100466357B1 (ko) 2003-12-03 2003-12-03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
CN200480041182.1A CN1922606B (zh) 2003-12-01 2004-11-30 用于面向用户的互联网导航的动态关键字处理***和方法
US10/596,136 US20080281816A1 (en) 2003-12-01 2004-11-30 Dynamic Keyword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User Oriented Internet Navigation
PCT/KR2004/003126 WO2005055090A1 (en) 2003-12-01 2004-11-30 Dynamic keyword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user oriented internet navig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315A KR100466357B1 (ko) 2003-12-03 2003-12-03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791A KR20040053791A (ko) 2004-06-24
KR100466357B1 true KR100466357B1 (ko) 2005-01-13

Family

ID=3734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315A KR100466357B1 (ko) 2003-12-01 2003-12-03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3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791A (ko)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4254B1 (en) System and a process for specifying a location on a network
JP3295667B2 (ja) ネットワーク上の情報へのアクセス方法及びシステム
US6292770B1 (en) Japanese language user interface for messaging system
US8839090B2 (en) System and method to capture and manage input values for automatic form fill
JP4846922B2 (ja) ネットワーク上の情報へのアクセス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80281816A1 (en) Dynamic Keyword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User Oriented Internet Navigation
JP4430598B2 (ja) 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情報共有方法
US200300809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nd utilizing remote bookmark lists
KR100786379B1 (ko) 웹 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개인 맞춤 웹 사이트 접속 및 웹 검색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WO2005121982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情報通信端末、および情報表示切り替えプログラム
KR20000017718A (ko) 월드와이드웹 및 전자우편 주소 입력방법과 장치
JP2004102470A (ja) 掲示板情報表示方法、掲示板情報表示システム
KR20010095215A (ko) 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인터넷 상에서의정보 검색 방법
CN1922606B (zh) 用于面向用户的互联网导航的动态关键字处理***和方法
KR100310716B1 (ko) 핸드-헬드 장치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데이터 공유 방법
KR100466357B1 (ko)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
KR20060057731A (ko) 사용자 정의형 키워드와 네임 서버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08206A (ko) 인터넷상의 각종 정보 및 서비스를 자동관리하거나자동접속하는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단말장치
KR20030017267A (ko) 문서 자동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JP2007034463A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プログラム
KR20110123027A (ko) 스마트 툴바 시스템을 이용한 검색 방법
KR100389116B1 (ko) 객체의 목적지를 일관되게 참조할 수 있는 표현 방법 및그 시스템
WO2010025945A1 (en) Method for attaching electronic notes to web sites and communicating such notes over the internet
KR20020046408A (ko) 브라우저 주소표시줄의 드롭다운 창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제공 방법
KR20010087009A (ko) 듀얼 아이디 전자메일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