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510B1 - Air purifier - Google Patents

Ai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510B1
KR100464510B1 KR10-2002-0082690A KR20020082690A KR100464510B1 KR 100464510 B1 KR100464510 B1 KR 100464510B1 KR 20020082690 A KR20020082690 A KR 20020082690A KR 100464510 B1 KR100464510 B1 KR 10046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e
air
blow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56139A (en
Inventor
김승철
채경호
이재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2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510B1/en
Publication of KR20040056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1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5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or integrated in,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장치와 필터장치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여 청소 및 필터의 교체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and in particular,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blower and the filter device to facilitate the cleaning and replacement of the filter.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하면이 개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공기토출구 쪽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이 내장된 송풍케이스, 상기 송풍케이스 하부에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케이스, 상기 복수의 필터를 분리할 때 상기 필터들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밀어 올려주도록 상기 필터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필터상승장치를 포함한다.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is opened and the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 blower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drawn out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blower fan for blowing air toward the air discharge port is built-in A case, a filter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s are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o be pulled out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stacked in an up-down direction therein; and when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separated, the filters are pushed upwards from below. And a filter elev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filter case to lift the filter.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PURIFIER}Air Purifier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장치와 필터장치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blower and the filter device.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 등을 걸러 내어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장치로, 통상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장치와, 이 송풍장치의 동작에 의해 순환하는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을 걸러 내는 필터장치를 구비한다.An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filters dust and bacteria in the air and cleans the air. A blower that normally sucks indoor air and forcibly blows the air, and a filter that filters dust and bacteria in the air circulated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With a device.

공기청정기의 송풍장치는 공기청정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팬과, 이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필터장치는 송풍장치의 흡입 측 또는 토출 측 유로에 마련되는 것으로, 비교적 격자간이 큰 망체의 프리필터, 전기집진방식의 정전필터, 폴리프로필렌수지나 폴리에틸렌수지가 부직포형태로 마련되는 미세집진필터 등이 겹층을 이루도록 배열되거나 그 중 선택적으로 채용된다.The blower of the air cleaner comprises a blower fan provided inside the air cleaner body, and a motor for driving the blower fan. The filter device is provided on the suction side or the discharge side flow path of the blower, and has a relatively large lattice intermesh prefilter,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and a fine dust collecting filter in which polypropylene resin or polyethylene resin is provided in a nonwoven fabric. It is arranged to form a layer or it is selectively employed among them.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소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집진된 먼지가 필터에 쌓이고, 송풍장치에도 먼지가 낀다. 따라서 쾌적한 상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적절한 주기로 송풍장치와 필터장치를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청소를 해 주어야 한다.When such an air cleaner is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dust collected is accumulated in the filter, and dust is also blown in the blower. Therefore, in order to use it in a comfortable state, the user should separate the blower and filter device from the main body and clean it at an appropriate interval.

그런데 통상의 공기청정기는 필터장치를 분리하기 위해 본체의 커버를 분리한 후,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필터들을 하나씩 분리해 청소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필터의 분리과정에서 오염된 먼지에 의해 본체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을 뿐 아니라, 필터의 청소나 교체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통상의 공기청정기는 송풍팬과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구조이기 때문에 이를 분리하여 청소하기가 어려웠다.However, since a normal air cleaner needs to remove the cover of the main body in order to separate the filter device, and then clean the filter mounted in the main body one by on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contaminated by contaminated dust during the separation of the filter. Not only was there a problem with contamination, but there was a cumbersome and complicated problem of cleaning or replacing the filter.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clean the conventional air cleaner because the blower fan and the motor for driving the air cleaner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장치와 필터장치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여 청소 및 필터의 교체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facilitates separation and combination of a blower and a filter device so that cleaning and filter replacement can be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송풍장치와 필터장치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lower and the filter devic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송풍장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lowe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device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본체, 11: 탁자부,10: main body, 11: table,

12: 공기토출구, 14,15: 안내레일,12: air outlet, 14,15: guide rail,

20: 송풍장치, 21: 송풍케이스,20: blower, 21: blower case,

22: 공기안내부, 23: 출구,22: air guidance, 23: exit,

24: 송풍팬, 25: 모터,24: blower fan, 25: motor,

26: 안내홈, 30: 필터장치,26: guide groove, 30: filter device,

31: 필터케이스, 32: 항균프리필터,31: filter case, 32: antibacterial pre-filter,

33: 정전필터, 34: 미세집진필터,33: electrostatic filter, 34: fine dust filter,

35: 안내홈, 40: 조작패널,35: guide groove, 40: operation panel,

50: 필터상승장치, 51: 승강판,50: filter lift device, 51: lifting plate,

52: 스프링, 60: 걸림부재.52: spring, 60: locking memb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하면이 개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공기토출구 쪽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이 내장된 송풍케이스, 상기 송풍케이스 하부에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케이스, 상기 복수의 필터를 분리할 때 상기 필터들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밀어 올려주도록 상기 필터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필터상승장치를 포함한다.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lower surface is opened and the air outlet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 body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to be drawn out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blows air toward the air outlet A blower case with a built-in blower fan, a filter case mounted to be pulled out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under the blower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lters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rein, wherein the filter is separated when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separated. And a filter lift device installed in the filter case so as to push them from the bottom to the top.

또한 상기 송풍케이스는 횡방향의 폭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송풍케이스의 양쪽 측면과 상기 본체의 내면 사이에는 상호 대응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홈과 안내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ower case has a wid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rail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blower c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부와 하부에 공기의 유통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의 양쪽 측면과 상기 본체의 내면 사이에는 상호 대응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홈과 안내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case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for the flow of air,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filter c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and a guide rail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do.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 내의 필터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격자가 큰 망체로 이루어지는 프리필터와, 상기 프리필터의 상부에 적층되는 전기집진식 정전필터와, 미세입자의 집진을 위해 상기 정전필터 상부에 적층되는 미세집진필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lter in the filter case is mount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filter case, the pre-filter consisting of a large mesh mesh,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electrostatic filter stacked on top of the pre-filter, the top of the electrostatic filter for dust collection of fine particles It includes a fine dust filter laminated to.

또한 상기 필터상승장치는 상기 필터를 지지하도록 상기 필터케이스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기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이 상승하려는 힘을 가지도록 상기 승강판의 하면과 상기 필터케이스의 바닥판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lter eleva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filter case so as to support the filter and the lifting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the distribution of air,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and the lifting plate so that the lifting plate has a force to rise It includes a plurality of springs interposed between the bottom plate of the filter case.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 바닥판에는 공기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케이스 바닥판과 상기 승강판의 하면에 상기 스프링의 고정을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case bottom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air f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jection for fixing the spring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case bottom plate and the elevating plate.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부에는 내부에 적층된 필터의 이탈방지를 위해 가장 상부의 필터를 걸어서 지지해주는 걸림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mber is installed to support the top of the filt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filter laminated therein is installed.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필터케이스 상부의 상호 대향하는 양측에 마련되며, 그 일단이 필터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필터의 상면을 걸어서 지지하도록 절곡된 후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case opposite to each other, one end thereof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lter case, the other end is bent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do.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기나 꽃병 등을 올려 둘 수 있도록 상부에 소정면적의 평면으로 된 탁자부(11)가 마련된 본체(10)를 구비한다. 또 본체(10)는 한쪽 측면(도면에서의 전면)과 하면이 개방되는 사각의 상자형상으로 마련되며,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의 상부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0)의 상부에는 공기청정기의 동작제어를 위한 것으로 다수의 조작버튼과 동작표시를 위한 표시부를 갖춘 조작패널(40)이 설치된다.1 and 2,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provided with a table portion 11 having a planar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hereon so as to place a telephone or a vase.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in which one side surface (front surface in the figure) and the bottom surface are opened, and an air discharge port 12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for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air cleaner, the operation panel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그리고 이러한 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공기토출구(12)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실내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장치(20)가 설치되고, 이 송풍장치(20)의 하측으로 순환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장치(30)가 설치된다. 또한 송풍장치(20)와 필터장치(30)는 본체(10)로부터 분리하거나 본체(10)에 다시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본체(10)의 개방부(13)를 통해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a blower 20 for circulating indoor air is install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air outlet 12, and foreign matters in the air circul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lower 20 are installed. Filtering device 30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blower 20 and the filter device 30 are installed to be pulled out laterally through the opening 13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or re-coupled to the main body 10.

송풍장치(2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에 개방된 공기안내부(22, 도 4참조)가 형성되고 그 측면에 본체(10)의 공기토출구(12)와 대응하는 출구(23)가 형성되며 횡방향의 폭이 크게 형성되는 상자형상의 송풍케이스(21)와, 이 송풍케이스(21)의 내측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익형 원심팬으로 이루어지는 송풍팬(24)과, 이 송풍팬(24)을 구동시키도록 송풍케이스(21)의 내측 상면에 장착된 모터(25)를 구비한다. 이러한 송풍장치(20)는 송풍팬(24)이 동작할 때 하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반경방향의 출구(2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blower 20 is provided with an air guide part 22 (see FIG. 4) opened at a lower surface thereof and corresponds to an air outlet 12 of the main body 10 at a side thereof. Outlet 23 is formed, the box-shaped blower case 21 having a wide wid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blower fan 24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blower case 21, a multi-role centrifugal fan ) And a motor 25 mount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blower case 21 to drive the blower fan 24. The blower 20 is such that the air sucked from the lower portion when the blower fan 24 operate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adial outlet (23).

또한 송풍케이스(21)의 양쪽 측면과 본체(10)의 내면에는 송풍장치(20)가 측방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호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홈(26)과 안내레일(14)이 각각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송풍장치(2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할 때 전방으로 당겨서 분리시키고, 송풍장치(20)를 다시 결합시킬 때 본체(10)의 내부로 밀어 넣어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송풍장치(20)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s 26 and the guide rails 14 which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allowing the blower 20 to be detachably coupled laterally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lower case 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re provided. Each is formed.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separates the blower 20 from the main body 10, it is pulled forward and separated, and when the user combines the blower 20 again, the user pushe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to engage it. It is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20).

필터장치(30)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상면이 완전 개방되고 바닥판(37)이 다수의 통공을 통해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폭이 상술한 송풍케이스(21)와 대응하는 필터케이스(31)와, 이 필터케이스(31)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필터(32,33,34)를 구비한다. 또 필터케이스(31)의 양쪽 측면과 본체(10)의 내면에는 상술한 송풍장치(20)와 마찬가지로 필터장치(30)가 본체(10)의 개구부(13)를 통해 전후로 진퇴하면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호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된 안내홈(35)과 안내레일(15)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필터케이스(31)는 그 하단이 본체(10)의 하단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본체(10)의 하단에는 주변의 공기가 필터케이스(31)의 하부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지지다리부(16)를 제외한 사방에 개방부(17)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ilter device 30 is provided in a box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is completely opened and a bottom plate 37 is opened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so that air can be distributed. A filter case 31 corresponding to one blower case 21, and a plurality of filters 32, 33, 34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lter case 31 are provided.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filter case 3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like the blower 20 described above, the filter device 30 can be separated or coupled while advancing back and forth through the opening 13 of the main body 10. The guide grooves 35 and the guide rails 15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are form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lter case 31 has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e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side, and the surrounding air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with a filter case ( The opening 17 is preferably provided on all sides except the support leg 16 so as to smoothly flow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31.

필터케이스(31) 내부에는 하부로부터 항균프리필터(32), 전기집진식 정전필터(33), 미세집진필터(34)가 차례로 적층된다. 항균프리필터(32)는 비교적 입자가큰 먼지를 걸러주는 것으로 격자간이 큰 망체로 이루어지며, 전기집진식 정전필터(33)는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접지전극판(33a)과 방전선(33b)으로 이루어져 먼지입자의 전리현상을 이용해 집진을 한다. 미세집진필터(34)는 폴리프로필렌수지나 폴리에틸렌수지 등이 미세한 부직포형태로 마련된 것으로 미세먼지입자를 집진한다.Inside the filter case 31, an antibacterial prefilter 32,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electrostatic filter 33, and a fine dust collecting filter 34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bottom. The antimicrobial prefilter 32 is composed of a mesh with a large lattice between the particles to filter relatively large particles, and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electrostatic filter 33 has a plurality of ground electrode plates 33a and discharge lines 33b arranged in parallel. The dust is collected by ionization of dust particles.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34 is formed of a fine nonwoven fabric such as polypropylene resin or polyethylene resin to collect fine dust particles.

이러한 필터장치(30)의 구성은 송풍팬(24)의 동작에 의해 실내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때 공기가 본체(10)의 하부로부터 각 필터(32,33,34)를 통과하여 송풍장치(20) 쪽으로 흐르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필터장치(30)의 청소 또는 필터의 교체를 위해 필터장치(3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할 때는 필터케이스(31)를 서랍처럼 당겨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device 30 is that the air flows through the respective filters (32, 33, 34) from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circulation of the indoor air is made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24) It is to be purified while flowing toward). When the user separates the filter device 30 from the main body 10 for cleaning the filter device 30 or replacing the filter, the filter case 31 can be pulled out like a drawer to clean and replace the filter. It is to make it easier.

또한 필터장치(30) 내에는 사용자가 필터케이스(31)를 분리한 후 필터케이스(31) 내에 적층된 필터들(32,33,34)을 꺼내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필터상승장치(50)가 마련된다. 이 필터상승장치(50)는 필터케이스(3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판(51)과, 승강판(51)을 상부로 밀어주는 복수의 스프링(52)을 포함한다. 이때 승강판(51)은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필터케이스(31)의 바닥판(37) 역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다. 그리고 복수의 스프링(52)은 승강판(51)의 하면과 필터케이스 바닥판(37)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판(51)을 지지한다. 또 승강판(51)의 하면과 바닥판(37)의 상면에는 스프링(52)의 고정을 위한 다수의 고정돌기(53)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lter elevating device 50 is provided in the filter device 30 to facilitate the user to take out the filters 32, 33, and 34 stacked in the filter case 31 after the filter case 31 is separated. do. The filter elevating device 50 includes a lifting plate 51 that can be lifted and lowered in the filter case 31, and a plurality of springs 52 that push the lifting plate 51 upward. At this time, the elevating plate 5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enable the flow of air, the bottom plate 37 of the filter case 31 also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enable the distribution of air. The plurality of springs 52 ar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e 51 and the filter case bottom plate 37 to support the elevating plate 51.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53 for fixing the spring 5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e 5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37.

또한 필터케이스(31)의 상부에는 필터케이스(31) 내부에 적층된 필터들(32,33,34)의 이탈 방지를 위한 것으로 가장 상부의 필터(34)를 걸어서 지지해주는 걸림부재(60)가 설치된다. 이때 걸림부재(60)는 필터케이스(31) 상부의 양측에서 필터(34)를 걸어줄 수 있도록 상호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그 일단이 필터케이스(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필터(34)의 상면을 걸어서 지지하도록 절곡된 후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는 걸림부재(60)를 회동시켜 필터(34)를 걸어 고정시키거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case 31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filters (32, 33, 34) stacked in the filter case 31, the locking member 60 for supporting the uppermost filter 34 by walking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engaging member 60 is provided on each of the opposite sides so as to walk the filter 34 on both sides of the upper filter case 31, one end thereof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lter case 31, the other end After bending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34, the predetermined length is extended. This is to rotate the locking member 60 to be fixed by hanging the filter 34 or to release the locking.

이러한 구성들은 사용자가 필터케이스(31)의 상부로부터 필터(32,33,34)를 적층할 때 복수의 필터를 차례로 눌러서 적층시킨 후, 걸림부재(60)를 이용해 최상단의 필터(34)를 걸어줌으로써 필터케이스(31) 내에 복수의 필터가 적층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필터들(32,33,34)을 분리할 때는 걸림부재(60)의 걸림을 해제하는 동작만으로 필터상승장치(50)의 동작에 의해 하부로부터 필터들이 상승하여 분리됨으로써 필터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When the user stacks the filters 32, 33, and 34 from the top of the filter case 31,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sequentially pressed and stacked, and then the uppermost filter 34 is hooked using the locking member 6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ilters in the filter case 31 can be maintained in a stacked state. When the filters 32, 33, and 34 are separated, the filters are lifted and separated from the lower side by the operation of the filter lift device 50 only by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locking member 60, thereby facilitating separation of the filters. I would have to.

다음은 이러한 공기청정기의 동작 및 사용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and usage of these air cleaners.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물건을 올려 둘 수 있는 탁자부(1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꽃병이나 전화기 등의 물건을 올려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정의 거실 등에 비치되는 일반가구와 어울리도록 함께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able part 11 on which an object can be placed. Can be used together to match the furniture on the back.

공기청정기를 동작시킬 때는 본체(10) 상부의 조작패널(40)을 조작하여 송풍팬(24)이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팬(24)의 동작에 의해 본체(10)의 하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필터장치(30)의 각 필터(32,33,34)를 통과하여 상승하면서 정화된 후, 상부의 공기토출구(12)를 통해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됨으로써 실내공기의 정화를 수행한다.When the air cleaner is operated, the blower fan 24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panel 4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air suck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24 passes through the filters 32, 33, 34 of the filter device 30 and is purified. After that, it is discharged back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12 of the upper to purify the indoor air.

소정기간 사용한 후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송풍장치(20)와 필터장치(3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청소를 하거나 필터를 교체해 준다. 이때 본 발명은 송풍장치(20)의 송풍케이스(21)와 필터장치(30)의 필터케이스(31)에 각각 마련된 손잡이(21a,31a)를 통해 마치 서랍을 인출하는 것처럼 당겨서 분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송풍장치(20)와 필터장치(3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거나 다시 장착하기가 용이하다.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s shown in FIG. 2, the user separates the blower 20 and the filter device 30 from the main body 10 for cleaning or replaces the filter. At this tim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pulls and separates as if drawing a drawer through the handle (21a, 31a) provided in the blower case 21 and the filter case 31 of the filter device 30 of the blower 20, respectively. It is easy to separate the blower 20 and the filter device 30 from the main body 10 or to reinstall it.

또한 필터장치(30)의 경우 필터케이스(31) 내부에 적층된 다수의 필터들(32,33,34)이 필터상승장치(50)의 동작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면서 분리되기 때문에 이들을 쉽게 분해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lter device 30, the plurality of filters 32, 33, and 34 stacked inside the filter case 31 are separated while rising upward by the operation of the filter elevating device 50, thereby easily disassembling them. It can be cleaned or replace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송풍장치와 필터장치가 본체로부터 서랍형으로 착탈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송풍장치와 필터장치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여 청소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lower and the filter device ar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in the form of a drawer so that the blower and the filter device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mbined so that cleaning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필터장치를 분해하여 청소할 때 필터케이스 내에 적층되는 필터들이 필터상승장치의 동작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면서 분리되기 때문에 필터의 청소와 교체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y cleaning and replacement of the filter because the filters stacked in the filter case are separated while rising to the top by the operation of the filter lifting device when the filter device is disassembled and cleaned.

Claims (8)

하면이 개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공기토출구 쪽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이 내장된 송풍케이스, 상기 송풍케이스 하부에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케이스, 상기 복수의 필터를 분리할 때 상기 필터들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밀어 올려주도록 상기 필터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필터상승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A blower case having a bottom surface open and a blower fan configured to be drawn out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blower fan for blowing air toward the air blower outlet; A filter case mounted to be pulled out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filters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rein, the filter case being installed in the filter case to push up the filters from the bottom to the top when separating the plurality of filters Air cleaner including a filter lift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풍케이스는 횡방향의 폭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송풍케이스의 양쪽 측면과 상기 본체의 내면 사이에는 상호 대응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홈과 안내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blower case has a wid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blower c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rail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부와 하부에 공기의 유통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의 양쪽 측면과 상기 본체의 내면 사이에는 상호 대응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홈과 안내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filter case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for the distribution of air,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filter c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and a guide rail which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air clean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필터케이스 내의 필터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격자가 큰 망체로 이루어지는 프리필터와, 상기 프리필터의 상부에 적층되는 전기집진식 정전필터와, 미세입자의 집진을 위해 상기 정전필터 상부에 적층되는 미세집진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The filter in the filter case is mount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filter case, the pre-filter consisting of a large mesh mesh,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electrostatic filter stacked on top of the pre-filter, and the top of the electrostatic filter for dust collection Air cleaner including a fine dust filter is stack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필터상승장치는 상기 필터를 지지하도록 상기 필터케이스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기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이 상승하려는 힘을 가지도록 상기 승강판의 하면과 상기 필터케이스의 바닥판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filter eleva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filter case so as to support the filter, and the elevating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the distribution of air,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e and the filter so that the elevating plate has a force to ascend Air clea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prings interposed between the bottom plate of the cas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필터케이스 바닥판에는 공기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케이스 바닥판과 상기 승강판의 하면에 상기 스프링의 고정을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filter case bottom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air flow, air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jections for fixing the spring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case bottom plate and the lif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부에는 내부에 적층된 필터의 이탈방지를 위해 가장 상부의 필터를 걸어서 지지해주는 걸림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upper part of the filter case is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mber is installed to support the top of the filter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filter laminated therein is installed.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필터케이스 상부의 상호 대향하는 양측에 마련되며, 그 일단이 필터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필터의 상면을 걸어서 지지하도록 절곡된 후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case opposite to each other, one end thereof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lter case, the other end is bent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to b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ir cleaner.
KR10-2002-0082690A 2002-12-23 2002-12-23 Air purifier KR1004645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690A KR100464510B1 (en) 2002-12-23 2002-12-23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690A KR100464510B1 (en) 2002-12-23 2002-12-23 Ai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139A KR20040056139A (en) 2004-06-30
KR100464510B1 true KR100464510B1 (en) 2005-01-03

Family

ID=3734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690A KR100464510B1 (en) 2002-12-23 2002-12-23 Ai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5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444B1 (en) * 2016-12-16 2018-10-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cleaner using 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139A (en)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761B1 (en) air cleaner
US6799351B2 (en) Floating nozzle
KR101185250B1 (en) Air cleaner
KR20080026466A (en) Air cleaner
KR100464510B1 (en) Air purifier
KR100464516B1 (en) Air purifier
KR101817090B1 (en) Wall mounted air conditioner
KR100464511B1 (en) Air purifier
KR100492317B1 (en) Air purifier
KR100485578B1 (en) Air purifier
KR102110122B1 (en) Air cleaner
KR101936741B1 (en) Stand for air purifier and wall-mounted air purifier havig the same
KR200417118Y1 (en) Air conditioner
KR200466747Y1 (en) Vacuum cleaner
KR100575316B1 (en) A structure of filter-assembly for Air cleaner
KR101988945B1 (en) Deh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KR100492316B1 (en) Air purifier
KR102655745B1 (en) Portable air clean hood
KR100654345B1 (en) Air cleaner
KR101926375B1 (en) Deh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having sterilizing function
KR100464517B1 (en) Air purifier
KR100564492B1 (en) Installing structure of filter-assembly for air cleaner
JP6719355B2 (en) Blower
KR100564494B1 (en) Suction structure of Air-cleaner
KR100564477B1 (en) Ai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