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927B1 - clip-on auxiliary lenses - Google Patents

clip-on auxiliary len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927B1
KR100463927B1 KR10-2001-0070476A KR20010070476A KR100463927B1 KR 100463927 B1 KR100463927 B1 KR 100463927B1 KR 20010070476 A KR20010070476 A KR 20010070476A KR 100463927 B1 KR100463927 B1 KR 100463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uxiliary
clip
delete delet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39529A (en
Inventor
엔지 데이브
Original Assignee
엔지 데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지 데이브 filed Critical 엔지 데이브
Priority to KR10-2001-007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927B1/en
Publication of KR20030039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5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92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주안경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보조렌즈가 반아치형상으로 구성된 탄성클립을 갖도록 된 보조안경장치가 제공된다.An auxiliary spectacle device is provided, wherein the secondary lens has an elastic clip configured in a half-arch shape to detachably attach the main glasses.

Description

클립형 보조렌즈{clip-on auxiliary lenses}Clip-on auxiliary lenses

본 발명은 안경에 부착하기 위해 클립을 사용하는 보조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lens that uses a clip to attach to glasses.

보조렌즈를 부착하는 한가지 기계적인 방법은 ColorClipTM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보조렌즈의 외주의 여러 위치에 천공된 구멍을 준비한다. 그 후 이 구멍 속으로 연질 플라스틱 클립이 삽입된다. 클립의 끼움부는 "S"형상이다. 이 보조렌즈의 제거 및 교체는 동시에 (a) 메인 프레임을 잡고 (b) 보조렌즈의 위치를 맞추고 (c) 각 클립의 "S"끼움부를 부드럽게 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다수(보통은 6개)의 클립의 각각에 대하여 반복되며, 상당한 정도의 정신집중과 솜씨를 요구한다.One mechanical method of attaching an auxiliary lens is the ColorClip system. This system prepares holes drilled at various location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uxiliary lens. A soft plastic clip is then inserted into this hole. The fitting of the clip is "S" shaped. Removal and replacement of this auxiliary lens is accomplished by simultaneously (a) holding the main frame (b) aligning the auxiliary lens and (c) gently bending the "S" fitting of each clip. This process is repeated for each of a number of clips (usually six), and requires considerable mental concentration and skill.

유사한 시스템인 ECLIPS는 렌즈에 금을 새기고 프라이머로 코팅한 후 금속클립을 보조안경에 접착하도록 되어있다. 이 금속클립은 주 안경을 둘러싸도록 휘어진다. 반복되는 휨이 금속의 피로 및 파괴를 일으킴에 따라서 이 시스템은 보조렌즈를 주 안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데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A similar system, ECLIPS, is designed to etch a lens with gold, coat it with a primer, and then attach a metal clip to the eyeglasses. This metal clip is bent to surround the main glasses. As repeated warpage causes fatigue and fracture of the metal, this system is not suitable for detachably fixing the auxiliary lens to the main glasses.

ECLIPS와 ColourClipTM의 다른 결점은 각 보조렌즈를 메인프레임에 별개로 부착하고 제거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착용자가 각 보조렌즈를 정확히 위치조정하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보조렌즈는 자주 메인렌즈에 대하여 약간 축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하게 될 것이다. 보조프레임이 완전한 원형이 아니라면 이렇게 축방향으로 어긋나면 전체 조립체, 심지어는 착용자의 얼굴이 휘어지거나 왜곡되어 나타나게 된다.Another drawback of ECLIPS and ColourClip is that each secondary lens must be attached and removed separately from the mainframe. If the wearer does not try to position each secondary lens correctly, the secondary lens will often be slightly offset axially with respect to the main lens. If the auxiliary frame is not perfectly circular, this axial shift will cause the entire assembly, even the wearer's face, to appear crooked or distorted.

보조렌즈를 부착하기 위한 그 외의 기계적인 방법들이 개시되어있다. Herald, Jr. 등의 미국특허 제 5,493,348호와 Wang의 미국특허 제 5,335,025호는 두꺼운 보조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부착수단을 갖도록 구성된 보조렌즈를 개시한다. 이들 부착방법은 많은 착용자가 보기 흉한 두꺼운 프레임을 필요로 한다.Other mechanical methods for attaching an auxiliary lens are disclosed. Herald, Jr. U. S. Patent No. 5,493, 348 and Wang and U. S. Patent No. 5,335, 025 to Wang disclose an auxiliary lens arranged in a thick auxiliary frame and configured to have attachment means. These methods of attachment require thick frames that are unsightly to many wearers.

Blatter의 미국특허 제 5,438,378호는 특히 측면에서 보아 부피가 크고 보기 흉한 부착부재를 개시한다.Blatter's US Pat. No. 5,438,378 discloses a bulky and unsightly attachment member, particularly from the side.

Grazely의 미국특허 제 4,955,707호는 역시 외형이 매력이 없는 복합금속부착수단을 개시한다. 또한, 금속부착수단을 사용하면 보조렌즈를 제거하거나 교체하는 동안에 렌즈가 긁힐 위험이 생긴다.Grazely, U. S. Patent No. 4,955, 707, also discloses a composite metal attachment means that is unattractive in appearance. In addition, the use of metal attachment means creates the risk of scratching the lens during 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auxiliary lens.

Kirsch 등의 미국특허 제 5,907,384호는 두 개의 후크가 브릿지에 위치하고 하나의 후크가 보조프레임의 바닥부근에 위치하는 아치형의 브릿지부를 갖는 종 모양의 렌즈장착스트립을 개시한다. 이 장치의 용도는 독서용 확대안경에 한정되며, 보조프레임은 이런 부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메인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을 뿐이다.US Pat. No. 5,907,384 to Kirsch et al. Discloses a bell-shaped lens mounting strip having an arcuate bridge with two hooks at the bridge and one hook at the bottom of the subframe. The use of this device is limited to reading magnifiers, and the auxiliary frame can only be attached to the mainframe specially configured for this attachment.

Martin의 미국특허 제 5,867,244호 및 Spencer의 미국특허 제 5,696,571호는 텐션을 이용하는 보조안경을 개시한다. 이들 시스템에는 완전한 보조프레임이 필요하다. 어쨌든 보조프레임이 상당히 휘게 되면 이 부착방법은 실패하게 될 것이다. 이 텐션클립은 금속이나 금속형 재료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휨이 반복되면금속의 피로 및 파괴를 일으킬 것이다. 또한 이들 클립을 사용하는데는 특정 결합각도에서 보조안경을 제거하고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는 어느 정도의 솜씨와 정신집중을 필요로 한다.Martin, U. S. Patent No. 5,867, 244, and Spencer, U. S. Patent No. 5,696, 571 disclose assistive glasses using tension. These systems require a complete auxiliary frame. In any case, if the auxiliary frame is bent considerably, this attachment method will fail. This tension clip is made of metal or metallic material. Thus, repeated bending will cause fatigue and fracture of the metal. The use of these clips also requires the removal and replacement of the supplementary glasses at a certain engagement angle, which requires some skill and concentration.

Grazeley의 미국특허 제 4,890,910호와 Grazeley의 미국특허 제 4,973,148호는 보조안경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유연한 탄성돌기를 사용하는 것을 개시한다. 이 들기들은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텐션장치 내에 안착하여 스냅결합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돌기들을 제거하고 교체하는데는 보조안경과 주 안경의 비교적 약한 브릿지에 상당량의 힘을 필요로 하며, 또한 다루기 곤란한 결합 및 분리각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 방법은 두껍고 튼튼한 프레임과 관련해서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돌기들은 금속이나 유사재료로 만들어져야 하므로 보조안경을 제거하고 교체할 때 주안경 심지어는 착용자가 손상을 입게 된다.Grazeley U. S. Patent No. 4,890, 910 and Grazeley U. S. Patent No. 4,973, 148 disclose the use of a pair of flexible resilient protrusions protruding rearward from an accessory eyeglass. These lifters are configured to snap into and snap into the tensioning device formed on the mainframe. The removal and replacement of the protrusions requires a considerable amount of force on the relatively weak bridges of the secondary glasses and the main glasses, and also requires difficult handling and disengaging angles. Therefore, this method can only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ick and sturdy frames. The protrusions must also be made of metal or similar material, which can damage the goggles and even the wearer when removing the eyeglasses and replacing them.

따라서 본 발명은 보조렌즈를 주안경에 부착하기 위한 단순하고 안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and safe means for attaching an auxiliary lens to a gogg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안경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the auxiliary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안경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the auxiliary glass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릿지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second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릿지의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second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의 제 1실시예의 측단면도.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의 제 2실시예의 측단면도.6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보조안경 40, 41 클립20 Eyeglasses 40, 41 clips

42 기부 47 구형 단부42 base 47 spherical end

48 끼움부 49 아암48 Fitting 49 Arm

50 보조렌즈 52 리벳구멍50 Secondary lens 52 Rivet hole

55 가장자리 56 전방면55 Edge 56 Front

60 보조브릿지 72 렌즈리벳60 Secondary Bridge 72 Lens Rivet

74 구형상부74 spherical part

본 발명은 (a) 각각 전방면, 후방면, 렌즈의 주위를 둘러싸는 가장자리, 및 각 렌즈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가장자리에 인접한 클립구멍을 갖는 두 개의 보조렌즈와, (b) 상기 보조렌즈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보조렌즈를 서로 연결하는 보조브릿지와, (c) 상기 각 구멍에 위치하는 클립으로서, 각각 상기 전방면 및 후방면 중의 한 면에 위치하는 기부,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연장되는 클립리벳,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아암, 및 상기 아암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반아치 형상의 탄성체로 된 끼움부를 갖는 클립을 구비하는 보조안경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two auxiliary lenses each having a front face, a rear face, an edge surrounding a lens, and a clip hole adjacent to an upper edge and a lower edge of each lens, and (b) between the auxiliary lenses; An auxiliary bridge extending to connect the auxiliary lenses to each other, and (c) a clip positioned in each of the holes, a base positioned on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a clip extending from the base through the hole; An auxiliary spectacle device having a rivet, an arm extending along the edge from the base, and a clip having a fitting portion of a semi-arch elastic body extending rearward from the a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탄성체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릿지는 탄성체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경사면 단부까지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구형 단부까지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PolyflexTM또는 기억플라스틱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lip is an elastic body.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ary bridge is an elastic body. In one embodiment, the fitting extends to the inclined end. In another embodiment, the fitting extends to the spherical end. In one embodiment, the clip is Polyflex or memory plastic.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렌즈의 상기 전방면에 위치하며 상기 아암은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렌즈가장자리에 접하여 후방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렌즈의 상기 후방면에 위치하며 상기 아암은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렌즈가장자리에 접하여 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끼움부까지 후방으로 연장된다.In one embodiment, the base is located at the front face of the lens and the arm extends rearwardly in contact with the lens edge from the base. In another embodiment, the base is located on the rear face of the lens and the arm extends forward from the base to the lens edge and extends rearward from the base to the fitting.

본 발명은 또한 (a) 두 개의 보조렌즈와, (b) 각 렌즈의 구멍과, (c) 상기 보조렌즈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보조렌즈를 서로 연결하는 보조브릿지와, (d) 상기 보조렌즈를 주안경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와, (e) 상기 보조브릿지로부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브릿지에 고정하기 위한 렌즈리벳으로 구성되는 보조안경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two auxiliary lenses, (b) holes in each lens, (c) an auxiliary bridge extending between the auxiliary lenses and connecting the auxiliary lenses to each other, and (d) the auxiliary lenses. And an attachment hole for attaching to the main eyeglass, and (e) a lens rivet extending from the auxiliary bridge through the hole to fix the lens to the bridg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리벳은 상기 보조브릿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릿지는 PolyflexTM플라스틱 또는 기억플라스틱이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리벳은 구형 단부로 끝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상기 브릿지에 고정하기 위해 각 렌즈에 적어도 두 개의 구멍과 상기 각 보조브릿지로부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렌즈리벳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상기 렌즈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클립으로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lens rivet extends rearward from the auxiliary bridge. In one embodiment, the secondary bridge is a Polyflex plastic or memory plastic. In another embodiment, the lens rivet ends with a spherical end. In another embodiment, each lens has at least two holes in each lens and at least two lens rivets extending through the holes from each auxiliary bridge to secure the lens to the bridge. In one embodiment, the attachment consists of a clip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en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주안경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클립을 기울이거나 개방시키는 고생 없이 보조안경을 주안경에 끼우고 제거할 수 있게 된, 주안경에 보조안경을 부착하기 위한 단순하고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and effective means for attaching eyeglasses to the eyeglasses, which enables the user to insert and remove the eyeglasses to the eyeglasses without the trouble of tilting or opening the clip to surround the edge of the eyeglasses.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element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안경(20)은 메인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프레임은 착용자의 시각적 결함에 맞출 수 있게 된, 주렌즈에 대한 지지구조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auxiliary glasse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achably attach to the main frame. The mainframe provides a support structure for the main lens, which makes it possible to fit the wearer's visual defects.

보조렌즈(50)의 한 용도는 일광 및 그 외의 시력손상요소에 대하여 착용자를 보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조렌즈(50)는 색을 가질 수도 있으며, 또한 보조렌즈는 자외선이나 그 외의 특정 단파광을 필터링하기 위한 재료나 코팅을 가질 수 있다.One use of the auxiliary lens 50 is to protect the wearer against sunlight and other visual impairment elements. Therefore, the auxiliary lens 50 may have a color, and the auxiliary lens may have a material or a coating for filtering ultraviolet rays or other specific shortwave light.

보조안경(20)은 두 개의 보조렌즈(50)와, 이 보조렌즈사이에 연장되어 연결하는 보조브릿지(60)를 갖는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조브릿지(60)는 구형상부(74)로 끝나는 렌즈리벳(72)으로 구성되는 보조렌즈(50)용 유지수단을 제공한다. 조립되었을 때, 렌즈리벳(72)은 렌즈(50)의 브릿지리벳구멍(52)을 통하여 삽입되도록 수평하게 연장된다. 구형상부(74)는 렌즈(50)를 보조브릿지(60)에 조립하는 중에 제공하거나 또는 조립시에 형성하거나 일부 변형시켜 부착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The auxiliary glasses 20 have two auxiliary lenses 50 and an auxiliary bridge 60 extending and connected between the auxiliary lenses. As can be seen in FIGS. 1, 2, 3 and 4, the auxiliary bridge 60 provides a holding means for the auxiliary lens 50, which is composed of lens rivets 72 ending with a spherical portion 74. . When assembled, the lens rivet 72 extends horizontally so as to be inserted through the bridge rivet hole 52 of the lens 50. The spherical portion 74 may be provided during the assembly of the lens 50 to the auxiliary bridge 60, or may be formed or partially modified at the time of assembly to increase attachment stability.

보조브릿지(60) 및 보조렌즈(50)의 조립시에 렌즈리벳(72)은 각 렌즈의 브릿지리벳구멍을 통해 삽입될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렌즈의 두 개의 브릿지리벳구멍(52)을 통해 두 개의 렌즈리벳이 연장된다. 이렇게 하면 조립안정성이 부여되며 브릿지에 대한 렌즈의 수직회전이 방지된다.When assembling the auxiliary bridge 60 and the auxiliary lens 50, the lens rivet 72 will be inserted through the bridge rivet hole of each len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lens rivets extend through the two bridge rivet holes 52 of each lens. This provides assembly stability and prevents vertical rotation of the lens relative to the bridge.

PolyflexTM또는 기억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렌즈(50)의 손상의 위험 없이 렌즈리벳(72)을 삽입할 수도 있다. 구형상부(74)는 변형되지 않았을 때 구멍(52)보다 직경이 크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런 재료를 사용하면 구형상부(74)의 일시변형에 의해 구형상부(74)가 렌즈의 구멍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구멍을 통해 삽입되었을 때 구형상부(74)는 플라스틱의 기억특성에 의해 본래의 직경을 복원하게 되며, 따라서 렌즈(50)를 보조브릿지(60)에 간섭결합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부착안전성은 조립후에 접착제나 그 외의 고정제로 구형상부(74)를 처리하거나, 구형상부(74)를 영구히 변형시키기에 충분한 압축력을 가하여 브릿지리벳구멍(52)의 인접주위의 후면 또는 렌즈(50)에 대하여 펼침으로써 증대시킬 수 있다.By using Polyflex or memory plastic, the lens rivet 72 can be inserted without the risk of damaging the lens 50. The spherical portion 74 is configured to b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hole 52 when not deformed. Using such a material also allows the spherical portion 74 to be inserted through the aperture of the lens due to the temporary deformation of the spherical portion 74. When inserted through the hole, the spherical portion 74 restores the original diameter due to the memory characteristic of the plastic, and thus fixes the lens 50 to the auxiliary bridge 60 by interference coupling. Attachment safety is the back surface or lens 50 adjacent to the bridge rivet hole 52 by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sufficient to treat the spherical portion 74 with an adhesive or other fixative after assembly, or to permanently deform the spherical portion 74. It can be increased by unfolding about.

따라서 보조브릿지(60)는 보조렌즈용의 전체 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보조렌즈를 서로 부착하기 위한 경량의 수단을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비용 및 중량이 절감되며, 보조렌즈의 외형이 보다 아름답게 된다.Therefore, the auxiliary bridge 60 provides a lightweight means for attaching the auxiliary lenses to each other without requiring the entire frame for the auxiliary lenses. This reduces cost and weight and makes the appearance of the auxiliary lens more beautiful.

보조안경(20)은 조립되었을 때 일체로 된 구성부가 된다. 보조렌즈(50)는 양측의 메인렌즈를 덮도록 구성된다. 보조렌즈(50)의 외형은 일반적으로 메인렌즈의 외형과 일치할 것이다.The auxiliary eyeglasses 20 become an integral component when assembled. The auxiliary lens 50 is configured to cover the main lens on both sides. The appearance of the auxiliary lens 50 will generally match that of the main lens.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보조안경(20)은 각 렌즈(50)의 상부 및 바닥부근에 위치하는 클립(40)을 구비한다. 앞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립(40)은 도 6의 클립(41)과 교체될 수도 있다. 도 2, 도 5 및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클립(40 또는 41)은 렌즈(50)의 가장자리(55)를 둘러싸며, 렌즈(5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auxiliary glasses 20 has a clip 40 located near the top and bottom of each lens 50. In another embodiment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uture, the clip 40 may be replaced with the clip 41 of FIG. As can be seen in FIGS. 2, 5 and 6, the clip 40 or 41 surrounds the edge 55 of the lens 50 and extends rearward from the lens 50.

도 5는 본 발명의 클립(40)의 제 1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클립(40)은 보조렌즈(50)의 전방면(56)에 접하여 위치하는 기부(42)를 구비한다. 기부(42)로부터 후방으로 아암(49)이 연장된다. 아암(49)은 렌즈(50)의 가장자리(55)에 접하여 위치한다. 아암(49)은 가장자리(55)를 지나서 후방으로 계속 연장되어 아암(49)은 엘보우 또는 반아치형상으로 중간으로(즉, 브릿지(60)측으로) 굽어지는 끼움부(48)를 형성한다.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끼움부(48)는 구형의 단부(47)로 끝난다. 클립리벳(44)은 렌즈(50)의 클립구멍(54)을 통해 기부(4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구멍(54)을 통해 연장된 후 클립리벳(44)은 구형의단부(46)로 마무리되는데, 이 구형단부는 클립(40)을 렌즈(50)에 부착한 상태를 안전하게 한다. 이 메인렌즈들은 클립(40)의 세부를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다.5 shows a side 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clip 4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p 40 has a base 42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front face 56 of the auxiliary lens 50. Arm 49 extends rearward from base 42. Arm 49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edge 55 of lens 50. The arm 49 continues to extend backwards beyond the edge 55 so that the arm 49 forms a fitting 48 that bends in an elbow or half-arch shape in the middle (ie, towards the bridge 6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fitting 48 ends with a spherical end 47. The clip rivet 44 extends rearward from the base 42 through the clip hole 54 of the lens 50. After extending through the hole 54, the clip rivet 44 is finished with a spherical end 46, which secures the state in which the clip 40 is attached to the lens 50. These main lenses are not shown to better show the details of the clip 40.

도 6은 본 발명의 클립(41)의 제 2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클립(41)은 보조렌즈(50)의 후방면(58)에 접하여 위치하는 기부(42)를 구비한다. 아암(49)은 전방으로 연장되어 렌즈(50)의 가장자리(55)에 접하여 위치한다. 또한 아암(49)은 기부(4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끼움부(48)에 이르게 되는데, 여기서 아암은 엘보우 또는 반아치형상으로 중간으로(즉, 브릿지(60)측으로) 굽어진다. 일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 끼움부(48)는 구형단부로 끝난다. 클립리벳(44)은 기부(42)로부터 렌즈(50)의 클립구멍(54)을 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된다. 구멍(54)을 통해 연장된 후 클립리벳(44)은 구형단부로 끝나는데, 이 구형단부는 클립(41)이 렌즈(50)에 안전하게 부착되어있게 한다. 메인렌즈들은 클립(41)을 보다 자세히 나타내기 위해 도시하지 않았다.6 show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lip 4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p 41 has a base 42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58 of the auxiliary lens 50. Arm 49 extends forward and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edge 55 of lens 50. The arm 49 also extends rearward from the base 42 to reach the fitting 48, where the arm is bent in the middle of the elbow or half arch shape (ie towards the bridge 60). In one embodiment (not shown), the fitting 48 ends with a spherical end. The clip rivet 44 extends forward from the base 42 through the clip hole 54 of the lens 50. After extending through the hole 54, the clip rivet 44 ends with a spherical end, which allows the clip 41 to be securely attached to the lens 50. The main lenses are not shown to show the clip 41 in more detail.

사용시, 보조안경(20)은 주안경의 면 위에 가압된다. 끼움부(48)가 주안경의 면과 만날 때 변형되어 보조렌즈(50)측으로 휘어진다. 동시에 아암(49)이 끼움부(48)의 이동에 의해 변형된다. 클립(40)과 주안경 사이의 접촉점에서의 끼움부(48)의 만곡 때문에 아암(49)은 측방으로(즉, 렌즈(50)로부터 외측으로) 변형된다. 아암(49)이 이렇게 변형되면 끼움부(48)를 측방으로 운반시켜 주안경의 외측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둘러싸게 한다. 보조안경(20)이 주안경에 충분히 근접하게 가압되었을 때, 끼움부(48)는 소성기억특성에 의해 그 본래의 형상으로 변형되어 끼움부(48)가 주안경의 후방면에 위치하게 한다. 따라서, 주안경은 끼움부(48)와 보조안경(20)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 것은 각 클립에서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클립들은 집단으로 보조안경을 주안경에 고정하게 된다.In use, the auxiliary eyeglasses 20 are pressed onto the face of the goggles. When the fitting portion 48 meets the surface of the goggles, it is deformed and bent toward the auxiliary lens 50. At the same time, the arm 49 is de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fitting portion 48. Because of the curvature of the fitting 48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clip 40 and the goggles, the arm 49 deforms laterally (ie, out of the lens 50). When the arm 49 is deformed in this way, the fitting portion 48 is transported laterally so that the arm 49 is located at the outer edge of the goggles. When the auxiliary eyeglasses 20 are pressed close enough to the main eyeglasses, the fitting part 48 is deformed to its original shape by the plastic memory characteristic so that the fitting part 48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eyeglasses. Therefore, the goggles are sandwiched between the fitting portion 48 and the auxiliary glasses 20. This is done at about the same time on each clip, so the clips collectively fix the secondary glasses to the main glasses.

사용자가 끼움부(48)를 눌러서 주안경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노력할 필요 없이 보조안경(20)이 주안경에 끼워지고 제거될 수 있을 정도로 끼움부(48)의 만곡 및 길이가 충분히 작다면 끼움부(48)가 다른 만곡각도를 갖는 것도 적합하다.If the curvature and length of the fitting 48 are small enough that the secondary eyeglasses 20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eyeglasses without the user having to press the fitting portion 48 to surround the edge of the goggles, the fitment portion It is also suitable that 48 has a different angle of curvature.

클립(40)의 사용에 있어서, 아암(48)이 렌즈(50)의 가장자리(55)와 측면에서 간섭결합하면 렌즈의 면을 따라서 움직이는 것에 대한 부착안전성이 향상하는 한편, 기부(42)가 전방면(56)과 측면에서 간섭결합하면 렌즈의 면에 수직하게 움직이는 것에 대한 부착안정성이 향상한다.In use of the clip 40, the arm 48 interfering with the edge 55 of the lens 50 at the side improves the attachment safety against movement along the lens surface, while the base 42 is moved forward. Interfering coupling from the side 56 to the side improves the attachment stability against movement perpendicular to the face of the lens.

클립(41)의 사용에 있어서, 아암(48)이 렌즈(50)의 가장자리(55)와 측면에서 간섭결합하면 렌즈의 면을 따라서 움직이는 것에 대한 부착안전성이 향상하는 한편, 기부(42)가 전방면(58)과 측면에서 간섭결합하면 렌즈의 면에 수직하게 움직이는 것에 대한 부착안정성이 향상한다.In the use of the clip 41, the arm 48 interfering with the edge 55 of the lens 50 at the side improves the attachment safety against movement along the lens surface, while the base 42 is moved forward. Interfering coupling from the side 58 to the side improves the attachment stability against movement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lens.

조립되었을 때, 클립(40 또는 41)은 주안경과 타이트하게 결합하여 보조브릿지가 주안경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클립시스템의 기계적 클램핑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움직임에 대하여 특별한 결합안정성을 제공한다. 이런 타이트한 결합은 본 발명의 조립된 장치를 착용자가 심한 활동 중에 사용하는 경우에 브릿지가 그 수직축 및 수평축에서 벗어나 회전하여 덜커덕거리게 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조안경이 우연히 분리되는 위험이 상당히 줄어든다. 다른공지의 장치를 떨어지게 하는 충돌이라도 앞에서 설명한 간섭결합 때문에 보조안경을 주안경에서 분리시키지는 않을 것이다.When assembled, the clip 40 or 41 engages tightly with the goggles to prevent the secondary bridge from peeling off the goggles. The mechanical clamping of the clip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pecial mating stability for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This tight coupling prevents the bridge from spinning and rattles off its vertical and horizontal axes when the wearer's assembled device is used during heavy activity. In addition, the risk of accidental detachment of the secondary glasses is significantly reduced. Collisions that cause other known devices to fall apart will not separate the secondary eyeglasses from the main eyeglasses because of the interference coupling described above.

클립(40 또는 41)은 소성기억특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클립(40 또는 41)은 Polyflex(한국, 인천시의 현대광학 제) 또는 메모리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메모리플라스틱과 PolyflexTM은 본래의 형상을 잃지 않고서 휘어지거나 신축될 수 있는 경량플라스틱이다. PolyflexTM은 이런 점에서 특히 탄력적이다. 이런 재료를 사용하면 후크와 브릿지의 형상변형 없이 그리고 부착안정성의 저하 없이 클립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런 재료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클립(40 또는 41)의 가장자리에 긁히거나 상처가 날 기회를 줄인다. 이런 재료는 보조브릿지(60)에도 특히 적합하다.The clip 40 or 41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plastic memory characteristic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p 40 or 41 is made of Polyflex (manufactured by Hyundai Optics, Incheon, Korea) or memory plastic. Memoryplastics and Polyflex are lightweight plastics that can be bent or stretched without losing their original shape. Polyflex is particularly elastic in this respect. With this material, the clips can be used repeatedly without deformation of the hooks and bridges and without deterioration of the attachment stability. In addition, the use of such materials reduces the chance of a user scratching or scratching the edge of the clip 40 or 41. This material is also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secondary bridge 60.

클립(40 또는 41)의 단부(38)는 바람직하게는 보조안경을 제거하거나 교체하는 동안에 끼움부(48)가 용이하게 주안경을 둘러싸고 클립의 단부(38)에 의해 스스로 긁힐 가능성을 줄이도록 경사면처리된다.The end 38 of the clip 40 or 41 is preferably inclined so that the fitting 48 easily surrounds the goggles and reduces the chance of scratching itself by the end 38 of the clip during the 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accessory eyeglasses. Is processed.

본 발명의 고정장치가 결합되었을 때, 보조렌즈(50)가 메인렌즈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최소량의 빛이 각 렌즈사이로 들어간다.When th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since the auxiliary lens 5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main lens, a minimum amount of light enters between the lenses.

클립(40 또는 41)과 렌즈리벳(72)이 외측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보조브릿지에는 약화의 원인이 되는 오목부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고정장치에 오목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프레임 또는 브릿지의 휨 또는 굽힘 없이 그리고 주안경에 대하여 어려운 각도로 보조안경(20)을 결합하지 않고서도 주안경에서 용이하게 제거되고 교체될 수 있는 보조안경이 제공된다.Since the clip 40 or 41 and the lens rivet 72 protrude outward, the auxiliary bridge does not need a recess that causes weakening. In addition, by not using recesses in the fixture, the secondary eyeglasses can be easily removed and replaced from the main eyeglasses without the need to bend or bend the frame or bridge, and without combining the secondary eyeglasses 20 at a difficult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eyeglasses. This is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은 보조안경의 제거 및 교체의 용이성을 해치지 않고서 보조안경을 주안경에 부착하는 고정방법을 제공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보조안경의 제거 및 교체는 한 손으로 그리고 다루기 힘든 결합 및 분리 각도로 행할 수 있다.Therefor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ing method for attaching auxiliary glasses to the main glasses without impairing the ease of removal and replacement of the auxiliary glasses. Removal and replacement of these eyeglasses can be done with one hand and with difficult handling and disengagement angles.

공지된 다른 수단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을 사용하면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먼저, 장치를 제조함에 있어서 보조브릿지를 소망의 재료로 캐스팅한 후 조립준비를 한다. 구멍, 예를 들어 자석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만들기 위한 드릴링 또는 천공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자석이나 그 외의 부가의 부품들이 필요하지 않으며 부착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제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부착장치는 "단일체"의 디자인이므로 이 장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그리고 온도 및 습도 변화의 기후영향으로 헐렁해지거나 빠지지 않을 것이다. 보조브릿지는 PolyflexTM으로 만들 수 있다. 기억플라스틱 및 PolyflexTM은 본래의 형상을 잃지 않고 휘어지거나 신축될 수 있는 경량 플라스틱이다.In contrast to other known means,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ignificant advantages. First, in manufacturing the device, the auxiliary bridge is cast from a desired material and then ready for assembly. No drilling or drilling is required to make holes, for example holes for inserting magnets. No magnets or other additional parts are needed, and no fixatives are needed to install the means for fixing. Since the attach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one-piece" design, the device will not loose or fall out over time and with the climate effect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s. The secondary bridge can be made of Polyflex . Memory Plastics and Polyflex are lightweight plastics that can be bent or stretched without losing their original shape.

본 발명의 부착수단의 다른 이점은 보조장치를 현존의 주안경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안경을 특별히 개조할 필요가 없다. 보조렌즈는 소망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브릿지 및 클립은 현존의 어떤 주안경에도 적합한 보조안경을 제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Another advantage of the attachm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ccessory can be used with existing goggles. There is no need to specially modify the goggles. The auxiliary lens can be configured in a desired shape, and the bridges and clip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make auxiliary glasses suitable for any existing goggles.

보조브릿지를 보조렌즈에 부착하는 본 발명의 수단의 다른 이점은 보조렌즈에 렌즈프레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보조안경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보조안경의 제조비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Another advantage of the inventive means of attaching the auxiliary bridge to the auxiliary lens is that the lens frame is not required for the auxiliary lens,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auxiliary glasses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uxiliary glasses.

도면을 참조로 한 상기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특성에 있어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수정 및 변경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렌즈(50)는 시력의 향상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렌즈(50)는 확대경과 동일한 방식으로 만들어져서 메인렌즈에 끼워질 수 있는데, 이 렌즈는 처방렌즈이거나 아니라도 좋다. 착용자의 시력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보조렌즈(50)는 작거나 복잡한 상세부를 확대하여 보다 잘 볼 수 있게 할 것이다. 또한 보조렌즈(50)는 렌즈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또는 오락의 목적으로 착용자를 보는 사람이 보게 될 장식을 가질 수도 있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may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natur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auxiliary lens 50 may also be used to improve vision. In this case, the auxiliary lens 50 may be made in the same manner as the magnifying glass and fitted to the main lens, which may or may not be a prescription lens. To reduce fatigue of the wearer's vision, the auxiliary lens 50 will magnify small or complex details for better viewing. The auxiliary lens 50 may also have a decoration that will be seen by a person viewing the wearer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lens or for entertainment purposes.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또한 메인렌즈를 갖지 않는 주안경도 꾀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사용자가 보조렌즈(50)를 제거하고 교체하기를 바라지만 시력에 도움이 되는 메인렌즈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 유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는 용접중에 매우 어두운 렌즈가 필요하지만 용접작업 사이에는 렌즈가 없는 것이 바람직한 용접환경에 유용할 것이다. 다른 예로서 읽는 것이 어려운 시각적 결함을 갖고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읽을 때를 제외하고는 렌즈가 없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ntemplates eye glasses without a main lens. This embodiment would be useful if the user wishes to remove and replace the auxiliary lens 50 but does not need a main lens to aid vision. For example, this embodiment would be useful in welding environments where a very dark lens is required during welding but no lens between welding operations is desired. As another example, a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s that are difficult to read would preferably have no lens except when reading.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렌즈(50)에 대한 두 개의 클립(40 또는 41)은 조립된 장치의 수평움직임을 방지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서는 각 렌즈(50)에 두 개이상의 클립(40 또는 41)을 부여함으로써 수평방향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clips 40 or 41 for each lens 50 prevent horizontal movement of the assembled device.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not shown), two or more clips 40 or 41 may be attached to each lens 50 to prevent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여기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만을 도시하였으며 그 변경은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참뜻은 상기 제시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 법적 등가물 내에 있는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only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herein and that modification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tru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legal equivalents rather than the embodiments set forth above.

Claims (15)

한 쌍의 보조렌즈(50)와, 보조렌즈의 상,하측으로 끼움체결되는 클립(40)과, 보조렌즈를 일정간격으로 이격 고정하기 위한 보조브릿지(60)로 이루어진 공지의 클립식 보조안경(20)에 있어서,Known clip-on eyeglasses (20) consisting of a pair of auxiliary lenses (50), clips (40)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uxiliary lens, and auxiliary bridges (60) for fixing the auxiliary lenses at regular intervals. ), 상기 보조브릿지(60)와 클립(40)을 신축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PolyflexTM Polyflex TM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flexibility to the secondary bridge 60 and the clip 40 플라스틱 또는 형상기억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되, 렌즈의 브릿지리벳구멍(52)과 클립구멍(54)에 원터치로 끼움 결합되는 렌즈리벳(42), 클립리벳(44)을 각기 보조브릿지와 클립의 몸체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하고,The injection molding is made of plastic or shape memory plastic, and the lens rivet 42 and the clip rivet 44, which are fitted in one-touch to the bridge rivet hole 52 and the clip hole 54 of the lens, respectively, from the body of the secondary bridge and the clip. Integrally formed, 엘보우 또는 반아치형상으로 돌출하되, 보조렌즈를 기준한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끼움부(48)를 클립(40)의 몸체에 일체로 성형하며,Protrudes in the elbow or half arch shape, integrally molded in the body of the clip 40, the fitting portion 48 extending to the rear side relative to the auxiliary lens 탄성적인 움직임을 갖는 끼움부(48)의 일단으로 곡선의 구형단부(47)를 형성하고, 구형단부의 끝을 구형(38)으로 마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보조렌즈.Clip-shaped auxiliary len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spherical end portion 47 is formed with one end of the fitting portion 48 having elastic movement, and the end of the spherical end portion is closed with a spherical shape 38. 제 1항에 있어서, 보조브릿지(60)와 끼움 체결된 한 쌍의 보조렌즈(5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보조브릿지의 렌즈리벳(72)과 렌즈의 브릿지리벳구멍(52)을 수직 또는 수평선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복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보조렌즈.The lens rivet 72 of the auxiliary bridge and the bridge rivet hole 52 of the lens are vertically or horizontally positioned so that the pair of auxiliary lenses 50 fitted to the auxiliary bridge 60 cannot rotate. Clip type auxiliary len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least two or mo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1-0070476A 2001-11-13 2001-11-13 clip-on auxiliary lenses KR1004639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476A KR100463927B1 (en) 2001-11-13 2001-11-13 clip-on auxiliary len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476A KR100463927B1 (en) 2001-11-13 2001-11-13 clip-on auxiliary len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529A KR20030039529A (en) 2003-05-22
KR100463927B1 true KR100463927B1 (en) 2005-01-03

Family

ID=3741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476A KR100463927B1 (en) 2001-11-13 2001-11-13 clip-on auxiliary len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9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02Y1 (en) 2010-11-22 2013-03-06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Clip assembly for sports gogg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8374A (en) * 1995-10-25 1997-05-27 Meiga Gankyo Kigyo Yugenkoshi Glass for correction or rectification used by being mounted on glasses and jig for its assembly
JPH09269466A (en) * 1996-03-29 1997-10-14 Horikawa:Kk Light shielding implement to be mounted at spectacles and parts constituting the same
US5889574A (en) * 1992-12-11 1999-03-30 Gandl-Schiller; Elisabeth Clip-on lens accessory for spectacles
US6007197A (en) * 1997-03-06 1999-12-28 Locatelli; Daniel J. Hook for removably securing a monocular screen to an eyeglass lens
JP2000047148A (en) * 1998-07-23 2000-02-18 Lak Cheong Anchor metal for optical lens fix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9574A (en) * 1992-12-11 1999-03-30 Gandl-Schiller; Elisabeth Clip-on lens accessory for spectacles
JPH09138374A (en) * 1995-10-25 1997-05-27 Meiga Gankyo Kigyo Yugenkoshi Glass for correction or rectification used by being mounted on glasses and jig for its assembly
JPH09269466A (en) * 1996-03-29 1997-10-14 Horikawa:Kk Light shielding implement to be mounted at spectacles and parts constituting the same
US6007197A (en) * 1997-03-06 1999-12-28 Locatelli; Daniel J. Hook for removably securing a monocular screen to an eyeglass lens
JP2000047148A (en) * 1998-07-23 2000-02-18 Lak Cheong Anchor metal for optical lens fix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02Y1 (en) 2010-11-22 2013-03-06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Clip assembly for sports gogg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529A (en)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4810B1 (en) Bridge for attaching auxiliary lenses
US6341864B1 (en) Clip-on auxiliary lenses utilizing an elastic jaw in the shape of half arch
US7241007B2 (en) Convertible eyewear
JP3073737B2 (en) Clasp for fixing optical lens
JPH10239642A (en) Spectacles having detachable protective shield
US5710614A (en) Auxiliary clip-on frames for spectacles
JP2001513912A (en) Monocular shield for eyeglass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60176444A1 (en) Frameless eyeglass assembly with auxiliary lens attachment
KR100463927B1 (en) clip-on auxiliary lenses
JP2001305493A (en) Front hanging spectacles and mounting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to spectacle body
US6557997B1 (en) Clip-on style lenses and method of assembly
US6776481B2 (en) Clip on visor
JPH01274112A (en) Apparatus for fixing solar beam surface on spectacles frame detachably
AU776388B2 (en) Glasses
JPH10221652A (en) Spectacles protecting cover
KR100463928B1 (en) Bridgc for support lens
CN111983818A (en) Glasses and frame thereof
US20080266516A1 (en) Spectacles
JPS6220528B2 (en)
KR200427947Y1 (en) Nose pendant-support of glasses
WO2020202566A1 (en) Front hanging spectacles and mounting member
US7246899B2 (en) Detachable shelter frame for spectacles
IT1282540B1 (en) Structure for rimless spectacles, fashioned from wire and bent so as to support pair of lenses - has hinge mount with two parallel and rectilinear shanks insertable obliquely through corresponding lens, and two coiled rings interconnected by curved member
IT1282538B1 (en) Structure for rimless spectacles, fashioned from wire and bent so as to support pair of lenses - has hinge mount with two parallel and rectilinear shanks insertable obliquely through corresponding lens, and two coiled rings interconnected by curved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