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796B1 - 클립부착구조 - Google Patents

클립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796B1
KR100463796B1 KR10-2002-0070102A KR20020070102A KR100463796B1 KR 100463796 B1 KR100463796 B1 KR 100463796B1 KR 20020070102 A KR20020070102 A KR 20020070102A KR 100463796 B1 KR100463796 B1 KR 10046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outer cylinder
base
cutou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731A (ko
Inventor
오다카타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03004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3Article holder attachable to apparel or body
    • Y10T24/1321Pencil
    • Y10T24/1324Clasp attach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10T403/602Biased catch or latch by separate spring

Landscapes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클립의 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기 좋게 부착시킬 수 있는 클립부착구조를 제공함과 아울러 클립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외통(12)이 뒤쪽외통(20)과 이 뒤쪽외통(20)의 뒤쪽에 연결되는 캡(22)을 갖는 한편, 클립(14)은 상기 외통(12)에 고정되는 링모양의 기부(14a)와 이 기부(14a)로부터 연장되어 뻗은 연결부(14b) 및 이 연결부(14b)에서 뒤쪽외통(20)과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된 클립본체(14c)를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뒤쪽외통(20)의 후단부에는 절곡부(20a)가 형성되고서 이 절곡부(20a)에는 상기 연통부(14b)가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절결부(20b)와 이 절결부(20b)와 약 180°로 떨어져 서로 마주보는 제2절결부(20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14)의 기부(14a)는 절결부(20b)와 제2절결부(20c)를 잇는 뒤끝 개구부(20d)의 직경방향 부분을 통과해서 절곡부(20b)를 지나 뒤쪽외통(20)의 절곡부(20a) 보다 안쪽으로 삽입된다. 또, 상기 연결부(14b)는 뒤쪽으로 돌출하면서 만곡된 형상을 하고서 그 일부가 캡(22)의 끝면에 닿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클립부착구조 {Structure for fixing a clip}
본 발명은 필기구 등의 외통에 클립을 부착하는 클립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기 좋게 클립을 부착시킬 수 있는 클립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클립부착구조로서는 도 14에 도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도 14에 도시된 예에서는 외통(그 앞부분은 생략함)이 제1외통(52)과 이 제1외통(52)의 위쪽에서 그 앞끝이 제1외통(52) 내로 삽입되는 제2외통(54)으로 이루어져, 제2외통(54)의 앞부분에 형성된 수나사부(54a)가 제1외통(52) 내에 형성된 암나사부(52a)와 나사결합됨으로써 제1외통(52)의 뒤쪽에 제2외통(54)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클립(56)은 외통(50)에 고정되는 링모양의 기부(56a)와 이 기부(56a)에서 연장되어 뻗은 연결부(56b) 및 외통(50)과 대략 평행하게 뻗은 클립본체(56c)를 갖도록 되어 있다. 클립(56)의 링모양 기부(56a)를 상기 제2외통(54)의 앞부분이 관통해서 끼워져 이 앞부분의 수나사부(54a)가 제1외통(52) 내에 형성된 암나사부(52a)와 나사결합되면, 링모양 기부(56a)가 제2외통(54)의 뒷부분과 제1외통(52)의 후단부 사이에 끼워져 클립이 부착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클립(56)의 기부(56a)가 밖으로 보여지게 됨으로써 보기가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클립의 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기 좋게 클립을 부착할 수 있는 클립부착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부착구조에 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서의 뒤쪽외통의 연결쪽 단부(후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 도 6d는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부착순서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부착구조에 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제2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도 7의 9-9선 단면도,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
도 11은, 제2실시예에서의 뒤쪽외통의 연결쪽 단부(후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a ~ 도 12d는,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부착순서를 차례로 나타낸 도면,
도 13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종래의 클립부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기구 등의 외통에 클립을 부착시키는 클립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통이 제1외통과 이 제1외통의 뒤쪽에 연결되는 제2외통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클립은 상기 외통에 고정되는 링모양의 기부(基部)와 이 기부에서 연장되어 뻗은 연결부 및 이 연결부에서 상기 외통과 대략 평행하게 뻗은 클립본체로 이루어지고서, 상기 제1외통과 제2외통 중 어느 한쪽이 다른쪽과 연결되는 쪽 단부(端部)가 축선방향에서 약 90°로 절곡(折曲)되어 내경방향으로 뻗은 절곡부를 이루어, 이 절곡부에 의해 제1외통과 제2외통 중 어느 한쪽의 연결쪽 개구부를 에워싸이게 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절결부(切缺部)가 형성되어 이 절결부를 통과하는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길이가 상기 클립의 링모양 기부를 그 옆쪽에서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 최소길이 이상으로 되고, 절결부를 통과하지 않은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길이가 상기 클립의 링모양 기부를 그 옆쪽에서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의 최대길이 이하로 되며, 상기 절결부를 통과하는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부분을 클립모양 기부가 통과해서 상기 제1외통과 제2외통 중 어느 한쪽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어서 절곡부를 통과한 클립의 기부가 제1외통과 제2외통 중 어느 한쪽의 내부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클립의 기부가 제1외통과 제2외통 중 어느 한쪽의 절곡부를 통과해서 그 내부에 자리를 잡기 때문에, 클립의 기부가 밖에서 볼 수가 없어 보기가 좋아지게 된다. 또, 제1외통과 제2외통 중 어느 한쪽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이 좁혀지게 된다. 그러나, 절결부를 통과하는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길이가 클립의 링모양 기부를 그 옆쪽에서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 최소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절결부를 통과하는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부분을 클립의 기부가 횡방향을 이루고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클립을 부착할 때 클립의 기부가 절곡부를 통과해서 제1외통과 제2외통 중 어느 한쪽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클립의 기부가 일단 통과해서 그 횡방향을 향하도록 된 것이 해제되면, 절결부를 통과하지 않은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길이가 상기 클립의 링모양 기부를 그 측방에서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 최대길이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쪽 개구부를 클립의 기부가 절곡부를 통과할 수가 없게 됨으로써, 클립의 기부가 제1외통과 제2외통 중 어느 한쪽의 내부에 확실하게 자리잡을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결부가 상기 절곡부에 원주방향으로 약 180°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2개가 형성되고서, 이들 2개의 절결부를 잇는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길이가 상기 클립의 링모양 기부를 그 측면에서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 최소길이 이상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곡부에 2개의 절결부가 형성되고서 이들 2개의 절결부를 잇는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길이가 클립의 링모양 기부의 옆부분을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 최소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을 부착할 때 2개의 절결부를 통과하는 연결쪽 개구부 부분을 클립의 기부가 옆쪽을 향하도록 해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2개의 절결부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클립의 연결부가 관통해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의 링모양 기부의 바깥윤곽이, 그 일부의 단부가 정원(正圓)에서 일부가 제거된 변형원형모양을 하고서, 상기 절결부를 통과하는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길이가, 상기 클립의 링모양 기부를 그 옆쪽에서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 최소길이 이상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곡부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클립의 기부의 일부 단부가 정원에서 일부가 제거된 변형된 원형모양을 하고 있고, 상기 절결부를 통과하는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길이가 클립의 링모양 기부의 옆부분을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 최소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의 부착작업을 할 때 그 절결부를 통과하는 연결쪽 개구부 부분을 클립의 기부가 횡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립의 상기 연결부는 뒤쪽으로 돌출하고서 만곡져,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제2외통에 닿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클립을 사용하기 위해 클립을 요동시켰을 때 연결부가 제2외통에 닿아있기 때문에 연결부 자체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또 연결부가 만곡형상을 하고 있게 됨으로써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클립이 부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필기구의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 필기구의 외통(12)에 클립(14)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외통(12)은 뒤쪽외통인 제1외통(20)과 이 제1외통(20)의 뒤쪽에 연결되는 캡으로 된 제2외통(22)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외통(20) 내에는 너트부재(24)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너트부재(24)는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외통(20)에 대해 고정되는 경우 또는 고정되지 않은 경우의 어느 경우로도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너트부재(24)를 제1외통(20)에 고정하는 대신 너트부재(24)를 제1외통과 일체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외통(22)을 이루는 캡은 그 앞부분의 지름이 좁혀져 제1외통(20) 내로 연장되어 너트부재(24)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22a)로 되어 있다. 또는, 제2외통(22)에 일체적으로 수나사부(22a)를 형성하는 대신 제2외통(22)과 별개의 부품으로 된 나사부품을 준비하여도 되고, 나사부품과 제2외통(22)이 나사식으로 접착되거나 일반적인 접착 또는 압입과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되어도 좋다.
상기 클립(14)은, 외통에 고정되는 링모양의 기부(14a)와 이 기부(14a)에서연장되어 뻗은 연결부(14b) 및 이 연결부(14b)로부터 제1외통(20)과 대략 평행하게 뻗은 클립본체(14c)를 갖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모양 기부(14a)의 바깥윤곽 및 그 기부(14a)의 중심구멍(14d)의 윤곽은 대략 정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부(14b)는 뒤쪽으로 돌출하고서 만곡되어진 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외통(20)의 제2외통(22)과 연결되는 쪽 후단부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경방향으로 90°절곡된 절곡부(20a)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 후단부의 절곡부(20a)를 제외한 내경은 상기 클립(14)의 링모양 기부(14a)의 바깥윤곽의 외경, 즉 링모양 기부(14a)를 옆쪽에서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 길이와 대략 같거나 그보다 약간 크도록 되어 있다. 이는 절곡부(20a)에 의해 에워싸인 제1외통(20)의 뒤끝 개구부(20d)의 내경보다도 클립(14)의 링모양 기부(14a)의 바깥윤곽의 외경 쪽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절곡부(20a)의 원주방향 소정의 위치에는 절곡되지 않고서 그 후단부의 원주면이 도려내어져 절결부(20b)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절결부(20b)는 상기 클립(14)의 연결부(14b)가 통과해서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원주방향에서 측정한 치수가 클립(14)의 연결부(14b)의 치수와 대략 같은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클립(14)의 연결부(14b)의 치수보다 너무 크지 않도록 한다. 또, 상기 절곡부(20a)의 절결부(20b)가 형성된 위치에 대해 대략 180°떨어져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는 절곡부(20a)의 일부가 절결된 제2절결부(20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부(20b)와 제2절결부(20c)를 잇는 뒤끝 개구부(20d)의 직경방향 길이는클립(14)의 링모양 기부(14a)의 바깥윤곽의 외경과 거의 같거나 그보다 조금 크게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클립부착구조에 있어서, 그 부착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클립(14)의 기부(14a)를 뒤쪽외통인 제1외통(20)의 절곡부(20a)로부터 제1외통(20) 내로 삽입한다. 단, 기부(14a)의 바깥윤곽의 외경은 절곡부(20a)를 제하고는 제1외통(20)의 내경과 대체로 같고, 절곡부(20a)에 의해 에워싸인 뒤끝 개구부(20d)의 내경보다는 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그대로는 기부(14a)를 절곡부(20a)를 넘어 제1외통(20) 내로 삽입할 수가 없게 된다. 그러나, 절결부(20b) 및 이 절결부(20b)에 마주보도록 제2절결부(20c)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절결부(20b)와 제2절결부(20c)를 잇는 직선의 크기가 기부(14a)의 바깥윤곽의 외경과 대체로 같거나 조금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기부(14a)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14)의 기부(14a)를 절곡부(20a)에 의해 에워싸인 제1외통(20)의 뒤끝 개구부(20d) 면에 대해 대략 수직이 되도록 하고서, 절결부(20b)와 제2절결부(20c)를 잇는 뒤끝 개구부(20d)의 직경방향 부분을 통과시켜 절곡부(20a)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부(14a)를 대체로 제1외통(20) 내로 완전히 삽입한 후 연결부(14b)가 절결부(20b)와 일치하도록 클립(14)을 회전시킨다(도 6b). 그리고, 클립(14)의 기부(14a)의 중심구멍(14d)이 제1외통(20) 뒤끝 개구부(20d)의 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클립(14)을 회전시킨다(도 6c). 이렇게해서 클립(14)의 기부(14a)가 제1외통(20)의 절곡부(20a)보다도 안쪽으로 들어가 수납되고, 클립(14)의 연결부(14b)는 절결부(20b)를 관통하도록 끼워져 클립(14)의 클립본체(14c)가 제1외통(20)과 대략 평행하게 뻗게 된다(도 6d).
다음에는 제1외통(20) 내에다 상기 너트부재(24)를 설치한다. 그리고, 제2외통(22)의 수나사부(22a)에 상기 제1외통(20)의 뒤끝 개구부(20d) 및 클립(14)의 기부(14a)의 중심구멍(14d)을 통과시켜 제1외통(20) 내에 설치된 너트부재(24)와 나사결합시킨다. 그에 따라 제2외통(22)이 제1외통(20)에 연결되고 클립(14)의 기부(14a)는 절곡부(20a)를 통해 빠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너트부재(24)와 절곡부(20a) 사이에 끼워져 고정시켜지게 된다. 또, 이 때 절결부(20a)를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클립(14)의 연결부(14b)의 뒤쪽으로 돌출하고서 만곡되어진 일부가 제2외통(22)의 뒷부분 끝면과 닿게 된다. 이렇게 연결부(14b)가 제2외통(22)에 닿는 부분은 될 수 있으면 연결부(14b)의 최후단에 위치하는 부분 또는 그 근방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해서 외통(12)에 부착된 클립(14)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14)의 기부(14a)가 제1외통(20) 내에 자리잡아 밖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우수해지게 된다. 또, 클립(14)을 사용하기 위해 클립본체(14c)를 요동시킨 경우, 클립의 연결부(14b)가 제2외통(22)인 캡에 닿아 있기 때문에 연결부(14a) 자체가 크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연결부(14b)가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클립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와 동시에 클립(14)의 복원력도 높여질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외통(20)의 제2외통(22)과 연결되는 쪽 후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절결부(20b) 외에 이 절결부(20b)가 형성된 위치에 대해 대략 180°떨어져 서로 마주보는 위치가 아닌 위치에, 제2절결부(20e)와 이 제2절결부(20e)가 형성된 위치에 대해 대략 180°떨어져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제3절결부(20f)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5의 예와 다르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클립(14)의 링모양 기부(14a)를 제2절결부(20e)와 제3절결부(20f)를 잇는 뒤끝 개구부(20d)의 직경방향 부분을 통과시켜 절곡부(20a)를 통과시키게 된다. 이렇게 해서 클립(14)의 링모양 기부(14a)를 제1외통(20) 내로 삽입할 수가 있어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과 효과가 얻어질 수 있게 된다.
도 7 ~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필기구의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 필기구의 외통(32)에 클립(34)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통(32)은 캡본체로 된 제1외통(40)과 이 제1외통(40)의 뒤쪽에 연결된 뒷마개(42)를 갖도록 되어 있다. 제1외통(40) 내에는 너트부재(44)가 설치되는 바, 이 너트부재(44)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외통(40)에 대해 고정된 경우와 고정되지 않은 경우의 어느 경우도 고려될 수가 있다. 또는, 상기 너트부재(44)를 제1외통(40)에 고정하는 대신 너트부재(44)를 제1외통과 일체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뒷마개(42)는 그 앞부분이 직경이 좁혀지고 또 제1외통(40) 내로 뻗은 너트부재(44)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42a)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 수나사부(42a)의 횡단면형상은 정원에서 2개의 마주보는 현(弦)과 이들 각현을 잇는 원호에 의해 에워싸인 부분을 제거한 변형된 원형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는, 뒷마개(42)에 일체적으로 수나사부(42a)를 형성하는 대신 뒷마개(42)와 별개의 부품으로 되는 나사부품을 준비하여도 좋고, 나사부품과 뒷마개(42)를 다시 별도로 나사식 결합이나 접착 또는 압입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클립(34)은 외통(32)에 고정된 링모양 기부(34a)와 이 기부(34a)에서 연장되어 뻗은 연결부(34b) 및 이 연결부(34b)로부터 제1외통(20)과 대략 평행하게 뻗은 클립본체(34c)를 갖도록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모양 기부(34a)의 바깥윤곽 및 그 기부(34a)의 중심구멍(34d)의 윤곽은 대략 정원형에서 2개의 서로 마주보는 현과 이들 각 현을 잇는 원호에 의해 에워싸인 부분(제거부)을 제거한 변형된 원형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부(34b)는 뒤쪽으로 돌출하고서 만곡진 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외통(40)의 뒷마개(42)와 연결되는 쪽 후단부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경방향으로 90°절곡된 절곡부(40a)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 후단부의 절곡부(40a)를 제외한 내경은 상기 클립(34)의 링모양 기부(34a)의 변형된 원형형상을 한 바깥윤곽의 외경의 최대치, 즉 제거부를 통과하지 않는 직경의 치수, 다시 말해 링모양 기부(34a)를 옆쪽에서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 최대길이와 대략 같거나 그보다 약간 크도록 되어 있다. 이는 절곡부(40a)에 의해 에워싸인 제1외통(40)의 뒤끝 개구부(40d)의 내경보다도 클립(34)의 링모양 기부(34a)의 바깥윤곽의 외경의 최대치 쪽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절곡부(40a)의 원주방향 소정 위치에는 절곡되지 않고서 그 후단부의 원주면이 도려내어진 절결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40b)는 상기 클립(34)의 연결부(34b)가 통과하여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원주방향에서 측정한 치수가 클립(34)의 연결부(34b)의 치수와 대략 같을 정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클립(34)의 연결부(34b)의 치수보다 너무 크지 않도록 한다. 이들 절결부(40b)를 통과하는 뒤끝 개구부(40d)의 직경방향 길이는 클립(34)의 링모양 기부(34a)의 바깥윤곽의 외경의 최소치, 즉 제거부를 통과하는 직경에 대해 측정한 외경과 거의 같거나 조금 크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착구조에 있어서, 그 부착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클립(34)의 기부(34a)를 제1외통(40)인 캡본체의 절곡부(40a)로부터 제1외통(40) 내로 삽입한다. 단, 기부(34a)의 바깥윤곽의 외경의 최대치는 절곡부(40a)를 제하고는 제1외통(40)의 내경과 대체로 같고, 절곡부(40a)에 의해 에워싸인 뒤끝 개구부(40d)의 내경보다는 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그대로는 기부(34a)를 절곡부(40a)를 넘어 제1외통(40) 내로 삽입할 수가 없게 된다. 그러나, 절결부(40b)를 통과하는 뒤끝의 개구부(40d)의 직경방향 길이가 클립(34)의 링모양 기부(34a)의 바깥윤곽의 외경의 최소치, 즉 제거부를 통과하는 직경에 대해 측정한 외경과 거의 같거나 그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어서, 이 부분을 기부(34a)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34)의 기부(34a)를 절곡부(40a)에 의해 에워싸인 뒤끝 개구부(40d)의 면에 대해 대략 수직이 되도록 하고서, 절결부(40b)와 축중심을 이은 뒤끝 개구부(20d)의 직경방향 부분을 통과시켜 절곡부(40a)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기부(34a)를 대략 완전히 제1외통(40) 내로 삽입한 후에 연결부(34b)가 절결부(40b)에 일치하도록 클립(34)을 회전시킨다(도 12b). 그리고, 클립(34)의 기부(34a)의 중심구멍(34d)이 제1외통(40) 뒤끝 개구부(40d)의 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클립(34)을 회전시킨다(도 12c). 이렇게 해서 클립(34)의 기부(34a)가 제1외통(40)의 절곡부(40a)보다도 안쪽으로 들어가 수납되고, 클립(34)의 연결부(34b)가 절결부(40b)를 관통하도록 끼워져 클립(34)의 클립본체(34c)가 제1외통(40)과 대략 평행하게 뻗게 된다(도 12d).
다음, 상기 제1외통(40)의 절곡부(40a)에 의해 에워싸인 뒤끝의 개구부(40d)와 클립(34)의 기부(34a)의 중심구멍(14d)에 뒷마개(42)의 수나사부(42a)를 끼운다. 이 때, 상기 수나사부(42a)는 클립(34)의 기부(34a)의 중심구멍(34d)과 대략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외통(40)인 캡본체는 클립(34)의 기부(34a)에 대해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외통(40)의 내부에 설치된 너트부재(44)를 수나사부(42a)에 대해 회전시켜 양자를 나사결합시킨다. 그에 따라 뒷마개(42)가 제1외통(40)에 연결되고, 클립(34)의 기부(34a)는 절곡부(40a)를 통해 빠지지 않기 때문에, 너트부재(44)와 절곡부(40a) 사이에 끼워 고정시켜지게 된다. 또, 이 때 절결부(40a)를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클립(34)의 연결부(34b)의 뒤쪽으로 돌출하고서 만곡시켜진 일부가 뒷마개(42)의 뒷부분 끝면과 닿게 된다. 이렇게 연결부(34b)가 뒷마개(24)에 닿는 부분은, 될 수 있으면 연결부(34b)의 최후단에 위치하는 부분 또는 그 근방으로 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해서 외통(32)에 부착된 클립(34)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34)의 기부(34a)가 제1외통(40)인 캡본체 내에 자리잡아 밖에서 보이지가 않기 때문에 외관이 우수해지게 된다. 또, 클립(34)을 사용하기 위해 클립본체(34c)를 요동시킨 경우, 클립(34)의 연결부(34b)가 뒷마개(42)에 닿아 있기 때문에 연결부(34b) 자체가 크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또 연결부(34b)가 만곡되어져 있기 때문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클립(34)이 부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와 동시에 클립(14)의 복원력도 높여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 제1외통을 이루는 뒤쪽외통(20) 또는 캡본체(40)에 절곡부(20a, 40a)가 형성되고서 이들의 내부에 클립(14, 34)의 기부(14a, 34a)가 자리잡도록 되어 있으나, 캡(22) 또는 뒷마개(42)에 절곡부를 형성시켜 이들의 내부에 클립(14, 34)의 기부(14a, 34a)가 자리잡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립의 기부가 제1외통과 제2외통 중 어느 한쪽의 만곡부를 통과해서 그 내부에 자리잡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의 기부가 밖에서 볼 수가 없어 보기가 좋고, 클립의 부착도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클립의 연결부를 뒤쪽으로 돌출하도록 하고서 만곡시켜 연결부의 일부가 제2외통에 닿도록 되어 있어서 클립이 부러지지 않게 하는 데도 뛰어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필기구 등의 외통에 클립을 부착시키는 클립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통이 제1외통과 이 제1외통의 뒤쪽에 연결되는 제2외통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클립은 상기 외통에 고정되는 링모양의 기부와 이 기부에서 연장되어 뻗은 연결부 및 이 연결부에서 상기 외통과 대략 평행하게 뻗은 클립본체로 이루어지고서, 상기 제1외통과 제2외통 중 어느 한쪽이 다른쪽과 연결되는 쪽 단부가 축선방향에서 약 90°로 절곡되어 내경방향으로 뻗은 절곡부를 이루어 이 절곡부에 의해 제1외통과 제2외통 중 어느 한쪽의 연결쪽 개구부를 에워싸이게 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이 절결부를 통과하는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길이가 상기 클립의 링모양 기부를 그 옆쪽에서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의 최소길이 이상으로 되고, 절결부를 통과하지 않은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길이가 상기 클립의 링모양 기부를 그 옆쪽에서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 최대길이 이하로 되며, 상기 절결부를 통과하는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부분을 클립모양 기부가 통과해서 상기 제1외통과 제2외통 중 어느 한쪽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절곡부를 통과한 클립의 기부가 제1외통과 제2외통 중 어느 한쪽의 내부에 자리잡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가, 상기 절곡부에 원주방향으로 약 180°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2개가 형성되고서, 이들 2개의 절결부를 잇는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길이가 상기 클립의 링모양 기부를 그 옆쪽에서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 최소길이 이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절결부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클립의 연결부가 관통해서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링모양 기부의 바깥쪽윤곽이, 그 일부의 단부가 정원에서 일부가 제거된 변형된 원형형상을 하고서, 상기 절결부를 통과하는 연결쪽 개구부의 직경방향 길이가 상기 클립의 링모양 기부를 그 옆쪽에서 투영한 투영면의 길이방향 최소길이 이상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착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상기 연결부가 뒤쪽으로 돌출하고서 만곡지게 되어,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제2외통에 닿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부착구조.
KR10-2002-0070102A 2001-12-07 2002-11-12 클립부착구조 KR100463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74760 2001-12-07
JP2001374760A JP2003170699A (ja) 2001-12-07 2001-12-07 クリップ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731A KR20030047731A (ko) 2003-06-18
KR100463796B1 true KR100463796B1 (ko) 2004-12-29

Family

ID=1918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102A KR100463796B1 (ko) 2001-12-07 2002-11-12 클립부착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95640B2 (ko)
JP (1) JP2003170699A (ko)
KR (1) KR100463796B1 (ko)
CN (1) CN1225370C (ko)
TW (1) TWM24237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2045B2 (en) * 2002-03-29 2006-05-30 Andy Park Labeling device for bound materials
CN102177031B (zh) * 2008-10-10 2014-10-15 株式会社寿 书写用具的夹子安装结构
GB2522798C (en) 2010-07-05 2019-09-25 Hill & Smith Ltd Road safety barrier
CN106801854B (zh) * 2017-01-19 2019-04-16 厦门新智科光电有限公司 旋转笔夹安装结构
TWI809239B (zh) * 2019-01-18 2023-07-21 日商百樂股份有限公司 出沒式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8950A (en) * 1925-02-14 1926-01-05 Rex Mfg Co Clip for pencils
US2318950A (en) * 1940-07-27 1943-05-11 Chilton Pen Company Inc Cap and clip for fountain pens
US2453491A (en) * 1944-11-29 1948-11-09 Carl J Cardin Fountain pen
US2489144A (en) * 1948-04-29 1949-11-22 Lew Mfg Co Means of attaching clips to writing instruments
DE19502460C2 (de) 1995-01-28 1999-02-18 Staedtler Fa J S Klippbefestigung für Schreib-, Zeichen- oder Malgerät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5570965A (en) * 1995-09-01 1996-11-05 C & J Jewelry Co., Inc. Writing instrument clip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95640B2 (en) 2005-05-24
JP2003170699A (ja) 2003-06-17
KR20030047731A (ko) 2003-06-18
CN1225370C (zh) 2005-11-02
CN1422755A (zh) 2003-06-11
US20030108383A1 (en) 2003-06-12
TWM242373U (en)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24536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Hoses
JPH02125211A (ja) 光ファイバ用の差込み結合装置
US20070133926A1 (en) Flexible cam member for fiber optic mechanical splice connector
US6113280A (en) Cap for optical connector
KR100463796B1 (ko) 클립부착구조
JP3909417B2 (ja) 防水コネクタ用の防水栓
US6808313B1 (en) Adhesion free optical fiber connector
JP5348744B2 (ja) アダプタセット
WO2012165388A1 (ja) ボールジョイント
US6146043A (en) Device for connecting two components
KR200247989Y1 (ko) 파이프 연결구
JP2002181016A (ja) 留め具
JPH11305075A (ja) 光レセプタクル
JP2003086303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5259404A (ja) 同軸コネクタプラグ
JP2006351328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WO2020174602A1 (ja) 光レセプタクル
JPS5835509Y2 (ja) ノツク式シヤ−プペンシル
JPH0442742Y2 (ko)
TWM615534U (zh) 同軸連接器
US6382843B1 (en) Convertible fiber-optic plug
JPH11345665A (ja) 防水ソケット
JPS6324598Y2 (ko)
JPS6236349B2 (ko)
JPH05265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