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896B1 -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896B1
KR100461896B1 KR10-2002-0041208A KR20020041208A KR100461896B1 KR 100461896 B1 KR100461896 B1 KR 100461896B1 KR 20020041208 A KR20020041208 A KR 20020041208A KR 100461896 B1 KR100461896 B1 KR 100461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asurement
measuring instrument
measur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6814A (ko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02-004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8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0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응력, 변위, 기울기, 지하수위, 풍향풍속 및 온도와 같은 각종 변동요소를 측정하는 다수의 측정센서; 상기 각종 측정센서와 접속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파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측정센서에서 검출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일시저장한 후 수집된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데이터계측기; 상기 데이터계측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안테나를 통하여 전파를 송출함과 아울러 데이터 전송명령 및 제어명령에 따라 데이터계측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계측운영프로그램에 따라 자동 분석한 후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는 계측관리단말기; 및 상기 각 현장에 설치된 계측관리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각 현장 구조물의 안전 상태를 총괄적으로 감시 및 관리하는 중앙통제서버;를 구비하여, 데이터계측기를 전력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전송된 전파를 전기에너지원으로 변환하여 이용함으로써, 기상변화 및 현장별 지리적인 위치에 따른 전원공급 문제를 해결하여 센서 및 데이터계측기의 설치가 용이하고, 전원케이블을 제거하여 단선에 의한 오류를 제거하여 계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센서와 측정센서를 포함한 데이터 계측기의 현장별 상황에 따른 다수의 변동 조건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구조물을 실시간적으로 정확하게 계측관리할 수 있는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SYSTEM FOR MEASURING STRUCTURE USING RADIO FREQUENCY POWER}
본 발명은 구조물의 무선 자동 계측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구조물에 설치된 각종 측정센서를 포함한 데이터계측기(Data Logger)의 전원공급 방식에 있어서, 데이터계측기는 전력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전송된 전파를 전기적 에너지원으로 변환하여 이용함으로써, 기상변화나 현장별 지리적인 위치에 따른 전원공급 문제와 측정센서를 포함한 데이터계측기의 현장별 상황에 따른 다수의 변동 조건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구조물을 실시간적으로 계측 관리할 수 있는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대형 구조물, 지하매설물 등의 구조물에 의한 재해방지 및 상태 진단을 위해 대부분 육안 검사가 주종을 이루고 있지만, 인원, 시간 및 비용의 낭비로 인해 점차로 각종 측정센서를 구조물에 부착하고 온라인 설비를 구비하여,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온라인을 통해 관리센터로 전송하여 측정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상 구조물의 안전 상태를 파악 및 예측하는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처럼 대형 구조물 또는 교량과 같이 넓은 범위에 다수의 측정센서가 설치된 조건에서 모든 측정데이터를 온라인 처리하는 시스템은 비용이 상당히 비싸고 각 측정센서마다 측정을 하기 때문에 경제적 및 효율적인 측면에서 보면 개선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계측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측정센서(S1∼Sn)를 구조물에 설치한 후 데이터계측기(1)와 각각 접속하고 전원공급부(4)를 통해 전력케이블이나 자체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 및 직류전원을 데이터계측기(1)에 공급하여 구동시킨다.
그럼, 데이터계측기(1)는 센서(S1∼Sn)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처리한 후 유선모뎀(2) 또는 무선모뎀(3)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데이터로 변환한 후 유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계측운영프로그램이 설치된 현장의 감시센터(9)로 측정데이터를 자동 전송하여 구조물을 원격 분석 및 관리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은 데이터계측기(1)에 항상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현장 상황에 따라 전원 공급이 어려운 지역일 경우 설치 지점을 변경하거나 다른 부가적인 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하나의 데이터계측기(1)에 다수의 측정센서(S1∼Sn)를 설치함으로써, 특정 센서와 데이터계측기(1)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측정센서와 연결 전선의 훼손이나 노이즈의 유입 및 설치비용의 증가 등의 다양한 장애요인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구조물에 설치된 각종 측정센서를 포함한 데이터계측기의 전원공급 방식에 있어서, 데이터계측기는 전력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전송된 전파를 전기적 에너지원으로 변환하여 이용함으로써, 태양열에 따른 기상변화나 현장별 지리적인 위치에 따른 전원공급 문제와 측정센서를 포함한 데이터계측기의 현장별 상황에 따른 다수의 변동 조건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구조물을 실시간적으로 계측 관리할 수 있는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계측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파전원을 이용한 계측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데이터계측기를 나타낸 회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계측관리단말기를 나타낸 회로 블록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계측관리단말기에서 운용되는 자동 계측운영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화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데이터계측기(Data Logger) 11: 안테나
13: 전원변환부 15: 데이터통신부
20: 계측제어부 30: 계측관리단말기
32: 계측기통신수단 33: 저장수단
38: 유무선 통신모듈 39: 제어수단
50: 중앙통제서버 S1∼Sn: 측정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구조물의 각 부에 설치되어 구조물의 응력, 변위, 기울기, 지하수위, 풍향풍속 및 온도와 같은 각종 변동요소를 측정하는 다수의 측정센서(S1∼Sn); 상기 각종 측정센서와 접속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파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측정센서에서 검출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일시저장한 후 수집된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데이터계측기(10); 상기 데이터계측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안테나를 통하여 전파를 송출함과 아울러 데이터 전송명령 및 제어명령에 따라 데이터계측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자동계측운영프로그램에 따라 자동 분석한 후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는 계측관리단말기(30); 및 상기 각 현장에 설치된 계측관리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각 현장 구조물의 안전 상태를 총괄적으로 감시 및 관리하는 중앙통제서버(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계측기(10)는, 상기 계측관리단말기의 안테나로부터 전송되는 전파를 수신하는 RF 코일안테나(11); 상기 안테나에 유도된 유도전압을 정류하여 정전압 상태로 변환하는 전원변압부(13); 상기 안테나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복조하여 출력하는 데이터통신부(15); 및 상기 전원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에 따라 구동되어 각종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검출하여 수집한 후 데이터통신부를 통해 검출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측제어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파전원을 이용한 계측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측정센서(S1∼Sn), 데이터계측기(10), 계측관리단말기(30) 및 중앙통제서버(50)를 구비한다.
상기 측정센서(S1∼Sn)는 구조물의 각 부에 설치되어 구조물의 응력, 변위, 기울기, 지하수위, 풍향풍속 및 온도 등과 같은 구조물의 각종 변동요소를 검출하는 다수의 센서로 이루어져 있고, 데이터계측기(10)는 각종 측정센서(S1∼Sn)와 접속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파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측정센서(S1∼Sn)에서 검출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일시 저장한 후 수집된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계측관리단말기(30)는 데이터계측기(1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안테나를 통하여 전파를 송출함과 아울러 데이터 전송명령 및 제어명령에 따라 데이터계측기(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계측운영프로그램에 따라 자동 분석한 후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는 컴퓨터로 이루어져 있고, 중앙통제서버(50)는 각 현장에 설치된 복수의 계측관리단말기(30∼30n)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각 현장 구조물의 안전 상태를 총괄적으로 감시 및 관리하는 웹서버 및 제어서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측정센서(S1∼Sn)는 현장의 각종 구조물 또는 건축물의 안전 및 합리적인 시공 및 관리를 위하여 구조물에 매설 또는 설치되는 센서로, 간극수압계, 변형율계, 로드셀, 지하수위계, 경사계, 구조물경사계, 토압계, 온도계 또는 풍향풍속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와 데이터계측기(10) 간의 거리를 최대한 단거리로 하여 설치하고, 현장의 계측관리단말기(30)의 안테나(31)에서 송출된 해당 데이터계측기(10)의 호출 전파를 데이터계측기(10)에 장착되어 있는 송수신용 안테나(11)로 수신하여 전파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데이터계측기(10)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 에너지원을 바탕으로 데이터계측기(10)를 구동시켜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각 측정요소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고, 이 측정 데이터를 송수신용 안테나(11)를 이용하여 전파의 형태로 현장의 계측관리단말기(30)로 송출한다.
물론, 계측관리단말기(30)는 이러한 수집 데이터를 인터넷이나 각종 유/무선 통신모듈(38)을 이용하여 중앙통제서버(50)로 전송하고, 중앙통제서버(50)는 각 현장의 계측관리단말기(30∼30n)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장별로 일괄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계측기를 나타낸 회로 블록도로서, 안테나(11)와 전원변환부(13)와 데이터통신부(15) 및 계측제어부(20)로 이루어져 있고, 계측제어부(20)에는 소정의 포트(23)를 통해 복수의 측정센서(S1∼Sn)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11)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RF코일 안테나로서 계측관리단말기(30)의 안테나(31)로부터 전송되는 전파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전원변환부(13)는 안테나(11)에 유도된 유도전압을 정류하여 정전압 상태로 변환하는 정류기 및 정전압 안정기로 이루어져 있고, 데이터통신부(15)는 안테나(11)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조하고 복조하는 변복조기(16, 17)로 이루어져 있고, 계측제어부(20)는 전원변환부(13)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에 따라 구동되어 각종 측정센서(S1∼Sn)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검출하여 수집한 후 데이터통신부(15)를 통해 검출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계측제어부(20)는, 전원변환부(1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 주파수의 클록신호를 발생하는 클록발생기(21)와, 각종 측정센서(S1∼Sn)와 접속되며 측정센서(S1∼Sn)에서 검출한 각종 측정데이터 즉, 디지털, 아날로그 및 주파수신호를 입력받는 복수의 접속포트(23)와, 상기 접속포트(23)를 통해 입력된 각종 측정센서(S1∼Sn)의 검출데이터와 데이터계측기(10)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25)와, 상기 메모리(25)에 일시 저장된 검출데이터 및 계측기의 고유번호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한 후 데이터통신부(15)로 출력하는 직렬변환기(27)와, 상기 클록신호에 따라 제반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전원변환부(13)로부터 입력된 구동전원에 따라 구동되어 센서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직렬변환기(27)로 출력 제어하는 제어기(2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어기(29)는 메모리(25)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제반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상기 메모리(25)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삭제할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25)로 이루어져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계측관리단말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상기 데이터계측기(1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무선전파를 안테나(31)를 통해방사하고 데이터 교환을 실행하는 계측기통신수단(32)과, 복수의 데이터계측기(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계측기(10)별 측정데이터와 계측운영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수단(33)과, 상기 저장수단(33)에 저장된 계측운영프로그램 상에 각 데이터계측기(10)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36)과, 각종 디스플레이 명령 및 수집하고자 하는 데이터계측기(10)와 특정 센서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37)과, 상기 저장수단(33)에 저장된 데이터를 중앙통제서버(50)로 전송하거나 중앙통제서버(50)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을 송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모듈(38), 및 상기 수집 명령에 따라 상기 계측기통신수단(32)을 제어하여 해당 데이터계측기(10)를 구동시키고 구동된 데이터계측기(10)로부터 해당 측정센서(S1∼Sn)의 검출데이터를 제공받아 분석한 후 저장수단(33)에 저장함과 아울러 수집된 측정데이터를 표시수단(36)에 디스플레이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39)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무선 통신모듈(38)은 인터넷이나 공중전화망,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등으로, 필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를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계측관리 시스템은, 구조물이나 건축물의 응력, 변위, 경사, 지하수위, 풍향풍속 및 온도 등의 요소를 각종 측정센서(S1∼Sn) 및 데이터계측기(10)를 통해 측정 및 수집한 후 그 계측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모듈(38)이나 인터넷을 통해 중앙통제서버(50)로 실시간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중앙통제서버(50)의 원격 제어를 받는 계측관리단말기(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계측관리단말기(30)는 계측 관리에 있어서 계측운영프로그램상에 등록된 모든 센서(S1∼Sn)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원격 관리할 수도 있고, 특정 센서를 특정 시간대에만 작동 및 측정하도록 별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계측관리단말기에서 운용되는 계측운영프로그램 중 측정관리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센서(S1∼Sn)를 기준시에 맞춰 일정시간 간격(초, 분, 시, 일)으로 자동 측정하는 등 측정시간을 사용자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하나의 채널(센서)에 측정시간을 초 단위까지 원하는 횟수만큼 정밀하게 측정하고 측정한 즉시 결과값으로 산출하는 데, 이때 결과값 산출 방법은 데이터 읽는 횟수와, 최대값과 최소값의 버림 여부와, 평균값 또는 중간값을 취하여 계측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한 개의 채널에서 여러번 측정하여 최대값과 최소값을 버리고 허용 표준편차를 벗어난 값도 제외시킨 후 신뢰도 구간의 측정값을 평균 또는 그 중 중간값을 취하여 최종값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 데이터계측기(10)와 접속된 각종 측정센서(S1∼Sn)는 기본자료들을 입력해야 하는 데, 도 6에 그 일례를 도시하였다. 먼저, 해당 측정센서(S1∼Sn)의 측정값 및 결과값에 대한 단위를 입력하고, 센서의 측정할 값에 대한 유효범위를 설정하여 잘못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며, 각 측정값의 초기값을 설정하여 결과값을 얻는 계산공식에서 사용되도록 하며, 계산공식이나 출력물에서 참조할 값들을 입력하여 설정한다.
상기 계측관리단말기(30)는 센서(채널)별 측정값을 측정시간 순으로 테이블 형태로 열람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 7과 같이 시간별, 일별, 월별 또는 년별로 계측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그래프로 보여주어 직관적인 관찰이 가능하며, 환경 요인에 상관없이 계측할 수 있으므로 계측 오차가 없고, 중앙통제서버(50)에서는 시간이나 공간의 제약없이 국내/외 현장을 실시간으로 제어 및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허가된 모든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중앙통제서버(50)에 접속하여 각 현장별 수집된 구조물관련 측정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일반인도 인터넷을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인하여 공사의 신뢰감을 줄 수 있고, 전문가가 수시로 현장상황을 판단하여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시간과 위치에 상관없이 계측데이터 분석시 그래프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계측관리에 있어서 측정 기준범위를 지정하여 결과값이 이를 초과할 때, 계측관리단말기(30)는 유무선 통신모듈(38)을 이용하여 호출, 전자메일, 팩스, 문자메시지, 전화음성메시지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소정의 경보수단(경광등, 부저)을 제어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계측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계측관리단말기(30)에서 저장수단(33)의 프로그램메모리(34)에 저장된 계측운영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표시수단(36)에 디스플레이시킨 후 사용자는 계측관리단말기(30)에 접속된 복수의 데이터계측기(10∼10n) 및 그에 해당하는 측정센서(S1∼Sn)에 대한 리스트를 작성하여 저장하고, 이어 도 5 및 도 6과 같은 측정센서(S1∼Sn)들에 관한 구체적인 측정 및 운용방식에 대한 각종 기본자료를 입력수단(37)을 통해 입력하여 작성한다.
이후, 제어수단(39)은 저장수단의 프로그램메모리(34)에 저장된 각종 측정관련 명령 즉, 측정센서(S1∼Sn)별 측정시간과 결과값산출방식 등의 자료에 근거하여 측정데이터 수집 요청을 데이터계측기(10) 측으로 전송하게 되는 데, 이때 계측관리단말기(30)에서 안테나(31)를 통해 송출되는 전파는 해당 데이터계측기(10)의 코일안테나(11)에 유도되고, 데이터계측기(10)는 수신된 전파를 정류 및 정전압 변환하여 구동전력으로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데이터계측기(10)의 코일안테나(11)에 유도된 전압은 전원변환부(13)를 통해 정류 및 안정화되어 계측제어부(20) 및 그 주변회로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된 제어기(29)는 접속포트(23)를 통해 해당 채널의 측정센서(S1∼Sn)로부터 측정값을 읽어들여 메모리(25)에 저장된 데이터계측기(10)의 고유번호와 함께 데이터통신부(15)를 통해 변조하여 안테나(11)를 통해 계측관리단말기(30)로 전송하게 된다.
계측관리단말기(30)의 계측기통신수단(32)은 데이터계측기(10)와의 데이터 교신을 위해 데이터계측기(10)의 데이터통신부(15)와 상응하는 데이터액세스 및 데이터 변조 및 복조 기능을 실행하게 되는 데, 데이터계측기(10)로부터 전송된 측정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수단(33)의 해당 메모리(35)에 저장하고, 계측정보메모리(35)에 저장된 측정데이터는 추후 측정시간별로 테이블 형태로 표시하거나 도 7과 같이 그래프로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물론, 계측관리단말기(30)의 제어수단(39)은 측정된 결과값이 관리기준치의 초과 여부를 판단한 후 관리기준치를 초과하면 메모리(34)에 미리 설정된 해당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호접속하여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자체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계측관리단말기(30)는 복수의 데이터계측기(10∼10n)로부터 수집한 측정데이터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중앙통제서버(50)로 전송하여 중앙통제서버(50)에서 현장의 각 구조물의 상태를 원격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 구조물에 설치된 각종 측정센서를 포함한 데이터 계측기의 전원공급 방식에 있어서, 데이터계측기는 전력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전송된 전파를 전기적 에너지원으로 변환하여 이용함으로써, 태양열에 따른 기상변화나 현장별 지리적인 위치에 따른 전원공급 문제를 해결하여 센서 및 데이터계측기의 설치가 용이하고, 전원케이블을 제거하여 단선에 의한 오류를 제거하여 계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센서와 측정센서를 포함한 데이터 계측기의 현장별 상황에 따른 다수의 변동 조건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구조물을 실시간적으로 정확하게 계측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구조물의 각 부에 설치되어 각종 변동요소를 측정하는 다수의 측정센서(S1∼Sn)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각 현장 구조물의 안전 상태를 총괄적으로 감시하고 관리하는 중앙통제서버(50)로 구성된 구조물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RF코일 안테나에 유도된 전파 유도전압을 정류하여 정전압 상태로 변환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변환부와, 안테나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복조하여 출력하는 데이터통신부와, 상기 전원변환부로 부터 입력되는 전원에 따라 구동되어 측정센서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일시 저장한 후 수집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계측제어부로 구성되어, 무선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RF코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데이터계측기(10); 및
    상기 데이터계측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안테나를 통하여 전파를 송출함과 아울러 데이터 전송명령 및 제어명령에 따라 데이터계측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자동계측운영프로그램에 따라 자동 분석한 후 구조물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중앙통제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계측관리단말기(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계측기(10)의 계측제어부(20)는,
    상기 전원변환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 주파수의 클록신호를 발생하는 클록발생기(21);
    상기 측정센서와 접속되며 측정센서에서 검출한 각종 측정데이터의 신호 즉, 디지털, 아날로그 및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는 복수의 접속포트(23);
    상기 접속포트를 통해 입력된 측정센서의 검출데이터와 데이터계측기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25);
    상기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 검출데이터 및 계측기의 고유번호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한 후 데이터통신부로 출력하는 직렬변환기(27); 및
    상기 클록신호에 따라 제반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전원변환부로부터 입력된 구동전원에 따라 구동되어 측정센서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직렬변환기로 출력 제어하는 제어기(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측관리단말기(30)는,
    상기 데이터계측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무선전파를 안테나(31)를 통해 방사하고 데이터 교환을 실행하는 계측기통신수단(32);
    상기 복수의 데이터계측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계측기별 측정데이터와 계측운영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수단(33);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측운영프로그램 상에 각 데이터계측기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36);
    각종 디스플레이 명령 및 수집하고자 하는 데이터계측기와 특정 센서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37);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중앙통제서버로 전송하거나 중앙통제서버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을 송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모듈(38); 및
    상기 수집 명령에 따라 계측기통신수단을 제어하여 해당 데이터계측기를 구동시키고 구동된 데이터계측기로부터 해당 측정센서의 검출데이터를 제공받아 분석한 후 저장수단에 저장함과 아울러 수집된 측정데이터를 표시수단에 디스플레이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3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
KR10-2002-0041208A 2002-07-15 2002-07-15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 KR100461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208A KR100461896B1 (ko) 2002-07-15 2002-07-15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208A KR100461896B1 (ko) 2002-07-15 2002-07-15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814A KR20040006814A (ko) 2004-01-24
KR100461896B1 true KR100461896B1 (ko) 2004-12-14

Family

ID=3731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208A KR100461896B1 (ko) 2002-07-15 2002-07-15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8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618B1 (ko) 2014-07-10 2016-03-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탱크형 구조물의 변형정보 실시간 감지 장치
KR101803356B1 (ko) * 2007-11-30 2017-12-08 파라마타 리미티드 센싱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87B1 (ko) * 2008-11-12 2010-05-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구조물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KR100926623B1 (ko) * 2009-05-08 2009-11-11 정용호 센서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548A (ko) * 2000-09-15 2002-03-21 윤광섭 인터넷을 이용한 구조물의 원격 계측 및 관리 시스템과 그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548A (ko) * 2000-09-15 2002-03-21 윤광섭 인터넷을 이용한 구조물의 원격 계측 및 관리 시스템과 그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356B1 (ko) * 2007-11-30 2017-12-08 파라마타 리미티드 센싱 시스템 및 방법
KR101604618B1 (ko) 2014-07-10 2016-03-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탱크형 구조물의 변형정보 실시간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814A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4602B (zh) 输电线路监测方法及装置
CN101827461A (zh) 管理地下设施的无线通信***
KR101083627B1 (ko) 경사 센서를 이용한 구조물의 안전 진단 시스템
WO2007100191A1 (en) A wireless system for monitoring of manhole
JP2010197154A (ja) 斜面の監視システム
KR20190083851A (ko) 스마트미터링 기반 온도센서를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40063380A (ko) 소음 수준 및 분포를 이용한 상시 누수진단 시스템
KR101353387B1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통신 구조물 안전상태 감시 시스템
KR101382232B1 (ko) 소음 수준 및 분포를 이용한 상시 누수진단 시스템
KR100461896B1 (ko) 전파전원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관리 시스템
WO2002021088A1 (fr) Thermographe et systeme d'enregistrement et de commande de temperature pour materiel d'alimentation en energie
KR100406239B1 (ko) 노후수도관로의 누수감시시스템
KR101229963B1 (ko) 모터 감시제어시스템
KR100736355B1 (ko) 임베디드형 원격 터미널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CN110671989B (zh) 一种基于桥梁顶升智能双位移传感器的控制***
CN204440099U (zh) 一种路基状态远程监控***
KR100849482B1 (ko) 레이저 측정 장치를 이용한 지그비 기반 원격 수위 감시시스템
KR100431944B1 (ko) 양방향 원격제어 가능한 초음파식 수위계측 장치 및 그 방법
KR100405590B1 (ko)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부식과 방식상태의 원격 점검및 제어 시스템
KR20050087569A (ko) 원격계측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와 관리방법및 그 시스템
RU194038U1 (ru) Модуль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техн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провода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ЛЭП) и состояния окружающей его среды
KR100479171B1 (ko) 유무선 겸용 단말기를 사용한 원격제어감시시스템
CN208672497U (zh) 油浸式变压器绝缘老化检测***
KR20000002510A (ko) 교량 원격안전진단 시스템
KR100608280B1 (ko) 고정밀도 경사 센서를 이용한 수직 이동형 자동화계측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