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718B1 - 광 기록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결함영역 관리 방법과 기록/재생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광 기록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결함영역 관리 방법과 기록/재생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718B1
KR100451718B1 KR10-1999-0000731A KR19990000731A KR100451718B1 KR 100451718 B1 KR100451718 B1 KR 100451718B1 KR 19990000731 A KR19990000731 A KR 19990000731A KR 100451718 B1 KR100451718 B1 KR 100451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area
area
size
recording medium
de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0687A (ko
Inventor
박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0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718B1/ko
Priority to US09/461,813 priority patent/US6493301B1/en
Publication of KR2000005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재기록 가능한 광 기록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결함영역을 관리하고 동일 포맷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와 DMA 조건과의 상관 관계로부터 DMA 조건 또는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결정하는데, 이때 DMA 조건 중 PDL 엔트리 조건은 포맷팅에 의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최소한의 스페어 영역이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결정함으로써, 어떠한 광 기록매체에 대해서 일 예로, 80mm 재기록 가능 광 기록매체에 대해서 결함 영역의 관리 및 기록/재생 제어가 용이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광 기록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결함영역 관리 방법과 기록/재생 제어 방법{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managing defect area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playback of it}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한 광 기록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결함영역을 관리하고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기록 매체는 반복 기록의 가능여부에 따라 읽기 전용의롬(ROM)형과, 1회 기록가능한 웜(WORM)형 및 반복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형 등으로 크게 3종류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롬형 광기록매체는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 CD-ROM)과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롬(Digital Versatile Disc Read Only Memory ; DVD-ROM) 등이 있으며, 웜형 광기록매체는 1회 기록가능한 컴펙트 디스크(Recordable Compact Disc ; CD-R)와 1회 기록가능한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Recordable Digital Versatile Disc ; DVD-R) 등이 있다.
또한, 자유롭게 반복적으로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로는 재기록 가능한 컴팩트 디스크(Rewritable Compact Disc ; CD-RW)와 재기록 가능한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Rewritable Digital Versatile Disc ; DVD-RAM, DVD-RW)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재기록 가능형 광기록 매체의 경우, 그 사용특성상 정보의 기록/재생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데, 이로 인해 광기록매체에 정보 기록을 위해 형성된 기록층을 구성하는 혼합물의 혼합 비율이 초기의 혼합 비율과 달라지게 되어 그 특성을 잃어버림으로써 정보의 기록/재생시 오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을 열화라고 하는데, 이 열화된 영역은 광기록 매체의 포맷, 기록, 재생 명령 수행시 결함 영역(Defect Area)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재기록 가능형 광기록매체의 결함 영역은 상기의 열화 현상 이외에도 표면의 긁힘, 먼지 등의 미진, 제작시의 오류 등에 의해 발생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형성된 결함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함 영역의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기록 매체의 리드-인 영역(lead-in area)과 리드-아웃 영역(lead-out area)에 결함 관리 영역(Defect Management Area ; 이하 DMA라 함)을 두어 광기록 매체의 결함 영역을 관리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존(zone)별로 나누어 관리하는데, 각 존은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유저 영역과 상기 유저 영역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때 이용하기 위한 스페어(Spare) 영역으로 나뉘어진다.
한편, 상기 DMA에는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를 의미하는 PDL(Primary Defect List)과 부결함 데이터 저장부를 의미하는 SDL(Secondary Defect List)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PDL은 디스크 제작 과정에서 생긴 결함 그리고, 디스크를 초기화 즉, 최초 포맷팅(Initialize)과 재포맷팅(Re-initialize)시 확인되는 모든 결함 섹터들의 엔트리들(Entries)을 저장한다. 여기서, 각 엔트리는 엔트리 타입과 결함 섹터에 대응하는 섹터 번호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SDL은 블록 단위로 리스트 되는데, 포맷 후에 발생하는 결함 영역들이나 포맷 동안 PDL에 저장할 수 없는 결함 영역들의 엔트리들을 저장한다. 상기 각 SDL 엔트리는 결함 섹터가 발생한 블록의 첫 번째 섹터의 섹터 번호를 저장하는 영역과 그것을 대체할 대체 블록의 첫 번째 섹터의 섹터 번호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영역내의 결함 영역(즉, 결함 섹터 또는 결함 블록)들은 정상적인 영역으로 대체되어져야 하는데, 대체 방법으로는 슬리핑 대체(slippingreplacement)방법과 리니어 대체(linear replacement)방법이 있다.
상기 슬리핑 대체방법은 결함 영역이 PDL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되는 방법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유저 영역(user area)에 결함 섹터가 존재하면 그 결함 섹터를 건너뛰고 대신에 그 결함 섹터 다음에 오는 정상 섹터(Good sector)로 대체되어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리고, 데이터가 기록되는 유저 영역은 밀리면서 결국 건너 뛴 결함 섹터만큼 스페어 영역(spare area)을 차지하게 된다. 즉, 건너뛴 결함 섹터들만큼 스페어 영역이 유저 영역으로 할당된다. 예컨대, PDL에 2개의 결함 섹터가 등록되어 있다면 데이터는 스페어 영역의 2섹터까지 밀려서 기록된다.
또한, 리니어 대체 방법은 결함 영역이 SDL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되는 방법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영역에 결함 블록(defect block)이 존재하면 스페어 영역에 할당된 블록 단위의 대체(replacement) 영역으로 대체되어 데이터를 기록한다.
한편, 스페어 영역을 할당하는 방법으로는 상기된 도 1 이외에도 데이터 영역의 어느 한 존에만 할당하든지, 아니면 데이터 영역의 일부에 할당하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으며 본 출원인도 이에 관련된 기술을 출원한 바 있다.
그 중 하나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어 영역을 데이터 영역의 톱에 위치시키는 방법이며, 이때의 상기 스페어 영역을 주 스페어 영역(Primary Spare Area)이라 한다. 즉, 상기 주 스페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영역이 결국 유저 영역이 된다.
상기 주 스페어 영역은 최초 포맷팅 과정에서 할당되는 영역으로서, 디스크 제조업체가 광 디스크를 제조할 때 할당할 수도 있고 유저가 공 디스크를 처음 포맷팅할 때 할당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주 스페어 영역의 용량은 다양하게 할당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디스크 사이즈가 120mm인 디스크의 최초 데이터 기록 용량(즉, 최초 유저영역)을 4.7GB(GB는 Giga Byte)로 하기 위해 26MB(MB는 Mega Byte임)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 영역의 바텀 근처에 도 3의 (b)와 같이 보조 스페어 영역(Supplementary spare area)을 추가 할당할 수 있다.
한편, 재기록 가능한 광 기록매체가 장착되면 먼저, 리드 인 영역(또는 리드 아웃 영역)의 DMA에 등록된 결함 정보를 읽어와 데이터 영역내의 특정 위치에 기록해 놓는다.
이때, 상기 DMA에 등록된 결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영역 내의 최대 DMA 저장 용량(일 예, 32KByte)은 미리 결정되며, 상기 DMA 저장 용량을 만족하기 위해 DMA 처리 조건이 부여되는데, 그 한 예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SPDL은 PDL 엔트리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섹터의 개수, SSDL은 SDL 엔트리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섹터의 개수, EPDL은 PDL 엔트리의 개수, ESDL은 SDL 엔트리의 개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1에서
의 조건을 만족하는 DMA 저장 용량은 32KB(KB는 Kilo Byte임)(=2048*16)가 된다. 이는 1 섹터가 2048Byte이고 PDL과 SDL에 사용될 수 있는 전체 섹터의 개수는 16섹터를 넘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의 조건을 만족하는 DMA 저장 용량은가 된다. 이는 PDL만으로 또는, SDL만으로 각각 16섹터를 넘어설 수 없다는 조건만 있기 때문이다.
즉, DMA 저장 용량은 DMA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포맷팅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것은 상기 수학식 1의 조건에 의해 PDL에 등록될 수 있는 엔트리 수가 한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된 DMA 조건은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 상호 관련성이 없이 결정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즉, 기술의 발달로 기존 기록용량보다 대용량인 광 기록매체 또는 동일 포맷의 다른 크기를 갖는 광 기록매체 등이 차후에도 계속 나올 것이다. 이는 광 기록매체의 규격, 크기 및 기록 용량등이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마다 새로운 광 기록매체에 대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 및 DMA 조건을 결정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 및 DMA 조건 결정에 대한 기준이 없으므로 이들을 결정하기 위한 시간, 인력 낭비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 DMA 조건과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광 기록매체의 결함 영역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 DMA 조건과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DMA 조건을 결정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 DMA 조건과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 DMA 조건과의 상관 관계를 고려하여 스페어 영역이 할당된 광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조건을 갖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 재생이 단일 시스템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동일 포맷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120/80mm 광 기록매체의 기록 재생이 단일 시스템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기록매체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a는 일반적인 슬리핑 대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b는 일반적인 리니어 대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의 (a)는 일반적인 스페어 영역이 데이터 영역의 톱 위치에 할당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3의 (b)는 일반적인 스페어 영역이 추가로 데이터 영역의 바텀 근처에 할당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의 동작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결함 영역 관리 방법은,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와, P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두 단계의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 PDL 엔트리 조건의 상호 관계에 의해 포맷팅에 의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스페어 영역이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는 최초 기록 용량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는 상기 PDL 엔트리 조건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에서 결정된 PDL 엔트리 조건과 기 결정된 최대 스페어 영역 사이즈를 이용하여 S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에서 결정된 PDL 엔트리 조건과 기 결정된 DMA 저장 용량을 이용하여 S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에서 기 결정된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보다 크다면 필요시에 별도의 스페어 영역을 추가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은, 최초 스페어 영역이 할당된 광 기록매체서 포맷팅에 의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스페어 영역이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에 존재할 수 있도록 P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는 상기 광 기록매체의 DMA 조건과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의 상호 관계에 의해 포맷팅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스페어 영역이 최초 할당되는 스페어 영역에 존재하도록 스페어 영역이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 방법은 광 기록매체가 장착되면 광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된 광 기록매체의 DMA 조건으로 상기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의 DMA 조건 중 PDL 엔트리 조건은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의 상호 관계에 의해 포맷팅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일정사이즈의 스페어 영역이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에 남아있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 방법은 광 기록매체가 장착되면 외경이 80mm인 광 기록매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외경이 80mm인 광 기록매체라고 판별되면 DMA 조건 중 PDL이 관리하는 섹터 수가 최대 11을 넘지 않는 조건으로 상기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와 DMA 조건과의 상관 관계로부터 DMA 조건 또는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결정하는데 있다.
도 4는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흐름도로서, 광 기록매체의 사이즈가 80mm인 재기록 가능한 광 기록매체를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한다.
먼저, 기존 광 기록매체와의 호환성등을 고려하여 최초 기록 용량을 결정한다(단계 401). 즉, 데이터 영역에서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유저 영역의 용량을 결정한다.
상기 단계 401에서 최초 기록 용량이 결정되면 상기 최초 기록 용량으로부터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결정한다(단계 402). 예를 들어, 전체 데이터 영역의 용량으로부터 최초 유저 영역의 용량을 빼면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 즉, 주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구할 수 있다.
또한, P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하는데(단계 403), 포맷팅에 의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에 필요한 최소한의 사이즈가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 내에 남아있도록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402, 403은 서로 상관 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먼저 결정한 후 P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할 수도 있고, 반대로 PDL 엔트리 조건을 먼저 결정한 후 PDL 엔트리 조건으로부터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결정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PDL 엔트리 조건으로부터 포맷팅 후 슬리핑 대체에 필요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결정되므로,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는 상기 PDL 엔트리로부터 결정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와 리니어 대체를 위해 필요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더하여 결정하면 된다. 그리고, 예상 가능한 결함 크기를 최초 스페어 영역이 제대로 결정되었는지의 검증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 및 PDL 엔트리 조건이 결정되면, 최대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 상기 PDL 엔트리 조건을 이용하여 S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한다(단계 404).
상기 단계 404에서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는 설계자가 광 기록매체의 환경을 고려하여 미리 결정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전체 용량의 일정 비율(약 3∼5%)을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로 결정할 수도 있고, PDL 엔트리 조건을 고려하여 최악의 경우와 최소의 경우에 대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구한 후 두 값의평균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 외의 다른 방법으로도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DL 엔트리 조건은 상기 PDL 엔트리 조건과 DMA 저장 용량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404에서 SDL 엔트리 조건이 결정되면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만일, 크다면 기록/재생 과정에서 필요시에 별도의 보조 스페어 영역을 추가 할당할 수 있다(단계 405). 여기서, 상기 보조 스페어 영역은 현재 논의되는 4.7GB 재기록 가능 광 기록매체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 영역의 바텀 근처에 할당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80mm 재기록 가능 광 기록매체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즉, 80mm 재기록 가능 광 기록매체(예, DVD-RAM)의 경우 DVD-ROM과의 호환성을 위해 최초 기록 용량이 1.460MB로 결정된다면 트랙 피치나 디스크의 물리적 환경을 고려할 때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 사이즈는 약 12M 근처가 될 것이다.
그런데, 상기 80mm 재기록 가능 광 기록매체에 대한 DMA 조건에 대해 결정된 것이 없으므로 현재 논의되는 120mm 재기록 가능 광 기록매체의 DMA 조건(상기 수학식 1)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기록 용량이 4.7GB이고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26MB인 120mm 재기록 가능 광 기록매체의 경우, 포맷팅 후 슬리핑 대체를 위해서 필요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는 최소 15MB 이상이 필요한데, 이는 PDL 1 섹터가 관리할 수 있는 결함 영역은 1MB이기 때문이다. 이때,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 사이즈가 26MB이므로 적어도 11MB 정도를 리니어 대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최초 기록 용량이 1.460GB이고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약 12MB인 80mm 재기록 가능 광 기록매체에 상기 수학식 1의 DMA 조건)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슬리핑 대체를 위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약 15MB)가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 사이즈(약 12MB)보다 커지게 된다. 즉,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에 리니어 대체를 위한 최소한의 사이즈가 확보되지 않는다. 이는 기록/재생시 제어가 복잡해지고 어렵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DMA 조건을 80mm 재기록 가능 광기록매체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즉, 80mm 재기록 가능 광기록매체에 대한 새로운 DMA 조건이 필요하다.
이때, DMA 조건 중 PDL 엔트리 조건을 먼저 결정한다.
즉, 상기 PDL 엔트리 조건은 포맷팅에 의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최소한의 스페어 영역 사이즈가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 내에 남아있도록 결정한다.
여기서,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은 약 12MB라고 가정하였므로 PDL 엔트리 조건에 의해 슬리핑 대체 영역은 적어도 약 12MB보다는 작아야 한다.
이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SPDL값이 적어도 1보다 크고 11보다는 작아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존 광 기록매체와의 호환성까지 고려한다면 상기 PDL 엔트리 조건은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SPDL값이 적어도 1보다 크고 8(또는 7)보다는 작은 경우가 바람직하다.
즉, 최초 기록 용량이 4.7GB인 120mm 재기록 가능 광 기록매체에서 포맷팅에 의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해 남는 영역은 상기에서 약 11MB라고 하였는데, 이는 전체 용량(4.7GB)의 약 0.23%(=)가 된다. 이때, 최초 기록 용량이 1.460GB인 80mm 재기록 가능 광 기록매체에서 SPDL값을 적어도 8보다 작다고 하면 포맷팅에 의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해 남는 영역은 약 4MB가 되고, 이는 전체 용량(1.460GB)의 약 0.27%(=)가 된다.
상기와 같이 PDL 엔트리 조건이 결정되면 SDL 엔트리 조건도 결정해야 한다.
상기 SDL 엔트리 조건은 상기 PDL 엔트리 조건과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 또는 상기 PDL 엔트리 조건과 DMA 저장 용량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72MB이고, PDL 엔트리 조건에서 SPDL값이 적어도 8보다 작아야 한다고 결정되었다면 SDL 엔트리 조건도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SSDL값이 8보다 작아야 바람직하다.
이는 최대 스페어 영역 사이즈 72MB 중 PDL에서 관리할 수 있는 사이즈가 8B이므로 남는 용량은 64MB가 된다. 이때, SDL 1 섹터가 관리할 수 있는 결함 영역은 8MB이므로, 결국 8섹터보다 작게 하면 PDL에서 관리할 수 있는 사이즈는 64(=8*8)MB가 된다.
여기서, 상기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계자가 광 기록매체의 환경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는데, 만일 72MB로 정하였다면 이는 최초 기록 용량의 약 5%(≒72/1460)에 해당된다.
만일,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72MB이고, PDL 엔트리 조건에서 SPDL값이 적어도 7보다 작아야 한다고 결정되어도 SDL 엔트리 조건은 SSDL값이 8보다 작아야 바람직하다. 여기서, 남는 1MB는 스페어 영역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동일 포맷의 서로 다른 크기(예, 120mm/80mm DVD-RAM)와의 호환성을 고려한다면 상기 SDL 엔트리 조건을 PDL 엔트리 조건과 DMA 저장 용량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만일, DMA 저장 용량이 32KB이고, PDL 엔트리 조건에서 SPDL값이 적어도 8보다 작아야 한다고 결정되었다면 SDL 엔트리 조건도 상기의 수학식 4와 같이 SSDL값이 8보다 작아야 바람직하다.
즉,의 조건을 만족하는 DMA 저장 용량은 32KB(=(2048*8)+(2048*8))가 되므로, 120mm 재기록 가능 광기록 매체의 DMA 저장 용량과 같아진다. 이것은 단일 시스템에서 동일 포맷의 서로 다른 크기(예, 120mm/80mm DVD-RAM))의 기록/재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된 과정으로 결정된 80mm 재기록 가능 광기록 매체의 DMA 조건의 한 예를 정리하면 하기의 수학식 5와 같다.
여기서, SPDL은 PDL 엔트리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섹터의 개수, SSDL은 SDL 엔트리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섹터의 개수, EPDL은 PDL 엔트리의 개수, ESDL은 SDL 엔트리의 개수이다.
이때,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보다 크다면 기록/재생 과정에서 필요시마다 별도의 보조 스페어 영역을 추가로 할당하여 리니어 대체에 이용할 수 있다.
만일,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72MB이고,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12MB라면 약 60MB를 추가로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스페어 영역은 현재 논의되는 4.7GB 재기록 가능 광 기록매체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 영역의 바텀 근처에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동일 포맷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시에 광 기록매체가 장착되면 먼저, 장착된 광 기록매체의 크기를 판단하고 판단된 광 기록매체에 해당하는 DMA 조건을 적용하여 기록/재생을 제어하면 단일 시스템에서 동일 포맷의 서로 다른 크기의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정을 차기의 대용량 광 기록매체(예컨대, HD-RAM)에서 스페어 영역과 DMA 조건을 결정할 때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매체 및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와 기록/재생 제어방법에 의하면,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와 DMA 조건과의 상관 관계로부터 DMA 조건 또는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결정하는데, 이때 DMA 조건 중 PDL 엔트리 조건은 포맷팅에 의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최소한의 스페어 영역이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결정함으로써, 어떠한 광 기록매체에 대해서 특히, 80mm 재기록 가능 광 기록매체에 대해서 결함 영역의 관리 및 기록/재생 제어가 용이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1)

  1.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에 있어서,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와,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두 단계의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의 상호 관계에 의해 포맷팅에 의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일정 사이즈의 스페어 영역이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 내에 남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 영역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는
    결정된 기록 용량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는
    상기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으로부터 포맷팅 후 슬리핑 대체에 필요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결정되면
    상기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는 상기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으로부터 결정된 슬리핑 대체에 필요한 사이즈에 리니어 대체에 필요한 일정 사이즈를 부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결정된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과 기 결정된 최대 스페어 영역 사이즈를 이용하여 부결함 데이터 저장부(S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는 결정된 기록 용량의 일정 비율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는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이 관리할 수 있는 최대의 경우와 최소의 경우에 대한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각각 구한 후 두 값의 평균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결함영역 관리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결정된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과 기 결정된 결함 관리 영역(DMA) 저장 용량을 이용하여 부결함 데이터 저장부(S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기 결정된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단계에서 결정된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보다 크다면 필요시에 별도의 스페어 영역을 추가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10. 최초 스페어 영역이 할당된 광 기록매체의 결함 영역 관리 방법에 있어서,
    포맷팅에 의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일정 사이즈의 스페어 영역이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에 존재할 수 있도록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 영역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과 기 결정된 최대 스페어 영역 사이즈를 이용하여 부결함 데이터 저장부(S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과 기 결정된 결함 관리 영역(DMA) 저장 용량을 이용하여 부결함 데이터 저장부(S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13. 스페어 영역이 할당되는 광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광 기록매체의 결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최대 결함 관리 영역(DMA)의 저장 용량, 상기 결함관리영역(DMA)에 등록할 수 있는 결함 리스트의 엔트리 개수, 및/또는 각 결함 리스트에 사용되는 섹터 수등의 제한 조건인 결함 관리 영역(DMA) 조건과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의 상호 관계에 의해 포맷팅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일정 사이즈의 스페어 영역이 최초 할당되는 스페어 영역에 존재하도록 스페어 영역이 할당된 광 기록매체.
  14. 동일 포맷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 방법에 있어서,
    광 기록매체가 장착되면 광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광 기록매체의 결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최대 결함 관리 영역(DMA)의 저장 용량, 상기 결함관리영역(DMA)에 등록할 수 있는 결함 리스트의 엔트리 개수, 및/또는 각 결함 리스트에 사용되는 섹터 수등의 제한 조건인 결함 관리 영역(DMA) 조건으로 상기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의 결함 관리 영역(DMA) 조건 중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은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의 상호 관계에 의해 포맷팅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일정 사이즈의 스페어 영역이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에 남아있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의 결함 관리 영역(DMA) 조건 중 부결함 데이터 저장부(SDL) 엔트리 조건은 상기 결정된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과 함께 기 결정된 최대 스페어 영역 사이즈, 결함관리영역(DMA) 저장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방법.
  17. 동일 포맷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 방법에 있어서,
    광 기록매체가 장착되면 외경이 80mm인 광 기록매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외경이 80mm인 광 기록매체라고 판별되면 결함 관리 영역(DMA) 조건 중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가 관리하는 섹터 수가 최대 11을 넘지 않는 조건으로 상기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관리 영역(DMA) 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방법.
    (여기서, SPDL은 PDL 엔트리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섹터의 개수, SSDL은 SDL 엔트리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섹터의 개수임.)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관리 영역(DMA) 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방법.
    (여기서, SPDL은 PDL 엔트리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섹터의 개수, SSDL은 SDL 엔트리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섹터의 개수임.)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관리 영역(DMA) 조건중에서 부결함 데이터 저장부(SDL) 엔트리 조건은 상기 PDL엔트리 조건과, 최대 스페어 영역 사이즈 또는 결함관리 영역(DMA) 저장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방법.
  21. 광 기록매체가 삽입될 때 상기 광 기록매체의 종류를 식별하는 제1단계와,
    상기 1단계에서 판별된 광 기록매체의 결함관리 영역(DMA)조건에 근거하여 광 기록매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제어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각의 광기록 매체는 서로다른 결함 관리영역(DMA)조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특정 광기록매체의 결함 관리영역(DMA)조건중 부결함 데이터 저장부(SDL) 엔트리 조건은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과, 최대 스페어 영역 사이즈 또는 결함관리 영역(DMA) 저장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방법.
  22. 데이터 기록 영역과 스페어 영역을 구비하는 광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 영역은 상기 광기록매체의 기록용량에 근거하여 최초 할당 가능한 사이즈가 결정되며,
    리니어 대체를 위한 스페어 영역이 상기 광 기록매체의 포맷팅시 결함 영역에 대한 슬리핑 대체 후에 상기 최초 할당가능한 스페어 영역상에 존재하도록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이 결정되고,
    상기 광 기록매체에 존재하는 결함 영역은 상기 결정된 초기 할당가능한 스페어 영역 크기와 상기 PDL 엔트리 조건에 근거하여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23. 동일 포맷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 방법에 있어서, 광 기록매체가 장착되면 광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된 광 기록매체의 결함 관리 영역(DMA) 조건으로 상기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단계의 결함 관리 영역(DMA) 조건 중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은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의 상호 관계에 의해 포맷팅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일정 사이즈의 스페어 영역이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에 남아있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DMA조건은 적어도 1≤ SPDL≤ 8, (상기 SPDL 은 PDL 엔트리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섹터 수를 가리킨다)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의 결함 관리 영역(DMA) 조건 중 부결함 데이터 저장부(SDL) 엔트리 조건은 상기 결정된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과 함께 기 결정된 최대 스페어 영역 사이즈 또는 결함관리영역(DMA) 저장 용량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제어방법.
  26.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에 있어서,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함 관리 영역(DMA) 조건 중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와 상기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을 고려하여 결함 영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의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의 상호 관계에 의해 포맷팅에 의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일정 사이즈의 스페어 영역이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 내에 남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 영역 관리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단계에서 결정된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보다 크다면 별도의 스페어 영역을 추가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DMA조건은 적어도 1≤ SPDL≤ 8, (상기 SPDL 은 PDL 엔트리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섹터 수를 가리킨다)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29.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 결함 관리 영역(DMA) 조건 중 주결함 데이터 저장부(PDL) 엔트리 조건의 상호 관계에 의해 포맷팅에 의한 슬리핑 대체 후 리니어 대체를 위한 일정 사이즈의 스페어 영역이 최초 할당된 스페어 영역 내에 남아있도록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 사이즈와 주결함 엔트리 조건이 결정되어 상기 조건에 근거하여 결함 영역이 관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DMA조건은 적어도 1≤ SPDL≤ 8, (상기 SPDL 은 PDL 엔트리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섹터 수를 가리킨다)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31. 제 29 항에 있어서, 최대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결정된 최초 할당 가능한 스페어 영역의 사이즈보다 크다면 별도의 스페어 영역이 추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매체.
KR10-1999-0000731A 1999-01-13 1999-01-13 광 기록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결함영역 관리 방법과 기록/재생 제어 방법 KR100451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731A KR100451718B1 (ko) 1999-01-13 1999-01-13 광 기록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결함영역 관리 방법과 기록/재생 제어 방법
US09/461,813 US6493301B1 (en) 1999-01-13 1999-12-16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managing defect area of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731A KR100451718B1 (ko) 1999-01-13 1999-01-13 광 기록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결함영역 관리 방법과 기록/재생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687A KR20000050687A (ko) 2000-08-05
KR100451718B1 true KR100451718B1 (ko) 2004-10-08

Family

ID=1957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731A KR100451718B1 (ko) 1999-01-13 1999-01-13 광 기록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결함영역 관리 방법과 기록/재생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493301B1 (ko)
KR (1) KR100451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18B1 (ko) * 1999-01-13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기록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결함영역 관리 방법과 기록/재생 제어 방법
WO2002009108A1 (fr) * 2000-07-21 2002-01-31 Fujitsu Limited Lecteur de disque, procede de commande de chargement pour disque vierge
US6993678B2 (en) * 2000-10-13 2006-01-31 Seagate Technology Llc Logical zone table generation process and apparatus
US7036057B2 (en) * 2002-07-11 2006-04-25 Mediatek Inc. Range splitting read/write methods for CD-MRW
BRPI0306564B1 (pt) 2002-09-26 2016-04-26 Lg Electronics Inc método de gerenciamento de mídia ótica de gravação que possua pelo menos uma área defeituosa na área de dados do usuário, mídia de gravação e aparato para gerenciamento de mídia ótica de gravação que possua pelo menos uma área temporária de gerenciamento de defeitos e uma área sobressalente na área de dados
KR20040027259A (ko) * 2002-09-26 200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US7233550B2 (en) * 2002-09-30 2007-06-19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KR20040028469A (ko) 2002-09-30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KR101008641B1 (ko) * 2002-12-11 2011-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중첩기록 관리방법 및장치
WO2004053874A1 (en) 2002-12-11 2004-06-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anaging overwrite and method of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an optical disc write once
US7355934B2 (en) 2003-01-27 2008-04-08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of write once typ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formation on the optical disc
US7372788B2 (en) 2003-01-14 2008-05-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defective area on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TWI334595B (en) 2003-01-27 2010-12-11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defective area on an optical disc
US20040160799A1 (en) 2003-02-17 2004-08-19 Park Yong Cheol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spare area on write-once optical disc
US7499383B2 (en) 2003-02-21 2009-03-03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for managing spare area thereof
TWI335587B (en) * 2003-02-21 2011-01-01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US7477581B2 (en) 2003-02-25 2009-01-13 Lg Electronics Inc. Defect management method for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TWI278851B (en) 2003-02-25 2007-04-11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at least a data area of the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188271B2 (en) 2003-02-25 2007-03-06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JP3790221B2 (ja) * 2003-02-28 2006-06-28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装置
JP4658614B2 (ja) 2003-03-04 2011-03-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光記録媒体の記録方法及び装置
JP4870554B2 (ja) * 2003-03-13 2012-02-0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ータ領域管理の可能な追記型ディスク、追記型ディスクのデータ領域の管理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TWI405196B (zh) * 2003-03-13 2013-08-11 Lg Electronics Inc 光學記錄媒體及其缺陷區域管理方法及其裝置
TW200805292A (en) 2003-05-09 2008-0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data, method of reproducing data,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and recording medium
KR101024923B1 (ko) 2003-05-09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있어서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
MXPA05012044A (es) 2003-05-09 2006-02-03 Lg Electronics Inc Disco optico de una sola escritura, metodo y aparato par recuperacion de informacion de administracion de disco del disco optico de una sola escritura.
WO2004100156A1 (en) * 2003-05-09 2004-11-1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at least a data area of the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KR101036476B1 (ko) 2003-07-04 201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중첩기록 방법 및 장치
ES2325441T3 (es) * 2003-07-14 2009-09-04 Lg Electronics Inc. Disco optico grabable una sola vez, metodo y aparato para grabar informacion de gestion en un disco optico grabable una sola vez.
KR101014703B1 (ko) 2003-07-15 2011-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 광디스크의 기록방법과기록재생장치
KR20050009031A (ko) 2003-07-15 2005-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EP1930899B1 (en) 2003-08-05 2015-09-30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management information
US7313065B2 (en) 2003-08-05 2007-12-25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management information on/from optical disc
AU2004271477B2 (en) 2003-09-08 2009-11-05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thereon
MXPA06002622A (es) 2003-09-08 2006-06-05 Lg Electronics Inc Disco optico de una sola escritura, metodo y aparato para grabacion de informacion de administracion sobre el mismo.
KR101049137B1 (ko) 2003-09-08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1회 기록가능한광디스크상에서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027787A (ko) * 2003-09-16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기록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광 디스크
KR100964685B1 (ko) 2003-10-20 2010-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방법과기록재생장치
KR100694046B1 (ko) * 2003-12-24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 그 방법, 데이터재생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KR101024916B1 (ko) 2004-03-19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방법 및장치
KR101113866B1 (ko) * 2004-03-19 2012-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내에 기록되는 데이터 구조 및 데이터 기록방법과기록장치
KR101049117B1 (ko) 2004-06-08 2011-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디스크 클로징 방법 및 기록재생 장치
KR101014727B1 (ko) 2004-06-23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중첩 기록 방법 및 장치
KR20060007143A (ko) * 2004-07-19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 매체를 포맷하기 위한 방법, 호스트 장치 및기록/재생 장치
KR101041811B1 (ko) 2004-08-02 201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저장매체의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012378B1 (ko) 2004-08-16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저장매체의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JP5144265B2 (ja) 2004-09-14 2013-02-1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記録媒体及び記録媒体の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US7613874B2 (en) * 2004-10-14 2009-11-03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writing data in the same
TWI274493B (en) * 2005-09-23 2007-02-21 Via Tech Inc Serial trans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27485B1 (ko) 2005-11-25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의 결함관리 정보 기록방법과기록장치
KR20070058292A (ko) 2005-12-02 200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와 기록매체클로징 방법
US7852717B2 (en) * 2007-08-17 2010-12-14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izing, tracking, and segregating known defective disk regions on patterned disks
TW200947429A (en) * 2008-05-15 2009-11-16 Quanta Storage Inc Method for rearranging back-up da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072A (ko) * 1997-05-21 1998-12-05 구자홍 가변 여유영역비율을 가지는 광디스크및 광디스크상에 여유영역의 비율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US5872750A (en) * 1993-06-08 1999-02-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KR20000028574A (ko) * 1998-10-10 2000-05-25 윤종용 결함관리를위한여유공간을갖는디스크와여유공간할당방법
US6493301B1 (en) * 1999-01-13 2002-12-10 Lg Electronics Inc.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managing defect area of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7247B2 (ja) * 1995-03-15 2004-12-02 富士通株式会社 可換媒体型記憶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及びデータ転送制御方法
DE69703558T2 (de) * 1996-03-18 2001-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fzeichnungsfehler-Ersatzverfahren, und ein Aufzeichungs-/ und Wiedergabegerät für ein plattenförmiges Aufzeichnungsmedium
JPH10222316A (ja) * 1997-02-12 1998-08-21 Sony Corp 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2750A (en) * 1993-06-08 1999-02-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KR19980084072A (ko) * 1997-05-21 1998-12-05 구자홍 가변 여유영역비율을 가지는 광디스크및 광디스크상에 여유영역의 비율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KR20000028574A (ko) * 1998-10-10 2000-05-25 윤종용 결함관리를위한여유공간을갖는디스크와여유공간할당방법
US6493301B1 (en) * 1999-01-13 2002-12-10 Lg Electronics Inc.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managing defect area of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93301B1 (en) 2002-12-10
KR20000050687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1718B1 (ko) 광 기록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결함영역 관리 방법과 기록/재생 제어 방법
US6963523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formatting the same with improved compatability and consistency
KR100459161B1 (ko) 광기록매체및광기록매체의스페어영역할당과결함영역관리방법
KR100421845B1 (ko) 광기록매체및광기록매체의결함영역관리방법
US7551531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ing capacity information and method for indicating recording capacity
KR100546576B1 (ko) 광 기록매체 및 광 기록매체의 결함 영역 관리 방법
KR100606663B1 (ko) 광기록매체와이의결함영역관리및포맷팅방법
KR100651960B1 (ko) 광 기록매체 및 광 기록매체의 스페어 영역 할당 제한 방법
KR100493323B1 (ko) 광 기록매체 및 광 기록매체의 스페어 영역 할당과 결함영역 관리 방법
KR100421844B1 (ko) 정보기록매체의결함영역관리방법
KR100609858B1 (ko) 광기록매체와그의데이터처리방법
KR100609856B1 (ko) 광기록매체및결함영역관리방법
KR100546569B1 (ko) 광기록매체와이의포맷팅및결함영역관리방법
KR100546570B1 (ko) 광기록매체와이의포맷팅및결함영역관리방법
KR100606977B1 (ko) 광기록매체의포맷팅및결함영역관리방법
KR20040075824A (ko) 광기록매체 및 결함 영역 관리 방법
KR100606664B1 (ko) 광기록매체와그의검증포맷팅제한방법
KR100672543B1 (ko) 광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KR100463555B1 (ko) 광 기록매체 및 데이터 기록 방법
KR100463556B1 (ko) 광 기록매체와 그의 스페어 영역 할당 방법
KR20040045410A (ko) 광 기록매체 및 광 기록매체의 스페어 영역 할당과 결함영역 관리 방법
KR19990075795A (ko) 광디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