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151B1 - Pilar-tube assembly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Pilar-tube assembly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151B1
KR100445151B1 KR10-2001-0072210A KR20010072210A KR100445151B1 KR 100445151 B1 KR100445151 B1 KR 100445151B1 KR 20010072210 A KR20010072210 A KR 20010072210A KR 100445151 B1 KR100445151 B1 KR 100445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filler tube
auxiliary pipe
pipe
tub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2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41421A (en
Inventor
류연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2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151B1/en
Publication of KR2003004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4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15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87Means to shield vehicle bodywork from fuel, e.g. during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차량용 필러튜브 어셈블리는 호스와 보조관 사이의 공간에 반고체성 유체를 채우고 그 공간에 오리피스 홀이 형성된 4개의 횡경막을 배치하여 호스와 보조관이 굴곡되면서 상기 공간의 폭이 둘레방향으로 가변됨에 따라 상기 횡경막 사이에 생기는 압력차로 상기 유체를 흐르게 하며, 유체가 상기 오리피스 홀를 통과하면서 유동저항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필러튜브에 가해지는 외부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필러튜브의 강도 저하 및 떨림으로 인한 주위 구성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Filler tube assembly for a vehicle is filled with a semi-solid fluid in the space between the hose and the auxiliary pipe and the four diaphragms formed in the orifice hole formed in the space and the hose and the auxiliary pipe is bent as the width of the space is ch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luid flows through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diaphragms, and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orifice hole to generate flow resistance, thereby absorbing external vibrations applied to the filler tube, thereby reducing the strength and shaking of the filler tube.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차량용 필러튜브 어셈블리{Pilar-tube assembly for automobile}Filler tube assembly for automobiles {Pilar-tube assembly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오일 레벨게이지를 오일팬으로 안내하는 차량용 필러튜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 연소시 발생된 진동으로 인해 떨림이 발생되어 주위 구성부품과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 차량용 필러튜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iller tube assembly for guiding an oil level gauge to an oil pan,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filler tube assembly in which vibration is generated due to vibration generated during engine combustion,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components. .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의 윤활을 위해 오일 팬(2)에 오일(G)을 저장하고 있으며, 운전자가 수시로 상기 오일 팬(2)에 저장된 오일(G)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오일 레벨게이지(4)가 변속기 케이스(6)의 외측을 따라 상기 오일 팬(2)에 삽입된다.In general, the vehicle stores the oil (G) in the oil pan (2) for lubrication of the friction por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driver from time to time to check the amount of oil (G) stored in the oil pan (2) An oil level gauge 4 is inserted into the oil pan 2 along the outside of the transmission case 6 so that it can be.

상기 오일 레벨게이지(4)는 상기 변속기 케이스(6)의 외측 형상을 따라 다단으로 구부러지고 일단부가 상기 오일 팬(2)과 연통된 필러튜브(10)를 통해 상기 오일 팬(2)에 일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오일 레벨게이지(4)의 일단부에 묻어나오는 오일(G)로부터 오일 팬(2)에 저장된 오일(G)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The oil level gauge 4 is bent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transmission case 6 and one end of the oil level gauge 4 is connected to the oil pan 2 through a filler tube 10 in communication with the oil pan 2. The amount of the oil G stored in the oil pan 2 can be checked from the oil G inserted into the oil level gage 4 and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oil level gauge 4.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필러튜브는 실1997-0006864에 공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외측 형상에 따라 임의대로 다단으로 구부릴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차종에 따른 호환성이 있는 오일 레벨게이지의 가이드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굴곡부를 중심으로 다수개로 나누어진 철강재의 강관(12)과,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굴곡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강관(12)과 강관(12) 사이에 배치된 주름관(14)으로 나누어진다.Here, the filler tub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be bent in multiple stages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transmission case as disclosed in the yarn 1997-0006864 as a guide of the oil level gauge is easy to install and compatible with the vehicle model 2, a corrugated pipe disposed between the steel pipe 12 and the steel pipe 12 so as to correspond to the bent portion of the steel case 12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eel pipes centered on the bent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se. Divided by 14.

상기 주름관(1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2)과 서로 연통되며 변속기 케이스의 굴곡부를 따라 임의대로 구부릴 수 있도록 수지재로 형성된 호스(13)와, 상기 호스(13)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호스(13)를 지자하는 지지파이프(15)로 구성된다.The corrugated pipe 14 communicates with the steel pipe 12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a hose 13 formed of a resin material so as to be bent arbitrarily along the bent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se, and the hose 13. I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pipe 15 to support the hose (13).

여기서, 상기 지지파이프(15)는 철강재로 형성되며 요부(16a)와 철부(16b)로 나우어진 다수개의 고리(16)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린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이루어진다.Here, the support pipe 15 is formed of a steel material, a plurality of rings (16) divided into the recessed portion (16a) and the iron portion (16b) is formed sequentially and is wound in a spiral meshing with each other.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필러튜브는 주름관(14)의 호스(13)가 지지파이프(15)에 의해 지지되고 있더라도 강성이 약하므로 엔진의 연소시 생기는 진동으로 인해 떨림이 발생되어 주위 구성부품과 간섭이 생기며, 변속기 케이스(6)와 부딪치면서 소음이 유발되고, 강관(12)과 주름관(14)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vehicle filler tub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even if the hose 13 of the corrugated pipe 1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ipe 15, the rigidity is weak, so vibration is generated due to vibration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engine, Interference occurs, noise is generated while hitting the transmission case 6,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stening force of the steel pipe 12 and the corrugated pipe 14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의 연소시 생긴 진동으로 인한 떨림을 방지한 차량용 필러튜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ler tube for a vehicle to prevent the shaking caused by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eng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필러튜브가 도시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filler tub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필러튜브의 부분 사시도,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filler tub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3의 'B-B' 방향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irection 'B-B'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필러튜브의 부분 단면도,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filler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의 'C-C' 방향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4;

도 7은 도 5의 작동 상태도,7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FIG.

도 8은 도 7의 'D-D' 방향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D' direction of FIG. 7.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가이드 22 : 호스20: guide 22: hose

24 : 보조관 30 : 댐퍼수단24: auxiliary pipe 30: damper means

31 : 오리피스 홀 32 : 횡경막31: orifice hole 32: diaphragm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필러튜브는 변속기 케이스의 굴곡부를 중심으로 분리된 강관이 배치되고 상기 강관 사이에 연통되게 배치된 호스가 상기 굴곡부에 대응되게 구부러져 오일 레벨게이지를 오일팬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호스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보조관과, 상기 보조관과 호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호스 및 보조관 사이의 단면적 변화에 따라 상기 호스와 보조관 사이에서 유동하는 유체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댐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vehicle filler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steel pipe is disposed around a bent portion of a transmission case, and a hose dispos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teel pipe is bent to correspond to the bent oil level gauge oil pan. Guides guided to the guide, an auxiliary pipe supporting the hose of the guide from outside, and a fluid disposed between the auxiliary pipe and the hose and flowing between the hose and the auxiliary pip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hose and the auxiliary pipe. And damper means for generating a resistan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필러튜브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C-C' 방향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의 'D-D' 방향 단면도이다.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filler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CC' of Figure 4, Figure 7 is an operating state of Figure 5, Figure 8 is a 'DD' cross-sectional view of FIG.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필러튜브 어셈블리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미도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며 일단부가 회전요소의 윤활을 위한 오일을 저장하고 있는 오일팬(미도시)과 연통되어 상기 오일팬의 오일량 적정 저장여부를 확인하는 오일 레벨게이지(미도시)를 안내하는 가이드(20)와, 유체(O)의 유동저항을 이용하여 엔진의 연소시 생기는 진동으로 인한 상기 가이드(20)의 떨림을 방지한 댐퍼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ller tub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long the outside of a transmission case (not shown) as shown in FIGS. 5 and 7 and has an oil pan (not shown) having one end storing oil for lubrication of the rotating element. And a guide 20 for guiding an oil level gauge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oil pan to confirm proper storage of the oil amount, and the vibration due to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engine is burned using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O.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mper means 30 to prevent the shaking of the guide 20.

상기 오일 레벨게이지는 상기 오일팬에 삽입되는 일단부에 오일 적정 저장량의 최고치와 최저치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 상기 오일 레벨게이지에 묻어나오는 오일이 상기 눈금의 최고와 최저 범위 내에 있으면 적정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The oil level gauge is marked at one end inserted into the oil pan to indicate the highest and lowest values of the proper oil storage amount, so that the oil level on the oil level gauge is within the maximum and minimum ranges of the oil level gauge. I keep it.

상기 가이드(20)는 변속기 케이스의 굴곡부를 중심으로 분리된 다수개의 철강재 강관(미도시)과, 상기 강관과 강관 사이를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굴곡부에 대응되게 임의대로 구부러지는 수지재질 호스(22)와, 상기 호스(22)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상기 호스(22)와 함께 구부러져 상기 호스(22)를 지지하는 보조관(24)으로 구성된다.The guide 2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teel pipes (not shown) separated around the bent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se, the steel pipe and the steel pip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correspond to the bent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se The resin hose 22 which bends as it is, and the auxiliary pipe 24 which spirally wound on the outer side of the hose 22, bends with the hose 22, and supports the hose 22.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보조관(24)은 요부(25a)와 철부(25b)를 갖으며 상기 호스(22)의 외측을 둘러싸는 다수개의 고리(25, 26, 27)가 일정거리 이동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서로 맞물려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어느 하나의 제1 고리(25)를 중심으로 상기 제1 고리(25)의 상측에 위치된 제2 고리(26)와 상기 제1 고리(25)의 하측에 위치된 제3 고리(27)간의 이격거리가 길수록 상기 호스(22)의 길이방향으로 길어지므로 호스(22)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이격거리를 점차적으로 가변시켜 상기 호스(22)가 변속기 케이스의 굴곡부를 따라 굴곡된 형상과 같은 형상을 취할 수가 있다.Here, the auxiliary pipe 24 has a recessed portion (25a) and the iron portion (25b) and a plurality of rings (25, 26, 27)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hose 22 in sequence to each other to move a certain distance It is made of an interlocking winding, the second ring 26 located above the first ring 25 with respect to any one first ring 25 and the agent located below the first ring 25 The long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hree loops 27, the longer the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se 22,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gradually vari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se 22, the hose 22 is bent along the bent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se It can take the same shape as the shape.

이러한 보조관(24)의 고리(25, 26, 27)는 상기 호스(22)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철강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호스(22)와의 사이에 소정의 점성을 갖는 반고체성 유체(O)가 저장되어 있다.Rings 25, 26, 27 of the auxiliary pipe 24 is made of steel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hose 22, semi-solid fluid (O) having a predetermined viscosity between the hose 22 ) Is stored.

다음, 상기 댐퍼수단(30)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호스(22)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관(24)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호스(22)와 보조관(24) 사이의 공간을 둘레방향으로 구획하며, 상기 반고체성 유체(O)가 유동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 홀(31)이 형성된 횡경막(32)으로 이루어진다.Next, the damper means 30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hose 22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auxiliary pipe 24 as shown in Figure 6 and 8 the hose 22 And a diaphragm 32 having an orifice hole 31 formed therein to allow the semi-solid fluid O to flow.

이와 같은 횡경막(32)은 상기 호스(22) 및 보조관(24)이 구부러짐에 따라 상기 호스(22)와 보조관(24) 사이의 폭도 둘레방향으로 가변되는 바, 상기 호스(22)와 보조관(24) 사이의 공간 폭의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고무 수지재질로 이루어진다.The diaphragm 32 as described above may be vari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hose 22 and the auxiliary pipe 24 as the hose 22 and the auxiliary pipe 24 are bent. It is made of a rubber resin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elastically respond to the change in the space width between the tube (24).

그리고, 상기 횡경막(32)의 오리피스 홀(31)에는 상기 횡경막(32)이 상기 호스(22)와 보조관(24) 사이의 공간 폭의 변화에 따라 신축되더라도 유체(O)가 횡경막(32)을 통과하는 단면적은 항상 일정하도록 원통형의 철강재 파이프(34)가 끼워진다.In addition, even when the diaphragm 32 is stretched or contract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space width between the hose 22 and the auxiliary pipe 24, the fluid O is diaphragm 32 in the orifice hole 31 of the diaphragm 32. Cylindrical steel pipe 34 is fitt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passing through is always constant.

즉, 상기 횡경막(32)의 오리피스 홀(31) 측 패널이 상기 원통형 파이프(34)의 외측면에 고정된다.That is, the orifice hole 31 side panel of the diaphragm 32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ipe 34.

또한, 상기 횡경막(32)은 상기 호스(2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4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four diaphragms 32 are arrange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se 22.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호스(22)가 곧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 보조관(24)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리(26)와 제3 고리(27)의 이격거리가 호스(22)의 둘레방향으로 동일하며, 4개의 횡경막(32) 폭 또한 모두 같고, 유체(O)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First, when the hose 22 is in a straight state, the auxiliary pipe 24 has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ing 26 and the third ring 27 as shown in FIGS. 5 and 6. Are the sam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widths of the four diaphragms 32 are all the same, and the fluid O is kept in a stopped stat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호스(22)가 변속기 케이스의 굴곡부를 따라 구부러지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관(24)도 상기 호스(22)와 같이 가장 수축률이 가장 큰 제1 선상에서 제2 고리(26)와 제3 고리(27)의 이격거리가 가장 짧아지고, 가장 인장률이 큰 제2 선상에서 제2 고리(26)와 제3 고리(27)의 이격거리가 가장 길어지며, 상기 제1 선상에서 제2 선상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제2 고리(26)와 제3 고리(27)간의 이격거리가 길어지면서 상기 호스(22)의 외측 형상과 같은 형상을 취한다.In this state, when the hose 22 is bent along the bent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se,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auxiliary pipe 24 also has the largest shrinkage on the first line as shown in the hose 22.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ing 26 and the third ring 27 is shortest,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ing 26 and the third ring 27 is longest on the second line having the largest tensile rate. A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ing 26 and the third ring 27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first line to the second line, it takes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hape of the hose 22.

한편, 상기 호스(22)와 보조관(24)의 형상이 변화됨에 따라 상기 호스(22)와 보조관(24) 사이의 공간 폭도 상기 제1 선상에서 가장 많이 줄어들고 제2 선상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가변된다.Meanwhile, as the shape of the hose 22 and the auxiliary pipe 24 is changed, the width of the space between the hose 22 and the auxiliary pipe 24 also decreases the most on the first line and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second line. It is variable in the direction of widening.

따라서, 상기 횡경막(32)도 상기 호스(22)와 보조관(24) 사이의 공간 폭이 가변됨에 따라 각각 그 가변된 폭에 대응되게 수축 또는 인장되며, 어느 하나의 횡경막(32)을 중심으로 좌우 압력차가 생겨 반고체성 유체(O)가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원통형 파이프(34)를 통해 유동된다.Accordingly, the diaphragm 32 is also contracted or stretched to correspond to the variable width as the space width between the hose 22 and the auxiliary pipe 24 is varied, with respect to any one diaphragm 32. The left and right pressure difference occurs and the semi-solid fluid O flows through the cylindrical pipe 34 from the high pressure to the low pressure.

그런데, 상기 원통형 파이프(34)는 상기 유체(O)가 횡경막(32) 간의 압력차로 인해 유동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단면적을 갖고 있지 않아 상기 유체(O)가 원통형 파이프(34)를 통과하면서 유동저항을 발생시켜 상기 가이드(20)에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흡수하므로 상기 진동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해 상기 호스(22) 및 보조관(24)이 순간적 변형되어 주위 구성부품과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the cylindrical pipe 34 does not have a sufficient cross-sectional area such that the fluid O may flow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diaphragms 32 so that the fluid O flows through the cylindrical pipe 34. By generating resistance to absorb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to the guide 20, the hose 22 and the auxiliary pipe 24 are momentarily deformed due to the vibration or shock,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components. can do.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필러튜브 어셈블리는 호스와 보조관 사이의 공간에 반고체성 유체를 채우고 그 공간에 오리피스 홀이 형성된 4개의 횡경막을 배치하여 호스와 보조관이 굴곡되면서 상기 공간의 폭이 둘레방향으로 가변됨에 따라 상기 횡경막 사이에 생기는 압력차로 상기 유체를 흐르게 하며, 유체가 상기 오리피스 홀를 통과하면서 유동저항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필러튜브에 가해지는 외부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필러튜브의 강도 저하 및 떨림으로 인한 주위 구성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filler tub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lls a semi-solid fluid in a space between a hose and an auxiliary pipe, and arranges four diaphragms in which an orifice hole is formed in the space, thereby bending the hose and the auxiliary pipe. As the width vari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luid flows with a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diaphragms, and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orifice hole to generate flow resistance, thereby absorbing external vibration applied to the filler tube, thereby decreasing the strength of the filler tub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 components due to shaking.

Claims (7)

변속기 케이스의 굴곡부를 중심으로 분리된 강관이 배치되고, 상기 강관 사이에 연통되게 배치된 호스가 상기 굴곡부에 대응되게 구부러져 오일 레벨게이지를 오일팬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호스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보조관과; 상기 보조관과 호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호스 및 보조관 사이의 단면적 변화에 따라 상기 호스와 보조관 사이에서 유동하는 유체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댐퍼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필러튜브 어셈블리.A guide having a steel pipe separated around the bent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se, the hose dispos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teel pipe bent to correspond to the bent portion to guide the oil level gauge to the oil pan; An auxiliary pipe supporting the hose of the guide from the outside; And a damper means disposed between the auxiliary pipe and the hose to generate resistance to a fluid flowing between the hose and the auxiliary pip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hose and the auxiliary pi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댐퍼수단은 탄성력을 갖고 상기 호스와 탄성관 사이의 공간을 원주방향으로 구획하며,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 홀이 형성된 횡경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필러튜브 어셈블리.The damper means has a resilient force and partitions the space between the hose and the elastic tub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vehicle filler tub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iaphragm formed with an orifice hole to allow fluid to flow.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횡경막은 고무 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일측이 상기 보조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호스의 외측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필러튜브 어셈블리.The diaphragm is made of a rubber resin material, the one side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pipe and the other side is a vehicle filler tub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s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횡경막은 상기 호스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4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필러튜브 어셈블리.The diaphragm is a vehicle filler tub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ur arrang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s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오리피스 홀에는 상기 횡경막이 신축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단면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원통형 파이프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필러튜브 어셈블리.The orifice hole is a vehicle filler tub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pipe is arranged to maintain a constant cross-sectional area at all times, even if the diaphragm is stretched.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원통형 파이프는 철강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필러튜브 어셈블리.The cylindrical pipe is a vehicle tub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stee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체는 소정의 점성을 갖는 반고체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필러튜브 어셈블리.And the fluid is semi-solid having a predetermined viscosity.
KR10-2001-0072210A 2001-11-20 2001-11-20 Pilar-tube assembly for automobile KR1004451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210A KR100445151B1 (en) 2001-11-20 2001-11-20 Pilar-tube assembly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210A KR100445151B1 (en) 2001-11-20 2001-11-20 Pilar-tube assembly for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21A KR20030041421A (en) 2003-05-27
KR100445151B1 true KR100445151B1 (en) 2004-08-21

Family

ID=2957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210A KR100445151B1 (en) 2001-11-20 2001-11-20 Pilar-tube assembly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1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868B1 (en) * 2002-07-09 2004-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Bellows pipe struct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449U (en) * 1986-06-27 1988-01-12
JPH051047U (en) * 1991-06-24 1993-01-08 イグスジヤパン株式会社 Cable retainer
JPH05288243A (en) * 1992-04-08 1993-11-02 Harmo:Kk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guide chain of cable, etc.
KR19980019857U (en) * 1996-10-08 1998-07-15 박병재 Insulator structure of the car
KR19990033402A (en) * 1997-10-24 1999-05-15 정몽규 Liquid enclosure mou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449U (en) * 1986-06-27 1988-01-12
JPH051047U (en) * 1991-06-24 1993-01-08 イグスジヤパン株式会社 Cable retainer
JPH05288243A (en) * 1992-04-08 1993-11-02 Harmo:Kk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guide chain of cable, etc.
KR19980019857U (en) * 1996-10-08 1998-07-15 박병재 Insulator structure of the car
KR19990033402A (en) * 1997-10-24 1999-05-15 정몽규 Liquid enclosure mou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21A (en)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1345B2 (en) Center bearing bush unit for propeller shaft
JP4938248B2 (en) Vibration isolator
EP2023006B1 (en) Fluid filled type vibration damping device
US20100140856A1 (en) Fluid-filled cylindrical vibration-damping device
CN102803783B (en) Vibrationproof device
JP2006125617A (en) Vibration damper
JPH08883U (en) Tubular rubber spring
US6435486B2 (en) Hydraulically damping rubber support
US6672574B2 (en) Fluid-filled cylindrical vibration damping device
EP2420701B1 (en) Vibration-insulating cylindrical mount
KR100931496B1 (en) Air damping engine mount
KR100445151B1 (en) Pilar-tube assembly for automobile
US4923178A (en) Fluid-filled cylindrical elastic mount
JP4906768B2 (en) Vibration isolator
US8439335B2 (en) Air-damped engine mount
KR2018011875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uffer and buffer
US5176369A (en) Fluid-filled cylindrical elastic mount having rigid protrusion axially defining fluid chamber
JPH09257186A (en) Joint for pipe with orifice
JP4473105B2 (en) Hydraulic shock absorber for vehicles
CN207579577U (en) Engine Mounting System
KR20100011769A (en) Air damping engine mount
JP4602821B2 (en) Vibration isolator
JPH10141425A (en) Vibrationproof device
WO2016157990A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JP2006144817A (en) Vibration dam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