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900B1 -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900B1
KR100444900B1 KR10-2002-0006450A KR20020006450A KR100444900B1 KR 100444900 B1 KR100444900 B1 KR 100444900B1 KR 20020006450 A KR20020006450 A KR 20020006450A KR 100444900 B1 KR100444900 B1 KR 100444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sodium
cosmetic
surfactant
silic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867A (ko
Inventor
이명석
김진우
홍종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2-000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9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66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2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on alkali or ammonium soa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26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08Water-soluble compounds
    • C11D9/10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25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력, 경도 및 사용감이 개선된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누제조의 습식공정시 팜오일 및 팜핵유에서 유래된 지방산 나트륨솝 80~97중량부, 계면활성제 1~10중량부, 양이온 폴리머 1~5중량부 및 무기염 1~5중량부를 첨가하여 기포력, 경도 및 사용감이 개선된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Soap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기포력, 경도 및 사용감이 개선된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누의 기포력, 경도 및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해 계면활성제, 무기염, 양이온 폴리머 등 다양한 첨가제를 기존의 습식공정에서 배합하여 제조된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비누는 고급지방산의 알카리염으로써 풍부한 기포와 개운한 세정력으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진 것으로, 화장비누는 각종 동물성 유지 및 식물성 유지를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비누화 반응을 시킨 다음, 수분 12~15%정도의 니트솝(neat soap)을 만든 후, 불쾌한 취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향을 첨가하고 피부의 보습성, 윤활성을 위하여 각종 유연제나 보습제 등 기타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첨가제를 추가로 배합하여 고형으로 제조된 것을 말한다.
일반적인 화장비누의 제조방법은 크게 나누어 비누기재(soap base)를 제조하는 습식공정과 제조된 비누기재에 향, 색소, 산화방지제 등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압출시켜 절단, 타형을 거쳐 최종제품을 생산하는 건식공정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상기에서 비누기재를 제조하는 습식공정은 오일에 가성소다를 부가하여 제조하는 검화법(saponification), 지방산에 가성소다를 부가하여 제조하는 중화법(neutralization), 및 유지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메틸에스테르를 제조한 후, 메틸에스테르와 가성소다를 반응시켜 비누를 생성시키는 메틸에스테르 검화법 (methyl ester saponification) 반응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독립적인 배치(batch)식의 특수비누에 유용한 Saponiflex 공정이 있는데, 이는 지방산으로부터 완전히 혼합된 비누까지를 모두 한 공정으로 수행 할 수 있는 비교적 새로운 공정이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비누는 지방산에 가성소다를 부가하여 제조하는 중화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인 비누의 제조방법으로는 상기의 다양한 제조법으로 제조된 니트 비누(neat soap)을 적절한 온도와 압력조건 하에서 열 교환기를 거쳐 스프레이 건조기(spray dryer)에서 분무되어져서 건조된 후, 비누기재(soap base)로 제조되어진다. 그후, 제조된 비누 칩에 산화방지제, 증백제, 향, 색소를 혼합하고, 압출공정 및 롤밀을 거쳐 균일하게 혼합된 후 둥근 바(bar) 형태로 압출시키고 일정크기로 잘라 프레스로 성형(건식공정)한 후, 포장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조되어진 비누의 품질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사용되어지는 오일의 조성이며, 이때 사용되어지는 오일의 종류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팜핵유 등의 다양한 종류의 오일이 사용되어지고 있다.이 중 가장 일반적인 오일조성으로는 팜유 및 팜핵유 또는 야자유의 오일함량의 8:2가 가장 보편적이며, 이는 기포력이 우수하고 경도면에서 적절하기 때문이다.
한편, 좀 더 풍부한 기포와 매끄러운 사용감을 주기 위하여 저급지방산이 많이 포함된 팜핵유 지방산이나 야자유 지방산의 함유량을 증대시키는 등의 오일조성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이는 팜핵유나 야자유 지방산에 특히 많이 포함되어 있는 저급지방산에 의해 라우릭산(lauric acid) 비누 특유의 크고 풍성한 기포로 비누의 기포력은 증진되나, 최종 비누의 제품이 물러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출원 제 3,576,749호에서는 비누의 습식공정에서 지방알콜(fatty alcohol)이나 라놀린(lanolin),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또는 고급알콜(higher alcohol) 등의 과지방제(superfatting agent)를 첨가하여 좀 더 부드러운 기포와 부드러운 사용감을 주는 과지방(superfatting) 기술을 도입하여 비누의 기포력을 증가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저급 지방산에 다량으로 함유된 오일의 증량이나 과지방제를 첨가한 비누는 상대적으로 비누의 경도가 떨어져서 비누의 작업성이 저해되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nonsuperfatting 비누와 비교하여 제조되어진 비누기재는 경도가 낮아서 건식공정에서의 계면활성제, 기타보습제, 향 등의 액상첨가제 첨가시에 비누의 압출 및 성형성 등의 작업성이 저해되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비누의 제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액상 및 고상의 첨가제의 함량에는 차이가 있지만, 일반 화장비누에서는 다양한 액상 첨가제 및 고상 첨가제의 사용이 매우 제한적일 수가 있으며, 과량의 액상 성분은 비누의 경도를 저하시켜 하여 비누의 작업성 및 성형성을 저해하고, 고상의 분말 성분은 과량 사용 시에 비누의 최종제품에 모래와 같은 이물감이 느껴지는 sandy feel현상이 발생되어 사용품질의 저해를 가져온다. 따라서, 건식공정에서 통상의 액상성분은 3~5중량%이상을 초과하기 어려우며 이미 제조되어진 비누기재 공정에서 건식공정을 통한 보습력이나 기포력의 개선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포력, 사용감 및 경도가 개선된 화장비누를 연구한 결과, 습식공정에서 계면활성제, 양이온 폴리머, 무기염 등의 첨가제를 배합하여 제조된 비누는 기포력, 경도 및 사용감이 개선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누의 기포력, 사용감 및 경도를 개선할 수 있는 첨가제를 기존 습식공정에서 배합하여 고품질의 비누기재를 제조할 수 있는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보습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습식공정에서 계면활성제, 무기염, 양이온 폴리머 등의 첨가제가 함유되도록 하는 화장비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비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비누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에 적정량의 알카리제를 첨가하여 중화시킨 니트 비누인 팜오일 및 팜핵유에서 유래된 지방산 나트륨솝 80~97중량부에, 계면활성제 1~10중량부, 사용감 개선을 위한 양이온 폴리머(cation polymer) 1~5중량부 및 경도증대를 위해 무기염인 액상 규산 나트륨(sodium silicate) 1~5중량부를 습식공정에서 첨가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습식공정에서는 지방산을 알칼리제로 중화시킨 니트비누에 계면활성제, 양이온 폴리머, 무기염 등의 첨가제를 배합하는데, 이때 일반비누의 니트비누는 일반적으로 수분함량이 30%을 나타낸다. 상기 니트비누를 125~145℃의 온도에서 투입하여 열 교환기 및 스프레이 건조기를 통과시켜 건조시킨다. 일반비누의 경우는 수분함량이 11~15%, 과지방제 비누에서는 9~11%의 수분량이 될때까지 건조시키며, 상기 열 교환기의 증기압은 일반비누의 경우는 5~6bar의 증기압 및 과지방제 비누의 경우는 6~7 bar의 증기압을 나타낸다. 또한, 스프레이 건조기(spray dryer)의 진공조건은 일반비누의 경우는 35~45torr 및 과지방제 비누의 경우는 30~40torr의 작업조건 하에서 시행하여 비누기재(soap base)를 냉각, 건조시켜 제조하게 된다.
다음, 상기 습식공정에서 제조된 비누기재를 혼합기(Kneader)에 넣고 5~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컨베이어(conveyer)를 통해 압출기(plodder)를 거쳐 압출시킨다. 그후, 좀 더 균일한 혼합을 위해 3단이나 5단의 롤밀을 통과하여 다시 한번 압출되고 절단되어 프레스로 성형하여 비누제품이 만들어진다. 이때, 압출기에 사용되어지는 메시(mesh)의 크기는 40~60이며, 바람직하게는 60이다. 또한, 상기에서 바의 압출온도는 40℃이다.
본 발명에서 니트비누(neat soap)는 지방산에 가성소다를 부가하여 생성된 수분 20~30%의 비누물질을 의미하며, 비누기재(soap base)는 상기 니트비누를 건조시켜 일정한 형태로 고형화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통상적으로 비누의 기포력 증진을 위해 사용되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살코시네이트(Sarcosinates), 설포석시네이트 (sulfosuccinates), 아실글루타메이트(acylglutmate)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코코아미도디에탄올아미드(Cocamido diethanolamide),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alkyl polyglucoside), 폴리솔베이트 20(polysorbate 20), PEG-100 스테아레이트 (Stearate), 폴리솔베이트60(polysorbate 60)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cocoamidopropyl Betaine) 등의 양면성 계면활성제와 같이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어진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팜오일 및 팜핵유에서 유래된 지방산 니트솝에 대하여 1~10중량부이며, 사용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는 니트비누의 건조에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고 최종 제품에서 작업성 및 성형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사용감 개선을 위해 사용되어지는 양이온 폴리머로는 폴리퀴터늄 7(polyquternium 7), 폴리퀴터늄10(polyquternium 10) 등이 사용되며, 사용량은 팜오일 및 팜핵유에서 유래된 지방산 나트륨솝에 대하여 1~5중량부 가 적당하다. 사용량이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는 니트비누의 건조에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고 최종 제품에서 작업성이 저하되며 최종제품 성형시 모양의 이형 및 타형의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경도 개선을 위해 사용되어지는 무기염은 액상의 규산 나트륨(sodium silicate) 등이 사용되어지는데, 나트륨(sodium) 및 규산염(silicate)의 함량변화에 따라 1종, 2종, 3종, 4종의 제품이 사용되고 이러한 종류의 무기염으로서는 디소듐 포스페이트(disodium phosphate), 디소듐 피로포스페이트(disodium pyrophosphate), 포타슘 실리케이트(potassium silicate), 소듐 알루미네이트(sodium Aluminate), 소듐 옥살레이트(sodium oxala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염의 사용량은 팜오일 및 팜핵유에서 유래된 지방산 나트륨솝에 대하여 1~5중량부가 바람직하며, 과다한 무기염의 사용은 비누의 최종제품 제조시 비누 바의 압출을 어렵게 하고 비누제품의 사용시 cracking(비누의 갈라짐)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감 개선을 위해 글리세린(glycerine), 솔비톨(sorbit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등의 폴리올(polyol)류, 보습감 증진을 위해 수크로오스(sucrose), 소듐 락테이트(sodium lactate), PCA-Na, 요소(Urea), 및 작업성 및 사용감 증대를 위해 guar gum, 카보머(carbomer)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조된 화장비누는 습식공정에서 첨가된 계면활성제와 양이온 폴리머에 의해 풍부한 기포력과 보습력 및 사용감을 가지고 되고, 또한 저급 지방산이 많이 함유된 오일조성으로 제조된 지방산이나 과지방제가 첨가된 부드러운 비누기재에서도 우수한 경도 및 사용감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에서 제조된 비누기재에다시 건식공정을 가능하게하여 종래보다 많은 양의 계면활성제와 보습제 등을 함유하면서도 비누의 작업성 및 성형성은 일반비누와 동일하며 기존의 일반비누보다 풍부한 기포력 및 사용감을 가지고, 또한 일반 비누제품과 동일한 품질특성(팽윤도, 물러짐 등)을 갖는 비누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제조공정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비누의 제조공정은 습식공정 및 건식공정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제조공정>
1) 습식 공정
식물유 유래 오일 지방산에 적정량의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중화반응을 시키고, 중화시켜 제조된 니트비누에 계면활성제, 양이온 폴리머, 무기염 등의 첨가제를 배합하고, 이때 일반비누의 니트비누는 일반적으로 수분함량이 30%을 나타낸다. 상기 니트비누를 125~145℃의 온도에서 투입하여 열 교환기 및 스프레이 건조기를 통과시켜 건조시킨다. 일반비누의 경우는 수분함량이 11~15%, 과지방제 비누에서는 9~11%의 수분량이 될때까지 건조시키며, 상기 열 교환기의 증기압은 일반비누의 경우는 5~6bar의 증기압 및 과지방제 비누의 경우는 6~7bar의 증기압을 나타낸다. 또한, 스프레이 건조기(spray dryer)의 진공조건은 일반비누의 경우는 35~45torr 및 과지방제 비누의 경우는 30~40torr의 작업조건 하에서 시행하여 비누기재(soap base)를 냉각, 건조시켜 제조하게 된다.
2) 건식 공정
일반적으로 건식공정은 상기 습식공정에서 제조된 비누기재를 혼합기(kneader)에 넣고 5~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컨베이어(conveyer)를 통해 압출기(plodder)를 거쳐 압출된다. 그후, 좀 더 균일한 혼합을 위해 3단이나 5단의 롤밀을 통과시킨 후 다시 한번 압출하고 절단되어 프레스로 성형하여 비누제품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압출기에 사용되어지는 메시(mesh)의 넘버는 40~60이며, 바람직하게는 60이다. 또한, 바의 압출온도는 38~40℃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습식공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비누기재는 상기의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되었으며,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비누기재의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각 조성물의 단위는 중량%이다.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니트비누(Neat Soap) 80.0 83.0 85.0 83.0 80.0
규산 나트륨(Sodium silicate) 0.5~1.0 1.0~2.0 - - -
폴리퀴터늄7(Polyquternium 7) 2.0 4.0 - - -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cocoamidopropyl betain) 2.0 4.0 - - -
수분함량(moisture content)(% H2O) 15~11 11~9 15~11 11~9 15~20
열교환기 압력(bar) 5~6 6~7 5~6 6~7 5~6
스프레이 건조기(Spray dryer)(Torr) 35~45 30~40 35~45 30~40 35~45
[건식공정]
실시예 1
습식공정에서 규산 나트륨,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폴리퀴터늄 7을 첨가하여 제조된 비누기재에 건식공정에서는 향, 색소, 증백제,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표 2에 나타낸 조성으로 첨가한 후, 5분간 균일 혼합하여 1차 압출기를 통과시키고 롤밀과 다시 2차 압출기를 거쳐 절단하고 타형하여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습식공정에서 규산 나트륨,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폴리퀴터늄 7을 첨가하여 제조된 비누기재에 건식공정에서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으로 계면활성제에서의 소듐 자일린 설페이트(sodium xylene sulfate)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와 달리 건식공정에서 규산 나트륨,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폴리퀴터늄 7을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습식처방에서의 첨가제 함량 및 건식공정에서의 계면활성제 및 보습제의 함량을 감소시켜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으로 제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습식처방에서의 첨가제 함량을 줄이고 건식공정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으로 제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으로 제품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 2 비교예 3
비누기재 96.6 95.6 96.3 92.6 90.6
규산 나트륨(Sodium silicate) - - 0.5 1.0 1.0
폴리퀴터늄 7(Polyquternium 7) - - 0.3 1.5 2.0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cocoamidopropyl betain) - - 0.5 1.5 2.0
소듐 자이린 설페이트(Sodium xylene sulfate) - 1 - - 1.0
TiO2 0.2 0.2 0.2 0.2 0.2
BHT 0.2 0.2 0.2 0.2 0.2
글리세린(Glycerine) 1.0 1.0 0.5 1.0 1.0
C.D.E 1.0 1.0 0.5 1.0 1.0
색소 q.s q.s q.s q.s q.s
1.0 1.0 1.0 1.0 1.0
[시험예 1] 작업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비누의 작업성을 비교하기 위해 통상의 비누제조방법에서 압출기(plodder)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고 타형시 최종제품의 이형이나 변형 등의 유무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가.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양호 : 바 형태의 유지 및 성형성이 일반비누와 동일하게 제조됨
약간 나쁨 : 바의 작업성 및 성형성의 저하로 통상의 평균작업속도에서 10%이내의 작업속도로 저하됨
나쁨 : 바의 압출성 및 성형성의 저하로 작업이 어려움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작업성 양호 양호 약간 나쁨 약간나쁨 나쁨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양호한 작업성을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3에서 보듯이 습식처방에서 첨가된 내용물을 건식에서 동일하게 처방하였을 때는 바 압출이나 성형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경도(hardness)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비누의 경도(hardness)를 측정하기 위해, 레오미터(rehometer)를 사용하여 끝이 둥근 1번 침으로 2㎝/min의 속도로 시료 1㎝깊이까지의 경도세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경 도 170 180 150 145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실시예가 우수한 경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기포력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기포력을 측정하기 위해, dynamic foam test를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비누용액(soap solution) 0.1% 제조하여 27℃ 및 37℃에서 적정용기에 용액을 담은 후, dynamic foam test에 장착된 agi mixer를 3,000rpm의 속도로 1분간 회전시킨다. 그 후, 30초 후에 생성된 기포의 높이를 초기기포로 보고 일정시간(4분)이 경과하면서 초기에 생성된 기포가 꺼진 후의 기포의 높이를 측정한 결과를 기포의 안정성으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초기기포 952㎜ 963㎜ 900㎜ 920㎜
4분 후 기포 541㎜ 550㎜ 500㎜ 490㎜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우수한 기포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계면장력
계면장력은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에서 기포력과 세정력의 척도가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계면장력을 측정하였다. 우선, 0.01% 비누용액을 제조한 후 25℃의 온도에서 계면장력계(surface tensiometer)를 사용하여 각 시료용액의 계면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계면장력(단위:mN/m) 22.5 19.0 24.0 23.0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계면장력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계면장력이 낮을수록 비누의 기포력이나 세정력이 증대됨을 의미하므로, 상기 시험예 3의 기포력과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보습력(corneometer)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보습력을 측정하기 위해 피부수분정도를측정하는 corn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시 측정의 probe는 7㎜사방에 방형전극(전극의 폭:50㎛, 간격: 75㎛)을 배치하고, probe를 피부에 밀어붙여 평균 1MHz의 주파수로 전기용량을 구하여 피부표층의 수분을 측정하였다. 측정인원은 20명으로 하였으며, 측정시간은 측정직후부터 3시간 후까지의 피부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1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실시예가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제공된 화장비누는 습식공정에서 무기염 및 계면활성제와 폴리머를 적절한 조건 하에서 첨가함으로써 기존의 건식처방에서 얻을 수 없었던 경도와 기포력 및 사용감에서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화장비누 제형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습식공정 및 건식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화장비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습식공정에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에 알카리제를 첨가하여 중화시킨 니트비누인 팜오일 및 팜핵유에서 유래된 지방산 나트륨솝 80~97중량부에,
    계면활성제 1~10중량부, 양이온 폴리머 1~5중량부 및 무기염 1~5중량부를 첨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면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살코시네이트(Sarcosinates), 설포석시네이트(sulfosuccinates), 아실글루타메이트 (acylglutm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코코아미도 디에탄올아미드(Cocamidodiethanolamide),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alkylpolyglucoside), 폴리솔베이트 20(polysorbate 20), PEG-100 스테아레이트 (Stearate), 폴리솔베이트60(polysorbate 6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은 규산 나트륨(sodium silicate)으로, 나트륨(sodium) 및 규산염(silicate)의 함량변화에 따라 디소듐 포스페이트 (disodium phosphate), 디소듐 피로포스페이트(disodium pyrophosphate), 포타슘 실리케이트(potassium silicate), 소듐 알루미네이트(sodium Aluminate), 소듐 옥살레이트(sodium oxa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폴리퀴터늄 7 (polyquternium 7) 또는 폴리퀴터늄 10(polyquternium 10)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공정은 계면활성제, 무기염 및 양이온 폴리머를 125~145℃의 온도에서 니트비누에 첨가하여 일반비누의 경우는 수분함량이 11~15%, 과지방제 비누에서는 9~11%의 수분량이 될때까지 열 교환기 및 스프레이 건조를 통과하여 건조시켜 비누기재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는 일반비누의 경우 5~6bar의 증기압 및 과지방제 비누의 경우 6~7bar의 증기압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건조기(spray dryer)는 일반비누의 경우 35~45torr 및 과지방제 비누의 경우 30~40torr의 압력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의 제조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한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비누.
KR10-2002-0006450A 2002-02-05 2002-02-05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44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450A KR100444900B1 (ko) 2002-02-05 2002-02-05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450A KR100444900B1 (ko) 2002-02-05 2002-02-05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867A KR20030066867A (ko) 2003-08-14
KR100444900B1 true KR100444900B1 (ko) 2004-08-21

Family

ID=3222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450A KR100444900B1 (ko) 2002-02-05 2002-02-05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686B1 (ko) 2004-08-21 2006-10-25 안천우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288A (ko) * 2003-08-18 2005-03-03 씨제이 주식회사 화장비누 조성물
KR20240081823A (ko) 2022-12-01 2024-06-10 (주)동구밭 화장비누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비누 제조방법 및 그 화장비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6598A (ja) * 1988-04-05 1989-10-13 Kanebo Ltd 石鹸組成物
KR950005918A (ko) * 1993-08-02 1995-03-20 가또 히데오 적색계 반응성 염료, 그의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염색법
WO1997002023A1 (en) * 1995-06-30 1997-01-23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USE OF Stat 6 SH2 DOMAIN SPECIFIC COMPOUNDS TO TREAT ALLERGIC REACTIONS
KR970002050A (ko) * 1995-06-01 1997-01-24 상하 한쌍의 판으로 구성한 내연기관용 금속 적층형 가스킷
KR20000069976A (ko) * 1997-01-08 2000-11-25 알 브이 테이트 (로드니 비버스 테이트), 에이치 드로이. 씨. 지. 오닌크, 이. 에디, 산드라 웨드워즈 (에스 제이 에드워즈) 비소포성의 소수성 중합체에 의해 예비 증점된 저점성 오일을포함하는 바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6598A (ja) * 1988-04-05 1989-10-13 Kanebo Ltd 石鹸組成物
KR950005918A (ko) * 1993-08-02 1995-03-20 가또 히데오 적색계 반응성 염료, 그의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염색법
KR970002050A (ko) * 1995-06-01 1997-01-24 상하 한쌍의 판으로 구성한 내연기관용 금속 적층형 가스킷
WO1997002023A1 (en) * 1995-06-30 1997-01-23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USE OF Stat 6 SH2 DOMAIN SPECIFIC COMPOUNDS TO TREAT ALLERGIC REACTIONS
KR20000069976A (ko) * 1997-01-08 2000-11-25 알 브이 테이트 (로드니 비버스 테이트), 에이치 드로이. 씨. 지. 오닌크, 이. 에디, 산드라 웨드워즈 (에스 제이 에드워즈) 비소포성의 소수성 중합체에 의해 예비 증점된 저점성 오일을포함하는 바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686B1 (ko) 2004-08-21 2006-10-25 안천우 피부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867A (ko)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94912A (en) Isethionate detergent bar
US5264144A (en) Freezer personal cleansing bar with selected fatty acid soaps for improved mildness and good lather
US5965508A (en) Soap bar compositions comprising alpha sulfonated fatty acid alkyl esters and long chain fatty acids
US5540852A (en) Personal cleansing bar with tailored fatty acid soap
KR100235692B1 (ko) 투명한 개인용 세정 바
US5387362A (en) Personal cleansing bar with tailored base soaps with mixed counterions for improved mildness and processability without lather negatives
WO2006062665A1 (en) Soap bars comprising alpha sulfonated alkyl ester or sulfonated fatty acid
US20080058236A1 (en) Soap Bar Compositions Comprising Alpha Sulfonated Alkyl Ester or Sulfonated Fatty Acid and Synthetic Surfacta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5530861A (ja) α−スルホン化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及び多価アルコールを含む固形石鹸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
CA2454364A1 (en) Improved detergent bar and a process for manufacture
KR101162393B1 (ko) 마사지용 막대비누
JPH0565499A (ja) 固形洗浄剤
US6846787B1 (en) Fatty acid soap/fatty acid bars which process and have good lather
US5952276A (en) Soap bar composition
KR100444900B1 (ko)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US6228822B1 (en) Synthetic detergent base material and synthetic detergent bar produced therefrom
PL191146B1 (pl) Kształtka z kompozycji na bazie detergentów syntetycznych
US20050277561A1 (en) Soap composition
WO2007133582A1 (en) Soap bar compositions comprising alpha sulfonated alkyl ester or sulfonated fatty acid and synthetic surfacta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1399534A1 (en) Soap composition
US20060241003A1 (en) Soap bar compositions comprising alpha sulfonated alkyl ester and polyhydric alcoho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0119484B1 (ko) 고형 인체세정제 조성물
KR100468179B1 (ko) 비누바조성물
JPH03277698A (ja) 固形洗浄剤
US20060258551A1 (en) Soap bar compositions comprising alpha sulfonated alkyl ester and polyhydric alcoho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