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402B1 -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이를 이용한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 Google Patents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이를 이용한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402B1
KR100438402B1 KR10-2001-0030110A KR20010030110A KR100438402B1 KR 100438402 B1 KR100438402 B1 KR 100438402B1 KR 20010030110 A KR20010030110 A KR 20010030110A KR 100438402 B1 KR100438402 B1 KR 100438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s
vitamin
oil
comparative
p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1858A (ko
Inventor
김영대
박근자
김정수
김지수
Original Assignee
김영대
박근자
김정수
김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박근자, 김정수, 김지수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10-2001-0030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402B1/ko
Publication of KR20020091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이 적은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에서
R1은 -(O-CH2CH2)m- 이고,
m은 0 내지 350의 정수이며,
R2는 H(OCH)CH3)2)n- 이고,
n은 1 내지 250의 정수이며,
A는또는이고,
B는 비타민 E의 5-, 7- 또는 8- 위치의 CH3이며,
p는 1 내지 3이다.

Description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이를 이용한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OIL-IN-WATER TYPE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WITH LOW VISCOSITY USING POLYOXYPROPYLENE-POLYOXYETHYLENE VITAMIN E}
본 발명은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POP-POE) 비타민 E를 이용한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화 화장료는 서로 혼화되지 않는 유성 성분과 수성 성분을 계면활성을 갖는 유화제를 사용하여 안정하게 혼합시킨 것으로, 유성 또는 수성 성분을 단독으로 또는 각각을 따로 모두 사용한 경우보다 보습 및 영양 공급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료 제품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유화 화장료는 일반적으로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유화 화장료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화장료의 점도를 증가시키거나, 전해질을 가하거나, 유성과 수성 성분의 비율을 조정하거나, 유상에 고급지방 알콜, 왁스 등을 사용하거나, 수상에 카복시비닐 고분자, 셀룰로즈 유도체, 벤토나이트 등의 점증제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시도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의해 제조된 유화 화장료들도 근본적으로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분리가 일어나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물과 같은 흐름성을 갖는 저점도 유화 화장료는 장기간 안정하게 보존하기 어려운데, 구체적으로 40 ℃ 정도의 고온에서 약 3 개월이 되기 전 또는 25 ℃ 정도의 실온에서는 약 2 년의 기간내에 안정성이 상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미 고온과 실온에서도 상당히 안정한 우유를 사용한 저점도 유제를 개발한 바 있다(특허등록번호 제112987호). 또한 이 특허에서는 우유 외에도 액정 생성력이 우수한 폴리옥시에틸렌(POE) 비타민 E를 추가로 사용하여 더욱 안정한 저점도 수중유형 유제를 제조한 바 있는데, 이 유제는 저점도이면서도 피부에 사용할 경우 우수한 액정 형성으로 인해 피부가 매끈해지고 탄력이 있으며 보습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는 유제의 제조시 일반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사용함으로써 1 내지 4 톤 규모의 대량 생산시 호모게나이저 기기의 마찰에 의한 검은 불순물이 생기고, 얻어진 유제를 고온과 실온에서 각각 5일씩 3회 반복 보관할 경우 상분리 현상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 유제에 사용된 POE 비타민 E는 민감성 피부에서 안전성 문제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였다. 특히 산화 에틸렌 몰수가 12 내지 15 인 POE 비타민 E를 사용한 경우에는 그 정도는 낮으나 여전히 부작용을 나타내었고, POE 비타민 E의 산화 에틸렌 몰수가 40 이상인 경우에는 부작용이 해소되었으나 점도가 높고 안정성이 떨어지며 사용 효과도 저조하여 목적하는 저점도 수중유형 유제를 만들 수 없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계면활성을 갖는,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POP-POE) 비타민 E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1998-20705호(한국 특허공개 제2000-840호)로 출원하였으며, 이 POP-POE 비타민 E의 항산화제로서의 용도를 발견하여 특허출원 제2000-13818호로 출원한 바 있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O-CH2CH2)m- 이고,
m은 1 내지 350의 정수이며,
R2이고,
n은 1 내지 250의 정수이며,
A는또는이고,
B는 비타민 E의 5-, 7- 또는 8- 위치의 CH3이며,
p는 1 내지 3이다.
이 POP-POE 비타민 E에서는 토코페롤의 배향성이 방해되지 않으면서 소수성이 향상되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우수한 항산화 활성과 계면활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이 적은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POP-POE) 비타민 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O-CH2CH2)m- 이고,
m은 1 내지 350의 정수이며,
R2이고,
n은 1 내지 250의 정수이며,
A는또는이고,
B는 비타민 E의 5-, 7- 또는 8- 위치의 CH3이며,
p는 1 내지 3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화학식 1의 POP-POE 비타민 E 중에서 m이 30 내지 70의 범위이고 n이 10 내지 3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m이 45 내지 60 범위이고 n이 15 내지 30 범위이다.
화학식 1의 POP-POE 비타민 E는 한국 특허공개 제2000-840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얻을 수 있다.
POP-POE 비타민 E는 계면활성과 액정생성력이 우수하며, 피부에 끈적임이 적은 얇은 막을 형성하여 탁월한 에몰리엔트 기능을 가지며, 또한 항산화 활성을 가진다. 따라서 POP-POE 비타민 E가 유화 화장료에 포함될 경우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 피부의 윤기와 유연성을 향상시켜 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POP-POE 비타민 E는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POP-POE 비타민 E 외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화장료 성분으로는, 피부용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는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유성 성분과 수용성 성분들이 있는데, 대표적인 유성 성분으로는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 카프릭카프리릭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합성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등의 합성에스테르 유; 호호바유, 올리브유, 사플라워유 등의식물유; 밍크오일 등의 동물유; 비타민 A, E, F 등의 지용성 비타민 및 이의 유도체 등이 있으며, 수용성 성분으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올류; 히아루론산, 콘드로이틴설페이트, 글루코사민 등의 뮤코폴리사카로이드; 비타민 C, 판테놀 등의 수용성 비타민류 및 이의 유도체;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2-하이드록시, 4-메톡시 벤조페논을 비롯한 벤조페논 유도체; 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파솔 MCX)와 같은 신나민산 유도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파솔 1789) 등의 자외선 흡수제, 그 외 피부보호 효과가 우수한 알란토인, 아미노산, 단백질, 플라보노이드, 우유, 꿀 및 피부착색효과가 있는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등의 첨가성분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POP-POE 비타민 E 외에도 토코페롤 또는 이의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토코페롤의 유도체의 예로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토코페릴리놀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바스프사(독일)이나 로슈사(스위스)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이 경우 POP-POE 비타민 E가 토코페롤 또는 이의 유도체가 함께 사용되면 피부보호 효과를 상승시키는 장점이 있다. POP-POE 비타민 E에 대한 토코페롤 또는 이의 유도체는 1:30 내지 30:1의 중량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0:1의 중량비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로서 POP-POE 비타민 E를 사용함으로써, 액정 형성이 용이하여 조성물이 보다 안정하고 사용감이 가볍고 매끈하며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호모게나이저 뿐만 아니라 아지믹서로도 메조페이스 유화(mesophase emulsion) 방법으로 간단히 안정한 유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는 종래의 유제에서 호모게나이저 이외의 방법으로는 한시적인 유제로 얻어지는 것과 구별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홍반 발생과 멜라닌 색소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항염증 효과와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디 오일, 맛사지 오일, 베이비 오일, 자외선 차단용 오일 및 셀프 탠닝 오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 또는 친유성 성분(POP-POE 비타민 E,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호호바유, 월견초유, 올리브유, 올리브유, 밍크유, 파솔 1789, 파라안식향산 프로필, 파라안식향산 메틸)을 가열하고 여기에 가열하여 녹인 친수성 성분(글리세린, 알란토인, 히아론산, 정제수)을 가하고, 이 혼합물을 유화시킨 후, 향료와 첨가 성분(비타민류, 우유, 향료)을 가하고 다시 유화시킨 다음 냉각시켜, 저점도의 수중유형 유제로 얻을 수 있다. 특히 유화 단계에는 호모게나이저나 아지믹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 중 아지믹서를 사용하는 것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 사용된 POP(25)-POE(60) 비타민 E, POP(15)-POE(40) 비타민 E, POP(5)-POE(0) 비타민 E 및 POP(30)-POE(70) 비타민 E는 한국 특허공개 제2000-840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 자외선 차단용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표 1의 조성에 따라,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POP(25)-POE(60) 비타민 E, POP(15)-POE(40) 비타민 E, POP(5)-POE(0) 비타민 E, POE(15) 비타민 E, 또는 POE(10) 비타민 E, 파솔 1789, 파라안식향산 프로필을 탱크에 주입한 후 60℃로 가열하고, 여기에 60℃로 녹인 글리세린 및 정제수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호모게나이저로 유화시킨 후, 토코페롤, 우유 또는 향료를 가하고 30 ℃ 까지 냉각시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비교를 위해, 표 1의 조성에 따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비교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용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단위: 중량%)
조성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유동파라핀 45 45 27 45 45 27
스쿠알란 10 10 10 10 10 10
POP(25)-POE(60) 비타민 E 5 - 3 - - -
POP(15)-POE(40) 비타민 E - 5 0.5 - - -
POP(5)-POE(0) 비타민 E 1.0 1.0 1.0 - - -
POE(15) 비타민 E - - - 5 - 3
POE(10) 비타민 E - - - - 5 0.5
파라안식향산프로필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파솔 1789 1.0 1.0 1.0 1.0 1.0 1.0
글리세린 1.0 1.0 1.0 1.0 1.0 1.0
우유 0.2 0.2 0.2 0.2 0.2 0.2
토코페롤 0.1 0.1 0.1 0.1 0.1 0.1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시험예 1: 유화 화장료가 자외선 조사에 의한 홍반 발생과 멜라닌 색소 형성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은 화장료와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은 비교화장료를 각각 25-40 세의 정상 남자 12명의 피부에 0.5g 씩 4 ㎠ 넓이로 도포한 후, 자외선 조사기(Philips 20W 램프가 장착된 Waldmann UV 800(Herbert Waldmann Gmbh & Co., 독일))를 이용하여 UVB 자외선을 약 2의 최소 홍반 발생 조사량(minimum erythema dose, MED)으로 조사하고, 1, 5, 10 일 후에 홍반 발생과 멜라닌 색소 형성을, 색차계(Mexameter MX16 (CK Electronic Gmbh))를 이용하여 피부 밝기의 상대적인 수치로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의 홍반지수(erythema index)와 표 3의 멜라닌지수(melanin index)로 나타내었다.
유화 화장료가 자외선에 의한 홍반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는 홍반 지수
실시예 1의 화장료 실시예 2의 화장료 실시예 3의 화장료 비교예 1의 비교화장료 비교예 2의 비교화장료 비교예 3의 비교화장료
1 일 630 632 638 652 642 678
5 일 635 623 630 637 634 650
10 일 607 605 616 622 625 628
유화 화장료가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는 멜라닌 색소 지수
실시예 1의 화장료 실시예 2의 화장료 실시예 3의 화장료 비교예 1의 비교화장료 비교예 2의 비교화장료 비교예 3의 비교화장료
1 일 540 540 543 522 539 538
5 일 536 541 545 550 551 557
10 일 537 540 546 556 558 572
표 2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처리군에서는 비교예 1 내지 3의 비교화장료의 경우에 비해 홍반이 적게 발생되었다. 일반적으로 홍반은 자외선 조사 후 1일에 최고에 이르므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자외선에 의한 홍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3에서 보듯이, 비교예 1 내지 3의 비교화장료 처리군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멜라닌 지수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처리군에서는 멜라닌 지수가 적은 폭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다.
홍반이 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혈구가 모여들 때 나타나는 피부가 붉어지는 현상이고 멜라닌 색소가 피부 세포의 타이로신이 산화되어 피부가 검게될 때 생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가 항염증 효과와 항산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피부안전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은 화장료와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은 비교화장료를 사용하여, 일반 피부를 가진 20-35 세 여성과, 민감성 피부를 가진 25-50 세 여성 10 명을 대상으로 폐쇄법(closed patch: Fin chamber patch method)에 따라 인체첩포시험을 수행하였으며, 4 시간 후와 48 시간 후에 자극 반응율(전체 시험자 중 피부자극 양성 반응을 보인 시험자의 백분율)을 측정하였다.
일반피부 자극반응율(n=50)/민감성피부 자극반응율(n=10)
4 시간 후 48 시간 후 평균
실시예 1의 화장료 0/0.5 0/0 0/0.25
실시예 2의 화장료 0/0.1 0/0 0/0.05
실시예 3의 화장료 0/0 0/0 0/0
비교예 1의 비교화장료 1.0/5.0 0.9/4.0 1.2/4.5
비교예 2의 비교화장료 0.8/2.0 1.0/6.0 0.9/4.0
비교예 3의 비교화장료 0.3/3.0 0.2/2.0 0.1/2.5
표 4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는 일반피부에서의 자극반응율이 0이고 민감성 피부에서도 거의 0으로 나타난 반면, 비교예 1 내지 3의 비교화장료는 민감성 피부 뿐만 아니라 일반피부에서도 상당히 높은 자극반응율이 나타났다.
시험예 3: 유화 안정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은 화장료를 40 ℃, 25 ℃ 또는 5 ℃에서 3 개월 동안 보관하거나 40 ℃에서 7일 동안 보관한 후 5 ℃에서 7일 동안 보관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총 3 개월 동안 보관(40 ℃와 25 ℃의 순환)한 후, 유화 안정성을 양호, 약간 분리, 상당한 분리, 완전 분리 등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저장온도/제품 실시예 1의 화장료 실시예 2의 화장료 실시예 3의 화장료 비교예 1의 비교화장료 비교예 2의 비교화장료 비교예 3의 비교화장료
40 ℃ × ××
25 ℃ ×
5 ℃ ×
40 ℃와 5 ℃의 순환 × × ××
○: 양호, △: 약간 분리, ×: 상당한 분리, ××:완전 분리
표 5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는 고온(40 ℃), 25 ℃(실온), 5 ℃(저온)에서는 물론 고온(40 ℃)과 저온(5 ℃)의 순환 조건하에서도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비교예 1과 2의 비교화장료는 고온, 실온, 저온에서 비교적 안정했으나 고온과 저온의 순환 조건하에서는 안정성이 매우 떨어졌으며,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모든 온도 조건하에서 상분리가 일어났다.
시험예 4: 사용효과 시험
20-50 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과 3에서 얻은 화장료와 비교예 1과 3에서 얻은 비교화장료를 사용할 때의 끈적임, 피부에서의 퍼짐성, 촉촉함, 피부윤택 등의 항목에 대해 아주 양호, 양호, 보통, 불량으로 나누어 품평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항목/제품 실시예 1의 화장료 실시예 3의 화장료 비교예 1의 비교화장료 비교예 3의 비교화장료
퍼짐성 ○○ ○○ ○○ ○○
매끈함 ○○ ○○
촉촉함 ○○
피부윤택 ○○ ○○ ×
○○: 아주 양호, ○: 양호, △: 보통, ×: 불량
표 6에서 보듯이, 실시예 1과 3의 화장료는 우수한 사용 효과를 나타낸 반면 비교예 1과 3, 특히 비교예 3의 비교화장료는 만족스럽지 못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와 5 및 비교예 4와 5: 맛사지용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표 7의 조성에 따라,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밍크오일, POP(30)-POE(70) 비타민 E, POE(10) 비타민 E, 또는 월견초유를 탱크에 주입한 후 60℃로 가열하고,여기에 60℃로 녹인 파라안식향산 메틸, 글리세린, 알란토인, 히아론산 또는 정제수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호모게나이저로 유화시킨 후, 토코페롤 및 향료를 가하고 유화시킨 다음 30 ℃ 까지 냉각시켜, 실시예 4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호모게나이저 대신에 아지믹서를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실시예 5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아지믹서를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는 메조페이스 유제 제조 메카니즘에 의해 안정한 유제로 제조되었다.
비교를 위해, 표 5의 조성에 따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비교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맛사지용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단위: 중량%)
조성성분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4 비교예 5
유동파라핀 50 50 50 50
스쿠알란 10 10 10 10
밍크오일 1.0 1.0 1.0 1.0
POP(30)-POE(70) 비타민E 5 5 - -
POE(10) 비타민 E - - 5 5
월견초유 0.1 0.1 0.1 0.1
올리브유 2.0 2.0 2.0 2.0
토코페롤 0.5 0.5 0.5 0.5
파라안식향산메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글리세린 1.0 1.0 1.0 1.0
알란토인 0.2 0.2 0.2 0.2
히아론산 1.0 1.0 1.0 1.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시험예 5: 유화 방법에 따른 유화 화장료의 유화 안정성
유화 방법에 따른 유화 화장료의 유화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해, 호모게나이저로 유화시켜 얻은 실시예 4의 화장료와 아지믹서로 유화시켜 얻은 실시예 5의 화장료를 사용하여, 시험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8과 같다.
저장온도/제품 실시예 4의 화장료 실시예 5의 화장료 비교예 4의 비교화장료 비교예 5의 비교화장료
40 ℃ ××
25 ℃ ×
5 ℃ ×
40 ℃와 5 ℃의 순환 × ××
○: 양호, △: 약간 분리, ×: 상당한 분리, ××:완전 분리
표 8에서 보듯이,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한 실시예 4의 화장료와 아지믹서를 이용한 실시예 5의 화장료는 모두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반면에 비교예 4와 5의 비교화장료는 유화 안정성이 떨어졌으며, 특히 비교예 5의 비교화장료는 유화 안정성이 매우 불량하였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는 유화제로서 POP-POE 비타민 E를 사용함으로써 안정하고 피부 자극이 없으며 저점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사용시 피부 유연성, 피부 보습 및 피부탄력 효과가 우수하고 퍼짐성이 뛰어나며 이러한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는 자외선에 의한 홍반 발생과 멜라닌 색소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항염증, 항산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이고,
    m은 1 내지 350의 정수이며,
    R2이고,
    n은 1 내지 250의 정수이며,
    A는또는이고,
    B는 비타민 E의 5-, 7- 또는 8- 위치의 CH3이며,
    p는 1 내지 3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m이 30 내지 70의 범위이고 n이 10 내지 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E를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토코페롤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E와 토코페롤을 1:30 내지 30:1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바디 오일, 맛사지 오일, 베이비 오일, 자외선 차단용 오일 또는 셀프 탠닝 오일로 사용되는 조성물.
KR10-2001-0030110A 2001-05-30 2001-05-30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이를 이용한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KR100438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110A KR100438402B1 (ko) 2001-05-30 2001-05-30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이를 이용한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110A KR100438402B1 (ko) 2001-05-30 2001-05-30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이를 이용한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858A KR20020091858A (ko) 2002-12-11
KR100438402B1 true KR100438402B1 (ko) 2004-07-02

Family

ID=2770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110A KR100438402B1 (ko) 2001-05-30 2001-05-30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이를 이용한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013B1 (ko) * 2004-09-04 2006-09-19 김영대 나노에멀션, 그의 용도 및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5186A (en) * 1981-04-20 1982-10-28 Fujimoto Seiyaku Kk Novel vitamin e derivative and its preparation
EP0683164A1 (en) * 1994-05-20 1995-11-22 Senju Pharmaceutical Co., Ltd. Tocopherol derivatives
JPH10251248A (ja) * 1997-01-08 1998-09-22 Sumitomo Chem Co Ltd クロマン誘導体の製造法
KR20010017595A (ko) * 1999-08-12 2001-03-05 김영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비타민 e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100224A (ko) * 2000-03-18 2001-11-14 김영대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비타민e를 함유하는항산화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5186A (en) * 1981-04-20 1982-10-28 Fujimoto Seiyaku Kk Novel vitamin e derivative and its preparation
EP0683164A1 (en) * 1994-05-20 1995-11-22 Senju Pharmaceutical Co., Ltd. Tocopherol derivatives
JPH10251248A (ja) * 1997-01-08 1998-09-22 Sumitomo Chem Co Ltd クロマン誘導体の製造法
KR20010017595A (ko) * 1999-08-12 2001-03-05 김영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비타민 e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100224A (ko) * 2000-03-18 2001-11-14 김영대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비타민e를 함유하는항산화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858A (ko)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9213T2 (de) Lichtdurchlässige Nanoemulsion, ihr Herstellungsverfahren und ihre Verwendungen in der Kosmetik, Dermatologie und/oder Ophthalmologie
CA2239665C (en) Dihydroxyacetone formulations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enhanced delivery
JP2885808B2 (ja) ソルビン酸トコフェロールと抗炎症剤を含む光保護組成物
EP1280505B1 (de) Photostabilisierung von dibenzoylmethan-derivaten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79217B1 (ko)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S60190708A (ja) 長波長紫外線吸収剤
KR101295789B1 (ko) 피부 치료용 조성물
WO1998019651A1 (en) Non-chemical sunscreen composition
US20020197292A1 (en) Sunscreen formulations
EP1430882B1 (de) Antioxidans-Kombinationen mit 6,7-disubstituierten 2,2-Dialkylchromanen oder -chromenen
DE4305788A1 (de) Synergistische Lichtschutzkombinationen und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Formulierungen, solche Kombinationen enthaltend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EP1371350B1 (de) Kosmetisches Gelprodukt auf Basis von Ölen und Gelierungsmitteln
JP3614511B2 (ja) 日焼け止め用水中油型乳化化粧料
EP1536755B1 (de) Wasserbeständige mascara-zusammensetzung mit hohem wassergehalt
CN104379122A (zh) 化妆品和含有甘草次酸衍生物的乳化组合物
KR100438402B1 (ko)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이를 이용한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TW202308591A (zh) 化妝料
JPS6410492B2 (ko)
CA2086689A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diol ester
EP1834631B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Glycyrrhetin und/oder Glycyrrhizin sowie Glucosederivate bzw. Glycerinether
KR20200001146A (ko) 저자극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87785A (ko)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5145925A (ja) 皮膚外用剤および皮膚刺激緩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