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876B1 -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876B1
KR100437876B1 KR1019960076914A KR19960076914A KR100437876B1 KR 100437876 B1 KR100437876 B1 KR 100437876B1 KR 1019960076914 A KR1019960076914 A KR 1019960076914A KR 19960076914 A KR19960076914 A KR 19960076914A KR 100437876 B1 KR100437876 B1 KR 100437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water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olymer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615A (ko
Inventor
강태준
윤명석
이성준
김효중
이종태
강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6007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87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olefines, e.g. polystyr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단량체를 분자내에 1단위 이상 갖는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여 일소방지 기능이 부여되었을 뿐아니라 경시 보존안정성 및 사용감이 향상된 유중수 유화형(즉, W/O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X 는 파라-옥시신남산 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살리실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Water in oil 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단량체를 분자내에 1단위 이상 갖는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 유도체(이하,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라 한다)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여 일소방지 기능이 부여되었을 뿐아니라 경시 보존안정성 및 사용감이 향상된 유중수 유화형(즉, W/O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X 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3의 화합물을 나타내고,
[화학식 2]
[화학식 3]
여기서,
R 은 C1-C12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2알킬, C3-C12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산소를 함유하는 C1-C12알킬(여기서, 산소는 에테르 결합으로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은 W/O형과 수중유 유화형(즉, O/W 유화형)의 두가지로 분류되며, 이 두가지 모두 오일상과 수상의 두가지 장점을 동시에 겸비해 피부의 보습 및 유연효과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또한 고유의 제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장, 단점을 각각 갖고 있다. 즉, O/W 유화형은 외상이 물이어서 바를때 시원하고 발림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 내수성이 떨어져 물을 많이 접하는 일소방지용 화장료나 고보습 화장료에는 적합하지 못한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W/O 유화형은 외상이 오일이어서 내수성이 강하고 보습효과의 지속성이 강해 일소방지용 화장료나 고보습 화장료로서 보다 적합하지만 사용감촉이 무겁고 번들거리며 특히 외상인 오일의 유동성으로 인해 경시 보존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중 O/W 유화형의 내수성을 높힌 연구로는 교차결합된 양이온 고분자(crosslinked cation polymer)를 적용한 국제공개 제 9423693 호, 스티렌(styrene)과 부타디엔(butadiene)의 코폴리머(copolymer)를 적용한 유럽특허공개 제 461497 호, 에틸렌(ethylene)과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 코폴리머, 헥사데칸(hexadecane)과 비닐피롤리돈(vinyl pyrrolidone) 코폴리머 또는 옥타데칸(octadecane)과 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maleic anhydride)의 코폴리머를 적용한 미합중국 특허 제 5041281 호 등을 언급할 수 있으나, 이들은 여전히 W/O 유화형에 비해 내수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또한, W/O 유화형의 보존안정성을 높힌 연구로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폴리알킬렌 코폴리머 계면활성제(polyorganosiloxane polyalkylene copolymer surfactant)를 적용한 유럽특허공개 제 540199 호,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적용한 유럽특허공개 제 196904 호 등을 언급할 수 있고, 문헌(참조: J. Seifen, Oele. Fette. Waches, 117(6), 214-16, 1991)에서도 세틸디메티콘 코폴리올(cetyldimethicone copolyol)과 트리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triglyceryl trioleate)를 1:1 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다고 보고한 바 있으나 이들은 사용감이 좋지않고 보존 안정성에서도 크게 만족할만한 수준이 되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종전에는 W/O 유화형 화장료의 보존 안정성 향상을 위해 주로 경화 카스터 오일, 밀납, 칸델리나 왁스, 세레신, 카나우바 왁스, 라놀린알콜, 바셀린 등의 고형 왁스를 과량 사용하여 왔으나, 이 경우 과량의 왁스상 성분을 사용함으로인해 사용감이 무거운 결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기 변성 점토광물을 이용하여 보존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참조: 국제공개 제 9405312 호 및 유럽특허공개 제 419759 호), 역시 사용감이 무겁고 보존안정성도 별다른 개선을 보이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저자극성 일소방지용 화장료 성분으로서 이미 특허 출원된 바 있는(참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5-44248 호)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 유도체를 함유시킴으로써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예의 연구 검토한 결과, 본 원료를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시키면 놀라웁게도 일소방지효과는 물론 W/O 유화형 화장료의 보존 안정성을 크게 높여주는 의외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단량체를 분자내에 1단위 이상 갖는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X 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3의 화합물을 나타내고,
화학식 2
화학식 3
여기서,
R 은 C1-C12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2알킬, C3-C12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산소를 함유하는 C1-C12알킬(여기서, 산소는 에테르 결합으로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의 단량체에서 치환기 R 로 특히 바람직한 것은 2-에틸헥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를 함유함으로해서 일소방지 기능이 부여되었을 뿐아니라 별도의 왁스상 성분을 함유시키지 않아도 우수한 경시 보존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왁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감도 종전에 비해 많이 가벼워졌다. 이와 같이 경시 보존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었던 것은 상기 고분자 유화 안정화제 자체가 고분자 물질로서 오일의 유동도를 줄여 소량으로도 보존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한 고분자 유화 안정화제는 일소 방지용 화장료에 적용하여 그 자체의 자외선 흡수 능력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고 유화 안정화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을 목적으로 일상의 데일리케어용 화장료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일소 방지용 화장료에 적용할 경우 본 고분자 유화 안정화제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4-메틸벤질리덴 캠퍼 등의 유기자외선차단제나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 자외선차단제와 함께 혼용하면 더욱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1의 단량체를 분자내에 1단위 이상 갖는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 중에서도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0,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20,000 인 거대 고분자 물질로서, 분자내에 화학식 1의 단량체를 5 내지 100중량%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이 고분자 물질은 조성물내에 소량을 함유시켜도 오일상의 점증효과를 나타내어 오일의 유동도를 완화시켜주며, 특히 거대분자로서 피부에 침투하지 못하므로 높은 피부 안전성을 나타낸다. 또한, 그 자체의 우수한 자외선 차단능이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의 혼용에 의해 상승적으로 증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능과 피부안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고분자 유화 안정화제를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하여 0.01 내지 15중량%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유화 안정화제를 0.01중량% 미만으로 함유시키면 소기에 목적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으며, 15중량%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더 이상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왁스류를 완전히 배제시키면서 고분자 유화 안정화제를 0.01 내지 10중량% 범위로 함유시키면 경시 보존 안정성이 매우 우수해지며 동범위에서 사용감 및 자외선 차단능도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화학식 1의 단량체를 분자내에 1단위 이상 갖는 본 발명의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의 구체적인 예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8로 나타낸 바와 같다.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4의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는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하였을 때, 평균분자량 8,000을 나타낸다.
[화학식 5]
상기 화학식 5의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는 GPC로 측정하였을 때, 평균분자량 15,000을 나타낸다.
[화학식 6]
상기 화학식 6의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는 GPC로 측정하였을 때, 평균분자량 15,000을 나타낸다.
[화학식 7]
상기 화학식 7의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는 GPC로 측정하였을 때, 평균분자량 8,000을 나타낸다.
[화학식 8]
상기 화학식 8의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는 GPC로 측정하였을 때, 평균분자량 8,000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설명한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 이외에도 유성성분 10 내지 70중량%, 계면활성제 1 내지 5중량%, 수상부 20 내지 80중량%,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고 있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30중량%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40중량%를 함유한다. 여기서 유성성분으로는 사이클로메티콘, 디메티콘, 트리옥타노에이트, 유동 파라핀,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스쿠알란, 옥틸도데칸올,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계면활성제로는 비교적 저자극성인 비이온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롤-3 디올레이트, 세틸 디메티콘 코폴리올, 피이지-7 경화 카스터 오일, 솔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상으로는 정제수, 황산마그네슘,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솔비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및 4-메틸벤질리덴 켐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평균입도가 0.01 내지 100nm인 이산화티탄, 평균입도가 0.01 내지 300nm인 산화아연, 평균입도가 1 내지 300nm인 산화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임의로 방부제, 향 및 기타 첨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상을 갖도록 일반적인 유화방법에 따라 비교예 및 실시예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즉, 수상 및 분체성분을 제외한 유상을 각각 78 내지 82℃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유상 성분에 분체성분을 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사전에 가열 용해시킨 수상성분을 유상성분에 서서히 가하면서 5분간 유화시킨 후, 50℃에서 첨가제를 넣고 실온으로 냉각시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조성물에서는 오일상의 유동도를 완화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형 왁스로서 카나우바 왁스를 적용시키거나 배제시켰고, 실시예 조성물에서는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의 종류 및 함량을 변화시켰다.
[표 1]
주) 단위: 중량%
실험예 1: 경시 안정성
비교예 1 내지 2 및 실시예 1 내지 7 에 따른 조성물의 경시 보존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 60g 씩 투명한 용기에 담아서 실온(25℃), 고온(45℃), 저온(0℃) 및 싸이클 챔버(Freeze & Thaw Chamber, 45℃→10℃(24시간), -10℃→45℃(24시간) 주기)에 하기 표 2에 나타낸 기간동안 보관한 다음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경시 보존안정성
주) 평가기준
비교예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오일의 유동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고형 왁스류를 적용시키지 않았을 경우 유화물이 경시에 따라 매우 불안정하였으며, 비교예 2에서는 고형 왁스류를 적용시켰으나, 그래도 오랜기간 보관하면 안정성이 본 발명에 따라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를 첨가한 경우에 비해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화학식 4 내지 8의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를 적용한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의 경우 경시 보존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며, 고분자 유화 안정화제의 종류변화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6 내지 7의 조성물을 비교해 보면 화학식 4의 고분자 유화 안정화제를 서로 다른 양으로 적용한 경우 그 적용량에 비례하여 경시 보존안정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즉, 화학식 4의 고분자 유화 안정화제를 0.1중량%로 적용한 경우 경시 보존안정성이 다소 떨어졌으며 10.0중량%로 적용한 경우 안정성은 매우 우수하였다.
실험예 2: 사용감
20세에서 40세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W/O 유화형 화장료로 화장을 실시하게 한 후, 산뜻하고 가볍게 발리며 오일감이 적게나는 등의 사용감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하기 표 3에는 이와 같이 관능평가한 결과를 종합하여 나타내었다. 이때, 관능평가는 매우우수(5 점), 우수(3 점), 보통(0 점), 나쁨(-3 점) 및 매우나쁨(-5 점)의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하고, 평점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표 3]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오일상의 유동도를 완화시켜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고형 왁스 중 카나우바 왁스를 적용한 비교예 2의 조성물의 경우, 안정성은 증가하지만 사용감은 다른 조성물에 비해 매우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학식 4 내지 8의 고분자 유화 안정화제는 어떤 것을 사용하는지에 관계없이 유의차 없이 매우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었으나, 고분자 유화 안정화제를 0.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사용감이 우수하나 경시 보존 안정성은 다소 떨어지고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경시 보존 안정성은 우수하나 사용감이 무겁고 두텁게 발리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은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단량체를 분자내에 1단위 이상 갖는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를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냄은 물론 경시 보존안정성 및 사용감 면에서도 크게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러한 목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단량체를 분자내에 1단위 이상 갖는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상기식에서
    X 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3의 화합물을 나타내고,
    [화학식 2]
    [화학식 3]
    여기서,
    R 은 C1-C12알킬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2알킬, C3-C12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산소를 함유하는 C1-C12알킬(여기서, 산소는 에테르 결합으로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 이 2-에틸헥실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가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0 이고, 분자내에 화학식 1의 단량체를 5 내지 100중량%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고분자 유화 안정화 유도체를 0.01 내지 10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960076914A 1996-12-30 1996-12-30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0437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14A KR100437876B1 (ko) 1996-12-30 1996-12-30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14A KR100437876B1 (ko) 1996-12-30 1996-12-30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15A KR19980057615A (ko) 1998-09-25
KR100437876B1 true KR100437876B1 (ko) 2004-08-18

Family

ID=3734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914A KR100437876B1 (ko) 1996-12-30 1996-12-30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8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902B1 (ko) * 1997-12-02 2005-1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화장료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207A (ja) * 1989-10-03 1991-05-22 Earth Chem Corp Ltd 化粧料
JPH03263418A (ja) * 1990-02-15 1991-11-22 Earth Chem Corp Ltd ポリスチレン誘導体ならびに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紫外線吸収剤および化粧料
US5426210A (en) * 1991-05-09 1995-06-20 Shiseido Co., Ltd. Adduct of cinnamic acid and glycerin, ultraviolet absorbent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JPH08283144A (ja) * 1995-04-07 1996-10-29 L'oreal Sa 皮膚の脱色素用サリチル酸誘導体を含有する化粧品および/または皮膚病学的組成物
JPH08291045A (ja) * 1995-04-11 1996-11-05 L'oreal Sa エマルジョン中のフルオロ炭化水素化合物よりなる安定剤
KR970069023A (ko) * 1996-04-16 1997-11-07 성재갑 새로운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236388B1 (ko) * 1995-11-28 1999-12-15 성재갑 신규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207A (ja) * 1989-10-03 1991-05-22 Earth Chem Corp Ltd 化粧料
JPH03263418A (ja) * 1990-02-15 1991-11-22 Earth Chem Corp Ltd ポリスチレン誘導体ならびに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紫外線吸収剤および化粧料
US5426210A (en) * 1991-05-09 1995-06-20 Shiseido Co., Ltd. Adduct of cinnamic acid and glycerin, ultraviolet absorbent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JPH08283144A (ja) * 1995-04-07 1996-10-29 L'oreal Sa 皮膚の脱色素用サリチル酸誘導体を含有する化粧品および/または皮膚病学的組成物
JPH08291045A (ja) * 1995-04-11 1996-11-05 L'oreal Sa エマルジョン中のフルオロ炭化水素化合物よりなる安定剤
KR100236388B1 (ko) * 1995-11-28 1999-12-15 성재갑 신규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 및 그 제조방법
KR970069023A (ko) * 1996-04-16 1997-11-07 성재갑 새로운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15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2752B2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6867293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CN111479547B (zh) 在内相中稳定化高含量炉甘石的水包油型化妆料组合物
EP0951269B1 (en) Stable high spf foundation
KR101539971B1 (ko) 수중 유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884480B1 (ko) 고형성상의 왁스-프리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3220953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KR100437876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7339357B2 (ja) ワックスブレンドを含有するカラー化粧品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405870B1 (ko) 비수 및 비계면활성제형 오일-분체 분산계 및 그 안정화방법
KR102644391B1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671A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297088B2 (ja) ワックスブレンドを含有するカラー化粧品組成物
KR102528618B1 (ko) 비스-부틸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릴-3, 및 R-SiO3/2 단위를 포함하는 실세스퀴옥산 수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I838504B (zh) 含有蠟共混物的彩色化妝品組合物
KR102572892B1 (ko)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59129B1 (ko) 캡슐 또는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I802788B (zh) 含有蠟摻合物之彩色化妝品組成物的製造方法
JP2007145719A (ja) 乳化型皮膚外用剤
KR20060072534A (ko)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안정한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