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595B1 -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595B1
KR100430595B1 KR10-1999-0067004A KR19990067004A KR100430595B1 KR 100430595 B1 KR100430595 B1 KR 100430595B1 KR 19990067004 A KR19990067004 A KR 19990067004A KR 100430595 B1 KR100430595 B1 KR 10043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mera lens
wireless terminal
lens housing
len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0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59498A (en
Inventor
박준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7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595B1/en
Publication of KR20010059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4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59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개시된 무선 단말기는 상면에 위치하는 이어 피스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어 피스 옆 방향으로 위치하는 본체 측면 소정위치에 구비된 제1개구; 상기 본체 상면 소정위치에 구비되며 카메라 촬상부 모양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반달형 제2개구; 및 카메라 렌즈와, 상기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며 상하 방향으로 힌지 돌기가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이 존재하며 상기 제1개구에 안착되어 일부가 본체에서 노출되고 그 나머지가 본체내로 숨겨지게 장착되는 원통형 렌즈 하우징을 포함하는 회전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본체 측면과 상기 원통형 렌즈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렌즈 하우징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한 수단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the disclosed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ear piece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the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 first position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main body side located in a side direction of the ear piece; Opening; A half moon-shaped second opening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amera imaging unit; And a camera lens and the camera lens, wherein the hinge protrusion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xis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ain body, and is mounted in the first opening to expose a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rest to be hidden in the main body. A rotatable camera lens assembly comprising a cylindrical lens housing; And limiting mean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side and the cylindrical lens housing to limit the rotational angle of the cylindrical lens housing.

Description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Wireless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사체 촬영이나 영상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terminal for photographing a target body 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통상적으로 음성 통신이나 영상 통신을 주 목적으로 하는 휴대장치는 외형적으로 바 타입(bar-type), 플립 타입(flip-type), 폴더 타입(folder-type)등의 단말기로 분류된다. 이러한 휴대장치중, 플립 타입이나 폴더 타입 단말기가 음의 감도가 우수하며, 본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기 때문에 현재 보편화된 추세에 있다. 향후에는 더욱 소형화 및 경량화된 무선 단말기기 각광받을 것이다.In general, portable devices mainly for voice communication or video communication are classified into a terminal such as a bar type, a flip type, and a folder type. Among such portable devices, the flip type and folder type terminals have excellent sound sensitivity, and are currently popularized because they are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the main body. In the future, more compact and lighter wireless terminals will be in the spotlight.

이러한 단말기중, 음상 통신 단말기와는 달리 영상 통신용 단말기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camera lens assembly)를 구비해야 한다.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통상적인 카메라 렌즈와, 씨씨디(CCD:charge coupled device)로 구성된다.Among these terminals, unlike the audio communication terminal, the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should have a camera lens assembly. The camera lens assembly is composed of a conventional camera lens and a charge coupled device (CCD).

그러나, 종래의 영상 통신용 단말기는 별도의 악세서리 개념으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본체에 장착하는 방식이거나, 본체의 이어 피스 위에 고정식으로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영상 통신 무선 단말기는 본체의 소형화에 매우 불리하다. 즉,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본체에 장착해야 하는 필요성 때문에 본체의 소형화에 제한요인이 되며, 특히, 본체 이어 피스 위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낙하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제일 먼저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파손시에 영상 통신이 불가능하다.However, the conventional video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eparate accessory concept, it is common to mount the camera lens assembly to the main body, or fixedly mounted on the ear piece of the main body. Therefore, the conventional video communication wireless terminal is very disadvantageous in miniaturization of the main body. In other words, the necessity of mounting the camera lens assembly to the main body is a limiting factor in the miniaturization of the main body. In particular, when the camera lens assembly is mounted on the main body earpiece, the camera lens assembly is often broken first when falling. Video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when the camera lens assembly is damaged.

또한, 종래의 영상 통신 무선 단말기는 카메라 렌즈의 보호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ideo communication wireless terminal is a configuration that does not have a protection means of the camera len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having a rotatable camera lens assemb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어 피스 바로 옆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구비된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provided with a camera lens assembly next to the ear pie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having a camera lens assembly having a rotation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우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having a camera lens assembly having a rotation ax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카메라 렌즈가 보호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having a camera lens assembly that can protect the camera len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면에 위치하는 이어 피스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ear piece located on an upper surf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상기 이어 피스 바로 옆 방향으로 위치하는 본체 측면 소정위치에 구비된 제1개구;A first opening provided at a predetermined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located in a direction immediately next to the ear piece;

상기 본체 상면 소정위치에 구비되며, 카메라 촬상부 모양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2개구; 및A second opening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formed according to a shape of a camera imaging unit; And

카메라 렌즈와, 상기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며 상하 방향으로 힌지 돌기가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이 존재하며 상기 제1개구에 안착되어 일부가 본체에서 노출되고, 그 나머지가 본체 내로 숨겨지게 장착되는 원통형 렌즈 하우징을 포함하는 회전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상기 본체 측면과 상기 원통형 렌즈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렌즈 하우징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한 수단으로 구성된다.It includes a camera lens and the hinge len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uding the camera lens, there is a rotation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and is seated in the first opening to expose a part of the main body, the rest is hidden in the main body A rotatable camera lens assembly comprising a cylindrical lens housing; And limiting mean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side and the cylindrical lens housing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cylindrical lens housing.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상면에 위치하는 이어 피스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In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n ear piece loca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이어 피스 바로 옆 방향으로 위치하는 본체 상면 소정위치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용 개구; 및An opening for a camera len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located in a direction immediately next to the ear piece; And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는 원통형 렌즈 하우징과,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측면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회전각도 조절용 노브를 포함하는 회전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로 구성된다.And a rotatable camera lens assembly including a cylindrical lens housing embedded in the main body and a knob for adjusting a rotation angle provided in the lens housing and expos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카메라 렌즈가 정방에 위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신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2 is a front view showing a video communication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mera lens is located in the square;

도 3은 카메라 렌즈가 측방에 위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신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3 is a side view showing a video communication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mera lens is located laterally;

도 4는 카메라 렌즈가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신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후면도.4 is a rear view showing a video communication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mera lens is located at the rea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lens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신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deo communication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FIG. 6;

도 8은 도 6의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FIG. 6;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신(visual communication)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영상 통신 무선 단말기라 함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고, 상대방과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의미한다. 도면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는 외형적으로 플립 타입 무선 단말기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채택된 회전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camera lens assembly)는 바 타입 무선 단말기와, 폴더 타입 무선 단말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terminal for visu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communication wireless terminal refers to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capturing a subject and making a video call with the counterpart. The wireless terminal shown in the figure is an externally flip type wireless terminal.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otatable camera lens assembly 30 adop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cable to a bar type wireless terminal and a folder type wireless terminal.

플립 타입 무선 단말기를 예를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 도시된 X축방향은 상하방향을 의미하고, Y축방향은 좌우방향을 의미하며, Z축방향은 전후방향을 의미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flip type wireless terminal as an example. In the drawing, the X-axis direction means the up-down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means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means the front-back direction.

플립 타입 무선 단말기는 본체(10)와, 플립(20)과, 상기 본체(10)와 플립(20)을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장치(미도시됨)로 구성된다. 상기 플립(20)은 본체(10)에서 회전축A1을 중심으로 개폐된다. 상기 본체(10)는 최상단에 안테나 장치(101)(antenna unit)가 위치하고, 상단에 이어 피스(102)(earpiece)가 위치하며, 상기 이어 피스(102) 하측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3)(display unit)가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3) 하측으로 플립(20)에 의해 가려진 다수개의 키가 배열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 하단에 마이크장치(104)(microphone)가 위치한다.The flip type wireless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10, a flip 20, and a hinge device (not shown) that mechanically connects the main body 10 and the flip 20 to open and close a call angle. The flip 20 is opened and closed about the rotation axis A1 in the main body 10. An antenna unit 101 (antenna unit)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10, an earpiece 102 (earpiece) is position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display unit 103 (display unit) below the earpiece 102. ) Is positioned, and a plurality of keys hidden by the flip 20 are arranged below the display apparatus 103. In addition, a microphone device (microphon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가 상기 이어 피스(102) 옆에 장착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는 회전성이며, 상하방향(X축방향)으로 회전축A2가 존재한다. 즉,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는 본체(10) 길이방향으로 회전축A2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용 모드 변환키나 작동키가 본체(10)의 모서리 부분(110)에 적어도 한개이상 위치한다.In the wireless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lens assembly 30 is mounted next to the ear piece 102. The camera lens assembly 30 is rotatable and there is a rotation axis A2 in the vertical direction (X-axis direction). That is, the camera lens assembly 30 has a rotation axis A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at least one mode conversion key or an operation key for the camera lens is positioned at the corner portion 110 of the main body 10.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는 카메라 렌즈(301)와, 카메라 렌즈(301)를 감싸는 원통형 렌즈 하우징(302)과, 상기 렌즈 하우징(302)을 회전시키기 위한 렌즈 각도조절용 노브(303)를 포함한다. 카메라 렌즈(302)를 잡아주는 홀더와, 씨씨디 소자는 렌즈 하우징(302)에 내장되었기 때문에 도면에서 미도시된다. 상기 본체의 상면(111)에는 카메라 렌즈(302)가 정방에 위치한 경우,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상대방과 영상 통화를 하기 위하여 카메라 촬상부 모양에 따라서 대응하는 반달형 제1개구(112)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The camera lens assembly 30 includes a camera lens 301, a cylindrical lens housing 302 surrounding the camera lens 301, and a lens angle adjusting knob 303 for rotating the lens housing 302. . The holder holding the camera lens 302 and the CD element are not shown in the figure because they are embedded in the lens housing 302. When the camera lens 302 is positioned in the square,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main body additionally includes a first half-moon-shaped opening 112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amera imaging unit in order to capture a subject or make a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

도 2는 카메라 렌즈(301)가 정방향에 위치한 경우이고, 도 3은 카메라 렌즈(301)가 측방향에 위치한 경우이며, 도 4는 카메라 렌즈(301)가 후방에 위치한 경우이다.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camera lens 301 is loc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FIG. 3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camera lens 301 is loc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FIG. 4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camera lens 301 is located in the rear.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의 회전각도는 0°에서 170°이내로 제한된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30 is limited to within 0 to 170 degree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신용 단말기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를 이어 피스(102) 옆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제1개구(120)가 측면(114)에 구비된다. 아울러,상기 본체(10)의 상면(111)과 후면에 각각 반달형 제1개구(112)와 제2개구(113)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가 상기 제1개구(120)에 장착되기 위하여 상하 벽(122,124)과, 상기 상하 벽에 형성된 상하 힌지 구멍(126,128)이 구비된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lens assembly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Referring to FIG. 5, the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opening 120 at a side surface 114 to rotatably mount the camera lens assembly 30 next to the ear piece 102. In addition, the vandal type first opening 112 and the second opening 113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11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walls 122 and 124 and upper and lower hinge holes 126 and 128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walls to mount the camera lens assembly 30 to the first opening 120.

상기 상하 힌지 구멍(126,128)과 대응하는 상하부 힌지 돌기가 렌즈 하우징 상하단에 각각 돌출된다. 도 5에서는 상부 힌지 돌기(304)만 도시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힌지 돌기가 힌지 구멍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제1개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Upper and lower hinge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hinge holes 126 and 128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ens housing, respectively. In FIG. 5 only the upper hinge protrusion 304 is shown. The hinge projection of the camera lens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so that the camera lens assembly is rotatably mounted in the first opening.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 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한 수단은 렌즈 하우징(302) 상하단에 돌출된 돌기와, 상기 상하 벽(122,124)에 각각 구비된 구멍(130,132)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상단(302a)에 돌출된 돌기(305)만이 도시된다. 상기 힌지 돌기(304)가 힌지 구멍(126)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돌기(305)가 상기 구멍(130)에 삽입되면, 상기 돌기(305)의 이동이 구멍(130)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의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도면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에서 인출된 연성 회로(310)는 본체(10)의 메인 보드(도면에 미도시됨)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의 씨씨디 소자(렌즈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도면에 미도시됨)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성 회로(310)의 단은 금속성 패드(312)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miting means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30. The limiting means includes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ens housing 302, and holes 130 and 132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walls 122 and 124, respectively. In the figure only projections 305 protruding at the top 302a are shown. When the hinge protrusion 304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126 and the protrusion 305 is inserted into the hole 130,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305 is limited by the hole 130. The rotation angle of the lens assembly 30 is limited. The flexible circuit 310 drawn from the camera lens assembly 30 shown in the drawing is located in the CD element of the camera lens assembly 30 (in the lens housing) on the main board (not shown) of the main body 10. Not shown in the figu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tage of the flexible circuit 310 is provided with a metallic pad 312.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상하방향의 힌지축A2를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제1개구에 장착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상하 벽에 구비된 구멍과, 렌즈 하우징에 구비된 돌기의 형성위치를 변경시킴으로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회전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에서는 0°에서 170°사이로 한정되었으나, 0°에서 90° 또는 0°에서 45°정도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first opening in a limited rotatable manner around the hinge axis A2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ole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the projections provided in the lens housing.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0 ° to 170 °, but the rotation amount can be adjusted by 0 ° to 90 ° or 0 ° to 45 °.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신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는 외형적으로 플립 타입 무선 단말기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채택된 회전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는 바 타입 무선 단말기와, 폴더 타입 무선 단말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아울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는 본체(40) 어디든지 채택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무선 단말기의 본체(40) 내부 공간의 구성 상태를 고려하여 본체(40)의 최상단에 위치한 이어 피스(402) 옆이 가장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본체(40)의 이어 피스(402) 옆에는 빈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가 이어 피스(402) 옆에 존재하여 회전함으로서, 사용하지 않을시, 외부 환경에 보호될 수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shown in FIG. 6 is an externally flip type wireless terminal.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otatable camera lens assembly 60 adop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cable to a bar type wireless terminal and a folder type wireless terminal.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amera lens assembly 60 can be adopted anywhere in the body 4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40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earpiece 402 locat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40 is most preferable. Typically, this is because an empty space exists next to the ear piece 402 of the main body 40. 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tec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when not in use, because the camera lens assembly 60 is present to rotate next to the ear piece 402.

이하에서는 플립 타입 무선 단말기를 예를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 도시된 X축방향은 상하방향을 의미하고, Y축방향은 좌우방향을 의미하며, Z축방향은 전후방향을 의미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 flip type wireless terminal as an example. In the drawing, the X-axis direction means the up-down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means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means the front-back direction.

플립 타입 무선 단말기는 본체(40)와, 플립(50)과, 상기 본체(40)와 플립(50)을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장치(미도시됨)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40)는 최상단에 안테나 장치(401)가 위치하고, 상단에 이어 피스(402)가 위치하며, 이어 피스(402) 하측으로 디스플레이 장치(403)가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2) 하측으로 플립(50)에 의해 가려진 다수개의 키가 배열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40) 하단에 마이크장치(404)가 위치한다.The flip type wireless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40, a flip 50, and a hinge device (not shown) for mechanic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40 and the flip 50 to open and close at a call angle. The main body 40 has the antenna device 401 at the top, the ear piece 402 is located at the top, the display device 403 is located below the ear piece 402,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device 402 As a result, a plurality of keys hidden by the flip 50 are arranged. In addition, the microphone device 404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4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가 상기 이어 피스(402) 옆에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는 회전성이며, 좌우방향(Y축방향)으로 회전축A2이 존재한다. 즉,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의 회전축A2는 플립 회전축A1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에 존재한다.In the wireless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lens assembly 60 is mounted beside the ear piece 402. In addition, the camera lens assembly 60 is rotatable and there is a rotation axis A2 in the left-r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That is, the rotation axis A2 of the camera lens assembly 60 is at a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flip rotation axis A1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는 카메라 렌즈(601)와, 카메라 렌즈(601)를 감싸는 원통형 렌즈 하우징(도면에 미도시됨)과, 상기 케메라 렌즈(601)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렌즈 하우징에 구비된 각도조절용 노브(603)를 포함한다. 이때, 카메라 렌즈를 잡아주는 홀더와, 메인 보드에 위치하는 씨씨디 소자는 도면에서 미도시된다.The camera lens assembly 60 includes a camera lens 601, a cylindrical lens housing surrounding the camera lens 601 (not shown), and a lens housing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camera lens 601. It includes an angle adjusting knob 603 provided in. At this time, the holder holding the camera lens and the CD element located on the main board are not shown in the drawing.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중, 렌즈 하우징(602)은 본체(40) 내부에 위치하며, 카메라 렌즈 각도 조절용 노브(603)는 본체(40)의 측면(411)에 노출되게 위치한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of the camera lens assembly 60, the lens housing 602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40, and the camera lens angle adjusting knob 603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40. Positioned to be exposed at 411.

상기 본체(40)의 상면(410) 이어 피스 옆에는 원형의 개구(412)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카메라 렌즈(601)가 정방으로 위치한 경우에 상기 개구(412)를 통하여 사용자의 피사체 촬영이나 상대방과 영상 통화를 수행한다.A circular opening 412 is additionally provided beside the upper surface 410 ear piece of the main body 40. Therefore, when the camera lens 601 of the camera lens assembly is position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user photographs the subject or performs a video call with the counterpart through the opening 412.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의 장착 구조는 이미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원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는 힌지 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의 회전각도 제한수단도 제1실시예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의 회전량(θ)은 약 30° 내지 50° 정도로 제한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이유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60)의 연성 회로의 간섭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카메라 렌즈(601)가 정방에 위치한 경우에만 피사체 촬영이나 영상 통화를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렌즈 하우징(602)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카메라 렌즈(601)는 본체(10)내부로 잠입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 렌즈(601)가 본체(40) 내부로 잠입한 경우에는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환경이 된다.Since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6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camera lens assembly 60 is rotated by a hinge means, and the rotation angle limiting means of the camera lens assembly 60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the rotation amount θ of the camera lens assembly 6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about 30 ° to 50 °. The reason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60 is to prevent the interference phenomenon of the flexible circuit of the camera lens assembly 60. Only when the camera lens 601 is located in the square, the subject can be photographed or make a video call. When the user rotates the lens housing 602 manually, the camera lens 601 is immersed into the main body 10. It becomes and cannot use it. However, when the camera lens 601 is infiltrated into the main body 40, the camera lens 601 may be protected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본체의 이어 피스 옆에 회전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장착함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하기 편리하다. 더욱이, 본체의 빈 공간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장착함으로서, 공간 효율을 최대화하여 본체 소형화에 유리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외주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낙하시에도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본체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 강성을 구비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rotatable camera lens assembly next to the ear piece of the body, it is convenient to us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Moreover, by mounting the camera lens assembly in the empty space of the main body, it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ing the main body by maximizing the space efficiency.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is protected from the outer environment when the camera lens is not us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igidity such that the camera lens assembly can be protected by the main body even in the case of a drop.

Claims (6)

상면에 위치하는 이어 피스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In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ear piec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이어 피스 바로 옆 방향으로 위치하는 본체 측면 소정위치에 구비된 제1개구;A first opening provided at a predetermined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located in a direction immediately next to the ear piece; 상기 본체 상면 소정위치에 구비되며, 카메라 촬상부 모양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제2개구;A second opening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camera imaging unit; 카메라 렌즈와, 상기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며 상하 방향으로 힌지 돌기가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이 존재하며 상기 제1개구에 안착되어 일부가 본체에 노출되고, 그 나머지가 본체 내로 숨겨지게 장착되는 원통형 렌즈 하우징을 포함하는 회전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The camera lens includes the camera lens, and the hinge protrusion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rotation axis exist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ain body and is seated in the first opening so that a part thereof is exposed to the main body, and the rest is hidden in the main body. A rotatable camera lens assembly comprising a cylindrical lens housing; And 상기 본체 측면과 상기 원통형 렌즈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렌즈 하우징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한 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And a limiting mean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side and the cylindrical lens housing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cylindrical lens hous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수단은 렌즈 하우징 상단에 구비된 돌기; 및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구멍을 구비하는 상하 지지벽을 포함하는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miting means is a projection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lens housing; And an upper and lower support wall having a hol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to limit a rotation angle of the lens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은 렌즈 각도 조절용 노브를 더 구비하는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The wireless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lens housing further comprises a lens angle adjusting kno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후면에 반달형 제2개구를 더 구비하는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The wireless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alf moon-shaped second opening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상면에 위치하는 이어 피스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In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ear piec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이어 피스 바로 옆 방향으로 위치하는 본체 상면 소정위치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용 개구; 및An opening for a camera len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located in a direction immediately next to the ear piece; And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는 렌즈 하우징과,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측면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회전각도 조절용 노브를 포함하는 회전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And a rotatable camera lens assembly including a lens housing embedded in the main body and a rotation angle adjusting knob provided in the lens housing and mounted to be expos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KR10-1999-0067004A 1999-12-30 1999-12-30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KR1004305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004A KR100430595B1 (en) 1999-12-30 1999-12-30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004A KR100430595B1 (en) 1999-12-30 1999-12-30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498A KR20010059498A (en) 2001-07-06
KR100430595B1 true KR100430595B1 (en) 2004-05-10

Family

ID=1963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004A KR100430595B1 (en) 1999-12-30 1999-12-30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5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4373A1 (en) 2002-05-02 2003-11-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tegrated antenna assembly
KR100480282B1 (en) * 2002-10-23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Two-rotational direction camera lenz module
KR100849295B1 (en) * 2002-11-19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80952B1 (en) * 2003-10-30 2006-05-22 텔슨전자 주식회사 Structure for combining camera of portable termina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2195A (en) * 1993-03-31 1994-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radio type tv telephone
JPH08294030A (en) * 1995-04-19 1996-11-05 Hitachi Ltd Video camera integrated with portable telephone set
JPH09130489A (en) * 1995-10-26 1997-05-16 Sharp Corp Radio image transmission telephone set
WO1997026744A2 (en) * 1996-01-17 1997-07-24 Garry Douglas Robb Multifunctional portable telephone
JPH10313452A (en) * 1997-05-12 1998-11-24 Funai Electric Co Lt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174761Y1 (en) * 1999-09-28 2000-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folder type mobile phone
JP2000333148A (en) * 1999-05-18 2000-11-30 Kyocera Corp Portable visual telephone termina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2195A (en) * 1993-03-31 1994-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radio type tv telephone
JPH08294030A (en) * 1995-04-19 1996-11-05 Hitachi Ltd Video camera integrated with portable telephone set
JPH09130489A (en) * 1995-10-26 1997-05-16 Sharp Corp Radio image transmission telephone set
WO1997026744A2 (en) * 1996-01-17 1997-07-24 Garry Douglas Robb Multifunctional portable telephone
JPH10313452A (en) * 1997-05-12 1998-11-24 Funai Electric Co Lt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0333148A (en) * 1999-05-18 2000-11-30 Kyocera Corp Portable visual telephone terminal
KR200174761Y1 (en) * 1999-09-28 2000-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folder type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498A (en)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4965B1 (en) Portable phone with camera lenz opening means in closed folder
US6704586B2 (en)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KR100449451B1 (en)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folder type telephone
KR100604323B1 (en) Embedded camera apparatus and mobile phone including the same
KR100703495B1 (en) Bi-directional sliding-type portable phone
KR100677300B1 (en) Mobile device
US738628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06003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2003060765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US7229186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l lens assembly
KR20050088549A (en) Main board for portable terminal
JP3770146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0430595B1 (en)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RU2354069C2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ry camera
EP1511312B1 (en) Camera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s
KR100442689B1 (en)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KR100516562B1 (en) Mobile phone having lighting device
KR200342944Y1 (en) Camera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539807B1 (en) Zoom camera type mobile phone
KR100819277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85739B1 (en) Camera stabilization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050013444A (en) Camera apparatus capable of rotating in mobile phone
JP2005318064A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40056581A (en) Antenna with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JP2005286632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