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370B1 - 통기성 필름 - Google Patents

통기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370B1
KR100430370B1 KR10-2001-0052862A KR20010052862A KR100430370B1 KR 100430370 B1 KR100430370 B1 KR 100430370B1 KR 20010052862 A KR20010052862 A KR 20010052862A KR 100430370 B1 KR100430370 B1 KR 100430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film
around
air
vo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636A (ko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광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광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광기공
Priority to KR10-2001-0052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37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3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인장특성을 갖는 필름(10)에 종횡으로 흡수체(20)를 중심으로 흡수체(20)의 둘레에 통기성을 위한 공극(30)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공극(30)이 형성되는 중심축(x)(y)은 흡수체(20)를 중심으로, 상호 교차되게 복수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은 연신작업을 통해 흡수체(20)의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공기와 습기는 통기시키고,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극(30)이 흡수체(20)를 중심으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교차 형성되므로, 통기성을 극대화 시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통기성 필름 {Air-permeable film}
본 발명은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흡수체를 중심으로 그둘레에 뚫어지는 공극의 중심축을 서로 교차되게 형성하여 액체의 흡착 속도는 신속하게 하면서, 공극을 통한 통기성을 향상시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기성 필름은 공기와 습기는 통과하지만 액체는 통과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건축용의 경우 통풍은 가능한 상태로 실내 응결을 방지하는 응결방지필름 및 여성의 생리대나, 유아용 기저귀, 그리고, 노인들의 요실금 치료용으로 주로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시중에서 볼 수 있는 통기성 필름을 이용한 건축용 필름 및 흡수 패드는 생리대와 유아용 기저귀를 예로 들면, 모두가 내면에 고분자 흡수체가 있는 제품들이다.
또한, 각 회사마다 생산되는 통기성 필름 크게 드라이 메쉬 필름 구조와 구멍의 통로가 상하로 서로 일치하는 PE층 한겹과 부직포 한 겹으로 구성된 것이 있다.
상기 통기성 필름 중에서 드라이 메쉬 필름은 고분자 흡수체 위를 구멍이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폴리에틸렌(PE) 재질의 얇은 막으로 덮어 수분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그리고, PE층 한겹과 부직포 한겹으로 구성된 것은 부직포가 PE층과 고분자 흡수체 사이에 기어 있고, PE층의 구멍은 직접 통과 방식과, 압축하고 옆층을 끌어서 터트리는 방식으로 크게 구분된다.
한편, 통기성 필름과 고분자 흡수체를 갖는 통기성 필름은 수분이 일단 고분자 흡수체에 흡착 된 수 고분자 흡수체와 함께 응고된 입자 상태로 형성되고, 상당히 강하게 압축을 가하지 않는다면 다시 수분이 흘러나올 수 없다.
그러므로, 고분자 흡수체를 사용한 생리대는 모두 각기 지니고 있는 흡수 속도와 표면층의 건조성을 강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통상의 통기성 필름에 형성되는 다공의 공극은 비교적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액체가 미세한 공극을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작기 때문에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와 습기는 통과시킴으로써, 생리대나 유아용 기저귀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통기성 필름은 통상 폴리올레핀 수지와 각종 비혼합성 무기충전제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을 형성하고, 이어서 필름을 연신시켜 다공성 필름을 제조하여 사용하므로, 상기 필름을 연신시키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공극이 통상 한방향으로만 국한되므로, 통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분자 흡수체를 함유한 상태로 필림을 형성한 후 연신기를 통해 연신하는 방식에는 필림의 연신과정이 일방향으로만 한정되어지므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분자 흡수체를 중심으로 한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제품에 필요한 규정 통기율을 도달하지 못한 상태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기성 필름의 성형시 필름의 상부면으로 위치되는 흡수체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직교되게 공극을 형성하여 그 공극수 증가에 따른 통기성 향상으로 액체의 흡착 속도는 신속하게 하면서, 공극을 통한 통기성을 향상시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통기성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통기성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통기성 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2a는 필름이 연신되기 직전 흡수체만 배치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2b는 필름이 길이방향으로 연신되어 흡수체 둘레에 연신에 따른 공극이 한 중심축에 형성되는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2c는 필름이 길이방향에 이어서 폭방향으로 연신되어 흡수체 둘레에 연신에 따른 공극이 두 중심축에 각각 직교방향으로 형성되는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필름 20 - 흡수체
30 - 공극 x,y - 중심축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인장특성을 갖는 필름(10)에 종횡으로 흡수체(20)를 중심으로 흡수체(20)의 둘레에 통기성을 위한 공극(30)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공극(30)이 형성되는 중심축(x)(y)은 흡수체(20)를 중심으로, 상호 교차되게 복수로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공극(30)이 흡수체(20)를 중심으로 연신과정에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각각 연신시켜 공극(30)들이 이루는 중심축(x)(y)이 흡수체(20)를 중심으로, 상호 교차되게 복수로 형성되어, 공기와 습기는 통기시키고,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제품의 통기성을 극대화 시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통기성 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로 일중심축 방향으로만 공극이 형성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2a는 필름이 연신되기 직전 흡수체만 배치된 상태를 확대도로 도시하고, 도 2b는 필름이 길이방향으로 연신되어 흡수체 둘레에 연신에 따른 공극이 한 중심축에 형성되는 상태를 확대도로 보이고 있다.
도 2c는 필름이 길이방향에 이어서 폭방향으로 연신되어 흡수체(20) 둘레에 연신에 따른 공극이 두 중심축(x)(y)에 각각 직교방향으로 형성되는 상태를 확대도로 보이고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은 소정의 인장특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필름(10)의 상면으로 다수개의 흡수체(20)를 혼입한 상태로 압출 성형한 후, 종방향 및 횡방향에 대한 연신작업을 통해 흡수체(20)를 중심으로 흡수체(20)의 외주면에 통기성을 위한 공극(30)을 두 중심축(x)(y)들에 상호 대칭방향으로 교차 형성시켜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필름(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흡수체(20)를 중심으로 두 중심축(x)(y)이 교차되게 공극(30)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연신기를 통한 연식 작업에서 이루어 진다.
즉, 일차적으로 횡방향에 대한 연신작업을 수행한 후, 종방향 연신작업을 거쳐 흡수체(20)의 외주면으로 교차되게 공극(3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흡수체(20)를 가는 분말상태로 충진 폴리올레핀 소재에 혼합한 상태로 아주 얇은 상태의 필름으로 압출 성형되면 도 2a와 같이 흡수체(20)가 배치된 상태의 필름(10)을 얻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호흡성을 가진 필름(10)을 일차적으로 제조한 후, 이것을 베이스로 흡수체(20)와 PP또는 PE필름을 인플레이션 또는 캐스트 필림 프로세스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에서 연신기를 통해 일차적으로 횡방향에 대한 연신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연신율이 높은 필름(10)은 연신방향으로 늘어나게 되나, 흡수체(20)는 연신율이 거의 없게 되므로 그 연신방향으로 늘어나는 필름소재에 의해 흡수체(20)의 둘레에는 그 횡방향 중심축(x)을 축으로 공극(3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횡방향 연신에 이어 종방향 연신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시키게 되면, 상기와 같은 이유로 종방향 중심축(y)을 축으로 공극(30)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흡수체(20)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두 중심축(x)(y)이 교차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공극(30)들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필름(10)의 연신방향은 우선 횡방향으로 작업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 방향 우선권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종방향으로 우선 연신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으며, 두 중심축(x)(y)의 교차각도는 통상 90°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한 연신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름(10)은 소정의 인장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연신작업에 의해 소정 길이와 폭으로 인장될 수 있는 것이고, 흡수체(20)는 주로 탄산칼슘을 재료원으로 하므로, 필름(10)과 달리 탄성적이지 않게 때문에 1 ~ 2㎛ 경의 미세한 공극이 형성되어, 이곳으로 수증기를 투과시키며 동시에 물과 기타 액체에 대한 차단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신작업 통해 흡수체(20)의 외주면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극(30)의 두 중심축(x)(y)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교차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직이 아닌 다른 교차각도로도 변형시켜 성형하여도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은 액상의 내용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생리대와 유아용 기저귀, 그리고, 요실금 치료패드 등에 사용가능하고, 건축자재의 통풍과 결빙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루핑재료로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인 통기성 필름은 통기성 향상을 위하여 필름의 상부로 위치되는 흡수체의 둘레에 연신작업으로 형성되는 공극들의 두 중심축을 상호 대칭방향에 대하여 교차되게 형성하므로, 액체에 대한 흡수는 신속하게 하면서도, 공기와 습기에 대한 통기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인장 특성을 갖는 필름(10)에 종횡으로 흡수체(20)를 중심으로 흡수체(20)의 둘레에 통기성을 위한 공극(30)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공극(30)이 형성되는 중심축(x)(y)은 흡수체(20)를 중심으로, 상호 교차되게 복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극(30)이 형성되는 중심축(x)(y)의 교차각은 9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필름.
KR10-2001-0052862A 2001-08-30 2001-08-30 통기성 필름 KR100430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862A KR100430370B1 (ko) 2001-08-30 2001-08-30 통기성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862A KR100430370B1 (ko) 2001-08-30 2001-08-30 통기성 필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427U Division KR200256792Y1 (ko) 2001-08-30 2001-08-30 통기성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636A KR20030018636A (ko) 2003-03-06
KR100430370B1 true KR100430370B1 (ko) 2004-05-10

Family

ID=2772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862A KR100430370B1 (ko) 2001-08-30 2001-08-30 통기성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140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소재의맥 불규칙 패턴의 미세 홈을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178A (ja) * 1993-02-10 1994-08-23 Kao Corp 透湿性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127275A (ja) * 1998-10-30 2000-05-09 Takiron Co Ltd 立体シート部材
WO2001015898A1 (en) * 1999-08-27 2001-03-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multilayer films with breakable skin layers
KR20010023955A (ko) * 1997-09-15 2001-03-26 로날드 디. 맥크레이 안정한 통기성 탄성 제품
KR20010033116A (ko) * 1998-10-14 2001-04-25 마츠모토 고이치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이 네트를 이용한 복합구조재
EP1234783A2 (en) * 2001-02-05 2002-08-28 Uni-Charm Corporation Drip absorption ma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178A (ja) * 1993-02-10 1994-08-23 Kao Corp 透湿性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23955A (ko) * 1997-09-15 2001-03-26 로날드 디. 맥크레이 안정한 통기성 탄성 제품
KR20010033116A (ko) * 1998-10-14 2001-04-25 마츠모토 고이치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이 네트를 이용한 복합구조재
JP2000127275A (ja) * 1998-10-30 2000-05-09 Takiron Co Ltd 立体シート部材
WO2001015898A1 (en) * 1999-08-27 2001-03-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multilayer films with breakable skin layers
EP1234783A2 (en) * 2001-02-05 2002-08-28 Uni-Charm Corporation Drip absorption m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140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소재의맥 불규칙 패턴의 미세 홈을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636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8052B2 (en) Highly air-permeable and water-resistance sheet, a highly air-permeable and water-resistance sheet composite and an absorbent artic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ly air-permeable and water-resistance shee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ly air-permeable and water-resistance sheet composite
KR101829059B1 (ko) 흡수 물품용 이동층
KR101788320B1 (ko) 흡수 물품용 이동층
US20190374408A1 (en) Absorbent article with dual core
AU757223B2 (en) Air permeable, liquid impermeable barrier structure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TW464604B (en) Method of modifying a nonwoven fibrous web for use as a component of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RU2198642C2 (ru) Высокоэффективный поглощающий материал для абсорбирующих изделий
RU2238761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имеющее покрывающий слой из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зоной с объемным контуром
US4804378A (en) Absorbent article
US20150190543A1 (en) Coform nanofibrous superabsorbent materials
US20030012928A1 (en) Absorbent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XPA02002216A (es) Panal con capacidad para respirar con laminado interior con capacidad para respirar baja a moderada y cubierta exterior con mas capacidad para respirar.
US20130012902A1 (en) Wound dressing comprising a superabsorbing substance
CN1200020A (zh) 吸收制品
JPS63315657A (ja) 不織布製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261287A (zh) 一种导湿保湿医用敷料及其制备方法
JP2003520698A (ja) 重力に逆らって高流束量を目的とする液体輸送部材
JP3875595B2 (ja) 吸水性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40729A1 (en) Absorbent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430370B1 (ko) 통기성 필름
KR200256792Y1 (ko) 통기성 필름
JP2004512862A (ja) 高い対流的空気流速度を有する吸収性障壁構造体及びそれから作成される製品
CN207579273U (zh) 一种吸水纸
JPH02191758A (ja) 耐水性不織布及び使い捨ておむつ
JPH02198551A (ja) 吸収性物品の表面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