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736B1 -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736B1
KR100428736B1 KR10-2001-0022655A KR20010022655A KR100428736B1 KR 100428736 B1 KR100428736 B1 KR 100428736B1 KR 20010022655 A KR20010022655 A KR 20010022655A KR 100428736 B1 KR100428736 B1 KR 100428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rotocol
node
packe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6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83253A (en
Inventor
오세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to KR10-2001-0022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736B1/en
Publication of KR2002008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2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736B1/en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GPP PS(Packet Switched) 도메인의 터널링과 캡슐화에 의한 오버헤드를 피하기 위해서 IP 헤더 압축이 이루어지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이 있는 무선망 제어국(RNC)까지 IP 기반의 라우팅이 이루어지도록 무선망 제어국까지 IP 기반 네트워크를 확장함으로써 SGSN과 무선망 제어국(Radio Network Controller) 사이(Iu-PS 인터페이스)의 구간과 GGSN과 SGSN 사이(Gn 인터페이스)에서 GTP-U 터널을 제거하여 터널링에 의한 이동성 제공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IP 헤더 정보도 실제 라우팅을 위해 사용되도록 하여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망 및 그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P up to the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with the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in which IP header compression is performed to avoid the overhead of tunneling and encapsulation of the 3GPP PS (Packet Switched) domain. GTP-U tunnel between the GSGN and SGSN (Gn interface) and the section between SGSN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Iu-PS interface) by extending the IP-based network to the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for routing. I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ts operation method to overcome the inefficiency of providing mobility by tunneling to ensure that the IP header information is also used for the actual routing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Description

이동통신망 및 그의 운용방법{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및 그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GPP 네트워크에서 무선망 제어국(RNC: Radio Access Controller)까지 IP 기반 네트워크를 확장함으로써 Iu-PS 구간과 Gn 인터페이스에서 GTP-U 터널을 제거하여 터널링에 의한 이동성 제공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IP 헤더 정보도 실제 라우팅을 위해 사용되도록 하여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망 및 그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GTP-U tunnel in an Iu-PS section and a Gn interface by extending an IP-based network from a 3GPP network to a radio access controller (RN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hich overcomes the inefficiency of providing mobility by tunneling and improves network performance by allowing IP header information to be used for actual routing.

종래의 이동통신의 지역적, 음성 중심의 한계를 극복하고 비음성(음성, 데이터, 영상 등)을 지역에 관계없이 제공하는 제 3 세대 미래공중육상 이동통신 시스템(FPLMTS)으로서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은 유럽 중심의 3GPP DS-WCDMA(UMTS; Universal Mobile Telelcommunication Systems) 방식과 북미의 3GPP2 MC-WCDMA(CDMA2000) 방식이 양립하여 표준화되고 있다. 3GPP의 UMTS 네트워크와 3GPP2의 CDMA2000 네트워크에서 회선 모드 도메인은 네트워크 구조 및 요소 시스템 구성과 기능이 거의 동일하나, 패킷 모드 도메인은 네트워크 구조 및 요소 시스템 구성에서 많은 차이점을 갖고 있다.IMT-2000 (International Mobile) is a third generation future airborne l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PLMTS)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local and voice-oriented limitations of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and provides non-voice (voice, data, video, etc.) regardless of the reg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 Telecom) is being standardized by combining 3GPP DS-WCDMA (UMTS) and Europe's 3GPP2 MC-WCDMA (CDMA2000). In the UMTS network of 3GPP and the CDMA2000 network of 3GPP2, the circuit mode domain has almost the same network structure and element system configuration and function, but the packet mode domain has many differences in network structure and element system configuration.

도 1은 표준안에 따른 UMTS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UMTS 네트워크는 다수의 이동국들(MS: Mobile Station-10),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220)과 제어국(BSC: Base Station Controller-210)으로 구성된 기지국서브시스템(BSS: Base Station Subsystem-200),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600), 인증센터(AuC)(610), 홈위치등록기(HLR)(620),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300),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400), GMSC(Gateway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500), 무선망 제어국(RNC: Radio Network Controller-110)와 다수의 노드 B(120)로 구성된 무선망서브시스템(RNS: Radio Network Subsystem-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UMTS network according to a standard. As shown in FIG. 1, a UMTS network includes a base station sub-channe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mobile stations (MSs), a base station (BTS), and a control station (BSC: Base Station Controller-210). Base Station Subsystem-200 (BSS), Mobile Switching Center-600 (MSC), Authentication Center (AuC) 610, Home Location Register (HLR) 620, Serving GPRS Support Node-300 (SGSN) ,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400), GMSC (Gateway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500),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Radio Network Controller-110) and a wireless network subsystem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ode B (120) RNS: Radio Network Subsystem-100).

이러한 UMTS 네트워크에서 이동국들(MS)(10)은 임의의 기지국(220)의 범위 내에 있고, 이동국(10)의 정보는 기지국(220)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국(210)을 거쳐 교환국(600)에 전송되며, 교환국(6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기지국(220) 및 제어국(210)을 거쳐 이동국(10)으로 전송된다. 이동국(10)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이동국(mobile termina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 단말 기능을 갖는 랩탑 컴퓨터와 같은 각종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이다.In this UMTS network, the mobile stations (MS) 10 are within the range of any base station 220, and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is passed through the base station 220 and the control station 210 controlling the switching station 600.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witching center 60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10 via the base station 220 and the control station 210. The mobile station 10 is a wireless terminal including various kinds of computers such as a mobil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laptop computer having a mobile terminal function, etc., which a user can carry and communicate with while moving.

기지국(BTS)(220)은 이동국(10)을 제어국(220)에 접속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이동국(10)과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제어국(210)과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The base station (BTS) 220 is responsible for connecting the mobile station 10 to the control station 220,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station 10, and performs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tation 210 by wire Perform wired / wireless conversion function.

제어국(BSC)(210)은 기지국(220)을 교환국(600)에 접속시켜 기지국(220)간의 연결을 조정하며, 기지국(220)과 교환국(600)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담당한다.The control station (BSC) 210 connects the base station 220 to the switching center 600 to coordina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s 220 and is responsible for a signal processing func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220 and the switching station 600. .

교환국(MSC)(600)은 방문자 위치등록기(VLR : Vistor Location Register)를 구비하며, 홈위치등록기(620)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가입자 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교환국(600)은 제어국(210)과 접속하여 이동국(10)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 관련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The switching center (MSC) 600 includes a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and interworks with the home location register 620 to process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calls. In addition, the switching center 600 connects to the control station 210 to perform a call setup and release func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and performs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call processing and additional service.

회선(Circuit) 관리 서버인 홈위치등록기(HLR)(620)는 교환국(600)에 연결되어 이동 전화 가입자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여러 교환국(600)과 연동하여 가입자 위치 등록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국(10) 및 가입자의 영구적인 정보 및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며, 방문자 위치등록기(VLR)와 상호 작용하여 호처리 및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지원한다. 특히, 회선(Circuit)망에서 음성 호 관련 이동성 및 서비스 관련 기능을 제공한다.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620, which is a circuit management server, is a database that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center 600 and manage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f mobile subscribers. It stores the permanen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and subscribers, and interacts with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to support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call processing and additional services. In particular, it provides voice call-related mobility and service-related functions in a circuit network.

또한, 회선(Circuit) 관리 서버인 인증센터(AuC)(610)는 이동국(10)이 망으로 전화요구시 회선망 접속(Access)의 허용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 이동국(10)과 고유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center (AuC) 610, which is a circuit management server, uses a unique algorithm with the mobile station 10 to check whether the mobile station 10 permits a circuit network access when a telephone request is made to the network. The authentication process.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300)는 이동국(10)에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의 서빙 노드로, 이동국의 패킷 모드에 대한 이동성 관리 컨텍스트를 설정함으로써 이동국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 관리를 담당한다. 그리고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400)과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를 설정하고, GTP(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링을 이용하여 SDU(Service Data Unit)를 전달한다.The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300 is a serving node of a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that provides packet service to the mobile station 10, and sets packet mobility data of the mobile station by setting a mobility management context for the packet mode of the mobile station. Responsible for service management. In addition, the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400) and the PDP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are set, and the service data unit (SDU) is delivered using GPRS Tunneling Protocol (GTP) tunneling.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400)는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하는 GPRS 게이트웨이 노드로, SGSN(300)과는 IP-기반 GPRS 백본망으로 연결되어 SGSN(300)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유지함으로써 터널링 및 IP(Internet Protocol) 라우팅 기능을 갖는다. 라우팅 정보는 현재 이동국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SGSN(300)으로 SDU를 터널링하기 위해 사용되고, 홈위치등록기(620)로부터는 이동국 위치 정보를 얻는다. GGSN(400)은 IMT-200O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또는 타 ISP와의 접속 서비스를 위해 단말기에 IP 주소를 할당하고 관리하며, PPP(Point-to-Point Protocol) 생성, 종단, 및 릴레이, 스크리닝 기능 등을 담당한다.Gateway GPRS Support Node-400 (GGSN) is a GPRS gateway node that directly connects to an external packet data network, and is connected to SGSN 300 by an IP-based GPRS backbone network to maintain tunneling information to SGSN 300. And IP (Internet Protocol) routing function. The routing information is used to tunnel the SDU to the SGSN 300 which currently supports packet mode data services of the mobile station, and obtains mobil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620. The GGSN 400 allocates and manages IP addresses to terminals for connection services with IMT-200O Internet Service Providers (ISPs) or other ISPs, and generates, terminates, relays, and screens PPP (Point-to-Point Protocol). It is in charge of the back.

무선망 서브시스템(RNS: Radio Network Subsystem)(100)은 무선망 제어국(Radio Network Controller)(110)와 그에 접속된 다수의 노드 B(120)로 구성된다. 노드 B(120)는 무선신호 송수신, 무선채널 부호화 및 복호화, 신호세기 및 품질측정, 기저대역 신호처리, 다이버시티, 무선자원관리, 및 자체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고, 무선망 제어국(110)은 노드 B(120)와의 정합, 셀간 핸드오버 처리, 호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하나의 무선망 제어국(110)은 여러 개의 노드 B(120)들을 제어한다.Radio Network Subsystem (RNS) 100 is comprised of a Radio Network Controller 110 and a plurality of Node Bs 120 connected thereto. Node B 120 performs radio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dio channel encoding and decoding, signal strength and quality measurement, baseband signal processing, diversity,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self-maintenance functions, and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110. The node performs functions such as matching with the Node B 120, inter-cell handover processing, call control, and the like, and one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110 controls several Node Bs 120.

3GPP와 3GPP2는 연결형 기반(connection-oriented)의 무선접속망(Radio Access Network)을 통해 비연결형(connectionless) 기반의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터널링 기법과 캡슐화 방식을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터널링 기법(Tunneling)은 데이터 패킷을 커프셀화할 때 특정 사용자끼리만 유효한 패킷으로 변환해 논리적인 터널을 만드는 기법으로, 이러한 터널링 기법은 서로 다른 성질의 망을 연동하는데에는 효과적이나, 터널을 생성하고 해제하는 복잡한 절차가 터널의 양단에서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동국의 이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터널의 해제와 재설정 등의 오버헤드를 발생시켜 그 효율이 저하된다.3GPP and 3GPP2 recommend the use of tunneling techniques and encapsulation schemes to provide connectionless packet services over a connection-oriented Radio Access Network. Tunneling technique creates a logical tunnel by converting only a specific user into a valid packet when cuffing a data packet. This tunneling technique is effective for interworking networks of different properties, but it creates and releases tunnels. Since a complicated procedure must be performed at both ends of the tunnel, when the mobile station frequently moves, the overhead of release and resetting of the tunnel is incurred, and the efficiency is reduced.

도 2는 종래의 UMTS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GPP의 경우 GGSN(400)과 SGSN(300) 사이(Gn 인터페이스), SGSN(300)과 무선망 제어국(110) 사이(Iu-PS 인터페이스)의 구간에서는 GPRS 터널링 프로토콜(GTP-U)을 사용하여 모든 PTP(Point-to-Point) 데이터 패킷 프로토콜(PDP) 데이터 유닛을 캡슐화한다. 따라서 IP 헤더 패킷 라우팅 관련 정보는 이 터널 구간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동국(10)에서는 코어 네트워크의 이런IP 헤더 정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GTP-U 터널 구간에서도 이 정보를 캡슐화시켜 무선망 제어국(RNC)(110)까지 전달해야만 한다. 이러한 기존의 이동통신망은 터널링과 캡슐화로 인한 오버헤드를 발생시키고, IP 헤더 캡슐화에 의한 대역의 낭비로 터널 구간에서의 전송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 3 세대 무선 패킷 서비스를 좋은 품질과 경제적인 가격으로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user plane protocol of a conventional UMTS. 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3GPP, GPRS tunneling is performed in a section between GGSN 400 and SGSN 300 (Gn interface) and between SGSN 300 and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110 (Iu-PS interface). The protocol (GTP-U) is used to encapsulate all point-to-point data packet protocol (PDP) data units. Therefore, IP header packet routing related information is not used at all in this tunnel section. However, since the mobile station 10 needs such IP header information of the core network, this information must be encapsulated in the GTP-U tunnel section and transmitted to the RNC 110. Such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generates overhead due to tunneling and encapsulation, and causes a problem of reducing transmission efficiency in a tunnel section due to waste of bandwidth due to IP header encapsulation.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service network in order to provide third-generation wireless packet service with good quality and economical pri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GPP PS 도메인의 터널링과 캡슐화에 의한 오버헤드를 피하기 위해서 IP 헤더 압축이 이루어지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이 있는 무선망 제어국(RNC)까지 IP 기반의 라우팅이 이루어지도록 무선망 제어국까지 IP 기반 네트워크를 확장함으로써 Iu-PS 구간과 Gn 인터페이스에서 GTP-U 터널을 제거하여 터널링에 의한 이동성 제공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IP 헤더 정보도 실제 라우팅을 위해 사용되도록 하여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망 및 그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in which IP header compression is performed to avoid the overhead of tunneling and encapsulation of a 3GPP PS domain. By extending the IP-based network to the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for IP-based routing to the RNC with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the GTP-U tunnel is removed from the Iu-PS section and the Gn interface. I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ts operation method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by overcoming the inefficiency of mobility provision and IP header information is also used for the actual routing.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양상은 무선망 제어국(RNC)과 다수의 노드 B로 구성되는 무선망 서브시스템(RNS); 이동통신망을 데이터 패킷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게이트웨이 노드(gateway node); 및 이동국의 패킷 모드에 대한 이동성 관리 컨텍스트를 설정함으로써 이동국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 관리를 담당하는 서빙 노드(serving node)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으로서, 상기 망에서 무선망 제어국, 게이트웨이 노드 및 서빙 노드가 IP 라우팅에 의해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이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adio network subsystem (RNS) consisting of a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and a plurality of Node Bs; A gateway node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ata packet network; And a serving node in charge of packet mode data service management of the mobile station by setting a mobility management context for the packet mode of the mobile station, wherein the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the gateway node, and the serving node in the network include: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by delivering packet data by IP routing.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양상은 무선망 제어국(RNC)과 다수의 노드 B로 구성되는 무선망 서브시스템(RNS); 이동통신망을 데이터 패킷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게이트웨이 노드(gateway node); 및 이동국의 패킷 모드에 대한 이동성 관리 컨텍스트를 설정함으로써 이동국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 관리를 담당하는 서빙 노드(serving node)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서빙 노드로서, 상기 서빙 노드가 무선망 제어국 및 게이트웨이 노드와 IP 패킷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서빙 노드이다.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radio network subsystem (RNS) consisting of a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and a plurality of Node Bs; A gateway node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ata packet network; And a serving node in charge of packet mode data service management of the mobile station by setting a mobility management context for the packet mode of the mobile station, wherein the serving node is a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and a gateway node. And a routing node for routing packet data by an IP packet protoco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양상은 무선망 제어국(RNC)과 다수의 노드 B로 구성되는 무선망 서브시스템(RNS); 이동통신망을 데이터 패킷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게이트웨이 노드(gateway node); 및 이동국의 패킷 모드에 대한 이동성 관리 컨텍스트를 설정함으로써 이동국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 관리를 담당하는 서빙 노드(serving node)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 노드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노드가 서빙 노드와 IP 패킷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 데이터를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이다.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adio network subsystem (RNS) consisting of a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and a plurality of Node Bs; A gateway node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ata packet network; And a serving node responsible for managing a packet mode data service of the mobile station by setting a mobility management context for the packet mode of the mobile station, wherein the gateway node is connected to the serving node and the IP packet protocol. A gateway n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routing packet data.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양상은 무선망 제어국(RNC)과 다수의 노드 B로 구성되는 무선망 서브시스템(BSS); 이동통신망을 데이터 패킷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게이트웨이 노드(gateway node); 및 이동국의 패킷 모드에 대한 이동성 관리 컨텍스트를 설정함으로써 이동국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 관리를 담당하는 서빙 노드(serving node)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무선망 제어국으로서, 상기 무선망 제어국이 서빙 노드 및 게이트웨이 노드와 IP 패킷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무선망 제어국이다.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adio network subsystem (BSS) consisting of a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and a plurality of Node Bs; A gateway node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ata packet network; And a serving node in charge of packet mode data service management of the mobile station by setting a mobility management context for the packet mode of the mobile station, wherein the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includes a serving node and a serving node; A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by routing packet data by a gateway node and an IP packet protoco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양상은 무선망 제어국(RNC)과 다수의 노드 B로 구성되는 무선망 서브시스템(BSS); 이동통신망을 데이터 패킷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게이트웨이 노드(gateway node); 및 이동국의 패킷 모드에 대한 이동성 관리 컨텍스트를 설정함으로써 이동국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 관리를 담당하는 서빙 노드(serving node)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운영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무선망 제어국, 서빙 노드 및 게이트웨이 노드 사이에 데이터 패킷을 IP 라우팅에 의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운용방법이다.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adio network subsystem (BSS) consisting of a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and a plurality of Node Bs; A gateway node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ata packet network; And a serving node in charge of packet mode data service management of the mobile station by setting a mobility management context for the packet mode of the mobile station, the method comprising: a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a serving node, and a serving node;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transmitting data packets between gateway nodes by IP routing.

도 1은 종래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의 망 구조도,1 is a network structural diagram of a conventional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

도 2는 종래의 UMTS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의 구조도,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user plane protocol of a conventional UMT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망에서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의 구조도,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user plane protoco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서 무선망 제어국과 서빙 노드 사이에 교환되는 IP 데이터그램의 구조도,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P datagram exchanged between a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and a serving nod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PDP 컨텍스트의 활성화 방법에서의 메세지 흐름도,5 is a message flowchart in a method of activating a PDP cont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IP 기반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서 사용하는 패킷 컨텍스트의 일실시예의 도면,6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acket context used in an IP-bas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이동국(MS: Mobile Station)10: Mobile Station (MS)

100: 무선망 서브시스템(RNS: Radio Network Subsystem)100: Radio Network Subsystem (RNS)

110: 무선망 제어국(RNC: Radio Network Controller)110: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120: 노드 B (Node B)120: Node B

200: 기지국 서브시스템 (BSS: Base Station Subsystem)200: base station subsystem (BSS)

210: 제어국 (BSC) 220: 기지국 (BTS)210: control station (BSC) 220: base station (BTS)

300: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300: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400: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400: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500: GMSC(Gateway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500: Gateway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GMSC)

600: 교환국(MSC) 610: 인증센터(AuC)600: exchange office (MSC) 610: certification center (AuC)

620: 홈위치등록기(HLR)620: Home Location Register (HLR)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연결형 기반의 무선접속망(RAN)을 통해 비연결형 기반의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터널링을 제거하고, 터널이 제거된 구간에서 IP 헤더를 통해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unneling used to provide connectionless-based packet service through the connection-based radio access network (RAN) is removed and is routed through the IP header in the section where the tunnel is removed.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망은 무선망 제어국(RNC)과 다수의 노드 B로 구성되는 무선망 서브시스템(RNS); 이동통신망을 데이터 패킷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게이트웨이 노드(gateway node); 및 이동국의 패킷 모드에 대한 이동성 관리 컨텍스트를 설정함으로써 이동국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 관리를 담당하는 서빙 노드(serving node)를 포함하고, 특히 무선망 제어국, 게이트웨이 노드 및 서빙 노드가 IP 라우팅에 의해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은 상술한 특징적인 구성 요소 이외에 다수의 이동국들, 기지국(BTS)과 제어국(BSC)으로 구성된 기지국 서브시스템(BSS), 교환국(MSC), 인증센터(AuC), 홈위치등록기(HLR) 등의 2G 또는 3G 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adio network subsystem (RNS) consisting of a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and a plurality of Node Bs; A gateway node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ata packet network; And a serving node responsible for managing the packet mode data service of the mobile station by setting a mobility management context for the packet mode of the mobile station, and in particular, the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the gateway node, and the serving node transmit packets by IP routing. It is characterized by passing the dat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tation subsystem (BS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mobile stations, a base station (BTS) and a control station (BSC), a switching center (MSC), an authentication center (AuC), and a home loc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components. It may include 2G or 3G network elements such as a register (HLR).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은 무선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이하 "RAN"이라한다)을 ATM 영구가상회선(PVC: Permanent Virtual Circuits)으로 구성하고 그 위에 IP 프로토콜을 올리는 형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망내의 모든 노드들이 ATM PVC 형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비연결형 패킷 서비스를 연결형 서비스인 ATM 교환가상회선(SVC; Switched Virtual Circuits)을 통해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터널링을 제거할 수 있으며,터널링 구간에서 ATM PVC 기반으로 IP 기반 라우팅을 사용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o access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N") is composed of ATM Permanent Virtual Circuits (PVC) and a system in which an IP protocol is placed thereon. do.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nodes in the network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ATM PVC. This configuration eliminates the tunneling that was used to provide connectionless packet services through ATM Switched Virtual Circuits (SVCs), which are connected services, and uses IP-based routing based on ATM PVC in the tunneling section. do.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에서 서빙 노드는 홈위치등록기, 교환국, 및 기지국 서브시스템과 연결되어 서로 통신한다. 이러한 서빙 노드는 서비스 영역내에서 패킷을 이동국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빙 노드는 홈위치등록기에 문의하여 GPRS 가입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얻고, 해당 서비스 영역내에서의 새로운 GPRS 이동국을 찾아내어 새로운 이동 가입자 등록을 행하고, 그러한 가입자들의 위치 정보를 유지한다. 따라서, 서빙 노드는 이동성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ng node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s with a home location register, a switching center, and a base station subsystem. This serving node serves to deliver packets to the mobile station in the service area. The serving node queries the home location registrar to obtain profile data of the GPRS subscriber, finds a new GPRS mobile station in the service area, registers a new mobile subscriber, and main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ose subscribers. Thus, the serving node performs the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서빙 노드는 서브네트워크 주소 중 일정 범위를 할당받아 이 주소의 범위를 자신의 라우팅 주소(Routeing Area)로 관리한다.The serving node receives a range of subnetwork addresses and manages the range of this address as its own routing address.

본 발명에서 게이트웨이 노드는 하나 이상의 서빙 노드들과 Gn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고, 인터넷, 기업체의 인트라넷, 모바일 서비스 제공자 등의 GPRS 서비스와 같은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로 기능한다. 게이트웨이 노드는 패킷 데이터를 서빙 노드 및 특정 단말로 전달하는데 필요한 라우팅 정보를 유지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teway node communicates with one or more serving nodes through a Gn interface, and functions as an interface with an external packet data network such as a GPRS service such as the Internet, an enterprise intranet, or a mobile service provider. The gateway node maintains routing information necessary to deliver packet data to the serving node and a specific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망에서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의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무선접속망(UTRAN), 서빙 노드(SGSN) 및 게이트웨이 노드(GGSN)는 터널링과 캡슐화를 위한 터널링 프로토콜을 포함하지않는다. 대신에 인터넷 프로토콜(IP)의 라우팅 알고리즘이 이용된다. IP 계층의 라우팅 테이블은 PDP 컨텍스트 활성화 절차중에 최적 경로를 따라 생성되며, 이 후 각 노드로 전달되는 패킷은 IP 계층의 라우팅 테이블에 정의되어 있는 것들만 처리된다. 이러한 형태의 IP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IP 어드레스를 처리할 수 있는 IP 드라이버가 우선적으로 구현되어야 한다.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user plane protoco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o access network (UTRAN), the serving node (SGSN) and the gateway node (GGSN) do not include a tunneling protocol for tunneling and encapsulation. Instead, the routing algorithm of the Internet Protocol (IP) is used. The routing table of the IP layer is created along the optimal path during the PDP context activation procedure. After that, the packets to each node are processed only those defined in the routing table of the IP layer. In order to provide this type of IP routing algorithm, an IP driver capable of processing a plurality of IP addresses should be implemented first.

본 발명에서 무선망 제어국(RNC)은 터널링 프로토콜(예컨대, GTP-U)을 포함하지 않고, 인터넷 프로토콜(IP)만을 포함하며, 이 이외에 다른 계층의 프로토콜은 규격과 동일하게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에서 모든 사용자 데이터는 처리되어 일련의 ATM 셀들의 형태로 각 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본 발명에서 제 2 계층 프로토콜인 AAL-5는 Iu-PS 인터페이스에서 패킷 스위칭 사용자 트래픽을 전달하고 시그널링, 및 데이터 쓰루풋(data throughput)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무선망 제어국의 프로토콜 스택에서 RLC(Radio Link Control)는 포인트-대-멀티포인트 어드레싱 및 데이터 프레임 재전송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신뢰할만한 무선 링크를 제공하고, MAC(Medial Access Control)는 무선 엑세스 시그널링 과정을 제어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does not include a tunneling protocol (eg, GTP-U), and only includes an Internet protocol (IP). Other protocols of the other layers ar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tandar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user data is processed and transmitted on each link in the form of a series of ATM cell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ayer protocol, AAL-5, is used to carry packet switching user traffic on the Iu-PS interface and to control signaling and data throughput. In the protocol stack of the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adio Link Control (RLC)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point-to-multipoint addressing and data frame retransmission, providing a reliable radio link, and MAC (Medial Access Control) Control the access signaling process.

무선망 제어국(RNC), 서빙 노드 및 게이트웨이 노드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User Datagram Protocol)을 사용하고,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빙 노드와 게이트웨이 노드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로토콜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데, 즉,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은 중간 노드에서는 필요로 하지않고, 가상 연결의 양 말단에서 필요할 수 있다.Radio network control stations (RNCs), serving nodes, and gateway nodes use User Datagram Protocol (UDP) as the transport layer protocol, and Internet Protocol (IP) as the network layer protocol. In other embodiments, the serving node and the gateway node may not include the User Datagram Protocol (UDP) protocol, that is, the User Datagram Protocol (UDP) may not be needed at the intermediate node and may be needed at both ends of the virtual connection. have.

제 2 계층 프로토콜인 패킷 데이터 컨버젼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은 무선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사용자 데이터 유니트(PDU: Protocol Data Unit)의 송신 및 수신을 담당하며, 아울러 프로토콜 헤더 압축을 통해서 채널의 효율성을 높인다.The second layer protocol,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is responsible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network layer protocol user data units (PDUs), and also improves channel efficiency through protocol header compression. Increas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서빙 노드는 무선망 제어국 및 게이트웨이 노드와 ATM PVC(Permanent Vertual Circuits)기반으로 IP 패킷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ATM 계층, AAL-5 계층, 인터넷 프로토콜(IP)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erving nod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routing the packet data by the IP packet protocol based on the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and gateway node and ATM Permanent Vertual Circuits (PVC), ATM layer, AAL-5 layer, Internet It includes a protocol stack that includes a protocol (IP) layer.

본 발명에서 게이트웨이 노드는 서빙 노드와 IP 패킷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며, 전송계층프로토콜로 터널링 프로토콜을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을 사용하고,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teway node routes the packet data by the serving node and the IP packet protocol, does not include the tunneling protocol as the transport layer protocol, uses the user datagram protocol (UDP), and uses the Internet protocol (IP) as the network layer protocol. ).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에서 무선망 제어국(RNC)은 서빙 노드 및 게이트웨이 노드와 ATM PVC(Permanent Vertual Circuits)기반으로 IP 패킷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고, ATM 계층, AAL-5 계층, RLC(Radio Link Control) 계층,MAC(Medial Access Control) 계층, 인터넷 프로토콜(IP)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젼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routes packet data by an IP packet protocol based on a serving node and a gateway node and ATM Permanent Vertical Circuits (PVC), and the ATM layer, the AAL-5 layer, and the RLC ( A protocol stack including a Radio Link Control (MAC) layer, a Media Access Control (MAC) layer, an Internet Protocol (IP) layer, and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layer.

본 발명에서 이동국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User Datagram Protocol)을 사용하고,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station may use the User Datagram Protocol (UDP) as the transport layer protocol, and may use the Internet Protocol (IP) as the network layer protocol.

이어서 이러한 이동통신망에서의 데이터 호처리 절차 및 이동성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터널링을 이용하는 종래의 이동통신망에서 이동국이 패킷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서빙 노드(SGSN)에 등록하는 GPRS 어태치(GPRS attach)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GPRS에 어태치된 이동국(MS)이 서빙 노드에 패킷 서비스를 요구하면, RRC 연결이 먼저 설정되고, 무선망 제어국과 단말간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가 RLC의 셋업으로, 무선망 제어국(RNC)과 서빙 노드(SGSN) 사이, 서빙 노드와 게이트웨이 노드(GGSN) 사이의 무선 접속 베어러(Radio Access Bearer)가 PDP 컨텍스트 활성화 절차에 의해 설정된다. PDP 컨텍스트 활성화 절차는 서빙 노드가 이동국에 대한 PDP 컨텍스트를 만들어 이동국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절차이다. 서비스 도중 이동국의 이동에 의해 연결을 제공하는 SGSN과 무선망 제어국이 변경되는 경우 SRNS 리로케이션(relocaton) 절차가 진행되어야 하고, 이러한 SRNS 리로케이션(relocaton)을 하려면 RAB를 해제하고 새로운 RAB를 설정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망내의 IP 패킷을 터널링 프로토콜에 의해 캡슐화한 후 망간 GPRS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망의 서빙 노드로 터널링하고 해당 서빙 노드는 터널링된 IP 패킷을 디캡슐화하여 그것을 기지국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고, 기지국 서브시스템이 다른 망에 속한 이동 단말로 이러한 패킷들을 전달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ATM PVC 기반으로 IP기반 라우팅을 사용하므로 RAB를 해제하거나 새로이 설정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ATM PVC는 시스템 초기에 영구적으로 잡히는 자원이며, IP 기반 라우팅은 별도의 연결 설정, 해제 절차가 없기 때문이다.Next, a data call processing procedure and a mobility management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ll be describ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unneling, in order to receive a packet service, a mobile station must first perform a GPRS attach procedure for registering its location information with a serving node (SGSN). When a mobile station (MS) attached to GPRS requests packet service to a serving node, an RRC connection is established first, and a radio bearer (RB) between a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and a terminal is set up by RLC. A radio access bearer between the station RNC and the serving node SGSN and between the serving node and the gateway node GGSN is established by the PDP context activation procedure. The PDP context activation procedure is a procedure in which the serving node creates a PDP context for the mobil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transmits and receives packet data. If the SGSN and the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providing the connection are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mobile station during the service, the SRNS relocation procedure must be performed.To perform this SRNS relocation, the RAB is released and a new RAB is set up. To do the job. Specifically, after encapsulating an IP packet in one network by a tunneling protocol, tunneling it to a serving node of another network through a network between GPRS networks, and the serving node decapsulates the tunneled IP packet and transmits it to the base station subsystem, The subsystem had to pass these packets to the mobile terminals in the other network.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IP-based routing based on ATM PVC, the RAB does not need to be released or newly set up. ATM PVC is a resource that is taken permanently at the beginning of the system, and IP-based routing does not have a separate connection establishment and release procedur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망에서는 상기 절차중 PDP 컨텍스트와 관련이 있는 PDP 컨텍스트 활성화 절차나 핸드 오버, 라우팅 에어리어 업테이트 절차에서는 무선 접속 베어러(RAB) 관련 파라미터들이 변경된다. 기존에 RAB는 하나의 단말에 고유한 값이 지정되기 때문에 RNC와 SGSN에서 해당 단말로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되었다.In addi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meters related to the radio access bearer (RAB) are changed in the PDP context activation procedure, handover, and routing area update procedure related to the PDP context. In the past, since a unique value is assigned to one terminal, the RAB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routing data from the RNC and SGSN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IP 라우팅을 위한 서빙 노드와 무선망 제어국 사이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서빙 노드와 무선망 제어국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는 ATM VP/VC 정보(41), 무선망제어국(RNC)의 IP 주소(42), 무선망 제어국의 UDP 포트 번호(43), 단말의 IP 주소, 단말의 TCP/UDP/RTP 포트 번호(45) 및 사용자 데이터(46)를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 중에서 단말의 IP 주소, 단말의 TCP/UDP/RTP 포트 번호(45) 및 사용자 데이터(46)는 단말로 전해지는 데이터이고, 무선망제어국의 IP 주소(42)와, 무선망 제어국의 UDP 포트 번호(43)는무선망 제어국의 IP/UDP 계층에서 사용후 제거되는 부분이며, ATM VP/VC 정보(41)는 무선망 제어국의 ATM 계층에서 사용후 제거되는 부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선망 제어국의 IP 주소와 무선망 제어국의 포트 번호로써 해당 무선망 제어국을 찾고, 이동국의 IP 주소와 이동국의 포트 번호로 해당 무선 베어러를 찾기 때문에, 서빙노드와 무선망 제어국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에는 종래와 같은 RAB 관련된 식별자는 포함될 필요가 없게 된다. 구체적으로, 터널링 기법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서는 단말의 식별자로 RAB ID가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RNC가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서 단말의 IP 주소를 이용하기 때문에 RAB ID는 생략될 수 있고, 본 발명은 IP 기반의 비연결형 라우팅(connectionless routeing)을 하기 때문에 기존의 RAB의 할당 및 보유 개념이 사라지므로 RAB 파라미터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터널링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채널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의 양을 고려하여 채널의 대역을 제어해야 하므로 Data Volume Reporting Indication이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정보는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GTP-U 계층이 없어지기 때문에, DL GTP-PDU 시퀀스 번호 및 UL GRP-PDU 시퀀스 번호와 같은 파라미터도 사용되지 않는다.4 is a data structure diagram between a serving node and a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for IP rou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data exchanged between the serving node and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M VP / VC information 41, IP address 42 of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The UDP port number 43,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the TCP / UDP / RTP port number 45 of the terminal, and the user data 46 are included. Among these data,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the TCP / UDP / RTP port number 45 and the user data 46 of the terminal are data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the IP address 42 of the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and the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The UDP port number 43 is a part used after being removed from the IP / UDP layer of the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and the ATM VP / VC information 41 is part used after being removed from the ATM layer of the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As shown in FIG. 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ntroller is found by the IP address of the wireless network controller and the port number of the wireless network controller, and the corresponding radio bearer is found by the IP address of the mobile station and the port number of the mobile station. Therefore, the data exchanged between the serving node and the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does not need to include a conventional RAB related identifier. Specifically, in the prior art using the tunneling scheme, the RAB ID is used as an identifier of the terminal.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B ID may be omitted because the RNC uses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to identify the terminal. Since IP-based connectionless routing eliminates the concept of allocation and retention of existing RABs, the RAB parameters can be omit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tunneling scheme, since the band of the channel is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channel, Data Volume Reporting Indication is used, but this information is no longer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TP-U layer disappears, parameters such as the DL GTP-PDU sequence number and the UL GRP-PDU sequence number are not us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PDP 컨텍스트 활성화 절차를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우선 이동국(MS)이 트랜스액션 ID(TI), NSAPI(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PDP 타입, PDP 어드레스 등의 정보요소를 포함하는 활성 패킷 PDP 컨텍스트 요청 메세지(Active PDP Context Message)를 서빙 노드(SGSN)에 전송하면(51), 이동국(MS)과 무선망 제어국(RNC) 그리고 서빙 노드 사이에 무선 접속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Radio Access Bearer Setup)이 진행된다(52). 이어서 서빙 노드는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Create PDP Context Request)을 게이트웨이 노드에 전송한다(53).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Create PDP Context Request)은 활성 PDP 컨텍스트 요청 메시지(Active PDP Context Message)와 거의 동일한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종래의 규격에서는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 메시지에는 터널 ID(TID)가 포함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터널링 기법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터널 관련 정보 요소는 포함되지 않는다. 게이트웨이 노드는 PDP 컨텍스트 생성 요청(Create PDP Context Request)을 수락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데, 수락하는 경우에는 PDP 컨텍스트 생성 응답(Create PDP Context Response)을 서빙 노드에 전송한다(54). 이어서 서빙 노드는 활성 PDP 컨텍스트 허용(Active PDP context Accept) 메세지를 이동국으로 보낸다(55).Next, the PDP context activa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First, the MS selects information elements such as a transaction ID (TI), a Network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NSAPI), a PDP type, and a PDP address. Transmitting an active packet PDP context request message to the serving node (SGSN) (51), establishing a radio access bearer between the mobile station (MS) and the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and the serving node. A process (Radio Access Bearer Setup) is performed (52). The serving node then sends a Create PDP Context Request to the gateway node (53). The Create PDP Context Request contains information elements that are nearly identical to the Active PDP Context Message. In the conventional specification, the tunnel ID (TID) is included in the PDP context creation request message. However, since the tunneling scheme is no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tunnel-related information element is not included. The gateway node may accept or reject the Create PDP Context Request, and if so, transmits a Create PDP Context Response to the serving node (54). The serving node then sends an Active PDP context Accept message to the mobile station (55).

종래의 이동통신망에서는 서빙 노드가 무선망 제어국에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을 요청하면, 무선망 제어국은 이동국에 대해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고 무선 베어러 설정의 완료를 무선망 제어국에 통보하면, 무선망 제어국은 무선 접속 베어러 할당 응답을 서빙 노드로 보내는 절차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메시지들의 내부에 사용되는 무선 접속 베어러(RAB) 관련 파라미터들이 IP 기반으로 변경된다.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a serving node requests a radio network bearer allocation to a radio network controller,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sets up a radio bearer for the mobile station and informs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of completion of radio bearer setup. The control station has proceeded to send a radio access bearer assignment response to the serving nod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parameters related to a radio access bearer (RAB) used inside the message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5 are changed on an IP basis.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 절차를 구현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를 고려할 수 있는데, 첫 째는 호처리절차를 변경하는 부담을 피하기 위해 무선 접속 베어러(RAB) 관련 파라미터만 IP 기반 정보로 대체하고 호처리 절차는 그대로 유지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무선 접속 베어러를 모두 삭제하되, 삭제하면 안되는 파라미터는 다른 절차를 옮기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그러나, RAB 설정, 해제 메시지는 단지 RAB 만의 설정과 해제 뿐만 아니라 RAB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계층의 생성 및 초기화를 요구하기 때문에 호처리 절차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RAB 관련 절차를 모두 삭제하는 것 보다는 RAB의 설정 해제 메시지에서 기존 RAB에 해당하는 정보(ATM SVC 채널 정보, GTP-U 터널 정보)를 IP 기반 라우팅을 위한 정보(RNC의 IP 주소, UDP 포트, 서빙 노드의 IP 주소/UDP 포트)로 변경하는 전자의 방법이 더욱 바람직하다.There are two ways to implement the call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order to avoid the burden of changing the call processing procedure, only radio access bearer (RAB) related parameters are replaced with IP-based information and call processing. The procedure remains the same, the other is to delete all radio access bearers, but the parameter that should not be deleted may seek to move another procedure. However, the RAB setup and release messages are important in the call processing procedure because they require not only RAB setup and release, but also creation and initialization of a protocol layer corresponding to the RAB. Therefore, rather than deleting all RAB-related procedure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RAB (ATM SVC channel information, GTP-U tunnel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IP-based routing information (RNC's IP address and UDP port). , The former method of changing the serving node IP address / UDP port) is more preferable.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IP 기반 무선접속망에서 사용하는 PDP 컨텍스트의 정보 요소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IP 기반 무선접속망에서 사용하는 PDP 컨텍스트는 네트워크 타입(61), 컨텍스트 ID(62), NSAPI(Network layer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63), 소스 IP 주소(64), 목적지 IP 주소(65), 품질관리(QoS) 파라미터(66) 및 트레이스 파라미터(trace parameter)(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텍스트중 네트워크 타입(61)은 무선 접속 망(RAN)이 IP 기반임을 나타내고, 컨텍스트 ID(62)는 이동국, 무선 접속망, 및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유일한 패킷 스트림을 지정한다. 기존의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패킷 컨텍스트는 무선 베어러 및 무선 접속 베어러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패킷 컨텍스트는 이러한 터널링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포함하지 않는다. 소스 IP 주소(64) 및 목적지의 IP 주소(65)는 IP 계층의 라우팅 테이블에서 상위의 패킷 컨텍스트(해당 task_id, 또는 tcp_port_number 등)를 구분할 수 있는 구별자로 변환된다.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element structure of a PDP context used in an IP-based wireless acc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PDP context used in the IP-based wireless acc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type 61, a context ID 62, a network layer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NSAPI), and a source IP address 64. , Destination IP address 65, quality control (QoS) parameters 66, and trace parameters 67. The network type 61 in the context indicates that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is IP based, and the context ID 62 designates a unique packet stream between the mobile station, the radio access network, and the core network. The packet context used i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parameters related to radio bearers and radio access bearers, but the packet cont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parameters related to such tunneling. The source IP address 64 and the destination IP address 65 are translated into identifiers that can distinguish higher packet contexts (such as task_id, tcp_port_number, etc.) in the routing table of the IP lay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본 발명은 3GPP PS 도메인의 터널링과 캡슐화에 의한 오버헤드를 제거하기 위해 IP 헤더 압축이 수행되는 무선접속망(UTRAN)의 무선망 제어국(RNC)까지 IP 프로토콜의 라우팅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복잡한 베어러 관리 기능을 IP 프로토콜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의 구현이 용이하고 비용도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routing function of the IP protocol to the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of the radio access network (UTRAN) in which IP header compression is performed to remove the overhead of tunneling and encapsulation of the 3GPP PS domain, thereby managing complex bearer. By configuring the functions to be provided by the IP protocol, the system can be easily implement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이 삭제된 구간에서 IP 헤더를 실제 라우팅에 사용하기 때문에 터널 구간에서 무의미하게 전달되던 IP 헤더에 의한 전송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데이터 호 처리 절차에서 터널링을 위한 절차가 생략되므로호처리를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고, 핸드 오버시 호처리 용량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의 가격을 낮추고 동시에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P header is used for the actual routing in the section where the tunnel is dele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ste of transmission resources by the IP header which was inadvertently delivered in the tunnel section, and the procedure for tunneling in the data call processing procedure. Since is omitted, call processing can be processed more quickly, and the call processing capacity can be increased when handing ov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arkable effect that can lower the pr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service quality.

Claims (22)

무선망 제어국(RNC: Radio Network Controller)과 다수의 노드 B로 구성되는 무선망 서브시스템(BSS: Base Station Subsystem); 이동통신망을 데이터 패킷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게이트웨이 노드(gateway node); 및 이동국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 관리를 담당하는 서빙 노드(serving node)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으로서, 상기 망에서 무선망 제어국, 게이트웨이 노드 및 서빙 노드가 IP 라우팅에 의해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며, 상기 무선망 제어국은 전송계층 프로토콜로 터널링 프로토콜을 포함하지 않고, 인터넷 프로토콜만을 포함하고, 상기 서빙 노드는 전송계층 프로토콜로 터널링 프로토콜을 포함하지 않고, 인터넷 프로토콜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A base station subsystem (BSS) consisting of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and a plurality of node Bs; A gateway node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ata packet network; And a serving node responsible for managing a packet mode data service of a mobile station, wherein a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a gateway node, and a serving node deliver packet data by IP routing in the network. The network control station does not include a tunneling protocol as a transport layer protocol, but includes only an internet protocol, and the serving node does not include a tunneling protocol as a transport layer protocol and includes only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노드가 전송계층프로토콜로 터널링 프로토콜을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을 사용하고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2.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claim 1, wherein the gateway node does not include a tunneling protocol as a transport layer protocol, but uses a user datagram protocol (UDP) and includes an internet protocol (IP) as a network layer protoco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 제어국이 UDP 프로토콜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does not include a UDP protoco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노드가 UDP 프로토콜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claim 1, wherein the serving node does not include a UDP protoco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노드와 무선망 제어국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는 ATM VP/VC 정보, 무선망제어국의 IP 주소, 무선망 제어국의 UDP 포트 번호, 단말의 IP 주소, 단말의 TCP/UDP/RTP 포트 번호 및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exchanged between the serving node and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includes ATM VP / VC information, an IP address of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a UDP port number of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an IP address of the terminal, and a terminal of the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TCP / UDP / RTP port number and user dat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접속망에서 사용하는 PDP 컨텍스트가 네트워크 타입, 컨텍스트 ID, NSAPI(Network layer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소스 IP 주소, 목적지 IP 주소, 품질관리(QoS) 파라미터 및 트레이스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DP context used in the radio access network includes a network type, a context ID, a network layer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NSAPI), a source IP address, a destination IP address, a quality control (QoS) parameter, and a trace paramete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무선망 제어국(RNC)과 다수의 노드 B로 구성되는 무선망 서브시스템(BSS); 이동통신망을 데이터 패킷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게이트웨이 노드(gateway node); 및 이동국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 관리를 담당하는 서빙 노드(serving node)를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서빙 노드로서, 상기 서빙 노드가 무선망 제어국 및 게이트웨이 노드와 ATM PVC(Permanent Vertual Circuits)기반으로 IP 패킷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서빙 노드.A radio network subsystem (BSS) consisting of a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and a plurality of Node Bs; A gateway node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ata packet network; And a serving node for serving a packet mode data service of the mobile station, wherein the serving node is an IP packet based on a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and a gateway node and ATM Permanent Vertical Circuits (PVCs). Serving n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routing the packet data by the protocol.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노드가 ATM 계층, AAL-5 계층, 인터넷 프로토콜(IP)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서빙 노드.10. The serving node of claim 9, wherein the serving node comprises a protocol stack including an ATM layer, an AAL-5 layer, and an Internet Protocol (IP) layer. 무선망 제어국(RNC)과 다수의 노드 B로 구성되는 무선망 서브시스템(BSS); 이동통신망을 데이터 패킷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게이트웨이 노드(gateway node); 및 이동국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 관리를 담당하는 서빙 노드(serving node)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 노드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노드가 서빙 노드와 IP 패킷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 노드.A radio network subsystem (BSS) consisting of a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and a plurality of Node Bs; A gateway node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ata packet network; And a serving node responsible for managing a packet mode data service of the mobile station, wherein the gateway node routes the packet data by the serving node and an IP packet protocol. Gateway nod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노드가 전송계층프로토콜로 터널링 프로토콜을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 노드.12. The gateway node of claim 11, wherein the gateway node does not include a tunneling protocol as a transport layer protocol, uses a user datagram protocol, and uses an Internet protocol (IP) as a network layer protocol. . 무선망 제어국(RNC)과 다수의 노드 B로 구성되는 무선망 서브시스템(BSS); 이동통신망을 데이터 패킷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게이트웨이 노드(gateway node); 및 이동국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 관리를 담당하는 서빙 노드(serving node)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무선망 제어국으로서, 상기 무선망 제어국이 서빙 노드와 ATM PVC(Permanent Vertual Circuits)기반으로 IP 패킷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무선망 제어국.A radio network subsystem (BSS) consisting of a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and a plurality of Node Bs; A gateway node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ata packet network; And a serving node responsible for managing a packet mode data service of the mobile station, wherein the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is based on the serving node and ATM PVC (Permanent Vertual Circuits). A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routing packet data.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 제어국이 ATM 계층, AAL-5 계층,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MAC(Medial Access Control) 계층, 인터넷 프로토콜(IP)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젼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무선망제어국.14. The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of claim 13, wherein the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comprises an ATM layer, an AAL-5 layer, a Radio Link Control (RLC) layer, a Media Access Control (MAC) layer, an Internet Protocol (IP) layer, and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A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protocol stack including a Convergence Protocol (PDCP) layer. 무선망 제어국(RNC)과 다수의 노드 B로 구성되는 무선망 서브시스템(BSS); 이동통신망을 데이터 패킷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게이트웨이 노드(gateway node); 및 이동국의 패킷 모드 데이터 서비스 관리를 담당하는 서빙 노드(serving node)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운영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무선망 제어국, 서빙 노드 및 게이트웨이 노드 사이에 데이터 패킷을 ATM PVC(Permanent Vertual Circuits)기반으로 IP 라우팅에 의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운용방법.A radio network subsystem (BSS) consisting of a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RNC) and a plurality of Node Bs; A gateway node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data packet network; And a serving node responsible for managing a packet mode data service of a mobile station,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 data packet between a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a serving node, and a gateway node to ATM PVC (Permanent Vertual); The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by IP routing based on.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서빙 노드와 무선망 제어국 사이에 ATM VP/VC 정보, 무선망제어국의 IP 주소, 무선망 제어국의 UDP 포트 번호, 단말의 IP 주소, 단말의 TCP/UDP/RTP 포트 번호 및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운용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ethod includes the ATM VP / VC information between the serving node and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the IP address of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the UDP port number of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and the TCP of the terminal.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the step of exchanging data including / UDP / RTP port number and user data.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무선망 제어국과 서빙 노드 사이에 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운용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ransferring a data packet between the wireless network control station and the serving node using an IP protocol.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서빙 노드와 게이트웨이 노드 사이에 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운용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ransferring data packets between the serving node and the gateway node using an IP protocol.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망의 양 종단간에 UDP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그램을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운용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ethod includes transferring user datagrams by UDP protocol between both ends of the network.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접속망에서 사용하는 PDP 컨텍스트가 네트워크 타입, 컨텍스트 ID, NSAPI(Network layer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소스IP 주소, 목적지 IP 주소, 품질관리(QoS) 파라미터 및 트레이스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운용방법.The PDP context of claim 15, wherein the PDP context used in the wireless access network includes a network type, a context ID, a network layer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 (NSAPI), a source IP address, a destination IP address, a quality control (QoS) parameter, and a trace parameter.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노드가 전송계층 프로토콜로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User Datagram Protocol)을 사용하고,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운용방법.16.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claim 15, wherein the gateway node uses a user datagram protocol (UDP) as a transport layer protocol, and uses an internet protocol (IP) as a network layer protocol. Way.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User Datagram Protocol)을 사용하고,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운용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obile station uses a user datagram protocol (UDP) as a transport layer protocol, and uses an internet protocol (IP) as a network layer protocol. .
KR10-2001-0022655A 2001-04-26 2001-04-26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4287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655A KR100428736B1 (en) 2001-04-26 2001-04-26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655A KR100428736B1 (en) 2001-04-26 2001-04-26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253A KR20020083253A (en) 2002-11-02
KR100428736B1 true KR100428736B1 (en) 2004-04-27

Family

ID=2770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655A KR100428736B1 (en) 2001-04-26 2001-04-26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7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945B1 (en) 2009-08-12 2014-07-17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higher-order apparatus, gateway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819B1 (en) * 2001-07-09 200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in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489672B2 (en) * 2002-03-26 2009-02-1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 RLA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RAN IP gateway and methods
KR100441589B1 (en) * 2002-04-01 200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generating/restoring RTP packet and method thereof
KR100936586B1 (en) * 2002-09-19 201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in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ulticast service
CN1283055C (en) * 2003-08-15 2006-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Treatment method for establishing context request of packet data protocol
CN1306766C (en) * 2004-09-30 2007-03-21 华为技术有限公司 Service recognition and route method i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ystem
JP4545110B2 (en) * 2006-03-29 2010-09-15 富士通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verhang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4981A1 (en) * 1998-09-09 2000-03-16 Telia Ab (Publ) Procedure to obtain a communication route between a transmitting computer and a mobile gprs-node via ggs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4981A1 (en) * 1998-09-09 2000-03-16 Telia Ab (Publ) Procedure to obtain a communication route between a transmitting computer and a mobile gprs-node via ggs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945B1 (en) 2009-08-12 2014-07-17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higher-order apparatus, gateway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253A (en) 200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2855B1 (en) Method for rou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230106B2 (en) Selection of multiple Internet service providers by GPRS subscribers
US7551576B2 (en) Access system for an access network
US6801508B1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packet network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cket data in the same
EP1360864B1 (en) Paging method and system for a radio access network
US7957393B2 (en) Network requested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activation
US672820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quality of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8428050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access method, access point and gateway
US20040246962A1 (en) Dynamically assignable resource class system to directly map 3GPP subscriber communications to a MPLS-based protocol
US20050210154A1 (en) Inter working function (iwf) as logical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for hybrid coupling in an interworking between wlan and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20060018294A1 (en) Internet high speed packet access
US20030076803A1 (en) Reconfigurabl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system and method
US661526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mplementing certain negotiations in a packet data network
JP4885375B2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point connectivity to a subscriber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536184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porting wireless access network element information
KR1006530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mobile station-to-mobile station packet data calls in wireless network
KR100428736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876634B1 (en) Archite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using the same
WO2007051399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interconnecting a umts network with an evolved network
CA2429713A1 (en) System and method of servicing mobile communications with a proxy switch
US7180883B2 (en) Transmission method for packet data and a network element
EP1643692A1 (en) Packet communication system and packet communication method
EP1360854B1 (en) Access system for an access network
KR100334804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r-p interface based on asynchronous transfer mode
Park Wireless Internet access of the visited mobile ISP subscriber on GPRS/UMT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