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094B1 - 활어 포획용 어구 - Google Patents

활어 포획용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094B1
KR100424094B1 KR10-2002-0000317A KR20020000317A KR100424094B1 KR 100424094 B1 KR100424094 B1 KR 100424094B1 KR 20020000317 A KR20020000317 A KR 20020000317A KR 100424094 B1 KR100424094 B1 KR 100424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rame
rope
fish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3990A (ko
Inventor
정정호
Original Assignee
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호 filed Critical 정정호
Priority to KR10-2002-0000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094B1/ko
Publication of KR2002002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2Illuminating devices for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6Sin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어 포획용 어구(活魚 捕獲用 漁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어구체의 전개(展開) 및 절첩(折疊)작동이 극히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신속성 제공 및 작업인력의 절감, 최소부피로 절첩할 수 있어 휴대이송, 보관상의 제반 편익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부품 고장시 부분교체가 가능하여 수리비용 등도 절감할 수 있으며, 미끼의 낭비방지 및 다양한 어종 유인에 효과적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끼수단을 제공하며, 포획된 어류를 어구체 내에서 신속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바다(연근해는 물론 심해 등), 강, 저수지 등에서 한번 설치 후 뭍이나 선박에서 원하는 시간에 포획된 어류를 손쉽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활어 포획용 어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각종 어류를 수중에서 미끼로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어구체(2)를 연근해, 강, 저수지 등에 정치망 형태로 설치, 사용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어구체(2)를 구동드럼(92)과 수중에 고정닻(78)과 연결된 안내로울러(73)에 무한궤도형으로 권설되는 밧줄(56), 또는 수중에 중량추(128)와 플로트(139)에 의해 일자형으로 설치되는 밧줄(56)에 회전연결구(57)와 연결줄(54)을 사용하여 종방향 또는 종횡방향으로 교호로 어구체(2)를 연결사용할 수 있도록 한 주지의 활어 포획용 어구(1)에 있어서, 상기 어구체(2)는 개폐문(8)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프레임(6)과, 상부 프레임(6) 하측에 연결되어 절첩 및 전개 가능한 벽면체(5) 및진입문(3), 그물(15)로 구성되는 수직프레임(4)과, 상기 수직프레임(4)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7)과, 상기 상하 프레임(6,7) 상간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9) 및 이의 탄발력을 단속할 수 있는 클램핑수단(20)과, 상기 어구체(2) 내부에는 하부 프레임(7)에 착탈 가능하게 미끼통(32)을 설치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중에 정치망(定置網)으로 설치하여 바다(연근해 및 심해 등), 강, 저수지 등에서 다양한 활어를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는 것으로서, 어구체(2)를 원터치 작동에 의하여 전개 및 절첩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최소부피로 휴대이송 및 보관할 수 있어 다량운송과 더불어 어구체(2)의 제반 취급에 따른 인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어구체(2)에 착탈가능한 미끼통(32)을 사용하여 각종 어류 및 갑각류(대게, 꽃게 등)를 상처를 입히지 않고 신선하게 살아 있는 상태로 미끼 및 인조미끼, 램프의 불빛 등으로 유인, 포획하여 어획률의 증대와 함께 부가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미끼통(32)에는 대형 및 소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로트(float) 기능을 가진 인조미끼통(40)을 설치하여 투입하는 수량(水量)에 따라 부력을 임의 조절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잠수용 및 부력용으로 선택사용할 수 있어 어구체(2)를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다수개의 어구체(2) 중 하나를 분실하더라도 상기 인조미끼통(40)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게 되므로 수중오염을 근원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회전연결구(57), 안내로울러(73), 안내연결구(104), 어구체연결구(117) 등 주요부품에 강철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보강재를 내입 및 장착시켜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부품의 내구성 취약점을 해결하고, 어구체(2) 연결설치를 위한밧줄(56) 고정수단을 강철판으로 이루어지고 압박돌기(68a,129a)를 가진 힌지(68,129)를 사용함으로서 강력하게 밧줄(56)을 고정할 수 있으며, 밧줄(56)의 결합 및 분리를 원터치 록커 등에 의하여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편의성 향상 및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어구체(2)상에 설치되는 어류의 진입문(3)은 일반 다양한 어류 및 대게, 꽃게 등과 같은 갑각류 포획여부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 포획하는 어종에 따라 별도로 어구를 구입하여야 했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어종에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주어지며, 기존 그물 등으로 이루어진 어구에 비하여 설치 및 해체작업 시에도 별도의 그물손질작업이 불필요하여 그로 인한 시간절약은 물론 설치 및 해체 시에 1~2명의 작업자가 손쉽고 신속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어 비용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활어 포획용 어구{Fishing implements using as a drift gill net}
본 발명은 활어 포획용 어구(活魚 捕獲用 漁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어구체(漁具體)의 전개 및 절첩작동이 극히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신속성 제공 및 작업인력의 절감, 최소부피로 절첩할 수 있어 휴대이송, 보관상의 제반 편익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일부 부품의 고장시 부분교체가 가능하여 수리비용 등도 절감할 수 있으며, 미끼의 낭비방지 및 다양한 어종 유인에 효과적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끼수단을 제공하며, 포획된 어류를 어구체 내에서 신속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바다(연근해는 물론 심해 등), 강, 저수지 등에서 한번 설치 후 뭍이나 선박에서 원하는 시간에 포획된 어류를 손쉽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활어 포획용 어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종래 각종 어류를 포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어구는 다양한 종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 어류를 포획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그물망은, 수중에 그물망을 투망 후 건져 올릴 때 물에 젖은 그물망은 그 무게가 무겁고, 그물코에 걸린 어류가 많을수록 그물의 무게는 가중될 수 밖에 없었으며, 선박이나 뭍에서 그물코에 걸린 고기를 분리하는 작업도 많은 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였으며, 어류의 분리작업에 따른 시간의 과다소모로 인하여 위판장 등에서 거래되는 어류의 가격도 신선도가 저하되어 저하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물망을 사용 후 찢어진 부위의 보수작업에도 많은 인력소모가 따르고, 그물코가 크더라도 물속에 투망된 그물은 물살의 힘으로 그물코가 커졌다 작아졌다 신축을 하기 때문에 어린 치어도 희생시켜 수자원을 황폐화시키는 폐단이 있었으며, 그물코에 일찍 걸린 고기는 각종 벌레가 먹어치우는 폐단이 있어 상품성이 저하되고, 환경면에서도 유자망 그물을 설치하여 놓은 것을 타인의 선박들이 넘나들다가 그물줄을 끊어 놓으면 그물이 수중에 가라앉아 가라앉은 그물로 인한 각종 환경오염문제도 심각한 실정이었던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활어 포획용 어구에 대하여 기히 선 특허 출원(출원번호: 10-2001-0047067)을 한 바 있었다.
즉, 상기 선출원의 경우는 각종 어류를 수중에서 미끼로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어구체를 연근해, 강, 저수지 등에 정치망 형태로 설치하여 지상에서 포획된 어류를 어구체를 인양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한 활어 포획용 어구를 제공하되,
상기 활어 포획용 어구는 밧줄의 일단이 지상의 말뚝이나 구동드럼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밧줄의 타단은 수중에 고정되는 고정닻에 연결된 안내로울러에 의해 무한궤도(無限軌道)형으로 권설되고, 상기 무한궤도형의 밧줄 하부에는 안내연결구에 의해 닻 일체형의 중량추를 연결줄로 연결하며, 상기 밧줄의 상부에는 안내연결구상을 경유할 수 있는 어구체연결구와 회전연결구에 의해 플로트를 가진 수개의 어구체를 다단으로 연결설치하며, 어구체는 소정 등분으로 분할 구성되고 그물망이 결합된 상하 프레임으로 분해 조립되며 포획된 어류를 인출할 수 있는 전방의 개폐문과 어류가 진입만 할 수 있는 진입문을 구비한 수개의 어류집어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류집어기의 하부 프레임에는 착탈가능한 미끼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에 개시하였다.
이러한 선출원 특허에 의하면 수중에 정치망(定置網)으로 설치하여 연근해, 강, 저수지 등에서 활어를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으며, 특히 각종 어류를 상처를 입히지 않고 신선하게 살아 있는 상태로 미끼 또는 집어기로 유인, 배를 타고 수면 위에 까지 가지 않고 육지에서 포획하여 어획률의 증대와 함께 부가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었고, 어구체 속으로 들어 온 어류 중 치어는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수자원 고갈을 막을 수 있었으며, 어류가 어구체 속으로 들어오면 어구체의 진입문상에 설치된 창살과 침에 의해 어류의 탈출을 아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미끼통은 어류들이 미끼를 먹어치우지 못하도록 냄새만 풍겨 미끼의 역할을 장시간 동안 할 수 있어 뒤에 어구체로 들어오는 어류를 유인할 수 있어 미끼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활어 포획용 어구의 전체 구성부재를 분해 가능한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서 이동 및 수확 후 철수 시에 어구체를 다량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인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단 적층하여 이송 및 적재할 수 있어 이송 및 보관에 따른 공간점유률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정 부위가 파손 또는 훼손되었을 시에 부분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이점과 더불어 사후 관리에도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배를 타고 물위에 갈 필요가 없으므로 어획작업에 따른 위험성이 배제되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 특허출원한 어구체에서는 상하 분할형으로 구성된 어구체를 조립 및 분해함에 있어서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었고, 조립 및 분해에 따른 인력소모도 많았으며, 주요부품들을 강성의 합성수지재로 제작하여 양산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강성이 약하여 밧줄 등의 고정이나 안내 등에 따른 장기 사용시 내구성을 보장받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으며,
포획코자 하는 어종에 따라서 진입문의 구성 및 탈출을 방지하는 수단이 달라져야 하므로 이에 호환성을 갖지 못하여 사용자들의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과 함께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는 포획환경에 따른 다양한 설치의 호환성이 부재하다는 문제점 등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그물에 의한 어류 포획수단 및 본 발명자가 선 특허 출원한 발명에서 제공한 활어 포획용 어구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활어 포획용 어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활어 포획용 어구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을 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는 바다, 강, 저수지 등에서 정치망 형태로 설치하여 횟집 등을 경영하는 자가 직접 자연산 활어를 포획할 수 있는 활어 포획용 어구를 제공하며,
포획된 어류에 상처를 입히지 않고 신선하게 살아 있는 상태로 미끼로 어구체 내부로 유인, 포획하여 소비자들이 자연산 활어를 포획현장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며, 횟집 경영자는 그로 인한 부가 가치를 대폭 높일 수 있고,
또한 미끼통은 어류들이 미끼를 먹어치우지 못하도록 냄새만 풍겨 미끼 역할을 장시간 동안 할 수 있도록 하여 뒤에 어구체로 들어오는 어류를 유인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어종에 따른 유인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유인수단(미끼, 인조미끼, 빛 등)을 제공하며,
어구체의 전개 및 절첩이 극히 신속하고 용이하여 작업능률의 향상 및 인력소모를 최소화하고, 이송 및 적재상의 편익도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어구체를 구성하는 부품의 내구성을 대폭 증대시켜 제품의 수명을 보다 장구히 할 수 있도록 보완하며, 특정 부품이 파손 또는 훼손되었을 시에 부분교체가 가능토록 하여 수리비용 절감 및 사후 관리에 따른 인력절감효과를 득할 수 있는 등 기존의 활어 포획용 어구가 가진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활어 포획용 어구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를 밧줄로 연결하여 수중에
설치한 후 뭍에서 인양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경우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를 수중에 정치망 형태로 설치하여 주로
꽃게를 포획할 시에 사용하는 경우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를 수중에 정치망 형태로 설치하여 주로
대게를 포획할 시에 사용하는 경우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를 밧줄로 연결하여 수중에 설치한 후 뭍
에서 인양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경우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의 요부인 어구체를 발췌한 전개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의 요부인 어구체의 주요 부분인 수직프
레임 부위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의 요부인 어구체의 전개 및 절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의 요부인 어구체 내부에 설치되는 미끼
통과 스프링 결합상태 등을 발췌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의 요부인 어구체 저면부에 설치되는 클
램핑수단과 미끼통 설치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에 사용되는 미끼통을 발췌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의 요부인 어구체의 개폐문과 개폐수단
을 발췌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의 요부인 어구체의 개폐문을 발췌한 분
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의 요부인 어구체에서 수직프레임을 구
성하는 진입문을 발췌한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의 요부인 어구체에서 수직프레임을 구
성하는 진입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의 요부인 어구체에서 수직프레임을 구
성하는 진입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및 요부 작용상태 단면
도 16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에 사용되는 회전연결구의 구성을 발췌
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에 사용되는 회전연결구의 구성을 발췌
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에 사용되는 안내로울러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에 사용되는 안내로울러를 발췌한 결합
상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에 사용되는 구동드럼을 발췌한 분해 사
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에 사용되는 안내연결구를 발췌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에 사용되는 안내연결구를 발췌한 일부
단면상태의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에 사용되는 안내연결구를 발췌한 측면
도 24는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에 사용되는 어구체연결구와 안내연결구
를 발췌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에 사용되는 어구체연결구와 안내연결구
를 발췌한 일부 확대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활어 포획용 어구 2:어구체
3:진입문 4:수직프레임
4a:(상하)연결줄 5:벽면체
5a:(상부)벽면체 5b:(하부)벽면체
5c:산형 단부 6:(상부)프레임
6a:(상부)프레임고정편 7:(하부)프레임
7a:(하부)프레임고정편 8:개폐문
9:스프링 10:절첩부
11:축핀 11a:걸림턱
12:축공 12a:진입공
13:탄성 절첩편 13a:(T형)끼움부
13b:걸림턱 14:(T형)결합홈
14a:걸림홈 15:그물
16:고정구 16a:스프링결합홈
16b:결합공 17:체결볼트
18:너트 19:결합공
20:클램핑수단 21:탄성결합홈
22:탄성고정구 23:고정편
24:결속줄 25:결합공
26:손잡이 27:훅
28:스토퍼 29:훅고정핀
30:고정편 31:연결줄
32:미끼통 33:(상측)미끼통체
34:(하측)미끼통체 35:통공
36:조명케이싱 37:밧데리
38:램프 39:타이머
40:인조미끼통 41:인조미끼
42:힌지 43:슬라이드 록커
44:하우징 45:스프링
46:손잡이 47:진입개구
48:창살 49:축핀
50:차단편 51:스프링고정편
51a:고정볼트 52:스프링
53:스프링결합공 54:연결줄
55:연결훅 56:밧줄
57:회전연결구 58,59:(상하부)고정관
60:연결훅 61:결합공
62:로울러 63:로울러서포터
64:고정핀 65:고정캡
66:볼트 67:너트
68:힌지 68a:압박돌기
69:록커 70:결합개구
71:고정캡 73:안내로울러
74:보강심재 75:하우징
76:로울러 75a,76a:축공
77:로울러설치요부 78:고정닻
79:연결공 80:축핀
81:관체 82:걸림턱
83:출몰핀 84:스프링
85:고정플렌지 86:스토퍼
87:핀 88:출몰공
89:출몰공 90:손잡이
92:구동드럼 93:프레임
94:연결프레임 95:드럼체
96:샤프트 97:핸들레버
98:고정볼트 99:가이더
99a:나비너트 100:스프링
101:결합공 102:고정줄
103:말뚝 104:안내연결구
105:밧줄경유공 106:몸체
107:로울러 108,109:기어
108a:안내면 110:기어부
111:커버체 112:요입환턱
113:고정편 114:연결줄
115:개구 116:개구
117:어구체연결구 118:프레임
118a:보강심재 119:고정수단
120:개구 121:끼움홈
122:패킹 123:링형 클램프
124:개구 125:기어로울러
126:핀볼트 127:너트
128:중량추 129:힌지
129a:압박돌기 130:록커
131:결합개구 132:수납실
133:고정캡 134:결합공
135:연결훅 136:로울러
137:로울러서포터 138:고정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1)는 도 1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다나 강, 저수지 등에 다양하게 설치하여 각종 어류를 매우 손쉽게 다량으로 포획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의 구성 및 설치방법, 어류를 포획하는 과정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1)를 뭍에서 어류를 포획시 수중에 어구체(2)를 다수개 설치시켜 놓은 상태이며, 도 2는 바다에서 선박을 타고 나가 갑각류 중 하나인 꽃게를 포획하기 위하여 어구체(2)를 다수개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먼바다 밑 암초가 있는 곳에서 갑각류 중 하나인 대게를 포획할 시에 어구체(2)를 다수개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뭍에서 어류를 포획시 수중에 어구체(2)를 설치시켜 놓은 또 다른 사용예시로서 주로 횟집을 경영하는 경영자가 설치하여 소비자에게 활어를 직접 제공할 경우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설치, 사용상태는 작용설명에서 상세히 언급키로 하고, 우선 본 발명의 핵심 구성부재인 어구체(2)에 대하여 도 5내지 도 15와 함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어구체(2)는 전개(展開) 및 절첩(折疊)이 원터치 작동에 의하여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인바, 이를 위하여 어구체(2)는 도 5와 같이 강성 및 연성의 합성수지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각 부품들이 만들어지는바, 개략 박스형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어구체(2)는 사방으로 어류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문(3)이 형성되고, 상기 각면의 진입문(3)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4) 부위는 전개 및 절첩가능한 벽면체(5)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면체(5)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그리고 상하로는 상기 벽면체(5)와 연결되는 상하 프레임(6,7)을 연결하되, 상부 프레임(6)에는 포획된 어류를 인출하고 미끼통(32)을 투입 및 분리할 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개폐문(8)이 설치되고, 상하 프레임(6,7) 상간에는 스프링(9)을 탄력설치하여 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하여 벽면체(5) 및 진입문(3)이 전개 및 절첩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벽면체(5)는 상하 2단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호 연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절첩부(10)에 의해 전개 및 절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2단으로 상호 절첩부(10)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된 벽면체(5)는 하단 벽면체(5b) 일측, 즉 진입문(3)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걸림턱(11a)을 가진 축핀(11)을 형성하여 진입문(3) 좌우로 형성된 슬라이드 축공(12)상에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축공(12)의 하부에는 축핀(11)의 걸림턱(11a)이 끼움될 수 있도록 걸림턱(11a)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진 진입공(1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벽면체(5)는 전개시에 측면상에서 보면 수직선상에서 둔각으로 전개된 상태가 유지되어 절첩 시에 절첩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어구체(2)의 중심방향으로 절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진입문(3)은 하부 프레임(7)에 끼움고정되는 하부프레임고정편(7a)상에 일체 형성된 탄성 절첩편(13)에 의해 어구체(2) 중심방향으로 약 90°절첩되면서 벽면체(5)를 구성하는 상하 벽면체(5a,5b)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동시에 중심 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축핀(11)이 슬라이드 축공(12)을 따라 안내이동된다.
상기 진입문(3)을 연결하고 있는 탄성 절첩편(13)은 하단부가 하부프레임(7)에 끼움고정된 하부프레임고정편(7a)에 일체형성되고 상단부는 진입문(3)의 T형 결합홈(14)에 강제끼움식으로 연결되는바, 상기 T형 결합홈(14)에 강제끼움되는 탄성 절첩편(13)의 T형 끼움부(13a)에는 좌우로 걸림턱(13b)을 형성하여 T형 결합홈(14)상에 형성된 걸림홈(14a)상에 걸림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진입문(3)과 탄성절첩편(13)이 상호 결합시에 좌우로 조립상태가 유동될 수 있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다.
수직프레임(4)을 구성하는 벽면체(5)에는 그물(15)-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그물'을 통일하여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이 형성되고, 벽면체(5)의 좌우 양단부는 벽면체(5)가 어구체(2) 중심방향으로 절첩되었을 시에 상호 중첩되는 부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개략 산형 단부(5c)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개 및 절첩될 수 있는 진입문(3)과 벽면체(5)의 원터치 전개 및 절첩을 위하여 어구체(2)의 내부에는 스프링(9)이 탄력설치되는바, 이를 위하여 스프링(9)의 하단부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7)상에 스프링결합홈(16a)을 하부에 갖는 고정구(16)를 결합공(16b)을 통하여 개략 U형으로 이루어진 체결볼트(17)와 너트(18)를 사용하여 견고히 고정되고, 상부 프레임(6) 저부에서도 상기 고정구(16)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7)의 중앙에는 결합공(19)을 형성하여 어구체(2)를 절첩했을 시에 스프링(9)의 탄성에 의해 전개되는 어구체(2)를 상부에서 잡아줄 수 있는 클램핑수단(20)이 설치되는바, 이를 위하여 상기 클램핑수단(20)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7)의 결합공(19) 저면부에 강철, 합성수지재 등으로 성형되며 좌우로 탄성결합홈(21)을 갖는 탄성고정구(22)를 결합볼트 등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고정구(22)에 탄성걸림될 수 있는 고정편(23)을 하단부에 연결한 철사로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결속줄(24)을 연결한다.
상기 결속줄(24) 타단부는 어구체(2)의 내부를 수직으로 경유하여 상부 프레임(6)의 중앙에 형성된 개폐문(8)상에 형성된 결합공(25) 상으로 경유하여 단부에는 손잡이(26)가 연결된다.
그리고 어구체(2)를 절첩하였을 시에 절첩상태를 잡아주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27종 등과 같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 수개의 훅(27)이 결속줄(24)의 상하 스토퍼(28) 상간에 상하로 소폭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문(8)의 결합공(25)상에 설치된 훅고정핀(29)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고정구(22)의 일측 탄성결합홈(21)에는 역시 탄성걸림될 수 있는 별개의 고정편(30)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편(30)상에 연결된 철사로프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줄(31)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결합공(19)을 통하여 어구체(2)의 내부로 진입되어 단부에 미끼통(32)이 연결된다.
상기 미끼통(32)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 미끼통체(33)에 나사식으로 하측 미끼통체(34)를 결합시켜 미끼통(32)을 형성하되, 상기 미끼통(32)을 구성하는 상하측 미끼통체(33,34)에는 다수개의 통공(35)을 형성하여 내부에 수납될 미끼의 냄새만 주위로 비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미끼통(32)을 구성하는 상측 미끼통체(33)에는 역시 나사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조명케이싱(36)을 결합하여 밧데리(37)를 내장하고, 상기 밧데리(37)와 전기적으로 회로결선되는 램프(38) 및 타이머(39)를 각각 설치토록 한다.
상기 타이머(39)는 24시간용으로 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시간(주로 야간)에만램프(38)가 점등이 될 수 있도록 하여 밧데리(37)의 불필요한 방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조명케이싱(36)의 선단에는 구형(球形)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재질의 인조미끼통(40)을 나사식으로 결합시킨다. 인조미끼통(40)은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소형(일명 1호기, 잠수용으로 주로 사용)은 물론 필요에 따라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대형(일명 2호기, 부상용으로 주로 사용)의 인조미끼통(40)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조미끼통(40)의 내부에는 물을 소형(1호기)의 경우에는 약 70% 정도 투입하고 대형(2호기)의 경우에는 약 30% 정도를 투입토록 하며, 투입된 물위에 부상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인조미끼(41)를 다수개 투입하며, 나머지 체적은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하여 인조미끼통(40)의 역할과 함께 램프(38)의 반사갓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인조미끼(41)는 투입된 물 위에서 부상되어 인조미끼통(40)의 유동시 물의 출렁임과 함께 동시에 유동하면서 어류에게 살아 움직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도록 한다.
인조미끼통(40)은 물과 인조미끼(41)를 각각 투입 및 배출할 시를 고려하여 상하 분할형으로 구성하여 나사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나사식 조립부위에는 당연히 고무패킹(41a) 등을 개재토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6)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개폐문(8)은 어구체(2) 내부에 포획된 어류를 인출 할 시에 개방할 수 있도록 도 11 및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6)상에 힌지(42)로 각운동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개폐단속을위한 슬라이드 록커(43)를 힌지(42) 대응편상에 설치한다.
즉, 상기 슬라이드 록커(43)는 상부 프레임(6)상에 고정된 하우징(44)상에서 스프링(45)에 탄력설치되어 개폐문(8) 상부로 출몰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개폐문(8)에는 이를 개방할 시에 사용하는 손잡이(4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4)을 구성하는 벽면체(5)와 연결되는 진입문(3)은 도 13에서 더욱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 사각형으로 구성되는 진입문(3)의 중앙부에 개략 열십자 터널형으로 구성되는 진입개구(47)가 형성된다.
상기 진입개구(47)의 형상을 열십자형으로 구성함은 다양한 어종에 호환성을 갖기 위한 것이며, 진입개구(47)의 내측 단부에는 진입방향으로 탄성절곡될 수 있는 수개의 창살(48)을 형성한다. 상기 창살(48)은 절단면이 개략 삼각형 등으로 구성되며,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져 선단부가 절곡된 첨단부로 구성되어 어구체(2) 내부에서 외부로 어류가 나가려고 접근할 시는 창살(48)에 의해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창살(48)은 정면상에서 볼 때 도 13에서 보는 것 처럼 진입개구(47)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몸체가 큰 어류가 진입개구(47)를 통하여 진입시에는 창살(48)이 중심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재질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창살(48)의 단부는 첨단부의 침으로 구성되어 어구체(2) 내에 포획된 어류가 탈출코자 진입개구(47) 상으로 접근하면 창살(48)의 침에 찔리게 되므로 어구체(2) 내부에서 외부로 탈출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진입문(3)은 그 재질이 투명하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포획할 어종에 따라 창살(48) 등은 다른 구조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4,15의 경우는 꽃게나 대게와 같은 게(crab) 종류를 포획할 시에 적용할 수 있는 진입문(3)의 다른 실시예이다.
즉, 진입문(3) 내측으로 개략 직사각형의 진입개구(47)를 형성하고, 상기 진입개구(47)의 상측에서 축핀(49)을 사용하여 차단편(50)을 축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편(50)은 일방향, 즉 게가 어구체(2)내로 진입하는 방향으로만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에 스프링고정편(51)을 고정볼트(51a)로 설치하여 개략 T형의 스프링(52)을 스프링고정편(51)과 차단편(50)에 형성된 스프링결합공(53)을 통하여 탄력끼움식으로 결합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52)은 가는 강철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서 차단편(50)이 물의 부력 또는 어구체(2)가 물 밑에서 기울어져 설치되었을 때에도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스프링 계수를 갖도록 하여 게가 어구체(2)의 내부로 진입코자 할 시는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상 특징을 갖는 어구체(2)를 다수개 연결줄(54)을 사용하여 연결사용하기 위하여 상하 프레임(6,7)의 각 모서리부에 연결훅(55)을 형성하고, 수중에 설치후 이를 인양시 등을 고려하여 무한궤도형으로 설치된 밧줄(56)상에 소정 간격으로 어구체(2)를 연결줄(54)과 회전연결구(57)를 사용하여 연결시켜 사용하게 되는바, 상기 회전연결구(57)는 도 16,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밧줄(56)상에서 연결줄(54)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연결하기 위하여 개략 사각형으로 구성된 상하 고정관(58,59) 중 연결줄(54)과 연결되는 상부 고정관(58)상에 고정된 고정캡(65)에 연결훅(60)의 하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61)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훅(60)의 하단에는 수개의 로울러(62)를 축설치한 로울러서포터(63)를 고정핀(64)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수개의 로울러(62)가 상부 고정관(58)의 상부에 결합된 고정캡(65)의 하부면에 각각 연접되면서 연결훅(60)에 결속고정되는 연결줄(54)이 회전하더라도 이들 상호간에는 꼬임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관(58)과 고정캡(65)은 볼트(66), 너트(67)에 의해 상호 고정시킨다.
상하 고정관(58,59)은 일측에서 힌지(68)로 연결되고 대응부에서 록커(69)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상하 고정관(58,59) 상간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결합개구(70)상에 밧줄(56)을 연결고정하는바, 이때 상기 밧줄(56)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힌지(68)상에 형성되는 결합개구(70) 내부에는 수개의 압박돌기(68a)가 형성된다.
상기 압박돌기(68a)는 상하 고정관(58,59)을 연결하기 위한 힌지(68)상에 형성한다.
상기 힌지(68) 및 고정캡(65), 그리고 하부 고정관(59) 하단의 고정캡(71) 역시 강도향상을 위하여 3mm 이상의 강철판을 사용하여 제작토록 한다.
상부 고정관(58)과 고정캡(65), 그리고 힌지(68)는 전기한 볼트(66), 너트(67)에 의해 동시에 연결고정되며, 하부 고정관(59)과 고정캡(71), 그리고 힌지(68) 역시 볼트(66)와 너트(67)에 의해 동시에 연결고정토록 한다.
상기 도면 중에서 도면부호 72는 연결줄(54) 결속단부를 연결훅(60)에 결속고정하기 위한 결속구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어구체(2)를 수중에 설치 시에 밧줄(56)을 무한궤도형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로울러(73)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내부에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보강심재(74)를 내입시켜 하우징(75)을 강성의 합성수지로서 성형하되, 상기 하우징(75)에는 로울러(76)를 축설치하기 위한 로울러설치요부(77)와 후측으로는 고정닻(78)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줄(54)이 연결되는 연결공(79)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로울러설치요부(77)상에 설치되는 로울러(76)를 밧줄(56)을 절단치 않고도 손쉽게 권설할 수 있도록 로울러(76)는 다음과 같은 원터치로 결합될 수 있는 축핀(80)을 사용한다.
즉, 상기 축핀(80)은 하우징(75)과 로울러(76)상에 형성된 축공(75a,76a) 내경과 거의 일치하는 외경치수를 갖는 원통형의 관체(81)상에 걸림턱(82)을 가지는 출몰핀(83)을 스프링(84)으로 탄력설치되도록 고정플렌지(85)로 관체(81)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출몰핀(83)의 선단부에는 스토퍼(86)를 핀(87)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관체(81)의 선단에 형성된 출몰공(88)을 통하여 출몰하면서 걸림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출몰핀(83)의 후단부는 관체(81)상에 결합된 고정플렌지(85)상의 출몰공(89)을 통하여 출몰될 수 있는 손잡이(90)로 구성함으로서 상기 스토퍼(86)와 고정플렌지(85)에 의해 축핀(80)이 하우징(75)의 양단에 걸림되어 로울러(76)를 축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면부호 91은 고정플렌지(85)를 관체(81)상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어구체(2)를 수중에 설치 후 어구체(2)를 인양 및 어류수거 후 투양할 시에 사용하는 구동드럼(92)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이는 개략 삼각형으로 구성된 좌우 프레임(93)을 조립가능한 연결프레임(94)으로 각각 연결하되, 밧줄(56)이 권취될 수 있는 드럼체(95)를 샤프트(96)로 프레임(93) 상부에 축설치하고, 상기 샤프트(96) 단부에는 핸들레버(97)를 고정볼트(98)에 의해 축고정시켜 핸들레버(97)의 회전에 의해 드럼체(95)를 정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93)의 선측에는 밧줄(56)을 안내할 수 있는 개략 U형의 가이더(99)를 나비너트(99a) 등으로 고정하되, 프레임(93)과 나비너트(99a) 상간에 스프링(100)을 탄력설치하여 가이더(99)의 선측 부위가 프레임(93)에 형성된 결합공(101)을 통하여 필요시 출몰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드럼(92)은 고정줄(102)을 사용하여 말뚝(103)과 고정함으로서 수중에 투척된 어구체(2)가 수류에 의해 유동을 하더라도 수중으로 끌려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서 도 4와 같이 어구체(2)를 수중 적정 깊이로 유지될 수 있도록 잡아주며, 밧줄(56)을 당길 시에 안내해 줄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갖는 안내연결구(104)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좌우 양단이 중심을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구성되며, 중앙에 밧줄경유공(105)이 횡으로 관통형성된 조립분할형의 몸체(10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밧줄경유공(105)은 밧줄(56)을 상호 묶음이나 열접착 등의 방법으로 결속하였을 경우 밧줄(56)의 외경치수 보다 큰 외경치수를 갖는 결속부(56a)가 여유있게 통과될 수 있는 치수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직경이 16mm인 밧줄(56)을 사용할 경우 밧줄(56)을 결속한 결속부(56a)는 직경이 약 32mm 정도가 되므로 결속부(56a)가 경유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2mm 이상이 되도록 충분한 치수의 여유를 두도록 한다.
상기 밧줄경유공(105)의 내연부에서 중앙부로 약간 돌출되어 자유 회전이 가능한 다수개의 로울러(107)가 방사상으로 축설치되어 밧줄(56)이 밧줄경유공(105)을 통과할 시에 로울러(107)가 구름운동하면서 마찰저항으로 인한 밧줄(56) 및 몸체(106)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106)의 좌우 테이퍼부에는 후술하는 기어(108,109)에 맞물려 전후로 통과할 시에 미끄럼 방지역할을 수행하는 다단 기어부(110)가 각각 형성되고, 몸체(106)의 외연부는 강성 및 바닷물의 염분 등에도 내부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27종과 같은 금속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커버체(111)를 좌우 양단에서 결합하여 프레스 작업하여 상기 커버체(111)가 몸체(106)의 외연부를 전체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프레스 작업에 의하여 몸체(106)에 고정되는 커버체(111)의 단부는 몸체(106)의 중앙부에 형성된 요입환턱(112)상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106)의 일측에는 고정편(113)이 매입고정되어 철사로프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줄(114)을 몸체(106)와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106)에 프레스 작업에 의해 고정되는 커버체(111) 상에는연결줄(114)이 경유할 수 있는 개구(115)와 밧줄(56)이 경유할 수 있는 개구(116)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밧줄(56)의 상부에서 어구체(2)를 연결할 수 있는 상기 어구체연결구(117)는 도 24내지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략 직사각형 등의 박스체 형상을 갖는 프레임(118)의 상부를 무한궤도형으로 권설된 밧줄(56)의 상부측과 고정수단(119)으로 고정하고, 하부에는 연결줄(114)이 경유할 수 있는 개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18)은 강성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되, 내부에 강철판 등으로 성형되는 보강심재(118a)를 인서트 몰딩토록 한다.
그리고 프레임(118)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121)을 통하여 결합되며 양단부는 하측 개구(120) 외측에 결합된 패킹(122)에 탄성을 갖고 압박고정되는 개략 사각링 타입의 강철봉 등으로 제작되는 링형 클램프(123)가 설치된다.
상기 링형 클램프(123)는 밧줄(56)과 안내연결구(104)에 의해 연결된 연결줄(114)이 수직하향으로 당겨지는 물리적인 힘에도 개구(120)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며, 밧줄(56)을 분리 또는 결합 시 링형 클램프(123)를 상부로 들어올리면 프레임(118) 상부 끼움홈(121)의 상측으로 링형 클램프(123)가 상승하면서 동시에 패킹(122)이 상승할 때 링형 클램프(123)를 약 90°로 휘어주면 밧줄(56)을 개구(120)상으로 용이하게 분해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밧줄(56)의 하부가 경유할 수 있는 개구(124) 상에는 상하 및 중앙에 기어(108,109)를 갖는 기어로울러(125)를 각각 자유 회전될 수 있도록 프레임(118)상에 핀볼트(126)와 너트(127)를 사용하여 축설치하되, 상기 기어로울러(125)의 상하 기어(108)는 대응하는 기어로울러(125)의 상하 기어(108)와 상호 기어물림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연결구(104)에 형성된 기어부(110)와 어구체연결구(117)상의 중앙에 형성된 기어(109)는 상호 기어물림되면서 밧줄(56)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기어(108) 상에는 안내연결구(104)가 통과할 때 부력 및 해수의 흐름 등에 의하여 어구체(2)와 연결된 밧줄(56)은 상부로 상승하고, 안내연결구(104)는 연결줄(114)에 의해 중량추(128)와 하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발생되는 상하 유격에도 안내연결구(104)가 개구(124)를 통하여 원활히 진입한 후 통과될 수 있도록 파형(波形)상으로 안내면(108a)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118)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수단(119)은 밧줄(56)을 확실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원터치식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힌지(129) 및 록커(130)에 의해 밧줄(56)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를 위하여 상하 힌지(129)를 프레임(118)과 고정수단(119)상에 체결볼트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고, 힌지(129)는 강철판 등으로 제작하여 힌지(129)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개구(131) 내부에는 밧줄(56)을 강하게 압박고정할 수 있는 압박돌기(129a)가 형성되어 힌지(129)를 원터치식 록커(130)로 고정하면 밧줄(56)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119)의 내부에는 어구체(2)와 어구체연결구(117)를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기 위하여 개략 사각형으로 구성된 고정수단(119) 내부에 수납실(132)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실(132) 내부에는 상부 고정캡(133)에 형성된 결합공(134)을 통하여 끼움결합된 연결훅(135)의 하단에 수개의 로울러(136)를 축설치한 로울러서포터(137)를 고정핀(138)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수개의 로울러(136)가 상부 고정캡(133)의 하부면에 각각 연접되면서 연결훅(135)에 결속고정되는 연결줄(54)이 회전하더라도 이들 상호간에는 꼬임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고정캡(133) 역시 강성이 우수한 강철판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면 중에서 부호 139는 별도로 사용될 수 있는 플로트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1)는 어구체(2)를 바다나 강, 저수지 등과 같은 곳에 설치하고 작업자는 육지에서 설치된 어구체(2)를 밧줄(56)을 당겨 포획된 각종 활어를 수거할 수 있고, 활어 수거후에는 당긴 밧줄(56)을 역으로 당겨주면 재차 어구체(2)를 수중에 포획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여 정치망으로 어류를 포획하는 어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인바, 이의 사용방법 및 작용 등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1)를 육지에서 수중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예시한 경우로서, 이는 육지에 고정한 말뚝(103)에 밧줄(56)의 일단을 고정하고 밧줄(56)의 타단은 수중에 고정닻(78)에 연결줄(54)로 연결시킨 안내로울러(73)에 권설하여 연결시킨 후 상기 밧줄(56)이 무한궤도형으로 설치되도록 연결한다.
상기 밧줄(56)과 말뚝(103) 상간에는 필요에 따라 구동드럼(92)을 연결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밧줄(56)의 수중 하부측에는 수개의 회전연결구(57)를 연결시키고, 상기 회전연결구(57)에 연결줄(54)을 사용하여 상부로 각각 수개의 어구체(2)를 연결하여 수직선상으로 어구체(2)가 부상되면서 원위치를 유지토록 하여 각종 어류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바, 이때 어구체(2)의 부상은 미끼통(32)의 상부에 연결구성된 인조미끼통(40)에 주입된 공기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2의 경우는 본 발명의 바다에 배를 타고 나가 꽃게잡이를 할 시에 활어 포획용 어구(1)를 수직 및 수평으로 수개 설치한 경우를 예시한 경우로서,
이는 밧줄(56)을 회전연결구(57)를 사용하여 바닥에 고정설치된 고정닻 일체형의 중량추(128)로 연결줄(54)을 사용하여 연결시키고, 역시 회전연결구(57)를 사용하여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수개의 어구체(2)를 연결하고 양단부에는 연결줄(54)을 사용하여 플로트(139)를 연결시킨 후 꽃게 등을 포획할 시에 사용하는 경우이며,
도 3의 경우는 먼 바다로 나가 바닥의 암초 사이에 설치하여 대게를 포획할 시에 활어 포획용 어구(1)를 수직으로 수개 설치한 경우를 예시한 경우로서,
이는 밧줄(56)을 회전연결구(57)를 사용하여 바닥에 고정설치된 고정닻 일체형의 중량추(128)로 연결줄(54)을 사용하여 연결시키고, 역시 회전연결구(57)를 사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수개의 어구체(2)를 연결하고 양단부에는 연결줄(54)을 사용하여 플로트(139)를 연결시킨 후 먼바다 바닥에서 대게 등을 포획할 시에 사용하는경우를 예시한 것이며,
도 4의 경우는 주로 횟집 등에서 활어를 포획할 시에 육지에 말뚝(103)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말뚝(103)과 고정줄(102)을 사용하여 구동드럼(92)을 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연결한 후 상기 구동드럼(92)에 밧줄(56)을 무한궤도형으로 연결시켜 밧줄(56)의 타단은 수중에 고정된 고정닻(78)에 연결줄(54)로 연결된 안내로울러(73)상에 권설시키며, 수중에 무한궤도형으로 설치된 밧줄(56)의 하단은 안내연결구(104)를 사용하여 연결줄(114)로 고정닻 기능을 동시에 가진 중량추(128)로 수중에 고정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밧줄(56)에는 어구체연결구(117)를 사용하여 인조미끼통(40)에 주입된 공기에 의해 부상력을 제공받아 수직방향으로 다단 설치될 수 있는 다수개의 어구체(2)를 이용하여 활어를 포획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밧줄(56)은 횡으로 다수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1)의 설치 사용예는 상기 도 1내지 도 4에서 개시한 바와 같은 다양한 설치환경 및 포획코자 하는 어종 등에 따라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 사용되는 본 발명의 어구체(2)는 미 사용시에는 절첩하여 최소 부피로 휴대이송 및 보관토록 하다가, 사용시에는 어구체(2)를 최대부피로 전개시켜 사용하는데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우선 어구체(2)가 절첩된 상태에서 전개 사용코자 할 경우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구체(2)를 구성하는 상하프레임(6,7) 상간에 수축상태로클램핑수단(20)에 의해 클램핑되어있는 스프링(9)을 탄성에 의하여 전개될 수 있도록 클램핑수단(20)을 구성하는 훅(27)을 상부 프레임(6)의 훅고정핀(29)으로부터 분리한다.
즉, 하부 프레임(7)에 저부측에 고정된 탄성고정구(22)상의 탄성결합홈(21)에 고정편(23)에 의해 일단이 고정된 결속줄(24) 타단에 수개 설치된 훅(27) 중에서 개폐문(8)의 훅고정핀(29)에 선택 걸림상태에 있는 훅(27)을 결속줄(24)을 상부로 약간 잡아당긴 후 분리하면 상하프레임(6,7) 상간에 수축되어 있던 스프링(9)이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발되면서 상하 프레임(6,7) 상간에 절첩되어 있던 수직프레임(4)이 전개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4)은 진입문(3)과 상하 분할형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벽면체(5) 및 그물(15)로 구성되어 있고, 벽면체(5) 및 그물(15)의 상하 단부가 상하프레임고정편(6a,7a)에 의해 상하프레임(6,7)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부 프레임(6)의 전개작동에 의하여 벽면체(5) 및 그물(15)이 동시에 전개가 이루어지며, 이때 벽면체(5) 상간에 축핀(11)으로 연결된 진입문(3) 역시 전개가 이루어진다.
진입문(3)의 하단부는 탄성 절첩편(13)에 의해 하부 프레임(7)과 연결되어 있고, 좌우측으로는 슬라이드 가능한 축공(12)에 벽면체(5)의 축핀(11)이 결합되어 있어 벽면체(5)의 전개시 축핀(11)과 연결된 진입문(3) 역시 어구체(2) 내측으로 수평절첩 상태에서 어구체(2)의 외측으로 약 90°정도 각운동하면서 수직상태로 전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하 프레임(6,7)의 전개작동시 벽면체(5)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벽면체(5a,5b)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상호 절첩부(10)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절첩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전개 및 절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어구체(2)의 전개가 이루어지면 상부 프레임(6)상의 개폐문(8)을 슬라이드 록커(43)를 후진시킨 후 힌지(42)를 기점으로 하여 각운동 개방시킨 후 미끼통(32)을 장착한다.
미끼통(32)을 장착할 시는 상하 미끼통체(33,34)를 나사분리시켜 미끼통(32) 내부에 미끼를 투입한 후 재차 상하 미끼통체(33,34)를 나사결합시키고, 미끼통(32)의 상부에 설치된 램프(38)를 포획코자 하는 어종에 따라 점멸여부를 조절한다.
즉, 램프(38)는 주광성을 가진 어류를 포획코자 할 시는 타이머(39)를 조절하여 필요한 시간대에만 램프(38)가 점등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타이머(39)를 OFF 상태로 조절하여 점등이 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미끼통(32) 상측에 어구체(2)의 부력조절을 위하여 대소 규격으로 이루어진 인조미끼통(40)을 나사결합하는데, 인조미끼통(40)이 소형(일명 1호기)일 경우는 어구체(2)를 주로 수중에 잠수용으로 사용할 경우이며, 대형(일명 2호기)일 경우에는 주로 부상용으로 사용할 시에 선택 결합시키면 된다.
소형 인조미끼통(40)에는 물과 공기의 비율을 개략 70:30 정도로 하여 투입하며, 대형 인조미끼통(40)의 경우는 물과 공기의 비율을 개략 30:70 정도의 비율로 투입하여 결국은 투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부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인조미끼통(40) 내부에는 물 위에 부상되는 인조미끼(41)를 다수개 투입하여수중에서 인조미끼(41)가 물 위에서 임의유동을 하여 마치 살아있는 미끼처럼 어류를 유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미끼통(32)의 준비작업이 완료되면, 미끼통(32)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줄(31) 단부의 고정편(30)을 개폐문(8)을 통하여 하부 프레임(7)상에 형성된 결합공(19)으로 통과시켜 하부 프레임(7) 저면부에 고정된 탄성고정구(22)상의 탄성결합홈(21)에 고정편(30)을 탄성결합시키면 미끼통(32)은 어구체(2) 내부에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미끼통(32)이 어구체(2) 내부에 설치되면 개폐문(8)을 힌지(42)를 기점으로 폐쇄한 후 슬라이드 록커(43)로 후진상태에서 놓아주면 이를 탄력지지하고 있는 스프링(45)의 탄성에 의해 개폐문(8) 상부에 록킹되어 개폐문(8)은 임의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잠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구체(2)를 구성하고 있는 수직프레임(4) 중 각종 어류가 어구체(2) 내부로 진입하는 진입문(3)은 사전에 포획코자 하는 어종에 따라 2가지를 선택하여 조립한 후 사용하게 된다.
즉, 도 13에서 도시한 진입문(3)은 상하 및 좌우로 발달된 어류(예: 넙치류, 도미 등)를 포획할 시에 주로 사용하는 것이며, 갑각류인 게(대게, 꽃게 등) 등을 포획코자 할 시는 14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진입문(3)을 사용토록 한다.
도 13에서 개시한 진입문(3)의 경우는 수중에 투척 시에 진입문(3)에 형성된 진입개구(47)상에 첨단부를 가진 창살(48)이 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창살(48)은 진입개구(47)의 내측에 위치하여 진입문(3)의 두께 안에 수용되므로 진입문(3)이절첩되더라도 창살(48)이 손상되는 것은 미연에 방지될 수 있으며, 어구체(2)의 내부로 진입한 어류가 진입개구(47)를 통하여 탈출코자 할 시는 창살(48)이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어 창살(48)이 형성된 진입개구(47) 상으로 진입할 경우 창살(48)에 형성된 침에 방해를 받게되므로 탈출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4~15의 경우는 게의 특성상 옆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게의 진입이 용이토록 한 경우로서, 이는 투명의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된 수개의 차단편(50)이 진입개구(47)의 내측에 스프링(52)에 탄력설치되어 있어 게가 진입개구(47)를 통하여 어구체(2) 내부로 미끼를 먹기 위해 진입하면서 차단편(50)을 밀게 되면 상기 차단편(50)은 스프링(52)에 탄력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프링(52)의 탄성을 극복하고 차단편(50)이 어구체(2)의 내측으로 축핀(49)을 기점으로 하여 각운동하여 열리게되어 게가 어구체(2) 내부로 진입하여 포획되는 것이며, 어구체(2)에 포획된 게가 탈출코자 진입문(3) 측으로 접근하여 차단편(50)을 밀게 되더라도 상기 차단편(50)은 하단부가 진입개구(47)의 하측 진입문(3) 프레임상에 접하여 있어 탈출방향으로는 열리지가 않기 때문에 한번 어구체(2) 내부로 진입한 게는 탈출하지 못하고 포획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어구체(2)를 포획코자 하는 어종에 따라 진입문(3)을 선택하여 장착하고, 어구체(2)를 전개시킨 후 미끼통(32)을 결합한 후 도 1내지 도 4와 같은 포획코자 하는 장소의 환경에 따라 밧줄(56)과 연결줄(54,114), 그리고 고정닻(78), 중량추(128), 구동드럼(92), 플로트(139)를 연결시켜 각종 어류를 포획하게 되는 것으로서, 어구체(2)를 수중에 투척한 후 이를 육상에서 인양코자 할시는 무한궤도형으로 설치된 밧줄(56)의 일측을 잡아당기면 회전연결구(57)에 연결줄(54)로 연결된 어구체(2)가 동시에 인양되어 개폐문(8)을 개방시켜 포획된 어류를 인출, 수거하면 되는 것이며,
도 2,3과 같이 먼바다에서 바닥에 어구체(2)를 설치한 경우에는 밧줄(56)의 양단에 연결줄(54)로 연결되어 수면에 부상되어 있는 플로트(139)를 잡고서 선박으로 인양하면 어구체(2)내에 포획된 각종 어류를 인출,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와 같이 밧줄(56)을 일측으로는 고정닻(78)과 연결된 안내로울러(73)에 권설하고, 타측은 구동드럼(92)에 권설하여 무한궤도형으로 설치하되, 수개의 어구체(2)를 어구체연결구(117)를 사용하여 상하로 적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한 경우는 구동드럼(92)상에 권설된 밧줄(56)을 풀거나 당길 경우 어구체연결구(117)의 상측을 경유하는 밧줄(56)은 고정수단(119)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밧줄(56)의 하부는 프레임(118)에 형성된 개구(124) 및 안내연결구(104)의 밧줄경유공(105)을 통하여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밧줄(56)이 당겨지거나 풀릴 수 있는바, 밧줄(56)의 이동으로 어구체연결구(117)가 좌우로 이동할 경우 상기 어구체연결구(117)를 구성하는 프레임(118)에는 기어로울러(125)가 설치되어 있어 안내연결구(104)의 기어부(110)가 도 25에 보는 바와 같이 기어로울러(125)를 구성하는 중앙부의 기어(109)에 안내되면서 안내연결구(104) 상간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안내연결구(104)의 하부와 중량추(128)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줄(114)은 프레임(118) 하부 중앙에 형성된 개구(120)를 통하여 걸림없이 통과되는 것이다.
상기 어구체연결구(117)를 구성하는 프레임(118)은 내부에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보강심재(118a)가 인서트 몰딩 방법에 의해 일체로 내입되어 있어 프레임(118)은 강성이 더욱 보강되며, 프레임(118) 상부의 고정수단(119) 역시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힌지(129) 및 록커(130), 고정캡(133)으로 합성수지재 프레임(118)을 보강하고 있어 밧줄(56)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그 강도는 대폭 향상되어 제품의 내구성 증대에 크게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19)은 원터치식 록커(130)에 의해 밧줄(56)이 고정 및 분리될 수 있어 밧줄(56)을 절단하지 않고 어구체연결구(117)에 고정 및 분리가 간단히 이루어지게 되고, 이는 본 발명의 어구체(2)를 소망하는 장소에 연결설치하기 위한 안내로울러(73) 및 회전연결구(57) 역시 동일한 강도보강 및 결합 및 분리작업이 극히 용이한 것이다.
즉, 안내로울러(73)의 경우는 밧줄(56)을 결합 시 로울러(76)를 하우징(75)으로 분리하여 밧줄(56)을 권설하면 되는바, 이를 위하여 로울러(76)를 축설치하기 위한 출몰핀(83)의 손잡이(90)를 잡고 반대측으로 밀게 되면 출몰핀(83)의 걸림턱(82)에 의해 스프링(84)이 압축되면서 출몰핀(83)의 손잡이(90) 반대측에 핀(87)으로 연결된 스토퍼(86)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되어 스토퍼(86)를 출몰핀(83)과 동일 축방향으로 각도조절하면 축핀(80)이 하우징(75)과 로울러(76)의 축공(75a,76a)으로부터 간단히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로울러(76)를 하우징(75)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로울러(76)에 밧줄(56)을 권설한 후 로울러(76)를다시금 하우징(75) 내부로 위치시켜 상호 축공(75a,76a)를 일치되도록 한 후 축핀(80)을 축결합시킨 후 출몰핀(83)상의 스토퍼(86)만 약 90°회전시켜 하우징(75)의 축공(75a) 외측부에 걸림되도록 하면 타측부는 고정플렌지(85)에 의해 이탈이 불가한 상태이므로 로울러(76)가 간단히 하우징(75)에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75) 역시 내부에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보강심재(74)가 인서트 몰딩 방법에 의해 내입되어 있어 강성이 대폭 보강되어 제품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연결구(57) 역시 도 16내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힌지(68)와 상하 고정캡(65,71)이 부착되어 강도가 보강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68)에는 역시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록커(69)가 설치되어 있어 록커(69)의 원터치 작동에 의하여 간단히 힌지(68)에 의해 밧줄(56)을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동드럼(92)은 밧줄(56)을 당기거나 풀어 줄 때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드럼(92)을 구성하는 프레임(93)의 전측에 스프링(100)으로 탄력설치되어 결합공(101) 상을 출몰가능한 가이더(99)를 설치하여 밧줄(56)을 가이더(99)를 당긴 상태에서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가이더(99)를 놓은 상태에서는 스프링(100)의 탄성에 의해 가이더(99)가 결합공(101) 상으로 진입하게 되어 밧줄(56)이 임의 분리되지 않는 상태에서 안내하게 되므로 밧줄(56)의 엉킴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밧줄(56)의 구동은 드럼체(95)가 축고정된 샤프트(96) 일단에 고정볼트(8)로고정된 핸들레버(97)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간단히 밧줄(56)이 정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되어 수중에 투척된 어구체(2)를 뭍으로 인양할 수 있으며, 뭍으로 인양된 어구체(2)를 또한 간단히 수중의 원위치에 투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활어 포획용 어구(1)는 어획작업을 전기와 같이 수행 후 어구체(2)내에 포획된 어류를 개폐문(8)을 개방하여 인출후 이를 철거코자 할 시는 어구체(2) 내부에 설치된 미끼통(32)을 분리한다. 이를 위하여 미끼통(32)이 연결줄(31)로 연결된 고정편(30)을 탄성고정구(22)로 부터 분리한 후 개폐문(8)을 통하여 인출하고, 전개된 어구체(2)를 절첩하여 최소부피로 휴대이송 및 보관할 수 있는바,
어구체(2)를 절첩할 시에는 결속줄(24)을 작업자가 한손으로 잡고서 다른 한손으로 상부 프레임(6)을 하측으로 눌려주면 수직프레임(4)을 구성하는 분할형의 상하 벽면체(5a,5b)가 절첩부(10)를 기점으로 하여 사방에서 어구체(2)의 중심방향으로 접히게 되고, 이때 하단이 탄성 절첩편(13)에 의해 연결된 진입문(3)은 벽면체(5)에 형성된 축핀(11)과 연결되어 있어 동시에 탄성 절첩편(13)을 기점으로 하여 중심방향으로 약 90°정도 각도조절되면서 접히게 된다. 이때 상하 프레임(6,7) 상간에 탄력설치되어 있던 스프링(9)은 도 7의 하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된다.
작업자는 상하 프레임(6,7)이 압축상태로 절첩되면 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결속줄(24)상에 결합된 수개의 훅(27) 중 하나를 개폐문(8)상에 고정되어 있는 훅고정핀(29)상에 걸림시키면 절첩상태에서 스프링(9)의 탄발력을 훅(27)이 저지한 상태로 절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최소 부피로 어구체(2)를 절첩한 상태에서손쉽게 휴대이송 및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1)는 다음과 같은 다수의 각별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수중에 정치망(定置網)으로 설치하여 바다(연근해 및 심해 등), 강, 저수지 등에서 다양한 활어를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는 것으로서,
어구체(2)를 원터치 작동에 의하여 전개 및 절첩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최소부피로 휴대이송 및 보관할 수 있어 다량운송과 더불어 어구체(2)의 제반 취급에 따른 인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어구체(2)에 착탈가능한 미끼통(32)을 사용하여 각종 어류 및 갑각류(대게, 꽃게 등)를 상처를 입히지 않고 신선하게 살아 있는 상태로 미끼 및 인조미끼, 램프의 불빛 등으로 유인, 포획하여 어획률의 증대와 함께 부가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상기 미끼통(32)에는 대형 및 소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로트 기능을 가진 인조미끼통(40)을 설치하여 투입하는 수량(水量)에 따라 부력을 임의 조절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잠수용 및 부력용으로 선택사용할 수 있어 어구체(2)를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다수개의 어구체(2) 중 하나를 분실하더라도 상기 인조미끼통(40)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게 되므로 수중오염을 근원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회전연결구(57), 안내로울러(73), 안내연결구(104), 어구체연결구(117) 등 주요부품에 강철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를 내입 및 장착시켜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부품의 내구성 취약점을 해결하고,
어구체(2) 연결설치를 위한 밧줄(56) 고정수단을 강철판으로 이루어지고 압박돌기(68a,129a)를 가진 힌지(68,129)를 사용함으로서 강력하게 밧줄(56)을 고정할 수 있으며, 밧줄(56)의 결합 및 분리를 원터치 록커 등에 의하여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편의성 향상 및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어구체(2)상에 설치되는 어류의 진입문(3)은 일반 어류 및 대게, 꽃게 등과 같은 갑각류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 포획하는 어종에 따라 별도로 어구를 구입하여야 했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어종에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주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기존 그물 등으로 이루어진 어구에 비하여 설치 및 해체작업 시에도 별도의 그물손질작업이 불필요하여 그로 인한 시간절약은 물론 설치 및 해체 시에 1~2명의 작업자가 손쉽고 신속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어 비용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13)

  1. 각종 어류를 수중에서 미끼로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어구체(2)를 연근해, 강, 저수지 등에 정치망 형태로 설치, 사용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어구체(2)를 구동드럼(92)과 수중에 고정닻(78)과 연결된 안내로울러(73)에 무한궤도형으로 권설되는 밧줄(56), 또는 수중에 중량추(128)와 플로트(139)에 의해 일자형으로 설치되는 밧줄(56)에 회전연결구(57)와 연결줄(54)을 사용하여 종방향 또는 종횡방향으로 교호로 어구체(2)를 연결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활어 포획용 어구(1)에 있어서;
    상기 어구체(2)는 개폐문(8)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프레임(6)과,
    상기 상부 프레임(6) 하측에 연결되어 절첩 및 전개 가능한 벽면체(5) 및 진입문(3), 그물(15)로 구성되는 수직프레임(4)과,
    상기 수직프레임(4)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7)과,
    상기 상하 프레임(6,7) 상간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9) 및 이의 탄발력을 단속할 수 있는 클램핑수단(20)과,
    상기 어구체(2) 내부에는 하부 프레임(7)에 착탈 가능하게 미끼통(3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6)에는 개폐문(8)을 힌지(42)에 의해 각운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힌지(42) 대응부 상의 상부 프레임(6)에는 스프링(45)에 탄력설치된 슬라이드 록커(43)를 설치하며,
    상기 개폐문(8) 상에는 클램핑수단(20)을 구성하는 수개의 훅(27)이 선택걸림될 수 있는 훅고정핀(29)을 결합공(25)상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체(2)의 수직면부를 구성하는 수직프레임(4)은 상하 절첩부(10)에 의해 연결되는 상하 분할형으로 구성되며 상하 단부가 상하프레임(6,7)에 고정된 상하프레임고정편(6a,7a)에 연결된 상하부 벽면체(5a,5b)와,
    상기 상하부 벽면체(5a,5b)의 이웃하는 면을 연결하는 그물(15)과,
    상기 동일 수직면 좌우로 위치하는 하부 벽면체(5b)에는 걸림턱(11a)을 가진 축핀(11)이 형성되어 슬라이드 축공(12)이 대응부에 형성된 진입문(3)이 연결되며,
    상기 진입문(3) 하부에는 걸림홈(14a)을 좌우로 가진 T형 결합홈(14)이 형성되어 걸림턱(13b)을 좌우로 가진 T형 끼움부(13a)를 구비한 탄성 절첩편(13)에 강제끼움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프레임(6,7) 상간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9)은 스프링결합홈(16a)과 결합공(16b)을 가진 고정구(16) 수개를 사용하여 체결볼트(17)와 너트(18)로 스프링(9)의 상하 단부를 상하 프레임(6,7)상에 각각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20)은 하부 프레임(7)에 설치된 탄성고정구(22)에 형성된 탄성결합홈(21)에 결합되는 고정편(23)과,
    상기 고정편(23)과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26)가 연결된 결속줄(24)과, 상기 결속줄(24)에 고정된 상하 스토퍼(28) 상간에서 유동가능한 수개의 훅(27)을 구비하며,
    상기 축(27)은 상부 프레임(6)에 설치된 개폐문(8)상의 훅고정핀(29)상에 선택걸림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통(32)은 연결줄(31) 단부에 연결된 고정편(30)에 의해 하부 프레임(7)의 저부에 고정된 탄성고정구(22)의 탄성결합홈(21)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미끼통(32)은 나사결합되는 상하 미끼통체(33,34)와, 이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조명케이싱(37)과, 상기 조명케이싱(37)에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되는 인조미끼(41)가 수납되는 대소형 규격의 인조미끼통(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
  7.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문(3)의 진입개구(47)는 개략 열십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진입개구(47) 내부에는 진입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탄성절곡될 수 있는 창살(48)을 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
  8.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문(3)은 진입개구(47) 내측에 축핀(49)으로 차단편(50)을 수개 설치하고, 상기 차단편(50)은 스프링고정편(51)에 형성된 스프링결합공(53)과 차단편(50)에 형성된 스프링결합공(53)상에 탄력결합되는 스프링(52)에 의해 탄력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구(57)는 밧줄(56) 결합용 결합개구(70)를 형성하는 금속재의 힌지(68)의 내연부에 수개의 압박돌기(68a)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68) 상하에는 합성수지재 고정관(58,59)과 금속재 고정캡(65,71)을 볼트(61)와 너트(67)로 각각 조립하여 록커(69)로서 힌지(68)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부 고정관(58) 내부에는 고정캡(65)상에 형성된 결합공(61)을 통하여 연결줄(54)과 연결되는 연결훅(60)의 단부가 결합되어 로울러서포터(63)상에 고정핀(64)으로 고정되고,
    상기 로울러서포터(63)에는 수개의 로울러(62)가 축설되어 고정캡(65) 저면부와 연접 구름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울러(73)는 금속재의 보강심재(74)가 인서트 몰딩된 하우징(75) 일측으로는 연결줄(54) 결속용 연결공(79)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밧줄(56) 안내용 로울러(76) 설치용 로울러설치요부(77)가 형성되며,
    상기 로울러(76)와 로울러설치요부(77)상에는 축공(76a,77a)을 형성하여 축핀(80)으로 로울러(76)를 축설치하되,
    상기 축핀(80)은 원통형의 관체(81)상에 걸림턱(82)을 가지는 출몰핀(83)을 스프링(84)으로 탄력설치되도록 고정플렌지(85)로 관체(81)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출몰핀(83)의 선단부에는 스토퍼(86)를 핀(87)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관체(81) 선단에 형성된 출몰공(88)을 통하여 출몰하면서 걸림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출몰핀(83)의 후단부는 관체(81)상에 결합된 고정플렌지(85)상의 출몰공(89)을 통하여 출몰될 수 있는 손잡이(9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드럼(92)은 개략 삼각형으로 구성된 좌우 프레임(93)을 연결프레임(94)으로 조립하고,
    밧줄(56)이 권취될 수 있는 드럼체(95)를 샤프트(96)로 프레임(93) 상부에 축설치하되, 상기 샤프트(96) 단부에는 핸들레버(97)를 고정볼트(98)에 의해 축고정시켜 핸들레버(97)의 회전에 의해 드럼체(95)를 정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93) 선측에는 밧줄(56)을 안내할 수 있는 개략 U형의 가이더(99)를 나비너트(99a) 등으로 고정하되, 프레임(93)과 나비너트(99a) 상간에 스프링(100)을 탄력설치하여 가이더(99)의 선측 부위가 프레임(93)에 형성된 결합공(101)을 통하여 필요시 출몰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체연결구(117)는 내부에 금속재 보강심재(118a)가 인서트 몰딩된 프레임(118)에 밧줄(56)의 하부가 경유할 수 있는 개구(124)와 연결줄(114)이 경유할 수 있는 하측의 개구(120)가 형성되고, 프레임(118)의 상부를 경유하는 밧줄(56) 고정용 고정수단(119)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118) 상부에는 끼움홈(121)을 형성하여 금속재로 구성된 링형 클램프(123)를 끼움조립하고, 상기 링형 클램프(123)의 양단부는 프레임(118)의 개구(120) 외측에 개재된 패킹(122)에 압박고정토록 하며,
    상기 프레임(118)의 개구(124) 상에는 상하 및 중앙에 기어(108,109)를 갖는 기어로울러(125)를 각각 자유 회전될 수 있도록 핀볼트(126)와 너트(127)로 축설치하되, 상기 기어로울러(125)의 상하 기어(108)는 대응하는 기어로울러(125)의 상하 기어(108)와 상호 기어물림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기어(108)에는 안내연결구(104)가 개구(124)로 진입시 안내를 위한 파형의 안내면(108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19)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밧줄(56) 압박고정용압박돌기(129a)가 형성된 상하 힌지(129)를 프레임(118)과 고정수단(119)상에 고정하여 록커(130)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수단(119)의 내부에는 수납실(132)을 형성하여 상부 금속재 고정캡(133)에 형성된 결합공(134)을 통하여 끼움결합된 연결줄(54) 연결용 연결훅(135)의 하단에 수개의 로울러(136)를 축설치한 로울러서포터(137)를 고정핀(138)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수개의 로울러(136)가 상부 고정캡(133)의 저면부와 연접 구름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포획용 어구.
KR10-2002-0000317A 2002-01-03 2002-01-03 활어 포획용 어구 KR100424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317A KR100424094B1 (ko) 2002-01-03 2002-01-03 활어 포획용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317A KR100424094B1 (ko) 2002-01-03 2002-01-03 활어 포획용 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990A KR20020023990A (ko) 2002-03-29
KR100424094B1 true KR100424094B1 (ko) 2004-03-22

Family

ID=1971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317A KR100424094B1 (ko) 2002-01-03 2002-01-03 활어 포획용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0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716A (ko) 2015-01-22 2016-08-01 김승평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KR20190094830A (ko) * 2018-02-06 2019-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개선된 전지 트레이
KR102490230B1 (ko) 2022-08-29 2023-01-19 이승엽 포유동물 방류장치가 형성된 정치망 어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0051A (zh) * 2018-09-12 2018-12-28 厦门悦享科技有限公司 水下诱捕装置
CN110771582B (zh) * 2019-12-11 2024-06-11 山东建筑大学 一种螺旋桨驱动的海参捕捞机器人
KR102336567B1 (ko) * 2021-06-21 2021-12-07 대한민국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채집방법
KR102470974B1 (ko) * 2022-06-15 2022-11-29 대한민국 호수 수초의 무척추동물 채집장치
CN117158388B (zh) * 2023-10-09 2024-05-10 珠江水利委员会珠江水利科学研究院 针对齐氏罗非鱼的饵料诱捕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3341A (ja) * 1983-04-07 1984-12-03 余市郡漁業協同組合 網口開閉、登り網調整自在折りたたみかご網
US4554759A (en) * 1983-04-12 1985-11-26 Research Corporation Method and means for harvesting crayfish
KR890012309U (ko) * 1987-12-21 1989-08-07 방묘순 낚시용 개량 바구니
JPH0379657A (ja) * 1989-08-23 1991-04-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の製法
KR920011353A (ko) * 1990-12-26 1992-07-24 정정호 할어망
KR950016220U (ko) * 1993-12-23 1995-07-20 박시재 어로용 통발
WO2001052638A1 (en) * 2000-01-21 2001-07-26 Refa As Device for anchoring floating cages for fish, fish pots and cages
KR20030012691A (ko) * 2001-08-03 2003-02-12 정정호 활어 포획용 어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3341A (ja) * 1983-04-07 1984-12-03 余市郡漁業協同組合 網口開閉、登り網調整自在折りたたみかご網
US4554759A (en) * 1983-04-12 1985-11-26 Research Corporation Method and means for harvesting crayfish
KR890012309U (ko) * 1987-12-21 1989-08-07 방묘순 낚시용 개량 바구니
JPH0379657A (ja) * 1989-08-23 1991-04-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の製法
KR920011353A (ko) * 1990-12-26 1992-07-24 정정호 할어망
KR950016220U (ko) * 1993-12-23 1995-07-20 박시재 어로용 통발
WO2001052638A1 (en) * 2000-01-21 2001-07-26 Refa As Device for anchoring floating cages for fish, fish pots and cages
KR20030012691A (ko) * 2001-08-03 2003-02-12 정정호 활어 포획용 어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716A (ko) 2015-01-22 2016-08-01 김승평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KR20190094830A (ko) * 2018-02-06 2019-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개선된 전지 트레이
KR102387769B1 (ko) * 2018-02-06 2022-04-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개선된 전지 트레이
KR102490230B1 (ko) 2022-08-29 2023-01-19 이승엽 포유동물 방류장치가 형성된 정치망 어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990A (k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580B1 (ko) 낙지 포획용 통발
KR100424094B1 (ko) 활어 포획용 어구
AU20123501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pulations of mosquitoes and the like
US113329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wimming pool filtration
KR100424093B1 (ko) 활어 포획용 어구
KR100385938B1 (ko) 바다 및 민물용 자망 어구
KR100385937B1 (ko) 다용도 활어 자망 어구
KR100382787B1 (ko) 활어 포획용 어구
KR101748393B1 (ko) 어로용 통발
US6269582B1 (en) Artificial weed line
US112410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umming bait
KR100846059B1 (ko) 두족류 포획구
KR20090013148A (ko) 게잡이용 통발
KR100539409B1 (ko) 활어 포획용 어구
KR100382788B1 (ko) 활어 포획용 어구
KR100385939B1 (ko) 문어 포획용 어구
KR200299109Y1 (ko) 낚시부착형 문어단지
de SYLVA Potential for increasing artisanal fisheries production from floating artificial habitats in the Caribbean
KR20100000836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101397465B1 (ko) 통발
KR200305462Y1 (ko) 3개의 입구를 갖는 장어잡이용 통발
CN105010272A (zh) 捕捞笼
WO1987005645A1 (en) Artificial reef
Goudswaard et al. Gears and boats.
KR200249275Y1 (ko)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