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459B1 -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459B1
KR100422459B1 KR10-2001-0041854A KR20010041854A KR100422459B1 KR 100422459 B1 KR100422459 B1 KR 100422459B1 KR 20010041854 A KR20010041854 A KR 20010041854A KR 100422459 B1 KR100422459 B1 KR 100422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ning
spinning liquid
spinning solution
nanofibers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049A (ko
Inventor
김학용
강영식
이세철
정빈
이근형
라영민
Original Assignee
김학용
박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용, 박종철 filed Critical 김학용
Priority to KR10-2001-004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459B1/ko
Priority to US10/363,413 priority patent/US6991702B2/en
Priority to PCT/KR2001/002158 priority patent/WO2003004735A1/en
Publication of KR2003000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459B1/ko
Priority to US11/263,991 priority patent/US7332050B2/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계량펌퍼(9)와 노즐블록(6) 사이에 (ⅰ) 밀폐된 원통상의 형상을 갖고, (ⅱ) 그 상단부에는 방사액 유도관(5c)과, 하단으로 기체가 유입되며 기체 유입부가 필터(5a)와 연결되어 있는 기체 유입관(5b)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고, (ⅲ) 그 하단부에는 방사액 배출관(5d)이 돌출되어 있으며, (ⅳ) 그 중간부에는 방사액이 방사액 유도관(5c)으로부터 드롭(drop) 될 수 있는 중공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방사액 드롭장치(5)가 설치되어 있는 한개 이상의 전기방사장치로 이송중인 섬유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나노섬유를 방사한 다음, 이를 본딩처리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 방사시 방사액을 전압이 걸려있는 노즐블록(6)에 공급하기 이전에 상기 방사액 드롭장치(5) 내로 통과시켜 방사액의 흐름을 한번이상 차단(드롭)시키므로서 섬유형성 효과를 극대화 한다. 그 결과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대량방사 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제품은 촉감 및 각종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A process of coating nano fiber on the textile materials continuously}
본 발명은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송중인 섬유기재 위에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여 본딩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 4,044,404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 전기 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종래 전기 방사 장치는 방사액을 보관하는 방사액 주탱크(10), 방사액의 정량 공급을 위한 계량펌퍼(9), 방사액을 토출하는 다수개의 노즐, 상기 노즐 하단에 위치하여 방사되는 섬유들을 집적하는 컬렉터,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발생장치(8) 및 발생된 전압을 노즐과 컬렉터로 전달하는 기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기 방사 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나노섬유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방사액 주탱크(10) 내 방사액을 계량펌퍼(9)를 통해 높은 전압이 부여되는 다수의 노즐 내로 연속적으로 정량 공급한다.
계속해서, 노즐들로 공급된 방사액은 노즐을 통해 높은 전압이 걸려있는 컬렉트 상으로 방사, 집속되어 단섬유(나노섬유) 웹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은, 높은 전압이 걸려있는 노즐로 방사액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부여되는 전기력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즐에 부여된 전기력이 방사액 전부로 분산되므로서 전기력이 방사액의 계면장력을 극복하지 못하게 되고, 그 결과 전기력에 의한 섬유형성 효과가 저하되어 대량 생산이 어렵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방사액이 다수의 노즐을 통해 방사되므로, 다시말해 노즐블록들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단섬유 웹의 폭 및 두께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방사시 노즐블록(6)에 부여되는 전기력 효과를 극대화시켜, 다시말해 전기력을 방사액의 계면장력보다 크게하여 섬유형성 효과를 증진시켜, 나노섬유를 대량 생산 할 수 있는 전기 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노섬유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핀으로 구성되는 노즐블록과 상기 노즐블록에 방사액을 불연속적으로 공급(방사액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한번 이상 차단하면서 공급)하는 방사액 드롭장치를 구비하는 전기 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섬유기재 상에 방사액 방울 흔적없이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대량으로) 코팅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1성분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본 발명의 공정 개략도
도 2는 2성분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본 발명의 공정 개략도
도 3 (a)는 방사액 드롭장치 단면도
도 3 (b)는 방사액 드롭장치 사시도
도 3 (c)는 방사액 드롭장치 평면도
도 3 (d)는 방사액 드롭장치 필터 확대도
도 4는 폴리비닐알코올 나노섬유가 코팅된 종이필터(실시예 1 제품)의 전자현미경 사진
도 5는 폴리비닐알코올 나노섬유가 코팅된 종이필터(실시예 1 제품)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중량변화 그래프
도 6은 폴리비닐알코올 나노섬유가 코팅된 종이 필터(실시예 1 제품)의 시차 열분석 그래프
도 7은 나일론6 나노섬유가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실시예 2 제품)의 전자 현미경 사진
도 8은 나일론6 나노섬유가 코팅된 나일론6 직물(실시예 3 제품)의 전자 현미경 사진
도 9는 나일론6 나노섬유가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실시예 4 제품)의 전자 현미경 사진
도 10은 폴리(글리콜리드-L-락티드) 공중합체 나노섬유가 코팅된 폴리(L-락티드) 멤브레인 막(실시예 5 제품)의 전자 현미경 사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섬유기재 공급로울러 2 : 가이드로울러 3 : 접착제 용기
4 : 압착로울러 5 : 방사액 드롭장치 6 : 노즐블록
7 : 접지용 플레이트 8 : 전압발생장치 9 : 계량펌프
10 : 방사액 주탱크 11 : 건조기 12 : 본딩(Bonding) 장치
13 : 권취로울러 5a : 방사액 드롭장치의 필터
5b : 기체유입관 5c : 방사액 유도관 5d : 방사액 배출관
이와 같은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계량펌퍼(9)와 노즐블록(6) 사이에 (ⅰ) 밀폐된 원통상의 형상을 갖고, (ⅱ) 그 상단부에는 방사액 유도관(5c)과, 하단으로 기체가 유입되며 기체 유입부가 필터(5a)와 연결되어 있는 기체 유입관(5b)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고, (ⅲ) 그 하단부에는 방사액 배출관(5d)이 돌출되어 있으며, (ⅳ) 그 중간부에는 방사액이 방사액 유도관(5c)으로부터 드롭(drop) 될 수 있는 중공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방사액 드롭장치(5)가 설치되어 있는 한개 이상의 전기방사장치로 이송중인 섬유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나노섬유를 방사한 다음, 이를 본딩처리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 도 2와 같이 섬유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나노섬유를 상기의 전기방사장치로 방사한 후, 이를 본딩처리 한다. 본 발명에서 섬유기재라 함은 방적사, 필라멘트, 직물, 편물, 부직포와 같은 섬유제품은 물론 종이, 막, 브레이드 등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방사하기 전에 섬유기재를 접착제 용액에 디핑시킨 후 압착로울러(4)로 압착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접착제 용액에 디핑 및 압착공정을 거치는 경우에는 본딩처리 전에 건조기(11)로 건조처리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나노섬유가 표면에 방사ㆍ부착된 섬유기재를 본딩처리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니들펀칭방법, 가열 엠보싱로울러로 압착하는 방법,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방법, 전자기파 처리방법, 초음파 처리방법, 플라스마 처리방법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도 2와 같이 2개 이상의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전기방사장치에 공급하는 방사액의 폴리머 종류를 서로 상이하게 하여 하이브리드(Hybrid) 형태로 나노섬유를 코팅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기방사장치는 도 1 ~ 도 2와 같이 방사액을 보관하는 방사액 주탱크(10), 방사액 정량 공급을 위한 계량펌퍼(9), 다수개의 핀으로 구성되는 노즐이 블록형태로 조합되어 있으며 방사액을 섬유상으로 토출하는 노즐블록(6), 상기 노즐블록 하단에 위치하는 접지용 플레이트(7), 고전압을 발생시키는전압발생장치(8) 및 상기 계량펌퍼(9)와 노즐블록(6) 사이에 위치하는 방사액 드롭장치(5)로 구성된다.
상기 방사액 드롭장치(5)는 도 3(a)~도 3(d)와 같이 전체적으로 밀폐된 원통상의 형상을 갖는다. 방사액 드롭장치(5)의 상단부에는 방사액을 노즐블록 쪽으로 유도하는 방사액 유도관(5c)과 기체유입관(5b)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때 방사액 유도관(5c)을 기체유입관(5b)보다 조금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기체유입관의 하단으로부터 기체가 유입되며, 처음 기체가 유입되는 부분은 도 3(d)와 같은 형상의 필터(5a)와 연결된다. 방사 드롭장치(5)의 하단부에는 드롭된 방사액을 노즐블록(6)으로 유도하는 방사액 배출관(5d)이 형성되어 있다. 방사 드롭장치(5) 중간부는 방사액이 방사액 유도관(5c)의 말단부에서 드롭(drop) 될 수 있도록 중공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사액 드롭장치(5)로 유입된 방사액은 방사액 유도관(5c)을 따라 흘러내리다가 그 말단부에서 드롭(drop)되어 방사액의 흐름이 한번이상 차단된다.
방사액이 드롭(drop)되는 원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필터(5d) 및 기체 유입관(5b)을 따라 기체가 밀폐된 방사액 드롭장치(5)의 상단부로 유입되면 기체 와류 등에 의해 방사액 유도관(5c)의 압력이 자연적으로 불규칙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압력차로 인해 방사액이 드롭(drop)되게 된다. 이를 위해 방사액 드롭장치(5)의 상부에는 어느정도 공간을 확보 할 수 있도록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유입되는 기체로는 공기 또는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사용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블록(6)은 2개 이상의 핀(pin)으로 구성되는 블록단위로 배열되어 있다. 한개 노즐블록(4) 내에 형성되는 핀 개수는 2~100,000개, 더욱 바람직 하기로는 20~2,000개로 조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노즐 핀의 형태는 원형 또는 이형 단면이며, 주사바늘 형태로도 할 수 있다. 노즐 핀은 원주상, 격자상 또는 일렬로 배열 할 수 있다. 더욱 좋기로는 일렬로 배열하는 것이 좋다.
노즐블록(6)의 형태가 원형이라 함은 다수의 핀이 실이 통과할 수 있도록 원둘레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분할 형태라 함은 다수의 핀을 용도에 따라 일정한 개수를 포함한 블록을 의미한다. 즉, 2분할이라 함은 양쪽에서 마주보도록 하여 배열하는 것을 의미하며, 3분할이라 함은 배열이 120°간격으로 배열함을 의미한다.
접지용 플레이트(7)는 방사되는 나노섬유를 이동되는 섬유기재 상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전기 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나노섬유를 섬유기재 상으로 전기방사하는 공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주탱크(10) 내에 보관중인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방사액을 계량펌퍼(9)로 계량하여 정량씩 방사액 드롭장치(5)로 공급한다. 이때 방사액을 제조하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나일론수지, 폴리(글리콜라이드/L-락티드)공중합체, 폴리(L-락티드)수지, 폴리비닐알콜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수지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방사액으로는 상기 수지 용융액 또는 용액 어느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방사액 드롭장치(5) 내로 공급된 방사액은 방사액 드롭장치(5)를 통과하면서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메카니즘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다시말해 방사액의 흐림이 한번 이상 차단되면서, 본 발명의 높은 전압이 걸려있는 노즐블록(6)으로 공급된다.
계속해서 상기 노즐블록(4)에서는 방사액을 노즐을 통해 단섬유 상으로 섬유기재 위에 토출하게 된다.
이때 전기력에 의한 섬유형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노즐블록(6) 상단부와 접지용 플레이트(7)에는 전압발생장치(8)에서 발생된 1kV 이상, 더욱 좋기로는 20kV 이상의 전압을 걸어준다.
본 발명은 방사액 드롭장치(3)를 사용하여 방사액을 노즐블록(6)에 공급 할 때 한번 이상 차단(drop)시켜 주므로서, 섬유형성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력에 의한 섬유형성 효과가 높아져 나노섬유를 공업적으로 섬유기재 상에 방사, 코팅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용융방사 방식으로 방사되는 섬유의 직경은 1,000nm 이상이고, 용액방사 방식으로 방사되는 섬유 직경은 1~500nm 수준이다. 상기 용액방사 방식에는 습식방사와 건식방사 모두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나노섬유가 코팅된 섬유기재는 인공피혁, 생리대, 필터, 인조혈관 등의 의료용 소재, 방한조끼, 반도체용 와이퍼, 전지용 부직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구체적인 예로는 나노섬유가 코팅된 마스크는 항박테리아성 마스크로 유용하고, 나노섬유가 코팅된 방적사 또는 필라멘트는 인공스웨이드용 원사로 유용하다. 또한 종이필터 위에 나일론6 나노섬유를 코팅하는 경우에는 필터의 수명을 연장 할 수 있다. 나노섬유가 코팅된 섬유기재는 촉감이 소프트해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실시예 1
수평균 분자량이 20,000인 폴리비닐알코올 100중량부, 글리옥살(glyoxal) 2중량부 및 포스포릭산(phosphoric acid) 1.8중량부를 3차 증류수에 용해하여 15% 방사액을 제조 하였다. 상기 방사액을 주탱크(10)에 보관하면서 계량펌퍼(9)로 정량계량한 후 도 3의 방사액 드롭장치(5)로 공급하여 방사액의 흐름을 불연속적으로 전환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방사액을 45kV의 전압이 걸려있는 노즐블록(6)으로 공급하여 노즐을 통해 20m/분의 속도로 이송중인 종이필터(폭 : 1m)에 평균직경이 105nm인 섬유를 연속적으로 방사하고, 이를 엠보싱로울러로 압착(본딩처리)하여 중량이 0.61g/㎡인 코팅 웹을 제조한다. 이때, 노즐블록 1개당 핀수는 250개로 하였고, 이와 같은 노즐블록을 20블록 배열, 사용하였다. 전압 발생 장치로는 심코사의 모델 C H 50을 사용 하였다. 핀 1개당 토출량은 0.0027g/으로 설정하여 총 토출량이 13.5g/분이 되도록 하였다. 노즐블록 1개를 다시 10개로 세분하여 핀 10개 마다 1개의 방사액 드롭장치(5)를 각각 설치 하였다. 드롭 속도는 2.5초 간격으로 설정 하였다. 핀의 형태는 원형으로 하였다. 제조한 코팅 종이펄프의 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4와 같고, 열처리에 따른 중량변화 그래프는 도 5와 같고, 시차열분석 그래프는 도 6과 같다. 제조된 코팅 종이펄프를160℃ 건조기에서 3분간 처리한 후, 이를 상온에서 톨루엔에 하루동안 침지한 결과 용해되지 않았다.
실시예 2
96% 황산용액에서 상대점도가 2.3인 나일론 6 칩을 개미산에 25%로 용해하여 방사액을 제조 하였다. 상기 방사액을 주탱크(10)에 보관하면서 계량펌퍼(9)로 정량계량한 후 도 3의 방사액 드롭장치(5)로 공급하여 방사액의 흐름을 불연속적으로 전환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방사액을 45kV의 전압이 걸려있는 노즐블록(6)으로 공급하여 노즐을 통해 아크릴수지 접착제 용액에 디핑 및 압착공정을 거쳐 10m/분의 속도로 이송중인 폴리에스테르 평직물(폭 : 1m)에 평균직경이 108nm인 섬유를 연속적으로 방사하고, 이를 본딩처리(니들펀칭)하여 중량이 1.2g/㎡인 코팅 웹을 제조한다. 이때, 노즐블록 한개당 핀수는 250개로 하였고, 이와 같은 노즐블록을 20블록 배열, 사용하였다. 전압 발생 장치로는 심코사의 모델 C H 50을 사용 하였다. 핀 1개당 토출량은 0.0024g/분으로 설정하여 총 토출량이 12.1g/분이 되도록 하였다. 노즐블록 1개를 다시 10개로 세분하여 핀 10개 마다 1개의 방사액 드롭장치(5)를 각각 설치 하였다. 드롭 속도는 3초 간격으로 설정 하였다. 핀의 형태는 원형으로 하였다. 제조된 코팅 폴리에스테르 평직물의 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7과 같다.
실시예 3
96% 황산용액에서 상대점도가 2.3인 나일론 6 칩을 개미산에 25%로 용해하여 방사액을 제조 하였다. 상기 방사액을 주탱크(10)에 보관하면서 계량펌퍼(9)로정량계량한 후 도 3의 방사액 드롭장치(5)로 공급하여 방사액의 흐름을 불연속적으로 전환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방사액을 45kV의 전압이 걸려있는 노즐블록(6)으로 공급하여 노즐을 통해 아크릴수지 접착제 용액에 디핑 및 압착공정을 거쳐 10m/분의 속도로 이송중인 나일론6 평직물(폭 : 1m)에 평균직경이 108nm인 섬유를 연속적으로 방사하고, 이를 본딩처리(니들펀칭)하여 중량이 1.2g/㎡인 코팅 웹을 제조한다. 이때, 노즐블록 한개당 핀수는 250개로 하였고, 이와 같은 노즐블록을 20블록 배열, 사용하였다. 전압 발생 장치로는 심코사의 모델 C H 50을 사용 하였다. 핀 1개당 토출량은 0.0024g/분으로 설정하여 총 토출량이 12.1g/분이 되도록 하였다. 노즐블록 1개를 다시 10개로 세분하여 핀 10개 마다 1개의 방사액 드롭장치(5)를 각각 설치 하였다. 드롭 속도는 3초 간격으로 설정 하였다. 핀의 형태는 원형으로 하였다. 제조된 코팅 나일론6 평직물의 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8과 같다.
실시예 4
96% 황산용액에서 상대점도가 2.3인 나일론 6 칩을 개미산에 25%로 용해하여 방사액을 제조 하였다. 상기 방사액을 주탱크(10)에 보관하면서 계량펌퍼(9)로 정량계량한 후 도 3의 방사액 드롭장치(5)로 공급하여 방사액의 흐름을 불연속적으로 전환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방사액을 45kV의 전압이 걸려있는 노즐블록(6)으로 공급하여 노즐을 통해 아크릴수지 접착제 용액에 디핑 및 압착공정을 거쳐 3m/분의 속도로 이송중인 75데니어 36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1인치 내 80본 배열, 폭:1m)에 평균직경이 108nm인 섬유를 연속적으로 방사하고, 건조 하였다. 이때, 노즐블록 한개당 핀수는 250개로 하였고, 이와 같은 노즐블록을 20블록 배열, 사용하였다. 전압 발생 장치로는 심코사의 모델 C H 50을 사용 하였다. 핀 1개당 토출량은 0.0024g/분으로 설정하여 총 토출량이 12.1g/분이 되도록 하였다. 노즐블록 1개를 다시 10개로 세분하여 핀 10개 마다 1개의 방사액 드롭장치(5)를 각각 설치 하였다. 드롭 속도는 3초 간격으로 설정 하였다. 핀의 형태는 원형으로 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코팅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물(밀도 : 80본)을 제조 하였다.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9와 같다.
실시예 5
점도 평균 분자량이 450,000인 폴리(글리콜리드-락티드)공중합체(몰비 : 50/50)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상온에서 용해하여 방사액(농도 : 15%)을 제조 하였다. 상기 방사액을 주탱크(10)에 보관하면서 계량펌퍼(9)로 정량계량한 후 도 3의 방사액 드롭장치(5)로 공급하여 방사액의 흐름을 불연속적으로 전환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방사액을 48kV의 전압이 걸려있는 노즐블록(6)으로 공급하여 노즐을 통해 2m/분의 속도로 이송중인 폴리(L-락티드) 멤브레인 막(중량:10g/㎡, 폭 : 60cm)에 평균직경이 108nm인 섬유를 연속적으로 방사하고, 본딩처리(니들펀칭)하여 중량이 2.8g/㎡인 부직포 웹을 제조한다. 이때, 노즐블록 1개당 핀수는 200개로 하였고, 이와 같은 노즐블록을 10블록 배열, 사용하였다. 전압 발생 장치로는 심코사의 모델 C H 50을 사용 하였다. 핀 1개당 토출량은 0.0028g/분으로 설정하여 총 토출량이 5.6g/분이 되도록 하였다. 노즐블록 1개를 다시 10개로세분하여 핀 50개 마다 1개의 방사액 드롭장치(5)를 각각 설치 하였다. 드롭 속도는 2초 간격으로 설정 하였다. 핀의 형태는 원형으로 하였다. 코팅된 부직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10과 같다.
본 발명은 나노섬유로 코팅되어 촉감 및 성능이 향상된 섬유기재를 대량 생산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방사 장치를 2개 이상 조합하면 다성분의 폴리머를 자유롭게 조합시킬 수 있어서 하이브리드 부직포로도 용이하게 제조 할 수 있다.

Claims (11)

  1. 계량펌퍼(9)와 노즐블록(6) 사이에 (ⅰ) 밀폐된 원통상의 형상을 갖고, (ⅱ) 그 상단부에는 방사액 유도관(5c)과, 하단으로 기체가 유입되며 기체 유입부가 필터(5a)와 연결되어 있는 기체 유입관(5b)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고, (ⅲ) 그 하단부에는 방사액 배출관(5d)이 돌출되어 있으며, (ⅳ) 그 중간부에는 방사액이 방사액 유도관(5c)으로부터 드롭(drop) 될 수 있는 중공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방사액 드롭장치(5)가 설치되어 있는 한개 이상의 전기방사장치로 이송중인 섬유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나노섬유를 방사한 다음, 이를 본딩처리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2. 1항에 있어서, 섬유기재가 방적사, 필라멘트, 직물, 편물, 부직포, 막, 종이 및 브레이드로 구성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3. 1항에 있어서, 나노섬유 방사전에 섬유기재를 접착제 용액에 디핑ㆍ압착하고, 나노섬유 방사후 본딩처리 전에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4. 1항에 있어서, 본딩처리 방식이 니들펀칭 처리, 열압착 처리, 전자기파 처리, 고압수 분사 처리, 초음파 처리 및 플라스마 처리들 중에서 선택된 1개의 처리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5. 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전기방사장치 사용시 각각의 전기방사장치로 공급되는 방사액의 폴리머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6. 1항에 있어서, 전기방사장치의 노즐블록이 2개 이상의 핀(pin)으로 구성되는 블록단위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7. 1항에 있어서, 한개 노즐블록의 핀(pin) 개수가 2~100,0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8. 1항에 있어서, 노즐 핀(pin)의 형태가 원형 또는 주사바늘형 또는 이형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9. 1항에 있어서, 노즐 핀(pin)이 원주상 또는 격자상 또는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10. 1항에 있어서, 방사액 드롭장치(3) 내로 공기 또는 불활성 기체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11. 1항에 있어서, 방사액이 용융액 또는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KR10-2001-0041854A 2001-07-04 2001-07-12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KR100422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854A KR100422459B1 (ko) 2001-07-12 2001-07-12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US10/363,413 US6991702B2 (en) 2001-07-04 2001-12-13 Electronic spinning apparatus
PCT/KR2001/002158 WO2003004735A1 (en) 2001-07-04 2001-12-13 An electronic spinning apparatus, and a process of preparing nonwoven fabric using the thereof
US11/263,991 US7332050B2 (en) 2001-07-04 2005-11-02 Electronic spinning apparatus, and a process of preparing nonwoven fabric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854A KR100422459B1 (ko) 2001-07-12 2001-07-12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049A KR20030008049A (ko) 2003-01-24
KR100422459B1 true KR100422459B1 (ko) 2004-03-22

Family

ID=2771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854A KR100422459B1 (ko) 2001-07-04 2001-07-12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4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66B1 (ko) 2006-08-23 2007-04-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 장치
KR100702864B1 (ko) 2006-08-23 2007-04-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 장치
KR101226046B1 (ko) * 2011-02-08 2013-01-24 신슈 다이가쿠 분리막 제조 장치
US8876994B2 (en) 2011-09-27 2014-11-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ous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rous she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460B1 (ko) * 2002-02-01 2004-03-18 김학용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KR100549140B1 (ko) * 2002-03-26 2006-02-03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일렉트로-브로운 방사법에 의한 초극세 나노섬유 웹제조방법
KR100485603B1 (ko) * 2002-06-14 2005-04-27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섬유를 이용한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방법
KR100491228B1 (ko) * 2003-02-24 2005-05-24 김학용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0514452B1 (ko) * 2003-08-07 2005-09-13 김학용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코팅방법
TWI341230B (en) * 2004-04-21 2011-05-01 Toray Industries Polishing cloth and production method for the nanofiber construction
WO2006052039A1 (en) * 2004-11-12 2006-05-18 Hak-Yong Kim A process of preparing continuos filament composed of nano fibers
KR100702604B1 (ko) * 2005-04-08 2007-04-02 정지수 나노-부직포 결합 복합 직물의 생산 방법 및 그 방법에의한 나노-부직포 결합 복합 직물
KR101286612B1 (ko) * 2007-09-21 2013-07-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용 원단
KR101297795B1 (ko) * 2007-09-21 2013-08-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용 원단
KR101286610B1 (ko) * 2007-09-21 2013-07-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용 원단
KR101521603B1 (ko) * 2013-10-07 2015-05-21 (주)에프티이앤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60289864A1 (en) * 2013-11-21 2016-10-06 Finetex Ene, Inc. Electrospinning Device For Manufacturing Nanofiber
KR101615681B1 (ko) * 2015-07-24 2016-04-27 (주)에프티이앤이 나일론 나노섬유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IT202200010655A1 (it) * 2022-05-23 2023-11-23 Marzoli Machines Textile Srl Metodo di arricchimento di un fascio di fibre tessili destinato ad una linea di filatura, stazione di elettrofilatura, filato arricchito e suo uso
KR102424742B1 (ko) * 2022-06-23 2022-07-26 주식회사 휴먼텍스 친환경 원단 염색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4404A (en) * 1974-08-05 1977-08-30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Fibrillar lining for prosthetic device
US4689186A (en) * 1978-10-10 1987-08-25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roduction of electrostatically spun products
JPH02118113A (ja) * 1988-10-28 1990-05-02 Teijin Ltd 溶融紡糸装置
JPH03161502A (ja) * 1989-11-20 1991-07-11 I C I Japan Kk 静電紡糸の製造方法
KR19990068474A (ko) * 1999-05-25 1999-09-06 박호군 정전기에어필터소재및이의제조방법
US6110590A (en) * 1998-04-15 2000-08-29 The University Of Akron Synthetically spun silk nanofibers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4404A (en) * 1974-08-05 1977-08-30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Fibrillar lining for prosthetic device
US4689186A (en) * 1978-10-10 1987-08-25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roduction of electrostatically spun products
JPH02118113A (ja) * 1988-10-28 1990-05-02 Teijin Ltd 溶融紡糸装置
JPH03161502A (ja) * 1989-11-20 1991-07-11 I C I Japan Kk 静電紡糸の製造方法
US6110590A (en) * 1998-04-15 2000-08-29 The University Of Akron Synthetically spun silk nanofibers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KR19990068474A (ko) * 1999-05-25 1999-09-06 박호군 정전기에어필터소재및이의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66B1 (ko) 2006-08-23 2007-04-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 장치
KR100702864B1 (ko) 2006-08-23 2007-04-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 장치
KR101226046B1 (ko) * 2011-02-08 2013-01-24 신슈 다이가쿠 분리막 제조 장치
US8876994B2 (en) 2011-09-27 2014-11-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ous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rous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049A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2459B1 (ko)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US7332050B2 (en) Electronic spinning apparatus, and a process of preparing nonwoven fabric using the same
KR20070047872A (ko) 나노섬유층을 갖는 섬유 적층체의 제조방법
KR100578764B1 (ko)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나노섬유
KR101046179B1 (ko) 나노섬유층을 갖는 섬유 적층체의 제조방법
US5312500A (en) Non-woven fabri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20080102145A1 (en) Conjugate Electrospinning Devices, Conjugate Nonwoven and Filament Comprising Nanofibers Prepared by Using the Same
KR100702866B1 (ko) 전기방사 장치
KR100429446B1 (ko) 전기 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CN109208090B (zh) 一种新型无针静电纺丝装置及其纺丝方法
KR100422460B1 (ko)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KR100702864B1 (ko) 전기방사 장치
KR20110101505A (ko) 회전형 노즐을 이용한 나노섬유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58913B1 (ko)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로 제조되는 나노섬유 부직포
KR100562006B1 (ko)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나노섬유
KR100595489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고강력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0595486B1 (ko) 상향식 다성분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다성분 나노섬유
EP0414917B1 (en) Nonwoven fabric, production thereof, and apparatus therefor
KR100595485B1 (ko) 복합 전기방사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 나노섬유부직포 및 복합 나노섬유 필라멘트
KR100696285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고강력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이로 제조된 필라멘트
KR20100070203A (ko) 수직 기류 및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로 구성된 섬유집합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679073B1 (ko)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0744483B1 (ko)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나노섬유
KR100463874B1 (ko) 문양을 갖는 나노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459949B1 (ko) 문양을 갖는 나노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