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568B1 - Double Pen Carriage System - Google Patents

Double Pen Carri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568B1
KR100402568B1 KR1019960005377A KR19960005377A KR100402568B1 KR 100402568 B1 KR100402568 B1 KR 100402568B1 KR 1019960005377 A KR1019960005377 A KR 1019960005377A KR 19960005377 A KR19960005377 A KR 19960005377A KR 100402568 B1 KR100402568 B1 KR 100402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carriage
datum
pen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33762A (en
Inventor
에이. 크리스찬슨 죤
앨런 켈리 리차드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Publication of KR96003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7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56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5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4Bodily-changeable print heads or carriages

Landscapes

  • Ink Jet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50)이 잉크젯 인쇄기구(20)내에서 l쌍의 잉크젯 펜들(60, 62)을 지지한다. 캐리지 본체(75)가, 펜들(60, 62)을 수용하기 위한, 주 정렬 벽(76)에 의해 분리된 l쌍의 펜 체임버들(80, 82)을 형성하고 있다. 그 주벽(76)은 각각의 체임버(80, 82)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방향 정렬 기준(180, 180', 182, 184; 180', 184, 186, 188)을 형성하고 있다. 기준봉(190)이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2개의 직교하는 방향들로의 펜 정렬 기준들을 형성하도록 양 체임버들(80, 82)을 통과하여 연장하여 있다. 캐리지 본체(75)는 각각의 펜 체임버(80, 82)의 각도 정렬을 동시에 조정하기 위해 주벽(76)을 따라 회전 정합 부재(214)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조정 부재(215)를 지지하고 있다. 캐리지 본체(75)에 연결된 래치 기구(70, 72)가, 닫힌 때, 기준들(180, 180', 182, 184, 190. 196: 180', 184, 186, 188, 190, 198)과 접촉하도록 펜들을 밀기 위해 각각의 펜(60, 62)상의 래칭 랜드(115, 155)에 제어된 힘을 가한다. 또한, 잉크젯 인쇄기구('20)에서 l쌍의 잉크젯 펜들(60, 62)을 정렬시키는 방법도 제공된다.The dual pen carriage system 50 supports a pair of inkjet pens 60 and 62 within the inkjet printing mechanism 20. [ The carriage body 75 forms a pair of pen chambers 80 and 82 separated by a main alignment wall 76 for receiving the pens 60 and 62. [ The peripheral wall 76 defines at least one first alignment reference 180, 180 ', 182, 184, 180', 184, 186, 188 in each chamber 80, 82. The reference bar 190 extends through both chambers 80 and 82 to form pen alignment references in two orthogonal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carriage body 75 supports an adjustment member 215 that selectively engages the rotational mating member 214 along the peripheral wall 76 to simultaneously adjust the angular alignment of each pen chamber 80, When the latch mechanism 70, 72 connected to the carriage body 75 is in contact with the reference 180, 180 ', 182, 184, 190. 196: 180', 184, 186, 188, 190, And applies a controlled force to the latching lands 115 and 155 on each pen 60 and 62 to push the pens to move the pens. Also provided is a method of aligning the l pairs of ink jet pens 60, 62 in the inkjet printing apparatus 20.

Description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Double Pen Carriage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잉크젯 인쇄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품질의 화상을 인쇄하기 위해 인쇄 기구의 인쇄 영역을 횡단하여 주사(走査)하기 위한 2개의 펜을 정확히 정렬시키는 이중 잉크젯 펜 캐리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an inkjet printing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inkjet pen carriage system that accurately aligns two pens for scanning across a printing area of a printing device to print a high quality image.

잉크젯 인쇄 기구는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잉크"로 불리는 액체 착색제의 방울을 인쇄면에 분사하는 펜을 사용한다. 각각의 펜은 잉크 방울을 분사하는 매우 작은 노즐이 형성된 프린트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을 인쇄하기 위해, 프린트헤드가 인쇄면을 횡단하여 전후로 추진되어, 이 프린트헤드가 이동할 때 소망의 패턴으로 잉크 방울을 분사한다. 프린트헤드내의 특정한 잉크 분사 기구는 압전(piezo-electric) 또는 열 프린트헤드 기술의 이용과 같은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공지된 여러가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기의 2가지의 열 잉크 분사 기구가 미국 특허 제 5,278,584 호 및 제 4,683,481 호에 나타내어져 있으며, 이들 특허는 본 출원인인 휴렛-팩커드 컴퍼니에 양도되었다. 열 시스템에서, 잉크 채널과 기화 챔버를 포함하는 배리어 층은 노즐 오리피스 판과 기판 층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이 기판 층은 전형적으로 기화 챔버내에서 잉크를 가열하도록 전압이 인가되는 저항기와 같은, 선형 배열의 가열기 소자를 포함하고 있다. 가열시에, 잉크 방울은 전압이 인가된 저항기와 연관된 노즐로부터 분사된다. 프린트헤드가 인쇄면을 횡단하여 이동할 때 저항기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소망의 화상(예를 들면, 그림, 도표 또는 문자)을 형성하도록 잉크가 소정 패턴으로 인쇄 매체상에 방출된다.The inkjet printing apparatus uses a pen that ejects a droplet of a liquid colorant, generally referred to herein as " ink, " onto the printing surface. Each pen has a printhead in which a very small nozzle is formed which ejects ink droplets. In order to print an image, the printhead is pushed back and forth across the print surface to eject ink droplets in a desired pattern as the printhead moves. Specific ink ejection mechanisms within a printhead can take many different form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the use of piezo-electric or thermal printhead technology. For example, two early thermal ink ejection mechanisms are shown in U.S. Patent Nos. 5,278,584 and 4,683,481, which are assigned to the present Applicant Hewlett-Packard Company. In a thermal system, a barrier layer comprising an ink channel and a gasification chamber is located between the nozzle orifice plate and the substrate layer. This substrate layer typically includes a linear arrangement of heater elements, such as resistors, to which a voltage is applied to heat the ink in the vaporization chamber. Upon heating, the ink droplets are ejected from a nozzle associated with a voltage-applied resistor. By selectively applying a voltage to the resistor when the printhead moves across the printing surface, the ink is ejected onto the print medium in a predetermined pattern to form a desired image (e.g., picture, diagram or character).

프린트헤드를 청소하고 보호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서비스 스테이션" 기구를 프린터 섀시내에 장착하여, 프린트헤드가 유지 보수를 위해 서비스 스테이션 위를 이동할 수 있다. 보관을 위해, 또는 비인쇄 기간 중에, 서비스 스테이션은 오염물 및 건조로부터 프린트헤드를 방습 밀봉하는 캡핑(capping)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몇몇 캡은 프린트헤드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펌핑 유닛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프라이밍(priming)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작동중에, 프린트헤드내의 부착물은 "스피팅"(spitting)으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 많은 잉크 방울을 각 노즐을 통하여 분출시킴으로써 주기적으로 제거되고, 이때 폐잉크는 서비스 스테이션의 "스피툰"(spittoon) 저장부에 모아진다. 스피팅 또는 캡 개방 후에, 또는 가끔은 인쇄중에, 대부분의 서비스 스테이션은 프린트헤드에 모아진 모든 용지 먼지 또는 다른 부스러기뿐만 아니라, 잉크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프린트헤드 표면을 닦는 탄성중합체 와이퍼를 가지고 있다.To clean and protect the printhead, typically a " service station " mechanism is mounted within the printer chassis such that the printhead can move over the service station for maintenance. For storage, or during a non-printing period, the service station typically includes a capping system to damp-seal the printhead from contaminants and drying. Also, some caps are designed to facilitate priming by being connected to a pumping unit that puts the printhead in a vacuum. During operation, the deposit in the printhead is periodically removed by ejecting a large number of ink droplets through each nozzle by a method known as " spitting ", wherein the waste ink is spittoon of the service station, And is collected in the storage unit. After spitting or cap opening, or sometimes during printing, most service stations have all the paper dust or other debris collected on the printhead, as well as an elastomeric wiper that wipes the printhead surface to remove ink residue.

인쇄된 화상의 선명도 및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최근의 연구는 잉크 자체를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보다 진한 검정색으로 보다 신속하고 보다 내수성을 갖는 인쇄를 실행하기 위해, 안료계 검정 잉크가 개발되었다. 이들 안료계 잉크는 종래의 염료계 잉크보다 높은 고형물 함량을 갖는다. 양 타입의 잉크는 급속히 건조하여, 잉크젯 인쇄 기구에 통상의 용지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암흑색 및 선명한 색상을 갖는 고품질의 하드 카피(hard copy) 인쇄 화상을 제공하기 위해, 현재의 프린터 설계는 검정 펜과, 단일 3색 펜, 또는 4개의 단색 컬러 펜과 조합하여 검정 펜을 이용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clarity and contrast of the printed image, recent research has focused on improving the ink itself. In order to achieve faster and more water-resistant printing in darker black, pigment-based black inks have been developed. These pigment based inks have a higher solids content than conventional dye based inks. Both types of ink are rapidly dried, allowing the use of conventional paper in ink jet printing apparatus. To provide a high quality hard copy print image with dark colors and vivid colors, current printer designs use a black pen in combination with a black pen, a single three-color pen, or four monochrome color pens.

하나의 종래의 프린터는 검은색, 청록색, 자홍색 및 황색 잉크를 보유하는 4개의 별개의 펜을 이용한다. 이들 4개의 펜을 정렬시키기 위한 캐리지 구조체는 각각의 펜상의 관련 데이텀(datum)에 정합하는 6개의 데이텀을 가지고 있다. 펜 정합을 제어하는데 요구되는 데이텀은 하기의 3개의 직교하는 방향에 있다.One conventional printer uses four separate pens that hold black, cyan, magenta and yellow inks. The carriage structure for aligning these four pens has six datums that match the associated datum on each pen. The datums required to control the pen alignment are in the following three orthogonal directions.

1. 프린트헤드 주사 방향(X축).1. Printhead scanning direction (X axis).

2. 용지 전진 방향(Y축).2. Paper advance direction (Y axis).

3. 수직 방향(Z축).3. Vertical direction (Z axis).

다른 펜 오정렬은 Z축 둘레에서의 펜의 각도방향 비틀림을 의미하는 세타-Z(θ-Z) 오차로 공지되어 있다. 세타-Z 오차는 프린트헤드 노즐의 열(column)이 Y축 용지 전진 방향에 평행하지 않은 결과로, 인쇄된 화상에서의 톱니형 에러로서 나타난다.Another pen misalignment is known as theta-Z ([theta] -Z) error, which means angular misalignment of the pen about the Z axis. Theta-Z error appears as a sawtooth error in the printed image as a result of the column of the print head nozzles being not parallel to the Y-axis paper advance direction.

정확한 펜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종래의 4-펜 프린터 설계는 펜과 캐리지 모두가 매우 미소한 공차를 가질 것을 요구하였다. 불행하게도, 요구되는 공차는 경제적인 성형 부품을 사용하여서는 얻어질 수 없었다. 대신에, 모든 캐리지 데이텀이 기계 가공되어야 했고, 각 펜에 대해서는 6개의 데이텀중 3개가 기계가공을 필요로 하였다. 이들 2차 기계가공 작업은 데이텀을 단순히 성형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노동 집약적이고 비용이 높다.In order to maintain accurate pen alignment, the conventional 4-pens printer design required both the pen and the carriage to have very small tolerances. Unfortunately, the required tolerances could not be obtained using economical molded parts. Instead, all the carriage datums had to be machined, and for each pen three of the six datums required machining. These secondary machining operations are labor intensive and costly as opposed to simply molding the datum.

이러한 종래의 4-펜 캐리지는 X, Y, Z 데이텀에 대하여 펜을 확고히 안착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펜의 클램핑 표면에 인가하는, 삽입 성형된 캠을 구비한 굴곡 부재 및 X-바이어싱(biasing) 스프링을 사용하여 펜을 X 데이텀에 대하여 위치시켰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종래의 4-펜 캐리지 설계에서 사용되는 X-바이어싱 스프링은 바람직한 성능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열처리 및 도금을 포함하는 고가의 2차적인 제조 작업을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캐리지는 Y축 데이텀중 하나에 대하여 펜을 확고히 안착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가하기 위해, 캐리지로부터 펜에 분출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 상호접속 기구를 사용하였다.This conventional 4-penny carriage includes a bending member with an insert-molded cam and an X-biasing member, which applies force to the clamping surface of the pen necessary to firmly seat the pen against the X, Y, Z datum. The pen was placed against the X datum using a spring. Unfortunately, the X-biasing spring used in this conventional 4-pence carriage design required expensive secondary manufacturing operations, including heat treatment and plating, to achieve desirable performance levels. These conventional carriages used an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chanism to transfer the ejection signal from the carriage to the pen to apply the force necessary to firmly seat the pen against one of the Y-axis datums.

펜 장착을 위해, 이러한 종래의 4-펜 프린터에서 이용된 클램핑 시스템은 각 펜이 제자리에 스냅 결합될 때까지 조작자가 그 펜을 가압하여 회전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스냅 결합 설계는 조작자가 캐리지내에서의 마찰력을 극복하여야 하고, 이것은 종종 불균일한 힘 또는 횡방향의 힘이 삽입중에 펜에 가해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설치상의 어려움 때문에, 펜 데이텀이 그에 상응하는 캐리지 데이텀에 적절히 안착되지 못할 수 있다. 펜의 그러한 부정확한 안착은 인쇄 품질을 저하시키는데, 이것은 노즐이 캐리지내에서 다른 펜에 대하여 더이상 정렬되지 않기 때문이다.For pen mounting, the clamping system used in these conventional 4-pens printers required the operator to press and rotate the pen until each pen was snapped in place. This snap-engagement design requires the operator to overcome the frictional forces within the carriage, which has often resulted in uneven or lateral forces being applied to the pen during insertion. Unfortunately, due to this installation difficulty, the pen datum may not properly seat on its corresponding carriage datum. Such inaccurate seating of the pen degrades the print quality because the nozzle is no longer aligned with other pens in the carriage.

하나의 검정 펜과 제 2의 3색 펜을 이용하는 2-펜 시스템에 있어서, 캐리지는 서로에 대해 그리고 전체 인쇄 시스템에 대해 정확하고 반복 가능한 펜의 위치 결정을 제공하여야 한다. 펜의 정확한 위치결정은 인쇄 품질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용지상에서의 잉크 도트의 인쇄를 제어하는 주요 변수중 하나이다. 또한, 캐리지 데이텀에 대한 펜 데이텀의 고도의 안착 반복성을 보장하면서 펜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는 캐리지 클램핑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2차적인 기계가공 작업없이, 종래의 4-펜 프린터 설계에 필적하는 펜 위치결정 공차를 달성하는 보다 경제적인 캐리지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인쇄중에 프린트헤드 정렬을 유지하기위한 개선된 이중 잉크젯 펜 캐리지 시스템이 필요하다.In a two-pens system using one black pen and a second three-color pen, the carriage should provide accurate and repeatable pen positioning for each other and for the entire printing system. Precise positioning of the pen is one of the main parameters controlling the printing of ink dots on paper that directly affects the print quality. There is also a need for a carriage clamping system that allows easy replacement of the pen while ensuring a high seating repeatability of the pen datum relative to the carriage datum.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more economical carriage system that achieves pen positioning tolerances comparable to conventional 4-pens printer designs, without secondary machining operati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d dual inkjet pen carriage system for maintaining printhead alignment during prin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젯 인쇄 기구의 인쇄 영역을 횡단하여 한쌍의 잉크젯 펜을 주사하기 위한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그 캐리지 시스템은 한쌍의 펜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주벽(主壁)을 갖는 캐리지 본체를 구비한다. 그 주벽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텀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2개의 대향 측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캐리지 시스템은 주벽의 데이텀과 접촉하도록 각 펜을 가압하기 위해 캐리지 본체에 의해 지지된 바이어싱 기구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uble pen carriage system for scanning a pair of inkjet pens across a printing area of an inkjet printing apparatus. The carriage system includes a carriage body having a main wall formed to be fitted between a pair of pens. The peripheral wall has two opposing sides forming at least one datum each. The carriage system also includes a biasing mechanism supported by the carriage body for urging each pen in contact with the datum of the peripheral wal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은 한쌍의 펜을 그 사이에 수용하도록 2개의 측벽을 구비하는 캐리지 본체를 구비한다. 또한, 그 캐리지 시스템은 펜에 접촉하여 그 펜을 2개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키도록 2개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기준 로드를 구비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al pen carriage system includes a carriage body having two side walls for receiving a pair of pens therebetween. The carriage system also includes a reference rod that extends between two side walls to contact the pen and align the pen in two orthogonal directions.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은 한쌍의 펜을 수용하기 위한 한쌍의 펜 챔버를 형성하고 있는 캐리지 본체를 구비한다. 그 챔버는 회전 정합 부분을 갖는 주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또한, 그 캐리지 시스템은 각도방향으로의 각 펜 챔버의 정렬을 동시에 조정하기 위해 정합 부분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캐리지 본체에 의해 지지된 조정 부재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al pen carriage system has a carriage body forming a pair of pen chambers for receiving a pair of pens. The chamber is separated by a peripheral wall having a rotationally mating portion. The carriage system also includes an adjustment member supported by the carriage body for selectively engaging the mating portions to simultaneously adjust alignment of each pen chamber in the angular direction.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젯 인쇄 기구의 인쇄 영역을 횡단하여 한쌍의 잉크젯 펜을 주사하기 위한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이 제공되며, 각 펜은 프린트헤드와, 그 프린트헤드에 대향하고 래칭 랜드(latching land)를 지지하는 표면을 가지고 있다. 그 캐리지 시스템은 한쌍의 펜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캐리지 본체를 구비하며, 그 캐리지 본체에는 각 펜에 접촉하여 그 팬을 정렬시킬 다수의 데이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캐리지 시스템은 데이텀과 접촉하도록 각 펜을 가압하기 위해 각 펜의 래칭 랜드에 폐쇄시에 제어된 힘을 선택된 방향으로 인가하도록 캐리지 본체에 결합된 래치 기구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al pen carriage system for scanning a pair of inkjet pens across a printing area of an inkjet printing mechanism, each pen having a printhead, and has a surface that supports the latching land. The carriage system includes a carriage body formed to receive a pair of pens, wherein the carriage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atums for contacting the pens and aligning the pens. The carriage system also includes a latch mechanism coupled to the carriage body for applying a controlled force in a selected direction upon closure to the latching lands of each pen to press each pen to contact the datum.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실시예는 잉크젯 프린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독특한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으로 조합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is combined into a unique dual pen carriage system, such as may be used in an inkjet print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젯 인쇄 기구에서 한쌍의 잉크젯 펜을 정렬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그 펜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방향 펜 데이텀을 형성하고 있는 데이텀 측면과, 제 2 및 제 3 방향 펜 데이텀을 형성하고 있는 하부면을 가지고 있으며, 제 1, 제 2 및 제 3 방향은 직교한다. 상기 방법은 주벽을 형성하고 있는 캐리지 본체를 갖는 캐리지 시스템내로 펜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주벽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방향 데이텀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대향 측면을 구비한다. 또한, 캐리지 시스템은 제 2 및 제 3 방향 데이텀을 형성하는 기준 로드를 가지고 있다. 끼우는 단계에서, 주벽은 펜의 데이텀 측면 사이에 끼워진다. 미는 단계에서, 펜은 제 1, 제 2 및 제 3 방향 펜 데이텀에 대하여 가압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ligning a pair of inkjet pens in an inkjet printing mechanism is provided. Preferably, the pen has a datum side forming at least one first direction pen datum and a bottom surface forming second and third direction pen datum,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t is orthogonal. The method includes inserting the pen into a carriage system having a carriage body defining a peripheral wall. The peripheral wall has opposing sides forming at least one first direction datum, respectively. The carriage system also has a reference rod forming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 datum. In the fitting step, the peripheral wall is sandwiched between the datum side of the pen. In the pushing step, the pen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 pen datum.

본 발명의 전체 목적은 고품질의 하드카피 출력물을 제공하도록 한쌍의 잉크젯 펜을 사용하는 잉크젯 인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veral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kjet printing apparatus that uses a pair of inkjet pens to provide a high quality hardcopy printo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경제적인 잉크젯 인쇄 기구를 제공하도록 성형 부품으로 제조된 펜을 위한 이중 잉크젯 펜 캐리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ink jet pen carriage system for a pen made of a molded part to provide an economical inkjet printing mechanism without degrading print quality.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인쇄 기구에서 한쌍의 잉크젯 펜을 정확히 정렬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accurately aligning a pair of ink-jet pens in a printing mechanism.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잉크젯 인쇄 기구[본 명세서에서는 잉크젯 프린터(20)로 나타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산업 현장, 사무실, 가정 또는 그 외의 환경에서 업무용 보고서, 서신, 탁상 출판 등을 위한 인쇄에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잉크젯 인쇄 기구가 시판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구체화할 수 있는 인쇄 기구중 몇몇으로는 플로터, 휴대용 인쇄 유닛, 복사기, 카메라, 비디오 프린터 및 펙시밀리기를 들 수 있다. 편의상, 본 발명의 개념을 잉크젯 프린터(20)의 환경에서 설명한다.Figure 1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n inkjet printing mechanism (referred to herein as an inkjet printer 20)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tended for use in business, office, home, or other environments for business reports, correspondence, Etc. < / RTI > Various inkjet printing apparatus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For example, some of the printing apparatuse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clude a plotter, a portable printing unit, a copying machine, a camera, a video printer, and a pixmill. For convenience,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environment of the inkjet printer 20.

프린터 구성 요소가 모델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은 명백하지만, 전형적인 잉크젯 프린터(20)는 전형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하우징, 케이싱 또는 봉입 용기(24)에 의해 둘러싸인 섀시(22)를 포함한다. 인쇄 매체 시트는 인쇄 매체 처리 시스템(26)에 의해 인쇄 영역(25)을 통하여 공급된다. 인쇄 매체는 용지, 카드-스톡, 투명지, 마일라(mylar) 등과 같은 모든 타입의 적합한 시트 재료일 수 있으나, 편의상 도시된 실시예는 인쇄 매체로서 용지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인쇄 매체 취급 시스템(26)은 인쇄전에 용지 시트를 저장하기 위한 공급 트레이(28)를 구비한다. 스테퍼 모터(30)와 구동 기어 조립체(32)에 의해 구동되는 일련의 통상적인 용지 구동 롤러(도시되지 않음)는 시트(35)에 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를 위해 인쇄 매체를 공급 트레이(28)로부터 용지 안내 부재(34) 하부를 지나 인쇄 영역(25)내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인쇄 후, 스테퍼 모터(30)는 인쇄된 시트(35)를 한쌍의 후진 가능한 출력물 건조 날개 부재(36)상으로 구동시킨다. 그 날개 부재(36)는 새로이 인쇄된 시트를 출력물 트레이(38)내로 낙하시키기 위해 양측방향으로 후퇴되기 전에, 출력물 트레이(38)에서 여전히 건조하고 있는 이전에 인쇄된 시트 위에서 새로이 인쇄된 모든 시트를 일시적으로 보유한다. 인쇄 매체 처리 시스템(26)은 편지지, 리걸(legal)지, A-4 용지, 봉투 등을 포함한 상이한 사이즈의 인쇄 매체를 수용하기 위한 일련의 조정 기구, 예를 들면 미끄럼 길이 조정 레버(40), 미끄럼 폭 조정 레버(42), 및 미끄럼 봉투 공급판(44)과 같은 조정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A typical inkjet printer 20 typically includes a chassis 22 surrounded by a housing, casing or enclosure 24 made of plastic material, although it is clear that the printer components may vary from model to model. The print media sheet is fed through the print area 25 by the print media processing system 26. The printing medium may be any suitable type of sheet material, such as paper, card-stock, transparency, mylar, etc. For convenience,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described using paper as the printing medium. The print media handling system 26 includes a feed tray 28 for storing paper sheets prior to printing. A series of conventional paper drive rollers (not shown) driven by the stepper motor 30 and the drive gear assembly 32 are configured to apply print media to the feed tray 28 for printing, To the printing area 25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paper guide member 34. [ After printing, the stepper motor 30 drives the printed sheet 35 onto a pair of retractable output dry wing members 36. The wing member 36 is configured to hold all the newly printed sheets on a previously printed sheet that is still dry on the output tray 38 before it is retracted in both directions to drop the newly printed sheet into the output tray 38 Temporarily hold it. The print media processing system 26 includes a series of adjustment mechanisms for accommodating print media of different sizes, including letterhead, legal, A-4, envelopes, etc., such as slide length adjustment lever 40, A sliding width adjusting lever 42, and a slip bag feeding plate 44. [0033]

또한, 잉크젯 프린터(20)는 또한, 전형적으로 퍼스널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컴퓨터 등의 호스트(host) 장치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프린터 제어 장치[마이크로프로세서(45)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됨]을 구비한다. 또한, 프린터 제어장치(마이크로프로세서)(45)는 케이싱(24)의 외부에 위치된 키 패드(46)를 통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에 응하여 작동할 수 있다. 컴퓨터 호스트에 연결된 모니터는 프린터 상태, 또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특정한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정보를 조작자에게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와,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 장치와 같은 그의 입력장치와, 모니터는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모두 잘 공지되어 있다.The inkjet printer 20 also includes a printer control device (schematically shown as a microprocessor 45) that receives commands from a host device, such as a computer, typically a personal computer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rinter control device (microprocessor) 45 may operat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provided through a keypad 46 located outside the casing 24. A monitor connected to a computer host can be used to display to the operator visual information, such as printer status, or specific programs running on the host computer. Personal computers and their input devices, such as keyboard and / or mouse devices, and monitors are all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캐리지 안내 로드(48)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이중 잉크젯 펜 캐리지 시스템(50)을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섀시(22)에 의해 지지되어, 인쇄 영역(25)을 횡단하여 전후로 주행한다. 또한, 캐리지 시스템(50)은 하우징(24)의 내부에 위치된 정비(servicing) 영역[전체적으로 화살표(52)로 표시됨]내로 캐리지 안내 로드(48)를 따라 추진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 시스템(50)은 그 캐리지가 캐리지 안내 로드(48)를 따라 주행할 때 그 캐리지를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베어링(54)을 구비한다. 또한, 캐리지는 섀시(22)의 측면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 부재(55)를 구비한다. 롤러 부재(55)는 베어링(54)과 조합하여, 3-점 캐리지 지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베어링(54)은 V홈형이며, 본 발명의 출원인인 휴렛-팩커드 컴퍼니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366,305 호에 개시된 것과 같다. 캐리지 DC 모터(56)는 무단 벨트(58)를 구동시키는 구동 기어(57)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56)는 프린터 제어 장치(45)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하여 작동한다. 무단 벨트(58)는 모터(56)의 회전에 응하여 캐리지 안내 로드(48)를 따라 캐리지를 점진적으로 전진시키기 위해 캐리지 시스템(50)에 통상의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The carriage guide rod 48 is supported by the chassis 22 to slidably support the dual inkjet pen carriage system 50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vels back and forth across the printing area 25. The carriage system 50 is also pushed along the carriage guide rod 48 into a servicing area (indicated generally by arrow 52) positioned within the housing 24. As shown in FIG. 2, the carriage system 50 includes a pair of bearings 54 for slidably supporting the carriage when the carriage travels along the carriage guide rod 48. In addition, the carriage has a roller member 55 that rotates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chassis 22. The roller member 55, in combination with the bearing 54, provides a three-point carriage support system. Preferably, the bearing 54 is of a V-groove type and is similar to that disclosed in U.S. Patent No. 5,366,305 assigned to the Hewlett-Packard Compan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age DC motor 56 is connected to a drive gear 57 for driving the endless belt 58. The motor 56 operates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rinter control device 45. The endless belt 58 may be attached to the carriage system 50 in a conventional manner to progressively advance the carriage along the carriage guide rod 48 in response to rotation of the motor 56.

인쇄 영역(25)에서, 인쇄 매체 시트(35)가 검정 잉크 카트리지(60) 및/또는 컬러 잉크 카트리지(62)와 같은 잉크젯 카트리지로부터 잉크를 수용한다. 카트리지(60, 62)는 종종 당업자에 의해 "펜"으로 불린다. 도시된 컬러 펜(62)은 3색 펜이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별개의 단색 펜이 사용될 수 있다. 컬러 펜(62)은 안료계 잉크를 수용할 수 있지만, 설명의 목적에 따라 컬러 펜(62)은 청록색, 황색 및 자홍색과 같은 3가지 염료계 잉크 컬러를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검정 잉크 펜(60)은 안료계 잉크를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도시되어 있다. 염료 특성과 안료 특성 모두를 갖는 혼성 또는 복합 잉크뿐만 아니라, 파라핀계 잉크와 같은 다른 타입의 잉크도 펜(60, 62)에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In print area 25, print media sheet 35 receives ink from inkjet cartridges, such as black ink cartridge 60 and / or color ink cartridge 62. Cartridges 60 and 62 are often referred 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 pens ". The depicted color pen 62 is a three-color pen, although in some embodiments a pair of distinct monochrome pens may be used. Although the color pens 62 can accommodate pigment-based inks,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the color pens 62 are described as containing three dye-based ink colors such as cyan, yellow, and magenta. The black ink pen 60 is shown herein as containing pigment-based ink. It is clear that other types of inks, such as paraffin based inks, can be used in the pens 60 and 62, as well as mixed or composite inks having both dye and pigment characteristics.

도시된 펜(60, 62)은 잉크 공급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펜(60, 62)은 프린트헤드(64, 66)를 각각 구비하며, 각 프린트헤드는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잘 공지된 방식으로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오리피스 판을 구비한다. 도시된 프린트헤드(64, 66)는 열 잉크젯 프린트헤드이지만, 압전 프린트헤드와 같은 다른 타입의 프린트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린트헤드(64, 66)는 전형적으로 노즐과 연관있는 다수의 저항기를 포함한다. 선택된 저항기에 전압을 가할 때, 가스 버블이 형성되어, 노즐로부터 그 노즐 하부의 인쇄 영역(25)의 용지 시트상으로 잉크 방울을 분사한다. 프린트헤드 저항기는 다중 도체 스트립(68)에 의해 프린터 제어 장치(45)로부터 프린트헤드 캐리지 시스템(50)으로 전송되는 분출 명령 제어 신호에 응하여 선택적으로 전압 인가된다.The illustrated pens 60 and 62 each include a reservoir for storing the ink supply. The pens 60 and 62 each have printheads 64 and 66, and each printhead has an orific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in a manner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lthough the illustrated printheads 64 and 66 are thermal inkjet printheads, other types of printheads, such as piezo printheads, may be used. The printheads 64 and 66 typically include a plurality of resistors associated with the nozzles.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selected resistor, a gas bubble is formed to eject ink droplets from the nozzles onto the paper sheet in the print area 25 below the nozzles. The printhead resistors are selectively energized in response to an ejection command control signal sent from the printer controller 45 to the printhead carriage system 50 by the multiple conductor strips 68.

제 2 도를 참조하면, 캐리지 시스템(50)은 힌지(74)에 의해 캐리지 본체(75)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 래치 기구[2개의 클램핑 레버, 래치 부재 또는 덮개(70, 72)로 도시됨]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지 본체(75)는 또한 얇은 정렬 웨브 또는 주벽(76)을 형성하고, 그 두께가 1.0mm내지 6.0mm일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칭 3.5mm 정도이다. 주벽(76)은 캐리지 본체(75)의 내부를 검정 펜 챔버(80)와 컬러 펜 챔버(82)로 분할한다. 캐리지 시스템(50)이 펜을 클램핑하고 정렬시키는 방식을 설명하기 전에, 펜(60, 62)의 외면에 편리하게 성형된 여러가지 데이텀 포인트(datum point)와 캠면(cam surface)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carriage system 50 is shown with a latch mechanism (two clamping levers, latch members or covers 70, 72) pivotally attached to the carriage body 75 by a hinge 74 . Preferably, the carriage body 75 also forms a thin aligned web or circumferential wall 76 and may have a thickness of 1.0 mm to 6.0 mm, but is more preferably of the order of 3.5 mm. The peripheral wall 76 divides the interior of the carriage body 75 into a black pen chamber 80 and a color pen chamber 82. Before describing how the carriage system 50 clamps and aligns the pen, it is helpful to understand the various datum points and cam surfaces convenient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ens 60 and 62 do.

제 3 도 및 제 4 도는 각각 저면으로부터의 펜(60, 62)의 배면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반면, 제 2 도는 상부로부터의 펜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검정 펜(60)은 프린트헤드(64)내의 노즐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잉크 공급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를 형성하는 중공의 본체(84)를 구비한다. 펜 본체(84)는 외주 부재(85)를 포함하고, 그 외주 부재내에 외측 측벽(86) 및 내측 측벽(88)이 안착되어 있다. 캐리지 시스템(50)에 펜(60)을 장착 및 분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삽입 핸들 또는 파지면(90)이 전방 벽(92)과 상부 벽 또는 상부 표면(94) 사이에 편리하게 위치되어 있다. 하부 벽(95)은 전방 벽(92)과, 프린트헤드(64)를 수용하는 노즈 부분(nose portion)(96) 사이에서 연장된다. 후방 벽(98)은 노즈 부분(96)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부 벽(94)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후방 벽(98)은 다수의 전기적 상호접속 패드(도시의 명료함을 위해 생략됨)를 구비한 통상의 플렉스 탭(flex tab) 회로(100)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플렉스 탭 회로는 본 출원인인 휴렛-팩커드 컴퍼니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907,018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플렉스 탭 회로(100)는 프린트헤드(64)와 전기 접촉되도록 편리하게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트헤드(64)를 수용하는 프린트헤드 장착 벽(102)뿐만 아니라, 핸들(90)과 주위 벽(92, 94, 96, 95, 98)이 모두 하나의 단일 부품으로 성형된다. 이것은 일 군의 펜 위치 결정 데이텀 또한 이러한 단일의 펜 외주 부재(85)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3 and 4 respectively show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pens 60 and 62 from the bottom while the second view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pen from the top. The black pen 60 has a hollow body 84 defining a reservoir for storing the ink feed selectively injected through the nozzles in the print head 64. The pen body 84 includes a peripheral member 85, and an outer side wall 86 and an inner side wall 88 are seated in the outer peripheral member. An insert handle or gripping surface 90 for use in mounting and dismounting the pen 60 in the carriage system 50 is conveniently located between the front wall 92 and the top wall or top surface 94. A lower wall 95 extends between the front wall 92 and a nose portion 96 that receives the print head 64. The rear wall 98 extends downwardly from the top wall 94 to form a portion of the nose portion 96. The rear wall 98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ical interconnect pads (omitted for clarity of illustration) And the flex tap circuit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in U.S. Patent No. 4,907,018, assigned to the present Applicant, Hewlett-Packard Company. In this position, the flex-tap circuit 100 can be conveniently extended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rinthead 64. [ The handle 90 and the peripheral walls 92, 94, 96, 95, 98 are all molded into one single part, as well as the printhead mounting wall 102 that receives the printhead 64. [ This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because a group of pen positioning datum can also be formed by this single pen perimeter member 85. [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주 부재(85)는 다수의 X, Y, Z 좌표축 위치결정 부재또는 데이텀을 형성하고 있다. 도시의 목적으로, X, Y, Z 좌표축 시스템(103)이 제 1 도 내지 제 8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X축은 캐리지 안내 로드(48)에 의해 형성된 캐리지 시스템(50)의 주사 축선에 평행한 주사 방향을 지시한다. Y축은 프린터(20)를 통한 용지 전진 경로에 평행하다. Z축은 수직 방향을 지시하며, 펜과 용지 간격을 위한 기준(reference)으로 사용되며, 이것이 고품질의 하드카피 화상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요소이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al member 85 forms a plurality of X, Y, Z coordinate axis positioning members or datums. X-axis is parallel to the scan axis of the carriage system 50 formed by the carriage guide rods 48. The X-, Y-, and Z-coordinate system 103 is shown in FIGS. Indicating the scanning direction. The Y-axis is parallel to the paper advancing path through the printer 20. The Z axis indicates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used as a reference for pen and paper spacing,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providing high quality hardcopy images.

X축에 대하여 검정 펜(60)을 위치결정시키기 위해, 외주 부재(85)는 바람직하게 3개의 X축 방향 위치결정 랜드(land) 또는 데이텀(datum), 특히 펜의 노즈 부분(96) 근처에 위치된 X1 데이텀(104)과, 전방 벽(92) 근처에 하부 벽(95)을 따라 위치된 X2 데이텀(106)과, 상부 배면 모서리에 위치된 X3 데이텀(108)을 형성하도록 성형중에 윤곽이 형성된다. Z축에 대하여 검정 펜(60)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외주 부재(85)는 하부 벽(95)을 따라 위치된 Z 데이텀(110)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Y축에 대하여 검정 펜(60)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2개의 데이텀이 사용되며, 특히 Y1 데이텀(112)이 노즈 부분(96)으로부터 옵셋되어 있고, 하부 벽(95)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Y2 데이텀(114)이 후방 벽(98)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X 데이텀(104, 106, 108)이 모두 동일한 내측 측벽(88)을 따라 위치되지만, 일부 실시예의 경우에는 외주 부재(85)가 외측 측벽(86)에 인접하여 유사하게 위치된 데이텀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In order to position the black pen 60 relative to the X axis, the peripheral member 85 preferably has three X-axis positioning lands or datums, especially near the nose portion 96 of the pen An X1 datum 104 positioned along the bottom wall 95 near the front wall 92 and an X2 datum 106 located along the bottom wall 95 and an X3 datum 108 located at the top back edge, . To determine the orientation of the black pen 60 relative to the Z axis, a peripheral member 85 forms a Z datum 110 located along the bottom wall 95. In addition, two datums are used to determine the orientation of the black pen 60 relative to the Y axis, and in particular the Y1 datum 112 is offset from the nose portion 96 and extends downwardly from the lower wall 95 And the Y2 datum 114 protrudes from the rear wall 98. Although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X datum 104, 106, 108 are all located along the same inner sidewall 88, in some embodiments the outer member 85 is similarly located adjacent to the outer sidewall 86 It is clear that they can form datums.

또한, 외주 부재(85)는 래칭 랜드 또는 래칭 랜드(115)를 형성하며, 이 래칭 랜드는 경사진 캠면을 갖는 윤곽을 포함하도록 외주 부재(85)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래칭 랜드(115)는 하기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 시스템(50)내에 검정 펜(60)을 확고히 안착시키는데 유용하다. 래칭 랜드(115)는 X3 데이텀(108)을 위한 지지면을 제공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되는 버팀벽 부재(116)에 인접하여 놓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칭 랜드(115)의 경사진 캠면은 외주 부재(85)로부터 음의 Y 방향에서 횡단하는 경우에 상방(양의 Z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그 캠면은 그것이 버팀벽 부재(116)와 결합하는 측으로부터 양의 X 방향에서 횡단하는 경우에 하방(음의 Z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래칭 랜드 캠 구조체(115)는 외주 부재(85)의 상부 배면 모서리 또는 숄더(118)를 따라 그리고 상부 벽(94) 아래에 위치된다. 숄더(118)는 하기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 시스템(50)에 검정 펜(60)을 장착 및 분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Further, the outer peripheral member 85 forms a latching land or latching land 115, which is formed by molding the outer peripheral member 85 so as to include an outline having an inclined cam surface. The latching land 115 is useful for securely mounting the black pen 60 within the carriage system 50, as described further below. The latching lands 115 lie adjacent to the retention wall member 116 which is advantageously used to provide a support surface for the X3 datum 108.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clined cam surface of the latching land 115 is inclined upward (positive Z direction) when traversing in the negative Y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member 85. [ Further, the cam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in the negative Z direction) when it traverses in the positive X direction from the side in which it engages the support wall member 116. [ The latching land cam structure 115 is positioned along the upper back edge or shoulder 118 of the outer peripheral member 85 and below the upper wall 94. [ The shoulder 118 is particularly useful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lack pen 60 to the carriage system 50, as described further below.

도시된 컬러 펜(62)은 외주 부재(120)를 포함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그 외주 부재(120)가 내측 측벽(122)과 외측 측벽(124)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그 측벽이 중공의 펜 본체(125)를 함께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중공의 펜 본체(125)는 프린트헤드(66)내의 노즐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3가지 컬러 잉크 공급물(예를 들면, 청록색, 자홍색, 및 황색)을 저장하기 위한 3개의 저장소를 형성하거나 수용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컬러 펜(62)은 각각 전방 벽(128)과, 상부 벽 또는 상부 표면(130) 사이에 편리하게 위치된 삽입 핸들 또는 파지면(126)을 구비한다. 핸들(126)은 캐리지 시스템(50)에 컬러 펜(62)을 장착 및 분리하는데 유용하다. 하부 벽(132)은 프린트헤드(66)를 수용하는 노즈 부분(134)과 전방 벽(128)을 결합한다. 후방 벽(136)은 노즈 부분(134)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부 벽(13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The depicted color pen 62 includes a perimeter member 120 in which the outer perimeter member 120 is sandwiched between an inner side wall 122 and an outer side wall 124, The pen body 125 is formed together. The hollow pen body 125 preferably includes three reservoirs for storing three color ink feeds (e.g., cyan, magenta, and yellow) that are selectively ejected through the nozzles in the printhead 66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lor pens 62 each have a front wall 128 and an insertion handle or gripping surface 126 conveniently positioned between the top wall or top surface 130. The handle 126 is useful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olor pen 62 to the carriage system 50. The lower wall 132 engages the front wall 128 with the nose portion 134 that receives the printhead 66. The rear wall 136 extends downwardly from the top wall 130 to form a portion of the nose portion 134.

플렉스 탭 회로(100)에 대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통상의 플렉스 탭 회로(138)는 프린트헤드(66)와 전기 접촉되도록 후방 벽(136)에 의해 지지된 다수의 전기 접속 패드(도시의 명료함을 위해 생략됨)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린트헤드(66)를 수용하는 프린트헤드 장착 벽(138)뿐만 아니라, 핸들(126)과 주위 벽(128, 130, 132, 134, 136)이 모두 하나의 단일 부품으로서 성형된다. 이것은 일군의 펜 위치결정 데이텀도 단일의 펜 외부 부재(1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A conventional flex taps circuit 138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ion pads (not shown) supported by the back wall 136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rint head 66, as described above for the flex tap circuit 100 May be omitted). The handle 126 and the peripheral walls 128, 130, 132, 134, 136 are all formed as a single piece, as well as the printhead mount wall 138 that receives the printhead 66. [ This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because a group of pen positioning datums can also be formed by a single pen outer member 120.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주 부재(120)는 다수의 X, Y, Z 좌표축 위치결정 부재 또는 데이텀을 형성하고 있다. X축에 대하여 컬러 펜(62)을 위치결정하기 위해, 외주 부재(120)는 3개의 X축 방향 위치결정 랜드 또는 데이텀, 특히 펜의 노즈 부분(134) 근처에 위치된 X1 데이텀(140)과, 전방 벽(128) 근처에 하부 벽(132)을 따라 위치된 X2 데이텀(142)과, 상부 배면 모서리에 위치된 X3 데이텀(144)을 형성하도록 성형중에 윤곽이 형성된다. Z축에 대하여 컬러 펜(62)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외주 부재(120)는 하부 벽(132)을 따라 위치된 Z 데이텀(145)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Y축에 대하여 컬러 펜(62)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2개의 데이텀이 사용된다. 첫째, Y1 데이텀(146)이 하부 벽(132)의 각이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옵셋되어 하부 벽(13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둘째, Y2 데이텀(148)이 후방 벽(13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X 데이텀(140, 142, 144)이 모두 동일한 내측 측벽(122)을 따라 위치되지만, 일부 실시예의 경우에는 외주 부재(120)가외측 측벽(124)에 인접하여 유사하게 위치된 데이텀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펜(62)은 주사 축선(X) 방향으로의 펜 정합을 위한 3개의 데이텀, 특히 X1 데이텀(150), X2 데이텀(152) 및 X3 데이텀(154)을 포함하며, 이들 데이텀 모두는 각각의 X1, X2, X3 데이텀(140, 142, 144)의 정반대쪽에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al member 120 forms a plurality of X, Y, Z coordinate axis positioning members or datums. To position the color pen 62 relative to the X axis, the peripheral member 120 includes three X-axis positioning lands or datums, particularly the X1 datum 140 located near the nose portion 134 of the pen An X2 datum 142 located along the lower wall 132 near the front wall 128 and an X3 datum 144 located at the upper back edge. To determine the orientation of the color pen 62 with respect to the Z axis, the outer peripheral member 120 forms a Z datum 145 located along the lower wall 132. In addition, two datums are used to determine the orientation of the color pen 62 with respect to the Y-axis. First, the Y1 datum 146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wall 132 offset from the angled portion of the lower wall 132. Second, the Y2 datum 148 protrudes from the rear wall 136. Although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X datum 140, 142, and 144 are all located along the same inner sidewall 122, in some embodiments the outer member 120 is similarly positioned adjacent to the outer sidewall 124 It is clear that they can form datums. For example, the pen 62 shown includes three datum for pen alignment in the direction of the scan axis X, in particular X1 datum 150, X2 datum 152 and X3 datum 154, All of the datums are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respective X1, X2, X3 datums (140, 142, 144).

경사진 캠면을 갖도록 윤곽이 형성된 래칭 랜드(155)가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기술 또는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공지된 다른 필적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접착제로 접합시킴으로써 외주 부재(120)에 결합되어 있다. 래칭 랜드(155)는 하기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 시스템(50)내에 컬러 펜(62)을 확고히 안착시키는데 유용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칭 랜드(155)의 경사진 캠면은 외주 부재(120)로부터 음의 Y 방향으로 횡단하는 경우에 상방(양의 Z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래칭 랜드(155) 캠면은 외측 측벽(124)을 향해 음의 X 방향으로 횡단하는 경우에 하방(음의 Z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 래칭 랜드(155)는 외주 부재(120)의 상부 벽(130)을 따라 형성된 둥근 숄더면(156)(제 2 도 참조)에 인접하여 놓인다. 그 둥근 숄더면(156)은 하기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펜(62) 위에서 하방으로 래치 부재(72)를 안내하는데 유용하다. 그 래칭 랜드 캠 구조체(155)는 외주 부재(120)의 상부 배면 모서리 또는 숄더(158)를 따라 그리고 상부 벽(130) 아래에 위치된다. 숄더(158)는 하기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 시스템(50)에 컬러 펜(62)을 장착 및 분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The latching land 155, which is contoured to have a sloped cam surface, is joi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member 120 by adhesive bonding, for example, using ultrasonic welding techniques or other comparable method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latching land 155 is useful for securely mounting the color pen 62 within the carriage system 50, as described further below.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clined cam surface of the latching land 155 is inclined upward (positive Z direction) when traversing in the negative Y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member 120. [ Further, the cam surface of the latching land 155 is inclined downward (negative Z direction) when traversing in the negative X direction toward the outer side wall 124. The latching land 155 lies adjacent a rounded shoulder surface 156 (see FIG. 2) formed along the top wall 130 of the peripheral member 120. The rounded shoulder surface 156 is useful for guiding the latch member 72 downwardly on the pen 62, as will be discussed further below. The latching land cam structure 155 is located along the upper back edge or shoulder 158 of the outer peripheral member 120 and below the upper wall 130. The shoulder 158 is particularly useful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the color pen 62 in the carriage system 50, as described further below.

실질적으로 펜 본체(125)의 중앙에 위치된 Y 데이텀 및 Z 데이텀과, 펜의 각 측부를 따라 위치된 대칭적인 X 데이텀을 갖는 도시된 컬러 펜(62)에 대해, 다른실시예에서는 컬러 펜(62)이 외측 측벽(124) 옆의 정렬 벽에 대하여 방향이 결정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이러한 대칭 설계를 돕기 위해, 래칭 랜드(155)에는 본 명세서에서 관심 사항인 상기 캠면에 결합하는 제 2 경사면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검정 펜(60)을 다른 실행 형태에서 사용하기 위해 대칭적으로 설계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For the depicted color pen 62 having a Y datum and Z datum located substantially in the center of the pen body 125 and a symmetrical X datum positioned along each side of the pen, 62 can be oriented with respect to the alignment wall next to the outer side wall 124. [ In addition, to assist with this symmetrical design, the latching land 155 is symmetrically formed with a second ramp that engages the cam surface of interest herein. It is also apparent that the black pen 60 may be designed symmetrically for use in other implementations.

제 5 도 내지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 시스템(50)은 검정 펜(60)과 컬러 펜(62) 모두를 위한 일 군의 X, Y, Z 데이텀 또는 위치결정 랜드를 포함한다. 우선, X축 방향으로의 정렬을 고려하여, 펜(60, 62)이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주벽을 향해 가압된다. 특히, 검정 펜(60)이 스프링 부하식 굴곡 부재 또는 바이어스 부재(170)에 의해 주벽(76)을 향해 바이어스되는 반면에, 컬러 펜(62)은 스프링 부하식 굴곡 부재 또는 바이어스 부재(172)에 의해 주벽(76)을 향해 바이어스된다. 바람직하게, 각 굴곡 부재(170, 172)는 캐리지 본체(75)의 각 측벽(174, 176)의 상부 표면에 걸쳐 고정될 수 있는 갈고리 부분을 구비한다.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부재(170, 172)는 코일 스프링(178)에 의해 각각의 측벽(174, 176)으로부터 외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스프링 부하식 굴곡 부재(170, 172)가 각각의 펜(60, 62)을 주벽(76)을 따라 위치된 X축 위치결정 데이텀을 향해 가압한다.As shown in FIGS. 5-8, the carriage system 50 includes a group of X, Y, Z datum or positioning land for both the black pen 60 and the color pen 62. First, considering the alignment in the X-axis direction, the pens 60 and 62 are pressed toward the peripheral wall by the biasing member. In particular, the black pen 60 is biased towards the peripheral wall 76 by a spring loaded flexure member or biasing member 170, while the color pen 62 is biased toward the spring loaded flexure member or biasing member 172 And is biased toward the peripheral wall 76. Each curved member 170, 172 preferably has a claw portion that can be fixed over the upper surface of each side wall 174, 176 of the carriage body 75. As shown in FIG. 7, bending members 170 and 172 are biased outwardly from respective side walls 174 and 176 by coil springs 178. Spring loaded flexure members 170 and 172 press respective pens 60 and 62 toward the X-axis positioning datum located along peripheral wall 76. [

검정 펜(60)에 대해서, 펜의 X1 데이텀(104)은 캐리지의 X1 데이텀(180)에 대하여 가압되고, 펜의 X2 데이텀(106)이 캐리지의 X2 데이텀(182)에 대하여 가압된다. 캐리지의 X1 및 X2 데이텀(180, 182)은 주벽(76)과 일체로 성형 조각된 랜드로서 도시되어 있다. 검정 펜(60)의 상부 근처에서의 바람직한 펜 분리를 제공하기 위해, 주벽(76)은 정렬 핀(184)을 둘러싸는 슬롯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정렬 핀(184)은 검정 펜의 X3 데이텀(108)에 접촉하도록 캐리지의 X3 데이텀의 역할을 한다. 또한, X3 데이텀(184)은 X1 및 X2 데이텀(180, 182)에 대하여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성형 조각된 랜드일 수 있음이 명백하지만,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X3 정렬 핀(184)이 바람직하다.For the black pen 60, the X1 datum 104 of the pen is pressed against the X1 datum 180 of the carriage and the X2 datum 106 of the pen is pressed against the X2 datum 182 of the carriage. The X1 and X2 datums 180 and 182 of the carriage are shown as lands molded and carved integrally with the peripheral wall 76. The circumferential wall 76 defines a slot surrounding the alignment pin 184 and the alignment pin 184 is aligned with the X3 datum of the black pen < RTI ID = 0.0 > 108 < / RTI > of the carriage. It is also clear that the X3 datum 184 may be a shaped carved land as shown for X1 and X2 datums 180 and 182, but for ease of manufacture, an X3 alignment pin 184 is preferred .

실제로, X1 데이텀은 모든 X 데이텀중 프린트헤드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X1 데이텀 핀(180')(제 5 도 및 제 6 도에만 도시됨)으로 도시된 별도의 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X1 데이텀 핀(180') 및 X3 데이텀 핀(184)은 직경 오차가 0.0025mm(± 0.0001인치)정도의 정밀한 치수 공차로 제조될 수 있는 강철로 되어 있다. 강철을 이용하면 이러한 공차가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달성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다른 재료도 적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X1 데이텀 핀(180') 및 X3 데이텀 핀(184)은 주벽(76)에 형성된 슬롯내로 연장하도록 캐리지 본체(75)의 후방 벽(185)내에 삽입 성형된다. 모든 주어진 실시예에서 X1 데이텀 핀(180')이 X1 랜드(180)를 대신할 수 있음이 명백하지만, 편의상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성형된 X1 데이텀(180)만이 언급될 것이다.Indeed, it is preferred that the X1 datum is a separate pin shown as the X1 datum pin 180 '(shown only in FIGS. 5 and 6) positioned closest to the printhead of all X datums. Preferably, the X1 datum pin 180 'and the X3 datum pin 184 are made of steel that can be manufactured with precise dimensional tolerances of a diameter tolerance of about 0.0025 mm (+/- 0.0001 inch). With steel, this tolerance is easily and economically achieved, but it can be seen that other materials are suitable in some embodiment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X1 datum pin 180 'and the X3 datum pin 184 are insert molded into the rear wall 185 of the carriage body 75 so as to extend into a slot formed in the peripheral wall 76. It is evident that in all given embodiments the X1 datum pin 180 'can replace the X1 land 180, but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nly the shaped X1 datum 180 will be mention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컬러 펜(62)에 대해서, 컬러 펜 챔버(82)의 내부를 따라, 주벽(76)은 X1 데이텀(186)과 X2 데이텀(188)을 가지고 있으며, 이 데이텀들은 주벽(76)에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검정 펜 캐리지의 X1 데이텀(180)에 대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컬러 펜 캐리지의 X1 데이텀은 강철 핀(180')(제 5 도 및 제 6 도에만도시됨)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모든 주어진 실시예에서 X1 데이텀 핀(180')이 X1 랜드(186)를 대신할 수 있음이 명백하더라도, 편의상 하기의 설명에서는 성형된 X1 데이텀(186)만이 언급될 것이다. 컬러 펜의 X1 데이텀(140)이 캐리지의 X1 데이텀(186)과 결합하고, 컬러 펜의 X2 데이텀(142)이 캐리지의 X2 데이텀(188)과 결합한다. 컬러 펜 챔버(82)내로 연장되는 X3 강철 핀(184) 부분은 컬러 펜(62)을 위한 X3 정렬 데이텀으로 작용한다. 컬러 펜의 X3 데이텀(144)은 X3 정렬 핀 데이텀(184)과 결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펜 챔버(80, 82)의 모든 X1, X2, X3 데이텀은 계속적인 캐리지 본체의 재현성을 보장하도록 캐리지 본체(75)를 제조하는 성형 공정중에 균일하게 형성된다.For the color pen 62, along the interior of the color pen chamber 82, the peripheral wall 76 has an X1 datum 186 and an X2 datum 188, which are integrally molded Lt; / RTI > As described above for the X1 datum 180 of the black pen carriage, the X1 datum of the color pen carriage is preferably a steel pin 180 '(only shown in FIGS. 5 and 6)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ly the shaped X1 datum 186 will be referred to for the sake of convenience, although it is apparent that the X1 datum pin 180 'may replace the X1 land 186 in FIG. The X1 datum 140 of the color pen combines with the X1 datum 186 of the carriage and the X2 datum 142 of the color pen combines with the X2 datum 188 of the carriage. The portion of the X3 steel pin 184 extending into the color pen chamber 82 serves as an X3 alignment datum for the color pen 62. [ The X3 datum 144 of the color pen combines with the X3 alignment pin datum 184. In this manner, all X1, X2, X3 datum of each pen chamber 80, 82 is uniformly formed during the molding process to manufacture the carriage body 75 to ensure continued carriage body reproducibility.

이제, 나머지 Y 방향 및 Z 방향으로의 정렬을 고찰하면, 캐리지 시스템(50)은 각각의 캐리지 측벽(174, 176)에 의해 형성된 포켓(191, 192)내에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성형되는 Y-Z 기준 로드(reference rod)(190)를 포함한다. 이 기준 로드(190)는 캐리지 베어링(54)을 통하여 보어 축선(194)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종축선(193)을 갖는다. 검정 펜(60)의 하부측을 따라 Y1 데이텀(112)과 Z 데이텀(110)은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Y-Z 기준 로드(190)를 따라 90° 각도로 놓여 있다. 유사하게, 컬러 펜(62)의 Y1 데이텀(146) 및 Z 데이텀(145)도 캐리지 챔버(82)의 내부를 통해 연장하는 Y-Z 기준 로드(190)와 결합한다. 제 2의 Y2 캐리지 데이텀은 검정 펜(60)을 위한 Y2 데이텀 영역(196)과, 컬러 펜(62)을 위한 Y2 데이텀 영역(198)을 따라 캐리지의 후방 벽(185)에 제공된다. Y2 데이텀 영역(196)은 검정 펜(60)을 위한 Y2 데이텀(114)과 교차하는 한편, Y2 데이텀영역(198)은 컬러 펜(62)을 위한 Y2 데이텀(148)과 교차한다. 유사하게, 챔버(82)내의 배면 벽면(198)은 컬러 펜의 Y2 데이텀(148)과 정렬되는 컬러 펜(62)을 위한 Y2 데이텀면을 제공한다.Now, considering the alignment in the remaining Y and Z directions, the carriage system 50 includes a YZ reference rod (not shown) that is preferably integrally molded in the pockets 191, 192 formed by the respective carriage sidewalls 174, and a reference rod 190. The reference rod 190 has a longitudinal axis 193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re axis 194 through the carriage bearing 54. Along the lower side of the black pen 60, the Y1 datum 112 and the Z datum 110 lie at a 90 degree angle along the Y-Z reference rod 190, as shown in FIG. Similarly, the Y1 datum 146 and the Z datum 145 of the color pen 62 also engage the Y-Z reference rod 190 extend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arriage chamber 82. [ A second Y2 carriage datum is provided to the carriage rear wall 185 along the Y2 datum area 196 for the black pen 60 and the Y2 datum area 198 for the color pen 62. [ The Y2 datum area 196 intersects the Y2 datum 114 for the black pen 60 while the Y2 datum area 198 intersects the Y2 datum 148 for the color pen 62. [ Similarly, the back wall surface 198 in the chamber 82 provides a Y2 datum surface for the color pen 62 that is aligned with the Y2 datum 148 of the color pen.

캐리지(50)내에 펜(60, 62)을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X, Y, Z 각 방향으로 양의 바이어싱 힘을 제공하기 위해, 래치 기구는 기구의 본체 역할을 하는 클램핑 레버(70, 72)를 포함한다. 또한, 래치 기구는 레버의 하부측을 따라 위치된 스프링 부하식 캠면(200, 202)과 같은 바이어스식 결합 부재를 구비한다. 검정 펜에 대한 클램핑 레버(70)상의 캠면(200)은 검정 펜(60)상의 래칭 랜드(115)의 경사진 캠면과 결합하는 한편, 컬러 펜에 대한 클램핑 레버(72)상의 캠면(202)은 컬러 펜(62)의 래칭 랜드(155)의 경사진 캠면과 결합한다. 그 캠면(200, 202)은 스프링판 부재 또는 결합 부재(203, 204)와 같은 결합 부재로부터 각각 돌출하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 스프링(205)과 같은 바이어싱 부재가 각각의 클램핑 레버(70, 72)로부터 스프링판 부재(203, 204)를 바이어스시킨다. 도시된 클램핑 레버(70, 72)는 스프링(205)을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포켓(206)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스프링 포켓의 외부는 각 클램핑 레버(70, 72)의 상면 위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스프링판 부재(203, 204)는 클램핑 레버의 폐쇄 동안에 스프링(205)이 압축될 때에 그 클램핑 레버를 향해 주행하도록 각 클램핑 레버(70, 72)내에 안착되어 있다.In order not only to secure the pens 60 and 62 within the carriage 50 but also to provide a positive biasing force in the X, Y and Z directions, the latching mechanism comprises clamping levers 70 and 72 ). The latch mechanism also has biased engagement members such as spring loaded cam surfaces 200, 202 located along the underside of the lever. The cam surface 200 on the clamping lever 70 against the black pen engages the inclined cam surface of the latching land 115 on the black pen 60 while the cam surface 202 on the clamping lever 72 against the color pen Engages with the inclined cam surface of the latching land 155 of the color pen 62.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 faces 200 and 202 are integrally molded so as to protrude from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pring plate member or coupling members 203 and 204, respectively. A biasing member such as a coil spring 205 biases the spring plate members 203 and 204 from the respective clamping levers 70 and 72. The illustrated clamping levers 70 and 72 may be formed with spring pockets 206 therein for receiving the spring 205 and the outside of the spring pockets extend over the upp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clamping levers 70 and 72 . Preferably, the spring plate members 203, 204 are seated within the respective clamping levers 70, 72 to travel toward the clamping levers when the spring 205 is compressed during closing of the clamping levers.

펜(60, 62)이 챔버(80, 82)내에 장착된 경우에 래치 기구를 폐쇄하기 위해서, 클램핑 레버(70, 72)는 펜 위로 힌지(74)에서 피벗된다. 래치 기구를 폐쇄하는동안에, 각 래칭 랜드(115, 155)에 선택된 방향으로 제어된 힘이 캠면(200, 202)에 의해 인가되어, 캐리지의 X, Y, Z 데이텀과 접촉하도록 각 펜(60, 62)을 가압한다. 캠면(200, 202)과 펜의 래칭 랜드(115, 155)의 상대적인 경사는 주벽(76)을 따라 형성된 X 데이텀과, 후방 벽(185)을 따라 형성된 X 데이텀과, 기준 로드(190)에 의해 확립된 Y-Z 데이텀을 향해 펜(60, 62)을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램핑 레버(70, 72), 스프링판 부재(203, 204) 및 힌지(74)에 대한 스프링(205)의 상대적인 위치는 오버센터(over-center) 클램핑 기구의 역할을 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종 1cm 정도를 남기고 펜(60, 62) 위로 클램핑 레버(70, 72)를 폐쇄할 때, 압축 스프링(205)이 사실상 팽창을 시작한다. 이러한 오버센터 작용은 캐리지 시스템(50)내에 펜을 클램핑하고 클램핑 레버를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는데 유리하다.The clamping levers 70 and 72 are pivoted at the hinge 74 over the pen to close the latch mechanism when the pens 60 and 62 are mounted in the chambers 80 and 82. [ A controlled force in a selected direction on each latching land 115,155 is applied by the cam faces 200,202 to contact the X, Y, Z datum of the carriage, 62). The relative inclination of the cam faces 200 and 202 and the pen's latching lands 115 and 155 is determined by the X datum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wall 76 and the X datum formed along the back wall 185 and by the reference rod 190 And presses the pens 60 and 62 toward the established YZ datum.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pring 205 with respect to the clamping levers 70, 72, the spring plate members 203, 204 and the hinge 74 is preferably arranged to serve as an over-center clamping mechanism. In this way, when the clamping levers 70, 72 are closed above the pens 60, 62 leaving about the last 1 cm, the compression spring 205 begins to expand substantially. This over-centering action is advantageous for clamping the pen within the carriage system 50 and for maintaining the clamping lever in the closed position.

각 클램핑 레버(70, 72)는, 바람직하게 각 클램핑 레버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캠(207, 208)과 같은 유용한 펜 제거 안내 캠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안내 캠(207, 208)은 캐리지 시스템(50)으로부터 펜(60, 62)을 분리할 때 각 스프링판 부재(203, 204)로부터 펜 숄더(118, 158)를 각각 밀어낸다. 그 클램핑 레버의 안내 캠(207, 208)은 제거가 요구될 때 캐리지 시스템(50)내에서의 펜의 재밍(jamming)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Each clamping lever 70, 72 may preferably include a useful pen removal guide cam, such as cams 207, 208 along the outer edge of each clamping lever. The guide cams 207 and 208 push the pen shoulders 118 and 158 from the respective spring plate members 203 and 204 respectively when the pens 60 and 62 are separated from the carriage system 50. The guide cams 207 and 208 of the clamping lever serve to prevent jamming of the pen in the carriage system 50 when removal is required.

제 7 도 및 제 8 도를 참조하면, 세타-Z(θ-Z) 각도 정렬 또는 정합 기구(210)에 의해 부가적인 정렬 조정이 제공된다. 그 세타-Z 정렬 기구(210)는 주벽(76)의 하부 부분을 캐리지 본체의 측벽(174, 176)에 대하여 이동시킨다.주벽(76)은 코일 스프링(212)과 같은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컬러 챔버 측벽(176)으로부터 스프링 바이어스된다. 주벽(76)은 스프링(212)의 반대쪽을 향하는 정렬 푸트(foot)(214)를 갖는 회전 정합 부재[도시된 실시예에서 주벽(76)의 하부 부분의 말단부에 의해 형성됨]를 구비한다. 정렬 푸트(214)는 캐리지 시스템(50)의 배면을 향해 음의 Y 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의 X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수직 벽을 가지고 있다(제 5 도 참조). 정렬 푸트(214)의 경사진 표면은 예를 들어 스크루(215)와 같은 회전 가능한 나사 부재 등의 조정 부재에 의해 그의 길이를 따라 여러 지점에서 접할 수 있다. 그 정합 스크루(215)는 캐리지 본체(75)의 하부 표면을 따라 위치된 나사형 보스 부분(216)에 의해 형성된 나사형 통로를 통해 연장하여 결합한다.7 and 8, additional alignment adjustment is provided by theta-Z ([theta] -Z) angular alignment or matching mechanism 210. [ The Z-Z alignment mechanism 210 moves the lower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76 against the side walls 174 and 176 of the carriage body. The peripheral wall 76 is biased by a biasing member, such as a coil spring 212, And is spring biased from the chamber side wall 176. The peripheral wall 76 has a rotational mating member (formed by the distal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76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ith an alignment foot 214 facing away from the spring 212. The alignment foot 214 has a vertical wall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positive X direction moving in the negative Y direction toward the back side of the carriage system 50 (see FIG. 5). The inclined surface of the alignment foot 214 can be contacted at various points along its length by an adjusting member, such as a rotatable screw member, such as, for example, The registration screw 215 extends and engages through a threaded passage formed by a threaded boss portion 216 locat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carriage body 75.

정렬 푸트(214)와 결합하도록 각도방향 정합 스크루(215)를 더 회전시켜, 검정 및 컬러의 X2 데이텀(182, 188)을 컬러 펜 챔버(82)를 향해 가압한다. 보스 부분(216)의 외부로 정합 스크루(215)를 회전시키면, 주벽(76)과 X2 데이텀(182, 188)이 스프링 부재(212)에 의해 제공되는 바이어싱 힘하에서 검정 펜 챔버(8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세타-Z 각도 조정은 전형적으로 초기 조립시에, 또는 현장 서비스 또는 유지 보수중에 수행된다.The angularly directional registration screw 215 is further rotated to engage the alignment foot 214 to press the black and color X2 datum 182,188 towards the color pen chamber 82. [ Rotation of the mating screw 215 outside of the boss portion 216 causes the peripheral wall 76 and the X2 datum 182 and 188 to move into the black pen chamber 80 under the biasing force provided by the spring member 212 . Such a theta-Z angle adjustment is typically performed during initial assembly, or during field service or maintenance.

유리하게는, 세타-Z 조정 시스템(210)은 캐리지 본체의 측벽(174)에 형성된 구멍(218)을 통하여 프로브(probe)(도시되지 않음)를 연장시킴으로서 작동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그러한 프로브는 검정 펜의 X1 데이텀(180)에 대한 주벽(76)의 X축 옵셋을 측정하기 위해 검정 펜의 X2 데이텀(182)과 교차한다. 다음으로,스크루(215)는 프로브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소망의 세타-Z 조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회전될 수 있다. 단일의 정합 부재의 조정을 통하여, 각 펜 챔버(80, 82)의 세타-Z 각도 정렬이 동시에 조정된다. 따라서, 검정 프린트헤드(64)와 컬러 프린트헤드(66) 모두의 노즐 열의 정렬이 용지 전진 Y축에 대하여 바르게 조정되며, 이는 인쇄된 화상에서의 톱니형 에러를 제거한다.Advantageously, the theta-Z adjustment system 210 may be operated by extending a probe (not shown) through a hole 218 formed in the side wall 174 of the carriage body. Next, such a probe intersects the black pen's X2 datum 182 to measure the X-axis offset of the peripheral wall 76 relative to the black pen's X1 datum 180. Next, the screw 215 can be rotated until the desired theta-Z adjustment is made, as measured by the probe. Through adjustment of a single mating member, theta-Z angular alignment of each pen chamber 80, 82 is simultaneously adjusted. Thus, alignment of the nozzle rows of both the black print head 64 and the color print head 66 is properly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paper advance Y-axis, which eliminates sawtooth errors in the printed image.

또한, 캐리지 본체(75)는 펜 노즈 안내 부재(220)를 포함하며, 이 안내 부재는 주벽(76)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대체로 T자형 부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T자형 안내 부재(220)는 캐리지 후방 벽(185)을 향해 펜(60, 62)을 위치시키는데 유리하다. 펜 장착 동안에, 그 안내 부재(220)는 펜의 노즈 부분(96, 134)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Y1 데이텀(112, 146)이 Y-Z 기준 로드(190)의 상부가 아니라 그 기준 로드의 뒤에 놓이게 한다.The carriage body 75 also includes a pen nose guide member 220 which may be composed of a generally T-shaped member 220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peripheral wall 76. The T-shaped guide member 220 is advantageous for positioning the pens 60 and 62 toward the carriage rear wall 185. [ During pen mounting, the guide member 220 presses back the nose portion 96, 134 of the pen such that the Y1 datum 112, 146 is not behind the YZ reference rod 190 but behind its reference rod do.

캐리지 후방 벽(185)의 전방면은 펜의 플렉스 탭 회로(100, 138)의 도체 패드에 분출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일련의 스프링 부하식 상호접속 핀(도시의 명료함을 위해 도면에서 생략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정 펜(60) 및 컬러 펜(62)에 대하여, 캐리지 상호접속 핀은 각각 화살표(222, 224)로 지시된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적합한 타입의 접속 핀 구성은 본 출원인인 휴렛-팩커드 컴퍼니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706,097 호 및 제 5,295,839 호에 나타내어져 있다.The front face of the carriage rear wall 185 is connected to a series of spring loaded interconnection pins (not shown in the figure for clarity of illustration) for transferring an ejection command to the conductive pads of the flex tap circuits 100, . For black pen 60 and color pen 62, the carriage interconnect pins may be located in the areas indicated by arrows 222 and 224, respectively. A suitable type of connection pin configuration is shown in U.S. Patent Nos. 4,706,097 and 5,295,839 assigned to the present Applicant Hewlett-Packard Company.

캐리지 후방 벽(185)의 후방면은 몇몇의 상이한 구성 요소를 위한 편리한 장착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펜에 분출 명령을 전송하는 가요성 도체(68)는 후방 벽(185)의 배면에 장착된 전자 디코딩 기판에 접속될 수 있다. 인쇄 영역(25) 및 서비스 스테이션 영역(52)을 횡단하여 캐리지 시스템(50)을 추진시키기 위해, 캐리지 구동 벨트(58)는 후방 벽(185)의 후방에 통상적인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캐리지 시스템(50)의 동적 안정성을 돕기 위해, 구동 벨트(58)는 캐리지 베어링(54)에 가능한 한 근접하여 캐리지 후방 벽(185)에 부착된다.The rear surface of the carriage rear wall 185 can provide a convenient mounting location for several different components. For example, the flexible conductor 68 that transmits the ejection command to the pen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coding board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ar wall 185. [ The carriage drive belt 58 may b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rear wall 185 in a conventional manner to propel the carriage system 50 across the print area 25 and the service station area 52. [ Preferably, the drive belt 58 is attached to the carriage rear wall 185 as close as possible to the carriage bearing 54, to assist the dynamic stability of the carriage system 50.

프린터 제어 장치(45)에 캐리지 위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엔코더 스트립(225)(제 1 도 참조)은 인쇄 영역(25)의 길이부를 따라, 그리고 서비스 스테이션 영역(52)을 거쳐 연장된다. 통상의 광학 엔코더 판독기(도시되지 않음)는 엔코더 스트립(225)에 의해 제공된 위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캐리지 후방 벽(185)의 배면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광학 엔코더 판독기가 프린트헤드(64, 66)의 노즐 판에 가능한 한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코더 스트립 판독기를 통해 위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캐리지에 구동 벨트(58)를 부착하는 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공지된 여러가지 다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Encoder strip 225 (see FIG. 1) extends along the length of print area 25 and through service station area 52 to provide carriage position feedback information to printer control unit 45. A conventional optical encoder reader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rriage rear wall 185 to read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encoder strip 225. In order to provide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optical encoder reader be position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nozzle plate of the printhead 64, 66. The method of attaching the drive belt 58 to the carriage as well as the method of providing position feedback information via the encoder strip reader may be accomplished in a variety of different way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작업시에, 프린터 하우징 덮개(230)가 개방된 상태에서(제 1 도) 펜의 핸들(90, 126)을 사용하여 펜(60, 62)을 캐리지(50)내에 삽입한다. 캐리지의 X2 및 X3 데이텀(182, 184, 188)의 테이퍼형 구조는 펜 챔버내에 펜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캐리지(50)내에 펜(60, 62)을 클램핑하도록 클램핑 레버(70, 72)를 하방으로 회전시킨다. 캐리지 시스템(50)에 의해 제공되는 펜 장착은 사용자가 클램핑 래치(70, 72)와 캠면(200, 202)을 작동시켜 캐리지 시스템(50)의 내외로 펜(60, 62)을 안내하는 것을 돕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간단하다. 다음으로, 캐리지 시스템(50)은 프린터 제어 장치(45)에 의한 지시에 따라 구동 벨트(58)를 거쳐 모터(56)를 작동시켜 안내 로드(48)를 따라 좌우로 이동된다. 펜(60, 62)은 플렉스 탭 회로 도체(68)를 지나 프린터 제어 장치(45)로부터 분출 명령을 수신한다. 작동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 캐리지는 정비, 유지 보수 및 프린터의 비사용 기간중의 캡핑(밀봉)을 위해 서비스 스테이션 영역(52)으로 펜(60, 62)을 복귀시킨다. 클램핑 레버(70, 72)를 올리고 핸들(90, 126)에 의해 캐리지로부터 펜을 들어 올림으로써 펜(60, 62)이 캐리지(50)로부터 쉽게 제거된다. 클램핑 레버의 안내 캠(207, 208)은 펜 제거중의 재밍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핑 레버로부터 펜을 밀어낸다. 유리하게, 프린터 덮개(230)가 개방된 때, 프린터 제어 장치(45)는 예를 들면,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영역(25)을 따라 있는 소정 장소(펜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소)로 캐리지를 이동시킨다.In operation, the pens 60, 62 are inserted into the carriage 50 using the handles 90, 126 of the pen with the printer housing lid 230 open (Fig. 1). The tapered structure of the X2 and X3 datums 182, 184 and 188 of the carriage allows for easy insertion of the pen into the pen chamber. Next, the clamping levers 70, 72 are rotated downward to clamp the pens 60, 62 in the carriage 50. The pen mounting provided by the carriage system 50 allows the user to actuate the clamping latches 70 and 72 and the cam surfaces 200 and 202 to assist in guiding the pens 60 and 62 into and out of the carriage system 50 So intuitively simple. Next, the carriage system 5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rod 48 by operating the motor 56 via the drive belt 58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from the printer control device 45. [ The pens 60 and 62 receive an ejection command from the printer control device 45 via the flex-tap circuit conductor 68. [ During periods of inactivity, the carriage returns the pens 60, 62 to the service station area 52 for maintenance, maintenance, and capping (sealing) during periods of inactivity of the printer. The pens 60 and 62 are easily removed from the carriage 50 by raising the clamping levers 70 and 72 and lifting the pen from the carriage by the handles 90 and 126. The guide cams 207 and 208 of the clamping lever push the pen out of the clamping lever to prevent jamming during pen removal. Advantageously, when the printer lid 230 is open, the printer control device 45 can be moved to a predetermined location along the print area 25, as shown, for example, in FIG. The carriage is mov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정렬(alignment)", "정합(registration)", "데이텀(datum)" 및 "기준(reference)"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의어이다. 그러나, 명료함을 돕기 위해, 단일의 캐리지 구성 요소와 관련해서는 이들 형용사들중 대체로 하나만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Y-Z 기준 로드(reference rod)(190)는 "정렬 로드", "데이텀 로드" 또는 "정합 로드"로 불릴 수도 있다. 또한, 챔버(80, 82)는 봉입 용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측벽(174, 176)과 같은 캐리지 본체의 부분이 생략될 수 있고, 주벽(76)과 결합하도록 펜(60, 62)을 가압하기 위해 다른 타입의 바이어싱 부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더욱이, 도시된 캐리지 시스템(50)은 한쌍의 펜을 보유하지만, 이들 개념은 두쌍의 펜, 즉 4-펜 시스템으로 쉽게 확장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그러한 4-펜 캐리지 시스템은 예를 들면, 캐리지 시스템(50)의 실질적인 거울상(mirror image)을 구성하고 측벽(176)을 결합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단일 벽으로 제조하는 것에 의해 캐리지(50)를 이중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s "alignment", "registration", "datum", and "reference" are all substantially synonymous. However, to assist clarity, only one of these adjectives has been used in relation to a single carriage component. For example, the Y-Z reference rod 190 may be referred to as an "alignment load", a "datum load", or a "matched load". The portion of the carriage body such as side walls 174 and 176 may be omitted and the pens 60 and 62 may be pressed to engage the peripheral wall 76, It will be apparent that other types of biasing members may be used. Moreover, it is evident that although the illustrated carriage system 50 has a pair of pens, these concepts can easily be extended to two pens, the four-pens system. Such a four-pence carriage system may include a carriage system 50, for example, by forming a substantial mirror image of the carriage system 50 and by combining the side walls 176, or more preferably, .

이점advantage

프린터(20)의 하드카피 출력물로서 시트(35)상에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하기 위해, 프린트헤드(64, 66)의 위치결정은 반복 가능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전체 인쇄 시스템에 대하여 정확하여야 한다. 즉, 빈 펜이 조작자에 의해 교체될 때, 가득찬 새로운 펜의 정렬이 빈 펜에서와 동일하여야 한다. 펜(60, 62)의 위치결정은 인쇄 매체상의 잉크 방울의 정합을 제어하는 주요 변수중 하나이다. 캐리지 시스템(50)은 그 캐리지에 대한 펜의 기준을 부여하고 프린터에 대한 캐리지의 기준을 부여하는 데이텀의 전략적 선택을 통하여 펜을 위치결정시킨다.In order to provide a high quality image on the sheet 35 as a hard copy output of the printer 20, the positioning of the print heads 64, 66 must be repeatable, It should be correct. That is, when the empty pen is replaced by the operator, the alignment of the filled new pen must be the same as that of the blank pen. Positioning of the pens 60 and 62 is one of the main variables controlling the registration of ink droplets on the printing medium. The carriage system 50 positions the pen through strategic selection of a datum that gives the pen a reference to the carriage and gives a carriage's reference to the printer.

펜(60, 62)의 X축 위치결정은 X 데이텀들이 서로 대면하도록 펜의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제공된다. 도시된 캐리지 시스템(50)에서, 검정 펜의 X 데이텀(104, 106, 108)은 컬러 펜의 X 데이텀(140, 142, 144)과 대면하며, 주벽(76)과 X3 정렬 핀(184)이 그 사이에 끼워진다. 펜 사이에 주벽(76)을 끼움으로써, 그 주벽(76)의 두께는 데이텀이 모두 펜의 일 측면에 위치되고 펜 두께의 공차의 편차에 의해 영향을 받는 위치에서 DeskJet(등록상표) 1200과 같은 종래의 설계에서보다 더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3개의 X 데이텀중, X1 데이텀(104, 140)(펜)과 데이텀(182,188)(캐리지)은, 이들 데이텀이 프린트헤드(64, 66)의 노즐에 가장 근접하여 있기 때문에, 정확한 잉크 방울 배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The X-axis positioning of the pens 60, 62 is provided by determining the orientation of the pen so that the X datums face each other. In the illustrated carriage system 50, the X datum 104, 106, 108 of the black pen faces the X datum 140, 142, 144 of the color pen and the peripheral wall 76 and the X3 alignment pin 184 It is sandwiched between them. By inserting the peripheral wall 76 between the pens, the thickness of the peripheral wall 76 is such that the datum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pen and is affected by variations in the tolerance of the pen thickness, such as DeskJet (TM) 1200 It can be controlled more easily than in the conventional design. Of the three X datums, the X1 datum 104, 140 (pen) and datum 182, 188 (carriage) are located in the correct ink droplet placement, because these datums are closest to the nozzles of the print heads 64, And is thought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바람직하게, 펜(60, 62)의 Y축 위치결정은 삽입 성형된 베어링(54)의 중심선(194)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캐리지 본체(75)내에 Y-Z 기준 로드(190)를 삽입 성형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리지 안내 로드(48)에 의해 형성되는 캐리지 주사 축선에 대하여, Y 및 Z 데이텀에 대한 펜의 정확한 정렬이 제공된다. 2가지 캐리지 특징은 펜을 위한 Y1 및 Z 데이텀의 정확한 정렬에 기여한다. 첫째, V홈형 베어링(5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압입 끼워맞춤 오차가 없는 무간극 베어링으로서 캐리지 본체(75)에 삽입 성형된다. 이 베어링(54)의 삽입 성형은 종래의 인쇄 기구에서 프레스 성형된 원통형 부싱을 사용할 때 보통 발생하는 Y 위치 오차와 세타-Z 오차의 공통적인 요인을 제거한다.The Y axis positioning of the pens 60 and 62 is preferably achieved by insert molding the YZ reference rod 190 into the carriage body 75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enter line 194 of the insert molded bearing 54 . In this manner, with respect to the carriage scan axis formed by the carriage guide rod 48, precise alignment of the pen with respect to the Y and Z datum is provided. The two carriage features contribute to the precise alignment of the Y1 and Z datum for the pen. First, the V-groove bearing 54 is inserted and molded into the carriage body 75 as a gapless bearing without a press fitting erro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sert molding of this bearing 54 eliminates the common factors of the Y position error and theta-Z error that normally occur when using a press-formed cylindrical bushing in a conventional printing press.

Y1 및 Z 데이텀의 정확한 정렬에 기여하는 두번째 특징은 직선 기준 로드(190)를 따라 펜의 Y1 데이텀(112, 146)을 정렬시키는 개념에 관한 것이다. 기준 로드(190)는 검정 및 컬러 펜의 Y1 데이텀(112, 146) 사이 거리의 대략 2배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Y-Z 기준 로드(190)는 양 단부에서 캐리지 본체 포켓(191, 192)에 의해 정확하게 지지된다. 유리하게, Y 방향 위치 오차는 지지체(191, 192) 사이의 거리가 펜의 Y1 데이텀(112, 146) 사이의 거리의 2배만큼 길기 때문에, 기준 로드(190)의 단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치 오차의 대략 절반이다.A second feature that contributes to the accurate alignment of the Y1 and Z datums relates to the concept of aligning the Y1 datum 112, 146 of the pen along a straight line reference 190. The reference rod 190 preferably has a length that is approximately two times the distance between the Y1 datum 112, 146 of the black and colored pen. In addition, the Y-Z reference rod 190 is accurately supported by the carriage body pockets 191, 192 at both ends. Advantageously, the Y-directional positional error is at any position that may occur at the end of the reference rod 190,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191, 192 is twice as long as the distance between the Y1 datum 112, It is roughly half of the error.

펜(60, 62)의 세타-Z 위치결정은 단일의 정합 기구(210)를 조정함으로써 제어되는 것이 유리하다. 주벽(76)의 검정 펜 챔버측으로부터 세타-Z 조정을 함으로써, 프린트헤드(64)의 검정 펜 노즐의 정렬이 최적화된다. 도시된 실시에에서는 검정 펜 노즐을 최적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것은 검정 펜(60)이 0.53cm(0.21인치) 정도인 프린트헤드(66)의 각 군의 컬러 노즐의 열 높이에 비하여, 1.27cm(0.5인치) 정도로 보다 큰 노즐 열 높이를 가지기 때문이다. 컬러 펜의 X2 데이텀(188)의 모든 두께 오차가 컬러 펜(62)에 대한 모든 세타-Z 위치 오차에 더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그러나, X2 데이텀(182, 188)에 대한 모든 두께 오차의 영향은 원통형 부재(182, 188)의 사용을 통해 최소화된다. 또한, 원통형 부재(182, 188)를 사용하면, 세타-Z 조정에 의한 X2 데이텀 비임의 뒤틀림으로 인한 컬러 펜(62)의 위치 오차를 최소화하는데 유리하다.It is advantageous that the theta-Z positioning of the pens 60, 62 is controlled by adjusting a single matching mechanism 210. By performing theta-Z adjustment from the black pen chamber side of the peripheral wall 76, the alignment of the black pen nozzles of the print head 64 is optimized. It is desirable to optimize the black pen nozzle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ecause the black pen 60 is 1.27 cm (0.21 inches) more than the column height of each group of color nozzles of the print head 66, 0.5 inches). ≪ / RTI > It is clear that all thickness errors of the X2 datum 188 of the color pen can be added to all theta-Z position errors for the color pen 62. [ However, the effect of all thickness errors on X2 datum 182,188 is minimized through the use of cylindrical members 182,188. In addition, the use of the cylindrical members 182, 188 is advantageous in minimizing the position error of the color pen 62 due to distortion of the X2 datum beam by theta-Z adjustment.

캐리지 시스템(50)은 비교적 얇은 주벽(76)과 높은 공차의 핀(184)의 사용을 통하여, 본질적으로 정확한 X축 기준설정을 제공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X축 및 Y축 기준설정 기구는 고가의 2차적인 기계가공 작업을 요하지 않고 기계가공 공차에 접근할 수 있다. 세타-Z 정합 기구(210)는 경제적인 성형 정렬 푸트(214)와 조정 스크루(215)를 사용하여, 기계가공 공차로의 펜의 동시 조정을 정확히 제공한다.The carriage system 50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providing an essentially accurate X-axis reference setting through the use of relatively thin peripheral walls 76 and high tolerance pins 184. The X-axis and Y-axis setting mechanisms can access machining tolerances without requiring expensive secondary machining operations. Theta-Z mating mechanism 210 uses an economical forming alignment foot 214 and an adjusting screw 215 to accurately provide simultaneous adjustment of the pen to machining tolerances.

레버 작동식 클램핑 레버(70, 72)는 종래의 시스템에서보다 클램핑중에 펜에 보다 제어된 힘의 인가를 제공한다. 여기서, 조작자는 인쇄 위치에 펜을 안착시키기 위해 펜을 직접 조작하기보다는 클램핑 레버(70, 72)를 조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종래의 프린터 설계에서는 클램핑중에 종종 발생되었던 것과 같은, 펜에 대해 잠재적으로 손상을 입히는 횡방향의 힘을 방지한다. 캐리지 시스템(50)의 다른이점은 X 바이어싱 굴곡 부재(170, 172)를 위한 바이어싱 코일 스프링(178)을 사용하는 것에 있다. 코일 스프링(178)은 휨 두께의 작은 제조 편차에 의한 보다 큰 힘의 편차를 받게 되어 있던 종래의 휨 스프링 설계보다 정확한 바이어싱 힘 제어를 제공한다. 따라서, 캐리지 시스템(50)의 X 바이어싱 기구는 보다 정확한 바이어싱 힘 제어를 제공한다.The lever-operated clamping levers 70, 72 provide more controlled force application to the pen during clamping than in conventional systems. Here,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clamping levers 70, 72 rather than directly manipulating the pen to seat the pen at the print position. In this way, conventional printer designs prevent lateral forces that potentially damage the pen, such as often encountered during clamping. Another advantage of the carriage system 50 lies in the use of a biasing coil spring 178 for the X biasing flexing members 170, The coil spring 178 provides more accurate biasing force control than conventional flexure spring designs that were subject to greater force deviations due to small manufacturing variations in flexure thickness. Thus, the X-biasing mechanism of the carriage system 50 provides more accurate biasing force control.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이중 잉크젯 펜 캐리지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잉크젯 인쇄 기구의 부분 파단 사시도,1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of an inkjet printing apparatus having a dual inkjet pen carriage system of on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제 1 도의 이중 잉크젯 펜 캐리지 시스템의 전방 사시도로서, 펜 래치가 개방된 상태로 2개의 펜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dual inkjet pen carriage system of FIG. 1, showing that the pen latch holds two pens in an open state; FIG.

제 3 도는 제 1 도의 2개의 펜의 후방 사시도로서, 캐리지 시스템내에서 배향된 것과 같이 나란히 도시한 도면,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wo pens of FIG. 1, which is a side view as oriented in a carriage system,

제 4 도는 제 1 도의 2개의 펜의 전방 사시도로서, 캐리지 시스템내에서 배향된 것과 같이 나란히 도시한 도면,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wo pens of FIG. 1, which is a side view as oriented in a carriage system,

제 5 도 및 제 6 도는 다른 각도에서 취해진 제 1 도의 캐리지 시스템의 전방 사시도로서, 펜 수용 챔버의 상이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펜이 제거된 상태의 도면,FIGS. 5 and 6 are front perspective views of the carriage system of FIG. 1 taken at different angles, with the pen removed to show different features of the pen accommodation chamber,

제 7 도는 제 1 도의 캐리지 시스템의 저면 사시도로서, 천이 제거된 상태의 도면,FIG.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arriage system of FIG. 1,

제 8 도는 제 1 도의 캐리지 시스템의 저면 사시도로서, 인쇄를 위해 펜 래치가 폐쇄된 상태로 2개의 펜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arriage system of FIG. 1, showing that two pens are held with the pen latch closed for printing;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20 : 잉크젯 프린터 25 : 인쇄 영역20: inkjet printer 25: printing area

50 : 이중 잉크젯 펜 캐리지 시스템50: Dual inkjet pen carriage system

60 : 검정 잉크 카트리지 62 : 컬러 잉크 카트리지60: Black ink cartridge 62: Color ink cartridge

70, 72 : 클램핑 레버 75 : 캐리지 본체70, 72: clamping lever 75:

76 : 주벽 80 : 검정 펜 챔버76: peripheral wall 80: black pen chamber

82 : 컬러 펜 챔버 104, 140 : X1 데이텀82: color pen chamber 104, 140: X1 datum

106, 142 : X2 데이텀 108, 144 : X3 데이텀106, 142: X2 datum 108, 144: X3 datum

110, 145 : Z 데이텀 112, 146 : Y1 데이텀110, 145: Z datum 112, 146: Y1 datum

114, 148 : Y2 데이텀 115, 155 : 래칭 랜드114, 148: Y2 datum 115, 155: Latching land

174, 176: 측벽 178 : 코일 스프링174, 176: side wall 178: coil spring

180, 186 : X1 데이텀 180' : X1 데이텀 핀180, 186: X1 datum 180 ': X1 datum pin

182, 188 : X2 데이텀 184 : X3 테이텀182, 188: X2 datum 184: X3 Tatum

190 : 기준 로드 200, 202 : 스프링 부하 캠면190: reference rod 200, 202: spring loaded cam face

203, 204 : 스프링판 부재 205 : 코일 스프링203, 204: spring plate member 205: coil spring

207, 208 : 안내 캠 210 : 세타-Z 조정 기구207, 208: Guide cam 210: Seta-Z adjustment mechanism

212 : 코일 스프링 214 : 조정 푸트212: coil spring 214: adjusting foot

215 : 스크루 220 : 안내 부재215: screw 220: guide member

Claims (12)

잉크젯 인쇄 기구(20)의 인쇄 영역(25)을 횡단하여 한쌍의 잉크젯 펜(60, 62)을 주사하기 위한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50)에 있어서,A double pen carriage system (50) for scanning a pair of inkjet pens (60, 62) across a printing region (25) of an inkjet printing mechanism (20) 상기 한쌍의 펜(60, 62)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데이텀(180, 180', 182, 184; 180', 184, 186, 188)을 각각 형성하는 2개의 대향 측면을 갖는 주벽(76)을 구비하는 캐리지 본체(75)와;And having two opposing side faces each configured to fit between the pair of pens 60 and 62 and defining one or more datums 180, 180 ', 182, 184, 180', 184, 186, (76); 상기 주벽의 데이텀(180, 180', 182, 184; 180', 184, 186, 188)과 접촉하도록 각 펜(60, 62)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캐리지 본체에 의해 지지된 바이어스 기구(170, 172)를 포함하는(170, 172) supported by the carriage body to press each pen (60, 62) to contact the datum of the peripheral wall (180, 180 ', 182, 184; 180', 184, 186, )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Double pen carriage system. 잉크젯 인쇄 기구(20)의 인쇄 영역(25)을 횡단하여 한쌍의 잉크젯 펜(60, 62)을 주사하기 위한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50)에 있어서,A double pen carriage system (50) for scanning a pair of inkjet pens (60, 62) across a printing region (25) of an inkjet printing mechanism (20) 상기 한쌍의 펜(60, 62)을 그 사이에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측벽(174, 176)을 형성하는 캐리지 본체(75)와;A carriage body (75) defining two side walls (174, 176) for receiving said pair of pens (60, 62) therebetween; 상기 펜(60, 62)에 접촉하여 상기 펜(60, 62)을 2개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2개의 측벽(174, 176) 사이에서 연장되는 기준 로드(190)를 포함하는Includes a reference rod (190) extending between the two side walls (174, 176) for contacting the pen (60, 62) to align the pen (60, 62) in two orthogonal directions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Double pen carriage system. 잉크젯 인쇄 기구(20)의 인쇄 영역(25)을 횡단하여 한쌍의 잉크젯 펜(60, 62)을 주사하기 위한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50)에 있어서,A double pen carriage system (50) for scanning a pair of inkjet pens (60, 62) across a printing region (25) of an inkjet printing mechanism (20) 상기 한쌍의 펜(60, 62)을 수용하기 위한 한쌍의 펜 챔버(80, 82)를 형성하는 캐리지 본체(75)로서, 상기 펜 챔버(80, 82)가 회전 정합 부분(214)을 갖는 주벽(76)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캐리지 본체(75)와;A carriage body (75) for forming a pair of pen chambers (80, 82) for receiving the pair of pens (60, 62), wherein the pen chambers (80, 82) Said carriage body (75) being separated by a guide (76); 각도방향으로 각 펜 챔버(80, 82)의 정렬을 동시에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정합 부분(214)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캐리지 본체(75)에 의해 지지된 조정부재(215)를 포함하는Includes an adjustment member (215) supported by the carriage body (75) to selectively engage the mating portion (214) to simultaneously adjust the alignment of each pen chamber (80, 82)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Double pen carriage system. 프린트헤드(64, 66)와, 래칭 랜드(115, 155)를 지지하며 상기 프린트헤드에 대향하는 표면(94, 130)을 각각 구비하는 한쌍의 잉크젯 펜(60, 62)을 잉크젯 인쇄 기구(20)의 인쇄 영역(25)을 횡단하여 주사하기 위한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50)에 있어서,A pair of inkjet pens (60, 62) bearing printheads (64, 66) and latching lands (115, 155) and having surfaces (94, 130) In a double-pen carriage system (50) for scanning across a print area (25) 상기 한쌍의 펜(60, 62)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각 펜(60, 62)에 접촉하여 상기 펜을 정렬시키기 위해 다수의 데이텀(180, 180', 182, 184, 190, 196; 180', 184, 186, 188, 190, 198)을 형성하는 캐리지 본체(75)와;180 ', 182, 184, 190, 196; 180') configured to receive the pair of pens (60, 62) and to contact the respective pens (60, 62) , 184, 186, 188, 190, 198); 상기 데이텀(180, 180', 182, 184, 190, 196; 180', 184, 186, 188, 190, 198)과 접촉하도록 각 펜을 가압하기 위해, 각 펜(60, 62)의 상기 래칭 랜드(115,155)로 폐쇄할 때에 선택된 방향으로 제어된 힘을 인가하도록 상기 캐리지 본체(75)에 연결된 래치 기구(70, 72)를 포함하는The respective lugs of the respective pads 60 and 62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to press each pen to contact the datum 180, 180 ', 182, 184, 190, 196; 180', 184, 186, 188, (70, 72) connected to the carriage body (75) to apply a controlled force in a selected direction when closing the carriage body (115, 155)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Double pen carriage system. 래칭 랜드(115, 155)를 지지하는 상부 표면(94, 130)을 각각 구비하는 한쌍의 잉크젯 펜(60, 62)을 잉크젯 인쇄 기구(20)의 인쇄 영역(25)을 횡단하여 주사하기 위한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50)에 있어서,A pair of inkjet pens 60 and 62 each having an upper surface 94 and 130 for supporting the latching lands 115 and 155 are provided for scanning across the printing area 25 of the inkjet printing mechanism 20, In the pen carriage system 50, 상기 한쌍의 펜(60, 62)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측벽(174, 176) 사이에 한쌍의 펜 챔버(80, 82)를 형성하는 캐리지 본체(75)로서, 상기 캐리지 본체(75)는 상기 펜 챔버(80, 82)를 분리시키고 각 펜 챔버(80, 82)내에 하나 이상의 데이텀(180, 180', 182, 184; 180', 184, 186, 188)을 형성하는 주벽(76)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주벽(76)은 회전 정합 부분(214)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캐리지 본체(75)는 각 펜 챔버(80, 82)내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데이텀(196, 198)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캐리지 본체(75)와;A carriage body 75 forming a pair of pen chambers 80 and 82 between two side walls 174 and 176 for receiving the pair of pens 60 and 62, To form a peripheral wall 76 that separates the pen chambers 80 and 82 and forms one or more datums 180, 180 ', 182, 184, 180', 184, 186 and 188 in each of the pen chambers 80 and 82 And the carriage body 75 defines at least one other datum 196, 198 in each of the pen chambers 80, 82, , The carriage body (75); 각 펜 챔버(80, 82)에서 하나의 바이어스 부재가 각 펜(60, 62)을 가압하여 상기 주벽의 데이텀(180, 180', 182, 184; 180', 184, 186, 188)과 접촉하도록 상기 캐리지 본체(75)에 의해 지지된 한쌍의 바이어스 부재(170, 172)와;One biasing member in each of the pen chambers 80 and 82 urges each pen 60 and 62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datum 180 of the peripheral wall, 180 ', 182, 184; 180', 184, 186 and 188 A pair of biasing members (170, 172) supported by the carriage body (75); 상기 펜(60, 62)을 2개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데이텀을 형성하도록 2개의 상기 측벽(174, 176) 사이에서 양 펜 챔버(80, 82)를 통하여 연장되는 기준 로드(190)와;A reference rod (190) extending through the two pen chambers (80, 82) between the two sidewalls (174, 176) to form a datum that aligns the pens (60, 62) in two orthogonal directions; 각도방향으로 각 펜 챔버(80, 82)의 정렬을 동시에 조정하기 위해 상기 회전정합 부분(214)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캐리지 본체(75)에 의해 지지된 조정 부재(215)와;An adjustment member (215) supported by said carriage body (75) to selectively engage said rotationally mating portion (214) to simultaneously adjust alignment of each pen chamber (80, 82) in an angular direction; 상기 데이텀(180, 180', 182, 184, 190, 196; 180', 184, 186, 188, 190, 198)과 접촉하도록 각 펜을 가압하기 위해, 폐쇄시에 각 펜(60, 62)의 상기 래칭 랜드(115, 155)에 제어된 힘을 선택된 방향으로 인가하도록 상기 캐리지 본체(75)에 연결된 래치 기구(70, 72)를 포함하는To force each pen to contact the datum 180, 180 ', 182, 184, 190, 196; 180', 184, 186, 188, 190, 198, (70, 72) coupled to the carriage body (75) to apply a controlled force to the latching lands (115, 155) in a selected direction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Double pen carriage system.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주벽 측면은 표면이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된 데이텀(180', 182, 184; 180', 184, 188) 또는 편평한 데이텀(180; 186)일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데이텀을 각각 형성하는The circumferential wall side is formed by forming at least two datums each of which may be a datum (180 ', 182, 184; 180', 184, 188) or a flat datum 180 (186)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Double pen carriage system.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주벽 측면은 3개의 데이텀(180, 180', 182, 184; 180', 184, 186, 188)을 각각 형성하며;The circumferential wall side forming three datums 180, 180 ', 182, 184; 180', 184, 186 and 188, respectively; 각 펜(60; 62)은 잉크를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프린트헤드(64: 66)와, 상기 캐리지 본체(75)내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주벽의 데이텀(180, 180', 182,184: 180', 184, 186, 188)에 접촉하기 위한 3개의 정합 데이텀(104, 106, 108; 140, 142, 144)이 연장되는 내측 측벽(88; 122)을 구비하며;Each of the pens 60 and 62 includes a print head 64 for selectively injecting ink and a plurality of pads 60 and 62 for mounting the datum 180, 180 ', 182, 184, 180' Having three inner datum walls (88; 122) extending therefrom for contacting three matching datums (104, 106, 108; 140, 142, 144) 각 주벽 측면상에는 제 1 데이텀(180, 180'; 180', 184)이 프린트헤드 부분의 노즈 부분(96, 134)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제 2 데이텀(182; 188)이 상기 제 1 데이텀(180, 180'; 180', 184)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위치되고, 제 3 데이텀(184; 184)이 상기 제 1 데이텀(180, 180'; 180', 184)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188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nose portions 96 and 134 of the print head portion and the second datum 182 and 188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datum 182 180 ', 180', 184) and a third datum (184; 184) is positioned vertically from the first datum (180, 180 ' system. 제 2 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상기 기준 로드(190)는 2개의 상기 측벽(174, 176)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제 1 길이부를 가지며;The reference rod 190 has a first length to extend between the two side walls 174, 176; 각 펜(60, 62)이 프린트헤드 부분의 노즈 부분(96, 134)과, 상기 기준 로드(190)에 대하여 안착하도록 상기 노즈 부분(96, 134)에 인접하게 위치된 2개의 직교하는 정렬 데이텀을 포함하는 한 세트의 로드 데이텀(110, 112; 145, 146)을 가지며;Each pen 60 and 62 has a nose portion 96,134 of the print head portion and two orthogonal alignment datum 82 positioned adjacent the nose portion 96,134 to seat against the reference rod &(110,112; 145,146) comprising a set of load datum (110,112; 상기 캐리지 본체(75)는 상기 펜(60, 62)이 상기 캐리지 본체(75)내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펜을 위한 상기 로드 데이텀(110, 112; 145, 146)의 세트가 상기 제 1 길이부의 40% 내지 60%의 거리만큼 분리된 상태로 상기 펜(60, 62)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The carriage body 75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t of rod datums 110, 112, 145, 146 for the pen when the pens 60, 62 are mounted within the carriage body 75, Is configured to hold the pen (60, 62)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by a distance of 40% to 60%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Double pen carriage system.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상기 캐리지 본체(75)가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며;The carriage body 75 is molded of a plastic material; 상기 캐리지 시스템(50)은 상기 인쇄 영역(25)을 횡단하여 주사 축선(194)을 따라 상기 펜(60, 62)을 주사하기 위해 안내 로드(48)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캐리지 본체(75)에 삽입 성형된 한쌍의 베어링(54)을 더 포함하며;The carriage system 50 includes a carriage body 75 for slidingly engaging a guide rod 48 to scan the pen 60 and 62 along a scan axis 194 across the print area 25. The carriage system 50 includes a carriage body 75,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bearings (54) inserted and molded into the bearing (54); 상기 기준 로드(190)가 상기 주사 축선(194)에 평행한 상태로 각 측벽(174, 176)에서 상기 캐리지 본체(75)내에 삽입 성형되는The reference rod 190 is inserted and molded into the carriage body 75 at each of the side walls 174 and 176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axis 194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Double pen carriage system.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상기 한쌍의 펜 챔버(80, 82)가 제 1 및 제 2 챔버를 포함하며;Said pair of pen chambers (80, 82)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chamber; 상기 정합 부분(214)이 상기 제 1 챔버(80)를 향해 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가지며;Wherein the mating portion (214) has an inclined surface at an angle to the first chamber (80); 상기 캐리지 시스템(50)은 상기 제 1 챔버(80)를 향해 상기 주벽(76)을 바이어스시키도록 바이어싱 부재(212)를 더 포함하며;The carriage system (50) further includes a biasing member (212) to bias the peripheral wall (76) toward the first chamber (80); 상기 조정 부재(215)는 상기 제 1 챔버(80)로부터 그리고 상기 제 2 챔버(82)를 향해 상기 주벽(76)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경사면에 결합하는The adjustment member 215 is coupled to the inclined surface to press the peripheral wall 76 from the first chamber 80 and toward the second chamber 82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Double pen carriage system.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캐리지 본체(75)는 상기 한쌍의 펜(60, 62)을 수용하도록 상기 한쌍의 펜 챔버(80, 82)를 형성하며;The carriage body (75) defines the pair of pen chambers (80, 82) to receive the pair of pens (60, 62); 상기 래치 기구는 상기 한쌍의 챔버(80, 82)중 각 하나에 인접하여 상기 캐리지 본체(75)에 각각 피벗되는 한쌍의 래치 부재(70, 72)를 포함하는The latch mechanism includes a pair of latch members (70, 72) pivotally mounted on the carriage body (75) adjacent each one of the pair of chambers (80, 82)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Double pen carriage system. 제 11 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각 래치 부재(70, 72)가,Each of the latch members (70, 72) 본체와;A body; 상기 래치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캐리지 시스템(50)내에 장착된 상기 펜(60, 62)의 상기 래칭 랜드(115, 155)에 결합하기 위한 캠면(200, 202)을 갖는 결합 부재(203, 204)와;A coupling member 203 having a cam surface 200, 202 for engaging the latching lands 115, 155 of the pen 60, 62 mounted in the carriage system 50 when the latch member is in the closed position, 204;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결합 부재(203, 204)를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바이어싱 부재(205)를 포함하는And a biasing member (205) for biasing the engagement members (203, 204) from the body 이중 펜 캐리지 시스템.Double pen carriage system.
KR1019960005377A 1995-03-02 1996-02-29 Double Pen Carriage System KR10040256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924495A 1995-03-02 1995-03-02
US08/399,244 1995-03-02
US08/399244 1995-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762A KR960033762A (en) 1996-10-22
KR100402568B1 true KR100402568B1 (en) 2004-03-09

Family

ID=2357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377A KR100402568B1 (en) 1995-03-02 1996-02-29 Double Pen Carriage Syste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3) EP1018436B1 (en)
JP (1) JP3856864B2 (en)
KR (1) KR100402568B1 (en)
CN (1) CN1083340C (en)
DE (3) DE69529779T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7863B2 (en) 2001-04-09 2003-10-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cartridge latching system
US6655793B2 (en) * 2002-03-26 2003-1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cartridge supporting apparatus
US6692102B2 (en) * 2002-07-17 2004-02-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head-assembly-to-support-structure Z-axis datuming in a printing device
EP1647405A1 (en) * 2004-10-13 2006-04-19 BOWA Bosse + Wagner oHG Apparatus for hermetically transporting and storing a replaceable ink cartridge for use in ink jet printer
JP5353755B2 (en) * 2010-02-19 2013-11-27 株式会社リコー Image forming apparatus
US8770106B2 (en) 2010-02-25 2014-07-08 Eastman Kodak Company Printer component mounting and alignment system
CN102642403B (en) * 2012-05-08 2014-07-2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Ink-jet printer
US9908333B2 (en) 2014-06-06 2018-03-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atching systems
US9427973B1 (en) * 2016-03-22 2016-08-30 Dataprint Technology, Inc. Postage meter printer module and housing therefor
US10994562B2 (en) 2017-04-25 2021-05-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head carriages
WO2018222194A1 (en) 2017-06-01 2018-12-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head carriages with mechanical protectors
US11254124B2 (en) 2019-03-29 2022-02-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ejecting device including first endmost liquid ejecting head having liquid ejecting portion positioned deviated toward second endmost liquid ejecting head
CN111137019B (en) * 2020-01-16 2020-12-22 库玛(厦门)***集成有限公司 Ink horn mount pad and portable ink jet numbering machine of many specifications of adaptation ink hor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3481A (en) 1985-12-06 1987-07-28 Hewlett-Packard Company Thermal ink jet common-slotted ink feed printhead
US4706097A (en) 1986-04-03 1987-11-10 Hewlett Packard Company Near-linear spring connect structure for flexible interconnect circuits
US4907018A (en) 1988-11-21 1990-03-06 Hewlett-Packard Company Printhead-carriage alignment and electrical interconnect lock-in mechanism
US5212502A (en) * 1992-03-04 1993-05-18 Eastman Kodak Company Ink jet print head mounting mechanism
US5278584A (en) 1992-04-02 1994-01-11 Hewlett-Packard Company Ink delivery system for an inkjet printhead
US5295839A (en) 1993-03-16 1994-03-22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interconnectingly engaging circuits
US5392063A (en) * 1993-04-30 1995-02-21 Hewlett-Packard Company Spring cartridge clamp for inkjet printer carriage
DE69404534T2 (en) * 1993-04-30 1997-12-04 Hewlett Packard Co Contact pad arrangement on a plastic print cartridge
US5366305A (en) 1993-06-09 1994-11-22 Hewlett-Packard Company Two-line contact carriage bearing sub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29779D1 (en) 2003-04-03
DE69519790T2 (en) 2001-04-19
EP1234679B1 (en) 2005-07-20
KR960033762A (en) 1996-10-22
EP1234679A2 (en) 2002-08-28
EP0729844A1 (en) 1996-09-04
EP1234679A3 (en) 2002-11-27
EP1018436A3 (en) 2000-11-22
EP1018436A2 (en) 2000-07-12
JP3856864B2 (en) 2006-12-13
EP0729844B1 (en) 2001-01-03
CN1138527A (en) 1996-12-25
DE69534328D1 (en) 2005-08-25
DE69529779T2 (en) 2003-11-27
CN1083340C (en) 2002-04-24
DE69519790D1 (en) 2001-02-08
JPH08244230A (en) 1996-09-24
EP1018436B1 (en) 2003-02-26
DE69534328T2 (en)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617A (en) Ink container configured for use with compact supply station
US6890056B2 (en) Print cartridge servicing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using stationary print cartridges
EP1375157B1 (en) Capping system for a printhead
EP0993954B1 (en) Inkjet printing system using a modular print cartridge assembly
US6840598B2 (en) Automatic printhead-to-media spacing adjustment system
KR100402568B1 (en) Double Pen Carriage System
JP3217610B2 (en) Ink jet record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6220689B1 (en) Unitary capping system for multiple inkjet printheads
US6164771A (en) Compact print cartridge with oppositely located fluid and electrical interconnects
US6152444A (en) Shuttling media movement system for hardcopy devices
US6609779B2 (en) Bellows capping system for inkjet printheads
US20020057317A1 (en) Ink container configured for use with printer
EP0650847B1 (en) A recording apparatus with an ink tank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having said recording apparatus
US6913353B2 (en) Inkjet fixer fluid applicator
EP0953456A1 (en) Integrated reciprocating cartridge architecture with integral bearings
JP3453951B2 (en) Ink jet recording device
JPH04247942A (en) Recording head device, ink tank device, ink jet head cartridg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devices and ink jet recorder
US20230391117A1 (en) Inkjet module with printhead nest assembly
JP2004042417A (en) Ink jet recorder
JPH0725006A (en) Ink jet rec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