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016B1 -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 - Google Patents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016B1
KR100402016B1 KR10-1999-0052612A KR19990052612A KR100402016B1 KR 100402016 B1 KR100402016 B1 KR 100402016B1 KR 19990052612 A KR19990052612 A KR 19990052612A KR 100402016 B1 KR100402016 B1 KR 100402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closed
lance
ai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090A (ko
Inventor
고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52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016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16Arrangements of tuye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힘방지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을 위한 폐스컴 취입랜스의 노즐부분이 폐스컴의 이물질로 인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노즐부분이 막히게 되어도 이를 손쉽게 개공토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은, 취입펌프로서 폐스컴이 공급되는 내부 폐스컴관(10)과 에어를 공급토록 하는 내부 에어관(20) 및 각 선단부에 형성되어 폐스컴 및 에어를 분사시키는 제 1 폐스컴 및 에어 노즐(12)(22)을 갖추고 용광로(2)의 열풍로(3) 하측에 설치되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1)에 있어서, 상기 제 1 폐스컴 및 에어 노즐(12)(22)의 전방으로 내부에 경사진 다수의 제 2 에어노즐(34)과 직선의 제 2 폐스컴노즐(32) 및, 에어와 폐스컴의 분사효율을 높이도록 상기 제 2 폐스컴 및 에어노즐(32)(34)이 통하는 믹싱노즐(36)을 구비하여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전방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산용 노즐수단(30); 및,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후방에 밀폐토록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외부에 돌출되는 손잡이(42)로서 랜스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 1,2 폐스컴노즐(12)(32) 및 믹싱노즐(36)을 개공시키는 개공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Lance for blowing waste scum in blast furnace with closing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제철공장에서 사용된 기계 작동 폐유인 폐스컴(scum)을 용광로내에 취입토록 하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폐스컴을 이용한 취입작동시 폐스컴내의 이물질에 의한 랜스 노즐부분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하며, 동시에 막힘현상이 발생하여도 이를 간단하게 개공시킬 수 있도록 한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는 직립로 아래에서 송풍하여 연소시키는 형식으로, 광석, 석탄 코크스 및, 용제를 혼합하여 상부에서 투입, 슬래그를 로상의 탕면에 부상시키고 아래부분에 금속을 철강 분리하면서 제련하고, 이의 부속설비로는 예를 들어, 열풍로(공기 가열로), 급광장치, 제진기등이 있으며, 통상 용광로는 높이가 높기때문에 고로라고도 한다.
한편, 상기 열풍로는 평로 같은 데에서 발생되는 폐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장치인데, 통상 2개가 교대로 사용되면서 연속적으로 고온의 공기를용광로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용광로의 연료로는 코크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함께 용광로의 연료효율 및 연료비 절감을 위해서 폐스컴(scum)을 이용한 폐스컴 취입랜스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이와 같은 폐스컴은 기계 작동유로서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폐유로서 종래에는 소각로등에서 소각 처리하였으나, 현재에는 산업이 발달되어 상기 폐스컴의 발생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더욱이 폐스컴을 열원으로 이용함에 따른 대기 환경문제가 해결되고 있어, 이와 같은 폐스컴을 이용한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폐스컴 취입랜스는 폐스컴의 소각을 의한 별도의 소각비용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용광로의 연료비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폐스컴을 이용한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는 도 1 내지 도 3 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은 종래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종래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를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이때, 종래 용광로(100)의 폐스컴 취입랜스(130)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용광로(100)의 열풍로(110) 하측으로 폐스컴 저장조(120)와 취입펌프(122)를 통하여 연결된 폐스컴 취입랜스(130)가 설치되고, 이때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30)의 내부에는 중앙의 폐스컴 취입관(140)과 그 외측으로 4개의 에어공급관(150)이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30)는 하나의 폐스컴 취입노즐(142)과 이를 중심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열된 4개의 에어분사노즐(152)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광로(100)의 폐스컴 취입랜스(130)에 있어서는, 모아진 공장내의 폐스컴이 저장조(120)에 충진되어 취입펌프(122)로서 폐스컴 취입랜스(130)의 폐스컴 취입관(140)과 그 선단부의 폐스컴 취입노즐(142)을 통하여 취입되는 것과 동시에, 에어가 에어분사노즐(152)을 통하여 분사되어 용광로(100)에 폐스컴이 취입되며, 결국 폐유인 폐스컴을 이용하여 용광로(100)에 취입하기 때문에, 폐스컴을 별도의 소각작업으로 처리하지 않아도 되고, 용광로(100)의 가열을 위한 연료 즉, 코크스의 사용이 감소되어 연료비용이 절감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은 폐스컴 취입랜스(130)는 사용시간이 일정하게 정해진 것은 아니고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그때 그때 취입하는데, 통상 500kg / h 의 량으로 폐스컴을 취입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130)에 있어서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스컴 취입랜스(130)의 내부 폐스컴 취입관(140)과 그 선단부의 폐스컴 취입노즐(142)을 통하여 폐스컴이 분사되는데, 상기 폐스컴에는 미세한 산화철 입자와 상당히 많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상기 폐스컴 취입노즐 (142)부분이 에어공급관(150)을 통한 에어의 공급 압력이 일정하지 않거나, 또는 취입작동시 이물질의 유기성분이 연소되고 미세한 산화철 입자가 노즐에 고착되면, 고착에 의한 폐스컴 공급량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폐스컴 취입랜스(130)의 폐스컴 취입노즐(142) 냉각효율성을 저하시키며, 이에 따라 온도상승으로 폐스컴이 열화되면서 폐스컴 고착부분들이 확장되면서 폐스컴 취입랜스(130)의 폐스컴 취입노즐(142)이 막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30)의 폐스컴 취입노즐(142)을 뚫기 위해서는, 도 1의 폐스컴 취입펌프(122)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스팀을 이용하지만, 이와 같은 스팀을 이용하여 폐스컴 취입랜스(130)의 노즐이 막힌부분을 뚫기 위해서는 대략 2시간 이상이 소요되고, 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폐스컴 취입랜스(130)의 폐스컴 취입노즐(142) 및 에어분사노즐(152)을 분해하여 청소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반하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광로의 연료비용 및 별도의 소각비용을 절감하고자 용광로에 폐스컴을 취입하는 폐스컴 취입랜스의 노즐부분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한편, 폐스컴 취입랜스의 노즐부분이 막히게 되어도 내장된 브러쉬로서 극히 용이하게 폐스컴 취입랜스의 노즐부분을 개공시킬 수 있도록 한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용광로 열풍로의 하측에 설치되는 폐스컴 취입랜스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종래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의 노즐부분을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인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의 노즐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인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의 노즐부분을 도시한 구조도 및 결합 상태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인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및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인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에 있어서, 스와일러를 갖는 다른 노즐을 도시한 내부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폐스컴 취입랜스 2.... 용광로
3.... 열풍로 10.... 내부 폐스컴관
12,32... 제 1,2 폐스컴노즐 22,34.... 제 1,2 에어노즐
30.... 확산용 노즐수단 36.... 믹싱노즐
38.... 원통형블록 40.... 개공수단
42.... 손잡이 44.... 작동바아
46.... 브러쉬 48.... 개공수단 하우징
50.... 고정판 52.... 덮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취입펌프로서 폐스컴이 공급되는 내부 폐스컴관과 에어를 공급토록 하는 내부 에어관 및 각 선단부에 형성되어 폐스컴 및 에어를 분사시키는 제 1 폐스컴 및 에어 노즐을 갖추고 용광로의 열풍로 하측에 설치되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에 있어서, 상기 제 1 폐스컴 및 에어 노즐의 전방으로 내부에 경사진 다수의 제 2 에어노즐과 직선의 제 2 폐스컴노즐 및, 에어와 폐스컴의 분사효율을 높이도록 상기 제 2 폐스컴 및 에어 노즐이 통하는 믹싱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의 전방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산용 노즐수단; 및,상기 폐스컴 취입랜스의 후방에 밀폐토록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의 외부에 돌출되는 손잡이로서 랜스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 1,2 폐스컴노즐 및 믹싱노즐을 개공시키는 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인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용 폐스컴 취입랜스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 폐스컴 취입랜스를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 폐스컴 취입랜스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인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 폐스컴 취입랜스의 노즐 부분을 도시한 결합 상태도 및 내부구조도로서, 본 발명인 막힘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1)는 확산용 노즐수단 (30) 및, 개공수단(40)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는 취입펌프로서 폐스컴이 공급되는 내부 폐스컴관 (10)과 에어를 공급토록 하는 내부 에어관(20) 및 각 선단부에 형성되어 폐스컴 및 에어를 분사시키는 제 1 폐스컴 및 에어 노즐(12)(22)을 각각 갖추어 용광로(2)의 열풍로(3) 하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선단부에 추가적으로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어 에어의 확산으로 폐스컴이 상기 제 1 폐스컴 및 에어노즐(12)(22)을 막는 것을 방지시키는 상기 확산용 노즐수단(30)은, 상기 제 1 폐스컴 및 에어 노즐(12)(22)의 전방으로 내부에 경사진 다수의 제 2 에어노즐(34) 및 중앙 직선상의 제 2 폐스컴노즐(32)을 갖추고, 에어와 폐스컴의 분사효율을 높이도록 상기 제 2 폐스컴 및 에어노즐(32)(34)이 통하는 직선상의 믹싱노즐(36)을 구비하여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 (1)의 전방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용 노즐수단(30)은, 상기 제 2 폐스컴 및 에어 노즐 (32)(34)이 중앙 및 그 외측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전방으로 상기 믹싱노즐(36)이 상기 제 2 폐스컴 노즐(32)에 연이어 형성되는 원통형블록(38)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원통형블록(38)은 그 주연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판(39)이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 (1)의 선단부 내측으로 스크류방식으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노즐수단인 원통형블록(38)의 중앙에는 블록 결합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39a)이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제 1, 2 폐스컴노즐(12)(32) 및 믹싱노즐(36)이 고착 폐스컴에 의하여 막히는 경우 폐스컴 취입랜스(1)를 해체하지 않고 이들을 개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개공수단(40)은,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후방에 밀폐토록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외부에 돌출되는 손잡이(42)로서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 1,2 폐스컴노즐(12)(32) 및, 믹싱노즐 (36)을 개공토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후방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개공수단(40)은,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 외측으로 돌출 위치되는 상기 손잡이(42)에 수직 고정된 작동바아(44)와, 상기 작동바아(44)의 선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제 1,2 폐스컴노즐(12)(32) 및, 믹싱노즐(36)에 고착된 폐스컴을 제거시키는 브러쉬(46)와, 상기 작동바아(44)의 회전 및 실링을 위한 다수의 패킹(46a), 베어링(46b) 및 부싱 (46c)이 작동바아(44)의 외측으로 내장되는 하우징(48)을 구비하여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에 고정판(50)으로서 분해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48)의 후단부에는 덮개(52)가 개폐토록 볼트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산업현장에서 기계 작동류로 사용되는 폐유인 폐스컴을 용광로(2)에 취입시키어 연료비용을 절감시키고 폐스컴의 별도 소각작업을 필요없도록 한 폐스컴 취입랜스(1)의 사용시 폐스컴의 이물질이 노즐부분에 고착되어 노즐이 막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특히 외부에 돌출되는 손잡이(42)를 사용하여 폐스컴 취입랜스(1)의 노즐부분이 막힌 것을 용이하게 개공토록 한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는 용광로(2)에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열풍로(3)의 하측에 설치되는데,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에는 양측으로 취입펌프로서 공급되는 폐스컴을 폐스컵 취입랜스(1)의 내부에 취입하는 폐스컴 밸브(10a)와 상기 폐스컴의 분사를 용이토록 하는 에어밸브(20a)가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양측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밸브(20a)와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토록 하는 내부 에어관(20)과 상기 폐스컴밸브(10a)와 연결되는 내부 폐스컴관(10)이 형성되는 2중구조이며, 결국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전방에는 상기 각 밸브를 통하여 공급된 에어 와 폐스컴을 분사토록 하는 제 1 폐스컴노즐(12)과 제 1 에어노즐(2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에어노즐(22)은 폐스컴 취입랜스(1)의 정면에서 보았을때, 제 1 폐스컴노즐(12)을 중심으로 그 외측으로 대략 4-8개 정도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국 상기 중앙의 제 1 폐스컴노즐(12)을 통하여 분사되는 폐스컴은 외측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하여 보다 원활하게 분사된다.
하지만, 상기 제 1 폐스컴 및 에어노즐(12)(22)은 거의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폐스컴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하여 손쉽게 막힐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폐스컴 취입랜스(1)에는 상기 제 1 폐스컴 및 에어노즐 (12)(22)의 전방에 확산용 노즐수단(30)인 원통형블록(38)을 분해 가능하게 부착 결합시킨다.
즉, 도 5 및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제 1 폐스컴 및 에어노즐(12)(22)의 전방으로 내부에 상기 제 1 폐스컴노즐(12)과 제 1 에어노즐(22)에 통하도록 일치되는 경사진 다수의 제 2 에어노즐(34) 및 직선의 제 2 폐스컴노즐(32)을 구비하는 확산용 노즐수단(30)인 원통형블록(38)을 상기 원통형블록(38)의 주연에 형성된 고정판(39)으로서 폐스컴 취입랜스(1)의 선단부에 중앙으로 베어링(39a)을 개재하여 스크류방식으로 결합 고정하는데, 상기 확산용 노즐수단 (30)인 원통형블록(38)의 양측으로 평탄부(30a)가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스크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상기 확산용 노즐수단(30)인 원통형블록(38)의 내측으로 선단부에는 상기 경사진 제 2 에어노즐(34)과 그 중앙의 제 2 폐스컴노즐(32)부분이 서로 통하는 직선상의 믹싱노즐(36)을 일체로 형성시킨다.
상기 폐스컴 및 에어밸브(10a)(20a)를 통하여 공급되는 폐스컴 및 에어는 각각의 내부 폐스컴관 및 에어관(10)(20)과 제 1 폐스컴 및 에어노즐(12)(22) 및, 제 2 폐스컴 및 에어노즐(32)(34)을 통하여 분사되면서 선단부의 믹싱노즐(36)부분에서 합쳐져 분사되고, 특히 상기 제 2 에어노즐(34)이 노즐수단(30)인 원통형블록(38)에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공급되는 폐스컴과 에어는 확산용 노즐수단(30)에서 급속하게 빠른 흐름을 갖게되고, 상술한 폐스컴의 이물질이 노즐부분에 고착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시키며, 결국 노즐부분들의 막힘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 7의 (a) 및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 (1)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확산용 노즐수단(30)이 설치되어도 공급되는 폐스컴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확산용 노즐수단(30)의 노즐부분이 막히게 되면, 이를 강제로 개공시키는 개공수단(40)을 설치하며, 이와 같은 개공수단(40)은 폐스컴 취입랜스(1) 및 확산용 노즐수단(30)을 각각 분해시키지 않고 노즐부분들을 간단하게 개공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개공수단(40)은,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 외측의 손잡이(42)에 수직 고정된 작동바아(44)와, 상기 작동바아(44)의 선단부에 이동하여 노즐부분에 고착된 폐스컴을 제거시키는 브러쉬(46)와, 상기 작동바아(44)의 회전 및 실링을 위한 다수의 패킹(46a), 베어링(46b) 및, 부싱(46c)이 작동바아(44)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하우징(48)을 구비하여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에 고정판(50)으로서 분해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48)의 후단부에는 덮개(52)가 개폐토록 볼트 고정된다.
따라서, 취입되는 폐스컴의 양이 급속히 감소하면 작업자는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노즐부분이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는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42)를 누르게 되고, 상기 손잡이(42)와 연결되고 랜스내부에 삽입되는 작동바아(44)의 하단 브러쉬(46)가 왕복 이동하여 제 1,2 폐스컴노즐 (12)(32) 및 연결된 믹싱노즐(36)을 개공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바아(44)가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48)의 양측에는 상기 작동바아(44)를 실링토록 하는 패킹(46a)과 상기 작동바아(44)를 회전토록 하는 베어링(46b) 및 상기 작동바아(44)의 전후 이동을 원활토록 하며 외부의 그리스 공급니플을 통하여 그리스가 공급되는 부싱(46c)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48)은 고정판(50)으로서 폐스컴 취입랜스(1)의 후방에 볼트 고정된다.
결국,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42)부분을 누르면, 상술된 각각의 베어링(46b)과 부싱(46c) 사이의 작동바아(44)가 일체로 이동하여서 그 선단에 연결된 브러쉬(46)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폐스컴 취입랜스(1)의 노즐부분이 막히게 되어도 작업자는 이를 간단하게 개공시킬 수 있으며, 종래 스팀을 이용한 개공작업에 비하여 보다 짧은 시간에 노즐의 막힘현상을 개공시키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8 은 본 발명인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에 있어서, 다른 노즐을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즉,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폐스컴의 고착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확산용 노즐수단(30)인 원통형블록(38)의 내측으로 제 2 에어노즐(34)의 외측에 스와일러(swirl)(34a)를 추가로 형성시킴으로써, 에어의 확산 및 분사속도가 급속히 확산 증가되고, 이는 결국 폐스컴의 이물질이 폐스컴 취입랜스(1)의 노즐부분들에 고착되는 것을 보다 강력하게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에 의하면, 용광로의 연료비용 및 별도의 소각비용을 절감하고자 용광로에 폐스컴을 취입하는 폐스컴 취입랜스의 노즐부분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한편, 폐스컴 취입랜스의 노즐부분이 막히게 되어도 내장된 브러쉬로서 극히 용이하게 폐스컴 취입랜스의 노즐부분을 개공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더하여, 폐스컴 취입랜스를 분해하지 않고 노즐부분의 막힘을 방지하고 개공함으로써, 폐스컴 취입랜스의 사용이 편리하며, 폐스컴 취입랜스의 사용이 장시간 중단되는 일이 없어 폐스컴 취입랜스의 작동성이 향상되고, 폐스컴 취입에 의한 용광로의 원료 절감폭이 증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취입펌프로서 폐스컴이 공급되는 내부 폐스컴관(10)과 에어를 공급토록 하는 내부 에어관(20) 및 각 선단부에 형성되어 폐스컴 및 에어를 분사시키는 제 1 폐스컴 및 에어 노즐(12)(22)을 갖추고 용광로(2)의 열풍로(3) 하측에 설치되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1)에 있어서,
    상기 제 1 폐스컴 및 에어 노즐(12)(22)의 전방으로 내부에 경사진 다수의 제 2 에어노즐(34)과 직선의 제 2 폐스컴노즐(32) 및, 에어와 폐스컴의 분사효율을 높이도록 상기 제 2 폐스컴 및 에어노즐(32)(34)이 통하는 믹싱노즐(36)을 구비하여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전방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산용 노즐수단 (30); 및,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후방에 밀폐토록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외부에 돌출되는 손잡이(42)로서 랜스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 1,2 폐스컴노즐(12)(32) 및 믹싱노즐(36)을 개공시키는 개공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용 노즐수단(30)은, 상기 제 2 폐스컴 및 에어노즐(32)(34) 및, 믹싱노즐(36)이 중앙 및 그 외측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원통형블록 (38)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블록(38)은 그 주연에 형성된 고정판(39)이 폐스컴 취입랜스(1)의 선단부 중앙으로 위치되는 베어링(39a)을 개재하여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전단부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방지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개공수단 (40)은,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의 외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손잡이(42)에 수직 고정된 작동바아(44)와, 상기 작동바아(44)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노즐부분에 고착된 폐스컴을 제거시키는 브러쉬(46)와, 상기 작동바아(44)의 회전 및 실링을 위한 다수의 패킹(46a), 베어링(46b) 및 부싱(46c)이 작동바아(44)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하우징(48)을 구비하여 상기 폐스컴 취입랜스(1)에 고정판(50)으로서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48)의 후단부에는 덮개(52)가 개폐토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방지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용 노즐수단(30)은, 에어의 확산성을 향상시키어 폐스컴의 고착을 효율적으로 방지토록 상기 제 2 에어노즐(34)의 외측으로 원통형블록(38)상에 다수개 배열 관통되는 스와일러(34a)(swirl)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
KR10-1999-0052612A 1999-11-25 1999-11-25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 KR100402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612A KR100402016B1 (ko) 1999-11-25 1999-11-25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612A KR100402016B1 (ko) 1999-11-25 1999-11-25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090A KR20010048090A (ko) 2001-06-15
KR100402016B1 true KR100402016B1 (ko) 2003-10-17

Family

ID=1962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612A KR100402016B1 (ko) 1999-11-25 1999-11-25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551B1 (ko) * 2005-08-10 2006-11-10 주식회사 포스코 란스 노즐 막힘 방지 장치
DE502009000332D1 (de) * 2009-05-20 2011-03-03 Refractory Intellectual Prop Metallurgisches Schmelz- und Behandlungsaggregat
CN110938724A (zh) * 2019-12-27 2020-03-31 秦皇岛西之立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高炉炉顶雾化打水冷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255U (ko) * 1979-06-20 1981-01-13
JPH059522A (ja) * 1991-06-28 1993-01-19 Kawasaki Steel Corp 高炉用微粉炭の吹込ランス
KR19990030277U (ko) * 1997-12-30 1999-07-26 이구택 용광로의 피.시 랜스 막힘방지용 이물질 제거장치
JPH11229010A (ja) * 1998-02-09 1999-08-24 Nkk Corp 高炉への微粉炭吹込み用ランスおよび高炉への微粉炭の吹込み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255U (ko) * 1979-06-20 1981-01-13
JPH059522A (ja) * 1991-06-28 1993-01-19 Kawasaki Steel Corp 高炉用微粉炭の吹込ランス
KR19990030277U (ko) * 1997-12-30 1999-07-26 이구택 용광로의 피.시 랜스 막힘방지용 이물질 제거장치
JPH11229010A (ja) * 1998-02-09 1999-08-24 Nkk Corp 高炉への微粉炭吹込み用ランスおよび高炉への微粉炭の吹込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090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59941B (zh) 加热熔融处理垃圾焚烧飞灰方法及设备
KR100995900B1 (ko) 폐기물의 가스화 용융시스템
CN108895458A (zh) 一种生活垃圾热解气化炉的出渣装置
CN109237490A (zh) 一种气化等离子废物处理***
CN108954324A (zh) 一种垃圾热解气化炉的翻转炉排装置
KR100402016B1 (ko)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용광로의 폐스컴 취입랜스
US5245936A (en) Incinerator
CN211600725U (zh) 一种垃圾焚烧炉漏渣装置
CN201217005Y (zh) 煤管疏通装置
CN108730985A (zh) 一种垃圾热解气化炉的烘干装置
CN208804680U (zh) 一种垃圾热解气化炉外接气道装置
CN112355033B (zh) 一种热等离子体炬高温熔融***
CN107246614A (zh) 一种等离子体熔融化灰炉
JP3847055B2 (ja) ダスト含有排ガスの二次燃焼装置
CN208804679U (zh) 一种垃圾热解气化炉观火装置
US6041724A (en) Tower garbage incinerator
CN110762538A (zh) 一种垃圾焚烧炉出渣装置
JPH05141633A (ja) ロータリーキルン式の廃棄物焼却装置
KR102641571B1 (ko) 소각로 연소 속도 제어를 통한 내부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소각로용 배기 가스 재 순환 장치 와 그 제어방법
KR100470067B1 (ko) 고로 블로우 파이프의 관찰구를 이용한 밀봉내화물 파쇄장치
JPH0826974B2 (ja) 焼却装置
JP3959876B2 (ja) 灰溶融装置の排ガスダクト
CN212340003U (zh) 具有自动清灰功能的急冷塔
CN210601647U (zh) 一种防结渣焚烧炉底盖
CN217875863U (zh) 一种用于处置危险废料的焚烧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