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902B1 - 콘택스프링 - Google Patents

콘택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902B1
KR100401902B1 KR1019960010712A KR19960010712A KR100401902B1 KR 100401902 B1 KR100401902 B1 KR 100401902B1 KR 1019960010712 A KR1019960010712 A KR 1019960010712A KR 19960010712 A KR19960010712 A KR 19960010712A KR 100401902 B1 KR100401902 B1 KR 10040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ide walls
contact
arm base
spr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9498A (ko
Inventor
요리스 도벨레레
아르투어 볼파르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60039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9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35Contact members for non-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different types of contact member, e.g. socket co-operating with either round or flat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콘택 스프링은 바닥벽(5)을 갖춘 스프링 암 베이스(2), 및 2개의 측벽(6, 7)를 포함하는 기본 스프링(1)를 구비한다. 스프링 암 베이스(2)의 전방 단부는 2개의 스프링 암(3, 4)과 일체로 결합되는 한편, 스프링 암 베이스(2)의 다른 단부에는 전기 도체용 접속부(20)가 2중 절단 클램프의 형태로 결합된다. 접속부(20) 및/또는 스프링 암 베이스(2)는 스토핑 에지(15, 16, 17, 18, 19)를 가지며, 상기 스토핑 에지는 스토핑력을 모우기 위해, 콘택 스프링에 대한 하우징의 벽 섹션(51, 52)에 지지된다.

Description

콘택 스프링
본 발명은 하나의 바닥벽 및 2개의 측벽을 갖춘 스프링 암 베이스를 구비한 기본 스프링, 및 하우징의 내부에서 콘택 스프링의 1차 결합을 위한 결합장치를 포함하며, 전기도체용 접속부가 스프링 앞 베이스의 한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단부에는 상기 측벽에 연장해서 스프링 암이 연장되도록 구성된, 콘택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콘택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독일 실용신안 제 85 02 106호 또는 독일 특허 제 35 46 76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콘택 스프링은 예컨대 자동차 기술 분야에서 플러그 타입 커넥터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콘택 스프링에서 오버 스프링은 콘택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증가시키고, 하나 또는 다수의 결합 텅을 형성함으로써 절연 재료로된 하우징의 콘택 챔버내에서 콘택 스프링의 풀릴 수 있는 록킹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오버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양호한 스프링 특성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편, 기본 스프링은 양호한 전기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을 가진 재료로 제조된다. 오버 스프링은 예컨대, 시트(sheet)로부터 펀칭-휨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본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펀칭-휨 부품이지만, 양호한 전기적 특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스프링 청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콘택 스프링은 독일 특허 제 32 48 078 C2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콘택 스프링에서 전기 도체용 접속부는 전기 도체 및 그것의 접지 접속부에 클램핑되는, 절연 클로 및 도체 클로를 가진 크림프(crimping) 접속부로 이루어진다.
자동차 기술에서, 한편으로는 크림프 접속부에서 필요한 콘택 스프링의 접속부의 휘는 과정을 피하기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접속될 전기도체의 절연체를 제거하기 위해, 접속부가 절단 클램프 접속부로서 형성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절단 클램프 접속부에서는, 접속되어 야할 전기라인이 절단 클램프 사이에서 압착되어야 한다. 절연 케이싱과 함께 전기 라인을 상기 절단 클램프내로 압착할 때 절단 클램프가 절연 케이싱을 절단하므로, 상기 인입선내의 전기 도체가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절단 클램프에 놓여진다. 그러나, 콘택 스프링이 그러한 절단 클램프 접속부를 갖는 것은 문제가 있는데, 그 이유는 접속할 도체를 절단 클램프내로 압착할 때 상기 콘택 스프링의 접속부에 생기는 스토핑력에 대한 지지면이 충분하지 않고, 이로 인해 콘택 스프링과의 접촉이 위험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삽입영역과 절단 클램프 영역 사이의 접속이 지금까지는 불안정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택부품과 스프링의 접속부 사이의 양호한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이 보장되도록 구성된, 절단 클램프 접속부를 갖춘 콘택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접속될 전기 라인의 설치시 스토핑력이 충분히 콘택 스프링의 하우징으로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전술한 방식의 콘택 스프링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접속부가 바닥벽, 및 바닥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앞면이 절단 클램프로 형성된 측벽을 가지며, 스프링 암 베이스 및/또는 절단 클램프를 갖춘 접속부가 콘택 스프링의 삽입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뻗은 스토핑 에지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종속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콘택 스프링의 접속부를 2중 절단 클램프로서 형성하고, 하우징내로 콘택 스프링이 삽입될 때 거기에 제공된 지지면에 부딪치는 스토핑 에지(stop edge)를 기본 스프링의 스프링 암 베이스 및/또는 2중 절단 클램프의 측벽에 제공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접속부는 바닥벽, 및 바닥벽으로부터 뻗은 2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의 앞면은 절단 클램프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U형의 스프링 암 베이스 및 바람직하게는 U형의 접속부가 그것의 종축을 따라 그것의 U형 형상에 관련해서 약 90°정도 서로 회전된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접속부의 바닥벽이 스프링 암 베이스의 측벽의 연장부로서 형성되고, 접속부의 두 측벽 중 한 측벽은 스프링 암 베이스의 바닥벽의 연장부로서 형성된다.
스프링 암 베이스의 측벽을 포함하는 접속부의 바닥벽, 및 스프링 암 베이스의 바닥벽을 포함하는 접속부의 한 측벽을 편평하게 형성함으로써, 그리고 그에 따라 접속부가 L형 횡단면으로 콘택 스프링의 스프링 암 베이스에 결합됨으로써, 매우 안정한 콘택 스프링의 구현이 가능해지며, 이 콘택 스프링은 동시에 큰 전기적 전도면으로 인해 충분히 낮은 체적 저항을 갖는다.
스프링 암 베이스와 접속부가 서로 90°정도 회전 배치되는 대신에, 이것들이 그것의 U형 형상과 관련해서 동일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히 간단하고 기계적으로 안정한 콘택 스프링이 얻어진다. 이러한 방식의 스프링 제조도 현저히 간단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암 베이스의 측벽 중 적어도 한 측벽이 대략 L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벽은 접속부를 향해 스프링 암 베이스의 나머지 영역에서 보다 큰 폭을 갖는다. 상기 측벽의 광폭부는 스토퍼로서 사용되는 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측벽으로부터 다른 측벽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로 인해, 스프링 암 베이스에 지지면이 제공되며, 이 지지면은 접속될 전기 라인의 2중 절단 클램프 내로 압착됨으로 인해 스토핑력이 발생할 때 콘택 스프링의 관련 플라스틱 하우징에 부딪친다. 따라서, 스토핑력이 콘택 스프링의 하우징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됨으로써, 콘택 스프링의 콘택 영역이 위험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스프링 암 베이스의 측벽이 상기 높은 부분에서 측벽의 나머지 영역에서보다 약 1.2 내지 2배 정도 더 높다.
2중 절단 클램프에 전기 라인의 설치시 스토핑력이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암 베이스의 2개의 측벽은 L형으로 형성되며, 휘어진 브래킷이 결합된 높은 부분을 갖는다. 서로 휘어진 브래킷은 대략 스프링 암 베이스의 중심까지 뻗으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동일한 평면에 뻗은 표면을 갖는다.스프링 암 베이스의 두 측벽에 브래킷을 제공하면, 상기 브래킷 중 하나가 어떤 이유 때문에 부러질 때 조차도 콘택 스프링의 하우징에서 확실한 스토핑이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예에서는 접속부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자유 에지에는 마찬가지로 스토퍼로서 사용되는 브래킷이 제공된다. 상기 브래킷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다른 측벽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벽에 서로를 향하는 브래킷이 제공된다. 접속부내의 상기 브래킷은 또한 스토핑력의 발생시 지지면으로 사용된다. 이것을 위해서는 상기 브래킷이 콘택 스프링에 속한 하우징의 상응하는 리세스에 지지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택 스프링의 기본 스프링은 스프링 암 베이스의 영역에 뿐만 아니라 접속부의 영역에도 상기 브래킷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콘택 스프링의 접속부의 2중 절단 클램프에 전기 라인의 설치시 발생하는 힘이 콘택 스프링의 관련 하우징에서 여러 번 저지될 수 있다. 이것을 위해, 브래킷이 콘택 스프링의 하우징에 있는 적합한 지지면에 접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콘택 스프링의 1차 결합을 위한 결합 장치가 적어도 스프링 암 베이스의 영역에서 기본 스프링 위에 덮이고 스프링 암 베이스에 고정되는 오버 스프링으로 구현되고, 상기 오버 스프링에는 1차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텅이 제공된다. 기본 스프링과 오버 스프링의 분리에 의해, 전기 접속을 위해 필요한 콘택 스프링의 부분이 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1차 결합에 대한 책임이 있는 오버 스프링이 양호한 스프링 특성을 가진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기본 스프링 위에 덮이는 오버 스프링에 의해서만 1차 결합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콘택 스프링의 1차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결합 텅이 스프링 암 베이스의 한 측벽 또는 두 측벽 자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예에서는 콘택 스프링의 하우징이 절단 클램프로서 형성된 접속부의 측벽 영역에, 절단 클램프 자체를 제외한 측벽을 지지하는 벽 섹션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관련 하우징에, 특히 다열의 플랫 케이블 커넥터로서 형성된 하우징에 콘택 스프링의 조립시, 콘택 스프링의 절단 클램프 구역이 래스터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콘택 스프링의 개별 접속부 사이의 필요한 공간 거리 (clearance) 및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그러한 다수의 콘택 스프링은 케이블 통로가 삽입방향에 대해 수직인, 잭 콘택을 가진 다열의 평형 라인 플러그에 배치된다. 이것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콘택 스프링이 하우징의 내부에 서로 나란히 그리고 적어도 2열로 마주 놓인다. 서로 마주놓인 2열의 콘택 스프링에서는 한 열의 콘택 스프링이 다른 열에 비해 약 180°정도 회전되어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열의 콘택 스프링의 스프링 암 베이스의 바닥벽이 다른 열의 콘택 스프링의 바닥벽을 향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삽입영역에서 2.54mm×2.54mm의 래스터 및 2열 구조시 접속영역에서 1.27mm의 래스터를 허용하는 다열의 평형 라인 플러그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면에서 상응하는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제 1도 내지 4도에 도시된 콘택 스프링의 기본 스프링(1)은 그것의 종축(X)을 따라 볼 때 대략 중심에 소위 스프링 암 베이스(2)를 갖는다. 상기 스프링 암 베이스(2)의 전방 단부에는 2개의 스프링 암(3),(4)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 암 베이스의 후방 단부에는 접속부(20)가 일체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적어도 거의 U형으로 휘어진 스프링 암 베이스(2)는 바닥벽(5)을 갖는다. L형으로 형성된 측벽(6),(7)이 종축(X)에 대해 평행하게 상기 바닥벽(5)으로 뻗는다. 스프링 암 베이스(2)의 측벽(6),(7)은 기본 스프링(1)의 삽입영역에서 2개의 스프링 암(3), (4)으로 이어진다. 2개의 스프링 암(3),(4)은 먼저 콘택구역(9)의 방향으로 서로 모여지고, 거기서 다시 깔때기형으로 퍼짐으로써, 관련 플랫 플러그 또는 라운드 플러그(round plug)가 2개의 스프링 암(3),(4)의 콘택구역(9)으로 양호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 2도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스프링 암(4)은 콘택구역의 영역에서 다른 스프링 암(3)의 방향으로 나온 스프링의 전개된 개구 윤곽으로서의 돌출부(10)를 갖추고 있다. 특히 제 2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암 베이스(2)의 측벽(6), (7)은 관찰자를 향한 자유 종방향 측면에 오버 스프링의 후술될 고정을 위한 리세스(8)를 포함한다. 또한, 측벽(6),(7)은 접속부(20)를 향한 그것의 측면이 높게 형성됨으로써, 평면도로 볼 때 측벽(6),(7)이 L형으로 형성된다. 측벽(6),(7)의 높게 형성된 부분은 제 1도 및 3도에서 도면부호(6a) 및 (7a)로 표시된다. 측벽(6),(7)의 높게 형성된 부분(6a) 및 (7a)의 자유 단부는 측벽(6),(7)에 대해 서로 수직으로 놓이도록 휘어진다. 특히 제 2도 및 4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측벽 (6),(7)에 대해 수직으로 휘어진 브래킷(11),(12)은 그것의 앞면이 마주놓임으로써 그것의 표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브래킷(11),(12)은 서로 경사지게 놓일 수도 있다. 단지, 측벽(6),(7)의 L형 디자인에 의해, 콘택 스프링이 삽입되는 하우징의 상응하는 부분에서 콘택 스프링에 부딪칠 수 있는 스토퍼가 생긴다는 것이 중요하다. 측벽 (6),(7)의 스토핑 에지는 제 1도 및 3도에서 도면부호(16) 및 (17)로 표시된다.
제 1도 내지 4도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스프링 암 베이스(2)에 일체로 결합된 접속부(20)가 이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U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접속부 (20)는 그것의 U형 형상과 관련해서 종축(X)을 따라 90°정도 스프링 암 베이스(2)쪽으로 회전된다. 접속부(20)는 바닥벽(25)을 가지며, 상기 바닥벽(25)은 구부러짐없이 스프링 암 베이스(2)의 측벽(6)에 동일한 평면으로 연결된다. 접속부(20)의 상기 바닥벽(25)으로부터 2개의 평행한 측벽(26),(27)이 연장된다. 두 측벽(26), (27) 중 한 측벽, 여기서는 측벽(26)이 구부러짐없이 스프링 암 베이스(2)의 바닥벽(5)에 동일한 평면으로 연결된다. 제 1도 내지 4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측벽(26), (27)은 바닥벽(25) 보다 훨씬 더 길게 형성되며 앞면이 절단 클램프(21),(22)로서 끝난다. 절단 클램프(21),(22)는 슬롯(24)에 의해 서로 분리된 2개의 절단 클램프 부분을 포함한다.
전기 라인을 기본 스프링(1)의 상기 접속부(20)에 연결하기 위해, 절연체를 갖춘 전기 라인을 슬롯(24)내로 밀어넣는다. 서로 마주놓인 2개의 절단 클램핑 부분(21),(22)은 상기 전기 라인의 가압시 절연 케이싱을 절개함으로써, 그 아래놓인 금속 라인이 절단 클램프 부분(21)에 접촉된다.
상기 전기 라인을 절단 클램프내로 가압할 때 축방향으로 삽입 콘택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비교적 큰 힘이 발생한다. 상기 힘은 스프링 암 베이스(2)의 측벽 (6),(7)내에 이미 형성된 스토핑 에지(16),(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 따르면, 접속부(20)에도 적합한 스토핑 에지(18),(19)가 제공된다. 이것을 위해 접속부(20)의 측벽(26),(27)은 그것의 1/2 높이에 종축(X)을 따라 서로 휘어지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측벽(26),(27)에 대해 수직으로 놓인 브래킷(28),(29)을 갖추고 있다. 제 2도 및 4도에 명확히 나타나는 바와같이, 상기 브래킷(28),(29)은 기본 스프링(1)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스프링암(3),(4)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기본 스프링(1)이 관련 하우징내로 삽입될 때 스토핑 에지 (18),(19)가 하우징의 상응하는 지지면에 접하고, 전기 라인을 접속부(20)의 절단 클램프내로 가압할 때 상기 지지면에 부딪침으로써, 스토핑력이 확실하게 억제될 수 있다.
제 1도 내지 4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서로 휘어진 브래킷(28),(29)은 그것의 앞면이 마주놓이고 두 브래킷(28),(29)의 표면이 대략 동일한 평면에서 끝날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콘택 스프링의 접속부의 앞면 단부에 대한 제 4도의 평면도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스프링 암 베이스(2)의 브래킷(11),(12)은 스프링 암 베이스(2)의 측벽(6),(7) 위로 그리고 접속부의 측벽(27) 위로 돌출한다. 스토퍼로서 사용되는 접속부(20)의 브래킷(28),(29)은 마찬가지로 스프링 암 베이스(2)의 측벽(7) 위로 돌출한다. 또한, 제 4도에서는 접속부(20)가 기본 스프링(1)의 스프링 암 베이스(2)에 L형으로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일체형으로 서로 결합된 부분은 제 4도에 (A) 및 (B)로 표시된다. 제 5도 및 6도에서는 제 1도 내지 4도에 나타난 기본 스프링(1)이 소위 오버 스프링(30)(결합 슬리브 또는 결합 스프링이라고도 함)에 의해 덮어씌워진다. 상기 오버 스프링(30)은 기본 스프링(1)의 스프링 암 베이스(2)상에 압착되게 놓인다.
오버 스프링(30)은 시트로부터 펀칭-휨 부품으로 제조되며, 바닥부(32), 2개의 측면부(33),(34) 및 덮개부(35)를 가진 직사각형 횡단면의 부품으로 형성된다. 덮개부(35)는 제조로 인해 종방향 슬롯(36)에 의해 분할된다. 덮개부(35)의 종방향 슬롯(36)은 제 5도 및 6도의 실시예에서 그것의 폭에 관련해서 외측 중심으로 뻗으므로, 덮개부(35)가 좁은 부분영역(37) 및 넓은 부분영역(38)으로 분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넓은 부분 영역(38)은 좁은 부분 영역(37)의 약 2배 정도의 폭을 갖는다. 덮개부(35)의 넓은 부분 영역(38)에는 오버 스프링(30)의 종방향으로 뻗은 결합 텅(31)이 삽입된다. 상기 텅은 기본 스프링-오버 스프링 유니트를 관련 하우징의 콘택 챔버내에 록킹시키는데 사용되며 넓은 부분 영역(38)으로부터 절단되고 -제 5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휨선(43)에서 외측으로 휘어진다. 결합 텅(31)은 내부로 형성된 비이드(42)와 함께 형성된다. 상기 비이드(42)는 대략 휨선(43)의 하부에서 시작하여 중앙에서 결합 텅(31)의 종방향으로 그것의 자유 앞면(39)까지 연장된다.
오버 스프링(30)을 기본 스프링(1)에 고정시키기 위해, 오버 스프링(30)의 덮개부(35)가 기본 스프링(1)의 스프링 암 베이스(2)에 관련된 작은 영역에 기본 스프링(1)의 접속부(20) 근처에 결합 텅(31)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 자유 단면(45)을 갖는다. 상기 자유 단면(45)은 덮개부(35)를 기본 스프링(1)의 스프링 암(3),(4)을 박스형으로 둘러싸는 보호구역, 및 스프링 암 베이스(2)를 박스형으로 압착되게 둘러싸며 제조로 인한 슬롯을 가진 지지구역으로 세분한다. 기본 스프링 (1)의 접속부(20)를 향한 지지구역의 단부에는 약 90°정도 외측으로 휘어진 좁은 스트립(49)이 제공된다. 상기 스트립(49)은 기본 스프링-오버 스프링 유니트가 하우징의 콘택 챔버내로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오버 스프링(30)의 측면부(33),(34)가 내부로 휘어진 고정 브래킷 (40),(41)을 갖추고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킷(40),(41)은 꺾여진 후에 측면부(33), (34)로부터 제 1도 내지 4도와 관련해서 설명한 스프링 암 베이스(2)의 리세스(8)내로 삽입되고, 그로 인해 기본 스프링(1)의 스프링 암 베이스(2)에 오버 스프링 (30)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콘택 스프링의 본 디자인에서는 스프링 암 베이스(2)의 스토핑 에지(16), (17) 및 접속부(20)의 스토핑 에지(18),(19)가 오버 스프링(30)의 외부 용적 위로 돌출함으로써, 하우징의 관련 개구 내로 콘택 스프링의 삽입시 거기에 제공된 지지면에서 스토핑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제 1도 내지 6도에 도시된 콘택 스프링은 특히 케이블 통로가 콘택 스프링의 삽입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놓인, 잭 콘택을 가진 다열의 평형 라인 플러그 하우징에 조립하는데 적합하다. 제 7도 및 8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 스프링이 어떻게 관련 하우징 개구 내로 적은 장소를 차지하면서 조립될 수 있는지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제 7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콘택 스프링이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스프링 암 베이스(2)의 바닥벽(5)이 동일한 평면에 나란히 놓인다. 2개의 도시된 콘택 스프링 사이에는 관련 평형 라인 플러그 하우징의 벽 섹션(51)이 도시된다. 상기 벽 섹션(51)은 콘택 스프링의 접속부(20)의 스토핑 에지(18),(19)에 부딪친다. 또한, 콘택 스프링의 사이에는 또다른 벽 섹션(50)이 배치되며, 상기 벽 섹션 (50)의 앞면은 접속부(20)의 또다른 스토핑 에지(15)에 부딪친다. 상기 스토핑 에지(15)는 접속부(20) 측벽(26),(27)의 브래킷(28),(29)에 대해 마주놓인 에지가 L형으로 바닥벽(25)의 단부에 형성됨으로써 생긴다. 벽 섹션(50)이 상기 L형 돌출부에 부딪침으로써, 콘택 스프링의 인장 하중시, 즉 삽입측면으로부터 볼 때 접속부(20)의 방향으로 힘작용이 이루어질 때, 관련 하우징 개구로부터 콘택스프링이 빠져나오지 못하게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벽 섹션(50)은 바람직하게는 콘택 스프링의 2차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이동가능한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관련 하우징내로 삽입된다.
제 7도에 따라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콘택 스프링에서는 2.54mm×2.54mm의 래스터의 삽입영역을 가지며, 잭 콘택을 구비한 다열의 평형 라인 플러그가 구현될 수 있다.
제 8도는 접속영역에서 2열 구성시 1.27mm의 래스터를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마주놓인 콘택 스프링을 도시한다. 이것을 위해, 2개의 직접 마주놓인 열(60),(61)의 콘택 스프링이 제공된다. 이 콘택 스프링에서는 한 열(60)이 다른 열(61)에 비해 180°정도 회전되어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한 열(60)의 콘택 스프링의 스프링 암 베이스의 바닥벽(5)이 다른 열(61)의 콘택 스프링의 바닥벽(5)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 8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2열(60),(61)의 콘택 스프링은 나란히 놓인 벽 섹션(51),(53)에 의해 분리된다. 관련 하우징의 L형 벽 섹션(52)은 상기 열 (60),(61)의 각각의 콘택 스프링의 스토핑 에지(17),(18)에 놓인다. 이로 인해, 하우징의 상응하는 개구내로 콘택 스프링을 삽입할 때 그리고 접속될 라인을 상기 콘택 스프링의 접속부(20)의 절단 클램프 내로 삽입할 때 생기는 스토핑력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콘택 스프링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케이블 통로가 삽입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잭 콘택을 가진 다열의 평형 라인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잭 콘택은 2중 절단 클램프 접속부로 형성된다. 하우징의 내부에서 콘택 스프링의 관련 스토핑 에지에 접하는 충분한 지지면이 제공되기 때문에, 발생된 스토핑력은 하우징으로 확실하게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 스프링은 삽입 영역과 절단 클램프 영역 사이의 연결이 매우 안정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도는 측벽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콘택 스프링의 기본 스프링의 측면도.
제 2도는 측벽의 앞면에서 바라본 제 1도에 따른 기본 스프링의 정면도.
제 3도는 다른 측벽에서 바라본 제 1도 및 2도에 따른 기본 스프링의 측면도.
제 4도는 접속부의 앞면에서 바라본 제 1도 내지 3도에 따른 기본 스프링의 단면도.
제 5도는 오버 스프링이 덮혀씌워진 제 1도 내지 4도에 따른 기본 스프링의 측면도.
제 6도는 제 5도에 따른 오버 스프링 및 기본 스프링의 정면도.
제 7도는 하우징의 내부에 나란히 배치된 제 1도 내지 6도에 따른 2개의 콘택 스프링의 측면도.
제 8도는 하우징의 내부에 마주 놓이게 배치된 제 1도 내지 6도에 따른 2개의 콘택 스프링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본 스프링 2 : 스프링 암 베이스
3,4 : 스프링 암 5,25 : 바닥벽
6,7,26,27 : 측벽 11,12,28,29 : 브래킷
15,16,17,18,19 : 스토핑 에지 20 : 접속부
21,22 : 절단 클램프 31 : 결합 텅
50,51 : 벽 섹션 60,61 : 열

Claims (10)

  1. 하나의 바닥벽(5) 및 2개의 측벽(6,7)을 갖는 스프링 암 베이스(2)를 구비한 기본 스프링(1), 스프링 암 베이스(2)의 한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하는 전기 전도체용의 U-형태의 접속부(20) 및 다른 단부에서 측벽(6,7)의 연장부에서 일체로 연장하는 스프링 암(3,4)을 포함하는 콘택 스프링으로서, 상기 접속부(20)는 또한 바닥벽(25) 및 상기 바닥벽(25)으로부터 연장하고 한 면에서 각각 절단 클램프(21,22)로서 형성되는 두 측벽(26,27)을 가지며, 상기 절단 클램프를 가지고 있는 상기 접속부(20)는 플러깅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동작하는 스토핑 에지(18,19)를 가지고 있는, 콘택 스프링으로서,
    상기 접촉 스프링의 제 1 결합을 위한 결합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기본 스프링(1)의 상기 스프링 암 베이스(2)는 횡단면이 적어도 대략적으로 U-형태이며,
    상기 스프링 암 베이스(2) 및 상기 접속부(20)는 U-형태의 형상과 관련해서 서로 90°회전되어, 상기 접속부(20)의 바닥벽(25)이 상기 스프링 암 베이스(2)의 측벽(6)의 연장부로서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20)의 두 측벽 중 한 측벽(26)은 상기 스프링 암 베이스(2)의 바닥벽(5)의 연장부로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암 베이스(2)의 측벽(6, 7) 중 적어도 한 측벽은 대략 L-형태이고 상기 접속부(20)와 마주하며, 상기 스프링 암 베이스(2)의 나머지 영역에서 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측벽(6, 7)의 광폭부(6a, 7a)에는 브래킷(11, 12)이 제공되며, 상기 브래킷(11, 12)은 상기 측벽(6, 7)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다른 측벽(7, 6)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부가적인 스토핑 에지(16, 17)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스프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암 베이스(2)의 적어도 한 측벽(6, 7)은 상기 광폭부(6a, 7a)에서 상기 측벽(6, 7)의 나머지 영역에서 보다 1.2 배 내지 2배 정도 더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스프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벽(6, 7)은 L-형태이며, 각각 휘어진 브래킷 (11, 12)이 결합된 상기 광폭부(6a, 7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스프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0)의 측벽(26, 27) 중 적어도 한 측벽은 자유 에지에서 브래킷(28, 29)을 가지며, 상기 브래킷(28, 29)은 상기 측벽(26, 27)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다른 측벽(27, 26)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스토핑 에지(18, 19)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스프링.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0)의 두 측벽(26, 27)은 자신의 자유 에지와 동일한 길이의 상기 브래킷(28, 29)을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28, 29)은 상기 각각의 측벽(26, 27)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다른 측벽(27, 26)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두 브래킷(28, 29)은 그것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에 놓일 정도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스프링.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0)의 측벽(26, 27)은 상기 바닥벽(25)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스프링.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스프링의 1차 결합을 위한 결합 장치는 적어도 상기 스프링 암 베이스(2)의 영역에서 상기 기본 스프링(1) 위에 덮이고 상기 스프링 암 베이스(2)에 고정된 오버 스프링(30)이며, 상기 오버 스프링(30)은 1차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텅(31)을 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스프링.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스프링의 하우징은 상기 절단 클램프(21, 22)로서 형성된 상기 접속부(20)의 측벽(26, 27)의 영역에서 벽 섹션(50)을 포함하며, 상기 벽 섹션(50)은 상기 절단 클램프(21, 22)외에 상기 측벽(26, 27)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스프링.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스프링의 하우징은 상기 벽 섹션(51)을 가지며, 상기 벽 섹션(51)은 스토핑 에지(16, 17, 18, 19)를 갖춘 상기 스프링 암 베이스 (2)의 돌출 브래킷(11, 12) 및/또는 상기 접속부(20)의 브래킷(28, 29)에 부딪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스프링.
  10. 하우징 내에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적어도 2열로 겹쳐진 제 1항에 따른 다수의 콘택 스프링을 갖춘, 여러부분으로 이루어진 플랫 케이블 커넥터로서,
    2개의 직접 겹쳐진 열(60, 61)의 상기 콘택 스프링에서 상기 한 열(60)의 콘택 스프링은 상기 다른 열(61)에 비해 약 180°서로 회전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한 열(60)의 콘택 스프링의 스프링 암 베이스(2)의 바닥벽(5)이 상기 다른 열(61)의 마주 놓인 콘택 스프링의 바닥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커넥터.
KR1019960010712A 1995-04-10 1996-04-10 콘택스프링 KR100401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506206U DE29506206U1 (de) 1995-04-10 1995-04-10 Kontaktfeder
DE29506206.1 1995-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498A KR960039498A (ko) 1996-11-25
KR100401902B1 true KR100401902B1 (ko) 2004-02-11

Family

ID=800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712A KR100401902B1 (ko) 1995-04-10 1996-04-10 콘택스프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20626A (ko)
EP (1) EP0738026B1 (ko)
JP (1) JP3782156B2 (ko)
KR (1) KR100401902B1 (ko)
DE (2) DE29506206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3264A1 (de) * 1996-04-02 1997-10-09 Grote & Hartmann Kontaktelement
IT1287968B1 (it) * 1996-10-18 1998-09-10 Inarca Spa Gruppo di connessione per gli avvolgimenti di uno statore di un motore elettrico
US6730844B2 (en) * 1999-06-28 2004-05-04 Kenneth H Reiker Dual-purpose wiring device and method of wiring
AU5639300A (en) 1999-06-28 2001-01-31 Reiker Electric Llc Electrical outlet box
DE19946469C2 (de) * 1999-09-28 2002-06-20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Kontaktelement
TWM406833U (en) * 2010-12-14 2011-07-01 Ant Percision Industry Co Ltd Terminal structure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7977A (en) * 1974-05-09 1977-02-15 Bunker Ramo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5088933A (en) * 1989-09-08 1992-02-18 Stocko Metallwarenfabriken Henkels Und Sohn Gmbh & Co. Electrical contact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9468A (en) * 1977-09-21 1981-05-26 Elfab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insulator
DE3019841A1 (de) * 1980-05-23 1981-12-03 Siemens Ag Kontaktfeder fuer bandkabelanschluss
JPS603743B2 (ja) * 1980-07-05 1985-01-30 モレックス・インコ−ポレ−テッド リボンケ−ブル用電気コネクタ−
US4439001A (en) * 1982-05-07 1984-03-27 Allied Corporation IDC Socket connector
DE3248078C2 (de) * 1982-12-24 1986-03-27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Doppelflachfederkontakt mit Überfeder
DE8502106U1 (de) * 1985-01-26 1985-05-02 Kabelwerke Reinshagen Gmbh, 5600 Wuppertal Elektrischer Doppelflachfederkontakt
DE9202366U1 (de) * 1992-02-24 1993-06-17 Siemens AG, 8000 München Kontaktfeder mit einer als Überfeder ausgebildeten Rasthül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7977A (en) * 1974-05-09 1977-02-15 Bunker Ramo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5088933A (en) * 1989-09-08 1992-02-18 Stocko Metallwarenfabriken Henkels Und Sohn Gmbh & Co. Electrical contact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498A (ko) 1996-11-25
DE29506206U1 (de) 1995-08-24
EP0738026B1 (de) 2000-03-08
JPH08298147A (ja) 1996-11-12
JP3782156B2 (ja) 2006-06-07
EP0738026A1 (de) 1996-10-16
DE59604568D1 (de) 2000-04-13
US5720626A (en) 1998-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3146B1 (en) L-shaped coaxial connector and terminal for the same
US7344422B2 (en) Electrical component, in particular relay socket, having spring clamp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EP0932917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housing and an electrical contact
JP4372138B2 (ja) 電気接点
EP0517077B1 (en) Electrical contact
EP0600419B1 (en) Electrical socket terminal
US6224428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connecting the same with circuit devices
US7553201B2 (en) Connector
IE53733B1 (en) A connecting device
US7014515B2 (en) Female terminal for a flat male terminal
US20040229518A1 (en) Terminal block assembly
JPH0787108B2 (ja) コネクターバンク
US6220890B1 (en) Electrical switch connector assembly
KR20010040240A (ko) 플러그-인 콘택트
KR100401902B1 (ko) 콘택스프링
JPH07111169A (ja) 電気的な接続クランプ装置
GB2293701A (en) A connector attachment component
US5172295A (en) Voltage limiter arrangement with receiving member for connection to a surge arrester magazine
JPH06260221A (ja) 電気端子組立体及びそれを用いる電気コネクタ
KR970001619B1 (ko) 절연 전기 단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920007538B1 (ko) 전기 콘넥터
EP0570893B1 (en) Connecting a drain wire to an electrical connector shield
US5683274A (en) Contact spring
US5532443A (en) Pressure contact terminal
JP4346241B2 (ja) ケーブル接続端子用の多重接続条片の接触バネの組および多重接続条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