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053B1 - Tabbing apparatus for a solar cell module - Google Patents

Tabbing apparatus for a solar cell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053B1
KR100398053B1 KR10-2001-0046019A KR20010046019A KR100398053B1 KR 100398053 B1 KR100398053 B1 KR 100398053B1 KR 20010046019 A KR20010046019 A KR 20010046019A KR 100398053 B1 KR100398053 B1 KR 100398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conveyor
solar cell
cell module
teb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12139A (en
Inventor
허윤성
손재일
Original Assignee
(주)한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백 filed Critical (주)한백
Priority to KR10-2001-004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053B1/en
Publication of KR20030012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1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05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모듈용 테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원부를 3개의 영역(예비 영역과 융착 영역 그리고 안정화 영역)으로 나눠 열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이 열원부의 주위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방식으로 여기에 납 증기가 함입되어 배출되게 하여 납 증기의 배기는 물론이고 외부와의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태양 전지 모듈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납 증기에 의해 작업자에게 발생될 우려가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테빙 공정이 완료된 태양전지 모듈의 전기적인 특성(전류, 전압, 저항)을 인라인(in-line)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여 양산의 편의성을 도모한 태양 전지 모듈용 테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진 컨베이어와, 제 2컨베이어를 중심으로 상하에 대칭되게 장착되는 열원부와, 열원부 주위에 구성되어 주변 공기와 함께 납증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납 증기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열원부는 예비 영역과 융착 영역 그리고 안정화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제 3컨베이어의 양단에는 모듈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검사장치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bbing device for a solar cell module, which divides a heat source into three regions (a preliminary region, a fusion region, and a stabilization region) to minimize heat loss, and inhales and discharges the surrounding air of the heat source portion. The lead vapor is contained and discharged so that the lead vapor can be exhausted as well as the external blocking effect, so that the solar cell module can be manufactured stably and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to the operator due to the lead vapor. For the solar cell module that can prevent mass production and to measur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current, voltage, resistance) of the solar cell module after the tebbing process is completed in-line. It is to provide a tebb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veyor divided into three areas, a heat source portion symmetrically mounted up and down around the second conveyor, and is configured around the heat source portion to suck the lead steam together with the ambient air outside Comprising a lead vapor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o the furnace, wherein the heat source is divided into a preliminary zone, a fusion zone and a stabilization zone, and the inspection device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hird conveyor to measur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dule It is done.

Description

태양 전지 모듈용 테빙 장치{Tabbing apparatus for a solar cell module}Tabbing apparatus for a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모듈용 테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전지들의 전극을 연결하여 태양 전지 모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열원 공급과 납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태양 전지 모듈용 테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bbing device for a solar cell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bbing device for a solar cell module which can discharge an effective heat source supply and lead vapor in manufacturing a solar cell module by connecting electrodes of unit cells.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태양 전지 모듈은 소정의 출력값을 갖는 단전지(unit cell)을 여러개 연결하여 원하는 출력값을 얻게 된다.In general, a solar cell module obtains a desired output valu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having a predetermined output value.

현재 양산되고 있는 단전지는 그 크기가 103 ×103 또는 125 ×125 mm의 얇은 판체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이들 각 단전지는 약 1.5 W 정도의 출력값을 가지고 있다.Currently, mass-produced single cells are manufactured in a thin plate shape having a size of 103 x 103 or 125 x 125 mm, and each of these cells has an output value of about 1.5 W.

이러한 단전지는 차량용이나 가정용 또는 산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러개를 연결하여 원하는 출력값을 갖는 태양 전지 모듈을 제조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정용으로 약 30W를 출력하는 태양 전지 모듈의 경우 1.5 W의 단위셀을 20개 정도를 직렬로 연결하여 필요한 전원을 얻게 되는 것이다.Such a single cell manufactures a solar cell module having a desired output valu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ells for use in a vehicle, a home, or an industr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olar cell module that outputs about 30W for home use, 20 units of 1.5W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to obtain necessary power.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여러개의 단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는 과정을 테빙(tabbing) 공정이라고 하며, 이때 사용되는 장치를 테빙 장치라고 한다. 이하, 테빙 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manufactured in a conventional technique in series is called a tabbing process, and the apparatus used at this time is called a tebbing apparatus. Hereinafter, the tebb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상기 테빙 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여러개의 단전지를 열과 줄을 맞춰 사각판 형태(예를 들어, 3×9)로 테빙 장치의 상면에 배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단전지는 리본 전선이 부착될 부분, 즉 각 단전지의 전극 부위에 납 용접용 플럭스를 바르고, 플럭스를 바른 전극에는 리본 전선을 올려 놓게 된다. 특히, 상기 리본 전선은 인접한 단전지의 양단에 대칭인 형태, 즉 제 1단전지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단자와 이와 마주하는 인접한 제 2단전지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단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올려 놓게 된다.In order to perform the tebbing process,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bbing device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for example, 3 × 9) in line with rows. At this time, each of the unit cells is a lead welding flux is applied to the portion to which the ribbon wire is attached, that is, the electrode portion of each unit cell, and the ribbon wire is placed on the fluxed electrode. In particular, the ribbon wire is placed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terminals symmetrical to both ends of the adjacent unit cell, that is, the terminal formed at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unit cell and the terminal formed below the side of the adjacent second unit cell facing the same.

이렇게 각 단전지의 전극에 플럭스를 바르고 리본 전선을 올려 놓게 되면 테빙 공정의 준비 과정이 끝나게 되고, 준비 과정을 끝낸 단전지들은 테빙 장치를 통과하게 하여 리본 전선에 묻혀져 있던 납이 전극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테빙 공정을 끝마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열원으로는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가열 장치로 여기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리본 전선에 묻어 있는 납을 녹일 수 있는 정도이다.When flux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of each unit and the ribbon wire is put on, the preparation process of the tebbing process is finished, and the finished cells are passed through the tebbing device so that the lead buried in the ribbon wire is attached to the electrode. The tebbing process is completed. The heat source used at this time is a heating device using a halogen lamp, the heat generated therein is enough to melt the lead buried in the ribbon wire.

이와 함께 상기 테빙 공정에서는 테빙 장치에 구성된 납증기 배기 장치를 가동시키게 된다. 상기 납증기 배기장치는 융착이 진행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공기를 제공하여 대류를 일으켜서 융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납증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게 된다.In addition, in the tebbing process, the lead vapor exhaust device configured in the tebbing device is operated. The lead vapor exhaust device is installed in the area where the fusion proceeds to provide air to cause convection to discharge the lead vapor generated in the fusion process to the outside.

그러나, 대류 발생으로 납증기를 배출시켜 주고 또한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는 종래의 테빙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야기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bbing device that discharges lead vapor by convection and also uses a halogen lamp causes the following problems and needs to be improved.

1) 융착시 납증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납증기는 상기 할로겐 램프의 표면을 마치 코팅한 것과 같이 씌워지게 되고, 이는 할로겐 램프의 기능을 저하시키게되어 원하는 열원을 충분하게 얻을 수 없게 되었다.1) When fusion leads to lead vapor, the lead vapor is covered as if the surface of the halogen lamp is coated, which degrades the function of the halogen lamp and thus cannot obtain a sufficient heat source.

2) 또한, 이러한 납 증기로 코팅됨에 따라 할로겐 램프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고, 이는 고가인 할로겐 램프의 사용으로 테빙 장치의 유지비가 많이 드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2) In addition, the coating of the lead vapor shortens the life of the halogen lamp, which leads to a problem of high maintenance cost of the tebbing device by using an expensive halogen lamp.

3) 종래의 납 증기 배기 장치는 열원부 주위에 강제로 대류 현상을 만들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배기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 지게 되고 대류 현상으로 인한 특정 온도(납이 녹는 온도) 영역이 넓어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3) In the conventional lead vapor exhaust system, convection phenomena must be forced around the heat source, which complic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exhaust system and widens the specific temperature (temperature at which the lead melts) due to the convection. It caused a rise.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열원부를 3개의 영역(예비 영역과 융착 영역 그리고 안정화 영역)으로 나눠 열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이 열원부의 주위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방식으로 여기에 납 증기가 함입되어 배출되게 하여 납 증기의 배기는 물론이고 외부와의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태양 전지 모듈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납 증기에 의해 작업자에게 발생될 우려가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모듈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할 수 있도록 검사 장치를 구비하여 공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제품을 시험할 수 있는 태양 전지 모듈용 테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is point, and the heat source is divided into three areas (a preliminary area, a fusion area, and a stabilization area) to minimize heat loss, and lead is discharged by sucking and exhausting the ambient air. By allowing steam to enter and discharge, it is possible to obtain lead vapors as well as to block external effect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solar modules stably an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to workers by lead vapo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abbing device for a solar cell module that can be prevented, and also equipped with an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dule to test the product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is comple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테빙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ub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테빙 장치에서 납 증기를 배기시켜 주는 수단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a means for evacuating lead vapor is removed from a tebb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테빙 장치의 열원부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heat source portion configuration of the tebb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컨베이어 11 : 제 1컨베이어10 Conveyor 11: First Conveyor

12 : 제 2컨베이어 13 : 제 3컨베이어12: 2nd Conveyor 13: 3rd Conveyor

20 : 열원부 21 : 예비 영역20: heat source portion 21: spare area

22 : 융착 영역 23 : 안정화 영역22: fusion region 23: stabilization region

24 : 분리대 25 : 열선24: separator 25: heating wire

26 : 단열재 27 : 방열재26: heat insulating material 27: heat insulating material

30 : 납증기 배출수단 31 : 덕트30: lead vapor discharge means 31: duct

32 : 경사면 100 : 테빙 장치32: slope 100: tebbing device

200 : 단전지200: unit cel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진 컨베이어와, 제 2컨베이어를 중심으로 상하에 대칭되게 장착되는 열원부와, 열원부 주위에 구성되어 주변 공기와 함께 납증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납 증기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열원부는 예비 영역과 융착 영역 그리고 안정화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제 3컨베이어에는 공정을 마친 모듈의 전기적 특성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veyor divided into three areas, a heat source portion symmetrically mounted up and down around the second conveyor, and is configured around the heat source portion to suck the lead steam together with the ambient air outside It comprises a lead vapor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o the furnace, wherein the heat source is divided into a preliminary zone, a fusion zone and a stabilization zone, the third conveyor is provided with a test device for test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nished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열원부는 열선으로 발열시켜 주며 발열된 열이 제 2컨베이어를 향하도록 단열처리가 되어 있으며, 상기 열선에는 방열효과를 높이기 위해 방열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ource is a heat radiation and heat treatment is heat insulation to the second conveyor, the heat wi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radiation is provided to increase the heat radiation effect.

또한, 상기 열원부는 예비 영역에서 용재가 녹는 온도의 90%로 예열되고 융착 영역에서 용재가 녹는 온도 이상 가열되며 안정화 영역에서 용재가 녹는 온도의 70%를 유지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 source may be preheated to 90% of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melt in the preliminary zone, heated to a temperature above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melt in the fusion zone, and maintained at 70% of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melt in the stabilization zone.

또한, 상기 융착 영역은 메인 열원과 예비 열원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sion reg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a main heat source and a preliminary heat source.

또한, 상기 납 증기 배출 수단은 열원부의 바깥쪽 테두리를 감싸주는 형태로 컨베이어를 향해 개구된 덕트와, 이 덕트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진공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ad vapor discharge means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uct opening toward the conveyor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outer edge of the heat source portion, and a vacuum device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duct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덕트는 바깥쪽 측벽이 안쪽 측벽보다 더 크게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wall is cut larger than the inner side wall.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태양 전지 모듈용 테빙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200은 단전지를 나타낸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ubing device for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reference numeral 200 denotes a unit cell.

본 발명은 상기 단전지(200)들의 연결 단자를 연결시켜 태양 전지 모듈을 형성시켜 주는 테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테빙 장치(100)는 각 단전지가 일정한 크기의 열과 줄이 맞춰진 상태에서 이송시켜 주는 컨베이어(10)와, 상기 각 단전지(200)의 단자 사이에 놓여진 리본 전선, 즉 납을 녹여 주는 열원부(20)와, 이 열원부(20)에서 발생된 납증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납증기 배출 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bbing device for forming a solar cell module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unit cells 200, the tebbing device 100 is to transfer each unit cell in a line and a row of a predetermined size A ribbon wire placed between the conveyor 10, the terminals of the unit cells 200, that is, a heat source portion 20 for melting lead, and lead steam discharged from the heat source portion 2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ead vapor discharge means (30).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10)는 3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서 있다. 이러한 제 1컨베이어(11)에는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를 모듈화하는데 적당한 넓이가 되도록 각 단전지(200)를 배열하고 그 사이에 리본 전선(미도시됨)를 배치하는데 이용하게 되고, 제 2컨베이어(12)는 제 1컨베이어(11)로부터 이송된 단전지(200)에 열을 가해 융착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간으로 사용하게 되며, 상기 제 3컨베이어(13)는 테빙 공정을 끝낸 태양 전지 모듈을 토출시키는데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각 컨베이어(11-13)는 별도의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구동 속도와 구동 시간은 각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작업 속도를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Here, the conveyor 10 is divided into three regions. In the first conveyor 11, as shown in FIG. 2, each unit cell 200 is arranged to have a suitable width for modularizing a solar cell, and a ribbon wire (not shown) is used therebetween. The second conveyor 12 is used as a space to heat the unit cell 200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nveyor 11 to a fusion process, and the third conveyor 13 is a tebbing process. It will be used to discharge the finished solar cell modul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conveyors (11-13)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driven by a separate drive device, the drive speed and drive time at this time considering the time and work speed required in each process Will be decided.

첨부도면 도 2에서는 상기 제 1컨베이어(11)에는 3×9로 단전지(200)가 배열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물론, 이러한 단전지(200)는 테빙 장치의 크기나 원하는 전력량을 얻기 위해 여러가지 형태로 배치하여 태양 전지 모듈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irst conveyor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nit cells 200 are arranged at 3 × 9. Of course, such a unit cell 20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to produce a solar cell module in order to obtain the size of the tebbing device or the desired amount of pow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컨베이어(10)는 두께가 얇고 이로 인해 열손실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하기 위해 얇은 스테인레스 스틸 선재를 사용하여 그물망처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는 열원부(20)로부터 방사된 열이 제 2컨베이어(12)의 상면에 놓이게 되는 단전지(200)에 골고루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or 10 is preferably made of a net using a thin stainless steel wire in order to make the thickness thin so that the heat loss can be negligible, which is described below. This is to ensure that the heat radiated from the 20 is evenly transmitted to the unit cell 200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veyor 12.

상기 열원부(20)는 실질적으로 각 단전지(200)를 연결시켜 주는 리본 전선에 묻은 납을 녹이는데 사용되는 열을 방출시켜 주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열원부(20)는 분리대(24)로 차폐시켜 열적 교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세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The heat source unit 20 substantially emits heat used to melt lead buried in a ribbon wire connecting each unit cell 200. The heat sour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partitioned into three zones so that the heat exchange does not occur by shielding the separator 24.

첫번째 구역은 예비 영역(21)으로 단전지(200)의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리본 전선에 묻혀진 납을 일차적으로 예열시켜 주는 부분으로, 납이 녹은 온도에 대해서 약 80 ∼ 90 %의 온도까지 예비로 가열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예비 영역(21)은 4개의 열선(25)이 구비된 예를 보여 주고 있으며, 이들 각 열선(25)은 동시에 예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게 된다.The first zone is to preheat the lead buried in the ribbon wire for connecting the terminals of the unit cell 200 to the spare area 21. The lead zone is preliminarily heated to a temperature of about 80 to 90% of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lead. It will heat up.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liminary region 21 shows an example in which four hot wires 25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hot wires 25 is configured to be preheated at the same time.

두번째 영역은 1차로 예열된 납을 완전히 녹여 주기 위한 융착영역(22)으로, 이 영역에서는 납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게 된다. 특히, 상기 융착 영역(22)은 예비 영역(21)과 동일한 갯수,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4개의 열선(25)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들 열선중 실제 융착가열하는 경우 4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첨부도면 도 2에서 좌측의 2개를 메인 열선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2개의 열선을 예비 열선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는, 예를 들어, 좌측의 2개의 열선만 사용하여 짧은 시간에 납이 녹는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켜 줌으로써 단전지(200)에 가해지는 열적 충격을 줄이고 또한 납의 융착이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만일 메인 열선이 파손되는 경우 예비 열선을 제어하여 방열 공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The second region is a fusion region 22 for completely melting lead preheated in the primary region, where the region is heated above the melting temperature of lead. In particular, the fusion region 22 is the same number as the preliminary region 21, that is, four heating wires 25 are provid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of these heating wires are used simultaneously in the actual fusion heating However, preferably, two of the left sid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FIG. This is, for example, by using only the two heating wires on the left side to heat above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melting lead in a short time to reduce the thermal shock applied to the unit cell 200 and also to lead fusion is effectively made, if the main When the hot wire is broken, the preliminary hot wire is controlled so that the heat dissipation process is continuously performed.

마지막 세번째 영역으로 안정화 영역(23)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 안정화 영역(23)은 납이 녹는 온도의 약 70% 정도의 온도로 가열되는 구간이다. 이러한 안정화 영역(23)은 납이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상태에서 급격하게 냉각됨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없애 주기 위한 것이다.The final third region is composed of a stabilization region 23, and the stabilization region 23 is a section heated to a temperature of about 70% of the melting temperature of lead. This stabilization region 23 is intended to eliminate the problems that may occur as lead is rapidly cooled in a state where the lead is heated above the melting tempera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열원부(20)는 납의 용융 온도에 대해 각 구간에서의 사용가능한 온도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단전지(200)를 접속시켜 주기 위한 연결재료의 한가지 예에 불과하며, 납의 온도값(용융온도)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융착 재질에 따라 널리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각 열선(25)으로부터 방열되는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ource unit 20 has described the usable temperature in each section with respect to the melting temperature of lead,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of a connection material for connecting the unit cell 200 and , It is not limited to the temperature value (melting temperature) of the lead can be widely applied according to the fusion material,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easily control the temperature radiated from each heating wire (25).

또한, 상기 각 영역(21-23)은 분리대(24)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단열재(26)로 둘러싸여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특히 상기 각 열선(25)에는 외주면에 방열재(27)를 감아 방사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원부(20)에는 상면이나 전면부에 관측창(미도시됨)을 구성하여 내부의 가열 상태 및 단전지(200)의 접속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관측창에 CCD 카메라(미도시됨)을 장착하여 공정이 이루어지는 열원부(20)의 내부 상태를 용이하게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area 21-23 is partitioned by a separator 24, and is surrounded by a heat insulating material 26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heat insulating effect, in particular in each of the heating wire 25,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is preferable to wind up (27) so that a radiation effect can be heightened furthe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n observation window (not shown) on the upper surface or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source unit 20 so that the internal heating state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unit cell 200 can be visually checked. In the following, it is preferable to mount a CCD camera (not shown) in the observation window to easily monitor the internal state of the heat source 20 in which the process is performed.

이와 같이 이루어진 열원부(20)는 예비영역(21)-융착 영역(22)-안정화 영역(23)이 순차적으로 구획된 상판과 하판이 각각 상기 제 2컨베이어(12)상에 장착되며, 이때 상기 예비영역(21)쪽이 제 1컨베이어(11)를 향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In the heat source unit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on which the preliminary region 21, the fusion region 22, and the stabilization region 23 are sequentially partitioned are mounted on the second conveyor 12, respectively. The preliminary area 21 faces the first conveyor 11 so as to face each other.

상기 납증기 배출수단(30)은 상술한 열원부(20)에서 납을 녹일 때에 발생되는 납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장치로서, 첨부도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원부(20)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주는 덕트(31)와, 이 덕트(31)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주는 진공 장치(미도시됨)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31)는 제 2컨베이어(12) 면과 거의 맞닿을 정도로 장착하게 되며, 특히 상기 덕트(31)는 바깥쪽 테두리가 열원부(20)와 맞닿는 안쪽면에 비해 더 높은 위치로 절개된 경사면(32)이 형성되어 있다.The lead vapor discharging means 30 is an apparatus for effectively discharging lead steam generated when melting lead in the above-described heat source unit 20, as shown in FIG. 3. It consists of the duct 31 which wraps around an edge part, and the vacuum apparatus (not shown) which makes the inside of this duct 31 into a vacuum state. The duct 31 is mounted to almos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veyor 12, in particular, the duct 31 is cut to a higher position tha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edge is in contact with the heat source 20. The inclined surface 32 is formed.

이에 상기 덕트(31)는 미도시된 진공장치가 작동할 때, 즉 상기 열원부(20)에서 열이 발생할 때부터 주변 공기를 테빙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덕트(31)는 경사면(32) 때문에 열원부(20)의 외부 공기를 더 많이 흡입하게 되고, 이 열원부(20)의 납증기를 포함하는 공기는 소량이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덕트(31)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duct 31 discharges the surround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tebbing device 100 when the vacuum device, which is not shown, is operated, that is, when heat is generated in the heat source unit 20. At this time, the duct 31 is due to the inclined surface 32 to suck more outside air of the heat source portion 20, the air containing lead steam of the heat source portion 20 is a small amount of duct ( 31) emissions are achieved.

따라서, 상기 덕트(31)는 주변 열원부(20)의 주변 공기를 납증기가 함유된 열원부(20)의 내부 공기보다 더 많은 량을 배출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납증기가 열원부(20)의 테두리를 통해 그 주변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막고 바로 덕트(3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duct 31 discharges the ambient air of the surrounding heat source part 20 more than the internal air of the heat source part 20 containing the lead vapor, so that the lead steam is the heat source part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 of the periphery through the rim of the exhaust through the duct 31 immediately.

또한, 상기 덕트(31)는 제 3컨베이어(13) 상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때문에 별도의 냉각 장치가 없이도 열원부(20)에 의해 가열된 단전지를 식혀 주는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특히, 상기 제 3컨베이어(13)에는 상부에 모듈의 전기적인 특성(예를 들어, 전류, 전압 그리고 저항 등)을 측정하기 위한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미도시된 검사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검사 장치는 컨베이어 밸트를 통해 완성된 모듈이 제 3컨베이어(13)로부터 장치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모듈에 이 컨베이어(13)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놓고 검침용 전극이 모듈에 닿게 하여 전압을 인가시킨 다음 전류를 측정하여 모니터링 장치에 디스플레이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값들은 상기 모듈의 제작시 이미 알고 있는 전압 및 전류값과 비교하여 모듈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duct 31 sucks air on the third conveyor 13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cooling the unit cell heated by the heat source unit 20 without a separate cooling device. In particular, the third conveyor 13 is provided with an unillustrated inspection device, which is made up of convention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dule (eg, current, voltage and resistance, etc.) at the top. The inspection device temporarily stops the conveyor 13 on the module before the completed module is discharged from the third conveyor 13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hrough the conveyor belt, and the probe electrode contacts the module to apply voltage. The current is then measured and displayed on the monitoring device. These values are to determine whether the module is defective by comparing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s already known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module.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개로 구획된 컨베이어와 3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서 제 2컨베이어에 장착된 열원부 그리고 이 열원부의 주위를 감싸주는 납증기 배출수단 및 완성된 모듈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검사 장치로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hree divided conveyors and three regions to determine whether the heat source unit mounted on the second conveyor and the lead steam discharge means surrounding the heat source unit and the completed module are defective. By constructing the inspection device,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1) 열원부 내부의 납증기가 열원부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막아 작업자 내부 환경이 납증기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막아 주고 이는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1) It prevents lead steam inside the heat source part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heat source part, thus preventing the worker's internal environment from being contaminated by lead steam, which helps to ensure worker safety.

2) 열원부가 3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서 리본 전선을 안정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때문에 단전지에 가해지는 열적 충격이 예열 영역이 짧고 용접 영역이 길어서 발생될 수 있는 전력 손실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융착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2) Since the heat source is divided into three areas to connect the ribbon wire stably, the thermal shock applied to the unit cell minimizes the power loss that can be generated due to the short preheating area and the long welding area, and at the same time, the effective welding effect You can get it.

3) 종래의 대류 발생 장치가 없이 단순한 진공 장치를 이용하여 납증기의 배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3) Without the conventional convection generator,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effect of the discharge of lead steam by using a simple vacuum device.

4) 가열 영역에 구성된 열선의 발열량을 조절하여 다양한 접속 물질에 대해서도 접속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4)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wire formed in the heating zone, it is possible to stably obtain a connection effect even for various connection materials.

5) 리본 전선의 접속 공정후 제 3컨베이어로 토출되는 태양 전지 모듈이 납증기 배출수단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어 별도의 냉각 수단이 없이도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5) Since the solar cell module discharged to the third conveyor after the ribbon wire connection process is cooled by the lead vapor discharge means,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without a separate cooling means.

6) 관측창 또는 CCD 카메라를 통해 열원부에서 진행되는 공정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상황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7) 용접 불량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접촉 상태를 인라인(in-line) 상에서 검사가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6) Through the observation window or CCD camera,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process situation in the heat source part and to cope quick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7) In-line contact state caused by welding failure In this case, the inspection can be performed, thereby increasing productivity.

Claims (6)

3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진 컨베이어와,A conveyor divided into three zones, 제 2컨베이어를 중심으로 상하에 대칭되게 장착되는 열원부와,A heat source part mounted symmetrically up and down about the second conveyor, 열원부 주위에 구성되어 주변 공기와 함께 납증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납 증기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It is composed around the heat source portion and includes lead vapor discharge means for inhaling the lead vapor with the ambient air to discharge to the outside, 상기 열원부는 예비 영역과 융착 영역 그리고 안정화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The heat source portion is divided into a preliminary region, a fusion region and a stabilization region, 상기 제 3컨베이어에는 공정을 마친 모듈의 전기적 특성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모듈용 테빙 장치.The third conveyor is provided with a testing device for test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dule after the process, the solar cell module tebb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는 열선으로 발열시켜 주며 발열된 열이 제 2컨베이어를 향하도록 단열처리가 되어 있으며, 상기 열선에는 방열효과를 높이기 위해 방열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모듈용 테빙 장치.Th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source part generates heat by a hot wire and is insulated so that the heat generated is directed to the second conveyor, and the heat wire is provided with a heat dissipating member to increase a heat dissipation effect. Tabbed device f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는 예비 영역에서 용재가 녹는 온도의 90%로 예열되고 융착 영역에서 용재가 녹는 온도 이상 가열되며 안정화 영역에서 용재가 녹는 온도의 70%를 유지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모듈용 테빙 장치.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heat source is preheated to 90% of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material in the preliminary zone, heated above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melt in the fusion zone and maintained at 70% of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melt in the stabilization zone Tebbing device for a solar cel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영역은 메인 열원과 예비 열원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모듈용 테빙 장치.The tebbing device for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usion region is divided into a main heat source and a preliminary heat sou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납 증기 배출 수단은 열원부의 바깥쪽 테두리를 감싸주는 형태로 컨베이어를 향해 개구된 덕트와, 이 덕트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진공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모듈용 테빙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ad vapor discharge means comprises a duct opened toward the conveyor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edge of the heat source portion, and a vacuum device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duct to the outside Tabing device for battery modu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바깥쪽 측벽이 안쪽 측벽보다 더 크게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모듈용 테빙 장치.The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uct has an outer sidewall cut out larger than the inner sidewall.
KR10-2001-0046019A 2001-07-30 2001-07-30 Tabbing apparatus for a solar cell module KR1003980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019A KR100398053B1 (en) 2001-07-30 2001-07-30 Tabbing apparatus for a solar cel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019A KR100398053B1 (en) 2001-07-30 2001-07-30 Tabbing apparatus for a solar cell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139A KR20030012139A (en) 2003-02-12
KR100398053B1 true KR100398053B1 (en) 2003-09-19

Family

ID=2771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019A KR100398053B1 (en) 2001-07-30 2001-07-30 Tabbing apparatus for a solar cell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0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73755T3 (en) * 2008-03-20 2012-02-08 Komax Holding Ag WELDING DEVICE FOR CONNECTING SOLAR CELL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2860A (en) * 1987-02-19 1988-08-22 Toshiba Corp Fuel cell system
JPH1051018A (en) * 1997-05-12 1998-02-20 Canon Inc Solar battery module
JPH1187756A (en) * 1997-09-05 1999-03-30 Mec:Kk Method and tool for soldering metallic tab to surface of solar battery cell in superposing state
JPH11312820A (en) * 1998-04-28 1999-11-09 Sanyo Electric Co Ltd Solar cell module and its manufacture
JP2000022188A (en) * 1998-07-03 2000-01-21 Npc:Kk Soldering system for tab lea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2860A (en) * 1987-02-19 1988-08-22 Toshiba Corp Fuel cell system
JPH1051018A (en) * 1997-05-12 1998-02-20 Canon Inc Solar battery module
JPH1187756A (en) * 1997-09-05 1999-03-30 Mec:Kk Method and tool for soldering metallic tab to surface of solar battery cell in superposing state
JPH11312820A (en) * 1998-04-28 1999-11-09 Sanyo Electric Co Ltd Solar cell module and its manufacture
JP2000022188A (en) * 1998-07-03 2000-01-21 Npc:Kk Soldering system for tab l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139A (en)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3553B2 (en) Glass welding method
WO2011062408A2 (en) Laser sealing device for glass substrates
EP1998358A2 (en) Filament lamp and light-irradiation-type heat treatment device
KR100398053B1 (en) Tabbing apparatus for a solar cell module
KR20210010381A (en) Heat treatment method and heat treatment apparatus
US4685200A (en) Low internal temperature technique for hermetic sealing of microelectronic enclosures
KR100541506B1 (en) Molybdenum foil seal in glass and an electric lamp having such a molybdenum foil seal
US614863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uorescent lamp
EP0205727A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iniature tipless halogen lamp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same
KR101865159B1 (en) Solder sleeve connector assembly system
JP6468808B2 (en) LAMP DEVICE AND LAMP MANUFACTURING METHOD
JP5293453B2 (en) Filament lamp
US7040804B2 (en) Method for measuring diffusion coefficient in conductive melt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ame
KR101159968B1 (en) Cooling Panel of Electric Furnace
JPH0619546Y2 (en) Heat curing device
KR102482276B1 (en) Ceramic protect device having internal heating member and secondary battery char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655756B1 (en) Glass chip tube seal-cutting method
Darcy Thermal runaway severity reduction assessment for EVA Li-ion batteries
CN108581164B (en) High-frequency matrix welding device
WO2023075342A1 (en)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spiral welding part,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CN112539653B (en) Rotary enamel drying and sintering production line and production process
JP2004273943A (en) Heat treatment device
CN211453696U (en) CAF test connecting wire dampproof box and fixing plate thereof
KR200148491Y1 (en) Apparatus for conforming fusion betweem gas pipe and connecting pipe in filament winding structure
KR20220140363A (en) Heating cable connenting device and flexible heater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