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489B1 - 복수 인터페이스 메모리카드 및 그 전환모듈 - Google Patents

복수 인터페이스 메모리카드 및 그 전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489B1
KR100391489B1 KR10-2000-0019149A KR20000019149A KR100391489B1 KR 100391489 B1 KR100391489 B1 KR 100391489B1 KR 20000019149 A KR20000019149 A KR 20000019149A KR 100391489 B1 KR100391489 B1 KR 100391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memory card
connection
product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787A (ko
Inventor
리-호 야오
Original Assignee
리-호 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호 야오 filed Critical 리-호 야오
Priority to KR10-2000-001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489B1/ko
Publication of KR20010095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8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from or to individual record carriers, e.g. punched card, memory card, integrated circuit [IC] card or smart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12High speed serial bus, e.g. IEEE P139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 Control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인터페이스 메모리카드 및 그 전환모듈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카드 내부에는 마이크로제어부, 기억장치 및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USB 및 IEEE 1394 등 일정한 규격형식(規格形式)의 연결 인터페이스와 제품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그중 USB, IEEE 1394 등의 인터페이스는 전환모듈을 통하여 컴퓨터와 연결하며, 컴퓨터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통하여 기억장치에 판독/기록하도록 하며, HOST 인터페이스는 제품을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메모리카드가 상기와 같은 설계를 통하여 디지털제품에 사용되면, 여러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판독과 관리가 편리하게된다.

Description

복수 인터페이스 메모리카드 및 그 전환모듈 {MULTI-INTERFACE MEMORY CARD AND ADAPTER MODULE FOR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 인터페이스 메모리카드 및 그 전환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각각 제품 또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데이터의 기록과 판독을 용이하게 하는 메모리카드 및 그 전환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제품이 출현함에 따라 시중에는 다양한 규격(規格)의 소형 메모리카드가 출현하였다. 예를 들면, STONE카드, Smart Media카드, MMC카드, Memory Stick카드, Compact Flash카드 등은 모두 시중에서 많이 유통되고 있는 메모리카드이며, 이러한 메모리카드들은 작고 가벼워 디지털제품의 데이터 저장 요구에 부합될 뿐만 아니라, 그 용량이 Mbyte이상에 도달하였으므로 디지털카메라와 같은 디지털제품에 있어서 아주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메모리카드를 사용할 때에는 주변장치와 결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메모리카드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려면 역시 컴퓨터로 처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메모리카드는 컴퓨터의 표준규격에 맞지 않으므로 메모리카드와 컴퓨터를 연결하려면 반드시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1. 카드판독기를 이용. 이러한 카드판독기들은 각각 일정한 유형의 메모리카드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예를 들면, Smart Media카드, MMC카드, Memory Stick카드, Compact Flash카드 등은 모두 전문적으로 특정한 카드판독기가 있으며, 상기 카드판독기들은 컴퓨터의 인터페이스와 연결시킨 후 메모리카드를 카드판독기에 삽입하여 카드판독기를 통해 메모리카드 내의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2. 전환디스크를 이용. 이러한 전환디스크의 크기는 3.5인치 디스크와 같으며, 그 위에는 메모리카드를 삽입하도록 하는 전환슬롯이 설치되어있고, 메모리카드가 삽입되면 전환디스크가 컴퓨터의 3.5인치 디스크드라이버에서 판독된다.
그러나, 상기 두 가지 방법은 각각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대 다수의 카드판독기는 판독만 할 뿐, 데이터를 리드인 할 수 없으며 또한 전환디스크를 통하여 디스크드라이버로 판독하면 실행 속도가 현저히 감속되며, 전환디스크 및 프로필디스크의 다중 전환으로 인한 기계고장이 발생할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필요로 하는 새로운 규격의 컴퓨터 인터페이스 포트가 나온다. 예를 들면, 얼마 전에 출시한 USB(Universial Serial Bus), IEEE 1394등, 이중 USB는 최다 127개의 주변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상의 확장슬롯 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전송 속도도 또한 사용자가 강조하는 중점이다. USB 전송속도는 12Mbits/sec인 것에 비해 다른 종류인 IEEE 1394의 전송속도는 놀라운 정도인 100Mbits/sec, 200Mbits/sec 및 400Mbits/sec 이며, 주로 전송속도에 대한 요구가 높은 주변장치,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의 외부 연결식 디스크드라이브에 사용된다.
때문에, 컴퓨터 사용자는 일정한 시간에 일정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으나, 어떠한 인터페이스 메모리카드든지 일정한 규격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와 연결하여야 함으로, 반드시 정해진 카드판독기 또는 전환장치를 이용해야하므로, 이는 메모리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측면에서 볼 때 대단히 불편하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재의 메모리카드와 컴퓨터 사이의 연결기술은 아직도 많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더욱 진보된 검토와 해결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여러 가지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연결함으로써 실행 속도를 제고하고 기계적 고장을 감소시키는 메모리카드 및 전환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메모리카드 내부 전기회로도.
도2는 상기 메모리카드 내의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전기회로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외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황의 참고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메모리카드 내부 전기회로도.
도7은 상기 메모리카드내의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전기회로블록도.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의 평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한 주요 기술적 방법은 상기 메모리카드내부에 각각 아래와 같이 설치하였다.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통하여 외부와 연결된 컴퓨터 또는 제품으로 데이터를 판독/기록하는 기억장치,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통하여 기억장치와 연결되며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며, 또한 각 연결 인터페이스는 일정 규격의 인터페이스 포트의 규격에 부합되는 컴퓨터에 연결되도록 하는 일조(一組) 또는 일조 이상의 연결 인터페이스, 및
디지털카메라와 같은 디지털제품과 연결하여 데이터기록을 하도록 하는 제품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특성을 갖는 메모리카드는 제품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지털화된 제품으로 하여금 데이터를 판독/기록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각각 규정된 규격의 인터페이스포트를 통하여 컴퓨터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판독/기록하도록 한다. 이러한 설계로 메모리카드의 사용이 더욱 실용적이며 편리해진다.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는 USB, 혹은 IEEE 1394 일 수 있다.
상기 전환모듈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결합하여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단자(端子)베이스가 설치되어있으며, 한 단에는 메모리카드를 삽입하도록 하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 단에는 정해진 규격의 컴퓨터 인터페이스 포트와 연결 할 수 있도록 한 조 이상의 연결기가 설치되어있다.
심사관 님의 상기한 목적과 본 발명의 구조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을 첨부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메모리카드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기회로 구조를 나타낸 회로도이며,
마이크로컨트롤러(10),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0)와 연결하며 마이크로컨트롤러(10)를 통하여 외부에 연결된 컴퓨터 또는 주변 장치의 데이터를 판독/기록하는 기억장치(20),
마이크로컨트롤러(10)를 통하여 기억장치(20)와 연결되고 데이터의 진출을 제어하는 한 조 또는 일조 이상의 연결 인터페이스(31),(32)와
디지털제품(예를 들면, 디지털카메라)과 연결하여 데이터를 판독/기록 저장하는 제품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0)는 적당한 매개체와 배합하여 데이터 전환 작업을 수행하며, 주변 장치가 판독한 데이터를 전환한 후 기억장치(20)의 특정된 위치에 저장하고, 또한 컴퓨터와 연결될 때에는 기억장치(2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검출하여 전환시킨 후 상응한 인터페이스에서 컴퓨터로 전송한다. 내부 구조는 도 2에서와 같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13),
각각 I/O단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 및 외부의 연결 인터페이스 (31), (32)과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 인터페이스 제어기(11), (12),
각각 I/O단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 및 외부 제품의 인터페이스(40)와 연결되는 HOST 인터페이스 제어기(14), 및
각각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 다수의 연결 인터페이스 제어기(11), (12) 및 HOST 인터페이스 제어기(14)와 연결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그중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0) 내부에는 두 개의 연결 인터페이스 제어기(11), (12)가 설치되며, 그중 하나는 USB 인터페이스 제어기이고, 다른 하나는 IEEE 1394 인터페이스 제어기이다.
또한, 상기 HOST 인터페이스 제어기(14)는 STONE카드에 부합되는 것으로서, 외부 제품 인터페이스(40)와의 연결에 사용된다. 또한, 주목할 사항으로 상기 HOST인터페이스 제어기(14)는 STONE카드 규격에만 부합되는 것이 아니며, 기타 메모리카드 규격에 부합되는 인터페이스 제어기로도 구성할 수 있다.
역시 도 1에서, 상기 기억장치(20)는 플래시 메모리, 판독/기록 가능한 메모리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억장치(20)는 네 개의 플래시 메모리(21)∼(24)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플래시 메모리(21)∼(24)는 버스를 통하여 상호 연결됨과 아울러 마이크로컨트롤러(10)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31), (32)는 일조 또는 일조 이상의 복수가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조의 규정된 I/O 인터페이스를 연결 인터페이스(31), (32)로 하였으며, 각각 USB 및 IEEE 1394가 각각 마이크로컨트롤러(10)의 내부 두 연결 인터페이스 제어기(11), (12)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품 인터페이스(40)는 STONE카드 규격에 부합되는 I/O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이크로컨트롤러(10)의 내부 HOST 인터페이스 제어기(14)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STONE카드 외에 기타 메모리카드 규격에 부합되는 I/O 인터페이스로 구성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mart Media카드, MMC카드, Memory Stick카드, Compact Flash카드 등)
메모리카드가 제품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품 인터페이스(40)와 연결할 때에는 주변 장치의 데이터 출력 인터페이스는 제품 인터페이스(40)를 통하여 입력하며, 마이크로컨트롤러(10)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처리를 거친 후 기억장치(20)의 특정 위치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설계를 통하여 메모리카드가 유관제품의 내부에 설치되어 데이터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각각 부동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하거나 또는 컴퓨터로 데이터를 리드인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조와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능성을 증명할 뿐 적용대상 또는 제품유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카드(50)와 전환모듈(60)을 표시하며, 상기 메모리카드(50)의 내부에는 상기한 마이크로컨트롤러(10), 기억장치(20) 및 여러조의 인터페이스가 각각 설치되며, 또한 상기 메모리카드의 앞부분에는 인터페이스 포트(51)가 설치된다. 그중, 네 개의 단자는 USB 형식의 인터페이스로 하고 그 외의 단자는 각각 IEEE 1394 형식의 연결 인터페이스 및 STONE카드 규격에 부합되는 제품 인터페이스로 한다. 컴퓨터의 부동한 I/O 인터페이스 포트와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카드(50)는 전환모듈(60)이 배치되며, 상기 전환모듈(60)에 설치된 상응(相應)하는 연결기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인터페이스 포트에 접속함으로써 연결을 완성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환모듈(60)은 대칭형태의 상부 케이스(61)와 하부 케이스(62)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단자베이스(63)가 설치되고, 또한 다른 한 단에는 각각 USB 연결기(64)와 IEEE 1394 연결기(65)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61)와 하부 케이스(62)는 적당한 결합 수단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61)와 하부 케이스(62)의 양단(兩端)에는 각각 개구(opening)가 형성되며, 그중 한 단의 개구는 메모리카드 슬롯(66)을 형성하고, 다른 한 단은 두 갈래로 두 개의 개구를 형성하여 각각 상기 USB 연결기(64) 및 IEEE 1394 연결기(65)를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카드 슬롯(66)은 단자베이스(63)의 외측과 대응된다.
또한, 상기 단자베이스(63)는 ┏┓형(이하, U자형)의 프레임이므로, 두 개의 대응하는 측(側) 프레임과 상기 두 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두 측 프레임의 내측벽(內側壁)에는 각각 궤도(軌道)(도면에 표시 안됨)가 형성되어 있어, 메모리카드(50)를 삽입하도록 한다(도 4는 메모리카드(50)가 삽입된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단자베이스(63)의 수평 연결부에는 다수개의 단자(631)가 설치되며, 각 단자(631)의 한 단은 각각 메모리카드(50)상의 인터페이스 포트(51)에 대응하고, 다른 한 단은 각각 USB 연결기(64) 및 IEEE 1394 연결기(65)와 연결하므로 메모리카드(50)가 전환모듈(60) 내에 삽입하며, 인터페이스 포트(51)는 단자 베이스(63) 내의 각 단자(631)와 접속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51)는 각 단자(631)를 통하여 각각 USB 연결기(64) 및 IEEE 1394 연결기(65)와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카드(50)는 결합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연결기(64) 또는 IEEE 1394 연결기(65)를 통하여 컴퓨터상의 대응하는 확장슬롯에 연결되며, 전환모듈(60) 내의 메모리카드(50)는 USB 인터페이스 또는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컴퓨터와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카드(50)는 상기 고속 인터페이스 포트를 통하여 직접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고속 전송의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의 속도를 제고하여 컴퓨터의 메모리카드(50)에 대한 판독 및 기록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해진다.
상기 전환모듈(60)은 직접 컴퓨터의 확장 슬롯에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브(Hub)의 슬롯에 연결되어 허브를 통하여 컴퓨터와 연결할 수 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자 회로도이며, 그 구조는 아래와 같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같다. 이 메모리카드는 하나의 연결 인터페이스(30)와 제품 인터페이스(40)만 제공하며,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30)와 제품 인터페이스(40)는 마이크로컨트롤러(10)를 통하여 기억장치(20)와 연결된다. 그중 마이크로컨트롤러(10)의 구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13), IEEE 1394 인터페이스 제어기(12), HOST 인터페이스 제어기(14)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5)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IEEE 1394 인터페이스 제어기(12)는 연결 인터페이스(30)와 연결되고, HOST 인터페이스 제어기(14)는 역시 제품 인터페이스(40)와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카드는 제품에 제공되어 데이터를 기록 저장할 뿐만 아니라, 전환모듈을 통하여 컴퓨터 상의 IEEE 1394 인터페이스 포트와도 연결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전환모듈(70)은 아래와 같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같다. 이 전환모듈(70)은 전환모듈(70)에 접속된 메모리카드(50)가 컴퓨터상의 IEEE 1394 인터페이스 포트와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하나의 IEEE 1394 연결기(70)만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체적 구조 형태와 동작 원리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재의 STONE카드, Smart Media카드, MMC카드, Memory Stick카드 및 Compact Flash카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각 메모리카드가 용이하게 판독 또는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컴퓨터 연결 인터페이스와 제품 인터페이스를 갖는 메모리카드를 제공하며, 이러한 설계를 통하여 상기 메모리카드를 유관제품 내부에 설치하여 제품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 저장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 상의 비 특정 인터페이스 포트와도 연결되어 컴퓨터의 판독 또는 기록속도를 더욱 빠르게 한다. 또한 메모리카드 사용자는 컴퓨터 상의 일정 규격의 인터페이스 포트에 대해서 특정된 카드판독기 또는 전환기를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져, 하나의 전환모듈로 연결 다용도 목적으로 사용 할 수 있으므로, 단일 규격 기능만 갖고 있는 카드판독기 또는 전환장치보다 사용이 편리하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설계는 진보성과 실용성을 갖고있어, 특허 획득의 요건에 부합됨으로 법에 의하여 출원하다.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전환모듈(60)과 결합되는 메모리카드(50)로서,
    상기 메모리카드(50)는
    마이크로컨트롤러(10),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0)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장치(20),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0)를 통해 상기 메모리 장치(20)에 연결되어 상기 기억장치(20) 내의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복수의 연결 인터페이스(31, 32), 및
    디지털 제품과의 연결을 위한 제품 인터페이스(40)
    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모듈(60)은
    상기 메모리카드(5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용하며, 컴퓨터의 인터페이스 포트와의 연결에 적합한 복수의 인터페이스 연결기(64, 65), 및 단자베이스(63)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베이스(63)는 상기 메모리카드(50)의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31, 32) 및 상기 제품 인터페이스(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전환모듈(60)의 복수의 인터페이스 연결기(64, 65)에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연결단자(631)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모리카드(50)가 상기 제품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상기 디지털 제품에 장착되면, 상기 디지털 제품으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은 상기 제품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상기 메모리카드(50)로 전송되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0)에 의해 상기 기억장치(20)에 기억되도록 처리되며,
    상기 메모리카드(50)가 상기 전환모듈(60)에 결합된 후, 상기 전환모듈(60)은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 연결기(64, 65)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컴퓨터의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에 플러그인 되어 상기 컴퓨터가 상기 메모리카드(50)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카드.
  14. 제13항에서,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메모리카드(10)의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3),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 인터페이스(31, 32)에 대응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인터페이스 제어기(11, 12),
    상기 제품 인터페이스(4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 사이에 접속된 호스트 인터페이스 제어기(14),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 상기 복수의 연결 인터페이스 제어기(11, 12),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 제어기(14) 및 상기 기억장치(20)에 연결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5)
    를 포함하는 메모리카드.
  15. 제14항에서,
    상기 전환모듈(60)의 상기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61)와 하부 케이스(62)로 이루어지며,
    상부 케이스(61) 및 상기 하부 케이스(62)는 각각 개구(opening)가 규정된 제1 단부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61)와 하부 케이스(62)가 결합되면 상기 두 개의 개구에 의해 상기 메모리카드(5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슬롯(66)이 규정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61)와 상기 하부 케이스(62)가 결합된 후, 상기 상부 케이스(61)와 상기 하부 케이스(62)의 제2 단부에 의해 제2 슬롯들이 규정되어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 연결기(64, 65)가 상기 제2 슬롯들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카드.
  16. 제14항에서,
    상기 단자베이스(63)는 두 개의 평행 림(rim)과 상기 두 개의 림 사이에서 연장되는 리브(rib)를 구비하는 U자형(U-shaped) 프레임이고, 각각의 림은 내측에 슬라이드식으로 상기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딩 슬롯을 규정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631)는 상기 리브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 연결기(64, 65)에 연결되는
    메모리카드.
  17. 제15항에서,
    상기 단자베이스(63)는 두 개의 평행 림과 상기 두 개의 림 사이에서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는 U자형 프레임이고, 각각의 림은 내측에 슬라이딩 슬롯을 규정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631)는 상기 리브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 연결기(64, 65)에 연결되는
    메모리카드.
  18. 제16항에서,
    상기 메모리카드(50)의 상기 복수의 연결 인터페이스(31, 32)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31)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eers) 1394 인터페이스(32)인 메모리카드.
  19. 제17항에서
    상기 메모리카드(50)의 상기 복수의 연결 인터페이스(31, 32)는 USB 인터페이스(31)와 IEEE 1394 인터페이스(32)인 메모리카드.
  20. 제18항에서,
    상기 메모리카드(50)의 전단부(fornt end)는 상기 전환모듈(60)의 상기 단자베이스(63)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포트(51)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51)는 복수의 단자홀(terminal hole)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홀 중 4개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로 제공되고 나머지 단자홀은 상기 IEEE 1394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품 인터페이스(40)로 제공되는
    메모리카드.
  21. 제19항에서,
    상기 메모리카드(50)의 전단부는 상기 전환모듈(60)의 상기 단자베이스(63)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포트(51)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51)는 복수의 단자홀(terminal hole)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홀 중 4개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로 제공되고 나머지 단자홀은 상기 IEEE 1394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품 인터페이스(40)로 제공되는
    메모리카드.
  22. 전환모듈(60)과 결합되는 메모리카드(50)로서,
    상기 메모리카드(50)는
    마이크로컨트롤러(10),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0)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장치(20),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0)를 통해 상기 메모리 장치(20)에 연결되어 상기 기억장치(20) 내의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연결 인터페이스(30), 및
    디지털 제품과의 연결을 위한 제품 인터페이스(40)
    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모듈(60)은
    상기 메모리카드(5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용하며, 컴퓨터의 인터페이스 포트와의 연결에 적합한 IEEE 1394 인터페이스 연결기(71) 및 단자베이스(63)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베이스(63)는 상기 메모리카드(50)의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30) 및 상기 제품 인터페이스(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전환모듈(60)의 상기 IEEE 1394 인터페이스 연결기(71)에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연결단자(631)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모리카드(50)가 상기 제품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상기 디지털 제품에 장착되면, 상기 디지털 제품으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은 상기 제품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상기 메모리카드(50)로 전송되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0)에 의해 상기 기억장치(20)에 기억되도록 처리되며,
    상기 메모리카드(50)가 상기 전환모듈(60)에 결합된 후, 상기 전환모듈(60)은 상기 IEEE 1394 인터페이스 연결기(71)를 통해 상기 컴퓨터의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에 플러그인 되어 상기 컴퓨터가 상기 메모리카드(50)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
  23. 제22항에서,
    상기 메모리카드(10)의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3),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30)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연결 인터페이스 제어기(12),
    상기 제품 인터페이스(4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 사이에 접속된 호스트 인터페이스 제어기(14),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 제어기(12),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 제어기(14) 및 상기 기억장치(20)에 연결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5)
    를 포함하는 메모리카드.
  24. 제23항에서,
    상기 전환모듈(60)의 상기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61)와 하부 케이스(62)로 이루어지며,
    상부 케이스(61) 및 상기 하부 케이스(62)는 각각 개구가 규정된 제1 단부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61)와 하부 케이스(62)가 결합되면 상기 두 개의 개구에 의해 상기 메모리카드(5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슬롯(66)이 규정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61)와 상기 하부 케이스(62)가 결합된 후, 상기 상부 케이스(61)와 상기 하부 케이스(62)의 제2 단부에 의해 제2 슬롯이 규정되어, 상기 제2 슬롯에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 연결기(64, 65)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카드.
  25. 제23항에서,
    상기 단자베이스(63)는 두 개의 평행 림과 상기 두 개의 림 사이에서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는 U자형 프레임이고, 각각의 림은 내측에 슬라이드식으로 상기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딩 슬롯을 규정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631)는 상기 리브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IEEE 1394 인터페이스 연결기(71)에 연결되는
    메모리카드.
  26. 제24항에서,
    상기 단자베이스(63)는 두 개의 평행 림과 상기 두 개의 림 사이에서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는 U자형 프레임이고, 각각의 림은 내측에 슬라이딩 슬롯을 규정하며,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631)는 상기 리브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IEEE 1394 인터페이스 연결기(71)에 연결되는
    메모리카드.
KR10-2000-0019149A 2000-04-12 2000-04-12 복수 인터페이스 메모리카드 및 그 전환모듈 KR100391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149A KR100391489B1 (ko) 2000-04-12 2000-04-12 복수 인터페이스 메모리카드 및 그 전환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149A KR100391489B1 (ko) 2000-04-12 2000-04-12 복수 인터페이스 메모리카드 및 그 전환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787A KR20010095787A (ko) 2001-11-07
KR100391489B1 true KR100391489B1 (ko) 2003-07-12

Family

ID=3753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149A KR100391489B1 (ko) 2000-04-12 2000-04-12 복수 인터페이스 메모리카드 및 그 전환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09B1 (ko) * 2001-12-22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 및 그 인터페이스를 위한커넥터
TWI286763B (en) * 2002-04-19 2007-09-11 Carry Computer Eng Co Ltd Dual-interface SD flash memory card
KR100597734B1 (ko) * 2002-06-25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드라이브 및 그 제어방법
KR100499686B1 (ko) * 2002-07-23 2005-07-07 주식회사 디지털웨이 메모리 확장 가능한 휴대용 플래쉬 메모리 장치
KR100505697B1 (ko) 2003-07-23 2005-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및 usb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연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1968A (en) * 1995-12-29 1999-0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frared transceiver for an application interface card
US6012103A (en) * 1997-07-02 2000-01-04 Cypress Semiconductor Corp. Bus interfac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1968A (en) * 1995-12-29 1999-0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frared transceiver for an application interface card
US6012103A (en) * 1997-07-02 2000-01-04 Cypress Semiconductor Corp. Bus interface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787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516B2 (en) Multi-interface memory card and adapter module for the same
EP1102172B1 (en) Dual interface memory card and adapter module for the same
KR100476817B1 (ko) Pc로 또는 pc 없이 여러 형태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판독하는 플래시토스터
US7493437B1 (en)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 memory cards with or without a PC
US7162549B2 (en) Multimode controller for intelligent and “dumb” flash cards
US6832281B2 (en)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 memory cards with or without a PC
US20050258243A1 (en) Express card interface adapter for small storage media
EP1146428B1 (en) Multi-interface memory card and adapter module for the same
JP2005519358A (ja) 標準的なデータインタフェースを備えた携帯型のデータ変換および処理装置
US20060187717A1 (en) Robust face detection algorithm for real-time video sequence mobile drive with expansion capacity, stackable, mobile storage device and control circiut thereof
GB2400203A (en) Micro card and passive adapter for micro card
KR100391489B1 (ko) 복수 인터페이스 메모리카드 및 그 전환모듈
JP3493518B2 (ja) マルチ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メモリーカード及びその変換アダプタ
CA2303565C (en) Multi-interface memory card and adapter module for the same
US20040198446A1 (en) Mass storage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200231733Y1 (ko)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장치
KR200313589Y1 (ko) 개선된 구조의 메모리 전환연결장치
KR100402196B1 (ko)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가진 메모리카드 및 그의 전환모듈
JP3084707U (ja) 外接式多種インターフェース記憶装置
AU2005211564B2 (en)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 memory cards with or without a PC
KR200426502Y1 (ko) Usb 플러그 단자가 구비된 대용량 메모리카드
JP2003076949A (ja) マルチタイプメモリカードドライブ
CA2551154A1 (en)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 memory card with or without a p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