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753B1 -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753B1
KR100388753B1 KR10-2001-0039215A KR20010039215A KR100388753B1 KR 100388753 B1 KR100388753 B1 KR 100388753B1 KR 20010039215 A KR20010039215 A KR 20010039215A KR 100388753 B1 KR100388753 B1 KR 10038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astening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2921A (ko
Inventor
백철승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75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의 체결력이 이동통신 단말기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 간의 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락킹 장치의 하부에는 배터리를 체결시키기 위해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며, 배터리의 상부에는 체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되, 삽입홈 내부의 일정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가 형성되며, 체결부가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에 의해 제지되지 않고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부의 하단의 일정 위치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구조{Locking structure in mobile phone and battery}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에 탑재된 배터리 간의 갭을 최소화하기 위한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본체의 전원 공급을 위하여 후면상에 충방전용 배터리가 장착되며, 이 배터리는 충전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락킹장치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고정되며, 이와 같은 락킹장치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를 체결시키기 위한 종래의 체결 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탑재되는 배터리(1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락킹 장치(111)를 구비하며, 이 락킹 장치(111)는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Spring)의 반동력을 이용해 배터리(120)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락킹 장치(111)의 하부에는 배터리(120)를 락킹(locking)시키기 위한 돌출부(112)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112)는 일면이 락킹 장치(111)에 접촉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터리(120)의 상부에는 돌출부(112)가 삽입되는 삽입홈(121)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121)은 락킹 장치(111)의 돌출부(1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락킹 장치(111)의 돌출부(112)와 배터리(120)의 삽입홈(121)이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락킹 장치(111)와 배터리(120)는 평면 구간에서 접촉하게 되며, 이 평면 구간의 접촉에 의해 배터리(120)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체결 구조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가 평면 구간에서 접촉되어 체결됨으로써, 도 2에서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 간에 일정한 갭(G)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갭(G)의 크기는 도 1에서 락킹 장치(111)의 돌출부(112)의 평면 부분(A)과 배터리(120)의 삽입홈(121)의 평면 부분(B) 간의 접촉 간격을 최대한 좁힘으로써 줄일 수 있지만,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할 경우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탑재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배터리 탑재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많은 힘을 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의 체결력이 이동통신 단말기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 간의 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체결구조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체결구조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에 장착된 락킹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구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체결구조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사시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락킹 장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와 이에 탑재되는 배터리를 체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락킹 장치의 하부에는 배터리를 체결시키기 위해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 내부의 일정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에 의해 제지되지 않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의 하단의 일정 위치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체결구조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사시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310)에 탑재되는 배터리(320)와 배터리(3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락킹 장치(311)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310)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310)의 상부에 장착된 락킹 장치(3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Spring)(312)의 반동력을 이용해 배터리(320)를 이동통신 단말기(31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구조를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310)의 락킹 장치(311)의 하부에는 배터리(320)를 체결시키기 위해 돌출된 체결부(313)가 형성되며, 이 체결부(313)의 하단의 일정 위치에는 배터리(3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314)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터리(320)의 상부에는 락킹 장치(311)의 체결부(313)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321)이 형성되되, 이 삽입홈(321) 내부의 일정 위치에는 하나의 경사부(322)가 형성된다. 이 경사부(322)는 삽입홈(321) 내부에 일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단차를 이루며, 이동통신 단말기(310)에 배터리(320)를 탑재할 경우 락킹 장치(311)의 체결홈(314)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310)에 배터리(320)를 탑재할 경우, 일정한 경사 각을 갖는 경사부(322)에 락킹 장치(311)의 체결부(313)가 접촉됨므로써, 락킹 장치(311)의 스프링(312)에 의해 배터리(320)에 가해지는 체결력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통신 단말기(310)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락킹 장치(311)로부터 배터리(320)에 가해지는 체결력이 이동통신 단말기(310)로 작용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310)와 배터리(320)의 체결이 보다 공고히 되며, 또한 도 2에서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310)와 배터리(320) 간에 발생되는 갭이 최소화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체결구조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사시도로서, 락킹 장치(311)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310)와 이에 탑재되는 배터리(6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체결구조에서는, 락킹 장치(311)의 체결부(3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터리(610)의 삽입홈(611)과 이 삽입홈(611) 내에 형성되는 두 개의 경사부(612, 613)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310)의 락킹 장치(311)에 형성된 체결 구조는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배터리(6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313)와 이 체결부(313)가 두 개의 경사부(612, 613)들에 의해 제지를 받지 않고 배터리(610)의 삽입홈(6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홈(314)이 형성된다.
여기서, 두 개의 경사부(612, 613)들이 동일한 경사 각도의 단차를 이루고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터리(610)의 삽입홈(611) 내에 형성되었지만, 이 경사부(612, 613)들은 도 3에서의 경사부(32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의 삽입홈 내에 형성되는 상기 경사부의 갯 수는 한 개나 두 개로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이나 모양도 상기한 바와 같이 한정되어 구현되지 않고 보다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사시도로서, 도 3에서의 체결구조나 도 6에서의 체결구조에 의해 배터리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 간의 갭을최소화함으로써, 제품의 불량률을 대폭 줄이고 소비자에 대한 제품의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락킹 장치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에 탑재되는 배터리를 체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락킹 장치의 하부에는 배터리를 체결시키기 위해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 내부의 일정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에 의해 제지되지 않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의 하단의 일정 위치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는 상기 삽입홈 내부에서 일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단차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구조.
KR10-2001-0039215A 2001-07-02 2001-07-02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구조 KR10038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215A KR100388753B1 (ko) 2001-07-02 2001-07-02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215A KR100388753B1 (ko) 2001-07-02 2001-07-02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921A KR20030002921A (ko) 2003-01-09
KR100388753B1 true KR100388753B1 (ko) 2003-06-25

Family

ID=2771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215A KR100388753B1 (ko) 2001-07-02 2001-07-02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961B1 (ko) * 2002-11-04 2009-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락커장치
KR100680933B1 (ko) * 2005-03-04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101040907B1 (ko) * 2007-05-09 2011-06-16 박경희 트레딩 인버션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921A (ko)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1655A (en) Connection structure of deckings
US6623293B1 (en) Battery holder having means for securely retaining battery in position
US20010004564A1 (en) Connector with an improved guide portion for guiding connection the connector and an object to be connected thereto
US20050239302A1 (en) Socket for electronic module
US7189094B2 (en) Land grid array connector
JPH1050429A (ja) 回路基板挿着用電気コネクタ
JP2008300147A (ja) ランプ用コネクタおよびランプ用コネクタユニット
US7037113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3887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구조
US5018981A (en) Contact equipped with a bypass element
US5000689A (en) Connector for integrated circuit packages
US6396696B1 (en) Clip for heat sink
CN111092317B (zh) 电路基板用连接器装置
US10629870B1 (en) Circuit board and battery holder thereof
US6126471A (en) Retention mechanism
US20040145872A1 (en) Battery-locking mechanism
JPH07245147A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
JP2003077565A (ja) カードコネクタ
US7285002B2 (en) Electronic device assembly
JP2008300146A (ja) ランプ用コネクタ
KR100801337B1 (ko) 열을 안전하게 방출시키는 전자 장치
JP3338469B2 (ja) 電気装置用筐体
US7004613B2 (en) Display structure
JP2000306621A (ja) コネクタ
JP2925887B2 (ja) 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