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221B1 - Battery charger for cellular phone - Google Patents

Battery charger for cellul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221B1
KR100384221B1 KR10-2000-0057757A KR20000057757A KR100384221B1 KR 100384221 B1 KR100384221 B1 KR 100384221B1 KR 20000057757 A KR20000057757 A KR 20000057757A KR 100384221 B1 KR100384221 B1 KR 100384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bile phone
voltage
case
piezoelectric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26122A (en
Inventor
유선일
박계서
Original Assignee
박계서
유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계서, 유선일 filed Critical 박계서
Priority to KR10-2000-0057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221B1/en
Publication of KR2002002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1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22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구성품이 충분히 내장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함체형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내의 일측부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슬라이드 볼(4)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면 그 타격력에 부응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압전소자(2)와; 상기 압전소자(2)들의 일측단자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설치되는 볼 가이드바(3)와; 상기 볼 가이드바(3)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6)를 휴대하고 걸어다니거나 흔들어 주므로써 발생되는 충격력 및 그 방향에 부응하여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압전소자(2)들을 타격하여 상기 압전소자(2)에서 소정의 전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볼(4)과; 상기 압전소자(2)들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자체 내부 또는 휴대 전화기(6) 배터리팩(61)내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7)로 공급시켜 충전시킬시 상기 배터리(7)가 과충전에 의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5)로 구성하여 별도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지 않아도 되어 배터리 충전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고, 또 배터리 전압의 소모로 인한 불통화 상태를 없앨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를 중간 중간에 다른 충전기들을 이용하여 충전시키지 않고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harger of a mobile phone, and in particular, a housing type case (1) having a space in which various components can be sufficiently embedded; A pair of piezoelectric elements (2) fixedly installed at one side in the case (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generating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hitting force when a hit is made by the slide ball (4); A ball guide bar (3) installed in a form of interconnecting one side terminals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2); The piezoelectric element 2 is installed to be slidably moved from side to side on the ball guide bar 3 so as to move from side to side in response to an impact force and a direction generated by a user carrying, walking or shaking the mobile phone 6. A slide ball (4) to strike a predetermined force to generate a predetermined voltage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2); When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s 2 is supplied to and charged by a battery 7 installed in the battery pack 61 of the cell phone 6 or the mobile phone 6, the battery 7 is burned out by overcharging. It is composed of an overcharge prevention unit (5) to prevent the need to charge the battery using a separate charger can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battery charging, and can eliminate the unpaid state due to the consumption of battery voltage Of course, the battery can be used continuously without charging it with other chargers in the middle.

Description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기{Battery charger for cellular phone}Battery charger for cellular phone {Battery charger for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팩 자체내 또는 휴대 전화기의 콘넥터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작한 별도의 케이스내에 두개의 압전소자와, 슬라이드 볼 및 과충전방지부 등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휴대하고 걸어다니거나 흔들어 주므로써 발생되는 충격력이 압전소자에 인가되도록 하여 이 압전소자들에서 발생되는 전압으로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 소모로 인한 불통화 상태를 없앨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휴대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harger of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wo piezoelectric elements, a slide ball, and an overcharge protection part in a battery pack of the mobile phone or in a separate case manufactured to be connected by a connector of the mobile phone. And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carry the mobile phone with him or her while walking or shaking it so that the impact force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can be applied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with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s. It is invented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used continuously while eliminating a call condition.

최근 통신수단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휴대 전화기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휴대 전화기의 배면에는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means, many people are using mobile phones, and the back of the mobile phones can be used by replacing batteries.

따라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고가의 보조 배터리를 별도로 더 구비하여 휴대 전화기와 별도로 휴대하면서 현재 휴대 전화기에 장착된 배터리를 다 사용하였을 때 보조 배터리로 교체하여 휴대 전화기를 계속해서 사용하거나, 휴대 전화기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외부기기인 충전기나,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을 하는 충전기 및 핸즈프리에 수시로 결합시켜 배터리들을 충전시켜 사용을 하고 있다.As a result, most people have an additional spare battery, which can be carried separately from the mobile phone, and replace the battery with a spare battery when the battery currently used in the mobile phone is used up. As it is, it is often used to charge the battery by combining it with an external device charger, a charger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hands free device.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휴대하기가 불편하여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냥 휴대 전화기에 결합되어 있는 배터리만으로 사용을 하고 있는데, 이는 휴대 전화기의 잦은 사용에 따라 배터리가 다 소모되었을 경우에 다시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까지는 휴대 전화기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econdary battery used above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most people use only the battery that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which is used again when the battery is exhausted due to frequent use of the mobile phon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mobile phone cannot be used until the battery is charged.

또한, 상술한 충전기나 핸즈프리는 사용장소가 한정되어 있어 외부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하여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가 다 소모되었을 때에 쉽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harger and hands-free use place is limited, it is difficult to use from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easily used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is exhausted.

뿐만 아니라, 기존의 휴대전화 충전방식은 가정이나 직장에서 교류전원(110, 220V)을 이용하기 때문에 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의 이용이 매우 어려운 점이 있었고, 또 차량 운전자의 경우에는 역시 운행중 차량의 전원(12,24V)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배터리 소모시 차량에 시동을 걸고 충전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엔진의 공회전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차량내에 장착하므로써 그 내부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핸드프리 또는 충전기 자체가 운전자는 물론 탑승자에게 걸리적거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mobile phone charging method uses AC power (110, 220V) at home or at work, which makes it very difficult to use in places where AC power is not supplied. Power supply (12,24V) is used, but it is also inconvenient to start the vehicle and charge it when the battery is exhausted, and the idling of the engine is inevitable. Of course, the hand free or the charger itself has a problem such as being stuck to the driver as well as the occupant.

한편,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고 다니다 보면 부주의로 인해 각종 전도체가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단자를 단락시켜 방전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carrying the auxiliary battery, there is a problem that often occurs when the various conductors are discharged by shorting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auxiliary battery due to carelessness.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휴대하고 걸어다니거나 흔들어 주므로써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볼이 압전소자들을 타격토록 하여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압이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배터리 소모로 인한 불통화 상태를 없앨 수 있음은 물론 휴대 전화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slide ball to hit the piezoelectric elements by using the impact force generated by the user walking around or shake the mobile phone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charger for a mobile phone that not only eliminates an uninterrupted state caused by battery drainage by allowing a voltage to be charged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

상기한 본 발명은, 함체 형상을 갖고 각종 구성품이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의 일측부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슬라이드 볼의 타격력에 부응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의 일측단자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상태로 설치되는 볼 가이드바와; 상기 볼 가이드바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휴대하고 걸어다니거나 흔들어줄 발생되는 충격력에 부응하여 좌우로 이동되어 압전소자들을 타격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압전소자에서 소정의 전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볼과; 상기 압전소자들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자체 내부 또는 휴대 전화기 배터리팩내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로 공급시켜 충전시킬시 과충전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case having a housing shape and having various components embedded therein; A pair of piezoelectric elements fixe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one side of the case to generate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triking force of the slide ball; A ball guide bar installed in a state of interconnecting one side terminal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Sliding left and right on the ball guide bar is installed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through a method of hitting the piezoelectric elements ar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in response to the impact force generated by the user walking around or shake the mobile phone A slide ball to be generated;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s can be achieved by configuring an overcharge preventing unit that prevents overcharging when the battery is charged by being supplied to a battery installed in its own battery or a cell phone battery pack.

따라서,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 자체를 가지고 걸어다니거나 흔들어줄시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압이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를 자동적으로 충전시켜 주게 되므로 별도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지 않아도 되어 충전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 전압의 소모로 인한 불통화 상태를 없앨 수 있고, 특히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를 중간중간에 다른 충전기들을 이용하여 충전시키지 않고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walks or shakes with the mobile phone itself,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automatically charges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so it is not necessary to charge the battery using a separate charg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as well as to eliminate the unpaid state due to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voltage, in particular,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can be used continuously without charging using other chargers in the middle.

도 1은 본 발명 충전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단면도.1 is a plan 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ger.

도 2는 본 발명 충전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단면도.Figure 2 is a plan 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중 과충전방지부의 상세 회로도.Figure 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vercharge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휴대 전화기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mobile phon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케이스 2 : 압전소자1 case 2 piezoelectric element

3 : 볼 가이드바 4 : 슬라이드 볼3: ball guide bar 4: slide ball

5 : 과충전방지부 6 : 휴대 전화기5: overcharge protection part 6: mobile phone

7 : 배터리 11 : 설치홈7: battery 11: mounting groove

12 : 콘넥터 13 : 접속 콘넥터12: connector 13: connection connector

14 : 결착구 51 : 정전류회로부14: binding port 51: constant current circuit

52 : 충전상태 표시부 61 : 배터리팩52: charge state display unit 61: battery pack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충전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충전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중 과충전방지부의 상세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휴대 전화기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vercharge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mobile phone.

이에 따르면, 각종 구성품이 충분히 내장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함체형 케이스(1)와;According to this, there is provided a housing case 1 having a space in which various components can be sufficiently built;

상기 케이스(1)내의 일측부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슬라이드 볼(4)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면 그 타격력에 부응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압전소자(2)와;A pair of piezoelectric elements (2) fixedly installed at one side in the case (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generating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hitting force when a hit is made by the slide ball (4);

상기 압전소자(2)들의 일측단자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설치되는 볼 가이드바(3)와;A ball guide bar (3) installed in a form of interconnecting one side terminals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2);

상기 볼 가이드바(3)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6)를 휴대하고 걸어다니거나 흔들어줄시 발생되는 충격력 및 그 방향에 부응하여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압전소자(2)들을 타격하여 상기 압전소자(2)에서 소정의 전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볼(4)과;The piezoelectric element 2 is installed to be slidably moved from side to side on the ball guide bar 3 so as to move from side to side in response to an impact force and a direction generated when a user walks or shakes the mobile phone 6. A slide ball (4) to strike a predetermined force to generate a predetermined voltage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2);

상기 압전소자(2)들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자체 내부 또는 휴대 전화기(6) 배터리팩(61)내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7)로 공급시켜 충전시킬시 상기 배터리(7)가과충전에 의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5)로 구성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When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s 2 is supplied to and charged by the battery 7 installed in the battery pack 61 of the mobile phone 6 or the mobile phone 6, the battery 7 is burned out by overcharging. It is characterized by the basic feature of the overcharge prevention unit (5) to prevent the thing.

이때, 상기 케이스(1)는 배터리팩(61) 자체를 포함함은 물론 배터리팩(61)과 별개로 사출 성형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case 1 includes a battery pack 61 itself as well as a case injection molded separately from the battery pack 61.

상기에서 케이스(1) 자체가 배터리팩(61)과 별개로 사출 성형된 경우 상기 케이스(1)의 일측부에 설치홈(11)을 형성시켜, 이 설치홈(11)상에 휴대 전화기(6) 저부의 콘넥터(12)에 설치되어 있는 핀들에 대응되는 수개의 콘넥터 핀들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휴대 전화기(6)의 콘넥터(1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면 자체내에 내장 설치된 배터리(7)의 출력전압을 휴대 전화기측으로 공급시켜 주는 접속 콘넥터(13)와, 자유단부 걸고리형 결착고리(141)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접속 콘넥터(13)가 휴대 전화기(6)의 콘넥터(12)에 결합되었을시 자유롭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이탈 방지용 탄성 결착구(14)를 고정 설치한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where the case 1 itself is injection molded separately from the battery pack 61, an installation groove 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1, and the mobile phone 6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groove 11. A plurality of connector pins corresponding to the pins installed at the bottom connector 12,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connector 12 of the mobile phone 6 by the user. The connection connector 13 for supplying the output voltage to the mobile phone side and the free end hooking ring 141 are integrally bent so that the connection connector 13 is coupled to the connector 12 of the mobile phone 6. It is an additional feature that a fixed installation of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elastic binding port 14 to prevent the separation freely.

또, 상기 과충전방지부(5)는 2개의 트랜지스터(Q1,Q2)와 저항(R1,R2)으로 구성되어 상기 압전소자(2)들로 부터 출력되는 10-20V의 높은 전압을 3.6 내지 4.8V의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주는 정전류회로부(51)와; 트랜지스터(Q3)와 저항(R3) 및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어 배터리팩(61) 내부 또는 케이스(1)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7)가 충전상태인지 아니면 완충전상태인지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52)와; 배터리(7)에 일정전압 및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부하저항(R4)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vercharge preventing unit 5 is composed of two transistors Q1 and Q2 and resistors R1 and R2 so that a high voltage of 10-20V output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s 2 is 3.6 to 4.8V. A constant current circuit unit 51 for rectifying at a DC voltage of; Comprising a transistor (Q3), a resistor (R3)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to indicate whether the battery (7) installed in the battery pack 61 or the case (1) is charged or fully charged A charging state display unit 52; The battery 7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load resistor (R4) to flow a constant voltage and current to the battery (7).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배터리 충전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battery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충전기는 휴대 전화기(6)의 배터리팩(61) 자체 또는 상기 배터리팩(61)과 별개로 사출 성형한 케이스(1)에 내장 설치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그 세기에 부응하여 전압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압전소자(2)와, 상기 압전소자(2)들의 일측단자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볼 가이드바(3), 상기 볼 가이드바(3)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6)를 휴대하고 걸어다니거나 흔들어줄시 발생되는 충격력 및 그 방향에 부응하여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압전소자(2)들을 타격하는 슬라이드 볼(4) 및 상기 압전소자(2)들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배터리(7)로 공급시켜 충전시킬시 상기 배터리(7)가 과충전에 의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5)가 일체로 내장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First, the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in the battery pack 61 itself of the mobile phone 6 or the case (1) injection molded separately from the battery pack 61, the inside of the case (1) When a shock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 pair of piezoelectric elements (2) for generating a voltage in response to the strength, the ball guide bar (3) for interconnecting one terminal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2), the ball guide bar ( 3) slides to hit the piezoelectric elements 2 while being slidably moved from side to side in response to the impact force and the direction generated when the user walks or shakes the mobile phone 6. When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ball 4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s 2 are supplied to the battery 7 and charged, the overcharge preventing part 5 which prevents the battery 7 from being burned out by overcharging is integrally formed. Have a built-in installed configuration The.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충전기능이 내장된 배터리팩(61)을 휴대 전화기(6)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또는 배터리팩(61)과 별개로 형성된 충전기 자체를 휴대하고 걸어다니거나 들들어주면 상기 볼 가이드바(3)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볼(4)이 사용자가 걸어다니거나 흘들어줄시 발생되는 충격력 및 그 방향에 부응하여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압전소자(2)들을 타격하게 되므로 상기 압전소자(2)에서 소정의 전압이 발생되어 과충전방지부(5)를 통해 케이스(1) 자체 내부 또는 휴대 전화기(6) 배터리팩(61)내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7)로 공급되므로 상기 배터리(7)가 압전소자의 출력전압에 의해 자동적으로충전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carries the battery pack 61 with a built-in charg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obile phone 6, or walks or enters the charger itself formed separately from the battery pack 61, The piezoelectric element (2) while the slide ball (4) which is installed to be slidably moved left and right on the ball guide bar (3) is moved left and right in response to the impact force and the direction generated when the user walks or sheds Since a predetermined voltage is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2, the battery 7 installed in the case 1 itself or in the battery pack 61 of the mobile phone 6 through the overcharge preventing unit 5. The battery 7 is automatically charged by the output voltag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because it is supplied with.

이때, 상기 과충전방지부(5)는 정전류회로부(51)와 충전상태 표시부(52) 및 부하저항(R4)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압전소자(2)에서 소정의 전압이 발생되면 상기 정전류회로부(51)내의 두 트랜지스터(Q1,Q2)가 "온" 상기 압전소자(2)들로 부터 출력되는 10-20V의 높은 전압이 3.6 내지 4.8V의 일정전압으로 변환된 후 배터리(7)로 인가되어 과다전류로 인한 배터리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상기와 같이 정전류회로부(51)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배터리(7)가 충전되는 동안에는 충전상태 표시부(52)내의 트랜지스터(Q3)도 "온"되므로 발광다이오드(LED)가 점등되어 사용자는 현재 배터리(7)가 충전상태에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vercharge preventing unit 5 includes a constant current circuit unit 51, a charge state display unit 52, and a load resistor R4.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2,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unit 51 is generated. The two transistors Q1 and Q2 in the " on " are " on " Damage to the battery due to current can be prevented, and while the battery 7 is being charged by the voltage output through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portion 51 as described above, the transistor Q3 in the charge state display portion 52 is also "on". Therefore,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is turned 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battery 7 is currently in a charged state.

이와같이 배터리(7)가 압전소자(2)의 출력전압이 의해 소정시간 동안 충전되므로 인해 상기 정전류회로부(51)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배터리(7) 전압이 일치하면(즉, 만충전이 이루어지면) 충전전류가 급격히 감소되어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므로 발광다이오드(LED)도 소등되어 사용자는 이 발광다이오드의 소등상태 확인을 통해 배터리(7)의 완충전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Since the battery 7 is charg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output voltag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2, the battery 7 is charged whe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unit 51 and the voltage of the battery 7 match (that is, when full charge is made). Since the current is drastically reduced and the transistor Q3 is " off ",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is also turned off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fully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7 by checking the light emitt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한편, 상기에서 케이스(1) 자체가 배터리팩(61)과 별개로 사출 성형된 경우 상기 케이스(1)의 일측부에 형성된 설치홈(11)상에 접속 콘넥터(13)와 한쌍의 이탈 방지용 탄성 결착구(14)가 더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접속 콘넥터(13)를 휴대 전화기(6)의 콘넥터(12)에 결합시킨 방식을 통해 자체내에 내장 설치된 배터리(7)의 출력전압을 휴대 전화기측으로 공급시켜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팩(61)내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se 1 itself is injection molded separately from the battery pack 61, the connection connector 13 and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on elasticity on the installation groove 11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 Since the fastener 14 is further provided, the user can connect the output connector 13 to the connector 12 of the mobile phone 6 to output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7 installed therein. It is supplied to the side to charge the battery mounted in the battery pack 61 of the cellular phone.

이때, 자유단부에 걸고리형 결착고리(31)가 일체로 절곡 형성된 한쌍의 이탈 방지용 탄성 결착구(3)는 상기 본체(1)의 설치홈(14) 양측부에서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속 콘넥터(2)가 휴대 전화기(5)의 콘넥터(51)에 결합되었을시 상기한 한쌍의 이탈 방지용 탄성 결착구(3)의 걸고리형 결착고리(31)가 휴대 전화기(5) 콘넥터(51)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도시 생략됨)에 탄력적으로 걸려지게 되어 두 콘넥터들의 결속력이 강화된다.At this time, the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elastic fasteners 3, in which the hook-type fastening rings 31 are integrally bent at the free ends, are fixed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mounting groove 14 of the main body 1. When (2) is coupled to the connector 51 of the cellular phone 5, the hook-type binding rings 31 of the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elastic fasteners 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or 51 of the cellular phone 5. It is elastically caught in the engaging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strengthening the binding force of the two connectors.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충전지를 휴대 전화기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외부로 부터 어떠한 충격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물론,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로 부터 배터리 충전기 자체를 분리하기 위해 잡아당기는 경우는 제외됨) 또는 배터리 충전기 자체의 무게만으로 상호 분리될 우려가 없어 휴대 전화기에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기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통화를 실시할시 충전기 자체가 자동적인 분리되는 것 자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us, no matter what impact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while the rechargeabl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except, of course, the user pulls to separate the battery charger itself from the mobile phone) or the battery charger Since there is no fear of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only by its own weight, the charger itself may be prevented from being automatically disconnected when a call is made while the battery char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mobile phon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팩 자체내 또는 상기 배터리팩과 별개로 사출 성형된 케이스내에 압전소자와, 볼 가이드바, 슬라이드 볼 및 과충전방지부 등으로 구성되는 배터리 충전회로를 설치하여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 자체를 가지고 걸어다니거나 흔들어주면 그 내부에 설치된 압전소자에서 슬라이드 볼의 충격력에 부응하는 전압이 발생되어 배터리가 자동적으로 충전되도록 하므로써, 별도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지 않아도 되어 배터리 충전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 전압의 소모로 인한 불통화 상태를 없앨 수 있고, 또한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를 중간 중간에 다른 충전기들을 이용하여 충전시키지 않고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charging circuit including a piezoelectric element, a ball guide bar, a slide ball, an overcharge preventing unit, or the like within a battery pack itself of a mobile phone or an injection molded case separately from the battery pack. When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walks or shakes the mobile phone itself by installing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impact force of the slide ball is generat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installed therein so that the battery is automatically charged, using a separate charger Not only does it recharge the battery, but it also solves the inconvenience caused by charging the battery. It also eliminates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battery voltage consumption. It also keeps the mobile phone's battery without charging other chargers in the middle. Very useful as a foot can be used as It is a person.

Claims (5)

각종 구성품이 충분히 내장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함체형 케이스(1)와;An enclosure-type case (1) having a space portion in which various components can be sufficiently embedded; 상기 케이스(1)내의 일측부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슬라이드 볼(4)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면 그 타격력에 부응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압전소자(2)와;A pair of piezoelectric elements (2) fixedly installed at one side in the case (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generating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hitting force when a hit is made by the slide ball (4); 상기 압전소자(2)들의 일측단자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설치되는 볼 가이드바(3)와;A ball guide bar (3) installed in a form of interconnecting one side terminals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2); 상기 볼 가이드바(3)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6)를 휴대하고 걸어다니거나 흔들어줄시 발생되는 충격력 및 그 방향에 부응하여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압전소자(2)들을 타격하여 상기 압전소자(2)에서 소정의 전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볼(4)과;The piezoelectric element 2 is installed to be slidably moved from side to side on the ball guide bar 3 so as to move from side to side in response to an impact force and a direction generated when a user walks or shakes the mobile phone 6. A slide ball (4) to strike a predetermined force to generate a predetermined voltage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2); 상기 압전소자(2)들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자체 내부 또는 휴대 전화기(6) 배터리팩(61)내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7)로 공급시켜 충전시킬시 상기 배터리(7)가 과충전에 의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기When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s 2 is supplied to and charged by a battery 7 installed in the battery pack 61 of the cell phone 6 or the mobile phone 6, the battery 7 is burned out by overcharging. Battery charger of the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n overcharge prevention unit (5) to preven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케이스(1)는 배터리팩(61) 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충전기.The case 1 is a battery charger of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ttery pack (61) itself.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케이스(1)는 휴대 전화기(6)의 배터리팩(61)과 별개로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기.The case (1) is a battery charger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molding separately from the battery pack (61) of the mobile phone (6).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또, 상기 과충전방지부(5)는 2개의 트랜지스터(Q1,Q2)와 저항(R1,R2)으로 구성되어 상기 압전소자(2)들로 부터 출력되는 10-20V의 높은 전압을 3.6 내지 4.8V의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주는 정전류회로부(51)와;In addition, the overcharge preventing unit 5 is composed of two transistors Q1 and Q2 and resistors R1 and R2 so that a high voltage of 10-20V output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s 2 is 3.6 to 4.8V. A constant current circuit unit 51 for rectifying at a DC voltage of; 트랜지스터(Q3)와 저항(R3) 및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어 배터리팩(61) 내부 또는 케이스(1)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7)가 충전상태인지 아니면 완충전상태인지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52)와;Comprising a transistor (Q3), a resistor (R3)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to indicate whether the battery (7) installed in the battery pack 61 or the case (1) is charged or fully charged A charging state display unit 52; 배터리(7)에 일정전압 및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부하저항(R4)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기.A battery charger for a mobile phone, comprising a load resistor (R4) through which a constant voltage and current flow through a battery (7).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케이스(1)의 일측부에 설치홈(11)을 형성시켜, 이 설치홈(11)상에 휴대 전화기(6) 저부의 콘넥터(12)에 설치되어 있는 핀들에 대응되는 수개의 콘넥터 핀들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휴대 전화기(6)의 콘넥터(1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면 자체내에 내장 설치된 배터리(7)의 출력전압을 휴대 전화기측으로 공급시켜 주는 접속 콘넥터(13)와, 자유단부 걸고리형 결착고리(141)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접속 콘넥터(13)가 휴대 전화기(6)의 콘넥터(12)에 결합되었을시 자유롭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이탈 방지용 탄성 결착구(14)를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기.An installation groove 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1, and a plurality of connector pins corresponding to the pins installed on the connector 12 at the bottom of the mobile phone 6 are formed on the installation groove 11. And a connection connector 13 for supply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7 installed therein to the mobile phone when the user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connector 12 of the mobile phone 6 by the user, and the free end hook type. The binding ring 141 is integrally bent to fix the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elastic fasteners 14 to prevent the connection connector 13 from being freely separated when the connection connector 13 is coupled to the connector 12 of the mobile phone 6. Battery charger for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KR10-2000-0057757A 2000-09-30 2000-09-30 Battery charger for cellular phone KR1003842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757A KR100384221B1 (en) 2000-09-30 2000-09-30 Battery charger for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757A KR100384221B1 (en) 2000-09-30 2000-09-30 Battery charger for cellular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122A KR20020026122A (en) 2002-04-06
KR100384221B1 true KR100384221B1 (en) 2003-05-16

Family

ID=1969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757A KR100384221B1 (en) 2000-09-30 2000-09-30 Battery charger for cellul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2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386A (en) * 2002-04-08 2003-10-17 이태헌 Automatic charger
KR100520280B1 (en) * 2003-04-23 2005-10-11 한정선 Portable generating and charging appar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7091A (en) * 1976-04-16 1977-10-25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Portable generator
JPH0591046U (en) * 1992-05-15 1993-12-10 アンリツ株式会社 Portable radio with generator
US5857694A (en) * 1995-09-29 1999-01-12 Active Control Experts, Inc. Adaptive sports implement
KR19990084972A (en) * 1998-05-13 1999-12-06 이갑열 Small Power Generation / Charging Device
KR20000031546A (en) * 1998-11-07 2000-06-05 공원일 Automatic rechargeable motor
KR200211535Y1 (en) * 2000-08-31 2001-01-15 유논수 Battery fill up apparatus used by nose or vibration energ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7091A (en) * 1976-04-16 1977-10-25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Portable generator
JPH0591046U (en) * 1992-05-15 1993-12-10 アンリツ株式会社 Portable radio with generator
US5857694A (en) * 1995-09-29 1999-01-12 Active Control Experts, Inc. Adaptive sports implement
KR19990084972A (en) * 1998-05-13 1999-12-06 이갑열 Small Power Generation / Charging Device
KR20000031546A (en) * 1998-11-07 2000-06-05 공원일 Automatic rechargeable motor
KR200211535Y1 (en) * 2000-08-31 2001-01-15 유논수 Battery fill up apparatus used by nose or vibration ener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122A (en) 200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6672Y1 (en) Handy chager for cellular phones
US7839119B2 (en)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ttery and portable phone battery
KR100475455B1 (en) External battery pack
NZ527050A (en) Back-up battery for a cellular telephone
CA2517188A1 (en) Rechargeable alkaline battery with overcharging protection
KR100384221B1 (en) Battery charger for cellular phone
KR20190073893A (en) Auxiliary battery combinable to mobile terminal
JP3780502B2 (en) Solar battery charger for mobile devices
KR20070120405A (en) Charger of mobile phone`s battery
JP2006340114A (en) Portable telephone, built-in battery pack for portable telephone, and auxiliary power for portable telephone
KR20070120213A (en) Charger of mobile phone`s battery
KR20070120206A (en) Charger of mobile phone`s battery
KR20070120209A (en) Charger of mobile phone`s battery
KR100553003B1 (en) Mini battery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259108Y1 (en) Handy battery chager for cellular phones
KR200253479Y1 (en) A cellular phone battery substitute and charging equipment using a dry cell
KR200256233Y1 (en) Damage prevention device of lithium-ion secondary batteries for portable phones
KR200224745Y1 (en) A battery charging structure of a wireless microphone for a mobile phone
KR200264824Y1 (en) A portable sub-charger of the handphone battery
KR200302762Y1 (en) External battery pack
KR200312393Y1 (en) A portable handphone charger
KR0138941Y1 (en) Thermostatic tester with roofing box
KR200256232Y1 (en) Battery remaining capacity indicating device of handy charger for portable phones
KR200244283Y1 (en) A phone battery charger using a 1.5V dry cell
KR20020019494A (en) Multiple Purpose Multicharger Interface Include USB 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