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804B1 - Apparatus for transferring short message using speech recognition i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ring short message using speech recognition i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804B1
KR100369804B1 KR10-2001-0007186A KR20010007186A KR100369804B1 KR 100369804 B1 KR100369804 B1 KR 100369804B1 KR 20010007186 A KR20010007186 A KR 20010007186A KR 100369804 B1 KR100369804 B1 KR 10036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voice
voice recognition
mobile phone
pho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1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66805A (en
Inventor
안홍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804B1/en
Publication of KR2002006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8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804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신중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recognition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ognizing a user's voice during transmission and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본 발명은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통화 수행중에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를 감지하면 그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사용자 음성을 입력하여 음성 인식하여 그 음성 인식 결과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중요 메시지로 인식하고, 중요 단문 메시지 경보를 수행함과 동시에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디스프레이 장치에 상기 중요 단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mitting sid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detect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while performing a call with the receiving sid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tting mode, and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tting mode is performed. Inputs a user's voice to recognize the voice, converts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into text data, generates the converted text data into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and transmits the converted text data to the receiving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recognizes it as an important message, performs an important short message alert,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important short message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Description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TRANSFERRING SHORT MESSAGE USING SPEECH RECOGNITION I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METHOD THEREOF}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n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APPARATUS FOR TRANSFERRING SHORT MESSAGE USING SPEECH RECOGNITION I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성 인식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신중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recognition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ognizing a user's voice during transmission and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통신 서비스가 비약적으로 발달해 나감에 따라 휴대 전화 단말장치는 단순히 송신측과 수신측 사용자간의 음성 대화 만이 아니라 데이터 통신, 금융 서비스, 날씨 서비스 등과 같은 각종 부가 서비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상기 음성 인식의 경우 그 음성 인식이 수행되는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세 가지 방식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ervices, mobile phone terminals are not just voice conversations between the sending and receiving users, but also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data communication, financial services, weather services, and short message services (SMS). ), Users are provided with various services such as speech recognition function. In the case of the speech recognition, the speech recognition is classified in three ways based on the unit on which the speech recognition is performed.

첫 번째 방식은 고립단어 인식이다. 상기 고립단어 인식은 단어 레벨의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는 방식이며, 두 번째 방식은 연결단어 인식이다. 상기 연결 단어 인식은 단어와 단어가 연결되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는 방식이며, 세 번째 방식은 연속어 인식이다. 상기 연속어 인식은 문장의 형태로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는 방식이다.The first method is isolated word recognition. The isolated word recognition is a method of recognizing spoken speech at a word level, and the second method is connected word recognition. The connected word recognition is a method of recognizing a voice spoken by connecting words and words, and the third method is continuous word recognition. The continuous word recognition is a method of recognizing speech spoken in the form of a sentence.

또한, 상기 음성 인식은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화자를 기준으로 하여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 방식은 화자 종속 음성 인식이다. 상기 화자 종속 음성 인식은 발성하는 화자의 음성만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된 코드북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은 화자 독립 음성 인식이다. 상기 화자 독립 음성 인식은 발성하는 화자에 상관없이 아무나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된 코드북을 사용하는 방식이다.In addition, the speech recognition is classified in two ways based on the speaker performing speech recognition. The first method is speaker dependent speech recognition. The speaker dependent speech recognition uses a codebook designed to recognize only the speaker's voice. The second method is speaker independent speech recognition. The speaker-independent speech recognition uses a codebook designed to recognize anyone's voice regardless of the speaker who speaks.

그런데, 현재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음성 인식 기능은 화자 종속 고립 단어 인식 기능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립 단어 인식은 단어 레벨의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일 예로 사용자가 발신시 메뉴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대방 이름, 즉 단어를 발성하면 그 발성된 단어를 인식하여 해당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기능 등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음성 인식 기능을 이렇게 단순히 상대방 전화번호 검색을 위한 매개체로서 수많은 음성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중 일부만을 한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원사용의 효율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speech recognition function currently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a speaker dependent isolated word recogni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isolated word recognition is a method of recognizing a spoken voice of a word level. For example, when a user speaks a name of a counterpart stored in a telephone directory of a menu, that is, a word is spoken, the spoken word is recognized. A function of recognizing and detecting a corresponding party's telephone number, and connecting a call to the detected counterpart's telephone number is currently u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resource use is deteriorated by using only a limited number of voice applications as a medium for simply searching for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그래서, 음성 인식 방식중에 상기 화자 종속 음성인식을 사용하며 연결 단어 인식을 동시에 사용하는 화자 종속 연결단어 인식기는 하드웨어(hardware)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다른 음성 인식 방식들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용이하고, 또한 발성하는 화자의 음성만을 인식하기 때문에 음성 인식률 역시 다른 음성 인식 방식들에 비하여 가장 높은 화자 종속 연결 단어 음성 인식기를 이용한 음성인식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즉, 화자종속 연결 단어 음성인식기는 음성 인식률에 있어서 약 96%이상의 확률을 가지고 있어 신뢰성 있는 음성 인식을 구현하고, 상기 화자 종속 음성 인식의 경우 음성 인식을 위한 코드북의 코드 사이즈(Code size) 역시 다른 음성 인식 방식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소형화(compact)되어 있어 그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Therefore, the speaker-dependent connected word recognizer that uses the speaker-dependent speech recognition and the connected word recognition simultaneously among the speech recognition methods is easier to implement in hardware than the other speech recognition methods, and also the speech is generated. Since only the speaker's voice is recognized, the voice recognition rate is also higher than the other voice recognition schemes. In other words, the speaker-dependent connected word speech recognizer has a probability of about 96% or more in speech recognition rate, and implements reliable speech recognition. In the case of speaker-dependent speech recognition, the code size of the codebook for speech recognition is also different. In order to use the speech recognition schemes are compact, the demand is increasing.

또한, 기존의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송신측과 수신측간 음성 통화가 수행되고 있는 도중에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었다. 일 예로, 송신측 사용자가 통화 수행중에 전화번호 혹은 약속장소 등과 같은 정보를 상대방에 알려주기 위해서 사용자가 '123-4567'이나 혹은 '종로'라고 발성했지만 통화 수행 도중에 잡음 및 채널 간섭 등과 같은 다수의 이유로 수신측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런 경우 정확한 정보를 수신측 사용자가 시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행중인 통화를 종료하고 송신측 사용자가 상기 수신측으로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다시 알려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was unable to check the text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while the voice call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eiver is being performed. For example, although the user speaks '123-4567' or 'Jongno' in order to inform the other party of information such as a phone number or an appointment place while the call is in progress, a plurality of users, such as noise and channel interference, may be present during the call. For some reason, the receiving user cannot confirm.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receiving user to know the correct information visually, there is a hassle of ending the call and transmitting the user again to the receiving party through a text message.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1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먼저,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와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가 통화를 수행중에 있는 상태에서(211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통화 종료 요구를 감지하면(213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상기 수행중이던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와 통화를 종료한다(215단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요 단어 등을 상대방에게 인식시켜야할 경우 주변 잡음으로 인한 정확한 전달이 난이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통화를 종료하고 별도로 단문 메시지를 통해 정확하게 문자형태로 상대방에서 인식시키게 된다.First, in a state where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200 are in a call (step 211),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a call termination request from the user. When it is detected (step 213), the transmitting-sid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100 ends the call with the receiving-sid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200 being performed (step 215).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t word to the other party, it may be difficult to accurately transmit due to the surrounding noise. As a result, the user ends the call and recognizes the other party in a precise text form through a separate short message. Let's go.

그러면,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단문 메시지전송 요구를 감지하고(217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 감지에 따라 자신의 동작 모드를 단문 메시지 편집 모드로 전환한다(219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편집 모드에서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로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데이터를 입력받아 편집하고, 그 편집한 문자데이터를 단문 메시지로 생성한다(221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이렇게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로 전송한다(223단계).Then, the transmitting-side mobile phone terminal 100 detects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user (step 217) and switches its operation mode to the short message editing mode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step 219). . In the short message editing mode, the sender's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and edits text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o the receiver's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200, and generates the edited text data as a short message. (Step 221). The sender's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the short message thus generated to the receiver's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200 (step 223).

이에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는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에서 송신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225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단문 메시지 수신을 경보한다(227단계). 여기서,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 경보 방법에는 LED 등과 같은 발광 소자를 점멸하여 시각 경보하거나 혹은 비프음과 같은 소리를 통해 청각 경보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을 경보하면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는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저장영역, 즉 메모리의 해당 영역에 저장한다(229단계). 그래서, 이렇게 저장된 단문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receiving mobile phone terminal 200 receives the shor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phone terminal 100 (step 225) and alerts the reception of the short message in response to the receiving of the short message (227). step). Here, the short message receiving alert method includes a method of visually alerting by flashing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or an auditory alert through a sound such as a beep sound. If the short message is alerted, the receiving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200 stores the received short message in a storage area, that is, a corresponding area of the memory (step 229). Thus, the user confirms the stored short message.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중 특정 내용을 수신측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인식시키고자 종래에는 통화를 종료한 후 송신하고자 하는 단문 메시지를 별도로 키조작을 통해 문자데이터 형식으로 전송함으로써 단문 메시지 입력과 같이 키조작 등을 위한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있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order to accurately recognize a specific content during a call to a receiving user, conventionally, a short message to be transmitted after ending a call is transmitted in a text data format through a separate key operation, such as a short message input. There was a user's hassle for operation and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 수행중 특정 음성들을 음성 인식하여 단문 메시지 변환 전송하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by recognizing specific voices during a ca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조작을 이용한 별도의 단문 메시지 작성 절차없이 음성인식을 통해 상대방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to a counterpart through voice recognition without a separate short message preparation procedure using key manipul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화수행중 음성인식을 통해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중요 메시지로 전송하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phon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converted through voice recognition as an important message during a call.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음소 별로 데이터가 각각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음성 코드북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입력되는 음성을 미리 설정한 설정 단위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단위의 음성을 상기 음성 코드북을 가지고 음성 인식하는 음성 처리부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음성 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성 인식된 결과를 가지고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tting device of a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a voice codebook in which data is matched and stored for each phoneme, and an input voice is extracted in a predetermined setting unit, and the extracted A voice processing unit for recognizing a unit voice using the voice codebook, and when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is detected, control to recognize a voice input through the voice processing unit, and convert the voice data into text data with the voice recognized result. And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and generating the converted text data into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수신측과 통화 수행중에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를 감지하면 그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사용자 음성을 입력하여 음성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인식 결과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s [; A method for transmitting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n a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converting an operation mode to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when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is detected while performing a call with a receiver; Inputting a user's voice in a message transmission mode, converting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into text data, and generating the converted text data into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and transmitting it to the receiving side. do.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1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functio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3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by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device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ech recognition short mess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a fun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11)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3)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화중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위한 코드북을 저장한다. 키입력부(115)는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와, 메뉴(MENU)키, 단문 메시지 전송키 및 송출(SEND)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한다. 음성처리부(119)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을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며, 또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신호 처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화중 요구되는 특정 구간의 사용자 음성을 입력하여 단어 레벨로 음성 인식하고, 즉 화자종속 연속 단어 음성 인식하고 그 음성 인식된 단어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송신부(121)는 상기 제어부(111)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 무선 변조하여 듀플렉서(123)로 전달한다. 상기 듀플렉서(123)는 상기 송신부(121)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125)로 전달한다. 상기 수신부(125)는 상기 듀플렉서(123)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전달받은 신호에 상응하여 통화를 제어한다. 표시부(127)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Unit) 및 LED 등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제어 데이터 및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문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그 단문 메시지 수신을 청각 경보(비프음 발생 등)하기 위한 경보부를 구비한다.The control unit 11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The memory 113 stores the control program generated by the control program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and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1, and in particula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codebook for speech recognition of the user during a call. . The key input unit 115 includes a plurality of dialing digit keys, a menu key,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key, a send key, and the like, and generate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selected by the user so as to generate the key signal. To pass). The voice processing unit 119 analog-processes the digital voice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1 and transmits the digital voice through the speaker, and digitally processes the analog voice input from the user through a microphone.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voice in a specific section required during the call is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for speech recognition at the word level, that is, the speaker-dependent continuous word speech recognition and the speech recognized word are converted into text data. do. The transmitter 121 input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11, digitally modulates the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duplexer 123. The duplexer 123 transmits a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121 through an antenna, and transmit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o the receiver 125. The receiver 125 demodulates a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duplexer 123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controller 111, and the controller 111 controls a call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The display unit 127 is implement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LCD), an LED, and the like, and displays control data and input data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which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1. Although not shown, a short message is received, and an alarm unit is provided for an audible alert (beep sound generation, etc.) to receive the short message.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3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와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가 통화를 수행중에 있는 상태에서(311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를 감지한다(313단계). 여기서,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는 상기 통화 수행중 특정키, 즉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키(키입력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키들을 조합, 일 예로 메뉴키+디지트키 1+디지트키 3가 입력됨으로써 감지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그 자신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한다(314단계). 여기서,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될 경우에도 상기 수행중이던 통화를 위한 연결(connection)은 지속적으로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와 유지되고 있어 통화를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해당 단위의 음성을 입력한다(315단계).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음성은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음성이며, 상기 해당 단위는 음성 인식을 수행하기를 요구하는 시구간 단위이다. 일 예로 상기 음성인식 단위를 5초로 미리 설정하였을 경우 5초동안만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 인식하게 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 사용자의 음성만을 음성 인식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음성 인식은 화자종속 연결 단어 음성 인식을 사용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sender's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receiver's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200 are conducting a call (step 311), the sender's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from a user. A transmission request is detected (step 313). Here,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is a specific key during the call, that i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ke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keys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15, for example, menu key + digit key 1 + digit). When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is detected, the transmitting-side cellular phone terminal 100 switches its own operation mode to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314). In this case, even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sender's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100 is switched to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the connection for the call being performed is continuously maintained. It is maintained with the device 200,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tinue a call, and then the transmitting-sid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n the message transmission mode, a voice of a corresponding unit is input (step 315), wherein the input voice is a user voice of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and the unit is requested to perform voice recognition. For example, when the voice recognition unit is set to 5 seconds in advance, the voice of the user inputted only for 5 seconds is recognized. Here, only the voice of the user of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is voiced. The reason for the recognition is that the speech recogn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peaker-dependent word speech recognition as an example.

이렇게, 해당 단위의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상기 입력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고(317단계), 상기 음성인식된 단어들을 문자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래서, 상기 문자데이터로 변환된 단어들을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고(319단계)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로전송한다(321단계). 여기서, 상기 음성인식 단문 메시지는 일반 단문 메시지와 구별되는 정보를 그 헤더에 포함하여 전송하며, 상기 단문 메시지구조는 하기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를 종료한다(322단계).As such, when the voice of the corresponding unit is input, the transmitter-side mobile phone terminal 100 recognizes the input voice (step 317) and converts the voice recognized words into text data. Then, the words converted into the text data are generated as a short message (step 319) and the generated shor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ide mobile terminal 200 (step 321). Here,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short message in its header, and the short messag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elow. In this way, after transmitting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step 322).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에서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함과 아울러(323단계),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325단계). 여기서,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가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단문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검출하여 그 정보가 상기 단문 메시지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인지 아니면 일반 단문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일 경우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는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중요 단문 메시지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중요 단문 메시지 수신을 경보한다(327단계). 여기서, 상기 중요 단문 메시지 수신 경보는 일반 단문 메시지 수신 경보와 차별되는 경보형태, 일 예로 상기 일반 단문 메시지 수신 경보가 LED를 점멸하는 형태일 경우 상기 중요 단문 메시지 경보는 상기 LED 점멸과 함께 비프음을 발생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렇게 중요 단문 메시지 수신 경보를 한 후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는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한다(329단계).As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the short message (step 323), and the received short message is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essage (step 325). 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received short message i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by detecti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a header of the short message and determining that the short message is a voice is performed. It is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recognized short message or a general short message. If the received short message i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he receiving sid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200 determines the received short message as an important short message and alerts the reception of the important short message accordingly (327). step). Here, the critical short message receiving alarm is an alarm type that is discriminated from the general short message receiving alarm. For example, when the general short message receiving alarm is in the form of blinking LED, the important short message alarm beeps with the LED blinking. Provided in the form of After the short message is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received short message (step 329).

한편,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에서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일반단문 메시지일 경우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는 일반 단문 메시지 수신 경보를 수행하고(331단계)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한다(329단계).On the other hand, when the short message received by the receiving side mobile terminal 200 is a general short message, the receiving side mobile terminal 200 performs a general short message reception alarm (step 331) and receives the received short message. Save the message (step 329).

여기서,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 a process of transmitting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by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상기 도 4는 도 3의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by the sender's mobile terminal device of FIG. 3.

먼저,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가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와 통화 수행중에 있는 상태에서(411단계) 제어부(111)는 키입력부(115)로부터 입력한 키신호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키 신호인지 검사한다(413단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키입력부(115)로부터 입력된 키신호가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키 신호가 아닐 경우 상기 입력받은 키신호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한다(415단계).First, while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is in a call with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200 (step 411), the control unit 111 recognizes that the key signal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15 is voice recognized. In step 413,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key signal is checked. If the key signal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15 is not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key signal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signal is performed (step 415).

만약,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키입력부(115)로부터 입력받은 키신호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키 신호일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 자신의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한다(416단계). 여기서,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될 경우에도 상기 수행중이던 통화를 위한 연결(connection)은 지속적으로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200)와 유지되고 있어 통화를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해당 단위의 음성을 입력한다(417단계). 여기서,상기 입력되는 음성은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음성이며, 상기 해당 단위는 음성 인식을 수행하기를 요구하는 시구간 단위이다. 일 예로 상기 음성인식 단위를 5초로 미리 설정하였을 경우 5초동안만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 인식하게 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장치(100) 사용자의 음성만을 음성 인식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음성 인식은 화자종속 연결 단어 음성 인식을 사용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If the key signal received from the key input unit 115 i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key signal as a result of the test, th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of an operation mode of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Switch to the transmission mode (step 416). Here, even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transmitting sid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100 is switched to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the connection for the call that is being performed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receiving sid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continue the call. Then, the control unit 111 inputs the voice of the corresponding unit in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step 417). Here, the input voice is a user voice of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and the corresponding unit is a time interval unit for requesting to perform voice recognition. For example, when the voice recognition unit is set to 5 seconds in advance, the voice of the user inputted only for 5 seconds is recognized. Here, the reason for recognizing only the voice of the user of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100 is given. This is because the speech recogn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peaker-dependent word speech recognition as an example.

이렇게 입력된 음성을 미리 설정된 설정 단위, 일 예로 20mS 단위로 프레임(frame) 추출하고(419단계), 상기 추출된 프레임 단위의 음성을 상기 메모리(113)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북과 비교하여 근사값(likelihood value)이 가장 높은 코드를 인식된 음소로 선택하여 인식한다(421단계). 여기서, 상기 20mS로 추출된 각각의 프레임들은 10mS씩 겹치도록 하여 인접 프레임간 상관도를 극대화한다. 바로 이 부분이 음성 인식의 전처리부가 되는 것이고, 상기 선택된 음소들이 음성인식의 주처리부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코드북을 통해 음소를 인식한 후, 상기 제어부(111)는 HMM(Hidden Markov Model)을 비롯한 인식 알고리즘 (DTW : Dynamic Time Warping, Neural Network, Wavelet 등)을 사용하여 단어를 인식한다(423단계). 여기서, 상기 HMM은 음소가 발음되는 것을 확률적인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상기 HMM을 사용하면 상기 음성인식의 모든 과정이 확률로서 표현되며, 따라서, 음성인식 확률의 결과가 높다. 그래서 상기 HMM을 통한 단어인식 과정이 상기 음성 인식의 후처리부가 되는 것이다.The input voice is extracted in a preset setting unit, for example, a frame in 20 mS units (step 419), and the extracted frame unit voice is compared with a codebook stored in the memory 113, for example, likelihood. The code having the highest value) is selected as the recognized phoneme and recognized (step 421). Here, each of the frames extracted with the 20mS overlap by 10mS to maximize the correlation between adjacent frames. This is the preprocessing part of speech recognition, and the selected phonemes become the main processing part of speech recognition. After the phoneme is recognized through the codebook, the controller 111 recognizes a word using a recognition algorithm (DTW: Dynamic Time Warping, Neural Network, Wavelet, etc.) including a Hidden Markov Model (HMM) (step 423). ). Here, since the HMM assumes that the phoneme is pronounced probabilistic, when the HMM is used, all processes of the speech recognition are represented as probabilities, and therefore, the result of the speech recognition probability is high. Thus, the word recognition process through the HMM becomes a post processor of the speech recognition.

이렇게 음성 인식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인식된 음성을 해당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렇게 변환된 문자데이터들을 가지고서 음성인식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425단계). 여기서,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의 경우 일반 단문 메시지와 구별되는 정보를 그 헤더에 포함하여 전송한다(427단계). 이때, 상기 단문 메시지구조는 하기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생성된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를 송신부(121)를 통해 출력하여 상기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200)로 송신되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voice recognition ends, the control unit 111 converts the recognized voice into corresponding text data and generate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using the converted text data (step 425). In the case of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nformation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short message is transmitted in step 427. In this case, the short messag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elow. When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11 outputs the generated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hrough the transmitter 121 to transmit the generated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o the receiving side mobile phone terminal device 200.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의 전송이 종료 (429단계)되면 송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의 연결(connection)이 계속 유효하므로 선택적으로 통화를 계속하거나 종료(431단계)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transmission of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s terminated (step 429),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nding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device remains valid, so that the call can be selectively continued or terminated (step 431). do.

여기서,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구조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speech recognition short messag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ech recognition short mess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통상적인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는 한번에 전송 가능한 기준 전송 용량을 가지며, 그 단문 메시지 포맷은 메시지 ID와, 단문 메시지의 긴급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Priority), 프라이버시(Privacy) 및 수신응답 전화번호(Callback Number), 사용자 데이터(User Data)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First, a typical short message service has a reference transmission capacity that can be transmitted at one time, and the short message format has a message ID, priority, privacy, and callback number indicating the urgency of the short message. Number) and user data.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 구조 중에서 헤더부분, 즉 메시지 ID와, 우선순위, 프라이버시 및 수신응답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헤더부분에 단문 메시지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정보(일 예로, 코드 등이 될 수 있다)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그러면, 수신측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그 헤더부분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임을 식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별도의 코드를 헤더부분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우선순위를 그 레벨이 최우선되도록 설정하여 전송하는 것 등과 같이 일반 단문 메시지와 구별하는 다수의 방법이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부분에 상기 음성 인식된 문자 데이터가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실제 송신측과 수신측 사용자들 간에 수행되는 통화 내용을 음성 인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음성 인식을 위한 코드북의 크기가 소형화(compact)되어야 함과 아울러 연속 단어의 음성 인식 속도가 설정 속도, 일 예로 120ms 이상으로 진입해야 한다. 또한, 마지막으로 음성 인식률 자체가 설정 확률, 일 예로 98%이상으로 보장되어야만 한다.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hort message i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n a header part of the short message structure, that is, a message part and a header part including a priority, privacy, and answering telephone number (for example, , Code, etc.). Then, the receiving side mobile phone terminal apparatus receives the short message and can identify that the received short message i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hrough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eader portion. Of cour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 case in which a separate code indicating that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s transmitted in the header portion, but the transmission of the priorities such as setting the priority to the highest priority and the like; It should be noted that multiple ways of distinguishing are possible. Then, the voice data is included in the user data portion and transmitted. Of course, in order to convert the contents of a call performed between the actual sender and the receiver user into voice data and transmit the converted text data to the other party, the size of the codebook for speech recognition must be compact and the continuous words must be used. The voice recognition speed should be set to the set speed, for example 120ms or more. Finally, the speech recognition rate itself must be guaranteed to be a set probability, for example, 98% or mor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첫 번째로 상대방과 통화 수행중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인식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성 인식 기능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by first enabling the user to recognize the user's voice while transmitting a call and transmitting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두 번째로, 통화 수행중에도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를 종료하지 않고서도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Secondly,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short message without us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to terminate the call even during the call.

세 번째로,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단문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문메시지 전송을 위한 일련의 과정들, 즉 문자데이터 입력을 위한 다수번의 키조작 등과 같은 번거로운 과정들을 제거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Thirdly, by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using voice recognition, the user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eliminating a series of processes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that is, a number of key manipulations for inputting text data. Have

Claims (11)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에 있어서,In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device of a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각각의 음소 별로 데이터가 각각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음성 코드북을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a voice codebook in which data is matched and stored for each phoneme; 입력되는 음성을 미리 설정한 설정 단위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단위의 음성을 상기 음성 코드북을 가지고 음성 인식하는 음성 처리부와,A voice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the input voice into a preset unit and recognizing the extracted unit voice using the voice codebook;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음성 처리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성 인식된 결과를 가지고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When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is detected, control to recognize a voice input through the voice processing unit, convert the text data with the voice recognized result, and generate the converted text data a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peech recognition short message in a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성 처리부는 상기 입력음성을 상기 음성 코드북과 비교하여 근사값이 가장 큰 코드를 음소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And the voice processing unit compares the input voice with the voice codebook and selects a code having an approximate value as a phone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성 처리부는 입력되는 음성에서 추출된 다수의 프레임들 상호간에 중첩으로 인접 프레임 상관도를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And the voice processing unit increases the adjacent frame correlation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frames extracted from the input vo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성 인식 단문메시지는 헤더 부분에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코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And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ncludes a code indicating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n a head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성 인식 단문메시지는 헤더 부분에 메시지 ID와, 우선순위, 프라이버시 및 수신응답 전화번호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코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And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ncludes a message ID and a code indicating a priority, a privacy, and a response telephone number priority in a header part.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In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수신측과 통화 수행중에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를 감지하면 그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When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is detected while the call is in progress with the receive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음성 인식하는 과정과,Speech recognition of a user voice input in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상기 음성 인식 결과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And converting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into text data, generating the converted text data into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text data to the receiving sid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음성 인식 과정은 설정 단위로 추출된 음성을 음성 코드북과 비교하여 근사값이 가장 큰 코드를 음소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The speech recognition process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 speech recognition short message of a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code having the largest approximation is selected as a phoneme by comparing the speech extracted in a setting unit with a speech codebook.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음성 인식 과정은 상기 입력되는 음성에서 추출된 다수의 프레임들 상호간에 중첩으로인접 프레임 상관도를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The speech recognition process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 speech recognition short message of a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adjacent frame correlation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frames extracted from the input voi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음성 인식 단문메시지는 헤더 부분에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코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s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er portion includes a code indicating that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음성 인식 단문메시지는 헤더 부분에 메시지 ID와, 우선순위, 프라이버시 및 수신응답 전화번호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코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of a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er portion includes a message ID and a code indicating priority, privacy, and answering telephone number priority.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In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수신측과 통화 수행중에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요구를 감지하면 그 동작 모드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When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is detected while the call is in progress with the receive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송신 모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음성 인식하는 과정과,Speech recognition of a user voice input in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상기 음성 인식 결과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Converting the speech recognition result into text data, generating the converted text data into a speech recognition short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text data to the receiving side;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측은 상기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를 중요 메시지로 인식하고, 중요 단문 메시지 경보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The receiving side receiving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recognizes the voice recognition short message as an important message and performs an important short message alarm.
KR10-2001-0007186A 2001-02-14 2001-02-14 Apparatus for transferring short message using speech recognition i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3698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86A KR100369804B1 (en) 2001-02-14 2001-02-14 Apparatus for transferring short message using speech recognition i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86A KR100369804B1 (en) 2001-02-14 2001-02-14 Apparatus for transferring short message using speech recognition i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05A KR20020066805A (en) 2002-08-21
KR100369804B1 true KR100369804B1 (en) 2003-01-30

Family

ID=2769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186A KR100369804B1 (en) 2001-02-14 2001-02-14 Apparatus for transferring short message using speech recognition i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8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628A (en) * 2001-05-28 2002-12-05 주식회사 소프트비즈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haracter message data
KR20030000939A (en) * 2001-06-27 2003-01-06 김원준 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during the telephone conversation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30086756A (en) * 2002-05-06 2003-11-12 인포뱅크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Voice Messaging
KR20030097347A (en) * 2002-06-20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service using voice in mobile telephone
KR20040051918A (en) * 2002-12-13 200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voice/text conversion service, and method of the same
KR101368268B1 (en) * 2005-07-26 201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using voice recogn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133620B1 (en) * 2005-09-14 2012-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earch data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754432B1 (en) * 2006-06-01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received message in mobile phone
KR101412205B1 (en) * 2008-05-09 2014-06-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instant massaging service using bluetooth apparatus, and bluetooth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KR101597286B1 (en) 2009-05-07 2016-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generating avatar image messag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05A (en)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2295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voice call contents via text messages
KR1006404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hanging telephony mode of mobile terminal
US5960393A (en) User selectable multiple threshold criteria for voice recognition
JP2007529916A (en) Voice communication with a computer
KR20010102001A (en) Voice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telephone handsets
KR100369804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hort message using speech recognition i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7043436B1 (en) Apparatus for synthesizing speech sounds of a short message in a hands free kit for a mobile phone
JP3507686B2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467593B1 (en) Voice recognition key input wireless terminal, method for using voice in place of key input in wireless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e
US66254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signal based answer call message generation
KR100664105B1 (en) Voice understanding method for hand-held terminal
US7471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JP2005348240A (en) Telephone device
KR100414064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
EP3686884B1 (en) Method for voice control of a mobile device
US20080159514A1 (en) Telecommunication device
JP2010177961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368268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using voice recogn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99883B1 (en) Voice cognition system for a cellular phone including voice cognition processor
KR970002344B1 (en) Communication terminal
KR20000003371A (en) Device for displaying telephone number in po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elephone number guid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WO2002003379A1 (en) Control of ressources of a distributed speech recognition system
JP2000197128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10100290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wireless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and the wire·wireless terminal
KR100291002B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control regist ration and recognition by speech in digital hand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