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410B1 -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410B1
KR100366410B1 KR1019990047616A KR19990047616A KR100366410B1 KR 100366410 B1 KR100366410 B1 KR 100366410B1 KR 1019990047616 A KR1019990047616 A KR 1019990047616A KR 19990047616 A KR19990047616 A KR 19990047616A KR 100366410 B1 KR100366410 B1 KR 100366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holder
fixing
rotation cen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738A (ko
Inventor
차순철
송영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7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41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스템본체(10)에 모니터(20)의 설치각도를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본체(10)에 구비되는 고정홀더(14,14')에 대해 회전홀더(22)가 회전중심축(30)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니터(20)의 설치각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니터 각도조절장치{Monitor angle adju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모니터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LCD가 노트북 컴퓨터에서만이 아니라 데스크탑 컴퓨터에서도 저소비전력과 설치공간상의 이점에 따라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일반 CRT모니터와 비교해 그 크기 경박단소하다는 장점과 상대적으로 화면이 어둡다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면서 그 사용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모니터를 시스템본체에 장착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스템본체(1)에 스탠드(3)를 설치하고, 상기 스탠드(3)의 상단부에 모니터(5)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5)는 그 설치각도의 상하 조절이 가능한데, 설치각도의 조절은 상기 스탠드(3)와 모니터(5) 사이에 힌지(7)가 구비되어 있음으로 해서 가능하다. 상기 힌지(7)는 상기 스탠드(3) 및 모니터(5)에 각각 스크류(s)로 체결된다.
한편, 상기 시스템본체(1)와 상기 모니터(5) 사이의 영상신호 및 전원의 전달은 케이블(c)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케이블(c)은 상기 시스템본체(1)로부터 상기 스탠드(3)의 내부를 거쳐 모니터(5)로 연결설치되어, 전원 및 영상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본체(1)를 책상에 놓고 사용하다보면, 필요에 따라서는 시스템본체(1)를 책상의 한쪽 구석에 놓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모니터(5)를 좌우로 그 설치각도를 조절하여야 책상의 중앙측에서 모니터(5)를 정확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이 모니터(5)의 좌우각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니터의 각도를 시스템본체에 대해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니터 일체형 컴퓨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 일체형 컴퓨터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이 분해사시도.
도 4a,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시스템본체 12: 스탠드
14,14': 회전홀더 16: 관통공
20: 모니터 22: 회전홀더
24: 관통공 30: 회전중심축
32: 스프링 34: 체결너트
40: 체결레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해 본체에 구비되는 본체연결부와, 상기 모니터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연결부와 연결되는 모니터연결부와, 상기 모니터연결부와 상기 본체연결부를 동시에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중심부재와, 상기 회전중심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중심부재와 상기 모니터연결부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연결부와 상기 본체연결부를 밀착시켜 상기 모니터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중심부재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회전중심부재를 끌어 올려 고정시키는 고정레버로서, 상기 고정레버의 중간에는 라운드진 절곡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곡고정부가 본체연결부 일측에 밀착되어 회전중심부재를 당겨주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외부에서 조절가능하게 상기 모니터연결부의 내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돌기가 돌출된 홀더레버와,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상기 본체연결부에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중심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그 하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대응되는 위치인 모니터연결부상에 상기 고정구의 요철과 대응되는 요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중심부재는 상기 모니터연결부에 삽입되는 부분은 그 단면이 원형상으로 구성되고, 본체연결부에 삽입되는 부분은 그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모니터연결부의 일면에 형성된 제1라운드형 돌기부와, 상기 제1라운드형 돌기부에 대응되게 본체연결부 상에 형성된 제2라운드형 돌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는 엘시디모니터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모니터의 좌우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컴퓨터를 놓은 상태로 모니터를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 각도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스템본체(10)에는 엘시디 모니터(20)의 설치를 위한 스탠드(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탠드(12)의 선단부에는 원통형의 고정홀더(14,1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더(14,14')는 중간에 공간을 두고 상하로 설치되어 있고, 그 중심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시스템본체(10)에 설치되는 모니터(20)의 배면에는 회전홀더(2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홀더(22)는 상기 고정홀더(14,14')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앙의 상하로는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홀더(22)의 관통공(24)과 고정홀더(14,14')의 관통공(15)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더(14,14')와 회전홀더(22)를 체결하고 상기 모니터(2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고정홀더(14,14')와 회전홀더(22)의 관통공(15,24)에는 회전중심축(30)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중심축(30)의 하단부에는 스프링(32)이 개재된 상태로 체결너트(34)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너트(34)와 스프링(32)은 상기 고정홀더(14')의 하단 내부에 수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중심축(30)의 상단부에는 수평축부(36)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축부(36)는 상기 회전중심축(30)의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수평축부(36)에는 록킹레버(4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록킹레버(40)의 일단부가 상기 수평축부(3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록킹레버(40)는 그 중간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절곡고정면(4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고정면(42)의 각각의 점으로부터 상기 록킹레버(40)의 회전중심이 되는 수평축부(36)까지의 거리는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절곡고정면(42)의 곡률을 조절함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 4a,4b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는 모니터(20)가 시스템본체(10)에 그 설치각도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록킹레버(40)의 절곡고정면(42)이 상기 고정홀더(14) 상면 일측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절곡고정면(42)과 수평축부(36) 사이의 거리에 의해 상기 회전중심축(30)이 상기 스프링(3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부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너트(34)가 체결되어져 있는 회전중심축(30)과 상기 록킹레버(40)에 의해 상기 회전홀더(22)가 상기 고정홀더(14,14')에 고정되어 모니터(20)를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모니터(2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레버(40)를 도 4a의 상태에서 그 선단부를 상기 수평축부(36)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절곡고정면(42)이 상기 고정홀더(14)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중심축(30)이 하부로 약간 내려지면서, 상기 회전홀더(22)와 고정홀더(14,14')사이에도 틈이 생기게 되어 상기 회전홀더(22)의 상대적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4b의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20)를 적절하게 상기 회전중심축(3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주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모니터(20)의 각도를조절한 다음에는 상기 록킹레버(40)를 수평축부(3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중심축(30)을 당겨서 회전홀더(22)가 고정홀더(14,14')에 고정되게 하여 조절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스템본체(10)의 스탠드(12) 선단부에 고정홀더(114)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홀더(114)는 원기둥 형상의 것으로, 그 중앙 상하를 관통하여 관통공(1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더(114)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고정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홈(118)은 상기 고정홀더(114)의 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레버(130)의 고정돌기(132)가 위치되어 조절된 모니터(20)의 설치각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모니터(20)의 배면에는 회전홀더(122,122')가 상하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홀더(122,122')의 사이는 상기 고정홀더(114)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가진다. 이와 같은 회전홀더(122,12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각각 관통공(1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홀더(114)와 회전홀더(122,122')의 관통공(116,124)를 관통하여 회전중심축(1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130)은 상기 모니터(20)의 회전중심이 된다. 이와 같은 회전중심축(130)의 상부에는 머리부(131)가 형성되어 회전중심축(130)이 관통공(116,124)으로부터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중심축(130)의 하부에는 체결너트(132)가 체결되어 모니터(20)와 시스템본체(10)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너트(132)와 하측 회전홀더(122')의 사이에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홀더(122,122')의 일측 내부에는 홀더레버(140)가 설치된다. 상기 홀더레버(140)는 상기 고정홀(118)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홀(118)이 상기 고정홀더(114)의 상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홀더레버(130)는 상기 상측 회전홀더(122)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홀(118)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더(114)의 하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상기 하측 회전홀더(122')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홀더레버(140)는 상기 회전홀더(122')의 내부에 스프링(146)으로 탄지되어 있는 것으로, 회전홀더(122')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고정돌기(14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42)의 방향과 수직되게 구동암(144)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홀더(122')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홀더레버(140)는 상기 고정홀(118)에 상기 고정돌기(142)가 삽입되어 상기 모니터(20)의 설치위치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홀더레버(130)를 먼저 조작하여야 한다.
즉, 상기 홀더레버(140)의 구동암(144)을 아래방향으로 내려서 상기 홀더레버(140)의 고정돌기(142)가 상기 고정홀(118)로부터 빠져나오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34)가 고정홀(118)로부터 빠져나온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20)를 잡고 상기 회전중심축(130)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모니터(20)를 원하는 상태로 회전시킨 후에는 다시 상기 홀더레버(140)를 놓아서 상기 스프링(14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홀더레버(140)의 고정돌기(142)가 상기 고정홀더(114)의 고정홀(118)에 삽입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홀더레버(140)의 고정돌기(142)에 의해 상기 모니터(20)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스템본체(10)에는 스탠드(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탠드(12)의 선단부에는 고정홀더(21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홀더(214)는 원기둥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상하로 각형통공(21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더(214)의 상단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그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도록 하는 단차부(217)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고정홀더(214)와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홀더(222) 사이의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모니터(20)의 배면에는 회전홀더(22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홀더(222)는 상기 고정홀더(214)상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홀더(22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원형통공(22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원형통공(224)은 상기 각형통공(21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홀더(222)의 상면, 즉 상기 원형통공(224)의 둘레에는 방사방으로 요철(2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226)은 아래에서 설명될고정구(240)의 요철(244)와 대응되어 상기 모니터(20)의 설치각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회전홀더(222)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홀더(214)의 상부에 형성된 단차부(217)가 삽입되는 요홈부(227)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홀더(222)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중심축(230)이 상기 회전홀더(222)의 원형통공(224)과 고정홀더(214)의 각형통공(216)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회전중심축(230)중 상기 회전홀더(222)의 원형통공(224)에 삽입되는 부분은 상기 회전홀더(22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단면을 가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홀더(214)의 각형통공(216)에 삽입되는 부분은 상기 각형통공(216)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전중심축(230)의 하단부에는 체결너트(236)가 체결되어 상기 회전중심축(230)이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너트(236)와 고정홀더(214)의 사이에는 스프링(237)이 개재된다. 상기 스프링(237)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구(240)와 협력하여 상기 회전홀더(222)와 고정홀더(214)가 서로 소정위치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스프링(237)과 체결너트(236)는 상기 고정홀더(214)의 하면에 형성된 홈내에 수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중심축(230)의 상단부에는 고정구(24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구(24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24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240)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홀더(222)의 요철(226)과 대응되는 요철(2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226,244)들은 서로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기고정홀더(214)에 대해 상기 회전홀더(222)가 회전되지 않고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20)가 시스템본체(10)에 소정의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구(240)의 요철(244)이 상기 회전홀더(222)의 요철(226)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때, 상기 요철(244,226)은 상기 스프링(23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구(240)가 잡아당겨짐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니터(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구(240)의 손잡이(242)를 잡고 상기 스프링(23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고정구(240)를 당겨주면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고정구(240)의 요철(244)이 상기 회전홀더(222)의 요철(226)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회전홀더(222)가 상기 회전중심축(230)의 원형부(23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회전중심축(230)의 원형부(232)는 상기 고정구(240)의 요철(244)이 상기 회전홀더(222)의 요철(226)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그 일부가 상기 각형통공(216) 내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20)를 회전시켜 원하는 설치각도를 얻게 되면 상기 고정구(240)를 놓아 상기 고정구(240)와 회전중심축(230)이 상기 스프링(237)의 복원력에 의해 당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고정구(240)의 요철(244)이 상기 회전홀더(222)의 요철(226)에 결합되면서 상기 모니터(20)의 설치각도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홀더(214)의 단차부(217)를 상기 회전홀더(222)의 요홈부(227)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고정홀더(214)에 상기 회전홀더(222)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중심축(230)의 일부를 각형부(233)로 형성한 것은, 상기 회전홀더(222)의 회전시에 회전중심축(230)이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스템본체(10)에는 스탠드(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고정홀더(3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홀더(314)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여서 관통공(3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더(314)의 상면에는 고정라운드돌기(318)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라운드돌기(318)는 상기 관통공(316)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라운드돌기(318)는 각각 그 형상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한편, 모니터(20)의 배면에는 상기 고정홀더(314)와 대응되는 회전홀더(3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홀더(322)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역시 관통공(3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324)은 상기 고정홀더(314)의 관통공(31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홀더(322)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홀더(314)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라운드돌기(318)에 결합되는 회전라운드돌기(3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라운드돌기(328) 역시 그 형상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각각의 라운드돌기(318,328)를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은 모니터(20) 각도의 설정을 위해 상기 회전홀더(322)를 고정홀더(314)에 대해 회전시킬 때, 이들 회전라운드돌기(328)가 고정라운드돌기(318)를 쉽게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홀더(314)에 대해 회전홀더(322)가 회전을 하는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중심축(330)이 상기 관통공(316,324)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회전중심축(330)의 상단부에는 머리부(33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체결너트(332)가 체결되어 상기 회전중심축(330)이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너트(332)와 고정홀더(314)의 사이에는 스프링(334)이 개재되어 상기 회전중심축(330)의 머리부(331)를 당겨서 고정홀더(314)와 회전홀더(322)가 서로 밀착되어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체결너트(332)와 스프링(334)은 상기 고정홀더(314)에 홈을 형성하여 수납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단 상기 모니터(20)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홀더(314)의 고정라운드돌기(318)와 회전홀더(322)의 회전라운드돌기(328)가 서로 체결되고, 상기 회전중심축(330)의 머리부(331)와 상기 스프링(334)의 협력에 의해 상기 고정홀더(314)와 회전홀더(322)가 밀착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2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니터(20)를 잡고 돌려준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회전홀더(322)를 상기 고정홀더(314)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인데, 상기 회전홀더(322)의 회전라운드돌기(328)가 상기 고정홀더(314)의 고정라운드돌기(318)을 타고 넘도록 하여 모니터(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라운드돌기(328)가 상기 고정라운드돌기(318)를 타고 넘어갈 때, 상기 회전중심축(330)의 머리부(331)가 회전홀더(322)에 의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스프링(334)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회전홀더(322)가 상기 고정홀더(314)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라운드돌기(328)가 고정라운드돌기(318)을 완전히 타고 넘게 되면, 다시 상기 고정홀더(314)와 회전홀더(322)는 상기 스프링(334)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20)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모니터(20)의 시스템본체(10)에 대한 설치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제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스템본체(10)에 스탠드(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탠드(12)의 선단부에는 고정홀더(4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홀더(414)는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공(416)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더(4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홀더(422)의 기어부(426)가 수납되는 수납홈(418)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모니터(20)의 배면에는 회전홀더(422)가 형성된다. 상기회전홀더(422)는 상기 고정홀더(414)와 대응되는 것으로 그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상기 관통공(416)과 대응되는 관통공(4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홀더(422)의 하단부 둘레에는 기어부(42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어부(426)는 상기 회전홀더(422)의 다른 부분에 비해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기어부(426)가 상기 수납홈(418)에 수납되면 상기 기어부(426)가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고 상기 고정홀더(414)와 회전홀더(422)가 서로 연속되어 보이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홀더(422)가 상기 고정홀더(414)에 대해 회전하도록 상기 관통공(416,424)에는 회전중심축(430)이 삽입된다. 상기 회전중심축(430)은 그 선단에 머리부(4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체결너트(434)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너트(434)는 상기 고정홀더(414)의 하면 내부에 수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홀더(422)를 회전시키는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스탠드(12)의 내부에는 구동원인 모터(4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44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441)가 구비된다. 이 역시 상기 스탠드(12)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모터(440)의 회전력을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도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기어(442)와 모터(440)의 사이에는 다른 다수개의 기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441)는 상기 회전홀더(422)의 기어부(426)에 맞물려서 상기 모터(44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홀더(422)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시스템본체(1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모니터(20)의 회전을 위해 상기 모터(440)를 구동시키는 구동버튼(442,443)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니터(2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사용자가 제공하지 않고 모터(440)가 제공한다. 즉 모니터(2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버튼(442,443)중 하나를 누르면 된다.
즉 사용자가 구동버튼(442)를 누르게 되면 일측방향으로 모니터(20)가 회전하고 다른 구동버튼(443)을 누르게 되면 타측 방향으로 모니터(20)가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버튼(442)을 누르면 상기 모터(440)가 회전하고 그 회전력이 구동기어(441)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441)에 맞물려 있는 기어부(426)로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회전홀더(422)가 회전중심축(43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모니터(20)의 설치각도가 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버튼(442,443)은 눌러진 상태가 유지되면 모터(440)를 계속하여 구동시키고, 눌러진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모터(440)의 구동을 멈추게 하도록 동작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 각도조절장치는 모니터의 설치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컴퓨터가 높여지는 위치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모니터를 보다 정확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컴퓨터를 설치하는 위치에 대한 제한이 줄어들게 되어 작업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해 본체에 구비되는 본체연결부와,
    상기 모니터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연결부와 연결되는 모니터연결부와,
    상기 모니터연결부와 상기 본체연결부를 동시에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중심부재와,
    상기 회전중심부재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중심부재와 상기 모니터연결부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연결부와 상기 본체연결부를 밀착시켜 상기 모니터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중심부재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회전중심부재를 끌어 올려 고정시키는 고정레버로서, 상기 고정레버의 중간에는 라운드진 절곡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곡고정부가 본체연결부 일측에 밀착되어 회전중심부재를 당겨줌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외부에서 조절가능하게 상기 모니터연결부의 내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돌기가 돌출된 홀더레버와,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상기 본체연결부에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중심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그 하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대응되는 위치인 모니터연결부상에 상기 고정구의 요철과 대응되는 요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부재는 상기 모니터연결부에 삽입되는 부분은 그 단면이 원형상으로 구성되고, 본체연결부에 삽입되는 부분은 그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모니터연결부의 일면에 형성된 제1라운드형 돌기부와,
    상기 제1라운드형 돌기부에 대응되게 본체연결부 상에 형성된 제2라운드형 돌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9. 제 3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엘시디모니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10. 삭제
KR1019990047616A 1999-10-29 1999-10-29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KR100366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616A KR100366410B1 (ko) 1999-10-29 1999-10-29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616A KR100366410B1 (ko) 1999-10-29 1999-10-29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738A KR20000006738A (ko) 2000-02-07
KR100366410B1 true KR100366410B1 (ko) 2002-12-31

Family

ID=1961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616A KR100366410B1 (ko) 1999-10-29 1999-10-29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515B1 (ko) * 2000-08-04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장치
KR20020075054A (ko) * 2001-03-23 2002-10-04 제논텔레콤 주식회사 모니터 일체형 컴퓨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219U (ko) * 1997-05-30 1998-12-05 윤종용 영상표시장치
KR19990043647A (ko) * 1997-11-29 1999-06-15 전주범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KR19990070355A (ko) * 1998-02-19 1999-09-15 윤종용 평판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219U (ko) * 1997-05-30 1998-12-05 윤종용 영상표시장치
KR19990043647A (ko) * 1997-11-29 1999-06-15 전주범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KR19990070355A (ko) * 1998-02-19 1999-09-15 윤종용 평판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738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2840B1 (ko) 액정디스플레이장치
US6168124B1 (en) Image receiving monitor using LCD
EP1785661B1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JP3230908U (ja) Lcdモニター用回転型スタンド
US6816364B2 (en) Display units
JP4407722B2 (ja) 表示装置
KR200500371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111262A (ko) 모니터장치
ZA200305417B (en) Surgical console.
KR20010113400A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US20040068185A1 (en) Ultrasonic diagnostic imaging system with articulating display handle
US6859356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monitor
KR100366410B1 (ko)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KR97002352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용 구조물
KR20000000500A (ko) 모니터 일체형 컴퓨터의 모니터 높이조절장치
KR20220049346A (ko) 모니터 거치대
KR100928443B1 (ko) 디스플레이패널의 시야각 조절용 마운팅 장치
KR10034480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KR20020068184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JP2000308248A (ja) スイベルユニット
KR100345474B1 (ko) 카메라 장착용 유에스비 허브 장치
KR200378076Y1 (ko) 주방용 에이브이시스템의 힌지장치
KR100236706B1 (ko)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KR10033935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탠드 장착용 연결장치
KR200232164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