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045B1 - Development of Home Automa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HomePNA on the Internet - Google Patents

Development of Home Automa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HomePNA on the Inter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045B1
KR100357045B1 KR1020000008861A KR20000008861A KR100357045B1 KR 100357045 B1 KR100357045 B1 KR 100357045B1 KR 1020000008861 A KR1020000008861 A KR 1020000008861A KR 20000008861 A KR20000008861 A KR 20000008861A KR 100357045 B1 KR100357045 B1 KR 100357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net
home
gateway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8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84084A (en
Inventor
조위덕
이상학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08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045B1/en
Publication of KR20010084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0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045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05B55/005Cylindrical or tubula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댁내 망은 기존의 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하고, 외부와의 통신은 TCP/IP를 이용함으로써 인터넷을 이용하여 댁내통신망을 구축하는 댁내 자동화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웹브라우져로 댁내 가전제품 및 출입통제를 모니터링,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엑세스에 있어서 기존에 비해 향상된 보안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In more detail, the home network uses an existing telephone line as it i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uses a TCP / IP to build a hom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Internet.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not only monitor and control home appliances and access control in the home through a web browser from the outside, but also provide an improved security func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ystem access.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댁내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Development of Home Automa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HomePNA on the Internet}Home automa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Development of Home Automa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HomePNA on the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댁내 망은 기존의 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하고, 외부와의 통신은 TCP/IP를 이용함으로써 인터넷을 이용하여 댁내통신망을 구축하는 댁내 자동화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In more detail, the home network uses an existing telephone line as it i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uses a TCP / IP to build a hom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Internet.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and system.

종래의 댁내자동화 시스템은 가정 내의 PC를 서로 연결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이때 네트워크는 전화선이나 전력선을 이용하는 방식을 취하여 왔다.The conventional home automation system connects PCs in a home to form a home network, and the network has been adopted by using a telephone line or a power line.

도 1은 종래의 가정자동화 기술의 데이터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먼저 외부제어명령이 전화선을 통하여 컴퓨터에 전달된 후, Pcom(Parker version Bus Controller Software)을 포함하는 컴퓨터는 전달된 제어메시지를 PDCI(PowerLine Data Communication Interface)에 전달하고, 여기서 CE(Comsumer Electronic)버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다. 인코딩된 제어메시지는 다시 SSPM(Spread Sprectrum Modem)에 전달하고 여기서 Chirp의 정보형태로 변환된다. 변환된 chirp은 AC PowerLine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각종 가전기기에 전달된다. 전달되는 과정은 컴퓨터에서 PowerLine까지 과정의 역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PowerLine에서 SSPM으로 chirp이 전달되고, SSPM에서 PDCI로 전달되어 디코딩과정을 거치게 되며, 최종적으로 디코딩된 메시지는 각각의 가전기기로 전달되어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1 illustrates a data flow of a conventional home automation technology. First, an external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a computer through a telephone line, and then a computer including a parker version bus controller software (Pcom) is PDCI. (PowerLine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where it is encoded according to the CE (Comsumer Electronic) bus protocol. The encoded control message is passed back to Spread Sprectrum Modem (SSPM), where it is converted into the information form of Chirp. The converted chirp is transmitted to various home appliances to be controlled through the AC PowerLine. The transfer process is the reverse of the process from computer to PowerLine. In other words, chirp is transmitted from PowerLine to SSPM, SSPM is transferred from PDPM to PDCI, and finally the decoded message is delivered to each home appliance to control.

하지만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부에서 사용자가 가정내 각종 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는 전화상의 키조작에 의하여 일일이 지정하여 입력하고 확인하는 일련의 번잡한 절차가 수반되어지며, 외부에서 시스템에 접속할 때 제어 메시지의 형태가 다양하지 못한 문제 즉, 전화의 키조작에 의하여야 한다는 한계로 인하여 많은 가전제품의 제어 등 다양한 제어명령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However,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n order for the user to control various devices in the home from outside, a series of complicated procedures for inputting and confirming the input and confirmation by key operation on the telephone are involved. Due to the problem that the form is not varied, that is, by the key operation of the telephone ha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a variety of control commands, such as the control of many home appliances.

또한 댁내 각종 기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한눈에 확인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수반되어 지고, 뿐만 아니라 외부제어전달방식이 전화를 이용하기 때문에 도청등 보안에 취약한 특성이 있으며, 내부제어 메시지 전달에서는 전송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accompanied by the inconvenience that it is not possible to check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of various devices in the house at the same time, and also because the external control transmission method uses a telephone, it is vulnerable to security such as eavesdropping. There is a slow downside.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 대하여 기존 HomePNA의 개념을 확장하여 가정 내의 가전제품 및 자동화 기기를 웹상의 홈페이지에서 감시 및 운영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범용 HomePNA 인터페이스 카드를 구현하였으며, 본 카드가 장착가능한 모든 기기는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져를 통해 사용하기 편리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attempted to monitor and operate home appliances and automation devices in the home from the homepage on the web by extending the concept of the existing HomePNA to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For this purpose, a universal HomePNA interface card is implemented, and all devices equipped with this card can be used in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environment that is easy to use through a user's Internet brows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와의 인터넷을 통해 댁내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출입통제를 제어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엑세스에 있어서 기존에 비해 보다 우수한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ild a system that can not only control and monitor access control not only home appliances but also access control through the Internet with the outside, and provide a better security function than the conventional system access.

도 1은 종래의 가정자동화 기술의 데이터 흐름도1 is a data flow diagram of a conventional home automation technology

도 2는 본 발명의 댁내 자동화 시스템 구축도Figure 2 is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3 is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HomePNA 인터페이스 카드의 블록 다이어그램.4 is a block diagram of a HomePNA interface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동작 시나리오의 예.5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scenario.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사용자시스템 20. 웹서버10. User System 20. Web Server

30. 게이트웨이 40. 각종기기30. Gateway 40. Equipment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댁내 자동화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전기 과정에 의한 접속이 있은 후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는 단계와,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있은 후 웹서버가 사용자 모니터상에 댁내 각종 기기의 현재 동작상태정보를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댁내 해당 기기의 원하는 동작상태를 수신된 화면을 통해 모니터상에서 설정하는 단계와, 전기 단계에 의한 당해 기기의 동작설정정보는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당해 기기로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home automa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ccesses a web server on the Internet by us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user authentication by input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fter access by the electric process. And, after authentication of the user, the web server receives and displays the current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various devices in the house on the user monitor from the gateway, and monitors the desired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house through the received screen. The step of setting on, and the operation setting information of the device by the electrical step includes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device through the gateway.

또한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댁내 자동화 시스템은 사용자의 접속요청에 대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식별하여 정당한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사용자의 댁내 각종 기기의 동작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 시켜주는 웹서버와, 상기 웹서버와 댁내 게이트웨이를 연결하는 외부통신망과, 상기 외부통신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로부터 TCP/IP 프로토콜의 패킷명령을 받아 내부의 명령으로 해당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기기로부터 모니터링 되는 정보를 다시 인터넷상의 TCP/IP로 변환하여 웹서버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와 내부통신망으로 연결되어진 각종 기기로 구성되어진다.In addition, the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b server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various devices in the user's home when the user is identified as a legitimate user by identifying the user's access request, and the web server and home Receives a packet command of the TCP / IP protocol from the web server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gateway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packet command to the corresponding device as an internal command, and transmits the monitored information back to the TCP / IP on the Internet. It is composed of a gateway for converting and forwarding to a web server, and various devices connected to the gateway and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이하 첨부하는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망 구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 시스템(10)과, 상기 사용자 시스템부와 외부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가정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20)(이하 '웹서버'라고 약칭하기로 한다)와, 상기 웹서버와 외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며 가정내의 각종 기기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상기 정보를 웹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30)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내부 연결망을 통하여 연결되어지는 댁내 각종 기기(Device)(40)들로 구성되어진다.Figure 2 shows a network diagram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a user system 10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and a web server 20 connected to the user system unit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ing a home automation service to a user (hereinafter ' Web server and a gateway 30 connected to the web server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nd monitoring status information of various devices in the hom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a web server, and an internal connection network from the gateway. It is composed of various devices (Device) 40 connected to the home through.

상기 사용자 시스템(10)부는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장치(PC, 핸드폰 등 인터넷으로 접속가능한 모든 수단)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한 웹서버와의 접속은 통상적인 웹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접속은 통상적으로 웹서버의 URL을 입력하는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단말장치의 모니터를 통하여 자신의 홈페이지와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일단 웹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웹서버와 접속이 이루어진 후에는 사용자 인증을 받고, 사용자가 확인되면 보안모드(Secure mode)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The user system 10 includes a user and a user terminal device (all mean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such as a PC and a mobile phone), and the user is connected to a web server by using a conventional web browser. Typically, this may be achieved by a process of entering a URL of a web server. In this way, the user can access his homepage through the monitor of the terminal device. Once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web server using a web browser, the user is authenticated. When the user is confirmed, the user enters the secure mode.

본 발명에서는 인증 및 보안을 위하여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터넷을 통한 모든 TCP/IP 기반의 암호 프로토콜을 이용한 암호화된 메시지의 전송이 시작된다. 상기 보안기능의 구현은 실제적으로는 SSL(Secure Socket Layer), TLS, Fortezza 등의 프로토콜에 의하여 가능하며 이들 이외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어느 것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TCP / IP protocol for authentication and security, the transmission of the encrypted message using all the TCP / IP-based cryptographic protocol over the Internet begins. The implementation of the security function is actually possible by a protocol such as SSL (Secure Socket Layer), TLS, Fortezza, etc. Any of these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댁내 자동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20)는 상시 사용자 식별번호 등을 통하여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사용자 댁내의 각종 기기들의 현재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있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정보를 요구하며, 이를 사용자의 홈페이지상에 디스플레이 시키고,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각종 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외부통신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결과를 게이트웨이로부터 접수하여 사용자의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여 확인시켜준다.The web server 20 that provides the home automation service requests the above information from the gateway that monitors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of various devices in the user's hom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has the right authority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number. And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homepage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gateway using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user has a control command for various devices displayed on his monitor. It is received from the gateway and displayed on the user's monitor to confirm.

도 3은 상기 사용자의 웹서버로의 접속과정이 있은 후 모니터 상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웹서버는 현재 댁내 각종 기기의 동작상태정보를 댁내 망을 관리하는 게이트웨이(30)로부터 전송 받아 모니터상에 출력하여 주고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를 통하여 현재상황을 파악하고 원하는 기기의 동작상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3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on a monitor after the user has accessed the web server. The web server receives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various devices in the home from the gateway 30 managing the home network and outputs it on the monitor, and the user can grasp the current situation through the monitor and set the desired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do.

상기한 댁내 망을 관리하는 게이트웨이(댁내 일반 PC로도 구현이 가능하며 이하 이 둘을 통칭하여 '게이트웨이'라고 칭하기로 한다)는 댁내 각종 기기들과는 케이블 모뎀 또는 ADSL 모뎀 등을 통하여 기존의 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외부 통신망과는 이더넷을 포함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다.The gateway that manages the indoor network (which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general PC in the home, hereinafter referred to collectively as 'gateway') can use an existing telephone line as it is through a cable modem or an ADSL modem with various devices in the home. And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Ethernet.

상기와 같은 제반 기능의 구체적인 구현은 게이트웨이와 댁내 각종 기기에 설치되는 HomePNA 인터페이스카드의 형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HomePNA 인터페이스 카드는 또한 상기 기능을 탑재한 원칩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게이트웨이는 HomePNA 인터페이스카드가 장착된 댁내 가정기기들과는 전화선을 통하여 인터넷의 TCP/IP 프로토콜의 패킷을 받아 내부적 명령으로 각 기기로 전송해 주며 이들 기기로부터 모니터링 되는 정보를 다시 인터넷상의TCP/IP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터넷상의 웹브라우져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pecific implementation of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will be made using a type of HomePNA interface card installed in the gateway and various devices in the home. The HomePNA interface card may also be provided in a one-chip form equipped with the above function. As such, the gateway receives a packet of the TCP / IP protocol of the Internet through a telephone line with home devices equipped with a HomePNA interface card and transmits it to each device by internal command, and the information monitored from these devices is sent back to the TCP / IP over the Internet. It converts and allows the user to check it through a web browser on the Internet.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HomePNA 인터페이스카드의 구성 블록다이어그램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HomePNA 인터페이스 카드는:4 shows a block diagram of a HomePNA interface car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PNA interface card is:

PC의 주보드(main board)와의 인터페이스인 PCI버스와의 연결기능을 담당하며, CPU와 보드간의 데이터, 콘트롤 신호, 스테이터스(status) 정보전달기능을 수행하는 PCI 버스 인터페이스 유닛과. 이더넷 프로토콜 사용을 위한 MAC 계층 처리칩으로서 하위의 물리계층과 상위 TCP/IP 계층의 중간기능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패킷을 처리하는 MAC 코아와, 카드상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부팅시 실행되도록 하는 수정가능한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EPROM) 및 상기 메모리와의 인터페이스 칩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이더넷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통합마그네틱(Integrated magnetic)과 연결되고, 전화망상의 물리계층을 처리하는 1Mbps HomePNA 물리계층 및 이더넷 물리계층을 처리하는 10Mbps 물리계층으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통합마그네틱은 다시 전화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와 이더넷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와 연결되어짐으로써 댁내망은 전화선에 의하여 각종기기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외부엑세스는 인터넷 통신망에 의해 정보전달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PCI bus interface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PCI bus, which is the interface with the main board of the PC, and performs data, control signals, and status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the CPU and the board. MAC layer processing chip for Ethernet protocol use, which performs intermediate functions between lower physical layer and upper TCP / IP layer, MAC core for processing network packet, and modifiable memory that stores programs on card and executes at boot time. 1Mbps HomePNA connected to the EEPROM (electric erasable EPROM) and the interface chip with the memory, integrated magnetic (PSTN) and integrated magnetic to control the Ethernet, and to handle the physical layer on the telephone network It consists of a 10Mbps physical layer that handles the physical layer and Ethernet physical layer, and the integrated magnetic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for connecting the telephone line and the terminal for connecting the Ethernet line, so that the home network can Status information is monitored, and external access is transmitted by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It is to be.

상기와 같은 구성의 HomePNA 인터페이스카드를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처리속도에 있어 1M byte의 속도가 보장되며, 또한 상기 HomePNA 인터페이스카드는 데이터와 음성을 주파수분할 방식으로 분리 취급함으로써 외부로의 다중접속을 가능하게 한다.When the HomePNA interface card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applied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ed of 1M byte is guaranteed in the processing speed, and the HomePNA interface card can be handled by multiplexing data and voice by frequency division. Enable the connection.

댁내 망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전화선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기존의 전력선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속도와 안정성면에서 우수한 장점을 지닌다. 댁내망을 구성하는 각종 기기로는 TV, VTR, 보일러, 조명기기, 냉장고 등의 순수가전기기뿐만 아니라, 댁내 보안을 위한 기기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집안을 비우게 될 때 외부로부터의 전화연락이나 집안의 내부상황들, 예를 들면 도난, 화재, 출입관리 등을 모니터링 할 경우, 가전기기의 원격조작이 필요할 경우, 또는 긴급상황 발생 시 경보발생 등의 기능들이 요구되어지는 경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가정자동화시스템의 구축으로 이러한 기능들의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난이나 화재 등을 외부 모니터링 웹서버로 전달하고 이를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 바로 경찰서나 소방서로 신고되도록 하거나, e-mail 혹은 무선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연락하여 긴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출입관리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도 제공한다.The home network is easy to install since the existing telephone line is used as described above, and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speed and stability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the existing power line.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include not only pure home appliances such as TVs, VTRs, boilers, lighting equipment and refrigerators, but also devices for home security. Therefore, when the house is emptied, when there is a telephone call from the outside,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house, for example, theft, fire, access control, etc., when the remote control of home appliances is necessary, or when an emergency occurs When the functions of the above are required,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se functions by building the home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it transmits theft or fire to an external monitoring web server and processes it as a program so that it can be reported to the police station or fire department, or by contacting the user through e-mail or wireless message service to provide a function to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It also provides monitoring function for access control.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xamples, which are only intended to describe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댁내 보일러를 On/Off 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5 shows a process of a user turning on / off a home boil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ternet.

(1) 사용자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해 웹브라우져를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홈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제공자의 웹서버에 접속한다. 접속후에는 사용자 인증을 받고, 사용자가 확인되면 안전모드로 전환한다. TCP/IP 기반의 암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암호화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시작한다. 이는 SSL (Secure Socket Layer)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1) The user accesses the Internet using a web browser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o a web server of a service provider providing a home monitoring service. After connection, the user is authenticated, and when the user is confirmed, the user switches to safe mode. Start sending encrypted messages using TCP / IP-based cryptographic protocol. This can be achieved using Secure Socket Layer (SSL).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 상에 표시된 보일러를 On 혹은 Off 하도록 화면을 클릭한다.The user clicks on the screen to turn on or off the boiler displayed on the web browser.

(2) 웹 서버는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가정 내의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PC, 즉 HomePNA 인터페이스카드가 장착되어 있고 외부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는 PC에 접속한다. 연결이 설정되면 보일러를 On하라는 명령을 보낸다. 이러한 절차는 TCP/IP 기반의 Socket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이 가능하다.(2) The web server executes a program to access a monitoring gateway PC in the user's home, that is, a PC equipped with a HomePNA interface card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Internet. When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it sends a command to turn on the boiler. This procedure can be implemented through TCP / IP based Socket program.

(3) 명령을 수신한 게이트웨이 PC는 연결된 보일러에 On 명령을 전달한다.(3) Upon receiving the command, the gateway PC sends the On command to the connected boiler.

(4) 명령을 수신한 보일러는 장치를 동작시킨 후 처리 결과에 대한 이벤트를 게이트웨이 PC로 전달한다.(4) After receiving the command, the boiler operates the device and sends the event about the processing result to the gateway PC.

(5) 보일러가 On 되었다는 처리 결과 이벤트를 수신 한 게이트웨이 PC는 이를 다시 인터넷을 통해 웹 서버에 전달한다.(5) The gateway PC, which receives the event that the boiler is turned on, sends it back to the web server through the Internet.

(6) 웹 서버는 게이트웨이 PC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화면상에 업데이트시킨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수행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6) The web server updates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PC on the screen. This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result of his or her work.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웹브라우져로 댁내 가전제품 및 출입통제를 모니터링,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엑세스에 있어서 기존에 비해 향상된 보안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 시 익숙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편리하며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곳이라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댁내 제어를 위한 통신매체로 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현이 용이하며, 전력선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속도와 시스템의 안전성 면에서 우수한 특성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not only monitor and control home appliances and access control in the home through a web browser from the outside, but also provide an improved security func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ystem access. It is very convenient for users to use in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environment that is familiar with general internet use, and the service can be us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here there is internet access.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use a telephone line as a communication medium for controlling indoors, it is easy to implement, and it has excell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peed and safety of a system compared to using a power line.

Claims (6)

댁내 자동화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home automation control method, 사용자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전기 과정에 의한 접속이 있은 후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는 단계와,A step in which a user connects to a web server on the Internet by us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s user authentication by input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tc. after a connection by an electrical process;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있은 후 웹서버가 사용자 모니터상에 댁내 각종 기기의 현재 동작상태정보를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After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the web serve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various devices in the house on the user monitor from the gateway; 사용자가 댁내 해당 기기의 원하는 동작상태를 수신된 화면을 통해 모니터상에서 설정하는 단계와,Setting the desired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home on the monitor through the received screen; 전기 단계에 의한 해당기기의 동작상태정보는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해당기기에 전화선을 매개하여 동작명령을 전달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댁내 자동화 제어방법.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by the electrical step is a home automa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Internet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by transmitting the operation command to the corresponding device via a telephone line through the gatewa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게이트웨이는 외부와는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고, 댁내 각종기기와는 전화선에 의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댁내 자동화 제어방법.The gateway is based on the TCP / IP protocol with the outside, and the home automa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variety of devices by the telephone lin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게이트웨이는 인터넷상의 웹서버로부터 TCP/IP 프로토콜의 패킷명령을 받아 내부의 명령으로 당해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기기로부터 모니터링되는 정보를 다시 인터넷상의 TCP/IP 로 변환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댁내 자동화 제어방법.The gateway receives a packet command of the TCP / IP protocol from a web server on the Internet and transmits the packet command to the device as an internal command, and converts the monitored information back to TCP / IP on the Internet. Home automation control method us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동작명령을 수신받은 해당기기는 동작을 수행한 후 처리결과에 대한 이벤트를 게이트웨이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당해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댁내 자동화 제어방법.The corresponding device receiving the operation command further includes a step of confirming the result by the user by transmitting an event for the processing result to the gateway after performing the opera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모니터링되는 정보로는 외부로부터의 전화연락, 도난, 화재, 출입관리, 가전제품의 원격조작, 긴급상황발생시의 경보발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댁내 자동화 제어방법.The monitored information includes a telephone call from the outside, theft, fire, access control, remote control of home appliances, alarming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사용자의 접속요청에 대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식별하여 정당한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사용자의 댁내 각종 기기의 동작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 시켜주는 웹서버와,A web server that displays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various devices in the user's home, if the user is identified as a legitimate user by identifying the legitimate user. 전기 웹서버와 댁내 게이트웨이를 연결하는 외부통신망과,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the electric web server and the in-house gateway, 상기 외부통신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로부터 TCP/IP 프로토콜의 패킷명령을 받아 내부의 명령으로 전화선을 매개하여 해당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기기로부터 모니터링되는 정보를 다시 인터넷상의 TCP/IP 로 변환하여 웹서버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와,Receives the packet command of the TCP / IP protocol from the web server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it to the corresponding device through a telephone line with an internal command, and converts the information monitored by the device into TCP / IP on the Internet again. The gateway to pass to 상기 게이트웨이와 내부통신망으로 전화선을 매개하여 연결되어진 각종 기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가정자동화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various devices connected via a telephone line to the gateway and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KR1020000008861A 2000-02-23 2000-02-23 Development of Home Automa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HomePNA on the Internet KR100357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861A KR100357045B1 (en) 2000-02-23 2000-02-23 Development of Home Automa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HomePNA on the Inter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861A KR100357045B1 (en) 2000-02-23 2000-02-23 Development of Home Automa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HomePNA on the Inter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084A KR20010084084A (en) 2001-09-06
KR100357045B1 true KR100357045B1 (en) 2002-10-19

Family

ID=1964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861A KR100357045B1 (en) 2000-02-23 2000-02-23 Development of Home Automa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HomePNA on the Inter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045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3692A1 (en) * 2002-02-28 2003-09-04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standards in the same
WO2003073694A1 (en) * 2002-02-28 2003-09-04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WO2003079610A1 (en) * 2002-03-20 2003-09-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firming connection state of a home appliance in home network system
KR100429617B1 (en) * 2001-05-14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Appliance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505218B1 (en) * 2001-07-20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Checking Method of Home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KR101041320B1 (en) 2004-02-02 2011-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otocol for event driven messaging of home network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166B1 (en) * 2000-06-05 200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network connection apparar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20006815A (en) * 2000-07-13 2002-01-26 윤종용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a household appliances
KR100382486B1 (en) * 2000-10-10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of home automation system
KR20020076806A (en) * 2001-03-30 2002-10-11 (주) 오픈웹정보통신 Internet server system for home automation
KR100435991B1 (en) * 2001-05-11 2004-06-12 (주)솔다정보기술 home automation system
KR100412041B1 (en) * 2002-01-04 200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Gateway and method for executing security protocol function
KR20020024077A (en) * 2002-01-24 2002-03-29 장길주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controlling devices those are in a home using dynamic ip address allcocation,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hich records program for the accessing/ controlling devices those are in a home using dynamic ip address allcocation
KR100461593B1 (en) * 2002-03-08 2004-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system providing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service via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0465701B1 (en) * 2002-07-11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with an Database Manager Module and Connecting Method for the same
KR100465700B1 (en) * 2002-07-11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with Data Synchronization and Networking Method for the Same
KR100596754B1 (en) 2004-01-19 200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ecurity confirmation system and its method
KR100776684B1 (en) * 2006-08-30 2007-11-16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Home network system and home network service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244A (en) * 1998-06-26 2000-01-15 민기철 Remote home automatization system using intern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244A (en) * 1998-06-26 2000-01-15 민기철 Remote home automatization system using internet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617B1 (en) * 2001-05-14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Appliance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505218B1 (en) * 2001-07-20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Checking Method of Home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WO2003073692A1 (en) * 2002-02-28 2003-09-04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standards in the same
WO2003073694A1 (en) * 2002-02-28 2003-09-04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GB2392356A (en) * 2002-02-28 2004-02-25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standards in the same
GB2393620A (en) * 2002-02-28 2004-03-31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GB2392356B (en) * 2002-02-28 2005-05-04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standards in the same
US7082341B2 (en) 2002-02-28 2006-07-25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standards in the same
US7383036B2 (en) 2002-02-28 2008-06-03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WO2003079610A1 (en) * 2002-03-20 2003-09-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firming connection state of a home appliance in home network system
US7917663B2 (en) 2002-03-20 2011-03-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firming connection state of a home appliance in home network system
KR101041320B1 (en) 2004-02-02 2011-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otocol for event driven messaging of home network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084A (en)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7045B1 (en) Development of Home Automa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HomePNA on the Internet
CN100461725C (en) Internet-based home automation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566939B1 (en) Media streaming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Bergstrom et al. Making home automation communications secure
KR100407051B1 (en) Home network system
AU2002248061B2 (en) Home network system
JP3640665B1 (en) Hom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424297B1 (en) Home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US20050076150A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2094543A (en) Mobile information device, mobile information device access device, home network system, and access method to the home network
WO2008023934A1 (en) Outdoor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 device
KR100777811B1 (en) home network control system of long distance computer power supply using home gateway
JP2002232970A (en) Remote control method for device to be controlled and remote control system
EP1570576B1 (en) Method for setting home code of home network system
JP2002252882A (en) Remote control system
KR100600747B1 (en) Home-network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30070302A (en)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JP2004236215A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domestic equipment
JP3760372B2 (en) Hom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ing communication network
JP2004229148A (en) Remote control system
KR100559043B1 (en) Mobile home network system
KR20020013030A (en) Method for after service using home network
KR100565495B1 (en)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JP4016883B2 (en) Remote control system
KR20060003679A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