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178B1 -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선 및 탄화철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선 및 탄화철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178B1
KR100356178B1 KR1020000049036A KR20000049036A KR100356178B1 KR 100356178 B1 KR100356178 B1 KR 100356178B1 KR 1020000049036 A KR1020000049036 A KR 1020000049036A KR 20000049036 A KR20000049036 A KR 20000049036A KR 100356178 B1 KR100356178 B1 KR 100356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gas
iron carbide
reactor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5900A (ko
Inventor
정선광
최낙준
김행구
강흥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49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178B1/ko
Publication of KR20020015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004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in a continuous way by reduction from 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90Carbides
    • C01B32/914Carbides of singl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예열로(40), 예비환원로(30) 및 최종환원로(20)에서 비산되는 미분광을 포집할수 있도록 상기 제 1,2 및 3가스도관(22)(32)(42)에 각각 설치되는 제 1,2 및 3사이클론(26)(36)(46); 상기 제 1사이클론(26)에서 포집된 미분환원철을 최종환원로(20) 또는 탄화철반응로(80)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삼방변(28); 상기 수집진기(50)를 거쳐 배기되는 배가스에 함유된 수분 및 CO2가스를 제거하는 제거기(53)를 갖추고, 수분 및 CO2가스가 제거된 배가스를 가압하는 가압기(70)를 갖추며, 가압된 배가스를 천연가스와 혼합하여 개질된 배가스를 가열하는 가열기(72)를 갖추고, 상기 탄화철반응로(80)에는 개질가스에 의해서 미분환원철을 탄화반응하여 제조한 탄화철을 외부로 배출하는 탄화철배출관(83)을 갖추는 한편, 상기 탄화철반응로(80)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에 함유된 분진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습식제진기(85)를 갖추어 탄화철을 제조하는 탄화반응부(90);를 포함하는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철 및 탄화철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선 및 탄화철 제조장치{APPARATUS FOR MAKING IRON MELT AND IRON CARBIDE USING SEVERAL FLUIDIZED BED REACTORS}
본 발명은 입도범위가 넓은 분철광석을 다단계의 유동층 반응로와 용융가스화로 및 탄화철 반응로로 구성된 용융환원 및 탄화철 제조공정에 있어서 환원반응과 탄화반응을 각각 다른 반응로에서 실행하여 용선과 탄화철을 동시에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다단계로 이루어진 유동층 반응로에서 철광석은 상부의 광석장입빈에서 예열로, 예비환원로 및 최종환원로로 연결된 광석도관을 통하여 용융가스화로 최종장입되는 공정에서 각 반응기의 측벽으로 차례로 장입 및 배출되는 반면에 환원가스는 용융가스화로에서 발생되어 최종환원로, 예비환원로 및 예열로로 연결된 가스도관을 통하여 각 반응로의 하부로 공급되어 분산판을 통과하면서 장입된 광석과 상호교류하면서 환원반응을 연속적으로 진행시킨후 최종 환원생성물인 환원철을 생산하고, 이를 용융가스화로로 장입하여 용선을 제조함과 동시에 최종환원로에서 비산되는 환원철을 사이클론으로 포집하여 순환시키지 않고 탄화철 반응로로 장입하여 유동환원공정의 배가스를 개질한 가스를 도입하여 이미 환원된 미분철을 탄화반응시켜 탄화철을 제조하는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선 및 탄화철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철생산설비의 대종을 이루고 있는 고로법은 그 반응기 특성상 일정수준이상의 강도 및 로내통기성을 확보할수 있는 입도를 가지는 원료로 한정되는바, 연료 및 환원제로 사용되는 탄소원으로서는 특정원료탄을 가공한 코크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철원으로써는 전처리공정인 소결 및 펠레타이징등의 괴성화공정을 거친 소결광 또는 펠렛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의 고로법은 원료탄인 코크스제조설비, 광석의 괴성화를 위한 소결설비, 펠레타이징설비등의 원료 예비처리설비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며,이러한 부대설비구축에 필요한 제비용 및 상기 부대설비에서 발생하는 제반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전세계적인 규제를 극복하기 위한 막대한 환경오염방지설비에 대한 막대한 투자비용등에 의해 현행 고로법의 경쟁력은 급속히 잠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고로법의 문제를 극복하고, 분철광석과 일반탄의 사전처리없이 직접사용하는 새로운 용선제조방법으로 근래에 용융환원법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미국특허 제 4,978,378호를 들 수 있다. 상기 미국특허 제 4,978,378호에 제시된 방법은, 원철광석과 일반탄을 직접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고로법과 비교하여 소결공정 및 코킹공정등 원료의 전처리가 생략되어 공정 및 설비의 단순화를 달성할수 있었다. 상기 공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입된 석탄의 가스화에 의한 환원가스제조와 환원철의 용융을 담당하는 용융가스화로(10)와, 상기 용융가스화로(10)에서 발생한 환원가스를 사용하여 철광석을 간접환원시킬 수 있도록 철광석이 항상 일정량 저장된 장입빈(60)과, 분산판(24,34,44)이 각각 내장된 예열로(40), 예비환원로(30) 및 최종환원로(20)로 이루어진 3단의 유동반응로(100)로 구성되며, 그 부대시설로는 광석흐름이 이루어지는 제 1,2,3광석도관(23,33,43)과 광석장입관(63)을 갖추며, 환원가스흐름이 이루어지는 상승관(11)과 제 1,2,3가스도관(22,32,42)을 갖추며 수집진기(50), 배가스관(51)을 갖추어 구성한다.
또한, 최근 환경규제의 강화로 전세계 철강생산량에서 스크랩을 리사이클링하여 전기로에서 생산되는 비율이 날로 증가하여 이를 위한 스크랩부족과 가격상승의 압박이 심해지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크랩 대체물인 탄화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예가 미국특허 제 5,137,566호를 들수 있다. 상기 미국특허 제 5,137,566호에 제시된 방법은 다수의 반응단계막으로 구분된 반응로에 예열된 분철광석을 장입하고, 예열 및 재순환가스의 개질이 가능한 가스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반응가스를 공급하여 반응기내의 철광석을 유동시키면서 환원 및 탄화반응을 동시에 실시하는 공정 및 장치이다.
이러한 예비환원공정은 철광석과 환원가스의 접촉상태에 따라 이동층 및 유동층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입도분포가 넓은 철광석은 예비환원로에 장입하고, 환원가스는 하부의 분산판을 통하여 보내어 철광석을 유동시키면서 환원하는 유동층식이 이러한 분철광석을 환원하는 적절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두가지의 반응공정중 전술한 유동환원공정을 이용하여 용선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생산된 미분환원철을 용융가스화로(10)에 장입하는 단계에서 다량의 미분을 함유하므로 이는 장입중 용융가스화로(10)에서 비산되어 용융가스화로(10)에서 생성된 환원가스에 함유된채 상승관(11)을 통해 상단의 유동반응로에 공급되고, 이는 유동반응로에 설치되는 각 분산판(24,34,44)의 막힘을 가속화하여 전체조업에 막대한 어려움을 유발시킬 수 있다.
후술한 탄화철 제조공정에서 철광석의 환원과 탄화반응을 동시에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조건이 다소 상이하여 체류시간이 길어지는등 조업상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그목적은 용융가스화로에서 상승되는 미분환원철을 제거하여 환원가스내 미분함량을 감소하고, 탄화철을 제조하기 위한 환원과 탄소반응을 분리하여 실행함으로서 효과적인 탄화철 제조가 용이하여 용선제조와 탄화철제조공정의 조업 및 작업안전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생산품목을 획득할 수 있는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선 및 탄화철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용철제조설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철 및 탄화철 제조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융가스화로 11 .... 상승관
20 .... 최종환원로 30 .... 예비환원로
40 .... 예열로 28 .... 삼방변
26,36,46 ... 제 1,2 및 3사이클론
53 ... 제거기 70 .... 가압기
72 .... 가열기 80 .... 탄화철반응로
85 .... 습식제진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예열로, 예비환원로 및 최종환원로로 이루어진 3단 유동반응로와 융융가스화로를 갖추고, 광석을 공급하는 광석장입관 제 1,2 및 3 광석도관과 환원가스를 공급하는 상승관, 제 1,2 및 3 가스도관을 갖추는 한편, 수집진기, 배가스관을 갖추어 용철을 제조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예열로, 예비환원로 및 최종환원로에서 비산되는 미분광을 포집할수 있도록 상기 제 1,2 및 3가스도관에 각각 설치되는 제 1,2 및 3사이클론;
상기 제 1사이클론에서 포집된 미분환원철을 최종환원로 또는 탄화철반응로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삼방변;
상기 수집진기를 거쳐 배기되는 배가스에 함유된 수분 및 CO2가스를 제거하는 제거기를 갖추고, 수분 및 CO2가스가 제거된 배가스를 가압하는 가압기를 갖추며, 가압된 배가스를 천연가스와 혼합하여 개질된 배가스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갖추고, 상기 탄화철반응로에는 개질가스에 의해서 미분환원철을 탄화반응하여 제조한 탄화철을 외부로 배출하는 탄화철배출관을 갖추는 한편, 상기 탄화철반응로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에 함유된 분진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습식제진기를 갖추어 탄화철을 제조하는 탄화반응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철 및 탄화철 제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철 및 탄화철 제조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장치(1)는 장입빈(60)에 저장된 광석이 예열로(40), 예비환원로(30) 및 최종환원로(20)를 통하여 차례로 장입, 배출되는 분철광석을 용융가스화로(10)에서 발생되어 최종환원로(20), 예비환원로(30) 및 예열로(40)순으로 상승공급되는 환원가스에 의해 환원반응되는 유동환원공정으로서 용철을 제조함과 동시에, 상기 최종환원로(20)에서 환원가스와 더불어 비산되는 미분환원철을 제 1사이클론(26)에서 포집하고 그 하부에 제 1배출관(25) 설치된 삼방변(28)을 조절하여, 이를 탄화철 반응로(80)에서 탄화반응시켜 탄화철을 제조하는 탄화반응부(9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제 1,2 및 3사이클론(26),(36),(46)은 상기 최종환원로(20), 예비환원로(30) 및 예열로(40)에서 각 반응로의 하부로 공급되어 각 분산판(24),(34),(44)을 통과하는 환원가스와 더불어 상승되어 상단 반응로로 유입되는 미분을 포집할 수 있도록 환원가스가 통과하는 각 제 1,2 및 3가스도관(22),(32),(42)의 길이중간에 각각 장착되며, 그 각 외부면에는 포집된 미분환원철을 최종환원로(20), 예비환원로(30) 및 예열로(40)측으로 배출하여 순환공급할 수 있도록 제 1,2 및 3배출관(25)(35)(45)을 갖추어 구성한다.
그리고, 환원율이 높은 미분환원철이 포집되는 상기 제 1사이클론(26)의 제 1배출관(25)의 단부에는 삼방변(28)이 갖추어지는바, 이러한 삼방변(28)은 상기 최종환원로(20)와 용융가스화로(10)사이의 제 1광석도관(23)에서 채취한 광석의 환원율에 따라 상기 제 1사이클론(26)내에 포집된 미분환원철을 상기 최종환원로(20)측으로 또는 탄화철반응로(80)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할수 있도록 제 1,2장입관(29)(86)을 각각 상기 최종환원로(20)와 탄화철반응로(80)에 연결구성한다.
한편, 상기 3단 유동반응로에서의 용융환원공정이 안정화될 때 미분환원철을 공급받아 이를 탄화철로 제조하는 탄화반응부(90)는 환원공정을 마친후 수집진기(50)를 통과한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가스관(51)에 관부재인 재순환관(52)을 매개로 제거기(53)를 연통설치하며, 이러한 제거기(53)는 상기 수집진기(50)를 거쳐 배기되는 배가스에 함유된 수분 및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산화성가스를 제거하는 설비이다.
그리고, 상기 제거기(53)에는 이를 통과하면서 수분 및 CO2가스가 제거된 배가스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할수 있도록 가압기(70)가 가스관(54)을 매개로 하여 연통설치하며, 상기 가압기(70)에서 가압된 배가스는 가스관(74)을 통하여 가열기(72)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가스관(74)의 길이중간에는 가압된 배가스를 천연가스와 혼합하여 개질가스로 개질할 수 있도록 천연가스가 공급되는 천연가스공급관(75)이 연결구성되며, 상기 가스관(74)의 단부에는 개질된 배가스를 일정온도이상으로 가열할수 있도록 가열기(72)를 갖추어 구성한다. 이때, 상기 가열기(72)에는 공기공급관(76)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공기와 가압된 배가스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버너(미도시)를 갖추어 열원을 제공한다.
그리고, 미분환원철이 공급되는 탄화철반응로(80)와 상기 가열기(72)사이는 개질가스도관(73)을 매개로 연통설치됨에 따라 상기 탄화철반응로(80)의 하부측으로 개질된 배가스가 통입되어 분산판(84)을 통해 균일하게 공급되면 상부의 미분환원철을 유동시키면서 탄화반응을 수행한다. 이러한 탄화철반응로(80)의 측벽에는 탄화반응되어 탄화철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탄화철배출관(83)을 갖추어 구성한다.
또한, 상기 탄화철반응로(80) 내부에는 비산된 탄화철을 포집하여 재순환시키는 내부 사이클론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배가스에 함유된 분진을 제거할수 있도록 가스배기관(81)을 매개로 습식제진기(85)를 갖추며, 상기 습진제진기(85)에는 분진을 제거한 배가스를 상기 제거기(53)로 재순환시키거나 대기로 배출할수 있도록 상기 제거기(53)와 연통연결되는 제 1배기관(82)과 상기 배가스관(51)과 연통연결되는 제 2배기관(87)을 각각 갖추어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광석은 장입빈(60)으로부터 광석장입관(63)을 통하여 예열로(40), 예비환원로(30) 및 최종환원로(20)를 거치면서 유동환원되어 용철을 제조할 수 있도록 용융가스화로(10)내로 장입되는 반면에, 상기 용융가스화로(10)에서 생성된 환원가스는 상승관(11)을 통하여 최종환원로(20), 예비환원로(30) 및 예열로(40)하부로 통입되어 각 반응로의 제 1,2 및 3분산판(24,34,44)을 통하여 유동층으로 공급되는 일련의 용융환원공정이 이루어지면, 3단 유동반응로에서 환원공정을 마치고 예열로(40)의 상부로 배기되는 배가스는 수집진기(50)를 거친 다음 배가스관(51) 및 스택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이러한 용융환원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예열로(40), 예비환원로(30) 및 최종환원로(20)의 각 하부로부터 통입되어 제 1,2 및 3분산판(24,34,44)을 거쳐 유동층을 형성하도록 균일하게 공급되는 환원가스와 더불어 상승비산되는 미분환원철은 제 1,2 및 3가스도관(22),(32),(42)에 설치된 제 1,2 및 3사이클론(26)(36)(46)에 포집된 다음 해당하는 각 예열로(40), 예비환원로(30) 및 최종환원로(20)측으로 순환공급된다.
즉, 유동반응로(100)설비가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 까지는 상기 제 1사이클론(26)의 배출관(25)에 설치된 삼방변(28)은 최종환원로(20)에 연결된 제 1장입관(29)의 유로를 개방하여 포집된 미분환원철을 상기 최종환원로(20)측으로 순환공급하지만, 상기 최종환원로(20)와 용융가스화로(10)사이를 연결하는 제 1광석도관(23)에서 채취한 분광의 환원률이 80 내지 85%에 이르러 용용환원공정이 안정됨이 확인되면, 상기 삼방변(28)은 상기 제 1장입관(29)을 통한 유로를 차단하고, 탄화철반응로(80)와 연결된 제 2장입관(86)의 유로를 개방함으로서 상기 제 1사이클론(26)에서 포집된 미분환원철을 상기 탄화철반응로(80)측으로 장입하기 시작한다.
한편, 상기 배가스관(51)을 통해 배출되는 배가스중 일부는 재순환관(52)을 통해 제거기(53)로 유입되면서 수분 및 이산화탄소와 같은 산화성가스가 제거되고, 연속하여 가압기(70)내로 공급되어 상기 탄화철반응로(80)내로 공급될수 있을 정도의 압력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가압된 배가스는 가열기(72)내로 공급되기 전에 천연가스공급관(75)을 통해 공급되는 천연가스와 일정비율로 혼합되면서 미분환원철을 탄화반응시켜 탄화철을 제조할수 있도록 가압된 배가스의 성분을 개질화하고, 개질화된 배가스는 가열기(72)내에서 탄화철반응로 내부에서 탄화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고온인 600 내지 650℃의 온도로 가열된다. 이때, 상기 가열기(72)의 열원은 개질화되기 전의 가압된 배가스의 일부를 공기로 연소하여 제공한다.
연속하여, 가압되고, 개질된후 고온으로 가열된 배가스는 개질가스도관(73)을 통하여 상기 탄환철반응로(80)하부로 통입되어 그 내부에 설치된 분산판(84)을 통하여 균일하게 공급됨으로서 장입된 미분환원철을 유동시키면서 탄화반응을 수행하여 탄화철을 제조하고, 제조된 탄화철은 탄화철배출관(83)을 통하여 필요개소로 배출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탄화철반응로(80)에서 탄화반응을 마치고 내부사이클론을 거쳐 상부로 배출되는 배가스는 가스배기관(81)에 설치된 습진제진기(85)를 거치면서 미분이 제거되고, 그 중 일부는 탄화반응용 가스로 재사용할수 있도록 제 1배기관(82)을 통하여 재순환관(52)측으로 순환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배가스관(51)에 연통설치된 제 2배기관(87)을 거쳐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실시예>
1) 설비사양 및 조건
가. 예열로, 예비환원로, 최종환원로
- 축소부(분산판)내경 : 0.3m
- 확대부내경: 0.7m
- 원추형 하부각도 : 4°
- 경사부 높이(분산판표면에서) :4.0m
- 원통형 상부높이 : 2.5m
- 분산판 하부높이 : 3.0m
나. 탄화철반응로
- 축소부(분산판) 내경 : 0.5
- 확대부 내경 : 1.0m
- 원추형 하부각도 : 4°
- 경사부 높이(분산판 표면에서) : 3.6m
- 원통형 상부높이 : 2.5m
- 분산판 하부깊이 : 3.0m
2) 원료
가. 분철광석(-8mm)
- 화학조성 : T.Fe:62.17% , FeO:0.51% , SiO2:5.5%, TiO2:0.11%, Mn:0.05%,S:0.012%, P:0.65%, 결정수:2.32%
- 입도분포 : -0.05mm : 4.6%, 0.05 내지 0.15mm : 5.4%, 0.15 내지 0.5mm : 16.8%, 0.5 내지 4.75mm : 59.4%, 4.75 내지 8mm : 13.8%
나. 환원가스
- 화학조성 : CO:65%, H2: 25%, CO2:5%, N2:5%
- 유동층내 온도 : 최종환원로(850℃), 예비환원로(770℃), 예열로(680℃)
- 유속 : 1.3 내지 1.5m/s(분산판)
- 압력 : 2.5 내지 3.0bar,g
다. 개질가스
- 화학조성 : CO:10%, CO2:1%, CH4:45%, H2:35%, N2:8%, H2O:1%
- 탄화철반응로내 온도 : 600℃
- 유속 : 0.3 내지 0.5m/s(분산판)
- 압력 : 2.0 내지 2.5bar,g
상기와 같은 설비 및 실험조건으로 실험결과 용선제조시 용융가스화로내로 분환원철의 장입시 미분의 비산이 억제되어 환원가스내 미분함유량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유동환원설비에서 가장 조업의 결정적인 요인인 분산판의 막힘에 따른 차압의 증가속도는 훨씬 감소되어 전체적으로 용융환원설비의 조업에 안정화와 장기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탄화철은 이미 환원반응이 거의 완료된 미분환원철을 탄화반응만으로 제조됨으로서 제조공정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져 결국에는 용선 및 탄화철제조가 동시에 가능해지며, 양 생산품의 제조가 원할하게 이루어질수 있다.
이때, 최종환원로(20)의 제 1사이클론(26)에서 포집된 미분환원철의 환원율은 약 85 내지 90%에 이르며, 그 입자크기는 최대 120㎛이하로 평균입도 45㎛이었다. 또한 생산된 탄화철은 금속화율 90%이상이며, 탄소함유량 5 내지 6% 임에 따라 생산된 용선은 물론 탄화철은 제강공정에서 용선 및 스크랩부족시 대체제로 사용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일련의 조업과정중 최종환원로에서 비산되어 제 1사이클론에서 포집된 미분환원철이 용융환원반응이 정상화될 때 절환작동되는 삼방변에 의해서 탄화반응로에 선택 공급되면, 상기 최종환원로에서 배출되어 용융가스화로로 장입되는 환원철중 미분량은 급감하여 상기 용융가스화로에서 발생하는 환원가스와 더불어 상승비산되어 환원가스에 함유되는 미분량또한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3단 유동반응로에서의 환원가스중 더스트에 의한 분산판의 막힘현상을 크게 저하시킬수 있고, 이로 인하여 유동환원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미 환원된 미분환원철을 탄화철반응로에 공급하여 추가적으로 탄화반응만을 진행시켜 탄화철제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예열로(40), 예비환원로(30) 및 최종환원로(20)로 이루어진 3단 유동반응로(10)와 융융가스화로(10)를 갖추고, 광석을 공급하는 광석장입관(63) 제 1,2 및 3광석도관(23)(33)(43)과 환원가스를 공급하는 상승관(11), 제 1,2 및 3가스도관(22)(32)(42)을 갖추는 한편, 수집진기(50), 배가스관(51)을 갖추어 용철을 제조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예열로(40), 예비환원로(30) 및 최종환원로(20)에서 비산되는 미분광을 포집할수 있도록 상기 제 1,2 및 3가스도관(22)(32)(42)에 각각 설치되는 제 1,2 및 3사이클론(26)(36)(46);
    상기 제 1사이클론(26)에서 포집된 미분환원철을 최종환원로(20) 또는 탄화철반응로(80)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삼방변(28);
    상기 수집진기(50)를 거쳐 배기되는 배가스에 함유된 수분 및 CO2가스를 제거하는 제거기(53)를 갖추고, 수분 및 CO2가스가 제거된 배가스를 가압하는 가압기(70)를 갖추며, 가압된 배가스를 천연가스와 혼합하여 개질된 배가스를 가열하는 가열기(72)를 갖추고, 상기 탄화철반응로(80)에는 개질가스에 의해서 미분환원철을 탄화반응하여 제조한 탄화철을 외부로 배출하는 탄화철배출관(83)을 갖추는 한편, 상기 탄화철반응로(80)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에 함유된 분진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습식제진기(85)를 갖추어 탄화철을 제조하는 탄화반응부(90);를 포함함을특징으로 하는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철 및 탄화철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변(28)은 상기 최종환원로(20)와 용융가스화로(10)사이를 연결하는 제 1광석도관(23)에서 채취한 분광의 환원률이 80 내지 85%에 이르러 용용환원공정이 안정될때 상기 최종환원로(20)에 연결된 제 1장입관(29)을 통한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탄화철반응로(80)에 연결된 제 2장입관(86)의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제 1사이클론(26)에서 포집된 미분환원철을 상기 탄화철반응로(80)측으로 장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철 및 탄화철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진제진기(85)에는 분진을 제거한 배가스를 상기 제거기(53)로 재순환시키거나 대기로 배출할수 있도록 상기 제거기(53)와 연통연결되는 제 1배기관(82)과 상기 배가스관(51)과 연통연결되는 제 2배기관(87)을 각각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철 및 탄화철 제조장치.
KR1020000049036A 2000-08-23 2000-08-23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선 및 탄화철 제조장치 KR100356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036A KR100356178B1 (ko) 2000-08-23 2000-08-23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선 및 탄화철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036A KR100356178B1 (ko) 2000-08-23 2000-08-23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선 및 탄화철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900A KR20020015900A (ko) 2002-03-02
KR100356178B1 true KR100356178B1 (ko) 2002-10-18

Family

ID=1968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036A KR100356178B1 (ko) 2000-08-23 2000-08-23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선 및 탄화철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631A1 (ko) * 2018-07-27 2020-01-30 주식회사 포스코 용철 제조 방법 및 용철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369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포스코 탄화철의 제조방법
KR20240018206A (ko) * 2022-08-02 2024-02-13 주식회사 포스코 용철 제조 설비 및 용철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414A (ja) * 1995-07-25 1997-02-10 Kawasaki Heavy Ind Ltd アイアンカーバイド製造プロセス
JPH11222616A (ja) * 1998-02-06 1999-08-17 Kawasaki Heavy Ind Ltd 還元鉄または鉄カーバイドの製造装置
JP2000186890A (ja) * 1998-12-17 2000-07-04 Qualitech Steel Corp 還元鉄または鉄カーバイド製造用散気管式多室分割型流動層炉
KR100317661B1 (ko) * 1998-04-06 2002-04-24 더블유.더블유.베이커 탄화철제조를위한유동베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414A (ja) * 1995-07-25 1997-02-10 Kawasaki Heavy Ind Ltd アイアンカーバイド製造プロセス
JPH11222616A (ja) * 1998-02-06 1999-08-17 Kawasaki Heavy Ind Ltd 還元鉄または鉄カーバイドの製造装置
KR100317661B1 (ko) * 1998-04-06 2002-04-24 더블유.더블유.베이커 탄화철제조를위한유동베드방법
JP2000186890A (ja) * 1998-12-17 2000-07-04 Qualitech Steel Corp 還元鉄または鉄カーバイド製造用散気管式多室分割型流動層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631A1 (ko) * 2018-07-27 2020-01-30 주식회사 포스코 용철 제조 방법 및 용철 제조 장치
KR20200012555A (ko) *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포스코 용철 제조 방법 및 용철 제조 장치
KR102161597B1 (ko) * 2018-07-27 2020-10-05 주식회사 포스코 용철 제조 방법 및 용철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900A (ko) 200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695B1 (ko) 용융선철 및 용융강 예비생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A1050765A (en) Method for making steel
US4874427A (en) Methods for melting and refining a powdery ore containing metal oxides
US4045214A (en) Method for producing steel
KR101663343B1 (ko) 환원 가스와 함께 주철 또는 세미 스틸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KR100584745B1 (ko) 일반탄 및 분철광석을 이용한 용철제조공정에 있어서함철더스트 및 슬러지 재활용 장치 및 방법
EP2350324B1 (en) Method for operating a blast furnace
CN109306407B (zh) 一种冶金含锌除尘灰治理及利用的装置和方法
KR100243930B1 (ko) 선철 및 해면철의 제조를 위한 플랜트 및 방법
KR850001644B1 (ko) 코우크스로게스를 이용한 철의 직접 환원 장치
CA1149175A (en) Recovery of steel from high phosphorous iron ores
CN101688258B (zh) 制备在金属制造方法中使用的还原剂的方法和设备、使用所述设备的金属制造方法和金属制造装置
SK53394A3 (en) Method of production of waste or recidues matters containing iron
KR100711776B1 (ko) 용철 제조 장치
SK15682002A3 (sk) Spôsob a zariadenie na výrobu surového železa alebo tekutých oceľových polotovarov zo vsádzok obsahujúcich železnú rudu
KR100356178B1 (ko) 유동반응로를 이용한 용선 및 탄화철 제조장치
US5066325A (en) Cogenerat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energy and iron materials, including steel
KR100797828B1 (ko) 펠렛 제조 장치 및 펠렛 제조 방법
US5069716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steel from iron containing metal oxides
KR100840265B1 (ko) 분철 저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철 제조 장치
RU2143007C1 (ru) Двухступенчатая печь с псевдоожиженным слоем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тонкоизмельченной железной руды и способ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тонкоизмельченной железной руды при использовании печи
CN214327826U (zh) 一种冶金含锌灰悬态熔融还原回收氧化锌的治理及利用装置
KR101607254B1 (ko) 복합 용철 제조 장치
KR102091122B1 (ko) 용철 제조 장치 및 용철 제조 방법
SK2022001A3 (en) Method for the thermal processing of residues containing heavy metals and iron ox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