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611B1 -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611B1
KR100349611B1 KR1020000026730A KR20000026730A KR100349611B1 KR 100349611 B1 KR100349611 B1 KR 100349611B1 KR 1020000026730 A KR1020000026730 A KR 1020000026730A KR 20000026730 A KR20000026730 A KR 20000026730A KR 100349611 B1 KR100349611 B1 KR 100349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ilver
carrier
solution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046A (ko
Inventor
이재의
Original Assignee
(주)대동 에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동 에이씨 filed Critical (주)대동 에이씨
Priority to KR102000002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611B1/ko
Publication of KR20010105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611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제조 방법은 담체에 염소 염과 알콜을 가하고, 상기 담체, 염소 염 및 알콜의 혼합물에 은 염과 알콜을 가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담체에 은을 불용성인 AgCl 형태로 담지시킴에 따라, 이 정수제로 물을 정수할 때 은이 물에 거의 용출되지 않으면서, 은의 살균 효과로 인해 물의 정수 효과가 매우 크다.

Description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METHOD OF PREPARING WATER-PURIFYING AGENT SUPPORTED WITH SILVER}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세균의 증식 억제력 및 살균의 효과를 가진 은이 용출되지 않도록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현대에는 산업 발달에 따른 문명 혜택과 상반하여 환경 오염이라는 심각한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수질 오염으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수돗물의 음용을 기피하여 수돗물을 끓여먹거나, 또는 수돗물 대신에 지하수, 시판 생수 또는 일반 수돗물이나 지하수 또는 샘물을 정수기로 정수하여 음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정수기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정수기는 정수 방식에 따라 흡착 여과식 정수기, 자연 여과식 정수기, 역삼투압 정수기, 이온수기 또는 중공사막 방식 정수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흡착 여과식 정수기는 정수제로 활성탄을 사용하는 정수제로서, 활성탄의 강력한 흡착 성능을 이용하여 수중 염소 성분과 유기 물질을 제거하지만, 세균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 흡착 여과식 정수기는 정수기를 통과시 염소 제거로 인하여 여과수가 살균력을 잃어버리므로 장기간의 보관이 어렵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흡착 여과식 정수기에서 사용되는 활성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활성탄에 은을 담지시키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종래 활성탄에 은을 담지시키는 방법은 은 아세테이트 수용액에 담체인 활성탄을 침적하던가, 활성탄에 은 아세테이트 수용액을 첨가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균의 증식 억제력 및 살균의 효과를 가진 은을 효과적으로 담지시킬 수 있는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과 후에도 살균력을 보유할 수 있어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물을 여과할 수 있으며, 은의 용출량이 매우 작아 인체에 무해하도록 은을 담지시킬 수 있는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와 11 및 비교예 26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수제를 이용한 통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과 12 및 비교예 27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수제를 이용한 통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와 7 및 비교예 25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수제를 이용한 통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표준 은 용액(AgNO3)과 대조군인 증류수의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한 배지 사진.
도 5는 표준 은 용액(AgNO3)과 대조군인 증류수의 녹농균(Pseudomonas aeruhinosa)에 대한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한 배지 사진.
도 6은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5의 방법으로 제조된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 정수제의 통수전 한천 플레이트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배지 사진.
도 7은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10의 방법으로 제조된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 정수제의 통수 후 한천 플레이트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배지 사진.
도 8은 녹농균(Pseudomonas aeruhinosa)에 대한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0의 방법으로 제조된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 정수제의 통수 전 한천 플레이트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배지 사진.
도 9는 녹농균(Pseudomonas aeruhinosa)에 대한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예 25의 방법으로 제조된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의 통수 전 한천 플레이트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배지 사진.
도 10은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5(통수 전), 실시예 10(통수 전과 후) 및 비교예 5의 증류수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담체인 활성탄에 염소 염 알콜 수용액을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생성물에 은 염과 알콜 수용액을 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담체인 코랄 샌드에 염소 염 수용액을 가하고; 상기 혼합물에 은 염 수용액을 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담체로 코랄 샌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은 염 수용액을 먼저 가하고, 염소 염 수용액을 가할 수 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은을 효과적으로 담체에 담지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담체로는 활성탄(active carbon) 또는 코랄 샌드(coral sand)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이란 큰 비표면적의 다공질 탄소체로서 강한 흡착력을 갖고 있으며, 농약, 발암 물질, 중금속, 유기 화합물, 냄새, 색소, 잔류 염소 또는 세제 등의 물 속에 오염된 물질을 걸러주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코랄 샌드는 구조 형성성 물질이 풍부한 소재로서 약 알칼리성의 생리학적으로 좋은 물의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활성탄이나 코랄 샌드는 그 자체로도 물의 정수 기능이 우수하나, 세균을 제거하지 못하고, 특히 물에서 염소를 제거함에 따라 물의 살균력이 없어지게 되어 활성탄이나 코랄 샌드로 정수한 물을 장기간 보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활성탄이나 코랄 샌드에 은을 담지시켰다. 은은 세균의 번식 및 발육 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수영장에서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나 일정 농도를 넘게 되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이다. 따라서 은을 단순하게 담체에 담지시키는 경우에는 정수된 물에 과량의 은이 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gCl이 불용성인 점에 착안하여, 은을 AgCl 형태로 담체에 담지시켜, 은이 허용치 이하 또는 거의 용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은의 용출량은 미국 공중 위생국에서 50ppb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이하, 담체로 활성탄을 사용하는 경우와 코랄 샌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구별하여 본 발명의 은 담지 방법을 설명한다.
1) 활성탄을 사용하는 경우
담체인 활성탄을 그대로 사용할 수 도 있으나, 물로 세척하고, 오븐에서 50 내지 150℃로 건조시켜, 활성탄의 미세 기공(pore)의 발달을 돕고 담체의 표면적을 넓혀 활성화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활성탄을 염화 염 알콜 수용액에 가한다. 염화 염 알콜 수용액은 물과 알콜의 혼합 용액에 염화 염을 용해하여 제조한다. 물과 알콜의 혼합 용액은 물 90 내지 70 부피%와 알콜 10 내지 30 부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콜의 사용량이 10 부피%보다 작으면 염화 염이 알콜 수용액에 용해되기 힘들고, 30부피%보다 크면 활성탄에 대한 용매의 친화도가 떨어져서 담지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알콜로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인체에 무해하고, 은 용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 염으로는 NaCl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화 염의 사용량은 담지하고자 하는 은의 양의 1.2 내지 2배가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2 내지 1.5배가 더욱 바람직하다. 염화 염의 사용량이 담지하고자 하는 은의 양의 1.2배보다 작으면 목적하는 형태인 AgCl로의 전환율이 떨어지고(NaCl + AgNO3→ AgCl + NaNO3), 염화 염의 양이 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활성탄 표면에서 AgCl로의 반응이 일어나, AgCl이 활성탄으로부터 떨어지기가 쉬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알콜 수용액을 활성탄의 포화 부피보다 과량으로 사용하는 증류(evaporation) 방법으로 실시할 수 도 있고, 또는 알콜 수용액을 활성탄의 포화 부피만큼만 사용하는 인시피언트 습식 방법(incipient wetness method)으로 실시할 수 도 있다. 증류 방법 및 인시피언트 습식 방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증류 방법은 활성탄에 염화 염 알콜 수용액을 가하여 잘 혼합한 후, 감압 증류하는 방법이며, 인시피언트 습식 방법은 활성탄에 염화 염 알콜 수용액을 가하여 잘 혼합하는 방법이다. 이 공정에 따라, 활성탄의 기공(pore) 내에 염소 이온(Cl-) 이온이 삽입되게 된다.
이어서, 얻어진 활성탄과 염화 염 알콜 수용액의 혼합물을 건조하여, 용매인알콜 수용액을 휘발시켜 염소 이온(Cl-) 이온이 기공 내에 삽입된 담체를 제조한다.
얻어진 염소 이온이 삽입된 활성탄을 흐르는 물로 세척하여 활성탄 표면에 묻은 NaCl만을 제거하는 공정을 더욱 실시할 수 도 있다.
얻어진 염소 이온이 삽입된 활성탄에 은 염 알콜 수용액을 가한다. 상기 은 염으로는 AgNO3또는 Ag 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은 염의 사용량은 출발 물질인 활성탄 중량의 0.1 내지 0.4 중량%이다. 은 염의 사용량이 활성탄 중량의 0.1 중량%보다 작으면 은담지 담체의 항균 효과가 떨어지고, 0.4 중량%보다 크면, 경제적이지 못하며, 정수된 물에 독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때에도, 증류 방법과 인시피언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활성탄의 기공 내에 삽입된 Cl-이온들과 은 염이 반응하여 기공 내에 불용성인 AgCl이 담지된 정수제가 제조된다. 이어서 용매인 알콜 수용액을 휘발시키기 위하여 건조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담지된 AgCl은 불용성이므로, 얻어진 정수제를 이용하여 물을 정수할 경우 AgCl이 정수되는 물 내로 거의 용출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면서, 은의 원래 성질인 세균의 번식 및 발육 억제 효과는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얻어진 정수제를 200 내지 350℃에서 2 내지 3시간 열처리를 더욱 실시할 수 도 있다. 이 열처리 공정에서 반응하지 않고 남은 AgNO3는 AgO로 전환되며, 전환된 AgO는 불용성이므로 통수시 물에 용해되지 않는다. 열처리 온도가 200℃보다 낮으면 AgNO3가 AgO로의 전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350℃보다 높으면,활성탄의 질량이 급격히 감소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열처리 시간이 2시간 보다 작으면, 염의 형태 전환율이 떨어지고, 3시간 보다 길 경우에는 활성탄의 무게가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2) 코랄 샌드를 사용하는 경우
담체인 코랄 샌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도 있으나, 물로 세척하고, 오븐에서 50 내지 150℃로 건조시켜, 코랄 샌드의 미세 기공(pore)의 발달을 돕고 담체의 표면적을 넓혀 활성화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코랄 샌드에 염화 염 수용액을 가한다. 이때, 용매인 물을 코랄 샌드의 포화 부피만큼만 사용하는 인시피언트 습식 방법(incipient wetness method)으로 실시한다. 이 공정에 따라, 코랄 샌드의 기공(pore) 내에 Cl-이온이 삽입되게 된다. 상기 염화 염으로는 NaCl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화 염의 사용량은 담지하고자 하는 은의 양의 1.2 내지 2배가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2 내지 1.5배가 더욱 바람직하다. 염화 염의 사용량이 담지하고자 하는 은의 양의 1.2배보다 작으면 목적하는 형태인 AgCl로의 전환율이 떨어지고(NaCl + AgNO3→ AgCl + NaNO3), 염화 염의 양이 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랄 샌드 표면에서 AgCl로의 반응이 일어나, AgCl이 코랄 샌드로부터 떨어지기가 쉬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얻어진 코랄 샌드와 염화 염 수용액을 잘 혼합한 후, 건조한다. 건조 공정은 용매인 물이 다 제거되도록 실시할 수 도 있고, 일부만 제거되어, 코랄 샌드가젖어있는 상태가 되도록 실시할 수 도 있다.
생성물에 은 염 수용액을 가한다. 이때에도 인시피언트 습식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은 염으로는 AgNO3또는 Ag 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은 염의 사용량은 출발 물질인 코랄 샌드 중량의 0.1 내지 0.4 중량%이다. 은 염의 사용량이 코랄 샌드 중량의 0.1 중량%보다 작으면 은담지 담체의 항균 효과가 떨어지고, 0.4 중량%보다 크면, 경제적이지 못하며, 정수된 물에 독성이 증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코랄 샌드의 기공 내에 삽입된 Cl-이온들과 은 염이 반응하여 기공 내에 불용성인 AgCl이 담지된 정수제가 제조된다. 이어서 용매인 물을 휘발시키기 위하여 건조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얻어진 정수제를 400 내지 600℃에서 2 내지 3시간 열처리를 더욱 실시할 수 도 있다.
코랄 샌드는 표면적이 작고, 기공 부피가 작으므로 염화 염과 은 염의 첨가 순서를 바꾸어서 첨가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4)
1. 은담지 활성탄 정수제
다음 물성을 갖는 담체인 활성탄을 먼저 물로 세척하고 오븐에서 100℃로 건조시켜 미세 기공의 발달을 돕고 활성탄의 표면적을 넓혀 활성화시켰다.
담체의 표면적: 16 ×35 (BET 면적: 846.7㎡/g) 또는 30 ×85 (BET 면적:820.1㎡/g)
담체의 겉보기 포어 부피: 1.2㎖/g
활성화된 담체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은 담지 시료, 용매 및 담지 방법을 사용하여 은을 담지하여 활성탄 정수제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 방법인 Ag 아세테이트 수용액을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 NaCl과 AgNO3및 에탄올을 사용하여 제조한 정수제와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AgNO3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NaCl과 AgNO3및 메탄올을 사용하는 방법도 사용하여, 활성탄 정수제를 제조하였다.
구분 담지시약/용매 담지 방법 담지 방법
비교예 AgNO3/H2O 열처리 증류 AgNO3수용액을 담체에 가하여 약 2시간 정도 섞어주고 감압 증류 후, 25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
AgNO3/H2O 증류 AgNO3수용액을 담체에 가하여 약 2시간 정도 섞어주고 감압 증류 후 건조
인시피언트 AgNO3수용액을 담체에 가하여 약 2시간 정도 섞어주고 건조(용액양: 포화 부피)
Ag 아세테이트/H2O 증류 Ag 아세테이트 수용액을 담체에 가하여 약 2시간 정도 섞어주고 감압증류후 건조
인시피언트 Ag 아세테이트 수용액을 담체에 가하여 약 2시간 정도 섞어주고 건조(용액양: 포화 부피)
NaCl + AgNO3/H2O 증류 NaCl 수용액을 담체에 가하여 약 6시간 정도 섞어주고 건조 후 여기에 AgNO3수용액을 가한 후 6시간 섞어주고 감압증류후 건조
NaCl + AgNO3/메탄올 증류 NaCl과 메탄올을 담체에 가하여 약 6시간 정도 섞어주고 건조 후 여기에 AgNO3와 메탄올을 가한 후 6시간 섞어주고 감압 증류 후 건조
NaCl + AgNO3/메탄올NaCl 세척 증류 NaCl과 메탄올을 담체에 가하여 약 6시간 정도 섞어준 후, 휘발시키고 건조한 후에 흐르는 물로 담체 표면에 묻은 NaCl만 세척해준 후, 여기에 AgNO3와 메탄올을 담체에 가한 후 6시간 섞어주고 감압증류후 건조
실시예 NaCl + AgNO3/ (에탄올:H2O=9 : 1) 증류 NaCl 에탄올 수용액을 담체에 가하여 약 6시간 정도 섞어주고 건조 후 여기에 AgNO3에탄올 수용액을 가한 후 6시간 섞어주고 감압증류
NaCl + AgNO3/ (에탄올:H2O=9 : 1)열처리 증류 NaCl 에탄올 수용액을 담체에 가하여 약 6시간 정도 섞어주고 건조 후 여기에 AgNO3에탄올 수용액을 가한 후 6시간 섞어주고 감압증류 후, 25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
(1) 용출 실험
상기 표 1에 나타낸 방법으로 제조된 활성탄 정수제 15g에 분당 0.5ℓ의 물을 통수시키면서, 1시간, 3시간, 5시간 및 7시간 후의 정수된 물에서의 은 농도를측정하였다(WHSV(활성탄 정수제 무게당 물의 공간 속도)=2000h-1). 그 결과를 하기 표 2-4에 나타내었다.
담지시약 및 용매 담지량 담지방법 활성탄 종류 구분 시간 은농도(ppb)
AgNO3/H2O 0.4 중량% 인시피언트 30 × 85 비교예 1 1h 119
3h 131
5h 68
16 × 35 비교예 2 1h 169
3h 122
5h 113
증류 30 × 85 비교예 3 1h 72
3h 95
5h 146
16 × 35 비교예 4 1h 104
3h 133
5h 84
0.1 중량% 인시피언트 30 × 85 비교예 5 1h 133
3h 111
5h 132
16 × 35 비교예 6 1h 171
3h 97
5h 107
증류 30 × 85 비교예 7 1h 74
3h 66
5h 76
16 × 35 비교예 8 1h 111
3h 130
5h 69
담지시약 및 용매 담지량 담지방법 활성탄 종류 구분 시간 은농도(ppb)
AgNO3/H2O 열처리 0.4 중량% 증류 30 × 85 비교예 9 1h 35
3h 40
5h 47
7h 45
16 × 35 비교예 10 1h 34
3h 37
5h 38
7h 34
Ag 아세테이트/H2O 0.4 중량% 인시피언트 30 × 85 비교예 11 1h 112
3h 147
5h 160
16 × 35 비교예 12 1h 128
3h 161
5h 158
증류 30 × 85 비교예 13 1h 123
3h 145
5h 156
16 × 35 비교예 14 1h 152
3h 95
5h 114
0.1 중량% 인시피언트 30 × 85 비교예 15 1h 102
3h 172
5h 243
16 × 35 비교예 16 1h 110
3h 123
5h 92
증류 30 × 85 비교예 17 1h 128
3h 119
5h 129
16 × 35 비교예 18 1h 166
3h 114
5h 123
NaCl + AgNO3/H2O 0.4 중량% 증류 30 × 85 비교예 19 1h 134
3h -
5h 61
16 × 35 비교예 20 1h 48
3h 59
5h 38
담지시약 및 용매 담지량 담지방법 활성탄 종류 구분 시간 은농도(ppb)
NaCl + AgNO3/메탄올 0.4 중량% 증류 30 × 85 비교예 21 1h 105
3h 36
5h 53
7h 43
16 × 35 비교예 22 1h 58
3h 61
5h 57
7h 37
NaCl + AgNO3/메탄올NaCl 세척 0.4 중량% 증류 30 × 85 비교예 23 1h 36
3h 38
5h 52
7h 53
16 × 35 비교예 24 1h 86
3h 83
5h 42
7h 47
NaCl + AgNO3/(에탄올/H2O=9) 0.4 중량% 증류 30 × 85 실시예 1 1h 36
3h 48
5h 44
7h 87
16 × 35 실시예 2 1h 88
3h 44
5h 45
7h 43
NaCl + AgNO3/(에탄올/H2O=9)열처리 0.4 중량% 증류 30 × 85 실시예 3 1h 39
3h 35
5h 98
7h 37
16 × 35 실시예 4 1h 47
3h 37
5h 34
7h 36
상기 표 2 내지 표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4의 방법으로 제조된 활성탄 정수제를 이용하여 물을 정수한 경우가, 비교예 1-24의 방법으로 제조된 활성탄 정수제에 비하여, 정수된 물에 용출된 은의 농도가 적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4의 방법으로 제조된 활성탄 정수제가 비교예 1-24의 활성탄 정수제보다 인체에 무해하게 물을 정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메탄올을 사용한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의 활성탄 정수제보다 에탄올을 사용한 실시예 1 및 2의 활성탄 정수제를 사용한 경우가 용출된 은 농도가 적게 나타났다. 또한, 열처리를 실시한 실시예 3-4의 활성탄 정수제가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실시예 1-2의 활성탄 정수제보다 은이 적게 용출됨을 알 수 있다.
(2) 은 담지량 확인 실험(digestion)
물을 통수하기 전과 후의 활성탄 정수제에 담지된 은 담지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 내지 6에 각각 나타내었다. 은 담지량 측정은 질산을 가지고 통수 전의 활성탄 정수제와 통수 후의 활성탄 정수제를 장시간 끓여줌으로써 활성탄 정수제 내의 담지된 은을 용출시킨 후 실제 담지된 은의 양과 통수 후에 활성탄 정수제에 남아 있는 은의 양을 ICP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수 실험전의 활성탄 정수제의 은담지율
담지 시약 및 용매 담지량 담지 방법 구분 활성탄 종류 실제 담지량[%]
NaCl + AgNO3/메탄올 0.4 중량% 증류 비교예 21 30 × 85 28.63
비교예 22 16 × 35 32.27
NaCl + AgNO3/메탄올NaCl 세척 0.4 중량% 증류 비교예 23 30 × 85 43.19
비교예 24 16 × 35 49.38
NaCl + AgNO3/(에탄올/H2O=9) 0.4 중량% 증류 실시예 1 30 × 85 62.46
실시예 2 16 × 35 72.25
통수 실험후의 활성탄 정수제의 은담지율
담지시약 담지량 담지 방법 구분 활성탄 종류 실제 담지량[%]
NaCl + AgNO3/메탄올 0.4 중량% 증류 비교예 21 30 × 85 10.63
비교예 22 16 × 35 11.50
NaCl + AgNO3/메탄올NaCl 세척 0.4 중량% 증류 비교예 23 30 × 85 25.50
비교예 24 16 × 35 38.39
NaCl + AgNO3/(에탄올/H2O=9) 0.4 중량% 증류 실시예 1 30 × 85 47.25
실시예 2 16 × 35 62.50
(3) 항균력 실험
1) 시험균
Escherichia coliIFO 3972(대장균)
Enterococcus faecalisIFO 12964(장구균)
2) 시험용 배지
NA 배지: 보통 한천 배지(송연화학주식회사)
SCDLPA 배지: SCDLPA 한천 배지(일본제약 주식회사)
3) 균액의 제조
시험균을 NA 배지로 35 ±1℃, 20∼24시간 배양 후, 다시 NA 배지에 접종하고, 35 ± 1℃, 16∼20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얻어진 시험균의 균체를 멸균액정제수에 1㎖당 균수가 약 107이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시켜 균액을 제조하였다.
4) 시험액의 조제
삼각플라스크(100㎖)에, 건열멸균액(180℃, 30분간)한 실시예 1 및 2의 활성탄 정수제를 2.5g, 5g을 각각 취하였다. 여기에, 멸균정제수 50㎖를 각각 가하여,5% 및는 10% 시험액을 제조하였다. 활성탄 정수제가 첨가되지 않은 멸균 정제수를 대조 시험액으로 사용하였다.
5) 실험 방법
상기 시험액에 상기 균액을 각각 0.5㎖ 첨가하고, 25 ±1℃로 교반하였다(회전수 약 100rpm). 24시간 교반한 후, 시험액의 생균수를 SCDLPA 배지를 사용하여 혼석평판배양법(35 ±1℃, 2일간 배양)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균액을 시험액에 첨가한 직후의 생균수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균 시험액 생균수(/㎖)
초기 24시간 후
대장균 실시예 1: 5% 첨가 7.2 ×106 40
실시예 1: 10% 첨가 7.2 ×106 1.6 ×102
실시예 2: 5% 첨가 7.2 ×106 < 1*
실시예 2: 10% 첨가 7.2 ×106 1.2 ×103
대조군 7.2 ×106 1.0 ×105
장구균 실시예 1: 5% 첨가 2.6 ×106 8
실시예 1: 10% 첨가 2.6 ×106 1
실시예 2: 5% 첨가 2.6 ×106 < 1
실시예 2: 10% 첨가 2.6 ×106 < 1
대조군 2.6 ×106 1.7 ×104
* < 1: 측정되지 않았다.
상기 표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2의 활성탄 정수제의 살균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예 25 내지 26)
2. 코랄 샌드 정수제
BET로 측정한 표면적이 0.1㎡/g이고, 겉보기 포어 부피가 0.25㎖/g인 담체를 물로 충분히 세척하고, 오븐에서 약 100℃로 건조하여 미세 포어의 발달을 돕고 담체의 표면적을 넓혀 활성화시켰다.
이 담체를 이용하여, 은을 담체 10g당 0.03g의 은이 담지되도록 담지하여 코랄 샌드 정수제를 제조하였다. 담지 방법은 하기 표 8에 나타낸 것과 인시피언트 습식 방법을 조금씩 변경하여 실시하였다.
시료 번호 담지 시약 담지 방법
실시예 5 AgNO3젖음 NaCl AgNO3수용액을 담체에 가하여 약 2시간 정도 섞어주고 담체가 젖어있는 상태로 적당히 건조 후 여기에 NaCl 수용액을 가하고 동일하게 실시 후 건조한 뒤, 500℃에서 열처리
실시예 6 AgNO3건조 NaCl AgNO3수용액을 담체에 가하여 약 2시간 정도 섞어주고 건조후 여기에 NaCl 수용액을 가하고 동일하게 실시 후, 500℃에서 열처리
실시예 7 NaCl 젖음 AgNO3 NaCl 수용액을 담체에 가하여 약 2시간 정도 섞어주고 담체에 젖어있는 상태로 적당히 건조 후 여기에 AgNO3수용액을 가하고 동일하게 실시 후, 500℃에서 열처리
실시예 8 NaCl 건조 AgNO3 NaCl 수용액을 담체에 가하여 약 2시간 정도 섞어주고 건조후 여기에 AgNO3수용액을 가하고 동일하게 실시 후, 500℃에서 열처리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정수제를 5g씩 취하여 100㎖ 증류수로 세척하고 세척한 물을 ICP로 측정하였다. 세척한 물에 은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용출 실험
상기 실시예 5-8의 정수제를 각각 1g당 물 20㎖로 세척한 후, 5g씩 취하여 100㎖ 증류수를 넣고 마그네틱 교반기를 이용하여 용출 실험을 하였다. 담체 5g에 담지된 은의 이론값은 0.015g이고, 용출 실험 결과 얻어진 양을 이 이론값에 대한%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시료 번호 조건(담지량: 0.3 중량%) 시간 경과(hr) ICP 측정시(ppm) 이론값 기준 용출량(%)
실시예 5 AgNO3젖음 NaCl 1 0.82 0.547
5 0 0
10 0 0
24 0 0
48 0 0
72 0 0
실시예 6 AgNO3건조 NaCl 1 0.86 0.573
5 0 0
10 0.075 0.05
24 0 0
48 0 0
72 0 0
실시예 7 NaCl 젖음 AgNO3 1 0.09 0.06
5 0 0
10 0 0
24 0 0
48 0 0
72 0 0
실시예 8 NaCl 건조 AgNO3 1 0.595 0.393
5 0 0
10 0 0
24 0 0
48 0 0
72 0 0
이 실험에서는 마그네틱 교반기의 교반에 의해 72시간 후의 각 시료들이 가루가 되어 용액내의 은 성분을 흡착하여 1시간 이후에서는 은이 검출되지 않았다.
(비교예 25)
AgNO3수용액과 코랄 샌드를 혼합한 후, 500℃에서 2시간 소성하여 AgNO3를 담체에 담지하여 코랄 샌드 정수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Ag의 담지량은 담체 중량의 0.3 중량%로 하였다.
비교예 25의 코랄 샌드 정수제 50g을 600㎖ 증류수에 넣고 교반없이 40℃ 유지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은 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시간 경과(hr) ICP 측정치(ppm) 이론값 기준 용출량[%]
1 0.888 0.35
5 0.955 0.38
표 9 및 10에서 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5-8은 교반 공정을 실시함에 따라 1시간 이후부터는 은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비교예 25의 경우에는 교반 공정을 실시하지 않음에 따라 장시간 은이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은 용출량을 비교해보면, 실시예 5-8이 비교예 25에 비하여 은이 적게 용출됨을 알 수 있다.
(2) 은 담지량 확인 실험(digestion)
상기 실시예 5-8의 방법으로 제조된 코랄 샌드 정수제 4g을 50㎖의 질산으로 가열하였다. 은 시료 첨가량인 3 중량%가 100% 담체에 담지되었을 때, 용출되는 은의 양이 240ppm이 되도록 용액을 만들었다. 실제로 코랄 샌드 정수제에 담지된 은의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조건(은담지량: 담체 10g당 0.03g) ICP 측정치
실험값(ppm) 이론값 기준 담지량[%]
실시예 5 AgNO3젖음 NaCl 72시간 용출후 49.2 20.05
실시예 6 AgNO3건조 NaCl 72시간 용출후 49.1 20.458
실시예 7 NaCl 젖음 AgNO3 72시간 용출후 52.2 21.75
실시예 8 NaCl 건조 AgNO3 72시간 용출후 46.6 19.417
(3) 통수 실험
(실시예 9-10)
은의 담지량을 각각 0.03 및 0.1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1-12)
은의 담지량을 각각 0.03 및 0.1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6-27)
소성 공정을 500℃에서 3시간 실시하고, 은의 담지량을 각각 0.03 및 0.1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2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9-10의 방법으로 제조된 코랄 샌드 정수제는 원래의 담체 색을 그대로 나타내며, 상기 비교예 25-27의 방법으로 제조된 코랄 샌드 정수제는 흙갈색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9-12 및 비교예 25-27의 방법으로 얻어진 코랄 샌드 정수제 50g을 각각 직경 50㎜ 베드(bed)에 투입하여, 2ℓ/분의 유량으로 물을 통과시킨 후, 통수량(ℓ)에 따른 은 용출량(ppb)을 ICP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0.03 중량% Ag 0.1 중량%Ag 0.3 중량% Ag
통수량 실시예 11 실시예 9 비교예 26 통수량 실시예 12 실시예 10 비교예 27 통수량 실시예 5 실시예 7 비교예 25
10 2 13 9 10 40 23 54 100 28 30 53
20 7 8 34 20 29 6 44 200 13 17 39
40 15 3 25 30 28 0 41 300 24 19 39
60 19 11 22 60 8 8 32 400 13 13 30
80 12 7 3 90 23 7 26 500 21 10 28
100 9 13 3 120 78 2 24 600 11 20 27
120 9 34 9 150 17 5 20 700 7 - -
160 7 6 8 180 11 5 18 800 18 - -
180 13 0 7 210 10 8 16
200 1 0 7 240 9 - 23
또한, 상기 실시예 9와 11 및 비교예 26의 코랄 샌드 정수제(은 담지 이론값: 0.03 중량%, 0.015g)의 통수에 따른 용출 경향을 도 1에 가, 나, 다로 각각 나타내었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 9와 11 및 비교예 26의 코랄 샌드 정수제(Ag 담지 이론값: 0.03 중량%, 0.015g)를 200ℓ 통수시킨 후, 각 시료에 대한 용출 Ag양과 잔류 Ag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시료 용출 Ag양 잔류 Ag양
×10-6g % %
실시예 9 2130 14.2 85.80
실시예 11 1995 13.03 86.97
비교예 26 2370 15.8 84.20
상기 도 1 및 표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9 및 11의 코랄 샌드 정수제가 비교예 26의 코랄 샌드 정수제에 비하여 은 용출량이 적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 10과 12 및 비교예 27의 정수제(은 담지 이론값: 0.1중량%, 0.05g)를 50g 사용하여, 2ℓ/분의 통수량으로 통수하여, 통수에 따른 용출 경향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도 2에 가, 나, 다로 각각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0과 12 및 비교예 27의 정수제(Ag 담지 이론값: 0.1 중량%, 0.05g)를 240ℓ 통수 후, 각 시료에 대한 용출 Ag양과 잔류 Ag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시료 용출 Ag양 잔류 Ag양
×10-6g % %
실시예 10 1482 2.96 97.04
실시예 12 5795 11.59 88.41
비교예 27 6225 12.45 87.55
상기 도 2 및 표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0 및 12의 코랄 샌드 정수제가 비교예 27의 코랄 샌드 정수제에 비하여 은 용출량이 적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5와 7 및 비교예 25의 코랄 샌드 정수제(은의 담지 이론값: 0.3 중량%, 0.15g) 50g을 사용하여 2ℓ/분의 통수량으로 통수시켜 통수에 따른 용출 경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5와 7 및 비교예 25의 코랄 샌드 정수제(은의 담지 이론값: 0.3 중량%, 0.15g)를 600ℓ통수 후 각 시료에 대한 용출 Ag양과 잔류 Ag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시료 용출 Ag양 잔류 Ag양
×10-6g % %
실시예 5 10665 7.11 92.89
실시예 7 11810 7.87 92.13
비교예 25 22410 14.94 85.06
상기 도 3 및 표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5 및 7의 코랄 샌드 정수제가 비교예 25의 코랄 샌드 정수제에 비하여 은 용출량이 적음을 알 수 있다.
(4) 항균력 실험
[1] 표준 은 용액(AgNO3)의 항균력 실험
1) 실험 균주
Escherichia coli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1039(E. coli) 대장균
Pseudomonas aeruginosaKCTC 2004(P. aeruginosa): 녹농균
2) 실험 방법
각 균주를 트립틱 소이 액체 배지(Tryptic Soy(TS) broth)에 접종하여 30℃에서 15-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얻은 후 멸균 증류수로 세척하고 다시 멸균 증류수에 현탁하였다. 균주 현탁액을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φ=0.2㎛)로 멸균한 표준 은 용액(50ppb)과 증류수(0ppb)에 최종 균 농도가 106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접종된 표준 은 용액과 증류수를 30℃에 보관하면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취하여, 10배수 희석하고 적정 범위를 TS 한천 배지에 스프레드 플레이트 카운팅(spread plate counting)하였다. 스프레딩한 TS 한천 플레이트를 30℃에서 24-48시간 배양 후 형성된 콜로니(colony)(미생물 집락) 수를 세어 환산하여 세균수를 계산하였다. 동일한 실험을 2회 반복하여 그 평균을 내었다.
3) 실험 결과
대장균을 사용한 실험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으며, 녹농균을 사용한 실험 결과는 도 5에 각각 나타내었다. 아울러, 시간에 따른 균수 감소 결과를 표 16에 각각 나타내었다. 표 16에서, 값은 각각 두 번 측정한 값의 표준 편차(S.D) ± 평균을 나타내며, cfu: 콜로니 형상 단위(colony forming unit)를 나타낸다. 도 4-5 및 표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두 균 모두 24시간 동안 변화가 없어 항균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증류수(0 ppb) 표준 은 용액(50 ppb)
시간(hr) Log cfu/㎖ ±S.D % 감소 Log cfu/㎖ ±S.D % 감소
0 6.08 ±0.05 0.00 6.06 ±0.04 0.00
6 6.02 ±0.08 12.90 6.06 ±0.06 0.00
12 6.10 ±0.09 -4.71 6.20 ±0.05 -38.03
24 6.05 ±0.01 4.50 6.12 ±0.05 -14.82
[2]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의 항균력 실험
(A) 한천 플레이트 테스트
1) 실험 균주
Escherichia coliKCTC(E. coli) 대장균
Pseudomonas aeruginosaKCTC(P. aeruginosa): 녹농균
2) 실험 방법
각 균주를 트립틱 소이 액체 배지(Tryptic Soy(TS) broth)에 접종하여 30℃에서 15-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5㎕의 배양액을 45℃의 TS 소프트(soft) 한천(agar)(5㎖)에 접종하여 현탁시킨 후, TS 한천 플레이트에 도포하였다. 약0.5g의 각 담체를 한천 플레이트 표면에 위치시켰다. 담체가 놓여진 한천 플레이트를 30℃에서 18시간 배양하였다. 담체인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 정수제(실시예 5) 주변의 생육 억제 구역(inhibition zone)을 확인하였다.
3) 실험 결과
① 대장균
가) 은이 담지되지 않은 코랄 샌드 정수제(도 6의 a, 도 7의 a)
생육 억제 구역이 나타나지 않아 생육 억제 효과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나)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 정수제(도 6의 c, d와 도 7의 e, g)
실시예 5의 코랄 샌드 정수제의 통수 전 실험 결과를 도 6의 c로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0의 코랄 샌드 정수제의 통수 후 실험 결과를 도 6의 d로 나타내었다. 아울러, 실시예 10의 코랄 샌드 정수제의 통수 전 실험 결과와 비교예 25의 코랄 샌드 정수제의 통수 전 실험 결과를 도 7의 e와 g로 각각 나타내었다.
도 6과 도 7에서 보면, 은이 담지되지 않은 코랄 샌드 정수제는 생육 억제 구역이 확인되지 않으며, 실시예와 비교예의 코랄 샌드 정수제는 모두 코랄 샌드 주변에 생육 억제 구역이 확인되어 생육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② 녹농균
가) 은이 담지되지 않은 코랄 샌드 정수제(도 8의 a, 도 9의 a)
생육 억제 구역이 나타나지 않아 생육 억제 효과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나)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 정수제(도 8의 c, d와 도 9의 e, g)
실시예 5의 코랄 샌드 정수제의 통수 전 실험 결과를 도 8의 c로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0의 코랄 샌드 정수제의 통수 후 실험 결과를 도 8의 d로 나타내었다. 아울러, 실시예 10의 코랄 샌드 정수제의 통수 전 실험 결과와 비교예 25의 코랄 샌드 정수제의 통수 전 실험 결과를 도 9의 e와 g로 각각 나타내었다.
도 8과 도 9에서 보면, 은이 담지되지 않은 코랄 샌드 정수제는 생육 억제 구역이 확인되지 않으며, 실시예와 비교예의 코랄 샌드 정수제는 모두 코랄 샌드 주변에 생육 억제 구역이 확인되어 생육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9에 나타낸 생육 억제 구역의 크기로 보아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 정수제의 생육 억제 효과는E. coli보다P. aeruginosa에 대하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 5, 10 및 비교예 25와 은이 담지되지 않은 코랄 샌드 정수제 및 증류수에서 시간에 따른 균수 감소 결과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8-20에 나타내었다.
코팅하지 않은 것 실시예 5
시간(hr) Log cfu/㎖ ±S.D % 감소 Log cfu/㎖ ±S.D % 감소
0 7.28 ±0.05 0.00 7.31 ±0.10 0.00
5 7.27 ±0.02 2.28 5.16 ±0.30 99.29
10 7.20 ±0.02 16.82 0.99 ±0.49 99.99
15 7.18 ±0.01 20.56 - -
실시예 10(통수 후) 실시예 10(통수 전)
시간(hr) Log cfu/㎖ ±S.D % 감소 Log cfu/㎖ ±S.D % 감소
0 7.32 ±0.02 0.00 7.28 ±0.05 0.00
5 7.01 ±0.01 51.02 4.29 ±0.23 99.90
10 6.48 ±0.31 85.55 1.30 ±0.00 99.99
15 6.02 ±0.49 94.99 - -
비교예 25 증류수
시간(hr) Log cfu/㎖ ±S.D % 감소 Log cfu/㎖ ±S.D % 감소
0 7.29 ±0.04 0.00 7.31 ±0.03 0.00
5 5.40 ±0.35 98.71 7.29 ±0.05 2.28
10 1.54 ±0.02 99.99 7.28 ±0.05 4.50
15 7.01 ±0.01 - 7.25 ±0.05 10.88
표 18-20에 나타낸 것곽 같이,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 정수제를 사용한 경우는 5분 내에 50% 이상 거의 모든 균이 사멸됨을 알 수 있으나, 은이 코팅되지 않은 경우와 증류수는 15분이 지나도록 20% 정도만이 사멸됨을 알 수 있다.
(B) 증류수 실험
1) 실험 균주:Escherichia coliKCTC 1039(E. coli)
2) 실험 방법
각 균주를 Tryptic Soy(TS) broth에 접종하여 30℃에서 15-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얻은 후 멸균 증류수로 세척하고 다시 멸균 증류수에 현탁하여 접종원을 준비하였다. 은이 담지되지 않은 코랄 샌드 정수제와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 정수제 4종(실시예 5(통수 전), 실시예 10(통수 후), 실시예 10(통수 전) 및 비교예 25)을 각각 증류수에 무게 비로 1% 넣은 액(정수제 0.25g: 증류수 24.75g)에 균주 현탁액을 최종균 농도가 107cell/㎖ 농도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접종된 생성물을 상온(25℃)에 보관하면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취하여, 10배수 희석하고 적정 범위를 TS 한천 배지에 스프레드 플레이드 카운팅하였다. 스프레딩한 TS 한천 플레이트를 30℃에서 24시간-48시간 배양 후 형성된 콜로니(미생물집락)수를 세어 환산하여 세균수를 계산하였다. 동일한 실험을 2회 반복하여 평균을 내었다.
3) 실험 결과
실험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은이 담지되지 않은 코랄 샌드 정수제와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 정수제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은이 담지되지 않은 코랄 샌드 정수제(도 10의, a)
15분간 균수 변화가 거의 없어 항균력이 매우 약하였다. 코랄 샌드 정수제의 시간에 따른 균수 변화는 하기 표 21에도 나타내었다.
2)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 정수제(실시예 5(통수 전)(도 10의, c), 실시예 10(통수 전)(도 10의, e), 및 비교예 25(통수 전)(도 10의, g)
급속히 사멸되어 5분후에 약 99%의 사멸율을 나타내었으며, 10분 이후 잔존 균수가 0-10 cell/㎖ 정도로 매우 적었다. 각 코랄 샌드 정수제 간 효과 차이는 거의 없어 보이나, 실시예 10(통수 전)의 코랄 샌드 정수제가 약간 더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3) 은이 담지된 코랄 샌드 정수제(실시예 10(통수 후)(도 10의, d)
15분 후 95%으로 감소하여 항균력을 나타냈으나, 다른 3종에 비해 정도가 약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제는 은이 거의 용출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면서, 은의 살균 효과로 인하여 물을 효과적으로 정수할 수 있다.

Claims (14)

  1. 담체에 염화 염 알콜 수용액을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생성물에 은 염과 알콜 수용액을 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활성탄이고, 상기 알콜 수용액은 에탄올 수용액인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 수용액의 사용량은 상기 담체의 포화 부피 이상인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 수용액은 알콜 10 내지 30 부피%와 물 90 내지 70 부피%의 혼합 용액인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은 염의 첨가량은 상기 담체 중량 대비 0.1 내지 0.4 중량%인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은 염과 알콜 수용액을 가하는 공정 이후에, 상기담체, 염화 염, 은 염 및 알콜의 혼합물을 200 내지 35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공정을 더욱 실시하는 것인 제조 방법.
  7. (정 정)
    담체에 염화 염 수용액을 가하고;
    상기 혼합물에 은 염 수용액을 가하고;
    얻어진 혼합 용액을 열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코랄 샌드이고, 상기 염화 염 수용액 및 은 염 수용액의 사용량은 상기 담체의 포화 부피인 제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은 염의 첨가량은 상기 담체 중량 대비 0.1 내지 0.4 중량%인 제조 방법.
  10. (정 정)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200 내지 350℃ 또는 400 내지 60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인 제조 방법.
  11. (정 정)
    담체에 은 염 수용액을 가하고;
    상기 혼합물에 염화 염 수용액을 가하고;
    얻어진 혼합 용액을 열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코랄 샌드이고, 상기 은 염 수용액 및 염화 염 수용액의 사용량은 상기 담체의 포화 부피인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은 염의 첨가량은 상기 담체 중량 대비 0.1 내지 0.4 중량%인 제조 방법.
  14. (정 정)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200 내지 350℃ 또는 400 내지 60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인 제조 방법.
KR1020000026730A 2000-05-18 2000-05-18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 KR10034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730A KR100349611B1 (ko) 2000-05-18 2000-05-18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730A KR100349611B1 (ko) 2000-05-18 2000-05-18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046A KR20010105046A (ko) 2001-11-28
KR100349611B1 true KR100349611B1 (ko) 2002-08-21

Family

ID=4581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730A KR100349611B1 (ko) 2000-05-18 2000-05-18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693B1 (ko) * 2004-07-27 2006-08-22 한국화학연구원 할로겐화은이 도입된 항균성 활성탄소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083A (en) * 1980-07-07 1982-02-01 Yukio Okura Production of silver-impregnated active carbon
KR890002848B1 (ko) * 1986-11-07 1989-08-05 주식회사 금성사 이온정수기용 살균, 정수 필터
KR920002474A (ko) * 1989-10-03 1992-02-28 노부오 소메야 멸균용 정화제의 제조방법
JPH04219196A (ja) * 1990-03-28 1992-08-10 Kooraru Baiotetsuku Kk 炭酸カルシウムへの銀の添加方法    
JPH04250885A (ja) * 1990-12-28 1992-09-07 Norio Someya 注入式浄水器用のミネラル補給剤及びその製造法
JPH05123678A (ja) * 1991-04-25 1993-05-21 Kooraru Baiotetsuku Kk 滅菌用浄化剤の製造方法
JPH08238483A (ja) * 1995-03-06 1996-09-17 Ichiro Arai 滅菌用浄化剤の製造方法
JPH10314754A (ja) * 1997-05-14 1998-12-02 Sekisui Chem Co Ltd 浄水用カートリッジならびに浄水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083A (en) * 1980-07-07 1982-02-01 Yukio Okura Production of silver-impregnated active carbon
KR890002848B1 (ko) * 1986-11-07 1989-08-05 주식회사 금성사 이온정수기용 살균, 정수 필터
KR920002474A (ko) * 1989-10-03 1992-02-28 노부오 소메야 멸균용 정화제의 제조방법
JPH04219196A (ja) * 1990-03-28 1992-08-10 Kooraru Baiotetsuku Kk 炭酸カルシウムへの銀の添加方法    
JPH04250885A (ja) * 1990-12-28 1992-09-07 Norio Someya 注入式浄水器用のミネラル補給剤及びその製造法
JPH05123678A (ja) * 1991-04-25 1993-05-21 Kooraru Baiotetsuku Kk 滅菌用浄化剤の製造方法
JPH08238483A (ja) * 1995-03-06 1996-09-17 Ichiro Arai 滅菌用浄化剤の製造方法
JPH10314754A (ja) * 1997-05-14 1998-12-02 Sekisui Chem Co Ltd 浄水用カートリッジならびに浄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046A (ko)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5576B2 (en) Anti-biocontaminant product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Li et al. Stable copper-zeolite filter media for bacteria removal in stormwater
US6051246A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supported on a honeycomb-shaped substrate
EP2729001B1 (en) Silver-containing antimicrobial material and uses thereof
CN108744729A (zh) 一种石墨烯改性活性炭复合滤芯及其制备方法和应用
AU2002333995B2 (en) Use of a material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fibres and chitosan for fixing metal ions
JP3361324B2 (ja) 殺菌効果を有する銀−ヨウ素系メッキ処理活性炭
KR100349611B1 (ko) 은이 담지된 정수제의 제조 방법
WO2005055718A1 (ja) 銀担持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265169B (zh) 抗菌抗病毒去甲醛防污剂及制备方法、釉面砖及制备方法
Jabna et al. Nanosilver As Antimicrobial Agent in Treatment of Water/Waste Water
Giao et al. Reduction of silver nanoparticle toxicity affecting ammonia oxidation using cell entrapment technique
JPH07316009A (ja) 抗菌抗ウイルス抗黴剤およびその複合体
Valušová et al. Water treatment using activated carbon supporting silver and magnetite
Sutianingsih et al. A Review: antibacterial activity of metal impregnated zeolite in water treatment process
WO2012073252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based on rice hull ash
CN1272041A (zh) 含无机银配盐的抗菌防霉溶液及其制造方法
JP5146816B2 (ja) 水道水用脱塩素ヨウ素遊離型殺菌剤
JP2007112779A (ja) スギ材の乾燥工程から得られる凝縮液の油分からなる抗菌剤
KR100262244B1 (ko) 흡착제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JP2000080233A (ja) 抗菌性複合体
CN117004155A (zh) 一种双功能水凝胶及其制备方法
JPH09208345A (ja) 抗菌性セラミック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30784A (ja) 浄水剤及びその製造方法
Sophia et al. Biodegradation of polyvinyl alcohol adsorbed on granular activated carb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