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292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292B1
KR100349292B1 KR1020000040764A KR20000040764A KR100349292B1 KR 100349292 B1 KR100349292 B1 KR 100349292B1 KR 1020000040764 A KR1020000040764 A KR 1020000040764A KR 20000040764 A KR20000040764 A KR 20000040764A KR 100349292 B1 KR100349292 B1 KR 100349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lower
exhaust
vacuum cleaner
cord ree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799A (ko
Inventor
이와세유끼지
스즈끼나루히꼬
스나가와마사오
사또시게노리
다지마다이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4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흡입력을 유지하면서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집진실(250)과 전동 송풍기(270)와 코드 릴(280)을 차례로 배치하고, 전동 송풍기 커버(290)의 상부에 있는 배기구(290a, 290b)의 주위 모서리에 둥근 부분을 마련하고, 전동 송풍기 커버(290)의 양측에 배기 통로(124a, 124b)를 형성하고, 하부에 보조 필터(242)를 설치하고, 전원 코드 릴 설치부(193)를 거쳐서 배기창(171)으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화와 저소음화를 도모한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본체 케이스에 내장한 전동 송풍기의 전방에 집진실을 형성하고, 이 집진실에 개구시킨 흡입구에 호스를 거쳐 접속된 흡구(吸口)로부터 흡인한 먼지 함유 공기를 상기 집진실에 배치한 집진 주머니를 통해 먼지 제거하고, 청정해진 공기를 전동 송풍기로 흡입하여 전동기를 통과시켜 전동기를 냉각하고, 또한 그 후방에 설치한 배기부로부터 청소기 밖으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또, 일부의 공기는 전원 코드 릴을 통과해 전원 코드나 전기 미끄럼 이동 접점 기구를 냉각한 후, 청소기 밖으로 방출하는 구성이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10-117976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평10-17466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전기 청소기는 전동기를 냉각한 공기를 그 후방에 설치한 전원 코드 릴을 통과시켜 전원 코드나 전기 미끄럼 이동 접점 기구를 냉각한 후에 청소기 밖으로 방출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기 청소기는 정숙(저소음)하게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소음 발생원은 주로 전동 송풍기와 배기 유로이므로, 전동 송풍기의 배기 통로의 벽면에 흡음재를 설치하여 유체음을 흡수함으로써 감쇠시키고 나서 공기를 청소기 밖으로 방출하도록 하여, 저소음화를 실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 청소기를 소형화하려고 하면, 배기 통로가 짧아지므로 배기의 유체음을 양호하게 흡수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따라서 저소음화가 곤란해지다. 또한, 유체음의 흡수량은 배기 유로의 단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많게 할 수 있으나, 배기 유로의 통기 저항이 증대하여 전기 청소기의 흡입 일률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흡입 일률을 저하시키지 않고, 전동 송풍기의 배기로부터 효과적으로 유체음을 흡수하여 저소음화를 실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전기 청소기 본체의 외관 사시도.
도2는 이 전기 청소기 본체의 종단 측면도.
도3은 도2에 있어서의 III-III 단면도.
도4는 도2에 있어서의 IV-IV 단면도.
도5는 도2에 있어서의 V-V 단면도.
도6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7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에 대한 차륜 부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8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에 차륜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에 차륜을 부착한 상태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0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에 부착한 보조 필터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에 대한 보조 필터 부착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2는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에 전방 덮개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3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에 추가로 집진실 케이스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4는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집진실 케이스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5는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에 부착한 집진실 케이스에 제어 장치 기판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6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에 추가로 전동 송풍기와 전원코드 릴을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7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전동 송풍기의 주위에 설치하는 전동 송풍기 커버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8은 전동 송풍기 커버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9는 이 전기 청소기 본체의 상부 케이스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20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스의 하면도.
도21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후방 덮개를 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케이스
110 : 하부 케이스
115 : 바닥판부
119 : 보조 필터실
124a, 124b : 배기 통로
130 : 상부 케이스
150 : 전방 덮개
170 : 후방 덮개
171 : 배기창
180 : 보조 필터실 덮개
191 : 집진실 설치부
192 : 전동 송풍기 설치부
193 : 전원 코드 릴 설치부
242 : 보조 필터
270 : 전동 송풍기
290 : 전동 송풍기 커버
290a, 290b : 배기구
293a 내지 294b : 주위 모서리면
321, 322a, 322b, 323a 내지 323c : 흡음재
본 발명은 집진실과 전동 송풍기와 코드 릴을 순서대로 대략 직선 상에 배치하고, 전동 송풍기를 덮는 전동 송풍기 커버를 설치하고, 전동 송풍기 커버의 상부에 배기구를 설치하고, 전동 송풍기 커버의 양측부에 하측을 향하는 배기 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 통로의 송풍기 커버와 그에 대향하는 면에 흡음재를 설치하고, 전동 송풍기 커버의 하부에 보조 필터를 설치하고, 보조 필터의 하측에 코드 릴 실에 연결되는 유로를 설치하고, 코드 릴 실의 일부에 배기구를 설치한 전기 청소기로써, 배기와 함께 청소기 밖으로 방출되는 유체음을 저감하여 저소음화하는 동시에, 박리에 의한 유체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여 흡입 일률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다.
또,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의 배기구의 주위 모서리에 둥근 부분을 마련하고, 또한 배기 통로를 서서히 좁히고, 그 후 서서히 확대시키는 구조로 하여, 소음의 흡수량을 높이는 동시에, 유체음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전동 송풍기 커버의 배기구에 대향하는 부분의 흡음재에 배후 공기층을 설치하거나, 흡음재를 장착하는 등으로 하여, 흡음 성능을 높여 벽으로부터 투과하는 소음을 저하시키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전기 청소기 본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 전기 청소기 본체의 외곽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100)는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30)와 전방 덮개(150)와 후방 덮개(170) 및 보조 필터실 덮개(180)(후술함)에 의해 구성한다. 이 전기 청소기 본체는 하부 케이스(110)에 전륜(캐스터)(211)(후술함)과 후륜(212, 213)을 부착하여 마루면을 주행(끌고다님)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30)에는 핸들(220)이 일으켜 세울 수 있게 부착되어 있으며, 운반시에 일으켜 세워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전방 덮개(150)에 개구한 흡입구에 흡입 호스(230)를 거쳐서 흡구체를 접속하고, 청소기 본체에 내장한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인력을 발생하고, 상기 흡구체의 흡구로부터 먼지 함유 공기를 청소기 내로 흡입하고, 집진실(250)에 설치한 집진 주머니에 의해 먼지를 제거한다. 먼지 제거 후의 공기는 필터부를 통과 후, 전동 송풍기 등을 수납한 방으로 유입하여 전동기를 냉각하고, 또한 전원 코드 릴을 냉각하고 나서 후방 덮개(170)에 형성한 배기창(171)으로부터 청소기 밖으로 방출하는 구성이다.
도2 내지 도21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이 전기 청소기 본체의 종단 측면도, 도3은 도2에 있어서의 III-III 단면도, 도4는 도2에 있어서의 IV-IV 단면도, 도5는 도2에 있어서의 V-V 단면도이다. 도6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7은 이 하부 케이스에 대한 차륜 부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8은 이 하부 케이스에 차륜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이 하부 케이스에 차륜을 부착한 상태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0은 이 하부 케이스에 부착한 보조 필터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이 하부 케이스에 대한 보조 필터 부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12는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에 전방 덮개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3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하부 케이스에 추가로 집진실 케이스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4는 그 집진실 케이스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5는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집진실 케이스에 제어 장치 기판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6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추가로 전동 송풍기와 전원 코드 릴(280)을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7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전동 송풍기의 주위에 설치하는 전동 송풍기 커버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8은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9는 이 전기 청소기 본체의 상부 케이스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20은 하면도이다. 도21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의 후방 덮개를 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우선, 각 구성 부품의 형상과 조합의 개략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전기 청소기 본체의 본체 케이스(100)의 내부는 그 전방측(흡입구측을 전방측이라 칭함)에 집진실 설치부(191)가 구획되고, 중앙부에는 전동 송풍기설치부(192)가 구획되고, 후방측에 전원 코드 릴 설치부(193)가 구획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1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실 설치부(191)를 형성하기 위해 양측에 기립(起立)시킨 측벽부(111, 112)와 이들 사이에 기립시킨 간막이 벽부(113)에 의해 상방과 전방으로 개방한 집진실 설치 공간(191a)이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 설치부(192)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간막이 벽부(113)와 더욱 그 후방에 기립시킨 간막이 벽부(114) 사이에 상방으로 개방하도록 만곡한 바닥판부(115)를 설치하여, 상방으로 개방한 전동 송풍기 설치 공간(192a)이 구획되어 있다. 이 바닥판부(115)와 측벽부(111, 112) 사이에는 배기 통로(후술함)를 형성하기 위한 간극(121, 122)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전원 코드 릴 설치부(19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간막이 벽부(114)의 후방에 간막이 벽부(116)를 기립시킴으로써, 전원 코드 릴 설치 공간(193a)을 형성하고 있다.
이 하부 케이스(110)에는 도2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실 설치 공간을 형성한 면과 반대측, 즉 바닥부에 돌출 설치한 돌기(117)에 편심 기판(211a)을 회전 가능하게 끼움 부착하여, 상기 편심 기판(211a)에 전륜(211)을 부착하고 있다. 또한, 후륜(212, 213)은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111, 112)의 후반 부분에 돌출 설치한 부착 통부(118)에 후륜(212, 213)의 내측으로 돌출 설치한 차축(212a, 213a)을 회전 가능하게 끼움 부착하여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이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부에는 도9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15)의 하측에 면하여 상기 간극(121, 122)과 연통하는 보조 필터실(119)을 형성하여 개구하고, 이 보조 필터실(119)에 지지 프레임(241)을 받침부로 하여 보조 필터(HEPA 필터)(242)를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고, 개구를 보조 필터실 덮개(18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한다.
또한, 이 하부 케이스(110)의 전방 단부측에는 흡입 호스(230)를 삽입하도록 끼움 부착하는 흡입구(151)를 개구시킨 전방 덮개(150)를, 지지축(152)에 의해 이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부의 선단부에 대해 전각(轉角) 가능하게 부착하고, 클램프 갈고리부(153)에 의해 걸어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하부 케이스(110)에 있어서의 집진실 설치부(191)를 위한 집진실 설치 공간(191a)에는 도3 및 도13,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부착 플랜지(251, 252)를 돌출시킨 각형의 통형상 집진실 케이스(250)를 하부 케이스(110) 양측의 측벽부(111, 112) 사이에 횡방향으로 삽입하고, 플랜지(251, 252)를 측벽부(111, 112)의 상부 모서리에 적재해 고정 나사(253, 254)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주위벽을 기밀 상태로 구성한 집진실(250a)을 형성한다. 이 집진실 케이스(250)는 전방 단부를 크게 개구하고, 후방 단부(집진실의 안쪽벽)에는 격자(255)를 설치한 통풍구(256)를 개구하고, 그 내측에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필터(243)를 설치했다. 그리고, 후방 모서리에는 상기 통풍구(256)를 둘러싸도록 원환형으로 돌출하는 연결 모서리(257)를 형성했다.
또한, 집진실 케이스(250)의 상측에는 제어 장치를 적재하여 고정하는 제어 장치 부착 시트부(258)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어 장치 부착 시트부(258)에는 제어 장치 기판(260)을 적재하여 나사 고정한다.
그리고,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에 있어서의 전동 송풍기설치부(192)를 위한 전동 송풍기 설치 공간(192a)에는 전동 송풍기(270)를 상기 집진실 케이스(250)와 연결하도록 설치하고, 전원 코드 릴 설치 공간(193a)에는 전원 코드 릴(280)을 설치한다.
전동 송풍기(270)의 상측에는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략 안장형의 전동 송풍기 커버(290)를 적재하고, 또한 그 상부로부터 도19 및 도20에 도시한바와 같은 상부 케이스(130)를 씌워 하부 케이스(110)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전동 송풍기(270)와 전원 코드 릴(280)을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30) 사이에 협지하도록 고정한다.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30)의 접합 단부 모서리는 전동 송풍기 설치부(192)에 있어서는 기밀 상태로 접합하여 배기 통풍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10)의 후방 모서리와 상부 케이스(130)의 후방 모서리 사이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창(171)을 형성한 후방 덮개(170)를 끼워 넣어 나사 고정함으로써 폐쇄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각 구성 부품을 조립한 전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실 케이스(250)의 전방 단부의 개구 모서리에는 상측 모서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전각 가능한 입구판 지지판(259)을 늘어뜨리고, 이 개구 모서리의 하측 모서리와 입구판 지지판(259)에 집진 주머니(310)의 입구판(311)을 접촉하여 전방 덮개(150)를 폐쇄함으로써, 집진실 케이스(250)의 개구 모서리의 하측 모서리와 상기 입구판 지지판(259)과 전방덮개(150) 사이에 입구판(311)을 협착하여 주머니부(312)를 집진실(255) 내에 수용하도록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집진실 케이스(250)의 개구 모서리를 전방 덮개(150)에 의해 기밀 상태로 폐쇄한다. 그리고, 입구판(311)에 형성된 개구(311a)는 폐쇄된 전방 덮개(150)의 흡입구(151)의 선단부(내측 단부)가 패킹(154)을 거쳐서 입구판(311)에 접촉하게 하여, 기밀 상태를 유지해 연통하도록 위치시킨다.
이 집진실 케이스(250)의 연결 모서리(257)의 선단부는 전동 송풍기(270)를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30) 사이에 협지하여 방진 지지하기 위해, 팬 케이싱(271)의 외주면과 전방면의 주위 모서리부를 덮도록 끼움 부착한 방진 고무 고리(272)의 전방면측에 접촉하여, 팬 케이싱(271)의 흡기구(241a)와 기밀 상태를 유지하여 연결한다.
전동 송풍기(270),교류 정류자 전동기에 의해 원심 팬을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흡기구(271a)로부터 흡기하고, 모터 케이싱(273) 내를 통과시켜 전동기의 회전자나 고정자나 정류 장치(정류자와 브러시)를 냉각한 후에, 모터 케이싱(273)의 외주 및 단부면에 형성한 배기창(273a)으로부터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이 전동 송풍기(270)는 팬 케이싱(273)에 끼움 부착한 방진 고무 고리(272)와 모터 케이싱(273)의 후방 단부면에 형성한 베어링 하우징(273b)에 끼움 부착한 방진 고무 고리(274)를, 하부 케이스(110)에 형성한 바닥판부(115)와 간막이 벽부(114)에 접촉하도록 적재하고, 상측으로부터 전동 송풍기 커버(290)를 접촉하여 상부 케이스(130)에 의해 전동 송풍기 커버(290)를 억압함으로써 탄성적으로 협지하여 전동송풍기 설치 공간(192a) 내에 설치한다.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판부(115)와 간막이 벽부(113, 114) 및 전동 송풍기 커버(290)는 모터 케이싱(273)의 주위에 배기 수집 통로(123)를 형성하고, 이 배기 수집 통로(123) 내에는 모터 케이싱(273)을 둘러싸도록 난연성이고 통기성의 흡음재(321)를 수납한다.
전동 송풍기 커버(290)는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측부에 배기구(290a, 290b)와 외주로 돌출하는 흡음재 지지 리브(291, 292)를 구비한다. 배기구(290a, 290b)를 형성하는 주위 모서리면(293a, 293b, 294a, 294b)은 배기 분류 방향으로 만곡하는 둥근 부분을 갖게 함으로써, 배기구(290a, 290b)로부터 유출하여 전동 송풍기 커버(290)의 양측으로 분류하는 배기류의 박리를 억제하여 박리음의 발생을 방지했다. 또한, 주위 모서리면(293a, 293b, 294a, 294b)에 둥근 부분을 갖게 했다. 이로써, 유체 저항을 크게 하는 일 없이 배기구(290a, 290b)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방을 향하는 흡음재(후술함)의 부착 길이도 길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체음(소음)의 저감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전동 송풍기 커버(290)는 하부 모서리를 바닥판부(115)의 상부 모서리와 기밀하게 접합하여 그 주위에는 상부 케이스(130)의 내측에 형성한 간막이 벽부(131, 132)와 하부 케이스(110)에 형성한 간막이 벽부(113, 114) 사이에서 전동 송풍기 커버(290)의 양쪽 외측을 돌게 하고,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판부(115)와 측벽부(111, 112) 사이에 형성한 간극(121, 122)을 통해 보조 필터실(119)에 달하는 배기 통로(124a, 124b)를 형성한다. 이 배기 통로(124a, 124b)에 면하는 전동송풍기 커버(290)와 바닥판부(115)의 외주면에는 흡음재(322a, 322b)를 부착하고, 상부 케이스(130)와 하부 케이스(110)의 내면에는 흡음재(323a 내지 323c)를 부착하여 설치한다.
상부 케이스(130)의 내측에는 핸들 수납 오목부(133, 134)의 이면측이 돌출하고 있으므로, 이 핸들 수납 오목부(133, 134)의 돌출에 의한 배기 통로(124a, 124b)의 벽면의 요철에 의해 배기류가 흐트러지는 것을 경감하도록, 상기 흡음재(323a, 323b)는 이 핸들 수납 오목부(133, 134)의 상부 케이스 내측의 꼭대기부에 적은 단차로 매끄러운 배기 통로 벽면을 형성하도록 접합한다. 또한, 이 핸들 수납 오목부(133, 134)의 상부 케이스 내측의 꼭대기부에는 상기 흡음재(323a, 323b)의 단부에 연결되어 대략 매끄러운 배기 통로 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경사면(133a, 134a)을 설치한다.
또한, 상부 케이스(130)의 내측에는 상기 배기구(290a, 290b)의 중앙을 가로 지르도록 대향시켜 분류 리브(135)를 설치하고, 이 분류 리브(135)의 선단부에 의해 흡음재(323a)의 배면을 압박하여 흡음재(323a)를 V자형으로 절곡함으로써, 배기구(290a, 290b)로부터의 배기류를 배기 통로(124a, 124b)에 원활하게 분류하도록 구성한다.
간막이 벽부(114)의 하부 모서리와 보조 필터실 덮개(180) 사이에는 보조 필터실(119)에 있어서의 보조 필터(242)의 하류측으로부터 전원 코드 릴 설치부(193)의 전원 코드 릴 설치 공간(193a)에 연결되는 통기창(125a, 125b)을 개구시키고, 보조 필터(242)를 통과한 배기를 전원 코드 릴 설치 공간(193a)에 유입하도록 했다.
전원 코드 릴(280)은 전원 코드(281)를 권취하도록 스파이럴 스프링(282)에 의해 회전 드럼(283)을 편의하고, 이 회전 드럼(283)의 몸통부의 내측에 슬립 링과 접촉편에 의한 미끄럼 이동 접점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전기 통로를 형성한 구성이다. 통기창(125a, 125b)으로부터 전원 코드 릴 설치실(193a) 로 송입된 배기는 전원 코드(281)와 미끄럼 이동 접점 기구에 접촉해 이들을 냉각한 후에 배기창(171)으로부터 청소기 밖으로 방산된다.
후방 덮개(170)의 내측에 돌출 설치한 반환(半環) 형상의 리브(172)는 회전 드럼(283)의 후방측의 원판 측부의 외주를 덮도록 돌출하여, 회전 드럼(283)으로부터 넘쳐 나온 전원 코드(281)를 회전 드럼(283) 내로 복귀하도록 기능한다.
본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에 따르면, 집진실(250a)과 전동 송풍기(270) 사이의 통풍로는 집진실 케이스(250)의 후방측에 돌출 설치한 환상의 연결 모서리(257)의 선단부를 전동 송풍기(70)를 방진 지지하기 위해, 팬 케이싱(271)에 끼움 부착한 방진 고무 고리(272)에 접촉하여 형성하였으므로, 외부와의 기밀성이 향상된다.
또한, 집진실(250a)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하는 구성이므로, 복수의 부품의 조합에 의해 형성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접합 모서리가 감소하므로, 외부와의 기밀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전동 송풍기(270)의 모터 케이싱(273)의 배기창(273a)으로부터 배출한 배기는 상기 모터 케이싱(273)의 주위에 형성된 배기 수집 통로(123)에서 수집되어 흡음재(321)를 통과하여 배기구(290a, 290b)에 이르는 동안에 전동송풍기(270) 내에서 발생한 유체음의 일부를 난연성이면서 또한 통기성의 흡음재(321)에 의해 흡수하여 감쇠시킨다.
배기구(290a, 290b)로부터의 배기류는 이 배기구(290a, 290b)로부터 분출하여 전동 송풍기 커버(290)의 양측을 주회(周回)하는 배기 통로(124a, 124b)로 분류할 때에, 배기구(290a, 290b)의 주위 모서리의 하류측에서 박리하여 박리음을 발생하기 쉽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구(290a, 290b)의 주위 모서리면(293a, 293b, 294a, 294b)에 배기가 유출 방향으로 만곡하는 둥근 부분을 갖게 했다. 이로써, 배기류의 박리를 억제하여 박리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290a, 290b)의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배기의 흐름 방향의 흡음재(322a)의 부착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으며 유체 저항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흡입 일률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전동 송풍기 커버(290)의 배기구(290a, 290b)에 대향한 흡음재의 배후는 상부 케이스(130) 사이에 공간을 갖고 있으므로, 흡음재는 그 배후의 공기층에 의해 보다 저주파수까지 흡음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이 공기층의 두께는 장소에 따라서 다르지만 약 10㎜이며, 사용한 흡음재 10㎜에 대해 예를 들어 1kHz에서는 2배의 흡음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공기층의 부분에 흡음재를 포개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음재를 포개어 설치함으로써 흡음 성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동 송풍기 커버(290)와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판부(115)의 외주면에 부착한 흡음재(322a, 322b)의 접합부는 대략 매끄러운 곡면을 이루고, 또한상부 케이스(130)의 내측에 부착한 흡음재(323a, 323b)와 핸들 수납 오목부(133, 134)의 꼭대기부의 경사면(133a, 134a)의 접합부도 대략 매끄러운 곡면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배기 통로(124a, 124b)는 매끄러운 벽면을 갖는 유로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기류의 흐트러짐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어 유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유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흡음재(322a, 322b)와 흡음재(323a 내지 323c) 사이의 간극을 좁게(작게) 하여 음이 통과하는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음재(322a, 322b, 323a 내지 323c)의 흡음에 의한 소음 저감량을 크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배기 유로(배기 통로)가 되는 흡음재(322a, 322b)와 흡음재(323a 내지 323c) 사이의 간극은 전동 송풍기 커버(290)의 배기구(290a, 290b)의 상부로부터 하류로 감에 따라서 좁아진 후에 넓어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상류부에서는 전동 송풍기 커버(290)의 배기구(290a, 290b)로부터 유출하는 흐트러진 기류를 넓게 받고, 이어서 좁아진 간극에서 기류를 축소시켜 기류의 흐트러짐을 억제하는 작용을 촉진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부 케이스(130)에는 핸들 수납 오목부(133, 134)가 필요하므로 넓은 공간이 필요하며, 배기 통로에서 가장 소음이 큰 전동 송풍기 커버(290)의 배기구(290a, 290b)와 상부 케이스와의 거리를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배기구(290a, 290b)에 면한 상부 케이스(130)의 벽면으로의 음의 침입을 작게 할 수 있고, 벽을 통한 음의 투과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공기층의 부분에 흡음재를설치하면 더욱 효과적이며, 공기층의 일부에 진동억제재 등을 부착하면 더 한층 효과적으로 벽면으로부터의 투과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그 하류에서는 간극이 서서히 넓어짐으로써, 동압을 정압으로 효율적으로 변환하면서 기류를 감속시킴으로써, 보조 필터(242)에 들어가는 기류의 속도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보조 필터(242)에 있어서의 통기 저항 손실을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집진실측으로부터의 미세한 먼지가 흡음재의 표면에 부착하면, 흡음재의 음의 흡수 성능이 저하하지만, 부착된 미세한 먼지는 배기 통로에서의 흐름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흐를 때에 하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청소기의 운반시에 청소기가 진동한 때에 흡음재의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기 쉽다. 이와 같이 하여, 흡음재의 표면에 부착한 먼지는 청소기의 하부로 이동하여 보조 필터(242)에 보족(補足)된다. 따라서, 흡음재의 흡음 성능이 저하하기 어려운 효과가 얻어진다. 보조 필터(242)에 보족된 먼지는 보조 필터(242)를 취출하여 청소함으로써 먼지의 부착이 적은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흡입 일률도 저하하기 어렵다. 또한, 먼지가 부착되어 공기 중의 습기에 의해 먼지가 머물러 고화하는 일이 없으므로, 배기 통로가 좁아져 유체 저항이 증가하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청소기를 길게 사용하고 있더라도 흡입력의 저하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흐름의 흐트러짐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작으므로, 흡음재(322a, 322b)와 흡음재(323a 내지 323c) 사이의 간극을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간극을 좁게 함으로써 전기 청소기 본체의 가로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30)의 내측으로 돌출한 핸들 수납 오목부(133, 134)를 흡음재(323a, 323b)와 연결되게 하여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핸들 수납 오목부(133, 134)를 배기 유로로부터 이격 단절하기 위한 벽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전기 청소기 본체의 높이도 낮아져 소형화와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바닥판부(115)를 하부 케이스(110)로부터 분리하여 전동 송풍기 커버(290)와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부착하도록 형성하더라도 좋고, 이와 같이 형성하더라도 이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닥판부(115)와 보조 필터실 덮개(180) 사이에 형성한 보조 필터실(119)에 설치한 보조 필터(242)는,이 보조 필터(242)와 보조 필터실 덮개(180) 사이의 공간이 전원 코드 릴 설치 공간(193a)으로의 통기창(125a, 125b) 측을 향해 점차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설치하고 있으므로, 보조 필터(242)를 통과한 배기가 모이면서 통기창(125a, 125b)을 향해 흐르는 과정에서 유량의 증가와 공간의 증가가 균형이 잡히게 되어, 배기류의 유속이 극단적으로 증가하여 배기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코드 릴 설치 공간(193a)에 배기류를 유입해, 회전 드럼(283)의 몸통부의 내측이나 원판 측부에 설치한 통기 구멍을 통하여 후방 덮개(170)의 배기창(171)으로부터 청소기 밖으로 방산하므로, 전원 코드 릴(280)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배기를 위한 각별한 방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전기 청소기 본체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코드 릴 설치 공간(193a)에 먼지가 거의 포함되지 않은 배기류를 유입하므로, 코드 릴의 전기 접점 등에 먼지가 축적하는 일이 없으므로 전기 절연성의 열화를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전원 코드 릴 설치 공간(193a)은 보조 필터실(119)의 전원 코드 릴 설치 공간(193a) 측의 단부면의 면적 축소부와 배기창(171)의 면적 축소부와 전원 코드 릴 설치 공간(193a)의 면적 확대부로부터 팽창형(간섭형) 소음기로서의 기능도 해내고 있다. 본 형태예에서는 단면적이 30㎠, 110㎠, 40㎠인 순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팽창비 약 3이고 길이 약 18cm의 상하 방향으로 간섭하는 소음기로서 작용하므로, 예를 들어 1kHz에서 약 7dB의 흡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면적 축소부의 면적을 작게 하면 소음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조 필터실(119)의 전원 코드 릴 설치 공간(193a) 측의 단부면의 면적을 작게 하면, 속도가 빠르게 되어 전원 코드 릴 설치 공간(193a) 내에서의 유체 발생음이 커진다. 그 보다도, 배기창(171)의 면적을 작게 하면 배기 공기의 속도가 빨라져 사용자라든가 주위의 사람에게 닿거나 하게 해서 불쾌감을 준다. 그리고, 배기된 공기가 주위의 공기를 교란시켜 벽 등에서는 먼지의 공중으로의 부유를 촉진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하는 영향 쪽이 강하다. 그로 인해, 배기창(171)의 면적은 보조 필터실(119)의 전원 코드 릴 설치 공간(193a) 측의 단부면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조 필터실 덮개(180)를 개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조 필터(242)를 간단히 취출할 수 있고, 보조 필터(242)의 청소나 교환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통기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 기판(260)은 전동 송풍기(270)로부터 전열되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집진 케이스(250)에 적재하고 있으므로, 전동 송풍기(270)로부터의 열 전달에 의한 온도 상승을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집진 케이스(250)는 집진실(250a)을 저온의 흡입 공기가 흘러 내측이 냉각되므로, 그 외측에 위치하는 제어 장치 기판(270)의 주위의 공기도 자연 대류하여 상기 제어 장치 기판(260)의 열 방산을 돕게 되므로, 제어 장치 기판(260)의 온도 상승을 더욱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집진실(250a)과 상부 케이스(130), 하부 케이스(110)에 의해 이중의 벽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집진실 설치부(191)로부터의 음의 투과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송풍기의 배기에 포함되는 유체음을 좁은 간극의 배기 통로에서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감쇠시킴으로써, 저소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 커버의 배기구로부터 배기 통로로 유출하는 공기류의 박리를 억제하여 박리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청소기 본체의 폭이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집진실과 전동 송풍기와 코드 릴을 갖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실과 상기 전동 송풍기와 상기 코드 릴을 순서대로 대략 직선 상에 배치하고, 상기 전동 송풍기를 덮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의 상부에 배기구와, 그리고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의 양측부에 하측을 향하는 배기 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 통로의 송풍기 커버와 그에 대향하는 면에 흡음재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의 하부에 보조 필터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 필터의 하측에 코드 릴 실에 연결되는 유로를 설치하고, 코드 릴 실의 일부에 배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통로의 폭이 상부보다 하부를 향하여, 축소한 후에 확대하는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커버의 상부에 설치한 배기구의 주위 모서리면이 배기 분류 방향으로 만곡하는 둥근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릴 실내의 코드 릴의 벽면에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의 개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필터의 하측의 코드 릴 실에 연결되는 유로는 코드 릴측으로 감에 따라서 그 유로의 단면적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000040764A 1999-07-23 2000-07-15 전기 청소기 KR100349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909699A JP3487227B2 (ja) 1999-07-23 1999-07-23 電気掃除機
JP99-209096 1999-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799A KR20010049799A (ko) 2001-06-15
KR100349292B1 true KR100349292B1 (ko) 2002-08-21

Family

ID=1656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764A KR100349292B1 (ko) 1999-07-23 2000-07-15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87227B2 (ko)
KR (1) KR100349292B1 (ko)
CN (1) CN1281677A (ko)
TW (1) TW4928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8413B2 (ja) * 2009-02-06 2013-04-2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DE102012108652A1 (de) * 2012-09-14 2014-03-20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taubsauger
WO2014044296A1 (de) * 2012-09-18 2014-03-27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taubsauger mit batteriedeckel
FR3019456B1 (fr) * 2014-04-03 2017-03-24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avec un espace interne de rangement du cordon d’alimentation electrique
DE102015105060B4 (de) * 2015-04-01 2024-01-25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Reinigungsgerät, insbesondere Staubsauger oder Vorsatzgerät eines Staubsaugers
CN109008782B (zh) * 2016-11-08 2021-07-16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过滤组件、过滤装置及吸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799A (ko) 2001-06-15
CN1281677A (zh) 2001-01-31
TW492857B (en) 2002-07-01
JP2001029277A (ja) 2001-02-06
JP3487227B2 (ja)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7797A (en) Central vacuum with acoustical damping
EP0289987B1 (en) Vacuum cleaner
JP4105153B2 (ja) 電気掃除機
KR100809738B1 (ko) 진공청소기
KR100349292B1 (ko) 전기 청소기
KR20060117711A (ko) 모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JP2000354562A (ja) 電気掃除機
EP0453296B1 (en) Vacuum cleaner
JP2844987B2 (ja) 電気掃除機
JP3528769B2 (ja) 電気掃除機
JP2002034861A (ja) 電気掃除機
JP2001061728A (ja) 電気掃除機
CN220059960U (zh) 一种风机组件及清洁装置
WO2023124659A1 (zh) 吸尘器
KR200220648Y1 (ko) 진공청소기의 배출덕트
WO2023116319A1 (zh) 一种吸尘器
KR200205691Y1 (ko) 진공청소기 흡음케이스의 소음저감구조
KR100270800B1 (ko) 진공청소기의 흡음장치
KR100213365B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구조
JP2001029278A (ja) 電気掃除機
JP2629453B2 (ja) 電気掃除機
KR100710270B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챔버
KR0148923B1 (ko) 배기성이 향상된 흡음방구조
JPS6112918Y2 (ko)
JP3163291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