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031B1 -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031B1
KR100346031B1 KR1020000021881A KR20000021881A KR100346031B1 KR 100346031 B1 KR100346031 B1 KR 100346031B1 KR 1020000021881 A KR1020000021881 A KR 1020000021881A KR 20000021881 A KR20000021881 A KR 20000021881A KR 100346031 B1 KR100346031 B1 KR 100346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ectrode
energy storage
storage device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628A (ko
Inventor
김성민
정용호
김선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스캐패시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66747&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4603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스캐패시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스캐패시터
Priority to KR1020000021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031B1/ko
Priority to US09/840,034 priority patent/US6743544B2/en
Priority to JP2001127656A priority patent/JP2002015765A/ja
Publication of KR20010097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H01G11/76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multiple or 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2Fixing or assembling a capacitive element in a housing, e.g. mounting electrodes, current collectors or terminal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08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01M10/345Gastight metal hydrid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양극 및 음극에 연결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사이의 전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가 게시된다.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격리막에 의해 분리되고 그 중심이 격리막의 중심보다 위쪽에 위치되도록 양극이 적층되고, 그 중심이 격리막의 중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음극이 적층된후 권취되는 전극체와, 하부면에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나사산 모양의 요철을 갖고 전극체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연결되는 판형태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접촉되는 양극 및 음극의 접촉부위에 플라즈마 스프레이 또는 아크 스프레이에 의해 형성된 금속막을 갖도록 구성된다.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전극을 길이방향으로 권취하는 경우 이러한 단자연결방법은 전극의 폭방향 단면이 단자에 연결되므로 단자에 폭이 넓고 길이가 짧은 전극이 사용되는 효과가 발생되어 전류이동경로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전극과 단자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산 모양의 요철에 의해 양극 및 음극과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접촉저항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극 및 음극의 단자 접촉면에 형성된 금속막에 의해 보다 더 접촉면적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에너지 저장장치{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시 전극자체의 전기저항 즉 단면적이 작을수록 그리고 길이가 길수록 증가하는 전기저항에 의해 전극과 단자사이에서 발생되는 저항을 감소시키고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소정의 시간동안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적하고, 그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외부의 부하에 공급하므로 부하를 동작시키는 장치로서, 전지, 전해 콘덴서 및 전기 이중층 콘덴서 등이 있다. 이와같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외부의 부하에 공급하는 경우 그 자체의 저항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크게 가변된다.
도 1a는 전지, 커패시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 적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적층상태를 갖는 원통형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의 복수개의 단자를 갖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 적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적층상태를 갖는 원통형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같이, 박막형태의 양극(100) 및 음극(102)이 격리막(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격리되어 적층되고, 양극(100) 및 음극(102)에 각각 연결되는 양극단자(104) 및 음극단자(106)를 갖는 전극체(110)가 구성된다.
양극(100) 및 음극(102)은 박막 형태로 형성되어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격리막은 양극(100) 및 음극(102)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격리시키며, 양극단자(104)는 양극(100)에 용접 또는 리벳(rivet) 등의 방법에 의해 연결되고, 음극단자(106)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음극(102)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극체(110)를 나선형으로 권취한 원통형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체(110)는 도 1b와 같이, 박막의 양극(100) 및 음극(102)에 부착되어 형성된 양극단자(104) 및 음극 단자(106)는 전극체(110)의 상측부에 돌출 되도록 구성되어 전기에너지를 외부의 부하에 전달한다.
또한, 전극의 길이가 긴 경우 전극과 단자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리드선에 의해 연결되는 단자를 갖는 종래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의 양극(200) 및 음극(202)이 격리막(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격리되어 적층되고, 일정간격을 갖고 용접 또는 리벳 등에 의해 양극(200)에 부착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양극 리드선(204a,204b,204c) 및 일정간격을 갖고 용접 또는 리벳 등에 의해 음극(202)에 부착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음극 리드선(206a,206b,206c)을 갖는 전극체(208)가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양극 리드선(204a,204b,204c) 및 제1 내지 제3 음극 리드선(206a,206b,206c)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극체(208)를 권취 방법에 의해 원통형으로 만들면 도 2b와 같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양극 리드선(204a,204b,204c)및 음극 리드선(206a,206b,206c)을 단자에 연결하기 위해 먼저, 제1 내지 제3 양극 리드선(204a,204b,204c)을 용접하고, 용접된 제1 내지 제3 양극 리드선(204a,204b,204c)을 양극단자(210)에 용접하여 연결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음극 리드선(206a,206b,206c)을 용접하여 서로 연결하고, 용접된 제1 내지 제3음극 리드선(206a,206b,206c)을 음극 단자(212)에 용접하여 연결한다.
한편, 제1 내지 제3 양극 또는 음극 리드선(204a,204b,204c,206a,206b,206c)은 용접 이외의 리벳에 의해 각각의 단자(210,212)에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각형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자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박막의 양극(300) 및 음극(302)이 각기 격리막(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격리되어 복수개가 적층되고, 양극(300) 및 음극(302)은 양극단자(304) 및 음극단자(306)에 연결하기 위한 리드선(308,310)들이 형성되며 이들 리드선(308,310)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 각기 집합화 되어있다. 즉, 양극단자(304) 및 음극단자(306)와 연결하기 위한 리드선(308,310)들을 양극(300) 및 음극(302)에 일체로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양극(300) 및 음극(302)의 리드선(308,310)들을 양극단자(304) 및 음극단자(306)에 연결하기 위해서 각각의 리드선(308,310)들을 용접 또는 리벳 등에 의해 각각의 양극단자(304) 및 음극단자(306)에 연결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극 또는 음극단자가 연결되는 종래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복수개 연결하는 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멀티셀 방식에 의한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종래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바이폴라 방식에 의한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체(400-1,400-2,400-3,...)를 외부에서 리드선이나 판상의 도체(402)를 이용하여 각 전극체의(400-1,400-2,400-3,...)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연결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500) 및 음극(502)이 격리막(504)에 의해 격리되어 복수개가 적층됨에 의해 복수개의 전극체를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내에서 직렬 연결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박막의 양극 및 음극을 1개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에 용접 또는 리벳 방법에 의해 연결하는 경우 저항은 길이에 비례하고 면적에 반비례하는 법칙에 의해 양극 및 음극과 단자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저항 때문에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저항을 줄이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전극의 길이가 긴 경우 전극과 단자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단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양극 및 음극을 가지는 전극체와 각 양극 및 음극단자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해 복수개의 리드선을 각각의 양극 및 음극에 부착 또는 형성한 후 복수개의 리드선을 각각 용접하여 각 단자에 다시 용접을 하거나 리벳 등의 방법에 의해 각 단자에 접속하는 경우는 단자 1개당 전극의 길이가 감소하여 전극과 단자사이의 전기저항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으나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단자연결 방법에 의해 구성되는 복수개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각 단자를 리드선 등에 의해 일일이 연결하거나 양극 및 음극을 갖는 복수개의 전극체를 격리막에 의해 각각 격리시켜 적층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극 및 음극의 전극체와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연결방법을 개선하여 전극폭이 좁을수록 그리고 길이가 길수록 전극의 자체전기저항에 의해 전극과 단자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저항을 감소시켜 전극체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직렬연결이 용이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 적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적층상태를 갖는 원통형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의 복수개의 단자를 갖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 적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적층상태를 갖는 원통형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각형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자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멀티셀 방식에 의한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바이폴라 방식에 의한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 적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도 7b 단자의 하부 상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하우징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전해질 이동경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자의 하부도이다.
도 11은 단자를 동일측면에 형성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직렬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 양극 602 : 제1 격리막
604 : 음극 606 : 제2 격리막
610 : 전극체 700 : 양극단자
702 : 음극단자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해액이 저장되는 하우징에 내장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격리막에 의해 분리되고 그 중심이 격리막의 중심보다 위쪽에 위치되도록 양극이 적층되고, 그 중심이 격리막의 중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음극이 적층된 후 권취되는 전극체와, 하부면에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나사산 모양의 요철을 갖고 전극체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연결되는 판형태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갖도록 구성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접촉되는 양극 및 음극상에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금속막을 갖도록 구성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전극체와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접촉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과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사이에 고무패킹이 삽입되어 구성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중앙부위에 전해액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와 주입된 전해액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개의 홈을 갖도록 구성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 적층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도 7 단자의 하부 상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형태의 양극(600), 양극(600)의 중심보다 아래쪽에 그 중심이 위치하도록 적층되는 제1 격리막(602), 제1 격리막(602)의 중심보다 아래쪽에 그 중심이 위치하도록 적층되는 박막형태의 음극(604), 음극(604)의 중심보다 위쪽에 그 중심이 위치하도록 적층되는 제2 격리막(606)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전극체(610)를 형성한다. 즉, 양극(600), 음극(604), 제1 및 제2 격리막(602,606)의 중심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 적층되는 이유는 후술되는 양극단자(700)가 전극체(610)의 일단에서 양극(600)의 단면과 접속되고, 후술되는음극단자(702)가 전극체(610)의 타단에서 음극(604)의 단면과 접속되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1 격리막(602)은 적층시 양극(600)과 음극(604)을 격리하기 위함이고, 제2 격리막(606)은 전극체(610)를 권취할 때 양극(600)과 음극(604)을 격리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극체(610)를 도 7에서와 같이 고용량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로 구성하기 위해 원형을 갖도록 권취하고, 권취된 전극체(610)의 일단에 양극단자(700)를 접속한 후 전극체(610)의 타단에 음극단자(702)를 접속한다. 이때, 양극단자(700)와 음극단자(702)를 전극체(6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한후 양극단자(700) 및 음극단자(702)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누르는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전극체(610)에 각각 연결시킨다.
여기서, 전극체(610)의 일단은 양극단자(700)가 양극(600)과 접속할 수 있는 영역이고, 타단은 음극단자(702)가 음극(604)과 접속할 수 있는 영역이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접속된 양극단자(700) 및 음극단자(702)를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에서와 같이, 양극단자(700)는 원형으로 권취된 전극체(610)의 일단과 모두 접속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원형의 판상 형태이고, 권취된 전극체(610)의 양극(600)과 접촉되는 양극단자(700)의 하부면은 복수개의 나사산 모양의 요철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양극단자(700)의 측단면은 도 8b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또한, 음극단자(702)도 양극단자(7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양극단자(700) 및 음극단자(702)의 하부면이 복수개의 나사산 모양의 요철을 갖는 형태이므로, 전극체(610)가 고르게 권취되지 않아 전극체(610) 양측의 단면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각 단자(700,702)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요철이 도 7과 같이 권취된 양극(또는 음극)의 사이에까지 접촉될 수 있어 양극 및 음극단자(700,702)와 양극(600) 및 음극(604)의 접촉면이 증가한다.
여기서, 양극단자(700) 및 음극단자(702)는 양극(600) 및 음극(604) 집전체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리튬이온 전지는 산화전위에서 안정된 특성을 갖는 알루미늄 포일을 양극 집전체로, 환원전위에서 안정된 특성을 갖는 구리 포일을 음극 집전체로 사용하는 리튬이온 전지의 경우에 양극단자는 알루미늄 재질을 음극단자는 구리 재질을 사용한다. 또한, 수용액계 전해질에서 안정된 특성을 갖는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는 니켈수소 전지의 경우에는 양극 및 음극단자를 니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한다.
한편, 양극단자(700) 및 음극단자(702)를 전기 화학적인 안정성, 가격 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니켈, 구리 등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양극단자(700) 및 음극단자(702)와 양극(600) 및 음극(604)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극체(610)의 양극(600) 및 음극(604)의 각 단자 접촉부위에 플라즈마 스프레이 또는 아크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금속층을 형성한 후 양극 및음극단자(700,70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단자가 접속된 전극체를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 내에 삽입시킴에 의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가 완료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금속물질이나 몰딩 수지로 구성된 하우징(900), 상술한 방법에 의해 양극단자(902) 및 음극단자(904)가 접속되어 하우징(900) 내에 구성되는 전극체(906), 양극단자(902) 또는 음극단자(904)와 하우징(900) 사이에 구성되어 양극단자(902) 또는 음극단자(904)에 의한 전극체(906)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수단(908), 하우징(900) 내에 충전된 전해액(9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압력 조절수단(908)은 탄성을 가지는 고무패킹을 사용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전해액(910)이 액체인 경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가 사용되는 동안 기체가 발생되거나 주위 또는 자체 온도 상승으로 하우징(900)이 팽창함에 따라 양극단자(902) 또는 음극단자(904)와 전극체(906)의 접촉 압력이 변화하거나 또는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양극단자(902) 또는 음극단자(904)와 전극체(906)의 접촉저항이 변화하는 경우 압력 조절수단(908)인 고무패킹의 탄성에 의해 그 팽창된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양극단자(902) 또는 음극단자(904)와 전극체(906)의 접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가능하고 안정적으로 밀봉이 가능하다.
도 10은 전해질 이동경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자의 하부도로서, 하부면에 수직으로 직교되어 형성되는 십자모양의 홈(912)과, 하우징(900) 내로 전해액(91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홀(914)이 홈(912)의 직교점에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양극 또는 음극단자가 연결된 전극체를 하우징에 삽입한 후 전해질을 충전홀(914)을 통해 하우징 내로 삽입하면 홈(912)에 의해 형성된 이동경로를 통해 전해질이 스며들어 원활한 전해질 주입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사용에 의해 발생되는 기체가 충전홀(914)을 통해서 배출되기도 한다.
도 11은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동일측면에 형성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전극체의 동일측면에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도 11a에서와 같이 전극체(920)의 하측면과 접속되는 하우징(922)의 하부 내면을 나사산 모양의 요철을 갖도록 형성하여 전극체(920)와 접속하여 연결하고, 양극단자(924)를 도 8과 같이 형성하여 전극체(920) 상부에 접속한다. 그러므로, 음극단자(926)도 양극단자(924)와 같은 방향의 하우징(922)에 형성된다.
또한, 도 11b에서와 같이, 양극단자(930) 및 음극단자(932)를 본 발명의 단자 연결방법에 의해 각각 연결하고, 음극단자(932)에 리드선(934)을 연결하여 양극단자(930)와 동일한 방향에 음극단자(932)를 위치시킨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직렬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양극단자(940) 및 음극단자(942)가 연결된 전극체(944)를 하우징(946)내에 일렬로 삽입함에 의해 양극단자(940)와 음극단자(942)가 서로 접촉되는 직렬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접촉되는 양극단자(940)와 음극단자(942) 사이에 방폭 밸브(948)를 설치하여 발생된 기체를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격리막에 의해 격리되고, 그 중심선이 일정간격을 갖도록 양극 및 음극이 적층되어 권취된 후 하부면에 복수개의 나사산 모양의 요철을 갖고 권취된 전극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권취된 전극체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시켜 일정의 힘을 가하여 기계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전극에서 전류의 이동경로가 최소화 됨에 따라 전극과 단자사이의 전기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나사산 모양의 요철에 의해 양극 및 음극과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저항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의 접촉되는 양극 및 음극의 접촉면에 금속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금속막을 형성한 후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접촉시키므로 접촉면적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하우징과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사이에 고무패킹을 삽입하므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전극체의 접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단자와 전극이 분리됨에 의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에 충전홀과 홈을 형성하여 전해액 주입이 보다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홈을 따라 전해액이 고르게 주입되므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전극 권취체를 권취체 사이에 삽입된 하나의 단자에 의해 양극과 음극이 서로 접촉되도록 일정 하우징에 삽입하는 동작에 의해 직렬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전해액이 저장되는 하우징에 내장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격리막에 의해 분리되고 일단에 양극이 돌출되고, 타단에 음극이 돌출되도록 권취되는 전극체;
    하부면에 접촉면적 확대수단을 갖고 상기 전극체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연결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막의 중심보다 상기 양극의 중심이 위쪽에 위치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격리막의 중심보다 상기 음극의 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판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적 확대수단은 전극체와 접촉되는 단자면에 복수개의 요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상기 돌출된 양극 및 음극에 완전히 접촉되기 위한 판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의 접촉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돌출된 양극 및 음극상에 각각 형성되는 금속막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플라즈마 스프레이 또는 아크 스프레이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는 상기 양극 및 음극 집전체와 동일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상기 전극체의 압력을 일정 유지하기 위해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삽입하여 형성되는 압력유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지 부재는 고무패킹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중앙부위에 상기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전해액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양극단자및 음극단자의 하부면에 서로 직교되는 복수개의 홈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전극체가 전극체 사이에 삽입된 단자에 의해 전극체의 양극과 인접 전극체의 음극이 접속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직렬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직렬 삽입된 복수개의 전극체의 단자의 중심에 방폭밸브를 더 추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전극체 사이에 삽입된 판상의 단자에서 전극체와 접속되는 단자의 양쪽면에 접촉면적 확대수단을 구비한 단자를 사용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KR1020000021881A 2000-04-25 2000-04-25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KR100346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881A KR100346031B1 (ko) 2000-04-25 2000-04-25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US09/840,034 US6743544B2 (en) 2000-04-25 2001-04-24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JP2001127656A JP2002015765A (ja) 2000-04-25 2001-04-25 電気エネルギー貯蔵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881A KR100346031B1 (ko) 2000-04-25 2000-04-25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628A KR20010097628A (ko) 2001-11-08
KR100346031B1 true KR100346031B1 (ko) 2002-07-24

Family

ID=19666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881A KR100346031B1 (ko) 2000-04-25 2000-04-25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43544B2 (ko)
JP (1) JP2002015765A (ko)
KR (1) KR100346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5332A1 (en) * 2003-03-21 2004-09-23 Moltech Corporation Tabs for electrochemical cells
SE527979C2 (sv) * 2004-05-07 2006-07-25 Effpower Ab Ändelektrod för bipolärt batteri, biolärt batteri och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ändelektrod
KR100919103B1 (ko) * 2008-02-04 2009-09-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US8027149B2 (en) 2008-05-06 2011-09-27 Greatbatch Ltd. Electrolytic capacitors with multiple anodes and anode lead configurations thereof
JP2010177514A (ja) * 2009-01-30 2010-08-12 Tdk Corp 積層型電解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165849A (zh) * 2013-03-07 2013-06-19 上海电气钠硫储能技术有限公司 一种钠硫电池模块内单体钠硫电池的连接结构和方法
KR101447435B1 (ko) * 2013-05-14 2014-10-08 (주)에이치엔티 배터리 지그 버스바 및 버스바 표면 처리 방법
US10312028B2 (en) 2014-06-30 2019-06-04 Avx Corporatio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MY195773A (en) 2016-05-20 2023-02-11 Kyocera Avx Components Corp Multi-Cell Ultracapaci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8961A (en) * 1989-06-14 1994-11-29 Bolder Battery, Inc. Thin plate electrochemical cell
US5370711A (en) * 1993-07-21 1994-12-06 Ev Energy Systems, Inc. Method for making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US6214490B1 (en) * 1998-12-17 2001-04-10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Foam collector for electrochemical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15765A (ja) 2002-01-18
US20010036572A1 (en) 2001-11-01
US6743544B2 (en) 2004-06-01
KR20010097628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3433B2 (ja)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59566B2 (ja) 角形密閉式電池
JP2007535796A (ja) 低インピーダンス積層電池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0776766B1 (ko) 상부 단자식 전지
JP5193066B2 (ja) 電極を保持するための部材を有する電極集合体及び該電極集合体を含む二次電池
US8679673B2 (en) Cap assembly, can, and secondary battery employing the same
US9005803B2 (en) Secondary battery
KR101650557B1 (ko)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346031B1 (ko)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US8415048B2 (en)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EP3107136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754918B1 (ko) 사이드 단자식 전지
KR100814780B1 (ko) 사이드 집전판을 가지는 전지
KR20060106373A (ko) 이차 전지
KR100529098B1 (ko) 이차 전지
KR100619281B1 (ko) 권취형 커패시터
JP2001345087A (ja) 組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ならびに組電池用単電池
US11398664B2 (en) Battery and battery system
KR100493560B1 (ko)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KR100418592B1 (ko)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KR101310441B1 (ko) 전기화학 커패시터
KR100745143B1 (ko) 전지용 극판 및 극판조립체
KR100502315B1 (ko) 전지의 전극조립체
JP2005353722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KR20020096304A (ko) 금속막이 형성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