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254B1 - 중량편재 보상용 밸런싱부를 갖는 하물 적재용 로봇 - Google Patents

중량편재 보상용 밸런싱부를 갖는 하물 적재용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254B1
KR100342254B1 KR1019990024364A KR19990024364A KR100342254B1 KR 100342254 B1 KR100342254 B1 KR 100342254B1 KR 1019990024364 A KR1019990024364 A KR 1019990024364A KR 19990024364 A KR19990024364 A KR 19990024364A KR 100342254 B1 KR100342254 B1 KR 100342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unit
balancing
driving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877A (ko
Inventor
김성권
성학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254B1/ko
Priority to JP11217909A priority patent/JP3142536B2/ja
Priority to CN99111367A priority patent/CN1088643C/zh
Publication of KR2001000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08Balanc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하물 적재용 로봇은 로봇본체상에 설치된 적재부와, 적재부의 중량 편재를 상쇄시키기 위한 밸런싱부를 가진다. 적재부는 로봇본체상의 고정부로부터 로봇본체의 외측의 적재위치로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적재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적재플레이트가 적재위치로 이동될 경우, 이와 동시에 밸런싱부는 적재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적재플레이트에 하물이 적재될 경우 발생하는 중량편재는 밸런싱부에 의해 상쇄되고, 이에 따라 로봇이 넘어질 우려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중량편재 보상용 밸런싱부를 갖는 하물 적재용 로봇{LOADING ROBOT HAVING A BALANCING PART}
본 발명은 하물 적재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이 큰 하물의 적재시 로봇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물의 중량 편재를 보상시킬 수 있는 밸런싱 장치를 구비한 하물 적재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
산업계에서는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하물을 효과적으로 운반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하물 적재용 로봇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로봇은 일반적으로 로봇 자체의 동작을 위한 로봇본체와, 로봇본체 위에 설치되어 하물을 적재하는 적재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 작업자가 로봇에 하물을 적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물 적재시 적재플레이트는 로봇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되어 적재위치에 놓이게 된다. 적재플레이트가 적재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작업자는 하물을 적재부에 적재시키며, 하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적재플레이트는 다시 로봇본체 상부로 이동된다. 그 후 하물을 실은 로봇은 스스로 이동하여 하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는 로봇본체가 하물을 실은 적재플레이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작업자가 하물을 용이하게 내려놓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적재플레이트는 다시 적재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하물 적재용 로봇에서는, 적재플레이트가 적재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적재플레이트에 중량이 큰 하물, 예컨데 LCD패널캐리어 (LCD Panel Carrier) 또는 플랫패널 디스플레이용 캐리어 (Flat Panel Display Carrier) 등과 같은 하물을 적재시킬 경우, 하물의 중량에 의해 로봇에 큰 모우멘트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적재플레이트 쪽으로 중량이 크게 편재되게 되고 로봇이 넘어질 우려가 있게 된다. 특히, 무인차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지 않고이동이 가능한 하물 적재용 로봇의 경우에는, 큰 모우멘트가 걸릴 경우 로봇이 넘어질 우려가 더욱 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플레이트에 하물이 적재될 경우 발생하는 중량의 편재를 상쇄함으로써, 중량이 큰 하물을 적재할 경우에도 로봇이 넘어지지 않고 적재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하물 적재용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적재용 로봇의 사시도,
도 3은 도1 및 도 2에 도시된 하물 적재용 로봇의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물 적재용 로봇의 평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동력전달부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봇본체 25 : 하물
30 : 고정부 40 : 적재부
45 : 제1랙 53 : 균형추
55 : 제2랙 61 : 제1피니언
62 : 제2피니언 73 : 풀리
75 : 구동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적재용 로봇은, 로봇본체; 상기 로봇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로봇본체로부터 이격된 적재위치간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적재플레이트를 구비한 적재부; 상기 로봇본체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런싱부; 상기 밸런싱부가 상기 로봇본체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구동하는 밸런싱부구동수단; 상기 밸런싱부의 이동속도보다 큰 속도로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적재위치간을 위치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적재부구동수단; 및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적재위치로 이동시 상기 밸런싱부가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밸런싱부구동수단과 상기 적재부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적재플레이트상에 적재되는 하물에 의한 중량 편재를 상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부에 연동하여 상기 적재부와 다른 이동속도로 상기 밸런싱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밸런싱부구동수단과 상기 적재부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상기 적재부구동수단은, 상기 적재부와 연결된 제1랙; 및 제1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랙에 치합되는 제1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싱부구동수단은, 상기 밸런싱부와 연결된 제2랙; 및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2랙과 치합되는 제2피니언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구동수단과 상기 밸런싱부구동수단은 상기 제1피니언 및 상기 제2피니언을 동시에 정역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한다. 한편으로는, 상기 적재부구동수단은, 상기 적재부와 연결된 제1랙; 제1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랙에 치합되는 제1피니언; 및 상기 제1피니언을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싱부구동수단은, 상기 밸런싱부와 연결된 제2랙;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2랙에 치합되는 제2피니언; 및 상기 제2피니언을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를 제어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부에 연동하여 상기 적재부와 다른 이동속도로 상기 밸런싱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적재용 로봇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적재용 로봇은 로봇본체(10), 적재부(40), 및 밸런싱부(5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적재부(40)가 로봇본체(10) 상에 놓여진 상태 및 로봇본체(10)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로봇본체(10)는 적재부(40)를 지지하는 기부의 역할을 하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그 하부에 다수의 바퀴(13)를 구비하고 있다. 로봇본체(10)의 내부에는 로봇의 이동에 필요한 동력발생장치와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이 설치된다. 로봇본체(10)의 상면에는 적재부(40)를 고정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의 기능을 하는 고정플레이트(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적재부(40)는 이 고정플레이트(30)의 위에 설치되어 있다.
적재부(40)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제2 및 제3 플레이트(41, 42, 43)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플레이트들(41, 42, 43)은 상호 접하는 부위에 형성된 가이드그루브(47)와 가이드리브(48)에 의해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적재부(40)의 각 플레이트(41, 42, 43)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본체(1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본체(10) 외측으로 신장되어 제3플레이트(43)가 소정의 위치(이하 '적재위치'라고 한다.)에 이동된 위치간을 이동가능하게 된다.
제3플레이트(43)는 그 위에 하물(25)이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를 구성한다. 작업자는 하물을 적재플레이트(43) 상에 적재시키거나 적재플레이트(43)로부터 하물을 내려놓을 때, 필요에 따라 적재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재플레이트(43)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위치로 인출되도록 적재부(40)를 조작한 후 작업을 할 수 있다.
밸런싱부(50)는 로봇본체(10)에 그의 외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한 쌍의 로드(54, rod), 및 로드(54)의 외측단부에 설치된 균형추(53)로 구성되어 있다. 균형추(53)는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중량이 큰 재질로 재조된다. 밸런싱부(50)는 적재부(40)의 이동선과 동일선상에서 적재부(40)와 반대 방향 외측으로 이동가능하다. 밸런싱부(50)의 이동은 로봇본체(10) 내부에 설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밸런싱부(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재부(40)에 실린 하물에 의한 중량편재를 보상하는 기능을 한다.
도 3 및 도 4는 밸런싱부(50) 및 적재부(4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적재부구동수단과 밸런싱부구동수단에 해당하는 구동장치는 한 쌍의 랙(45, 55), 한 쌍의 피니언(61, 62), 한 쌍의 밸트(71, 72), 및 구동모터(75)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장치는 도시않은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제1랙(45)은 적재부(40)의 제1플레이트(41)에 고정되어 있고, 제2랙(55)은 밸런싱부(50)의 로드(54)와 연결되어 있다. 제1랙(45)과 제2랙(55)은 각각 제1피니언(61)과 제2피니언(62)에 치합된다. 제1피니언(61)과 제2피니언(62)은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제2피니언(62)은 제1피니언(61)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제1피니언(61)과 제1피니언(62)은 각각 제1벨트(71)와 제2벨트(72)에 의해 구동모터(75)의 풀리(75)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모터(75)로는 정역방향 구동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된다.
사용자가 하물을 적재하기 위해 조작부(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면, 제어부는 조작된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75)를 제어한다. 구동모터(75)가 동작하면 제1 및 제2피니언(61, 62)이 모두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랙(45) 및 제2랙(55)이 각각 이동된다. 따라서 제1플레이트(41)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그리고 로드(54)와 균형추(53)는 이와 반대로 우측으로 이동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각 플레이트들(41, 42, 43)들은 텔레스코픽 구조로 이동되도록 별도의 기구적 메커니즘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플레이트(41)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제2 및 제3플레이트(42, 43)가 각각 자신의 하부에 면한 플레이트들에 대해 좌측으로 상대이동되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신장된다. 따라서, 제3플레이트(43)는 적재위치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3플레이트(43) 위에 하물(25)을 올려놓게 된다. 이때, 제3플레이트(43)에 비교적 큰 하중의 하물이 적재되더라도, 하물의 하중이 우측으로 이동된 균형추(53)에 의해 상쇄되므로, 로봇이 넘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큰 중량의 하물을 적재시키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적재 작업이 끝나면 구동모터(75)는 역방향으로 구동되고, 이에 따라 하물(25)을 적재한 적재플레이트(43)와 균형추(53)가 원위치로 인입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구동모터(75)에 의해 적재부(40)와 밸런싱부(50)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모터(85, 95)를 이용하여 적재부(40)와 밸런싱부(50)를 개별적으로 구동한다. 즉, 제1피니언(61)은 제1벨트(71)에 의해 제1구동모터(85)의 풀리(83)와 연결되어 있고, 제1피니언(6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피니언(62)은 제2벨트(72)에 의해 제2구동모터(95)의 풀리(93)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85)가 동작하면 적재부(40)가 구동되게 되고, 제2구동모터(95)가 동작하면 밸런싱부(50)가 동작하게 된다.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적재부(40) 및 밸런싱부(50)의 신장속도, 즉 이동속도가 다르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는 제1 및 제2 구동모터(83, 93)를 동시에 제어하여 밸런싱부(50)가 적재부(40)의 신장 정도에 대응하여 적재부(40)와 다른 이동속도로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적재부(40)를 적재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적재위치로부터 인입시킬 때 구동모터(75)(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또는 제1구동모터(85)(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를 사용하여 구동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동모터(75 또는 85) 없이 수작업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이 큰 하물이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될 때 하물에 의한 중량편재가 균형추에 의해 보상되므로, 로봇이 넘어질 우려가 없고 하물의 적재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하물 적재용 로봇에 있어서,
    로봇본체;
    상기 로봇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로봇본체로부터 이격된 적재위치간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적재플레이트를 구비한 적재부;
    상기 로봇본체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런싱부;
    상기 밸런싱부가 상기 로봇본체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구동하는 밸런싱부구동수단;
    상기 밸런싱부의 이동속도보다 큰 속도로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적재위치간을 위치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적재부구동수단; 및
    상기 적재플레이트가 상기 적재위치로 이동시 상기 밸런싱부가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밸런싱부구동수단과 상기 적재부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적재플레이트상에 적재되는 하물에 의한 중량 편재를 상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물 적재용 로봇.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구동수단은,
    상기 적재부와 연결된 제1랙; 및
    제1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랙에 치합되는 제1피니언을 포함하며,
    상기 밸런싱부구동수단은,
    상기 밸런싱부와 연결된 제2랙; 및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2랙과 치합되는 제2피니언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구동수단과 상기 밸런싱부구동수단은 상기 제1피니언 및 상기 제2피니언을 동시에 정역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물 적재용 로봇.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부에 연동하여 상기 적재부와 다른 이동속도로 상기 밸런싱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밸런싱부구동수단과 상기 적재부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물 적재용 로봇.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구동수단은,
    상기 적재부와 연결된 제1랙;
    제1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랙에 치합되는 제1피니언; 및
    상기 제1피니언을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밸런싱부구동수단은,
    상기 밸런싱부와 연결된 제2랙;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2랙에 치합되는 제2피니언; 및
    상기 제2피니언을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물 적재용 로봇.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부에 연동하여 상기 적재부와 다른 이동속도로 상기 밸런싱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물 적재용 로봇.
KR1019990024364A 1999-06-25 1999-06-25 중량편재 보상용 밸런싱부를 갖는 하물 적재용 로봇 KR100342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364A KR100342254B1 (ko) 1999-06-25 1999-06-25 중량편재 보상용 밸런싱부를 갖는 하물 적재용 로봇
JP11217909A JP3142536B2 (ja) 1999-06-25 1999-07-30 重量偏在を補うためのバランサを有する貨物積載用ロボット
CN99111367A CN1088643C (zh) 1999-06-25 1999-08-10 具有补偿重量普遍存在的平衡器的装载货物机器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364A KR100342254B1 (ko) 1999-06-25 1999-06-25 중량편재 보상용 밸런싱부를 갖는 하물 적재용 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877A KR20010003877A (ko) 2001-01-15
KR100342254B1 true KR100342254B1 (ko) 2002-06-27

Family

ID=1959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364A KR100342254B1 (ko) 1999-06-25 1999-06-25 중량편재 보상용 밸런싱부를 갖는 하물 적재용 로봇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42536B2 (ko)
KR (1) KR100342254B1 (ko)
CN (1) CN108864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34A (ko) * 2016-06-02 2019-01-0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12각형 이송 챔버 및 이를 갖는 프로세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8521B2 (en) * 2005-05-31 2007-08-21 Scriptpro Llc Chain-driven robotic arm
KR101191897B1 (ko) * 2010-11-26 2012-10-16 미래산업 주식회사 기판 이송장치
AT511201B1 (de) * 2011-07-08 2012-10-15 Engel Austria Gmbh Teleskopierbarer handlingarm
CN103447408A (zh) * 2012-06-04 2013-12-18 何芳 一种机械手
JP2013255966A (ja) 2012-06-13 2013-12-26 Olympus Corp 自重補償付き直動機構、操作入力装置、及び手術支援システム
KR101641164B1 (ko) * 2014-11-25 2016-07-20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중량측정장치를 갖춘 다관절 로봇
CN104626192B (zh) * 2014-12-16 2016-07-27 中国空间技术研究院 一种多丝杠联动可重复伸展星载机构
KR101668390B1 (ko) * 2015-01-27 2016-10-21 국방과학연구소 밸런싱 부재를 갖는 로봇의 이동 플랫폼 장치
CN105151790A (zh) 2015-09-02 2015-1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取放装置
CN105347218A (zh) * 2015-12-07 2016-02-24 宁波市青英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杠杆原理的便携式助力提升机
CN105839569B (zh) * 2016-04-01 2017-08-11 山东国兴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机器人清理、安装和回收小区或市政道路井盖的方法
CN107914288A (zh) * 2016-10-09 2018-04-17 张家港市博雅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运载机器人支撑臂
CN111958634A (zh) * 2020-08-20 2020-11-20 马鞍山迈若斯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手臂重力平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2387A (en) * 1981-11-25 1984-04-10 Unimation, Inc. Safe programming system for industrial robots
US4466387A (en) * 1983-10-10 1984-08-21 Perry John C Lubrication means for a two-cy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34A (ko) * 2016-06-02 2019-01-0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12각형 이송 챔버 및 이를 갖는 프로세싱 시스템
KR102267964B1 (ko) * 2016-06-02 2021-06-21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12각형 이송 챔버 및 이를 갖는 프로세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9147A (zh) 2001-01-10
CN1088643C (zh) 2002-08-07
JP3142536B2 (ja) 2001-03-07
JP2001002398A (ja) 2001-01-09
KR20010003877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254B1 (ko) 중량편재 보상용 밸런싱부를 갖는 하물 적재용 로봇
JP2023500175A (ja) 搬送装置及び当該搬送装置を備える搬送ロボット
KR101798896B1 (ko) 핸드 리프트 트럭
EP2353797B1 (en) Substrate transfer robot and system
US6210097B1 (en) Burden loading robot having balancer for compensating for off-center loading of weight
RU2005108045A (ru)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мещения изделия с первого уровн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на второй
EP0580634A1 (en) Loading/unloading apparatus, vehicle provided with such an apparatus, loading/unloading station and method utilizing this vehicle
KR102346976B1 (ko) 물품 반송 설비
KR20160063830A (ko) 자동 이송대차
KR101803226B1 (ko) 적재물 높이 조절용 리프트 장치
KR101320958B1 (ko) 주행방향이 직각으로 전환되는 수동대차
US6543986B2 (en) Apparatus with upper displacement member for handling articles
JP4063071B2 (ja) 荷移載装置及びスタッカクレーン
JPH09163526A (ja) 電気機器ユニット搬送装置
JPH06321316A (ja) 搬送システム
JP2003002410A (ja) 自動倉庫
JP3360805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のスライドフォーク
KR200191038Y1 (ko) 수동대차
US5310305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bjects
JP2019147669A (ja) サイドアーム式移載装置
CN212222338U (zh) 一种桥式集装箱正面吊运机
CN217229141U (zh) 一种可移动可举升式辊筒机构
JP2004238088A (ja) 昇降台
JPH0682012U (ja) スライドフォークの荷ズレ防止装置
WO2024042514A1 (en) Controlled systems for moving items in storage volume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