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710B1 - inconer and outconer assembling apparatus for gang form using segregation pouring method and deck plate equipped reinforced steel bar - Google Patents

inconer and outconer assembling apparatus for gang form using segregation pouring method and deck plate equipped reinforced steel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710B1
KR100336710B1 KR1020010019624A KR20010019624A KR100336710B1 KR 100336710 B1 KR100336710 B1 KR 100336710B1 KR 1020010019624 A KR1020010019624 A KR 1020010019624A KR 20010019624 A KR20010019624 A KR 20010019624A KR 100336710 B1 KR100336710 B1 KR 100336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lab
wall
bol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6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73207A (en
Inventor
박형국
박정진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장석준
엔에스티디 주식회사
박형국
박정진
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준, 엔에스티디 주식회사, 박형국, 박정진, 박정호 filed Critical 장석준
Priority to KR1020010019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710B1/en
Publication of KR20010073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2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7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04G11/24Construction of lifting jacks or climbing rods for slid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철근이 일체로 부착된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바른됫박형으로 구축해 가는 대형거푸집에 사용되는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거푸집은 거푸집널, 거푸집틀 및 수직지지대로 구성되며, 수직지지대는 슬래브 거푸집을 관통하여 아래층 벽체에 고정된다. 슬래브 거푸집으로는 재래식 일반 거푸집 또는 보강철근이 부착된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며, 슬래브 거푸집과 상부 벽체 거푸집을 함께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바른됫박형으로 타설한다. 슬래브 거푸집 설치, 슬래브 철근의 배근과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의 편의를 위해 벽체 대형 거푸집널의 하단부는 상하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벽체 콘크리트가 슬래브 쪽으로 융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체 대형거푸집의 하단 거푸집 내부에 물결나비형 스프링 와이어와 메탈라스를 함께 설치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onor and out-corner coupling device used for a large formwork to build the structure in a straight thin shape using a deck plate attached to the reinforcing bars integrally. The large formwork consists of formwork, formwork and vertical support, which is fixed to the lower wall through the slab formwork. As slab formwork, conventional general formwork or deck plate attached with reinforcing bar is used. Slab formwork and upper wall formwork are installed together to cast concrete structure in right and thin shape. For the convenience of installing slab formwork, reinforcement of slab reinforcement and slab concrete placing, the lower part of the wall formwork can be opened and closed up and down. Install the wave butterfly spring wire and metal lath together.

본 발명의 슬래브 벽 분리 타설식 대형거푸집 공법을 이용함으로써, 내벽에도 대형거푸집을 이용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이고 신속한 구조물의 축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거푸집 상승재의 설치 및 이동이 간편한 소형의 전동식 유압잭을 이용함으로써 대형 중장비를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며, 상기 대형거푸집의 안쪽 및 바깥쪽 거푸집을 본 발명의 결합장치로 설치함으로서 상기 대형거푸집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재 설치할 수 있다.By using the slab wall separation-pouring large formwork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 formwork can also be used on the inner wall,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more economical and rapid structure. In addition, by using a small electric hydraulic jack that is easy to install and move the formwork riser economical construction is possible without using large heavy equipment, by installing the inner and outer formwork of the large formwork with the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rge formwork. Can be reinstalled quickly and precisely.

Description

보강철근이 부착된 데크플레이트(합성데크)를 사용한 슬래브 벽 분리타설식 대형거푸집용 인코너 조립장치 및 아웃코너 조립장치{inconer and outconer assembling apparatus for gang form using segregation pouring method and deck plate equipped reinforced steel bar}Inconer and outconer assembling apparatus for gang form using segregation pouring method and deck plate equipped reinforced steel bar}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된 건축물에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신속하게 구축하기 위하여 보강철근이 일체로 부착된 데크플레이트 및 대형거푸집(gang form)에 사용되는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공동주택 등과 같이 동일 모양이 반복되는 구조나 평면으로 설계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철근 합성데크플레이트와 대형거푸집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바른 됫박형으로 구축하는 거푸집의 안쪽 및 바깥쪽에 설치되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onor and out-corner coupling device used in deck plates and gang forms to which reinforcing bars are integrally attached in order to quickly construct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 a building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construct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at is designed in the same shape or a flat repetitive structure such as a multi-family house in a short period of time, using a reinforced composite deck plate and a large formwork to form the structure in the right thin form And it relates to a coupling device installed on the outside.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병원, 콘도미니엄 등과 같이 각층의 구조와 형상이 반복되도록 설계된 경우, 매층 거푸집의 조립과 해체를 반복하지 않고 작업이 용이한 대형거푸집으로 제작하여 시공하게되면 공기 또는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며 구조물의 품질이 향상된다.If the structure and shape of each floor is designed to be repeated, such as apartments, officetels, hotels, hospitals, and condominiums,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air or cost when it is manufactured as a large formwork that is easy to work without repeating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each floor formwork. And the quality of the structure is improved.

종래에도 대형거푸집을 이용한 공법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종래의 공법은 공동주택의 외벽이나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벽과 같이 수직방향으로 대형거푸집을 인양하기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었고, 내벽의 경우에는 선타설된 슬래브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인양하는 방법을 적용하기가 곤란하였다.Conventionally, the large-size formwork has been used.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can be applied only when there are no obstacles to lift the large formwork in the vertical direction, such as the outer wall of an apartment house or the inner wall of an elevator pit. It was difficult to apply the lifting metho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cause of the poured slab.

이는 콘크리트를 해당층의 기둥이나 내력벽 등과 상부층의 슬래브를 동시에 타설하는 즉, 콘크리트를 뒷박 엎은 꼴(또는 역됫박형, ∩형)로 시공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트래벌링 거푸집이나 터널 거푸집을 채용하기도 하지만 거푸집을 인양하기 위하여 별도의 대형장비가 필요하여 적용하기가 용이하지 못했다.This is because concrete is laid at the same time with pillars or bearing walls of the floor and slabs of the upper floor, that is, the concrete is laid up (or inverted and thin). In this case, it is not easy to apply because it requires a separate large equipment to lift the formwork, even though the traveling formwork or tunnel formwork.

본 발명의 특허출원인은 특허출원 제97-47932호(출원일 1997. 9. 20) 및 제97-53986호(출원일 1997. 10. 21)에서 구조물의 축조시 해당층의 슬래브와 그 층의 벽체를 동시에 타설하는 이른바 바른됫박형(∪형) 콘크리트 타설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해당 층의 바닥 슬래브 콘크리트와 벽체 콘크리트를 같이 타설함으로서 내부측 대형거푸집을 수직으로 인양하는데 장애물이 없어 내벽에도 대형거푸집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Patent applic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tent application Nos. 97-47932 (filed September 20, 1997) and 97-53986 (filed Oct. 21, 1997) filed the slab of the layer and the wall of the layer during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At the same time, it suggests the so-called right thin concrete pouring method. That is, by placing the floor slab concrete and the wall concrete of the floor together, there is no obstacle to lifting the inside large formwork vertically, so that the large formwork can be used on the inner wall.

본 출원은 상기 특허출원된 발명을 보다 개선한 것으로써, 첫째, 거푸집을 상부층으로 인양함에 있어 각기 독립된 유압잭을 이용함으로써 타워 크레인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 및 공기의 증가 문제와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둘째, 대형거푸집을 하부층 벽체에 지지하는 수직지지대가 하부층 벽체에서 약간 떨어져서 설치되는 바, 수직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수직지지대와 벽체 사이에 별도의 부재를 끼워 넣어야 되는 문제가 있으며, 초고층 아파트와 같은 경우에는상부층으로 갈수록 벽체의 두께가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바, 수직지지대를 하부층 벽체에 지지시키기 위해 매번 수직지지대와 벽체 사이에 끼워 넣는 부재를 바꿔야 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폭 조정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였다. 셋째, 슬래브 콘크리트와 벽체 콘크리트의 연속 타설시 콘크리트가 슬래브로 융기되어 빠져나옴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슬래브 콘크리트가 융기되지 않도록 경화된 다음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차 타설이 요구되며 이에 따른 비용의 증가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벽체 콘크리트가 슬래브쪽으로 융기하지 않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넷째, 거푸집의 전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거푸집널과 거푸집틀을 볼트를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볼트만 제거하면 거푸집 자재를 다른 평면 구조에 쉽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atented invention, firstly, in the lifting of the formwork to the upper layer, respectively, using a separate hydraulic jack to solve the problem of the increase of cost and air caused by using a tower crane and safety problems . Second, the vertical support supporting the large formwork to the lower floor wall is installed slightly away from the lower floor wall,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member must be insert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wall to fix the vertical support, such as in the case of high-rise apartmen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wall decreases step by step toward the upper layer, and there is a problem of changing the member insert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wall every time in order to support the vertical support on the lower layer wall. I solved the same problem. Third, in order to prevent the concrete from rising and coming out of the slab during continuous casting of the slab concrete and wall concrete, the timed casting is required because the slab concrete must be hardened so as not to rise and then the wall concrete is poured. Although there is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method in which the wall concrete does not rise toward the slab. Fourth, as the formwork and formwork are assembled using bolts to increase the formability of the formwork, the bolt material is removed so that the formwork material can be easily recycled to other flat structures.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 등의 내벽에도 대형거푸집(gang form)을 적용하여 보다 더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슬래브와 벽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대형거푸집의 안쪽 및 바깥쪽의 결합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large form (gang form) to the inner wall of the apartment house, etc. The device that can optimize the combina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large formwork that can cast slab and wall concrete more easily and efficiently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동주택의 내외벽에 대형거푸집을 적용할 때 슬래브 거푸집과 철근 배근 작업 및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대형거푸집의 안쪽 및 바깥쪽의 결합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capable of optimizing the combina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large formwork that can efficiently perform the slab formwork and reinforcement work and concrete placing work when applying the large formwork to the interior and exterior walls of the apartment house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체의 두께가 단계별로 변화하는 경우에도 기 설치되어 있는 대형거푸집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형거푸집의 안쪽 및 바깥쪽의 결합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capable of optimizing the joining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arge formwork, which can easily use the large formwork already installed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wall changes step by step.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래브 및 벽체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시 벽체 콘크리트가 슬래브쪽으로 융기하지 않아 콘크리트 타설 시공성 보장이 용이한 대형거푸집의 안쪽 및 바깥쪽의 결합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optimize the coupling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arge formwork easy to ensure the concrete construction properties because the wall concrete does not rise toward the slab when placing the slab and wall concret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푸집의 양중이 용이한 대형거푸집의 안쪽 및 바깥쪽의 결합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capable of optimizing the coupling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arge formwork easy to lift the form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형거푸집의 안쪽 및 바깥쪽의 결합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capable of optimizing the coupling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large formwork to improve the recyclability.

제1도는 종래의 거푸집 공법과 본 발명의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대형거푸집 공법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formwork method and the slab-wall separation-type large-size formwork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외부측 대형거푸집의 입면도이다.2 is an elevational view of the outer large formwork.

제3도는 외부측 및 내부측 대형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and inner large formwork is installed.

제4도는 대형거푸집 단면축소장치 하단부의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end of the large formwork section reduction apparatus.

제5도는 부착방지형 슬리이브의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of the anti-skid sleeve.

제6도는 충진형 슬리이브의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of a filled sleeve.

제7도는 전형적인 아파트 평면의 예이다.7 is an example of a typical apartment plane.

제8도는 합성데크의 사시도 및 입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and elevation view of the composite deck.

제9도는 제7도의 A-A 단면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10도는 제7도의 B-B 단면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제11도는 인코너 조립장치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corner assembly apparatus.

제12도 및 제13도는 아웃코너 조립장치의 구체예이다.12 and 13 are specific examples of the out-corner assembling apparatus.

제14도는 내부측 대형거푸집의 하부로 콘크리트가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메탈라스가 설치된 상태의 입면도이다.14 is an elevation view with a metal lath installed to prevent concrete from being pushed out to the bottom of the inner large formwork.

제15도는 거푸집널을 거푸집틀에 고정하는 방법과 폼타이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thod of fixing the formwork to the formwork and the form tie is installed.

제16도는 본 공법의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대형거푸집 공법의 시공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6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the slab-wall separating casting type large formwork method of the present method.

제17도 및 제18도는 대형거푸집을 인양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압잭의 단면도이다.17 and 18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hydraulic jack used for lifting a large formwork.

제19도는 계단실 부분의 축조 과정을 보여주는 공동주택 1세대의 사시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generation apartment house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tairs par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1: 슬래브 12: 벽 거푸집11: slab 12: wall formwork

13: 슬래브 거푸집 14: 벽13: slab formwork 14: wall

15, 16: 철근 20: 외부측 대형거푸집15, 16: Rebar 20: Large formwork on the outside

21: 수직지지대 22: 거푸집틀21: vertical support 22: formwork

23: 보호대(cage) 24: 거푸집널23: cage 24: formwork

25: 폼타이 볼트 26: 안전난간25: form tie bolt 26: safety railing

27: 폭 조정부재 30: 내부측 대형거푸집27: width adjusting member 30: large mold inside

31: 슬리이브 33: 개폐부분31: sleeve 33: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5: 활동수단 고정쐐기 39: 활동수단35: activity means fixing wedge 39: activity means

40: 합성데크 50: 인코너 조립장치40: Synthetic deck 50: Inner assembly unit

60: 아웃코너 조립장치 68: 메탈라스60: out corner assembly unit 68: metal lath

69: 물결나비형 스프링 와이어 70: 아웃코너용 거푸집69: wavy butterfly spring wire 70: formwork for out corner

80: 폼타이 90: 유압잭80: form tie 90: hydraulic jack

본 발명의 대형거푸집에 설치되는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결합장치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The in-corner and out-corner coupling device installed in the larg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drawings.

제1도는 통상 채용하는 역됫박형(∩형)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본 발명의 바른됫박형(∪형) 콘크리트 슬래브 벽의 분리타설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슬래브, 기둥 또는 벽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축조할 때 통상적인 동시타설 공법으로 벽 또는 기둥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동바리를 받치며 보와 슬래브용 거푸집을 연계하여 조립, 설치한 다음 슬래브 거푸집 위에서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기둥이나 벽과 슬래브를 동시에 구축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타설 방법은 철근 및 콘크리트 타설 작업 효율성이 양호하나 벽체 거푸집을 상부로 끌어올리는데 기 시공된 슬래브 구조물이 장해요소로 작용하여 내측 거푸집을 대형거푸집으로 제작해서 활용하기가어렵고, 콘크리트 수축에 따른 구조적인 취약점을 해결하기 어렵다. 다시 말하면 콘크리트는 통상 경화하면서 수축하는데 벽이나 기둥을 콘크리트로 축조할 경우 벽과 슬래브를 동시에 타설하는 공법으로 시공한다면(즉, 역됫박형 시공) 벽 또는 기둥 콘크리트는 경화하면서 수축량이 크게 증가하지만 슬래브와 연결되는 부위는 동바리 거푸집 등으로 수축이동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벽, 기둥과 연결되는 부위의 콘크리트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되는 취약점을 배제하지 못한다. 이러한 결함을 간편하게 해결하기 위하여 슬래브와 벽, 기둥 콘크리트를 분리타설 시공하는 공사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동시타설 공법에 비교하여 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공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제1b도는 바른됫박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즉 슬래브용 거푸집과 벽용 거푸집을 설치해 두고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슬래브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융기 현상을 제어하는 장치를 설치한 후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 같은 슬래브·벽 분리타설 방법은 벽체 콘크리트의 경화수축이 종료된 뒤 차기층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역됫박형으로 시공할 때 생기는 양생수축의 구조적인 결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특성이 있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reverse thin-wall concrete pouring method and a separate thin-wall concrete slab wall sepa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a slab, column or wall structure, install the formwork of the wall or column, support the copper bar, assemble and install the formwork for beams and slabs, and pour concrete on the slab formwork. Construct columns or walls and slabs at the same time. This concrete pouring method is good for reinforcing steel and concrete pouring work, but it is difficult to make and use the inner formwork as a large formwork because the slab structure constructed to pull up the wall formwork to the top acts as an obstacle,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vulnerability. In other words, concrete shrinks while hardening, but when constructing a wall or column with concrete, if the wall and slab are laid at the same time (i.e. reverse thinning), the wall or column concrete hardens, but the shrinkage increases significantly but Because the contraction movement is constrained by the formwork, the parts connected to the wall cannot be excluded because of the weak cracks in the concrete of the wall and the column. In order to solve these defects, the construction method of separating and installing slab, wall, and pillar concrete is being applied, but the efficiency is markedly lowered compared to the simultaneous casting method, and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improving this is required. Figure 1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asting of concrete in the right thin shape. In other words, the slab formwork and the wall formwork are installed, and the slab concrete is poured, and then the wall concrete is poured after installing the device to control the ridge phenomenon that can reduce the fluidity of the slab concrete. This slab-wall separation casting method has the characteristics of minimizing the structural defects of curing shrinkage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inverted thin-walled slabs after the hardening shrinkage of the wall concrete is finished.

제2도는 외부측 대형거푸집(20)의 입면도이다. 거푸집널(24)로써는 합판이나 철판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거푸집널은 거푸집틀에 고정된다. 거푸집틀은 별도의 채널형 부재를 이용하여 거푸집널의 외주면과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상기 거푸집틀에 다시 수직지지대(soldier,21)를 부착하고 상기 수직지지대는 아래쪽으로 2개층 정도를 연장시켜 기 시공한 하부층 벽체에 이를 고정한다.수직지지대(21) 외부에는 작업자 보호대(cage,23)가 설치되어, 여기에 작업발판을 깔아 작업대(working platform)를 만들며, 안전난간(26)을 달아 작업자가 작업 중 추락하는 사고를 막을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거푸집 작업을 위하여 별도의 비계가 필요가 없고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보호대(23)와 함께 상승하면서 하단부의 콘크리트 면처리를 할 수 있다.2 is an elevational view of the outer large formwork 20. As the formwork 24, plywood, iron sheets, or the like can be used. The formwork is fixed to the formwork. The formwork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horizontally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mwork using a separate channel type member. The vertical support (soldier, 21) is attached to the formwork again, and the vertical support extends about two floors downwards to fix it to the lower floor wall constructed. The worker support (cage, 23) outside the vertical support (21). ) Is installed, the working platform is laid here to make a working platform (working platform), the safety railing 26 i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at can prevent accidents that fall during work.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caffold for the formwork, and as the work progresses, the concrete surface treatment of the lower portion can be performed while rising with the guard 23.

내부측 대형거푸집(30)은 거푸집널(24)을 채널형 부재로 짜여진 거푸집틀(22)에 볼트로 고정하고 다시 수직지지대(21)를 고정한 구조로써, 이는 종래의 대형거푸집과 구조가 동일하나, 종래의 공법과는 달리 거푸집의 하부에 개폐부분(33)이 있고, 수직지지대(21)가 슬래브 구조물을 관통하여 아래층 벽체에 고정됨과 거푸집널(24)을 채널형 부재에 머리가 없는 무두 접시형 볼트(53) 및 사각형의 특수 너트로 고정하거나 해체할 수 있음으로 재활용이 용이하다는 차이가 있다.The inner large formwork 30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ormwork 24 is bolted to the formwork frame 22 woven into the channel member and the vertical support 21 is fixed again, which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large formwork.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3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ormwork, the vertical support 21 is fixed to the lower wall through the slab structure and the formwork 24 is a headless plate without head in the channel-like member There is a difference that it is easy to recycle because it can be fixed or dismantled by the type bolt 53 and a special nut of the square.

제3도는 외부측 대형거푸집(20) 및 내부측 대형거푸집(30)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상세도이다. 제3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외부측 대형거푸집(20)은 작업상의 안전을 확보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외부로 튀지 않게 하기 위하여 거푸집널을 슬래브 하단 레벨보다 70㎝-90㎝ 높이 설치한다. 내부측 대형거푸집(30)은 대형거푸집의 상단에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브라켓(37)으로 작업대(36)를 지지하고 작업대(36)위에 작업발판(합판, 체크플레이트 등)을 설치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가 생기지 않도록 안전난간(38)을 설치하였다. 내부측 대형거푸집(30)의 수직지지대는 선시공한 슬래브 관통 구멍(sleeve)을 통하여 하부 층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부 층의 벽에서 이미 설치되어 있는 매립형 폼타이 볼트(80)를 활용하여 볼트(25)로 재긴결하여 지지된다.3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large formwork 20 and the inner large formwork 30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3, the outer side large formwork 20 installs the formwork 70 cm to 90 cm higher than the slab bottom level in order to ensure safety in operation and prevent the concrete from splashing to the outside when placing concrete. The inner large formwork 30 supports the workbench 36 with the bracket 37 to secure the work space on the top of the large formwork, and installs the working scaffold (plywood, check plate, etc.) on the workbench 36, concrete Safety rails (38) were installed to prevent accidents that fall when the worker is poured. The vertical support of the inner large formwork 30 extends to the lower layer through the prefabricated slab through-holes and utilizes the buried form-ty bolt 80 that is already installed in the wall of the lower layer. It is supported by retightening.

제4도는 내부측 대형거푸집(30)의 하단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상세도이다. 내부측 대형거푸집(30)의 하단에는 대형거푸집의 일부를 여닫을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거푸집 하단부의 여닫이 구조는 슬래브(11) 철근 배근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남는 콘크리트를 인접 스팬으로 옮기기 위한 작업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4 is a cross-sectional detail view showing in detail the lower end of the inner large formwork (30). At the bottom of the inner large formwork 30 was designed to open and close a part of the large formwork. The opening structure of the lower part of the formwork is to facilitate the reinforcement of the slab (11) reinforcement, and to secure a working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remaining concrete to the adjacent span when placing the slab concrete.

거푸집틀에 부착되는 거푸집널은 상,하단부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단부 거푸집널은 거푸집틀(24)에 고정되어 있으나, 하단부 거푸집널(33)은 고정되지 않고 자유로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단부 거푸집널(33)의 하부쪽에는 거푸집틀과 같은 규격의 채널이 수평으로 부착되어 있고, 수직지지대(멍에)를 감싸는 ㄷ자형 활동수단(39)으로 고정, 부착되며, 상기 활동수단과 수직지지대(21)와의 사이에 삼각형 고정쐐기(35) 또는 볼트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쐐기(35)를 빼거나 볼트를 푼 뒤 활동수단을 손으로 잡고 개폐부분(33)을 밀어 올린 뒤 다시 고정쐐기를 박거나 볼트를 조이면 개폐부분이 열려진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개폐부분(33)은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안에는 이를 열어두어 철근 배근 작업의 효율성 향상은 물론, 남는 콘크리트를 인접 스팬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 활용하고, 슬래브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면 다시 고정쐐기를 뽑거나 볼트를 풀고 개폐부분을 내려 닫은 뒤 다시 고정쐐기 또는 볼트로 고정시킨다.The formwork attached to the formwork is separated into two parts, the upper and lower ends, the upper formwork is fixed to the formwork 24, but the lower formwork 33 is not fixed to be able to freely move up and down have.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formwork 33, a channel of the same standard as the formwork is horizontally attached, and is fixed and attached by a c-shaped activity means 39 surrounding a vertical support (yoke), and perpendicular to the activity means. A triangular fixing wedge 35 or a bolt is fixed between the support 21. Therefore, after removing the fixing wedge 35 or loosening the bolt, holding the active means by hand and pushing up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3 and then fixing the wedge or tightening the bolt is fixed in the open stat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3, while placing the slab concrete while opening i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as well as to use the passageway to move the remaining concrete to the adjacent span, and when the slab concrete is completed, the fixed wedge again Unplug or loosen the bolts, lower the opening and close it, and fix it again with a fixing wedge or bolt.

제4도에는 폭 조정부재(27)가 같이 도시되어 있다. 내부측 대형거푸집의 수직지지대는 하부층으로 연장되어 기 시공된 하부층 벽체에 고정된다. 그러나, 수직지지대가 일직선으로 하부층으로 연장될 경우 수직지지대와 콘크리트 벽체와의 사이에는 거푸집널(24) 및 거푸집틀(22) 두께만큼의 간격이 생기게 되며, 수직지지대(21)가 하부층 벽체에 밀착되지 않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고층 아파트와 같은 구조물은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벽체의 두께가 얇아지며, 이에 따라 상하층 벽체가 직선을 유지하지 않으며 따라서 수직지지대와 벽체간의 간격이 변하게 된다.4, the width adjusting member 27 is shown together. The vertical support of the inner large formwork extends to the lower layer and is fixed to the wall of the lower layer. However, when the vertical support extends in a straight line to the lower layer, a gap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concrete wall by the thickness of the formwork 24 and the formwork 22, and the vertical support 21 closely adheres to the lower layer wall. Will not be. Also, in general, a structure such as a high-rise apartment becomes thinner as the wall rise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walls do not maintain a straight line, and thus the gap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wall change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직지지대(21)의 중간에 폭 조정부재(27)를 끼워 넣는다. 상기 폭 조정부재(27)는 수직지지대(21)와 같은 규격으로 동일 재질을 사용하며, 중간에서 Z자형으로 두 번 구부러져 있고, 상, 하단에는 수직지지대의 중공 속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있어 수직지지대와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폭 조정부재(27)는 거푸집널 및 거푸집틀의 부재 두께만큼 안쪽으로 구부러져 들어오므로 수직지지대가 하부층 벽체에 밀착될 수 있으며, 벽체의 두께가 변할 경우에는 그 변화하는 두게에 해당하는 폭 조정부재(27)로 바꿔 사용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adjusting member 27 is inserted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support 21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idth adjusting member 27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vertical support 21, the same material, bent twice in the middle Z-shaped, the upper,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vertical support vertical support It can be combined with Since the width adjusting member 27 is bent inwards by the thickness of the formwork and the formwork, the vertical suppor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layer wall,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wall changes, the width adjustment corresponding to the changing thickness is made. It replaces with the member 27, and is used.

제5도 및 제6도는 내부측 대형거푸집의 수직지지대(21)와 슬래브 콘크리트가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하는 슬리이브 격리재(31,32)로 플라스틱 골판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내부측 대형거푸집의 수직지지대는 슬래브 거푸집을 관통하여 기시공된 하부층 벽체에 고정되므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슬래브 콘크리트에 상기 수직지지대가 매설되면 대형거푸집의 탈형이 용이하지 않은 바, 거푸집의 탈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as sleeve isolators 31 and 32 which are installed at the parts where the vertical support 21 and the slab concrete of the inner side large formwork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ince the vertical support of the large formwork on the inside is fixed to the lower layer wall constructed through the slab formwork, if the vertical support is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when slab concrete is placed, it is not easy to demould the large formwork. To do this.

제5도는 수직지지대의 주위를 슬리이브 격리재(31)로 감싸 수직지지대가 콘크리트에 매설되지 않도록 하는 부착방지형 슬리이브로써, 플라스틱 골판지 또는 이와 유사한 성질을 지닌 발포성 재료를 사용한다.FIG. 5 is an anti-stick sleeve that wraps around the vertical support with the sleeve isolation material 31 to prevent the vertical support from being embedded in concrete, and uses plastic corrugated foam or foam material having similar properties.

제6도는 수직지지대의 주위에 채움재를 충진하는 충진형 슬리이브(32)로써, 고무판이나 연질 우레탄보드, 성형스티로폼 또는 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재료를 사용한다. 이 경우 완충격리재(32b) 내부에 채워진 공기가 거푸집을 인양할 때 터지면서 채움재(32a)와 슬래브 콘크리트(11) 사이에 공간이 생겨 대형거푸집을 쉽게 인양할 수 있다.FIG. 6 is a filling type sleeve 32 filling a filler around a vertical support, using a rubber plate or a flexible urethane board, molded styrofoam or similar material. In this case, when the air filled in the buffer isolator 32b pops up when lifting the formwork,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lling material 32a and the slab concrete 11 so that the large formwork can be easily lifted.

제7도는 전형적인 아파트 평면의 예를 보인 것이다. 평면도에서 내벽에 빗금친 곳은 내력벽이고, 화살표는 합성데크(40)가 깔리는 방향을 표시한다.7 shows an example of a typical apartment plane. In the plan view, the hatched portion of the inner wall is the bearing wall, and the arrow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osite deck 40 is laid.

제8도는 본 발명에서 슬래브용 거푸집 대신에 채용하는 합성데크(40)의 사시도와 단면상세도이다. 합성데크(40)는 철선(44)을 구부려 상단근(43)과 하단근(42)의 위치를 유지하게 하고 데크(41)에 용접 고정되어 철근과 데크가 일체거동하도록 제작된 기존의 구조용 데크의 일종이다. 자체 강성과 하중 저항능력이 크기 때문에 3m∼4m 정도 스팬에서 중간에 지지점이 없어도 자중과 시공하중을 견딜 수 있다. 합성데크 사이는 자체에 형성된 인터록킹 키에 의해 종방향으로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슬래브 철근을 배근하나, 본 발명에서는 벽체용 대형거푸집이 이미 설치되어 있어 장척의 슬래브 철근을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슬래브 거푸집과 철근이 일체화된 합성데크(40)를 슬래브의거푸집 및 철근으로 이용하는 것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detail view of the composite deck 40 to be used in place of the slab form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Synthetic deck 40 is bent the wire 44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upper bar 43 and the lower bar (42) and welded to the deck 41 is fixed to the existing structural deck made so that the reinforcing bar and deck It is a kind of. Because of its high rigidity and load-resistance capacity, it can withstand its own weight and construction load even when there is no support point in the middle of span of 3m ~ 4m. The composite decks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interlocking keys formed therein. Typically, the slab formwork is installed after the slab reinforcemen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large formwork for the wall is already installed because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long slab reinforcement slab formwork and the reinforcing bar integrated composite deck (40) It is to use as a formwork and reinforcing bar of slab.

제9도는 제7도의 A-A 단면 상세도이다. 제7도에서 내력벽의 간격이 3∼4m 정도인 곳에서는 중간에 동바리를 받히지 않아도 충분히 하중을 견딜 수 있다. 합성데크는 벽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단에 층고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대(45)를 수평을 맞춰 설치한다. 받침대(45)는 특별히 이 용도로 철물(ㄱ형강, ㄷ형강 등)을 가공하여 벽을 관통하여 폼타이 볼트로 고정할 수도 있고, 각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대(45)의 상단에 합성데크(40)의 끝을 걸치고, 걸침 깊이는 합성데크 공급자의 지침서를 따른다. 상기 합성데크(40)는 공장에서 제작되어 품질의 균질성과 신뢰성이 확보되므로 품질을 확보하면서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합성데크는 하중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가 개발되어 있으므로 아파트의 평면과 하중의 크기에 따라 선택하거나 구조계산에 따라 주문생산할 수도 있다.9 is a detailed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 In Fig. 7, where the gap of the bearing wall is about 3 to 4 m, the load can be sufficiently tolerated even without being in the middle. Synthetic deck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pedestal 45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loor after the wall concrete is cured. The pedestal 45 may be fixed with a form tie bolt through a wall by processing hardware (a-beam, a-c-beam, etc.) for this purpose. Hook the end of the composite deck 40 on the top of the pedestal 45, the depth of engagement follows the instructions of the composite deck supplier. Since the synthetic deck 40 is manufactured at the factory, the homogeneity and reliability of the quality can be secured,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while ensuring the quality. Composite decks have been developed to cope with loads, so they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lane and load size of the apartment or can be made to order based on structural calculation.

제10도는 제7도 B-B 단면도이다. 내력벽의 간격이 합성데크가 지탱할 수 있는 경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부에 장선(47)을 넣고 이를 동바리(48)로 받혀 합성데크(40)를 지지한다. 동바리로 받힐 필요가 있는 간격은 합성데크의 지탱한계 간격인 3∼4m를 초과하는 경우로, 합성데크를 설치한 뒤에는 시방서나 구조규준에 따라 보강 및 온도철근(49)을 배근한다.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If the spacing of the bearing wall exceeds the span that the composite deck can support, the joist 47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and is supported by the copper club 48 to support the composite deck 40. The distance that needs to be supported by the copper bar exceeds 3 to 4m, which is the support limit of the composite deck. After the composite deck is installed, reinforcement and temperature reinforcement 49 are dispo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r structural standards.

제11도는 본 발명의 인코너 조립장치(50)가 설치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인코너 조립장치(50)는 L자형의 철판(51)의 양 단부에 수직으로 채널형 부재인 인코너 거푸집틀(52)을 부착하고 상기 인코너 거푸집틀(52)과 내부측 대형거푸집의 거푸집틀(22)을 그립(56)으로 고정한 것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ner assembly apparatu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inner corner assembly apparatus 50 attaches the inner mold 52, which is a channel member vertically to both ends of the L-shaped iron plate 51, and the inner mold 52 of the inner mold 52 and the inner large mold 22 ) Is fixed by the grip (56).

L자형 철판(51)과 인코너 거푸집틀(52)은 무두 접시형 볼트(53)와 사각 너트(54)를 이용하여 조립되며, 따라서 조립후 볼트 머리가 철판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사각 너트(54)가 거푸집틀(52)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으므로 손쉽게 볼트(53)를 체결할 수 있다.The L-shaped iron plate 51 and the inner formwork frame 52 are assembled using the flat plate plate bolt 53 and the square nut 54, so that the bolt head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iron plate after assembly, and the square nut 54 ) Does not rotate inside the formwork 52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bolt (53).

내부측 대형거푸집의 거푸집틀(22)에는 볼트구멍(22a)을 가로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거푸집틀(22)의 내부 사각 너트(54)와 거푸집널(24) 사이의 무두 접시형 볼트(53)에 스프링 와셔(55)를 끼워 고정하므로 거푸집틀(22)이 좌우로 약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거푸집널(24)의 단부와 거푸집틀(22)의 단부는 일치시키지 않고 거푸집틀(22)이 약간 더 돌출하도록 가공, 조립한다. 인코너 조립장치(50)와 내부측 대형거푸집 사이에 유격이 없으면 나중에 해체가 되지 않으므로 해체시 거푸집틀(22)을 바깥쪽으로 약간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거푸집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e formwork 22 of the inner large formwork, a bolt hole 22a is formed in a long oval horizontally, and the tannery plate bolt 53 between the inner square nut 54 and the formwork 24 of the formwork 22 is formed. The spring washer 55 is fixed to the shell so that the formwork 22 can be slightly moved from side to side, and the end of the formwork 24 and the end of the formwork 22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Process and assemble to slightly protrude. If there is no play between the inner corner assembly device 50 and the inner large formwork, since it is not dismantled later, it is to facilitate the disassembly of the formwork so that the formwork frame 22 can be slightly flowed out during dismantling.

인코너 거푸집틀과 내부측 대형거푸집의 거푸집틀을 결속하는 그립(56)은 거푸집틀의 외부쪽과 채널형 부재의 중간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중앙에 볼트 구멍(57)이 형성되어 있어 그 구멍(57)에 머리가 타원형인 볼트(58)를 끼워 채널형 부재의 양 날개에 볼트(58) 머리를 걸치고 그립(56)의 외부에서 너트(59)로 조여 고정할 수 있다. 즉, 볼트(58)의 머리를 채널형 부재의 안쪽으로 삽입한 다음 볼트를 90°회전시키면 볼트 머리가 채널형 부재의 양 날개에 걸쳐지고 그 상태에서 외부에서 너트(59)를 체결하면 거푸집이 일체화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볼트(58)와 너트(59) 대신에 나사못을 사용할 수 있다. 거푸집틀(22, 52)의 내부에 채널형 부재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목재 또는 연질 플라스틱을 삽입하게되면 그립(53)을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The grip 56 which binds the formwork of the inner formwork and the large formwork on the inner side has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outer groove of the formwork and the intermediate groove of the channel member, and a bolt hole 57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bolt 58 having an elliptical head is inserted into the hole 57 to fasten the bolt 58 head to both wings of the channel-shaped member, and to fix it by tightening the nut 59 from the outside of the grip 56. That is, if the head of the bolt 58 is inserted into the channel member and then rotated by 90 °, the bolt head spans both wings of the channel member and the nut 59 is tightened from the outside in that state. Are integrated. Although not shown, a screw may be used in place of the bolt 58 and the nut 59. When the wood or soft plastic is inserted in order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channel-like member in the molds 22 and 52, the grip 53 may be fixed using a screw.

제12도는 본 발명의 아웃코너 조립장치의 구체예이다. 아웃코너 조립장치는 갈고리와 같은 형상으로, 갈고리(62)의 끝부분은 두 개의 돌출부(61)가 형성되어 서로 직교하는 거푸집의 거푸집틀(22)중 한쪽의 거푸집틀의 외부와 중앙 홈(67)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갈고리의 자루 부분에는 평평한 판상의 조립날개(63)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조립날개(63)에는 볼트 구멍(64)이 뚫려 있어 다른쪽 거푸집틀(22)을 볼트(65)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조립날개(63)에 구멍을 뚫은 다음 상기 구멍에 너트(66)를 부착하고 일반 볼트(65)를 외부에서 볼트의 나사 부분이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체결하여 거푸집을 조립한다. 상기 볼트를 거푸집틀(22)의 내부에서 결속하지 않더라도 갈고리 끝부분의 돌출부(61)가 거푸집틀(22)의 홈(67)에 삽입되므로 충분히 강하게 결속할 수 있다.12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out-corner assemb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corner assembling device has a hook-like shape, and the end of the hook 62 has two protrusions 61 formed thereon, so that the outer and center grooves of one of the formwork frames 22 of the formwork orthogonal to each other are formed. ), And a flat plate-like assembly blade 63 is attached to the bag portion of the hook. A bolt hole 64 is drilled in the assembly blade 63, so that the other formwork 22 can be fixed using the bolt 65. After assembling a hole in the assembly blade (63), attach the nut (66) to the hole, and fasten the general bolt (65) so that the screw part of the bolt is inserted inward to assemble the formwork. Even if the bolt is not fastened inside the mold 22, the protrusion 61 at the end of the hook is inserted into the groove 67 of the mold 22, so that the bolt can be sufficiently strong.

제13도는 상기 아웃코너 조립장치의 다른 구체예이다. L자 형상으로 거푸집널을 제작하고 상기 거푸집널의 외부쪽으로 거푸집틀(22)을 부착하여 아웃코너용 거푸집(70)을 제작한다. 상기 아웃코너용 거푸집(70)과 내부측 대형거푸집(30)을 정렬하여 설치한 뒤 인접한 두 개의 거푸집틀에 제11도의 그립(56)을 설치하여 결합한다.Figure 1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out-corner assembling apparatus. Forming the formwork in the L-shape and attaching the formwork frame 22 to the outside of the formwork to produce the formwork for the out corner 70. The out-corner formwork 70 and the inner large formwork 30 are aligned and installed, and then the grip 56 of FIG. 11 is coupled to two adjacent formwork frames.

제14도는 벽체 콘크리트가 슬래브쪽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메탈라스(68)와 이를 고정하는 물결나비형 스프링 와이어(69)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후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벽체 콘크리트가슬래브쪽으로 융기되어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벽체 거푸집의 하단부에 메탈라스(68)를 설치하는 것이다. 메탈라스(68)는 거푸집 하단부에 U자형으로 절곡되어 설치되며, 물결나비형 스프링 와이어(69)가 상기 메탈라스의 내부쪽에 접혀진 상태로 벽체 철근에 결속된다. 슬래브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거푸집 하단부 개폐부분을 열어놓아야 하므로 메탈라스도 위로 올라간 상태에서 설치되며, 슬래브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후 접혀져 있던 물결나비형 스프링 와이어를 풀고 상기 메탈라스를 거푸집 하단으로 끌어내리면 상기 와이어가 펼쳐지면서 메탈라스가 함께 펼쳐지게 된다. 벽체 콘크리트는 상기 메탈라스에 의해 차단되어 슬래브 쪽으로 누출되지 않게 되므로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슬래브 쪽으로 벽체 콘크리트가 융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tal lath 68 and a wave butterfly spring wire 69 for fixing the wall concrete to prevent the wall concrete from escaping toward the slab. Since the wall concrete is poured after the slab concrete is poured, the wall concrete can be elevated to the slab, so that the metal slab 68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formwork to prevent it. The metal lath 68 is installed bent in a U-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formwork, and is bound to the wall reinforcement in a state where the wave butterfly spring wire 69 is folded inside the metal lath. In the case of slab reinforcement and concrete pouring, the opening of the lower part of the formwork should be opened, so the metal lath is installed up, and after the slab reinforcement and concrete pouring are completed, the folded wavy butterfly spring wire is released and the metal lath is removed from the bottom of the formwork. When pulled down, the wire is unfolded and the metal lath is unfolded together. Since the wall concrete is blocked by the metal lath and does not leak toward the sla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ll concrete from rising toward the slab during wall concrete pouring.

제15도는 거푸집틀(22)과 거푸집널(24)을 조립하는 방법 및 폼타이(80)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15(a)도에서 거푸집널(24)에 경사 구멍을 뚫고 상기 경사 구멍에 머리가 없는 무두 접시형 볼트(53)를 거푸집틀(22)의 채널형 부재 속으로 삽입하고 채널형 부재의 내부에서 사각 너트(54)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기 사각 너트(54)는 거푸집틀(22) 채널형 부재의 내경과 치수가 거의 일치하므로 무두 접시형 볼트(53)를 외부에서 돌리면 사각 너트(54)가 채널형 부재에 지지되어 회전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무두 접시형 볼트(53)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무두 접시형 볼트(53)만 제거하면 거푸집널(24) 및 거푸집틀(22)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평면의 규격이 다른 현장에도 이용할 수 있어 자원의 재활용성이 향상된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thod of assembling the formwork 22 and the formwork 24 and the form tie 80 is installed. In Fig. 15 (a), drill a slanted hole in the formwork 24, insert the headless tannery-shaped bolt 53 into the channel-like member of the formwork 22 and insert the headless bolt into the channel-like member of the formwork 22. Fasten using square nuts (54). Since the square nut 54 substantially matches the inner diameter of the formwork 22 channel member, turning the flat plate bolt 53 from the outside does not rotate because the square nut 54 is supported by the channel member. The flat plate bolt 53 can be fastened. By removing only the tannery plate bolt 53, the formwork 24 and the formwork 22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an be used in a site having a different plane standard, thereby improving resource recycling.

제15(b)도는 폼타이(80)가 설치된 상태로써 거푸집틀(22)의 구멍부분에 P콘(81)을 설치하고 상기 P콘(81) 사이에 폼타이(80)를 설치하고 거푸집틀(22)과 수직지지대(21)를 관통하여 볼트(82)를 설치하고 조이면 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된다.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후 상기 볼트(82)를 제거하고 상부층으로 거푸집을 인양하여 재설치시 수직지지대(21)를 상기 P콘(81)에 재고정하여 상부층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제15(d)도는 상부층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후 P콘(81)을 제거하고 그라우팅을 한 상태이다.FIG. 15 (b) shows that the form tie 80 is installed with the P cone 81 in the hole of the formwork 22, and the form tie 80 is installed between the P cones 81, and The installation of the formwork is completed by installing and tightening the bolt 82 through the 22 and the vertical support 21. After placing and curing concrete, remove the bolts 82 and lift the formwork to the upper layer and re-install the vertical support 21 to the P-con 81 when re-installing to pour the upper layer concrete, and FIG. 15 (d) shows the upper layer concrete. After pouring is completed, the P cone 81 is removed and grouted.

제16도에 따라 본 발명의 합성데크를 사용한 슬래브·벽 분리타설식 대형거푸집 공법의 공사 순서를 설명한다.According to FIG. 16, the construction procedure of the slab / wall separation type large formwork method using the composite deck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제16a도는 외벽에 대형거푸집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외벽의 바깥쪽에는 통상 사용하는 대형거푸집(20)을 설치하되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외부로 튀지 않게 하기 위하여 거푸집 널(제3도의 24)을 차기 해당 층의 슬래브 하단부보다 70㎝∼90㎝ 높이 설치한다. 내측면에는 내부측 대형거푸집(30)을 설치한다. 합성데크(40)가 설치되어 있고 슬래브(11)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벽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직전의 상황도이다.Fig. 16A shows a state in which a large formwork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n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a large formwork 20 is usually used, but formwork boards (24 in FIG. 3) are installed 70 cm to 90 cm from the bottom of the slab in order to prevent concrete from splashing to the outside when placing concrete. Install high. On the inner side is installed an inner large formwork (30). The composite deck 40 is installed, the slab (11) is the situation diagram just before pouring the concrete after pouring the concrete.

제16b도는 내부측 대형거푸집을 설치한 것이다. 내부측 대형거푸집에 작업대와 안전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제16a도와 제16b도에서 벽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시방서의 거푸집 존치기간이 지난 후 탈형시키고 인양한다.Figure 16b is to install a large formwork inside. The workbench and safety railing are installed in the large formwork inside. In wall 16a and 16b, wall concrete is cast and demolded and salvaged after the form deadline of the specification.

제16c도는 제16b도의 내부측 대형거푸집(30)을 상부층의 내벽 위치로 인양시키는 중간을 나타낸다. 인양작업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양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유압잭(Jack, 90)을 이용하여 인양한다. 유압잭(90)은 대형거푸집 1판당 2개 내지 3개를 이용하며, 상기 유압잭의 실린더 상단에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는 다리를 부착하고 상기 다리가 거푸집틀에 걸쳐지도록 설치한 후 전동 모터에 의해서 각각의 유압잭에 균일하게 유압을 가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거푸집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한다.FIG. 16C shows the middle of lifting the inner large formwork 30 of FIG. 16B to the inner wall position of the upper layer. The lifting operation may be lifted using a cran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is carried out using a hydraulic jack 90. The hydraulic jack 90 uses two to three pieces per large die, and attaches a leg capable of supporting the formwork to the cylinder top of the hydraulic jack, and installs the leg so as to span the formwork, respectively, by an electric motor. Evenly apply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jack of the so that the formwork can be lifted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제17도 및 제18도는 본 발명에서 대형거푸집을 인양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압잭(90)의 단면도로써, 제17도는 유압잭의 실린더가 축소된 상태이고, 제18도는 실린더가 팽창된 상태이다. 유압잭(90)은 오일(100)이 채워지는 제1중공(96)과 실린더가 삽입되는 제2중공(97)이 형성된 유압잭 틀(91)의 제2중공(97)에 제1실린더(92)가 삽입되어 상기 제2중공(97)의 내부를 제1실린더(92)가 슬라이딩하며, 제1실린더(92)의 내부에 제3중공(98)이 형성되고 제2실린더(93)가 설치되어 상기 제3중공(98)의 내부를 제2실린더(93)가 슬라이딩한다. 유압잭 틀(91)의 제1 및 제2중공(96,97)은 유압 실린더(94)와 도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압잭 틀(91)과 유압 실린더(94)의 내부에는 오일(100)이 충진된다. 유압 실린더(94)에는 제4중공(99)이 형성되고 상기 제4중공(99)에는 피스톤(95)이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95)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2중공(97)에 충진된 오일(10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유압이 가해지면 제1실린더(92)가 위쪽으로 상승하며 제1실린더(92)와 함께 제2실린더(93)도 상승한다. 제1실린더의 하부쪽에는 외부로 턱(103)이 형성되며 상기 턱(103)이 제2중공의 상부에 있는 턱(104)에 지지되면 제1실린더(92)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제2실린더(93)만이 상승하기 시작하여, 제2실린더의 하부쪽에 있는 턱(105)이 제3중공의 상부에 있는 턱(106)에 지지될 때까지 상승한다. 제2실린더(93)의 내부에는 암나사(101)가 형성되고 수나사가 형성된 봉(102)을 설치하고 상기 봉을 적절히 회전시켜 레벨을 조절한다. 또한 실린더를 3단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17 and 18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hydraulic jack 90 used to lift a large form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cylinder of the hydraulic jack is reduced, Figure 18 is an expanded state of the cylinder. The hydraulic jack 90 has a first cylinder 92 in the second hollow 97 of the hydraulic jack frame 91 having the first hollow 96 filled with the oil 100 and the second hollow 97 into which the cylinder is inserted. Is inserted to slide the first cylinder 92 inside the second hollow 97, the third hollow 98 is formed in the first cylinder 92, and the second cylinder 93 is installed. The second cylinder 93 slides inside the third hollow 98. The first and second hollow holes 96 and 97 of the hydraulic jack frame 91 are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94 by a conduit, and oil 100 is filled in the hydraulic jack frame 91 and the hydraulic cylinder 94. . The fourth hollow 99 is formed in the hydraulic cylinder 94, and the piston 95 is inserted into the fourth hollow 99, and the oil filled in the second hollow 97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95. Pressure is applied to (100).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he first cylinder 92 rises upward and the second cylinder 93 also rises together with the first cylinder 92. When the jaw 103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jaw 103 is supported by the jaw 104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llow, the first cylinder 92 no longer rises and the second cylinder is not raised. Only the cylinder 93 starts to rise, until the jaw 105 a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ylinder is supported by the jaw 106 at the top of the third hollow. A female thread 101 is formed inside the second cylinder 93 and a rod 102 having a male thread is installed, and the rod is properly rotated to adjust the level.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cylinder in three or more stages.

유압 실린더(94)의 피스톤(95)은 전동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제1 및 제2실린더는 유압에 의해 상승 및 하강을 하며 3m정도까지 팽창이 가능하도록 한다. 종래에는 수동 레버를 동작시켜 유압을 가함으로써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대형거푸집에 2개 이상 다수개의 유압잭을 설치하여 거푸집을 인양할 경우 다수개의 유압잭을 균일하게 작동시키는 것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유압잭(90)을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대형거푸집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균일하게 인양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iston 95 of the hydraulic cylinder 94 is driven by an electric motor (not shown).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are raised and lowered by hydraulic pressure, and are capable of expansion to about 3m. Conventionally, the operation is inefficient by operating the manual lever to apply hydraulic pressure, and when two or more hydraulic jacks are installed on a large formwork to lift the formwork,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plurality of hydraulic jacks uniformly. By driving 90) by an electric motor, it is possible to lift the large formwork uniformly in a state where it is kept horizontal.

제16d도는 인양이 완료되고 내부측 거푸집을 설치완료한 상태이다.Figure 16d shows that the lifting is completed and the inner formwork is installed.

제16d도 및 제16e도와 같이, 내부측 대형거푸집(30) 설치가 완료되면 합성데크(40)를 설치한다. 내벽의 대형거푸집(30)이 설치가 완료될 때 개폐부분(33)은 열린 상태(제4도의 33')로 고정해 두어 합성데크(40)의 설치작업이 수월하게 한다. 제16d도와 제16e도는 합성데크(4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16d and 16e,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inner large formwork 30 is completed, the composite deck 40 is installed. When the large formwork 30 of the inner wall is complete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3 is fixed to the open state (33 'of FIG. 4)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composite deck 40. 16d and 16e show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of the composite deck 40 is completed.

제16e도와 제16f도와 같이, 합성데크(40) 설치가 완료되면 슬래브부터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내부측 대형거푸집(30) 하단부의 개폐부분(33, 제4도 참조)은 열려 있으므로 상기 개폐부분을 통하여 인근 구획 또는 인근 세대 쪽으로 쉽게 남는 콘크리트를 옮길 수 있다. 종래 대형거푸집 공법에서 내벽의 앞뒤를 돌아 남은콘크리트를 처리하기 때문에 생기는 작업의 비효율성과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 완료되면 메탈라스를 내려 설치하고, 내부측 대형거푸집의 개폐부분(33)을 내려 열린 곳을 닿고 다음 구획으로 넘어간다. 제16e도와 제16f도 사이의 슬래브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상태를 나타낸다.16e and 16f,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composite deck 40 is completed, the concrete is poured from the slab.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3 (see FIG. 4)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large formwork 30 is open, the concrete can be easily moved to the neighboring compartment or the neighboring househol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 the conventional large-sized formwork method is to solve the problems of inefficiency and safety caused by the processing of the remaining concrete around the inner wall. When slab concrete is finished pouring down the metal lath is installe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3 of the inner large formwork to reach the open place and go to the next section. The slab between FIG. 16E and FIG. 16F shows the state after casting concrete.

제16f도와 제16g도는 벽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태를 나타낸다. 벽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거푸집 존치기간을 지나면 외부측 대형거푸집(20)을 인양시켜 상부층에 설치하고 벽체 철근(15)을 내부측 대형거푸집(30)의 작업대와 안전난간에 의지하여 배근한 후에 내부측 대형거푸집(30)을 인양시켜 상부층에 설치하면 제16a도 상태가 되어 한 작업주기가 완성된다.16F and 16G show the state after pouring the wall concrete. After the wall concrete is cured and passes through the form survival period, the outer large formwork 20 is lif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layer, and the wall reinforcement 15 is reinforced by relying on the workbench and safety rail of the large formwork 30 inside. When the large formwork 30 is lif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layer, the work cycle is completed as the state of FIG. 16a is completed.

제19도는 공동주택의 계단실 부분의 축조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공법은 바른 됫박형으로 구조체를 축조하기 때문에 계단실을 일반적인 공법으로 축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공법에서는 계단실 부분만을 PC 박스로 제조하여 현장에서 조립한다. PC로 계단실을 조립하는 공법은 일반적인 PC 공법과 동일하며, 계단실을 PC로 시공함으로써 계단실 부분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벽체가 선시공됨에 따라 작업동선이 단절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19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taircase part of the multi-family house. Since this construction method constructs the structure in the correct thin shape, it is not easy to construct the staircase by the general construction method. Therefore, in this method, only the staircase part is manufactured in a PC box and assembled in the field.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staircase with the PC is the same as the general PC method, and by constructing the staircase with the PC,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part of the staircase and solve the problem of disconnection of the working line as the wall is pre-installed.

종래에는 슬래브 구조물이 장애물이 되어 내벽에는 대형거푸집을 사용하기가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슬래브 벽 분리 타설식 대형거푸집 공법을 이용함으로써, 내벽에도 대형거푸집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이고 신속한 구조물의 축조가 가능하게 되었다.In the past, it was difficult to use a large formwork on the inner wall due to the slab structure is an obstacle, but by using the large formwork of the slab wall separation cas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uild a more economical and faster structure by using a large formwork on the inner wall. Was done.

철근과 데크플레이트가 일체화된 합성데크를 이용함으로써 철근 공사 및 슬래브 거푸집 공사를 합리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대형거푸집공법과 결합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었다.By using the composite deck with integrated reinforcing bar and deck plate, it is possible to rationalize the reinforcing work and slab formwork and maximize the productivity by combining with the large formwork.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 콘크리트가 슬래브쪽으로 융기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였으나, 메탈라스와 물결나비형 스프링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어 콘크리트의 타설이 용이하게 되었다.When wall concrete was poured, the biggest problem was that the wall concrete was raised to the slab, but the metal slab and the wave butterfly spring wire were used to prevent this, so that the concrete was easily placed.

폭 조정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수직지지대가 아래층 벽체에 밀착되어 대형거푸집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벽체의 두께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폭 조정부재만을 교환함으로써 손쉽게 대응이 가능하다.By using the width adjusting member, the vertical suppor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wall to fix the large formwork more firmly, and in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wall changes, it can be easily responded by replacing only the width adjusting member.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잭을 이용함으로써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안전하며 경제적이다.It is easy, safe and economical to install and dismantle the formwork by using the hydraulic jack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거푸집널을 무두 접시형 볼트를 이용하여 거푸집틀에 고정함으로써 추후 거푸집널과 거푸집틀을 분리하여 재활용하기가 용이하며 거푸집의 전용성이 향상되고 원가절감에 유리하다.By fixing the formwork to the formwork using the tannery plate bolt, the formwork and the formwork can be separated and recycled later, and the formability of the formwork is improved and it is advantageous for cost reduction.

Claims (2)

L자형의 철판(51);L-shaped iron plate 51; 채널형의 부재로써 상기 L자형의 철판(51)의 양 단부에 무두 접시형 볼트(53)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부착되는 인코너 거푸집틀(52);An inner formwork frame 52 which is vertically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L-shaped iron plate 51 as a channel member by using a tannery-shaped bolt 53; 상기 인코너 거푸집틀(52)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내부측 대형거푸집의 거푸집틀(22)을 결속하며 중앙에 볼트구멍(57)이 형성된 그립(56);A grip 56 that binds the formwork frame 22 of the large formwork inside the adjacent formwork formwork 52 and has a bolt hole 57 in the center thereof; 머리가 상기 그립(56)의 볼트구멍(57)을 관통하여 상기 거푸집틀(22,52)의 안쪽으로 삽입되며, 머리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90°회전시키면 상기 머리가 상기 거푸집틀(22,52)의 양 날개에 걸쳐지는 볼트(58); 및,The head penetrates through the bolt hole 57 of the grip 56 and is inserted into the molds 22 and 52. When the head is formed into an oval shape and rotated by 90 °, the head is turned into the molds 22 and 52. A bolt 58 spanning both wings of the shell; And, 상기 그립의 외부에서 상기 볼트(58)에 체결되는 너트(59);A nut (59) fastened to the bolt (58) outside of the grip; 로 구성되며, 내부측 대형거푸집의 거푸집틀(22)과 거푸집널(24)은 무두 접시형 볼트(53)로 결속되며, 거푸집틀(22)에는 좌우로 긴 타원형 구멍(22a)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56)이 해체된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틀(22)을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철근이 부착된 데크플레이트(합성데크)를 사용한 슬래브 벽 분리타설식 대형거푸집용 인코너 조립장치.Consists of, the formwork frame 22 and the formwork 24 of the large formwork inside is bound by a tannery plate bolt 53, the formwork 22 is formed with a long oval hole (22a) to the left and right Insulator assembly device for slab wall detachment type large formwork using a deck plate (synthetic deck) with a reinforc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 frame (22) can move from side to side in the state that the grip 56 is dismantled. L자 형상의 부재로써 한쪽 단부에는 거푸집틀(22)을 감싸는 돌출부와 거푸집틀의 중간에 형성된 홈(67)에 삽입되는 돌출부(61)가 형성되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두 개의 거푸집틀을 외부쪽에서 고정하는 갈고리(62);As an L-shaped member, one end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enclosing the formwork 22 and a protrusion 61 inserted into the groove 67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ormwork so that the two formwork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re formed. Hook 62 fixed at the side; 상기 갈고리(62)의 자루 부분에 상기 갈고리(62)에 직교하여 한쪽 또는 양쪽으로 연장되며,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너트(66)가 부착된 조립날개(63); 및,An assembly blade (63) extending at one or both sides perpendicular to the hook (62) in the bag portion of the hook (62), with a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nut (66) attached to the hole; And, 외부쪽에서 상기 너트(66)에 체결되어 나사부분이 거푸집틀(22)의 홈(67) 사이로 삽입되는 볼트(65);A bolt (65) fastened to the nut (66) from the outside and inserted into a groove (67) of the die frame (2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철근이 부착된 데크플레이트(합성데크)를 사용한 슬래브 벽 분리타설식 대형거푸집용 아웃코너 조립장치.Outer corner assembly apparatus for slab wall separation placing type large formwork using a deck plate (synthetic deck) attached to the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1020010019624A 2001-04-12 2001-04-12 inconer and outconer assembling apparatus for gang form using segregation pouring method and deck plate equipped reinforced steel bar KR1003367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624A KR100336710B1 (en) 2001-04-12 2001-04-12 inconer and outconer assembling apparatus for gang form using segregation pouring method and deck plate equipped reinforced steel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624A KR100336710B1 (en) 2001-04-12 2001-04-12 inconer and outconer assembling apparatus for gang form using segregation pouring method and deck plate equipped reinforced steel ba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616A Division KR100363008B1 (en) 1997-10-21 1998-10-19 Form work for separating and constructing slab and wall by using deck plate attaching steel reinforcement and gang 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207A KR20010073207A (en) 2001-07-31
KR100336710B1 true KR100336710B1 (en) 2002-05-13

Family

ID=1970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624A KR100336710B1 (en) 2001-04-12 2001-04-12 inconer and outconer assembling apparatus for gang form using segregation pouring method and deck plate equipped reinforced steel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7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252B1 (en) * 2009-06-02 2012-01-17 주식회사 알엠에스기산 Stopper mount dynamic da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207A (en) 2001-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990B1 (en) Outside heat-insulation wall method and outside heat-insulation wall thereby
KR101903628B1 (en) Precast Double Wall Structure with Enhanced Seismic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G187296A1 (en) A multi-storey building with prefabricated members and a semi-prefabricating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50002463U (en) The outer wall for easy construction
KR100814442B1 (en) Concrete mold for flat plate slab/flat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75359B1 (en) Concrete-mold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949785B1 (en) Mold for manufacturing PC beam
KR100433561B1 (en) Wall ascending slab descending concrete casting method
KR100226168B1 (en) Architecture and method for making a stair using a precast concrete
KR101140884B1 (en) Gangform device constructed for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is using
KR20100100711A (en) T-typed precast concrete slab and cont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336710B1 (en) inconer and outconer assembling apparatus for gang form using segregation pouring method and deck plate equipped reinforced steel bar
KR100747665B1 (en) Concrete mold for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using the same
KR200391986Y1 (en) Carbon-glass fiber composite concrete mold
KR100363008B1 (en) Form work for separating and constructing slab and wall by using deck plate attaching steel reinforcement and gang form
KR101215384B1 (en) Flying table form
KR20010073208A (en) hydraulic-jack for lifting gang form using segregation pouring method and deck plate equipped reinforced steel bar
KR20180114821A (en) Joining structure for holloness type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reof method
KR100361047B1 (en) Construction mold
RU2293822C1 (en) Building and method of building erection
CN111058622A (en) Large steel mould cast-in-place column construction method adopting binding and lapping mode for column steel bars
KR101576224B1 (en)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girder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2242175B1 (en) Mold for prefabricated double wall precast concrete
KR200184988Y1 (en) Establishment structure forming system using kicker block
KR102530366B1 (en) Permanent form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