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586B1 - Inj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Inje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586B1
KR100331586B1 KR1019940026928A KR19940026928A KR100331586B1 KR 100331586 B1 KR100331586 B1 KR 100331586B1 KR 1019940026928 A KR1019940026928 A KR 1019940026928A KR 19940026928 A KR19940026928 A KR 19940026928A KR 100331586 B1 KR100331586 B1 KR 100331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holder
cannula holder
housing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6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10915A (en
Inventor
지오르지오씨렐리
벤노로덴회이슬러
한스스테펜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95001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9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586B1/en

Links

Landscapes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치가 투약 용액을 환자에게 주입하는데 사용되며 피부에 고정하는 수단 및 캐뉼러(9)를 갖춘다. 상기 캐뉼러는 사용 전에 보유 및 해제 기구(14)에 의해 후퇴 위치 내에 유지되며, 해제후 환자의 피부 내부로 이동된다. 상기 캐뉼러의 후미에 연결되는 커넥터는 캐뉼러를 투약 용액 용기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device of the invention is used for injecting a dosage solution into a patient and has means for fixing to the skin and a cannula 9. The cannula is held in the retracted position by the retaining and releasing mechanism 14 prior to use and moved into the patient's skin after release.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annula serves to connect the cannula to the dosage solution container.

Description

주입 장치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장치를 몸체 표면에 체결하는 수단 및, 피부 또는 피하 조직 속에 삽입하거나 투약 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캐뉼러(cannula)에 의해 환자에 투약 용액을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jecting a dosage solution to a patient by means of fastening the device to a body surface and a cannula for insertion into or injecting the dosage solution into skin or subcutaneous tissue.

환자에 대한 수술 준비중, 필요에 따라 정맥 주사하는 것이 관습화되어 있다. 그러나, 병후 몸조리, 치료 및 예방 분야에 있어서의 정맥 주사 방법은 매우 심각한 단점들을 노출 하곤한다. 캐뉼러의 삽입은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서만 수행 될 수 있다. 환자 자신들은 대부분의 경우 캐뉼러의 삽입을 수행할 수 없어, 주사용 약물의 경우 자체 투약이 불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캐뉼러에 의한 주입은 특히, 장기 치료시 감염의 증가로 상처를 받게된다. 또한, 사용된 캐뉼러의 처분에 따른 추가의 위험도 있다. 상술한 단점들로 인해, 통상적으로 비용 및 안전의 이유로 피하 또는 피내 주사를 선택하게 된다.In preparation for surgery for a patient, intravenous injection is customary as needed. However, intravenous methods in post-mortem care, treatment and prevention often expose very serious drawbacks. Insertion of the cannula can only be performed by trained medical personnel. The patients themselves are unable to perform cannula insertion in most cases, so that injectable drugs cannot be self-administered. On the other hand, infusion by cannula is wounded with an increase in infection, especially during long-term treatment. There is also an additional risk of disposal of the cannula used. Because of the drawbacks mentioned above, one usually chooses subcutaneous or intradermal injections for cost and safety reasons.

몸체에 착용될 수 있고 투약용액용 용기와 캐뉼러를 조합한 장치들이 환자의 편리함 특히, 자체 투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발전되어 왔다. 예를 들어, EP-A-272 530호에는 투약 용액의 피하 또는 피내 주입을 위한 착용 가능한 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그 장치는 저장 콘테이너와, 상기 저장 콘테이너에 연결되고 구동 수단에 의해 환자의 피하 내부로 이동되는 주입 침과, 상기 주입 침을 통해 컨테이너를 비우기 위한 펌프 유닛 및 체결 수단으로 구성된다.Devices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and that combine canisters and containers for dosing solutions have been developed to facilitate patient convenience, in particular self-medication. For example, EP-A-272 530 describes a wearable device for subcutaneous or intradermal injection of a dosage solution, which device is connected to the storage container and is connected to the storage container and by the drive means to the patient's subcutaneous interior. And a pump unit and fastening means for emptying the container through the injection needle.

일체형 부품으로서 투약 용액 용기를 갖는 상기 형태의 장치는 각각의 투약 용액에 대한 분리 장치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장치 내부에 있어서의 투약 용액용 체적이 한정되어 있어, 여러 경우에의 적용이 제한된다.An apparatus of this type having a dosage solution container as an integral part has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a separate device for each dosage solution. Also. The volume for the dosage solution inside the device is limited, which limits the application in many cases.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기초로 하는 목적은 환자에게 극도의 편리함을 부여하는 동시에, 피하 및 피내 주입 시 최대의 융통성과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to b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that can provide extreme convenience to the patient and at the same time give maximum flexibility and safety in subcutaneous and intradermal infusion.

상기 목적은 캐뉼러를 피하로 이동시키는 전진 유닛(advancer unit)과, 투약용액용 이송 유닛에의 연결을 위해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결 소자와, 캐뉼러의 삽입 상태 시 개방되고 연결 소자와 캐뉼러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 채널 및, 장치를 환자의 피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갖춘 특징이 있는 상술한 형태의 장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The object is an advance unit for moving the cannula subcutaneously, a connecting element arranged outside of the device for connection to the delivery unit for the dosing solution, and open when the cannula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cannula. I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a device of the above-mentioned type which is characterized by a connection channel located between the cannulas and a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device to the skin of the pati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진 유닛은 주입 완료후, 캐뉼러가 안전 장치가 있는 최초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dvance unit i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after completion of the injection, the cannula can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with the safety device.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도 내지 제 5a도 및 제 5b도는 주입 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1 through 5A and 5B show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jection unit in cross section, respectively.

제 1도에 도시된 장치는 각각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증가하는 직경을 갖는 4개의 구역으로 구성된 동심의 보어(2)를 갖춘 절두 원추형 하우징(1)을 구비하고있다. 하우징의 기부는 동심의 돌기(3)를 갖는다. 상기 돌기(3)를 둘러싸고 있는 기부 부분에는 장치를 환자의 몸체에 체결하기 위한 접착층(4)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층의 재료와 두께는 편리한 착용성과 장치에의 접착 유지력의 견지에서 선택된다. 그러한 관점으로부터, 소위 접착제 폼(foam)이 상기 층(4)용으로 선택된다. 유사하게. 돌기(3)의 면에도 접착층(5)에 제공되어 피부에 대한 부동성을 확실하게 제공한다. 그러한 목적으로, 접착층(5)은 상당히 얇고 강력한 접착 재료로 구성된다. 그러나, 접착층(4, 5)은 동일 재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shown in FIG. 1 has a truncated conical housing 1 with concentric bores 2 consisting of four zones each having a diameter increas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base of the housing has a concentric projection 3. The base portion surrounding the projection 3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4 for fastening the device to the body of the patient,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which are selected in terms of convenient wearability and adhesion to the device. From that point of view, a so-called adhesive foam is selected for the layer 4. Similarly. The surface of the projection 3 is also provided on the adhesive layer 5 to reliably provide immobility to the skin. For that purpose, the adhesive layer 5 is composed of a fairly thin and strong adhesive material. However, the adhesive layers 4 and 5 can also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루어 부착물(luer attachment)(6)이 하우징에 위치되며 투약 용액용 송출 펌프에 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송출 펌프를 경유하여 용기에 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협소 채널(7)이 루어 부착물로부터 중앙 보어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보어내 채널(7)의 상하 개구에는 0형 링(8)이 보어의 내벽 내의 대응 환형 홈에 삽입되어 있다.A luer attachment 6 is located in the housing and connects the device to the delivery pump for the dosing solution and serves to connect the device to the vessel via the delivery pump. The narrow channel 7 communicates with the central bore from the luer attachment. In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of the in-bore channel 7, a zero ring 8 is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annular groove in the inner wall of the bore.

경사진 삽입 단부를 갖는 약 200μ 직경의 얇은 스틸 모세관이 캐뉼러(9)로서 작용한다. 상기 캐뉼러는 캐뉼러 홀더(10) 내부에 유지된다. 캐뉼러 홀더(10)는 보어(2) 내부에 동심 및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부 터미널 위치에 나타낸 소자이다. 홀더의 하부 터미널 위치에는 캐뉼러 홀더의 하면이 보어(2)의 최협소 구역과 그 다음의 넓은 구역 사이의 접합부에 형성된 스톱상에 놓여진다. 캐뉼러(9)는 침용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는 보어(2)의 최협소 구역 및, 접착층(5)을 통해 예를 들어 환자의 피부 조직 내부로 연장된다.A thin steel capillary of about 200 micrometers diameter with an inclined insertion end acts as a cannula 9. The cannula is retained inside the cannula holder 10. The cannula holder 10 is disposed in the bore 2 so as to be concentrically and axially movable and shown in the upper terminal position. In the lower terminal position of the holder the lower surface of the cannula holder rests on the stop form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narrowest region of the bore 2 and the next wider region. The cannula 9 extends, for example, into the skin tissue of the patient through the narrowest region of the bore 2, which serves as an acupuncture passage, and the adhesive layer 5.

채널(11)이 캐뉼러 홀더(10)의 원통형 측면으로부터 연통되어 내부로 확장된다. 경사진 캐뉼러 선단부에 대향되는 캐뉼러(9)의 단부는 채널(11) 확장부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캐뉼러 홀더의 하부 위치에 있는 채널(11)은 하우징(1) 내부의 채널(7)과 대향되어 있다.Channel 11 communicates from the cylindrical side of cannula holder 10 and extends inwardly. The end of the cannula 9 opposite the inclined cannula tip is open to the channel 11 extension. The channel 11 in the lower position of the cannula holder is opposite to the channel 7 inside the housing 1.

상기 캐뉼러 홀더는 보어의 제 3 구역의 내경과 일치하는 직경을 갖는 가이드 플랜지(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캐뉼러 홀더(10)의 상부면에는 순환 비딩(encircling beading)을 갖는 상단부에 인접한 내측에 제공된 중공의 원통형 벽(13)이 있다. 상기 비딩을 갖는 벽(13)은 후술하는 보유 및 해제 기구(14)와 협동한다.The cannula holder has a guide flange 12 having a diameter that matches the inner diameter of the third zone of the bo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nula holder 10 there is a hollow cylindrical wall 13 provided on the inner side adjacent to the upper end with encircling beading. The beaded wall 13 cooperates with the retaining and releasing mechanism 14 described below.

상기 보유 및 해제 기구(14)는 최대 직경을 갖는 보어(2)의 최상부 구역 내에 삽입되며, 작동 중지 상태의 캐뉼러 홀더(10)를 상부 터미널 위치에 유지하고 또한, 해제됨으로써 하부 터미널 위치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캐뉼러 홀더(10)와 보유 및 해제 기구(14) 사이에는 캐뉼러 홀더(10)를 하방으로 누르는 코일 스프링이 있다.The retaining and releasing mechanism 14 is inserted into the uppermost region of the bore 2 with the largest diameter, holding the cannula holder 10 in an inactive state in the upper terminal position and releasing it to the lower terminal position. Enable movement Between the cannula holder 10 and the retention and release mechanism 14 there is a coil spring that pushes the cannula holder 10 downward.

상기 보유 및 해제 기구(14)는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두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중 하부 부분은 벽 세그먼트의 중앙 개구상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중공의 원통 형상을 형성하는 벽 세그먼트(16) 및 환형판(15)으로 구성된다.The retaining and releasing mechanism 14 consists of two parts which can be moved axi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lower part of which protrudes downward on the central opening of the wall segment and forms a hollow cylindrical shape ( 16 and the annular plate 15.

상기 환형판(15)은 나사 결합이나 용접 등으로 하우징에 단단히 부착되며, 스프링(17)의 상부 접합부를 형성하므로 상당히 견고하게 설계되어야 한다.The annular plate 15 is firmly attached to the housing by screwing, welding, or the like, and forms an upper joint of the spring 17, so it must be designed to be quite robust.

상기 벽 세그먼트(16)는 축간 거리가 상부에는 작고 하부에는 큰 상하부 사이에 접합부를 형성하는 원추형 숄더를 외측면에 갖는다. 벽(13)의 비딩은 숄더상에 놓여 캐뉼러 홀더(10)를 상부 터미널 위치에 유지한다. 유사하게, 벽 세그먼트(16)는 후술하는 브레이싱(bracing) 플랜지(19)와 결합하는 숄더를 내측에 갖는다.The wall segment 16 has a conical shoulder on its outer side that forms a jun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with a small interaxial distance at the top and a large at the bottom. Beading of the wall 13 lies on the shoulder to hold the cannula holder 10 in the upper terminal position. Similarly, the wall segment 16 has a shoulder on the inside that engages the bracing flange 19 described below.

상기 보유 및 해제기구(14)의 상부는 버섯 형상 해제 트리거(18)로 구성되며, 상기 해제 트리거 하단부에는 브레이싱 플랜지(19)가 위치한다. 상기 해제 트리거는 디스크 스프링(20)에 의해 상부 위치에 보유된다. 브레이싱 플랜지(19)는 탄성 벽 세그먼트(16)의 내측 운동을 방지하여 캐뉼러 홀더(10)의 하향 운동의 해제를 방지한다.The upper portion of the retaining and releasing mechanism 14 is composed of a mushroom-shaped release trigger 18, and a bracing flange 19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elease trigger. The release trigger is held in an upper position by the disc spring 20. The bracing flange 19 prevents the inner movement of the elastic wall segment 16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cannula holder 10.

상기 보유 및 해제 기구(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크를 갖는 스프링 하중 캐치(catch)로 기술된다. 로크를 제거하면, 스프링(17)의 압력의 결과로 스프링 하중 캐치는 자동 해제된다.The retaining and releasing mechanism 14 is described as a spring load catch with a lock 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hen the lock is removed, the spring load catch is automatically released as a result of the pressure on the spring 17.

상기 장치가 환자 몸체의 적합한 위치에 부착, 즉 끼워져 투약 용액용 이송 유닛에 연결되고 주입이 시작되면, 환자는 스프링(20) 압력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상기 해제 트리거(18)를 누른다. 이는 브레이싱 플랜지(19)를 벽 세그먼트(16) 내측의 위치로부터 밀어내게 된다. 상기 벽 세그먼트는 코일 스프링(17)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 숄더로부터 비딩을 경유해 내부로 후퇴되며, 캐뉼러(9)와 캐뉼러 홀더(10)는 스프링(17)에 의해 고가속도로 하방으로 눌린다. 캐뉼러(9)는 접착층(5)을 통과해 환자의 조직 속으로 돌출된다. 고가속도는 환자가 고통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침에 의한 투과가 빠르게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When the device is attached, ie fitted, connected to the delivery unit for the dosing solution and the infusion begins, the patient presses the release trigger 18 downward against the spring 20 pressure. This pushes the bracing flange 19 out of the position inside the wall segment 16. The wall segment is withdrawn from the shoulder pressurized by the coil spring 17 via the bead and the cannula 9 and the cannula holder 10 are pressed downwards at high acceleration by the spring 17. All. The cannula 9 protrudes through the adhesive layer 5 and into the tissue of the patient. High acceleration means that penetration by saliva is so fast that the patient does not feel pain.

제 2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제 1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다수의 기능 소자를갖는다. 일부의 소자만이 다른 형상을 가지며, 또한 일부의 소자만이 다른 또는 추가의 기능을 갖는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has many of the same functional elements as shown in FIG. Only some devices have different shapes, and only some devices have other or additional functions.

본 실시예의 하우징(21)은, 하나의 직경 변화부 즉, 하단부에 주입 캐뉼러(29)용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수축부를 갖는 보어(22)를 갖춘다. 유사하게. 하우징의 하부에는 연속면으로 설계된 접착층(24)이 제공되어 있다. 루어 부착물(26)은 하우징 쪽에 부착된 연장부(23)내에 위치되며 채널(27)을 경유해 보어(22)에 연결되어 있다. 두개의 0형 링(28)은 보어(22) 내부의 채널(27)의 상하 개구의 대응 환형홈에 놓여진다.The housing 21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bore 22 having a diameter change portion, that is, a shrinkage portion forming an orifice for the injection cannula 29 at the lower end portion. Similarly.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24 designed for continuous surfaces. Luer attachment 26 is located in extension 23 attached to the housing side and is connected to bore 22 via channel 27. Two zero-shaped rings 28 are placed in corresponding annular grooves in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of the channel 27 inside the bore 22.

또한, 캐뉼러(29)는 원통형으로 설계되며 캐뉼러의 후미를 보어(22)에 연결하는 채널(31)을 갖는 캐뉼러 홀더(30) 내부에 위치된다. 캐뉼러의 외면은 상방으로 횡단면이 확대되게 형성된 원추형 숄더를 갖는다. 캐뉼러 홀더(30)는 환형의 투명 유리 조망 소자(33)를 경유해 도면에 도시된 상부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여 해제 헤드로서의 역할을 하며 기구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캡(38)에 단단히 연결된다. 캡(38)은 중앙에 조망 창(39)을 갖는다.The cannula 29 is also design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positioned inside the cannula holder 30 having a channel 31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cannula to the bore 22. The outer surface of the cannula has a conical shoulder which is formed with an enlarged cross section upward. The cannula holder 30 is moved downwardly from the upper position shown in the figure via an annular transparent glass viewing element 33 to serve as a release head and is firmly connected to a cap 38 surrounding the entire instrument. Cap 38 has a viewing window 39 in the center.

벽 세그먼트(36)는 하우징 표면에 위치하고 보어(22)의 에지 주위에 배치되며, 축을 향하고 있고 캐뉼러 홀더(30)의 원추형 숄더 하부를 파지하는 돌기가 벽 세그먼트의 상부 에지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벽 세그먼트(36)는 탄성을 가지며, 캐뉼러 홀더의 원추형 숄더와 함께 보유 및 해제 기구(34)를 형성한다. 캡(38)상의 손가락 압력이 충분하면 캐뉼러 홀더(30)를 해제할 때까지 외측으로 벽 세그먼트를 구부린다. 보유력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손가락 압력으로 인해, 캐뉼러 홀더(30)의해제시 침은 환자의 피부 내부로 압박된다. 캐뉼러 홀더(30)의 상단부는 원추형 테이퍼를 가지며 침의 전진 후 침을 하부 삽입 위치에 유지하는 캐뉼러 홀더 상에 탄성 벽 세그먼트(36)가 하향으로의 압력을 가하도록 설계된다.The wall segment 36 is located on the housing surface and disposed around the edge of the bore 22 and provided with protrusions facing the axial and gripping the conical shoulder bottom of the cannula holder 30. The wall segment 36 is elastic and together with the conical shoulder of the cannula holder forms a retaining and releasing mechanism 34. If finger pressure on the cap 38 is sufficient, the wall segments are bent outwards until the cannula holder 30 is released. Due to the finger pressure necessary to overcome the retention force, the needle is pressed into the patient's skin upon release of the cannula holder 30. The upper end of the cannula holder 30 is designed such that the elastic wall segment 36 exerts downward pressure on the cannula holder which has a conical taper and holds the needle in the lower insertion position after advancing the needle.

상기 캡(38)의 외측면은 손가락에 의해 파지되며 최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된다. 캡의 하부 에지에는 내부를 향하며, 하우징 상의 대응 숄더(35)와 함께 캡이 최초 위치를 초과하여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37)가 제공되어 있다. 그 결과, 주입 완료 후 캐뉼러가 하우징 내부로 완전히 복귀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cap 38 is shaped to be gripped by the fingers an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lower edge of the cap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37 which faces inward and which,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shoulder 35 on the housing, prevents the cap from being pulled beyond its initial position. As a result, the cannula can be completely returned into the housing after completion of the injection.

상기 캡(38)과 캐뉼러 홀더(30)의 하부 터미널 위치에 있어서, 벽 세그먼트(36)상에 있는 돌기는 조망 소자(33)와 동일한 높이에서 조망 소자와 접촉하고 있다. 벽 세그먼트(36)는 조망 창(39)을 통해 위치를 용이하게 알아 볼 수 있도록 색깔이 구분되어 있어서 캐뉼러(29)가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한 시각 체크 형태는 환자가 찔림을 느끼지 못하므로 종종 장점이 있다.In the lower terminal position of the cap 38 and the cannula holder 30, the protrusions on the wall segment 36 are in contact with the viewing element at the same height as the viewing element 33. The wall segments 36 are color-coded to facilitate location through the viewing window 39 to confirm that the cannula 29 has been inserted. Such visual check forms are often advantageous because the patient does not feel stuck.

제 3a도는 제 1도의 하우징과 유사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보어(42), 돌기(43), 접착층(44, 45), 루어 부착물(46), 채널(47) 및, 보어(42) 벽 내부에 있는 0형 링(48)을 구비한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캐뉼러(49)와 연결 채널(51)을 갖는 캐뉼러 홀더(50) 및 상기 홀더를 보유하는 벽 세그먼트(56)는 제 2 도에 도시한 장치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또한 조망 창(59)을 갖는 캡(57)에는 회전 가능하게 하는 크로스바아(58)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캡은 캡의 내측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며 외측 반경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토우(61. toe)가 차례로 제공되어 있는 복수의 핑거(60, finger)를 갖춘다. 상기 토우(61)는 보어 상부 구역의 벽 내부에 있는 홈 내부에서 미끄럼하며, 그 중 하나가 제 3b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홈은 하향으로 수직하게 이어지는 아암(62) 및 램프(ramp)처럼 경사진 아암(63)을 갖춘다. 상기 두개의 아암은 짧은 수평 부품(64)에 의해 바닥에 연결된다. 수평 홈 부품(65, 66)이 상기 두 아암의 각각의 상단부에 부착된다. 도면 우측에 있으며 수직 아암(62)의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 홈 부품(65)은 장치의 사용 전인 작동 중지 위치를 한정한다. 경사 아암(63)의 상부에 있는 다른 수평 홈 부품(66)은 장치 사용 후의 위치를 한정한다. 캐뉼러 홀더(50)와 주입 캐뉼러(49)는 환자에게서 장치를 제거하기 전에 크로스 바아(58)를 회전함으로써 최초 위치로 복귀된다. 캐뉼러의 그러한 복귀는 제거 시 캐뉼러의 기울임으로 인한 환자의 부상 및 캐뉼러의 돌출로 인한 간호사들의 상처 및 그로 인한 감염 위험성을 방지한다.FIG. 3A is designed similar to the housing of FIG. 1 and includes a bore 42, a protrusion 43, adhesive layers 44, 45, a luer attachment 46, a channel 47, and an interior of the bore 42 wall. A device with a zero ring 48 is shown. The cannula holder 50 with the cannula 49 and the connecting channel 51 and the wall segment 56 holding the holder are the same as the device shown in FIG. Also in this embodiment, the cap 57 with the viewing window 59 is provided with a crossbar 58 that makes it rotatable. The cap also has a plurality of fingers 60 which in turn protrude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cap and are provided with toes 61. Toe which are oriented in the outer radial direction. The tow 61 slides in a groove inside the wall of the upper bore region, one of which is shown in FIG. 3b. The groove has an arm 62 running vertically downward and an inclined arm 63 like a ramp. The two arms are connected to the floor by a short horizontal component 64. Horizontal groove parts 65, 66 are attached to the upper ends of each of the two arms. The horizontal groove part 65 on the right side of the figure and located on top of the vertical arm 62 defines the shut down position before use of the device. The other horizontal groove part 66 at the top of the inclined arm 63 defines the position after using the device. The cannula holder 50 and the infusion cannula 49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 by rotating the cross bar 58 before removing the device from the patient. Such return of the cannula prevents injuries of the patient due to tilting of the cannula upon removal and the wounding of nurses due to protrusion of the cannula and the resulting risk of infection.

제 4도에 도시한 장치는 환자에 의해 캐뉼러가 전진하도록 수동 작동되는 릴리스를 갖지 않는다. 하우징(71)은 높이가 약 10mm 정도로 매우 평탄하며 상부는 폐쇄되어 바닥이 개방된 동심의 챔버(72)를 갖춘다. 또한 하우징은 두 부분으로 형성되며 기부에 삽입되며 동시에 오리피스를 에워싸고 있는 기부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부분(73)을 갖춘다. 보호막(74)은 하우징(71)의 주요부와 삽입된 부분(73)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두 부분 사이에 형성된 챔버를 에워싸고 있다. 루어 부착물(76)은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되며 채널(77)에 의해 챔버(72)에 연결된다.The device shown in FIG. 4 does not have a manually operated release to advance the cannula by the patient. The housing 71 is very flat, about 10 mm in height, and has a concentric chamber 72 with the top closed and the bottom open. The housing is also formed in two parts and has a portion 73 which is inserted into the base and at the same time forms a protrusion of the base which surrounds the orifice. The protective film 74 is located between the main portion of the housing 71 and the inserted portion 73 and surrounds the chamber formed between the two portions of the housing. Luer attachment 76 is located on top of the housing and is connected to chamber 72 by channel 77.

O형 링(78)은 상부로부터 챔버 내로 돌출되는 동심의 돌기 상에 있는 대응 환형홈 내부에 삽입된다.O-shaped ring 78 is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annular groove on a concentric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top into the chamber.

캐뉼러(79)는 챔버(72)의 형상과 일치하는 캐뉼러 홀더(80) 내에 놓여진다.캐뉼러 홀더(80)는 하우징 내부에 있는 대응 환형 홈에 결합되며 상기 홈과 함께 스프링 하중 캐치(81)를 형성하는 환형 돌기를 하부 에지에 갖춘다. 상기 캐치는 작동 중지 위치에 캐뉼러 홀더를 단단히 보유한다.The cannula 79 is placed in a cannula holder 80 that matches the shape of the chamber 72. The cannula holder 80 is coupled to a corresponding annular groove inside the housing and with the spring load catch ( 81) is provided at the lower edge with an annular projection forming 81). The catch holds the cannula holder securely in the off position.

상기 캐뉼러 홀더는 원통형 외측면의 상부 에지 부근에 O형 링(82)이 삽입되는 환형 홈을 갖춘다. 환형으로 에워싸인 공간은 캐뉼러 홀더와 챔버의 상부면 사이의 두개의 O형 링(78, 82)에 의해 형성되며 채널(77)을 통해서만 루어 부착물(76)에 연결된다.The cannula holder has an annular groove into which an O-shaped ring 82 is inserted near the upper edge of the cylindrical outer surface. The annularly enclosed space is formed by two O-shaped rings 78, 82 between the cannula holder and the top surface of the chamber and is connected to luer attachment 76 only through channel 77.

게다가, 캐뉼러 홀더는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두 개의 핀(83)을 하부 에지에 갖춘다. 두 개의 비틀림 스프링(84)의 단부가 핀과 결합된다. 스프링은 해제되는 대로 캐뉼러 홀더를 하향으로 이송할 수 있을 정도의 초기 인장력을 갖는다.In addition, the cannula holder has two pins 83 protruding in the outer radial direction at the lower edge. The ends of the two torsion springs 84 are engaged with the pins. The spring has an initial tension enough to transport the cannula holder downward as it is released.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This embodiment works as follows.

장치가 환자 몸체에 고정되면, 투약용액(도시않음)용 이송 유닛에의 연결이루어 부착물을 경유해 설정된다. 송출 펌프는 챔버(72)의 상부 구역에 압력을 발생한다. 그러므로, 캐뉼러 홀더(80) 상에 작용하는 힘이 스프링(84)력에 추가된다. 추가된 힘이 스프링 하중 캐치(81)의 보유력을 초과하는 대로, 캐뉼러 홀더는 하향으로 이동되며, 스프링(84)은 캐뉼러 홀더의 추진력을 이어 받는다. 초기에 짧은 거리만큼 이동된 후, 캐뉼러 홀더의 내측 상부 링이 O형 링(78) 아래를 통과해 캐뉼러(79) 상단부로의 투약 용액의 이동로를 개방하여 투약 용액은 캐뉼러(79)를 통해 환자의 피부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Once the device is secured to the patient's body, a connection to a transfer unit for dosage solution (not shown) is established via attachment. The delivery pump generates pressure in the upper region of the chamber 72. Therefore, the force acting on the cannula holder 80 is added to the spring 84 force. As the added force exceeds the holding force of the spring load catch 81, the cannula holder is moved downward, and the spring 84 takes over the propulsion of the cannula holder. After initially being moved a short distance, the inner upper ring of the cannula holder passes under the O-shaped ring 78 and opens the passage of the dosing solution to the top of the cannula 79 so that the dosing solution is cannula 79 ) To reach the patient's skin.

제 5a도 및 제 5b도에 도시한 장치는 명료화를 위해 두개의 서로 수직인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의 목적은 구조물의 높이를 더욱 더 낮추는 것이다. 하우징(91)은 10mm 이하의 높이로 매우 평탄하다. 하우징의 중심부에 위치된 챔버(92)는 바닥에서 개방되며 상부에서 폐쇄된다. 하우징은 조립을 위해 두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부분(93)이 하우징 면을 지나 돌출되는 중앙의 동심 돌기를 형성한다. 보호막(94)이 하우징(91)의 주요부와 하부 부분(93) 사이에 위치되며 두 하우징 부분 사이에 발생되는 공동을 밀봉한다. 루어 부착물(96)은 상부 하우징(91)내에 재위치되며 채널(97)에 의해 챔버(92)에 연결된다.The apparatus shown in FIGS. 5A and 5B are shown in two mutually perpendicular cross sections for clarity. The purpose of the device is to lower the height of the structure even further. The housing 91 is very flat with a height of 10 mm or less. The chamber 92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 is open at the bottom and closed at the top. The housing is formed in two parts for assembly. Lower portion 93 forms a central concentric protrusion that projects beyond the housing face. A protective film 94 is located between the main part and the lower part 93 of the housing 91 and seals the cavity generated between the two housing parts. Luer attachment 96 is repositioned in upper housing 91 and is connected to chamber 92 by channel 97.

캐뉼러(99)는 캐뉼러 홀더(100)내에 삽입되지만 챔버 하부에 위치되는 탄성 밀봉 장치(101) 내에서는 자유롭게 이동한다.The cannula 99 is inserted into the cannula holder 100 but freely moves within the resilient sealing device 101 located below the chamber.

캐뉼러 홀더(100)는 비틀림 스프링(102)으로부터 힘이 전달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홀더 아암의 상단부 상에 있는 U형 소자로만 구성된다. 스프링(102)은 스프링이 해제되는 대로 캐뉼러(99)와 함께 캐뉼러 홀더를 하향으로 구동할 수 있을 정도의 초기 인장력을 갖는다.The cannula holder 100 consists only of a U-shaped element on the upper end of the holder arm which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torsion spring 102. The spring 102 has an initial tension enough to drive the cannula holder downwards with the cannula 99 as the spring is released.

상기 캐뉼러 홀더(100)는 제 5b도에 도시한 상부 작동 중지 위치 내에 슬라이드(103)에 의해 보유된다. 슬라이드(103)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슬라이드는 캐뉼러 홀더(100)를 해제하고 스프링(102)은 캐뉼러(99)와 함께 캐뉼러 홀더(100)를 하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캐뉼러(99)를 환자의 피부 내부에 삽입한다.The cannula holder 100 is held by the slide 103 in the upper stop position shown in FIG. 5B. When the slide 103 is moved to the right, the slide releases the cannula holder 100 and the spring 102 moves the cannula holder 100 downward with the cannula 99, thereby allowing the cannula 99 to be moved.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skin.

제 1도는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직경이 확대되는 4개의 구역으로 구성된 동심의 보어를 갖는 절두 원추형 하우징을 구비한 주입 유닛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1 shows an embodiment of an injection unit with a truncated conical housing having a concentric bore consisting of four zones extending in diame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제 2도는 제 1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다수의 기능 소자를 갖는 주입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FIG. 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n injection unit having the same number of functional elements as shown in FIG.

제 3a도는 제 1도의 하우징과 유사한 하우징을 갖는 주입 유닛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3a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n injection unit having a housing similar to the housing of FIG.

제 3b도는 제 3a도의 토우(toe)를 도시하는 도면.FIG. 3b shows the toe of FIG. 3a.

제 4도는 환자에 의해 수동 작동되어 전진하는 캐뉼러 릴리스(release)가 없는 주입 유닛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n infusion unit without a cannula release which is manually operated and advanced by the patient.

제 5a도 및 제 5b도는 명료화를 위해 서로 수직인 두 개의 단면으로 나타낸 주입 유닛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5a and 5b show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injection unit shown in two cross section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for clarity.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보어 3 : 돌기2: bore 3: protrusion

7 : 채널 8 : O형 링7: Channel 8: O type ring

10 : 캐뉼러 홀더 12 : 가이드 플랜지10: cannula holder 12: guide flange

20 : 디스크 스프링 33 : 조망 소자20: disc spring 33: viewing element

Claims (7)

장치를 몸체 표면에 고정하는 수단 및 피부 내에 삽입하거나 투약 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캐뉼러에 의해 투약 용액을 환자 체내에 주입하는 주입 장치에 있어서,An infusion device for injecting a dosage solution into a patient's body by means of securing the device to the body surface and a cannula for inserting into the skin or injecting the dosage solution, 캐뉼러(9, 29. 49, 79, 99)를 피부 내부로 이동시키는 전진 유닛(14, 34)과,Advance units 14, 34 for moving the cannula 9, 29. 49, 79, 99 into the skin; 투약 용액용 이송 유닛에 연결되도록 상기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결 소자(6, 26, 46) 및,Connecting elements 6, 26, 46 arranged outside of the device so as to be connected to a transfer unit for a dosage solution, and 상기 캐뉼러의 삽입 상태시 개방되며 상기 연결 소자와 상기 캐뉼러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 채널(7, 11, 27, 31, 77, 9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장치.And a connection channel (7, 11, 27, 31, 77, 97) opened during insertion of said cannula and positioned between said connection element and said cannul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진 유닛은 로크(19)와 스프링(17)을 구비한 스프링 하중 캐치(13, 16)에 의해 형성되는 보유 및 해제 기구(14)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장치.The advancing unit is provided with a retaining and releasing mechanism (14) formed by a spring load catch (13, 16) having a lock (19) and a spring (17).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보유 및 해제 기구(34)는 캐뉼러 홀더의 위치를 체크하기 위한 조망 창(39)을 구비한 해제 버튼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장치.The retaining and releasing mechanism (34) is provided with a release button with a viewing window (39)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cannula hold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뉼러 홀더(30, 50) 및 상기 캐뉼러(29, 49)를 후퇴시키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장치.Inj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eans are provided for retracting the cannula holder (30, 50) and the cannula (29, 49).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캐뉼러 홀더(50)는 하우징(41)의 홈(62 내지 66) 내부로 안내되는 토우(61)가 측부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장치.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nnula holder (50) is provided with a tow (61) which is guided into the grooves (62 to 66) of the housing (41).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투약 용액의 압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캐뉼러 홀더(80)를 전진시키는 수단(78, 82)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장치.Inj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eans are provided (78, 82) for advancing the cannula holder (80) based on the pressure of the dosage solu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뉼러(9, 29, 49, 79, 99)는 보호막(74)에 의해 상부 위치에서 외측과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장치.In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nnula (9, 29, 49, 79, 99) is blocked from the outside in the upper position by a protective film (74).
KR1019940026928A 1993-10-22 1994-10-21 Injection device KR10033158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200/93 1993-10-22
CH320093 1993-10-22
CH03200/93 1993-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915A KR950010915A (en) 1995-05-15
KR100331586B1 true KR100331586B1 (en) 2002-08-13

Family

ID=66767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6928A KR100331586B1 (en) 1993-10-22 1994-10-21 Inje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58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915A (en)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8990A (en) Device for introducing active substance into a patient
US10518044B2 (en) Holder with safety shield for a drug delivery device
US5527306A (en) Vial adapter
US4846796A (en) Protective system for safe disposition of a syringe and hypodermic injection device carried thereon
EP0379560B1 (en) Preloaded automatic disposable syringe
US7481797B2 (en) Retractable needle single use safety syringe
US5779683A (en) Injector module for a syringe and pre-filled syringe provided therewith
CN105228673B (en) Palm activated form drug delivery device
EP1406547B1 (en) Syringe and needle for preventing inadvertent drug injection
US20030114799A1 (en) Safety injection device
KR19980024817A (en) Lockable safety shield for prefillable syringe
JPH025971A (en) Freely drawable hypodermic injector
JP2005530597A (en) Medical needle assembly
JPH03118072A (en) Automatic syringe
US5066277A (en) Protective system for safe disposition of a hypodermic syringe device
US5021049A (en) Needle sheath holder with seepage precluding engagement zones
WO1997029798A1 (en) Device
US20220323683A1 (en) Injector
KR100331586B1 (en) Injection device
KR102118833B1 (en) Intravenous catheter
JP2022537671A (en) Safety device to prevent needlestick injuries from medical injection device needles
US20180296772A1 (en) Self-anesthetizing hypodermic needle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EP1704888A1 (en) Retractable needle single use safety syringe
KR20200122342A (en) Medical injection device for supporting a medical container filled wit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MXPA97001608A (en) A syringe of segu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