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483B1 - Electrical remedy apparatus using envelop line of electromyographic signal - Google Patents

Electrical remedy apparatus using envelop line of electromyographic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483B1
KR100328483B1 KR1019980029206A KR19980029206A KR100328483B1 KR 100328483 B1 KR100328483 B1 KR 100328483B1 KR 1019980029206 A KR1019980029206 A KR 1019980029206A KR 19980029206 A KR19980029206 A KR 19980029206A KR 100328483 B1 KR100328483 B1 KR 100328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g
signal
envelope
electrod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2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71367A (en
Inventor
모승기
이수열
Original Assignee
이수열
모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열, 모승기 filed Critical 이수열
Priority to US09/251,390 priority Critical patent/US6321116B1/en
Priority to EP99301408A priority patent/EP0938911A3/en
Publication of KR19990071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367A/en
Priority to US09/583,197 priority patent/US6240315B1/en
Priority to US09/583,696 priority patent/US62892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483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urogenital or gastrointestinal organs, e.g. for incontinence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Provided is an electrical remedy apparatus using envelop line of electro-myographical signals comprising specific electrode to identify remedial condition by patient and to reduce load for processing the signals. CONSTITUTION: The apparatus comprises electrode to detect electro-myographical signals generated from a section of human body contacting the electrode. More particularly, the apparatus involves an envelop line detector(20) to detect and output the envelop of the electro-myographical signals transferred from the electrode; and a display(30) to indicate information concerning remedial treatment based on the detected envelop signals. The apparatus further contains a memory(50) to store GOAL-EMG as desired treatment goal wave patterns. The display can express remedial information based on GOAL-EMG in addition to the envelop signals.

Description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이용한 전기 치료 장치Electrotherapy device using envelope of EMG signal

본 발명은 전기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전도 신호를 사용하여 요실금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전기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therap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therapy device for use in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EMG signals.

요실금은 세계적으로 많은 환자들이 고통받고 있는 질병이며, 특히 많은 여성들이 출산 후유증 혹은 노화로 인해 요실금으로 고통받고 있다. 한 통계에 따르면, 유럽의 50세 이상 여성의 약 20∼30%가 요실금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Urinary incontinence is a disease that many patients suffer from around the world, and in particular, many women suffer from urinary incontinence due to aftereffects or aging. According to one statistics, about 20-30% of women over 50 years of age in Europe suffer from incontinence.

종래 이러한 요실금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주로 약물 요법이나 수술 요법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외과적 수술인 경우에는 그 치료 형태가 침습적이므로, 환자에게 거부감이 있었으며, 약물 치료인 경우에는 약물에 대한 부작용의 문제와 완치에 대한 기대감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어, 그다지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요실금을 비침습적으로 치료하는 방법들이 개발되면서 요실금 치료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달라지게 되었다. 요실금을 비침습적으로 치료하는 방법 중 주요한 것으로는 질 괄약근 수축 운동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질 괄약근의 수축력을 신장시키는 생체 궤환 방법과, 질 근육 부위에 전류 펄스를 인가하여 근육 및 신경 세포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신경 근육 전기 자극법이 있다. 또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상기 생체 궤환법과 전기 자극법 중 어느 하나만을 독립적으로 시행하는 것보다는 병행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ventionally, as a method of treating such incontinence, drug therapy and surgical therapy have been known. However, in the case of surgical operation, the type of treatment is invasive, so the patient has a feeling of rejection, and in the case of drug treatment, there is a problem of adverse effects on the drug and less expectation for cure, and the effect is not so effective. . However, recent developments in noninvasive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have changed the social perception of urinary incontinence. The main methods of non-invasive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include the biofeedback method of increasing the contractile force of the vaginal sphincter muscle by repeatedly performing vaginal sphincter contraction movements, and electrical stimulation of muscles and nerve cells by applying a current pulse to the vaginal muscle area. There is a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In addition, for effective treatment, it is preferable to perform concurrently, rather than independently of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biological feedback method and electrical stimulation method.

이 때, 상기 생체 궤환법을 이용하여 요실금을 처리할 경우 환자는 정해진 훈련 순서에 따라 질 근육 수축 훈련을 수행하게 되는데, 질 근육 수축시 환자의 의지에 따라 질 근육이 얼마나 수축되었는지를 환자가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훈련이 진행됨에 따라 질 근육의 수축 능력이 향상되어 가는 것을 환자가 객관적인 지표로 인지한다면 환자의 훈련 의지가 더욱 강해져 치료 효과가 높아지게 되고, 또한 치료를 담당하는 의사도 환자의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when the urinary incontinence is processed using the biofeedback method, the patient performs vaginal muscle contraction train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raining sequence, and the patient knows how much the vaginal muscle contracted according to the patient's will during vaginal muscle contraction. It is very important. If the patient perceives that the vaginal muscle contraction ability improves as an objective indicator as the training progresses, the patient's willingness to train becomes stronger and the treatment effect becomes higher. This can lead to a more efficient training program.

한편, 요실금 치료를 위해 이와 같이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이유는 근전도 신호의 크기가 질 근육의 수축 강도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전도 신호의 측정을 위해, 질 근육의 표피에 도전체를 접촉시키고 이 도전체에 유기되는 전압 신호를 감지하여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데, 인체 근육에서 발생하는 근전도 신호의 주파수 성분은 20∼800㎐ 대역에 있어 다른 생체 신호에 비해 고주파 성분을 많이 내포하고 있다.Meanwhile, the reason why the EMG signal is measured for the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is that the magnitude of the EMG signal is proportional to the contraction intensity of the vaginal muscle. Therefore, in order to measure the EMG signal, a conductor is contacted to the epidermis of the vaginal muscle and a voltage signal induced by the conductor is detected to measure the EMG signal.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EMG signal generated in the human muscle is 20 to 800. The band contains more high frequency components than other biological signals.

도 1은 전형적인 근전도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근전도 신호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비주기 교번 파형이며, 고주파 성분이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근육의 수축력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근전도 신호의 순간적인 변화가 분석할 필요한 것이 아니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전도 신호의 진폭의 개략적인 변화, 즉 포락선 신호를 분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1 shows a waveform of a typical EMG signal.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EMG signal is a non-periodic alternating waveform that changes with time, it can be seen that a lot of high-frequency components. However, in order to observe the contractile force of the muscles, it is not necessary to analyze the instantaneous change of the EMG signal as shown in FIG. 1, but to roughly change the amplitude of the EMG signal, that is, the envelope signal as shown in FIG. 2. It is more preferable to do.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근육 세포에서 검출되는 원 상태의 근전도 신호는 고주파수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A/D 변환에 따른 오류를 방지하고 신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샘플링 주파수를 대략 1600㎐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높은 주파수로 샘플링을 수행하려면, 치료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에 수반하여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since the original EMG signal detected in the muscle cells contains a lot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in order to prevent errors due to A / D conversion and to increase the signal reliability, the sampling frequency is approximately It is necessary to make more than 1600. However, in order to perform sampling at such a high frequenc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treatment device becomes very complicated,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또한 종래의 전기 치료 장치는, 예를 들어 요실금 치료 장치, 변비/요실금 치료 장치, 저주파 물리 치료기 등이 있다. 그런데, 이들 전기 치료 장치는, 그 동작 원리가 상호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각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전극의 형태상의 차이로 인하여, 각각 별개의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Conventional electrotherapy devices include, for example, incontinence therapy devices, constipation / urinary incontinence devices, low frequency physiotherapy devices, and the like. By the way, these electrotherapeutic devices, although their operating principle is similar to each other, due to differences in the shape of the electrode used in each device, it was common to be composed of separate devices, respective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한 요실금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tha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휴대용으로 제조가 가능한 요실금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apparatus which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portable man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요실금 치료, 변비/변실금 치료 또는 저주파 치료등과 같이 다양한 의학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therapy device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medical treatments, such as incontinence treatment, constipation / constipation treatment or low frequency treat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치료를 수행하는 동안 환자가 근육의 수축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는 요실금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that allows a patient to more easily recognize the contraction state of muscles while performing electrotherapy.

도 1은 원 상태의 근전도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1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waveform of an EMG signal in an original state;

도 2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나타내는 파형도.2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n envelope of an EMG signa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부의 화면 표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state of a display unit included in a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부의 화면 표시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creen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therap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therap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therap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표시부(30) 및 근전도 신호 처리부(8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display unit 30 and the EMG signal processor 80 shown in FIG. 7.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근전도 신호 처리부(8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MG signal processor 80 shown in FIG. 7.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근전도 신호 처리부(8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MG signal processor 80 shown in FIG. 7.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therap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자극 신호 발생부(70)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12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shown in FIGS. 7 and 11.

도 13은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자극 신호 발생부(70)의 다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FIG. 13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shown in FIGS. 7 and 11.

도 14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자극 신호 발생부(7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FIG. 14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shown in FIGS. 7 and 11.

도 15는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포락선 검출기(2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FIG. 1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envelope detector 20 shown in FIGS. 5 to 11.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6A and 16B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도 16a 및 도 16b의 기기 본체(20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FIG.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device body 200 of FIGS. 16A and 16B.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포락선 검출기20... Envelope detector

30… 표시부30... Display

40… 신호 처리부40... Signal processor

50… 메모리50... Memory

60… 조작부60.. Control panel

70… 자극 신호 발생부70... Stimulus signal generator

80… 근전도 신호 처리부80... EMG signal processor

90… 주 제어기90... Main controll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환자의 신체의 일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체강에 삽입되어 접촉되어 있는 신체 부위로부터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는 전극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부티 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기와;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에 기초하여 의학 치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는 소정 치료 목표 파형(GOAL-EMG)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뿐만 아니 라 상기 소정의 치료 목표 파형(GOAL-EMG)에 기초하여 의학 치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락선 검출기를 제어하는 주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표시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표시 제어기를 포함하고, 의학 치료 중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에 관한 제1 파형과 상기 치료 목표 파형(GOAL-EMG)에 관한 제2 파형이 동시에 표시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는 소정 치료 목표 파형(GOAL-EMG)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포락선 검출기,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표시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표시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 상기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는 주 제어기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한다. 이 조작부는, 상기 전극을 통해서 환자의 신체 부위로 전달되어야 할 자극 신호의 파형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설정 수단과; 상기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설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작 모드에는 환자의 신체 부위로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자극 모드, 환자의 신체 부위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측정 모드 및 상기 자극 모드와 상기 측정 모드가 교호로 실행되는 혼합 모드가 포함되고, 조작부는; 제2 설정 수단에 의해 혼합 모드가 선택된 경우, 자극 모드에서 측정 모드로의 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것인지 수동으로 이루어질 것인지를 설정하는 제3 설정 수단과; 상기 제3 설정 수단에 의해 모드의 자동 전환이 설정된 경우에는 자극 신호가 인가된 후 측정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4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dical electrical therapy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n electrode for detecting an EMG signal generated from a part of the body that is in contact with or is inserted into the body cavity of the patient An apparatus comprising: an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of an EMG signal propagated to the electrode and outputting an EMG envelope signal; Provided is a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 EMG envelop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further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and the display unit includes the predetermined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as well as the EMG envelope signal. Information about the medical treatment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mai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nvelope detector, wherein the display portion includes a screen and a display controller for performing control for the screen display, and the EMG envelope signal on the screen during medical treatment. A first waveform relating to and a second waveform relating to the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omprises a memor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And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velope detector, the memory, and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screen and a displa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creen display. In addition, the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the main controller. The operation unit includes: first setting means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a waveform of a stimulus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body part of a patient through the electrode; And second setting means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device. In addition, the operation mode includes a stimulation mode for transmitting a stimulus signal to the body part of the patient, a measurement mode for measuring the EMG signal from the body part of the patient, and a mixed mode in which the stimulation mode and the measurement mode are alternately executed. Is; Third setting means for setting whether to switch from the stimulus mode to the measurement mode automatically or manually when the mixed mode is selected by the second setting means; When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mode is set by the third setting means,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fourth setting means for setting a time from when the stimulus signal is applied until switching to the measurement mode is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환자의 신체의 일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체강에 삽입되어 접촉되어 사용되는 전극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근전도 신호에 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근전도 신호 처리부와;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에 기초하여 의학 치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와; 소정 치료 목표 파형(GOAL-EMG)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파형 정보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치료 목표 파형에 관한정보에 근거하여 자극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극으로 전달하는 자극 신호 발생부와; 상기 표시부, 상기 조작부, 상기 메모리, 상기 근전도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자극 신호 발생부에 결합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에 포함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필터와; 상기 잡음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포락선을 검출하여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기와;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포락선 검출기의 출력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주 제어기로 전달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 및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제1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포락선 검출기와; 상기 제1 포락선 검출기의 출력을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제2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포락선 검출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제1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의 출력과 상기 제2 포락선 검출기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채널 선택기와;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채널 선택기의 출력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주 제어기로 전달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 및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근전도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와;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에 포함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제1 잡음 필터와; 상기 제1 잡음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포락선을 검출하여 제1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포락선 검출기와; 상기 제1 포락선 검출기의 출력을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와;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에 포함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제2 잡음 필터와; 상기 제2 잡음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포락선을 검출하여 제2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포락선 검출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제1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의 출력과 상기 제2 포락선 검출기의 출력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채널 선택기와;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채널 선택기의 출력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주 제어기로 전달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송신기와 수신기는 무선 전송을 수행한다. 여전히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근전도 신호 치리부는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 및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에 포함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필터와; 상기 잡음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포락선을 검출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기와; 상기 포락선 검출기의 출력을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되어온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수신기의 출력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주 제어기로 전달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operating in contact with an electrode used in contact with a part of a patient's body or inserted into the body cavity to be used, the detection of the envelope of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nd an envelope detector for outputting an EMG envelope signal, the EMG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signal processing on the EMG signal; A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on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 EMG envelope signal;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A memory storing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A stimulus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timulus signal based on waveform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or information on a treatment target waveform stored in the memory and transmitting the stimulus signal to the electrode; A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is provided that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coupled to the display unit, the operation unit, the memory, the EMG signal processor, and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to control their operation. Here, the EMG signal processing unit,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an output of the amplifier; An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from an output of the noise filter and outputting the EMG envelope signal; And an A / D converter which converts the output of the envelope detector in analog form into a digital form and delivers it to the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MG signal processor includes a combined EMG signal processor and a separate EMG signal processor, and the EMG signal processor detects an envelope of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nd outputs a first EMG envelope signal. A first envelope detector;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output of the first envelope detector, wherein the unitary EMG signal processor comprises: a second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of an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nd outputting a second EMG envelope signal; A receiver for receiving a first EMG envelop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A channel selector for selecting one of an output of the receiver and an output of the second envelope detector; And an A / D converter which converts the output of the channel selector in an analog form into a digital form and delivers it to the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MG signal processor may include an integrated EMG signal processor and a separate EMG signal processor, and the EMG signal processor may include: a first amplifier configured to amplify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 first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an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A first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from an output of the first noise filter and outputting a first EMG envelope signal;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output of the first envelope detector, wherein the unitary EMG signal processing unit comprises: a second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 second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an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A second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from an output of the second noise filter and outputting a second EMG envelope signal; A receiver for receiving a first EMG envelop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A channel selector for selecting either the output of the receiver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envelope detector; And an A / D converter that converts the output of the channel selector in analog form to digital form and delivers the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Here,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perform wireless transmission.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the EMG signal processing unit includes an integrated EMG signal processor and a separate EMG signal processor, wherein the EMG signal processor comprises: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an output of the amplifier; An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from an output of the noise filter and outputting an EMG envelope signal; And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an output of the envelope detector, wherein the unitary EMG signal processor comprises: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n EMG envelop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receiver of the analog form into a digital form and delivered to the main controller.

또한, 상기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는 상기 주제어기에 결합되고, 외부에 있는 정보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프로세서를 통해서 상기 정보 기기로부터 의학 치료에 관한 경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의학 치료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정보 기기로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극 신호 발생부는 상기 주 제어기로부터 자극 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에 근거하여 디지틸 파형 데이터를 발생하는 디지털 파형 데이터 발생부와; 상기 디지털 파형 데이터 발생부의 출력을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D/A 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극 신호 발생부는, 상기 D/A 변환기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증폭 변압하는 변압기와, 상기 D/A 변환기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파형 데이터 발생부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부와; 상기 이득 제어부의 출력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극 신호 발생부는, 상기 주 제어기로부터 자극 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에 근거하여 교호로 액티브되는 복수의 스위칭 신호들을 발생하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와; 상기 스위칭 신호들에 근거하여 파형을 생성하는 파형 발생기와; 상기 파형 발생기의 출력을 증폭 변압하는 변압기를 포함한다.The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processor coupled to the main controller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information device, and may receive an alert regarding medical treatment from the information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The data may be stored in the memory or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device about the medical treatment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may include: a digital waveform data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n a stimulus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and generate digital waveform data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 D /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digital waveform data generator into an analog form. Here,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D / A converter; A transformer configured to amplify and transform the output of the amplifier, and a gain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the gain of the digital waveform data generator based on an output of the D / A converter;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from the output of the gain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includes: a switching signal generator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timulus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switching signals that are alternately activ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 waveform generator for generating a waveform based on the switching signals; And a transformer for amplifying and transforming the output of the waveform generator.

또한, 상기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에서 근전도 신호 처리부에 포함되는 포락선 검출기는 상기 근전도 신호를 입력하는 소신호 전파 정류부와; 상기 소신호 전파 정류부의 출력을 저역 필터링하는 저역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velope detector included in the EMG signal processor in the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includes a small signal full wave rectifier for inputting the EMG signal; And a low pass filter for low pass filtering the output of the small signal full wave rectifi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환자의 신체의 일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체강에 삽입되어 접촉되어 있는 신체 부위로부터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는 전극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의료용 전기 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기와;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A/D 변환기와; 상기 A/D 변환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 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which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n electrode for detecting an EMG signal generated from a part of the body that is in contact with or is inserted into the body cavity of the patient, the electrode An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of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MG signal and outputting an EMG envelope signal;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EMG envelope signal in an analog form into a digital form; And a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information processing on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based on the output of the A / D converter.

본 발명의 여전히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환자의 신체로 전달될 자극 신호를 발생하거나 환자의 신체에서 감지되는 근전도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자극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근전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포트를 포함하는 기기 본체와; 인터페이스 연결 부분; 및 복수의 전극 부분들을 포함하되, 상기 인터페이스 연결 부분은, 한쪽이 상기 기기 본체의 포트에 접속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1 케이블과, 상기 제1 케이블의 다른 쪽에 형성된 제1 형태의 유니버설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부분들은 각각, 환자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체강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한쪽이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다른 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형태의 유니버설 연결구에 접속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 형태의 유니버셜 연결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극들에는 질 삽입용 전극, 패드형 전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기 본체는 상기 복수의 전극 부분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제1 형태의 유니버설 연결구와 상기 제2 형태의 유니버셜연결구가 접속되었을 때, 접속된 제2 형태의 유니버설 연결구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된 전극 부분에 속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기 본체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근전도 신호에 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근전도 신호 처리부와;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에 기초하여 의학 치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전극 부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전극 선택 명령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와; 상기 복수의 전극 부분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치료 목표 파형 (GOAL-EMG)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있는 메모리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파형 정보 또는 상기 매모리에 지장되어 있는 치료 목표 파형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자극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극으로 전달하는 자극 신호 발생부와; 상기 표시부, 상기 조작부, 상기 메모리, 상기 근전도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자극 신호 발생부에 결합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 for generating a stimulus signal to be delivered to a patient's body or processing an EMG signal sensed in the patient's body, and outputting the stimulus signal or receiving the EMG signal. An appliance body; Interface connect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portions, wherein the interfac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cab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thereof can be connected to a port of the device main body; and a universal connector of a first typ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ble. It includes; The plurality of electrode portions may each include at least one electrode in contact with or inserted into the body cavity of the patient, at least one second cable connected to the electrode at one side thereof, and 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able. It is formed to include a universal connector of the second form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niversal connector of the first form. Here, the electrodes may include a vaginal insertion electrode, a pad type electrod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may be connected to a universal connector of the second type when the operation portion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ortions, the universal connector of the first type and the universal connector of the second type, are connected. It may include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belonging to the electrode portion selec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In additio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including an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the envelope of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nd outputs an EMG envelope signal, an EMG signal processor for performing a signal processing for the EMG signal; A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on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 EMG envelope signal;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including an electrod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ortions; A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treatment target waveforms (GOAL-EMG)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 portions, respectively; A stimulus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timulus signal to the electrode based on waveform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or information on a treatment target waveform interfered with the memory; And a main controller coupled to the display unit, the operation unit, the memory, the EMG signal processor, and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to control their operations.

요컨대, 본 발명의 치료 장치에서 이용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은 예를 들어 10㎐ 이하의 저주파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원 상태의 근전도 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해서는, 샘플 주파수가 1600㎐ 이상이되어야하는데 반하여,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 신호를 샘플링하는 경우에는 샘플 주파수를 약 20㎐로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즉,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이용함으로서 샘플 주파수를 대략 1/800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치료 장치의 크기를 압축하여 휴대용 요실금 치료 장치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기 본체와 전극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2개의 부분으로 분리하여 중간에 유니버설 연결구를 설치하고, 기기 본체가 다양한 형태의 자극 신호 파형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를 요실금 치료뿐만 아니라, 변비/변실금 치료 장치, 저주파 물리 치료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short, the envelope of the EMG signal used in th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low frequency component of 10 Hz or less. Therefore, in order to sample the EMG signal in the original state including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the sample frequency should be 1600 Hz or more, whereas when sampling the envelope signal of the EMG signal, it is possible to lower the sample frequency to about 20 Hz. That is, by using the envelope of the EMG signal, the sample frequency can be reduced to approximately 1/800, and the size of the treatment device can be compressed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a portable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cable connecting the device body and the electrode into two parts by installing a universal connector in the middle, and by allowing the device body to process various types of stimulus signal waveforms, the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as well as incontinence treatment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onstipation / constipation treatment device, low frequency physiotherapy device.

이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대상인 진기 치료 장치는 실질적으로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여 치료에 사용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특히 요실금 치료에 사용되는 요실금 치료 장치, 변비/변실금 치료에 사용되는 변실금 치료 장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치료 장치는 치료 부위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거나 또는 전기적인 자극 신호를 치료 부위의 근육 세포로 전달하기 위한 전극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극은 봉 형태의 체강 삽입형 전극이거나 또는 치료 부위에 접착시키는 형태의 패드 전극 등일 수 있다.The anti-treatment device, which is a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device for measuring and treating EMG signals. In particular, an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used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and an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used for constipation / constipation treatment may be exemplified. . In addition, the electrotherapeu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lectrodes for measuring EMG signals from the treatment site or for delivering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s to muscle cells at the treatment site. Such an electrode may be a rod-shaped body cavity implantable electrode or a pad electrode adhered to a treatment site.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요실금 치료 장치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지 요실금 치료 장치로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ly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s.

도 1은 전극을 통해서 치료 부위의 근육 세포로부터 검출된 원 상태의 근전도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나타낸 것이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act EMG signal detected from muscle cells at a treatment site through an electrode, and FIG. 2 illustrates an envelope of the EMG signal illustrated in FIG. 1.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실금 치료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근전도 신호의 순간적인 변화의 분석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도 2와 같은 근전도 신호의 크기 정보, 즉 포락선 정보의 분석이 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in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it is not necessary to analyze the instantaneous change of the EMG signal as shown in FIG. 1, but to analyze the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EMG signal, that is, the envelope information as shown in FIG.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은 원래의 근전도 신호에 비해 주파수 성분이 훨씬 낮아 대략 10㎐ 미만의 대역에 거의 모든 애너지가 집중해 있다. 또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원 상태의 근전도 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해서는 샘플링 주파수가 대략 1,600Hz 이상이 되어야 하지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락선 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해서는 샘플링 주파수를 20㎐로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근전도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함을 알수 있다.The envelope of the EMG signal as shown in FIG. 2 has a much lower frequency component than the original EMG signal, and almost all energy is concentrated in a band of less than about 10 Hz.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sample the EMG signal in the original state, the sampling frequency should be about 1,600 Hz or more, but in order to sample the envelope signal as shown in FIG. 2, it is possible to lower the sampling frequency to 20 Hz. .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very useful to use the envelope of the EMG signal as shown in FIG. 2 when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by converting the EMG signal into digita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부의 화면 표시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creen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육의 수축 상태를 표시부의 스크린(34)에 표시하는 경우에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 상태의 근전도 신호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ENV-EMG)을 표시하여, 근육의 수축 상태를 환자 또는 의사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 even when the contraction state of the muscle is displayed on the screen 34 of the display unit, the EMG signal is not displayed as shown in FIG. 1 but the envelope of the EMG signal (ENV-EMG). It is indicated so that the patient or doctor can easily recognize the contraction state of the muscle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부의 화면 표시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creen display state of a display unit included in a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도 3과는 달리, 스크린(34)에는 단지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ENV-EMG) 만이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치료 목표 파형(GOAL-EMG)을 함께 표시한 다. 이와 같이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ENV-EMG)과 치료 목표 파형(GOAL-EMG)을 함께 표사함으로써, 치료를 받는 환자는 훈련의 진행 상태를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환자가 바람직한 상태로 근육을 수축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4, unlike FIG. 3, not only the envelope ENV-EMG of the EMG signal is displayed on the screen 34 but also the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By expressing the envelope of the EMG signal (ENV-EMG) and the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together, the patient receiving treatment can objectively recognize the progress of the training. Thus,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patient to contract the muscle in a desired state, which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therapeutic effec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요실금 치료 장치는 채강 삽입용 전극(10), 포락선 검출기 (20) 및 표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강 삽입용 전극(10)은 치료시 질에 삽입되어 근육 세포에 접촉되어, 근육 세포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감지한다. 감지된 근전도 신호(R-EMG)는 포락선 검출기(20)로 인가된다. 그리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원 상태의 근전도 신호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근전도 포락선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은 근전도 포락선 신호는 표시부(30)로 인가되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5, the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includes a cavity insertion electrode 10, an envelope detector 20, and a display unit 30. The body cavity insertion electrode 10 is inserted into the vagina during treatmen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muscle cells to detect EMG signals from the muscle cells. The sensed EMG signal R-EMG is applied to the envelope detector 20. Thus, the EMG signal in its original state as shown in FIG. 1 is converted into an EMG envelope signal as shown in FIG. 2 and output. The EMG envelope signal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30 and displayed as shown in FIG. 3.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요실금 치료 장치는 채강 삽입용 전극(10), 포락선 검출기(20), 신호처리부(40), 메모리(50) 및 표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에서 도 5에서와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is a cavity insertion electrode 10, the envelope detector 20, the signal processor 40, the memory 50 And a display unit 30. In FIG. 6, the same parts as in FIG. 5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포락선 검출기(20)로부터 출력되는 근전도 포락선 신호는 신호 처리부(40)로 인가된다. 신호 처리부(40)는 메모리(50)와 결합되어 있다. 메모리(50)에는 치료 목표 파형(GOAL-EMG)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치료 목표 파형 (GOAL-EMC)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환자가 치료 중 질 근육을 수축해야 하는 시간과 강도에 관한 데이터이다. 신호 처리부(40)는 포락선 검출기(20)로부터 인가되는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분석하고, 메모리(50)로부터 치료 목표 파형(GOAL-EMG)에 관한 데이터를 인출하여, 표시부(30)로 근전도 포락선 신호 및 치료 목표 파형 (GOAL-EMC)에 관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40)는 필요에 따라 근전도 포락선 신호의 분석 결과를 메모리(5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하여, 나중에 환자의 치료 이력을 분석하는데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EMG envelope signal output from the envelope detector 20 is applied to the signal processor 40. The signal processor 40 is coupled to the memory 50. The memory 5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Information about the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C) is, for example, data regarding the time and intensity at which the patient must contract the vaginal muscle during treatment. The signal processor 40 analyzes the EMG envelope signal applied from the envelope detector 20, extracts data on the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from the memory 50, and transmits the EMG envelope signal to the display unit 30. Output data about the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C).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40 may store the analysis result of the EMG envelope signal in the memory 50 as needed. Thus, it can be used later to analyze the patient's treatment history.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실금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체강 삽입용 전극(10), 근전도 신호 처리부(80), 자극 신호 발생부 (70), 주 제어기(90), 메모리(50), 표시부(30) 및 조작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에서 도 5 및 도 6과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cavity insertion electrode 10, the EMG signal processor 80,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the main controller 90 ), A memory 50, a display unit 30, and an operation unit 60. In FIG. 7, parts identical to those of FIGS. 5 and 6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근전도 신호 처리부(80)는 포락선 검출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체강 삽입용 전극(10)으로부터 인가되는 원 상태의 근전도 신호 (R-EMG)를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변환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디지털 형태의 근전도 포락선 신호(D-EMG)를 주 제어기(90)로 인가한다. 주 제어기 (90)는 근전도 신호 처리부(80)로부터의 근전도 포락선 신호(D-EMG)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 데이터 및 메모리(50)로부터의 치료 목표 파형(GOAL-EMG)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부(30)에서 운용하기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표시부(30)로출력한다. 이러한, 제어기는 통상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조작부(60)를 통해 요실금 치료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강 삽입용 전극(10)을 사용하여 질 근육 세포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측정 모드를 선택하고, 체강 삽입용 전극(10)을 통해 질 근육 세포로 전기적인 자극 신호(S-SIG)를 인가하려는 경우에는 자극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질 근육 세포로 일정한 자극 신호(S-SIG)를 인가한 후 질 근육 수축에 따른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혼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혼합 모드인 경우에는 자극 동작과 측정 동작이 교호로 수행된다. 사용자는 혼합 모드에서 자극 동작으로부터 측정 동작으로의 전환을 수동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자동으로 할 것인지를 조작부(60)를 사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자동 동작 전환을 선택한 경우에는 조작부(60)를 통해 동작 전환 주기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7, the EMG signal processor 80 includes an envelope detector 20, and the EMG signal R-EMG, which is applied from the body cavity insertion electrode 10, receives an EMG envelope signal. The EMG envelope signal (D-EMG) of the digital form is a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90 by converting and converting it to digital as necessary. The main controller 90 analyzes the EMG envelope signal (D-EMG) from the EMG signal processor 80, and displays the analysis result data and data on the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from the memory 50. The data is converted into data suitable for operation at 30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30. Such a controller can typically be implemented using a microprocessor. The user may select an operation mode of the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through the operation unit 60. Specifically, when the EMG signal is to be measured from the vaginal muscle cells using the body cavity insertion electrode 10, the measurement mode is selected, and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S to the vaginal muscle cells through the body cavity insertion electrode 10 is obtained. If you want to apply -SIG) you can select the stimulation mode. In addition, when a certain stimulus signal (S-SIG) is applied to the vaginal muscle cells, the mixed mode may be selected in order to measure the EMG signal according to the vaginal muscle contraction. That is, in the mixed mode, the stimulus operation and the measurement operation are alternately performed. The user can select using the operation unit 60 whether to switch from the stimulus operation to the measurement operation manually or automatically in the mixed mode. In addition, when the automatic operation switching is selected,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operation switching cycle through the operation unit 60.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가 조작부(60)의 특정 버튼을 누를 때 선택된 형태의 자극 신호(S-SIG)가 체강 삽입용 전극(10)을 통해 질 근육 세포로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60)의 상기 특정 버튼은 환자 또는 의사가 사용하기 편리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patient presses a specific button of the manipulation unit 60, the stimulus signal S-SIG of the selected type may be applied to the vaginal muscle cells through the body cavity insertion electrode 10. In this case, the specific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6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held by the patient or doctor hand.

혼합 모드인 경우, 환자는 전기 자극법(즉 자극 모드) 및 생체 궤환법(즉 측정 모드)에 의한 요실금 치료를 수행하며, 이 때 표시부(30)에 나타나는 치료 목표 파형(GOAL-EMG)과 근전도 포락선 신호가 가능한 한 일치되도록 자신의 질 근육을 수축할 필요가 있다.In mixed mode, the patient performs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by electrical stimulation (i.e., stimulation mode) and biofeedback (i.e., measurement mode), at which time the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and EMG envelope appear on the display unit 30. You need to contract your vaginal muscles so that the signals match as much as possible.

사용자는 또한 조작부(60)를 이용하여 체강 삽입용 전극(10)을 통해 근육 세포로 인가되는 자극 신호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극 신호(S-SIG)의 파형의 종류, 신호의 세기, 주파수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자극 신호(S-SIG)로서사용할 수 있는 파형으로는 펄스파, 사인파 등이 있으며, 펄스파인 경우에도 여러가지 형태의 펄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자극 신호(S-SIG)가 사인파인 경우에도 전파(full wave) 및 반파(half wave) 등과 같이 여러 형태의 사인파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자극 신호는 전류 펄스이거나 전압 펄스일 수 있다.The user may also adjust the shape of the stimulus signal applied to the muscle cells through the body cavity insertion electrode 10 using the manipulation unit 60. For example, the type of the waveform of the stimulus signal S-SIG, the intensity of the signal, the frequency, and the like may be adjusted. Waveforms that can be used as the stimulus signal S-SIG include pulse waves, sine waves, and the like, and pulse types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even when the stimulus signal S-SIG is a sine wave, various types of sine waves may be used, such as a full wave and a half wave. And. The stimulus signal may be a current pulse or a voltage pulse.

이와 같은 사용자의 조절 신호들은 조작부(60)를 통해 주 제어기(90)로 인 가된다. 조작부(60)를 통해서 입력된 조절 신호들 중 자극 신호(S-SIG)에 파형에 관한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메모리(5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매번 자극 신호(S-SIG)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다.The user's control signals are a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90 through the operation unit 60. Among the control signals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60, data regarding waveforms in the stimulus signal S-SIG may be stored in the memory 50 as necessary. Thu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he user input data relating to the stimulus signal S-SIG every time can be eliminated.

자극 신호 발생부(70)는 주 제어기(90)의 제어 하에 체강 삽입용 전극(10)을 통해 근육 세포로 전달되어야 할 전기적인 자극 신호(S-SIG)를 발생한다. 여기서, 주 제어기(90)는 조작부(60)로 입력되는 자극 신호(S-SIG)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메모리(50)에 저장되어 있는 자극 신호(S-SIG)에 관한 데이터를 자극 신호 발생부 (70)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 후 자극 신호 발생부(70)로 출력하며,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자극 신호 발생부(70)를 활성화시킨다.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generates an electrical stimulus signal S-SIG to be delivered to muscle cells through the body cavity insertion electrode 10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90. Here, the main controller 90 generates the stimulus signal by generating data on the stimulus signal S-SIG input to the operation unit 60 and / or data on the stimulus signal S-SIG stored in the memory 50. After converting to a form suitable for the unit 70 and output to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and activates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ed operation mode.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표시부(30) 및 근전도 신호 처리부(8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display unit 30 and the EMG signal processor 80 illustrated in FIG. 7.

도 8을 참조하면, 근전도 신호 처리부(8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이하, 'A/D 변환기'라 힘)(86), 포락선 검출기(20), 잡음 필터(84) 및 증폭기(8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표시부(30)는 표시 제어부(32) 및 스크린(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8, the EMG signal processor 80 us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 / D converter') 86, an envelope detector 20, a noise filter 84, and an amplifier 82. The display unit 30 includes a display control unit 32 and a screen 34.

전극(10)을 통해 감지된 근전도 신호(R-EMG)는 증폭기(82)로 인가되어 증폭된다. 일반적으로, 전극(10)을 통해 감지된 근전도 신호(R-EMG)는 신호 세기가 매우 약하기 때문에 증폭기(82)를 통해 증폭할 필요가 있다. 증폭기(82)는 차등 증폭기로 구현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증폭기(82)에 결합되는 기준전위 발생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등 증폭기의 2개의 입력 및 상기 기준 전위 발생기의 출력이 각각 전극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전성 밴드들에 결합될 수 있다.The EMG signal R-EMG sensed through the electrode 10 is applied to the amplifier 82 and amplified. In general, the EMG signal R-EMG sensed through the electrode 10 needs to be amplified by the amplifier 82 because the signal strength is very weak. The amplifier 82 may be implemented as a differential amplifier,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reference potential generator coupled to the amplifier 82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is case, two inputs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nd the output of the reference potential generator may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conductive bands included in the electrodes, respectively.

증폭기(82)의 출력은 잡음 필터(84)로 인가되어 잡음이 제거된다. 잡음 필터 (84)는 실질적으로 대역 통과 절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잡음 필터 (84)의 통과 대역은 20∼800㎐로 설정하는 깃이 바람직하다. 잡음 필터(84)의 출력 (F-EMG)은 포락선 검출기(20)로 인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락선 검출기(20)는 저역 필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증폭기(82)와 잡음 필터(84)는 일반적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산 증폭기(OP AMP)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output of amplifier 82 is applied to noise filter 84 to remove noise. The noise filter 84 can be configured substantially as a band pass filter. In this case, a feather in which the pass band of the noise filter 84 is set to 20 to 800 kHz is preferable. The output F-EMG of the noise filter 84 is applied to the envelope detecto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nvelope detector 20 may be configured as a low pass filter. In addition, the amplifier 82 and the noise filter 84 may be generally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perational amplifier (OP AMP), respectively.

포락선 검출기(20)를 통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근전도 신호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근전도 포락선 신호로 변환된다. 포락선 검출기(20)의 출력 (E-EMG)은 A/D 변환기(86)로 인가되어 디지털 형태의 근전도 포락선 신호(D-EMG)로변환된 후 주 제어기(90)로 인가된다.The EMG signal as shown in FIG. 1 is converted into an EMG envelope signal as shown in FIG. 2 through the envelope detector 20. The output (E-EMG) of the envelope detector 20 is applied to the A / D converter 86 to be converted into an EMG envelope signal D-EMG in digital form and then a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90.

한편, 표시부(30)의 표시 제어부(32)는 주 제어기(90)로부터 표시되어야 할 데이터를 수신한다. 표시 데이터로는, 근전도 포락선 신호에 관한 데이터, 치료 목표 파형(GOAL-EMG)에 관한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표시 데이터를 수신한 표시 제어부(32)는 이러한 표시 데이터들을 스크린(34)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스크린(34) 상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전방 라인(REF)애 대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ENV-EMG)만을 표시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전방 라인(REF)에 대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ENV-EMG) 및 치료 목표 파형(GOAL-EMG)을 겹쳐서 표시하도록 한다. 또 필요에 따라, 주 제어기(90)로부터 현재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32)로 인가하여, 스크린(34) 상애 일정한 위치에 동작 모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스크린(34)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주파수 성분을 많이 포함하는 근전도 신호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표시하기 때문에, 저해상도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크린(34)을 포함하는 표시부(30)를, 저가, 저전력 소모, 저해상도의 액정 표시 패널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부는 또한 LED 소자로 구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control unit 32 of the display unit 30 receives data to be displayed from the main controller 90. Examples of the display data include data on an EMG envelope signal, data on a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and the like. The display control unit 32 having received such display data performs control for displaying such display data on the screen 34. Thus, on the screen 34, only the EMG envelope signal ENV-EMG is display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front line REF as shown in FIG. 3 or on the reference front line REF as shown in FIG. The EMG envelope signal (ENV-EMG) and the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are superimposed. If necessary, data indicating the current operation mode can be applied from the main controller 90 to the display control unit 32 to display the operation mo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creen 34. Here, the screen 34 does not display an EMG signal containing a large number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as shown in FIG. 1, but displays an EMG envelope signal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screen 34 can be implemented at a low resolution.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0 including the screen 34 may be implemented as a low-cost, low-power consumption, low-resolutio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he display un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n LED device.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30)가 근전도 포락선 신호뿐만 아니라 치료 목표 파형(GOAL-EMG)도 함께 표시하는 경우, 환자는 근전도 포락선 신호가 치료 목표 파형(GOAL-EMG)과 가능한 한 일치하도록 자신의 질 근육을 수축하게 될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when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not only the EMG envelope signal but also the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the patient has an EMG envelope signal as long as possible with the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Will contract their vaginal muscles to match.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근전도 신호 처리부(8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근전도 신호 처리부(80)는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a) 및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b)로 나누어진다.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MG signal processor 80 shown in FIG. 7. The EMG signal processor 80 is divided into a combined EMG signal processor 80a and a separate EMG signal processor 80b. .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a)는 도 7에서, 주 제어기(90), 메모리(50), 표시부(30), 조작부(60) 및 자극 신호 발생부(70)와 함께 일체형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이하에서는 이를 '기기 본체'라 함), 증폭기(82a), 잡음 필터(84a), 포락선 김출기(20a), A/D 변환기(86), 수신기(88) 및 채널 선택기(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a)에서 전극(10)을 통해 감지된 근전도 신호 (R-EMG)는 증폭기(82a)를 통해 증폭되고 잡음 필터(84a)에서 잡음이 제거된다. 잡음 필터(84a)의 출력(F-EMG1)은 포락선 검출기(20a)에 의해 근전도 포락선 신호 (E-EMG1)가 추출되어 채널 선택기(87)로 인가된다.The integrated EMG signal processing unit 80a may be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main controller 90, the memory 50, the display unit 30, the operation unit 60, and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in FIG. 7. This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evice body'), an amplifier 82a, a noise filter 84a, an envelope retractor 20a, an A / D converter 86, a receiver 88 and a channel selector 87 do. The EMG signal R-EMG detected by the electrode 10 in the integrated EMG signal processor 80a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82a and noise is removed from the noise filter 84a. The output F-EMG1 of the noise filter 84a is extracted by the envelope detector 20a and applied to the channel selector 87 by extracting the EMG envelope signal E-EMG1.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b)는 기기 본체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증폭기(82b), 잡음 필터(84b), 포락실 검출기(20a) 및 송신기(8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b)에서 증폭기(82b), 잡음 필터 (84b), 포락선 검출기(20b)는,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a)의 증폭기(82a), 잡음 필터(84a), 포락선 검출기(20a)와 각각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b)의 포락선 검출기(20b)의 출력은 송신기(89)를 통해 무선 송신된다. 무선 전송로(91)를 통해 전송된 근전도 포락선 신호는 수신기(88)를 통해 수신된 후, 채널 선택기(87)로 인가된다. 채널 선택기(87)는 채널 선택 신호(CS)에 따라 포락선 검출기(20a)로부터의 근전도 포락선 신호(E-EMG1)와 포락선 검출기(20b)에서 유래되는 근전도 포락선 신호(E-EMG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근전도 포락선 신호(E-EMG)를 A/D 변환기(86)로 인가한다.The separate EMG signal processor 80b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device, and includes an amplifier 82b, a noise filter 84b, an envelope detector 20a, and a transmitter 89. In the isolated EMG signal processing section 80b, the amplifier 82b, the noise filter 84b, and the envelope detector 20b are the amplifiers 82a, the noise filter 84a, and the envelope detector 20a of the integrated EMG signal processing section 80a. ) And the same operation. The output of the envelope detector 20b of the separated EMG signal processor 80b is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er 89. The EMG envelop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path 91 is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88 and then applied to the channel selector 87. The channel selector 87 receives either an EMG envelope signal E-EMG1 from the envelope detector 20a or an EMG envelope signal E-EMG2 derived from the envelope detector 20b according to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CS. Optionally, the selected EMG envelope signal (E-EMG) is applied to the A / D converter 86.

여기서, 채널 선택 신호(CS)는 주 제어기(90)로부터 인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7의 조작부(60)를 통해시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주 제어기 (9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채널 선택 신호(CS)를 채널 선택기(87)로 인가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채널 선택 정보를 메모리(50)에 저장함으로씨,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지 않는 한, 이전에 사용했던 채널과 동일한 채널이 선택되도록 채널 선택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기기 내에 기정 값(default value)으로 정해져 있는 채널 선택 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CS may be applied from the main controller 90. In detail, the user may select a time channel through the operation unit 60 of FIG. 7, and the main controller 90 applies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C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o the channel selector 87. In this case, by storing the channel selection information in the memory 50 as necessary,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may be generated so that the same channel as the previously used channel is selected unless the user changes the channel. In addition, when the user does not make a selection, a channel selection signal predetermined in the device as a default value may be generated.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선택기(87)를 생략하고 포락선 검출기(20a)의 출력과 수신기(88)의 출력을 와이어드-OR(wired-OR)하여 A/D 변환기(86)로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hannel selector 87 may be omitted and the output of the envelope detector 20a and the output of the receiver 88 may be wired-OR and applied to the A / D converter 86. Do.

또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a) 및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b)는 선택적으로 케이블을 통해서 전극(10)에 연결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combined EMG signal processor 80a and the separated EMG signal processor 80b ar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10 through a cable.

이와 같은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b)는 몸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 예를 들어 밸트로 허리에 고정하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요실금 치료시 전극(10)을 질에 삽입하고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b)를 환자의 몸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활동성을 높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b)는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소형으로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요실금 치료를 받고 있는 동안에도 충분히 일상 생활에 관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Such a separate EMG signal processing unit 80b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belt fixed to the waist. Thus, during the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the electrode 10 is inserted into the vagina and the separate EMG signal processor 80b can be worn on the patient's body, thereby increasing the patient's activity. 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the separate type EMG signal processing unit 80b is very simple in configuration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Thus, it is possible to fully engag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hile the patient is receiving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근전도 신호 처리부(8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서 도 5에서와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EMG signal processor 80 shown in FIG. 7. In FIG. 10, the same parts as in FIG. 5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을 참조하면,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80c)는 A/D 변환기(86)및 수신기(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기(88)는 무선 전송로(91)를 통해 전송된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수신한 후, 그 출력(E-EMG)을 A/D 변환기(86)로 인가한다. A/D 변환기(86)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디지털 형태의 근전도 포락선 신호 (D-EMG)를 주 제어기(90)로 인가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integrated EMG signal processor 80c includes an A / D converter 86 and a receiver 88. The receiver 88 receives the EMG envelop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path 91 and then applies the output E-EMG to the A / D converter 86. The A / D converter 86 performs an analog-to-digital conversion to apply an EMG envelope signal (D-EMG) in digital form to the main controller 90.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요실금 치료 장치는 통신 프로세서(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continence treatm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processor 100.

도 11을 참조하면, 통신 프로세서(100)는 유선 또는 무선 전송로를 통해서 컴퓨터(110)에 결합될 수 있다. 통신 프로세서(100)는 전기 치료 장치에 내장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communication processor 100 may be coupled to the computer 11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transmission pat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100 may be integrated in the electrotherapy device.

요실금 치료의 경우, 환자는 정기적으로 병원에 가서 의사의 진찰을 받을 필요가 있으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치료 목표 파형(GOAL-EMG)을 수정할 필요가 발생한다. 또한, 환자가 가정에서 스스로 요실금 치료를 수행하고, 치료할 때의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메모리(50)에 저장하였다가 병원 방문시 의사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가 병원을 방문한 경우에, 환자의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프로세서(100)가 케이블 등을 통해서 병원에 있는 컴퓨터(110)에 접속된다. 접속된 상태에서, 환자에 치료에 관한 데이터들이 상호 전송된다. 통신 프로세서(100)는 이와 같이 치료 장치와 컴퓨터(110)간의 통신에 관련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In the case of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patients need to go to the hospital on a regular basis and see a doctor and modify the GOAL-EMG according to the doctor's prescrip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ore the data generated when the patient performs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at home, and to treat the doctor at the hospital visit. Specifically, when the patient visits the hospital, the communication processor 100 included in the patient's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110 in the hospital through a cable or the like. In the connected state, data about the treatment are transmitted to the patient. The communication processor 100 performs signal processing related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treatment apparatus and the computer 110 as described above.

도 12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자극 신호 발생부(70)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자극 신호 발생부(70)는 디지털 파형 데이터 발생부 (71), D/A 변환기기(72), 이득 제어부(73), 잡음 필터(74), 증폭기(75) 및 변압기 (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shown in FIGS. 7 and 11.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may include a digital waveform data generator 71 and a D / A. The converter 72, the gain control part 73, the noise filter 74, the amplifier 75, and the transformer 76 are comprised.

도 12를 참조하면, 주 제어기(9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자극 신호(S-SIG)의 파형에 관련된 데이터가 디지털 파형 데이터 발생부(71)로 인가된다. 디지털 파형 데이터 발생부(71)는 자극 신호(S-SIG)의 파형에 상응하는 디지털 파형 데이터를 발생한다. 디지털 파형 데이타는 D/A 변환기(72)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이득 제어부(73)로 인가되며, 이득 제어부(73)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의 레벨이 조정된다. 이득 조정된 아날로그 형태의 자극 신호는 잡음 필터(74)로 인가되어 잡음이 제거된 후 증폭기(75)에 의해 증폭된다. 여기서, 증폭기(75)는 통상 연산 증폭기로 구현할 수 있다. 증폭기(75)의 출력은 변압기(76)로 인가되어 재차 증폭되며, 변압기(76)의 출력은 대략 피크-투-피크 전압이 300 볼트 정도가 된다. 여기서, 치료 목적에 따라 변압기(76)의 출력 레벨은 달라질 수 있으며, 변압기로는 아이솔레이션 트랜스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이솔레이션 트랜스포머에서 출력되는 자극 신호(S-SIG)는 단번파(Monophasic signal), 교번파형(Biphasic signal), 사인파형(Sinusoidal signal), 반사인파(Semisinusoidal signal) 등일 수있다.Referring to FIG. 12, data related to the waveform of the stimulus signal S-SIG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main controller 90 is applied to the digital waveform data generator 71. The digital waveform data generator 71 generates digital waveform data corresponding to the waveform of the stimulus signal S-SIG. The digital waveform data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y the D / A converter 72, and then applied to the gain control unit 73, and the level of the analog signal is adjusted through the gain control unit 73. The gain-adjusted stimulus signal in analog form is applied to noise filter 74 to be amplified by amplifier 75 after the noise is removed. Here, the amplifier 75 may be implemented as a general operational amplifier. The output of the amplifier 75 is applied to the transformer 76 and amplified again, and the output of the transformer 76 is approximately 300 volts of peak-to-peak voltage. In this case, the output level of the transformer 76 may vary according to the treatment purpose, and an isolation transformer may be used as the transformer. In addition, the stimulus signal (S-SIG) output from the isolation transformer may be a monophasic signal, an alternating waveform, a biphasic signal, a sinusoidal signal, a semisinusoidal signal, or the like.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극 신호 발생부(70)는 병원용 치료 장치와 같이 비휴대용 치료 장치를 구현하는데 특히 적합하다.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as shown in FIG. 12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implementing a non-portable treatment device such as a hospital treatment device.

도 13은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자극 신호 발생부(70)의 다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에서 자극 신호 발생부(70)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77), 파형 합성기(79) 및 변압기(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 제어기(90)로부터 자극 신호(S-SIG)에 관한 데이터가 스위칭 신호 발생부(77)로 인가되면, 스위칭 신호 발생부(77)는 자극 신호(S-SIG)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교호적으로 액티브되는 복수의 스위칭 신호들을 발생한다.FIG.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shown in FIGS. 7 and 11. In FIG. 13,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includes a switching signal generator 77, a waveform synthesizer 79, and a transformer 76. When data on the stimulus signal S-SIG is applied from the main controller 90 to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77,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77 alternates according to the data on the stimulus signal S-SIG. Generates a plurality of switching signals that are activated.

일 예에 따르면, 스위칭 신호 발생부(77)는 병렬 입출력기 및/또는 보조 제어기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칭 신호 발생부(77)의 출력들은 교호로 액티브되는 펄스 신호들이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펄스 신호들은 파형 합성기(79)로 인가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77 may be configured as a parallel input / output unit and / or an auxiliary controller. In this case, the outputs of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77 become pulse signals that are alternately active. The pulse signals generated in this way are applied to the waveform synthesizer 79.

구체적으로, 파형 합성기(79)는 트랜지스터들(TRO1, TRO2) 및 가변 저항 (VR1) 및 DC 배터리(7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위칭 신호 발생부(77)의 제1 출력 (A)은 트랜지스터(TR01)의 베이스로 인가되고 스위칭 신호 발생부(77)의 제2 출력 (B)은 트랜지스터(TR02)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트랜지스터(TR01)의 에미터 및 트랜지스터(TR02)의 에미터는 각각 접지되며, 각각의 콜렉터들은 변압기(76)의 제1 입력 단자 및 제2 입력 단자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또한, DC 배터리(78)와 가변 저항(VR1)에 따른 기준 전압이 변압기(76)로 인가된다. 여기서, 기준 전압의 레벨은가변 저항(VR1)의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으며, 저항값 조절은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aveform synthesizer 79 includes transistors TRO1 and TRO2, a variable resistor VR1, and a DC battery 78, and the first output A of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77 is a transistor. It is applied to the base of TR01 and the second output B of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77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TR02.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TR01 and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TR02 are respectively grounded, and respective collector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transformer 76. In addition, a referenc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C battery 78 and the variable resistor VR1 is applied to the transformer 76. Here, th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VR1, and the resistance value adjustment may be implemented in an analog or digital manner.

트랜지스터(TR01) 및 트렌지스터(TR02)는 교호로 턴온되어 변압기(76)의 제1 입력 단자 및 제2 입력 단자는 교호로 접지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트랜지스터 (TRO1)가 턴온되는 경우에는, 변압기(76)의 제1 입력 단자가 접지되어 변압기(76)의 1차측 코일에 제1 방향성 전압(C)이 인가되고, 트랜지스터(TR02)가 턴온되는 경우에는, 변압기(76)의 제2 입력 단자가 접지되어 변압기(76)의 1차측 코일에 제2 방향성 전압(D)이 인가된다. 여기서, 제1 방향성 전압(C)과 제2 방향성 전압(D)은 상호 역상이며, 그 크기는 기준 전압과 동일하게 된다. 제1 방향성 전압(C)에 의해 변압기(76)의 2차측 코일에는 전압(E)이 유도되고, 제2 방향성 전압(D)에 의해 변압기(76)의 2차측 코일에는 전압(F)이 유도된다. 전압(E) 및 전압(F)은 상호 역상이며 그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그리하여, 변압기(76)의 출력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교류 펄스 파형(G)이 된다. 교류 펄스 파형(G)에서 정 펄스 (G1) 및 부 펄스(G2)간의 피크-투-피크 전압은 대략 300 볼트가 된다.Transistor TR01 and transistor TR02 are alternately turned 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input terminals of transformer 76 are alternately coupled to ground. Specifically, when the transistor TRO1 is turned on,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transformer 76 is grounded, the first directional voltage C is applied to the primary coil of the transformer 76, and the transistor TR02 is applied. When turned on,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transformer 76 is grounded and the second directional voltage D is applied to the primary coil of the transformer 76. Here, the first directional voltage (C) and the second directional voltage (D) are in phase opposite to each other, the magnitude thereof is equal to the reference voltage. The voltage E is induced to the secondary coil of the transformer 76 by the first directional voltage C, and the voltage F is induced to the secondary coil of the transformer 76 by the second directional voltage D. do. The voltage E and the voltage F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ir magnitude becomes substantially the same. Thus, the output of the transformer 76 becomes an AC pulse waveform G as shown in FIG. In the AC pulse waveform G, the peak-to-peak voltage between the positive pulse G1 and the negative pulse G2 becomes approximately 300 volts.

또한, 도 13에서 스위칭 신호 발생부(77)를 PIO로 구현한 경우, PIO의 출력에 따라, 변압기(76)의 출력은 단번 파형(Monophasic signal), 교번파형(Biphasic signal)일 수 있다. 또, 스위칭 신호 발생부(77)를 보조 제어기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도, 변압기의 출력은 위와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77 is implemented as a PIO in FIG. 13, the output of the transformer 76 may be a monophasic signal or a biphasic signal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PIO. In addition, even when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77 is implemented using an auxiliary controller, the output of the transformer is the same as above.

도 14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자극 신호 발생부(7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에서 도 12 및 도 13에서와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 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illustrated in FIGS. 7 and 11. In FIG. 14, the same parts as in FIGS. 12 and 13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4를 참조하면, 자극 신호 발생부(70)는 디지털 파형 데이터 발생부 (71), D/A 변환기(72), 변압기(76), 스위칭 신호 발생부(77) 및 파형 합성기(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칭 신호 발생부(77)는 병렬 입출력기(PIO) 및/또는 보조 제어기(sub-controller)로 구현할 수 있다. D/A 변환기(72)의 출력 및 파형 합성기 (79)의 출력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드-OR되어 변압기(76)로 인가된다. 변압기(76)의 출력은 전극(10)으로 인가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신호 발생부(7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주 제어기(9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디지털 파형 데이터 발생부(71), D/A 변환기(72)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77) 및 파형 합성기(79)를 활성화시키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4,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may include a digital waveform data generator 71, a D / A converter 72, a transformer 76, a switching signal generator 77, and a waveform synthesizer 79.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77 may be implemented as a parallel input / output device (PIO) and / or a sub-controller. The output of the D / A converter 72 and the output of the waveform synthesizer 79 are wired-OR and applied to the transformer 76, 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put of the transformer 76 is applied to the electrode 10. In the case of configuring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as shown in FIG. 14, the digital waveform data generator 71 and the D / A converter 72 are selectively activ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90. Or to activate the switching signal generator 77 and the waveform synthesizer 79.

도 15는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포락선 검출기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FIG. 1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envelope detector illustrated in FIGS. 5 to 11.

도 15를 참조하면, 포락선 검출기(20)는 소신호 전파 정류부(22) 및 저역 필터(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신호 전파 정류부(22)는 복수의 저항들(R1, R2, R3, R4, R5, R6), 복수의 다이오드(D1, D2), 커패시터(C1) 및 복수의 연산 증폭기 (OPO1, OPO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신호 전파 정류부(22)는 포락선 검출기(20)의 입력 단자(Vin)로 인가되는 신호를 소신호 전파 장류하여 출력한다. 또한, 저역 필터(24)는 저항(R7) 및 커패시터(C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소신호 전파 정류부 (22)의 출력을 저역 필터링하여 포락선 검출기(20)의 출력 단자(Vout)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소신호 전파 정류부(22)의 연산 증폭기(OPO1, OPO2)는 TexasInstruments 사의 TL072를 사용하고, 다이오드는 1N4148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저항들은 저항값(R1, R2, R3, R4, R5, R6)은 각각 100㏀, 저항(R7)은 10㏀으로 하고, 커패시터(C1) 및 커패시터(C2)로는 각각 102pF 및 103pF의 세락믹형 커패시터들을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envelope detector 20 includes a small signal full wave rectifier 22 and a low pass filter 24. The small signal full-wave rectifier 22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R1, R2, R3, R4, R5, and R6, a plurality of diodes D1 and D2, a capacitor C1, and a plurality of operational amplifiers OPO1 and OPO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mall signal full wave rectifying unit 22 outputs a small signal full wave device by applying a signal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Vin of the envelope detector 20. In addition, the low pass filter 24 includes a resistor R7 and a capacitor C2, and low-pass filters the output of the small signal full-wave rectifying unit 22 to output the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Vout of the envelope detector 20. do. Here, the operational amplifiers OPO1 and OPO2 of the small signal full wave rectifier 22 may use TL072 manufactured by Texas Instruments, and the diode may be configured using 1N4148. The resistors have resistances R1, R2, R3, R4, R5, and R6 of 100 kΩ and resistor R7 of 10 kΩ, respectively, and the capacitors C1 and C2 each have a width of 102 pF and 103 pF, respectively. Mix capacitors may be used.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6A and 16B are views for explain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를 참조하면, 기기 본체(200)에는 복수의 포트들(202a, 202b, 202c)이 형성되어 있다. 기기 본체(200)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근전도 신호 처리부 (80), 자극 신호 발생부(70), 주 제어기(90), 메모리(50), 조작부(60) 및 통신 프로세서(100)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포트(202b)는 근전도 신호 처리부 및 자극 신호 발생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포트(202b)는 또한 케이블(230), 유니버설 연결구(210a, 210b), 케이블(231)을 통해 질 삽입용 전극(220)에 결합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연결 부분으로서, 케이블(230) 및 유니버설 연결구(210a)가 일체로 형성되며, 전극 부분으로서 유니버설 연결구(210b), 케이블(231) 및 전극(220)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환자가 요실금 치료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니버설 연결구들(210a, 210b)을 서로 연결하고, 케이블(230)을 포트(202b)에 접속하도록 한다. 여기서, 유니버설 연결구(210a, 210b)는 서로 접속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6A, a plurality of ports 202a, 202b, and 202c are formed in the device body 200. The apparatus main body 200 may include the EMG signal processor 80,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the main controller 90, the memory 50, the operation unit 60, and the communication processor 100 as described above. Can be. In addition, the port 202b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MG signal processor and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Port 202b is also coupled to vaginal insertion electrode 220 via cable 230, universal connectors 210a and 210b, and cable 231. Here, the cable 230 and the universal connector 210a are integrally formed as the interface connection part, and the universal connector 210b, the cable 231 and the electrode 220 are integrally formed as the electrode part. Thus, when a patient wishes to receive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the universal connectors 210a and 21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able 230 is connected to the port 202b. Here, the universal connector 210a, 210b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6b를 참조하면, 유니버설 연결구(210c), 케이블(232, 233, 234, 235), 패드형 전극들(241, 242, 243, 244)이 일체로 형성되고, 유니버설 연결구들(210a, 210c)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도 16b에 도시된 패드형 전극들은 치료 부위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되며, 저주파 물리 치료 등에 이용된다.Referring to FIG. 16B, the universal connector 210c, the cables 232, 233, 234, and 235 and the pad electrodes 241, 242, 243, and 244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universal connectors 210a and 210c are formed.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pad electrodes shown in FIG. 16B are used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treatment site, and used for low frequency physiotherapy.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전극들이 유니버설 연결구를 통해서 포트(202b)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기기 본체(200)가 단지 하나의 용도, 예를 들어, 요실금 치료 장치로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변비/변실금 치료 장치, 저주파 물리 치료 장치, 전기 치료 장치, 전기 사정 유도 장치, 의료용 바이오 피드백 장치, 근전도 측정 장치, 근육 자극 장치, 방광 임피던스 측정 장치, 잔료량 측정 장치 등과 의료용 전기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극들의 예로는, 질 삽입용 전극, 직장 삽입용 전극, 물리 치료용 패드형 전극, 방광 임피던스 측정 플러그 등을 들 수 있다.As shown in FIGS. 16A and 16B, various types of electrodes may be coupled to the port 202b through universal connectors. Thus, the device body 200 is not only used for one purpose, for example,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but constipation / constipation treatment device, low frequency physiotherapy device, electrotherapy device, electrical ejaculation induction device, medical biofeedback It can be used as a medical electrical device such as a device, an EMG measuring device, a muscle stimulation device, a bladder impedance measuring device, a residual amount measuring devic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electrodes include vaginal insertion electrodes, rectal insertion electrodes, physiotherapy pad electrodes, bladder impedance measuring plugs, and the like.

또한, 도 16a 및 도 16b에서 포트(202a, 202c)는 다른 용도, 예를 들어 개인용 킴퓨터에 연결하기 위한 통신 연결 포트, 모니터 연결 포트 또는 다른 용도의 센서들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 포트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s 202a, 202c in FIGS. 16A and 16B may be used as connection ports for combining sensors for other use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connection port for connecting to a personal Kimputer, a monitor connection port or other uses. .

또한,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기기 본체(200)는 병원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기기 본체 (200)는 연결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컴퓨터 등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기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컴퓨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표시부(30)는 기기 본체(200) 내에 구현되지 아니하고 컴퓨터의 모니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evice body 200 shown in FIGS. 16A and 16B is shown to be suitable for use in a hospital. Specifically, the device main body 200 illustrated in FIGS. 16A and 16B illustrates a device that may be used by being coupled to a computer or the like through a connection cable (not shown).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30 may be implemented using a monitor of a computer without being implement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200.

그러나, 기기 본체(200)는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로 외관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한 것과 달리, 이동용, 휴대용 또는 가정용 치료 장치로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기기 본체(200) 내에 또는 상기 기기 본체(200)의 외부 표면에 일체형으로 표시부(30)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3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the device main body 200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16A and 16B, but may also be configured in other forms. For example, unlike those shown in FIGS. 16A and 16B, when intended to be used as a mobile, portable or home treatment device, the display unit 30 is integrally formed in the device body 200 or on an outer surface of the device body 200. ) Can be implemente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30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s mentioned above.

도 17은 도 16a 및 도 16b의 기기 본체(20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기기 본체(200)는 신호 처리부(250), 주 제어기(90), 표시부 (30), 조작부(60) 및 메모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작부(60)는 전극 형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메모리(50)에는 전극 형태에 따른 자극 신호의 파형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질 삽입용 전극을 위한 자극 신호의 파형들에 관한 데이터들(W11, W12, W13, ...)을 TYPE1 이라는 영역에 저장하고, 물리 치료용 패드 전극을 위한 자극 신호의 파형들에 관한 데이터들(W21, W22, W23, ...)을 TYPE2 라는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질 삽입용 전극이 조작부 (60)를 통해 선택되면, TYPE1에 속한 자극 신호들의 파형 관련 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가 주 제어기(90)에 의해 자극 신호 발생부(70)로 인가된다. 여기서, TYPE1에 속한 다수의 파형 관련 데이터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조작부(6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는 치료 훈련 데이터 등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하나의 기기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IG. 1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00 of FIGS. 16A and 16B. The apparatus main body 200 includes a signal processor 250, a main controller 90, a display unit 30,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operation part 60 and the memory 50. The operation unit 60 is configured to select an electrode type, and the memory 50 stores at least one waveform of a stimulus signal according to the electrode type. Specifically, data (W11, W12, W13, ...) relating to the waveforms of the stimulation signal for the vaginal insertion electrode are stored in the region called TYPE1, and the waveforms of the stimulation signal for the physiotherapy pad electrode are stored. Related data (W21, W22, W23, ...) can be stored in the area called TYPE2. If the electrode for vaginal insertion is selected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60, any one of waveform-related data of the stimulus signals belonging to TYPE1 is applied to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70 by the main controller 90. Here, the selection of one of the plurality of waveform-related data belonging to TYPE1 may be made based on a user's command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60 or pre-programmed treatment training data. Thus, the user can use one device for various purposes.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서 유니버설 연결구(260)는 도 16에서와 다른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유니버설 연결구(260)에는 다수의 전극 연결 포트들(270, 271, 272, 273, 274)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포트들의 크기는 각 전극들에 고유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전극이 잘못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다수의 전극 연결 포트들(270, 271, 272, 273, 274) 중 전극이 연결되어 있는 포트를 인식하도록 함으러써, 조작부(60)를 통해서 전극 형태를 선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한 전극과 실제로 유니버설 연결구(260)에 접속된 전극 형태가 불일치하여 발생되는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작부(60)를 통해서 전극 형태를 선택하게 하는 경우에도 실제 연결되어 있는 전극과 사용자가 선택한 전극 형태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도, 자극 신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하여, 기기의 오동작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1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8, the universal connector 260 has a different shape from that in FIG. 16. In addition, a plurality of electrode connection ports 270, 271, 272, 273, and 274 are formed in the universal connector 260, and the size of each port is configured to have a unique size for each electrode, so that an electrode is incorrect. Prevent connection. In this configuration, the electrode connection port 270, 271, 272, 273, and 274 may recognize the port to which the electrode is connected, so that the electrode shape may not be selec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60. .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lfunction of the device caused by the mismatch between the selected electrode and the electrode shape actually connected to the universal connector 260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even when the electrode shape is selec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60, the stimulus signal may not be generated even when the electrode actually connected and the electrode shape selected by the user do not match. Thus, the patient can be protected from malfunction of the apparatus.

이와 같은 오동작 보호 매커니즘은 도 16a 및 도 16b와 같은 유니버설 연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전극 형태마다 고유한 식별 신호를 할당하고, 유니버설 연결구가 상호 접속할 때 이 고유한 식별 신호를 유니버설 연결구에서 케이블을 통해 기기의 주 제어기(90)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Such a malfunction protection mechanism can be realized even when the universal connector shown in Figs. 16A and 16B is used. For example, by assigning a unique identification signal to each electrode type, and when the universal connectors are interconnected, this unique iden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universal connector through the cable to the main controller 90 of the device,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device. You can prevent it.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이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이용함으로써, 전기 치료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히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근육의 수축상태 등과 같은 정보를 환자 또는 의사 등과 같은 사용자가 보다 인식하기 쉽게 표시하도록 하였다. 구성이 간단해짐에 따라, 기기 전체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여 요실금 치료 장치 등을 휴대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하여, 치료를 받는 중에도 환자로 하여금 간단한 집안일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implifie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electrotherapy apparatus by using the envelope of the EMG signal, but also makes it easier for a user such as a patient or a doctor t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muscle contraction state. It was. As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the weight of the entire apparatus can be reduced, and the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a portable manner.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llows the patient to do simple household chores and the like while receiving treatment.

또한, 유니버설 연결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극들이 기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 전극들에 상응하는 파형 정보들을 기기 내에 저장함으로써, 전기 치료 장치가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환자가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용도의 기기를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universal connector to allow various types of electrodes to be connected to the device and to store the wavefor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electrode in the device, the electrotherapy device can be used for universal purpose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llows the patient to purchase a multi-purpose device at a low cost.

Claims (25)

환자의 실체의 일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체강에 삽입되어 접촉되어 있는 신체 부위로부터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는 전극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에 있어서,A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n electrode for sensing an EMG signal generated from a part of a body that is in contact with or is inserted into or in contact with a part of a patient's entity,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기와;An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of an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nd outputting an EMG envelope signal;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에 기초하여 의학 치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on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 EMG envelope signal 를 포함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ical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소정 치료 목표 파형(GOAL-EMG)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the predetermined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상기 표시부는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소정의 치료 목표 파형(GOAL-EMG)에 기초하여 의학 치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The display unit displays information on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 EEG envelope signal as well as the predetermined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포락선 검출기를 제어하는 주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A mai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nvelope detector, 상기 표시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표시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표시 제어기를 포함하고,The display unit includes a screen and a display controller for performing control for displaying the screen, 의학 치료 중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에 관한 제1 파형과 상기 치료 목표 파형(GOAL-EMG)에 관한 제2 파형이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A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waveform for the EMG envelope signal and the second waveform for the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during medical treatm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소정 치료 목표 파형(GOAL-EMG)을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상기 포락선 검출기,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A main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envelope detector, the memory and the display unit; 상기 표시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표시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표시 제어기를 포함하는The display unit includes a screen and a display controller for performing control for displaying the screen.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주 제어기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And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the main controlle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조작부는The operation unit 상기 전극을 통해서 환자의 신체 부위로 전달되어야 할 자극 신호의 파형에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설정 수단과;First setting means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a waveform of a stimulus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body part of a patient through the electrode; 상기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A second setting means for setting an operating mode of the devic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장치의 동작 모드에는 환자의 신체 부위로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자극 모드, 환자의 신체 부위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측정 모드 및 상기 자극 모드와 상기 측정 모드가 교호로 실행되는 혼합 모드가 포함되고,The operation mode of the device includes a stimulation mode for transmitting a stimulus signal to a body part of a patient, a measurement mode for measuring an EMG signal from a body part of a patient, and a mixed mode in which the stimulation mode and the measurement mode are alternately executed, 상기 조작부는:The operation unit: 상기 제2 설정 수단에 의해 혼합 모드가 선텍된 경우, 자극 모드에서 측정 모드로의 전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것인지 수동으로 이루어질 것인지를 설정하는 제3 설정 수단과;Third setting means for setting whether to switch from the stimulus mode to the measurement mode automatically or manually when the mixed mode is selected by the second setting means; 상기 제3 설정 수단에 의해 모드의 자동 전환이 설정된 경우에는 자극 신호가 인가된 후 측정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4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A fourth setting means for setting a time from when the stimulus signal is applied to switching to the measurement mode when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mode is set by the third setting means;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환자의 실체의 일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체강에 삽입되어 접촉되어 사용되는 전극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에 있어서,A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operating in contact with an electrode used in contact with a part of a patient's entity or inserted into and contacted with a body cavity,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근전도 신호에 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근전도 신호 처리부와;An EMG signal processor for detecting an envelope of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nd outputting an EMG envelope signal, and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n the EMG signal;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에 기초하여 의학 치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on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 EMG envelope signal;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와;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소정 치료 목표 파형(GOAL-EMG)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A memory storing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treatment target waveform GOAL-EMG;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파형 정보 또는 상기 매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치료 목표 파형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자극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극으로 전달하는 자극 신호 발생부와;A stimulus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timulus signal based on waveform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or information on a treatment target waveform stored in the memory, and transmitting the stimulus signal to the electrode; 상기 표시부, 상기 조작부, 상기 메모리, 상기 근전도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자극 신호 발생부에 결합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 제어부A main control unit coupled to the display unit, the operation unit, the memory, the EMG signal processor, and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to control their operation 를 포함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ical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The EMG signal processor,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상기 증폭기의 출력에 포함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필터와;A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an output of the amplifier; 상기 잡음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포락선을 검출하여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기와;An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from an output of the noise filter and outputting the EMG envelope signal;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포락선 검출기의 출력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주 제어기로 전달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하는An A / D converter converting an output of the envelope detector in analog form into a digital form and transferring the output to the main controll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 및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The EMG signal processor includes a combined EMG signal processor and a separate EMG signal processor, 상기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The separated EMG signal processor,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제1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포락선 검출기와;A first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of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nd outputting a first EMG envelope signal; 상기 제1 포락선 검출기의 출력을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output of the first envelope detector, 상기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The unitary EMG signal processor,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제2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포락선 검출기와;A second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of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nd outputting a second EMG envelope signal;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제1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A receiver for receiving a first EMG envelop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상기 수신기의 출력과 상기 제2 포락선 검출기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채널 선택기와;A channel selector for selecting one of an output of the receiver and an output of the second envelope detector;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채널 선택기의 출력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주 제어기로 전달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하는An A / D converter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channel selector in analog form into a digital form and delivering it to the main controll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 및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The EMG signal processor includes a combined EMG signal processor and a separate EMG signal processor, 상기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The separated EMG signal processor, 상기 전극으로부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와;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MG signal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에 포함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제1 잡음 필터와;A first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an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상기 제1 잡음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포락선을 검출하여 제1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포락선 검출기와;A first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from an output of the first noise filter and outputting a first EMG envelope signal; 상기 제1 포락선 검출기의 출력을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output of the first envelope detector, 상기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The unitary EMG signal processor,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와;A second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에 포함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제2 잡음 필터와;A second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an output of the second amplifier; 상기 제2 잡음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포락선을 검출하여 제2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포락선 검출기와;A second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from an output of the second noise filter and outputting a second EMG envelope signal;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제1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A receiver for receiving a first EMG envelop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상기 수신기의 출력과 상기 제2 포락선 검출기의 출력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채널 선택기와;A channel selector for selecting either the output of the receiver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envelope detector;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채널 선택기의 출력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주 제어기로 전달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하는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channel selector of the analog form into a digital form and delivers to the main controll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까지의 전송은 무신 전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And wherein said transmission from said transmitter to said receiver is a wireless transmission.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 및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The EMG signal processor includes a combined EMG signal processor and a separate EMG signal processor, 상기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The separated EMG signal processor,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상기 증폭기의 출력에 포함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필터와;A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an output of the amplifier; 상기 잡음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포락선을 검출하여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기와;An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from an output of the noise filter and outputting the EMG envelope signal; 상기 포락선 검출기의 출력을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output of the envelope detector, 상기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The unitary EMG signal processor,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되어온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A receiver for receiving an EMG envelop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수신기의 출력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주 제어기로 전달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하는An A / D converter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receiver in analog form into a digital form and delivering the same to the main controll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주제어기에 결합되고, 외부에 있는 정보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A communication processor coupled to the main controller and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information device; 상기 통신 프로세서를 통해서 상기 정보 기기로부터 의학 치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메모리에 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의학 치료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정보 기기로 송신하는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medical treatment from the information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and interrupting it in the memory or transmitting data about the medical treatment stored in the memory to the information devic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자극 신호 발생부는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is 상기 주 제어기로부터 자극 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에 근거하여 디지털 파형 데이터를 발생하는 디지털 파형 데이터 발생부와;A digital waveform data generator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timulus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and generating digital waveform data based on the information; 상기 디지털 파형 데이터 발생부의 출력을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D/A 변환기를 포함하는And a D /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digital waveform data generator into an analog form.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자극 신호 발생부는,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상기 D/A 변환기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기와;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D / A converter;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증폭 변압하는 변압기를 더 포함하는Further comprising a transformer for amplifying and transforming the output of the amplifier 것을 특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A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ng.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자극 신호 발생부는,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상기 D/A 변환기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파형 데이터 발생부의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어부와;A gain controller which adjusts a gain of the digital waveform data generator based on an output of the D / A converter; 상기 이득 제어부와 출력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필터를 더 포함하는Further comprising a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from the gain control and the output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자극 신호 발생부는,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상기 주 제어기로부터 자극 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에 근거하여 교호로 액티브되는 복수의 스위칭 신호들을 발생하는 스위칭 신호 발생부와;A switching signal generator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timulus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switching signals that are alternately activ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상기 스위칭 신호들에 근거하여 파형을 생성하는 파형 발생기와;A waveform generator for generating a waveform based on the switching signals; 상기 파형 발생기의 출력을 증폭 변압하는 변압기를 포함하는A transformer for amplifying and transforming an output of the waveform generato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근전도 신호 처리부에 포함되는 포락선 검출기는,An envelope detector included in the EMG signal processor, 상기 근전도 신호를 입력하는 소신호 전파 정류부와;A small signal full wave rectifier for inputting the EMG signal; 상기 소신호 전파 정류부의 출력을 저역 필터링하는 저역 필터를 포함하는And a low pass filter configured to low pass filter the output of the small signal full wave rectifi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환자의 신체의 일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체강에 삽입되어 접촉되어 있는 신체 부위로부터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는 전극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의료용 전기 치료 장치에 있어서,A 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n electrode that detects EMG signals generated from a part of a body that is in contact with or is inserted into or in contact with a part of a patient's body,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기와;An envelope detector for detecting an envelope of an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nd outputting an EMG envelope signal;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A/D 변환기와;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EMG envelope signal in an analog form into a digital form; 상기 A/D 변환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부Signal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information processing on the state of the patient based on the output of the A / D converter 를 포함하는 의료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ical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환자의 신체로 전달될 자극 신호를 발생하거나 환자의 신체에서 감지되는 근전도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자극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근전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포트를 포함하는 기기 본체와;An apparatus main body including a port for generating a stimulus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patient's body or processing an EMG signal sensed by the patient's body, and outputting the stimulus signal or receiving the EMG signal; 인터페이스 연결 부분; 및Interface connection portion; And 복수의 전극 부분들을 포함하되,A plurality of electrode portions, 상기 인터페이스 연결 부분은, 한쪽이 상기 기기 본체의 포트에 접속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1 케이블과, 상기 제1 케이블의 다른 쪽에 형성된 제1 형태의 유니버설 연결구를 포함하고;The interfac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ab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a port of the device main body, and a universal connector of a first typ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ble; 상기 복수의 전극 부분들은 각각, 환자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체강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한쪽이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다른 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형태의 유니버설 연결구에 접속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제2 형태의 유니버설 연결구를 포함하는The plurality of electrode portions may each include at least one electrode in contact with or inserted into the body cavity of the patient, at least one second cable connected to the electrode at one side thereof, and 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able. And a universal connector of the second type, which is formed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niversal connector of the first typ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을 구비한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having an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전극들 중 하나는 질 삽입용 전극인One of the electrodes is a vaginal insertion electrod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을 구비한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having an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전극들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형 전극이 더 포함되는The electrodes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ad-type electrod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을 구비한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having an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기기 본체는The device body 상기 복수의 전극 부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와,An operation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ortions; 상기 제1 형태의 유니버설 연결구와 상기 제2 형태의 유니버설 연결구가 접속되었을 때, 접속된 제2 형태의 유니버설 연결구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된 전극 부분에 속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nnected universal connector of the second type belongs to the electrode portion selec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when the universal connector of the first type and the universal connector of the second type are connec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을 구비한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having an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기기 본체는,The device body,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근전도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여 근전도 포락선 신호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근전도 신호에 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근전도 신호 처리부와;An EMG signal processor for detecting an envelope of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and outputting an EMG envelope signal, and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n the EMG signal; 상기 근전도 포락선 신호에 기초하여 의학 치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on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 EMG envelope signal; 상기 복수의 전극 부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전극 선택 명령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와;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including an electrode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ortions; 상기 복수의 전극 부분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치료 목표 파형(GOAL-EMG)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A memory stor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treatment target waveforms (GOAL-EMG)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 portions, respectively;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파형 정보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치료 목표 파형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자극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극으로 전달하는 자극 신호 발생부와;A stimulus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timulus signal based on waveform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or information on a treatment target waveform stored in the memory and transmitting the stimulus signal to the electrode; 상기 표시부, 상기 조작부, 상기 메모리, 상기 근전도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자극 신호 발생부에 결합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 제어부를 포함하는And a main control unit coupled to the display unit, the operation unit, the memory, the EMG signal processor, and the stimulus signal generator to control their operation.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을 구비한 의학용 전기 치료 장치.Medical electrotherapy device having an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80029206A 1998-02-08 1998-07-21 Electrical remedy apparatus using envelop line of electromyographic signal KR1003284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51,390 US6321116B1 (en) 1998-02-08 1999-02-17 Electrical apparatus medical treatment using EMG envelope signal
EP99301408A EP0938911A3 (en) 1998-02-25 1999-02-25 Electrical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using EMG envelope signal
US09/583,197 US6240315B1 (en) 1998-02-25 2000-05-30 Electrical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using EMG envelope signal
US09/583,696 US6289245B1 (en) 1998-02-25 2000-05-30 Electrical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using EMG envelope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998 1998-02-25
KR19980005998 1998-02-25
KR98-5998 1998-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367A KR19990071367A (en) 1999-09-27
KR100328483B1 true KR100328483B1 (en) 2002-07-12

Family

ID=3747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206A KR100328483B1 (en) 1998-02-08 1998-07-21 Electrical remedy apparatus using envelop line of electromyographic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48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119B1 (en) * 2000-10-02 2003-09-06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Driving circuit for a magnetic urinary incontinence therapy system
KR101006068B1 (en) * 2008-09-19 2011-01-06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Incontinence therapy an electrode
KR20110109034A (en) * 2010-03-30 2011-10-06 한라공조주식회사 Active air fla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169B1 (en) * 2002-07-22 2005-09-07 모승기 measuring and stimulating device using electronic signal
KR100866543B1 (en) * 2007-06-15 2008-11-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otor point detector and electromagnetic stimulation apparatu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6950A (en) * 1988-05-18 1989-12-14 김성환 EMG signal processing system ELECTROMYOGRAPH SIGNAL PROCESSING SYSTEM
US5291902A (en) * 1993-01-11 1994-03-08 Brent Carman Incontinence treatment
US5423329A (en) * 1994-04-15 1995-06-13 Rehab Centers Of America, Inc. Method of treatment for urinary incontinence
KR970064630A (en) * 1996-03-11 1997-10-13 박병림 Electric stimulation device for restoring motor function and method thereof
US5692517A (en) * 1993-01-06 1997-12-02 Junker; Andrew Brain-body actuated system
KR19990066564A (en) * 1998-01-30 1999-08-16 전주범 Arm prosthesis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9990066565A (en) * 1998-01-30 1999-08-16 전주범 Optimum Muscle Momentum Alarm System and Its Method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6950A (en) * 1988-05-18 1989-12-14 김성환 EMG signal processing system ELECTROMYOGRAPH SIGNAL PROCESSING SYSTEM
US5692517A (en) * 1993-01-06 1997-12-02 Junker; Andrew Brain-body actuated system
US5291902A (en) * 1993-01-11 1994-03-08 Brent Carman Incontinence treatment
KR960700087A (en) * 1993-01-11 1996-01-19 브렌트 카멘 METHOD OF VARYING APPROPRIATE MUSCLE STRENGTH OF A PERSON TO ALLEVIATE URINARY OR FECAL URGENCY OR INCONTINENCE OR VAGINAL OR BLADDER SPASMS
US5423329A (en) * 1994-04-15 1995-06-13 Rehab Centers Of America, Inc. Method of treatment for urinary incontinence
KR970064630A (en) * 1996-03-11 1997-10-13 박병림 Electric stimulation device for restoring motor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9990066564A (en) * 1998-01-30 1999-08-16 전주범 Arm prosthesis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9990066565A (en) * 1998-01-30 1999-08-16 전주범 Optimum Muscle Momentum Alarm System and Its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119B1 (en) * 2000-10-02 2003-09-06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Driving circuit for a magnetic urinary incontinence therapy system
KR101006068B1 (en) * 2008-09-19 2011-01-06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Incontinence therapy an electrode
KR20110109034A (en) * 2010-03-30 2011-10-06 한라공조주식회사 Active air fl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367A (en)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116B1 (en) Electrical apparatus medical treatment using EMG envelope signal
EP1257318B1 (en) Implantable system for neural sensing and nerve stimulation
US112470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enabled bladder control
CN107847731B (en) The implantable nerve stimulator and application method of internal electronic equipment with no ASIC
US7326181B2 (en) Nervous tissue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CN110464347B (en) Pelvic floor muscle treatment method, system and device
EP1608432B1 (en) Implantable nerve signal sensing and stimulation device for treating foot drop and other neurological disorders
KR100550666B1 (en) Portable unit for medical treating for nerve/muscle
US200700328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rapeutic and diagnostic stimulation
WO2003061761A1 (en) A multi-purpose fes system
KR20220068252A (en) Methods and systems for targeted and adaptive transdermal spinal cord stimulation
CN109475740B (en) Electric stimulation therapeutic instrument
CN109641127B (en) Urination disorder therapeutic apparatus
KR102472838B1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pelvic floor muscle
WO2004069129A1 (en) Medical treatment system for stimulating spots on the body suitable for acupuncture
KR100328483B1 (en) Electrical remedy apparatus using envelop line of electromyographic signal
JP2013248344A (en) Electrostimulator
EP3863709B1 (en) Electro-stimulation apparatus
KR100357436B1 (en) Electrical clinical apparatus including safety circuit
JP3235050U (en) Bidirectional diagnostic / therapeutic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measure blood pressure
CN216135879U (en) Two-way diagnosis and treatment device capable of being connected with blood pressure measurement
JP7465496B2 (e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device
KR101006068B1 (en) Incontinence therapy an electrode
PT106690A (en) MINIATURIZED INTUITIVE UTILIZATION SYSTEM FOR PHYSICAL REHABILITATION BY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