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31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control oscillato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control oscillato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310B1
KR100326310B1 KR1020000040136A KR20000040136A KR100326310B1 KR 100326310 B1 KR100326310 B1 KR 100326310B1 KR 1020000040136 A KR1020000040136 A KR 1020000040136A KR 20000040136 A KR20000040136 A KR 20000040136A KR 100326310 B1 KR100326310 B1 KR 100326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led oscillator
switch
mobile communication
voltage cont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06759A (en
Inventor
권성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4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310B1/en
Publication of KR20020006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7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3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2Details
    • H03B5/04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compensate for variations in physical values, e.g. power supply, load,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1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841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a strip line resonator
    • H03B5/184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a strip line resonator the active element in the amplifier being a semiconductor device
    • H03B5/185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a strip line resonator the active element in the amplifier be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 semiconductor device being a field-effec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류의 소모를 줄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use time by reducing the consumption of curr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항상 동작하는 전압제어 발진기를 온/오프하여 소모전류를 줄이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Provided ar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by turning on / off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hich always operat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장치는 통화상태와 대기상태와 슬립상태의 3상태를 가지며, 안테나와 듀플렉서와 무선 수신부와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장치로,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의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무선 송신부로 출력할 기저대역의 신호를 중간주파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 수신부 및 상기 무선 송신부로 출력하는 기저대역 처리부와,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전압 및 전류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로 출력할 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압제어 발진기와, 상기 통화상태 및 상기 대기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를 계속적으로 온시키는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슬립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를 가지는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며 외부 발진기와 연결 가능한 제어장치와, 소정의 클럭을발생하여 상기 제어장치로만 제공하는 발진기로 구성되며,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ree states of a call state, a standby state, and a sleep state, and is a control device of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ntenna, a duplexer, a radio receiver, and a radio transmitter,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adio receiver. Converts to a baseband analog signal, converts the baseband signal to be output to the radio transmitter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generates a signal for conversion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radio receiver and the radio transmitter. A baseband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voltage and current, and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or generating a frequency to be output to the baseband processor in response to an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 And a circuit for continuously turning on the switch in the call state and the standby state. A control device that generates and outputs a call,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in the sleep state, is connectable to an external oscillator, and an oscillator that generates a predetermined clock and provides only the control device,

상기 스위치가,The switch,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스위치로 인가되는 신호를 게이트단에 연결하고 전원단을 소오스단에 연결하며 드레인단을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omposed of a field effect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device to the gate terminal, the pow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and the drain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한다.Use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CONTROL OSCILLATO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Control device and method of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CONTROL OSCILLATO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모전류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압제어 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소모전류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by controlling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장소를 이동하며 음성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며 통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전류소모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시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통화시간 및 대기시간이 길고 부피가 작은 배터리를 원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개선 및 이동통신 단말기 회로도 저전력 소모형으로 많은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중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휴대폰이다. 그러면 휴대폰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device that a user carries, moves a place, and performs voice call or data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hile the user moves, and current consumption greatly affects the usage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users who u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long talk time, long standby time, and have a small volume of battery. Thus, many improvements have been made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rcuit with low power consumption. Amo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 representative mobile phone is used.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phone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부의 일반적인 회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휴대폰 무선부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살펴본다.1 is a general circuit diagram of a wireless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cellular phone wireless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부는 크게 3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송신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며 상기 중간주파수로 변환된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신부와, 송신할 데이터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신대역의 신호로 변환후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에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중간주파 발생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면 먼저 수신부를 살펴본다. 안테나(ANT)와 듀플렉서(103)는 송신부와 수신부에 모두 포함되며,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듀플렉서(103)에서 분리되어 저잡음 증폭기(LNA)(105)로 입력된다. 그러면 저잡음 증폭기(105)는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무선신호 필터(107)로 출력한다. 무선신호 필터(107)는 입력된 신호중 소정 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제1주파수 합성기(109)로 출력한다. 제1주파수 합성기(109)는 주파수 합성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제1주파수 합성기(109)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후 중간주파 증폭기(111)로 출력한다. 상기 중간주파 증폭기(111)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중간주파 필터(113)로 출력한다. 그러면 중간주파 필터(113)는 중간주파수로 변환되어 증폭된 신호를 필터링하여 수신 자동이득 조절 증폭기(115)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수신 자동이득 조절 증폭기(11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로 동작하는 원칩으로 구성된 MSM(119)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이득값을 결정하여 증폭후 중간주파 수신부(117)로 출력한다. 그러면 중간주파 수신부(117)는 수신된 중간주파수의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MSM(119)으로 출력한다.The wireless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parts. A receiving unit for converting a signal of a transmission ban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and converting the signal converted in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into data; a transmitter for converting data to be transmit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transmission band signal; And an intermediate frequency generator which generates and outputs a frequency for converting the intermediate frequency into a receiver. First, look at the receiver. The antenna ANT and the duplexer 103 are included in both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T is separated from the duplexer 103 and input to the low noise amplifier (LNA) 105. The low noise amplifier 105 then amplifies the input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outputs it to the radio signal filter 107. The wireless signal filter 107 filters only a signal of a predetermined band among the input signals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synthesizer 109. The first frequency synthesizer 109 mix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requency synthesizer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frequency synthesizer 109, converts the signal to an intermediate frequency, and outputs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111.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111 amplifies the input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filter 113. Then, the intermediate frequency filter 113 filters the amplified signal converted in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and outputs the filtered signal to the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115. Accordingly, the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115 determines a gain value by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SM 119 composed of a one-chip operating as a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mplifies and outputs the gain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receiver 117. Then, the intermediate frequency receiver 117 converts the received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nto data and outputs the data to the MSM 119.

송신부는 MSM(119)에서 출력할 데이터를 중간주파 송신부(121)로 출력한다. 그러면 중간주파 송신부(121)는 이를 수신하여 중간주파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 자동이득 조절 증폭기(123)로 출력한다. 그러면 송신 자동이득 조절 증폭기(123)은 MSM(119)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이득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득값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2주파수 합성기(125)로 출력한다. 제2주파수 합성기(125)는 송신 자동이득 증폭기(12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주파수 합성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대역의 신호로 변환한 후 송신 제1필터(127)로 출력한다. 송신 제1필터(127)는 제2주파수 합성기(125)로부터 출력된 신호중 소정 대역의 신호만으로 필터링하여 구동 증폭기(Drive AMP)(129)로 출력한다. 구동 증폭기(129)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 제2필터(131)로 출력하며,상기 송신 제2필터(131)는 입력된 신호중 출력할 신호만 필터링하여 전력 증폭기(Power AMP)(133)로 출력한다. 그러면 전력 증폭기(133)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듀플렉서(103)으로 출력하며, 듀플렉서(103)는 안테나(ANT)를 통해 공중파로 출력한다.The transmitter outputs the data to be output from the MSM 119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transmitter 121. Then, the intermediate frequency transmitter 121 receives the signal, converts it into a signal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transmission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123. Then, the transmission auto gain control amplifier 123 determines a gain value by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SM 119, amplifies the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gain value,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second frequency synthesizer 125. The second frequency synthesizer 125 converts a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auto gain amplifier 123 into a signal of a transmission band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frequency synthesizer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transmission first filter 127. The transmission first filter 127 filters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band amo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second frequency synthesizer 125 and outputs the filtered signal to the drive amplifier 129. The driving amplifier 129 amplifies the input signal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transmission second filter 131, and the transmission second filter 131 filters only the signal to be output among the input signals and outputs a power amplifier 133. Will output Then, the power amplifier 133 amplifies the input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duplexer 103, and the duplexer 103 outputs the airwaves through the antenna ANT.

마지막으로 주파수 합성부의 구성을 살펴본다. 주파수 합성부는 전압제어 발진기(VCTCXO)(135)에서 발생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는 중간주파 수신부(117)과 중간주파 송신부(121)과 PLL(137)로 입력된다. 그리고 PLL(137)은 MSM(119)의 제어에 의해 발진기(139)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주하여 분주된 신호를 발진기(139)로 출력한다. 발진기(139)는 상기 PLL(137)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발진하며, 상기 발진된 신호는 상기 PLL(139)과 두 개의 증폭기(141, 145)로 입력된다. 그러면 각 증폭기들(141, 145)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며, 제1증폭기(141)는 증폭된 신호를 대역통과필터(143)로 출력한다. 따라서 대역통과 필터(143)는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하여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상기 수신부의 제1주파수 합성기(109)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증폭기(145)는 송신부의 제2주파수 합성기(125)로 출력한다.Fin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frequency synthesizer is described. The frequency synthesizer inputs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generated by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TCXO) 135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receiver 117, the intermediate frequency transmitter 121, and the PLL 137. The PLL 137 divid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139 and the signal in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under the control of the MSM 119 and outputs the divided signal to the oscillator 139. The oscillator 139 oscillates us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PLL 137, and the oscillated signal is input to the PLL 139 and two amplifiers 141 and 145. Then, each of the amplifiers 141 and 145 amplifies the input signal, and the first amplifier 141 outputs the amplified signal to the band pass filter 143. Accordingly, the bandpass filter 143 filters the received signal and outputs the filtered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synthesizer 109 of the receiver. Also, the second amplifier 145 outputs the second frequency synthesizer 125 of the transmitter.

그런데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에서 발생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클럭을 필요로 하는 모든 부분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MSM(119)도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의 신호를 수신하여 동기신호로 사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와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동작하여야만 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란, 통화상태(Talk 상태)와, 대기상태(Idle 상태)와, 슬립상태(sleep 싱태)로 구분되며, 통화상태는 통화를 수행하는 상태로 송신부와 수신부 및 주파수 합성부 모두 전류를 소모하고 있는 상태이며, 대기상태는 송신부 측으로는 전류를 제공하지 않고 단지 수신부 측으로만 전류를 제공하여 수신되는 신호만을 검사하고 있는 상태이며, 슬립상태는 수신부 측으로도 소정의 시간단위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신되는 신호를 검사하는 상태를 말한다. 그러므로 슬립상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모되는 전류는 극히 작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는 계속적으로 동작해야 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줄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However, the signal having the predetermined frequency generated by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is input to all parts requiring the internal clo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ly, the MSM 119 also receives the signal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and uses it as a synchronization signal. Therefore,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had to operate continuously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vided into a talk state (Talk state), a standby state (Idle state), and a sleep state (sleep state), and the call state is a state in which a call is performed. All of them consume current, and the standby state does not provide current to the transmitter side, but only provides current to the receiver side and checks only the received signal. The sleep state also supplies power to the receiver side for a predetermined time unit. The state of inspecting the received signal to supply. Therefore, in the sleep state, the current consum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xtremely small. However, even in such a case,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should be continuously operated, resulting in a reduction in battery usage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립상태에 있을 경우 전압제어 발진기를 온/오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류의 소모를 줄임으로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늘이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a use time of a terminal by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urning on / off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sleep sta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통화상태와 대기상태와 슬립상태의 3상태를 가지며, 안테나와 듀플렉서와 무선 수신부와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장치로,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의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무선 송신부로 출력할 기저대역의 신호를 중간주파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 수신부 및 상기 무선 송신부로 출력하는 기저대역 처리부와,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전압 및 전류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로 출력할 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압제어 발진기와, 상기 통화상태 및 상기 대기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를 계속적으로 온시키는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슬립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를 가지는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며 외부 발진기와 연결 가능한 제어장치와, 소정의 클럭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장치로만 제공하는 발진기로 구성되며,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trol device of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ree states of a call state, a standby state and a sleep state, and having an antenna, a duplexer, a radio receiver and a radio transmitter. Conver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iver into a baseband analog signal, converts the baseband signal to be output to the wireless transmitter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d generates a signal for conversion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A baseband processor for outputting to the receiver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a switch for switching voltage and current on / off by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to the baseband processor in response to an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or generating a frequency and the switch in the call state and the standby state Control device that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that continuously turns on the device,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in the sleep state,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oscillator, and an oscillator that generates a predetermined clock and provides only the control device to the controller. ,

상기 스위치가,The switch,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스위치로 인가되는 신호를 게이트단에 연결하고 전원단을 소오스단에 연결하며 드레인단을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omposed of a field effect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device to the gate terminal, the pow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and the drain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통화상태와 대기상태와 슬립상태의 3상태를 가지며, 안테나와 듀플렉서와 무선 수신부와 무선 송신부와 기저대역 처리부와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로 소정의 주파수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전압제어 발진기와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제어장치의 외부에 연결되는 발진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방법으로, 대기상태에서 슬립모드 진입조건이 충족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슬립모드 진입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슬립모드로 진행하여 상기 스위치로 소정의 주기를 가지는 주파수의 구형파를 출력하고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를 소정 시간마다 온/오프시키는 단계와, 상기 슬립모드시 슬립모드 해제조건이 충족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슬립모드 해제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슬립모드를 해제하며 상기 스위치를 항상 온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three states of a call state, a standby state and a sleep state, and generates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an antenna, a duplexer, a wireless receiver, a wireless transmitter, a baseband processor, and the baseband processor. A method of controlling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hich is outputted by means of an oscillato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a control device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entering a sleep mode in a standby state Checking whether the condition is satisfied; and if the condition for entering the sleep mode is satisfied, proceeding to the sleep mode, outputting a square wave of a frequency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to the switch, and turning on / of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every predetermined time; And checking whether a sleep mode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sleep mode. If the tests the sleep mode release conditions are satisfied release the sleep mode, and is characterized by made of an outputting by generating a signal for always turning on the switch.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부의 일반적인 회로도,1 is a general circuit diagram of a wireless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 발진기의 상세 회로도,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도 2의 구성에 따라 전압-전류 및 전압-전압를 시뮬레이션한 그래프,3 is a graph simulating voltage-current and voltage-voltag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제 구성에 따른 블록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actu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슬립모드시 전압제어 발진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5 is a control flowchart for controlling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a sleep m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부분은 비록 다른 도면에 도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parts also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lthough shown in the other figure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 발진기의 상세 회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압제어 발진기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먼저 도 2의 구성을 살펴본다. 공급전압(Vdd)은 코일(L1)을 통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소오스단(S)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소오스단(S)과 코일(L1)의 사이에는 제1캐패시터(C1)를 연결하여 접지한다. 그리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게이트단(G)에는 저항(R1)을 통해 접지하며, 동시에 게이트단(G)은 제어전압(Vc)이 인가된다. 그리고 드레인단(D)은 전압제어 발진기(VCTCXO)(135)의 전원단(Vcc)에 연결되며,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의 전원단(Vcc)와 접지 사이에 제2캐패시터(C2)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의 온도에 따른 옵셋 보상단(VT)은 옵셋값을 보상하기 위한 옵셋 보상값 인가단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의 옵셋 보상단(VT)과 접지 사이에는 제3캐패시터(C3)가 연결되며, 상기전압제어 발진기(135)의 접지단(GND)은 접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의 출력단(Out)은 제4캐패시터(C4)를 통해 출력단(OUTPUT)과 연결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FIG. 2 will be described. The supply voltage Vdd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S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through the coil L1. The first capacitor C1 is connected to the ground between the source terminal S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and the coil L1 to ground. The gate terminal G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is grounded through the resistor R1,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voltage Vc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The drain terminal 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TCXO) 135, and a second capacitor C2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and the ground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Connected. The offset compensation stage V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is connected to an offset compensation value applying stage for compensating the offset value. In addition, a third capacitor C3 is connected between the offset compensation terminal VT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and the ground, and the ground terminal GND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PUT through a fourth capacitor C4.

그러면 상기한 구성에 따른 동작을 살펴본다. 상기 옵셋 보상값은 전압제어 발진기(135)가 온도에 따라 발진하는 주파수가 달라지므로 온도 변화에 따라 옵셋을 보상하기 위한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전압(Vc)이 전계효과 트랜지스탸(FET)의 게이트단(G)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가 턴온되거나 턴오프된다. 즉,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게이트단(G)에 로우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전압(Vdd)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소스단(S)을 통해 드레인단(D)으로 유입되는 전류는 거의 0에 가까운 값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는 동작하지 않는다.Next,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frequency at which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oscillates varies according to temperature, the offset compensation value applies a voltage for compensating the offse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is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the voltage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That is, when a low voltage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is turned off. Therefore,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has a value close to zero in which current flows into the drain terminal D through the source terminal S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Therefore,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does not operate.

이와 달리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게이트단(G)에 하이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는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소오스단(S)에 인가되는 전원전압(Vdd)은 소오스단(S)을 통해 드레인단(D)으로 유입된다. 이때 흐르는 드레인 전류(Id)는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의 동작전류가 된다. 또한 상기 코일(L1)과 제1캐패시터(C1)은 임피던스 매칭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제2 내지 제4캐패시터(C2, C3, C4)는 커플링을 위한 캐패시터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대신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를 사용하여 동일한 동작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의 경우 계속적으로 전류를 소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In contrast,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is turned on. Therefore,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pplied to the source terminal S flows into the drain terminal D through the source terminal S. At this time, the flowing drain current Id becomes an operating current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In addition, the coil L1 and the first capacitor C1 are used for impedance matching, and the second to fourth capacitors C2, C3, and C4 are used as capacitors for coupling. In addi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ipolar transistor BJ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instead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but the bipolar transistor BJT continuously consumes current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roblem that becomes difficul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ield effect transistor.

도 3은 상기 도 2의 구성에 따라 전압-전류 및 전압-전압를 시뮬레이션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A) 및 (B)의 그래프를 상세히 설명한다.3 is a graph simulating voltage-current and voltage-voltag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2. Hereinafter, the graphs of (A) and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도 3의 (A)는 제어전압(Vc)을 가변하는 경우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소오스단(S)과 드레인단(D)에 흐르는 전류(Id)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의 (B)는 제어전압(Vc)을 가변하는 경우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드래인단(D)에 걸리는 전압의 그래프이다. 상기한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어전압(Vc)을 로우(O[V])로 인가하는 경우 드레인 전류(Id)는 90.657[㎂]의 전류가 흐르며, 상기 제어전압(Vc)을 하이(3[V])로 인가하는 경우 드레인 전류(Id)는 1.316[㎃]가 흐른다. 또한 상기 (B)도를 참조하면, 제어전압(Vc)을 로우로 인가하는 경우 드레인단(D)에 걸리는 전압(VD)은 716.191[㎷]이고, 제어전압(Vc)을 하이로 인가하는 경우 드레인단(D)에 걸리는 전압(VD)은 2.964[V]이다. 즉, 제어전압(Vc)을 로우로 인가하는 경우 거의 전류의 소모가 없으며, 동시에 전압제어 발진기(135)의 동작전압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제어전압(Vc)을 하이로 인가하는 경우 전압제어 발진기(135)에서 동작시 필요한 전류 범위인 1.3[㎃] 내지 1.5[㎃]를 충족하게 된다.FIG. 3A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ent Id flowing through the source terminal S and the drain terminal D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when the control voltage Vc varies. 3B is a graph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drain stage D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when the control voltage Vc is varied.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graph, when the control voltage Vc is applied to low O [V], the drain current Id flows at 90.657 [kW], and the control voltage Vc is set to high (3). When applied to [V]), the drain current Id flows 1.316 [kV].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B, when the control voltage Vc is applied low, the voltage V D applied to the drain terminal D is 716.191 [k], and the control voltage Vc is applied high. In this case, the voltage V D across the drain terminal D is 2.964 [V]. That is, when the control voltage Vc is applied low, almost no current is consumed, an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cannot be obtained. However, when the control voltage Vc is applied high, the current range required for operation in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is 1.3 [kW] to 1.5 [kW].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제 구성에 따른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4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actu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안테나(ANT)는 듀플렉서(103)로부터 출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공중파로 전송하거나 공중파의 신호를 수신하여 듀플렉서(103)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무선 수신부(201)는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기저대역 처리기(Base Band Analog:이하 BBA라 함)(205)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 수신부(201)는 상기 도 1의 저잡음 증폭기(105)와 무선신호 필터(107)와 제1주파수 합성기(109)와 중간주파 증폭기(111)와 중간주파 필터(113)와 자동이득 조절 증폭기(115)로 구성된다. 그리고 BBA(205)는 중간주파 수신부(117)과 중간주파 송신부(121)와 전압제어 발진기(135)를 제외한 주파수 합성부로 구성된다. 무선 송신부(203)는 상기 도 1의 자동이득 조절 증폭기(123)와 제2주파수 합성기(125)와 송신 제1필터(127)와 구동 증폭기(129)와 송신 제2필터(131)와 전력 증폭기(133)로 구성된다.The antenna ANT transmi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duplexer 103 to airwaves or receives a signal of the airwaves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duplexer 103. The wireless receiver 201 converts a radio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and outputs the radio signal to a baseband proces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BBA) 205. The wireless receiver 201 includes the low noise amplifier 105, the radio signal filter 107, the first frequency synthesizer 109,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111, the intermediate frequency filter 113, and the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of FIG. 1. It consists of 115. The BBA 205 includes a frequency synthesizer excluding the intermediate frequency receiver 117, the intermediate frequency transmitter 121, and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The wireless transmitter 203 includes the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123, the second frequency synthesizer 125, the transmission first filter 127, the driving amplifier 129, the transmission second filter 131, and the power amplifier of FIG. 1. 133.

MSM(211)은 외부에 발진기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는 칩으로 상용화되어 시판되는 3000 시리즈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상기 MSM(211)으로부터 전압제어 발진기(135)로 출력되는 신호는 온도에 따른 옵셋 보상값의 출력이며,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는 본 발명에 따라 스위치(207)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MSM(211)에서 상기 스위치(207)로 입력되는 신호는 소정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 신호로 구성되며, 내부 기준클럭을 위한 발진기(209)를 구비한다. 상기 발진기(209)는 단지 MSM(211)에 기준클럭을 사용하기 위한 발진기로 크리스탈을 이용한 아주 작은 전류를 소모하는 발진기로 구성한다. 그러면 상기 발진기(209)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상관없이 계속적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MSM(211)은 슬립모드시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주기를가지는 클럭을 발생하여 스위치(207)로 출력한다.The MSM 211 uses more than 3000 series commercially available as a chip that can be provided with an oscillator separately from the outside. The signal output from the MSM 211 to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is an output of an offset compensation value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is controlled on / off by a switch 20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The signal input from the MSM 211 to the switch 207 is composed of a pulse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and includes an oscillator 209 for an internal reference clock. The oscillator 209 consists of an oscillator that consumes very little current using crystal as an oscillator for using a reference clock in the MSM 211. The oscillator 209 then continues to operate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SM 211 generates a clock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for controlling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in the sleep mode and outputs the clock to the switch 207.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슬립모드시 전압제어 발진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슬립모드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5 is a control flowchart for controlling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a sleep m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control process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the sleep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MSM(211)은 (300)단계에서 대기상태(Idle 상태)를 유지하며, 키패드로부터 통화요구에 따른 키신호 또는 호가 착신되는 경우 등의 통화요구가 있는 경우 (304)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그러나 통화요구가 없는 경우 (306)단계로 진행하여 슬립모드(Sleep Mode) 진입에 따른 조건이 충족되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슬립모드 진입에 따른 조건은 일반적인 공지기술이며, 또한 단말기의 성능 등에 따라 달리 구현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RL MSM(211)은 (306)단계의 검사결과 슬립모드 진입조건이 충족된 경우 (308)단계로 진행하고 슬립모드 진입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300)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MSM(211)은 (308)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스위치 제어신호 출력모드로 진행한다. 여기서 스위치 제어신호 출력모드란, 상기 MSM(211)에서 스위치(207)로 소정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말하며, 이때 출력되는 신호는 하이(3[V]) 또는 로우(0[V])의 신호가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며 구형파로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207)은 턴온/과 턴오프를 반복하게 되며, 상기 스위치(207)가 턴온동작시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BBA(205)로 소정의 주기를 가지는 주파수를 출력한다. 이와 달리 상기 스위치(207)가 턴오프되는 경우 전압제어 발진기(135)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BBA(205)는 물론 상기 무선 수신부(201)도 동작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슬립모드시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에서 소모되는 전류가 극히 적은 양으로 줄어들게 된다.The MSM 211 maintains the idle state (Idle state) in step 300, and proceeds to step 304 when there is a call request, such as when a key signal or a call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call request from the keypad. Perform. However, if there is no call reques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06 to check whether the condition for entering the sleep mode is satisfied. In this case, the condition according to entering the sleep mode is a general publicly known technology, and since it is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terminal,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 RL MSM 211 proceeds to step 308 when the sleep mode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306 and continues with step 300 when the sleep mode entry condition is not satisfied. If the MSM 211 proceeds to step 308, it proceeds to the switch control signal output mode. Herein, the switch control signal output mode refers to outputting a pulse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from the MSM 211 to the switch 207, wherein the output signal is high (3 [V]) or low (0 [V]. ]) Has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is output as a square wave. Accordingly, the switch 207 is repeatedly turned on and off, and when the switch 207 is turned on,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operates normally to output a frequency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to the BBA 205. do. In contrast, when the switch 207 is turned of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is turned off. Therefore, the wireless reception unit 201 as well as the BBA 205 is not in operation. Therefore, the current consumed by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in the sleep mode is reduced to an extremely small amount.

또한 MSM(211)은 (310)단계로 진행하여 슬립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302)단계와 동일한 통화요구가 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통화요구가 있는 경우 (312)단계로 진행하고 통화요구가 없는 경우 (314)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통화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MSM(211)은 (312)단계로 진행하여 슬립모드를 해제하며 동시에 스위치(207)을 항상 온(on)시키기 위한 신호 출력모드로 변환한 후 (304)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31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MSM(211)은 슬립모드 해제조건이 충족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슬립모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MSM(211)은 (31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08)단계의 슬립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상기 MSM(211)은 (316)단계로 진행하면, 슬립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스위치(207)을 항상 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 후 (300)단계의 대기상태로 진행한다. 즉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슬립모드시에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35)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SM 211 proceeds to step 310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 same call request as in step 302 while performing the sleep mode. If there is a call request as a result of the tes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12, and if there is no call request, step 314 is performed. First, if there is a call request, the MSM 211 proceeds to step 312 to release the sleep mode and simultaneously switches to the signal output mode for always turning on the switch 207 to step 304. do. In contrast, when proceeding to step 314, the MSM 211 checks whether the sleep mode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The MSM 211 proceeds to step 316 if the sleep mode condition is satisfied. Otherwise, the MSM 211 proceeds to the sleep mode of step 308. When the MSM 211 proceeds to step 316, the MSM 211 releases the sleep mode and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for maintaining the switch 207 always on. Proceed. That is, through this process, the current consumed by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5 in the sleep mode can be minimized.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립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전압제어 발진기를 소정시간 단위로 온/오프하여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전압제어 발진기에서 소모되는 전류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시간이 증가하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the sleep mode,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s turned on / off by a predetermined time unit to reduce the current consumed by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consumed in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s reduced, the use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ed.

Claims (7)

통화상태와 대기상태와 슬립상태의 3상태를 가지며, 안테나와 듀플렉서와 무선 수신부와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A control apparatus for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ree states of a call state, a standby state, and a sleep state, and having an antenna, a duplexer, a wireless receiver, and a wireless transmitter,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의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무선 송신부로 출력할 기저대역의 신호를 중간주파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 수신부 및 상기 무선 송신부로 출력하는 기저대역 처리부와,Conver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iver into a baseband analog signal, converts the baseband signal to be output to the wireless transmitter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d generates a signal for conversion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A baseband processor for outputting to a receiver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전압 및 전류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와,A switch for switching voltage and current on / off by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by a control signal;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로 출력할 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압제어 발진기와,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or generating a frequency to be output to the baseband processor in response to an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 상기 통화상태 및 상기 대기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를 계속적으로 온시키는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슬립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를 가지는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며 외부 발진기와 연결 가능한 제어장치와,A control device which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for continuously turning on the switch in the call state and the standby state,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in the sleep state,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oscillator; 소정의 클럭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장치로만 제공하는 발진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oscillat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clock and providing only to th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스위치로 인가되는 신호를 게이트단에 연결하고 전원단을 소오스단에 연결하며 드레인단을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장치.Voltage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ield effect transistor; connecting a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device to the switch to a gate terminal, a power terminal to a source terminal, and a drain terminal to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ontrol device of the oscillat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발진기가 크리스탈 발진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oscillator is a crystal oscillat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로 온도보상을 위한 옵셋값을 더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장치.The control device of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further outputting the offset value for temperature compensation from the control device to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통화상태와 대기상태와 슬립상태의 3상태를 가지며, 안테나와 듀플렉서와 무선 수신부와 무선 송신부와 기저대역 처리부와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로 소정의 주파수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전압제어 발진기와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제어장치의 외부에 연결되는 발진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three states of a call state, a standby state, and a sleep state, which generate and output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an antenna, a duplexer, a wireless receiver, a wireless transmitter, a baseband processor, and the baseband processor.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peration and the oscillato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device, 대기상태에서 슬립모드 진입조건이 충족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Checking whether the sleep mode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standby state; 슬립모드 진입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슬립모드로 진행하여 상기 스위치로 소정의 주기를 가지는 주파수의 구형파를 출력하고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를 소정 시간마다 온/오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방법.When the sleep mode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proceeding to the sleep mode and outputting a square wave of a frequency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to the switch and turning on / of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every predetermined time. Control method of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슬립모드시 슬립모드 해제조건이 충족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Checking whether a sleep mode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sleep mode; 상기 검사결과 슬립모드 해제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슬립모드를 해제하며 상기 스위치를 항상 온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방법.And canceling the sleep mode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ignal for always turning on the switch when the sleep mode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기 슬립모드 수행시 통화요구가 있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Checking whether there is a call request when the sleep mode is performed; 상기 검사결과 통화요구가 있는 경우 슬립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스위치를 항상 온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단계와,Generating a signal for releasing a sleep mode and always turning on the switch when there is a call request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상기 슬립모드 해제 및 스위치가 항상 온된 경우 통화모드로 진행하는 단게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제어 방법.The control method of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eding to the call mode when the sleep mode release and the switch is always on.
KR1020000040136A 2000-07-13 2000-07-1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control oscillato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263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136A KR100326310B1 (en) 2000-07-13 2000-07-1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control oscillato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136A KR100326310B1 (en) 2000-07-13 2000-07-1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control oscillato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759A KR20020006759A (en) 2002-01-26
KR100326310B1 true KR100326310B1 (en) 2002-03-08

Family

ID=1967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136A KR100326310B1 (en) 2000-07-13 2000-07-1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control oscillato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3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2404B2 (en) 2005-10-24 2010-10-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riving voltage control module
US20230224138A1 (en) * 2022-01-11 2023-07-13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ltra-low jitter low-power w/d-band phase-locked loop using power-gating injection-locked frequency multiplierbased phase det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741B1 (en) 2003-10-20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media mobile terminal
KR102213682B1 (en) * 2020-05-11 2021-02-08 (주)텔트론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to distribute oscillation signal with transform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2404B2 (en) 2005-10-24 2010-10-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riving voltage control module
US20230224138A1 (en) * 2022-01-11 2023-07-13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ltra-low jitter low-power w/d-band phase-locked loop using power-gating injection-locked frequency multiplierbased phase detector
US11895218B2 (en) * 2022-01-11 2024-02-06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ltra-low jitter low-power W/D-band phase-locked loop using power-gating injection-locked frequency multiplierbased phase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759A (en) 200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1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LL lock time
US7155251B2 (en) Mobile radio apparatus and radio unit
KR1004705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band transmission
US6853235B2 (en) High frequency switch, amplifying circui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734745B2 (en) Oscillato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3263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control oscillato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968592B2 (en) Mobile phone
JP2004363862A (en) Antenna switching circuit and communication equipment
JP7249211B2 (en) Wireless device wake-up circuit
KR20000076971A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power amplifier
KR950007257Y1 (en) The rf module of cellular phone
KR100737789B1 (en) Architecture for cordless telephones
JPH06350478A (en) Communications equipment
EP1482636A1 (en) Front end module
JPH1188082A (en) Amplifier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system
US6574457B1 (en) Two-transistor mixer
JPH0728265B2 (en) Mobile phone power supply system
KR19990059603A (en) Mobile Phone with Power Amplifier Control Circuit
KR20000041315A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3438652B2 (en) Wireless communicator
JPH11205189A (en)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30009655A (en) Multi-band radio-frequency module whose configuration is minimized
KR20040057478A (en) Variable frequency power amplifier module
JP2004266609A (en) Transceiver
KR20020078914A (en)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mobile communication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