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803B1 - 이동식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식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803B1
KR100323803B1 KR1019980057483A KR19980057483A KR100323803B1 KR 100323803 B1 KR100323803 B1 KR 100323803B1 KR 1019980057483 A KR1019980057483 A KR 1019980057483A KR 19980057483 A KR19980057483 A KR 19980057483A KR 100323803 B1 KR100323803 B1 KR 100323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upport
plate
li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017A (ko
Inventor
하태홍
Original Assignee
하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홍 filed Critical 하태홍
Priority to US09/249,244 priority Critical patent/US6149144A/en
Priority to JP11038925A priority patent/JPH11322283A/ja
Priority to DE19907539A priority patent/DE19907539A1/de
Priority to CN99102423A priority patent/CN1103740C/zh
Publication of KR1999008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6Props
    • B60D1/665Props comprising supporting wheels, e.g. dol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comprising toggle lever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정비소 같은 곳에서 트랜스미션, 엔진과 같은 무거운 물건을 원하는 곳으로 수월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조정으로 탑재물의 자세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는 일측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캐스터가 부착된 복수개의 다리(16)를 구비하는 베이스 판(12)과; 저면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랙(50)을 지니고 무거운 물건을 받쳐주는 거치대(60)와; 상기 베이스 관(12)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로 연장된 하우징의 단부에 상기 랙(50)이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실린더(40)를 구비하는 지지대(20)와; 상기 랙(40)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거치대(60)의 높낮이 조절 및 고정시킬 수 있는 높낮이 조절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는 거치대 혹은 받침대에 의해 인력으로 다루기 어려운 무거운 물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그 물건이 안착된 상태에서 받침대의 미세조정으로 탑재물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보다 정확하게 위치를 맞출 수 있어 편리한 작업을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작업대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정비소 같은 곳에서 트랜스미션, 엔진과 같은 무거운 물건을 원하는 곳으로 수월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조정으로 탑재물의 자세 균형을 맞출 수 있게 한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트랜스미션, 엔진과 같은 무거운 조립체의 분리 및 결합할 경우와 이를 필요시 별도의 장소로 옮겨 정비 혹은 수리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무거운 물건을 자주 취급하는 작업장에는 무거운 탑재물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옮길 수 있는 근거리 이송장비를 비치하여 운용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호이스트이다. 호이스트는 전동기와 체인블록의 조합체로서, 탑재물용 운송장비일 뿐 탑재물을 작업하기 편리하게 적당한 높이에서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거나 떠받칠 수는 없다. 그래서 탑재물을 움직이지 않도록 안전하게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고 이동이 가능한 작업대가 요구되었다.
작업대 중에는 작업하기 쉬운 높이로 탑재 대상물을 올리고 작업을 마친 후에는 지상에는 내려 놓을 수 있는 승강기구를 갖춘 것도 있다. 이러한 승하강기구의 예는 유압 실린더형, 공압 실린더형이 있다. 유압식이든 공압식이든 실린더형 승하강기구는 탑재물을 올리거나 내리고 그 작업에 따른 각도 즉 탑재물의 조립 위치를 조정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탑재물이 실린 작업대를 다른 곳으로 옮길 때 이동통로가 비좁은 곳에서는 이동이 수월치 않고, 정지 및 이동과정에서 탑재물이 불안정하게 떨어져 파손되거나 안전사고의 개연성이 많다.
한편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89-10374호의 공구받침 작업대는 탑재물이 실리는 클램퍼가 제한된 거리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레일 받침판의 저면에 부착된 나사봉을 지지대 상단에 장착된 링나사를 회전시켜 올리고 내리게 되어 있는데, 인력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탑재물이 실린 상태에서 한 사람의 팔 힘만으로 링나사를 회전시키는 것은 무리다.
또, 탑재물의 방향만 바꾸려면 작업대 전체을 돌여야 함으로 불편하다. 더구나 이 작업대는 바퀴가 달린 바닥판이 부피가 큰 일체형이기 때문에 협소한 곳을 통과할 때는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탑재물의 안정과 받침대의 정확한 높낮이 조절에 의한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협소한 통로에서도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협소한 통로에서의 작업대의 이동의 편리성은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캐스터가 부착된 다리를 접이식으로 베이스판에 다리를 부착함에있어 통로의 폭에 따라 다리를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결합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또 탑재물을 올려놓는 거치대에서 그 높낮이 조절은 거치대를 지지하는 랙을 지지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지지대 상에 복수로 설치된 핸들 중에서 어느 한 쪽 핸들만 조작하여 피니언에 의해 랙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거치대 높낮이 조정수단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또한 거치대를 작업하기 쉬운 각도로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대를 베이스판위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되, 지지대의 하단에 부착된 회전디스크에 배치된 스토퍼공과, 이 회전디스크의 상측 베이스판의 상판상에 설치된 스토퍼와 그 스토퍼공을 선택적으로 일치시켜 회전디스크의 구멍에 스토퍼를 끼워 고정함으로서 달성되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의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랙 높낮이 조절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지지대내에 랙 승강수단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다리가 접힌 상태의 저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다리들이 펼쳐진 상태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거치대에 탑재물이 안착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거치대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수단 12 : 베이스판
14 : 회전디스크 13,15 : 수토퍼공
16 : 다리 17 : 캐스터
18 : 링크 19 : 스토퍼
20 : 지지대 22 : 캡
24 : 롤러 26 : 체인
30 : 높낮이 조절수단 40 : 승강실린더
50 : 랙 60 : 거치대
310 : 제1 핸들 315 : 회전체
317 : 제1스플라인 축 320 : 래칫기어
330 : 멈춤판 323 : 포올
340 : 제 2스플라인 축 345 : 제2 핸들
610 : 뚜껑 620 : 요동판
624 : 각도조정나사 630 : 받침대
640 : 미세조정장치 650 : 박스
다음으로, 도 1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이동식 작업대는 작업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캐스터(17)가 부착된 베이스판(12)으로 이루어진 이동수단(10)과, 이동수단(1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지지대(20)와, 이 지지대(20)의 단부에 부착된 승강실린더(4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하게 이동할 수 있는 랙(50)과 랙(50)의 단부에 결합되어 랙(50)에 의해 지지되는 거치대(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대(20)의 상단에는 캡(22)을 씌워서 먼지같은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지지대(20)의 외주면에는 각종 작업공구와 부품을 넣어두는 공구함(21)도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동수단(10)은 베이스판(12)의 저면 중심에 회전디스크(14)를 설치하고, 회전디스크(14)의 상면 중앙에 지지대(20)을 부착하여 베이스판(12) 위로 솟게 설치하며 베이스판(12)의 원주를 등분한 곳에는 브래킷을 부착하여 핀으로 접이식 다리(16)의 내측단을 설치하고 모든 다리(16)의 외측단 저면에는 캐스터(17)를 장착한 것이다. 이들 접이식 다리(16)는 어느 것이나 할 것이 없이 동일한 최대각도를 펴질 수 있도록 접히는 쪽의 면과 회전디스크(14)에 링크(18)로 연결한 것이다.
또한 베이스판(12)에는 회전디스크(14)의 무단 회전방지용 스토퍼(19)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디스크(14)상에는 상기 스토퍼(19)가 끼워져 걸리는 스토퍼공(15)이 방사상으로 여러개 마련되어 있다.
도 2에서, 거치대(60)은 뚜껑(610)과 박스(650)가 갑체를 이루고, 박스(650)내에는 요동판(620)과 복수의 받침대(630)가 내장되며, 뚜껑(610)은 사방에 가이드 슬롯(614)이 천공되어 있고, 저면 중앙에는 하나의 보스(615)가 부착되어 있다. 요동판(620)은 뚜껑(610)의 저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복판에는 보스(615)에 끼울 보스공(621)이 청공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630)는 요동판(620)을 떠받쳐 지지하는 지지부(631)와, 지지부(631)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한상의 돌출편(632)으로 구성된다.
또 미세조정장치(640)는 받침대(630)의 돌출편(632)을 상기 가이드 슬롯(614)을 통해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요동판(620)의 양측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박스(650)에는 요동판(620)과 받침대(630) 및 미세조정장치(640)가 수납된다. 보스(615)의 외면상에 천공된 나사공(617)에 박힌 보올트(618)의 선단은 랙(50)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거치대(60)와의 연결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요동판(620)의 상면에는 뚜껑(610)의 저면 양측에는 부착된 돌쩌귀(616)에 대응하는 돌쩌귀(622)가 부착되어 있다. 뚜껑(610) 밑에 요동판(620)을 올려 대고 돌쩌귀(616)와 대응 돌쩌귀(622)의 핀공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핀(625)을 질러 박아 연결한다.
받침대(630)의 돌출편(63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레벨링장치가 상기 지지대(60)내에 설치된다. 상기 레벨링장치는 가이드 슬롯(614)의 길이방향과 같은 요동판(620)의 일측벽에 형성된 돌쩌귀(623)에 힌지결합된 각도조정나사부(624)와 상기 박스(6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정나사부(624)와 체결되는 암나사(645)로 이루어진다. 상기 암나사부(645)를 회전시키면 요동판(620)은 돌쩌귀(616)와 대응 돌쩌귀(622)을 연결한 핀(625)를 중심으로 시이소오운동이 가능하다.
각 돌출편(632)에는 힌지축(635)이 끼워질 축공(633)이 천공디어 있고, 상기 힌지축(635)는 요동판(620)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러그(634)와 상기 축공(633)을 관통하여 받침대(630)를 요동판(620)에 피봇지지하도록 한다.
또 각 미세조정장치(640)는 조정부(642), 상기 조정부와 일체로 형성된 숫나사(641)를 지지하고 요동판(620)에 고정되는 원통형 암나사부(643) 숫나사(64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부(644), 상기 받침대(630)으로부터 돌출된 힌지축(637)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부(645) 및 제1,2힌지부(644, 645)를 연결하는 연결구(646)로 구성된다.
박스(650)는 미세조정장치(64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651)가 양측벽에 형성되어 있고, 각 미세조정나사(24)와 결합되는 암나사(645)가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보울트나 용접등과 같은 방법으로 도시하지 아니한 고정수단에 의해 뚜껑(610)의 저면에 고정된다.
도 3에서, 기어박스(36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30)은 작업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제1핸들(310), 랙기어(316)가 체결되는 외주면과 제1 핸들(310)이 장착되는 테이퍼진 회전체(315), 및 상기 회전체(315)의 중앙을 관통하여 너트(312)에 의해 고정되는 제1 스플라인 축(317)을 구비한 것이다.
래칫기어(320)가 상기 회전체(315)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315)와 인접하여 상기 제1 스플라인 축(317)상에 설치되고멈춤판(330)이 상기 래칫기어(32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래칫기어(320)와 인전되게 제1 스플라인 축(317)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스페이서(325)는 회전체(315)와 래칫기어(320) 사이에서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2 스페이서(335)는 멈춤판(330)과 래칫기어(320) 사이에서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스플라인 축(317)의 피니언(318)은 랙(50)에 맞물리게 설치된다.
상기 래칫기어(320)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낮이 조절수단(30)의 하부 즉 기어박스(360)내에 포올(323)이 설치되고, 포올(323) 내에는 포올(323)을 위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스프링(32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 제1 핸들(310)을 회전시킬 때 가하는 힘보다 적은 힘을 가하여 랙(50)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회전체(315)의 원통기어(316)에 맞물리는 피니언(341)을 갖는 제2 스플라인 축(340)과, 제2 스플라인 축(34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핸들(345)이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30)에 설치되어 있다.
도 4에서 A는 이동식 작업대의 승하강수단의 요소를 나타낸 것으로, 랙(50), 승강 실린더(40), 체인(26), 및 다수의 롤러(24)로 구성된다. 지지대(20) 내에는 승강실린더(40)가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실린더(40)의 내에는 랙(50)이 수직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캡(22)의 내부에는 체인(26)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실린더(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체인(26)을 안내하는 복수의 롤러(24)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3)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체인(26)은 상기 롤러(24)를 경유해 상기 랙(5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을 하기 이전에, 이동식 작업대의 이동수단(10)에 장착된 다리(16)를 소정 각도로 펼쳐 임의대로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도 5a는 이동식 작업대의 다리가 접힌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의 다리들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16)들이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디스크(1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디스크(14)에 연결된 링크(18)가 상기 다리(16)를 상기 베이스판(12)에서 원심방향으로 외측으로 전개시킨다.
이때, 회전디스크(14)에 형성된 다수의 스토퍼공(15)들 중에서 선택된 스토퍼공(15)과 베이스판(12)에 형성된 스토퍼공(13)의 구멍을 일치시킨 후, 상기 스토퍼(19)를 상기 스토퍼공(13,15)에 끼워 회전디스크(14)의 무단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디스크(14)가 움직일 수 없다.
전개한 다리(16)가 고정된 이동식 작업대에 탑재물을 싣고 이동할 때에 이동경로상의 통로가 협소한 경우에는 스토퍼(19)를 뽑고 회전디스크(14)를 전개할 때 와는 반대로 돌려서 그 통로에 맞게 다리를 오므려 고정시킨 다음에 이동한다.
도 6에서, 작업자가 트랜스미션과 같은 탑재물(80)을 상기 거치대(60)에 지지하기 위하여 작업대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30)을 조작한다. 즉,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30)의 제1핸들(3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체(315)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체(3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체(315)는 제1스페이서(325), 래칫기어(320), 및 제2스페이서(335)를 멈춤판(330)쪽으로 압착시켜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래칫기어(320)는 상기 포올(323)과 치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칫기어(320)는 상기 회전체(315)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 너트(312)에 의해 상기 회전체(315)에 장착된 제1 스플라인 축(317)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플라인 축(317)의 피니언(318)과 치합되는 랙(50)은 위로 올라간다. 랙(50)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랙(50)의 하단에 고정된 체인(26)이 함께 따라 간다. 이때 롤러(24)가 장착된 승강실린더(40)도 상방으로 수직 상승한다.
상기 핸들조작을 멈추면 탑재물(80)의 하중에 의해 상기 랙(50)이 하방으로 하중이 작용함으로 상기 피니언(318)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3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는 경향이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포올(323)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3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지지함에 따라 탑재물(80)가 소정의 높이에 머물러 있게 된다. 이처럼 정지상태에서 탑재물(80)을 내릴 경우에는 제1핸들(3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체(315)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래칫기어(320)가 상기 포올(323)에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회전체(315)가 너트(312)와의 미세한 이격부 만큼 회전하여 축방향 이동을 함으로써, 상기 제1스페이서(325)와 상기 제 2스페이서(335)는 상기 래칫기어(320)로부터 미세하게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칫기어(320)는 포올(323)에 치합되어 회전하지 않고, 상기 회전체(315)와 상기 멈춤판(330)은 제1스플라인 축(317)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1스플라인 축(31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스플라인 축(317)의 피니언(318)과 치합되는 상기 랙(50)은 하방으로 하강한다.
랙(50)이 하방으로 하강함에 따라, 그 하단에 고정된 체인(26)도 함께 하강하고 또 체인(26)을 안내하는 롤러(24)가 장착된 승강실린더(40)도 하방으로 수직 하강한다.
이와 같이 거치대(60)이 하강 중에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가 되었을 때 상기 핸들을 놓게 되면, 상기 무거운 탑재물(80)의 하중에 의해 상기 랙(50)에 하중을 받아 상기 랙(50)과 맞물린 상기 피니언(318)에 회전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플라인 축(317)의 과도한 회전력을 통해 상기 샤프트(317)에 일체로 장착된 멈춤판(330)은 이격되어 있는 제1스페이서(325)와 제 2스페이서(335)들을 밀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회전체(315), 제1스페이서(325), 래칫기어(320), 제 2스페이서(335), 및 멈춤판(330)들은 서로 밀착되어 함께 동작하게 되며, 상기 래칫기어(320)는 상기 포올(323)에 치합되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랙(50)도 하강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핸들(345)을 회전시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3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핸들(345)에 장착되는 제 2스플라인 축(340)의 피니언(341)의 지름이 상기 회전체(315)의 원통기어(316)의 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제2핸들(345)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제1핸들(310)에 가해지는 힘보다 적게 든다. 상기 제2핸들(345)이 회전되면, 상기 제2스플라인 축(340)의 피니언(341)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341)과 치합된 상기 원통기어(316)가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원통기어(316)에 결합된 회전체(315)가 회전하여 랙(50)을 수직운동되도록 한다.
도 7에서, 미세조정장치(640)에 의해 상기 받침대(630)의 돌출편(632)을 상기 뚜껑(610) 외부로 적절하게 돌출시킨 후, 상기 탑재물(80)을 상기 거치대(60)에 안착시킨다. 상기 탑재물(8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탑재물(80)의 좌우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상기 미세조정장치(640)의 조정부(64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조정부(642)에 의해 상기 수나사부(64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힌지부(644)가 상기 암나사부(643)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힌지부(644)와 연결된 연결간(646)가 상기 제 2힌지부(645)를 끌어당겨서 상기 받침대(630)의 지지부(631)가 상기 힌지축(63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요동판(620)과 평행해지고 상기 지지부(631)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돌출편(632)이 상기 가이드 슬롯(614)를 통해 뚜껑(610)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미세조정장치(6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에 언급된 동작과 반대로 작동됨으로써 상기 돌출편(632)는 상기 뚜껑(610)의 내부로 하강하게 된다. 또 안착된 탑재물(80)의 전후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상기 박스(650)에 설치된 암나사(645)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요동판(620)의 일측부에 힌지 결합된 각도조정나사부(624)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정나사부(62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요동판(620)은 상기 제1돌편(616), 제 2돌편(622), 및 핀(625)의 결합체를 중심으로 시이소오 운동을 하고, 요동판(620)의 시이소오운동에 의해 상기 받침대(630)의 돌출편(632)들의 높이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탑재물의 전후 균형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 제2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의 탑재부(80)는 복수의 가이드 슬롯(83)과 원통형 보스(81)가 형성된 뚜껑(82), 상기 가이드 슬롯(83)을 통해 상기 뚜껑(82) 외부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2개의받침대(85), 및 상기 뚜껑(82)의 저면에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스(84)로 구성된다.
탑재부(80)에 안착된 중량물(80)의 전후 균형을 맞추기 위한 레벨링장치는 상기 뚜껑(82)의 일측을 관통하는 각도조정구(86)와 상기 각도조정구(86)와 결합되는 케이스(84)의 저면에 설치된 암나사부(90)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받침대(85)는 뚜껑(82)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부(91)를 관통하는 힌지축(89)에 의해 상기 뚜껑(82)에 힌지 결합된다. 지지간(87)는 일측부가 볼트(92)에 의해 상기 원통형 보스(8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받침대(85)의 저면부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간(87)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84)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된 승강조정구(88)의 단부가 지지하고 있다.
탑재부(80)의 받침대(85)를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조정구(88)를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조정구(88)가 상승하면서 상기 지지간(87)가 받침대(85)를 위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받침대(85)로 하여금 상기 힌지축(89)를 중심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승강조정구(88)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받침대(85)는 상기 뚜껑(82)의 밑으로 내려오게 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정구(86)에 결합된 암나사부(90)를 회전시키면 각도조정구(86)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탑재물(80)의 전후 높이를 변화시켜 탑재물(80)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그 위에 탑재물을 올려 놓고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한 이동식 작업대는 거치대 혹은 받침대에 의해 인력으로 다루기 어려운 탑재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탑재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받침대의 미세조정으로 탑재물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보다 정확하게 위치를 맞출 수 있어 편리한 작업을 할 수가 있다.
아울러, 다리를 상황에 따라 넓히거나 좁힐 수 있어 협소한 통과하기가 편리하고 무거운 물건 등을 이동시키기에도 매우 편리하다.

Claims (7)

  1. 스토퍼(19)가 삽입되는 스토퍼공(13)이 형성된 베이스판(12)과, 상기 베이스판(12)의 저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지는 다수의 스토퍼공(15)들을 구비하는 회전디스크(14)와, 상기 베이스판(12)에 일측의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되 링크(18)의 일측단은 상기 회전디스크(14)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의해 동시에 절첩되고, 타단은 캐스터가 부착된 복수개의 다리(16)와;
    저면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랙(50)을 지니고, 무거운 물건을 받쳐주는 거치대(60)와;
    상기 베이스 판(12)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로 연장된 하우징의 단부에 상기 랙(50)이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실린더(40)를 구비하는 지지대(20)와;
    상기 랙(50)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거치대(6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일측단은 상기 지지대(20)의 하우징 내측상부에 고정시키고, 타측단은 상기 랙(50)의 단부에 결합되는 체인(26)과, 상기 승강실린더(40)의 하단에 상기 체인(26)을 안내하는 롤러(240)를 설치되고, 상기 승강실린더(40)의 소정위치에 상기 랙(50)과 치합되는 제1 피니언기어(318)를 구비하고 원통기어(316), 래치기어(320), 멈춤판(330)의 구비하는 제1 핸들(310)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원통기어(316)와 치합되는 제2 피니언기어(341)를 구비하는제2 핸들(345)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래칫기어(320)의 회전방향을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래칫기어(320)와 맞물리는 포올(323)을 설치하되, 상기 포올(323)을 위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스프링(324)을 포함하는 기어박스(3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60)는 복수의 가이드슬롯(614)과 원통형 보스(615), 및 다수의 제1돌편(616)을 형성한 뚜껑(610)과;
    상면에 상기 다수의 제1돌편(616)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2돌편(622), 두 쌍의 러그(634), 및 상기 원통형 보스(615)가 관통하는 중앙홀(621)을 형성한 요동판(620);
    상기 요동판(62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631), 및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러그(634)를 관통한 힌지축(635)에 의해 상기 요동판(620)에 힌지 결합되는 두 개의 돌출편(632)을 구비하는 한쌍의 받침대(630)와;
    상기 각각의 받침대(630)의 상하강폭을 조정하기 위한 미세조정장치(640)와;
    상기 뚜껑(610)에 대한 상기 요동판(620)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요동판(62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레벨링장치;및
    상기 뚜껑(610)의 저면에 장착되는 박스(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정장치(640)는 상기 받침대(630)의 승하강조정용 조정부(642)와, 조정부(642)에 일체로 형성된 숫나사(641)와 숫나사(641)가 관통지지되고 상기 요동판(620)에 연장 결합된 암나사(643)와 상기 암나사(643)을 관통한 상기 숫나사(64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힌지부(644)와 상기 받침대(630)와 상기 받침대(630)의 지지부(631)에 힌지 결합되는 제 2힌지부(645) 및 상기 제1힌지부(644)와 상기 제 2힌지부(645)를 연결하는 연결간(6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장치는 상기 요동판(620)의 저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각도조정나사부(624)와 상기 박스(650)의 일측부에 설치된 암나사(6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을 통해 랙을 상승시킬 때 회전체(315), 제1스페이서(325), 상기 래칫기어(320), 제 2스페이서(335), 및 상기 멈춤판(330)이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랙(50)을 하강시킬 때에는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60)는 다수의 가이드슬롯(83), 상기 각 가이드슬롯(83)과 인접하여 형성된 돌부(91), 외주면에 홀을 형성한 원통형 보스(81)를 구비하는 뚜껑(82)과;
    상기 가이드슬롯(83)을 통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는 두 개의 받침대(85);
    상기 각 받침대(85)를 상기 뚜껑(82)의 돌부(9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축(89)와;
    일단부는 볼트(92)에 의해 상기 원통형 보스(81)의 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받침대(85)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간(87)와;
    상기 뚜껑(82)의 저면에 장착되는 케이스(84)와;
    상기 뚜껑(82)으로부터 상기 케이스(84)로 연장된 각도조정구(86)와, 상기 각도조정구(86)와 나사결합하며 상기 케이스(84)에 설치되는 암나사부(90)를 구비하는 레벨링장치; 및
    상기 케이스(84)로부터 상기 지지간(87)의 저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지지간(87)를 지지하는 승강조정구(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의 외주면에 공구함(21)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KR1019980057483A 1998-05-14 1998-12-23 이동식작업대 KR100323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49,244 US6149144A (en) 1998-05-14 1999-02-11 Movable work bench
JP11038925A JPH11322283A (ja) 1998-05-14 1999-02-17 移動式作業台
DE19907539A DE19907539A1 (de) 1998-05-14 1999-02-22 Bewegbare Werkbank
CN99102423A CN1103740C (zh) 1998-05-14 1999-02-26 活动工作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8-17302 1998-05-14
KR19980017302 1998-05-14
KR1019980017302 1998-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017A KR19990087017A (ko) 1999-12-15
KR100323803B1 true KR100323803B1 (ko) 2002-06-20

Family

ID=37460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483A KR100323803B1 (ko) 1998-05-14 1998-12-23 이동식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8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3842A (zh) * 2013-06-14 2013-09-11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拖拉式可调高投影仪架
KR20190001957U (ko) * 2018-01-25 2019-08-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터빈 연료노즐용 회전작업장치
KR102191075B1 (ko) * 2020-06-27 2020-12-15 조일수 용접 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166B1 (ko) * 2015-04-30 2016-11-15 주식회사 포스코 고소 중량물 교체장치
KR101972308B1 (ko) * 2017-04-14 2019-04-25 서진호 작업용 발판
KR101987273B1 (ko) * 2017-11-21 2019-06-11 (주)효원엔브이 고소 작업 장치
KR102000998B1 (ko) 2019-06-03 2019-07-17 (주)록키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3842A (zh) * 2013-06-14 2013-09-11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拖拉式可调高投影仪架
KR20190001957U (ko) * 2018-01-25 2019-08-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터빈 연료노즐용 회전작업장치
KR200489867Y1 (ko) * 2018-01-25 2019-08-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터빈 연료노즐용 회전작업장치
KR102191075B1 (ko) * 2020-06-27 2020-12-15 조일수 용접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017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9144A (en) Movable work bench
US6289825B1 (en) Adjustment mechanism for workstation
KR101489481B1 (ko) 변속기용 작업대
US4969496A (en) Combination electric table saw and folding, mobile work bench
KR102017136B1 (ko)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US5826893A (en) Machinery mover
US20080056871A1 (en) Lift dolly
KR100323803B1 (ko) 이동식작업대
US5000424A (en) Vehicle jack
KR200173259Y1 (ko) 이동식 작업대
CA2480060A1 (en) Hoist
EP0269732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elongated articles
JPH07251903A (ja) 昇降装置
KR100389589B1 (ko) 이동식 작업대
KR100416672B1 (ko) 높낮이 조절 기능을 갖는 이동식 작업대의 받침대
CN109531515B (zh) 发动机返修台
KR19990067820A (ko) 휠돌리
CN219325223U (zh) 翻转操作装置及翻转操作***
CN101697848B (zh) 升降桌
CN220994392U (zh) 一种工件加工移动平台
US4830335A (en) Portable jack
KR200286334Y1 (ko) 캐스터
CN210914913U (zh) 一种升降机用支腿锁定装置
CN114939497B (zh) 一种基于喷漆设备的多方位移动底座
CN220011938U (zh) 一种可调式吊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