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862B1 -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 Google Patents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862B1
KR100321862B1 KR1019990029777A KR19990029777A KR100321862B1 KR 100321862 B1 KR100321862 B1 KR 100321862B1 KR 1019990029777 A KR1019990029777 A KR 1019990029777A KR 19990029777 A KR19990029777 A KR 19990029777A KR 100321862 B1 KR100321862 B1 KR 100321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water
tank
septic tank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726A (ko
Inventor
서일권
Original Assignee
서일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권 filed Critical 서일권
Priority to KR101999002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86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화조 내로 유입되는 젖은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에서 물을 분리하고, 상기 물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발효, 중화, 부패시켜 금비로 사용함과 함께 상기 분리된 물은 정제하여 재활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두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이 설치되고, 환기공(18a)과 가스공(19a)이 각각 형성됨과 함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 하측판(18)(19)과, 상기 하측판(19)에 하향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 중화 발효, 부패 배출순으로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물이 침전되는 복수개의 보관조(저장조(16a), 중화 발효조(16b), 부패 배출조(16c), 침전조(16d))(16)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격벽(17)이 구비된 정화조(1)가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과 정화조(1) 사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정화조(1) 내로 이송시킴과 함께 세분화시키는 세분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고, 상기 정화조(1) 내에는 세분기에 의해 보내지는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유입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저장조로 보냄과 동시에 물은 침전조로 보내도록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분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가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에서 분리되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상기 물은 침전조로 보냄과 동시에 이물질은 저장조로 보내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체(12)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진동체(12)의 외측에는 진동체(12)에서 토출되어침전조(16d)로 보내지는 물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착정기(13)가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16d) 내에는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상기 물을 정화시키도록 복수개의 필터로 이루어진 정화 필터부(14)가 설치되고, 상기 정화 필터부(14)를 통과한 물이 침전조(16d) 내에 일정높이 이상 차게 되면 정화조(1)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물을 펌핑하는 펌프부(2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Reuse device for garbage in septic tank}
본 발명은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정화조 내로 유입되는 젖은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에서 물을 분리하고, 상기 물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발효, 중화, 부패시켜 금비로 사용함과 함께 상기 분리된 물은 정제하여 재활용하도록 하는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화조는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 단지 및 요식업소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을 모은 다음 상기 모아진 음식물 쓰레기 등을 분해 및 정화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정화조는 싱크통과 정화조를 연결하는 파이프 라인으로 통해 상기 싱크통에 모아진 젖은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정화조 내로 보내게 되고, 상기 정화조 내로 보내진 젖은 음식물 쓰레기는 정화조 내에서 분해 및 발효, 부패작용이 이루진 다음 정화조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정화조는 단순히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서 상기 젖은 음식물 쓰레기에서 물을 제거한 후 상기 물은 정화조의 외부로 그냥 배출하고, 상기 물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보관 및 발효, 부패시킨 다음 상기의 작용이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믹셔통에 넣어 톱밥과 혼합하여 발효시킨 다음 이를 비료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정화조는 젖은 음식물 쓰레기에 물이 혼합된 상태로 정화조 내에 모두 모이게 되므로 상기 정화조 내에 젖은 음식물 쓰레기가 빨리 채워짐에 따라 상기 정화조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자주 퍼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정화조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모아지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정화조의 크기를 크게할 수 있으나 이는, 상기 정화조를 제작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정화조가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화조 내에 모아진 음식물 쓰레기는 살균이 안된 상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 및 부패되면서 악취가 발생됨과 함께 인체에 해로운 세균, 기생충의 성장을 도와주게 되므로 상기 정화조 주변이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에서 정화조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 속에는 이물질 등이 다수 혼합된 상태로 상기 정화조에서 배출되어 폐수처리 집하 정수장으로 보내짐으로써, 상기 폐수처리 집하 정수장에서 물을 정류한 후 하천으로 방류하여도 이물질의 함유 기준치를 초과하므로 하천에 녹조현상 및 적조현상이 발생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이 제기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정화조에서 배출되는 물을 깨끗한 상태로 정화하여 하천으로 방류하기 위해서는 폐수처리 장치를 추가 또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관과 재세금 국가예산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하게 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소각될 때 발생되는 다이옥신 등의 중금속으로 인하여 대기 공기가 오염되어 이를, 흡입하는 사람의 인체는 각종 질병 및 면역성이 결핍과 건강을 해치게 되며, 또한 상기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 매립지에 대한 주민들이 반대하는 민원이 발생됨과 함께 상기 매립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에 의하여 토지와 하천이 오염되므로 농수산물 등이 일차적으로 오염되고, 상기 농수산물에 중금속 등이 잔류하므로 이를 섭취하는 사람의 인체에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이 축척되는 등 음식문화 기초과학을 생활화하는데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정화조 내로 유입되는 젖은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에서 물을 분리하고, 상기 물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발효, 중화, 부패시켜 금비로 사용함과 함께 상기 분리된 물은 정제하여 재활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두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과, 환기공과 가스공이 각각 형성됨과 함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측판 및 하측판과, 상기 하측판에 하향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 중화 발효, 부패 배출순으로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물이 침전되는 복수개의 보관조(저장조, 중화 발효조, 부패 배출조, 침전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격벽이 구비된정화조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과 정화조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정화조 내로 이송시킴과 함께 세분화시키는 세분기와, 상기 정화조 내에 설치되어 세분기에 의해 보내지는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유입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저장조로 보냄과 동시에 물은 침전조로 보내도록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분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와 연결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내어 상기 물은 침전조로 보냄과 동시에 이물질은 저장조로 보내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진동체에서 토출되어 침전조로 보내지는 물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착정기와, 상기 침전조 내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내어 상기 물을 정화시키도록 복수개의 필터로 이루어진 정화 필터부와, 상기 정화 필터부를 통과한 물이 침전조 내에 일정높이 이상 차게 되면 정화조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물을 펌핑하는 펌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구성을 정면에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를 측면에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정화조 1a: 정화조통체
2: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 2a: 토출구
2b: 망 3: 수송관
4,5: 제1,2세분기 4a,5a: 세분모터
4b,5b: 회전체 4c,5c: 회전날
6: 유로관 6a,6b: 제1,2유로관
6c: 제3유로관 6d: 필터
7: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7a,7b,7c: 유입구,제1,2배출구
7d: 음식물 쓰레기 토출관 8: 청소솔
9: 회전부재 10: 감속모터
10a,9a: 제1,2기어부 11: 자외선 조사기
12: 진동체 12a: 필터망
12b: 이물질 배출관 13: 착정기
13a: 자외선 필터부 14: 정화 필터부
14a: 고체 규조토 14b: 할로겐 요오드 수지
14c,14d: 고체 활성탄, 전처리 필터 14e,14f: 맥반사, 숯가루 활성탄
14g: 고체 폐석화 칼슘 15: 수거용관
16: 보관조 16a: 저장조
16b: 중화 발효조 16c: 부패 배출조
16d: 침전조 17: 격벽
17a,17b: 상측통공,하측통공 18: 상측판
18a: 환기공 19: 하측판
19a: 가스공 20: 펌프부
21: 펌핑모터 22: 펌프
23,24,25: 유입관,배출관,토출관 26: 필터부
27: 물 저장소 28: 자외선 조사기
29: 에어 실린더 30: 커넥팅 로드
31: 개폐밸브 32: 패킹
33: 발효물 공급기 34: 밸브
35: 작동봉 36: 리미트 스위치
37: 탄성부재 38: 가스 배출관
39: 회전모터 40: 회전팬
41: 이물질 제거 탱크 41a: 이물질 배출관
42: 부이 43: 지지관
44: 가스 차단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구성을 정면에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를 측면에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토출구(2a)가 형성됨과 함께 물과 음식물 쓰레기 및 소분의 부유물질, 유해물질(염소, 중금속 등) 등이 담겨져 있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과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물 등이 유입됨과 함께 상기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금비 퇴비로 만듬과 동시에 물을 수질 산소 요구량과 미네랄이 살아있는 2∼3급수의 물로 정화하는 정화조(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화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정화조통체(1a)와, 상기 정화조통체(1a) 내에는 정화조통체(1a)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정화조(1)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환기공(18a)이 천공된 상측판(18)과, 정화조통체(1a)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정화조(1)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공(19a)이 천공되어 있는 하측판(19)이 상측판(18)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판(19)의 중앙부에는 정화조통체(1a) 내의 바닥면과 하측판(19)을 연결지지하는 지지관(43)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관(43)의 외주연부에는 복수개의 보관조(16)를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격벽(17)이 용접결합되어 있다.
상기 보관조(16)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조(16a)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중화 발효시키는 중화 발효조(16b)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부패 및 정화조통체(1a)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패 배출조(16c)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분리된 물을 정제 즉, 정화시키는 침전조(16d)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 격벽(17) 중 어느 격벽(17) 상, 하측에는 번갈아 가면서 서로 엇갈리도록 상측통공(17a) 및 하측통공(17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관조(16) 중 부패 배출조(16c)와 침전조(16d) 그리고 저장조(16a)와 침전조(16d) 사이의 격벽(17)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분리되어 침전조(16d) 내로 보내진 물과 상기 저장조(16a)로 보내진 음식물 쓰레기 및 부패 배출조(16c)에 모여진 음식물 쓰레기가 서로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측통공(17a)과 하측통공(17b)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과 정화조(1) 사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에서 정화조(1)의 정화조통체(1a) 내로 이송시킴과 함께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부수어 세분화시키는 세분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다.
즉, 일반 가정용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량이 적은 경우에는 정화조(1) 측에 세분기를 하나만 설치하여도 충분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량이 많은 대형 음식점이나 아파트 단지의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 측과 정화조(1) 측에 각각 세분기를 여러개 설치한다.
여기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세분기를 2대 설치한 상태로 구성하면 우선,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과 정화조(1) 사이를 연결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 수송관(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송관(3)은 정화조(1)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수송관(3)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수송관(3) 내를 따라 흐르는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상과 ∩형상이 연결된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상기 수송관(3)의 일측인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의 토출구(2a) 측에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의 망(2b)에 걸리지 않고 토출구(2a)로 보내진 음식물 쓰레기를 세분화시키는 제1세분기(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송관(3)의 타측인 정화조(1) 측에는 제1세분기(4)에서 세분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한번 더 세분화함과 함께 세분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정화조(1) 내로 이송시키는 제2세분기(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2세분기(4)(5)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세분모터(4a)(5a)와, 상기 세분모터(4a)(5a)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세분화시키도록 회전날(4c)(5c)이 외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회전체(4b)(5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의 토출구(2a) 내에는 음식물 쓰레기 량에 따라 작동되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흐름을 조절하도록 토출구(2a)를 개폐하는 밸브(3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2a)의 외측에는 밸브(34)의 작동에 따라 회동되는 작동봉(35)이 밸브(34)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2a)의 외주연부에는 회동되는 작동봉(35)과 착탈됨에 따라 제어신호가 발생됨과 함께 정화조(1) 내의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리미트 스위치(36)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2a)의 외측과 작동봉(35) 사이에는 밸브(34)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37)가 탄설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는 리미트 스위치(36)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전달받아 정화조(1) 내의 각종 장치 등을 순서에 맞춰서 동작시키도록 상기 각종 장치로 제어신호를 보내며, 상기 제어부는 초전센서 콘트롤 제어박스 등 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상기 정화조통체(1a) 내에는 제2세분기(5)에 의해 보내지는 세분화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유입되고, 또한 음식물 쓰레기는 보관조(16)의 저장조(16a)로 보냄과 동시에 물은 보관조(16)의 침전조(16d)로 보내도록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분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세분기(5)와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사이에는 제2세분기(5)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관(6)의 제1유로관(6a)이 연결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에는 세분화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와 물 및 소분의 부유물질,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구(7a)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외부로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제1배출구(7b)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외부로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제2배출구(7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외측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에서 보내지는 물이 유입되고, 상기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상태에서 침전조(16d) 내로 물을 보냄과 동시에 상기 걸러진 이물질은 저장조(16a) 내로 보내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체(12)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동체(12) 내에는 유입되는 물은 통과시켜 침전조(16d) 내로 보내고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내어 저장조(16a) 내로 보내도록 진동이 발생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필터망(12a)이 일정각도(약 25°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진동체(12)의 일측과 저장조(16a)의 내부는 진동체(12)의 필터망(12a)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 등을 저장조(16a) 내로 보내도록 이물질 배출관(12b)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와 진동체(12) 사이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에서 진동체(12) 내로 보내지는 물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6d)가 구비된 제3유로관(6c)이 연결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진동체(12)와 침전조(16d) 사이에는 진동체(12)에서 침전조(16d) 내로 보내지는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관(6b)이 연결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진동체(12)의 외측 즉, 제2유로관(6b)에는 진동체(12)에서 침전조(16d) 내로 보내지는 물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살균 및 제거하도록 복수개의 자외선 필터(13a)가 구비된 착정기(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착정기(13)는 D.C충전기로 전원이 인가되면 양극(+이온)과 음극(-이온)이 발생되어 중금속같은 유해물질을 음극에 부착시켜 상기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상면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감속모터(1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내부에는 감속모터(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의 회전부재(9) 양측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에서 분리되어 제2배출구(7c)를 통해 진동체(12) 내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6d)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회전하면서 청소하는 청소솔(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감속모터(10)와 회전부재(9) 사이에는 감속모터(10)의 구동력을 회전부재(9)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감속모터(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기어부(10a)가 감속모터(10)에 축결합되어 있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외측에 위치하는 회전부재(9)에는 제1기어부(10a)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기어부(9a)가 제1기어부(10a)와 서로 맞물려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외측에는 운동력을 발생하는 실린더 즉, 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 실린더(2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 실린더(29)에는 에어 실린더(29)의 작동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커넥팅 로드(30)의 일단이 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조(16a)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배출측 즉, 제1배출구(7b)에는 커넥팅 로드(30)의 타단과 결합되어 에어 실린더(29)의 작동에 따라 왕복이동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조(16a)로 공급 및 차단하도록 제1배출구(7b)를 개폐하는 개폐밸브(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밸브(31)의 일면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제1배출구(7b)를 폐쇄할 때 상기 제1배출구(7b)와 개폐밸브(31)를 밀착시키도록 하는 패킹(32)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내측 상부에는 자외선을 발생시킴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살균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기(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관조(16) 중의 중화 발효조 상측에 위치된 하측판(19)에는 발효물과 열풍을 투여하는 발효물 공급기(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침전조(16d) 내에는 진동체(12)를 통과하여 침전조(16d) 내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제거 탱크(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침전조(16d) 내의 이물질 제거 탱크(41) 하부에는 이물질 제거 탱크(41)에서 이물질 걸러진 상태의 물에 포함된 유해물질 등을 걸러내어 상기 물을 정화시키도록 복수개의 필터로 이루어진 정화 필터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화 필터부(14)의 필터는 고체 규조토(14a), 할로겐 요오드 수지(14b), 고체 활성탄(14c), 전처리 필터(14d), 맥반사(14e), 숯가루 활성탄(14f), 고체용 폐석화 칼슘(14g)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 탱크(41)와 정화 필터부(14)는 걸러진 이물질과 유해물질이 경사진 하측에 모이도록 하여 상기 모여진 이물질과 유해물질을 침전조(16d) 내에서 펌핑되는 물과 함께 저장조(16a) 내로 보냄과 동시에 상기 이물질 제거 탱크(41)와 정화 필터부(14)를 청소하도록 일정각도(10도 정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 탱크(41)와 정화 필터부(14)에는 이물질과 유해물질 등을 펌핑되는 물과 함께 저장조(16a) 내로 보내도록 상기 저장조(16a)와 연결된 이물질 배출관(41a)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정화 필터부(14)를 통과한 물이 침전조(16d) 내에 일정높이 이상 차게 되면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정화조통체(1a)의 외부로 물을 배출시키도록 펌핑력이 발생되는 펌프부(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관조(16)의 침전조(16d) 내주면에는 유입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되면서 펌프부(20)를 작동 및 정지시키도록 하는 부이(4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펌프부(2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펌핑모터(21)와, 상기 펌핑모터(21)에 축결합되어 펌핑력 즉, 흡입력 및 토출력을 발생시켜 침전조(16d) 내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22)와, 상기 펌프(22)에 연결되어 펌핑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소(27)와, 상기 펌프(22)에 일측이 연결설치됨과 동시에 타측이 침전조(16d) 내의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침전조(16d) 내의 물을 물 저장소(27)로 유입시키는 유입관(23)과, 상기 펌프(22)에 연결설치되어 펌프(22)의 펌핑력에 의해 물 저장소(27) 내의 물을 정화조통체(1a)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24)과, 상기 정화조통체(1a)의 외주연부에 배출관(24)의 끝단부와 연통되게 결합되어 배출관(24)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정화조(1)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관(2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펌프부(20)에는 물 저장소(27)에 저장된 물을 살균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기(2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토출관(25) 내의 소정위치에는 토출관(25)을 통해 토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 즉, 미세소분의 이물질을 한번 더 걸러줌과 함께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필터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26)는 할로겐 요오드 수지, 은코팅 활성탄, 잔류염소 제거필터, 전처리 필터, 은코팅 활성탄, 후처리 필터, 자외선 필터, UV필터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각 필터 들은 상기의 순서대로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화조통체(1a)의 상부에는 정화조통체(1a)의 각 보관조(16)인 저장조(16a), 정화 발효조(16b), 부패 배출조(16c), 침전조(16d) 등에서 발생되는가스를 하측판(19)의 가스공(19a)과 상측판(18)의 환기공(18a)을 통해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화조통체(1a)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정화조통체(1a)를 관통하는 가스 배출관(3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 배출관(38) 내의 소정위치에는 보관조(16)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흡입 및 정화조통체(1a)의 외부로 토출하도록 회전모터(39)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팬(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조(16a)로 보내는 제1배출구(7b)가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토출관(7d)의 소정위치에는 보관조(16)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음식물 쓰레기 토출관(7d)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스 차단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관조(16) 중 부패 배출조(16c)의 상부에는 부패 배출조(16c) 내에 엑기스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정화조(1)의 외부로 배출호스(미도시)를 사용하여 뽑아낼 수 있도록 상, 하측판(18)(19)과 정화조통체(1a) 상부를 관통하는 수거용관(15)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화조(1)의 외부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 내에는 물과 젖은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 및 소분의 부유물질, 유해물질(염소, 중금속 등) 등이 담겨져 있고, 상기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와 물 등은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의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2a)에 설치된 망(2b)을 통과하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크기가 큰 것은 망(2b)에 걸림과 함께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크기가 작은 것과 물 등은 망(2b)을 통과하여 토출구(2a)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토출구(2a)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소분의 부유물질과 이물질 등이 혼합된 물은 상기 토출구(2a) 내에 설치된 밸브(34)에 의해 막혀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하여 상기 밸브(34)의 상면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밸브(34)의 상면에 음식물 쓰레기가 어느정도 쌓이게 되면 상기 쌓여진 음식물 쓰레기의 량 즉,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에 의하여 밸브(34)가 회전되면서 토출구(2a)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도면상에서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의 하방으로 토출구(2a)를 따라 이동된다.
이 때, 밸브(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밸브(34)와 연결되어 토출구(2a)의 외측에 설치된 작동봉(35)이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구(2a)의 외주연부에 결합된 리미트 스위치(36)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리미트 스위치(36)에서 제어부(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는 음식물 쓰레기를 세분화하는 제1,2세분기(4)(5) 및 정화조(1) 내의 각종 장치 등을 순서에 맞도록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토출구(2a)의 외측과 작동봉(35) 사이에는 탄성부재(37)가 탄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밸브(34)의 상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제거되면 탄성부재(37)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봉(35)과 밸브(34)가 원위치로 회동되어 토출구(2a)는 다시 막히게 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봉(35)은 리미트 스위치(36)에 떨어지게 된다.
한편, 토출구(2a)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1세분기(4)에 의해 세분화되는데, 즉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1세분기(4)의 세분모터(4a)가 구동되어 상기 세분모터(4a)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에 따라 세분모터(4a)와 축결합된회전체(4b)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체(4b)의 외주연부를 따라 회전날(4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날(4c)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잘게 부수어지면서 세분화됨과 동시에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세분화된 상태로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 수송관(3)을 따라 이동되면서 정화조(1)의 외관인 정화조통체(1a)에 설치된 제2세분기(5) 내로 유입되어 세분화되는데, 즉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2세분기(5)의 세분모터(5a)가 구동되어 상기 세분모터(5a)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에 따라 세분모터(5a)와 축결합된 회전체(5b)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체(5b)의 외주연부를 따라 회전날(5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날(5c)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한번 더 잘게 부수어지면서 세분화됨과 동시에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즉, 정화조통체(1a) 내로 이송된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송관(3)은 ∪형상과 ∩형상이 연결되게 굴곡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송관(3) 내를 따라 음식물 쓰레기와 물 등이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정화조(1)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수송관(3)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2)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정화조통체(1a) 내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유로관(6)을 따라 즉, 유로관(6)의 제1유로관(6a) 내를 따라 제2세분기(5)에 의하여 세분화된 상태로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유입구(7a)를 통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로 유입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에 차곡차곡 쌓이게된다.
이 때,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에 젖은 음식물 쓰레기가 일정이상 쌓이게 되거나 물의 유입이 많으면 상기 물은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에 형성된 제2배출구(7c)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에 형성된 제1배출구(7b)를 통해 보관조(16)의 저장조(16a) 내로 배출된다.
상기 제2배출구(7c)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외측에 제3유로관(6c)에 의해 연결설치된 진동체(12) 내로 유입되며, 상기 진동체(12) 내로 유입된 물은 제2유로관(6b)을 통해 침전조(16d) 내로 보내진다.
그리고,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은 진동체(12) 내에 일정각도로 경사진 스테인레스 재질의 필터망(12a)에 의해 걸러지며, 상기 필터망(12a)에 걸러진 이물질은 진동체(12) 내로 유입되어 필터망(12a)으로 떨어지는 물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즉, 필터망(12a)의 떨림현상에 의한 진동으로 상기 필터망(12a)의 경사진 하측으로 이물질이 이동되고 상기 이동된 이물질은 진동체(12)와 저장조(16a)를 연결설치된 이물질 배출관(12b)을 통해 저장조(16a) 내로 보내진다.
여기서,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에서 진동체(12) 내로 보내져 제3유로관(6c) 내를 유동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제3유로관(6c)에 설치된 필터(6d)에 의해 걸리지며, 상기 진동체(12)에서 침전조(16d) 내로 보내져 제2유로관(6b) 내를 유동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 및 유해물질은 상기 제2유로관(6b)에 설치된 착정기(13)의 자외선 필터(13a)를 통과하면서 걸러짐과 동시에 중금속같은 유해물질이 부착되어 제거된다.
상기 이물질 및 유해물질이 제거된 물은 정화 필터부(14)의 상부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 탱크(41) 내로 유입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 탱크(41) 내에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한번 더 걸러지게 되며, 상기 한번 더 이물질이 걸러진 물은 정화 필터부(14)를 통과하면서 물속에 남아 있는 유해물질(염소, 다이옥신, 중금속 등)이 제거되므로 상기 물은 정화된다.
상기 정화 필터부(14)는 복수개의 필터 즉, 고체 규조토(14a), 할로겐 요오드 수지(14b), 고체 활성탄(14c), 전처리 필터(14d), 맥반사(14e), 숯가루 활성탄(14f), 고체용 폐석화 칼슘(14g)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물은 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제 즉, 정화된 상태로 상기 침전조(16d) 내의 하부에 고이게 된다.
이 때, 이물질 제거 탱크(41)와 정화 필터부(14)의 각 필터는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즉,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물질 제거 탱크(41)와 각 필터에서 걸러진 이물질 등은 경사진 하측에 모이게 되고, 상기와 같이 경사진 하측으로 이물질 및 유해물질 등이 모이면 침전조(16d) 내에 침전된 물을 펌핑시켜 이물질 제거 탱크(41)와 각 필터로 토출시킴에 따라 모여진 이물질 및 유해물질은 물과 함께 상기 이물질 제거 탱크(41)와 정화 필터부(14)의 각 필터와 연결결합된 이물질 배출관(41a)을 통해 저장조(16a) 내로 보내진다.
그러므로, 이물질 제거 탱크(41)와 정화 필터부(14)가 깨끗하게 청소되어 이물질 제거 탱크(41) 내와 정화 필터부(14)의 각 필터 성능이 향상되므로진동체(12)에서 침전조(16d)로 보내진 물에 포함된 이물질 및 유해물질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정화 필터부(14)의 각 필터 사용 수명이 길어진다.
한편, 침전조(16d) 내의 하부에 물이 일정이상 차게 되면 상기 침전조(16d)의 내주면에 설치된 부이(42)가 물의 압력에 의해 도면상 하방에서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고, 이를 감지한 제어부에서 제어신호를 펌프부(20)로 보내게 된다.
그러면,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펌프부(20)의 펌핑모터(21)에서 구동력이 발생되어 상기 펌프(22)의 펌핑력에 의해 침전조(16d) 내의 물은 유입관(23)을 따라 유입되어 펌프(22)로 보내져 물 저장소(27) 내에 저장된다.
그리고, 물 저장소(27) 내에 저장된 물은 상기 펌프부(20)에 설치된 자외선 조사기(28)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작용이 이루어지고, 상기 살균작용이 이루어진 물 저장소(27)의 물은 계속되는 펌프(22)의 펌핑력에 의해 펌프(22)를 통과하여 배출관(24)을 통해 정화조통체(1a)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되는 물은 정화조통체(1a)의 외주연부에 배출관(24)의 끝단부와 연통되게 결합된 토출관(25)을 통해 정화조(1)의 외부로 토출되는데, 상기 토출관(25) 내에는 할로겐 요오드 수지, 은코팅 활성탄, 잔류염소 제거필터, 전처리 필터, 은코팅 활성탄, 후처리 필터, 자외선 필터, UV필터 등으로 이루어진 필터부(2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필터부(26)에 의해 물에 포함된 이물질 및 미세소분의 이물질 등을 한번 더 걸러준 다음 토출관(25)을 통해 정화조(1)의 외부로 물은 토출된다.
상기 정화조(1)의 외부로 토출되는 물은 정화조(1)를 거치면서 허드레물 또는 농업용수 및 공업용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2∼3급수의 물로 정제 즉, 정화된 상태이며, 상기 정화된 상태의 물은 정화조(1)의 외부에 설치된 보조 물저장 탱크(미도시) 내에 저장된 다음 사용자의 필요시 상기 보조 물저장 탱크에서 물이 빼내어 사용하면 된다.
한편,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에서 제1배출구(7b)를 통해 저장조(16a)로 보내기 전에 살균작용을 하게 되는데, 즉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내측 상부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기(1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자외선 조사기(11)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을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의 물과 음식물 쓰레기로 조사하므로 상기 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살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살균된 음식물 쓰레기가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에 어느정도 쌓이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일측에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배출관(7d) 내를 유동하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배출관(7d)의 끝단부에 형성된 제1배출구(7b)를 통해 저장조(16a) 내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 제1배출구(7b) 측에는 개폐되는 개폐밸브(3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조(16a) 내로 보내기 위해서는 제1배출구(7b)에서 개폐밸브(31)를 개방하여야 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제1배출구(7b)는 개폐밸브(31)에 의해 막혀 있다.
여기서, 제1배출구(7b)가 개폐되는 상태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외측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29)가 작동되면 상기 에어 실린더(29)와 일단이 축결합된 커넥팅 로드(30)가 도면상 상부에서 하부로 밀리게 됨과 동시에 커넥팅 로드(30)의 타단에 결합된 개폐밸브(31)도 커넥팅 로드(30)를 따라 도면상 상부에서 하부로 밀리게 됨에 따라 제1배출구(7b)는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제1배출구(7b)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의 음식물 쓰레기는 보관조(16) 중의 저장조(16a) 내로 배출되어 상기 저장조(16a) 내에 모아지게 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에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에어 실린더(29)의 작동에 따라 커넥팅 로드(30)와 개폐밸브(31)가 도면상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개폐밸브(31)는 제1배출구(7b)를 막게 된다.
한편, 보관조(16)의 저장조(16a) 내에 모아진 음식물 쓰레기는 2∼3일간 저장되어 있다가 계속해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조(16a)와 중화 발효조(16b) 사이에 설치된 격벽(17)의 상측통공(17a)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면 상기 상측통공(17a)을 통해 중화 발효조(16b) 내로 유입된다.
상기 중화 발효조(16b) 내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어부에서 보내지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중화 발효조(16b) 내의 상측에 설치된 발효물 공급기(33)에서 보내지는 EM 협기성 발효체인 발효물과 열풍이 투여되므로 중화 발효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EM 협기성 발효체인 발효물은 유산균, 효모균 등 80여종의 미생물균 집합체이다.
상기 중화 발효작용이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는 중화 발효조(16b)와 부패 배출조(16c) 사이에 설치된 격벽(17)의 하측통공(17b)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부패 배출조(16c)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작용이 이루어진다.
즉, 음식물 쓰레기로 EM 협기성 발효체를 분사하여 중화, 발효시키고 나서부패 배출조(16c) 내에서 40℃∼50℃온도로 150∼168시간(약 7일간)이 지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미생물 발효부패되어 미네랄과 유기비료 성분이 쌓여 있는 끈적끈적한 액체상태인 엑기스화되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가 줄어들어 많은 량을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효물 공급기(33)에서 투여되는 40℃∼50℃의 열풍에 의해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살균방역과 인체에 해로운 세균등의 번식을 방지된다.
이 엑기스화된 음식물 쓰레기는 수거용관(15)으로 삽입되는 배출호스(미도시)에 의해 퍼내어져 농작물 등에 금비 퇴비 및 비료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를 중화 발효작용 및 부패작용시 각 보관조(16)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하측판(19)에 형성된 가스공(19a)을 지나 상측판(18)에 형성된 환기공(18a)을 통과하여 상기 정화조통체(1a)의 상부에 관통되게 설치된 가스 배출관(38)을 통해 정화조통체(1a)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보관조(16)의 저장조(16a), 중화 발효조(16b), 부패 배출조(16c)에서 각각 발생되는 가스는 가스 배출관(38) 내에 설치된 회전팬(40)이 회전모터(39)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므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하측판(19)에 형성된 가스공(19a)을 통해 보관조(16) 내에서 배출되고, 상기 가스공(19a)을 통과한 가스는 상측판(18)의 환기공(18a)을 통과하여 상기 상측판(18)의 상부로 배출되어 가스 배출관(38) 내로 흡입되며, 상기 흡입된 가스는 계속해서 회전되는 회전팬(40)의 토출력에 의해 가스 배출관(38)을 통해 정화조통체(1a)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조(16a) 내로 보내는 제1배출구(7b)가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토출관(7d)의 소정위치에는 가스 차단부(4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스 차단부(44)에 의해 보관조(16)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음식물 쓰레기 토출관(7d)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와 진동체(12) 사이에 연결결합되어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관(6b) 내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에서 진동체(12)로 보내지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필터(6d)에 걸러진 이물질 등은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청소솔(8)에 의해 제거된다.
즉, 제어부에서 보내지는 제어신호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의 상면에 결합된 감속모터(10)가 구동되며, 상기 감속모터(10)의 구동력에 따라 감속모터(10)와 축결합된 제1기어부(10a)가 회전됨과 동시에 제1기어부(10a)와 맞물려 있는 제2기어부(9a)도 회전되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 내에 위치되어 제2기어부(9a)와 결합된 회전부재(9)도 제2기어부(9a)를 따라 회전된다.
그러면, 제2유로관(6b)의 필터(6d)와 맞닿은 상태로 회전부재(9)의 양측에 결합된 청소솔(8)이 회전부재(9)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필터(6d)에 걸려있는 이물질 등을 필터(6d)에서 떨어뜨려 제거하므로 상기 필터(6d)의 필터링이 향상되어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7)에서 진동체(12)로 물이 원활하게 유동됨과 동시에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물과 함께 젖은 상태로 정화조 내로 보내지는음식물 쓰레기에서 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각각 분리하여 서로 다른 보관조로 보내고 나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보관조 중의 저장조, 중화조, 발효조, 제1,2부패조, 배출조를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중화, 발효, 부패작용이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를 정화조의 외부로 배출하여 금비 퇴비나 비료로 사용함과 함께 상기 분리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염소, 다이옥신, 중금속 등)은 보관조(16) 중의 침전조에서 제거하여 정제함에 따라 수질 산소요구량과 미네랄이 살아있는 2∼3급수의 허드레물 또는 농업용수 및 공업용수로 사용한다.
이와같이,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재활용하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대기오염 및 토양오염을 방지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비용 즉, 시관과 재세금 국가 예산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화조 내로 유입되는 젖은 음식물 쓰레기에서 물을 분리한 다음 상기 물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정화조 내에 많이 저장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를 자주 퍼내지 않아도 될뿐만 아니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자외선으로 살균작용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인체에 해로운 세균, 기생충의 발생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정화조 주변이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1)

  1.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두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과,
    환기공과 가스공이 각각 형성됨과 함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측판 및 하측판과, 상기 하측판에 하향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 중화 발효, 부패 배출순으로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물이 침전되는 복수개의 보관조(저장조, 중화 발효조, 부패 배출조, 침전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격벽이 구비된 정화조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통과 정화조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정화조 내로 이송시킴과 함께 세분화시키는 세분기와,
    상기 정화조 내에 설치되어 세분기에 의해 보내지는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유입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저장조로 보냄과 동시에 물은 침전조로 보내도록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분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와 연결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내어 상기 물은 침전조로 보냄과 동시에 이물질은 저장조로 보내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진동체에서 토출되어 침전조로 보내지는 물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착정기와,
    상기 침전조 내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내어 상기 물을 정화시키도록 복수개의 필터로 이루어진 정화 필터부와,
    상기 정화 필터부를 통과한 물이 침전조 내에 일정높이 이상 차게 되면 정화조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물을 펌핑하는 펌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상면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감속모터를 결합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내부에는 감속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에서 진동체로 토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회전하면서 청소하는 청소솔을 설치하고, 상기 감속모터와 회전부재 사이에는 감속모터의 구동력을 회전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동력전달부는 감속모터에 축결합되어 상기 감속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기어부와,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회전부재에 결합됨과 함께 제1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제1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기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체 내에는 유입된 물은 통과시키고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내어 저장조로 보내는 진동이 발생되는 필터망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외측에는 운동력을 발생하는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에는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커넥팅 로드의 일단이 축결합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조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배출측에는 커넥팅 로드의 타단과 결합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왕복이동되면서 배출측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일정량 이상 쌓이게 되면 실린더가 작동되어 개폐밸브를 개폐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에서 저장조로 음식물 쓰레기가 공급 및 차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개폐밸브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배출측을 폐쇄할 때 상기 배출측과 개폐밸브를 밀착시키도록 하는 패킹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정화 필터부는 고체 규조토와, 할로겐 요오드 수지와, 고체 활성탄과, 전처리 필터와, 맥반사와, 숯가루 활성탄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펌프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펌핑모터와,
    상기 펌핑모터에 축결합되어 펌핑력을 발생시켜 침전조 내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펌핑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소와,
    상기 펌프에 일측이 연결설치됨과 동시에 타측이 침전조 내의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침전조 내의 물을 물 저장소로 유입시키는 유입관과,
    상기 펌프에 연결설치되어 물 저장소 내의 물을 정화조 외부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정화조의 외주연부에 배출관의 끝단부와 연통되게 결합되어 정화조의 외부로 토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한번 더 걸러줌과 함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가 내부에 설치된 토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물 저장소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기를 설치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기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물 저장소 내에 저장된 물을 살균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토출관의 필터부는 할로겐 요오드 수지, 은코팅 활성탄, 잔류염소 제거필터, 전처리 필터, 은코팅 활성탄, 후처리 필터, 자외선 필터, UV필터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측에는 가스 차단부를 설치하여 보관조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상기 가스 차단부에 의해 보관조에서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KR1019990029777A 1999-07-22 1999-07-22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KR100321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777A KR100321862B1 (ko) 1999-07-22 1999-07-22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777A KR100321862B1 (ko) 1999-07-22 1999-07-22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726A KR20010010726A (ko) 2001-02-15
KR100321862B1 true KR100321862B1 (ko) 2002-01-29

Family

ID=1960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777A KR100321862B1 (ko) 1999-07-22 1999-07-22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8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611A (ko) * 1993-09-23 1995-04-28 배순훈 브이.티.알(vcr)의 기록종료검출 및 녹화방법
KR970004416U (ko) * 1996-11-22 1997-02-19 구용진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
KR19980069227A (ko) * 1997-02-21 1998-10-26 김교완 식품폐기물 및 식품폐수 처리장치
KR100192561B1 (ko) * 1997-04-10 1999-06-15 유철진 유기성 폐기물 관로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204920B1 (ko) * 1995-04-22 1999-06-15 이덕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611A (ko) * 1993-09-23 1995-04-28 배순훈 브이.티.알(vcr)의 기록종료검출 및 녹화방법
KR100204920B1 (ko) * 1995-04-22 1999-06-15 이덕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970004416U (ko) * 1996-11-22 1997-02-19 구용진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
KR19980069227A (ko) * 1997-02-21 1998-10-26 김교완 식품폐기물 및 식품폐수 처리장치
KR100192561B1 (ko) * 1997-04-10 1999-06-15 유철진 유기성 폐기물 관로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726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4919B (zh) 一种环保的厨余垃圾处理装置
US880193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olid wastes automatic collection ductwork evacuation and comprehensive utilization
CN101883644B (zh) 用于处理不同废物流的方法和***
CA27534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llection, pipeline evacuation and comprehensive utilization of solid waste
CN106430741A (zh) 一种多功能化粪池污泥、污水、污物处理机
JPH08501054A (ja) 廃物の処分および処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1618067B (zh) 一种垃圾处理用环保型处理装置及方法
CN113562880B (zh) 一种垃圾渗透液废水处理装备及处理工艺
KR101619376B1 (ko)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
CN110723441A (zh) 一种垃圾临时堆放站
CN209428266U (zh) 一种用于污水处理净化设备
CN101920041A (zh) 垃圾站综合性消毒、除臭及污水净化循环利用***
CN211620210U (zh) 一种家庭安全污水高效处理设备
CN209849527U (zh) 一种基于生物降解机的餐厨垃圾收集处理***
KR100321862B1 (ko) 정화조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CN208146642U (zh) 一种餐厨和果蔬垃圾与污水综合处理***
CN111233287A (zh) 一种***物处理***
CN213668662U (zh) 一种紫外光解耦合植物液喷淋吸收处理餐厨废气除臭装置
CN212315806U (zh) 一种用于厨房废水处理装置
CN206984887U (zh) 一种垃圾站的卫生防疫装备
CN212864589U (zh) 一种餐厨垃圾降解设备
JP2971775B2 (ja) 廃棄物処理装置
CN115340250A (zh) 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10001724U (zh) 建筑生态***
CN208898695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