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074B1 - 사용후 평평한 형상으로 쉽게 절첩가능한 액체물질용 용기 - Google Patents

사용후 평평한 형상으로 쉽게 절첩가능한 액체물질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074B1
KR100319074B1 KR1019980003691A KR19980003691A KR100319074B1 KR 100319074 B1 KR100319074 B1 KR 100319074B1 KR 1019980003691 A KR1019980003691 A KR 1019980003691A KR 19980003691 A KR19980003691 A KR 19980003691A KR 100319074 B1 KR100319074 B1 KR 100319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container
bag member
bag
e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197A (ko
Inventor
노리아키 미츠이
도루 다케무라
다카히로 와카야마
Original Assignee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7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77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a planar surface of the packag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액체물질용 용기는 절첩하면 평평한 형상으로 본래 구성되는 가요성 필름재료, 그 길이방향 끝에서 백부재에 장착되는 포트부재 및 카드보드와 같은 비교적 강성이고 탄성을 가진 쉬트재료로 이루어진 평평한 쉬트부재로 구성되고 백부재 위에 장착되는 판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판부재는 백부재가 액체물질로 채워지면 관형상으로 팽창되지만 액체물질이 백부재로부터 방출된 후에는 처리하기 위하여 쉽게 평평하게 된다.

Description

사용후 평평한 형상으로 쉽게 절첩가능한 액체재료용 용기
본 발명은 액체물질용 용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평평한 형상으로 쉽게 절첩가능한 액체물질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프린팅 잉크와 같은 점성의 액체물질이 프린터와 같은 기계내의 물질원으로서 사용하는 용기로부터 공급될 때, 주의해야 할 중요한 사항중의 하나는 용기가 단단한 구조를 가지면 진공이 용기내에서 발생됨에 따라 재료의 원활한 방출이 용기의 방출포트에 적용된 가역압력기울기에 의해 곧 방해받기 때문에 용기가 용기에서의 물질의 방출에 따라 효과적인 내부공간체적을 감소시키도록 제조된다는 점이다. 한편, 용기가 치약튜브와 같은 가요성 구조를 가지면, 물질이 그 외측으로부터 방출포트에 적용된 취출작용에 의해서 용기로부터 방출되는 동안에는 물질의 방출이 직접 방해받지 않으나, 취출작용이 방출포트로부터 먼 용기의 후방부분내에 있는 물질에 전달되기 전에 용기의 세로방향의 중간부분을 수축시켜 최종적으로 완전하게 중간부분을 억압시키며 이에 따라 용기의 후방부분내에 수용된 물질을 가두어서 강한 취출작용에 관계없이 더 이상 방출될 수 없다. 상기 문제점의 관점으로, 단단한 구조를 가진 용기에 있어서는 실린더부재와 피스톤부재의 조립체로서 용기를 구성하도록 제안되었으며, 이 용기는 일본국 특개소 59-37162호 및 59-37163호와 일본국 실개소 5-9587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 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한 실린더부재의 바닥벽을 제공하여 피스톤부재에 의해서 제공된 바닥벽에 대향한 실린더부재의 끝에 제공되는 방출포트를 통한 물질의 방출에 따라 실린더부재의 유효내부공간체적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자연보호에 대한 최근의 사상하에서, 단단한 케이스부재와 조합하여 필름에 의해서 액체물질용 용기를 구성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며, 이 용기는 일본국 실개소 5-82858호와 일본국 실용신안등록공보 250306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한편으로는 필름형상으로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구성적으로 불안정한 용기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용기내에 수용된 액체물질이 취출작용에 의해서 방출될 때 특히 물질이 점성의 액체물질일 때 중간부분에서 분출을 막는 필름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일본국 특허공보 5-82858호에 따라, 노즐부분의 단단한 구조를 제외하고 필름재료로 실질적으로 제조된 가늘고 긴 몸체를 가진 용기는 노즐부분이 원통형 케이스부재에 공정된 상태로 단단한 원통형 부재내에 수용되는 한편 가늘고 긴 부재는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을 제외하고 원통형 케이스부재내에 자유롭게 배치되며 여기에서 가늘고 긴 필름몸체는 케이스부재에 접착되어 용기내에 수용된 액체물질이 노즐부분을 통하여 취출되면, 노즐부분으로부터 먼 가늘고 긴 필름몸체의 길이방향 절반부분은 용기의 유효내측공간이 최종적으로 완전하게 없어질 때까지 노즐부분을 향해 이동되어 뒤집어진다. 용기가 다 사용되면 즉 거기에 수용된 재료가 고갈되면, 용기는 처리를 위해 케이스부재로부터 분리되는 한편, 케이스부재는 용기를 케이스부재에 삽입하여 용기의 중간부분을 케이스부재에 접착하는 과정을 통하여 그다음 새로운 용기로 재사용된다.
일본국 실용신안등록공보 2503067호에 따라 단단한 구조의 길이방향 중간부분과 가요성 필름백구조의 길이방향 절반부분을 가진 가늘고 긴 원통형 용기는 노즐부재와 가늘고 긴 원통형 외부케이스부재로 조립되어 용기는 외부케이스부재내에서 공축방향으로 배치된 가요성 절반부분으로부터 먼 단단한 절반부분의 끝에서 노즐부재와 외부케이스부재에 고정된다. 용기내에 충전된 액체물질이 용기와 외부케이스부재 사이에 형성된 챔버공간내로의 압력매체에 따라 용기의 외측에 적용된 압력에 의해서 방출되면, 용기의 가요성 절반부분은 단단한 절반부분내로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뒤집어지며 이에 따라 용기의 유효내측공간체적을 제거한다. 용기가 사용되면 용기는 처리를 하기 위하여 노즐부재와 외부케이스부재로 분리된다.
이러한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 최소체적으로 배치될 사용된 용기를 위하여 단단한 용기를 분쇄, 필름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중간부분과 케이스부재 사이의 접착을 분쇄함으로써 필름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노즐과 외부케이스부재로부터 분리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단단한 절반부분을 분쇄하는 실제적인 작업은 요구되며, 이러한 모든 작업은 잉크와 같은 액체물질에 의해서 크게 오염될 수 있다.
상기 불편함의 관점에서, 사용된 용기의 처리공간이 절약되도록 본 발명의 주목적은 용기의 내용물이 방출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절첩되는 한편 내용물이 점성의 액체물질일 때라도 내용물이 용기에 제공된 포트개구부를 통하여 완전하게 취출되는 개량된 액체물질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평평한 상태로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팽창된 상태로 있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백부재의 하부절반부분이 포트부재를 통한 내용물의 취출에 따라 상부절반부분내로 이동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고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용기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용기에서의 액체물질의 완전한 방출을 보장하기 위한 변형을 합체하고 있고 도 5에 도시된 포트부재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과 유사한 평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2와 유사한 사시도,
도 7, 도 8 및 도 9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용기를 보강케이스내에 포장하는 방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초기팽창상태를 유지하기에 편리한 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위한 도 10의 장치의 사용방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주목적은,
내부공간이 액체물질로 채워지면 대향끝에지가 상기 백부재의 관형상의 한쌍의 환형의 에지를 형성하는 상태로 관형상을 나타내도록 백부재의 제1 및 제2 부분이 그 대향측에지를 따라 서로 연결되며, 용기가 평평한 상태로 될 때, 제3 및 제4 부분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부분과 공면으로 되게 절첩될 수 있고, 가요성 필름 재료로 제조되고 거기에 형성된 포트개구부를 제외한 외기에 대해 밀봉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용기가 평평한 상태로 될 때 동일한 평면형상을 나타내도록 된 제1 및 제2 부분 장방형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거기에 형성된 개구부를 제외한 한쌍의 환형의 에지중의 하나를 따라 상기 관형상의 한쪽끝을 폐쇄하는 제3 부분과 한쌍의 환형의 에지중의 다른 하나를 따라 상기 관형상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는 제4 부분을 가지고 있는 백부재,
상기 제3 부분에서 상기 백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백부재의 상기 포트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백부재의 내부공간내로 충전된 액체물질을 방출하기 위한 노즐을 형성하는 포트부재,
상기 내부공간이 액체물질로 채워질 때 판부재의 제1 및 제2 부재가 관형상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백부재 위에 장착되고 용기가 평평한 상태로 될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상으로 나타내도록 된 제 1 및 제2 장방형 부분을 가지고있고,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길이방향 절반부분이 길이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백부재에 고정되는 한편 뒤집어짐으로써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길이방향 절반부분내로 이동하도록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길이방향 절반부분을 유지하는 판부재로 구성된 액체물질용 용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용기가 이러한 구조로 구성되면, 평평한 형상이 용기의 최대응력제거상태이므로, 용기는 액체물질원을 제공하도록 된 기계로부터 분리될 때 본래의 평평한 형상으로 쉽게 복귀된다. 방출된 액체물질의 전체를 방출한 후 그 강성 및 탄성을 보존하는 쉬트재료에 의해서 판부재가 구성되면, 용기는 기계로부터 분리될 때 거기에서 폐쇄기는 형상 또는 본래의 평평한 형상으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상술된 구조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길이방향 절반부분 위로 실질적으로 뻗어 있는 길이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판부재는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길이방향 절반부분과 상기 백부재의 상기 남아 있는 길이방향 절반부분 모두 위로만 뻗어 있는 길이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상기 남아 있는 길이방향 절반부분이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백부재의 상기 길이방향 절반부분으로 이동될 때 거기로부터 쉽게 탈착되도록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남아 있는 길이방향 절반부분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3 및 제4 부분은 용기의 평평한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 부분과 실질적으로 공면으로 절첩될 때 각각의 육각형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상기 제3 및 제4 부분 각각은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육각형상의 제1 일체형층과 상기 제1층 아래에 있는 상기 육각형상의 제2 조합형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층은 상기 육각형상과 사다리꼴 형상의 3개의 연속에지를 따라 상기 제1층과 연결되는 제1 사다리꼴 부분과 상기 육각형상과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다른 3개의 연속에지를 따라 상기 제1층에 연결되는 제2 사다리꼴 부분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사다리꼴 부분 각각은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4개의 에지중의 남아 있는 하나와 함께 상기 끝에지를 따라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과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육각형층과 상기 제2 사다리꼴 층의 각각의 하나 사이에서의 연결부에는 상기 연속에지의 시작 및 끝에지를 따라 접착시일스트립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시일스트립은 평평한 상태로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과 실질적으로 공면이어서 용기의 그 본래의 평평한 형상으로의 복귀성능은 더 개량된다.
상기 판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중심라인을 따라 절첩되는 일체적인 장방형 쉬트재료에 의해서 제공되어 대칭적으로 2개의 장방형 쉬트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2개의 대칭장방형 쉬트부분은 용기구성의 편리함을 위해 각각 상기 판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을 제공한다. 이 경우에, 상기 중심라인에 대해 서로 대칭인 상기 장방형 쉬트재료의 대향에지는 힌지되도록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대향측 에지중의 하나를 따라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과 접착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판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한쌍의 대칭으로 형성된 장방형 쉬트재료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장방형 쉬트재료의 각각의 대향에지는 힌지되도록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대향측에지중의 하나를 따라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과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용기가 평평한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성능을 더 개량된다.
(실시예의 설명)
다음에 있어서, 본 발명은 수반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형태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용기는 10으로 표시되며 연성합성수지필름과 같은 가요성 필름재료로 이루어진 백부재(12), 경성합성수지와 같은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트부재(14), 및 통상의 카드보드와 같이 형성될 때 안정화된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비교적 강하고 탄성이 있는 경량의 쉬트재료로 이루어지는 판부재(16)로 구성된다.
백부재(12)는 제1 장방형 부분(18), 제1 부분과 동일한 형상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8) 뒤에 위치되는 제2 장방형 부분(20), 용기가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팽창될 때 제1 및 제2 부분(18, 20)에 의해서 형성되는 관형상의 상부끝을 폐쇄하도록 된 제3 부분(22) 및 제1 및 제2 부분(18, 20)에 의해서 형성된 관형상의 하부끝을 폐쇄하도록 된 제4 부분(24)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된 제1 내지 제4 부분은 백부재(12)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편리하기 위해서 구별하였으며 이들의 다수 및 전체는 용해된 가소성 재료의 블로우 성형에서와 같이 잘 알려진 백 제조기술에 따라 통상의 가요성 필름재료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부분(18, 20)은 접착시일 스트립에 의해서 대향측 에지(26, 28)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대향측 에지(26, 28)가 이러한 접착시일스트립으로 형성되면, 연속필름재료의 단지 절첩된 에지 대신에, 백부재(12)는 백부재에 채워진 액체물질이 배출되면 더욱 쉽게 자동적으로 평평하게 되는 성능을 도시하고 있다.
제3 부분(22)은 용기가 평평한 상태로 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형상을 나타내며 육각형상은 필름재료의 2개의 층을 실제로 포함하고 있다. 상부층은 육각형상의 전체구역 위에서 일체인 필름부분(30)인 반면에 하부층은 2개의 사다리꼴 필름부분(32, 34)의 평행조합이다. 필름부분(30)은 3개의 연속에지(36, 38, 40)를 따라 필름부분에 연결되고 3개의 연속에지(42, 44, 46)를 따라 필름부분(34)과 연결된다. 사다리꼴 필름부분(32)은 2개의 인접부분(32, 18)에 공통인 에지를 나타내는 48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분(18)의 대응끝에지를 구비한 4개의 에지중의 남아 있는 하나를 따라 제1 부분(18)에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사다리꼴 필름부분(34)은 2개의 인접부분(34, 20)에 공통인 에지를 나타내는 5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부분(20)의 대응끝에지를 구비한 4개의 에지중의 남아 있는 하나를 따라 제2 부분(20)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에지(36, 40, 42, 46)는 용기내에 충전된 액체물질이 고갈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부분(22)이 자동적으로 쉽게 평평하게 하도록 접착시일스트립으로 형성되어 있다.
포트부제(14)는 베이스 디스크 부분(52)과 베이스 디스크 부분(52)과 일체로 형성된 노즐부분(54)을 가지고 있다. 포트부재(14)는 필름부분(30)내에 형성된 포트개구부(56)(도 3)를 플린지시켜 용기내에 채워진 액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노출수단을 제공한다. 노즐부분(54)의 팁끝은 용기가 액체물질의 채움과 함께 준비할 때 또한 충전된 액체물질이 거기에서 완전하게 고갈된 상태로 용기가 사용될 때 거기에 장착된 캡(58)에 의해서 폐쇄된다.
제1 및 제2 부분(18, 20)으로 이루어진 관형상의 하부끝을 폐쇄하는 제4 부분(24)의 구조는, 포트부재(14)와 같은 다른 부재가 거거에 장착되어 있지 않고 필름부분(30)에 대응하는 육각형필름부분의 6개의 에지 모두가 에지(36, 40, 42, 46)에 형성된 것과 유사한 접착시일 스트립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3 부분(22)에 것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4 부분(24)에 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지루함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백부재(12)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가능한 재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이론,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크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콜, 폴리카본네이트, EVOH, 플루오르수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탄등이다. 또한 셀로판도 사용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재료로 제조된 필름은 알루미늄, 실리콘, 알루미늄의 실리콘옥사이드, PVDC, EVOH, 왁스 등의 얇은 층에 의해서 피복될 수 있다. 포트부재(14)는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의 판부재(16)는 카드보드와 같은 장방형 쉬트재료가 중심라인 다음의 에지(64)를 따라 일체적으로 연결된 2개의 합성 장방형 쉬트부분(60, 62)을 형성하도록 중심라인을 따라 절첩되며, 2개의 쉬트부분(60, 62)은 제3 부분(22)에 인접한 제1 및 제2 부분(18, 20)으로 이루어진 관형상의 길이방향 상부절반에 끼워진다. 절첩된 장방형 쉬트재료의 대향측에지(66)는 백부재의 측에지(26)를 따라 형성된 접착시일스트립의 내측에지를 따라 종결되고 힌지되도록 백부재를 형성하는 필름재료에 접착된다. 또한, 대안적으로, 이 에지는 제1 및 제2 부분(18, 20)의 측에지(26)의 대응부분과 함께 서로 접착되도록 뻗어서 공통의 접착시일스트립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판부재(16)가 이러한 공통의 내측에지를 형성하는 라인을 따라 일련의 작은 구멍을 형성하여 관형상내로 팽창될 때 판부재의 구부림을 도모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판부재(16)는 작은 힘으로 비교적 쉽게 변형되는 카드보드로 제조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액체물질이 포트부재(14)를 통하여 완전하게 고갈될 때까지 끈적한 등사 프린팅 잉크와 같은 액체물질의 충전된 백부재로 이루어진 필름백을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2개의 쉬트부분(60, 62)의 판부재가 그 내측으로부터 팽창될 때 필름실린더수단을 제공하는 강도 및 탄성의 소망의 정도를 나타내며, 용기가 최소체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평평하게 절첩되도록 팽창력이 제거되면 본래의 평평한 형상으로 복귀한다.
도 2는 액체물질이 백부재(12)내에 채워진 상태로 팽창된 상태로 있는 도 1 의 용기(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한다. 절첩된 상태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형상을 한 용기는 액체물질에 의해서 내측으로부터 팽창되면 실질적으로 원통형 용기로 된다. 이와 관련하여, 육각형부분(30)과 두 개의 사다리꼴 부분(32, 34)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제3 및 제4 부분(22,24)은 백부재를 구성하는 필름재료의가요성 변형하에서 실질적으로 돔형상의 끝을 구비한 백부재(12)를 제공한다.
도 3은 백부재(12)가 백부재에 채워진 액체물질의 방출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한다. 판부재(16)가 백부재(12)에 고정되어 제3 부분(22)에 인접한 백부재의 길이방향 절반부분(12a)이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백부재의 남아 있는 길이방향 절반부분(12b)이 화살표로 표시된 포트(56)를 통하여 바와 같이 백부재에 채워진 액체물질의 방출에 따라 내측 밖으로 뒤집어짐으로써 길이방향 절반부분(12a)내로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백부재(12)에의 판부재(16)의 이러한 고정은 양 재료에 적합한 접착제에 의해서 균일하게 스트립패턴으로, 도트패턴으로 또는 산발적으로 접착되는 2개의 부재의 전체 중첩표면에 의해서 실행된다. 대안적으로, 중첩된 표면은 68과 70가 같은 비교적 좁은 스트립 면적을 따라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제4 부분(24)에 의해서 형성된 백부재(12)의 자유단이 포트개구부(54)에 접근될 때에 액체물질이 완전하게 방출되도록 포트부재(14)의 디스크부분(52)이 상기 제3 부분(22)을 형성하는 필름재료의 대응환형의 부분에 일체적으로 접착되는 환형의 부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홈(72)으로 형성되어 포트개구부(56)를 향하여 있는 액체물질의 최종량을 위한 유동통로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과 유사한도면이다. 이 실시예의 용기(10)는 다른 에지가 힌지되도록 백부재의 측에지(28)에 의해서 형성되어 백부재를 형성하는 필름재료에 접착되는 접착시일스트립의 내측에지를 따라 종결하는 상태로 판부재(16)의 쉬트부분(60, 62)이 분리쉬트로 이루어진 점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다. 또는, 대안적으로, 에지(74)는 백부재의 대응에지(28)와 함께 접착되어 일체적인 접착시일스트립을 형성하도록 뻗어 있을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액체물질이 용기에서 고갈되었을 때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보다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도록 더 쉽게 평평하게 된다. 도 1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부분에 대응하는 다수의 주요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도 5의 실시예의 구조가 도 1에 비하여 명료하므로 설명은 설명의 지루함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의 용기(10")는 판부재(16)가 제1 및 제2 부분(18, 20)로 형성된 백부재(12)의 관형상부분의 전체길이를 덮도록 뻗어 있다는 점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다. 이 실시예는 사용후 처리하기 위한 부피가 대응적으로 증가하더라도 기계내로 운반 및 장착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더 단단하고 안정한 용기를 제공한다. 도 6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부분에 대응하는 다수의 주요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제1 변형에 따라 도 2 의 판부재(16)에 대응하고 쉬트부분(60', 62')을 제공하도록 더 큰 쉬트재료에 의해서 구성되는 판부재(16')는 포트부재(14)에서 먼 길이방향 절반부분에 수용되는 백부재(12)에 고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제2 변형에 따라, 백부재의 대응길이방향 절반부분이 용기내에 채워진 액체물질의 방출에 따라 포트부재(14)를 향하여 접근하면고정구가 쉽게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판부재(16')는 포트부재(14)로부터 먼 길이방향 절반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의 구조가 도 2에 비하여 다른 부분에 대해 명백하므로 설명의 지루함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용기(10, 10' 또는 10")는 통상 프린팅 기계에서의 잉크원과 같이 기계내에서의 액체물질원을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그러므로, 용기는 용기의 노즐부분으로의 연결에 의해서 액체물질을 용기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기계내에 제공된 공간내를 충전시키게 된다. 용기를 장착시키기 위하여 기계내에 준비된 공간이 액체물질의 완전한 채움으로 팽창되는 그 초기상태에서 용기의 원통형 형상을 구속하도록 하는 벽수단을 가지면, 용기, 특히 용기의 판부재(16)는 용기가 용기로부터 액체물질을 취출함으로써 그 고갈된 상태로 접근될 때 조차도 원통형으로 팽창된 형상으로 유지된다. 하지만, 용기를 기계내에 장착시키기 위한 공간이 용기의 원통형 형상을 제한하게 설계되지 않으면, 용기는 그 내용물의 방출에 따라 점차적으로 평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백부재(12)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밖으로 완전하게 뒤집어진 상태로 마지막 작은 방울까지의 액체물질의 완전한 방출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계내에서 채워지기 전에 용기는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케이스내에 장전되어야 한다.
도 7, 도 8 및 도 9는 용기(10)의 노즐부분(54)을 수용하도록 절반원형노치(82 또는 84)가 각각 형성된 절반부(78, 80)와 같은 트로프의 병렬조합과 같은 힌지수단(도시안됨)에 의해서 작동가능하고 통상 원통형인 보강케이스(76)에 도 1 내지 도 3에 참조하여 설명된 용기구조를 사용하는 방식을도시하고 있다.
보강케이스(70)의 일반적인 구조 및 보강케이스로의 용기케이스의 장전 및 분리하는 방법은 도 7 내지 도 9에 의한 예시로부터 명백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 및 도 11은 용기를 사용하는 기계의 용기장전공간이 그 초기완전팽창 상태에서 판부재(16)를 제한하지 않는 케이스에 제공된 특히 판부재(16)에서 용기(10, 10' 10")의 팽창상태를 유지하는 다른 가능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여기에는 선형부재(88)와 적당한 공간으로서 선형부재(88)에 확실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링부재(90, 92, 94)(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로 이루어진 비교적 간단한 장치(86)가 제공된다. 이들 부재 모두는 비교적 탄성 및 강성이 있는 재료로 제조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장치(86)는 특히 전체길이판부재(16)를 가진 도 6에 도시된 용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장치의 링부재를 통하여 삽입되는 용기에 의해서 판부재(16)는 액체 물질이 용기로부터 완전하게 고갈된 후에도 그 초기완전팽창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이라면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가능하다.

Claims (9)

  1. 내부공간이 액체물질로 채워지면 대향끝에지가 상기 백부재의 관형상의 한쌍의 환형의 에지를 형성하는 상태로 관형상을 나타내도록 백부재의 제1 및 제2 부분이 그 대향측에지를 따라 서로 연결되며, 용기가 평평한 상태로 될 때, 제3 및 제4 부분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부분과 공면으로 되게 절첩될 수 있고, 가요성 필름재료로 제조되고 거기에 형성된 포트개구부를 제외한 외기에 대해 밀봉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용기가 평평한 상태로 될 때 동일한 평면형상을 나타내도록 된 제1 및 제2 부분 장방형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거기에 형성된 개구부를 제외한 한쌍의 환형의 에지중의 하나를 따라 상기 관형상의 한쪽끝을 폐쇄하는 제3 부분과 한쌍의 환형의 에지중의 다른 하나를 따라 상기 관형상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는 제4 부분을 가지고 있는 백부재,
    상기 제3 부분에서 상기 백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백부재의 상기 포트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백부재의 내부공간내로 충전된 액체물질을 방출하기 위한 노즐을 형성하는 포트부재, 및
    상기 내부공간이 액체물질로 채워질 때 판부재의 제1 및 제2 부재가 관형성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백부재 위에 장착되고 용기가 평평한 상태로 될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상으로 나타내도록 된 제 1 및 제2 장방형 부분을 가지고있고,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길이방향 절반부분이 길이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백부재에 고정되는 한편 뒤집어짐으로써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길이방향 절반부분내로 이동하도록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길이방향 절반부분을 유지하는 판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물질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길이방향 절반부분 위로만 실질적으로 뻗어 있는 길이 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물질용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상기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길이방향 절반부분과 상기 백부재의 상기 남아 있는 길이방향 절반부분 모두 위로 뻗어 있는 길이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물질용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남아 있는 길이방향 절반부분이 제3 부분에 인접한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길이방향 절반부분으로 이동될 때 거기로부터 쉽게 탈착되도록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남아 있는 길이방향 절반부분에 쉽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물질용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3 및 제4 부분은 용기의 평평한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 부분과 실질적으로 공면으로 절첩될 때 각각의 육각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제3 및 제4 부분 각각은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육각형상의 제1 일체형층과 상기 제1층 아래에 있는 상기 육각형상의 제2 조합형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층은 상기 육각형상과 사다리꼴 형상의 3개의 연속에지를 따라 상기 제1층과 연결되는 제1 사다리꼴 부분과 상기 육각형상과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다른 3개의 연속에지를 따라 상기 제1층에 연결되는 제2 사다리꼴 부분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사다리꼴 부분 각각은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4개의 에지중의 남아있는 하나와 함께 상기 끝에지를 따라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물질용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육각형층과 상기 제2 사다리꼴 층의 각각의 하나 사이에서의 연결부는 상기 연속에지의 시작 및 끝에지를 따라 접착시일스트립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시일스트립은 평평한 상태로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과 실질적으로 공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물질용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중심라인을 따라 절첩되는 일체적인 장방형 쉬트재료에 의해서 제공되어 대칭적으로 2개의 장방형 쉬트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2개의 대칭장방형 쉬트부분은 각각 상기 판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물질용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라인에 대해 서로 대칭인 상기 장방형 쉬트재료의 대향에지는 힌지되도록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대향측 에지중의 하나를 따라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물질용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한쌍의 대칭으로 형성된 장방형 쉬트재료에 의해서 제공되며 상기 장방형 쉬트재료의 각각의 대항에지는 힌지되도록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대향측에지중의 하나를 따라 상기 백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물질용 용기.
KR1019980003691A 1997-02-10 1998-02-09 사용후 평평한 형상으로 쉽게 절첩가능한 액체물질용 용기 KR100319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971297A JP3750703B2 (ja) 1997-02-10 1997-02-10 液用可撓容器
JP97-39712 1997-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197A KR19980071197A (ko) 1998-10-26
KR100319074B1 true KR100319074B1 (ko) 2002-08-27

Family

ID=1256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691A KR100319074B1 (ko) 1997-02-10 1998-02-09 사용후 평평한 형상으로 쉽게 절첩가능한 액체물질용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60993A (ko)
EP (1) EP0857659B1 (ko)
JP (1) JP3750703B2 (ko)
KR (1) KR100319074B1 (ko)
CN (1) CN1076302C (ko)
DE (1) DE69808527T2 (ko)
TW (1) TW4216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8620A (en) * 1999-02-11 2000-12-12 Chester Labs, Inc. Collapsible container
JP3845833B2 (ja) * 2000-05-26 2006-11-15 カイト化学工業株式会社 容器
JP2001335043A (ja) * 2000-05-26 2001-12-0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ートリッジ式袋
JP4641088B2 (ja) * 2000-06-19 2011-03-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式袋
ITBO20030376A1 (it) * 2003-06-19 2004-12-20 Aroma System Srl Sacchetto a spigoli irrigiditi
DE602004022075D1 (de) * 2003-10-21 2009-08-27 Novo Nordisk As Reservoirvorrichtung mit integriertem befestigungsmittel
GB2414006B (en) * 2004-05-11 2007-09-05 Elan Vital Collapsible fluid containers
EP1963199A1 (en) * 2005-12-21 2008-09-03 Columbus E. APS Disposable beverage can
US8640920B2 (en) * 2006-12-20 2014-02-04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Method of forming and filling a pouch
JP4837619B2 (ja) * 2007-05-02 2011-12-14 シャープ化学工業株式会社 容器の製造方法
GB0708493D0 (en) * 2007-05-02 2007-06-06 Betts Uk Ltd Collapsible tube containers
TW200904714A (en) * 2007-07-19 2009-02-01 Teng-Shun Lai Environmental protection packing container capable of being easily folded and dumped
US20110240673A1 (en) * 2010-04-01 2011-10-06 Graham Packaging Company, L.P. Collapsible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JP2014524395A (ja) 2011-08-22 2014-09-22 アドバンスド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目パターンを有する実質的に剛な折畳可能容器
US20140138406A1 (en) * 2012-10-02 2014-05-22 John E. Sanfilippo Film for flexible bags
CN104369968A (zh) * 2013-08-12 2015-02-25 南通康尼工贸有限公司 一种多功能包装袋
US9132648B2 (en) 2014-02-19 2015-09-15 Ricoh Company, Ltd. Fluid cartridge label stiffener
US20160347499A1 (en) * 2015-05-26 2016-12-01 Alec Machin Paint container
JP6072862B2 (ja) * 2015-07-01 2017-02-01 凸版印刷株式会社 インキ充填液体容器
JP6712013B2 (ja) * 2016-06-09 2020-06-17 株式会社Mizkan Holdings 包装袋、包装袋連結体、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07054855A (zh) * 2016-12-19 2017-08-18 杭华油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包装紫外光固化反应干燥型平版油墨的可回收再利用的软包装袋
JP7260258B2 (ja) * 2018-06-13 2023-04-18 株式会社 資生堂 蓋つき容器、多重容器、及び蓋つき容器の組み立て方法
WO2019240187A1 (ja) 2018-06-13 2019-12-19 株式会社資生堂 多重容器及び内容器
JPWO2022168653A1 (ko) * 2021-02-05 2022-08-11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04959A (fr) * 1936-04-15 1936-11-06 Nouvel empaquetage
GB902241A (en) * 1958-06-11 1962-08-01 Rene Orsini Method of producing rigid or semi-rigid hollow bodies from flat sachets
DK108480C (da) * 1961-12-05 1967-12-18 Knud Bjarnoe Emballage.
GB1451925A (en) * 1973-09-06 1976-10-06 Ici Ltd Collapsible container
JPS5937163A (ja) * 1982-08-12 1984-02-29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流動性物質収容容器
JPS5937162A (ja) * 1982-08-12 1984-02-29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流動性物質収容容器の接続構造
JPS6094275A (ja) * 1983-10-28 1985-05-27 日立工機株式会社 自動ねじ締め機
NL8501665A (nl) * 1985-06-10 1987-01-02 Philips Nv Optische aftasteenheid met positie- en standdetektiestelsel voor een elektromagnetisch gelagerd objektief.
JPS6282977A (ja) * 1985-10-07 1987-04-16 オムロン株式会社 温冷低周波治療装置
GB8702749D0 (en) * 1987-02-06 1987-03-11 Corrugated Prod Ltd Collapsible containers
JPH023830A (ja) * 1988-06-18 1990-01-09 Nec Corp 数学組込み関数実行時における精度・性能の選択方式
JP2503067B2 (ja) * 1989-02-20 1996-06-05 東レ株式会社 エポキシ組成物
JPH0324378A (ja) * 1989-06-19 1991-02-01 Mitsubishi Oil Co Ltd エネルギー回収機構付リリーフバルブ
BE1003644A3 (fr) * 1990-01-26 1992-05-12 Incoplas Nv Sa Emballage pour produits liquides ou pulverulents.
DE4028507A1 (de) * 1990-09-07 1992-03-12 Sengewald Karl H Gmbh Packung, insbesondere fuer fliess- und rieselfaehiges gut
JPH0582858A (ja) * 1991-09-24 1993-04-02 Toshiba Corp ガス・レーザ管
JP3042078B2 (ja) * 1991-10-04 2000-05-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5178469A (en) * 1991-11-01 1993-01-12 Woods End Research Laboratory, Inc. Biodegradable container for liquid-containing solid materials
JPH06199349A (ja) * 1993-01-06 1994-07-19 Riso Kagaku Corp 流動体貯蔵容器
JPH07223689A (ja) * 1994-02-03 1995-08-22 Hosokawa Yoko:Kk 液体内容物吐出容器
JPH08260344A (ja) * 1995-03-28 1996-10-08 Mitsubishi Rayon Co Ltd フィブリル化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39712A (ja) * 1995-08-01 1997-02-10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18193A (ja) 1998-08-18
JP3750703B2 (ja) 2006-03-01
CN1076302C (zh) 2001-12-19
DE69808527D1 (de) 2002-11-14
EP0857659A1 (en) 1998-08-12
CN1190630A (zh) 1998-08-19
KR19980071197A (ko) 1998-10-26
TW421634B (en) 2001-02-11
EP0857659B1 (en) 2002-10-09
DE69808527T2 (de) 2003-03-20
US5960993A (en)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074B1 (ko) 사용후 평평한 형상으로 쉽게 절첩가능한 액체물질용 용기
US6474512B2 (en) Liquid container
US5305920A (en) Bag-in-bottle package with reusable resilient squeeze bottle and disposable inner receptacle which inverts upon emptying without attachment near its midpoint to squeeze bottle
US6050451A (en) Dispensing structure incorporating a valve-containing fitment for mounting to a container and a package with a dispensing structure
JP3789270B2 (ja) 液体収容容器
CN101557989A (zh) 阀元件
JP2003072785A (ja) 注出容器
JPH11301693A (ja) 可撓容器
JP4011931B2 (ja) カートリッジ式トレー容器
JP3597372B2 (ja) 可撓容器
JPS6133332Y2 (ko)
JP412158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用カートリッジ
JPH11236052A (ja) 可撓容器
JP4601785B2 (ja) カートリッジ式袋
JP3597371B2 (ja) 可撓容器
EP1118550A2 (en) Container for liquid products
JPH10297654A (ja) 液体収納用包装袋
WO1993010014A1 (en) Resilient squeeze bottle with an inner receptacle which inverts upon emptying
JPH1191799A (ja) 折り畳み式可撓容器
JP4601777B2 (ja) カートリッジ式袋
JP3371667B2 (ja) 液体容器
JP2000309362A (ja) 弁及び袋状緩衝材
JPH1086959A (ja) 詰替用液体収納容器
WO2005113359A1 (ja) 容器
JPH08198323A (ja) 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