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400B1 - A method for forming a laminate web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forming a laminate we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400B1
KR100317400B1 KR1019997005083A KR19997005083A KR100317400B1 KR 100317400 B1 KR100317400 B1 KR 100317400B1 KR 1019997005083 A KR1019997005083 A KR 1019997005083A KR 19997005083 A KR19997005083 A KR 19997005083A KR 100317400 B1 KR100317400 B1 KR 100317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liquid
surface energy
nonwoven web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0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69366A (en
Inventor
비엔데니스진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00069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3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40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impregnat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04H1/49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for formation of patterns, e.g. drilling or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2Conjugate fibres, e.g. core/sheath o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2/00Cleaning articles, e.g. mops, 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호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래미네이트 웹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며, 제 1 표면, 제 2 표면 및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을 서로 유체 연통하도록 위치시키는 다수의 액체 통로를 구비하는 부직 웹(22)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 웹의 제 1 표면에 부직 웹의 섬유의 표면 에너지보다 작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표면 처리제(28)를 가하는 단계와,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폴리머 웹(200)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섬유의 부직 웹을 상기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폴리머 웹(200)에 결합시켜 래미네이트 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래미네이트 웹은 특히 일회용 흡수 제품의 상면 시트로 사용되기에 매우 적합하다.The present invention, in one preferred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 laminate web. This method provides a nonwoven web 22 which exhibits surface energy and has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and a plurality of liquid passages for placing said first and second surface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said nonwoven Applying a surface treating agent 28 having a surface energy less than the surface energy of the fibers of the nonwoven web to the first surface of the web, providing a macroscopically expanded apertured three-dimensional polymer web 200, the fibers Bonding the nonwoven web of to the macroscopically expanded apertured three-dimensional polymeric web 200 to form a laminate web. Laminated webs are particularly well suited for use as top sheets of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Description

래미네이트 웹 및 그 형성 방법{A METHOD FOR FORMING A LAMINATE WEB}Laminated web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 METHOD FOR FORMING A LAMINATE WEB}

일회용 흡수제품의 분야에 있어서, 상기 래미네이트 웹은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실금 브리프(incontinence briefs), 붕대, 상처 붕대 등과 같은 흡수 제품을 형성하기에 매우 적합하며, 착용감을 개선하고 제품내에 흡수된 수분에의 오랜 노출에 기인한 바람직하지 않은 피부 상태의 발진에 대한 가능성을 최소화 하도록 착용자에게 건조한 표면 느낌을 제공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착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유 구조체내로의 신속한 액체 이송을 촉진하는 반면, 반대방향으로의 액체 이송을 저지하는 것이 요구된다.In the field of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the laminate webs are well suited to forming absorbent articles such as disposable diapers, sanitary napkins, incontinence briefs, bandages, wound bandages, etc., improving fit and absorbing moisture in the product. It is well known to provide the wearer with a dry surface feel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rashes of undesirable skin conditions due to prolonged exposure to the skin. Thus, it is generally desired to facilitate rapid liquid transfer into the retention structur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earer, while preventing liquid transfer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요구에 대한 종래의 실행가능한 한 대책은 부직 웹(nonwoven web)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의 노출된 착용자 표면상의 덮개 또는 상면 시트를 활용하는 것이었다. 예컨대 멜트블로잉 공정 및 스펀본딩 공정과 같은 부직포 압출 공정에 의해 형성된 부직 웹은 일회 또는 수회 사용 후 버려질 수 있도록 저렴하게 제품 또는 제품의 구성부품으로 제조된다.One conventional feasible solution to this need has been to utilize a cover or top sheet on the exposed wearer's surface of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that includes a nonwoven web. Nonwoven webs formed by nonwoven extrusion processes, such as, for example, meltblowing processes and spunbonding processes, are inexpensively made into products or components of a product so that they can be discarded after one or several uses.

부직 웹은 섬유 상호간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 3차원 모세관을 통해 모세관 액체 이송 특성을 나타내어 착용자 접촉 표면으로부터 하부의 흡수 구조체로 액체를 안내하기 때문에, 일회용 흡수 제품의 상면 시트로 종종 사용된다. 이러한 부직 웹은 또한 그 섬유상 성질에 기인하여 심미감, 의복과 같은 외관 및 촉감을 나타낸다.Nonwoven webs are often used as top sheets of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because they exhibit capillary liquid transfer properties through a three-dimensional capillary formed by the space between the fibers to guide the liquid from the wearer contact surface to the underlying absorbent structure. Such nonwoven webs also exhibit aesthetics, garment-like appearance and feel due to their fibrous properties.

부직 웹은 액체 이송에 효과적인 반면, 모세관 구조는 액체가 모세관 내부에 도달한 때에만 액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가 제한된다.Nonwoven webs are effective for liquid transport, while capillary structures are limited in that they can only move liquid when it reaches inside the capillary.

착용자 접촉 표면상에 남아있는 액체는 착용자에게 '젖은' 느낌을 주며, 이러한 액체는 색깔을 띠거나 불투명할 정도로 '얼룩진' 시각적 느낌을 준다. 웹의 재료에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형성시 그에 부여되는 표면 조직은 잔류 액체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송되기 위해 모세관 구조체내로 진입하기 보다는 착용자 접촉 표면상에 포획 또는 보유될 가능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건조시 바람직한 시각적 촉각적 느낌의 원인이 되는 표면 지형도(surface topography)가 또한, 노출된 표면상에 잔류 액체를 보류하여 사용 조건에 대한 요구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The liquid remaining on the wearer's contact surface gives the wearer a 'wet' feel, and the liquid gives a 'stained' visual feel that is colored or opaque. The surface tissue naturally occurring or imparted to the material of the web further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the residual liquid will be captured or retained on the wearer contact surface rather than entering the capillary structure to be transported away from the surface. Surface topography, which is the cause of desirable visual tactile sensations on drying, also tends to retain residual liquid on the exposed surfaces, reducing the need for conditions of u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부직 웹'은, 규칙적으로 반복하지 않는 상태로 사이에 끼워진 개개의 섬유 또는 실의 구조를 갖는 웹을 지칭한다. 부직 웹은 과거에 예컨대 멜트블로잉 공정, 스펀본딩 공정 및 본디드(bonded) 카디드(carded) 웹 공정과 같은 다양한 공정에 의해 형성되어 왔다.As used herein, the term 'nonwoven web' refers to a web having a structure of individual fibers or yarns sandwiched between them without being regularly repeated. Nonwoven webs have been formed in the past by various processes such as, for example, meltblowing processes, spunbonding processes, and bonded carded web processe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미세섬유(microfiber)'는 약 100 미크론 이하의 평균 직경을 갖는 작은 직경의 섬유를 지칭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microfiber' refers to a small diameter fiber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about 100 microns or les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멜트블로운(meltblown) 섬유'는 통상 원형인 다수의 미세 다이 모세관(fine die capillaries)을 통해 용융된 실 또는 필라멘트로서의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의 필라멘트를 가늘게하여 미세섬유 직경까지 그 직경을 감소시키는 고속의 가스(예를 들면, 공기) 스트림내로 압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섬유를 지칭한다. 그 뒤,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의 가스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수집 표면에 침착됨으로써 불규칙하게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meltblown fibers' refers to a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as a molten seal or filament through a plurality of fine die capillaries that are usually circular, and to a filament of the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It refers to a fiber formed by extruding into a high velocity gas (eg air) stream that thins and reduces its diameter to the microfiber diameter. The meltblown fibers are then carried by the high velocity gas stream and deposited on the collecting surface to form a web of irregularly dispersed meltblown fiber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스펀본디드(spunbonded) 섬유'는 필라멘트로서의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통상 원형인 다수의 미세한 스피너렛(spinneret)의 모세관으로부터 압출하고 압출된 필라멘트의 직경은 그 뒤 예를 들면 끌어내는 드로잉 또는 다른 주지의 스펀본딩 메카니즘에 의해 급속히 감소됨으로써 형성된 작은 직경의 섬유를 지칭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spunbonded fibers' extrudes a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as a filament from a capillary tube of a number of fine spinnerets which are usually circular and the diameter of the extruded filaments is then for example It refers to a small diameter fiber formed by rapid reduction by drawing or other well known spunbonding mechanis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탄성'은 편향력의 적용시 신장가능한 즉, 적어도 약 60퍼센트(즉, 이완된 비편향 길이의 적어도 약 160퍼센트인 신장된 편향 길이까지)로 신장가능하며 또한 신장력의 해제시 그 신장의 적어도 55퍼센트만큼 회복가능한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 가설적 예를 들면, 1인치의 샘플이 적어도1.60인치까지 신장가능하며, 1.60인치로 신장된 후 해제되었을 때 1.27인치 이하의 길이로 회복되는 물질을 말한다. 많은 탄성 물질이 60퍼센트 이상(즉, 이완된 길이의 160퍼센트 이상), 예를 들면, 100퍼센트 이상 신장가능하며, 이러한 물질 중 많은 것이 실질적으로 최초의 이완 길이, 예를 들면 신장력으 해제시 최초 이완 길이의 105퍼센트 내로 회복될 것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elastic' is stretchable upon application of biasing force, i.e., stretchable to at least about 60 percent (i.e. to an extended deflection length that is at least about 160 percent of relaxed unbiased length), Refers to any substance that is recoverable by at least 55 percent of its height upon release. Hypothetically, for example, a material that is stretchable to at least 1.60 inches by 1 inch of sample and that recovers to a length of 1.27 inches or less when stretched to 1.60 inches and released. Many elastic materials are stretchable at least 60 percent (i.e., at least 160 percent of the relaxed length), for example at least 100 percent, and many of these materials are substantially the first upon release of the original relaxation length, for example stretch. It will recover within 105 percent of the length of relax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비탄성'은 상기 '탄성'의 정의 내에 들지 않는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inelastic' refers to any material that is not within the definition of 'elastic'.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신장성'은 편향력의 인가시 파손됨 없이 적어도 약 50퍼센트 신장가능한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extension' refers to any material that is at least about 50 percent stretchable without breaking upon application of bia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통로'는 둘러싸이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액체와 연통하는 구조체 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용어 액체 통로는 '구멍', '채널', '모세관' 및 다른 유사한 용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The term 'path',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include a structure or channel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an enclosed or at least partially enclosed liquid. The term liquid passage is thus intended to include 'holes', 'channels', 'capillaries' and other similar terms.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폴리머 웹(apertured macroscopically expanded three-dimensional polymeric web)은 우수한 액체 이송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일회용 흡수 제품의 상면 시트로 종종 사용된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들은 플라스틱 상면 시트를 그들의 피부에 직접 접촉시키기가 힘들기 때문에 개구형 폴리머 웹은 그 우수한 액체 처리 능력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하지 않음을 발견한다.Apertured macroscopically expanded three-dimensional polymeric webs are often used as top sheets of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because they exhibit good liquid transport properties. However, some users find that the open polymeric web is undesirable despite its good liquid handling ability because it is difficult to bring the plastic top sheet directly into their skin.

따라서, 부직 웹에 의해 제공되는 연성 및 의복과 같은 특성의 모든 장점에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폴리머 웹에 의해 제공되는 우수한 액체 처리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provide good liquid handling capability provided by an open three-dimensional polymeric web that is macroscopically extended to all the advantages of properties such as softness and clothing provided by nonwoven webs.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면 에너지 구배를 나타내는 액체 투과성 래미네이트 웹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 liquid permeable laminate web exhibiting surface energy gradients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comprising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는 섬유의 액체 투과성 부직 웹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부직 웹은 제 1 또는 착용자 접촉 표면, 제 2 또는 의복 대향 표면, 초기 캘리퍼 및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을 서로 유체 연통하도록 위치시키는 다수의 액체 통로를 구비하는 단계와,Providing a liquid permeable nonwoven web of fibers exhibiting surface energy, the nonwoven web positioned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or wearer contact surface, the second or garment facing surface, the initial caliper, and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Providing a plurality of liquid passages,

상기 부직 웹의 제 1 표면에 표면 처리제를 가하는 단계로서, 상기 표면 처리제는 부직 웹의 섬유의 표면 에너지보다 작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므로 상기 제 1 표면과 접촉하는 액체에 힘을 인가하기에 적합한 불연속적으로 이격된 영역들에 의해 규정된 다수의 표면 에너지 구배를 생성하여 액체는 상기 제 1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 2 표면 방향으로의 이송을 위해 상기 액체 통로를 향해 지향되는 단계와,Applying a surface treatment agent to the first surface of the nonwoven web, the surface treatment agent having a surface energy less than the surface energy of the fibers of the nonwoven web and thus suitable for applying a force to a liquid in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Creating a plurality of surface energy gradients defined by regions spaced apart such that liquid is directed towards the liquid passage for transpor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away from the first surface;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폴리머 웹을 제공하는 단계와,Providing a macroscopically expanded apertured three-dimensional polymer web,

상기 섬유의 부직 웹을 상기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폴리머 웹에 결합시켜 래미네이트 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Bonding the nonwoven web of fibers to the macroscopically expanded apertured three-dimensional polymeric web to form a laminate web.

본 발명은 또한 상면 시트, 상기 상면 시트에 부착된 배면시트 및 상기 상면 시트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바, 상기 상면 시트는 본 발명에 따른 래미네이트를 구비하는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lso comprises a top sheet, a back sheet attached to the top sheet and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the top sheet and the back sheet, the top sheet being adapted to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lamin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about.

본 발명은 액체 이송 메카니즘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래미네이트 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래미네이트 웹은 일 표면으로부터 다른 표면을 향한 방향으로의 액체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며 반대 방향으로의 액체의 이송을 저지하도독 설계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 web suitable for use as a liquid transport mechanism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In particular, the laminate web is designed to facilitate the transfer of liquid in one direction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and to prevent the transfer of liquid in the opposite direction.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지적하고 구별되게 청구하는 청구범위로 종결되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요소를 나타낸다.Although this specification concludes with the claims which point out this invention in detail and claim distinctly, this invention will become better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ssociated with an accompanying drawing.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래미네이트 웹을 형성하는 예시적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process of forming a laminate we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래미네이트 웹의 부직 웹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nonwoven web portion of a laminate we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부직 웹의 부분 확대도,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nonwoven web of FIG. 2, FIG.

도 4는 고형 표면상의 액체 방울의 확대 단면도로서, 각 A는 고형 표면과 액체의 접촉각을 나타내는 도면,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id drop on a solid surface, wherein each A represents a contact angle between the solid surface and the liquid;

도 5는 두 개의 상이한 표면 에너지를 가지므로 두 개의 상이한 접촉각 A(a) 및 A(b)를 나타내는 고형 표면상의 액체 방울의 확대 단면도,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droplet of liquid on a solid surface showing two different contact angles A (a) and A (b) since it has two different surface energies;

도 6은 표면 에너지 구배를 나타내는 일반적 모세관에 인접하게 위치된 액체 방울의 확대 단면도,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droplet of liquid located adjacent a general capillary showing a surface energy gradient;

도 7은 본 발명의 래미네이트 웹의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폴리머 웹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croscopically expanded apertured three-dimensional polymer web portion of a laminate we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래미네이트 웹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minate we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생리대의 구조를 보다 명확히 나타내도록 절단된 생리대 부분을 갖는 생리대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a sanitary napkin having a sanitary napkin section cut to more clearly show the structure of the sanitary napkin

도 10은 도 9의 10-10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0-10 of FIG. 9;

도 1을 참조하면, 일회용 흡수 제품의 상면 시트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래미네이트 웹을 형성하는 방법이 참조부호 20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forming a laminate web of the present invention suitable for use as a top sheet of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at 20.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롤(24)이 그와 관련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부직 웹(22)이 공급롤(24)로부터 풀려나와 그와 관련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부직 웹(22)은 부직 웹(22)의 표면상으로 표면 처리제(28)를 지향하는 스프레이어(26) 밑을 통과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the feed roll 24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sociated therewith, the nonwoven web 22 is released from the feed roll 24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sociated therewith. The nonwoven web 22 passes under the sprayer 26, which directs the surface treating agent 28 onto the surface of the nonwoven web 22.

부직 웹(22)은 예를 들면 공지의 멜트블로잉 공정 또는 공지의 스펀본딩 공정과 같은 공지의 부직 압출 공정에 의해 형성되어 공급롤상에 일차적으로 저장됨없이 직접 스프레이어(26) 밑을 통과할 수도 있다.The nonwoven web 22 may be formed by a known nonwoven extrusion process such as, for example, a known meltblowing process or a known spunbonding process, and may pass directly under the sprayer 26 without being primarily stored on a feed roll. have.

부직 웹(22)은 신장가능하거나, 탄성이거나 또는 비탄성일 수 있다. 부직 웹(22)은 스펀본디드 웹, 멜트블로운 웹 또는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 있다. 부직 웹이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이라면, 멜트블로운 마이크로파이버를 포함한다. 부직 웹(22)은 우드, 코튼 또는 레이온과 같은 천연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부텐 공중합체와 같은 합성섬유, 복합섬유, 또는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조합일 수 있다.Nonwoven web 22 may be stretchable, elastic, or inelastic. Nonwoven web 22 may be a spunbonded web, a meltblown web, or a bonded carded web. If the nonwoven web is a web of meltblown fibers, it includes meltblown microfibers. Nonwoven web 22 may be made of natural fibers, such as wood, cotton, or rayon, or synthetic, composite, or natural and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ester, ethylene copolymers, propylene copolymers, and butene copolymers. It can be a combination of.

부직 웹(22)은 예를 들면 적어도 일 층에 결합된 스펀본디드 웹 또는 멜트블로운 웹, 본디드 카디드 웹 또는 다른 적합한 물질의 적어도 일 층을 갖는 다층 물질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부직 웹은 예를 들면 스펀본디드 웹, 본디드 카디드웹 또는 멜트블로운 웹과 같은 단일 층 또는 물질일 수 있다.Nonwoven web 22 may be, for example, a multi-layered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layer of spunbonded webs or meltblown webs, bonded carded webs, or other suitable materials bonded to at least one layer. Alternatively, the nonwoven web may be a single layer or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spunbonded web, bonded carded web or meltblown web.

부직 웹(22)은 또한 둘 이상의 상이한 섬유의 혼합물 또는 섬유와 입자의 혼합물로 형성된 복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혼합물은 섬유 및/또는 미립자를 멜트블로운 섬유가 운반되는 가스 스트림에 첨가하여 멜트블로운 섬유와 다른 물질, 예컨대 우드 펄프, 인조 섬유 및 입자의 친밀하게 얽혀진 상호 섞임이 수집 장치에서의 멜트블로운 섬유의 수집 전에 발생하여 임의로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 및 다른 물질의 응집된 웹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Nonwoven web 22 may also be a composite formed of a mixture of two or more different fibers or a mixture of fibers and particles. This mixture adds fibers and / or particulates to the gas stream where the meltblown fibers are carried so that the intimate intermixing of the meltblown fibers with other materials, such as wood pulp, artificial fibers and particles, causes the melt in the collecting device. It may be formed before the collection of tumbled fibers to form an agglomerated web of optionally dispersed meltblown fibers and other materials.

섬유의 부직 웹은 응집된 웹 구조를 형성하도록 본딩에 의해 결합되어야 한다. 적합한 본딩 기술은 화학적 본딩, 포인트 칼렌더링과 같은 열 본딩, 수소인탱글링(hydroentangling) 및 니들링을 포함하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nonwoven web of fibers must be joined by bonding to form a cohesive web structure. Suitable bonding techniqu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hemical bonding, thermal bonding such as point calendering, hydrogenentangling and needling.

표면 처리제는 스프레이어(26)를 이용하는 도 1의 부직 웹(22)의 일 표면에 가해진다. 표면 처리제는 또한 스크린 프린팅, 그라비어 프린팅, 딥 코팅 등과 같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기술에 의해 부직 웹의 일 표면에 가해질 수 있다.The surface treatment agent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nonwoven web 22 of FIG. 1 using the sprayer 26. Surface treatment agents may also be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nonwoven web by other techniques known in the art, such as screen printing, gravure printing, dip coating, and the like.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그 일 표면에 가해진 표면 처리제를 갖는 부직 웹(22)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부직 웹(22)은 개개의 섬유(60)로 구성된 액체 투과성 부직 웹이다.Referring now to FIGS. 2 and 3, there is shown a perspective view of a nonwoven web 22 having a surface treating agent applied to one surface thereof. Nonwoven web 22 is a liquid permeable nonwoven web composed of individual fibers 60.

부직 웹(22)은 제 1 또는 상부 표면(61)과 제 2 또는 하부 표면(6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표면(61)은 중간부(63)에 의해 제 2 표면(6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부직 웹(22)은 제 1 및 제 2 표면을 서로 유체 연통시키도록설치하는 다수의 통로(6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onwoven web 22 preferably has a first or top surface 61 and a second or bottom surface 62. The first surface 61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rface 62 by the intermediate portion 63. The nonwoven web 22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passageways 66 that are arranged to fluidly communicate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with each other.

제 1 표면(61)은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낮은 표면 에너지 표면 처리제를 포함하는 다수의 영역(65)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높은 표면 에너지 및 비교적 높은 점착 일(work of adhesion)을 갖는 부직 웹의 섬유(60)에 비하여 영역(65)은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와 비교적 낮은 점착 일을 갖는다. 따라서, 처리된 부직 웹(22)은 영역(65)의 경계 즉, 영역(65)과 주위의 섬유 표면 사이의 계면에 의해 규정된 다수의 표면 에너지 구배를 나타낸다.The first surface 61 comprises a plurality of regions 65 which exhibit a relatively low surface energy and preferably comprise a low surface energy surface treatment agent. Preferably, the region 65 has a relatively low surface energy and a relatively low adhesion work as compared to the fiber 60 of the nonwoven web having a relatively high surface energy and a relatively high work of adhesion. Thus, the treated nonwoven web 22 exhibits a number of surface energy gradients defined by the boundaries of the region 65, that is, the interface between the region 65 and the surrounding fiber surfac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지형도(웹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개개의 섬유를 포함)에 대한 영역(65)의 관계는 본 발명의 중요한 관점으로 여겨진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면 처리제는 실제로 섬유 상호간의 구멍을 폐색하는 섬유의 브리징 또는 마스킹이기 보다는 개개의 섬유의 부분들을 피복하는 다수의 별개의 입자, 방울 또는 소구체이기 때문에, 웹의 표면 방향 및 웹의 두께 방향에 관하여 간헐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이격된 영역의 성질을 주목하기 바란다. 이러한 불연속은 유체-운동 견지에서 장점으로 여겨지는 다수의 저-척도 표면 에너지 구배(low-scale surface energy gradients)의 발생을 초래한다.As shown in FIG. 3, the relationship of the region 65 to the surface topography (including individual fibers protruding upwards from the top surface of the web) is considered an importan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since the surface treatment agent as shown in FIG. 3 is actually a plurality of discrete particles, droplets or globules that cover portions of individual fibers rather than bridging or masking the fibers that obstruct the pores between the fibers, the surface of the web Note the nature of the intermittently or discontinuously spaced area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and thickness direction of the web. This discontinuity results in the generation of a number of low-scale surface energy gradients that are considered to be an advantage in terms of fluid-motion.

또한 도 3에는 부직 웹(22)의 제 1 표면(61) 안으로 또한 그 아래로의 표면 처리제의 침투가 명백히 도시되어 있다. 영역(65)의 대다수가 제 1 표면(61) 부근에 집중되어 있으며, 처리된 영역은 섬유 대 섬유 기초상의 웹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하여 중간부(63)내로의 침투를 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영역(65)이 제 1 표면(61) 부근에 집중되어 있으며 제 1 표면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빈도가 감소하여(간격이 증가하여) 보다 낮은 표면 에너지 영역과 보다 큰 표면 에너지 구배가 제 1 표면(61)에 또는 그 부근에 발생하여 제 1 표면상의 또는 그 부근의 액체에 보다 많은 효과를 준다. 따라서, 평균적으로 제 1 표면 부근의 웹의 상부 영역은 제 2 표면에 보다 가까운 웹의 하부 영역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것보다 낮은 평균 에너지를 나타낼 것이다.3 clearly shows the penetration of the surface treatment agent into and below the first surface 61 of the nonwoven web 22. The majority of the regions 65 are concentrated near the first surface 61 and the treated regions extend downward through the web on the fiber-to-fiber basis to achieve penetration into the intermediate portion 63. Preferably, the area 65 is concentrated near the first surface 61 and a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urface decreases, the frequency decreases (increasing the spacing) resulting in lower surface energy regions and larger surface energy gradients. Occurs at or near the first surface 61 to give more effect to the liquid on or near the first surface. Thus, on average, the upper region of the web near the first surface will exhibit lower average energy than that represented by the lower region of the web closer to the second surface.

섬유 상호간의 모세관 비폐색은 충분한 액체 통로가 하부 구조체로의 액체 전달을 위해 개방된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표면 처리제가 너무 많이 가해지면 섬유 상호간의 모세관을 폐색시켜 하부 구조체로의 액체 전달을 차단하는 경향이 있다.Capillary obstruction between the fibers is considered important because sufficient liquid passageways remain open for liquid delivery to the underlying structure. Too much surface treatment agent tends to block the capillaries between the fibers and thereby block liquid transfer to the underlying structur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섬유'의 정의는 '모세관 채널 섬유' 즉, 모세관 채널을 갖는 섬유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섬유 구조체 유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러한 다양성의 적합한 섬유는 톰슨 등에 1993년 4월 6일, 1993년 9월 7일 및 1994년 10월 18일에 각각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00,248 호, 제 5,242,644 호 및 제 5,356,405 호에 보다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이러한 섬유로 형성된 섬유상 구조체는 섬유 상호간의 모세관 및 공간뿐만 아니라 섬유 내부의 모세관 구조체를 나타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the term 'fiber'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include the type of fiber structure generally referred to as 'capillary channel fibers', ie fibers having capillary channels. Suitable fibers of this variety are disclosed in more detail in US Pat. Nos. 5,200,248, 5,242,644 and 5,356,405, issued April 6, 1993, September 7, 1993, and October 18, 1994, respectively, to Thompson et al. have. The contents disclosed in this patent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fibrous structures formed from such fibers may represent capillary structures within the fibers as well as capillaries and spaces between the fibers.

본 발명에 따르면, 부직 웹(22)의 제 1 또는 착용자 접촉 표면(61)은 비교적 습윤성인 중간부(63)에 비해 비교적 비습윤성이다. 비습윤성의 유용한 파라미터는 액체의 방울(기체-액체 계면)이 고형 표면(기체-고체 계면)과 이루는 접촉각이다.통상적으로, 고형 표면(112)상에 위치된 액체 방울(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형 표면과 접촉각 A를 이룬다. 액체에 의한 고형 표면의 습윤도가 감소함에 따라 접촉각 A가 증가한다. 액체-고체 접촉각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기술로부터 결정되는데, 이러한 공지 기술은 아서 더블유 애담슨(Arthur W. Adamson)의Physical Chemistry of Surfaces2판(1967), 에프 이 바텔(F. E. Bartell) 및 에이치 에이치 쥬데마(H. H. Zuidema)의J. Am. Chem. Soc., 58, 1449(1936), 및 제이 제이 비커맨(J. J. Bikerman),Ind. Eng. Chem., Anal. Ed., 13, 443(1941)에 보다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이러한 분야의 보다 최근의 간행물로서 쳉 등(Cheng, et al.)의Colloids and Surfaces43:151-167(1990), 그리고 로텐베르그 등(Rotenberg, et al.)의Journal of Colloids and Interface Science93(1):169-183(1983) 등이 있으며, 이들도 역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r wearer contact surface 61 of the nonwoven web 22 is relatively non-wetting compar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63, which is relatively wettable. A useful parameter of non-wetting is the contact angle at which the droplet of liquid (gas-liquid interface) forms with the solid surface (gas-solid interface). Typically, the liquid droplet 110 located on the solid surface 112 is shown in FIG. As shown there is a contact angle A with the solid surface. The contact angle A increases as the wettability of the solid surface by the liquid decreases. Liquid-solid contact angles are determined from techniques known in the art, which are known by Arthur W. Adamson, Physical Chemistry of Surfaces 2nd Edition (1967), FE Bartell and H. J. Am. Of HH Zuidema . Chem. Soc. , 58, 1449 (1936), and JJ Bikerman, Ind. Eng. Chem., Anal. Ed. , 13, 443 (1941), the disclosure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More recent publications in this area include Colloids and Surfaces 43: 151-167 (1990) by Cheng, et al., And the Journal of Colloids and Interface Science 93 by Rotenberg, et al. 1): 169-183 (1983) and the like, which are also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친수성'은 그 위에 침착된 수성 액체(예를 들면, 수성의 체액)에 의해 습윤가능한 표면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친수도 및 습윤도는 통상적으로 관련된 액체와 고형 표면의 접촉각과 표면장력에 의하여 규정된다. 이것은 로버트 에프 고울드(Robert F. Gould) 편저의 제목이Contact Angle, wettability and Adhesion인 아메리칸 케미컬 소사이어티 간행물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액체가 표면에 걸쳐 자발적으로 퍼지는 경향이 있을 때 표면이 액체에 의해 습윤된다(친수성이다)고 말한다. 반대로, 액체가 표면에 걸쳐 자발적으로 퍼지는 경향이 없다면, 표면은 '소수성'으로 간주된다.The term 'hydrophilic' as used herein is used to refer to a surface that is wettable by an aqueous liquid (eg, an aqueous body fluid) deposited thereon. Hydrophilicity and wettability are typically defined by the contact angle and surface tension of the liquid and solid surface involved. This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publication entitled Robert Angle F. Gould, Contact Angle, wettability and Adhesion , the disclosur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surface is said to be wetted by the liquid (it is hydrophilic) when the liquid tends to spontaneously spread across the surface. Conversely, if the liquid does not tend to spontaneously spread across the surface, the surface is considered 'hydrophobic'.

접촉각은 표면 불균일성(예컨대, 거칠기와 같은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 오염도, 고형 표면의 화학적/물리적 처리 또는 성분 및 액체와 그 오염도의 성질에 좌우된다. 고체의 표면 에너지도 또한 접촉각에 영향을 준다. 고체의 표면 에너지가 감소함에 따라 접촉각이 증가된다. 고체의 표면 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이 감소한다.Contact angle depends on surface non-uniformity (eg,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roughness), degree of contamination, chemical / physical treatment of solid surfaces or the nature of the liquid and its degree of contamination. The surface energy of the solid also affects the contact angle. The contact angle increases as the surface energy of the solid decreases. As the surface energy of the solid increases, the contact angle decreases.

고체 표면(예컨대, 필름 또는 섬유)으로부터 액체를 분리하는데 요구되는 에너지는 수학식 1로 표면된다.The energy required to separate the liquid from the solid surface (eg film or fiber) is surfaced by Equation 1.

여기서 W는 점착 일(erg/㎠)이고, G는 액체의 표면 장력(dyne/㎝)이고, A는 액체-고체 접촉각(도)이다.Where W is the adhesion work (erg / cm 2), G is the surface tension of the liquid (dyne / cm), and A is the liquid-solid contact angle in degrees.

소정 액체에 대해, 점착 일은 액체-고체 접촉각의 cosine 함수로 중가한다(접촉각 A가 0일 때 최대값을 갖는다).For certain liquids, the adhesion work is weighted as a cosine function of the liquid-solid contact angle (has a maximum value when the contact angle A is zero).

점착 일은 소정 표면의 표면 에너지 특성을 이해하며 정량하는데 유용한 도구이다. 소정 표면의 표면 에너지 특성을 특성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다른 유용한 방법은 '임계 표면 장력'으로 분류된 파라미터이고, 이에 대해서는 에이치 더블유 폭스(H. W. Fox), 이 에프 헤어(E. F. Hare) 및 더블유 에이 지스만(W. A. Zisman)의 J. Colloid Sci 8, 194(1953) 및 지스만의Advan. Chem. Series No. 43, Chapter 1, 아메리칸 케미컬 소사이어티(1964)에서 논의되어 있고, 이들은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Adhesion work is a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and quantifying the surface energy properties of a given surface. Another useful method that can be utilized to characterize the surface energy properties of a given surface is a parameter classified as 'critical surface tension', including HW Fox, EF Hare and W. Aegisman. J. Colloid Sci 8, 194 (1953) by J. Zisman and Advan. Chem. Series No. 43, Chapter 1 , American Chemical Society (1964),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표면 장력이 75dyne/㎝인 특정 액체(예컨대, 물)에 대한 접촉각과 점착 일 사이의 역관계가 아래의 표 1에 나타나 있다.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act angle and the adhesion work for a particular liquid (eg water) with a surface tension of 75 dyne / cm is shown in Table 1 below.

A(도)A (degrees) cosAcosA 1+cosA1 + cosA W(erg/㎠)W (erg / ㎠) 00 1One 22 150150 3030 0.870.87 1.871.87 140140 6060 0.50.5 1.501.50 113113 9090 00 1.001.00 7575 120120 -0.5-0.5 0.50.5 3838 150150 -0.87-0.87 0.130.13 1010 180180 -1-One 00 00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정 표면의 점착 일이 감소함에 따라(특정 표면의 낮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냄에 따라), 표면상의 액체의 접촉각이 증가하고 따라서 '구슬모양이 되어(bead up)' 보다 작은 접촉 표면적을 차지하는 경향이 있다. 그 반대도 또한 소정 액체에 대해 소정 표면의 표면 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에 사실이다. 따라서 점착 일은 고형 표면상의 상호 대향하는 액체 현상에 영향을 준다.As shown in Table 1, as the sticking work of a particular surface decreases (indicative of the low surface energy of a particular surface), the contact angle of the liquid on the surface increases and is therefore less than 'bead up'. It tends to occupy the contact surface area. The opposite is also true because the surface energy of a given surface decreases for a given liquid. The adhesion work thus affects the opposing liquid phenomena on the solid surface.

보다 중요하게는, 본 발명의 관계에 있어서, 표면 에너지 구배 또는 불연속은 액체 이송을 촉진시키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도 5는 상이한 표면 에너지를 갖는 두 개의 영역(113, 115)(도시를 목적으로 상이한 단면 해칭선으로 표시됨)을 구비한 고형 표면상에 위치된 액체 방물(110)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영역(113)은 영역(115)보다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와 따라서 영역(115)보다 액체 방울에 대한 감소된 습윤도를 나타낸다. 따라서,방울(110)은 방울 접촉 영역(115)의 에지에 형성된 접촉각 A(a)보다 큰 접촉각 A(b)를 방울 접촉 영역(113)에 형성한다.More importantly,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surface energy gradients or discontinuities are known to be useful for promoting liquid transport. FIG. 5 shows a liquid object 110 located on a solid surface with two regions 113, 115 having different surface energies (indicated by different cross-sectional hatching lines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5, region 113 exhibits relatively lower surface energy than region 115 and thus reduced wettability for liquid droplets than region 115. Accordingly, the droplet 110 forms a contact angle A (b) larger than the contact angle A (a) formed at the edge of the droplet contact region 115 in the droplet contact region 113.

도면의 명료성을 위해 점 'a'와 'b'가 한 평면에 놓여있지만 점 'a'와 'b' 사이의 거리 'dx'는 선형일 필요는 없으며, 대신에 표면 형상을 무시한 방울/표면 접촉의 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방울(110)은 표면 에너지 불균형을 겪게되며 또한 영역(113, 115) 사이의 상대 표면 에너지 차(즉, 표면 에너지 구배 또는 불연속)에 기인한 외력을 겪게된다. 외력은 수학식 2로 나타낸다.Although points 'a' and 'b' lie on one plane for clarity in the drawing, the distance 'dx' between points 'a' and 'b' does not need to be linear; instead, the drop / surface contact ignores the surface geometry. The degree of The droplet 110 thus suffers from surface energy imbalance and also from external forces due to the relative surface energy difference (ie, surface energy gradient or discontinuity) between the regions 113 and 115. The external force is represented by equation (2).

여기서, dF는 액체 방울에 대한 순수한 힘이고, dx는 기준 위치 'a'와 'b' 사이의 거리이고, G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고, A(a)와 A(b)는 각각 위치 'a'와 'b'에서의 접촉각이다.Where dF is the net force on the liquid drop, dx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positions 'a' and 'b', G is as defined above, and A (a) and A (b) are each position 'a' Is the contact angle at and b.

cosA(a)와 cosA(b)에 대해 수학식 1을 풀고 수학식 2에 대입하면 수학식 3이 산출된다.Solving Equation 1 for cosA (a) and cosA (b) and substituting Equation 2 yields Equation 3.

dF=G{[W(a)/G-1]-[W(b)/G-1]}dxdF = G {[W (a) / G-1]-[W (b) / G-1]} dx

수학식 3은 수학식 4로 간단히 할 수 있다.Equation 3 can be simplified by Equation 4.

dF=[W(a)-W(b)]dxdF = [W (a) -W (b)] dx

두 표면간의 표면 에너지 차의 중요성은 수학식 4에서 분명히 나타나는데,점착 일 차의 크기의 변화는 힘의 크기에 대해 정비례하는 관계에 있다.The importance of the surface energy difference between the two surfaces is evident in Equation 4. The change in the magnitude of the sticking primary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force.

표면 에너지 효과와 모세관 현상의 물리적 본질에 대해서는 포트노이 케이 채터지(Portnoy K. Chatterjee) 편저의Textile science and Technology,제 7 권,Absorbency(1985), 및 에이 엠 슈왈츠(A. M. Schwartz)의Capillarity, Theory and Practice, Ind. Eng. Chem.61,10(1969)에 보다 상세히 논의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For surface energy effects and the physical nature of capillary phenomena, see Textile Science and Technology by Portnoy K. Chatterjee, Vol. 7, Absorbency (1985), and Capillarity, Theory and AM Schwartz. Practice, Ind. Eng. Chem. 61, 10 (1969),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따라서, 방울에 의해 겪는 힘은 보다 높은 표면 에너지 방향으로의 운동을 야기할 것이다. 단순성과 도면의 명료성을 위해, 표면 에너지 구배 또는 불연속은, 도 5에서, 일정하지만 상이한 표면 에너지의 잘 정의된 영역 사이의 단일의 예리한 불연속 또는 경계로서 도시되어 있다. 표면 에너지 구배는 또한 방울 접촉의 각 특정 영역에서의 표면 에너지에 의해 결정되는 임의의 특정 방울(또는 이러한 방울의 부분)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연속적인 구배 또는 계단식 구배를 나타낼 수 있다.Thus, the force experienced by the droplet will cause motion in the higher surface energy direction. For simplicity and clarity of drawing, the surface energy gradient or discontinuity is shown in FIG. 5 as a single sharp discontinuity or boundary between well defined regions of constant but different surface energy. The surface energy gradient may also represent a continuous or stepped gradient depending on the force applied to any particular droplet (or portion of such a droplet) determined by the surface energy in each particular region of droplet contac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구배'는 표면 에너지 차 또는 점착 일 차에 적용될 때, 측정할 수 있는 거리에 걸쳐 발생하는 표면 에너지 또는 점착 일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불연속'은 표면 에너지의 변화가 본질적으로 0의 거리에 걸쳐 발생하는 '구배' 또는 '전이'의 형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불연속'은 '구배'의 정의의 범주내에 포함된다.The term 'gradient'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refer to a change in surface energy or sticking work that occurs over a measurable distance when applied to a surface energy difference or sticking work. The term 'discontinuity' is intended to refer to a form of 'gradient' or 'transition' in which a change in surface energy occurs essentially over a distance of zero. Accordingly, all 'discontinuities' as used herein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definition of 'gradient'.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모세관' 및 '모세관 현상'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라플라스(Laplace) 수학식 5로 표현되는 모세관 현상의 원리에 따라 액체 이송을 할 수 있는 구조체내의 통로, 개구, 구멍, 또는 공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In addition, the terms "capillary tube" and "capillary tube phenomenon" as used herein generally refer to passages, openings, holes in a structure capable of liquid transfer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apillary phenomenon represented by Laplace Equation 5 below. , Or to refer to space.

여기서, p는 모세관 압력이고, R는 모세관의 내측 반경(모세관 반경)이고, G 및 A는 앞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Where p is capillary pressure, R is the inner radius of the capillary (capillary radius), and G and A are as defined above.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되는,Chem. Aftertreat Text.(1971)의 제 3 장, pp 83-113에 기재된 에머리 아이 발코(Emery I. Valko)의Penetration of Fabrics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90°인 경우, cosA는 0이고 모세관 압력은 없다. A>90°인 경우, cosA는 음의 값을 가지며 모세관 압력은 모세관내로의 액체의 유입을 저지한다. 따라서, 모세관 벽은 발생할 모세관 현상에 대해 친수성 성질(A<90°)을 가져야 한다. 또한, R은 R이 증가할 수록(개구/모세관 구조체가 클 수록) 모세관 압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의미있는 값을 갖도록 p에 대해 충분히 작아야 한다. Chem. ,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 Aftertreat Text. As can be seen from the Penetration of Fabrics of Emery I. Valko, Chapter 3, pp 83-113 (1971), when A = 90 °, cosA is zero and there is no capillary pressure. When A> 90 °, cosA has a negative value and capillary pressure inhibits the ingress of liquid into the capillary. Thus, the capillary wall must have hydrophilic properties (A <90 °) for the capillary phenomenon to occur. In addition, R should be small enough for p to have a meaningful value because capillary pressure decreases as R increases (larger opening / capillary structure).

모세관 또는 액체 통로 자체의 배향 및 위치에 대한 구배 자체의 특정 배향 또는 위치가, 적어도 표면 에너지의 존재만큼 중요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 에너지 구배 또는 불연속은 액체가 적어도 하나의 표면 에너지 구배 또는 불연속에 접촉함 없이 제 1 또는 상부 표면상에 존재할 수 없도록 모세관에 대해 위치되어 구배를 수반하는 구동력을 겪는다.The particular orientation or location of the gradient itself relative to the orientation and location of the capillary or liquid passageway itself is at least as important as the presence of surface energy. More specifically, the surface energy gradient or discontinuity is located relative to the capillary so that the liquid cannot be present on the first or top surface without contacting at least one surface energy gradient or discontinuity and undergoes a driving force accompanying the gradient.

모세관 입구로 이동된 액체 또는 모세관 입구에 존재하는 액체는 모세관 입구 부근의 모세관 자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Z방향에 접촉하여 액체를 모세관내로 구동시키는 Z방향 구동력을 겪게되고 여기서 모세관 힘이 액체를 제 1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하나의 양호한 구조에 있어서, 모세관은 표면 에너지 구배 또는 불연속이 비교적 작지만 제 1 표면 아래의 유한한 거리에 있도록 낮은 표면 에너지 입구 길이 및 높은 표면 에너지 모세관 벽 또는 표면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에서 불연속 또는 구배는 모세관 에지에서 또는 모세관의 개방 단부 위에서 제 1 표면과 접촉하는 액체가 모세관의 개방 단부내로 하방으로 연장하는 낮은 표면 또는 메니스커스를 가지며, 액체는 여기서 불연속과 접촉할 것이다.Liquid transferred to the capillary inlet or liquid present at the capillary inlet undergoes a Z-direction driving force that contacts the at least one Z-direction present in the capillary itself near the capillary inlet to drive the liquid into the capillary, where the capillary force removes the liquid. 1 Move it away from the surface. In one preferred structure, the capillary tube preferably exhibits a low surface energy inlet length and a high surface energy capillary wall or surface such that the surface energy gradient or discontinuity is relatively small but at a finite distance below the first surface. Discontinuities or gradients in this position have a low surface or meniscus at which the liquid contacting the first surface at the capillary edge or above the open end of the capillary extends downward into the open end of the capillary, where the liquid will contact the discontinuity here. .

이러한 원리에 대해 더욱 설명하기 위해, 도 6은 일반적 모세관 또는 액체 통로 위에 위치된 액체의 방울(110)을 도시한다. 이러한 도시는 특정한 웹 재료, 설계 또는 구조에 제한됨 없이 본 명세서에 표현된 개념을 나타내는데 충분히 일반적이도록 의도된다. 도 5와 유사하게, 상이한 표면 에너지를 갖는 표면(113, 115)(도시를 목적으로 상이한 단면 해칭으로 표시됨)을 나타내도록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113)의 표면 에너지는 표면(115)의 표면 에너지에 비해 비교적 낮은 예정된 레벨이어서 표면(113)이 소수성(hydrophobic)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표면(113)과 접촉하는 방울의 에지는 비교적 큰 접촉각 A를 나타내어 방울의 에지는 표면(113)과의 계면으로부터 예리한 출발을 형성한다. 한편, 표면(115)은 표면(113)에 비해 비교적 큰 표면 에너지를 갖는다.To further illustrate this principle, FIG. 6 shows a drop 110 of liquid located over a general capillary or liquid passage. Such illustrations are intended to be general enough to represent the concepts presented herein without being limited to particular web materials, designs, or structures. Similar to FIG. 5, it is formed to represent surfaces 113, 115 having different surface energies (indicated by different cross-sectional hatching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s shown in FIG. 5, the surface energy of the surface 113 is a relatively low predetermined level relative to the surface energy of the surface 115 such that the surface 113 is considered hydrophobic. Thus, the edge of the droplet in contact with surface 113 exhibits a relatively large contact angle A such that the edge of the droplet forms a sharp start from the interface with surface 113.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115 has a relatively large surface energy compared to the surface 113.

도 6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표면 장력의 힘과 중력이 대략 평형을 이루는상태에서 방울(110)이 모세관의 입구 위에 위치되어 모세관의 입구내로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모세관내에 있는 방울의 하부는 메니스커스(117)를 형성하여, 그 에지가 소수성 표면 에너지 특성을 갖는 영역(113)의 모세관 벽과 접촉한다. 표면(113, 115) 사이의 표면 에너지 구배, 불연속 또는 전이는 특히 방울의 하부를 메니스커스(117)의 에지의 부근에 접촉시키도록 결정된다. 방울의 배향과 방울의 메니스커스의 깊이는 액체 점도, 액체 표면 장력, 모세관 크기 및 형상, 또한 상부 표면과 모세관 입구의 표면 에너지와 같은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In the state shown in FIG. 6, the droplet 110 is positioned above the inlet of the capillary and partially extends into the inlet of the capillary in a state where the force and gravity of the surface tension are approximately in equilibrium. The lower portion of the droplets in the capillary tube form meniscus 117, which contacts the capillary wall of the region 113 whose edge has hydrophobic surface energy properties. The surface energy gradient, discontinuity or transition between the surfaces 113 and 115 is determined in particular to contact the bottom of the droplet in the vicinity of the edge of the meniscus 117. The orientation of the droplets and the depth of the meniscus of the droplets are determined by factors such as liquid viscosity, liquid surface tension, capillary size and shape, and also the surface energy of the top surface and capillary inlet.

방울이 모세관 입구 위에 위치되고 방울의 하부 에지가 표면(113, 115) 사이의 Z방향 표면 에너지 구배, 불연속 또는 전이와 접촉하는 순간, 볼록한 형상을 갖는 메니스커스(117)는 점선으로 도시된 메니스커스(119)와 같은 오목한 형상의 메니스커스로 전환된다. 메니스커스가 메니스커스(119)와 같은 오목한 형태로 전환될 때, 액체는 친수성 표면(115)의 상부 영역의 부근의 모세관 벽을 적시고 액체는 상기 수학식 3의 표면 에너지 차에 기인한 외력을 겪는다. 따라서 결합된 표면 에너지와 모세관 압력 힘은 협력하여 제 1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모세관 액체 이송을 위해 액체를 모세관 내로 끌어당기도록 작용한다. 액체 방울이 모세관내로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모세관의 상부 영역에서 표면(113)의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 성질은 상부 표면으로의 액체의 당김을 최소화하고 방울에 대한 견인력을 최소화하여 액체가 상부 표면상에 또는 그 부근에 매달리거나 잔류하는 경우를 감소시킨다.As soon as the droplet is positioned above the capillary inlet and the lower edge of the droplet contacts the Z-direction surface energy gradient, discontinuity or transition between the surfaces 113 and 115, the meniscus 117 having a convex shape is shown by a dashed line. A meniscus of concave shape such as the curse 119 is switched. When the meniscus is converted into a concave form such as meniscus 119, the liquid wets the capillary wall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region of the hydrophilic surface 115 and the liquid is caused by an external force due to the surface energy difference of Equation 3 above. Suffers. The combined surface energy and capillary pressure forces thus cooperate to pull the liquid into the capillary for capillary liquid transf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urface. As the droplet of liquid moves downward into the capillary, the relatively low surface energy nature of the surface 113 in the upper region of the capillary minimizes the pulling of the liquid to the upper surface and minimizes the traction to the droplet so that the liquid is on or above the upper surface. Reduce the chance of hanging or remaining in the vicinity.

논의의 목적을 위한 예로서 물이 기준 액체로 사용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은 그 물리적 특성이 잘 정립되어 있고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어디에서 구하든지 일반적으로 균일한 특성을 갖는다. 물에 대한 점착 일에 관련된 개념은 요구되는 액체의 특정 표면 장력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혈액, 멘스 및 오줌과 같은 다른 액체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for purposes of discussion, water is used as the reference liqu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Water is well established, readily available and generally homogeneous wherever it is obtained. Concepts relating to sticking to water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liquids such as blood, menses and urine by considering the specific surface tension properties of the liquids required.

다시 도 3을 고려하면, 부직 웹(22)의 제 1 또는 착용자 접촉 표면은 소정 액체(예컨대, 물, 또는 멘스와 같은 체액)에 대해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 및 비교적 낮은 점착 일을 가지며, 부직 웹(22)의 중간부(63)는 소정 액체에 대해 비교적 높은 표면 에너지와 비교적 높은 점착 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 웹(22)의 중간부(63)가 제 1 표면에 비해 비교적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중간부(63)는 제 1 표면(61)보다 잘 습윤된다.Referring again to FIG. 3, the first or wearer contact surface of the nonwoven web 22 has a relatively low surface energy and a relatively low adhesion work for a given liquid (eg, body fluids such as water or mens), and the nonwoven web ( The middle portion 63 of 22 preferably has a relatively high surface energy and a relatively high adhesion to a given liquid. Because the middle portion 63 of the nonwoven web 22 has a relatively high surface energy relative to the first surface, the middle portion 63 wets better than the first surface 61.

부직 웹(22)의 제 2 표면(62)은 액체에 대해 제 1 표면(61)보다 큰 표면 에너지와 점착 일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표면(62)의 액체에 대한 표면 에너지와 점착 일은 중간부(63)의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양호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표면(62)의 액체에 대한 표면 에너지와 점착 일은 중간부(63)의 것보다 비교적 크다.The second surface 62 of the nonwoven web 22 preferably has greater surface energy and adhesion work than the first surface 61 with respect to the liquid. The surface energy and sticking work for the liquid of the second surface 62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intermediate portion 63.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surface energy and sticking work for the liquid of the second surface 62 is relatively greater than that of the intermediate portion 63.

부직 웹에, 착용자의 피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접촉될 웹의 부분[즉, 제 1 표면(61)]에 인접하게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와 착용자 피부와의 접촉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치된 비교적 높은 표면 에너지 부분을 생성하는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표면 에너지 구배를 부여함으로써, 부직 웹(22)은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는 웹의 부분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는 웹의 부분으로액체를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액체 방울의 이동은 고체-액체 접촉면에 작용하는 표면 장력에 불균형을 초래하는 낮은 표면 에너지 부분과 높은 표면 에너지 부분 사이의 접촉각에 의해 야기된다.In the nonwoven web, a relatively high surface energy portion positioned away from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and a relatively low surface energy adjacent the portion of the web to be placed adjacent to the wearer's skin (i.e., the first surface 61). By imparting a surface energy gradient formed by the structure that produces the nonwoven web 22, the nonwoven web 22 may move the liquid from the portion of the web that exhibits relatively low surface energy to the portion of the web that exhibits relatively high surface energy. The movement of the liquid droplets is caused by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low and high surface energy portions resulting in an imbalance in the surface tension acting on the solid-liquid contact surface.

본 발명의 표면 에너지 구배에 관해서, 이러한 구배의 상부와 하부 경계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임, 즉 그 계면이 표면 에너지 구배를 규정하는 웹의 영역은 소수성/친수성 스펙트럼의 상이한 측면에 있을 필요는 없음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구배는 다양한 정도의 소수성 또는 다양한 정도의 친수성의 두 표면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소수성 표면과 친수성 표면에 관하여 설정될 필요는 없다. 전술한 바에도 불구하고, 부직 웹의 상부 표면은 유입 액체에 부여되는 구동력을 최대화하고 착용자 접촉 표면의 전체 습윤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것, 즉 일반적으로 소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With regard to the surface energy gra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ed that the upper and lower boundaries of these gradients are relative to each other, i.e. the area of the web whose interface defines the surface energy gradient need not be on different sides of the hydrophobic / hydrophilic spectrum.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is, the gradient can be set by two surfaces of varying degrees of hydrophobicity or varying degrees of hydrophilicity and need not necessarily be set with respect to the hydrophobic and hydrophilic surfaces. Notwithstanding the foregoing, it is preferred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nonwoven web has a relatively low surface energy, ie generally hydrophobic, in order to maximize the driving force imparted to the incoming liquid and to minimize the overall wettability of the wearer contact surface.

도 3에 있어서, 영역(65)의 크기 및 형상은 도시의 명료성을 위해 해상도 및 두께가 과대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침착 또는 처리제의 무작위성 및 불규칙성은 도식적 도시의 한계를 넘는 것이며 따라서 본 명세서의 도시는 설명을 위해 예시되는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영역(65)은 너무 작고 임의적이라서 이러한 도시로 적절히 표현될 수 없는 보다 작은 영역에 의해 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 3, the size and shape of the region 65 are shown with excessive resolution and thickness for clarity of illustration. The randomness and irregularities of such depositions or treatments are beyond the limits of the schematic illustrations and thus the illustrations herei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are not limiting. Thus, the region 65 shown in FIG. 3 is preferably interspersed by smaller regions that are too small and arbitrary to be adequately represented in this illustr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표면 에너지 구배는 본 명세서에 따라 제조된 액체 투과성 웹의 표면 특징 및/또는 조직에 대해 독특한 관계로 존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에너지 구배는 비교적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웹의 주변 영역과경계를 짓는 낮은 표면 에너지의 영역(65)을 형성함으로써 구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영역(65)은 그 경계에 표면 에너지 구배가 발생한다. 따라서, 영역(65)의 수가 많을 수록 개개의 표면 에너지 구배의 수가 많다. 영역(65)은 불연속적이고(즉, 완전히 웹을 둘러싸지 않고) 이격되어 보다 높은 표면 에너지의 중간 영역을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하다.Thus, the surface energy gra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in a unique relationship to the surface features and / or tissues of the liquid permeable web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in FIG. 3, the surface energy gradient is preferably constructed by forming a region of low surface energy 65 bounding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web having a relatively high surface energy. Thus, each region 65 has a surface energy gradient at its boundary. Thus, the greater the number of regions 65, the greater the number of individual surface energy gradients. Region 65 is preferably discontinuous (ie, not completely surrounding the web), leaving an intermediate region of higher surface energy.

각 구배에서, 양 표면과 접촉하는 방울은 액체의 어느 정도의 운동을 부여하여 특히 표면 지형도상에 액체의 정체 또는 매달림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구동력을 받게된다. 영역(65)이 예정된 패턴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불규칙성이 표면 에너지 구배가 액체의 임의의 특정 방울 또는 양에 영향을 주도록 적절히 배치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도록, 영역은 웹 표면상에 불규칙하게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규칙성은 웹의 제 1 표면에 걸쳐서 또한 액체 통로 자체내에서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임의의 특정 모세관 또는 통로는 제 1 표면으로부터 Z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영역(65)에 의해 규정된 다중 표면 에너지 구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특정 액체 통로는 다른 액체 통로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영역(65)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영역(65)은 완전히 액체 통로내에 존재하도록(즉, 완전히 제 1 표면과 제 2 표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In each gradient, the droplets in contact with both surfaces are given a driving force to impart some movement of the liquid, reducing the likelihood of stagnation or suspension of the liquid, particularly on the surface topography. Although region 65 may be appli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it is desirable that the region be irregularly oriented on the web surface so that the irregularity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the surface energy gradient will be properly disposed to affect any particular drop or amount of liquid. desirable. Irregularity is desirable over the first surface of the web and also within the liquid passage itself. Thus, any particular capillary or passageway may exhibit a multi-surface energy gradient defined by an area 65 which may be located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Z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In addition, certain liquid passages may represent more or less regions 65 than other liquid passages, and regions 65 may also be completely within the liquid passages (ie, completely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Can be located).

영역(65)은 또한 웹의 표면 불연속에 관하여 본질적으로 불연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웹 표면과 같은 보다 덜 소수성인(또는 보다 친수성인) 기판에 가해진 소수성 표면 처리제의 불연속은 표면의 평면에 저-척도의 표면 에너지 구배의 형태를 초래한다. 이러한 구배는 평균 방울 크기와 웹 표면 세부의 크기에 비하여 그들의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에 의해 영역 특성의 대-척도 X-Y 구배와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저-척도'는 당해 표면상의 액체 방울의 평균 크기보다 크기가 작은 표면 특징, 지형도 또는 표면 에너지 구배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평균 방울 크기는 소정 액체 및 표면에 대한 경험적 관찰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쉽게 결정될 수 특징이다.The region 65 is also preferably essentially discontinuou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discontinuity of the web. Discontinuities of hydrophobic surface treatment agents applied to less hydrophobic (or more hydrophilic) substrates, such as web surfaces, result in low-scale surface energy gradients in the plane of the surface. These gradients can be distinguished from large-scale X-Y gradients of area characteristics by their relatively small size relative to the average droplet size and the size of the web surface detail. Thus, the term 'low scale'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refer to a surface feature, topographical or surface energy gradient that is smaller in size than the average size of the liquid droplets on that surface. The average droplet size is a easily determined feature that can be obtained from empirical observations on certain liquids and surfaces.

이론에 구속됨 없이, 액체 관통 특성의 개선은 웹의 상부 표면상의 액체의 잔류 시간의 감소뿐만 아니라 상부 표면으로부터 모세관 액체 이송용 모세관내로의 이동에 의해 실현된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웹의 최초의 액체 접촉 표면이 (웹 표면에 걸친 보다 큰 측방향 운동에 반대인) 가장 가까운 이용가능한 모세관을 향하여 또한 하부 구조체내로의 급속한 하방으로의 액체의 저-척도 운동을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본 발명의 표면 에너지 구배는 소망의 Z방향 구동력과 소망의 저-척도 액체 운동을 부여하는 X-Y 구동력을 제공한다.Without wishing to be bound by theory, it is believ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liquid penetrating properties is realized not only by the reduction of the residence time of the liqu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b but also by the movement from the upper surface into the capillary for capillary liquid transfer. Thus, it is desirable for the initial liquid contacting surface of the web to promote low-scale movement of the liquid towards the nearest available capillary (as opposed to greater lateral motion across the web surface) and also rapidly down into the underlying structure. It is considered desirable. The surface energy gra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X-Y driving force that imparts the desired Z direction driving force and the desired low-scale liquid motion.

이러한 웹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다수의 저-척도 표면 에너지 구배는 액체-운동 견지에서 장점적이라고 여겨진다. 저-척도 구배는 웹 표면상에 형성된 액체 방울의 측방향 또는 X-Y 운동에 도움이 된다.Many of the low-scale surface energy gradients represented by these webs are considered to be advantageous in terms of liquid-motion. Low-scale gradients aid in the lateral or X-Y movement of liquid droplets formed on the web surface.

또한, 영역(65)은 그 위에 유입되는 체액의 방울, 스트림 또는 리비얼릿(rivulet)의 통상의 크기보다 표면 방향으로 작으며, 체액의 방울, 스트림 또는 리비얼릿을 표면 에너지 구배 또는 불연속을 건너는 액체의 필연성에 기인한 불안정한 힘을 받게한다.In addition, the region 65 is smaller in surface direction than the normal size of the droplets, streams or riblets of the body fluid flowing over it, and the liquid across the surface energy gradient or discontinuity The unstable force caused by its inevitability.

본 명세서에 기술된 형태의 표면 에너지 구배는 본 발명에 따라 2차원적(평탄한) 필름과 같은 구조체의 표면을 포함하는 비모세관 구조체에 대해 장점적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액체와 방울의 평형의 최대 외란을 달성하여 웹의 상부 영역상의 액체 잔류 시간 과 매달림 또는 잔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유형의 저 척도 X-Y 표면 에너지 구배와 저 척도 Z방향 표면 에너지 구배를 모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영역(65)의 존재는 웹의 제 1 표면에 제한될 수 있으며, 따라서 X-Y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액체 통로의 내부에 제한될 수 있으나, 제 1 표면상에 또한 액체 통로내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 가장 장점적이다.Surface energy gradients of the type described herein can be advantageously applied to non-capillary structures comprising the surface of a structure such as a two-dimensional (flat) fil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maximum disturbance of the equilibrium of liquid and droplets. It is desirable to apply both low-scale XY surface energy gradients and low-scale Z-direction surface energy gradients of the type described herein to achieve this to minimize liquid residence time and suspension or retention on the upper region of the web. Thus, the presence of region 65 may be limit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web, thus providing XY functionality, or restricted to the interior of the liquid passage, but both on the first surface and also within the liquid passage. It is most advantageous to apply.

따라서, 본 발명의 부직 웹에 있어서, 표면 에너지 구배는 구조체의 모세관 특성과 조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제공하여 향상된 액체 이송과 처리 특성을 제공한다. 웹의 제 1 표면상의 액체는 제 1 표면으로부터 웹의 반대측 제 2 표면을 향해 또한 통상적으로 흡수 제품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두 상이한 상보적 구동력을 겪게된다. 이들 두 힘은 웹의 제 1 표면을 향한 액체 이동에 반대로 결합하여 재습윤의 발생을 감소시키며 웹의 표면 건조를 증가시킨다.Thus, in the nonwoven we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energy gradient provides synergistic effects in combination with the capillary properties of the structure to provide improved liquid transport and processing properties. The liqui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web undergoes two different complementary driving forces while traveling from the first surface towards the opposite second surface of the web and typically inside the absorbent article. These two forces counteract liquid movement towards the first surface of the web, reducing the occurrence of rewetting and increasing the surface dryness of the web.

다수의 물리적 파라미터가 본 발명에 따라 웹을 설계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적절한 액체 처리를 위해 표면 에너지 구배의 크기 및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에 관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인자로는 사용된 물질에 좌우되는 표면 에너지 차의 크기, 물질의 이주성(migratability), 물질의 생물학적 적합성, 다공성 또는 모세관 크기, 전체 웹 캘리퍼 및 기하학적 형상, 표면 지형도, 액체 점도 및 표면 장력, 및 웹의 양 측상의 다른 구조체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들 수 있다.Numerous physical parameters design the we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particularly,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properly adjus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surface energy gradient for proper liquid treatment. These factors include the size of the surface energy difference, the migration of the material, the biocompatibility of the material, the porosity or capillary size, the overall web caliper and geometry, the surface topography, the liquid viscosity and the surface tens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other structures on both sides of the web.

바람직하게는, 부직 웹(22)의 영역(65)은 약 0erg/㎠ 내지 약 150erg/㎠ 범위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erg/㎠s 내지 약 100erg/㎠ 범위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erg/㎠ 내지 약 75erg/㎠ 범위의 물에 대한 점착 일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영역(65)를 둘러싸는 웹의 나머지는 약 0erg/㎠ 내지 약 150erg/㎠ 범위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erg/㎠s 내지 약 150erg/㎠ 범위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erg/㎠ 내지 약 150erg/㎠ 범위의 물에 대한 점착 일을 갖는다.Preferably, region 65 of nonwoven web 22 ranges from about 0 erg / cm 2 to about 150 erg / cm 2, more preferably in a range from about 0 erg / cm 2 s to about 100 erg / cm 2, most preferably about 0 erg. Adhesive work for water in the range of / cm 2 to about 75erg / cm 2. Preferably, the remainder of the web surrounding area 65 ranges from about 0 erg / cm 2 to about 150 erg / cm 2,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25 erg / cm 2 s to about 150 erg / cm 2, most preferably about 50 erg. Adhesive work for water in the range of / cm 2 to about 150erg / cm 2.

바람직하게는, 부직 웹의 영역(65)과 잔부 사이의 물에 대한 점착 일 차는 약 5erg/㎠ 내지 약 145erg/㎠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erg/㎠s 내지 약 145erg/㎠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erg/㎠ 내지 약 145erg/㎠ 범위이다.Preferably, the sticking difference for water between the region 65 and the remainder of the nonwoven web ranges from about 5 erg / cm 2 to about 145 erg / cm 2, more preferably from about 25 erg / cm 2 s to about 145 erg / cm 2, most preferred Preferably from about 50 erg / cm 2 to about 145 erg / cm 2.

적합한 표면 처리제는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Dow Corning)의 제품명 Syl-Off 7048의 가교제가 각각 100 대 10의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된 제품명 Syl-Off 7677의 실리콘 해제 코팅이다. 다른 적합한 처리제는 미국 뉴욕주 워터포드 소재의 제너럴 일렉트릭 컴파니, 실리콘 프로덕츠 디비전(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 products Division)으로부터 제품명 UV 9300과 UV 9380C-D1으로 입수가능한 두 실리콘을 각각 100 대 2.5의 중량부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UV 경화성 실리콘의 코팅이다. 부직 웹상의 실리콘 해제 코팅의 표면 에너지는 부직 웹(22)을 형성하는 개개의 섬유(60)의 표면 에너지보다 작다.Suitable surface treating agents are silicone release coatings of the product name Syl-Off 7677, in which a crosslinking agent of Dow Corning product name Syl-Off 7048, Midland, Michigan, is added at a ratio of 100 to 10 parts by weight, respectively. Other suitable treatments include 100 to 2.5 parts by weight of two silicones, each available under the product names UV 9300 and UV 9380C-D1 from 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 Products Division, Waterford, NY. It is a coating of UV curable silicone comprising a mixture mixed in proportions. The surface energy of the silicon release coating on the nonwoven web is less than the surface energy of the individual fibers 60 forming the nonwoven web 22.

다른 적합한 처리제 물질은 플루오로폴리머[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등록 상표 TEFLON으로 입수가능)]과 클로로플루오로폴리머와 같은 플루오로화된 물질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실리콘 물질이 그생물학적 적합성에 대한 흡수 제품 배경에서 웹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지만, 표면 에너지가 감소된 영역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다른 물질로 바셀린(petrolatum), 라텍스,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Other suitable treatment agent material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luoropolymers (eg,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available under the trademark TEFLON)) and fluorinated materials such as chlorofluoropolymers. . While silicone materials are currently suitable for use in the web in absorbent product backgrounds for their biocompatibility, other materials suitable for providing areas with reduced surface energy include petrolatum, latex, paraffin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생물학적 적합성'은 글루코-단백질, 혈소판 등과 같은 생물학적 종 또는 생물학적 물질에 대한 저레벨의 특정 흡수 즉, 낮은 친화력을 갖는 물질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이러한 물질은 사용상태에서 다른 물질보다 보다 큰 정도로 생물학적 물질의 침착을 저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성질은 이들이 다음의 액체 처리 상태에 요구되는 표면 에너지 특성을 보다 잘 보유하도록 한다. 생물학적 적합성이 없는 경우, 이러한 생물학적 물질의 침착은 표면의 거칠기 또는 비균일성을 증가시켜 액체 운동에 대한 견인력 또는 저항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생물학적 적합성은 액체 운동에 대한 견인력 또는 저항에 대응하며, 이에 따라 표면 에너지 구배 및 모세관 구조체로의 액체의 보다 신속한 접근에 대응한다. 표면 에너지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후속하는 또한 영속하는 액체 침착에 대한 최초의 표면 에너지 차를 유지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biological compatibility' is used to refer to a material having a low level of specific absorption, ie low affinity for a biological species or biological material, such as gluco-proteins, platelets, and the like. As such, these materials tend to retard the deposition of biological materials to a greater extent than other materials in use. This property allows them to better retain the surface energy properties required for the next liquid treatment state. In the absence of biocompatibility, the deposition of such biological materials tends to increase the roughness or nonuniformity of the surface, thereby increasing the traction or resistance to liquid motion. As a result, biocompatibility corresponds to traction or resistance to liquid motion, and thus to surface energy gradients and faster access of the liquid to the capillary structures. By maintaining the surface energy substantially the same, the initial surface energy difference for subsequent and everlasting liquid depositions is maintained.

그러나, 생물학적 적합성은 낮은 표면 에너지와 동의어는 아니다. 폴리우레탄과 같은 일부 물질은 어느 정도의 생물학적 적합성을 나타내며, 또한 비교적 높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낸다. 폴리에틸렌과 같은 일부 저 표면 에너지 물질은 생물학적 적합성이 부족하다. 실리콘과 플루오르화된 물질과 같은 현존의 양호한 물질은 장점적으로 낮은 표면 에너지 및 생물학적 적합성을 모두 나타낸다.However, biocompatibility is not synonymous with low surface energy. Some materials, such as polyurethanes, exhibit some degree of biocompatibility and also relatively high surface energy. Some low surface energy materials, such as polyethylene, lack biocompatibility. Existing good materials such as silicon and fluorinated materials advantageously exhibit both low surface energy and biocompatibility.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갖도록 웹의 선택된 영역을 친수화하기에, 즉 그의 표면에너지를 증가시키기에 적합한 표면 활성제는 예를 들면 미국 커넥티컷주 그린위치소재의 글리코 케미칼 인코포레이티드(Glyco Chemical, Inc.)에 의해 제조된 Pegosperse(등록상표) 200-ML, ICI에 의해 제조된 Atmer(등록상표) 645, BASF에 의해 제조된 글루코스 아미드, Pluronic(등록상표) P103과 같은 에틸렌 산화물과 프로필렌 산화물의 3중 블록(tri-block) 공중합체 및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에 의해 제조된 DC190과 같은 실리콘과 에틸렌 글리콜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Suitable surface active agents for hydrophilizing selected areas of the web to increase their surface energy, ie increasing their surface energy, are, for example, Glyco Chemical, Inc., Greenwich, Conn., USA. Triplet of ethylene oxide and propylene oxide, such as Pegosperse® 200-ML manufactured by), Atmer® 645 manufactured by ICI, glucose amide produced by BASF, Pluronic® P103 Tri-block copolymers and copolymers of ethylene glycol with silicone, such as DC190 manufactured by Dow Corning, Midland, Mich.

상술된 바의 많은 부분이 탁월한 친수성 웹으로 시작하고 낮은 표면 에너지 영역을 생성하고 상부를 소수성으로 만들기 위해 물질의 층을 코팅하고 처리하고 겹치게 하는 현재의 양호한 접근에 초점이 맞추어졌지만, 표면 에너지 구배를 발생시키는 다른 접근이 또한 고려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최초의 소수성 웹의 하부에 친수성 물질(예, 친수성 라텍스)을 부가하여 소수성 웹 표면과의 계면에 경계를 갖는 친수성 영역을 발생시켜, 각각의 물질 사이의 경계에 의해 형성된 표면 에너지 구배를 갖는 다양한 표면 에너지 특성의 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의 웹을 형성하고, 탁월한 소수성 또는 탁월한 친수성 물질의 웹을 형성하고 그 선택된 영역의 표면 화학적 성질을 기계적, 전자기적 또는 화학적 충격,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처리기술에 의해 변경하여 선택적 표면 에너지 구배를 생성하고 표면 에너지 변경이 가능한 화학적 웹 성분의 양호한 이주를 발생시키고, 사용시 소수성 영역을 일시적 친수성이 되게 하여 표면 에너지 구배를 나타내도록 처리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While much of the foregoing has focused on the current good approach to start with an excellent hydrophilic web and create a low surface energy area and make the top hydrophobic, the current good approach to coating, processing and overlapping layers of material is achiev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ther approaches to generation may also be contemplated an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approach adds a hydrophilic material (eg, hydrophilic latex) to the bottom of the original hydrophobic web to create a hydrophilic region that has a boundary at the interface with the hydrophobic web surface, thereby reducing the surface energy gradient formed by the boundary between the respective materials. To form a web of two or more materials of varying surface energy properties, to form a web of excellent hydrophobic or excellent hydrophilic material and to know the surface chemistry of the selected region in mechanical, electromagnetic or chemical impact, or in the art Altered by advanced treatment techniques to generate selective surface energy gradients, to produce good migration of chemical web components that can change surface energy, and to make the hydrophobic regions temporarily hydrophilic in use to treat surface energy gradients. Can be.

부직 웹(22)은 그 일 표면에 표면 처리제(28)가 가해지는 스프레이어(26) 밑을 통과한 후,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폴리머 웹(200)에 결합된다. 공급롤(202)이 그와 관련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폴리머 웹(200)은 공급롤(202)로부터 풀려져서 그와 관련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nonwoven web 22 passes underneath the sprayer 26 where surface treatment 28 is applied to one surface thereof, and then is bonded to the macroscopically expanded open three-dimensional polymer web 200. As the feed roll 202 rotates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associated therewith, the macroscopically expanded apertured three-dimensional polymer web 200 is released from the feed roll 202 and direct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ssociated arrow. Go to.

부직 웹(22) 및 개구형 폴리머 웹(200)은 본딩 스테이션(230)으로 이송된다. 본딩 스테이션(230)은 한 쌍의 반대 압력 애플리케이터(applicator)(232, 234)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터(232)는 그 표면(238)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일련의 돌기 또는 돌출부(23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플리케이터(234)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 매끄러운 앤빌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압력 본딩 시스템의 일 예가 1990년 4월 24일 볼 등(Ball, et al.)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19,738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Nonwoven web 22 and apertured polymeric web 200 are transferred to bonding station 230. Bonding station 230 includes a pair of counter pressure applicators 232, 234. Applicator 232 preferably has a series of protrusions or protrusions 236 extending outward from its surface 238. Applicator 234 preferably includes a smooth anvil roll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One example of a suitable pressure bonding system is disclosed in US Pat. No. 4,919,738, issued to Ball, et al. On April 24, 1990,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부직 웹(22) 및 개구형 폴리머 웹(200)은 균일한 연속 접착층, 패턴화된 접착층 또는 별개의 접착제 라인, 나선 또는 점의 어레이와 같은 다른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부직 웹(22)은 열 본드, 압력 본드, 초음파 본드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이들 수단의 조합에 의해 개구형 폴리머 웹(200)에 결합될 수도 있다.Nonwoven web 22 and apertured polymeric web 200 may be bonded to each other using other suitable means such as a uniform continuous adhesive layer, a patterned adhesive layer or a separate adhesive line, spiral or array of dots. Alternatively, nonwoven web 22 may be coupled to open polymeric web 200 by thermal bond, pressure bond, ultrasonic bond, or other suitable means, or a combination of these means known in the art.

부직 웹을 개구형 폴리머 웹에 결합시키기 위한 적합한 본딩 메카니즘의 다른 예가 1996년 5월 21일자로 챠펠 등(Chappell, et al.)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18,801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Another example of a suitable bonding mechanism for bonding nonwoven webs to apertured polymeric webs is disclosed in US Pat. No. 5,518,801 to Chappell, et al., Dated May 21, 1996, herein incorporated by reference. Is cited.

도 7은 일반적으로 1982년 8월 3일자로 라델(Radel)에 허여되어 본 출원인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343,314 호의 기술에 따르는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액체 투과성 폴리머 웹(200)의 특정 양호한 실시예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FIG. 7 is a particular preferred of a macroscopically expanded apertured three-dimensional liquid permeable polymer web 200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que of US Pat. No. 4,343,314, generally assigned to Radel on August 3, 1982.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The disclosure of this patent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다른 적합한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폴리머 웹은 1975년 12월 30일자로 톰프슨(Thompson)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29,135 호, 1982년 4월 13일자로 뮬란(Mullane)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24,246 호, 1984년 7월 31일자로 아르(Ahr)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63,045 호, 및 1991년 4월 9일자로 배어드(Baird)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06,394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Other suitable macroscopically expanded apertured three-dimensional polymer webs are disclosed in U.S. Patent No. 3,929,135 to Thomson, Dec. 30, 1975, and U.S. Patent No., Mulan et al., April 13, 1982. 4,324,246, US Pat. No. 4,463,045 to Ahr et al., July 31, 1984, and US Pat. No. 5,006,394 to Bard, April 9, 1991, the disclosure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contents of the pat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용어 '거시적으로 확장된'은 본 발명의 3차원 플라스틱 웹을 기술하는데 사용될 때, 3차원 형성 구조체의 표면에 부합하도록 된 웹, 리본 및 필름을 지칭하므로, 그 양 표면은 형성 구조체의 거시적 단면에 대응하는 표면 일탈(surface aberration)의 3차원 형성 패턴을 나타내고, 패턴을 포함하는 표면 일탈은 개별적으로 육안, 즉 관측자의 눈과 웹의 평면 사이의 수직 거리가 약 12 인치인 경우, 물체의 외관 크기 또는 거리를 변경하거나 또는 눈의 시력을 변경하는 도구의 도움없이 20/20 비젼을 갖는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의 섬유형 외관은 섬유형 요소의 연속체로 구성되고 섬유형 요소 각각의 대향 단부는 섬유형 요소의 적어도 한 다른 단부에 상호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웹의 외관을 설명하는데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섬유형'은 일반적으로육안으로 보았을 때 직조 또는 부직 섬유상 웹의 전체 외관 및 인상을 내포하는 임의의 또는 비임의의, 망상의 또는 비망상의 개구의 미세한 척도의 패턴을 지칭한다.The term macroscopically expanded, when used to describe the three-dimensional plastic web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webs, ribbons and films adapted to conform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forming structure, so that both surfaces are in the macroscopic section of the forming structure. The three-dimensional formation pattern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aberration, the surface deviation comprising the pattern being individually visual, i.e., the apparent size of the object whe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observer's eye and the plane of the web is about 12 inches Or visually identifiable with a 20/20 vision without the aid of a tool to change distance or change eyesight of the eye. As shown in FIG. 7, the fibrous appearance of the web consists of a continuum of fibrous elements and opposite ends of each fibrous element are mutually coupled to at least one other end of the fibrous element. As used herein to describe the appearance of the plastic we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fibrous' generally refers to any or non-random, reticular, which encompasses the overall appearance and impression of a woven or nonwoven fibrous web when viewed visually. Refers to a pattern of fine measures of the or non-reticular openings.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호 결합된 섬유형 요소는 5각형 모세관(241)의 패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섬유형 외관을 나타내는 웹(200)은 평면(243)내의 웹의 최상단 착용자 접촉 또는 신체 표면(242)으로부터 평면(245)내의 최하단 의복 대향 표면(244)으로 연장하는 3차원 미세구조체(microstructure)를 구현하여, 인접한 모세관(241) 사이의 액체의 측방향 이동없이 웹의 최상단 표면(242)로부터 최하단 표면(244)으로 신속한 액체의 이동을 촉진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미세구조체'는 당해 기술분야에 주지된 현미경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확대될 때에만 육안으로 그 정밀한 세부를 쉽게 인식하는 미세한 척도의 구조체를 지칭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interconnected fibrous elements form a pattern network of pentagonal capillary 241. The web 200 exhibiting a fibrous appearance is a three-dimensional microstructure that extends from the top wearer contact or body surface 242 of the web in plane 243 to the bottom garment facing surface 244 in plane 245. In other words, it facilitates rapid liquid movement from the top surface 242 to the bottom surface 244 of the web without lateral movement of the liquid between adjacent capillaries 241. As used herein, the term 'microstructure' refers to a fine measure of structure that easily recognizes its precise details with the naked eye only when magnified by microscopes or other means well known in the art.

신체 표면(242)의 개구(247)는 웹의 신체 대향 표면에서 서로 결합된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섬유형 요소, 예를 들면 요소(248, 249, 250, 251, 252)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섬유형 요소는 기부 예를 들면, 평면(243)에 위치된 기부(254)를 포함한다. 각각의 기부는 측벽부 예를 들면, 그 각 에지에 결합된 측벽부(256)을 구비한다. 측벽부(256)은 일반적으로 웹의 제 2 표면(244)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섬유형 요소의 서로 교차하는 측벽부는 웹의 제 1 및 제 2 표면을 중개하도록 서로 상호 결합되어 제 2 표면의 평면(245)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종지(終止)된다.Openings 247 of body surface 242 are formed by a number of intersecting fibrous elements, such as elements 248, 249, 250, 251, and 252, which are joined together at body facing surfaces of the web. Each fibrous element includes a base 254 located in a base, for example, plane 243. Each base has sidewall portions, for example sidewall portions 256 coupled to their respective edges. The sidewall portion 256 generally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244 of the web. Intersecting sidewall portions of the fibrous element are mutually coupled to one another to mediate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web and terminate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with each other in the plane 245 of the second surface.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호 결합된 측벽부(256)는 제 2 표면(245)의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동시에 종지되어 웹의 제 2 표면(245)내에 개구(258)를 형성한다. 개구(247, 258) 사이의 상호 결합된 측벽부(256)에 의해 형성된 모세관(241)의 네트워크는 인접한 모세관 사이의 액체 측방향 전달없이 웹의 신체 대향 표면으로부터 직접 웹의 의복 대향 표면으로의 액체 자유 이송을 제공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interconnected sidewall portions 256 terminate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with one another in the plane of the second surface 245 to form an opening 258 in the second surface 245 of the web. . The network of capillary tubes 241 formed by mutually coupled sidewall portions 256 between the openings 247 and 258 allows liquid from the body facing surface of the web directly to the garment facing surface of the web without liquid lateral transfer between adjacent capillaries. Provide free transfer.

웹을 위한 양호한 풀리머 물질로는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성분을 갖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그 공중합체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조합과 같은 다른 물질이 또한 적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형 폴리머 웹(200)은 액체가 하부의 흡수 코어내로 흘러들어 흡수되기 보다는 개구형 웹(200)을 벗어나 흐를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것에 걸친 웹의 이송을 돕도록 친수성이다. 양호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애지즈(Aziz) 등에 의해 1991년 11월 19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Absorbent Article Having A Nonwoven and Apertured Film Coversheet'인 미국 특허 출원 제 07/794,745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표면 활성제가 개구형 웹(200)의 폴리머 물질내로 합체되는데, 상기 특허 출원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대안적으로, 개구형 웹(200)은 1990년 8월 21일자로 오스본(Osborn)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50,25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표면 활성제로 처리함으로서 친수성으로 될 수 있다.Preferred puller materials for the web include polyolefins, in particular copolymers having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at least one olefin component. Other materials may also be suitable, such as polyesters, nylons, copolymers thereof, and combinations of any of the foregoing. Preferably, the apertured polymer web 200 is hydrophilic to aid in the transport of the web therethrough to reduce the likelihood that liquid will flow out of the apertured web 200 rather than flow into and be absorbed into the underlying absorbent core.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invention filed Nov. 19, 1991, by Aziz et al., As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No. 07 / 794,745, entitled 'Absorbent Article Having A Nonwoven and Apertured Film Coversheet'. As such, the surface active agent is incorporated into the polymeric material of the apertured web 200,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lternatively, the apertured web 200 can be made hydrophilic by treating with a surface active agent as disclosed in US Pat. No. 4,950,254 to Osborn, dated August 21, 1990.

래미네이트 웹(250)은 권취 롤(252)상에 감겨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래미네이트 웹(250)은 생산 라인으로 직접 이송되어 여기서 일회용 흡수 제품의 상면 시트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Laminate web 250 is preferably wound and stored on winding roll 252. Alternatively, the laminate web 250 may be transferred directly to a production line where it is used to form a top sheet of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3차원 개구형 웹(200)에 고정된 부직 웹(22)을 포함하는 래미네이트 웹(25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 웹(22)의 제 2 표면(62)은 웹(200)의 신체 대향 표면(242)에 고정되어 있다.부직 웹(22)의 제 1 또는 착용자 접촉 표면(61)은 소정 액체에 대해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와 비교적 낮은 점착 일을 갖는다. 부직 웹(22)의 제 2 표면은 액체에 대해 제 1 표면의 것보다 높은 표면 에너지와 점착 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형 웹(200)은 액체에 대해 부직 웹(22)의 제 2 표면(62)의 것보다 높은 표면 에너지와 점착 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 피부에 인접하게 또한 그에 접촉하도록 위치될 래미네이트의 부분[즉, 제 1 표면(61)]에 인접한 낮은 표면 에너지와 착용자 피부와의 접촉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치된 비교적 높은 표면 에너지 부분[즉, 개구형 웹(200)]을 생성하는 구조체의 의해 형성된 표면 에너지 구배를 래미네이트 웹(250)에 부여함으로써, 래미네이트(250)는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는 웹의 부분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는 래미네이트의 부분으로 액체의 방울을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생성된 표면 에너지 구배는 본 발명의 래미네이트 웹(250)의 액체 처리 특성을 향상시켜 래미네이트를 흡수 제품의 상면 시트로 사용되기에 매우 적합하게 한다고 여겨진다.Referring now to FIG. 8, there is shown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minate web 250 that includes a nonwoven web 22 secured to a three-dimensional apertured web 200.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surface 62 of the nonwoven web 22 is secured to the body facing surface 242 of the web 200. The first or wearer contact surface of the nonwoven web 22 ( 61 has a relatively low surface energy and a relatively low adhesion work for a given liquid. It is preferred that the second surface of the nonwoven web 22 has a higher surface energy and adhesion work than that of the firs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liquid. The apertured web 200 preferably has a higher surface energy and adhesion work than that of the second surface 62 of the nonwoven web 22 with respect to the liquid. The low surface energy adjacent the portion of the laminate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and in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ie, the first surface 61) and the relatively high surface energy portion positioned to be away from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ie, the dog By imparting to the laminate web 250 a surface energy gradient formed by the structure that produces the spherical web 200, the laminate 250 exhibits a relatively high surface energy from the portion of the web that exhibits relatively low surface energy. It may be possible to transfer droplets of liquid to portions of the nate. The resulting surface energy gradient is believed to enhance the liquid handling properties of the laminate web 250 of the present invention, making the laminate very suitable for use as the top sheet of absorbent articles.

향상된 액체 처리 특성에 부가하여,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 부분이 착용자 피부와 접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래미네이트 웹을 설계함으로써 피부와 래미네이트 웹 사이의 점착은 구조체에 착용자 피부와 웹 사이의 감소된 점착을 부여함으로써 착용자 피부내의 래미네이트 웹의 제 1 표면 사이에 위치된 폐색적 체액에 의해 발생된 모세관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줄어들며 상면 시트에의 점착과 관련된 점착성의 감각 또는 느낌이 또한 감소된다.In addition to improved liquid handling properties, the adhesion between the skin and the laminate web by designing the laminate web so that relatively low surface energy portions can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results in a reduced adhesion between the wearer's skin and the web to the structure. Imparting is reduced by reducing capillary forces generated by occluded body fluid located between the first surface of the laminate web in the wearer's skin and also reducing the sensation of feeling or feeling associated with adhesion to the top sheet.

상술된 바에 따라 상면 시트에 표면 에너지 구배를 부여함으로써 재습윤의 가능성이 또한 감소된다. 집합된 액체를 재습윤 또는 흡수 제품 외로 짜내어지도록(예를 들면, 흡수 코어로부터 래미네이트 상면 시트의 제 1 표면을 향해 압축하는 것에 의해 짜내어지도록) 가압하는 힘을 이용함에 따라,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이동은 래미네이트 상면 시트내의 개구를 통해 흡수 제품의 외측으로 액체가 빠져나오려고 할 때 액체를 쫓아버리는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래미네이트 상면 시트의 제 1 표면에 의해 저지될 것이다.The possibility of rewetting is also reduced by imparting a surface energy gradient to the top sheet as described above. This is undesirable as it utilizes a pressurizing force to squeeze the aggregated liquid out of the rewet or absorbent product (eg, by squeezing from the absorbent core toward the first surface of the laminate top sheet). Untraveled movement will be prevented by the first surface of the laminate top sheet having a relatively low surface energy that will dislodge the liquid as it tries to escape the absorbent article through the opening in the laminate top sheet.

또한, 액체는 상면 시트의 표면 에너지 구배의 구동력에 기인하여 보다 신속히 상면 시트내로 유입될 수 있다. 액체는 제 1 표면(61)으로부터 흡수 코어를 향해 래미네이트(250)의 개구형 3차원 웹(200)의 비교적 높은 표면 에너지까지의 표면 에너지 구배를 통해 래미네이트 상면 시트의 최하측 또는 의복 대향 표면(244)을 향해 'Z-방향'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the liquid can be introduced into the top sheet more quickly due to the driving force of the surface energy gradient of the top sheet. The liquid passes through the surface energy gradient from the first surface 61 to the relatively high surface energy of the open three-dimensional web 200 of the laminate 250 toward the absorbent core, or the bottom or garment facing surface of the laminate top sheet. Is moved in the 'Z-direction' toward 244.

대표적인 흡수 제품Representative Absorption Product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흡수 제품'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신체 삼출물을 흡수하고 수용하는 데 사용되는 디바이스를 일컫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서 위치되거나 혹은 신체에 근접하도록 위치되어서 신체로부터 방출되는 여러 삼출물을 흡수하고 수용하는 디바이스를 일컫는 것이다. '흡수 제품'이란 용어에는 붕대 및 상처 붕대 뿐만 아니라 기저귀, 월경 패드, 탐폰, 생리대, 실금 패드 등도 포함시키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회용'이란 용어는 세탁을 하거나 혹은 흡수 제품으로서 복구 또는 재사용을 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닌 흡수 제품(즉, 제한된 사용후 버려지거나, 바람직하게는 재생되고, 혼합되거나 혹은 다른 경우에는 환경에 적합한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의도된 흡수 제품)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단일' 흡수 제품이란, 조정된 개체를 형성하도록 함께 결합된 단일 구조체 또는 개별적인 파트로서 형성되어서 개별적인 홀더 및 패드와 같은 개별적인 수작업 파트(manipulative parts)를 필요로 하지 않는 흡수 제품을 일컫는다.As used herein, the term 'absorbent product' generally refers to a device used to absorb and receive body exudates, and more specifically, is positioned relative to or in proximity to the wearer's body to be released from the body. It refers to a device that absorbs and receives various exudates. The term 'absorbent product' is intended to include diapers, menstrual pads, tampons, sanitary napkins, incontinence pads, as well as bandages and wound bandages. As used herein, the term 'disposable' refers to an absorbent product that is not intended to be washed or recovered or reused as an absorbent product (i.e., discarded, preferably recycled, mixed, or otherwise environmentally limited after use). Absorbent product intended to be treated in a suitable manner). A 'single' absorbent product refers to an absorbent product that is formed as a single structure or as individual parts joined together to form a coordinated entity, which does not require separate manual parts such as individual holders and pads.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단일 일회용 흡수 제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9에 도시한 월경 패드, 생리대(320)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생리대'라는 용어는, 여성에 의해 착용되며, 일반적으로 비뇨 생식기 영역의 외부에 있는 외음부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월경액 및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방출되는 그 밖의 다른 질 방출물(vaginal discharges)(예를 들면, 혈액, 월경 분비물, 및 소변)을 흡수하고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흡수 제품을 일컫는다. 부분적으로 착용자의 궁둥이의 내부에 또한 부분적으로 그 외부에 존재하는 입술 모양의 디바이스(interlabial devices)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회용 타월, 화장지 등과 같은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이송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설계된 웹 뿐만 아니라, 다른 여성 위생 또는 월경 패드, 또는 기저귀와 같은 그 밖의 다른 흡수 제품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for a singl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enstrual pad, sanitary napkin 320 shown in FIG. As used herein, the term 'physiological zone' is used by women and is generally located adjacent to the vulva that is outside of the genitourinary region, and is characterized by menstrual fluid and other vaginal releases released from the wearer's body ( refers to absorbent products intended to absorb and receive vaginal discharges (eg, blood, menstrual discharge, and urin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rlabial devices that are present in part and in part of the wearer's thighs. However,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feminine hygiene or menstrual pads, or other absorbent articles such as diapers, as well as webs designed to facilitate removal of liquids from surfaces such as disposable towels, toilet paper,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이송 웹이 합체되거나, 혹은 결합되어 사용되는 흡수제품의 전반적인 크기, 형상, 및/또는 구성은 임계치를 가지지 않거나 혹은 본 발명의 원리와 기능적인 관련성을 가지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파라미터는, 본 발명에 따라 적절한 웹 구성 및 표면 에너지 구배의 적절한 방향을 결정할 때, 의도된 액체 및 의도된 기능과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overall size, shape, and / or configura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liquid transfer web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incorporated or used in combination does not have a threshold or has a functional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However, such parameters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intended liquid and the intended function when determining the proper direction of the web configuration and the surface energy gradi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생리대(3120)는, 착용자-접촉 또는 대향 표면, 신체-접촉 또는 대향 표면 또는 '신체 표면'으로 종종 일컬어지는 제 1 표면(320a)과, 의복-대향 또는 접촉 표면, 또는 '의복 표면'으로 종종 일컬어지는 제 2 표면(320b)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 1 표면(320a)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생리대(320)를 도 9에 도시한다. 제 1 표면(320a)은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착용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생리대(320)의 제 2 표면(320b)(도 10에 도시함)은 반대측에 있으며, 생리대(302)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속옷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의도된다.Sanitary napkin 3120 is often referred to as a wearer-contacting or opposing surface, a body-contacting or opposing surface, or a first surface 320a, often referred to as a 'body surface', and a garment-facing or contacting surface, or 'clothing surface'. It is illustrated as having a second surface 320b referred to. The sanitary napkin 320 when viewed from the first surface 320a is shown in FIG. 9. The first surface 320a is intended to be worn adjacent to the wearer's body. The second surface 320b (shown in FIG. 10) of the sanitary napkin 320 is on the opposite side and is intended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wearer's underwear when the sanitary napkin 302 is worn.

생리대(320)는 두 개의 중앙선, 즉 종방향의 중앙선 'L' 및 횡방향의 중앙선 'T'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종방향'이라는 용어는, 생리대(320)를 착용할 때 서있는 착용자를 왼쪽 및 오른쪽의 반반으로 이등분하는 수직 평면과 일반적으로 정렬되는(예를 들면 수직 평면과 거의 평행하게 되는) 생리대(320)의 평면 내의 라인, 축 또는 방향을 일컫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횡방향' 또는 '측방향'이란 용어는 서로 바꾸어 쓸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에 대해 수직인, 생리대(320)의 평면 내의 라인, 축 또는 방향을 일컫는다. 도 9에서, 생리대(320)는 생리대(320)의 외부 에지에 의해 규정되는 주변부(330)를 가지도록 도시되는데, 여기서 종방향 에지(또는 '사이드 에지')는 참조부호(331)로 나타내며, 단부 에지(또는 '단부')는 참조부호(332)로 나타낸다.The sanitary napkin 320 has two center lines, namely, a longitudinal center line 'L' and a transverse center line 'T'. As used herein, the term 'longitudinal' is generally aligned (e.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vertical plane) that bisects the wearer when wearing the sanitary napkin 320 in half to the left and right half. It refers to a line, axis, or direction in the plane of the sanitary napkin 320. The terms "lateral" or "lateral" as used herein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hich refers to a line, axis or direction in the plane of sanitary napkin 320, which is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IG. 9, sanitary napkin 320 is shown to have a perimeter 330 defined by the outer edge of sanitary napkin 320, wherein the longitudinal edge (or 'side edge') is indicated by reference 331, and End edges (or 'ends') are indicated with reference 332.

도 9는, 생리대(320)의 구조를 더욱 명확하게 보여주도록 생리대 일부가 절단되어 있으며, 착용자(320a)를 향하거나 착용자(320a)에 접촉되는 생리대(320)의 부분이 뷰어(viewer)를 향해 배향된,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태의 본 발명의 생리대(32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320)는, 액체 투과성 상면 시트(322), 상면 시트(322)와 결합되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323), 상면 시트(322)와 배면 시트(323) 사이에 위치되는 흡수 코어(324), 및 상면 시트(322)와 흡수 코어(324) 사이에 위치되는 2차 상면 시트 또는 포집층(32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9 is a portion of the sanitary napkin cut to show the structure of the sanitary napkin 320 more clearly, and the portion of the sanitary napkin 320 facing the wearer 320a or in contact with the wearer 320a is directed toward the viewer. Top view showing sanitary napkin 3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riented, substantially flat state. As shown in FIG. 9, the sanitary napkin 320 includes a liquid permeable top sheet 322, a liquid impermeable back sheet 323 coupled to the top sheet 322, a top sheet 322, and a back sheet 323. It is preferred to include an absorbent core 324 located between and a secondary top sheet or collection layer 325 positioned between the top sheet 322 and the absorbent core 324.

생리대(320)는 착용자 팬티의 가랑이 부분 주위에 접혀지는 선택사양의 사이드 플랩(side flaps) 또는 '날개'(3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플랩(334)은, 사용자의 팬티가 더럽혀지지 않도록 하고 생리대를 착용자의 팬티에 부착되도록 하면서 생리대가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돕는 것을 포함하는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들 기능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anitary napkin 320 preferably includes optional side flaps or 'wings' 334 that are folded around the crotch portion of the wearer's panties. The side flap 334 may perform several function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keeping the sanitary napkin in place while preventing the user's panties from being soiled and attaching the sanitary napkin to the wearer's panties. .

도 10은 도 9의 선(10-10)을 따라 절단한 생리대(320)의 단면도이다.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리대(320)는, 생리대(320)를 착용자의 속옷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성 고정 수단(33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가능한 해제 라이너(37)는 접착성 고정 수단(336)을 덮고 있어서, 사용하기 전에 속옷의 가랑이 부분 이외의 표면에 접착제가 달라 붙지 않도록 한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nitary napkin 320 cut along the line 10-10 of FIG. 9. As can be seen from FIG. 10, the sanitary napkin 320 preferably includes adhesive fixing means 336 for attaching the sanitary napkin 320 to the wearer's underwear. The removable release liner 37 covers the adhesive fastening means 336 to prevent the adhesive from sticking to surfaces other than the crotch portion of the underwear before use.

상면 시트(322)는, 액체 포집층(325)의 제 1 표면(325a)에 인접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이에 부착되도록 위치되는 제 1 표면(322a) 및 제 2 표면(322b)을 구비하여서, 상면 시트로부터 포집층으로의 액체 이송을 촉진시킨다. 포집층(325)의 제 2 표면(325b)은 흡수 코어 또는 액체 저장층(324)의 제 1 표면(324a)에 인접하게, 바람직하게는 이에 부착되도록 위치되어서 포집층으로부터 흡수 코어로의 액체 이송을 촉진시킨다. 흡수 코어(324)의 제 2 표면(324b)은 배면 시트(323)의 제 1 표면(323a)에 인접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이에 부착되도록 위치된다.The top sheet 322 has a first surface 322a and a second surface 322b positioned adjacent to, preferably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325a of the liquid collection layer 325, thereby providing a top surface. Promote liquid transfer from the sheet to the collection layer. The second surface 325b of the collecting layer 325 is positioned adjacent to, preferably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324a of the absorbent core or liquid storage layer 324 to transfer liquid from the collecting layer to the absorbent core. To promote. The second surface 324b of the absorbent core 324 is positioned to be adjacent to, and preferably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323a of the back sheet 323.

생리대(320)는 종방향 및 횡방향을 갖는 것 이외에도, 또한 'Z' 방향 또는 축을 가지는데, 이 'Z' 방향 또는 축은 상면 시트(322)를 통해 아래쪽으로 진행하고 제공될 수 있는 어떠한 액체 저장층 또는 코어(324) 내부로도 진행하는 방향이다. 이 'Z' 방향 또는 축의 목적은, 상면 시트(322)와 하부층 또는 여기에서 흡수 제품의 층 사이에 연속적인 경로를 제공하여서, 액체가 'Z' 방향으로 유입되고 흡수 제품의 상면 시트로부터 제거되어 최종적인 저장층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o having a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 sanitary napkin 320 also has a 'Z' direction or axis, which 'Z' direction or axis runs downward through top sheet 322 and stores any liquid that may be provided. The direction also proceeds inside the layer or core 324. The purpose of this 'Z' direction or axis is to provide a continuous path between the top sheet 322 and the bottom layer or layer of absorbent article therein so that liquid enters the 'Z' direction and is removed from the top sheet of the absorbent article. To the final storage layer.

흡수 코어(324)는 액체(예를 들면, 월경액 및/또는 소변)를 흡수하거나 보유할 수 있는 임의의 흡수 수단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코어(324)는 몸체 표면(324a), 의복 대향 표면(324b) 사이드 에지, 및 단부 에지를 갖는다. 흡수 코어(324)는 여러 광범위한 크기 및 형상(예를 들면, 직사각형, 타원형, 모래시계형, 개뼈 모양, 비대칭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생리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액체 흡수 재료와, 일반적으로 에어펠트(airfelt)로 칭해지는 분쇄된 우드 펄프(wood pulp)와 같은 그 밖의 다른 흡수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적절한 흡수 재료의 예로서, 크레이프로 덮힌 셀룰로스 와딩(creped cellulose wadding)과, 코폼(coform)을 포함하는 멜트블로운 폴리머(meltblown polymers)와, 화학적으로 강화되고, 변경되거나 혹은 가교 결합된 셀룰로스 섬유와, 주름잡힌 폴리에스테르 섬유(crimped polyester fiber)와 같은 합성 섬유와, 초탄(peat moss)과, 티슈 랩 및 티슈 래미네이트를 포함하는 티슈와, 흡수 폼(absorbent foams)과, 흡수 스폰지와, 초흡수 폴리머와, 흡수 겔링 재료, 또는 임의의 동등 재료 혹은 재료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Absorbent core 324 may be any absorbent means capable of absorbing or retaining liquid (eg, menstrual fluid and / or urine).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absorbent core 324 has a body surface 324a, a garment facing surface 324b side edge, and an end edge. Absorbent core 324 can be manufactured in a wide variety of sizes and shapes (e.g., rectangular, oval, hourglass, dog bone, asymmetric, etc.), and various liquid absorbing materials commonly used in sanitary napkins, And other absorbent products, such as crushed wood pulp, referred to as airfelt. Examples of other suitable absorbent materials include creped cellulose wadding and meltblown polymers, including coforms, chemically strengthened, modified or crosslinked. Synthetic fibers such as cellulose fibers, crimped polyester fibers, peat moss, tissues including tissue wraps and tissue laminates, absorbent foams, absorbent sponges, And superabsorbent polymers, absorbent gelling materials, or any equivalent materials or compounds of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흡수 코어의 구성 및 구조는 또한 변화될 수 있다(예를 들면, 흡수 코어는 변화하는 캘리퍼 영역(예를 들면 중앙에서 더 두꺼워지도록 프로파일됨), 친수성 구배, 초흡수 구배 또는 저 밀도 혹은 저 평균 기본 무게 포획 영역을 가질 수도 있으며, 혹은 하나 이상의 층 또는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흡수 코어의 전체 흡수 용량은 설계 로딩(design loading) 및 흡수 제품의 의도된 사용에 적합해야 한다. 또한, 흡수 코어의 크기 및 흡수 용량은, 실금 패드, 팬티라이너, 정규 생리대, 또는 오버나이트 생리대와 같은 서로 다른 용도에 적용되도록 변화될 수 있다.The structure and structure of the absorbent core can also be varied (e.g., the absorbent core is profiled to vary in caliper regions (e.g. thicker in the center), hydrophilic gradient, superabsorbent gradient or low density or low average basis). It may have a weight capture area, or may include one or more layers or structures). However, the total absorbent capacity of the absorbent core must be suitable for design loading and intended use of the absorbent product. In addition, the size and absorbent capacity of the absorbent core can be varied to accommodate different applications such as incontinence pads, pantyliners, regular sanitary napkins, or overnight sanitary napkins.

본 발명의 흡수 코어로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흡수 구조체는, 1990년 8월 21에 오스본(Osborn)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50,264 호와, 1986년 9월 9일에 웨이스먼(Weisman) 등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10,678 호와, 1989년 5월 30일에 알머니(Alemany) 등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34,735 호와, 듀엥(Duenk) 등의 이름으로 1986년 10월 22일에 공개된 프록터&갬블 컴퍼니의 유럽 특허 출원 제 0 198 68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 각각의 개시물은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Exemplary absorbent structures for use as the absorbent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US Pat. No. 4,950,264, issued to Osborn on August 21, 1990, and Weisman et al. On September 9, 1986. US Patent No. 4,610,678, issued US Patent No. 4,834,735, issued May 30, 1989 to Alemany et al., And published on October 22, 1986 under the name Duenk et al.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 0 198 683 to Procter & Gamble Company. The disclosures of each of these pat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흡수 코어(324)는 상면 시트(322)의 표면 에너지 구배와 유사한 표면 에너지 구배를 갖는다. 흡수 코어의 신체 대향 표면(324a) 및 신체 대향 표면(324a)에 바로 인접하는 흡수 코어(324)의 일부는, 비교적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의복 대향 표면(324b)에 비해 비교적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코어(324) 내에 표면 에너지 구배가 존재하며, 흡수 코어의 착용자-접촉 또는 신체 대향 표면(324a)의 표면 에너지는 포집층(325)의 의복 대향 표면(325b)의 표면 에너지보다 큰 것이 바람직함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 관계는, 액체가 포집층으로부터 흡수 코어로 풀링되거나 혹은 당겨지도록 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것이다. 만약 흡수 코어의 신체 대향 표면(324a)의 표면 에너지가 포집층의 의복 대향 표면(325b)의 표면 에너지보다 작을 경우, 포집층(325) 내의 액체는 흡수 코어에 의해 반발되어 흡수 코어가 쓸모없게 되어 버린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bsorbent core 324 has a surface energy gradient similar to the surface energy gradient of the top sheet 322. The body facing surface 324a of the absorbent core and the portion of the absorbent core 324 immediately adjacent to the body facing surface 324a have a relatively low surface energy compared to the garment facing surface 324b having a relatively high surface energy. desirable. There is a surface energy gradient in the absorbent core 324, and preferably the surface energy of the wearer-contacting or body facing surface 324a of the absorbent core is greater than the surface energy of the garment facing surface 325b of the collecting layer 325. It is important to know. This relationship is desirable for the liquid to be pulled or pulled from the collecting layer into the absorbent core. If the surface energy of the body facing surface 324a of the absorbent core is less than the surface energy of the garment facing surface 325b of the collecting layer, the liquid in the collecting layer 325 is repelled by the absorbent core and the absorbent core becomes useless. Throw it away.

배면 시트(323) 및 상면 시트(322)는, 흡수 코어(324)의 의복 대향 표면 및 신체 대향 표면 각각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들에 결합되거나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것과 같은 부착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배면 시트(323) 및/또는 상면 시트(322)는, 흡수 코어에 부착되거나, 혹은 균일하고 연속적인 접착층, 패턴화된 접착층 또는 임의의 개별적인 라인, 나선형 또는 점 모양의 접착제 어레이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만족할 만한 것으로 알려진 접착제는,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St. Paul) 소재의 에이치 비 풀러 컴퍼니(H. B. Fuller Company)에 의한 제품명 HL-1258과, 미국 미네소타주 미네아폴리스(Minneapolis) 소재의 파인드레이(Findlay)에 의한 제품명 H-2031로 제조될 수 있다. 부착 수단은, 1986년 3월 4일에 미네톨라(Minetola) 등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73,986 호에 개시된 접착제 필라멘트의 개방 패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위의 개시물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예시적인 필라멘트의 개방 패턴 네트워크의 부착 수단은, 1975년 10월 7일에 스프라그 2세(Sprague, Jr.)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3,911,173 호와, 1978년 11월 22일에 지커(Zieker) 등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85,996 호와, 1989년 6월 27일에 워레니쯔(Werenicz)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42,666 호에 개시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예시된 것과 같은 나선형 패턴으로 감겨진 몇몇 라인의 접착제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이들 각 특허의 개시물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이와 달리, 부착 수단은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열 본드, 압력 본드, 초음파 본드, 동 역학적 본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부착 수단 또는 이들 부착 수단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ck sheet 323 and the top sheet 322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f the garment facing surface and the body facing surface of the absorbent core 324 and are preferably attachment means such as coupled to or well known in the art. (Not shown) to be bonded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back sheet 323 and / or top sheet 322 may be attached to the absorbent core or attached to a uniform and continuous adhesive layer, patterned adhesive layer or any individual line, spiral or dot shaped array of adhesive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dhesives that are known to be satisfactory include the product name HL-1258 by HB Fuller Company, St. Paul, Minnesota, USA and Findlay, Minneapolis, Minnesota, USA. Can be prepared under the trade name H-2031. The attachment means would preferably comprise an open pattern network of adhesive filaments disclosed in US Pat. No. 4,573,986, issued to Minetola et al. On March 4, 1986, the disclosure of which is herein incorporated by reference. It is cited by reference. Means for attaching an open filament network of exemplary filaments include U.S. Patent No. 3,911,173, issued to Sprague, Jr. on October 7, 1975, and Zieker, on November 22, 1978. Wound in a spiral pattern such as illustrated by the apparatus and method disclosed in U.S. Patent No. 4,785,996 to U.S. Patent No. 4,842, and U.S. Patent No. 4,842,666 to Werenicz on June 27, 1989. Several lines of adhesive filament. The disclosures of each of these pat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lternatively, the attachment means may comprise thermal bonds, pressure bonds, ultrasonic bonds, kinetic bonds or any other suitable attachment means or combinations of these attachment means as known in the art.

배면 시트(323)는 액체(예를 들면, 월경액 및/또는 소변)에 대해 불투과성을 가지며, 얇은 플라스틱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밖의 다른 가요성 액체 불투과성 재료도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가요성 재료'란 용어는, 탄력적이며 인체의 일반적인 형상 및 윤곽에 보다 용이하게 적용되는 재료를 일컫는 것이다. 배면 시트(323)는, 흡수 코어에 흡수되어 유지되는 삼출물이 생리대(320)와 접촉하는 팬츠, 파자마 및 속옷과 같은 제품을 젖게 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따라서, 배면 시트(323)는, 직조 또는 부직 재료, 폴리에틸렌 또는폴리프로필렌의 열가소성 막과 같은 폴리머 막, 또는 막으로 피복된 부직 재료와 같은 복합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 막의 배면 시트는 약 0.012mm(0.5mil) 내지 약 0.051mm(2.0mil)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폴리에틸렌 막은,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Cincinnati) 소재의 클로페이 코포레이션(Clopay Corporation)에 의한 제품명 P18-1401과, 미국 인디아나주의 테르 휴트(Terre Haute) 소재의 트레지가 필름 프로덕트(Tredegar Film Products)에 의한 제품명 XP-9818로 제조된다. 배면 시트는 엠보싱 및/또는 매트(matte) 마무리되어서 좀더 의복에 가까운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면 시트(323)는 삼출물이 그것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 증기가 흡수 코어(324)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즉, 통기성(breathable)이다].The back sheet 323 is impermeable to liquids (eg, menstrual fluid and / or urine), preferably made of a thin plastic film, and other flexible liquid impermeable materials may also be used. . The term 'flexible material' as used herein refers to a material that is elastic and is more easily applied to the general shape and contour of the human body. The back sheet 323 prevents the exudates that are absorbed and retained in the absorbent core to wet products such as pants, pajamas, and underwear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sanitary napkin 320. Accordingly, the back sheet 323 may comprise a composite material, such as a woven or nonwoven material, a polymer film such as a thermoplastic film of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or a nonwoven material coated with a film. The back sheet of polyethylene membrane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about 0.012 mm (0.5 mil) to about 0.051 mm (2.0 mil). Exemplary polyethylene membranes include product name P18-1401 by Clopay Corporation of Cincinnati, Ohio, and Trejigar Film Products, Terre Haute, Indiana, USA. Manufactured under the product name XP-9818. The back sheet is preferably embossed and / or matte finished to provide a more garment-like appearance. The back sheet 323 can also allow vapor to escape from the absorbent core 324 (ie, breathable) while preventing the exudates from escaping through it.

사용할 때, 생리대(320)는 주지된 지지 수단 또는 부착 수단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리대는 사용자의 속옷 또는 팬티에 설치되어 접착제와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다. 접착제는 생리대를 팬티의 가랑이부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배면 시트(323)의 외측 또는 의복 대향 표면(323b)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접착제로 코팅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당해 분야에서 사용된 어떠한 접착제 또는 아교도 본 명세서에서의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압력-민감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적합한 접착제는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에이치 비 풀러 컴파니에 의해 제품명 2238로 제조된다. 적합한 접착제 고정구는 또한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에 개시되어 있다. 사용할 때 생리대가 설치되기 전에, 압력-민감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접착제가 건조되지 않도록 또는 사용에 앞서 팬티의 가랑이부 이외의 표면에 고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거성 해제 라이너(337)로 덮혀진다. 적합한 해제 라이너는 또한 상기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어떠한 해제 라이너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해제 라이너의 비제한적 예는 미국 위스콘신주 메나샤 소재의 아크로실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BL30MG-A Silox 4P/O이다. 본 발명의 생리대(320)는 해제 라이너를 제거하고 그 뒤 접착제가 팬티에 접촉하도록 생리대를 팬티에 설치함으로써 사용된다. 접착제는 사용되는 동안 생리대를 팬티내의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In use, the sanitary napkin 320 may be held in place by known supporting means or attachment means. Preferably, the sanitary napkin is installed in a user's underwear or panties and secured by a fixture such as an adhesive. The adhesive provides a means of securing the sanitary napkin to the crotch portion of the panty. Thus, some or all of the outer or garment facing surface 323b of the back sheet 323 is coated with an adhesive. Any adhesive or glue used in the art for this purpose can be used as the adhesive herein,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s being preferred. Suitable adhesives are manufactured under the trade name 2238 by H. B. Fuller Company, St. Paul, Minn. Suitable adhesive fixtures are also disclosed in US Pat. No. 4,917,697. Prior to use of the sanitary napkin in u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typically covered with a removable release liner 337 to prevent the adhesive from drying or being secured to a surface other than the crotch portion of the panty prior to use. Suitable release liners are also disclosed in US Pat. No. 4,917,697. Any commercially available release liner commonly used for this purpose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non-limiting example of a suitable release liner is BL30MG-A Silox 4P / O manufactured by Acrosil Corporation, Menasha, Wisconsin. The sanitary napkin 3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removing the release liner and then installing the sanitary napkin on the panty so that the adhesive contacts the panty. The adhesive keeps the sanitary napkin in place within the panties while in use.

본 발명의 양호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생리대는 두 개의 플랩(334)을 구비하며, 각각의 플랩은 흡수 코어의 사이드 에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플랩(334)은 착용자의 팬티의 에지와 넓적 다리 사이에 배치되도록 가랑이부에서 착용자 팬티의 에지위로 놓여지도록 형성된다. 플랩은 적어도 두가지 기능을 행한다. 첫째, 팬티의 에지를 따라 이중 벽 장벽을 형성함으로써 월경액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와 팬티가 더럽혀지지 않도록 작용한다. 둘째, 플랩은 팬티 아래로 뒤로 접혀져서 팬티의 의복 대향 측에 부착될 수 있도록 그 의복 표면상에 부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플랩은 생리대가 팬티내의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플랩은 상면 시트, 배면 시트, 티슈 또는 이들 재료의 조합과 유사한 재료를 포함하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플랩은 생리대의 주 몸체에 부착된 별개의 요소일 수도 있거나 또는 상면 시트와 배면 시트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즉, 일체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리대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플랩을 갖는 많은 생리대가 1987년 8월 18일자로 반 틸버그에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Shaped Sanitary Napkin With Flaps'인 미국 특허 제 4,687,478 호, 1986년 5월 20일자로 반 틸버그에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Sanitary Napkin'인 미국 특허 제 4,589,876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nitary napkin has two flaps 334, each flap positioned adjacent to the side edge of the absorbent core and extending laterally. The flap 334 is formed to rest over the edge of the wearer's panties at the crotch to be disposed between the edge of the wearer's panties and the thigh legs. The flap performs at least two functions. First, it forms a double wall barrier along the edges of the panties, thereby preventing the wearer's body and the panties from being soiled by menstrual fluid. Secondly, the flap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ttachment means on its garment surface such that it can be folded back down and attached to the garment facing side of the panty. In this way the flap serves to keep the sanitary napkin in place in the panties. The flap consists of a variety of materials including top sheets, back sheets, tissues, or similar materials to combinations of these materials. The flap may also be a separate element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sanitary napkin or may include an extension of the top sheet and the back sheet (ie, it may be integral). Many sanitary napkins with flaps suitable for use in the sanitary napki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assigned to Van Tiberg on August 18, 1987 by US Pat. No. 4,687,478, entitled Shaped Sanitary Napkin With Flaps, May 1986. The invention, issued to Van Tilberg on December 20, is disclosed in US Pat. No. 4,589,876, entitled 'Sanitary Napkin'. The disclosures of these pat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의 일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포집층(325)이 상면 시트(322)와 흡수 코어(32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포집층(325)은 흡수 코어 위로 또한 그 내로의 삼출물의 윅킹(wicking)을 포함하여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삼출물의 개선된 윅킹이 중요한 이유로는, 흡수 코어에 걸쳐 삼출물의 보다 균일한 분포를 제공하고 생리대(320)를 비교적 얇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지칭된 윅킹은 일 방향, 두 방향 또는 모든 방향(즉, x-y 평면 및/또는 z-방향)으로의 액체의 이송을 포함한다. 포집층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합성 섬유, 코튼 또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천연 섬유, 이들 섬유의 혼합물 또는 임의의 균등한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의 부직 또는 직조 웹을 포함하는 여러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포집층과 상면 시트를 갖는 생리대의 예들은 오스본의 미국 특허 제 4,950,264 호, 크리(Cree) 등의 명의로 1991년 12월 17일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Absorbent Article Having Fused Layers'인 미국 특허출원 제 07/810,774 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이들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양호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집층은 웹을 서로 결합시키는 임의의 통상적 수단에 의해,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리의 미국 특허출원에 상세히 개시된 바와 같이 용융 본드에 의해 상면 시트와 결합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collecting layer 325 may be located between the top sheet 322 and the absorbent core 324. Collecting layer 325 performs several functions, including wicking of the exudate over and into the absorbent core. Reasons why improved wicking of the exudate is important include providing a more uniform distribution of the exudate across the absorbent core and allowing the sanitary napkin 320 to be relatively thin. Wicking as referred to herein includes the transport of liquid in one direction, in two directions or in all directions (ie in the x-y plane and / or z-direction). The capture layer can be a variety of different materials including synthetic fibers comprising polyester,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natural fibers comprising cotton or cellulose, mixtures of these fibers or any equivalent material or nonwoven or woven web of any combination thereof. It can be configured as. Examples of sanitary napkins having a collecting layer and a top sheet are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entitled 'Absorbent Article Having Fused Layers', filed December 17, 1991 in the name of Osborne, U.S. Patent No. 4,950,264, Cree et al. No. 07 / 810,774 is disclosed in detail. The contents of these docum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collecting layer can be bonded to the top sheet by any conventional means of joining the webs together, most preferably by melt bonding as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mentioned US patent application.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없이 다양한 다른 변경 또는 변형이 행해질 수 있음이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other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o embrace all such alterations or modification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claims.

Claims (21)

래미네이트 웹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forming a laminate web, (a)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는 섬유의 부직 웹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부직 웹은 제 1 표면, 제 2 표면 및 상기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을 서로 유체 연통하도록 위치시키는 다수의 액체 통로를 구비하는 단계와,(a) providing a nonwoven web of fibers exhibiting surface energy, the nonwoven web having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and a plurality of liquid passageways for placing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one another. To do that, (b) 상기 부직 웹의 제 1 표면에 표면 처리제를 가하는 단계로서, 상기 표면 처리제는 상기 부직 웹 섬유의 표면 에너지보다 작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단계와,(b) applying a surface treatment agent to the first surface of the nonwoven web, the surface treatment agent having a surface energy less than the surface energy of the nonwoven web fibers; (c)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폴리머 웹(apertured macroscopically expanded three-dimensional polymeric web)을 제공하는 단계와,(c) providing an apertured macroscopically expanded three-dimensional polymeric web, (d) 상기 섬유의 부직 웹을 상기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폴리머 웹에 결합시켜 래미네이트 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래미네이트 웹 형성 방법.(d) bonding the nonwoven web of fibers to the macroscopically expanded apertured three-dimensional polymeric web to form a laminate web.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직 웹은 제 1 압력 애플리케이터(applicator)와 제 2 압력 애플리케이터 사이로 상기 웹을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거시적으로 확장된 개구형 3차원 폴리머 웹에 결합되는 래미네이트 웹 형성 방법.And the nonwoven web is bonded to the macroscopically expanded apertured three-dimensional polymer web by transferring the web between a first pressure applicator and a second pressure applica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직 웹은 상기 제 1 표면과 접촉하는 액체에 힘을 가하기에 적합한 불연속 이격 영역에 의해 규정된 다수의 표면 에너지 구배를 나타내어, 상기 제 1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제 2 표면의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상기 액체 통로를 향해 액체가 지향되는 래미네이트 웹 형성 방법.The nonwoven web exhibits a plurality of surface energy gradients defined by discrete spaced regions suitable for applying a force to a liquid in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for transport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away from the first surface. And a laminate web is directed towards the liquid passag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불연속 이격 영역은 또한 상기 액체 통로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래미네이트 웹 형성 방법.And the discontinuous spacing region is also at least partially located within the liquid passageway.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적어도 하나의 액체 통로는 상기 액체 통로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다수의 상기 불연속 이격 영역을 나타내는 래미네이트 웹 형성 방법.At least one liquid passage represents a plurality of said discrete spacing regions at least partially located within said liquid passag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불연속 이격 영역은 상기 부직 웹의 제 1 표면에 걸쳐 불규칙하게 분포되는 래미네이트 웹 형성 방법.And wherein the discrete spacing regions are irregularly distributed over the first surface of the nonwoven web.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불연속 이격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액체 통로내에 불규칙하게 위치되는 래미네이트 웹 형성 방법.And wherein said discrete spacing region is at least partially irregularly positioned within said liquid passageway.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불연속 이격 영역은 상기 부직 웹의 제 1 표면과 제 2 표면 사이에서 불규칙하게 위치되는 래미네이트 웹 형성 방법.And the discontinuous spacing region is irregularly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nonwoven web.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불연속 이격 영역은 상기 부직 웹의 제 1 표면으로부터 불규칙하게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액체 통로내에 위치되는 래미네이트 웹 형성 방법.Wherein the discontinuous spacing region is located in the liquid passageway at an irregular distance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nonwoven web.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적어도 하나의 액체 통로는 상기 부직 웹의 제 1 표면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된 다수의 상기 불연속 이격 영역을 나타내는 래미네이트 웹 형성 방법.At least one liquid passage represents a plurality of said discrete spacing regions locat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a first surface of said nonwoven web.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불연속적 이격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부직 웹의 제 1 표면상에 위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액체 통로내로 연장하는 래미네이팬 웹 형성 방법.And the discontinuous spacing region is at least partially locat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nonwoven web and at least partially extending into the liquid passageway.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불연속적 이격 영역은 약 75erg/㎠ 미만의 물에 대한 점착 일을 나타내는 래미네이팬 웹 형성 방법.Wherein said discrete spacing region exhibits sticking work for water of less than about 75 erg / cm 2.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부직 웹의 제 1 표면은 제 1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고 상기 부직 웹의 제 2 표면은 상기 제 1 표면 에너지보다 큰 제 2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는 래미네이팬 웹 형성 방법.And a first surface of the nonwoven web exhibits a first surface energy and a second surface of the nonwoven web exhibits a second surface energy greater than the first surface energ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면 처먕제는 경화성 실먕콘 물질을 포함하는 래미네이팬 웹 형성 방법.And the surface treatment agent comprises a curable silicon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면 처먕제는 플루오로폴먕머를 포함하는 래미네이팬 웹 형성 방법.Wherein said surface treatment agent comprises a fluoropolom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직 웹은 섬유의 본디드 카디드 웹, 스펀본디드 섬유의 웹, 멜팬블로운 섬유의 웹 및 상기 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층 재료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웹인 래미네이팬 웹 형성 방법.And wherein the nonwoven web is a web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onded carded web of fibers, a web of spunbonded fibers, a web of melpanblown fibers, and a multilayer materi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web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거시적으로 훽장된 개구형 3차원 폴먕머 웹은 상기 부직 웹의 제 2 표면의 표면 에너지보다 큰 표면 에너지를 나타내는 래미네이팬 웹 형성 방법.And wherein said macroscopically mounted apertured three-dimensional polymer web exhibits surface energy greater than the surface energy of a second surface of said nonwoven web. 제 1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래미네이팬 웹.Laminating pan web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laim 1.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래미네이팬 웹은 흡수 제품의 상면 시팬를 포함하는 래미네이팬 웹.And the laminating pan web comprises a top pan of the absorbent article.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래미네이팬 웹은 월경 패드의 상면 시팬를 포함하는 래미네이팬 웹.The lamination fan web is a lamination fan web comprising a top pan of the menstrual pad.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래미네이팬 웹은 기저귀의 상면 시팬를 포함하는 래미네이팬 웹.The lamination fan web is a lamination fan web comprising a top pan of the diaper.
KR1019997005083A 1996-12-09 1997-12-05 A method for forming a laminate web KR10031740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190596A 1996-12-09 1996-12-09
US08/761,905 1996-12-09
US8/761,905 1996-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366A KR20000069366A (en) 2000-11-25
KR100317400B1 true KR100317400B1 (en) 2001-12-22

Family

ID=2506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083A KR100317400B1 (en) 1996-12-09 1997-12-05 A method for forming a laminate web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42827A1 (en)
JP (1) JP3181924B2 (en)
KR (1) KR100317400B1 (en)
AU (1) AU734534B2 (en)
BR (1) BR9713693A (en)
CA (1) CA2274692C (en)
WO (1) WO199802575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707800A (en) * 1998-12-21 2000-07-12 Procter & Gamble Company, The Dual apertured composite web and absorbent articles having topsheet comprisingsuch a web
AU2379000A (en) * 1999-12-22 2001-07-03 Procter & Gamble Company, The Disposable garment comprising meltblown nonwoven backsheet
WO2001076842A2 (en) * 2000-04-07 2001-10-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ertured polymeric film for absorbent articles
CN1889905A (en) * 2003-12-08 2007-01-03 屈德加薄膜产品股份有限公司 Differential energy composit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CN110520086B (en) 2017-03-13 2022-04-26 飞特适薄膜产品有限责任公司 Activated composite web for absorben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7803A (en) * 1988-07-22 1991-07-02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Orthopedic splinting and casting article
AU671262B2 (en) * 1991-11-19 1996-08-22 Procter & Gamble Company,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a nonwoven and apertured film coversheet
US5665452A (en) * 1994-03-03 1997-09-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macroscopically expanded, apertured laminate webs
DK0767648T3 (en) * 1994-06-30 1999-12-20 Procter & Gamble Fluid transport tissues exhibiting surface energy gradients
WO1996028602A1 (en) * 1995-03-14 1996-09-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table article
US5792404A (en) * 1995-09-29 1998-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forming a nonwoven web exhibiting surface energy gradients and increased cali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1924B2 (en) 2001-07-03
CA2274692C (en) 2003-10-28
AU734534B2 (en) 2001-06-14
JP2000505747A (en) 2000-05-16
BR9713693A (en) 2000-05-02
EP0942827A1 (en) 1999-09-22
CA2274692A1 (en) 1998-06-18
AU5525398A (en) 1998-07-03
KR20000069366A (en) 2000-11-25
WO1998025759A1 (en) 199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4430B2 (en) Three-dimensional sheet material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such material
CA2233477C (en) A method for selectively aperturing a nonwoven web exhibiting surface energy gradients
CA2233479C (en) A method for forming a non-woven web exhibiting surface energy gradientsand increased caliper
EP0767648B1 (en) Fluid transport webs exhibiting surface energy gradients
KR100204749B1 (en) Fluid pervious web exhibiting a surface energy gradient
KR100317400B1 (en) A method for forming a laminate web
AU732834B2 (en) Fluid transport webs exhibiting surface energy gradients
AU746612B2 (en) A method for selectively aperturing a nonwoven web exhibiting surface energy gradients
MXPA98002483A (en) A method to selectively open a noteful frame that exhibits energy gradients in the superf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