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487B1 -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487B1
KR100314487B1 KR1019997006804A KR19997006804A KR100314487B1 KR 100314487 B1 KR100314487 B1 KR 100314487B1 KR 1019997006804 A KR1019997006804 A KR 1019997006804A KR 19997006804 A KR19997006804 A KR 19997006804A KR 100314487 B1 KR100314487 B1 KR 100314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input shaft
sleeve
in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558A (ko
Inventor
나루세노부하루
다니가와나오미치
구기미야후사요시
Original Assignee
호소미 키요시
가야바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소미 키요시, 가야바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소미 키요시
Priority to KR1019997006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487B1/ko
Publication of KR2000007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2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mechanical, e.g. using a power-take-off mechanism for taking power from a rotating shaft of the vehicle and applying it to the steering g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크를 검출하기 위하여 입력축과 출력축의 상대 회전을 축방향 운동으로 변환하는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력축(1)과 출력축(3)은 토션 바(2)를 거쳐 연결되며, 또한 슬리브(7)는 입력축(1)과 출력축(3)의 공동 외주에 제공된다. 슬리브는, 각각 축선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하며 헬리컬 스플라인(8a, 8b)을 통하여 입력축(1)에 연결되며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a, 9b)을 통하여 출력축(3)에 연결된다. 입력 토크에 기초한 토션 바(2)의 비틀림은 헬리컬 스플라인(8a, 8b)에 의해 결정된 슬리브(7)의 축방향 미끄럼 운동량으로서 검출된다. 입력축(1)과 출력축(3)을 슬리브(7)에 결합시키는 단부에 스플라인을 적용하므로써, 제조비는 감소되며 결합부의 내구성은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Input torque detector for power steering}
종래에, 파워 스티어링에 있어서 입력 토크 검출 장치에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출원 평7-182151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 입력 토크에 기초하고 있는 토션 바의 비틀림에 의하여 발생하는 입력축과 출력축의 상대 회전을 축방향 미끄럼 운동량으로 변환하여 이 미끄럼 운동량을 검출하므로써 입력 토크를 검출하는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일본 특허출원 평7-182151호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 휠(steering wheel)로부터 토크가 입력되는 입력축(101)은 기어 박스(118)내에 베어링(121)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며, 또한 입력축(101)의 내부에 연결된 토션 바(102)를 통하여 출력축(103)에 연결된다. 출력축(103)은 베어링(122)을 통하여 기어 박스(118)내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며, 또한 피니언 기어(104)를 통하여 래크 축(105: rack shaft)에 결합되며, 이로 인하여 입력 토크는 래크 축(105)을 통하여 피조타측(steered side)에 적용된다.
입력축(101)과 출력축(103)의 외주에는 원통형인 슬리브(107)가 삽입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107)의 내주에는, 입력축(101)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로서 한 쌍의 핀(108)이 180o의 간격으로 삽입되며, 또한 출력축(103)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로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축선 방향 구멍(109)이 180o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핀(108)과 축선 방향 구멍(109)들은 상호 90o만큼 교차되는 방식으로 삽입된다.
이에 대하여,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101)의 외주에는, 핀(108)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로서, 축선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나선형 그루브(113)가 형성된다. 또한, 출력축(103)에는 축선 방향 구멍(109)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로서 핀(114)이 형성된다.
또한, 슬리브(107)의 외주에는 환형 검출구(115)가 형성되며, 이 검출구(115)는 센서(117; 예를 들어 전위차계)의 검출 레버(116)와 결합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는, 입력축(101)에 조종 휠로부터의 입력 토크를 입력하므로써 발생된 토션 바의 비틀림의 결과로서, 입력축(101)과 출력축(103)은 상대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슬리브(107)는 출력축(103)에 대해서, 축선 방향 구멍(109)을 따른 방향에서만 상대 운동이 허여되고 상대 회전은 금지되는 한편, 입력축(101)과 대하여는, 나선형 그루브(113)에 따른 나선 궤도상에는 축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상대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토션 바(102)의 비틀림 양은 슬리브(107)의 미끄럼 운동량으로 변환되며, 이 미끄럼 운동량은 슬리브(107)와 결합되는 검출 레버(116)의 조작량으로서 센서(117)에 의해 검출된다. 더 구체적으로, 입력 토크는 센서(117)에 의해 검출되며, 검출된 입력 토크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전동 모터 등이 보조 토크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종래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는, 결합부재로서 슬리브(107)에 핀(108)을, 그리고 출력축(103)에 핀(114)을 각각 고정하여야 하므로 부품개수가 많다. 또한, 슬리브(107)와 출력축(103)에는 핀을 고정하기 위한 핀 구멍이 기계 가공되어, 이 핀구멍내에 핀(108, 114)이 조여지는 공정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추가의 제조비가 부과되며 조립 공정수도 증가한다.
둘째, 나선형 그루브(103)와 원통형 핀(108)의 선접촉 뿐만 아니라 축선 방향 구멍(109)과 원통형 핀(114)의 선접촉으로 인하여, 장치의 작동시 이 핀(108, 114)들은 쉽게 마모된다.
셋째, 입력축(103)에 형성된 나선형 그루브(113)가 정방형이기 때문에 소성가공이 수행되지 않으며, 기계 가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비가 증가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특허출원 평7-182151호는, 슬리브(107)내에 설치된 결합부재로서 슬리브(107)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볼이 사용되는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지만, 상술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며, 슬리브(107)로부터 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리브(107)내에는 볼 구멍이 형성되어야 하며,이로 인하여 제조비는 그 만큼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부품 개수를 감소시키고,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제조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서 내구성을 향상시킨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축과 출력축의 상대 회전을 축방향 운동으로 변환하여 토크 검출을 수행하는 입력 토크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토크 검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토크 검출 장치의 슬리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토크 검출 장치의 입력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토크 검출 장치의 출력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토크 검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종래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의 슬리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의 입력축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의 스플라인 구멍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에서는, 조종 휠측으로부터 토크가 입력되는 입력축과, 피조타측(***舵側)에 연계된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제공된 토션 바와,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된 가동체와,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의 상대 회전을 가동체의 축방향 미끄럼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가동체의 미끄럼 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입력 토크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외주에 상기 가동체로서 배열된 원통형인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 중 어느 한쪽의 외주에 확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확경부와 상기 슬리브에 각각 형성되어 축선에 대햐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스플라인, 및 상기 입력축 또는 상기 출력축 중 어느 한쪽을, 단지 축방향으로의 미끄럼 운동만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슬리브에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플라인의 단부 중 하나 이상은 개방되며, 상기 슬리브의 외주에, 축 중심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레버가 상기 단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입력 토크에 기초한 토션 바의 비틀림에 의하여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할 때, 입력축이나 출력축에 대하여 슬리브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스플라인에 의해 결정된 나선 궤도를 따라서 상대 회전하며, 또한 축방향으로 상대 운동한다. 이 슬리브의 축방향 미끄럼 운동량을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고, 이 입력 토크의 크기와 방향에 기초하여 보조 토크가 발생하게 되면, 적절한 파워 이득이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입력축이나 출력축에 슬리브를 결합하는 결합부는 복수의 스플라인으로 구성된다. 이 스플라인들은 입력축 또는 출력축 및 슬리브와 일체로 형성될 때, 특히 다른 결합부재가 필요 없으며, 이로 인하여 부품들의 개수와 제조상의 조립을 위한 공정수가 단축될 수 있으며 그 비용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입력축 또는 출력축 및 슬리브는 복수의 스플라인들에 의해 스플라인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부의 접촉 면적은 증가되며, 접촉 압력은 감소되며, 그 결과, 결합부의 마멸은 감소될 수 있으며 입력 토크 검출 장치의 내구성이나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플라인들을 쉽게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 가공을 위한 시간과 노동력은 줄일 수 있으며 제조비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검출 레버와 슬리브의 결합부를 이루는 단차부는 용이하게 가공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를 감소할 수 있다. 추가로, 확경부의 크기를 조종함으로써, 검출 레버와 슬리브의 거리를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검출 레버의 길이를 작게할 수 있고, 검출 수단의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슬립의 작동성이 개선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 중 어느 한 쪽과 슬리브 사이의 결합수단은,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 중 어느 한 쪽의 외주와 슬리브 내주에 180o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스플라인이다. 이렇게 배열하므로써, 직선형 스플라인들은 입력축 또는 출력축과, 슬리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부품들의 개수와 조립 공정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스플라인들이 쉽게 가공될 수 있고, 제조비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스플라인에 의한 스플라인 결합은, 결합부의 접촉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결합부의 마멸은 감소될 수 있고 장치의 내구성은 향상된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에 형성된 경사 방향의 복수의 스플라인의 적어도 일단부는 개방된다. 따라서, 복수의 경사 스플라인들은 쉽게 가공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 중 어느 한 쪽에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스플라인은, 입력축 또는 출력축 중 어느 한 쪽의 외주에 설치된 확경부에 형성되며, 이 스플라인들 중 적어도 한 쪽 단부는 개방된다. 따라서, 축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스플라인들은 쉽게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토크 검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 휠측으로부터 토크가 입력된 입력축(1)은 축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부(1a)를 가지며, 이 중공부(1a)내에 토션 바(2)가 장착된다. 그리고, 이 토션 바(2)를 거쳐 입력축(1)과 출력축(3)은 동축 형태로 연결되며, 토션 바(2)의 비틀림에 상당하는 양만큼 입력축(1)과 출력축(3)이 상대 회전하는 식으로 배치된다. 출력축(3)은 이 출력축의 외주에 피니언 기어(4)를 가지며, 이 피니언 기어(4)는 래크 축(5)의 래크 기어(6)와 결합된다. 상기 래크 축(5)은 피조타측에 연결된다.
입력축(1)과 출력축(3)의 외주에는 원통형인 슬리브(7)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슬리브(7)의 내주의 입력축(1)측에는 축선에 대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헬리컬 스플라인(8a: 본 실시예에서는 수형)이 슬리브(7)의 전체 내주에 형성된다. 추가로, 슬리브(7)의 내주의 출력축(3)측에는, 출력축(3)의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a: 본 실시예에서는 수형)이 180o의 간격으로 위치되어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1)의 외주에는 확경부(11)가 형성되며, 확경부(11)의 양 단부에는 직사각형 코너(12)를 포함하는 단차부가 형성된다.그리고, 확경부(11)에는 축선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헬리컬 스플라인(8b: 본 실시예에서는 암형)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 헬리컬 스플라인(8b)을 확경부(11)에 삽입한 결과, 헬리컬 스플라인(8b)의 양 단부가 개방된다. 입력축(1)측의 헬리컬 스플라인(8b)에 슬리브(7)측의 헬리컬 스플라인(8b)을 결합시키므로써, 입력축(1)과 슬리브(7)가 연결된다.
추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축(3) 외주의 입력축(1)측의 단부에는 확경부(10)가 형성되며, 이 확경부(10) 외주에는 180o의 간격으로, 출력축(3)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b: 본 실시예에서는 암형)이 형성된다. 이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b)이 확경부(10)에 삽입된 결과,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b)의 양 단부가 개방된다. 이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b)들은 슬리브(7)측에서 한 쌍의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a)과 각각 결합된다.
덧붙여 말하자면, 본 실시예에서, 헬리컬 스플라인(8b)과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b)의 양 단부들은 개방되지만, 또한 이처럼 양 단부를 개방하는 것 대신에 한 쪽 단부만을 개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출력축(3)과 슬리브(7)는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a, 9b)을 따른 축선 방향으로의 미끄럼 운동만이 허용되며 상대 회전은 억제되며, 한편, 입력축(1)과 슬리브(7)는 헬리컬 스플라인(8a, 8b)을 따른 나선 궤도에서 상대 회전하여 축선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입력축(1)과 출력축(3)의 상대 회전에 따라서, 슬리브(7)는 헬리컬 스플라인(8a, 8b)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결정된 길이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추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7)의 외주에는 단차부(15)가 형성되며, 이 단차부(15)에는 센서(17: 예를 들어 전위차계)의 검출 레버(16)가 결합된다. 따라서, 토션 바(2)의 비틀림 양(입력축(1)과 출력축(3)의 상대 회전량)으로부터 변환된 슬리브(7)의 미끄럼 운동량에 의해 검출 레버(16)를 조작하며, 토션 바(2)의 비틀림 양은 센서(17)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와 같이 검출된 토션 바(2)의 비틀림 양으로부터 입력 토크의 크기와 방향을 구할 수 있다. 그 결과, 입력 토크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전동 모터 등이 조타측에 보조 토크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하여 파워는 적절하게 보조된다.
덧붙여 말하자면, 슬리브(7)에 형성되어 검출 레버(16)와 결합하는 결합부는 단차부(15)와 같은 단차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검출 레버(16)와 결합되는 구멍(예를 들어, 환형구)이 슬리브(7)의 외주에 형성되어 결합부로서 사용된다면 충분하다.
덧붙여 말하자면, 입력축(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 케이스(27)에 수용되며, 센서(17)는 입력축 케이스(27)의 한 쪽 측면에 고정된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입력축(1)은 입력축 케이스(27)의 개구 단부쪽에서 베어링(21)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며, 이 개구 단부로부터 돌출하며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조종 휠측에 연결된다. 이 개구 단부는 오일 밀봉부(19)에 의해 밀봉된다.
한편, 출력축(3)은 피니언 기어(4) 상에서보다는 입력축(1) 상에서 기어 박스(18)내에 베어링(28)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추가로, 출력축(3)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구(3a)에는 코킹 링(29: calking ring)이 설치되며, 베어링(28)은 이 코킹 링(29)과 입력축 케이스(27)의 단부 사이에 유지된다. 추가로, 입력축(1)의 반대쪽에 배치된 출력축(3)의 단부는 기어 박스(18)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구(31)에 삽입되어, 이 결합구(31)에서 베어링(22)을 통하여 유지된다. 추가로, 기어 박스(18)는 출력축(3)측에서 래크 축(5)의 수용부(32)를 가지며, 이 수용부(32)를 밀봉하는 플러그(25)와 래크 축(5)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26)과 나란하게 출력축(32)에 죄어져, 피니언 기어(4)와 래크 기어(6)의 결합 상태를 향상시킨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입력축(1)에 토크가 입력되면, 토션 바(2)에 비틀림이 적용되며 입력축(1)과 출력축(3) 사이에는 상대 회전이 발생한다. 이때, 입력축(1)과 출력축(3)의 외주에 배치된 슬리브(7)는, 출력축(3)에 상응하여,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a, 9b)에 의한 축선 방향으로의 미끄럼 운동만이 허용되며, 한편, 입력축(1)에 상응하여, 헬리컬 스플라인(8a, 8b)의 나선 궤도를 따라서 상대 회전하며, 이 상대 회전에 비례하는 양만큼 축방향으로 미끄러진다. 따라서, 입력축(1)과 출력축(3)의 상대 회전은 슬리브(7)의 미끄럼 운동량으로 변환된다. 슬리브(7)의 단차부(15)에는 센서(17)의 검출 레버(16)가 결합되기 때문에, 이 검출 레버(16)는 초기 상태로부터 슬리브(7)의 미끄럼 운동량만큼 조작된 결과, 최종적으로 토션 바(2)의 비틀림 양, 즉 입력 토크는 센서(17)에 의해 검출된다. 이처럼 검출된 입력 토크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전동 모터 등이 조타측에 보조 토크를 적용한 결과, 파워 스티어링에서 파워는 적절하게 보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토크 검출 장치에서, 입력축(1)과출력축(3)을 슬리브(7)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는, 각각 헬리컬 스플라인(8a, 8b)과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a, 9b)들이며, 이 스플라인들은 각각 입력축(1)과, 출력축(3)과, 슬리브(7)에 일체로 형성되며, 특히, 다른 종류의 다른 결합부재가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하여 부품들의 개수와 제조상 조립 공정수가 단축될 수 있으며 제조비도 감소될 수 있다.
추가로, 입력축(1)과, 출력축(3)과, 슬리브(7)에는 스플라인 결합이 제공되며, 특히 입력축(1)측은 복수의 헬리컬 스플라인(8a, 8b)을 통하여 슬리브(7)측에 결합되어, 결합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접촉 압력의 감소 결과, 입력축(1) 및 출력축(3)과 슬리브(7)를 결합시키는 부분의 마모는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입력 토크 검출 장치의 내구성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추가로, 입력축(1)의 외주에 제공된 복수의 헬리컬 스플라인(8a)은 정방형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소성 가공이 가능하며, 또한 슬리브(7)의 내주에서 헬리컬 스플라인(8b)과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b) 및 슬리브(7)의 외주에서 단차부(15)에 다이 포밍(die forming)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입력축(1)의 결합부와 슬리브(7)를 기계 가공하기 위한 시간과 노동력은 단축될 수 있으며 제조비도 감소될 수 있다.
특히, 헬리컬 스플라인(8b)을 입력축(1)의 외주에 제공된 확경부(11)에, 그리고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b)을 출력축(3)의 외주에 제공된 확경부(10)에 형성한다면, 헬리컬 스플라인(8b)과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b)들의 적어도 한 쪽 단부는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 스플라인들의 가공은 용이하다.
게다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입력축(1)측에 헬리컬 스플라인(8a, 8b)들을 설치하며, 출력축(3)측에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a, 9b)을 삽입한다. 그러나, 또한 상술한 바와는 반대로 입력축(1)측에 스트레이트 스플라인을 삽입하며, 출력축(3)측에 헬리컬 스플라인을 삽입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출력축(3)과 슬리브(7)의 결합부로서 스트레이트 스플라인(9a, 9b)을 도 6에 도시한 종래 실시예의 축선 방향 구멍(109)과 핀(114)으로 대체한다. 도 5에 도시한 입력 토크 검출 장치는 상술한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작용과 동일하며, 헬리컬 스플라인(8a, 8b)과 단차부(15)는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장치의 제조는 용이하게 될 수 있으며 제조비는 감소되고 내구성은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는 입력 토크에 기초한 토션 바의 비틀림 양을 축방향 미끄럼 운동량으로 변환하여 이 미끄럼 운동량을 검출하는 입력 토크 검출 장치로서 유용하며, 특히, 본 발명은 입력 토크 검출 장치의 제조비를 줄이며,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하다.

Claims (4)

  1. 조종 휠측으로부터 토크가 입력되는 입력축과, 피조타측(***舵側)에 연계된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제공된 토션 바와,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된 가동체와,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의 상대 회전을 가동체의 축방향 미끄럼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가동체의 미끄럼 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입력 토크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외주에 상기 가동체로서 배열된 원통형인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 중 어느 한쪽의 외주에 확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확경부와 상기 슬리브에 각각 형성되어 축선에 대햐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스플라인, 및 상기 입력축 또는 상기 출력축 중 어느 한쪽을, 단지 축방향으로의 미끄럼 운동만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슬리브에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플라인의 단부 중 하나 이상은 개방되며,
    상기 슬리브의 외주에, 축 중심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레버가 상기 단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 중 어느 한 쪽과 슬리브 사이의 결합수단은,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 중 어느 한 쪽의 외주와 슬리브 내주에 180o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스플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에 형성된 경사 방향의 복수의 스플라인의 적어도 일단부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 또는 출력축 중 어느 한 쪽에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스플라인은, 입력축 또는 출력축 중 어느 한 쪽의 외주에 설치된 확경부에 형성되며, 이 스플라인들 중 적어도 한 쪽 단부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
KR1019997006804A 1999-07-28 1999-07-28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 KR100314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6804A KR100314487B1 (ko) 1999-07-28 1999-07-28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6804A KR100314487B1 (ko) 1999-07-28 1999-07-28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558A KR20000070558A (ko) 2000-11-25
KR100314487B1 true KR100314487B1 (ko) 2001-11-16

Family

ID=5477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804A KR100314487B1 (ko) 1999-07-28 1999-07-28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6942A (zh) * 2013-03-20 2013-07-17 昌辉汽车电器(黄山)股份公司 一种汽车电动助力转向用角度和扭矩传感器总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6942A (zh) * 2013-03-20 2013-07-17 昌辉汽车电器(黄山)股份公司 一种汽车电动助力转向用角度和扭矩传感器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558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0598B1 (en) Feed screw mechanism
US20050257991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11186309B2 (en) Active steering system using planetary gear set with less tooth differ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201728A1 (en) Steering shaft for a motor vehicle steering system
US20160046322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4862982A (en) Torque detector for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CN108349527B (zh) 电动式助力转向装置及其组装方法
CN107406102B (zh) 转矩传感器和电动助力转向***
US5109753A (en) Power steering valve assembly mechanism with offset valve sleeve bore
JP3375972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入力トルク検出装置
KR100314487B1 (ko) 파워 스티어링의 입력 토크 검출 장치
KR102668785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JP6616670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ステアリング装置
JP6555249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FR2511455A1 (fr) Joint homocinetique
JPWO2020153408A1 (ja) トルク伝達軸
EP0709276A2 (en) Power steering device
KR100262425B1 (ko) 파워스티어링 장치
US2023006925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ring device
US6296018B1 (en) Rack and pinion steering system
JP3540059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入力トルク検出装置
JPH10305777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入力トルク検出装置
JP3658682B2 (ja) 電動式舵取装置
US4282770A (en) Steering gear and method of assembling such gear
JP3845488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