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340B1 -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340B1
KR100310340B1 KR1019990010584A KR19990010584A KR100310340B1 KR 100310340 B1 KR100310340 B1 KR 100310340B1 KR 1019990010584 A KR1019990010584 A KR 1019990010584A KR 19990010584 A KR19990010584 A KR 19990010584A KR 100310340 B1 KR100310340 B1 KR 100310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tact
pack
battery pack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513A (ko
Inventor
전용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340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팩 안착홈과; 상기 팩 안착홈의 외측단에는 텐션을 가진 홀더와, 상기 팩 안착홈의 내측면에서 함몰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내부에는 하단이 인쇄회로기판과 점 접속하고 상단이 상기 구멍을 통해 돌출한 콘택트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팩은 홀더와 결합하는 장착부와; 타단에서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접속부에 안착되며 각각의 배면에 구멍을 형성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장착된 로킹부와; 상기 배터리 팩에 내장된 배터리 셀과; 배터리 팩이 팩 안착홈에 안착될 때 상기 콘택트 어셈블리의 상단과 점 접속하는 도전성 재질의 배터리 콘택트와; 일단은 상기 배터리 콘택트의 일단과 점 접속하는 배터리 콘택트 테일과; 상기 배터리 콘택트 테일의 타단과 배터리 셀을 연결하는 연성 인쇄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CONTACT DEVICE OF BATTERY PACK IN CORDLESS TELEPHONE}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소형 무선 단말기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방수 구조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단말기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및 PCS 폰 등의 개인용 이동통신기기를 포함한 개념이다. 무선 단말기는 제1세대인 바타입(bar-type), 제2세대인 플립 타입(flip-type)에 이어, 현재에는 제2세대인 플립 타입과 제3세대인 폴더 타입(folder-type)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소형화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이전 세대의 무선 단말기보다 더욱 소형화된 무선 단말기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점차 소형화되어 가는 무선 단말기의 개발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은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 수단의 배치 및 상기 전원 공급 수단과 무선 단말기 간의 접속 방식에 관한 것이다.
무선 단말기에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배터리 크기 이상의 장착 공간이 필요하므로, 무선 단말기의 소형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소형화와함께 배터리 장착 공간의 최소화가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배터리와 무선 단말기 간의 접속 방식은 배터리로부터 무선 단말기로 공급되는 구동전압의 안정도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배터리 장탈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느냐의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배터리와 무선 단말기 간의 접속 방식은 단순하면서도 안정적인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 본체의 소형화에 유리한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단말기와 배터리 팩간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점간 접점 방식(Point-to-Point Type)의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수분 침투로 인한 내부 부식 및 고장을 막기 위하여 방수 수단을 갖는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배터리 팩의 장탈착 및 무선 단말기와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접속 가능한 무선 단말기 배터리 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본체 프레임 일측에 배터리 팩과 대응되는 형상의 팩 안착홈과; 상기 팩 안착홈의 외측단에는 텐션을 가진 홀더와, 상기 팩 안착홈의 내측면에서 함몰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내부에는 하단이 인쇄회로기판과 점 접속하고 상단이 상기 구멍을 통해 돌출한 콘택트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팩은 일단에서 돌출 형성하여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장착부와, 타단에서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접속부에 안착되며 각각의 배면에 구멍을 형성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장착된 로킹부와, 상기 배터리 팩에 내장된 배터리 셀과, 상기 돌출부 내부에는 상기 구멍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배터리 팩이 팩 안착홈에 안착될 때 상기 콘택트 어셈블리의 상단과 점 접속하는 도전성 재질의 배터리 콘택트와, 일단은 상기 배터리 콘택트의 일단과 점 접속하는 배터리 콘택트 테일과, 상기 배터리 콘택트 테일의 타단과 배터리 셀을 연결하는 연성 인쇄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낸 상면 중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낸 배면 중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구를 가진 무선 단말기와 배터리 팩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장착된 무선 단말기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장착된 무선 단말기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스프링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콘택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콘택트 테일을 나타내는사시도,
도 11은 도 5의 A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낸 상면 중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낸 배면 중심의 사시도이며,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장착구를 가진 무선 단말기와 배터리 팩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장착된 무선 단말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200)은 일단(240)에서 돌출 형성한 장착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220)의 전면에는 홀딩용 돌기(230)가 돌출된다. 상기 홀딩용 돌기(230)는 배터리 팩(200)을 본체 프레임(120)의 팩 안착홈(501)에 안착시킬 때 후술할 홀더(510)의 리세스(5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팩(200)의 일단(240)을 팩 안착홈(501) 내에 고정시킨다.
상기 배터리 팩(200)의 타단(241)에는 돌출부(210) 한 쌍이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10) 사이에는 슬롯(211)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10) 내부에는 배터리 셀(240:도 5에 도시됨)과 연결된 접속수단(도 5 내지 도 11에서 상세히 설명)이 구비되며, 상기 접속수단의 구성요소 중 배터리 콘택트(61)는 돌출부 배면에 형성한 구멍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돌출부(210) 사이의 슬롯(211)에는 배터리 팩(200)을 본체 프레임(120)에서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로킹부(300)를 장착한다. 상기 로킹부(300)는 돌기(320)를 갖는 로커(310)와, 상기 로커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3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롯의 안쪽에는 로커의 돌기가 삽입되는 로킹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
한편, 무선 단말기의 본체 프레임(120)은 배터리 팩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배터리 팩과 대응되는 형상의 팩 안착홈(501)을 가지며, 상기 팩 안착홈(501)의 일단에는 홀딩부(500)를 구비한다. 상기 홀딩부(500)는 배터리 팩(200) 안착시 상기 배터리 팩(200)의 일단(240)을 잡아주기 위해 텐션을 가진 홀더(510)와, 상기 홀더(510)의 내측면에 배터리 팩(200)의 홀딩용 돌기(230)가 삽입되도록 형성한 리세스(5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팩 안착홈(501)의 타단에는 배터리 팩(200)의 돌출부(210)가 삽입되는 로커홈(130)을 형성하고, 상기 로커홈(130)의 양쪽 내측면에는 배터리 팩(200)의 돌출부(210) 밑면과 접하게 되는 접속부(132)를 각각 돌출 형성한다. 상기 접속부(132)는 각각 수직으로 관통한 구멍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200)을 본체 프레임(120)의 팩 안착홈(501)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배터리 팩(200)을 기울여 배터리 팩(200)의 장착부(220)를 팩 안착홈(501)의 홀더(510) 내측면의 리세스(520)에 끼워 넣는다. 이어, 상기 배터리 팩(200)의 로킹부(300)를 안쪽으로 당긴 후, 상기 배터리 팩(200)의 돌출부(210)를 팩 안착홈(501) 내측단의 로킹홈(130)에 밀어 넣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장착된 무선 단말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스프링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콘택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콘택트 테일을 나타낸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5의 A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로서, 포인트 a, b, c는 각각 접점(contact point)을 나타낸다.
배터리 팩(200)이 본체 프레임(120)의 팩 안착홈(501)에 안착되면, 상기 배터리 팩(200)은 상기 배터리 팩(200)의 로킹부(300)와 로커홈(130)의 접속부(132) 및 상기 배터리 팩(200)의 장착부(220)와 팩 안착홈(501)의 홀더(510)간 상호결합에 의해 로킹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배터리 팩(200)은 본체 프레임(120)의 팩 안착홈(501)에 로킹됨과 동시에 본체 프레임(120) 내부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70)과 접속되며, 이때 상기 배터리 팩(200)과 본체 프레임(120) 내부의 인쇄회로기판(70)간의 접속은 본체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제1접속수단과 배터리 팩(200)에 장착되는 제2접속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제1접속수단과 제2접속수단에 대해 차례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접속수단은 인쇄회로기판(70)에 항시 접점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콘택트 어셈블리(60)이다. 상기 콘택트 어셈블리(60)는 후술할 본체 프레임의 접속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되며, 일실시예로서 황동을 이용하여 금형으로 생산한 후, 표면을 금도금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 어셈블리(60)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모양이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600)과, 상기 하우징(600)의 양단에 각각 구속된 도전성 접속단자인 제1단자(601) 및 제2단자(602)와, 상기 양 단자 사이에 설치된 압축코일 스프링(60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하우징(600), 제1단자(601), 제2단자(602) 및압축코일 스프링(603)은 상호간에 전류의 도통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600)은 중간에 가장 직경이 큰 고정부(600a)를 가지며, 양단은 완전히 개방단(600b)을 가진다. 상기 개방단(600b)을 통해 제1단자(601) 및 제2단자(602)의 상단부가 각각 노출된다.
상기 제1단자(601) 및 제2단자(602)는 하우징(600)내에 설치되는데, 각각 상하 이동을 구속하도록 걸림부(601a, 602a)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600)의 개방 단(600b)을 통해 돌출하는 원통형 부분(601b, 602b)을 가진다. 이때, 상기 원통형 부분(601b, 602b)의 상단(601c, 602c)은 접속 포인트로서, 그 형상은 반구형을 이룬다. 상기 제1단자(601) 및 제2단자(602)는 양 단자 사이에 설치된 압축코일 스프링(603)에 의해 상호 반대 방향, 즉 서로 멀어지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603)은 도전성 재질로 구성함과 동시에 일단(603a)이 상기 제1단자(601)와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타단(603b)도 상기 제2단자(602)와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단자(601)와 제2단자(60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상기 제2접속수단은 콘택트 어셈블리(60)와 점간 접점 방식(Point-to-point Type)으로 접속되는 배터리 콘택트(61)와, 상기 배터리 콘택트(61)와 점간 접점 방식으로 접속되는 배터리 콘택트 테일(62)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콘택트 테일(62)과 배터리 셀(240) 사이는 연성 인쇄회로(63, FPC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 콘택트(61)의 일단에는 원통형의 삽입홈(610)이 소정의 깊이로형성되고, 타단에는 리세스(611)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콘택트(61)의 중앙에는 고정홈(61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612)은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삽입홈(610)은 배터리 콘택트 테일(62)이 삽입되는 부분이고, 상기 리세스(611)는 콘택트 어셈블리(60)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삽입홈(610)의 바닥면(610a)은 배터리 콘택트 테일(62)과 점(c) 접속하게 되고,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611a)은 콘택트 어셈블리(60)의 제2단자(602)와 점(b) 접속된다.
상기 배터리 콘택트 테일(62)은 블릿(bullet) 모양의 돌출부(620)와, 상기 돌출부의 밑면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한 연장부(621)로 구성되며, 도전성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돌출부(620)의 단(622)은 배터리 콘택트 고정홈의 바닥면과 점 접속되는 부분이며, 상기 연장부(621)는 연성 인쇄회로에 의해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콘택트 어셈블리(60)는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0)의 접속부(132)에 장착된다. 상기 접속부(132)의 내부에는 콘택트 어셈블리(60)가 직립된 상태로 조립되도록, 하향으로 연장된 보스 모양의 고정 리브(133)를 구비한다.
상기 콘택트 어셈블리(60)는 상기 고정 리브(13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콘택트 어셈블리(60)의 하우징(600) 외주면과 고정 리브(133)간의 접촉 면적이 커 안팎을 밀봉시킴에 따라 방수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고정 리브(133)에는 상기 고정홈(612)과 대응하는 고정돌기(213)가 돌출되며, 상기 고정홈(612)과 고정돌기(213)간의 결합으로 배터리 콘택트(61)가 고정 리브(133)에 장착된다. 이때에도, 상기 고정홈(612)과 고정돌기(213) 사이가 밀봉되어 방수 기능이 부가된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 콘택트 테일(62)의 단은 배터리 콘택트(61)의 바닥면(610a)과 접촉하고, 상기 배터리 콘택트 테일(62)의 타단은 상기 연성 인쇄회로(63)에 의해 배터리 셀(240)과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 팩(200)으로부터 무선 단말기(120)로 구동전압이 공급되는 경로는 배터리 셀(240), 연성 인쇄회로(63), 배터리 콘택트 테일(62), 배터리 콘택트(61), 제2단자(602), 압축코일 스프링(603), 제1단자(601) 및 인쇄회로기판(70)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는 무선 단말기 본체의 배면 일부만을 이용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소형화를 가능케할 뿐만 아니라, 접점(Point-to-Point) 방식의 접속을 적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접속 구조를 제공하고, 내부가 방수 구조로 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로 인한 무선 단말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배터리 팩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본체 프레임 일측에 배터리 팩과 대응되는 형상의 팩 안착홈과; 상기 팩 안착홈의 외측단에는 텐션을 가진 홀더와, 상기 팩 안착홈의 내측면에서 함몰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내부에는 하단이 인쇄회로기판과 점 접속하고 상단이 상기 구멍을 통해 돌출한 콘택트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팩은 일단에서 돌출 형성하여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장착부와, 타단에서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접속부에 안착되며 각각의 배면에 구멍을 형성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장착된 로킹부와, 상기 배터리 팩에 내장된 배터리 셀과, 상기 돌출부 내부에는 상기 구멍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배터리 팩이 팩 안착홈에 안착될 때 상기 콘택트 어셈블리의 상단과 점 접속하는 도전성 재질의 배터리 콘택트와, 일단은 상기 배터리 콘택트의 일단과 점 접속하는 배터리 콘택트 테일과, 상기 배터리 콘택트 테일의 타단과 배터리 셀을 연결하는 연성 인쇄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어셈블리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각각 구속된 도전성 접속단자인 제1단자 및 제2단자와,상기 양 단자 사이에 설치된 압축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콘택트의 일단에는 원통형의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 콘택트의 타단에는 곡면홈 모양의 리세스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콘택트 테일은 블릿 모양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밑면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한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한 돌기를 갖는 로커와, 상기 로커가 돌출부 사이에 장착될 때 상기 로커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
KR1019990010584A 1999-03-26 1999-03-26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 KR100310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584A KR100310340B1 (ko) 1999-03-26 1999-03-26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584A KR100310340B1 (ko) 1999-03-26 1999-03-26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513A KR20000061513A (ko) 2000-10-25
KR100310340B1 true KR100310340B1 (ko) 2001-11-01

Family

ID=1957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584A KR100310340B1 (ko) 1999-03-26 1999-03-26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24B1 (ko) * 2003-05-31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513A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US6256481B1 (en)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KR100304520B1 (ko) 고밀도 가요성 회로 요소 및 이를 사용한 통신 장치
JP4436774B2 (ja) 携帯用端末機のバッテリ連結装置
KR100359425B1 (ko) 마이크로폰 채널을 포함하는 보조 부품 커넥터
KR100356005B1 (ko)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관련된 장치
KR10057600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US7258579B2 (en) External communication jack for mobile terminal
KR100310340B1 (ko)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팩 접속 장치
JP3122429B2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とコネクタ
JP2001062399A (ja) 振動発生装置を内蔵した電子機器
GB2377825A (en) Device with expansion adaprot slotted into battery
KR101429277B1 (ko) 다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JP3556592B2 (ja) 振動部品用コネクタ
KR200192881Y1 (ko) 플립형 휴대폰의 마이크로폰 연결 메카니즘
JP2007311980A (ja) 携帯端末装置
KR1005301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드 커넥터장치
KR200317235Y1 (ko) 휴대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
JP2002117925A (ja) コネクタ付きバイブレータ
KR200372529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sim카드 슬롯
JPH10336906A (ja) 充電台
JP2000253497A (ja) 指向性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3598547B2 (ja) アンテナ装置
CN112040031A (zh) 设备套装及其折叠式终端设备
KR20070001671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