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355B1 - 경화투출장치 - Google Patents

경화투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355B1
KR100309355B1 KR1019940022111A KR19940022111A KR100309355B1 KR 100309355 B1 KR100309355 B1 KR 100309355B1 KR 1019940022111 A KR1019940022111 A KR 1019940022111A KR 19940022111 A KR19940022111 A KR 19940022111A KR 100309355 B1 KR100309355 B1 KR 100309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ening
disk
hopper
protrusio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502A (ko
Inventor
오따미찌히로
와따베마사유끼
모리요시까즈
Original Assignee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246151A external-priority patent/JP30142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293933A external-priority patent/JP3050734B2/ja
Application filed by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filed Critical 오까다 마사하루
Publication of KR95000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24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with change-giv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Abstract

환전기나 자동판매기 또는 의사 경화를 게임용 메탈로써 이용하는 게임기등에 사용하는 경화투출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경화의 투출동작을 확실하며 또한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디스크의 회전중심에 형성된 원주체의 접선방향을 따라서 가이드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1의 돌기 및 가이드부재에 충격적인 힘을 발생하는 일없이 제1의 돌기의 누름력에 의해 경화가 가이드부재를 따라서 원활하게 반송되고, 제1의 돌기에 의해 소정 위치까지 반송된 경화를 다음의 관통구멍에 대응해서 구비된 제2의 돌기에 의해 상기 제1의 돌기에 의한 반송가능한도보다도 더욱 바깥쪽으로 반송하여 확실히 경화투출구로 투출하고, 디스크의 회전중심에는 타원형 단면의 강체부와 원형 단면의 로드로 이루어지는 교반봉이 고정되고, 강체부의 바깥둘레면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돌출부에 의해 호퍼내의 경화가 교반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 호퍼내에 있어서의 브리지의 발생 및 경화의 간섭에 의한 디스크의 회전이상이나 모터의 과부하가 미연에 방지된다.

Description

경화투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경화투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경화투출장치의 디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제2도a는 그 평면도, 제2도b는 그 배면도, 제2도c는 그 측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경화투출장치의 기판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제3도a는 그 평면도, 제3도b는 그 정면도.
제4도∼제7도는 경화투출장치에 의한 경화의 투출동작을 설명하는 동작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경화투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한 경화투출장치의 경화교반봉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제9도a는 그 상면도, 제9도b는 그 정면도, 제9도c는 그 측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종래의 경화투출장치에 있어서 호퍼의 벽면을 지점으로 해서 발생하는 경화의 브리지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12도는 종래의 경화투출장치에 있어서, 경화교반봉에 대해 경화가 평행하게 정렬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브리지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종래의 경화투출장치에 있어서, 경화교반봉에 대해서 경화가 평행하게 정렬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로크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15도는 종래의 경화투출장치에 있어서, 경화교반봉에 의해서 경화가 탄성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16도 및 제17도는 종래의 경화투출장치에 있어서, 호퍼의 벽면 및 경화교반봉의 선단을 지점으로 해서 발생하는 브리지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본 발명은 환전기나 자동판매기 또는 의사 경화를 게임용 메탈로써 이용하는 게임기등에 사용하는 경화투출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관통구멍을 갖는 디스크를 호퍼와 기판사이에 마련해서 회전시키고, 디스크의 기판과 대향하는 면에 마련한 돌기에 의해 경화를 눌러 반송해서 기판상의 경화투출구로 인도하는 경화투출장치로써, 예를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소화53-51759호, 일본국 특허 공고 공보 소화55-48634호,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화63-36040호등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이미 여러가지 구성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호퍼와 기판사이에 마련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호퍼내부의 경화를 1개씩 포획해서 경화투출구로 인도하도록 한 경화투출장치로써 이미 여러가지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소화53-51759호에 개시되는 경화투출장치는 디스크에 돌출한 안내리브에 의해 경화를 반송해서 기판상의 안내부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서 경화의 진로를 바꿔서 투출동작을 실행한다. 안내리브는 디스크의 중심근방에 마련되고, 안내리브의 바깥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안내부가 디스크직경방향을 향해서 마련되어 있으므로, 인내리브로 부터의 보내는 힘은 안내부에 맞닿는 경화의 직경에 따라서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마치 안내리브와 안내부에 의해서 경화가 직경방향으로 전단되는 현상이 발생해서 디스크의 회전이 저해되어 고속의 투출동작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화55-48634호에 개시되는 경화투출장치에서는 안내리브와 안내부에 의해서 경화가 전단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위치에 경화가 들어가지 않도록 안내핀을 위치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안내리브에 의해서 반송되는 경화가 안내핀 및 안내부에 맞닿아서 경화의 운동방향이 급격하게 바뀔때마다 안내리브, 경화 및 안내핀 또는 안내부에 충격적인 힘이 생겨 디스크의 회전이 저해되어 충분히 고속의 투출동작을 실현할 수 없었다. 또, 안내부와 공동해서 경화를 디스크내에서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안내리브는 안내부의 배치위치와의 균형 때문에 디스크의 중심근방에 마련할 필요가 있어 스팬의 길이가 대폭으로 규제되므로 이 안내리브의 보내는 작용에만 의지해서 경화를 디스크밖으로 투출하는 것은 어려워 경화의 반정도의 부분이 디스크내에 잔류해 버린다. 이 경화는 다음의 경화의 투출동작을 기다리는 것에 의해 디스크밖으로 배출할 수 있지만 호퍼내에 남은 최후의 1개에 대해서는 이것에 계속해서 투출되는 경화가 없으므로 투출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국 특허 공고공보 소화63-36040호에 개시되는 경화투출장치에는 여러개의 이송 날개를 방사형으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스크레이퍼를 디스크의 영역보다도 바깥쪽에 회전중심을 마련해서 축받이하고, 이 스크레이퍼를 디스크와 동기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디스크에 의해서 소정위치까지 눌러 반송되고 있던 경화를 긁어내어 최후의 1개에 이를때까지 경화의 투출동작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지만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결점이 있고, 또 각 부가 복잡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투출동작의 고속화를 충분히 달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상기와 같은 경화투출장치는 모두 호퍼의 벽면을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서 호퍼와 기판사이의 접속부내에 마련된 디스크에 경화를 인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평단면에 있어서의 호퍼의 용적은 호퍼의 하부로 갈수록 몹시 좁고, 그 최하층부에서 차례차례 경화가 인출되어 가는 결과, 소위 경화의 브리지라는 현상이 발생하여 호퍼의 하층부에 공극이 형성되어 경화의 인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제10도는 호퍼(1)의 벽면(2)와 벽면(3)을 지점으로 해서 다수의 경화(4)가 규칙적으로 중첩하는 것에 의해서 브리지가 발생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1도는 특히 호퍼(1)의 접속부(5)와 바로 접하는 벽면(2)와 벽면(3)을 지점으로 해서 다수의 경화(4)가 불규칙적으로 중첩하는 것에 의해 브리지가 발생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어느 경우도 호퍼(1)의 최하층부에 위치하는 접속부(5)에서 차례차례 경화(4)가 인출되어 가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퍼내의 경화를 교반해서 브리지의 발생을 예방하도록 한 경화투출장치가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평성2-19882호 및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화56-145767호등에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평성2-19882호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나선형 돌기를 형성한 경화교반봉을 디스크의 회전중심을 따라서 마련하고, 이 경화교반봉을 회전시켜서 나선형 돌기에 의해 주변의 경화에 상하방향의 추력을 부여해서 호퍼내의 브리지를 무너뜨리게 되어 있고,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예와 같이 다수의 경화(4)가 대략 수평으로 중첩한 경우에는 경화교반봉에 슬라이드 접한 경화(4)의 바깥둘레부를 나선형 돌기로 걸어서 경화(4)에 상하방향의 추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비교적 간단히 브리지를 해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경화(4)가 그 면을 경화교반봉(6)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정렬되면 경화교반봉(6)의 나선형 돌기가 경화(4)의 바깥둘레부와 맞물리지 않게 되어 추력의 전달이 불가능하게 되어 경화(4)의 정렬상태를 무너뜨릴 수 없게 된다. 당연히 경화교반봉(6)에 직접 접하는 1개의 경화만이 그 면을 경화교반봉(6)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해서 슬라이드 접하여 다른 경화와 경화교반봉(6)의 접촉을 막고 있는 경우 및 몇개인가의 경화가 그 면을 경화교반봉(6)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해서 그 바깥둘레부에서 경화교반봉(6)과 슬라이드 접하고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화56-145767호에는 경화교반봉을 클랭크형상으로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광범위에 걸쳐서 브리지를 무너뜨리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경화교반봉의 굴곡부분이 편심해서 공전이동하므로, 원주형상의 경화교반봉(7)을 디스크(8)의 회전중심에서 편심해서 마련한 것이나(제13도참조) 직경방향 단면 윤곽의 형상이 타원형등의 비회전체형상으로 형성된 경화교반봉(9)를 디스크(8)의 회전중심을 따라서 마련한 것과 동일하고(제14도참조) 호퍼하부에 있어서의 접속부(5)의 안둘레벽(5a)와 경화교반봉사이에 다수의 경화(4)가 그 면을 경화교반봉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긴밀하게 정렬되면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되는 예와 같이 경화교반봉의 회전이 방해받아 디스크의 회전이 로크되는 경우가 있다.
경화교반봉을 용이하게 탄성변형하는 가요성재료로 형성하면 예를들면 제1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화(4)가 디스크(8)의 구멍(11)에 쉽게 떨어지는 위치에 있더라도 가요성재료로 이루어지는 경화교반봉(10)과 접속부(5)의 안둘레벽(5a) 사이에서 경화(4)가 탄성지지되어 상기 경화(4)가 떨어지는 것이 방해받는 경우가 있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브리지는 호퍼(1)에 있어서의 벽면(2)와 벽멱(3)에 또 경화교반봉의 선단을 지점으로 하는 3점 지지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제16도 및 제17도 참조) 경화교반봉의 선단에는 어떤 교반수단도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브리지를 해소할 수는 없었다. 또, 경화교반봉을 클랭크형상으로 굴곡시킨 것에서는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브리지가 발생하는 일은 없지만 클랭크형상의 굴곡부분을 광범위에 걸쳐서 공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강대한 토오크가 필요하게 되어 디스크 및 경화교반봉을 구동하는 모터에 과대한 부하가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화의 투출동작을 확실하며, 또한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또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적은 경화투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퍼내에 있어서의 브리지의 발생 및 경화의 간섭에 의한 디스크의 회전이상이나 모터의 과부하가 미연에 방지되어 경화의 투출동작이 원활하게 실행되는 경화투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화투출장치는 다수의 경화를 저장하는 호퍼, 호퍼를 지지하는 기판, 호퍼와 기판사이에 마련되고 호퍼의 하단부에 접속된 고리형상의 접속부재 및 접속부재에 있어서 기판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된 디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는 동일 원상에 서로 떨어져서 마련되어 호퍼에서 공급되는 경화를 포착하는 다수의 관통구멍, 각 관통구멍을 사이에 두고 마련된 제1의 돌기, 제2의 돌기 및 디스크중심부에 형성된 원주체를 갖고, 제1의 돌기에서 제2의 돌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의 돌기, 제2의 돌기 및 원주체는 디스크의 상기 기판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1의 돌기는 디스크의 바깥둘레 가장자리근방에, 제2의 돌기는 상기 제1의 돌기보다 조금 디스크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에 근접해서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화투출장치는 또 기판상에 디스크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마련되고, 경화와 맞닿는 접촉면을 갖고, 디스크의 원주체의 바깥둘레면에서 제1의 돌기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가이드부재의 접촉면은 디스크의 원주체의 바깥둘레면 근방에서 그 접선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접속부재의 둘레벽에는 가이드부재의 접촉면의 연장선상의 위치에서 디스크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을 향해서 경화의 직경이상의 길이의 잘라냄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잘라냄부를 따라서 경화투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호퍼내에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경화는 디스크의 관통구멍에 1개씩 들어간다. 디스크의 관통구멍을 통해서 기판상에 떨어진 경화는 제2의 돌기, 접속부재의 안둘레벽 및 원주체의 바깥둘레벽에 의해서 궤도를 규제받으면서 제1의 돌기에 의해 눌려 반송된다. 제1의 돌기에 의해 눌려 반송되는 경화가 가이드부재에 맞닿으면 제1의 돌기와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경화가 지지된다. 이 경화는 가이드부재 및 제1의 돌기에서 받는 수직항력에 의해 가이드부재와 대략 평행하고, 디스크의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는 누름력을 받아 경화투출구를 향해서 바깥쪽으로 원활하게 이동한다.
제1의 돌기는 관통구멍에 대해서 디스의 반회전방향측에 마련되고, 가이드부재의 접촉면이 원주체의 접선방향을 따라서 돌출하고 있으므로, 제1의 돌기 및 접촉면에서 받는 수직항력에 의해서 경화는 반드시 디스크의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서 이동하게 된다.
경화는 제1의 돌기와 제2의 돌기의 간극을 뚫고 나가 접촉면을 따라서 더욱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디스크의 바깥둘레 근방까지 송출된다. 그리고, 디스크가 또 회전하면 경화를 배출한 관통구멍에 인접하는 다음의 관통구멍에 대응해서 마련된 제2의 돌기가 상술한 제1의 돌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서 경화를 누르고, 그 다음에는 디스크에서 완전히 배출되어 가이드부재의 연장선상에 마련된 경화투출구에서 투출된다.
본 발명의 경화투출장치는 또 디스크의 회전중심축을 따라서 디스크의 상면에서 돌출하는 경화교반봉을 구비하고, 상기 경화교반봉은 디스크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또한 접속부재의 위가장자리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는 직경방향 단면 윤곽이 원형형상인 로드 및 로드의 선단에 고정되어 로드보다도 직경이 큰 비회전체형상의 강체부를 갖는다.
강체부의 위쪽 끝면에 V자형의 관통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브리지의 발생을 해소시킬 수 있다.
비회전체형상의 강체부가 디스크와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비회전체형상의 상대적인 돌출부가 강체부의 바깥둘레에 슬라이드 접하는 경화에 교반작용을 미치는 것에 의해 호퍼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에 상호작용을 부여해서 브리지의 발생을 방지한다.
우선, 제1도∼제7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경화투출장치(100)은 경화를 저장하는 호퍼(102), 호퍼(102)를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기판(103), 호퍼(102)의 하부 열린구멍부와 접속된 원고리 형상의 접속부재(123), 접속부재(123)내에 마련된 디스크(104), 기판(103)의 하면에 부착되어 기어드 모터등에 의해 디스크(104)를 회전구동하는 디스크구동유닛(105) 및 이들 각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투출장치본체(106)을 환전기나 자동판매기등의 본체내에 부착하기 위한 2개의 측판(107)을 구비한다.
2개의 측판(107)은 디스크구동유닛(105)를 사이에 두도록 마련되고, 각 측판(107)의 상단부는 기판(103)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베이스플레이트(108)에 고정되어 있다. 경화투출장치(100)은 각 측판(107)의 하부의 한쪽끝에 마련된 피보팅부(pivoting) (109)에 의해서 환전기나 자동판매기등의 본체내에 요동이 자유롭게 원뿔형 접합된다.
경화투출장치(100)이 부착되는 본체내의 벽부(122)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8)의 두께에 필적하는 스페이서를 맞물리게 해서 반쪽 혀형상의 스토퍼부재(110)이 요동이 자유롭게 마련되고, 베이스플레이트(108)의 요동측끝부에서 돌출하는 돌출부(111)을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유지할 수 있다.
호퍼(102)로의 경화의 투입 또는 회수작업을 실행할때 또는 디스크구동유닛(105)를 비롯한 투출장치본체(106) 각부로의 메인티넌스작업을 실행할때에는 스토퍼부재(110)의 요동측 끝부에 마련된 손잡이(131)을 잡고 스토퍼부재(110)을 요동시켜 스토퍼부재(110)을 돌출부(111)에서 퇴피시킨후 경화투출장치(100)을 손으로 지지해서 피보팅부(109)를 중심으로 제1도중의 시계방향으로 요동시켜 작업을 실행하기 쉬운 임의의 요동각도로 유지해서 이들 작업을 실행하게 한다. 측판(107)에는 투출장치본체(106)과 호퍼(102)내의 저장경화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는데 필요한 강도를 손상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된 큰 면적의 전망창(11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디스크구동유닛(105)등의 각종 구성요소의 상태확인 및 기판(103) 하면측으로의 공구의 접근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2도a∼제2도c는 디스크(104)의 형상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써, 제2도a는 그 평면도, 제2도b는 그 배면도, 제2도c는 그 측단면도이다.
디스크(104)에는 투출대상 경화의 바깥 직경에 비해서 조금 큰 안 직경을 갖는 5개의 관통구멍(113)이 동일 원상에 등간격으로 마련되고, 디스크(104)의 이면에 있어서의 바깥둘레근방에는 제2도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관통구멍(113)을 사이에 두도록 해서 각 관통구멍(113)마다 제1의 돌기(114) 및 제2의 돌기(115)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제1의 돌기(114)는 각 관통구멍(113)과 내부에서 접하는 가상원의 반경보다도 안쪽에 위치하고, 제2의 돌기(115)는 디스크(104)의 바깥둘레에 대략 접하도록 위치시켜지고 있다. 또, 각 관통구멍(113)에 있어서의 제1의 돌기(114)와 제2의 돌기(115)사이의 거리는 투출대상 경화의 직경에 비해서 조금 크다.
디스크(104)에는 제2도b 및 제2도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관통구멍(113)에 접하는 바깥직경을 갖는 원주체(116)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또 그 중심에, 일부분의 모서리를 깍아서 회전정지를 실시한 구동축 삽입구멍(117)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동축 삽입구멍(117)에는 기판(103)에서 돌출하는 디스크구동유닛(105)의 회전출력축(118)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104)는 회전출력축(118)과 일체로 회전한다. 원주체(116)은 반드시 디스크(104)측에 마련할 필요는 없고, 디스크(104)와 별도로 형성해서 회전출력축(118)에 밖에서 끼우거나 또는 후술하는 기판(103)의 관통구멍(124)의 안둘레에 따라서 둘레벽을 돌출해서 구성해도 좋다.
디스크(104)의 표면에는 제2도a 및 제2도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회전중심에서 디스크(104)의 바깥둘레측을 향해서 서서히 하강하는 경사진면을 갖는 원추대형의 볼록부가 마련되고, 각 관통구멍(113)의 표면측 열린구멍부의 안둘레와 함께 일체적으로 모서리가 깍여져 호퍼(102)의 정렬되지 않은 경화를 교반하는 별형의 교반리브(119)로써 형성된다(제2도a 및 제2도c에 모서리깍기부를 (120)으로 표시한다). 또, 디스크(104)의 표면에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타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교반봉(121)이 디스크(104)의 중심부를 관통해서 수직으로 마련된다. 교반봉(121)의 베이스부는 디스크구동유닛(105)의 회전출력축(118)의 내부에서 끼워져 고정되고, 디스크구동유닛(105)의 작동에 의해 교반봉(121)이 디스크(104)와 일체적으로 회전해서 호퍼(102)의 하부의 열린구멍부 주변에 발생하는 경화의 브리지현상을 붕괴시킨다.
기판(103)의 형상은 제3도a 및 제3도b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기판(103)의 중앙부에는 디스크(104)의 원주체(116)과 대략 동일한 직경의 관통구멍(124)가 마련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124)에 디스크(104)의 원주체(116)이 끼워 맞춰진다. 기판(103)의 상면에는 관통구멍(124)와 동심원상에 원고리형상의 접속부재(123)이 나사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도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123)의 양끝부의 안둘레는 조금 확장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의 확장부(123a)에는 디스크(104)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내부에서 끼워지고, 또 상기 확장부(123b)에는 기판(103)의 한쪽에 마련된 피보팅부(125)에 의해 요동이 가능하게 축받이된 호퍼(102)의 하부의 열린구멍부가 내부에서 끼워진다.
기판(103)에는 제1의 돌기(114)에서 제2의 돌기(115)를 향하는 디스크(104)의 회전방향, 즉 제3도a에 있어서 관통구멍(124)를 중심으로 디스크(10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부재(126)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26)의 경화와의 접촉면(126a)는 관통구멍(124)를 형성하는 원의 접선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기판(103)에는 가이드부재(126)의 외형에 대응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가이드부재(126)은 이 구멍에서 기판(103)으로 돌출해서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26)은 기판(103)의 하부에 마련한 도시하지 않은 피보팅축을 중심으로 요동이 가능하게 부착되고,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서 기판(103)의 아래측에서 윗쪽으로 눌러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부재(126)은 과부하가 발생했을때에는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기판(103)의 표면에서 휘퇴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6)의 길이는 디스크(104)의 원주체(116)의 바깥둘레면에서 제1의 돌기(114)까지의 길이에 비해서 조금 짧게 설정되어 회전하는 디스크(104)의 하면에서 돌출한 제1의 돌기(114) 및 제2의 돌기(115)가 가이드부재(126)과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재(123)의 하부의 확장부(123a)의 둘레벽에는 가이드부재(126)의 접촉면(126a)의 연장선과 교차하는 위치 근방에서 반시계방향, 즉 디스크(104)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서 투출대상 경화의 직경보다도 약간 긴 잘라낸부(127)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103)에는 가이드부재(126)의 접촉면(126a)의 연장선의 위치에서 잘라낸부(127)을 따라서 경화투출구(128)이 마련되어 있다. 기판(103)상에는 또 가이드부재(126)의 접촉면(126a)의 연장선을 따라서 가이드부(130)이 고정되고, 가이드부재(126)을 따라서 이동하는 경화를 아래쪽을 향해서 경사지게 하는 테이퍼형상의 에지부(130a)에 의해 유도해서 경화투출구(128)로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경화투출구(128)에서 투출된 경화는 기판(103)의 하면에 고정된 배출홈통(129)를 통과해서 환전기나 자동판매기등의 본체에 마련된 경화투출구로 인도된다.
이하, 제4도∼제7도에 도시한 동작설명도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경화투출장치(1)에 의한 경화의 투출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환전기나 자동판매기등의 제어장치로 부터의 경화투출명령에 응답해서 디스크구동유닛(105)의 구동이 개시되면 디스크(104)가 제4도중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호퍼(102)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화중 하층에 있는 것이 디스크(104)에 슬라이드 접하고, 교반봉(121) 및 교반리브(119)가 이들 경화를 교반해서 그 자세 및 위치를 여러가지로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결국은 하층부에 위치하는 경화와 디스크(104)에 있어서의 관통구멍(113)의 회전위치가 일치하여 경화는 어느 것인가의 관통구멍(113)에 의해 포착된다.
관통구멍(113)을 통해서 기판(103)상에 떨어진 경화(132)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재(123)의 하부의 확장부(123a)의 내벽과 디스크(104)의 하면에 마련된 원주체(116) 및 제2의 돌기(115)에 의해서 궤도를 규제받은 상태에서 제1의 돌기(114)에 의해 기판(103)상을 시계방향으로 눌러 반송된다. 그리고, 제1의 돌기(114)에 의해 눌러 반송되는 경화(132)의 끝부가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26)의 접촉면(126a)에 맞닿으면 경화(132)는 접촉면(126a)에 의해 궤도를 규제받고, 접촉면(126a) 및 제1의 돌기(14)로 부터의 수직항력을 받아 접속부재(123)의 하부의 확장부(123a)에 마련된 잘라낸부(127)을 향해서 밀려난다. 경화(132)는 관통구멍(113)에 대응해서 마련된 제1의 돌기(114)와 제2의 돌기(115)의 간극 및 잘라낸부(127)을 통해서 접촉면(126a) 및 가이드부(130)의 측면을 따라서 디스크(104)의 바깥둘레측을 향해서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해서 서서히 송출된다. 이와 같이 해서 관통구멍(113)을 통해서 기판(103)상에 떨어진 경화(132)는 급격하게 이동방향을 바꾸는 일없이 원활하게 디스크(104)의 바깥둘레측을 향해서 송출된다. 따라서, 경화(132)가 제1의 돌기(114) 및 가이드부재(126)에 충격적인 힘을 부여하는 일은 없다.
제5도에서는 제1의 돌기(114)와 가이드부재(126)에 의해서 경화(132)가 지지된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이때 경화(132)를 디스크(104)의 바깥둘레측을 향해서 송출하는 힘은 경화(132)가 제1의 돌기(114)에서 받는 수직항력F1과 접촉면(126a)에서 받는 수직항력F2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써, 이들의 합력F3은 경화(132)의 중심에서 가이드부재(126)과 대략 평행하며, 또한 경화(132)를 디스크(104)의 바깥 둘레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경화(132)가 접촉면(126a)에서 받는 수직항력F2는 경화(132)가 제1의 돌기(114)에서 받는 수직항력F1의, 경화(132)와 접촉면(126a)의 접촉점에 있어서의 법선방향의 분력으로써 경화(132)가 가이드부재(126)에 대해서 작용하는 응력의 반작용이다. 따라서, F1과 F2의 합력F3은 경화(132)와 가이드부재(126)의 접촉위치에 있어서의 접선방향의 분력과 동일한 방향 및 크기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이드부재(126)의 접촉면(126a)가 원주체(116)의 바깥둘레원의 접선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의 돌기(114)가 디스크(104)의 바깥둘레 근방에 마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화(132)를 원활하게 밀어낼 수 있다.
종래의 경화투출장치에서는 가이드부재(126)에 상당하는 것이 원주체(116)의 반경방향을 따라서 예를들면 제5도중의 2점쇄선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104)의 바깥둘레근방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었으므로 경화(132)가 가이드부재에 접촉한 순간에 급격하게 이동방향을 바꿈과 동시에 가이드부재나 돌기에 충격적인 힘을 부여하고 있었다. 또, 경화(132)를 누르는 돌기를 디스크(104)의 바깥둘레근방에 마련하면 경화(132)가 돌기와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완전히 지지되는 상태, 즉 돌기에 의한 수직항력과 가이드부재에 의한 수직항력의 합력이 디스크(104)의 바깥둘레측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되므로 경화(132)를 디스크(4)의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서 밀어낼 수 없게 된다. 또, 경화(132)를 누르는 돌기를 원주체(116)근방에 마련하면 경화를 밀어내는 힘은 디스크(104)의 바깥쪽을 향하지만 그 힘이 경화(132)를 원활하게 밀어내기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고, 안내핀등의 다른 수단으로 경화(132)를 가이드부재근방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스크레이퍼로 경화를 긁어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제5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디스크(104)가 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132)는 제1의 돌기(114)가 마련된 위치에서 디스크(104)의 최대 바깥직경에 이르는 거리에 대응하는 부분, 즉 대략 경화(132)의 1/4정도를 남겨서 디스크(104)의 바깥쪽으로 배출되고, 가이드부(130)의 한쪽에 형성된 역테이퍼형상의 에지부(130a)에 의해 유도되어 경화투출구(128)에서 자체의 무게에 의해 떨어질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 제1의 돌기(114)에 의한 밀어내는 작용만으로 디스크(104)의 바깥쪽으로 배출되지 않는 경화(132)는 경화(132)를 반송해 온 관통구멍(113)에 인접해서 디스크(104)의 반회전방향으로 마련된 다음의 관통구멍(113)에 대응해서 마련된 제2의 돌기(115)에 의해 그 잔류한 끝부가 눌리고, 제7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크(104)의 바깥쪽으로 완전히 배출되고, 가이드부(130)의 한쪽끝에 형성된 역테이퍼형상의 에지부(130a)에 의해 유도되어 경화투출구(128)에서 자체의 무게에 의해 떨어진다. 그리고, 경화투출구(128)에서 떨어진 경화는 기판(103)의 하면에 고정된 배출홈통(129)를 거쳐서 환전기나 자동판매기등의 본체에 마련된 경화인출구로 인도된다.
이하, 각 관통구멍(113)에 의해서 포착되고, 접속부재(123)의 하부의 확장부(123a)의 안둘레벽과 원주체(116) 및 각각의 관통구멍(113)에 대응해서 마련된 제2의 돌기(115)에 의해서 궤도를 규제받은 상태에서 각 관통구멍(113)에 대응해서 마련된 제1의 돌기(114)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눌러 반송되는 경화는 순차로 돌기(114)에 의해 가이드부재(126)과의 사이에서 지지되고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접속부재(123)의 하부의 확장부(123a)에 있어서의 잘라낸부(127)을 통해서 경화투출구(128), 배출홈통(129)를 거쳐서 환전기나 자동판매기등의 본체에 마련된 경화인출구로 인출되게 된다.
이하, 1실시예로써, 제1의 돌기(114)와 제2의 돌기(115)를 분리해서 디스크(104)의 이면에 마련한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서로 인접하는 관통구멍(113)에 대응해서 마련된 제1의 돌기(114)와 제2의 돌기(115)의 관계에 있어서 근접하는 제1의 돌기(114)와 제2의 돌기(115), 즉 인접하는 2개의 관통구멍(113)에 의해서 사이에 끼인 제1의 돌기(114)와 제2의 돌기(115)를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해서 제1의 돌기(114)와 제2의 돌기(115)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경우 제1의 돌기(114)에 의해서 일단 디스크(104)의 바깥쪽으로 밀린 경화가 이 돌기(114)와 다음의 관통구멍(113)에 대응해서 마련된 제2의 돌기(115) 사이에 끼여서 투출동작이 방해받고 있던 사고도 방지되어 기판(3)을 기울여서 배치할때등에도 유리하다.
다음에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투출장치(200)은 경화를 저장하는 반투명의 호퍼(201), 호퍼(201)을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기판(202), 호퍼(201)의 하부의 열린구멍부와 기판(202)사이에 마련되어 짧은 관형상의 둘레벽(203a)를 갖는 접속부재(203), 접속부재(203)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된 디스크(204), 기판(202)의 하면에 부착되어 기어드 모터등에 의해 디스크(204)를 회전구동하는 디스크구동유닛(205) 및 이들 각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투출장치본체(206)을 환전기나 자동판매기등의 본체내에 부착하기 위한 2개의 측판(207)을 구비한다.
디스크(204)의 상면에는 그 회전중심을 따라서 경화교반봉(208)이 고정되어 있다. 경화교반봉(208)은 제9도a의 상면도, 제9도b의 정면도, 제9도c의 측면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경방향에 있어서 속이 비지 않은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강체부(209) 및 축직각단면이 속이 비지 않은 원형의 로드(210)으로 이루어진다. 강체부(209)는 로드(210)에 고정되거나 또는 강체부(209)와 로드(2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강체부(209)의 직경방향단면의 형상은 타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밖의 비회전체형상, 즉 강체부(209)의 회전에 의해 강체부(209)의 바깥둘레부가 상대적인 돌출부를 갖고, 경화를 교반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은 관계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화교반봉(208)은 강체부(209)가 강성이 높은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고, 그 중에 회전방지 및 빠짐방지를 위한 굴곡 또는 압연 또는 핀 박음등을 실시한 선단부를 갖는 강재로 이루어지는 로드(210)이 일체적으로 인서트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9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체부(209)의 위쪽 끝면(209a)에는 강체부(209)의 축수직단면에 있어서의 타원형의 짧은 축을 따라서 V자형의 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제9도b 및 제9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체부(209)의 하단부(209b)는 로드(210)과의 접합부(212)를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접합부(212)는 강체부(209)와 로드부(210)의 외관상의 접합부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강체부(209)에 로드(210)을 삽입해서 고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강체부(209)와 로드부(210)의 접합면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로드(210)의 길이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교반봉(208)을 디스크(204)의 회전중심을 따라서 디스크(204)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로드(210)의 노출부분의 길이가 호퍼(201)의 접속부재(203)의 높이 이상으로 되도록 미리 결정되어 있다. 즉, 디스크(204)의 두께나 디스크(204)에 대한 로드(210)의 부착 방법등에 관한 설계상의 조건에 의해 로드(210)의 노출부분의 길이가 변동하는 것으로써, 보다 엄밀하게 말하면 기판(202)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계산한 접합부(212)까지의 거리가 기판(202)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계산한 접속부재(203)의 위가장자리(203b)까지의 거리보다도 길게 해야만 하는 것이다. 또, 경화교반봉(208)은 디스크(204)의 회전중심을 따라서 디스크(204)의 면에 대해 직각으로 고정되지만 디스크(204) 자체가 비스듬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경화교반봉(208)은 수평면에 대해서 1직각미만(예를들면 60°)의 소정의 각도를 이룬다.
호퍼(201)은 기판(202)을 수평면에 투영했을때에 생기는 윤곽형상과 대략 일치하는 외형을 갖는 구형상의 박스이다. 그 바닥부에는 호퍼(201)에 저장된 경화를 접속부재(203)내의 디스크(204)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진면을 형성하는 벽면(213) 및 (214)가 마련되어 있다.
호퍼(201)내에는 작업자가 호퍼(201)에 경화를 충전하기 위해 경화를 투입할때 작업자와 대향하는 쪽에 하중분산플레이트(215)가 마련되어 있다.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한쪽끝부는 작업자와 대향하는 쪽의 벽면(216)을 따라서 수평으로 마련된 요동축(217)에 의해서 축받이 되어 있다. 벽면(216)에 인접하는 양쪽의 벽면(218)의 안쪽에는 원호형상의 홈(219)가 각인되고, 이 원호형상의 홈(219)에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다른쪽끝부의 양쪽에 돌출된 맞춤못(220)이 걸어 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 하중분산플레이트(215)는 소정의 범위내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구성되고, 경화교반봉(208)의 위쪽에 이것을 덮도록 호퍼(201)내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의 홈(219)와 맞춤못(220)의 걸어맞춤에 의해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요동범위가 규제되지만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아래측의 요동한도를 규제하는 구성이라면 좁고 반드시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위쪽의 요동한도를 규제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홈(219)의 하단부의 위치에 대응해서 측벽(218)의 안쪽에 돌기를 형성하고, 맞춤못(220)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자유끝부의 양쪽을 돌기에 의해 지지하는 것에 의해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벽면(218)의 안쪽에 돌기를 형성한 경우 이 돌기와 하중분산플레이트(215) 사이에 경화가 끼여셔 하중분산플레이트(215)가 원하는 요동한도까지 하강하지 않게 될 염려가 있다. 또, 측벽(218)에 원호 형상의 홈(219)를 마련하는 것 대신에 원호형상의 관통구멍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관통구멍의 크기에 따라서 경화가 넘쳐 떨어지는 것이 염려되며, 또 관통구멍에 경화가 끼이면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위쪽으로의 요동이 구속될 염려가 있다. 홈(219) 및 맞춤못(220)의 구성은 이상과 같은 고찰에 따라서 고안된 것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결점이 경미하다면 벽면(218)의 안쪽에 형성한 돌기로 하중분산플레이트(215)를 지지하는 구성, 원호형상의 홈(219) 대신에 원호형상의 관통구멍을 사용하는 구성등을 적용해도 지장은 없다.
또, 이들 요동한도 규제수단은 반드시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축받이측끝의 반대쪽의 끝부에 마련할 필요는 없고, 하중분산플레이트(215)를 형성하는 재료의 기계적 강도가 허용하는 것이라면 상술한 각종 요동한도 규제수단 또는 그들과 교체되는 요동한도 규제수단을 요동축(217)에 근접하는 위치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요동축(217)을 하중분산 플레이트(215) 또는 벽면(218)중 어느 한쪽에 고정하고, 다른쪽에 끼워맞춤구멍을 마련해서 요동축(217)을 축받이함과 동시에 요동축(217)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부 및 끼워맞춤구멍의 형상을 연구하는 것에 의해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요동한도를 규제할 수 있다. 1예로써 직경방향단면이 속이 비지 않은 원의 요동축(217)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부의 약 반의 축방향길이에 걸쳐서 요동축(217)의 축심을 정점으로 해서 형성된 직경방향 단면이 속이 비지 않은 부채형의 요동규제 끼워맞춤부를 마련하는 한편, 끼워맞춤구멍의 약 반의 축방향길이에 걸쳐서 직경방향단면이 속이 비지 않은 부채형의 요동규제부를 마련하고, 또 요동축(217) 및 끼워맞춤구멍에 있어서의 나머지 반의 부분을 모두 원형상으로 형성해서 요동축의 회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요동축(217)의 요동규제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속이 비지 않은 부채형과 끼워맞춤구멍의 요동규제부에 있어서의 속이 비지 않은 부채형과의 간섭에 의해서 요동한도를 규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경우, 요동규제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속이 비지 않은 부채형의 꼭데기각을 A°, 요동규제부에 있어서의 속이 비지 않은 부채형의 꼭데기각을 B°로 하면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요동가능각도는 전체적으로 (360-A-B)°로 된다.
제8도에서는 하중분산플레이트(215)가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아래쪽의 요동한도까지 하강했을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 있어서의 하중분산플레이트(215)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은 하중분산플레이트(215)에 따라서 탑재된 경화가 하중분산플레이트(215)사이의 정지마찰력을 극복해서 자체의 무게로 하중분산플레이트(215)에서 미끄러져 떨어질 수 있는 각도보다도 조금 크게, 즉 하중분산플레이트(215)상의 경화가 용이하게 미끄러져 떨어질 수 있는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화투출장치(200)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 예를들면 기판(202), 디스크(204), 디스크구동유닛(205), 측판(207)등의 구성이나 디스크(204)에 마련된 구멍에 의한 경화의 포획 및 경화투출구(221)에 이를때까지의 경화의 반송공정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 설명한 경화투출장치와 동일하다. 또, 기판(202), 디스크(204), 디스크구동유닛(205), 측판(207)등의 구성이나 디스크(204)의 구멍에 의한 경화의 포획 및 경화투출구(221)에 이를때까지의 경화의 반송공정등이 상술한 경화교반봉(208)이나 하중분산플레이트(215)에 의해 생기는 본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으므로, 종래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경화투출장치(2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경화투출장치(200)이 장착된 환전기나 자동판매기등을 이용자에게 사용시키기 위한 준비조작으로써, 이 장치(200)을 관리하는 작업자는 미리 호퍼(201)내에 소정수 이상의 경화를 충전해둘 필요가 있다. 충전을 위한 경화투입작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호퍼(201)의 앞벽(216)측에서 실행되고, 이때 호퍼(201)내에 작업자에 의해서 투입된 경화가 즉시 유입되게 되어 상당한 충격이 생기는 것은 피할 수 없지만 호퍼(201)에 투입되는 경화는 하중분산플레이트(215)에 충돌해서 힘이 약해진후 호퍼(201)의 하층측에서 서서히 충전되어 가므로 투입된 경화에 의해서 경화교반봉(208)에 직접적인 충격이 작용하는 일은 없어 경화교반봉(208)의 굴곡이라는 손상은 미연에 방지된다.
하층측에서 서서히 충전되는 경화는 즉시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배치위치까지 도달한다. 그리고, 경화가 또 추가 투입되면 하중분산플레이트(215)상에 경화가 적층되어 가게 되지만 하중분산플레이트(215)상에 적층된 경화의 하중은 요동축(217) 및 맞춤못(220)을 거쳐서 호퍼(201)의 측벽(218)에 전달되어 호퍼(201) 및 기판(20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호퍼(201)의 용량 자체를 종래품과 동일한 것으로 하면 호퍼(201)의 하층에 마련된 디스크(204)에 작용하는 하중은 종래품에 비해서 감소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경화가 호퍼(201)에 대량으로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204)를 회전시킬때의 모터의 구동토오크는 대폭으로 경감되고, 또 과대한 누름력이 위에서 작용하는 것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화의 단괴화현상도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즉, 하중분산플레이트(215)는 디스크(204)에 작용하는 하중을 경감하는 것에 의해서 디스크의 회전이상이나 모터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과대한 하중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하의 단괴화현상이나 브리지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으로써, 경화의 투출동작을 원활하게 실행시키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써 기능하고 있다.
경화의 충전완료후에 환전기나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로 부터의 경화투출명령에 응답해서 디스크구동유닛(205)의 구동이 개시되면 디스크(204)가 회전해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경화의 포획 및 반송동작에 의해 호퍼(201)의 최하층측에서 경화가 잇달아 인출되어 경화투출구(221)에서 인출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호퍼(201)에 대한 경화의 충전작업이 완료한 직후의 투출동작이라도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는 종래품에 비해서 적고, 또 호퍼(201)의 하류측에 저장된 경화에 작용하는 하중도 작으므로 경화의 투출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출동작에 의해 하층측에 위치하는 경화가 차례차례 인출되면 호퍼(201)내에 있어서의 경화의 분포상태나 경화상호간에서의 접촉상태가 여러가지로 변화하지만 경화의 투출동작이 실행될 때마다 디스크(204)와 함께 회전하는 강체부(209)의 상대적인 돌출부, 즉 타원형의 긴축측의 옆끝부가 강체부(209)의 바깥 둘레부에 위치하는 경화를 교반하고, 이 교반운동이 서로 인접하는 경화를 거쳐서 호퍼(201)내의 다수의 경화로 전파된다. 그리고, 경화의 분포가 보다 자연스럽게 되는 방향, 즉 호퍼(201)내의 경화의 분포가 균일하게 되는 방향으로 이 교반운동이 작용하므로, 적어도 강체부(209)의 위쪽끝면(209a)보다도 하층측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제10도 및 제11도와 같은 브리지의 발생은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교반작용은 강체부(209)의 상대적인 돌출부가 강체부(209)의 바깥둘레부에 위치하는 경화를 누르는 것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만약 경화가 그 면을 강체부(209)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해서 정렬해 버린 상태, 예를들면 제1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상태가 발생했다고 해도 나선형 돌기에 의해 상하방향의 추력을 부여해서 경화를 교반하는 것과는 달리 직립한 경화의 자세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이것을 서서히 해소해 갈 수 있다.
그렇지만, 강체부(209)의 위쪽 끝면(209a)보다도 상측측에 적층된 경화에 관해서는 강체부(209)의 바깥둘레부의 운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교반작용이 반드시 충분히 전파된다고 한정하지 않고, 예를들면 호퍼(201)의 벽면(213)과 (214) 및 강체부(209)의 위쪽끝면(209a)를 지점으로 해서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브리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강체부(209)의 위쪽끝면(209a)에는 타원형 단면의 짧은축을 따라서 V자형의 관통홈(211)이 긴축방향의 양끝까지 확장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제9도b참조), 수평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서 마련된 강체부(209)의 회전에 따라 관통홈(211)에 있어서의 홈폭방향의 양끝부(209c)가 비교적 크게 상하 운동하고, 양끝부(209c)의 상하운동에 의해 강체부(209)의 위쪽끝면(209a)를 지점으로 해서 지지된 경화에 상하방향의 요동이 걸림과 동시에 양끝부(209c)로 부터의 세게 긁는 작용에 의한 수평면내에서의 요동이 작용한다.
이 결과, 강체부(209)의 위쪽끝부(209a)를 지점으로 해서 지지되어 있는 경화는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지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강체부(209)의 위쪽끝면(209a)상의 위치에서 꺼내져서 중앙부의 브리지가 해소되고, 또 이것을 계기로 해서 브리지전체가 전부 붕괴하게 되어 해소된다. 또, 관통홈(211)의 양끝부(209c)의 상하운동이 크다는 것은 위쪽끝면(209a)에 타원형 단면의 긴축을 따라서 V자형의 관통홈(211)을 형성한 경우와의 비교이다. 강체부(209)의 선단을 지점으로 해서 발생하는 브리지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위쪽끝면(209a)에 있어서의 타원형 단면의 짧은 축을 따라서 V자형의 관통홈(211)을 형성하고, 홈폭방향 양끝부에 형성되는 쐐기형상 돌기의 상하운동이나 세게 긁는 효과를 증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긴축방향에 홈을 형성했다고 해도 이들 효과가 손실되는 것은 아니다. 강체부(209)의 직경방향의 단면이 다른 비회전체형상, 예를들면 구형이나 호리병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이것과 동일하고, 단면의 최대직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V자형의 관통홈을 형성하고, 그 양끝에 형성되는 쐐기형상 돌기의 상하운동 및 세게 긁는 작용에 의해서 발생하는 교반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경화의 투출동작이나 브리지의 발생 및 해소에 관련된 경화의 이동현상이 호퍼(201)내에서 반복해서 발생하는 동안에 호퍼(201)에 있어서의 접속부재(203)의 안둘레벽(203a)와 경화교반봉(208) 사이에 예를들면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한 예와 같이 해서 다수의 경화가 그 면을 경화교반봉(208)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긴밀하게 정렬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접속부재(203)의 위가장자리(203b)보다도 아래 부분에는 비회전체형상의 단면을 갖는 강체부(209)는 없고, 강체부(209)를 지지하는 로드(210)만 있고, 또 이 로드(210)의 단면윤곽은 원형이므로 로드(210)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로드(210)과 안둘레벽(203a) 사이에서 경화가 강력하게 지지되어 로드(210)의 회전이 방해받는 일은 없다. 접속부재(203)보다도 위의 위치에서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로드(210)이 일시적으로 탄성굴곡해서 강체부(209)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돌출부, 즉 정렬한 경화에 간섭하는 긴축측의 끝부(209c)를 경화에서 퇴피시키므로, 강체부(209) 자체의 회전이 방해받는 일도 없다. 로드(210) 및 강체부(209)의 회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배제되는 결과, 디스크(204)의 로크 및 모터의 과부하라는 현상도 미연에 방지된다.
그리고, 강체부(209)는 용이하게 변형하지 않는 강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체부(209)와 접속부재(203)의 안둘레벽(203a) 사이에서 경화가 탄성지지되어 디스크(204)의 구멍으로의 떨어지는 것이 방해받고 있던 제15도와 같은 상황도 미연에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해서 디스크(204)의 회전에 의한 경화의 투출동작이 반복해서 실행되는 동안에 호퍼(201)내의 저장경화가 서서히 감소하면 하중분산플레이트(215)보다도 상층에 저장되어 있던 경화가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경사에 따라서 서서히 미끄러져 떨어지고, 그 감소분을 보급한다. 또, 경화의 분포상태나 경화 상호간에서의 접촉상태의 변화등에 의해서 호퍼(201)내의 경화의 부피가 일시적으로 증대해서 상층부의 경화의 높이가 높아진 경우에는 하중분산플레이트(215)가 요동축(217)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요동하고, 호퍼(201)의 최하층부에 위치하는 디스크(204)등에 작용하는 하중이 예상치않게 증대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크(204)의 회전에 필요하게 되는 토오크의 증대나 무리한 회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디스크(204)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한다.
경화가 호퍼(201)에 대량으로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204)의 회전구동에 필요하게 되는 모터토오크를 경감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면 하중분산플레이트(215)를 경사지게 해서 호퍼(201)내에 고정해도 관계없지만, 그렇게 한 경우에는 하중분산플레이트(215)보다도 하층측에서 발생하는 경화의 부피의 증대가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하면에 의해서 억제되어 하중분산플레이트(215)보다도 하층측에서 내압이 상승해서 디스크(204)에 과대한 부하가 작용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와 같이 하중분산플레이트(215)를 요동이 자유롭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배치위치는 단지 대량투입시의 경화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라면 호퍼(201)의 하층측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지만, 그 배치위치가 너무 하층측으로 되면 하중분산플레이트(215) 자체가 장해로 되어 접속부재(203)으로의 경화의 공급이 방해받아 예상치 않은 공극이나 브리지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한편, 그 배치위치가 너무 상측측으로 되면 호퍼(201)내의 경화의 하중을 지지하는 의미가 없어지며, 또 하중분산플레이트(215)보다도 하층측에서 발생한 부피의 증대에 따라서 하중분산플레이트(215)가 위로 요동했을때 하중분산플레이트(215)상의 경화가 외부로 떨어질 위험도 있다. 이들 상황을 감안할때, 적어도 제8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호퍼(201)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해서 최적한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배치위치는 그 요동축(217), 즉 하중분산플레이트(215)의 상류측끝부와 호퍼(201)의 위가장자리사이의 수직거리가 대략 경화 1개분으로 되는 위치이다. 제8도에 있어서, 특히 스케일을 명확하게 하지 않지만 사용대상으로 되는 경화의 크기 및 요동축(217)과 호퍼(201)의 위가장자리사이의 거리의 관계에 따라서 호퍼(201)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화투출장치에 의하면 경화가 급격하게 이동방향을 바꿔서 각 부재에 충격적인 힘을 발생하는 일없이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어 제1의 돌기 및 가이드부재의 수명이 현저하게 연장되게 된다. 또, 제1의 돌기가 디스크의 바깥둘레 근방에 마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이드부재와 제1의 돌기에 의해 경화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부재 및 제1의 돌기에서 받는 수직항력에 의해 가이드부재를 따라서 경화를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 제1의 돌기에 의해 소정 위치까지 반송된 경화는 다음의 관통구멍에 대응해서 마련된 제2의 돌기에 의해 상기 제1의 돌기에 의한 반송가능 한도보다도 더욱 바깥쪽으로 반송되어 확실하게 경화투출구로 투출되므로 스크레이퍼 등의 복잡한 부가장치로 경화를 긁어내어 강제적으로 투출할 필요가 없어 장치 전체의 구성이 간소하게 되어 최후의 1개의 경화에 이를때까지 고속으로 확실한 투출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디스크에 마련한 경화교반봉에 의해 수평상태, 직립상태라는 경화의 자세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경화를 교반해서 브리지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 경화를 교반하는 강체부는 로드를 거쳐서 디스크에 고정되고, 로드의 직경방향의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호퍼와 기판사이의 접속부재의 안둘레벽과 로드사이에 경화가 끼인 경우라도 로드나 강체부의 회전이 로크되는 일은 없어 디스크나 모터로의 과부하가 방지된다. 또, 강체부의 강성이 높아 용이하게 탄성변형하지 않으므로 호퍼의 벽면과 강체부사이에서 경화가 탄성지지되어 디스크의 구멍으로의 떨어짐이 저해되는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며, 또 강체부의 선단을 지점으로 해서 발생하는 브리지도 강체부의 선단에 형성된 V자형의 관통홈이 경화와 걸어 맞춰져서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도 교반작용에 의해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1)

  1. 다수의 경화를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를 지지하는 기판, 상기 호퍼와 상기 기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 접속된 고리형상의 접속부재, 동일 원상에 서로 떨어져서 마련되고 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경화를 포착하는 다수의 관통구멍, 상기 각 관통구멍을 사이에 두고 마련된 제1의 돌기와 제2의 돌기 및 디스크중심부에 형성된 원주체를 갖고, 상기 제1의 돌기에서 제2의 돌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접속부재내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된 디스크 및 상기 기판상에 상기 디스크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마련되고, 경화와 맞닿고 상기 원주체의 바깥둘레면 근방에서 그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원주체의 바깥둘레면에서 상기 제1의 돌기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의 돌기, 제2의 돌기 및 원주체는 상기 디스크의 상기 기판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의 돌기는 상기 디스크의 바깥둘레 가장자리 근방에, 상기 제2의 돌기는 상기 제1의 돌기보다 약간 디스크 바깥둘레 가장자리에 근접해서 마련되고, 상기 접속부재의 둘레벽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접촉면의 연장선상의 위치에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을 향해서 경화의 직경 이상의 길이의 잘라냄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잘라냄부를 따라서 경화투출구가 뚫어 마련되고, 상기 디스크의 관통구멍을 통해서 상기 기판상으로 떨어진 경화는 상기 제2의 돌기, 상기 접속부재의 안둘레면 및 상기 원주체의 바깥둘레면에 의해서 궤도를 규제받으면서 상기 제1의 돌기에 의해 눌려 반송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와 맞닿아서 진로를 변경하여 상기 경화투출구로 안내되는 경화투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돌기는 상기 관통구멍에 대해서 디스크의 반회전방향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의 돌기는 상기 관통구멍에 대해서 디스크의 회전방향측에 위치하는 경화투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접촉면의 연장선을 따라서 연장하는 에지부를 갖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접촉면을 따라서 전동하는 경화는 상기 에지부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경화투출구로 안내되는 경화투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중심축을 따라서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서 돌출하는 경화교반봉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경화교반봉은 상기 디스크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또한 상기 접속부재의 위가장자리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는 직경방향의 단면윤곽이 원형상인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선단에 고정되고 상기 로드보다도 직경이 큰 비회전체형상의 강체부를 갖는 경화투출장치.
  5. 다수의 경화를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를 지지하는 기판, 상기 호퍼와 기판 사이에 마련된 접속부재, 경화를 포착하는 여러개의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접속부재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마련된 디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멍에 의해서 포획된 경화를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반송해서 경화투출구로 안내하는 경화투출장치로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중심축을 따라서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서 돌출하는 경화교반봉을 구비하고, 상기 경화교반봉은 상기 디스크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또한 상기 접속부재의 위가장자리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는 직경방향의 단면윤곽이 원형상인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선단에 고정되고 상기 로드보다도 직경이 큰 비회전체형상의 강체부를 갖는 경화투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화투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의 직경방향의 단면윤곽은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화투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의 위쪽끝면에 상기 끝면의 윤곽을 이루는 타원의 짧은 축을 따라서 V자형의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화투출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내에 작업자가 상기 호퍼내에 경화를 투입할 때 작업자와 대향하는 상기 호퍼의 앞벽근방에 마련된 하중분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경화투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 플레이트는 상기 경화교반봉의 위쪽에 이것을 덮도록 호퍼내로 연장하고 있는 경화투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 플레이트는 상기 호퍼의 앞벽근방을 지지점으로 해서 상기 호퍼내에 있어서 소정의 범위내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경화투출장치.
KR1019940022111A 1993-09-07 1994-09-02 경화투출장치 KR100309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46151 1993-09-07
JP5246151A JP3014255B2 (ja) 1993-09-07 1993-09-07 硬貨投出装置
JP5293933A JP3050734B2 (ja) 1993-10-29 1993-10-29 硬貨投出装置
JP93-293933 1993-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502A KR950009502A (ko) 1995-04-24
KR100309355B1 true KR100309355B1 (ko) 2001-12-15

Family

ID=2653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111A KR100309355B1 (ko) 1993-09-07 1994-09-02 경화투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695395A (ko)
KR (1) KR100309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0308B1 (en) 1996-06-28 2003-02-18 Coinstar, Inc. Coin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257968B1 (en) 1998-12-16 2001-07-10 National Optronics, Incorporated Quick-release lens clamp pad assembly for use in eyeglass lens processing
KR100600420B1 (ko) * 1999-08-06 2006-07-13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코인 호퍼 장치
JP2002133485A (ja) * 2000-10-20 2002-05-10 Asahi Seiko Kk 小形コインホッパ
TW544639B (en) * 2001-01-24 2003-08-01 Asahi Seiko Co Ltd Coin hopper
US6554118B2 (en) * 2001-05-21 2003-04-29 Royal Sovereign, Inc. Coin supplying apparatus of a coin separator
US20050009464A1 (en) * 2003-05-15 2005-01-13 Aruze Corp. Payment object dispensing machine
EP1526483B1 (en) 2003-10-21 2011-11-30 Asahi Seiko Co. Ltd. Automatic coin aligning apparatus
GB2415692A (en) 2004-06-29 2006-01-04 Money Controls Ltd Coin dispensing apparatus for large coins
US7144318B2 (en) * 2004-08-18 2006-12-05 Paokai Electronic Enterprise Co., Ltd. Carrying disk device of coin dispenser
JP4665087B2 (ja) * 2005-01-05 2011-04-06 旭精工株式会社 硬貨入出金装置
US7992748B2 (en) * 2006-11-17 2011-08-09 North Safety Products, Inc. Earplug dispenser
JP5540190B2 (ja) 2010-04-30 2014-07-02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ホッパ
US9036890B2 (en) 2012-06-05 2015-05-19 Outerwall Inc. Optical coin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consumer-operated kiosks and the like
US8967361B2 (en) 2013-02-27 2015-03-03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 sorting machines
US9022841B2 (en) 2013-05-08 2015-05-05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or sorting machin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443367B2 (en) 2014-01-17 2016-09-13 Outerwall Inc. Digital image coin discrimination for use with consumer-operated kiosks and the like
US9580230B2 (en) 2014-10-01 2017-0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nti-jam dispenser
CN107038791A (zh) * 2017-04-18 2017-08-11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 一种硬币送料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5895A (en) * 1976-01-10 1977-07-16 Asahi Seiko Co Ltd Coin delivering device
FR2359466A1 (fr) * 1976-07-22 1978-02-17 App Automatiques Ste Fse Dispositif permettant de delivrer des objets en forme de disque en serie et avec une orientation predeterminee
JPS5351759A (en) * 1976-10-21 1978-05-11 Fujitsu Ltd Crystal working method
JPS5548634A (en) * 1978-10-03 1980-04-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ptical fiber bend tester
JPS56145767A (en) * 1980-04-14 1981-11-12 Seikosha Co Ltd Driving magnetic flux forming device for movable coil
JPS59142689A (ja) * 1983-02-02 1984-08-15 オムロン株式会社 硬貨放出装置
JPS59191686A (ja) * 1983-04-14 1984-10-30 ナリタ技研株式会社 硬貨計数機における硬貨供給装置
JPS6258392A (ja) * 1985-09-06 1987-03-14 オムロン株式会社 硬貨放出機
JP2560695B2 (ja) * 1986-07-29 1996-1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減速制御装置
JPH0219882A (ja) * 1988-05-20 1990-01-23 Xerox Corp 三部材からなる融着ロール構造体
JPH0267468A (ja) * 1988-09-02 1990-03-07 Toshiba Corp 水力発電所用電動サーボモータ制御方法
US5064404A (en) * 1990-03-01 1991-11-12 Hamilton Scale Corporation Coin or token discharge apparatus
US5167571A (en) * 1991-04-11 1992-12-01 International Game Technology Coin handl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502A (ko) 1995-04-24
US5695395A (en) 1997-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355B1 (ko) 경화투출장치
CA2641928C (en) Auger for vertical mixer
US4167248A (en) Device for disentangling and spreading short steel fibers
EP0968939B1 (en) Part-conveying apparatus
AU2018205600A1 (en) Stripper system for belt conveyors and method for cleaning belt conveyors
US4720047A (en) Auger for conveying materials such as manure
EP08858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parts
US7185756B2 (en) Discharge device for worked material
US65136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parts
US61129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parts
US6019212A (en) Apparatus for aligning parts
US4506837A (en) Impact crusher
JP3014255B2 (ja) 硬貨投出装置
JP3050734B2 (ja) 硬貨投出装置
JPH0248452B2 (ko)
CA1268144A (en) Rotary feeder
TWI389720B (zh) Bowling machine
JPS5949860B2 (ja) 切削片排出装置
JP2002187612A (ja) チップ部品の供給装置
JPH04229390A (ja) ホッパ
JPH0581482B2 (ko)
JP7097034B2 (ja) コインホッパ
CN116767888B (zh) 一种恒量连续进料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626824B1 (ko)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이송장치
JP6914489B2 (ja) 錠剤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