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864B1 - 전화시스템및원거리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전화시스템및원거리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864B1
KR100306864B1 KR1019940016134A KR19940016134A KR100306864B1 KR 100306864 B1 KR100306864 B1 KR 100306864B1 KR 1019940016134 A KR1019940016134 A KR 1019940016134A KR 19940016134 A KR19940016134 A KR 19940016134A KR 100306864 B1 KR100306864 B1 KR 100306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852A (ko
Inventor
오노사카가즈노브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019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0623A/ja
Priority claimed from JP525230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7221A/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50004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6Telephone sets adapted for data transm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04Q3/62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for connecting to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5Call privacy arrangements, e.g. timely inhibiting the r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7Arrangements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recorded message, whereby the presence information might include a preview or summary of the me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장치의 여러가지 상태신호를 받는 기능을 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핸드셋(15)과, 이용자가 다이얼하기 위한 키패드(11)를 갖추고, 정보처리 장치(20)와 접속하기 위한 시리얼케이블(30)을 거쳐 핸드셋(15)의 온·훅 상태와 오프·훅 상태를 식별하는 훅정보와,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다이얼정보를 정보처리 장치(20)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정보처리 장치(20)는 수신되는 다이얼 정보에 의거해서 전화부를 작성하는 동시에 훅정보에 의거해서 통화개시 시각과 통화종료 시각을 수집하는 즉 통화의 기록을 취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전화기(10)는 키패드(11)와, 이 키패드(11)로부터의 매트릭스 정보를 다이얼정보로 변화하여 다이얼 하는 동시에 다이얼 정보등을 출력하는 텔레폰회로(12)와, 이 텔레폰회로(12)로부터의 다이얼 정보등을 상기 정보처리 장치(20)로 송신하는 예를들면 소위 1칩의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MPU라고 칭함)(13)와, 상기 시리얼케이블(30)상의 데이터의 흐름(시리얼·버스)을 제어하는 버스·제어기(14)를 갖춘다.

Description

전화시스템 및 원거리 통신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화기와 정보처리장치의 구체적인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도는 상기 전화기의 요부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3도는 상기 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제4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5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끼어들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제6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제7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표시된 구체적인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또 다른 전화기와 정보처리장치의 구체적인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9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0도는 상기 전화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1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전화장치를 초기화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한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제12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전자메일 소프트웨어를 실행한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제13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메일표시 소프트웨어를 실행한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제14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조사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한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제15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링거사운드를 울리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한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제16도는 상기 전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제17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화기와 정보처리장치의 구체적인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보통신단말기 4 : 전화회선
10 : 전화장치 11 : 키패드
15 : 핸드셋 20 : 정보처리장치
30 : 시리얼케이블 51,52,53 : 발광LED
60 : 전화장치 61,62 : 커넥터
63 : 재치부 70 : 정보처리장치
111 : LCD
본 발명은 전화기와 그것을 제어하여 새로운 기능을 실현시키는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전화번호부 작성기능이나 데이터 통신기능을 가지는 정보처리장치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화기를 제어하는 개인용 정보통신 터미널, 소위 전자수첩 이나 소형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같은 프로세서에서는 어드레스관리나 전화번호관리가 행해지기도 하고 전화회선을 거쳐 소위 전자메일등의 데이터통신이 행하여 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전화기 프로세서의 접속에 있어서는 쌍방향으로 접속되어 있지않기 때문에 여러가지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예를들면 프로세서에 있어서의 전화번호 관리기능에서는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로서 기억(등록)하여 놓고 사용자가 전화를 걸때에 상대의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는 항을 열어서 거기에 기재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다이얼하도록 되어 있다.
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에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전화번호를 지정하면 당해 전화번호를 전화기에 전송하여 전화를 걸수있는 정보처리장치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정보처리장치에서는 전화번호부에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람에게 전화를 건후에 그 상대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번거롭게도 재차 전화번호를 정보처리장치에 입력하지 않으면 안되는바 매우 불편하였다.
또 종래의 정보처리장치에서는 사용자가 과거에 건 전화번호, 통신시간등을 알고자 하여도 그들의 정보의 기록을 취하는 기능이 없었다.
또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정보처리장치에서는 통상 전화기가 접속되어 있는 전화회선에 모뎀장치를 접속하고, 이모뎀장치를 거쳐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런데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을때에 이용자가 잘못하여 전화를 걸면(오프 훅하여 다이얼한다)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잡음(노이즈)으로 되고, 데이터 통신을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종래의 정보처리장치에서는 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동일의 전화회선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이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알수없고 데이터 통신중에도 상관없이 잘못하여 전화를 걸었다.
또 데이터 통신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 예를들면 전자메일을 수신하고 있는지, 아직 읽지않은 전자메일이 존재하는지는 전자메일 소프트웨어를 동작시켜서 표시화면의 표시에 의해 확인을 행하였다. 즉 종래의 정보처리장치에서는 예를들면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소위 파워세이브 모드(혹은 슬립모드)로한 상태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읽지않은 전자메일의 유무를 알 수 없었다.
또 축전지(배터리)로 동작하는 정보처리 장치에서는 배터리의 충전상태는 예를들면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고 그결과를 표시하는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고 표시화면의 표시에 의해 사용자가 확인을 행하였다. 즉 종래의 정보처리 장치에서는 전원스위치를 끊은상태(오프상태)로 하여 충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원을 투입(전원스위치를 온상태로)한 후 그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지 않으면 안되는바 매우 불편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장치의 여러가지 상태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는 송수화기의 온·훅 상태와 오프·훅 상태를 식별하는 훅 정보와,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다이얼정보를 송신하고, 정보처리장치는 전화기로부터의 다이얼정보에 의거해서 전화번호부를 작성하는 동시에 훅 정보에 의거해서 시계에 의해 얻어지는 통화개시 시각과 통화종료 시각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전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데이터 통신중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전화를 걸어도 데이터 통신을 정상으로 속행시킬 수 있고, 또 정보처리장치의 전원을 오프한 상태에 있어서 충전상태, 전자메일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전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화번호 관리기능을 실행하는 전화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제1도∼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전화기(10)는 예를들면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송수화기(이하 핸드셋이라 칭함)(15)과, 이용자가 다이얼하기 위한 키패드(11)를 갖추고, 사용자가 키패드(11)를 이용하여 다이얼하고, 통화로가 확립되면 핸드셋(15)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때 정보처리 장치(20)와 접속하기 위한 시리얼케이블(30)을 거쳐 핸드셋(15)의 온·훅(on hook)상태와 오프·훅(off hook)상태를 식별하는 훅정보와,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다이얼정보를 정보처리 장치(20)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정보처리 장치(20)는 수신되는 다이얼 정보에 의거해서 전화번호부를 작성하는 동시에 훅정보에 의거해서 통화개시 시각과 통화종료 시각을 수집하는 즉 통화의 기록을 취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화기(10)는 예를들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12개의 키스위치로 구성되는 상기 키패드(11)와, 이 키패드(11)로부터의 매트릭스 정보를 다이얼정보로 변화하여 다이얼 하는 동시에 다이얼 정보등을 출력하는 텔레폰회로(12)와, 이 텔레폰회로(12)로부터의 다이얼 정보등을 상기 정보처리 장치(20)로 송신하는 예를들면 소위 1칩의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MPU라고 칭함)(13)와, 상기 시리얼케이블(30)상의 데이터의 흐름(시리얼·버스)을 제어하는 버스·제어기(14)를 갖춘다.
또한 텔레폰회로(12)는 상술의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키패드(11)로부터의 매트릭스정보를 다이얼정보로 변환하는 키패드·인터페이스(이하 키패드 I/F라고 칭함)회로(12a)와, 상기 핸드셋(15)의 훅상태를 검출하여 훅정보를 출력하는 훅·스위치·인터페이스(이하 훅S/W I/F라고 칭함)회로(12b)와, 상기 키패드 I/F회로(12a)로부터의 다이얼정보에 의거해서 다이얼하는 동시에 훅정보와 다이얼정보를 상기 MPU(13)로 출력하는 다이얼회로(12c)를 갖춘다.
그리고 사용자가 핸드셋(15)을 오프·훅하면 훅 S/W I/F회로(12b)는 그것을 검출하고 온·훅 상태와 오프·훅 상태를 식별하는 훅정보를 다이얼회로(12c)에 공급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키패드(11)를 누르면 키패드 I/F회로(12a)는, 키패드(11)로부터의 매트릭스 정보를 다이얼 정보로 변환하여 다이얼 회로(12c)에 공급한다. 다이얼회로(12c)는 이 다이얼정보에 의거해서 전화회선에 대하여 예를들면 다이얼·펄스신호나 소위 MF신호등의 다이얼신호를 송출한다. 또 이다이얼회로(12c)는 훅S/W I/F회로(12b)에서 공급되는 훅정보와, 키패드 I/F회로(12a)에서 공급되는 다이얼정보를 예를들면 2개의 시리얼라인을 거쳐 MPU(13)에 공급한다.
MPU(13)는 상술의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어 프로그램등이 미리 기억되어 있는 리드·온리·메모리(이하 ROM이라 칭함)(13a)와, 이 ROM(13a)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MCU(13b)와, 제어프로그램 실행시의 데이터등을 기억하는 랜덤·액세스·메모리(이하 RAM이라 칭함)(13c)와, 상기 다이얼회로(12c)로부터의 훅정보와 다이얼정보를 수신하는 범용포트(13d)와, 훅정보와 다이얼정보를 송신하는 시리얼·패러렐·인터페이스(이하 SPI라고 칭함)회로(13e)와,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13f)를 갖춘다.
그리고 MCU(13b)는 ROM(13a)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 전화기의 각 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범용포트(13d)를 거쳐 공급되는 훅정보와 다이얼정보를 예를들면 시리얼 반2중동기 통신기능을 가지는 SPI회로(13e)를 거쳐 정보처리 장치(20)로 송신한다.
즉 예를들면 제3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스텝(ST1)에 있어서 MCU(13b)는 핸드셋(15)이 오프·훅되었는지(들어올려 졌는지)를 검출하고, 해당할때에는 스텝(ST2)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3)으로 진행한다. 즉 사용자가 예를들면 전화를 걸기 위해 핸드셋(15)을 손에 취하면 다이얼회로(12c)에 의해 범용포트(13d)의 대응한 비트가 온(예를들면 하이레벨)으로 되고 MCU(13b)는 그것을 검출한다.
스텝(ST2)에 있어서 MCU(13b)는 범용포트(13d)의 소정의 수비트에 소정의 값을 세트한후 오프·훅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SPI회로(13e)의 데이터 레지스터에 읽어 넣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즉 예를들면 쌍방항의 데이터라인과 클럭라인에 의해 SPI회로(13e)와 버스·제어기(14)가 접속되고, 범용포트(13d)의 소정의 수 비트에 소정의 값을 세트함으로써 버스·제어기(14)가 시리얼버스(5)에 대하여 출력상태로 되고 SPI회로(13e)의 데이터 레지스터에 읽어넣어진 시리얼·훅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가 정보처리장치(20)에 송신된다.
스텝(ST3)에 있어서 MCU(13b)는 핸드셋(15)이 온·훅되었는지(놓았는지)를 검출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4)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5)으로 진행한다.
즉 예를들면 통화종료후 사용자가 핸드셋(15)을 놓으면 다이얼회로(12c)에 의해 범용포트(13d)의 대응한 비트가 오프(예를들면 로우레벨)로 되고, MCU(13b)는 그것을 검출한다.
스텝(ST4)에 있어서 MCU(13b)는 상술의 스텝(ST2)과 동일하게 범용포트(13d)의 소정의 수 비트로 소정의 값을 세트한후 온·훅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SPI회로(13e)의 데이터 레지스터에 읽어넣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이결과 SPI회로(13e)의 데이터 레지스터에 읽어넣어진 온·훅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가 정보처리장치(20)에 송신된다.
스텝(ST5)에 있어서 MCU(13b)는 다이얼 되었는지를 검출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6)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즉 예를들면 사용자가 오프·훅 키패드(11)를 이용하여 다이얼하면 MCU(13b)는 범용포트(13d)를 거쳐 공급되는 다이얼 정보를 검출하고, 상술의 훅정보의 송신과 동일하게 하여 다이얼 정보를 정보처리장치(20)에 송신한다.
정보처리장치(20)는 예를들면 소형컴퓨터나 전자수첩등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예를 들면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각종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등이 미리 기억되어 있는 ROM(21)과, 이 ROM(21)에 기억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22)와, 전화번호부나 통화기록등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23)과, 상기 전화기(10)로부터의 훅정보와 다이얼정보를 수신하는 SPI회로(24)와, 시각을 얻기위한 리얼·타임·클럭(이하 RTC라고 칭함)(25)과,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실행의 결과등을 표시하기 위한 예를들면 액정패널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이하 LCD라고 칭함)(26)와, 이 LCD(26)를 제어하는 LCD제어기(27)와, 사용자가 문자등을 입력하기 위한 예를들면 타블렛(28)과, 이 타블렛(28)을 제어하는 타블렛·제어기(29)를 포함한다.
그리고 ROM(21)에는 예를들면 소위 워드·프로세싱용의 가나 한자변환 프로그램과 그를 위한 사전테이블, 손으로쓴 문자인식 프로그램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동시에 전화기(10)에서 수신되는 훅정보와 다이얼정보에 의거해서 전화번호부를 작성하고 또 통화기록을 취하는 어드레스관리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CPU(22)는 ROM(21)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실행결과(데이터)를 LCD제어기(27)에 공급하고, LCD(26)는 실행결과를 표시한다. 예를들면 타블렛(28)은 투명한 압전식이며 LCD(26)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예를들면 펜(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타블렛(28)을 가압하면 타블렛·제어기(29)는 가압된 위치의 좌표를 검출하여 얻어지는 좌표정보를 CPU(22)에 공급한다. CPU(22)는 손으로쓴 문자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그 좌표정보에 의거해서 명령(커맨드)이나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고, 손으로쓴 문자를 RAM(23)에 기억한다던지 입력된 문자(파일)를 LCD(26)에 표시한다던지 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 CPU(22)는 전화기(10)에서 수신되는 다이얼정보에 의거해서 전화번호부를 작성하는 동시에 훅정보에 의거해서 통화기록을 취한다.
구체적으로는 SPI회로(24)는 훅정보와 다이얼정보를 시리얼·버스를 거쳐 전화기(10)에서 수신하면 CPU(22)에 대하여 소위 끼어들어걸고, CPU(22)는 끼어들기가 걸리면 예를들면 제5도에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끼어들기처리를 실행한다.
즉 스텝(ST1)에 있어서 CPU(22)는 훅정보가 오프·훅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인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에는 스텝(ST2)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3)으로 진행한다.
스텝(ST2)에 있어서 CPU(22)는 오프·훅·이벤트를 등록하고 즉 예를들면 RAM(23)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오프·훅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기억하고 종료한다.
스텝(ST3)에 있어서 CPU(22)는 훅정보가 온·훅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인지를 판별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4)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5)으로 진행한다.
스텝(ST4)에 있어서 CPU(22)는 온·훅·이벤트를 등록하고 종료한다.
스텝(ST5)에 있어서 CPU(22)는 다이얼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다이얼번호 이벤트를 등록하고 종료한다.
다음에 CPU(22)는 ROM(21)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부를 작성하는 어드레스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등록된 각 이벤트에 의거해서 전화번호부를 작성하는 즉 전화번호를 RAM(23)에 기억(등록)하는 동시에 예를들면 전화번호 통화개시시각, 통화종료시각으로 구성는 통화기록을 수집하여 RAM(23)에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들면 제6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스텝(ST1)에 있어서 CPU(22)는 이벤트를 감시하고, 이벤트가 동록되어 있을때는 스텝(ST2)으로 진행한다.
스텝(ST2)에 있어서 예를들면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가 쓰여진 전화번호부의 임의의 1항인 어드레스·카드가 LCD(26)에 표시되어지고, CPU(22)는 타블렛·제어기(29)로부터의 좌표정보에 의거해서 사용자가 펜을 누르고(펜다운) 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3)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4)으로 진행한다.
스텝(ST3)에 있어서 CPU(22)는 타블렛·제어기(29)로부터의 좌표정보에 의거해서 사용자가 펜을 얹고 있는 LCD(26)의 표시영역의 선두에 문자입력 커서를 표시하는 제어를 행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예를들면 상술의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LCD(26)의 표시화면의 이름을 표시하는 이름영역(26a)에 펜을 얹으면 CPU(22)는 문자입력 커서를 이름영역(26a)의 선두에 표시한다.
스텝(ST4)에 있어서 CPU(22)는 타블렛·제어기(29)로부터의 좌표정보에 의거해서 문자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5)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6)으로 진행한다.
스텝(ST5)에 있어서 CPU(22)는 예를들면 손으로쓴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는 동시에 그 인식된 문자를 문자입력 커서가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표시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이 표시된다.
스텝(ST6)에 있어서 CPU(22)는 스텝(ST1)에 있어서의 이벤트가 오프·훅·이벤트인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7)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10)으로 진행한다.
스텝(ST7)에 있어서 CPU(22)는 RTC(25)에서 현재의 시각을 통화개시 시각으로서 읽어넣고, RAM(23)에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스텝(ST8)으로 진행한다.
스텝(ST8)에 있어서 현재 열려져(표시하여)있는 어드레스·카드의 전화번호 영역(26c)에 전화번호가 표시되어 있는지 즉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1)으로 돌아가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9)으로 진행한다.
스텝(ST9)에 있어서 CPU(22)는 전화번호 영역(26c)의 선두에 문자입력 커서를 표시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스텝(ST10)에 있어서 CPU(22)는 스텝(ST1)에 있어서의 이벤트가 온·훅·이벤트인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11)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 때는 스텝(ST14)으로 진행한다.
스텝(ST11)에 있어서 CPU(22)는 RTC(25)에서 현재의 시각을 통화종료 시각으로서 읽어넣고, RAM(23)에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스텝(ST12)으로 진행한다.
스텝(ST12)에 있어서 CPU(22)는 후술하는 스텝(ST15)에 있어서 이미 등록한 전화번호와, 후술하는 스텝(ST17)에 있어서 전화번호 영역(26c)에 표시한 전화번호가 같은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13)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스텝(ST13)에 있어서 CPU(22)는 RAM(23)에 기억한 통화개시 시각과 통화개시 시간을 전화번호 영역(26c)에 표시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기록으로서 RAM(22)에 기억하는 동시에 전화기록영역(26d)에 표시한다.
스텝(ST14)에 있어서 CPU(22)는 스텝(ST1)에 있어서의 이벤트가 다이얼번호 이벤트인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15)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18)으로 진행한다.
스텝(ST15)에 있어서 CPU(22)는 다이얼정보를 전화번호로서 RAM(23)에 기억(등록)하고, 스텝(ST16)으로 진행한다.
스텝(ST16)에 있어서 CPU(22)는 문자입력 커서가 전화번호 영역(26c)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17)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스텝(ST17)에 있어서 CPU(22)는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영역(26c)에 표시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스텝(ST18)에 있어서 CPU(22)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예를들면 생일영역(26e), 메모영역(26f)등에 문자등의 정보를 입력하고 어드레스·카드(항)를 넘기면 그 어드레스·카드상의 데이터를 RAM(23)에 기억하여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이 정보처리장치(20)에서는 사용자가 전화를 걸때마다 전화기(10)에서 보내져 오는 다이얼정보를 수신하고, 미등록의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전화를 한후에 정보처리장치에 전화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또 전화기(10)에서 보내져오는 훅정보에 의해 통화기록을 취할 수 있다.
또 이 정보처리장치(20)에서는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 소망하는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지정함으로써 지정된 전화번호를 전화기(10)에 송신하고, 전화기(10)는 그 전화번호를 다이얼하여 전화를 걸도록 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통화를 할 뿐만 아니라 전화 전의 정보처리장치에 대하여 RAM(23)에 기억되어 있는 문서등의 파일을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전화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도면 제8도∼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통신단말기(1)는 예를들면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예를들면 소위 전자수첩, 휴대형컴퓨터, 소형컴퓨터등의 정보처리장치(20)와, 전화장치(10)로 구성되고, 전화장치(10)는 이용자가 송수화기(이하 핸드셋이라칭함)(15)를 들어 올리고(소위 오프훅:off hook하고), 다이얼버튼(11)을 이용하여 다이얼한후 통화로가 확립되면 핸드셋(15)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정보처리장치(20)는 각종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실행결과 등을 소위 액정 디스플레이(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된 표시화면(이하 LCD라고 칭함)(111)에 표시하는 동시에 전화장치(10)가 접속되어 있는 소위 팁(Tip)과 링(Ring)으로 구성되는 전화회선(4)을 거쳐 전자메일등의 데이터통신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정보처리장치(20)는 LCD(111)에 표시하는 당해 정보처리장치(20)의 상태, 예를들면 데이터통신중을 나타내는 정보, 새롭게 수신된 전자메일이나 읽지않은 전자메일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 구비하는 축전지의 전류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시리얼케이블(30)을 거쳐 전화장치(10)에 출력하고, 전화장치(10)는 이들의 정보에 의거한 표시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즉 예를들면 발광다이오드(이하 LED라고 칭함)(51, 52, 53)를 점멸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전화장치(10)는 데이터통신중임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해서 정보처리장치(20)가 데이터통신을 행하고 있을때 전화회선(4)을 끊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보처리장치(20)는 예를들면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소위 OS(오퍼레이션 프로그램)나 각종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등이 기억되어 있는 리드·온리·메모리(이하 ROM이라 칭함)(112)와 이 ROM(11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앙연산장치(이하 CPU라 칭함)(113)와 데이터를 기억하는 랜덤·액세스·메모리(이하 RAM이라 칭함)(114)와, 상기 LCD(111)에 표시하는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비디오RAM(115)과, 시간을 관리하는 리얼 타임클럭(이하 RTC라고 칭함)(116)과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타블렛(이하 소위 터치스크린)(117)과, 이 터치스크린(117)을 제어하는 타블렛 제어기(118)와, 상기 LCD(111)를 제어하는 LCD 제어기(119)와,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스위치(120)와, 상기 시리얼케이블(30)을 거쳐 전화장치(10)와의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행하는 SPI(121)와, 예를들면 적외선에 의해 외부장치와의 데이터통신을 행하는 적외선 인터페이스(이하 IR이라 칭함)(122)와, 상기 전화회선(4)을 거쳐 데이터통신을 행하는 모뎀장치(123)와, 이 모뎀장치(123)와 CPU(113)의 인터페이스를 취급하는 SCI(124)와,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25)과,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26)와, 상기 마이크로폰(125)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와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로 구성되는 컨버터(127)와, 예를들면 소위 IC카드(128)등을 접속하여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능확장부(129)와, 상기 키 스위치(120)∼모뎀장치(123)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130)와, 이들의 각부에 AC어댑터(131)나 충전가능한 배터리(132)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133)를 갖춘다.
그리고 CPU(113)는 ROM(11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각종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예를들면 소위 워드프로세싱용의 가나 한자변화 프로그램 및 그것을 위한 사전테이블, 손으로쓴 입력문자의 인식 프로그램및 그것을 위한 사전테이블, 텔레비젼 수상기등을 원격조작하기위한 프로그램등을 실행하고, 그 실행결과를 LCD(111)에 표시하고, 또 전원을 오프한 상태에서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데이터, 예를들면 문서, 스케줄, 주소록등의 데이터, 사용자가 소위 학습시킨 원격조작용의 리모콘데이터등의 데이터를 RAM(114)에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즉 LCD제어기(119)는 CPU(113)의 제어에 의해 비디오RAM(115)에서 독출한 화상데이터를 LCD(111)에 공급한다. LCD(111)는 소정의 해상도 예를들면 512×342화소(픽셀)에 따른 수평방향의 512개의 전극과 수직방향의 342개의 전극을 가지는 동시에 이들의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이 구동회로는 수직방향의 342개의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순차인가하는 동시에 수평방향의 512개의 전극에 LCD제어기(119)를 거쳐 공급되는 화상데이터에 의거해서 소정의 전압을 순차 인가한다. 이 결과 LCD(111)의 각 화소가 주사되고, LCD(111)상에 표시된다. 또 이 LCD(111)는 액정표시판의 배면에서 빛을 조사하는 소위 백라이트용의 형광판, 전원회로(133)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형광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회로등도 갖추고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117)은 투명한 부재의 타블렛으로 구성되고 LCD(111)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117)에서는 이 타블렛을 투과하여 LCD(111)에 표시된 화상을 볼수있는 동시에 LCD(111)의 화면상에서의 위치정보를 예를들면 전용의 펜(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며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터치스크린(117)의 타블렛은 소정의 분해능 예를들면 상술의 LCD(111)의 해상도에 대응한 수평방향(X축)의 512개의 전극과 수직방향(Y축)의 342개의 전극을 가지는 동시에 이들의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클럭발생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이 클럭발생회로는 타블렛 제어기(118)의 제어와 동시에 수직방향의 342개의 전극및 수평방향의 512개의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순차인가하여 타블렛의 주사를 행한다. 또 펜은 그 선단에 스위치를 가지고 당해 펜을 타블렛에 가깝게 하면 타블렛과 펜의 사이에 소정의 정전용량이 형성된다. 그리고 펜을 타블렛에 누르면 펜앞의 스위치가 온하고 타블렛 제어기(118)는 스위치가 온한때의 펜과 타블렛의 전극과의 사이에 발생한 전하를 검출함으로써 펜으로 누른 위치를 검출한다. 이와같이 하여 검출된 위치정보(좌표)는 CPU(113)에 공급된다. CPU(113)는 펜이 타블렛을 누르고, 스위치가 온한(펜다운한)위치와 타블렛에서 떨어지는, 스위치가 오프한(펜업한)위치를 상시 감시하고, 펜다운으로 입력을 받아기입하고 펜업으로 입력을 확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예를들면 문자나 기호의 좌표정보가 CPU(113)에 공급되고 CPU(113)는 문자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인식하고 가나 한자변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문서등을 RAM(114)에 기억한다. 또 터치스크린(117)은 예를들면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등으로 접촉하는 깃으로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복수의 선택정보의 어느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 CPU(113)는 원격 조작하기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RAM(114)에 기억되어 있는 원격조작용의 리모콘데이터를 독출하여 시스템제어기(30)에 공급하고, 시스템제어기(130)는 리모콘데이터를 송신데이터로서 적외선 인터페이스(122)를 거쳐 텔레비젼 수상기등에 송출하고 이들의 장치를 원격조작한다.
또 CPU(113)는 컨버터(127)에 음성데이터를 공급하는 제어나 컨버터(127)에서 음성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제어를 행하고, 음성을 스피커(126)에서 출력하고 또 마이크로폰(125)으로 집음한 음성의 음성데이터를 읽어들인다.
그런데 정보처리장치(20)의 CPU(113)는 상술한 각종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더해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ROM(112)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장치(10)를 초기화하는 소프트웨어, 전화장치(10)가 접속되어 있는 전화회선(4)을 거쳐 데이터통신을 행하는 즉 예를들면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전자메일 소프트웨어, 수신한 전자메일을 RAM(114)에서 독출하여 표시하는 메일 표시소프트웨어, 배터리(132)의 충전상태를 점검하는 소프트웨어, 전화가 걸려왔을때에 특수한 링거사운드(호출음)를 울리는 소프트웨어등을 실행하는 동시에 LCD(111)에 표시하는 당해 정보처리장치(20)의 상태 즉 새롭게 수신된 전자메일이나 읽지않은 전자메일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 데이터 통신중을 나타내는 정보, 배터리(132)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화장치(10)에 표시하기 위하여 전화장치(10)의 메일LED(51), 데이터LED(52), 챠지LED(53)를 점멸하는 커맨드{이하 메일LED점등 커맨드, 데이터LED점등 커맨드, 챠지LED녹색점등 커맨드, 챠지LED(53)적색점등 커맨드라고 칭함}를 시리얼 케이블(30)을 거쳐 전화장치(10)에 출력한다. 즉 SPI(121)는 예를들면 시리얼 반2중동기 통신기능을 가지고 시스템제어기(130)에서 공급되는 각종의 커맨드를 시리얼케이블(5)내의 클럭과 데이터라인으로 구성되는 시리얼버스(5)를 거쳐 전화장치(10)에 출력한다. 또 CPU(113)는 데이터 통신중에 전화장치(10)를 전화회선(4)에서 끊는 절단커맨드, 전화장치(10)로 링거사운드가 울지않도록 하는 링거오프 커맨드등을 전화장치(10)에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적용한 전화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화장치(10)는 예를들면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12개의 키스위치로 구성되는 상기 다이얼버튼(142)과, 이 다이얼버튼(142)으로부터의 매트릭스정보를 다이얼정보를 변환하여 다이얼하는 전화블록(143)과, 상기 정보처리장치(20)로부터의 각종 커맨드에 의거해서 상기 전화블록(143)을 제어하는 예를들면 소위 1칩의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는 MCU블록(144)과, 상기 시리얼버스(5)상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버스제어기(145)와, 상기 핸드셋(15)을 들어올린것을 검출하는 훅스위치(146)와, 링거사운드를 울리는 벨(147)과, 상기 메일LED(51), 데이터LED(52), 챠지LED(53)를 갖춘다.
또 전화블록(143)은 상술의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다이얼버튼(142)으로 부터의 매트릭스정보에 의거해서 소수 톤신호나 다이얼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다이얼IC(143a)와, 전화회선(4)의 링거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벨(147)을 울리는 링거IC(143b)와, 이 전화블록(143)을 전화회선(4)에서 끊는 기능을 가지는 전화회선 접속회로(143c)를 갖춘다.
또 MCU블록(144)은 상술의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어프로그램등이 미리 기억되어 있는 ROM(144a)과, 이 ROM(144a)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MCU(144b)와, 제어프로그램 실행시의 데이터등을 기억하는 RAM(144c)과, 상기 버스제어기(145)∼메일LED(51), 데이터LED(52), 챠지LED(53)등을 제어하는 범용포트(144d)와, 상기 정보처리장치(20)에서 보내져오는 각종 커맨드등을 수신하는 SPI(144e)와,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144f)를 갖춘다.
그리고 사용자가 핸드셋(15)을 들어올리면 MCU(144b)는 훅스위치(146)가 오프훅한 것을 범용포트(144d)를 거쳐 검출하고, 이 전화장치(10)가 전화회선(4)에 접속되도록 즉 다이얼IC(143a), 링거IC(143b)가 전화회선(4)에 접속되도록 전화회선접속회로(143c)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다이얼버튼(142)을 누르면 다이얼IC(143a)는 다이얼버튼(142)으로부터의 매트릭스정보를 예를들면 소위 MF신호나 다이얼펄스신호등의 다이얼신호로 변환하고, 전화회선 접속회로(143c)을 거쳐 전화회선(4)에 송출한다. 그리고 통화로가 확립되면 사용자는 핸드셋(115)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다.
또 이 전화장치(10)에서는 상술한 보통의 전화기의 기능에 더해서 정보처리장치(20)에서 공급되는 각종커맨드에 의해 메일LED(51)∼챠지LED(53)의 점멸, 링거IC(143b), 전화회선 접속회로(143c)의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MCU(144b)는 범용포트(144d)를 거쳐 버스제어기(145)를 제어하고, 시리얼버스(5)상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SPI(144e)는 예를들면 시리얼 반2중 동기 통신기능을 가지고 정보처리장치(20)에서 공급되는 각종의 커맨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커맨드를 MCU(144b)에 공급한다.
MCU(144b)는 예를들면 메일LED점등 커맨드를 수신하면 범용포트(144d)를 거쳐 메일LED(51)를 점등하고, 데이터LED점등 커맨드를 수신하면 데이터LED(52)를 점등하고, 챠지LED녹색점등 커맨드나 챠지LED적색점등 커맨드를 수신하면 챠지LED(53)를 녹색이나 적색으로 점등한다. 즉 챠지LED(53)는 녹색의 발광다이오드와 적색의 발광다이오드를 갖추고 있다. 또 MCU(144b)는 절단커맨드를 수신하면 다이얼IC(143a), 링거IC(143b)가 전화회선(4)에서 끊어지도록 전화회선 접속회로(143c)를 제어하고, 링거오프 커맨드를 수신하면 벨(147)에서 링거사운드가 울리지 않도록 링거IC(143b)를 제어한다. 또 MCU(144b)는 타이머(144f)에 의해 주기적으로 SPI(144e)를 거쳐 정보처리장치(20)에 끼어들어 걸고 정보처리장치(20)에 상술의 각종커맨드의 송신을 요구한다.
다음에 상술의 전화장치(10)를 초기화하는 소프트웨어, 전자메일 소프트웨어 등을 실행한때 정보처리장치(20)및 전화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정보처리장치(20)에 있어서 전화장치(10)를 초기화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한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소프트웨어는 전원스위치를 온으로 한때 이 정보처리장치(20)를 전화장치(10)에 접속한때, 전원온 상태에 있어서 전화장치(10)의 접속을 검출한때에 실행되고, CPU(113)는 각종의 커맨드를 전화장치(10)에 송출한다.
즉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텝(ST1)에 있어서 CPU(113)는 배터리(132)가 내장되어 있는지를 검출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2)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으면 스텝(ST5)으로 진행한다.
스텝(ST2)에 있어서 CPU(113)는 배터리(132)의 전압을 읽어넣고 이 전압에 의거해서 배터리(132)의 충전상태를 조사하고 완전히 충전되어 있을때는 스텝(ST3)으로 진행하고, 충전되어 있지 않을때는 스텝(ST4)으로 진행한다. 즉 전원회로(133)는 AC어댑터(131)나 배터리(132)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이 정보처리장치(20)에서 필요하게 되는 전압 예를들면 +36볼트, +5볼트, +3.3볼트, 3볼트로 변화하는 동시에 배터리(132)를 충전하고, 또 배터리(132)의 전압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CPU(113)는 전원회로(133)에서 검출된 전압에 의거해서 배터리(132)의 충전상태를 조사한다.
스텝(ST3)에 있어서 CPU(113)는 완전히 충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챠지LED녹색점등 커맨드를 전화장치(10)에 송신하고, 스텝(ST5)으로 진행한다.
스텝(ST4)에 있어서 CPU(113)는 완전히 충전되어 있지 않은것을 나타내는 챠지LED적색점등 커맨드를 전화장치(10)에 송신하고, 스텝(ST5)으로 진행한다.
스텝(ST5)에 있어서 CPU(113)는 읽지않은 전자메일의 유무를 조사하고 읽지않은 전자메일이 있을때는 스텝(ST6)으로 진행하고, 없을때는 스텝(ST7)으로 진행한다.
스텝(ST6)에 있어서 CPU(113)는 메일LED점등 커맨드를 전화장치(10)에 송신하고, 스텝(ST7)으로 진행한다.
스텝(ST7)에 있어서 예를들면 사용자가 키스위치(120)등을 이용하여 특별한 링거를 울리는 모드를 설정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그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때는 스텝(ST8)으로 진행하고, 설정되어 있지 않을때는 종료한다.
스텝(ST8)에 있어서 CPU(113)는 링거오프 커맨드를 전화장치(10)에 송신하고 종료한다.
다음에 전자메일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때의 정보처리장치(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CPU(113)는 전자메일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예를들면 전자메일을 송신할때는 RAM(114)에 기억되어 있는 전문등의 데이터(파일)를 독출하여 SCI(124)에 공급한다. SCI(124)는 예를들면 비동기시리얼 통신기능을 가지고 RAM(114)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시리얼데이터로서 모뎀장치(123)에 공급하는 동시에 모뎀장치(123)를 제어하는 명령(커맨드)을 보낸다. 모뎀장치(123)는 시리얼데이터에 소정의 변조를 실시하여 전화회선(4)에 출력한다. 또 CPU(113)는 전자메일의 수신시에 모뎀장치(123)에서 복조되어 얻어지는 데이터를 SCI(124)를 거쳐 RAM(114)에 기억하는 동시에 이 전자메일의 전문을 LCD(111)에 표시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전자메일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는 때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전화를 걸어서 데이터통신이 실패하지 않도록 이 정보처리장치(20)에서는 제12도에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전자메일의 송수신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SPI(121), 시리얼케이블(30)을 거쳐 전화장치(10)에 보낸다. 즉 사용자가 전자메일을 써서 송신상대방에 보내는 것을 고를때나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자동적으로 혹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앞으로 메일이 모내졌는지 아닌지를 조사할때에 실행된다.
스텝(ST1)에 있어서 CPU(113)는 데이터 통신중인것을 나타내는 데이터LED점등 커맨드를 전화장치(10)에 송신하고, 스텝(ST2)으로 진행한다.
스텝(ST2)에 있어서 CPU(113)는 전화장치(10)를 전화회선(4)에서 끊는 절단커맨드를 전화장치(10)에 송신하고, 스텝(ST3)으로 진행한다.
스텝(ST3)에 있어서 CPU(113)는 모뎀장치(123)를 오프훅 상태로 제어하고, 스텝(ST4)으로 진행한다.
스텝(ST4)에 있어서 CPU(113)는 전자메일의 기지국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스텝(ST5)으로 진행한다.
스텝(ST5)에 있어서 CPU(113)는 기지국과의 회선이 확립했는지를 검출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6)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9)으로 진행한다.
스텝(ST6)에 있어서 CPU(113)는 전자메일의 송신 혹은 수신을 행하고, 스텝(ST7)으로 진행한다.
스텝(ST7)에 있어서 CPU(113)는 전자메일을 수신하였는지를 판정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8)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9)으로 진행한다.
스텝(ST8)에 있어서 CPU(113)는 메일LED점등 커맨드를 전화장치(10)에 송신하고, 스텝(ST9)으로 진행한다.
스텝(ST9)에 있어서 CPU(113)는 모뎀장치(123)를 온훅 상태로 제어하고, 스텝(ST10)으로 진행한다.
스텝(ST10)에 있어서 CPU(113)는 데이터 통신이 종로하고 데이터LED(52)를 소등하는 데이터LED 소등커맨드를 전화장치(10)에 송신하고, 스텝(ST11)으로 진행한다.
스텝(ST11)에 있어서 CPU(113)는 전화장치(10)를 전화회선(4)에 접속하는 접속커맨드를 전화장치(10)에 송신하고, 전자메일의 송신 혹은 수신처리를 종료한다.
또 예를들면 사용자가 전자메일을 수신한것으로 알고 전자메일을 읽는조작을 행하면 CPU(113)는 제13도에 나타내는 읽지않은 전자메일을 독출하여 표시하는 메일표시 소프트웨어를 기동한다.
즉 스텝(ST1)에 있어서 CPU(113)는 전자메일의 파일을 RAM(114)에서 독출하여 LCD(111)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메일을 읽기 끝내기 조작을 행함과 스텝(ST2)으로 진행한다.
스텝(ST2)에 있어서 CPU(113)는 읽지않은 전자메일의 유무를 조사하고, 읽지않은 전자메일이 없을때는 스텝(ST3)으로 진행하고 있을때는 종료한다.
스텝(ST3)에 있어서 CPU(113)는 읽지않은 전자메일이 없는것을 나타내는 메일 LED소등 커맨드를 전화장치(3)에 송신하고 종료한다.
다음에 배터리(132)의 충전상태를 조사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때의 정보처리장치(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CPU(113)는 전원이 오프상태에 있어서 즉 소위 슬립모드에 있어서 RTC(116)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타이머 끼어들기에 동기하여 제14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원회로(133)로 검출된 전압에 의거해서 배터리(132)의 충전상태를 전화장치(10)에 송신한다.
즉 스텝(ST1)에 있어서 CPU(113)는 배터리(132)가 내장되어 있는지를 검출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2)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종료한다.
스텝(ST2)에 있어서 CPU(113)는 전원회로(133)에서 배터리(132)의 전압을 읽어넣고 이 전압에 의거해서 완전히 충전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3)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종료한다.
스텝(ST3)에 있어서 완전히 충전되어 있는것을 나타내는 챠지LED녹색점등 커맨드를 전화장치(3)에 송신하고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20)의 전원스위치를 하나하나 온으로 하지 않아도 배터리(132)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전화가 걸렸을때에 특수한 링거사운드를 울리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때의 정보처리장치(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사용자가 특별의 링거사운드를 정보처리장치(20)로 울리는지 울리지않는지를 설정한때에 이 소프트웨어는 실행된다.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텝(ST1)에 있어서 CPU(113)는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20)로 링거사운드를 울리도록 설정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2)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3)으로 진행한다.
스텝(ST2)에 있어서 CPU(113)는 전화장치(10)로 링거사운드를 울리지않는것을 나타내는 링거오프 커맨드를 송신하고 종료한다. 또 이때 CPU(113)는 예를들면 모뎀장치(123)로 링거신호가 검출되면 스피커(126)에서 특별한 링거사운드를 울리게 한다.
스텝(ST3)에 있어서 C7U(113)는 전화장치(10)로 링거사운드를 울리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링거온 커맨드를 전화장치에 송신하고 종료한다.
여기서 상술한 정보처리장치(20)에서 전화장치(10)에 송신하는 각종 커맨드의 포맷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커맨드는 예를들면 2바이트로 구성되고 상위 1 바이트(이하 종류바이트라고 칭함)가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중류를 표시하고 하위 1바이트(이하 내용바이트라고 칭함)가 제어내용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들면 종류바이트가 『M』을 표시하는 코드일때 이 커맨드는 메일LED 커맨드이며 내용바이트가 『1』로 메일LED(51)를 점등하는 것을 표시하고, 『0』으로 소등하는 것을 표시한다.
또 예를들면 종류바이트가 『D』를 표시하는 코드일때 이 커맨드는 데이터LED 커맨드이며 내용바이트가 『1』로 데이터LED(52)를 점등하는 것을 표시하고, 『0』으로 소등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들면 종류바이트가 『C』를 표시하는 코드일때 이 커맨드는 챠지LED 커맨드이며 내용바이트가 『1』로 챠지LED(53)를 녹색으로 점등하는 것을 표시하고, 『2』로 챠지LED(53)를 적색으로 점등하는 것을 표시하고, 『0』으로 소등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들면 종류바인트가 『L』을 표시하는 코드일때 이 커맨드는 전화장치(10)의 전화회선(4)에의 접속커맨드이며 내용바이트가 『1』로 전화장치(10)와 전화회선(4)을 접속하는 것을 표시하고, 『0』으로 그 접속을 절단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들면 종류바이트가 『R』을 표시하는 코드일때 이 커맨드는 링거커맨드이며 내용바이트가 『1』로 링거사운드를 울리게 하는 것을 표시하고, 『0』으로 링거사운드를 울지않게 하는것을 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정보처리장치(20)의 동작에 대응하는 전화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제16도에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전화장치(10)의 MCU(144b)는 SPI(144e)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항상 감시하고 있고 스텝(ST1)에 있어서 메일LED점등 코맨드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2)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3)으로 진행한다.
스텝(ST2)에 있어서 MCU(144b)는 메일LED(51)를 점등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이 결과 사용자는 정보처리장치(20)의 전원을 넣는다던지 전자메일 소프트웨어를 기동시키지 않고 예를들면 정보처리장치(20)를 전화장치(10)에 접속함으로써 읽지않은 메일이 있는것을 전화장치(10)의 표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스텝(ST3)에 있어서 MCU(144b)는 메일LED점등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4)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5)으로 진행한다.
스텝(ST4)에 있어서 MCU(144b)는 메일LED를 소등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이 결과 사용자는 정보처리장치(10)의 전원스위치를 넣는다던지 전자메일 소프트웨어를 기동시키지 않고 예를들면, 정보처리장치(20)를 전화장치(10)에 접속함으로써 읽지않은 전자메일이 없는것을 전화장치(10)의 표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스텝(ST5)에 있어서 MCU(144b)는 데이터LED점등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6)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7)으로 진행한다.
스텝(ST6)에 있어서 MCU(144b)는 메일LFD점등 커맨드를 점등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정보처리장치(20)가 데이터 통신중인것을 전화장치(10)의 표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스텝(ST7)에 있어서 MCU(144b)는 데이터LED소등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8)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9)으로 진행한다.
스텝(ST8)에 있어서 MCU(144b)는 메일LED점등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이 결과 사용자는 정보처리장치(20)가 데이터 통신을 행하지 않는것을 전화장치(10)의 표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스텝(ST9)에 있어서 MCU(144b)는 메일LED녹색점등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10)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11)으로 진행한다.
스텝(ST10)에 있어서 MCU(144b)는 메일LED(53)를 녹색으로 점등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이 결과 사용자는 정보처리장치(20)의 전원스위치를 넣지않고 예를들면 정보처리장치(20)에서의 RTC(116)에 의한 끼어드는 처리에 의해 정보처리장치(20)의 배터리(132)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는것을 전화장치(10)의 표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스텝(11)에 있어서 MCU(144b)는 챠지LED 적색점등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12)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13)으로 진행한다.
스텝(ST12)에 있어서 MCU(144b)는 챠지LED(53)를 적색으로 점등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이 결과 사용자는 정보처리장치(20)의 전원스위치를 넣지않고 정보처리장치(20)의 배터리(132)가 충전되어 있지 않는것을 전화장치(10)의 표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스텝(ST13)에 있어서 MCU(144b)는 챠지LED소등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14)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15)으로 진행한다.
스텝(ST14)에 있어서 MCU(144b)는 챠지LED(53)를 소등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스텝(ST15)에 있어서 MCU(144b)는 접속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16)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17)으로 진행한다.
스텝(ST16)에 있어서 MCU(144b)는 이 전화장치(10)를 전화회선(4)에 접속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스텝(ST17)에 있어서 MCU(144b)는 절단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18)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19)으로 진행한다.
스텝(ST18)에 있어서 MCU(144b)는 이 전화장치(10)를 전화회선(4)에서 끊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이 결과 데이터 통신중에 사용자가 전화를 잘못하여 걸어도 데이터 통신을 정상으로 계속할 수 있다.
스텝(ST19)에 있어서 MCU(144b)는 링거온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20)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21)으로 진행한다.
스텝(ST20)에 있어서 MCU(144b)는 링거IC(143b)로 링거신호가 검출된때에 벨(147)이 울리도록 링거IC(143b)를 제어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스텝(ST21)에 있어서 MCU(144b)는 링거오프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해당할때는 스텝(ST22)으로 진행하고, 해당하지 않을때는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스텝(ST22)에 있어서 MCU(144b)는 벨(147)이 울리지 않도록 링거IC(143b)를 제어하고, 스텝(ST1)으로 돌아간다. 이 결과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20)로 링거사운드가 울리도록 설정한때는 전화장치(10)로 링거사운드가 울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양편의 링거사운드가 울려서 시끄러운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20)와 전화장치(10)를 시리얼케이블(30)로 접속하였으나 예를들면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화장치(60)에 접속용의 커넥터(61, 62)와 정보처리장치(70)를 재치하는 재치부(63)를 설치하는 동시에 정보처리장치(70)에 상기 커넥터(61, 62)에 대향하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정보처리장치(70)를 재치부(63)에 재치하는 소위 플랙·인 구조로 함으로써 시리얼케이블(30)을 소거하여도 좋다.
또한 전화장치(10)와 정보처리장치(20)를 일체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케이블이나 커넥터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구성이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예를들면 전화의 다이얼을 터치스크린상에서 행함으로써 사용의 편의도 향상한다.

Claims (8)

  1. 외부의 전화장치와 접속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접속수단을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동작상태에 관한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접속수단을 통하여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전화장치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장치의 송신수단으로부터 다이얼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다이얼정보에 따라서 전화번호부를 작성하는 작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외부의 전화장치와 접속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접속수단을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동작상태에 관한 상태정보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제어처리단계와, 상기 접속수단을 통하여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전화장치에 출력하는 출력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장치의 송신수단으로부터 다이얼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처리단계와, 상기 수신처리단계에서 수신된 다이얼정보에 의거하여 전화번호부를 작성하는 전화번호부 작성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외부의 정보처리장치와 접속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는 전화장치로서,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접속수단을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동작상태에 관한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접속수단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송수화기의 온 훅 상태와 오프 훅 상태를 식별하는 훅 정보와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다이얼정보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
  7. 외부의 정보처리장치와 접속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는 전화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접속수단을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동작상태에 관한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처리단계와, 상기 접속수단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제어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송수화기의 온 훅 상태와 오프 훅 상태를 식별하는 훅 정보와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다이얼정보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송신하는 송신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40016134A 1993-07-09 1994-07-06 전화시스템및원거리통신방법 KR100306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70198 1993-07-09
JP17019893A JPH0730623A (ja) 1993-07-09 1993-07-09 電話機及び情報処理装置
JP93-252303 1993-09-14
JP5252303A JPH0787221A (ja) 1993-09-14 1993-09-14 電話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通信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852A KR950004852A (ko) 1995-02-18
KR100306864B1 true KR100306864B1 (ko) 2001-11-30

Family

ID=2649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134A KR100306864B1 (ko) 1993-07-09 1994-07-06 전화시스템및원거리통신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12645A (ko)
EP (1) EP0633683B1 (ko)
KR (1) KR100306864B1 (ko)
DE (1) DE6943206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7394B1 (it) * 1995-07-28 1997-11-10 Origini Di Barbaglia Dr Giorgi Apparecchiatura per la trasmissione e la ricezione dati tramite la rete telefonica pubblica
DE19724927A1 (de) * 1997-06-12 1998-12-17 Jean Denis Rochat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von Daten
FR2792147A1 (fr) * 1999-04-06 2000-10-13 Raoul Parienti Systeme de transmission de donnees numeriques et vocales connecte a un poste telephonique et configure par cartes a puce
EP1196854B1 (en) * 1999-07-16 2003-04-02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itstream
ITSS990009U1 (it) * 1999-12-07 2000-03-07 Giuseppe Baldino Agenda elettronica telefonica 2000
MXPA02010248A (es) 2000-04-17 2004-08-12 Wiederin Shawn E Metodo para cobrar servicios de asistencia de direccion en linea.
AU2000277977A1 (en) * 2000-10-11 2002-04-22 Bernard Dias Digital and voice data transmission system connected to a telephone extension and configured by smart cards
US6681004B2 (en) 2001-03-22 2004-01-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elephone memory aid
FR2834165B1 (fr) * 2001-12-24 2004-07-09 France Telecom Systeme et procede d'assistance a l'etablissement d'une liaison telephonique utilisant une reference telephonique affichee sur un ecran
KR100485692B1 (ko) * 2002-09-12 2005-04-27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Lcd가 구비된 ip 단말기의 보조입력 시스템을 이용한 통화중 보조입력 및 정보교환방법
JP4495500B2 (ja) 2004-03-30 2010-07-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Ip電話機及びip電話通話方法
KR100787202B1 (ko) * 2006-10-27 2007-1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CN101951432A (zh) * 2010-08-30 2011-01-1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在通信录中增加联系人信息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2546890B (zh) * 2010-12-28 2015-03-11 ***通信集团公司 信息检测方法及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0550A2 (en) * 1990-04-02 1991-10-09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electronic notebook and telephone exchange related to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449A (ja) * 1983-02-03 1984-08-17 Sharp Corp デ−タ伝送処理装置
US4524244A (en) * 1983-08-05 1985-06-18 Cygnet Technologies, Inc. Digital and voic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JPS619079A (ja) * 1984-06-25 1986-01-16 Oki Electric Ind Co Ltd フアクシミリ送信方式
CA1253625A (en) * 1985-03-25 1989-05-02 William H. Putnam Personal computer note-taking facility
US4656657A (en) * 1985-10-15 1987-04-07 Richard Hunsicker Telephone monitoring device
DE3607684A1 (de) * 1986-03-08 1987-09-17 Telefonbau & Normalzeit Gmbh Fernsprechapparat, beispielsweise reihenapparat
US5093857A (en) * 1986-10-17 1992-03-03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for selected data and speech communication
US4821107A (en) * 1987-01-26 1989-04-1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Multi-functional imaging apparatus
JPH0831935B2 (ja) * 1987-09-21 1996-03-27 国際電信電話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
US4852153A (en) * 1988-03-18 1989-07-25 Jerry R. Iggulden Single line master telephone with FAX connection
DE68918534T2 (de) * 1988-08-02 1995-03-23 Canon Kk Informationsverarbeitungseinrichtung.
US4924493A (en) * 1988-09-19 1990-05-08 Ibm Corporation Method for monitoring call setup communications
FR2641093B1 (ko) * 1988-12-23 1994-04-29 Alcatel Business Systems
US5119414A (en) * 1989-07-18 1992-06-02 Canon Kabushiki Kaisha Key telephone system reading dialing information from a portable memory card
JPH07121023B2 (ja) * 1989-11-13 1995-1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ードレス電話機
US5136637A (en) * 1990-06-22 1992-08-04 Rolm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redialing of telephone numbers
DE69128506T2 (de) * 1990-09-05 1998-04-23 Canon Kk Medienverbundkommunikationsanordnung und Verfahren
US5317630A (en) * 1990-09-10 1994-05-31 At&T Bell Laboratories Interface for a data telephone and data terminal in a digital telephone system
US5327486A (en) * 1993-03-22 1994-07-05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elecommunications such as telephone cal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0550A2 (en) * 1990-04-02 1991-10-09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electronic notebook and telephone exchange related to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32066T2 (de) 2003-11-20
DE69432066D1 (de) 2003-03-06
EP0633683A2 (en) 1995-01-11
KR950004852A (ko) 1995-02-18
EP0633683A3 (en) 1997-06-18
EP0633683B1 (en) 2003-01-29
US5812645A (en) 1998-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0893A (en) Telephone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06864B1 (ko) 전화시스템및원거리통신방법
KR100621811B1 (ko) 손목-시계무선전화기
US8855722B2 (en) Integrated handheld computing and telephony device
US5797089A (en) Personal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switches which independently energize a mobile tele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N1201621C (zh) 移动终端设备和功率控制方法及记录其程序的存储媒介
JP3421359B2 (ja) 電話メモ装置
US6128372A (en) Extension device for telephone
KR0165197B1 (ko) 휴대형개인정보통신단말기
JPH0964959A (ja) 携帯端末
KR19980074223A (ko) 시각장애자용 통신단말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0756412A2 (e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means of the public telephone system
EP0745963A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hand-written image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writing
KR20000073578A (ko) 스마트폰
KR20010044106A (ko) 실시간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전화기
JP3138268B2 (ja) 自動ダイヤル発信方法及び自動ダイヤル発信装置
JP3227609B2 (ja) 携帯用データ送受信装置
KR950003320B1 (ko) 마이컴을 이용한 전화기 시스템
JP3138267B2 (ja) 自動ダイヤル装置及び自動ダイヤル方法
JPH01200759A (ja) 電子メール送信制御方式
CN2443551Y (zh) 智能网络电话的主控装置
KR940017632A (ko) 다기능 스마트카드 전화기 시스템
CA2230924C (en) Personal communications terminal
JP2000004281A (ja) 電話メモ作成方法
JPH09116643A (ja) 筆談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