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869B1 - 전자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869B1
KR100301869B1 KR1019990001225A KR19990001225A KR100301869B1 KR 100301869 B1 KR100301869 B1 KR 100301869B1 KR 1019990001225 A KR1019990001225 A KR 1019990001225A KR 19990001225 A KR19990001225 A KR 19990001225A KR 100301869 B1 KR100301869 B1 KR 100301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aterial
iron core
coil
wing
secondary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954A (ko
Inventor
노부토키카즈히로
키타히로유키
니시무라카즈아키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67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0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72Polarised relays comprising rockable armature, rocking movement around central axis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armature
    • H01H51/2281Contacts rigidly combined with armature
    • H01H51/229Blade-spring contacts alongside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코일의 점적율(占積率)을 높임과 동시에, 절연성을 높인 전자계전기를 제공한다.
절연성의 날개부(2, 2)는 거의 ㄷ자모양의 철심(1)의 양단에 일체로 성형된다. 돌출부(2a, 2a)는 날개부(2, 2)의 단면에서 철심(1)의 표면을 따라서 돌출 설치되어 있고, 날개부(2, 2) 사이의 철심(1)의 부위에 절연테이프(3)가 테이핑된다. 절연테이프(3)의 양단부는 돌출부(2a, 2a)와 오버랩하여 있고, 날개부(2, 2) 사이의 철심(1)의 부위는 돌출부(2a) 및 절연테이프(3)에 의해 완전하게 덮여져 있다. 코일(4)은 날개부(2, 2) 사이의 철심(1)의 부위에 절연테이프(3)의 위로부터 감겨지고, 철심(1)과 코일(4)의 사이는 돌출부(2a) 및 절연테이프(3)에 의해 완전하게 절연된다.

Description

전자계전기{RELAY}
본 발명은 전자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전자계전기로서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직육면체 모양의 중앙부재(1c)의 양끝에서 측부재(1a, 1a)가 같은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어 거의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철심(1)의 양단부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날개부(2, 2)를 일체로 성형한 후,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부(2, 2)사이의 철심(1)의 부위에 절연테이프(3)를 테이핑하여 보빈블럭(A)을 형성하고, 날개부(2, 2)사이의 철심(1)의 부위에 코일(4)을 절연테이프(3)의 위로부터 감아 코일블럭을 형성한 것이 있었다.
절연테이프(3)는 철심(1)과 코일(4)과의 사이의 절연을 완전하게 확보함과 동시에, 보빈블럭(B)의 단면적을 작게 하여 코일(4)의 점적율(占積率)을 높일 목적으로 날개부(2, 2)사이의 코일(4)이 감겨지는 철심(1)의 부위에 테이핑되어 있다. 여기에서, 철심(1)에 절연테이프(3)를 테이핑할 때는, 날개부(2, 2)사이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절연테이프(3)를 절단하여 절연테이프(3)를 철심(1)에 감아 붙이면, 날개부(2, 2)사이의 철심(1)의 부위 전체를 빈틈없이 덮을 수 있지만, 테이핑의 작업성을 고려하면, 절연테이프(3)의 치수를 날개부(2, 2)사이의 치수보다 짧은 치수로 절단하여 철심(1)에 감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때문에 테이핑 후에 날개부(2, 2)와 절연테이프(3)의 사이에 빈틈(G)이 생기고, 이 빈틈(G)으로부터철심(1)이 노출하여 철심(1)과 코일(4) 사이의 절연을 완전하게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도 8의 (c)∼(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부(2)와 절연테이프(3)의 빈틈(G)을 절연성의 보호 날개부(20)로 막은 보빈블럭(A)이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다. 이 보빈블럭(A)은 거의 직육면체 모양의 중앙부재(1c)의 양단에서 측부재(1a, 1a)가 같은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어 거의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철심(1)의 양단부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날개부(2, 2)를 일체로 성형하고, 날개부(2, 2) 사이의 치수보다도 짧은 치수로 절단된 절연테이프(3)를 날개부(2, 2) 사이의 철심(1)의 부위에 테이핑한 후, 중앙부재(1c)가 돌출하는 날개부(2)의 단면에 거의 ㄷ자 모양의 절연성의 보호 날개부(20)를 장착하여 형성되고, 그 후, 보호 날개부(20, 20)사이의 철심(1)의 부위에 절연테이프(3)의 위로부터 코일(4)을 감는다. 이와 같이, 날개부(2)와 절연테이프(3)와의 사이의 빈틈(G)이 보호 날개부(20)로 막혀 있기 때문에, 철심(1)과 코일(4)의 절연을 완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전자계전기에 사용하는 보빈 블럭(A)에서는 철심(1)과 코일(4)의 사이를 완전하게 절연하기 위해 날개부(2)와 절연테이프(3) 사이의 빈틈(G)을 막는 보호 날개부(20)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보호 날개부(20)의 단면적만큼 코일(4)의 단면적이 감소하여 코일(4)의 점적율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호 날개부(20)를 별도의 부품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보빈 블럭(A)의 부품개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또 보호 날개부(20)의 치수만큼 보빈 블럭(A)이 크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코일의 점적율이 높고, 소형이며 고절연인 전자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의 (a)∼(c)는 실시형태 1의 전자계전기의 보빈블럭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실시형태 1의 전자계전기의 코일블럭을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도 3의 (a)∼(c)는 실시형태 1의 전자계전기의 몸체블럭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실시형태 1의 전자계전기의 분해사시도,
도 5의 (a)∼(c)는 실시형태 1의 전자계전기의 다른 보빈블럭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실시형태 1의 전자계전기의 절연파괴의 경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실시형태 2의 전자계전기에 사용되는 몸체블럭의 단면도,
도 8의 (a)∼(e)는 종래의 전자계전기에 사용되는 보빈블럭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철심,2날개부,
2a돌출부,3절연테이프,
4코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철심과, 철심의 양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날개부와,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를 덮는 절연테이프와,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에 감겨진 코일과, 코일로의 통전(通電)에 의해 개폐하는 접점부를 구비한 전자계전기에 있어서, 코일이 감겨지는 철심 부위의 일부를 덮는 돌출부를 날개부에 돌출 설치하고, 절연테이프를 돌출부까지 덮고 있고, 양 날개부에 돌출설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를 절연테이프로 덮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철심과 코일의 사이를 절연테이프와 돌출부로 완전하게 절연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돌출부에 대응하는 철심의 부위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돌출부의 표면을 철심의 표면과 거의 동일한 면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철심의 표면에서 돌출부가 돌출 설치하여 있는 경우에 비해 돌출부의 단면적만큼 코일의 단면적을 늘릴 수 있어, 코일의 점적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적어도 철심, 철심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날개부로 이루어지는 보빈블럭과, 보빈블럭에 감겨진 코일과, 적어도 보빈블럭과 코일을 2차 성형재료로 밀봉하여 형성된 몸체블럭과,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개폐하는 접점부를 구비하고, 날개부를 성형하는 1차 성형재료의 융점보다도 2차 성형재료의융점을 높게 하고 있으며, 2차 성형 재료의 성형시에 1차 성형재료의 표면이 녹아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가 녹아붙기 때문에,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의 사이에 빈틈을 발생시키지 않고,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1차 성형재료가 PBT 또는 PCT중 어느 하나이고 2차 성형재료가 액정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안정된 성형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1차 성형재료가 저융점의 액정폴리에스테르이고 2차 성형재료가 고융점의 액정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로 동일한 성질의 성형재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시의 장기적인 온도변화에 따라서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의 사이에 발생하는 열스트레스 등이 저감되고,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의 밀착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철심, 철심의 양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날개부,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를 덮는 절연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보빈블럭과,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에 감겨진 코일과, 적어도 보빈블럭과 코일을 2차 성형재료로 밀봉하여 형성된 몸체블럭과,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개폐하는 접점부를 구비하고, 코일이 감겨지는 철심의 부위의 일부를 덮는 돌출부를 날개부에 돌출 설치하고 절연테이프를 돌출부까지 씌움과 동시에, 날개부를 성형하는 1차 성형재료의 융점보다도 2차 성형재료의 융점을 높이고 있고, 양 날개부에 돌출설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를 절연테이프로 덮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철심과 코일의 사이를 절연테이프와 돌출부로 완전하게 절연할 수 있다. 또, 1차 성형재료의 융점보다도 2차 성형재료의 융점을 높게 하고 있기 때문에, 2차 성형재료의 성형시에 1차 성형재료의 표면이 녹아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가 녹아붙으므로,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의 사이에 빈틈을 발생시키지 않고,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 1차 성형재료가 PBT 또는 PCT중 어느 하나이고, 2차 성형재료가 액정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안정된 성형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 1차 성형재료가 저융점의 액정폴리에스테르이고, 2차 성형재료가 고융점의 액정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로 같은 성질의 성형재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시의 장기적인 온도변화에 의해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의 사이에 발생하는 열스트레스 등이 저감되고,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의 밀착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의 전자계전기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직육면체 모양의 중앙부재(1c)의 양단에서 측부재(1a, 1a)가 같은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어 거의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철심(1)의 양단부에 합성수지(1차 성형재료)로 이루어지는 날개부(2, 2)가 일체로 성형되고, 날개부(2)의 주면에서 철심(1)의 자극으로 되는 측부재(1a)가 드러난다.날개부(2, 2)의 단면(端面)에는 각각, 날개부(2, 2) 사이의 코일(4)이 감겨지는 철심(1)의 부위의 일부를 덮는 돌출부(2a, 2a)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돌출부(2a, 2a)를 포함하는 날개부(2, 2) 사이의 철심(1)의 부위에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pps 등의 재질의 절연테이프(3)를 테이핑하여 보빈블럭(A)이 형성되고, 날개부(2, 2) 사이의 철심(1)의 부위에 절연테이프(3)의 위로부터 코일(4)을 감는다. 또한, 돌출부(2a)의 두께는 얇고, 날개부(2, 2)의 사이의 철심(1)의 부위 전체에 수지를 둘러 돌출부(2a)를 형성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날개부(2, 2)의 사이의 철심(1)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덮는 돌출부(2a)를 각각 날개부(2)에 돌출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절연테이프(3)는 날개부(2, 2) 사이의 치수보다도 짧고, 또 절연테이프(3)의 양단이 돌출부(2a, 2a)까지 오버랩하는 치수로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핑작업의 작업성이 악화하지 않고, 날개부(2, 2) 사이의 철심(1)의 부위를 돌출부(2a) 및 절연테이프(3)로 빈틈 없이 덮을 수 있고, 철심(1)과 코일(4)의 사이를 완전하게 덮을 수 있다. 또한, 철심(1)이 노출하는 빈틈을 없애기 위해 보호날개부(20)를 장착하는 경우에 비해 보호날개부(20)의 단면적만큼 코일(4)의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코일(4)의 점적율이 향상하고, 또 보호날개부(20)를 별도의 부재로 설치하지 않으므로 부품개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일은 없고, 또 보호날개부(20)분 만큼 보빈블럭(A)을 소형화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블럭(A)에 코일(4)을 감아 코일블럭을 형성한 후, 철심(1)의 자극(磁極)으로 되는 측부재(1a, 1a)의 사이에 영구자석(5)을 끼워 전자석블럭(B)이 형성된다. 영구자석(5)은 철·니켈·코발트의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압연가공에 의해 거의 판모양으로 형성된다. 후술하는 접극자(接極子)블럭(D)과 대향하는 영구자석(5)의 표면에는 길이방향에서의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접극자(11)에 근접하도록 경사진 경사면(52, 52)이 형성되고, 표면중앙부에는 접극자블럭(D)을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저면이 평탄한 오목부(5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영구자석(5)을 철심(1)의 양 측부재(1a) 사이로 위치 결정하는 조절기구(도시생략)가 맞닿는 영구자석(5)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표면이 평탄한 평탄면(54, 5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영구자석(5)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는 같은 극으로 착자(着磁)되고, 중앙부가 다른 자극으로 착자되어 있다. 즉, 양단부가 N극(S극)이면, 중앙부가 S극(N극)으로 되도록 착자되어 있다.
이 영구자석(5)을 철심(1)의 양 측부재(1a, 1a) 사이에 장착할 때는 조절기구의 누름부에서 영구자석(5)의 평탄면(54, 54)을 각각 누르고, 날개부(2, 2)에 각각 돌출 설치된 눌러 찌부러뜨리는 돌기(21)를 영구자석(5)의 하면에서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영구자석(5)을 철심(1)의 양 측부재(1a, 1a) 사이에 위치결정하고, 영구자석(5)의 단면(端面)과 철심(1)의 양 측부재(1a, 1a)를 레이저용접 등에 의해 녹여 붙여, 영구자석(5)을 양 날개부(2, 2)에 고착하여 전자석 블럭(B)이 형성된다.
또 전자석 블럭(B)은 베이스에 고착부재(8)가 형성된 공통접점 단자판(7a)과, 베이스에 고정접점(9)이 형성된 고정접점 단자(7b)와, 코일(4)에 통전을 행하는 코일단자(7c)와 함께 합성수지(2차 성형재료)로 몰드되어, 몸체블럭(C)으로서일체로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블럭(C)에는 접극자블럭(D)이 영구자석(5)과 대향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접극자블럭(D)은 평판 모양으로 형성된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접극자(11)와, 선단부에 고정접점(9)과 붙고 떨어지는 가동접점(13)이 형성됨과 동시에, 접극자(11)의 양 옆쪽에 설치된 접점스프링(12)과, 접극자(11) 및 접점스프링(12)과 함께 일체로 성형된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부(15)로 구성된다. 접극자(11)의 영구자석(5)과 대향하는 면에는 접극자(11)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단면이 거의 반원형인 지점(支点)돌기(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접점스프링(12)은 도전성의 판스프링으로 되고, 접극자(11)의 양측에서 접극자(11)의 요동방향에서 접극자(11)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각 접점스프링(12)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는 거의 U자 모양의 힌지스프링부재(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힌지스프링부재(14)의 선단부를 고착부재(8)에 녹여붙이는 것에 의해, 2개의 접점스프링(12)이 각각 2개의 공통접점단자(7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힌지스프링부재(14)의 선단부를 고착부재(8)에 녹여붙이는 것에 의해 접극자(11)의 지점돌기가 영구자석(5)의 오목부(53)과 맞닿아 접극자(11)가 영구자석(5)의 오목부(53)에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됨과 동시에, 접극자(11)의 양단부가 각각 철심(1)의 양 측부재(1a, 1a)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접극자(11)의 요동에 의해 접점스프링(12)에 형성된 가동접점(13)이 고정접점(9)과 붙고 떨어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 힌지스프링부재(14)는 접극자(11)가 철심(1)의 한쪽의 자극(측부재(1a))에 흡인될 때 발생하는 휨에 의해접극자(11)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작용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몸체블럭(C)에 접극자블럭(D)을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상태에서, 하면이 뚫린 상자모양으로 형성된 케이스(17)를 몸체블럭(C)에 덮어씌워 전자계전기가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에, 몸체블럭(C)에 몰드된 공통접점 단자판(7a) 및 고정접점 단자(7b)와 접극자블럭(D)으로 접점부가 구성된다.
이 전자계전기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전자계전기에서는 코일(4)로의 통전이 행해지면, 자화의 방향에 따라서 접극자(1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철심(1)의 한쪽의 측부재(1a)(자극)에 흡인되어 접극자블럭(D)이 요동하고, 철심(1) →접극자(11) →영구자석(5) →철심(1)의 닫힌 자로(閉磁路)가 형성되고, 접점스프링(12)의 선단부에 설치된 가동접점(13)중 요동중심보다도 철심(1)의 측부재(1a)로 흡인된 측에 있는 가동접점(13)이 몸체블럭(C)의 고정 접점(9)과 접촉하고, 상기 흡인된 측과 반대측에 있는 가동접점(13)이 고정접점(9)과 해리(解離)한다. 이 상태에서 코일(4)로의 통전이 정지되면, 영구자석(5)의 자력에 의해 상기 닫힌 자로가 그대로 유지되고, 접극자(11)의 단부가 철심(1)의 한쪽의 측부재(1a)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 코일(4)로의 통전방향을 역방향으로 하면, 접극자(11)는 철심(1)의 다른 쪽의 측부재(1a)에 흡인되고, 고정접점(9)에 접촉하고 있던 가동접점(13)은 해리하고, 반대측의 가동접점(13)이 고정접점(9)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도 코일(4)로의 통전을 정지한 후, 영구자석(5)의 자력에 의해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소위 쌍안정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한 설명은 쌍안정형의 경우에 대해서 행했지만 단안정형의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전자계전기에 있어서, 도 5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부(2)의 돌출부(2a)에 대응하는 철심(1)의 표면에 깊이치수가 돌출부(2a)의 두께치수와 거의 동일한 오목부(1b)를 형성해도 좋고, 철심(1)의 양단부에 날개부(2, 2)를 일체로 성형하면, 오목부(1b)내에 합성수지가 유입하여 오목부(1b)내에 돌출부(2a)가 형성된다. 이 때, 돌출부(2a)의 표면은 철심(1)의 표면과 거의 동일한 면, 또는 그보다도 낮게 되어 있어 돌출부(2a)가 철심(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보빈블럭(A)에 비해 돌출부(2a)의 단면적만큼 코일(4)의 단면적이 증가하여 코일(4)의 감은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코일(4)의 점적율이 더욱 향상한다. 또, 코일(4)을 균일하게 감을 수 있다.
(실시형태 2)
상기한 전자계전기에서는 철심(1)이나 외부접속용 단자(7a∼7c) 등과 코일(4)을 절연하기 위해, 전자석 블럭(B)과 단자(7a∼7c)를 2차 성형재료(23)로 몰드하여 몸체블럭(C)을 형성하고 있지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관상은 코일(4)이 2차 성형재료(23)에 의해 완전하게 밀봉되어 있어도, 보빈블럭(A)의 1차 성형재료(22)와 몸체블럭(D)의 2차 성형재료(23)의 밀착성이 나쁜 경우, 1차 성형재료(22)와 2차 성형재료(23)의 사이에 미소한 빈틈(24)이 발생하고 이 미소한 빈틈(24)을 통해 절연파괴가 발생하여, 철심(1)과 코일(4) 사이나 코일블럭(A)과 단자(7a∼7c) 사이를 완전하게 절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종래는 내환경특성(耐環境特性) 등을 고려하여 1차 성형재료(22) 및 2차 성형재료(23)로 같은 재료를 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1차 성형재료(22) 및2차 성형재료(23)로 동일한 재료를 사용한 경우, 1차 성형재료(22) 및 2차 성형재료(23)의 열팽창계수가 동일하므로, 장기간의 온도변화에 의해 1차 성형재료(22)와 2차 성형재료(23)의 사이에 열스트레스 등이 발생하지 않고, 1차 성형재료(22)와 2차 성형재료(23)의 사이의 밀착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1차 성형재료(22)와 2차 성형재료(23)의 밀착도의 신뢰성이 높게 된다. 하지만, 1차 성형재료(22)와 2차 성형재료(23)로 동일한 재료를 사용한 경우, 양자의 융점이 동일하므로 2차 성형재료(23)의 성형시에 1차 성형재료(22)와 2차 성형재료(23)가 서로 융착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1차 성형재료(22)와 2차 성형재료(23)의 사이에 미소한 빈틈(24)이 발생하고 이 미소한 빈틈(24)이 절연파괴경로로 되어, 철심(1)이나 단자(7a∼7c)와 코일(4)의 사이를 완전하게 절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전자계전기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블럭(A)의 날개부(2)를 성형하는 1차 성형재료(22)와, 몸체블럭(C)을 몰드하는 2차 성형재료(23)로 융점이 다른 성형재료를 사용하고 있고, 예컨대 1차 성형재료(22)로 융점이 약 220℃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융점이 약 290℃인 폴리염화트리페닐(PCT)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2차 성형재료(23)로서 융점이 약 330℃인 액정폴리에스테르(LCT)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자계전기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공통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1차 성형재료(22)보다도 융점이 높은 성형재료를 2차 성형재료(23)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전자석 블럭(B) 및 단자(7a∼7c)를 2차 성형재료(23)로 몰드할 때, 2차 성형시의 가열온도에서 1차 성형재료(22)의 표면이 녹기 때문에, 1차 성형재료(22)와 2차 성형재료(23)가 녹아 붙고, 1차 성형재료(22)와 2차 성형재료(23)의 사이에 미소한 빈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철심(1)이나 단자(7a∼7c)와 코일(4)과의 사이를 확실하게 절연할 수 있다.
또한, 1차 성형재료(22)로서 저융점의 액정폴리에스테르(예컨대, 반방향족(半芳香族) 액정폴리에스테르 등)를 사용하고, 2차 성형재료(23)로서 고융점의 액정폴리에스테르(예컨대 전방향족(全芳香族) 액정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경우, 1차 성형재료(22)와 2차 성형재료(23)의 성질이 같기 때문에, 장기간의 환경변화가 발생하여도 1차 성형재료(22)와 2차 성형재료(23)의 사이에 열스트레스 등이 발생하지 않고, 1차 성형재료(22)와 2차 성형재료(23)의 밀착성이 손상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1차 성형재료(22)와 2차 성형재료(23)의 밀착도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은 철심과, 철심의 양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날개부와,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를 덮는 절연테이프와,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에 감긴 코일과,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개폐하는 접점부를 구비한 전자계전기에 있어서, 코일이 감긴 철심의 부위의 일부를 덮는 돌출부를 날개부에 돌출설치하고 절연테이프를 돌출부까지 덮고 있으며, 양 날개부에 돌출 설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를 절연테이프로 덮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철심과 코일의 사이를 절연테이프와 돌출부로 완전하게 절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계전기와 같이 철심과코일과의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보호날개부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보호날개부의 단면적만큼 코일의 권선(卷線)을 증가시킬 수 있어, 코일의 점적율이 향상한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부품개수의 증가에 의해 비용증가가 된다든지, 보빈블럭이 크게 되지 않고, 소형이고 고절연인 전자계전기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돌출부에 대응하는 철심의 부위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돌출부의 표면을 철심의 표면과 거의 동일한 면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철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부가 돌출하여 있는 경우에 비해 돌출부의 단면적만큼 코일의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코일의 점적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적어도 철심, 철심의 양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날개부로 이루어지는 보빈블럭과, 보빈블럭에 감긴 코일과, 적어도 보빈블럭과 코일을 2차 성형재료로 밀봉하여 형성된 몸체블럭과,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개폐하는 접점부를 구비하고, 날개부를 성형하는 1차 성형재료의 융점보다도 2차 성형재료의 융점을 높게 하고 있으며, 2차 성형재료의 성형시에 1차 성형재료의 표면이 녹아서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가 녹아붙기 때문에,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의 사이에 빈틈이 발생하지 않아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1차 성형재료가 PBT 또는 PCT 중 어느 하나이고, 2차 성형재료가 액정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안정된 성형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1차 성형재료가 저융점의 액정폴리에스테르이고 2차 성형재료가고융점의 액정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로 같은 성질의 성형재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시의 장기적인 온도변화에 의해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의 사이에 발생하는 열스트레스 등이 저감되어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의 밀착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철심, 철심의 양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날개부와,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를 덮는 절연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보빈블럭과,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에 감긴 코일과, 적어도 보빈블럭과 코일을 2차 성형재료로 밀봉하여 형성된 몸체블럭과,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개폐하는 접점부를 구비하고, 코일이 감긴 철심의 부위의 일부를 덮는 돌출부를 날개부에 돌출 설치하고, 절연테이프를 돌출부까지 덮음과 동시에, 날개부를 성형하는 1차 성형재료의 융점보다도 2차 성형재료의 융점을 높이고 있고, 양 날개부에 돌출 설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를 절연테이프로 덮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철심과 코일의 사이를 절연테이프와 돌출부로 완전하게 절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종래의 전자계전기와 같이 철심과 코일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보호날개부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보호 날개부의 단면적만큼 코일의 권선을 증가시킬 수 있어, 코일의 점적율이 향상한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부품개수의 증가에 의해 비용증가로 된다든지 보빈블럭이 크게 되는 것 없이, 소형이고 고절연인 전자계전기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1차 성형재료의 융점보다도 2차 성형재료의 융점을 높게 하고 있기 때문에, 2차 성형재료의성형시에 1차 성형재료의 표면이 녹아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가 녹아 붙기 때문에,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의 사이에 빈틈이 발생하지 않고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1차 성형재료가 PBT 또는 PCT중 어느 하나이고 2차 성형재료가 액정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안정된 성형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1차 성형재료가 저융점의 액정폴리에스테르이고 2차 성형재료가 고융점의 액정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로 같은 성질의 성형재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시의 장기적인 온도변화에 의해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의 사이에 발생하는 열스트레스 등이 저감되어 1차 성형재료와 2차 성형재료의 밀착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철심과, 철심의 양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날개부와, 양 날개부 사이의 철심의 부위를 덮는 절연테이프와,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에 감긴 코일과,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개폐하는 접점부를 구비한 전자계전기에 있어서, 코일이 감긴 철심의 부위의 일부를 덮는 돌출부를 날개부에 돌출 설치하고, 절연테이프를 돌출부까지 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부에 대응하는 철심의 부위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돌출부의 표면을 철심의 표면과 거의 동일한 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3. 적어도 철심, 철심의 양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날개부로 이루어지는 보빈블럭과, 보빈블럭에 감긴 코일과, 적어도 보빈블럭과 코일을 2차 성형재료로 밀봉하여 형성된 몸체블럭과,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개폐하는 접점부를 구비하고, 날개부를 성형하는 1차 성형재료의 융점보다 2차 성형재료의 융점을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1차 성형재료가 PBT 또는 PCT중 어느 하나이고, 2차 성형재료가 액정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5. 제 3 항에 있어서,
    1차 성형재료가 저융점의 액정폴리에스테르이고, 2차 성형재료가 고융점의 액정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6. 철심, 철심의 양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날개부,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를 덮는 절연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보빈블럭과, 양 날개부의 사이의 철심의 부위에 감긴 코일과, 적어도 보빈블럭과 코일을 2차 성형재료로 밀봉하여 형성된 몸체블럭과,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개폐하는 접점부를 구비하고, 코일이 감기는 철심의 부위의 일부를 덮는 돌출부를 날개부에 돌출 설치하고, 절연테이프를 돌출부까지 씌움과 동시에, 날개부를 성형하는 1차 성형재료의 융점보다도 2차 성형재료의 융점을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1차 성형재료가 PBT 또는 PCT중 어느 하나이고, 2차 성형재료가 액정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8. 제 6 항에 있어서,
    1차 성형재료가 저융점의 액정폴리에스테르이고, 2차 성형재료가 고융점의액정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KR1019990001225A 1998-01-27 1999-01-18 전자계전기 KR100301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14571A JPH11213837A (ja) 1998-01-27 1998-01-27 電磁継電器
JP98-14571 1998-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954A KR19990067954A (ko) 1999-08-25
KR100301869B1 true KR100301869B1 (ko) 2001-09-26

Family

ID=1186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225A KR100301869B1 (ko) 1998-01-27 1999-01-18 전자계전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14068A (ko)
EP (1) EP0932179A3 (ko)
JP (1) JPH11213837A (ko)
KR (1) KR100301869B1 (ko)
CN (1) CN1129934C (ko)
CA (1) CA2258411C (ko)
ID (1) ID21659A (ko)
TW (1) TW3899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7170A1 (en) * 1999-11-08 2002-05-16 Albert Anthony Skinner Ignition coil
CN100361252C (zh) * 2005-05-19 2008-01-09 厦门宏发电声有限公司 一种电磁继电器的线圈部件
JP4803206B2 (ja) * 2008-04-24 2011-10-2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リレー用電磁石
JP4888525B2 (ja) * 2009-06-17 2012-02-29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CN104112628B (zh) * 2014-07-30 2016-08-24 浙江正泰接触器有限公司 接触器线圈骨架及具有其的抽屉式接触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4933A (ja) * 1989-01-31 1990-08-14 Nec Corp 電磁継電器
JPH05314885A (ja) * 1992-04-02 1993-11-26 Nec Corp 電磁継電器
JPH06162900A (ja) * 1992-11-25 1994-06-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継電器
JPH09204867A (ja) * 1996-01-26 1997-08-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有極リレ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0420A (en) * 1936-10-31 1939-11-21 Western Electric Co Insulated spool for electromagnets
US3043994A (en) * 1957-10-11 1962-07-10 Anderson Controls Inc Encapsulated coil and method of making
GB964864A (en) * 1962-03-06 1964-07-22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coi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5440285A (en) * 1991-04-22 1995-08-08 Omron Corporation Closed type electromagnetic relay
US5374308A (en) * 1993-05-27 1994-12-20 Kirkpatrick; William D. Blended hydraulic cement for both general and special applications
JPH08203722A (ja) * 1995-01-26 1996-08-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イ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4933A (ja) * 1989-01-31 1990-08-14 Nec Corp 電磁継電器
JPH05314885A (ja) * 1992-04-02 1993-11-26 Nec Corp 電磁継電器
JPH06162900A (ja) * 1992-11-25 1994-06-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継電器
JPH09204867A (ja) * 1996-01-26 1997-08-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有極リレ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2179A3 (en) 2000-04-05
ID21659A (id) 1999-07-08
KR19990067954A (ko) 1999-08-25
JPH11213837A (ja) 1999-08-06
US6014068A (en) 2000-01-11
CN1224913A (zh) 1999-08-04
CA2258411C (en) 2003-05-20
TW389925B (en) 2000-05-11
CA2258411A1 (en) 1999-07-27
EP0932179A2 (en) 1999-07-28
CN1129934C (zh)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5194B2 (en) Switching device
EP1592037B1 (en) Electromagnetic relay
EP1174896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154627B1 (ko) 전자 계전기
US20160012996A1 (en) Electromagnetic relay
EP0100165B1 (en) Transfer-type electromagnetic relay
KR100452659B1 (ko) 전자기 구동 장치 및 전자기 릴레이
KR100301869B1 (ko) 전자계전기
JPH0346728A (ja) 電磁継電器
JP2005183554A (ja) コイルブロック
CN115910692A (zh) 电磁继电器
EP1103997A2 (en) High frequency relay
CA2058376C (en) Miniature electromagnet assembly and relay with the miniature electromagnet assembly
US4539543A (en) Core structure for an electromagnetic relay
JPS6315692B2 (ko)
JP2626252B2 (ja) 電磁継電器
JP3251965B2 (ja) リレーの構造
CN116153714A (zh) 一种干簧继电器机芯及干簧继电器
CN115910691A (zh) 电磁继电器
JPH10162710A (ja) 電磁リレ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0992A (ja) 電磁継電器
JPH1145627A (ja) 接点構造および開閉器
JPS5925331B2 (ja) 有極電磁継電器
JPS61116729A (ja) 有極電磁継電器
JPH09204867A (ja) 有極リ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