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808B1 -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808B1
KR100300808B1 KR1019960032547A KR19960032547A KR100300808B1 KR 100300808 B1 KR100300808 B1 KR 100300808B1 KR 1019960032547 A KR1019960032547 A KR 1019960032547A KR 19960032547 A KR19960032547 A KR 19960032547A KR 100300808 B1 KR100300808 B1 KR 100300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film
amorphous silicon
catalytic element
gas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401A (ko
Inventor
순페이 야마자끼
히사시 오타니
Original Assignee
순페이 야마자끼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953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90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259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9073B2/ja
Application filed by 순페이 야마자끼,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순페이 야마자끼
Publication of KR97001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808B1/ko

Links

Landscapes

  • Recrystallisation Technique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우수한 결정질 특성을 갖는 결정질 실리콘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비정질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촉매 금속을 첨가하는 방법에 의해 특징 지워진다. 촉매 원소는 증기 또는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흡착되므로, 가열 결정화시에 촉매 원소를 사용함으로써 저온에서 짧은 시간의 결정화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부분압을 제어함으로써, 흡착 상태가 1의 피복율을 갖는 단분자층 흡착으로 될 때, 균일성이 우수한 결정질 실리콘막이 얻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다결정 실리콘막, 단결정 실리콘막, 및 미세 결정 실리콘막등의 결정질 실리콘 반도체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여 제조된 결정질 실리콘막은 각종 반도체 디바이스들에 사용된다.
박막 반도체를 사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이하 TFT라 함)는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이 트랜지스터는 박막 반도체, 특히 기판 상에 형성된 실리콘 반도체막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TFT들은 여러 가지 종류의 집적 회로에 사용된다. 특히, 이들은 활성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의 각각의 화소마다 설치된 스위칭 소자, 또는 주변 회로부 상에 형성된 구동 소자로서 주의를 끌어왔다.
TFT용으로 사용된 실리콘막으로서, 비정질 실리콘막을 사용하는 것이 쉽다. 그러나, 이것의 전기적 특성은 반도체 집적 회로용으로 사용되는 단결정 반도체의 경우보다 훨씬 열등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그 용도는 활성 매트릭스 회로 등의 스위칭 소자에만 제한되었었다. TFT의 특성들은 결정질 실리콘 박막을 사용하여 개선될 수 있다. 단결정 실리콘 이외의 결정질 실리콘은 다결정 실리콘, 폴리실리콘, 미세 결정 실리콘 등으로 부르고 있다. 이러한 결정질 실리콘막은 먼저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하고, 이어서 가열(열 어닐링)함으로서 결정화되어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은 비정질 상태가 고체 상태를 유지하면서 결정 상태로 변하기 때문에 고상 (solid phase) 성장 방법이라고 한다.
그러나, 실리콘의 고상 성장은 600℃ 정도의 가열 온도 및 10분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기판으로서 저렴한 유리 기판을 사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활성형 액정 디바이스용으로 사용된 코닝 7059 유리는 593℃의 유리 변형점을 갖고 있어, 600℃ 정도의 열 어닐링을 수행함에 있어 기판 면적의 확장을 고려할 때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니켈 또는 팔라듐, 또는 납과 같은 원소의 소량이 비정질막의 표면상에 증착되고 이어서 그 막이 가열될 때, 결정화는 550℃에서 그리고 약 4시간의 처리 시간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소량의 원소(결정화를 가속화시키는 촉매 원소)는 촉매 원소 또는 그 화합물의 코팅막을 스퍼터링으로 증착함으로서 도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원소가 대량으로 반도체 내에 존재할 경우, 이러한 반도체를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신뢰성 및 전기적 안전성이 손상되며, 이것은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막이 스퍼터링에 의해서 형성되면, 양, 즉 두께를 정밀하게 제어하기가 어렵다. 또한 기판 상에 균일한 두께를 갖는 막을 얻기는 더욱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이하여 얻어진 반도체 디바이스들의 특성들은 균일하지 않다.
더욱이, 막이 스퍼터링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 비정질 실리콘막은 스퍼터링의 충격에 의해 상당히 손상되므로, 상기와 같이하여 얻어진 반도체 디바이스들의 특성들은 당연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스퍼터링 대신에 스핀 코팅과 같은 수단으로 코팅막을 형성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스핀 코팅 방법은 균일한 코팅막을 얻는 데 난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같이 직사각형의 기판에서는 모서리에 용액이 모이기 쉬워, 막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다. 더욱이, 촉매 원소 화합물로 된 코팅막을 생성하도록 용제가 건조되는 경우, 불균일한 건조 또는 결정 핵의 발생으로 인하여, 막 두께가 고르지 못하게 되므로 반도체 디바이스들의 특성들이 고르지 못하게 된다.
촉매 원소를 사용하는 통상의 고상 성장 방법의 경우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결정질 박막 실리콘 반도체를 제조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1) 촉매 원소의 트레이스(trace)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과, (2) 촉매 원소를 균일하게 도입할 수 있게 하는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3) 촉매 원소가 도입되는 경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촉매 원소를 갖는 증기 또는 가스가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흡착되고, 상기 흡착된 촉매 원소를 사용하여 저온 결정화가 행해진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은 다음의 기본 특징들을 갖는다.
(a) 비정질 실리콘막 내의 촉매 원소의 농도는 표면상에 흡착된 촉매 원소의 양에 의해서 결정된다. 표면상의 흡착된 촉매 원소의 양은 표면으로의 촉매 원소의 흡착 속도와 표면으로부터 분리 속도간 비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기판 온도 및 전체 압력이 일정한 경우, 그 양은 증기 상태로 촉매 원소를 함유하는 증기 또는 가스의 화학적 전위에 의해서, (본 발명에서는 부분압에 의해서) 유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b) 표면상으로의 흡착 단계 동안, 극히 균일한 코팅막이 표면상에 형성된다.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증기나 가스의 부분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3종류의 흡착층, 즉 완전 단분자 흡착층(피복률=1), 1미만의 피복율을 갖는 단분자 흡착층, 및 복수의 분자층들로 구성된 다층 흡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완전 단분자 흡착층의 영역에서, 넓은 평탄한 영역은 시간 변화 및 작은 부분압 변화에 관련하여 얻어지므로, 제어 특성이 매우 높다.
(c) 흡착 현상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막은 대체로 현저하게 낮은 에너지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비정질 실리콘막은 다른 스퍼터링 또는 증착(evaporation) 방법과 비교하여 전혀 손상을 받지 않는다.
제1a도 내지 제1e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원자층의 흡착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단분자층의 흡착 단계들에서 사용된 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단분자층의 흡착 단계들에서 사용된 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4a도 내지 제4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원자층의 흡착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제5a도 내지 제5e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성장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제6a도 내지 제6e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정 성장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제7a도 내지 제7f도는 TFT 제조 단계들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의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제8a도 내지 제8f도는 TFT 제조 단계들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의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흡착 공정의 모델을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분자층의 흡착 단계들에 사용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기판 12, 302, 402 : 실리콘 산화막
13, 23, 53, 303, 403 : 비정질 실리콘막 21, 51, 401 : 유리 기판
22 : 실리콘 산화막 54 : 유기 금속
101, 201, 600 : 챔버 202 : 광원
204 : 히터 308 : 게이트 전극
601, 604 : 증발기
본 발명에서, 촉매 원소를 첨가하기 위해서 많은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한 특징이다. 예를 들면, 일군의 수용성 염을 선택한 경우, 이들은 순수한 물에서 용해되며, 이어서 아르곤 같은 운반 가스에 의해서 거품이 일어, 그에 따라 챔버 내로 이송된다. 증기압은 용해제의 온도 및 운반 가스의 유량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유기 용매에서 용해 가능한 화합물의 경우에도 그와 유사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휘발성 염 일부 및 일군의 유기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은 융점이 낮고 그들 자신이 어느 정도의 증기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챔버 내에 도입된 촉매 원소의 양(부분압)은 상기 화합물들의 가열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제어될수 있다. 이러한 유기 금속 재료의 예로서, 촉매 원소로서 니켈이 사용되는 경우, 비스사이클로펨타디어닐니켈, 즉 Ni(C5H2)2(이하 BCP 니켈 또는 BCP 염이라함), 비스메칠사이클로펜타디에닐니켈, 즉 Ni(CH3C5H4)2(이하 BMCP 니켈 또는 BMCP 염이라 함), 비스-(2, 2, 6, 6-테트라메칠-3, 5-합타네디오노-니켈, 즉 Ni(C11H19O2)2)이 사용될 수도 있다.
BCP 니켈의 융점은 173 내지 174℃이며, 90℃ 및 130℃에서의 증기압은 각각 0.4 Torr 및 0.6Torr이다. BMCP 니켈은 34℃의 융점을 가지며, 90℃ 및 130℃에서의 증기압은 각각 1.6 Torr 및 15 Torr 이다.
이들 유기 금속의 흡착에 의해 얻어진 코팅막은 촉매 원소가 도입될 영역에서의 비정질 실리콘막 상에 직접 증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은 매우 활성적이며 쉽게 산화된다. 따라서, 표면 상태 또는 흡착상태가 평탄하지 못한 경향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반대로, 100Å 정도의 얇은 산화막이 먼저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형성되며, 이어서 코팅막이 산화막 상에 증착된다. 이 방법은 유기 금속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촉매 원소가 용해제의 거품에 의해 도입되는 경우, 이 방법 역시 표면상에 작은 접촉 각도를 갖는 균일한 코팅막을 얻는데 효과적이다.
촉매 원소 또는 그 화합물의 코팅막을 선택적으로 증착함으로써, 결정 성장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마스크막이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특정 부분들에서만,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을 실제적으로 노출되게 한다. 마스크막에 필요한 두께는 마스크막의 재료에 따라 다르다. 실리콘 산화물의 경우, 500Å 정도의 두께면 충분하다. 어떤 경우에는, 그것은 보다 얇게 될 수도 있다. 막의 질은 막의 두께보다 더 중요하다. 본 발명의 흡착 현상을 사용하는 촉매 첨가 방법에서 단차 피복성은 단분자 수준에 있기 때문에, 핀홀 등이 있음으로서 해서 촉매가 내부에 쉽게 도달하지 않도록 주의를 필요로한다. 따라서, 품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촉매원소를 포함하는 코팅막을 증착함으로써, 촉매 원소가 비정질 실리콘막의 특정 부분들 내에 도입된다.
이 경우, 결정 성장은 코팅막이 증착되는 영역으로부터 실리콘막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촉매 원소나 그 화합물의 코팅막이 도입되지 않는 영역쪽으로 진행할 수 있다. 실리콘막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결정 성장이 수행되는 영역은 본 명세서에서 횡방향 결정 성장 영역으로 언급될 것이다.
이러한 횡방향 결정 성장 영역에서, 촉매 원소의 농도는 낮음이 확인되었다. 반도체 디바이스의 활성층 영역으로서, 결정질 실리콘막을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활성층 영역 내의 촉매 원소의 농도가 낮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바이스 형성시, 횡방향 결정 성장 영역을 사용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활성층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유용하다. 그러나, 종래의 촉매 원소의 첨가 방법은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코팅막의 선택적인 증착에앞서 사진식각 단계가 수행되어야 하는 결점을 가지므로, 공정은 복잡하게 된다. 그러나,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금속 화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이들 재료는 자외광에 의해 쉽게 분해된다. 그러므로, 자외광은 단분자 흡착층의 형성 후에 그대로 남아 있을 부분에만 조사되고, 이에 의해서 이러한 물질을 분해하도록 하며, 이어서 분해되지 않은 유기 금속 화합물은 유기 용매에 의해서 정화되고, 용이하게 유사한 구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라도, 열 결정화 단계는 그 다음의 사진식각 단계(일반적으로 돌기부 형성)보다 먼저 수행되므로, 기판의 수축과 같은 문제가 능히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횡방향 결정 성장을 선택함에 있어 이러한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음 단계들에 의해서 실현된다.
(1) 기판을 챔버 내에 두고, 기판의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제어한다.
(2) 비정질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증기 또는 가스를 챔버 내로 도입하고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흡착되게 한다.
(3) 필요하다면,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흡착된 촉매 원소는, 촉매 원소 또는 그 화합물의 코팅막이 기판 표면상에 형성되도록 열 또는 광에 의해 분해된다.
(4)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은 열처리되어 이에 의해서 결정화된다.
이들 단계들 중에서, 단계 (2)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은 실리콘 산화막이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되고, 비정질 실리콘막이 위에 형성되며, 접촉각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이 UV/오존에 의해서 약 10Å만큼 산화된 샘플을 사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모델은 부분압과 SPC 후의 촉매 금속 농도간 관계로부터 취해진 것이다. 수직축의 단위(ML)는 단일층, 즉 단위는 단분자층을 의미한다. 원재료는 보통의 압력이나 감압의 챔버 내에 놓여지고, 이어서 촉매 금속을 포함하는 증기나 가스가 공급된다. 증기나 가스의 부분압이 낮을 때, 이들 분자들은 샘플의 표면상에 부분적으로 흡착되어 상태 (A)가 얻어진다. 이것은 1 미만의 피복율을 갖는 단분자 흡착층에 대응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태는 증기 또는 가스의 부분압의 변화에 민감하다. 그러므로, 이 상태는 확실히 제어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부분압이 증가될 때, 영역 (B)가 얻어지며, 이 영역에서 촉매 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이 샘플의 전면 상에 균일하게 흡착된다. 이 영역은 완전 단분자 흡착층(피복율=1)에 해당되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ALE 윈도우라 칭한다. 물론, 모든 경우의 흡착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으로 되지 않는다. 이경우, 접촉각을 개선하기 위해서 UV/오존으로 약 10Å만큼 샘플의 표면을 산화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흡착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즉, 일단 흡착된 분자들위에 그 다음 분자들이 흡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UV/오존에 의해서 형성된 산화막 상에 분자들이 흡착되는 것이 에너지와 관련하여 보다 이점이 있다. 따라서, 영역 (B)는 비교적 넓은 영역에 걸쳐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분자층 흡착을 높이기 위해서, 분자 표면상의 이동은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온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기술된 부분압 제어 및 온도 제어에 의해서만, ALE 윈도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원재료 가스의 유속을 대폭 증가시킴으로써 단원자층만이 흡착될 수 있는 상태를 만드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얻어진 단분자 흡착층은 기본적으로 일정의 포화 영역이므로, 부분압의 변화, 막 성장(흡착) 시간의 변화 등에 민감하지 않다. 따라서, 큰 마진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부분압을 더 증가시키는 경우, 포화 특성이 깨져, 이미 흡착된 분자들에 그 다음 분자들이 흡착되기 시작한다(상태 C). 도 9의 모델에서, 부분압이 더 증가되는 경우, 상기 도면은 2의 피복율을 갖는 평탄 영역(D)이 다시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도면은 절대적으로 모델에 기초하고 있는 것으로, 제 2 층 및 그 다음 층들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미세 평탄 영역이 얻어질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균일한 흡착의 경우와 수직 파일링(piling)으로의 흡착의 경우간 에너지 차이가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역(B)가 영역 (D) 대신으로 사용될 때 공정 마진은 여전히 크다. 더 두껍게 증착해야 할 경우(즉, 촉매 원소의 첨가량이 증가되야 할 경우), 가열 단계와 같은 흡착된 화합물의 분해 단계를 개재시켜 영역 (B)의 형성을 여러번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위해서 단계 (3)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흡착 및 분해 단계에서의 분위기는 감압 또는 대기압이 될 수 있다. 감압의 경우, LPCVD와 같은 구조를 갖는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대기압의 경우, APCVD(상압 CVD)에서와 같은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은 온도 및 원재료에 의해서 결정된다. 흡착 및 재분리가 거의 균형을 이루어 넓은 ALE 윈도우를 취하게 된 영역이 사용된다면 그것은 적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감압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수율 및 비용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대기압에 가까운 영역에서 넓은 ALE 윈도우가 취해질 수 있도록 원재료 및 온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3) 동안이나 단계 (3) 이후에 증착된 촉매 원소를 계면에서 비정질 실리콘과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을 형성하는 것이 유용하다. 생성물이 이전에 형성되면, 그 다음의 열 결정화 단계에서 결정화를 수행하기가 보다 쉽게 될 수 있다. 비록 그 이유가 명백하지 않지만, 이러한 생성물은 결정화 핵으로서 작용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단계 (4)에 관하여, 챔버로부터 기판을 취한 후에, 열처리가 또다른 어닐링 장치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동일 챔버 내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4) 후에, 레이저 광 같은 강한 광의 조사를 수행하면, 고상 성장으로 완전하게 결정화되지 않았던 부분들을 결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우수한 특성들을 갖는 결정질 실리콘이 얻어질 수 있다. 사용되는 레이저에 관하여는, 여러 종류의 엑시머 레이저가 용이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가장 현저한 효과는 촉매 원소로서 니켈이 사용되는 경우에 얻어질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촉매 원소들의 종류로서, Pd, Pt, Cu, Ag, Au, In, Sn, P, As, Sb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VIII 그룹 원소, IIIb, IVb, 및 Vb 원소들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원소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이 실시예에서, 결정질 실리콘막은 유리 기판의 전체 표면상에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촉매 원소(니켈이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다)의 도입부터 결정화까지의 단계들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코닝 7059 유리가 기판으로서 사용되었다. 그 크기는 100mmX100mm이다.
먼저, 실리콘 산화막(12)이 스퍼터링 방법 또는 플라즈마 CVD 방법에 의해서 기판(11) 상에 형성되었다. 실리콘 산화막(12)의 두께는 1000 내지 5000Å, 예를 들면 2000Å이었다.
다음에, 100 내지 1500Å의 두께를 갖는 비정질 실리콘막(13)이 플라즈마 CVD 방법 또는 LPCVD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여기서, 500Å 두께의 비정질 실리콘막(13)이 플라즈마 CVD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었다(도 1a).
이어서, 불화 수소산 처리를 행하여 오염물질 및 자연 산화막들을 제거하고, 기판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챔버(201) 내에 두어졌다. 여기서, 챔버(201)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챔버(201)는 외부로부터 가스의 도입을 위한 튜브 및 배기용 튜브에 접속된다. 전자는 2개의 라인을 갖는다. 제1 라인은 유기 니켈 가스/증기를 도입하기 위한 라인이며, 제2 라인은 운반 가스용 라인이다. 제1 라인에서, 증발기로부터 발생된 유기 니켈 가스/증기(예를 들면, BMCP 니켈)는 적합한 가스(예를 들면, 수소)에 의해 이송된다. 이 때, 파이프내에 유기 니켈이 고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파이프를 적합한 온도, 바람직하게는 증발기 온도 이상의 온도로 유지해야 한다.
제1 가스 라인으로부터, 유기 니켈 가스/증기가 얻어질 수 있다. 필요한 양으로 농도를 제어하기는 어렵다. 즉, 증기압은 증발기의 온도에 의해서 결정되며, 농도는 약간의 온도차에 의해서 현저하게 변화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제2 가스 라인으로부터, 운반 가스(예를 들면, 아르곤)는 유기 니켈 가스/증기를 희석하도록 도입된다. 또한, 이 희석은 유속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기 니켈 가스 또는 증기는 챔버(201) 내로 도입된다. 펠티에(Peltier) 소자에 의해서 제어된 기판 온도 제어 기구(204)가 챔버내에 배치되며, 기판은 그 위에 설치한다. 기판은 ALE 윈도우가 재료에 따라 가장 크게 되는 온도까지 가열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기판을 가열할 필요가 없지만, 기판 온도는 흡착 양을 제어하기 위해서 25℃가 되도록 제어되었다.
물론, 유기 니켈이 고화되지 않는 온도로 챔버 전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의 챔버를 사용하여 니켈막을 증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기판을 배치하고, 챔버의 내부를 적합한 압력으로 배기시킨다. 이 단계는 매우 높은 진공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1 내지 500mTorr의 배기이면 충분하다. 다음에, 기판을 25℃로 제어하기 위해서 기판 온도 제어 기구(204)에 전류를 흘린다.
이 상태에서 밸브(V12)를 열어 챔버의 내부가 소정의 압력으로 되도록 아르곤을 흘려보낸다. 아르곤의 유량은 1SLM이었으며, 반응 압력은 본 실시예에서 1 × 105Pa이었다. 다음에, 소정의 압력 및 온도로 안정 상태가 확립된 것을 확인한 후에, 촉매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금속이 도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BMCP 니켈이 사용되었으며, 유량은 100sccm이었다. 아르곤 운반 가스의 유입과 동시에 밸브(V11)가 열리므로 유기 금속 가스가 표면상에 부딪히고,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흡착되게 한다. 이 실시예의 조건에서, BMCP 니켈의 부분압은 약 3 × 103Pa이었으며, 따라서 단분자 흡착이 얻어질 수 있었다(도 1b).
유기 금속 가스의 충돌과 동시에, 촉매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금속 분자가 흡착되는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광원(202)으로부터의 광 조사가 수행된다(도 1c). 광원은 레이저, 또는 크세논 램프, 할로겐 램프, 또는 저압 및 고압 수은 램프 같은 다른 광원으로 할 수도 있다. 이것은 단지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의 유기 금속의 분해를 조장할 뿐이므로, 광의 강도는 반드시 높을 필요는 없다. 이 광 조사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유기 니켈 금속 가스가 비정질 실리콘막 표면상에 흡착되는 경우, 챔버는 평형 상태에 있으며, 여기서 기판 온도는 25℃이다. 그 다음 열 결정화 시에, 평형이 깨져, 거의 모든 유기 니켈 금속 가스가 재분리되어 가스 상태로 누출된다. 이것은 이 실시예에 사용된 BMCP 니켈이 저 융점 및 높은 증기압을 갖는 재료이기 때문에 야기된 문제이다. 녹을 수 있는 염이 사용되고, 거품에의해서 이송되어 흡착된다면 상기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흡착 직후 광 조사(특히 자외선 조사)를 수행하여 흡착된 분자들을 분해함으로써 이들이 낮은 휘발 특성을 갖는 화합물로 변하도록 하는 단계를 필요로 한다. 유의할 것은 촉매 금속을 포함하는 증기 또는 가스가 광 조사후 계속하여 흐르면 제2 층의 흡착 단계가 진행되므로 광조사와 동시에 가스 흐름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크세논 램프가 광원으로서 사용되었으며, 이 램프는 셔터(203)를 사용하여 가스 충돌의 정지와 동기되게 만들어졌다. 이때, 가스 충돌 및 광 조사의 매 한 시퀀스마다, 거의 단원자층의 Ni가 흡착될 수 있었다. 이러한 식으로, 니켈 화합물막(14)이 기판의 표면상에 형성된다(도 1d).
그후, 고상 성장 단계가 진행된다. 고상 성장은 니켈 화합물막(14)이 증착되었던 동일 챔버 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수율은 상당히 낮아(시트 공급형에 기인하여), 외부로 꺼내어 확산로(diffusion furnace) 등에서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실시예에서, 또다른 수직형 노가 사용된다. 챔버 내의 가스는 인체에 해가 없는 가스로 완전히 대치된다. 이어서, 챔버는 대기에 개방되어 기판이 꺼내진다. 이어지는 고상 성장 단계는 종래의 경우와 유사하다.
고상 성장 시, 기판이 500 내지 650℃로 가열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코닝 7059 기판이 사용된 경우, 500℃까지 가열된다. 기판이 이 상태에서, 있는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 고상 성장이 진행된다. 코닝 1737 기판이 기판으로서 사용된 경우에, 약 600℃에서 결정화가 가능하게 되도록 온도를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식으로, 온도가 상승된 경우에도, 촉매 금속이 첨가된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결정 성장은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수행되므로 종래의 방법에서 약 24시간이 약 2시간으로 단축되므로, 흡족한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결정화된 실리콘막(15)이 얻어질 수 있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처리가 450℃ 정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더라도, 온도가 낮다면, 긴 가열 시간이 필요로 하게 되어, 이것은 생산성을 낮추게 된다. 또한, 약 650℃ 정도로 가열되는 경우, 기판으로서 사용된 유리 기판의 내열성 문제가 나타난다. 따라서, 열 어닐링 온도는 기판의 생산성 및 열저항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도 1e).
이 실시예와 같이, 약 1의 피복율을 갖는 단분자층 흡착이 사용되는 경우, 얻어진 결정질 실리콘막 내의 입자 크기가 균일하다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섹코(secco) 에칭이 수행되었으며, AFM(세이코 인스트루먼츠사 SPI-3000에 의해 만들어진)의 입자 크기 평가 모드에서 입자 크기가 측정되었다. 평균 입자 크기는 약 0.5μm이었으며, 표준 편차(시그마)는 0.1μm 정도였다. 한편, 피복율이 1 미만인 영역(A)을 사용한 막을 평가할 때, 평균 입자 크기는 약 0.6μm이었으며, 표준 편차(시그마)는 0.5μm 정도였다. 즉, 상당히 고르지 못하였다. 또한, 단분자층 흡착 영역의 영역(C)에서, 평균 입자 크기는 약 0.3μm 이었으며, 표준 편차(시그마)는 0.3μm 정도였다. 즉, 여전히 고르지 못하였다. 따라서, 피복율 1의 단분자층 흡착이 중요함을 명백하게 하였다. 일반적으로, 다결정 실리콘막을 사용한 TFT의 취약점으로서, 채널을 횡단하는 입계 수는 각 소자마다 상당히 상이하여, 이에 따라 소자 특성의 불균일이 직접적으로 야기되는 현상을 예증한다. 한편, 피복율 1의 단분자 흡착이 본 발명과 같이 사용된 경우, 이들 입계의 수는 고를 수 있으며, 따라서 TFT들의 균일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된다.
[실시예 2]
이 실시예에서, 실시예1의 비정질 실리콘막(13) 상에 니켈의 단분자층이 형성될 때 운반 가스로서 수소가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니켈막을 증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을 배치하고, 챔버의 내부는 적합한 압력으로 배기된다. 매우 높은 진공은 이 단계에서는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1 내지 500mTorr의 배기이면 족하다. 다음에, 기판 온도 제어 기구(204)에 전류를 흘려, 기판은 350℃로 가열된다.
이 상태에서 밸브(V12)를 열어 챔버의 내부가 소정의 압력으로 되도록 수소 가스를 흘려보낸다. 수소의 유량은 3SLM이었으며, 반응 압력은 본 실시예에서 1 × 104Pa이었다. 다음에, 소정의 압력 및 온도로 안정 상태가 확립된 것을 확인한 후에, 촉매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금속이 도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BMCP 니켈이 사용되었으며, 유량은 100sccm이었다. 수소 운반 가스의 유입과 동시에 1초 동안 밸브(V11)를 열어 유기 금속 가스가 표면상에 부딪혀,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흡착되게 하였다(도 1b).
유기 금속 가스의 충돌과 동시에, 유기 금속 분자가 흡착된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에 광원(202)으로부터의 광 조사가 수행된다(도 1c).
이 실시예에서, 크세논 램프가 광원으로서 사용되었으며, 셔터(203)를 사용하여 가스 충돌과 동기하여 광 조사가 행해졌다. 이때, 가스 충돌 및 광조사의 매 시퀀스마다, 거의 단분자층의 Ni가 흡착될 수 있었다. 상기한 것들과 거의 동일한 조건이 사용되고, BMCP 니켈이 유기 금속으로서 사용된 경우, 한 시퀀스 내에 형성된 니켈층은 완전한 단원자층이 되지 않았음을 알았다. 이것은 피복율이 큰 고형 장해물 때문에 1 미만이었던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식으로, 니켈 화합물막(14)이 기판 표면상에 형성된다(도 1d).
이어서, 실시예 1과 유사하게, 비정질 실리콘막(13)의 고상 성장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3]
이 실시예에서, 실시예1과 유사한 원재료가 사용되며, 선택적 광 조사가 수행되며, 광 조사가 수행된 부분에만 니켈이 첨가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촉매 원소(니켈이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다)의 도입부터 결정화까지 단계를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코닝 1737 유리가 기판으로서 사용되었다. 그 크기는 100mm × 100mm이다.
기판(11) 상에 비정질 실리콘막(13)의 형성부터 자연 산화막 제거 후 챔버(101)에 도입하기까지의 단계는 실시예1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선택적 광 조사가 수행되는 부분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기판(11)이 챔버(101) 내에 배치된 후, 실시예1과 유사한 조작으로, 유기 니켈 가스가 도입된다. 유기 니켈 가스를 흡착 평형상태에 도달하도록 도입할 때, 아르곤 가스 레이저(105)는 기판 표면을 조사한다. 아르곤 가스 레이저는 CW 레이저이기 때문에, 조사는 셔터(106)를 사용하여 펄스 조사로 행해졌다. 그 다음으로 운반 가스만이 약 100초 동안 흐르므로, 유기 니켈 가스는 챔버 내의 분위기로부터 제거되었다. 다음에, 가스 충돌 및 광 조사가 다시 수행되었다. 이러한 시퀀스는 약 10회 반복되므로, 단원자층 두께 × 시퀀스 회수의 두께를 갖는 니켈층을 형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1과 반대로, 막형성은 횡방향 성장을 충분히 수행하도록 여러번 반복되었다. 광 조사가 수행되지 않은 부분에서, 표면상의 유기 니켈의 분해는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단분자층은 파일(pile)되지 않고, 단분자층은 최종으로 있는 그대로 있게 된다 (유기 니켈 가스의 부분압은 단분자층 흡착의 경우보다 더 높게 되지 않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운반 가스만이 흐르는 동안, 기판 온도가 상승되므로, 남아있는 단분자 흡착층은 완전히 재분리되어, 니켈 화합물은 광 조사가 수행된 부분상에만 증착되었다.
기판 온도 제어 기구(104)는 챔버 내에 배치되고, 샘플(107)은 그 위에 놓여진다. 이 구조는 실시예1과 동일한 것이다. 물론, 챔버 전체는 유기 니켈이 고화되지 않는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고상 성장이 진행된다. 이 실시예에서, 기판 온도는 열 결정화에 필요한 기판 온도와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수율면에서 동일 챔버 내에서 단계를 수행하는 것은 이점이 없다. 이때, 기판을 외부로 꺼내어 고상 성장 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을 채택한다. 이 경우, 기판 온도 제어 기구(104)를 턴 오프하고, 기판이 냉각되며, 내부는 질소로 깨끗하게 한 후, 챔버를 대기 중에 개방하여 기판을 꺼내도록 한다. 그 다음의 고상 성장은 거의 실시예1과 유사할지라도, 이 실시예에서 횡방향 성장을 수행하기 위해서, 온도는 실시예 1 보다 높은 600℃가 되게 하였으며(코닝 1737 유리가 사용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시간은 4시간이었다.
따라서, 광 조사가 수행된 영역에서만 타원 결정화가 일어나며, 그 영역 주위의 약 100μm의 횡방향 성장 영역이 관찰되었다. 결정화는 다른 영역에서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니켈이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수소는 운반 가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아르곤 레이저(105)는 유기 니켈 가스의 도입과 동기하여 기판 표면을 조사한다. 이어서, 단지 수소만이 약 10초 동안 흐르며, 이어서 가스 충돌 및 광 조사가 다시 수행된다.
이러한 시퀀스는 약 10회 반복되므로, 단분자층 두께 × 시퀀스 회수의 두께를 갖는 니켈층을 정확히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4]
이 실시예에서, 실시예 1 또는 2에 도시한 방법에 의해서 비정질 실리콘 막 표면상에 니켈이 형성된 후에, 니켈 실리사이드가 연속하여 표면 상에 형성되며, 이어서 열 결정화가 수행된다.
크세논 램프에 의한 유기 니켈의 분해 및 증착까지의 단계가 실시예3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후, 내부에 남아 있는 가스를 정화하기 위해서, 밸브(V)를 열어 유기 니켈을 완전하게 배기시키고, 이어서 질소에 의한 정화가 수행된다. 이어서, 히터(기판 온도 제어 기구)(204)의 온도는 질소가 유동된 상태에서 450℃ 이상의 온도까지 상승된다. 이어서, 단원자층 및 비정질 실리콘으로서 흡착된 니켈로부터, 니켈 실리사이드가 형성된다.
실리사이드가 상기 단계에 의해서 위에 형성된 막을, 실시예3과 같이 실리사이드가 위에 형성되지 않은 것과 비교할 때, 열 결정화 시 핵 발생 밀도는 실리사이드 형성에 의해서 증가됨을 전자 현미경에 의한 관찰을 통해서 알았다.
[실시예 5]
이 실시예에서, 실시예 1 또는 2와는 다른 원재료 및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질 실리콘막이 전체의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촉매원소(니켈이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다)의 도 입부터 결정화까지 단계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코닝 7059 유리가 기판으로서 사용되었다. 그 크기는 100mm × 100mm이다.
먼저, 실리콘 산화막(12)이 스퍼터링 방법 또는 플라즈마 CVD 방법에의해서 기판(11) 상에 형성되었다. 실리콘 산화막(12)의 두께는 1000 내지 5000Å, 예를 들면 2000Å이었다.
다음에, 100 내지 1500Å의 두께를 갖는 비정질 실리콘막(13)이 플라즈마 CVD 방법 또는 LPCVD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었다(도 4a). 이 실시예에서, 500Å 두께의 비정질 실리콘막(13)이 플라즈마 CVD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이어서, 불화 수소산 처리를 수행하여 오염물질 및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고, 기판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600) 내에 두어졌다. 여기서, 챔버(600)에 관해 간단히 설명한다. 챔버(600)는 외부로부터 가스의 도입을 위한 튜브 및 배기용 튜브에 접속된다. 전자는 3개의 라인으로 형성된다. 제1 라인은 정화용 라인이다. 질소, 아르곤 등이 가스로서 사용된다. 제2 라인은 니켈 증기를 도입하기 위한 라인이다. 용해된 니켈염을 포함하는 용해제(602)는 일정 온도로 유지된 증발기(601) 내에 놓여지며, 운반 가스를 거품이 일게하여, 니켈염이 챔버(600) 내로 유입된다. 제3 라인은 수증기를 유입하기 위한 라인이다. 제2 라인 및 제3 라인의 부분합을 제어함으로써, 흡착된 니켈 화합물의 농도는 보다 미세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3 라인은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으나, 챔버는 파이프 내에서 수증기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파이프가 적합한 온도(100℃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는 펠티에 소자에 의해서 제어된 기판 온도 제어 기구(607)가 챔버(600) 내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1 등과 유사하다. 기판(605)은 그위에 배치된다. 기판은 ALE 윈도우가 가장 넓어지는 온도까지 가열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비록 기판을 가열할 필요가 없지만, 기판 온도는 흡착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50℃가 되도록 제어되었다.
물론, 챔버 전체는 수증기가 응고되지 않도록 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의 챔버(600)를 사용하여 니켈막을 증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기판(605)을 배치한다. 이어서, 챔버(600)의 내부는 적합한 압력으로 배기된다. 이 단계는 매우 높은 진공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1 내지 500mTorr의 배기면 충분하다. 다음에, 기판을 50℃로 제어하기 위해서 기판 온도 제어 기구(607)에 전류를 흘린다.
이 상태에서 라인(606)을 통해 아르곤을 흘려, 챔버의 내부가 소정의 압력으로 되도록 한다. 아르곤 유량은 1SLM이었으며, 반응 압력은 1×105Pa이었다. 다음에, 소정의 압력 및 온도로 안정 상태가 확립된 것을 확인한 후에, 니켈염을 포함하는 증기가 유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니켈 질산염(6N)이 사용되었으며, 증기는 1000ppm의 용해된 염을 포함하는 용해제(602)를 사용하여 유입되었다. 또한, 증발기(601 및 604)의 온도, 및 운반 가스의 유량이 조정되었으며, 니켈을 포함하는 수증기의 부분압과 니켈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수증기의 부분압과의 비가 1:1인 조건 하에서 흡착이 수행되었다. 연이어 행한 SIMS 분석으로부터, 이 조건은 1 미만의 피복율을 갖는 영역 내에 있음을 알았다. 니켈을 포함하는 수증기의 부분압이 더 증가하면, 피복율이 1인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4b).
실시예 1에서, 어떤 면에서는 고정 단계라 할 수도 있을 광 조사 단계가 있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무기염은 높은 융점을 갖는 비휘발성 물질이기 때문에, 이러한 단계는 필요하지 않다.
그후, 고상 성장이 진행된다. 후속 고상 성장 조건 등을 실시예 1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c).
[실시예 6]
실시예 1 또는 2의 제조 방법에서, 1200Å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산화막은 선택적으로 제공되며, 니켈은 이 실리콘 산화막을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도입되고, 이 실시예에 따른 횡방향 결정화가 수행되도록 고상 성장이 수행된다. 도 5는 이 실시예의 제조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1000 내지 5000Å의 두께를 가진 실리콘 산화막(22)이 유리 기판(코닝 7059, 10cm2)(21) 상에 형성되었다. 또한, 플라즈마 CVD 방법 또는 감압 CVD 방법에 의해서, 500 내지 1000Å의 두께를 가진 비정질 실리콘막(23)이 형성되었다. 더욱이, 1000Å 정도, 이 실시예에서는 1200Å의 두께를 가진 마스크막으로서 실리콘 산화막(24)이 스퍼터링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발명자의 실험으로부터, 실리콘 산화막(24)의 두께가 500Å일지라도, 핀홀 등의 존재에 의해서 예기치 않은 부분들대로 니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막 두께에서의 마진이 이 실시예에 더 제공되었음이 확인되었다(도 5a).
그리고, 통상의 사진식각 패터닝에 의해서, 실리콘 산화막(24)은 요구되어지는 패턴으로 패턴되어, 니켈을 도입하기 위한 윈도우(25)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하여 처리된 기판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챔버(101) 내에 배치되었으며, 적합한 두께를 가진 니켈 화합물막(26)이 유기 니켈 가스를 사용하여 증착되었다(도 5b).
이어서, 550℃에 8시간 동안의 열처리에 의해서(질소 분위기에서), 비정질 실리콘막(23)의 결정화가 수행되었다. 이 때, 결정화는 니켈 화합물막(26)이 비정질 실리콘막(23)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된 부분(27)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이어서, 결정화는 도면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은 주변으로 진행되어졌으며, 결정화는 마스크막(24)으로 피복된 영역(28)에서도 수행되었다(도 5d).
이러한 방식으로, 비정질 실리콘막(23)의 결정화가 수행되었다.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 결정화가 이 실시예와 같이 수행된 경우, 특성이 다른 3영역들이 대략적으로 얻어졌다. 제1 영역은 도 5e의 참조 부호 27로 표시된 영역으로서, 니켈 화합물막(26)이 비정질 실리콘막(23)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된 영역이다. 이 영역은 열 어닐링 단계의 제1 단계에서 결정화된다. 이 영역은 수직 성장 영역으로서 언급될 것이다. 이 영역에서, 니켈의 농도는 비교적 높으며, 결정화 방향은 일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실리콘의 결정성은 매우 양호하지 못하므로, 불화 수소산 또는 다른 산에 대한 에칭비는 비교적 높다.
제2 영역은 도 5e에서 참조 부호 28로 표시된 부분으로서 횡방향 결정화가 수행된 영역이다. 이 영역은 횡방향 성장 영역으로 언급될 것이다. 결정화 방향은 이 영역에서는 균일하고, 니켈의 농도가 비교적 낮으므로, 상기 영역은 디바이스에 사용하는데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3 영역은 횡방향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는 비정질 영역이다.
[실시예 7]
이 실시예에서, 실시예3에 도시한 선택적 결정화 성장 방법이 실시예6에 적용된다. 그것은 실리콘 산화막으로 된 마스크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실시예6과 가장 현저하게 구별되는 차이점이다. 도 6은 이 실시예의 제조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1000 내지 5000Å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산화막(52)은 유리 기판(코닝 유리 7059, 10cm2)(51) 상에 형성되었다. 또한, 500 내지 1000Å의 두께를 갖는 비정질 실리콘막(53)이 플라즈마 CVD 방법 또는 감압 CVD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었다(도 5a).
상기 기판은 실시예1에서 사용된 것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챔버 내에 배치되고, 실시예1에 따라, 촉매 금속 원소(이 실시예에서 니켈이 사용된다)를 포함하는 유기 금속(54)이 비정질 실리콘막 표면 상에 흡착된다(분해없는 연흡착)(도 6b). 다음에, 이와 동시에, 광 조사가 니켈 첨가가 요구되는 영역에만 수행된다(도 6c). 이것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챔버 내에 설치된 기판 위에 윈도우가 제공된다. 윈도우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레티클이 배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다음에, 레이저 조사가 이 윈도우의 상측부분으로부터 수행됨으로서, 레티클 상에 마스크 없는 영역에만 광조사가 수행된다. 레티클과 기판간의 거리가 통상의 패턴 갭보다 길기 때문에, 간섭성 광원이 사용되지 않으면, 형성된 패턴은 매우 흐리게 된다. 그러므로, 레이저가 사용된다. 물론, 이 패터닝 정밀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레티클과 기판간의 거리 및 윈도우는 작게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그러나, 기판이 가열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 갭을 스텝퍼 등에 비교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방법은 비교적 큰 패턴을 형성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이 조사된 영역에만 단원자층 또는 그 화합물의 니켈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실시예3과 마찬가지로, 상기 시퀀스는 니켈의 첨가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수 회 반복되는 것이 중요하다(도 6d).
550℃에서 8시간 동안 열처리에 의해(질소 분위기에서), 비정질 실리콘막(53)이 결정화되었다. 이때, 니켈 화합물막(55)이 비정질 실리콘막(53)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된 영역(56)에서 결정화가 먼저 시작되었다(도 6d).
그후, 결정화는 도면에서 화살표로 보인 주변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횡방향 성장에 의한 결정화는 니켈이 증착되지 않은 영역(57)에서도 또한 수행되었다(도 6e).
이러한 방식으로, 비정질 실리콘막(53)의 결정화가 수행되었다.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 결정화가 이 실시예와 같이 수행된 경우, 특성이 상이한 3개의 주요 영역이 얻어진다. 제1 영역은 도 6e에 참조 부호 56으로 표시된 영역으로서, 니켈 화합물막(55)이 비정질 실리콘막(53)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된 영역이다. 이 영역은 열 어닐링 단계의 제1 단계에서 결정화된다. 이 영역에서, 니켈의 농도는 비교적 높으며, 결정화 방향은 균일하지 않다. 따라서, 실리콘의 결정성은 매우 양호하지 못하므로, 불화 수소산 또는 다른 산에 대한 에칭비는 비교적 높다.
제2 영역은 도 6e에서 참조 부호 57로 표시된 부분으로서 횡방향 결정화가 수행된 영역이다. 이 영역은 횡방향 성장 영역으로 언급될 것이다. 이 영역에서는, 결정화 방향이 균일하고, 니켈의 농도는 비교적 낮아, 이 영역은 디바이스용으로 양호하게 이용된다. 제3 영역은 횡방향 결정화가 수행되지 않은 영역이다.
[실시예 8]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결정질 실리콘막을 사용하여,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다. 도 7은 이 실시예의 제조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하지층으로서 2000Å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산화막(302)이 유리 기판(301)상에 형성되었다. 이 실리콘 산화막(302)은 유리 기판으로부터의 불순물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제공되었다. 그리고, 500Å의 두께를 갖는 비정질 실리콘막(303)이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형성되었다(도 7a).
이어서, 실시예4와 마찬가지로, 단분자층의 니켈 질산막(304)이 실시예4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서 비정질 실리콘막(303)의 표면 상에 흡착되었다(도 7b).
이어서, 4시간 동안 550℃의 온도에서의 열 어닐링에 의해서, 비정질 실리콘막(303)은 결정질 실리콘막(305)을 형성하도록 결정화되었다. 이 실리콘막은 결정화를 더 개선하기 위해서 KrF 엑시머 레이저광(파장 248nm)으로 조사되었다. 레이저의 에너지 밀도는 300 내지 400mJ/cm2인 것이 바람직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상 성장에 의한 결정화 이외에, 레이저 광 조사가 결정성을 더 개선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것은 실시예5에 또한 기술한 바와 같이, 니켈 화합물이 비정질 실리콘막과 접촉하게 된 부분에서 결정화 방향이 균일하지 않고, 이 실시예에서 니켈의 첨가에 의해 얻어진 결정이 니들형(needle) 결정이므로, 충분한 결정화가 고상 성장법만으로 수행되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특히, 많은 비정질 잔유물들이 결정 그레인 경계에서 관찰되었다. 그리고, 레이저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결정 그레인 경계의 이러한 비정질 소자들을 완전히 결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c).
다음에, 결정화된 실리콘막이 패턴되어 돌기부 영역(306)을 형성하였다. 이 돌기부 영역(306)은 TFT의 활성층을 구성한다. 이어서, 플라즈마 CVD 방법에 의해서, 200 내지 1500Å, 이 실시예에서는 1000Å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산화막(307)이 증착되었다. 이 실리콘 산화막(307)은 또한 게이트 절연막으로서 기능한다(도 7d).
상기 실리콘 산화막(307)의 형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TEOS는 원재료였으며, 이것은 150 내지 600℃,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450℃의 기판 온도에서 RF 플라즈마 CVD 방법에 의해 산소와 함께 분해 및 증착되었다. TEOS의 압력과 산소의 압력과의 비는 1:1 대 1:3이었으며, 압력은 0.05 내지 0.5Torr였으며, RF 파워는 100 내지 250W이었다. 또는, 막은 350 내지 600℃,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550℃의 기판 온도에서, 저압 CVD 방법 또는 상압 CVD 방법에 의해서 오존 가스와 함께 TEOS의 원재료로부터 형성되었다. 막의 형성후에, 어닐링 처리가 산소 또는 오존의 분위기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400 내지 6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어서, 2000Å 내지 1μm 의 두께를 가지며 인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이 저압 CVD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이것은 패턴되어 게이트 전극(308)을 형성하였다. 그후, 이온 도핑 방법(또한 플라즈마 도핑 방법이라고도 한다) 에 의해서, 불순물(인)이 자기 정합 방식으로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사용하는 TFT의 돌기부 실리콘막에 주입되었다. 포스핀(PH3)이 도핑 가스로서 사용되었다. 도우즈량은 1 × 1014내지 4 × 1015cm-2이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N형 불순물(인) 영역(309, 310)이 형성되었다(도 7e).
그후, 층간 절연체(311)로서, 3000 내지 8000Å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산화막이 산소와 함께 TEOS의 원재료의 플라즈마 CVD 방법, 또는 오존과 함께 원재료의 저압 CVD 방법이나 상압 CVD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기판 온도는 250 내지 450℃, 예를 들면 350℃였다. 막 성장 후에, 표면의 평탄함을 얻기 위해서, 실리콘 산화막이 기계적으로 연마될 수도 있으며, 또는 재에칭 방법에 의해서 평탄화될 수 있다. 층간 절연체(311)는 에칭되어 TFT의 소스/드레인 내에 접촉홀을 형성하였으며, 크롬 또는 질화 티탄의 배선/전극(312, 313)이 형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실리콘의 수소화를 완료하기 위해서 0.1 내지 2시간 동안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수소로 어닐링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TFT가 완성되었다. 이와 동시에, 많은 TFT를 형성하여 이들을 매트릭스로 배열함으로써 활성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사용하기 위한 집적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도 7f).
[실시예 9]
이 실시예에는 TFT 제조 단계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이 실시예의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하지층으로서 2000Å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산화막(402)이 유리 기판(401) 상에 형성되었으며, 500Å의 두께를 갖는 비정질 실리콘막(403)이 또한 그 위에 형성되었다. 윈도우(405)는 마스크막(404) 내에서 선택적으로 개방되었다(도 8a).
실시예4와 유사한 방법으로, 니켈 질산막(406)이 형성되었다. 흡착을 보다 쉽게 행하기 위해서, 오존 처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 상에 사전에 산화 박막이 형성되었다(도 8b).
그후, 8시간 동안 550℃에서의 열 어닐링이 수행되었으므로, 비정질 실리콘막(403)이 도면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횡방향으로 결정화되어 수직 성장 영역(403) 및 횡방향 성장 영역(409)을 형성하였다. 이 단계에서 결정화되지 않은 영역은 비정질 영역(410)으로서 남아있다(도 8c).
이 실시예와 같이, 횡방향 결정화에서, 횡방향 성장 영역(409)의 결정성은 우수하다. 따라서, 결정성이 실시예6과 같이 레이저 광 등의 조사에 의해서 개선되지 않을 지라도, TFT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레이저광의 조사는 이 실시예에 수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레이저광 조사가 수행되면, 더 나은 특성을 가진 TFT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결정화된 실리콘막이 패턴되어 돌기부 영역(411)을 형성하였다. 이 돌기부 영역(411)은 TFT의 활성층을 구성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돌기부 영역(411)은 수직 성장 영역(408), 횡방향 성장 영역(409), 및 비정질 영역(410)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횡방향 성장 영역(409)은 TFT의 채널 영역 내에 형성되었다. 이것은 왜냐하면 채널 영역이 TFT의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후, 실리콘 산화막(412)이 증착되었다. 이 실리콘 산화막(412)은 또한, 게이트 절연막으로서 기능한다. 이어서, 2000Å 내지 1㎛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막이 스퍼터링 방법으로 형성되었다. 이 막은 패턴되어 게이트 전극(413)을 형성하였다. 알루미늄은 0.15 내지 0.2 중량%의 스칸듐(Sc)으로 도핑될 수도 있다. 이어서, 기판은 1 내지3% 및 ph=7의 주석산의 에칠렌 글리콜 용해제 내에 침전되었으며, 양극 산화가 백금의 음극과 이 알루미늄의 게이트 전극의 양극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양극 산화는 전압이 먼저 일정 전류에서 220V로 상승되었으며, 이 상태에서 1시간 동안 유지되고 산화가 끝나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일정 전류 상태에서, 전압의 상승 속도는 2 내지 5 V/분이 적합하다. 따라서, 1500 내지 3500Å, 예를 들면 2000Å의 두께를 갖는 양극 산화물(414)이 게이트 전극(413)의 측면 및 상부면 상에 형성되었다(도 8d).
그후, 이온 도핑 방법에 의해서(또한 플라즈마 도핑 방법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불순물(인)이 마스크로서 게이트 전극을 사용하는 자기 정합 방식으로 각각의 TFT들의 돌기부 실리콘막 내에 주입되었다. 포스핀(PH3)이 도핑 가스로서 사용되었다. 도우즈량은 1 × 1014내지 4 × 1015-2이었다. 이 도핑 단계에서 양극 산화물(414)이 존재하므로, 불순물 영역(415, 416) 및 게이트 전극은 서로 중첩하지는 않지만 분리되어 있다. 즉, 이들은 소위 오프 셋 상태에 있다.
그후, KrF 엑시머 레이저(파장 248nm, 펄스폭 20nsec)의 조사가 수행되어 결정성이 불순물의 유입에 의해 저하되는 부분의 결정성을 개선하도록 수행되었다. 레이저의 에너지 밀도는 150 내지 400mJ/㎠,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50mJ/㎠이었다. 이러한 식으로, N형 불순물 영역(인)(414,416)이 형성되었다. 이들 영역의 시트 저항은 200 내지 800Ω/□이었다. 레이저 조사의 단계에 의해서, 돌기부 영역(411)내의 비정질 영역(410) 또한 결정화되었다(도 8e).
그후, 5000Å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산화막(417)이 전체 표면 상에 증착되었다. 이어서, 실리콘 산화막(417)은 버퍼 불화수소산 용해제에 의해서 에치되어, 질화 티탄 및 알루미늄의 폴리층막의 배선/전극(418, 419)을 형성하기 위해 TFT의 소스/드레인 내에 접촉홀을 형성한다. 접촉홀의 에칭 단계에서, 돌기부 영역 중에서, 수직 성장 영역(408)은 횡방향 성장 영역(409) 및 비정질 영역(410) 보다 높은 에칭비를 갖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깊게 에칭된 영역(420)이 형성되었다. 이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접촉홀 전체가 수직 성장 영역 내에 포함되면, 접촉 결함이 발생할 강한 우려가 있어, 접촉홀은 수직성장 영역 이외의 영역내로 확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TFT가 완성되었다(도 8f).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비정질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촉매 원소의 도입 방법으로서,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증기 또는 가스가 사용되며, 이들은 매우 얇은 산화막을 통해 또는 직접적으로 비정질 실리콘막 상에 흡착된다. 따라서, 촉매 원소의 농도는 미세하게 제어되며, 이의 균일한 첨가가 행해질 수 있어서, 결정화의 균일성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흡착 단계에서, 단분자층 흡착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균일성, 제어성, 및 재생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결정질 실리콘막을 사용하며 높은 신뢰성을 갖는 전기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2)

  1.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재료의 증기 또는 가스를 사용하여,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피복율 1을 갖는 연속 단분자층에서의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가속화하는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재료를 흡착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 원소를 이용하는 가열 처리에 의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율 1을 갖는 상기 단분자층에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이 하나의 단분자층으로 완전히 피복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3.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재료의 증기 또는 가스를 사용하여,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연속 다분자층에서의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가속화하기 위해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재료를 흡착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 원소를 이용하는 가열 처리에 의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피복율 1이상을 갖는 상기 다분자층에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단분자층으로 완전히 피복되며, 또한 흡착된 분자들이 상기 단분자층 상에 존재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5.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정질 실리콘막을 갖는 기판을 챔버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재료의 증기 또는 가스를 상기 챔버 내에 도입하는 단계; 피복율 1을 갖는 연속 단분자층에서의 상기 유기 재료의 상기 도입된 증기 또는 가스를,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흡착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 원소를 이용하는 가열 처리에 의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6.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정질 실리콘막을 갖는 기판을 챔버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재료의 증기나 가스를 증발기내에서 발생하는 단계; 상기 유기 재료의 상기 발생된 증기나 가스를 상기 챔버내에 도입하는 단계; 피복율 1을 갖는 연속 단분자층에서의 상기 유기 재료의 상기 도입된 가스나 증기를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흡착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 원소를 이용하는 가열 처리에 의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7.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정질 실리콘막을 갖는 기판을 챔버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재료의 증기나 가스를 챔버내에 도입하는 단계; 피복율 1을 갖는 연속 단분자층에서의 상기 유기 재료의 상기 도입된 가스나 증기를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흡착하는 단계; 상기 흡착 단계와 동시에 광 조사를 행하여 상기 흡착된 증기나 가스의 분자들을 분해함으로써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 상에 상기 촉매 원소 또는 상기 촉매 원소의 화합물의 코팅막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 원소를 이용하는 가열 처리에 의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8.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정질 실리콘막을 갖는 기판을 챔버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재료의 증기 또는 가스를 상기 챔버 내에 도입하는 단계; 피복율 1을 갖는 연속 단분자층에서의 상기 유기 재료의 상기 도입된 가스나 증기를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흡착하는 단계; 상기 흡착 단계와 동시에 가열에 의해서 상기 흡착된 증기나 가스의 분자들을 분해함으로써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 상에 상기 촉매 원소 또는 상기 촉매 원소의 화합물의 코팅막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 원소를 이용하는 가열 처리에 의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9.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정질 실리콘막을 갖는 기판을 챔버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재료의 증기 또는 가스를 상기 챔버 내에 도입하는 단계; 연속 다분자층에서의 상기 유기 재료의 상기 도입된 증기 또는 가스를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흡착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 원소를 이용하는 가열 처리에 의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10.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정질 실리콘막을 갖는 기판을 챔버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재료의 증기나 가스를 증발기내에서 발생하는 단계; 상기 유기 재료의 상기 발생된 증기나 가스를 상기 챔버내에 도입하는 단계; 연속 다분자층에서의 상기 유기 재료의 상기 도입된 가스나 증기를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흡착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 원소를 이용하는 가열 처리에 의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11.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정질 실리콘막을 갖는 기판을 챔버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재료의 증기 또는 가스를 상기 챔버 내에 도입하는 단계; 연속 다분자층에서의 상기 유기 재료의 상기 도입된 가스나 증기를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흡착하는 단계; 상기 흡착 단계와 동시에 광 조사에 의해서 상기 흡착된 증기나 가스의 분자들을 분해함으로써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 상에 상기 촉매 원소 또는 상기 촉매 원소의 화합물의 코팅막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 원소를 이용하는 가열 처리에 의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12.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정질 실리콘막을 갖는 기판을 챔버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촉매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재료의 증기 또는 가스를 상기 챔버 내에 도입하는 단계; 연속 다분자층에서의 상기 유기 재료의 상기 도입된 가스나 증기를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흡착하는 단계; 상기 흡착 단계와 동시에 가열에 의해서 상기 흡착된 증기나 가스의 분자들을 분해함으로써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상에 상기 촉매 원소 또는 상기 촉매 원소의 화합물의 코팅막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 원소를 이용하는 가열 처리에 의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Ni, Pd, Pt, Cu, Ag, Au, In, Sn, P, As, 또는 Sb인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VIII 그룹 원소들, IIIb, IVb, 및 Vb 원소들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Ni, Pd, Pt, Cu, Ag, Au, In, Sn, P, As, 또는 Sb인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VIII 그룹 원소들, IIIb, IVb, 및 Vb 원소들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Ni, Pd, Pt, Cu, Ag, Au, In, Sn, P, As, 또는 Sb인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VIII 그룹 원소들, IIIb, IVb, 및 Vb 원소들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Ni, Pd, Pt, Cu, Ag, Au, In, Sn, P, As, 또는 Sb인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VIII 그룹 원소들, IIIb, IVb, 및 Vb 원소들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Ni, Pd, Pt, Cu, Ag, Au, In, Sn, P, As, 또는 Sb인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2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VIII 그룹 원소들, IIIb, IVb, 및 Vb 원소들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2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Ni, Pd, Pt, Cu, Ag, Au, In, Sn, P, As, 또는 Sb인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2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VIII 그룹 원소들, IIIb, IVb, 및 Vb 원소들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2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Ni, Pd, Pt, Cu, Ag, Au, In, Sn, P, As, 또는 Sb인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2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VIII 그룹 원소들, IIIb, IVb, 및 Vb 원소들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2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Ni, Pd, Pt, Cu, Ag, Au, In, Sn, P, As, 또는 Sb인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2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VIII 그룹 원소들, IIIb, IVb, 및 Vb 원소들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Ni, Pd, Pt, Cu, Ag, Au, In, Sn, P, As, 또는 Sb인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VIII 그룹 원소들, IIIb, IVb, 및 Vb 원소들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3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Ni, Pd, Pt, Cu, Ag, Au, In, Sn, P, As, 또는 Sb인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3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원소는 VIII 그룹 원소들, IIIb, IVb, 및 Vb 원소들로부터 선택되는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KR1019960032547A 1995-08-04 1996-08-05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KR100300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19531 1995-08-04
JP21953195A JP3889071B2 (ja) 1995-08-04 1995-08-04 結晶性半導体作製方法
JP95-262592 1995-09-13
JP26259295A JP3889073B2 (ja) 1995-09-13 1995-09-13 結晶性半導体作製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401A KR970013401A (ko) 1997-03-29
KR100300808B1 true KR100300808B1 (ko) 2001-11-22

Family

ID=6625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547A KR100300808B1 (ko) 1995-08-04 1996-08-05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058B1 (ko) 2006-03-10 2012-07-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058B1 (ko) 2006-03-10 2012-07-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401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486B1 (ko) 반도체장치 제작방법 및 제작장치
KR100569050B1 (ko) 트랜지스터 제작방법
KR0171923B1 (ko) 반도체장치 제작방법
KR100273831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5843225A (en) Process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and process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0169508B1 (ko) 반도체 제조 공정
KR100559060B1 (ko) 결정성반도체제작방법
JP3464287B2 (ja)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KR100376372B1 (ko)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KR100297318B1 (ko) 반도체장치제작방법
KR100389485B1 (ko)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 제작 방법
KR100322655B1 (ko) 반도체장치와결정규소반도체의제작방법
US634836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0279217B1 (ko)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결정성 반도체 막 형성 방법, 박막 트랜지스터 형성 방법 및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JPH06296020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37109B1 (en) Method of producing crystalline semiconductor
KR0180573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100300808B1 (ko) 결정질 반도체 제조 방법
JP3889071B2 (ja) 結晶性半導体作製方法
JP3889073B2 (ja) 結晶性半導体作製方法
JP3844526B2 (ja) 結晶性珪素膜作製方法
KR100326529B1 (ko) 반도체장치 제작방법
US6974763B1 (en) Method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by crystallizing amorphous silicon and forming crystallization promoting material in the same chamber
US714146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0315756B1 (ko)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