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749B1 - 메뉴기능이제공되는광기록재생장치와그방법 - Google Patents

메뉴기능이제공되는광기록재생장치와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749B1
KR100297749B1 KR1019980002197A KR19980002197A KR100297749B1 KR 100297749 B1 KR100297749 B1 KR 100297749B1 KR 1019980002197 A KR1019980002197 A KR 1019980002197A KR 19980002197 A KR19980002197 A KR 19980002197A KR 100297749 B1 KR100297749 B1 KR 100297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menu item
data
item
ti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6341A (ko
Inventor
박판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2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749B1/ko
Publication of KR19990066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메뉴 기능이 제공되는 광기록재생장치와 그 방법 및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가 기록되는 디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록할려는 타이틀에 대한 메뉴 구성 정보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및 기록모드에서는 메뉴 구성 정보에 따라 메뉴 데이터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뉴 제어 데이터를 수정해서 디스크상에 메뉴가 기록되도록 제어하고, 재생모드에서는 메뉴의 재생을 제어하는 시스템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상에 원하는 타이틀을 위한 다양한 모양의 메뉴를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고, 재생할 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에 의해 메뉴의 이동, 수정 및 원하는 타이틀을 재생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메뉴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메뉴 기능이 제공되는 광기록재생장치와 그 방법{Optical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 menu service function}
본 발명은 광기록재생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를 이용하여 원하는 타이틀(또는 프로그램)을 기록 및 재생할 때 이 타이틀에 대한 메뉴도 함께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과 메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가기록되는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DVD-RAM(Digital Versatile Disc Random Access Memory) 구동장치와 같은 광기록재생장치에서는 아직까지 표준화된 메뉴 기능을 제안하고 있지는 않고 있다.
기존의 메뉴 기능을 갖는 영상기록재생장치는 메뉴 구성에 있어서 실시간 메뉴 구성이 어려운 이유로 해서 간단한 OSD(On Screen Display)기능을 이용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타이틀에 대한 메뉴를 실시간으로 생성시키고 재생시에는 기록된 메뉴를 표시하여 메뉴상에서 선택된 원하는 타이틀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메뉴를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고, 재생할때는 기록된 메뉴를 이용하여 메뉴의 이동, 수정 및 원하는 타이틀을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메뉴 데이터와 메뉴 제어 데이터가 기록되는 디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메뉴 기능을 갖는 광기록재생장치는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상에 원하는 타이틀을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록할려는 타이틀에 대한 메뉴 구성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기록모드에서는 메뉴 데이터와 메뉴 구성 정보에 따라 이 메뉴 데이터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뉴 제어 데이터를 수정해서 디스크상에 메뉴가 기록되도록 제어하고, 재생모드에서는 메뉴의 재생을 제어하는 시스템 콘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메뉴 기록 방법은 기록할려는 타이틀에 대한 메뉴를 재기록가능한 디스크상에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록할려는 타이틀을 나타내는 메뉴 항목과 메인 메뉴로 되어 있는 메뉴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현재 메뉴 항목이 메인 메뉴상에서 표시될 영역을 선택하고, 현재의 메뉴 항목을 메뉴 항목 연결 리스트에 연결하여 메뉴 제어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및 메뉴 제어 데이터와 메뉴 데이터로 구성된 메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생 방법은 메뉴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메뉴를 재생하는 단계 및 메뉴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뉴 항목을 메인 메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메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가 기록되는 디스크는 사용자가 선택한 타이틀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한 디스크에 있어서, 메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배경화면으로 사용되는 메인 메뉴와 타이틀을 나타내는 메뉴 항목으로 구성된 메뉴 데이터와 이 메뉴 데이터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뉴 제어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메뉴 기능이 제공되는 광기록재생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메뉴의 구성예이다.
도 3의 (a) 및 (b)는 메뉴를 구성하는 메뉴 제어 데이터와 메뉴 데이터와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메뉴를 기록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메뉴를 재생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메뉴 기능을 위한 광기록재생장치와 그 방법 및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가 기록되는 디스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기록 가능하고,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를 이용하여 메뉴 기능을 갖는 광기록재생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광기록재생장치의 기능은 크게 기록과 재생으로 나눌 수 있는 데, 기록모드시 오디오/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기(이하 AV 코덱이라고 함:11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받아서 데이터를 소정의 압축 부호화체계에 의해 압축부호화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라고 함:120)는 AV 코덱(110)에서 인가되는 부호화된 데이터에 ECC(Error Correction Code) 처리를 위한 부가 데이터를 덧붙여서, 이 ECC 부호화된 데이터를 소정의 변조쳬계에 의해 변조해서 변조된 데이터를 발생한다.
고주파(RF) 증폭기(130)는 DSP(120)에서 인가되는 전기적인 데이터를 증폭된 광학신호로 변환한다. 픽업부(140)는 RF 증폭기(130)로부터 인가되는 광학신호를 디스크(150)상에 기록하며, 디스크(150)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포커싱 및 트래킹을 수행하는 액튜에이터(actuator)를 내장하고 있다.
서보부(160)는 RF 증폭기(130)와 시스템 콘트롤러(170)를 통해 DSP(120)로부터 서보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받아서 픽업부(140)를 제어하는 안정된 서보 기능을 수행한다.
시스템 콘트롤러(17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키입력부(180)를 통해 사용자가 기록할려는 타이틀에 대한 메뉴 구성 정보를 인식하여 메뉴 제어 데이터와 메뉴 데이터를 구성하여 디스크상(150)에 상술한 기록 과정을 통해 기록한다.
한편, 재생모드시 픽업부(140)는 디스크(15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광학신호로 출력한다. RF 증폭기(130)는 이 광학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서 변조된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안정된 서보를 수행하기 위한 서보신호를 발생한다.
DSP(120)는 변조된 데이터를 복조하고 복조된 데이터에 대해 ECC를 수행하여 오류를 수정하면서 부가 데이터를 제거하고, 서보부(160)는 RF 증폭기(130)를 통해 인가되는 서보신호를 이용하여 각종 서보가 안정되도록 구동한다. AV 코덱(110)은 DSP(120)로부터 전송되는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최종 출력된다.
시스템 콘트롤러(170)는 디스크(150)상에 기록된 메뉴를 픽업부(140), RF 증폭기(130), DSP(120), AV 코덱(110)를 통해 재생하여 키입력부(180)를 통해 메뉴의 이동, 수정 및 재생에 따른 키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키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표시되는 메뉴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원하는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타이틀에 대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다음은, 메뉴 기능을 위한 메뉴 기록방법과 재생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먼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메뉴의 구성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표시되는 메뉴는 메뉴의 배경으로 사용되는 메인 메뉴와 타이틀 또는 프로그램 등이 기록된 디스크의 기록 내용을 가리키는 메뉴 항목으로 구성되어 메인 메뉴상에 소정수의 메뉴 항목이 표시된다. 즉, 사용자가 메뉴에서 표시된 메뉴 항목중 어떤 하나를 선택할 경우에 이에 해당되는 타이틀 또는 프로그램이 선택되어 재생된다.
여기서, 메뉴 항목은 메인 메뉴상에 표시되는 일종의 서브 픽쳐(sub-picture)로서, 각 메뉴 항목이 모드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으로 표시되는 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따라 해당되는 모드의 메뉴 항목이 최종 메뉴에 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메뉴 항목에는 예를 들어 A, A',A",B,B',B",C등이 있으면, A, B, C는 3가지 종류의 메뉴 항목이 보통모드로 표시되는 모양을 나타내고, A',B'은 각각 A,B 메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모드로 표시되는 모양을 나타내고, A", B"는 각각 A,B 메뉴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실행하기 위한 실행 모드로 표시되는 모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나의 메뉴 항목이 3가지의 표시 모양을 가지고 표시모드(보통모드/선택모드/실행모드)에 따라서 다른 모양으로 표시된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제어 데이터와 메뉴 데이터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메뉴의 실제 데이터는 도 3의 (b)에 도시된 메뉴 데이터에 존재하고, 이러한 메뉴 데이터의 구성 관계를 나타낸 것이 도 3의 (a)에 도시된 메뉴 제어 데이터이다.
이 메뉴 제어 데이터는 전반적인 메뉴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MCD(Menu Control Data)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메뉴를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 MCD 정보에는 메인 메뉴내에 표시될 수 있는 메뉴 항목의 개수, 메뉴 항목에 있는 표시모드에 따른 메뉴 항목 이미지 데이터 옵셋(offset) 정보, 각 메뉴 항목이 표시되는 위치들에 대한 정보, 초기 메뉴 화면을 위한 임의(default)로 선택될 임의의 메뉴 항목, 여러개의 메뉴 항목을 연결하는 메뉴 항목 리스트(list)를가리키는 정보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MCD 정보가 가리키는 메뉴 항목 리스트는 각 메뉴 항목이 연결 리스트(linked list)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각 메뉴 항목은 메뉴 항목이 나타내는 타이틀 번호(또는 프로그램 번호), 실제로 표시 모드에 따라 표시될 메뉴 항목용 이미지 데이터를 가리키는 메뉴 항목 인덱스, 실제로 메뉴 항목이 표시될 메뉴 항목의 위치, 다음에 표시될 메뉴 항목을 가리키는 다음(next) 메뉴 항목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메뉴 항목 리스트의 마지막에는 다음 메뉴 항목이 자신의 메뉴 항목을 가리킴으로써 리스트의 마지막을 표시한다.
메뉴 데이터와, 메뉴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메뉴 제어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디스크에 저장되며, 만일 디스크에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가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다면 메뉴 항목 리스트는 존재하지 않고 기본적인 MCD 정보만이 존재하는 메뉴 제어 데이터와 메인 메뉴용 이미지 데이터와 메뉴 항목용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되는 메뉴 데이터만이 디스크에 존재한다.
이러한 메뉴 데이터와 메뉴 제어 데이터는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타이틀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면서 이를 위한 메뉴를 구성하는 데 이용되고, 즉,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타이틀에 따른 메뉴 구성 정보에 의해 메뉴 제어 데이터를 수정해서 기록하고,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타이틀을 위한 메뉴 항목은 메뉴 데이터내에서 선택하여 임의적으로 할당한다. 이렇게 구성된 메뉴는 재생시 사용자에 의해 메뉴 항목을 원하는 다른 것으로 수정할 수 도 있다.
도 4는 원하는 타이틀(또는 프로그램)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모드시 메뉴 제어 데이터를 수정하면서 메뉴를 구성하는 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기록모드가 설정되면(S101단계), 현재의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을 참조하여 현재 기록할 타이틀에 대한 타이틀 번호를 할당하고(S102단계), 현재 타이틀을 나타내는 메뉴 항목을 메뉴 데이터내에서 임의로 할당하여 기록한다(S103단계). 이러한 메뉴 항목의 임의적인 할당은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다른 메뉴 항목으로 수정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현재 기록할 타이틀에 대한 메뉴 항목이, 메인 메뉴상에서 표시될 영역을 선택하는 데(S104단계), 이는 메뉴 제어 데이터내의 MCD 정보내에 있는 표시 가능 위치와 메인 메뉴상에 표시 가능한 메뉴 항목의 개수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이후, 현재 기록되는 타이틀이 첫 타이틀이면 MCD 정보내에 있는 다음 메뉴 항목에 현재의 메뉴 항목을 연결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전의 메뉴 항목의 연결 리스트의 다음 메뉴 항목에 현재의 메뉴 항목을 연결하고, 현재 메뉴 항목을 마지막 메뉴 항목으로 설정하여 메뉴 항목 리스트가 수정된 메뉴 제어 데이터를 기록한다(S105단계).
이러한 메뉴에 대한 기록을 마치고 실제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타이틀 기록을 수행함으로써 기록동작을 종료한다(S106단계).
도 5는 디스크상에 기록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모드시 메뉴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메뉴 데이터를 재생하면서 원하는 타이틀을 재생할 수 있는 메뉴 재생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재생 모드가 설정되면(S201단계), 독출되는 메뉴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인 메뉴를 재생한다(S202단계).
이후 메뉴 항목의 연결 리스트에 있는 모든 메뉴 항목을 재생하는 데, 즉, 메뉴 제어 데이터내의 다음 메뉴 항목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여(S203단계), 메뉴 제어 데이터내의 다음 메뉴 항목이 존재하면 연결 리스트상의 메뉴 항목으로부터 표시될 메뉴 항목의 실제 데이터의 위치, 표시될 위치 데이터, 해당되는 타이틀 번호 등을 독출해서(S204단계), S204단계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에 대해 보통 모드로 표시한다(S205단계).
여기서, 보통 모드로 표시되는 방법은 MCD 정보내에 존재하는 메뉴 항목 표시 모드에 따른 메뉴 항목 이미지 데이터 옵셋 정보를 이용하여 보통 모드에 해당되는 메뉴 항목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구현한다.
S205단계를 수행한 후 또는 S202단계에서 메뉴 제어 데이터내의 다음 메뉴 항목이 존재하지 않으면, 초기 메뉴 화면을 위한 메뉴 항목 즉, 첫 번째 메뉴 항목 또는 임의의 메뉴 항목을 선택 모드로 표시한다(S206단계).
여기서, 선택 모드로 표시되는 방법은 MCD 정보내에 존재하는 메뉴 항목 표시 모드에 따른 메뉴 항목 이미지 데이터 옵셋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 모드에 해당되는 메뉴 항목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구현한다.
이렇게 하여 디스크상에 기록되어 있는 메뉴에 대한 재생을 마치고,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에 따라 메뉴 항목의 이동, 수정, 재생을 수행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메뉴 항목의 이동키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S207단계), 현재의 메뉴 항목을 보통모드로 다시 표시하고(S208단계), 입력된 이동키에 의해 선택된 새로운 메뉴 항목에 대한 선택모드로 표시한다(S209단계).
한편, S207단계에서 메뉴 항목 이동키가 입력되지 않고 메뉴 항목 수정키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S210단계), 현재 선택된 메뉴 항목을 새로 선택한 메뉴 항목으로 수정하고(S211단계), 새로 선택된 메뉴 항목을 선택모드로 표시한다(S212단계).
여기서, S211단계에서 수행되는 메뉴 항목 수정은 도 3에 도시된 메뉴 데이터내에 존재하는 모든 메뉴 항목중 사용자가 선택해서 수정할 수 있으며, 메뉴 제어 데이터내의 메뉴 항목을 가리키는 메뉴 항목 인덱스값만을 수정함으로써 메뉴 항목 수정이 가능하다.
한편, S210단계에서 메뉴 항목 수정키가 입력되지 않고 메뉴 항목 재생키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S213단계), 현재 선택된 메뉴 항목을 실행모드로 다시 표시하고(S214단계), 현재의 메뉴 항목이 가리키는 타이틀을 서치하여 재생한다(S215단계).
여기서, 타이틀을 서치하는 방식은 통상의 방식에 따른다. 또한, 메뉴항목을 실행 모드로 표시하는 방법은 MCD 정보내에 존재하는 메뉴항목 표시모드에 따른 메뉴 항목 이미지 데이터 옵셋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 모드에 해당되는 메뉴 항목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구현한다.
본 발명은 랜덤 억세스의 편리성을 이용하여 기록 가능하고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상에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때 실시간으로 메뉴를 생성함과 동시에 기록되는 타이틀과 모드에 따른 다양한 메뉴를 구성할 수 있으며, 디스크의 내용을 재생할 때 기록된 메뉴를 재생하면서 메뉴의 이동, 수정 및 재생을 키입력을 통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타이틀을 보다 편리하고 쉽게 찾아 재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상에 원하는 타이틀을 위한 다양한 모양의 메뉴를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고, 재생할 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에 의해 메뉴의 이동, 수정 및 원하는 타이틀을 재생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메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상에 원하는 타이틀을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록할려는 타이틀에 대한 메뉴 구성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기록모드에서는 메인 메뉴와 타이틀을 나타내는 메뉴 항목으로 구성된 메뉴 데이터와 상기 메뉴 구성 정보에 따라 이 메뉴 데이터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뉴 제어 데이터를 수정해서 상기 디스크상에 메뉴가 기록되도록 제어하고, 재생모드에서는 상기 메뉴의 재생을 제어하는 시스템 콘트롤러를 포함함을특징으로 하 메뉴 항목과 메인 메뉴로 되어 있는 메뉴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b) 상기 현재 메뉴 항목이 상기 메인 메뉴상에서 표시될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현재의 메뉴 항목을 메뉴 항목 연결 리스트에 연결하여 메뉴 제어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뉴 제어 데이터와 메뉴 데이터로 구성된 메뉴를 상기 디스크상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디스크상에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을 참조하여 현재 기록할려는 타이틀의 타이틀 번호를 할당하는 단계; 및
    (a2) 현재 타이틀을 나타내는 메뉴 항목을 상기 메뉴 데이터내에서 임의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기록방법.
  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현재 기록되는 타이틀이 첫 타이틀이면 메인 메뉴 데이터 정보내에 있는 다음 메뉴 항목에 현재의 메뉴 항목을 연결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전의 메뉴 항목의 다음 메뉴 항목에 현재의 메뉴 항목을 연결하고, 현재 메뉴 항목을 마지막 메뉴 항목으로 설정하여 메뉴 제어 데이터의 메뉴 항목 연결 리스트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메뉴 항목이 메인 메뉴상에서 표시될 영역은 상기 메뉴 제어 데이터내의 표시 가능 위치 정보와 상기 메인 메뉴에 표시 가능한 메뉴 항목의 개수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5. 소정의 영역에 메인 메뉴와 각 타이틀에 따른 메뉴 항목으로 구성된 메뉴 데이터와 상기 메뉴 데이터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뉴 제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재기록가능한 디스크로부터 메뉴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메뉴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메뉴를 재생하는 단계; 및
    (b) 상기 메뉴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뉴 항목을 상기 메인 메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메뉴 제어 데이터의 메뉴 항목 연결 리스트에 있는 메뉴 항목에 대한 정보를 독출해서 보통 모드로 표시하는 단계; 및
    (b2) 초기 메뉴 화면을 위한 메뉴 항목을 선택 모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통 모드 표시와 선택 모드 표시는, 상기 메뉴 제어 데이터내에에 존재하는 메뉴 항목 표시 모드에 따른 메뉴 항목 이미지 데이터 옵셋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 보통 모드와 선택 모드에 해당되는 메뉴 항목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8. 제11항에 있어서,
    (c-1) 메뉴 항목의 이동키 입력에 따라 현재의 메뉴 항목을 보통 모드로 표시하는 단계; 및
    (d-1) 입력된 이동키에 해당하는 새로운 메뉴 항목을 선택모드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9. 제11항에 있어서,
    (c-2) 메뉴 항목 수정키 입력에 따라 현재 선택된 메뉴 항목을 새로 선택한 메뉴 항목으로 수정하는 단계; 및
    (d-2) 수정된 새로운 메뉴 항목을 선택모드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2)단계에서는 상기 메뉴 제어 데이터내의 메뉴 항목을 가리키는 메뉴 항목 인덱스값만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1. 제11항에 있어서,
    (c-3) 메뉴 항목 재생키가 입력되면 현재 선택된 메뉴 항목을 실행모드로 표시하는 단계; 및
    (d-3) 상기 현재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타이틀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모드 표시는, 상기 메뉴 제어 데이터내에에 존재하는 메뉴 항목 표시 모드에 따른 메뉴 항목 이미지 데이터 옵셋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 모드에 해당되는 메뉴 항목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KR1019980002197A 1998-01-24 1998-01-24 메뉴기능이제공되는광기록재생장치와그방법 KR100297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197A KR100297749B1 (ko) 1998-01-24 1998-01-24 메뉴기능이제공되는광기록재생장치와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197A KR100297749B1 (ko) 1998-01-24 1998-01-24 메뉴기능이제공되는광기록재생장치와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341A KR19990066341A (ko) 1999-08-16
KR100297749B1 true KR100297749B1 (ko) 2001-08-07

Family

ID=3752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197A KR100297749B1 (ko) 1998-01-24 1998-01-24 메뉴기능이제공되는광기록재생장치와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40A (ko) * 2002-04-26 2003-11-01 주식회사 디지탈웨이 디지털 오디오 장치 및 이 장치의 사용자 정의 메뉴 편집및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341A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5599B2 (ja) プレイリストの管理装置及び方法
US6763181B1 (en)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H0950676A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JP4447195B2 (ja) デジタルディスクレコーダのための3段階メニュー処理
US6130988A (en) Digital video disk player and reproduc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92508B1 (ko) 계층 구조정보 표시방법
US7127149B1 (en) Three-stage menu processing for digital disc recorder
JP3702275B2 (ja) 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情報記録媒体
JP3552284B2 (ja) 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3179878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及び情報再生用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3625316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884395B1 (ko) 재생모드를 자동 설정할 수 있는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297749B1 (ko) 메뉴기능이제공되는광기록재생장치와그방법
JP3552283B2 (ja) 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KR100335409B1 (ko) 메뉴기능을제공하는광기록재생장치및그방법과메뉴기능을제공하는디스크
KR100301011B1 (ko) 정지화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및 기록재생장치와 그 방법
KR100467575B1 (ko) 배경 화면/사운드의 변경 기능을 갖는 비디오 재생/기록시스템 및 배경 화면/사운드 변경 방법
KR100331315B1 (ko) 연속재생을위한마지막재생정보가저장되는디스크및연속재생방법
KR100301010B1 (ko) 정지화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및 기록재생장치와 그 방법
KR100319841B1 (ko) 메뉴데이터를가지는기록매체및이에적합한메뉴디스플레이방법
KR100300981B1 (ko)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와 그 방법
KR100300996B1 (ko) 오디오 에프터 레코딩 방법
JPH06302163A (ja) デジタル信号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装置
JP2005182959A (ja) 再生装置
KR20040037323A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정지영상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