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476B1 - 기록매체,그재생장치,데이타재생장치및데이타재생방법 - Google Patents

기록매체,그재생장치,데이타재생장치및데이타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476B1
KR100295476B1 KR1019970035656A KR19970035656A KR100295476B1 KR 100295476 B1 KR100295476 B1 KR 100295476B1 KR 1019970035656 A KR1019970035656 A KR 1019970035656A KR 19970035656 A KR19970035656 A KR 19970035656A KR 100295476 B1 KR100295476 B1 KR 10029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orm equalization
characteristic
data
waveform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306A (ko
Inventor
노부히데 스기모토
요오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80011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8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track pitch or recording dens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30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 G11B20/1039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jitter, timing deviations or phase and frequency e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9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lead-in are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타는 광픽업에 의해서 판독되고, 파형 등화기로 파형 등화 처리가 행해진 후, 데이타 슬라이서를 통해 복조된다. 광디스크에는 그 기록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해서 최적이 되는 파형 등화 특성을 수득하기 위한 파라미터가 기록되어 있다. 복조된 파라미터는 데이타 프로세서에 의해서 해독되고, 데이타 프로세서는 파라미터의 내용에 기초하여 파형 등화기의 파형 등화 특성을 전환한다.

Description

기록 매체, 그 재생 장치, 데이타 재생 장치 및 데이타 재생 방법{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THEREOF,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본 발명은 예컨대 압축된 동화상 영상 데이타, 부영상 데이타 및 음성 데이터 등의 디지탈 데이타가 기록된 기록 매체, 이 기록 매체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 상기 데이타를 재생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및 데이타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 상태를 가장 좋은 상태로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광디스크로서는 예컨대 음악 전용의 콤팩트 디스크(CD)나, 동화상 영상에도 대응하는 레이저 디스크(LD)등이 보급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최근에는 상기 CD와 같은 반경을 갖는 광디스크에, 동화상 영상 데이타, 음성 데이타 및 영상 데이타(예컨대 자막 데이타)등을 압축하여 고밀도로 기록하며, 또한, 음성이나 자막에 관해서는 언어가 다른 것을 여러 종류로 기록해 두고, 재생시에는 희망 언어의 음성이나 자막을 각각 자유롭게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시스템에 대응하는 광디스크는 일반적으로 DVD라 칭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 종류의 광학식의 광디스크가 있어왔다. 이러한 광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는 광디스크를 회전제어하는 회전 서보 유닛이나,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검출함으로써,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변조 신호을 판독하는 광 픽업부 등을 가지고 있다.
이 광 픽업부로써 판독된 변조 신호는 우선, 파형 등화 회로에 입력되어 파형 등화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 파형 등화 처리된 신호는 에러 정정 회로에 공급되어 에러 정정 처리가 실시된 후, 복조 회로에 유도되어 복조된다.
종래의 광디스크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파형 등화 회로의 특성으로 되어 있다. 그 이유는 우선 광디스크와 이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가 1대 l로 대응 관계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종류가 다른 광디스크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광디스크 재생 장치에 본래의 대응하는 광디스크와는 다른 종류의 광디스크가 장착되고, 그 광디스크가 재생된 경우, 광 픽업부로부터 얻어지는 변조 신호의 특성이 재생 장치가 의도하고 있는 특성과는 완전히 어긋난 것이 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이용자는 광디스크 재생 장치의 고장 또는 광디스크의 결함으로 착각할 경우가 있다.
또한, 동일 규격의 광디스크로도, 광디스크의 제조 메이커의 상이나, 광디스크 재생 장치의 특성 변화등의 원인에 의해, 각종 파라미터가 반드시 규격을 이상적으로 만족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이 결과 광디스크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이상적인 변조 신호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데이타 에러의 확율이 높아지고, 양호한 재생 신호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광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가장 적합한 특성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록 매체, 그 재생 장치, 데이타 재생 장치 및 데이타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광디스크 재생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2는 제2 실시예의 픽업 서보 수단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3은 제2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제2 실시예의 동작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제2 실시예의 다른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도 내지 도 6c는 각각 각종 광디스크의 구조를 원리적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각종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포커스 에러 신호의 레벨 변화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기록 매체의 일예로서의 광디스크의 기록 데이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동일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데이타의 논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광디스크 재생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12는 동일 제2 실시예의 광 픽업부, 전치 증폭기 및 에러 신호 생성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은 동일 제2 실시예의 에러 정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동일 제2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는 동일 제2 실시예의 주요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16은 동일 제2 실시예의 변형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동일 제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18 내지 도 21은 동일하거나 다른 변형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광디스크
12 : 디스크 모터
21 : 광 픽업부
22 : 전치 증폭기
23 : 파형 등화기
24 : 슬라이서
25 : 데이타 추출부
26 : 에러 정정 회로
27 : 동기 신호 분리기
28 : 스핀들 서보 회로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매체는 기록 데이타의 일부에 상기 기록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한 표준으로 되는 적어도 파형 등화 특성을 얻을 수 있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매체는 데이타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타를 판독하는 픽업부와, 이 픽업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파형 등화 처리를 행하는 파형 등화기와, 이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에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를 구비한 재생 장치에 의해, 데이타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타가 재생되고, 데이타 기록 영역에는 상기 데이타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타의 기록 형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기록되어 있고, 복조부에 의해서 복조처리된 파라미터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파형 등화기가 그 파형 등화 특성을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재생 장치는 기록 데이타의 일부에 상기 기록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해서 가장 적합하게 되는 적어도 파형 등화 특성을 얻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해서 기록된 기록 매체를 재생하고,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 데이타를 판독하는 픽업부와, 이 픽업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파형 등화 처리를 행하는 파형 등화기와, 이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에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와, 이 복조부에서 복조처리된 파라미터의 내용에 기초하여, 파형 등화기의 파형 등화 특성을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생 장치는, 기록 데이타의 일부에, 상기 기록 데이타의 기록 형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해서 기록한 기록 매체를 재생하고,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 데이타를 판독하는 픽업부와, 이 픽업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파형 등화 처리를 행하는 파형 등화기와, 이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에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와, 이 복조부에서 복조처리된 파라미터의 내용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록 매체를 재생했을 때에, 파라미터의 내용에 의해서 재생 특성의 제어 방향이나 재생 특성의 선택 또는 기록 매체의 종류나 기록 특성등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신호 재생 특성을 조기에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데이타 재생 장치는, 입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파형 등화 처리를 행하고, 복수의 파형 등화 특성을 선택적으로 전환가능한 파형 등화기와, 이 파형 등화기의 출력 신호를 2진화하는 2진화부와, 이 2진화부의 출력 신호의 에러를 검출하여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는 에러 정정부와, 이 에러 정정부에서 검출된 에러의 발생율 정보를 구하는 에러 발생율 검출부와, 이 에러 발생율 검출부에서 얻어진 에러의 발생율 정보에 기초하여, 파형 등화기의 파형 등화 특성을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데이타 재생 방법은 입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파형 등화 처리를 행하고, 복수의 파형 등화 특성을 선택적으로 전환가능한 파형 등화 단계와, 이 파형 등화 단계에서 파형 등화처리된 신호를 2진화하는 2진화 단계와,이 2진화 단계에서 2진화된 신호의 에러를 검출하여 상기 에러의 발생율 정보를 구하는 에러 발생율 검출 단계와, 이 에러 발생율 검출 단계에서 얻어진 에러의 발생율 정보에 기초하여, 파형 등화 단계의 파형 등화 특성을 전환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방법에 의하면, 입력 데이타의 에러 발생율에 따른 가장 적합한 파형 등화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데이타 재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l은 이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광디스크 재생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에 있어서, 부호11은 광디스크이고, 디스크 모터(1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 광디스크(11)의 신호 기록면측에는, 광 픽업부(21)가 배치되어 있다. 이 광 픽업(21)은 도시하지 않은 픽업 이송 모터에 의해, 광 디스크(1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제어된다.
이 광 픽업부(21)로부터 출력된 고주파인 변조 신호는, 전치 증폭기(22)를 통하여 파형 등화기(23)에 입력되어 파형 등화처리된다. 이 파형등화된 변조 신호는 데이타 슬라이서(24)에 입력되어 2진화된다. 이 2진화된 신호는 데이타 추출부(25)에 공급된다. 이 데이타 추출부(25)는 위상 동기 루프(PLL) 회로를 이용한 데이타 동기 클록 발생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데이타 추출부(25)에서는 데이타 클록이 발생되는 동시에, 이 데이타 클록을 이용하여 변조 신호가 샘플링된다. 이것에 의해 데이타 추출부(25)에서는 광디스크(11)에 기록되어 있던 디지탈 데이타의 추출이 행해진다. 이 추출된 디지탈 데이타는 에러 정정 회로(ECC)(26)와,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동기 신호 분리기(27)에 각각 공급된다.
데이타 추출부(25)에서 재생된 데이타 클록과, 동기 신호 분리기(27)에서 얻어진 동기 신호는 스핀들 서보 회로(28)에 입력된다. 스핀들 서보 회로(28)에서는 데이타 클록에 동기화한 동기 신호를 입력하고, 동기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에 기초하여 디스크 모터(1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있다. 이 경우, 스핀들 서보 회로(28)는 통상의 재생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에서, 동기 신호 분리기(27)로부터 소정의 주파수의 동기 신호가 얻어지도록 디스크 모터(12)의 회전 속도 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29는 데이타 프로세서이고, 데이타 슬라이서(24)의 슬라이스 레벨의 제어나, 데이타 추출부(25)에서의 PLL 회로의 특성 전환 및 제어, 스핀들 서보 회로(28)나 동기 신호 분리기(27)의 동작 타이밍의 전환 제어, 에러 정정 회로(26)의 출력 제어 등을 행하고 있다. 특히, 이 데이타 프로세서(2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형 등화기(23)의 특성 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한, 이 광디스크 재생 장치에는 광 픽업부(21)를 위한 픽업 서보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픽업 서보 수단은 포커스 에러 검출부(31)와, 3빔 트래킹 에러 검출부(32)와, 위상차 트래킹 에러 검출부(33)와, 이들 검출부(31,32,33)로부터 발생되는 각 에러 신호를 처리하여, 각각의 에러 보정을 위한 제어 신호를 얻는 서보 신호 처리부(34)를 가지고 있다. 이 서보 신호 처리부(34)로부터 얻어진 제어 신호는 증폭기(34a)를 통해 광 픽업부(21)에 공급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픽업 서보 수단을 구성하는 포커스 에러 검출부(31), 3빔 트래킹 에러 검출부(32) 및 위상차 트래킹 에러 검출부(33)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2는 광 픽업부(21)의 광검출부를 구성하는 광검출기A∼F의 배열과, 전치 증폭기(22)의 내부와, 각 에러 검출부(31,32,33)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광검출부는 4분할 광검출기 A,B,C,D 와, 그 전후에 배치된 2개의 광검출기 E,F 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적으로는 중심의 반사 빔이, 4분할 광검출기 A,B,C,D의 각 수광면에 균등한 비율(영역)로 수광되어 있다. 또한, 양호한 트래킹 상태에서는 전후의 광검출기 E,F 에도 각각에 대응하는 반사 빔이 균등하게 수광되어 있다.
각 광검출기 A∼F의 출력은 각각 버퍼 증폭기(22a∼22f)에 입력되어 있다. 이 중 버퍼 증폭기(22a,22c)의 출력 A,C 는 가산기(35)로 가산되어 (A+C)신호로서 출력되고 있다. 또한, 버퍼 증폭기(22b,22d)의 출력 B,D 는 가산기(36)로 가산되어 (B+D)신호로서 출력되고 있다.
그리고, 각 가산기(35,36)의 출력은 각각 감산기(37)에 입력되어 (A+C) - (B+D)로 되는 연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포커스 에러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포커스 에러 신호는 포커스 에러 검출부(31)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S자 레벨 검출 회로에 입력되어 포커스 상태의 검출에 기여한다. 또, 이 검출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가산기(35,36)의 각 출력은 위상차 검출기(38)에 입력된다. 이위상차 검출기(38)는 (A+C)신호와 (B+D)신호와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있다. 이 검출 신호는 위상차 트래킹 에러 신호로서 사용된다. 이 위상차 트래킹 에러 신호는 DVD가 재생될 때에 유효 신호로서 이용된다.
또, 상기 버퍼 증폭기(22e,22f)의 각 출력은 감산기(39)로 감산 처리됨으로써, (E-F)신호가 생성된다. 이 (E-F)신호는 3빔 트래킹 에러 신호로서 이용된다. 이 3빔 트래킹 에러 신호는 CD가 재생될 때에 유효 신호로서 이용된다.
또한, 상기 버퍼 증폭기(22a,22b,22c,22d)의 각 출력은 가산기(41)로 가산처리됨으로써, (A+B+C+D) 신호가 생성된다. 이 (A+B+C+D)신호는 RF(Radio Frequency)신호로서 파형 등화기(23)에 공급되고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특징부 중 하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 도 1 및 도 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즉, 광 픽업부(21)의 4분할 광검출기 A,B,C,D의 각 출력은 가산기(41)에서 가산되어 파형 등화기(23)에 입력된다. 여기서, 파형 등화기(23)는 적어도 2개의 파형 등화 특성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파형 등화 특성의 전환은 지연 특성 또는 진폭 특성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모두를 전환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도 3에서는 전환한 후의 특성 1, 특성 2, 특성 3,…와 같이 나타내고 있다.
이 파형 등화 특성의 전환은, 데이타 슬라이서(24)로부터의 데이타 또는 에러 정정이 행해진 후의 재생 데이타를 데이타 프로세서(29)가 판정함으로써, 가장 적합한 특성이 선택되도록 되어 있다.
이 가장 적합한 특성의 수단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각종 실시 형태가 있다.도 4a 는 가장 적합한 특성의 선택이 행해질 때의 동작 경과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광디스크 재생 장치가 광디스크(11)의 재생을 개시하면, 광 픽업부(21)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어 디스크 모터(12)의 회전수가 자동적으로 소정의 속도로 설정된다.
또한, 파형 등화기(23)의 파형 등화 특성도 소정의 특성으로 설정된다. 또한, 광 픽업부(21)의 광학계도, 소정의 빔 특성도, 각각 소정의 특성으로 설정된다. 또한, 데이타 프로세서(29)에서의 데이타 샘플링 클럭도 소정의 주파수로 설정된다.
여기서, 이 광디스크(11)와 광디스크 재생 장치간에는 규약이 있다. 즉, 광디스크(11)에는 그것이 소정의 속도로 회전되고, 또한, 소정의 파형 등화 특성과 소정의 빔 특성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어느 종류(예컨대 1층 구조의 DVD1 또는 2충 구조의 DVD2)의 광디스크(11)라도 신호의 판독이 가능해지는 기록 영역(예컨대 리드인(lead-in) 영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영역에 광디스크(11)의 종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기록되어 있다(도 4b 참조).
그리고, 데이타 프로세서(29)는 상기 영역으로부터 판독한 파라미터가 예컨대 「1000」으로 반복되면 로드된 광디스크(11)가 1층 구조의 DVD1로 판정하고, 「1100」으로 반복되면 2층 구조의 DVD2 로 판정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또한, 파라미터가 「l100」으로 반복되면 DVD2 로 판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DVD1로 판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데이타 프로세서(29)는 재생중의 광디스크(11)가 DVDl 인지 DVD2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데이타 프로세서(29)는 디스크 모터(l2)의 회전 속도를 탑재되어 있는 광디스크(11)에 적합한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타 프로세서(29)는 파형 등화기(23)의 내부 특성을 DVD1 용 또는 DVD2 용의 특성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 상기의 파라미터는 기록 데이타의 기록 비트 클록 주파수와, 광 픽업부 (21)가 상기 기록 데이타를 판독할 때의 공간 주파수와의 관계, 예컨대 비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파라미터이어도 좋다. 이 경우, 데이타 프로세서(29)는 이 파라미터의 내용에 따라서, 광학계나 신호 처리계 등의 각 부의 특성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예컨대 DVD-R0M이나 DVD-R에는 데이타의 기록 밀도에 대하여 선밀도가 0.267μm/비트인 것과, 0.293μm/비트인 것의 2종류가 있다. 그리고, 선밀도가 0.267μm/비트의 DVD에는 파라미터로서 「0000」이 기록되고, 선밀도가 0.293μm/비트의 DVD에는 파라미터로서 「0001」이 기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데이타 프로세서(29)는 판독한 파라미터가 「0000」인 경우, 선밀도가 0.267μm/비트의 DVD로 판정하고, 판독한 파라미터가 「0001」인 경우, 선밀도가 0.293μm/비트의 DVD로 판정하며, 광학계나 신호 처리계 등의 각 부의 특성을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또한, DVD-RAM에는 데이타의 기록 밀도에 대하여, 선밀도가 0.409∼0.435μm/비트인 것이 있고, 그 파라미터로서 「0010」이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밀도에 0.409∼0.435μm/비트의 폭이 있는 이유는 DVD-RAM이ZCLV(Zone Constant Linear Velocity)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제2 실시예를 발전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광디스크(11)의 종류가 판별되면, 데이타 프로세서(29)는 앞의 예와 동일하게, 디스크 모터(12)의 회전 속도를 탑재되어 있는 광디스크(11)에 적합한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타 프로세서(29)는 파형 등화기(23)의 내부 특성을, DVD1용 또는 DVD2용의 특성으로 전환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예는 각 부분의 특성을 재생중인 광디스크(11)에 대응한 특성으로 설정한 뒤에, 특히 파형 등화기(23)의 특성을 미세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우선 제2 예는 파형 등화기(23)의 특성을 a1,a2,a3,…로 미소하게 전환해 보고, 예컨대, 최고의 재생 레벨이 얻어지는 특성을 검색하고 있다. 그리고, 예컨대 특성 a2 일 때에 최고의 재생 레벨이 얻어졌다고 하면, 파형 등화기(23)의 특성으로서 특성 a2를 채택하도록 하고 있다. 이 특성의 전환은 도 5a에서는 DVD1 측의 란에만 기재하고 있지만, DVD2가 재생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2 예는 DVD2의 기록 데이타의 일부에, 또 미세한 파형 등화 특성을 얻기위한 예컨대 복수의 파라미터를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복수의 파라미터 중 가장 좋게 판독할 수 있는 파라미터의 내용을 판정하여, 이 내용에 따른 파형 등화 특성을 설정하는 것이다.
예컨대 비트 클록의 주파수가 미소하게 다른 3개의 파라미터 Xl,X2,X3을 디스크에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한번 설정한 파형 등화 특성에 의해, 노이즈가 적고 적어도 최선의 상태에서 판독된 파라미터에는 정상적인 파형 등화 특성을 설정하기 위한 지시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즉, 지금, 파라미터X2가 정상으로 판독된 경우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파형 등화 특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한다. 또한, 파라미터 X1이 정상으로 판독된 경우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파형 등화 특성은 정상적인 파형 등화 특성으로부터 주파수축상에서 높은 측(상측)에 어긋나 있는 것으로 한다. 동일하게 파라미터 X3가 정상적으로 판독된 경우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파형 등화 특성은 정상적인 파형 등화 특성으로부터 주파수축상에서 낮은 측(하측)에 어긋나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문에, 파라미터(X1)에서는 현재의 파형 등화 특성을 낮은 측으로 조정하라는 명령이 기술되어 있고, 파라미터(X3)에서는 현재의 파형 등화 특성을 높은 측으로 조정하라는 명령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광디스크(11)의 종류를 판정한 후에, 미세한 파형 등화 특성의 판정이 행해지고, 그 특성의 조정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예컨대 DVD2가 탑재되는 것이 처음부터 결정되어 있는 광디스크 재생 장치의 경우에는 상기의 제2 예의 처리를 곧 실행할 수 있다.
즉, DVD2의 기록 데이타의 일부에, 또 미세한 파형 등화 특성을 얻기 위한 예컨대 복수의 파라미터를 기록한다. 그리고, 이 복수의 파라미터 중 가장 적합하게 판독할 수 있는 파라미터의 내용을 판정하여, 이 내용에 따른 파형 등화 특성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광디스크(11)와 그 재생 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는, 파형 등화 특성을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뿐만아니라, 각 부의 특성 전환용의 파라미터를 광디스크(11)에 기록해 두면, 재생 장치측에서 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부를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전환 대상으로서는 예컨대, 보상 증폭기나 신호 처리 모드가 있다.
상기한 제2 실시예에서는 광디스크(11) 자체에 파라미터를 기록하고, 그 파라미터를 판독하여 디코드했을 때에, 그 광디스크(11)에 가장 적합한 재생 특성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데이타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현재 혼재하고 있는 광 픽업부(11)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종 광디스크(11)의 단면을 원리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6a는 종래부터 존재하는 음악용 CD를 나타내고 있고, 그 두께는 1.2mm로 규정되어 있다.
또한, 도 6b 및 도 6c는 고밀도 기록을 실현하여, 데이터를 압축한 영상 부호 및 음성 부호를 기록한 DVD를 나타내고 있고, 그 중에는 기록 재생가능한 초밀도 광디스크도 포함된다. 즉, 이 DVD에는 소위 재생 전용의 DVD-ROM(Read Only Memory)과, 기록가능한 DVD-RAM(Read After Memory)이 있다.
그리고, 도 6b는 신호 기록면이 형성된 1장의 기판으로 구성되는 1층 구조의 DVD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c는 각각 신호 기록면이 형성된 2장의 기판을 접착시켜 이루어진 2층 구조의 DVD-ROM을 나타내고 있다. 어느쪽의 경우도 광디스크(11) 전체의 두께는 1.2mm이고, 기판의 두께는 0.6mm로 규정되어 있다. 또한, CD와 DVD와는 양측모두 직경이 l2cm/8cm로 동일하게 규정되어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상술한 광디스크(11)의 신호 기록면을 확대하여 내측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7a는 CD의 신호 기록면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7b는 DVD-R0M의 신호 기록면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7c는 DVD-ROM의 신호 기록면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a 내지 도 7c에는 디스크 기판의 두께, 비트 폭, 트랙 폭등의 치수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광디스크(11)에는 트랙 피치가 다른 것도 있으면, 또 기록 포맷이 다른 것도 있다.
다음에, 포커스 서보에 관해서 설명한다. 즉, 상기한 포커스 에러 신호는 상기 포커스 에러 검출부(31)의 S자 레벨 검출 회로에 공급된다. 이 S자 레벨 검출 회로는 포커스 에러 신호의 레벨이 포커스 상태에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하는 것을 검출하고 있다.
이 S자 레벨 검출 회로로 검출된 레벨 정보는 상기 서보 신호 처리부(34)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서보 신호 처리부(34)가 입력된 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광픽업(21)의 광학계에 대하여 포커스 서보를 행하게 한다.
또한, 이 S자 검출 레벨 정보는 광디스크(11)의 종류를 판단하는 재료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S자 검출 레벨 정보에 의해서 광디스크(11)의 종류를 판단한 후, 앞의 파라미터에 의해 최종적인 확인을 얻도록 할 수 있다.
즉, S자 검출 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광디스크(11)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1층 구조의 CD나 DVD와 같은 광디스크(11)와, 2층 구조의 DVD-ROM이나 DVD-RAM과 같은 광디스크(11)에서는 광빔을 조사했을 때의 반사율이 다른 것을 이용하고 있다.
즉, 1층 구조의 CD나 DVD와 같은 광디스크(11)에서는 광빔의 반사율이 60∼70%정도인데 대하여, 2층 구조의 DVD-ROM과 같은 광디스크(11)에서는 25∼30%이며, 2층 구조의 DVD-RAM과 같은 광디스크(11)에서는 20% 이하이다.
이 때문에, 예컨대 포커스 에러 신호가 하이레벨일 때에는 1층 구조의 CD 또는 DVD와 같은 광디스크(11)가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포커스 에러 신호가 저FP벨일 때에는 2층 구조의 DVD-ROM 또는 DVD-RAM과 같은 광디스크(11)가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1층 구조의 광디스크(11)인지 2층 구조의 광디스크(11)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광 픽업부(21)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대물 렌즈를 서서히 광디스크(11)에 접근시켜 두고, 포커스 에러 신호로부터 판단되는 합촛점에 도달한 횟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수단으로 판정을 행할 경우에는 상기 스핀들 서보 회로(28)를 통한 광디스크(11)의 회전 서보계를 이용하지 않고, 광디스크(11)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시켜 두거나, 강제적으로 천천히 반회전 이하 또는 일정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회전 서보계를 이용하면, 폭주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광디스크(11)를 천천히 일정회전시킬 때의 회전 속도로서는 광디스크(11)의 회전 속도를 CLV(Constant Linear Velocity) 제어할 때의 최저 회전수, 또는 상정하고 있는 광디스크(11)의 최저 회전수가 요망된다. 이러한 회전 속도의 제어 방식은 광디스크(11)의 판별을 위해서 후술하는 트래킹 에러 신호를 이용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행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록 매체의 일예로서의 광디스크(11)의 기록 데이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광디스크(ll)는 예컨대 한면에 약 5G바이트의 기억 용량을 갖는 양면 접착 디스크이고, 그 내주측의 리드인 영역으로부터 외주측의 리드아웃 영역까지의 사이에 다수의 기록 트랙이 배치되어 있다. 각 트랙은 다수의 논리 섹터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섹터에 각종 정보(압축된 디지탈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광디스크(11)에 기록되는 영상(비디오)용 화일의 데이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영상용 화일은 화일 관리 정보(1) 및 영상용 데이타(2)를 포함하고 있다. 영상용 데이타(2)는 비디오 데이타 유닛(블록)과, 오디오 데이타 유닛(블록)과, 부영상 데이타 유닛(블록)과, 이들 데이타 재생을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 NAV(DSI;Data Search Information과 PCI;Picture Control Information를 포함한다)를 기록한 NAV 유닛(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유닛은 예컨대 데이타의 종류마다 일정 데이타 사이즈의 패킷으로, 각각 분할되어 있다. 비디오 데이타 유닛, 오디오 데이타 유닛 및 부영상 데이타 유닛은 이들 유닛군의 직전에 배치된 NAV에 기초하여 각각 동기를 취해서 재생된다.
즉, 도 9에 나타낸 복수 논리 섹터의 집합체 중에 이 광디스크(l1)의 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데이타를 격납하는 시스템 영역과, 볼륨 관리 정보 영역과 복수의 화일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화일 영역 중, 예컨대 화일(1)은 도 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주영상 정보(도면 중의 비디오 데이타), 주영상에 대하여 보조적인 내용을 갖는 부영상 정보(도면 중의 부영상 데이타), 음성 정보(도면 중의 오디오 데이타) 및 재생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NAV 유닛에는 데이타 기록용 공간(저장부)가 있기 때문에, 이 저장부에 새롭게 파라미터를 기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NAV 유닛은 광디스크(11)의 복수 개소(외주측, 내주측)에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몇개의 체크포인트를 설치하여, 이 위치의 NAV 유닛에 시스템 점검을 위한 각종 파라미터를 기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파라미터는 파형 등화 특성을 지정하는 것은 물론, 디스크 모터(1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정보 등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항상 광디스크 재생 장치의 재생 상태를 광디스크(11)에 따른 가장 적합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광디스크(11)에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변조 신호의 재생 출력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광디스크(11)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광디스크(11)에 기록되어 있는 변조 신호를 판독했을 때, 적어도 그 변조 신호의 재생 특성을 보다 이상적인 특성에 가깝게 얻을 수 있다. 또, 광디스크(ll)의 파라미터를 활용하여 광디스크 재생 장치의 재생 상태를 가장 좋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즉, 도 1l에서, 부호(51)는 광디스크이고 디스크 모터(52)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이 광디스크(51)의 신호 기록면측에는 광 픽업부(53)가 배치되어 있다. 이 광 픽업부(53)는 도시하지 않은픽업 이송 모터에 의해 광디스크(5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제어된다.
이 광 픽업부(53)로부터 출력된 고주파인 변조 신호는 전치 증폭기(54)를 통해 파형 등화기(55)에 입력되어 파형 등화 처리된다. 이 파형등화된 변조 신호는 데이타 슬라이서(56)에 입력되어 2진화된다. 이 2진화된 신호는 데이타 추출부(57)에 공급된다. 이 데이타 추출부(57)는 위상 동기 루프(PLL) 회로를 이용한 데이타 동기 클록 발생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데이타 추출부(57)에서는 데이타 클록이 생성되는 동시에, 이 데이타 클록을 이용하여 변조 신호가 샘플링된다. 이것에 의해, 데이타 추출부(57)에서는, 광디스크(51)에 기록되어 있던 디지탈 데이타의 추출이 행해진다. 이 추출된 디지탈 데이타는 에러 정정 회로(ECC),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동기 신호 분리기, 변조 신호를 원래의 비트열로 변환하는 복조기 등을 포함하는 동기 검출/복조부(58)에 공급된다.
이 동기 검출/복조부(58)의 출력은 에러 정정부(59)에 입력되고, 소정의 방식에 의해 에러 정정 처리가 행해진다. 이 에러 정정 처리가 행해진 직렬 데이타는 데이타 처리부(60)에 입력되어, 데이타 분리 처리나 디코드 처리 등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데이타 처리부(60)내의 데이타 클록이나, 동기 검출/복조부(58)의 동기 신호등은 디스크 서보 회로(61)에 입력된다. 이 디스크 서보 회로(61)는 데이타 클록에 동기화한 동기 신호를 입력하고, 동기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에 기초하여, 디스크 모터(5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이 디스크 서보 회로(61)는 통상의 재생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소정의 주파수 및 위상의 동기 신호가 얻어지도록 디스크 모터(5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치 증폭기(54)의 출력은 에러 신호 생성부(62)에 입력된다. 이 에러 신호 생성부(62)는 후술한 바와 같이, 광 픽업부(53)에 내장된 광전 변환 소자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포커스 서보, 위상차 트래킹 서보 및 3빔 트래킹 서보등의 각 서보계에 적합한, 포커스 에러 신호, 위상차 트래킹 에러 신호 및 3빔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이 중, 포커스 에러 신호는 포커스 서보 회로(63)에 공급되고, 위상차 트래킹 에러 신호 및 3빔 트래킹 에러 신호는 트래킹 서보 회로(64)에 입력된다. 이 회로(63)의 출력은 광 픽업부(52)의 포커스 구동부에 공급되고 있다. 또한, 트래킹 서보 회로(64)의 출력은 광 픽업부(53)의 트래킹 구동부에 공급되는 동시에, 픽업 이송 모터 구동부(65)에 공급되어 있다.
이 픽업 이송 모터는 광 픽업부(53)를 광디스크(5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제어하고, 트래킹 제어를 행할 경우나 점프 동작시에 구동된다. 또한, 광 픽업부(53)에는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 종별 판별 회로에서, 개구수(NA)를 제어하는 NA 전환 신호가 공급되고 있다.
이 NA 전환 신호에 의해, 광 픽업부(53)가 2렌즈 전환 방식(2개의 광학 렌즈계를 준비하고 있다) 경우에는 그 렌즈의 전환이 행해지고, 조절 전환 방식의 경우에는 조절 개구의 전환이 행해진다. 또한, 광 픽업부(53)가 2촛점 렌즈 방식(촛점이 광축 방향에 2개소 존재한다)의 경우에는 특히 전환은 불필요해진다.
도 12는 상기 광 픽업부(53)의 광전 변환 소자와, 포커스 에러 신호, 위상차 트래킹 에러 신호 및 3빔 트래킹 에러 신호를 얻기 위한 에러 신호 생성부(62)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2는 광 픽업부(53)의 광전 변환 소자인 광검출기 A∼F의 배열과, 전치 증폭기(54)의 내부와, 에러 신호 생성부(62)의 내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로서는, 광전 변환 소자는 4분할 광검출기(A,B,C,D)와, 그 전후로 배치된 2개의 광검출기(E,F)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적으로는, 중심의 반사빔이 4분할 광검출기(A,B,C,D)의 각 수광면에 균등한 비율(영역)로 수광되어 있다. 또한, 양호한 트래킹 상태에서는 전후의 광검출기(E,F)에도 각각 대응하는 반사빔이 균등하게 수광되어 있다.
각 광검출기(A∼F)의 출력은 각각 버퍼 증폭기(54a∼54f)에 입력되어 있다. 이 중, 버퍼 증폭기(54a,54c)의 출력 A,C 는 가산기(66)로 가산되어(A+C)신호로서 출력된다. 또한, 버퍼 증폭기(54b,54d)의 출력 B,D 는 가산기(67)로 가산되어 (B+D)신호로서 출력된다.
그리고, 각 가산기(66,67)의 출력은 각각 감산기(68)에 입력되어 (A+C) - (B+D)의 연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포커스 에러 신호로서 취출된다. 이 포커스 에러 신호는 포커스 서보 회로(68)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S자 레벨 검출 회로에 입력되어 포커스 상태의 검출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 가산기(66,67)의 각 출력은 위상차 검출기(69)에 입력된다. 이 위상차 검출기(69)는 (A+C)신호와 (B+D)신호와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있다. 이 검출신호는 위상차 트래킹 에러 신호로서 이용된다. 이 위상차 트래킹 에러 신호는 DVD가 재생될 때에 유효 신호로서 이용된다.
또한, 상기 버퍼 증폭기(54e,54f)의 각 출력은 감산기(70)로 감산처리됨으로써 (E-F)신호가 생성된다. 이 (E-F)신호는 3빔 트래킹 에러 신호로서 이용된다. 이 3빔 트래킹 에러 신호는 CD가 재생될 때에 유효 신호로서 이용된다.
또한, 상기 버퍼 증폭기(54a,54b,54c,54d)의 각 출력은 가산기(71)로 가산처리됨으로써 (A+B+C+D)신호가 생성된다. 이 (A+B+C+D)신호는 RF 신호로서 상기 파형 등화기(55)에 공급되어 있다.
여기서, 다시, 도 11로 되돌아가서 설명하면, 상기 에러 정정부(59)의 에러 발생 상황이 에러율 검출부(72)에 의해서 감시되고 있다. 이 에러율 검출부(72)는 검출한 에러율에 따라서 파형 등화기(55)의 파형 등화 특성을 전환하고 있다. 또, 이 에러율 검출부(72)로 검출된 에러율은 타부분의 특성 전환을 위해서도 도움이 된다.
도 13은 상기 에러 정정부(59)의 처리를 니타내고 있다. 우선, 에러 정정부(59)는 복조 신호의 l 프레임(1블록분)의 데이타를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하고(단계 A1), 에러 검사 워드를 이용해서, 1행씩 에러 처리를 실행한 후, 각 행의 에러 검사 처리가 끝나면, 각 열의 에러 검사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A2). 이것에 의해 에러 정정부(59)는 에러의 발생수나 에러 위치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에러 정정부(59)는, 에러의 정정이 가능하면,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고(단계 A3,A4), 정정 단위로 되는 데이타의 1블록분에 대하여 모든 에러 정정 처리가 끝났는지 어떤지를 판정한다(단계 A5). 그리고, 에러 정정부(59)는 1블록분에 대하여 모든 에러 정정 처리가 끝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행 또는 열에 대한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실행한다. 1블록분의 모든 에러 검사 및 정정이 종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 블록의 데이타의 입력이 행해진다.
또한, 단계 A3에서 에러 정정이 불가능하면, 에러 정정부(59)는 그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행 또는 열에 대응시켜서 플래그를 기술한다(단계 A6). 이 플래그는 관리용 메모리에 기억된다. 그리고 1블록분의 검사가 종료하고 있는지 어떤지의 판정이 행해지고(단계 A7), 종료하고 있는 경우, 에러 정정부(59)는 다음의 블록 데이타를 입력하고, 종료하지 않은 경우, 다음 행 또는 열의 검사 처리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마다 에러의 검사 및 정정 처리가 행해지지만, 플래그의 수나 에러 위치의 정보(에러수)는, 에러율 검출부(72)에 의해 감시되고 있다. 에러율 검출부(72)로 검출된 에러율은 광디스크 재생 장치의 각 부의 특성의 전환을 제어하는데 이바지한다.
도 14는 에러율 검출부(72)의 제어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즉, 광디스크 재생 장치가 개시되면, 에러율 검출부(72)는 재생 경과시간(TN)이 소정 시간 T1 경과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판정한다(단계 B1). 이것은 광디스크 재생 장치의 개시시에는 데이타의 에러율이 높기 때문이다.
그 후, 에러율 검출부(72)는 에러 정정을 행하는 복수 블록분의 플래그수( FN)가 소정수(F1) 이상인지를 판정한다(단계 B2). 플래그는 에러 정정 불능인 개소가 있을 경우에 발생하기 때문에, 플래그수가 F1 이상인 경우는 개구수(NA)가 정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에러율 검출부(72)는 개구수(NA)의 전환을 실시하여(단계 B3), 단계 B1의 처리로 이행한다.
재생 경과 시간(TN)이 소정 시간(Tl)을 경과한 경우, 에러율 검출부(72)는 단계 B4로 이행하고, 다시, 복수 블록분의 플래그수(FN)가 소정수 F1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소정 시간(T1) 경과 후의 정상적인 재생 중에, 플래그수(FN)가 소정수 Fl 이상인 경우에는, 예컨대 광디스크(51)상에 흠등이 있어서, 이상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에러율 검출부(72)는 경고의 온·오프를 실행한다(단계B5, B6).
플래그수(FN)가 소정수(Fl) 이하인 경우, 에러율 검출부(72)는 단계 B7에 있어서, 복수 블록분의 에러수(EN)가 소정수(E1) 이하인지를 판정한다. 에러수(EN)가 소정수(E1) 이하이면, 에러율 검출부(72)는 현재의 재생 특성이 재생중인 광디스크(51)에 정합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현재의 특성을 유지한다(단계 B3).
에러수(EN)가 소정수(E1) 이상인 경우, 에러율 검출부(72)는 파형 등화기(55)의 파형 등화 특성이 정합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첫회, 파형 등화 특성을 제2 방향으로 전환한다(단계 B9). 그리고, 에러율 검출부(72)는 복수 블록분의 신호 처리 기간을 기다린 후(단계 B10), 단계 B4로 되돌아가고, 다시 에러수(EN)가 증가했는지 감소했는지를 판정한다.
2회째에 있어서, 에러수(EN)가 감소하고 있으면, 에러율 검출부(72)는 제어 방향이 맞았다고 판단하고, 또 그 제어 방향을 향해 파형 등화기(55)의 파형 등화특성을 전환 제어한다. 반대로, 에러수(EN)가 증가하고 있으면, 에러율 검출부(72)는 제어 방향이 틀렸다고 판단하고, 전회와는 반대 방향으로 파형 등화기(55)의 파형 등화 특성을 전환 제어하여 다시 단계 B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도 15는 파형 등화기(55)의 파형 등화 특성을 제어하는 경우에, 제어 대상이 되는 것의 각종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파형 등화기(55)는 그 지연 특성과 진폭 특성을 각각 가변할 수 있다. 이들 특성의 가변 제어는 이전의 에러율 검출부(72)로부터 지연 특성 제어 신호와 진폭 특성 제어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실현된다. 에러율 검출부(72)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PU)이다.
또한, 파형 등화기(55)의 내부에 있어서는 그 내부의 지연 소자(D)의 지연량을 가변하여 특성을 전환할 수도 있고, 또한 각 지연 소자(D)의 출력에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기에서 계수 k의 값을 가변하여 특성을 전환할 수도 있다.
도 16은 상기 파형 등화기(55)의 특성을 전환 제어하기 위한 동작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동작예는 최소의 에러수가 실현되는 파형 등화 특성을 설정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이하의 에러수가 실현되는 특성을 설정하는 동작과는 약간 다르다.
우선, 에러율 검출부(72)는 파형 등화기(55)의 지연 특성을 그 가변 범위의 중간 특성으로 설정한다(단계 Cl). 다음에, 에러율 검출부(72)는 파형 등화기(55)의 진폭 특성을 복수 단계로 전환하여, 각 진폭 특성을 설정했을 때의 에러수[ EN1, EN2, …, EN(n)]를 각각 기억한다. 그리고, 에러율 검출부(72)는 이 에러수 중에서 최소인 EN(min)을 검출하여, 이 최소의 에러수[EN(min)]에 대응하는 진폭특성을 다시, 파형 등화기(55)에 설정한다(단계 C2, C3).
다음에, 에러율 검출부(72)는 파형 등화기(55)의 지연 특성을 복수 단계로 전환하여, 각 지연 특성을 설정했을 때의 에러수[EN(n+1), EN(n+2), …, EN(m)]를 기억한다. 그리고, 에러율 검출부(72)는 이 에러수 중에서 최소인 EN(min)를 검출하여, 이 최소의 에러수[EN(min)]에 대응하는 지연 특성을 다시, 파형 등화기(55)에 설정한다(단계 C4, C5).
상기와 같은 처리를 행함으로써, 최선의 상태로 광디스크(51)의 기록 데이타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제어 처리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행하여도, 최초의 소정 기간내에 실행하고, 그 후는 특성 고정 상태로 하여도, 광디스크(51)의 재생 위치에 따라서 실행하여도 좋은 것이다.
상기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광디스크(51)에 기록되어 있는 변조 신호를 판독하고, 이 변조 신호의 2진화 출력 또는 그 복조 신호의 에러 정정을 행할 때의 에러 발생율을 감시하여, 이 에러 발생율 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파형 등화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파형 등화기(55)의 특성을 전환 제어하기 위한 다른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17은 파형 등화기(55)의 진폭 특성의 변화에 대한 에러율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파형 등화기(55)의 진폭 특성의 가변 범위가 A에서 B까지라고 하면, 우선, 그 중간의 진폭 특성(C)으로 설정하고, 그 때의 에러율에 기초하여, 에러율이 최소가 되는 진폭 특성(D)을 구한다.
그 후, 진폭 특성을 D에서 A를 향해 일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에러율이 최소 에러율의 3배가 되는 진폭 특성(E)를 구한다. 또한, 진폭 특성을 D에서 B를 향해 일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에러율이 최소 에러율의 3배가 되는 진폭 특성(F)을 구한다. 그리고, 이 E와 F의 중간의 진폭 특성을 가장 적합한 진폭 특성으로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은 상기한 바와 같은 파형 등화 특성의 전환 제어를 실현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에러율 검출부(72)는 파형 등화기(55)의 진폭 특성을 그 가변 범위의 중간 특성(C)으로 설정하고(단계 D1), 그 때의 에러율을 판독한다(단계 D2). 그 후, 에러율 검출부(72)는 파형 등화기(55)의 진폭 특성을 C에서 A측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에러율이 최소가 되는 진폭 특성(D)을 구한다(단계 D3∼D9).
다음에, 에러율 검출부(72)는 파형 등화기(55)의 진폭 특성을 C에서 B측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이전에 구한 진폭 특성 D에 있어서의 에러율보다도 에러율이 작아지는 진폭 특성 D를 검색함으로써(단계 D10∼D17), 결과적으로 A에서 B의 범위내에서 에러율이 최소가 되는 진폭 특성 D를 구한다.
그 후, 에러율 검출부(72)는 파형 등화기(55)의 진폭 특성을 D에서 A측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에러율이 최소 에러율의 3배가 되는 진폭 특성 E를 구한다(단계 D18∼D28). 다음에, 에러율 검출부(72)는 파형 등화기(55)의 진폭 특성을 D에서 B측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에러율이 최소 에러율의 3배가 되는 진폭 특성(F)을 구한다(단계 D24∼D29).
그리고, 에러율 검출부(7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한 진폭 특성(S와 F)의 중간 진폭 특성을 최적의 진폭 특성으로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단계 D30).
이상의 설명에서는 파형 등화 회로(55)의 파형 등화 특성을 전환하기 위해서, 진폭 특성을 제어하는 것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파형 등화 특성은 지연 특성을 제어하거나, 또는 진폭과 지연 모두를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밖에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변조신호의 재생출력상태를 식별할 수 있고, 상기 광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변조신호를 픽업했을 때 적어도 그 변조신호의 재생 상태를 보다 이상적인 특성에 가깝게 할 수 있으며, 광디스크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재생장치의 재생 상태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1)

  1.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데이타의 일부에 상기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한 표준으로 되는 파형 등화 특성을 설정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상기 파라미터의 내용에 기초하여 파형 등화 회로에 의해 파형 등화 특성이 전환되어, 적어도 1개의 파형 등화 특성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데이타는 광 픽업부로써 판독되고,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기록 매체상에서 상기 기록 데이타의 단위 비트당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기록 데이타의 상기 기록 매체상의 선밀도가 0.267㎛/비트인 경우와, 0.293㎛/비트인 경우와, 0.409∼0.435㎛/비트인 경우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기록 매체의 리드인(lead-in)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재생 장치의 각부의 특성을 지정하기 위해서 복수 종류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기록 매체의 여러 장소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데이타는 광 픽업부로써 판독되고,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광 픽업부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주파수대 진폭 특성을 제어하여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데이타는 광 픽업부로써 판독되고,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광 픽업부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주파수대 지연특성을 제어하여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데이타는 광 픽업부로써 판독되고,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광 픽업부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주파수대 진폭 특성 및 주파수대 지연 특성 모두를 제어하여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1. 데이타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타를 판독하는 픽업부와, 이 픽업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파형 등화 처리를 행하는 파형 등화 수단과, 이 파형 등화 정보의 출력 신호에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 수단과, 제어 수단을 구비한 재생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타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타가 재생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기록 영역에는 상기 데이타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타의 기록형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파라미터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복조 수단에 의해서 복조 처리된 상기 파라미터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파형 등화 특성을 전환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데이타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타의 단위 비트당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데이타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타의 선밀도가 0.267㎛/비트인 경우와, 0.293㎛/비트인 경우와, 0,409∼0.435㎛/비트인 경우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픽업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 대 진폭 특성을 제어하여 그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픽업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 대 지연 특성을 제어하여 그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픽업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대 진폭 특성 및 주파수대 지연 특성 모두를 제어하여 그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7. 기록 데이타의 일부에 상기 기록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해서 최적으로 되는 적어도 파형 등화 특성을 얻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기록한 기록 매체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 데이타를 판독하는 픽업부와;
    상기 픽업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파형 등화 처리를 행하는 파형 등화 수단과;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출력 신호에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으로 복조 처리된 상기 파라미터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파형 등화 특성을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수단은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출력 신호를 2진화하는 2진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픽업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 대 진폭 특성을 제어하여 그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픽업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대 지연 특성을 제어하여 그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픽업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대 진폭 특성 및 주파수대 지연 특성 모두를 제어하여 그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기록 매체상에서 상기 기록 데이타의 단위 비트당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기록 데이타의 상기 기록 매체상의 선밀도가 0.267㎛/비트인 경우와, 0.293㎛/비트인 경우와, 0.409∼0.435㎛/비트인 경우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재생 장치의 각부의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5. 기록 데이타의 일부에 상기 기록 데이타의 기록 형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기록한 기록 매체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 데이타를 판독하는 픽업부와;
    상기 픽업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파형 등화 처리를 행하는 파형 등화 수단과;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출력 신호에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으로 복조 처리된 상기 파라미터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6. 입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파형 등화 처리를 실시하여 복수의 파형 등화 특성을 선택적으로 전환가능하게 하는 파형 등화 수단과;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출력 신호를 2진화하는 2진화 수단과;
    상기 2진화 수단의 출력 신호의 에러를 검출하여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시하는 에러 정정 수단과;
    상기 에러 정정 수단으로 검출된 에러의 발생율 정보를 구하는 에러 발생율 검출 수단과;
    상기 에러 발생율 검출 수단으로 얻어진 에러의 발생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파형 등화 특성을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대 진폭 특성을 제어하여 그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대 지연 특성을 제어하여 그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 대 진폭 특성 및 주파수 대 지연 특성 모두를 제어하여 그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 대 지연 특성을 가변 범위의 중간 특성으로 설정하는 제1 수단과;
    상기 제2 수단에 의해,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 대 지연 특성이 가변 범위의 중간 특성으로 설정된 상태로,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 대 진폭 특성을 변화시켜 상기 에러의 발생율이 최소로 되는 진폭 특성을 검색하여, 상기 파형 등화 수단에 설정하는 제2 수단과;
    상기 제2 수단에 의해,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 대 진폭 특성이 설정된 상태로,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 대 지연 특성을 변화시켜 상기 에러의 발생율이 최소가 되는 지연 특성을 검색하여, 상기 파형 등화 수단에 설정하는 제3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 대 진폭 특성을 상기 에러의 발생율이 최소치와 상기 최소치보다도 소정량만큼 높은 값 사이의 범위에 들어 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대 지연 특성을 상기 에러의 발생율이 최소치와 상기 최소치보다도 소정량만큼 높은 값 사이의 범위에 들어 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형 등화 수단의 주파수 대 진폭 특성 및 주파수대 지연 특성을 상기 에러의 발생율이 최소치와 상기 최소치보다도 소정량만큼 높은 값 사이의 범위에 들어 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34. 입력된 고주파 변조 신호에 파형 등화 처리를 실시하고, 복수의 파형 등화 특성을 선택적으로 전환가능하게 하는 파형 등화 단계와;
    상기 파형 등화 단계로 파형 등화 처리된 신호를 2진화하는 2진화 단계와;
    상기 2진화 단계에서 2진화된 신호의 에러를 검출하여 상기 에러의 발생율 정보를 구하는 에러 발생율 검출 단계와;
    상기 에러 발생율 검출 단계에서 얻어진 에러의 발생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파형 등화 특성을 전환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상기 파형 등화의 주파수대 진폭 특성을 제어하여 그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상기 파형 등화의 주파수 대 지연 특성을 제어하여 그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방법.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제어 단계는 상기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상기 파형 등화의 주파수 대 진폭 특성 및 주파수 대 지연 특성 모두를 제어하여 그 파형 등화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방법.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파형 등화의 주파수 대 지연 특성을 가변 범위의 중간 특성으로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상기 파형 등화의 주파수 대 지연 특성이 가변 범위의 중간 특성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파형등화의 주파수 대 진폭 특성을 변화시켜 상기 에러의 발생율이 최소로 되는 진폭 특성을 검색하고, 상기 파형 등화 특성을 설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상기 파형 등화의 주파수 대 진폭 특성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파형 등화의 주파수 대 지연 특성을 변화시켜 상기 에러의 발생율이 최소로 되는 지연특성을 검색하고, 상기 파형 등화 특성을 설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방법.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파형 등화의 주파수 대 진폭 특성을 상기 에러의 발생율이 최소치 및 그 최소치 보다도 소정량 만큼 높은 값사이의범위에 들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방법.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파형 등화 단계의 주파수 대 지연특성을 상기 에러의 발생율이 최소치와 이 최소치보다도 소정량 만큼 높은 값 사이의 범위에 들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방법.
  4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파형 등화의 주파수 대 진폭 특성 및 주파수 대 지연특성을 상기 에러의 발생율이 최소치와 이 최소치보다도 소정량 만큼 높은 값사이의 범위에 들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재생 방법.
KR1019970035656A 1996-07-30 1997-07-29 기록매체,그재생장치,데이타재생장치및데이타재생방법 KR100295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00202 1996-07-30
JP8200201A JPH1049875A (ja) 1996-07-30 1996-07-30 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装置
JP96-200201 1996-07-30
JP20020296 1996-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306A KR980011306A (ko) 1998-04-30
KR100295476B1 true KR100295476B1 (ko) 2002-04-17

Family

ID=1642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656A KR100295476B1 (ko) 1996-07-30 1997-07-29 기록매체,그재생장치,데이타재생장치및데이타재생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49875A (ko)
KR (1) KR100295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2982B1 (en) * 1999-03-08 2003-04-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KR100510497B1 (ko) * 2002-11-26 200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7265551A (ja) * 2006-03-29 2007-10-11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306A (ko) 1998-04-30
JPH1049875A (ja) 199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1063B2 (ja) 光ディスク判別装置
US7406014B2 (en) Disc discriminating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reof
JP4491943B2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および光ディスク判別方法
US5978322A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a parameter for identifying the format of data and a reproducing device thereof
JP2821453B2 (ja) ディスク判別装置及び方法
EP1473720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fferentiating between writable disc types
US20040228244A1 (en) High-density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playback thereof
JPH1055602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295476B1 (ko) 기록매체,그재생장치,데이타재생장치및데이타재생방법
JPH1049885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20040048476A (ko) 광정보 재생장치 및 방법
JPH1097765A (ja) 記録媒体、その再生装置、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EP1525578A1 (en) High-density reproduction-only optical disc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same
JP4717820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媒体についてのデータの記録及び/または再生方法及び装置
KR100194049B1 (ko) 디스크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0194047B1 (ko) 디스크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0194048B1 (ko) 디스크 판별 장치 및 방법
JP3350362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RU21196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оптических дисков (варианты)
KR100343966B1 (ko) 광디스크의 신호 재생방법 및 장치
JP4831237B2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光ディスク判定方法
JPH1050011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4158180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5158180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