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672B1 - 자동차의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672B1
KR100293672B1 KR1019970061679A KR19970061679A KR100293672B1 KR 100293672 B1 KR100293672 B1 KR 100293672B1 KR 1019970061679 A KR1019970061679 A KR 1019970061679A KR 19970061679 A KR19970061679 A KR 19970061679A KR 100293672 B1 KR100293672 B1 KR 100293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lower control
damping means
control ar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125A (ko
Inventor
정은화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70061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672B1/ko
Priority to US09/195,302 priority patent/US6161853A/en
Priority to JP10331684A priority patent/JPH11227434A/ja
Priority to DE19853642A priority patent/DE19853642B4/de
Publication of KR1999004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 B60G2200/14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with two lateral arms forming a parallelogr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2Woun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3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with the spring, i.e. coil spring, or damper horizontal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9Gears
    • B60G2204/4192Gears rack and pin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고유성능을 유지한 상태에서도 좁은 공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컴팩트화 하며, 완충력의 조절이 가능하여 적용범위가 크게 확대되며, 최저 지상고의 조절이 가능하고, 불규칙한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 하중을 차체의 다수 개소로 분산시켜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집중하중에 의한 차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현가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와;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휠 캐리어의 상,하부를 차체측과 연결하여 주는 어퍼 및 로워 컨트롤 아암과;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제1 댐핑수단과; 상기 제1 댐핑수단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감쇠시키는 제2 댐핑수단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댐핑수단을 차체의 기울기와 로워 컨트롤 아암의 회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신축되면서 댐핑작용을 할 수 있도록 로워 컨트롤 아암의 차체측 연결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2 댐핑수단을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과 차체 사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현가장치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 효과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차륜 사이에 존재하면서 이 2개의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컨트롤 아암으로 연결하여 상하 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쇽 업소오버에 의하여 지지되고, 기타 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차륜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켜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노면으로부터의 입력에 대한 여러부문의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음의 3가지 조건이 요구되고 있다.
첫째,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승객들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둘째, 운전자의 운전행위 또는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셋째,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시 타이어 접지면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러한 성능의 극대화를 위하여 엔지니어들은 현가기구의 개선 및 튜닝과, 새로운 스프링 또는 댐핑 메카니즘의 개발에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를 살펴보면, 도 6에서와 같이, 스프링(102)과 쇽 업소오버(104)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상측단이 인슐레이터(106)를 개재시켜 차체(108)에 현가 지지되며, 하측에는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110)가 일체로 고착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112)와;
상기 휠 캐리어(110)의 하측 부분을 차체 또는 프레임(114)과 연결하여 주는 로워 컨트롤 아암(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불규칙한 입력이 스트러트 어셈블리에 의하여 완충 감쇠되면서 차체로 최소한의 충격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현가장치는 완충기구인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수직 또는 약간의 경사각을 보유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그의 상단부가 차체 휠 하우스의 상측부분에 마운팅 되는 바, 이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즉,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자체 길이와 휠의 승강에 따른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가장치의 점유공간이 매우 커져 엔진룸의 공간활용이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상단 마운팅부분에서 휠을 통해 들어오는 입력을 집중적으로 받게 되어 이 부분에 대한 피로 증대와 차체 변형의 요인이 되며, 이는 곧 운전성능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단 제조된 스트러트 어셈블리는 완충력 조절이 불가능하여 적용차량 이외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상기의 스트러트 타입 현가장치 뿐만 아니라, 더블 위시본 타입, 멀티 링크 타입의 현가장치 등에서와 같이 완충기구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현가장치에서도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고유성능을 유지한 상태에서도 좁은 공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컴팩트화 한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간의 완충력의 조절이 가능하여 적용범위가 크게 확대되며, 최저 지상고의 조절이 가능한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규칙한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 하중을 차체의 다수 개소로 분산시켜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집중하중에 의한 차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과 쇽 업소오버가 일체로 형성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를 생략하고, 코일 스프링을 모듈화하여 차체의 길이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쇽 업소오버는 로워 컨트롤 아암과 차체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현가장치의 상하방향에 대한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와;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휠 캐리어의 상,하부를 차체측과 연결하여 주는 어퍼 및 로워 컨트롤 아암과;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제1 댐핑수단과; 상기 제1 댐핑수단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감쇠시키는 제2 댐핑수단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댐핑수단을 차체의 기울기와 로워 컨트롤 아암의 회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신축되면서 댐핑작용을 할 수 있도록 로워 컨트롤 아암의 차체측 연결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2 댐핑수단을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과 차체 사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 - A 선 단면도.
도 4는 휠이 상승하였을 때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휠이 하강하였을 때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종래 현가장치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는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사시도 및 그 정면도로서, 본 발명은 휠 캐리어(2)와 어퍼 및 로워 컨트롤 아암(4)(6), 그리고 불규칙한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제1,2 댐핑수단(8)(1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휠 캐리어(2)는 휠(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그의 본체부(12) 중앙에는 관통공(14)이 형성되어 구동륜의 경우 미도시한 구동축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토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휠 캐리어(2)의 상단부를 차체와 연결하는 어퍼 컨트롤 아암(4)은 1개의 휠측 연결부(16)와, 전,후 2개의 차체측 연결부(18)(20)를 보유하되, 휠측 연결부(16)는 볼 죠인트 또는 수평형 부시에 의하여 연결되고, 차체측 연결부(18)(20)는 수평형 부시를 이용하여 차체측과 연결된다.
상기에서 어퍼 컨트롤 아암(4)의 차체측 연결부(18)(20)를 차체와 연결함에 있어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수평형 부시를 이용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퍼 컨트롤 아암(4)의 상하 회동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휠 캐리어(2)의 하측 부분을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로워 컨트롤 아암(6)은 1개의 휠측 연결부(22)와, 내측부에서 전,후 분기되어 2개의 차체측 전,후 연결부(24)(26)를 보유하는 "A" 형 아암으로서, 상기 휠측 연결부(22)는 공지의 볼 죠인트 방식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지고, 차체측 연결부(24)(26)의 전측 연결부(24)는 제1 댐핑수단(8)과 연결되고, 후측 연결부(26)는 수직형 부시를 이용하여 차체와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각 연결부에 적용되는 수평, 수직형 부시라고 함은 부시의 축이 어떻게 배치되는가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서, 수평형은 그 축방향이 수평의 상태로 배치된 것이고, 수직형은 그 축방향이 수직의 상태로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6)을 "A"형 아암으로 사용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1개씩의 연결부를 보유하는 "I" 형 아암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상기에서 제1 댐핑수단(8)은 도 3에서와 같이, 로워 컨트롤 아암(6)의 요동을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탄성부재인 코일 스프링(28)에 전달하여 흡수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28)은 원통형 외부 케이스(30)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케이스(32)에 내장되며, 이 코일 스프링(28)의 일측단은 내부 케이스(32)에서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34)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34)는 내부 케이스(32)의 일측으로 인출되는 랙(36)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랙(36)은 이에 직교방향으로 배치되는 축(38)의 일단에 형성되는 피니언(40)과 치합된다.
또한, 상기 축(38)은 타단에 베벨기어(42)가 장착되어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6)의 휠 측 연결부(24)에 형성된 또 다른 베벨기어(44)와 치합된다.
이에 따라 노면의 조건에 따라 로워 컨트롤 아암(6)이 상하로 회동하면, 그의 거동은 연결부의 베벨기어(44)로 전달되고, 이의 베벨기어(44)의 운동은 축(38)을 회전시키고, 이의 회전은 랙(36)과 피니언(36)의 작동으로 피스톤(34)을 통해 코일 스프링(28)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 댐핑수단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는 노면 조건에 의하여 휠(10)이 바운드 할 때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서, 휠(10)이 바운드 하면 로워 컨트롤 아암(6)은 상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이의 차체측 연결부(2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베벨기어(44)가 도면에서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는 바, 축(38)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축(3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피니언(40)과 랙(36)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피스톤(34)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코일 스프링(28)을 압축시킴으로써,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로 휠(10)이 리바운드 하는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의 동작은 상기 바운시와 반대로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휠(10)이 노면 조건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 상기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충격 및 진동이 흡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 댐핑수단(8)에 있어서는 공차의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34)의 압축정도에 따라 그 탄성력이 변하게 되는 바, 필요에 따라서는 압축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차체의 최저 지상고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적용 차량의 차중에 따라 그 압축정도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적용 차종의 범위를 확대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코일 스프링(34)의 압축 정도하고 함은 어떤 기준치의 기본 압축에서 탄성력을 크게 하고자 할 때에는 더욱 압축하여 현재의 압축된 위치를 기본위치로 설정하면, 탄발력이 증대됨으로써, 큰 탄성력을 요구하는 차량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른 차체의 최저 지상고도 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 댐핑수단(8)의 댐핑작동중에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주는 제2 댐핑수단(10)은 공지의 쇽 업소오버로 이루어지며, 이의 쇽 업소오버의 구성은 공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2 댐핑수단(10)에 있어서는 단순히 쇽 업소오버로 이루어지게 되는 바, 종래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길이 보다는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이의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모든 발명을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과 쇽 업소오버를 분리하여 적용함으로써, 스트러트 어셈블리 적용에 따른 최소한의 상하 높이를 요구하지 않게 되는 바, 그 고유성능을 유지한 상태에서도 좁은 공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컴팩트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약간의 완충력의 조절이 가능하여 적용범위가 크게 확대되며, 최저 지상고의 조절이 가능하며, 코일 스프링과 쇽 업소어버가 분리 배치됨으로써, 이들 각각의 연결부에 하중이 입력되므로 종래와 같은 집중하중에 의한 차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와;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휠 캐리어의 상,하부를 차체측과 연결하여 주는 어퍼 및 로워 컨트롤 아암과;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제1 댐핑수단과; 상기 제1 댐핑수단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감쇠시키는 제2 댐핑수단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댐핑수단을 차체의 기울기와 로워 컨트롤 아암의 회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신축되면서 댐핑작용을 할 수 있도록 로워 컨트롤 아암의 차체측 연결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2 댐핑수단을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과 차체 사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댐핑수단은 로워 컨트롤 아암의 요동을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탄성부재인 코일 스프링에 전달하여 흡수 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댐피수단은 원통형 외부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케이스에 내장되는 코일 스프링과;
    일측으로 랙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면이 상기 코일 스프링에 탄지되어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랙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랙과는 피니언으로 연결되고, 로워 컨트롤 아암과는 베벨기어로 연결되는 축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19970061679A 1997-11-21 1997-11-21 자동차의현가장치 KR100293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679A KR100293672B1 (ko) 1997-11-21 1997-11-21 자동차의현가장치
US09/195,302 US6161853A (en) 1997-11-21 1998-11-18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JP10331684A JPH11227434A (ja) 1997-11-21 1998-11-20 自動車の懸架装置
DE19853642A DE19853642B4 (de) 1997-11-21 1998-11-20 Radaufhängungssystem für Kraftfahrze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679A KR100293672B1 (ko) 1997-11-21 1997-11-21 자동차의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125A KR19990041125A (ko) 1999-06-15
KR100293672B1 true KR100293672B1 (ko) 2001-07-12

Family

ID=1952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679A KR100293672B1 (ko) 1997-11-21 1997-11-21 자동차의현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61853A (ko)
JP (1) JPH11227434A (ko)
KR (1) KR100293672B1 (ko)
DE (1) DE1985364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952B1 (ko) * 1999-11-09 2002-05-10 이계안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JP3843209B2 (ja) * 2000-03-15 2006-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輌
US6709014B2 (en) * 2001-08-22 2004-03-23 Volvo Trucks North America, Inc. Heavy duty vehicle frame
KR20030047355A (ko) * 2001-12-10 2003-06-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롤링 제어장치
US6726229B2 (en) * 2002-01-02 2004-04-27 Meritor Light Vehicle Technology, Llc Integral spring damper and cross member
US20030132626A1 (en) * 2002-01-11 2003-07-17 Carlstedt Robert P. Incorporation of suspension elements in vehicle frame components
DE20209120U1 (de) * 2002-06-12 2003-10-16 Hemscheidt Fahrwerktech Gmbh Feder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8151953B2 (en) 2004-04-08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spension and damp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US20100116608A1 (en) * 2004-04-08 2010-05-13 Hemscheidt Fahrwerktechnik Gmbh & Co. Kg Suspension and damp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DE202005011439U1 (de) * 2005-07-18 2006-11-23 Hemscheidt Fahrwerktechnik Gmbh & Co. Kg Feder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WO2008115461A2 (en) 2007-03-16 2008-09-25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WO2009002332A1 (en) * 2007-06-22 2008-12-31 Radar Industries Inc.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US7793954B2 (en) 2007-06-22 2010-09-14 Radar Industries, Inc.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DE102007063544B4 (de) * 2007-12-21 2023-11-1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Radaufhängung für eine Vorderachse eines Kraftfahrzeugs
CZ303603B6 (cs) * 2009-07-09 2013-01-02 Technická univerzita v Liberci Záves kola vozidla, zvlášte vozidla pro jízdu v nerovném terénu
JP5386451B2 (ja) * 2010-08-05 2014-01-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US9440671B2 (en) 2012-09-20 2016-09-13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CN104661903B (zh) 2012-09-20 2017-11-10 北极星工业有限公司 多功能车辆
CN104589943A (zh) * 2015-01-22 2015-05-06 石宇 导出式多承点独立悬架
DE102017207723A1 (de) * 2017-05-08 2018-11-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enkungsbaugruppe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US10793181B2 (en) 2018-02-13 2020-10-06 Polaris Industries Inc. All-terrain vehicle
KR102559109B1 (ko) * 2021-09-28 2023-07-25 (주)화신 차량용 현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90293A (en) * 1918-04-15 1919-01-07 American Motor Spring Patents Company Shock-absorber and suspension for vehicles.
US2073267A (en) * 1931-10-26 1937-03-09 Willis O Prouty Vehicle spring suspension device
US2026018A (en) * 1934-05-11 1935-12-31 Butterworth Josephine Mechanical movement useful for wheel mountings
GB461587A (en) * 1935-12-19 1937-02-19 Charles Heyermans Improvements in spring suspension means for wheeled vehicles
US2913253A (en) * 1956-06-14 1959-11-17 George H Taber Running gear and spring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US3400947A (en) * 1966-08-03 1968-09-10 George Hugh Stallard Two-wheel suspension system
CA2117945C (en) * 1994-10-12 2003-03-25 Laurence J. Holt Suspen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53642A1 (de) 1999-05-27
KR19990041125A (ko) 1999-06-15
JPH11227434A (ja) 1999-08-24
DE19853642B4 (de) 2004-03-25
US6161853A (en) 2000-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672B1 (ko) 자동차의현가장치
KR0139520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120036810A (ko) 통합된 스프링부 및 댐핑부를 포함하는 와트 링키지 서스펜션 장치
KR0139521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RU2713263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подвеска оси для задней ос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320499B1 (ko) 자동차의전륜현가장치
KR100313801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100313799B1 (ko) 자동차의현가장치
JP3551630B2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100320498B1 (ko) 자동차의리어서스펜션시스템
KR100345119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369145B1 (ko) 차량의 비구동용 서스펜션 시스템
KR100579227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293679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아암 장착 부시 시스템
KR200253064Y1 (ko) 자동차현가장치의롤링보상장치
KR100422550B1 (ko) 차량용 속업소버의 상부체결구조
KR100313798B1 (ko) 차량용서스펜션시스템
JP2003118345A (ja) 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013130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9990024329U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42255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상부체결구조
KR20140077040A (ko)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KR100507470B1 (ko) 차량용 안티 롤 장치
KR19980035595A (ko) 현가장치의 스트럿 바아구조
KR20000016932U (ko) 탄성링크를 이용한 독립식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