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568B1 -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568B1
KR100293568B1 KR1019980051250A KR19980051250A KR100293568B1 KR 100293568 B1 KR100293568 B1 KR 100293568B1 KR 1019980051250 A KR1019980051250 A KR 1019980051250A KR 19980051250 A KR19980051250 A KR 19980051250A KR 100293568 B1 KR100293568 B1 KR 100293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anaerobic
reactor
tank
anox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4072A (ko
Inventor
김조웅
이정복
임윤택
최대건
홍현기
김두현
Original Assignee
주덕영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영, 대한민국 filed Critical 주덕영
Priority to KR101998005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568B1/ko
Priority to PCT/KR1999/000484 priority patent/WO2000032522A1/en
Priority to AU55302/99A priority patent/AU5530299A/en
Priority to JP2000585169A priority patent/JP3543084B2/ja
Priority to CNB998138118A priority patent/CN1137058C/zh
Priority to EP99941816A priority patent/EP1140707B1/en
Publication of KR20000034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02F2101/22Chromium or chromium compounds, e.g. chro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animals, e.g. poultry, fish, or parts thereof
    • C02F2103/2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animals, e.g. poultry, fish, or parts thereof from tann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textile indust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 C02F2103/327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from processe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dairy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질소함량이 높고 부하 변동이 심하며 중금속 등 유해물질을 대량 함유한 피혁폐수를 물리·화학적 전처리를 거치지 않고 폐수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원폐수 저장탱크, 원폐수 저장탱크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연속적으로 혐기적 소화와 탈질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격막,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 내의 활성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배출구,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로부터 유입된 폐수의 각종 유기물을 배양기로 하여 용존 산소의 존재하에서 미생물의 혼합집단을 연속 배양시키는 1·2차 호기 반응조, 1·2차 호기 반응조 각각에 공기를 주입하는 수단; 2차 호기 반응조로부터 유입된 폐수의 각종 유기물을 배양기로 하여 무산소 조건하에서 미생물의 혼합집단을 연속 배양시키는 2차 무산소 반응조, 2차 무산소 반응조로부터 유입된 활성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 침전조에 침전된 활성 슬러지를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와 1차 호기 반응조로 반송시키는 수단 및 침전조의 상징액 일부를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로 반송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고농도이면서 악성으로 알려진 피혁폐수를 순 생물학적 반응만으로 정화·처리하여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A/O 공법과 MLE 공법을 병용한 폐수처리장치에서 슬러지 반송장치를 적절히 변경하여 크롬, 황 등을 대량 함유한 고농도 피혁폐수를 물리·화학적으로 전처리를 거치지 않고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발생 슬러지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혁 제조업은 악성폐수를 배출하는 산업으로 미처리수를 하천, 호소, 해안만 등에 방류하므로써 수질오염의 심각한 원인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피혁 제조업체는 대부분이 영세업체이며 수도권 상수도 지역에 밀집되어 있어 그 심각성이 더 크다고 하겠다. 또한, 피혁 제조업체에서는 피혁폐수 처리시 다량의 슬러지(Sluge, 물이나 기름 등에 혼합된 불순물이 밑바닥에 침전된 것을 말함)가 발생하여 환경 부담금이 생산원가의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호소, 내만 및 내해 등의 공용 수역과 도시 중소 하천의 오염 상태가 매우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호소, 내만 및 내해 등의 총질소(N)와 총인(P)에 관련된 수질 환경 기준인 COD(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 요구량),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의 달성율은 매우 낮은 상황이다. 더욱이 하천, 호소 및 댐은 식수의 수원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곰팡이 냄새, 여과장해 및 유독성 조류의 이상 증식 등은 커다란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A/O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A/O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는 활성 슬러지(Activated Sludge, 활성 슬러지법은 하수나 산업 폐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기물을 무산소 및 용존 산소의 존재하에서 미생물의 혼합 집단을 연속 배양하여 유기물을 응집, 흡착, 산화, 분해, 침전의 각 작용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를 이용하여 무산소 반응조(20)에서 탈질 및 유기물 제거를, 호기 반응조(30)에서 질산화 및 인을 제거한 후 침전조(40)에서 질산화로 인해 생성된 질산염 및 활성 슬러지는 무산소 반응조(20)로 반송시키고 상징액은 방류하는 공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A/O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는 원폐수 저장탱크(10), 무산소 반응조(20), 호기 반응조(30), 침전조(40), 방류조(50), 원폐수 저장탱크(10)와 무산소 반응조(20) 그리고 침전조(40)에 유입된 폐수를 교반시키는 수단, 원폐수 저장탱크(10)로 유입되는 원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수단, 무산소 반응조(20)로 유입된 폐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단, 호기 반응조(30)로 유입된 폐수의 pH를 조절하는 수단, 호기 반응조(30)에 산소를 공급하는 수단 및 침전조(40)의 잉여 슬러지를 혐기 겸용 무산소 반응조(20)로 반송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폐수처리를 위한 A/O 공법의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장 등에서 흘러나온 원폐수를 원폐수 저장탱크(10)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원폐수 저장탱크(10) 내로 유입되는 원폐수는 폐수 유입량 조절회로(12)에 의해 일정량만 유입될 수 있도록 제어되는 한편, 원폐수 교반기(14)에 의해 교반된다.
원폐수 교반기(14)에 의해 교반된 원폐수는 원폐수 급수펌프(16)의 작동에 의해 무산소 반응조(20) 내로 연속적으로 일정량 유입된다. 무산소 반응조(20) 내로 유입된 폐수는 교반기(22)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교반되어 무산소 조건이 진행되며, 온도 조절회로(24) 및 히터(26)에 의해 무산소 반응조(20) 내의 폐수온도는 미생물의 적정 증식 온도가 되도록 유지된다.
한편, 무산소 반응조(20)로 유입된 폐수는 일정시간 무산소 반응조(20)에 머문 후 수두차에 의해 활성 슬러지와 함께 호기 반응조(30)로 유입된다. 호기 반응조(30)로 유입된 폐수는 송풍기(32)와 폭기관(34)에 의해 공기가 주입 호기상태가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폐수는 질산화가 되고, 폐수의 질산화에 의해 pH가 저하되며, pH의 저하에 의해 pH 조절회로(36)는 pH 조절펌프(36a)를 제어하여 호기 반응조(30)내 폐수의 pH가 적정수준에 이를 때까지 pH 조절용 용액인 NaOH ( NaOH 는 알칼리 용액 중의 하나)를 알칼리 용액탱크(38)로부터 호기 반응조(30) 내로 공급되게 한다.
호기 반응조(30)에서 일정시간 체류한 폐수는 수두차에 의해 활성 슬러지와 함께 침전조(40)로 유입된다. 침전조(40) 내로 유입된 폐수 중 활성 슬러지는 침전되고 상징액은 방류조(50)를 거쳐 방류된다.
한편, 침전조(40)에 침전된 활성 슬러지는 슬러지 반송펌프(42)에 의해 일정량 무산소 반응조(20)로 반송된다. 이때, 침전조(40)에 설치된 스크레이퍼(44)는 침전조(40)의 바닥에 부착된 활성 슬러지를 긁어 활성 슬러지의 반송을 원활하게 한다. 잉여 슬러지는 침전조(40) 하단에 설치된 배출구(46)를 통해 배출된다.
도 2 는 종래의 MLE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종래의 MLE(Modified Ludzack-Ettinger)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A/O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와 그 구성 및 동작과정에 있어 매우 유사하나 다만, 호기 반응조(30)의 슬러지를 무산소 반응조(20)로 내부 반송시킨다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호기 반응조(30)와 침전조(40) 사이에 별도의 배관과 반송펌프(60)를 설치하여 무산소 반응조(20)로 호기 반응조(30) 내의 슬러지를 반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A/O 공법 및 MLE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는 단계적인 반응에 의해 폐수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인 반응에 의해 폐수를 처리한다.
그러나.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A/O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는 가장 간단한 생물학적 질소제거 공법으로 질소 제거율은 60% 미만으로 고농도 산업폐수와 같이 질소·인의 함량이 높을 경우 처리효율이 낮아 중·소규모의 산업폐수 처리나 소규모의 생활하수 처리 등에 국한된다.
그리고, 도 2 에 도시된 MLE 공법의 질소 제거효율은 내부반송 및 슬러지 반송율에 따라 달라지며,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응조의 크기를 크게 하고 각각의 반응조 내에서 폐수가 쳬류하는 시간을 늘려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공법의 폐수처리장치는 피혁폐수와 같이 고농도이며 크롬, 황화합물 등을 대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폐수를 생물학적 폐수처리를 하기 전에 반드시 물리·화학적 전처리를 거쳐 생물학적 처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을 제거한 후 생물학적 처리를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질소함량이 높고 부하변동이 심하며 중금속 등 유해물질을 대량 함유한 피혁폐수를 물리·화학적 전처리를 거치지 않고 폐수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규모의 산업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하나의 반응조에서 혐기적 소화와 탈질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고농도 악성폐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활성 슬러지의 제거를 침전조에서 하지 않고, 활성 슬러지를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로 반송시켜 혐기적 소화에 의해 분해시켜 탈질시에 부족되기 쉬운 탄소원으로 이용되게 함으로써 외부 탄소원의 공급이 필요치 않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침전조의 상징액을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로 반송하여 유입되는 원폐수와 희석되도록 하며, 2차 무산소 반응조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질산염을 탈질과정을 통해 제거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하나의 조에서 혐기적 소화와 탈질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부지면적을 줄이면서도 고농도 악성폐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즉, 원폐수를 저장하는 원폐수 저장탱크, 원폐수 저장탱크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연속적으로 혐기적 소화와 탈질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가 내통될 수 있도록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의 내부를 나누는 격막,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 내의 활성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배출구,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로부터 유입된 폐수의 각종 유기물을 배양기로 하여 용존 산소의 존재하에서 미생물의 혼합집단을 연속 배양시키는 1차 호기 반응조와 2차 호기 반응조, 1차 호기 반응조와 2차 호기 반응조 각각에 공기를 주입하는 수단, 2차 호기 반응조로부터 유입된 폐수의 각종 유기물을 배양기로 하여 무산소 조건하에서 미생물의 혼합집단을 연속 배양시키는 2차 무산소 반응조, 2차 무산소 반응조로부터 유입된 활성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 침전조에 침전된 활성 슬러지를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와 1차 호기 반응조로 반송시키는 수단 및 침전조의 상징액 일부를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로 반송시켜 유입되는 원폐수와 희석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전술한 폐수처리장치에는 침전조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방류하는 방류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원폐수 저장탱크와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 및 2차 무산소 반응조 각각에는 유입된 폐수를 교반시키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에는 유입된 폐수를 미생물을 증식하기 위한 적정온도로 유지시키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의 온도 유지수단에는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조절용 회로 및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의 적소에 설치되어 온도 조절용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히터로 이루어진다.
1차 호기 반응조와 2차 무산소 반응조 각각에는 유입된 폐수의 pH를 조절하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pH 조절수단은 pH 조절회로, pH 조절용 용액이 저장된 알칼리 용액탱크 및 pH 조절회로에 의해 제어되어 알칼리 용액탱크로부터 1차 호기 반응조와 2차 무산소 반응조 각각으로 알칼리 용액을 급송시키는 구동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침전조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침전조의 바닥에 부착된 활성 슬러지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가 더 설치될 수 있다.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에서 1차 호기 반응조로, 1차 호기 반응조에서 2차 호기 반응조로 2차 호기 반응조에서 2차 무산소 반응조로, 2차 무산소 반응조에서 침전조로 유입되는 폐수는 수두차에 의해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A/O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MLE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반송 위치를 보인 평면 확대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부속장치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의 원폐수 유입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호기 반응조의 폐수 유입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호기 반응조의 폐수 유입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6d 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무산소 반응조의 폐수 유입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6e 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 및 방류조의 동작과정을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원폐수 저장탱크 112. 폐수 유입량 조절회로
114, 122, 152. 교반기 114a, 122a, 152a. 구동모터
114b, 122b, 152b. 회전축 114c, 122c, 152c. 회전날개
116. 원폐수 급수배관 118. 원폐수 급수펌프
120.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 124. 온도 조절회로
124a. 히터 130. 1차 호기 반응조
132. 송풍기 132a, 142. 폭기관
134. pH 조절회로 134a. 알칼리 용액탱크
134b. pH 조절펌프 136, 144. 용존산소량 측정수단
140. 2차 호기 반응조 150. 2차 무산소 반응조
154. pH 조절회로 160. 침전조
170. 방류조 210. 격막
220. 슬러지 배출구 230. 스크레이퍼
232. 구동모터 240, 240a. 슬러지 반송펌프
242, 242a, 252. 배관 250. 상징액 반송펌프
본 발명에 따른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는 고농도의 피혁폐수를 물리·화학적 전처리를 거치지 않고 직접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로 유입시켜 격막의 전단에서는 혐기적 소화가 후단에서는 탈질이 일어나도록 하는 한편,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의 상징액만이 다음조인 1차 호기 반응조로 수두차에 의해 유입되도록 하며, 축적되는 슬러지는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 내에서 일정량을 정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반송 위치를 보인 평면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는 크게 원폐수 저장수단,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수단, 1차 및 2차 호기 반응수단, 2차 무산소 반응수단, 반응·처리된 폐수 침전수단 및 처리수 방류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1차 무산소 반응수단 내에 설치된 격막(210), 1차 무산소 반응수단의 하부에 설치된 슬러지 배출구(220), 침전수단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침전수단에 부착된 활성 슬러지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230), 침전수단의 내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수단과 1차 호기 반응수단으로 반송시키는 수단, 침전수단의 상징액을 1차 무산소 반응수단으로 반송시켜 유입되는 원폐수와 희석되도록 하는 수단, 1차 호기 반응수단과 2차 호기 반응수단 각각에 공기를 주입하는 수단, 폐수 교반 수단,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수단에 유입된 폐수를 미생물이 증식하기 위한 적정온도로 유지시키는 수단 및 1차 호기 반응수단과 2차 무산소 반응수단 각각에 유입된 폐수의 pH를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원폐수 저장수단은 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산업용 원폐수(피혁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이 원폐수 저장수단에는 원폐수를 저장하는 원폐수 저장탱크(110)와 원폐수 저장탱크(110)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폐수 유입량 조절회로(112) 및 원폐수 저장탱크(110) 내에 저장된 원폐수를 교반시키는 원폐수 교반기(11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반기(114)는 구동모터(114a), 회전축(114b) 및 회전날개(114c)로 이루어진다.
폐수 유입량 조절회로(112)는 원폐수 저장탱크(110) 내로 유입되는 원폐수의 유입량 변화를 감지하는 유입량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원폐수 저장탱크(110)로 일정량만 유입되도록 제어한다.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수단은 유입된 폐수를 연속적으로 혐기적 소화와 탈질 반응이 일어나게 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수단에는 원폐수 저장탱크(11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저장하여 반응시키는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유입된 폐수를 교반시키는 교반기(122), 유입된 폐수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키는 수단,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내에 설치된 격막(210) 및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구(220)가 구비된다.
전술한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는 원폐수 저장탱크(110)와 원폐수 급수배관(116)에 의해 연결되고, 원폐수 급수배관(116)의 일측에는 원폐수 급수펌프(118)가 설치된다. 이처럼 설치된 원폐수 급수펌프(118)에 의해 원폐수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원폐수는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 급송된다. 이때, 원폐수 급수펌프(118)는 폐수처리장치의 처리 능력에 따라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의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122)는 원폐수 저장탱크(110)로부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 유입된 폐수를 교반시켜 고루 섞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교반기(122)는 구동모터(122a), 회전축(122b) 및 회전날개(122c)로 이루어진다.
1차 무산소 반응수단에 설치된 폐수의 적정온도 유지수단은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내 폐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 온도 조절회로(124)와 온도 조절회로(124)에 의해 제어되어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내의 폐수를 가열하는 히터(124a)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온도 유지수단에서 온도 조절회로(124)는 히터(124a)를 제어하여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내 폐수의 온도를 미생물의 적정증식 온도가 되도록 유지시킨다. 한편,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내의 적정 온도는 20∼30℃로 알맞게는 25℃가 적당하다.
한편,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내부에 설치된 격막(210)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격막(210)은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를 전·후반부의 두 부분으로 나누되 격막(210)의 하부로는 전·후반부가 내통될 수 있도록 하여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의 전반부에서는 혐기적 소화가 후반부에서는 탈질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의 하부측에 설치된 슬러지 배출구(220)는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의 하부에 쌓이는 슬러지를 정기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차 및 2차 호기 반응수단은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 과정을 거친 폐수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폐수 속에 존재하는 질소를 질산화를 통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 1차 및 2차 호기 반응수단에는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저장하여 산소 조건하에서 반응시키는 1차 호기 반응조(130), 1차 호기 반응조(13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저장하여 산소 조건하에서 반응시키는 2차 호기 반응조(140), 1차 호기 반응조(130) 및 2차 호기 반응조(140)에 공기를 주입하는 수단 및 1차 호기 반응조(130) 내부로 유입된 폐수의 pH를 조절하는 수단, 1차 호기 반응조(130) 및 2차 호기 반응조(140) 내의 용존 산소량을 측정하는 수단이 구비된다.
전술한 1차 호기 반응조(130)는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보다 낮은 위치에, 2차 호기 반응조(140)는 1차 호기 반응조(140)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부터 1차 호기 반응조(130)로 또는 1차 호기 반응조(130)로부터 2차 호기 반응조(140)로 유입되는 폐수는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와 1차 호기 반응조(130) 및 1차 호기 반응조(130)와 2차 호기 반응조(140)의 수두 차에 의해 유입된다.
1차 및 2차 호기 반응조(130, 140) 내에 설치된 공기 주입수단은 1차 호기 반응조(130) 및 2차 호기 반응조(140) 내의 폐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 반응 조건 상태하의 반응 과정을 진행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공기 주입수단에는 송풍기(132) 및 송풍기(132)와 연결되어 1차 호기 반응조(130)와 2차 호기 반응조(140) 내에서 공기 방울을 형성시키는 폭기관(132a, 14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송풍기(132)는 폐수처리장치의 규모에 관계하여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pH 조절수단은 1차 호기 반응조(130) 내에 일정량의 폐수가 유입된 상태에서 미생물의 양호한 증식 조건 즉, 미생물이 양호한 조건하에서 질산화가 일어나게 하기 위해 폐수의 pH를 조절하는 것으로, pH 조절수단에는 1차 호기 반응조(130)에 저장된 폐수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 pH 조절회로(134), pH 조절용 용액인 NaOH ( NaOH 는 알칼리 용액 중의 하나)가 저장된 알칼리 용액탱크(134a) 및 알칼리 용액탱크(134a)에 저장된 NaOH 용액을 1차 호기 반응조(130)로 급송하기 위한 pH 조절펌프(134b)로 이루어진다. 이때, pH 조절회로(134)는 pH 조절펌프(13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1차 호기 반응조(130) 내의 폐수가 적정의 pH에 이를 때까지 pH 조절펌프(134b)를 제어한다. 폐수의 적정 pH는 7∼9 정도로 알맞게는 8.5 정도이다.
1차 및 2차 호기 반응조(130, 140) 내에 설치된 용존 산소량을 측정하는 수단(136, 144)에 의해 1차 및 2차 호기 반응조(130, 140)내 폐수의 용존 산소량을 알 수 있다.
2차 무산소 반응수단은 전술한 1차 호기 반응조(130) 및 2차 호기 반응조(140)에서 생성된 질산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 2차 무산소 반응수단에는 2차 호기 반응조(14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저장하는 2차 무산소 반응조(150), 2차 무산소 반응조(150)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교반시키는 교반기(152), 2차 무산소 반응조(150) 내부로 유입된 폐수의 pH를 조절하기 위한 pH 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이때, 2차 무산소 반응조(150)는 2차 호기 반응조(14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2차 호기 반응조(140)로부터 2차 무산소 반응조(150)로 유입되는 폐수는 2차 호기 반응조(140)와 2차 무산소 반응조(150)의 수두 차에 의해 유입된다.
전술한 교반기(152)는 2차 무산소 반응조(150)의 활성 슬러지를 교반시켜 원폐수와 활성 슬러지가 잘 섞여 탈질이 일어나게 하고, 또한 활성 슬러지가 후술할 침전조(16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교반기(152)는 구동모터(152a), 회전축(152b) 및 회전날개(152c)로 이루어진다.
2차 무산소 반응조(150)에 설치된 pH 조절수단은 1차 호기 반응조(130)에 설치된 pH 조절수단과 마찬가지로 2차 무산소 반응조(150)로 일정량의 폐수를 유입되게 한 상태에서 미생물의 양호한 증식 조건 즉, 미생물이 양호한 조건하에서 질산화가 일어나게 하기 위해 폐수의 pH를 조절하는 것으로, pH 조절수단에는 2차 무산소 반응조(150)에 저장된 폐수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 pH 조절회로(154), pH 조절용 용액인 NaOH ( NaOH 는 알칼리 용액 중의 하나)가 저장된 알칼리 용액탱크(134a) 및 알칼리 용액탱크(134a)에 저장된 NaOH 용액을 2차 무산소 반응조(150)로 급송하기 위한 pH 조절펌프(134b)로 이루어진다. 이때, pH 조절회로(154)는 pH 조절펌프(13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2차 무산소 반응조(150) 내의 폐수가 적정의 pH에 이를 때까지 pH 조절펌프(134b)를 제어한다.
침전수단은 2차 무산소 반응조(150)로부터 유입된 활성 슬러지를 침전시켜 처리수와 분리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침전수단에는 2차 무산소 반응조(15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를 저장하여 침전시키는 침전조(160)와 침전조(160)의 하부 벽면에 부착된 활성 슬러지를 긁어내기 위해 구동모터(2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레이퍼(230)가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침전조(160)에서는 2차 무산소 반응조(150)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침전시켜 상징액만을 방류조(170)로 유입되게 하여 하천으로 방류한다.
한편, 침전조(160)에는 침전된 활성 슬러지를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및 1차 호기 반응조(130)로 반송시키는 수단이 구비되는데, 이는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에서는 잉여 슬러지의 폐기를 목적으로, 1차 호기 반응조(130)에서는 미생물의 양을 유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활성 슬러지 반송수단은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의 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되는 슬러지 반송펌프(240, 240a) 및 배관(242, 242a)을 통해 활성 슬러지를 정기적으로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및 1차 호기 반응조(130)로 반송시킨다.
또한, 침전조(160)에는 잉여의 질산염과 유기 화합물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침전조(160)의 상징액(처리수) 일부를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 반송시키는 수단이 구비된다. 상징액 반송 수단은 상징액 반송펌프(250)와 배관(252)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징액(처리수)의 일부를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 반송시키는 것은 활성 슬러지의 제거를 침전조(160)에서 하지 않고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 반송시켜 혐기적 소화에 의해 분해시켜 탈질시에 부족되기 쉬운 탄소원으로 이용되게 하여 외부 탄소원의 공급이 필요치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즉, 원폐수를 저장하는 원폐수 저장탱크(110), 원폐수 저장탱크(110)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연속적으로 혐기적 소화와 탈질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가 내통될 수 있도록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의 내부를 나누는 격막(210),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내의 활성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배출구(220),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부터 유입된 폐수의 각종 유기물을 배양기로 하여 용존 산소의 존재하에서 미생물의 혼합집단을 연속 배양시키는 1차 호기 반응조(130)와 2차 호기 반응조(140), 1차 호기 반응조(130)와 2차 호기 반응조(140) 각각에 공기를 주입하는 수단, 2차 호기 반응조(140)로부터 유입된 폐수의 각종 유기물을 배양기로 하여 무산소 조건하에서 미생물의 혼합집단을 연속 배양시키는 2차 무산소 반응조(150), 2차 무산소 반응조(150)로부터 유입된 활성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160), 침전조(160)에 침전된 활성 슬러지를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와 1차 호기 반응조(130)로 반송시키는 수단 및 침전조(160)의 상징액 일부를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 반송시켜 유입되는 원폐수와 희석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에는 침전조(160)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방류하는 방류조(170), 원폐수 저장탱크(110)와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및 2차 무산소 반응조(150) 각각에 유입된 폐수를 교반시키는 교반기(114, 122, 152),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에 유입된 폐수를 미생물을이 증식되기 위한 적정온도로 유지시키는 온도 조절수단, 1차 호기 반응조(130)와 2차 무산소 반응조(150) 각각에 유입된 폐수의 pH를 조절하는 수단, 침전조(16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침전조(160)의 바닥에 부착된 활성 슬러지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230)가 더 설치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부속장치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의 원폐수 유입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호기 반응조의 폐수 유입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호기 반응조의 폐수 유입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6d 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무산소 반응조의 폐수의 유입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6e 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 및 방류조의 동작 과정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 3 내지 제 5 도 및 도 6a 내지 도 6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피혁 가공 공장에서 발생되는 피혁폐수를 2mm의 필터로 부유물을 걸러 낸 후, 원폐수 저장탱크(110)로 유입되게 한다. 이때, 원폐수 저장탱크(110)로 유입되는 피혁폐수는 폐수 유입량 조절회로(112)에 의해 일정량만 유입된다.
한편, 피혁폐수를 원폐수 저장탱크(110)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교반기(114)가 작동되어 유입되는 피혁폐수를 교반하게 되고, 교반기(114)에 의해 교반된 피혁폐수는 원폐수 급수펌프(118)의 구동에 의해 원폐수 급수배관(116)을 통해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 유입된다.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 유입되는 피혁폐수는 격막(210)에 의해 전·후반부로 나뉘어진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의 전반부로 유입되어 일정시간 혐기적 소화를 거쳐 유기물질이 분해·소화된 후 교반기(122)의 물리적 교반에 의해 격막(210)의 하부를 통해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의 후반부로 유동된다. 이때,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의 후반부로 유동된 피혁폐수는 일정 시간 탈질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탈질과정을 거치는 동안 피혁폐수 속에 존재하는 질산성 질소가 제거된다.
한편,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내로 유입된 피혁폐수의 탈질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온도 조절회로(124)는 히터(124a)를 제어하여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내 피혁폐수의 온도를 미생물의 적정 증식 온도로 유지시킨다.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에서 탈질과정에 의해 질산성 질소가 어느 정도 제거된 피혁폐수는 수두차에 의해 1차 호기 반응조(130)로 유입된다. 이때, 송풍기(132)의 구동과 1차 호기 반응조(13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폭기관(132a)을 통해 공기를 피혁폐수에 주입시키는 한편, 연속적으로 질산화 미생물이 증식되도록 하여 피혁폐수에 함유된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한다.
또한, 1차 호기 반응조(130) 내의 피혁폐수를 미생물이 양호하게 증식될 수 있는 조건 즉, 질산화가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pH 조절회로(134)는 pH 조절펌프(134b)를 제어하여 1차 호기 반응조(130)내 피혁폐수의 pH가 적정 수준에 이를 때까지 pH 조절용 용액인 NaOH 를 알칼리 용액탱크(134a)로부터 1차 호기 반응조(130)로 공급되게 한다.
1차 호기 반응조(130)에 일정시간 동안 체류한 활성 슬러지와 피혁폐수는 수두차에 의해 2차 호기 반응조(140)로 유입된다. 2차 호기 반응조(140) 내의 반응도 1차 호기조(130)와 같은 방법으로 운전된다. 다만, pH 조절은 1차 호기 반응조(130)에서만 이루어진다.
2차 호기 반응조(140)에 일정시간 동안 머문 활성 슬러지와 피혁폐수는 수두차에 의해 2차 무산소 반응조(150)로 유입된다. 2차 무산소 반응조(150)로 유입된 활성 슬러지와 피혁폐수를 교반기(152)를 통해 잘 섞이도록 교반하여 2차 호기 반응조(140)에서 생성된 질산성 질소와 잔류 유기물을 법적 방류 수준까지 제거한다.
2차 무산소 반응조(150)로 유입된 활성 슬러지와 피혁폐수를 교반하는 동안에도 pH 조절회로(154)는 pH 조절펌프(134b)를 제어하여 알칼리 용액탱크(134a)의 알칼리 용액을 2차 무산소 반응조(150)로 공급하여 2차 무산소 반응조(150) 내의 피혁폐수를 적정한 pH로 유지시킨다.
2차 무산소 반응조(150) 내에서 정화·처리된 처리수 및 활성 슬러지는 수두차에 의해 침전조(160)로 유입된다.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50)로부터 유입되어 온 처리수와 활성 슬러지의 혼합물을 물리적 침전에 의해 분리시켜 상징액은 방류조(170)를 통해 하천으로 방류하고, 침전조(160)의 하부에 침전된 활성 슬러지는 슬러지 반송펌프(240, 240a)와 배관(242, 242a)을 통해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와 1차 호기 반응조(130)로 반송시킨다.
이때, 침전조(160)에 설치된 스크레이퍼(230)는 구동모터(23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침전조(160)의 바닥에 부착된 슬러지를 긁어내어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및 1차 호기 반응조(130)로의 잉여 슬러지 반송을 원활하게 한다.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 반송되어 온 활성 슬러지는 혐기적 소화에 의해 분해되어 탈질시 유기원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1차 호기 반응조(130)로 반송된 잉여 슬러지는 1차 호기 반응조(130) 내의 미생물을 유지시키는데 이용된다.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에서는 혐기적 소화를 거쳐도 분해되지 않는 고형물과 크롬, 황 등의 유해 물질이 축적되므로 정기적으로 슬러지 배출구(220)를 통해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에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해 준다.
한편, 침전조(160)에서 방류조(170)로 유입되는 처리수의 상징액 중 일부는 상징액 반송펌프(250)와 배관(252)에 의해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 반송된다. 이처럼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 내로 반송된 처리수의 상징액은 원폐수 저장탱크(110)로부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120)로 유입되는 원폐수와 희석되어 잉여의 질산염과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은 반응과정을 통해 피혁폐수를 정화·처리하는 폐수처리장치는 각각의 반응과정이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반응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즉, 원폐수 저장탱크(110)로 피혁폐수가 유입되는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1, 2차 무산소 반응과정과 1, 2차 호기 반응과정, 침전과정, 방류과정, 잉여 슬러지 반송과정 및 상징액 반송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피혁폐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기존의 물리·화학적 전처리를 거친 후 생물학적 처리를 하는 공법과 비교하여 COD, BOD, TSS(고형성 부유물) 및 TN(총질소) 제거효율은 거의 비슷하나 제거시간은 종래의 공법보다 2배 정도 빠르며, 약품비는 약 50% 절감, 슬러지 저감율은 약 40% 이상의 기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는 피혁폐수 뿐만 아니라 축산업, 축산식표품 제조업, 유제품 제조업, 수산통조림 제조업, 수산 연제품 제조업, 야체절임 제조업, 된장 제조업, 간장 제조업, 화학조미료 제조업, 설탕 제조업, 기계 염색업, 인쇄업, 분뇨처리업, 도축장 등의 폐수처리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를 사용하므로써 고농도이면서 악성으로 알려진 피혁폐수를 순 생물학적 처리만으로 기존의 물리·화학적 전처리를 거친 후 생물학적 처리를 하는 공법과 비교하여 처리효율은 유사하나 처리시간을 2배 이상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기존의 물리·화학적 전처리를 거치지 않고 순 생물학적 처리방법만으로 피혁폐수를 처리하므로써 기존에 사용하던 약품투입 공정이 생략되어 약품비를 약 50% 이상 절감시켜 폐수처리장치의 운전 유지비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기존의 잉여 슬러지를 침전조에서 제거하는 방식이 아닌 혐기적 소화로 분해시키는 방법을 택하므로써 슬러지의 발생량을 약 40% 이상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환경 부담금을 저감시켜 피혁제품의 생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적은 부지면적으로 단시간에 많은 량의 폐수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대규모의 고농도 산업폐수를 처리에도 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을 다량 함유한 산업폐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잉여 슬러지에 중금속 등이 농축되므로 공정에 필요한 물질은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원폐수를 저장하는 원폐수 저장탱크;
    상기 원폐수 저장탱크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연속적으로 혐기적 소화와 탈질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
    상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가 내통될 수 있도록 상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의 내부를 나누는 격막;
    상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 내의 활성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배출수단;
    상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로부터 유입된 폐수의 각종 유기물을 배양기로 하여 용존 산소의 존재하에서 미생물의 혼합집단을 연속 배양시키는 1차 호기 반응조와 2차 호기 반응조;
    상기 1차 호기 반응조와 2차 호기 반응조 각각에 공기를 주입하는 수단;
    상기 2차 호기 반응조로부터 유입된 폐수의 각종 유기물을 배양기로 하여 무산소 조건하에서 미생물의 혼합집단을 연속 배양시키는 2차 무산소 반응조;
    상기 2차 무산소 반응조로부터 유입된 활성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에 침전된 활성 슬러지를 상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와 1차 호기 반응조로 반송시키는 수단; 및
    상기 침전조의 상징액 일부를 상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로 반송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방류하는 방류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폐수 저장탱크와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 및 2차 무산소 반응조 각각에는 유입된 폐수를 교반시키는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에는 유입된 폐수를 미생물이 증식되기 위한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의 온도 유지수단에는 상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조절용 회로; 및
    상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의 적소에 설치되어 상기 온도 조절용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히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6.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호기 반응조와 2차 무산소 반응조 각각에는 유입된 폐수의 pH를 조절하는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수단은 pH 조절회로;
    pH 조절용 용액이 저장된 알칼리 용액 탱크; 및
    상기 pH 조절회로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알칼리 용액 탱크로부터 상기 1차 호기 반응조와 2차 무산소 반응조 각각으로 알칼리 용액을 급송시키는 구동 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침전조의 바닥에 부착된 활성 슬러지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혐기겸 무산소 반응조에서 1차 호기 반응조로, 1차 호기 반응조에서 2차 호기 반응조로 2차 호기 반응조에서 2차 무산소 반응조로, 2차 무산소 반응조에서 침전조로 유입되는 폐수는 수두차에 의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KR1019980051250A 1998-11-27 1998-11-27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KR100293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250A KR100293568B1 (ko) 1998-11-27 1998-11-27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PCT/KR1999/000484 WO2000032522A1 (en) 1998-11-27 1999-08-26 Biological treating apparatus for tannery waste water and for reduction of its sludge
AU55302/99A AU5530299A (en) 1998-11-27 1999-08-26 Biological treating apparatus for tannery waste water and for reduction of its sludge
JP2000585169A JP3543084B2 (ja) 1998-11-27 1999-08-26 皮革廃水およびスラッジ低減のための生物学的処理装置
CNB998138118A CN1137058C (zh) 1998-11-27 1999-08-26 用于制革废水和减少其污泥的生物处理设备
EP99941816A EP1140707B1 (en) 1998-11-27 1999-08-26 Biological treating apparatus for tannery waste water and for reduction of its slu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250A KR100293568B1 (ko) 1998-11-27 1998-11-27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072A KR20000034072A (ko) 2000-06-15
KR100293568B1 true KR100293568B1 (ko) 2001-08-07

Family

ID=1956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250A KR100293568B1 (ko) 1998-11-27 1998-11-27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40707B1 (ko)
JP (1) JP3543084B2 (ko)
KR (1) KR100293568B1 (ko)
CN (1) CN1137058C (ko)
AU (1) AU5530299A (ko)
WO (1) WO200003252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460B1 (ko) * 2009-11-10 2012-04-20 연기능 연속 회분식 고도처리장치
KR101942995B1 (ko) 2017-06-21 2019-01-2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물질, 인 및 중금속의 동시 제거가 가능한 합류식하수도 월류수 및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CN109455876A (zh) * 2018-11-07 2019-03-12 何福奇 一种合成革、人造革化工类污水处理降总氮***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5863B2 (en) * 2002-03-21 2005-06-14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Aerobic method of removing total dissolved solids (TDS) from tannery wastewaters
CN101041500B (zh) * 2007-03-28 2010-04-21 中国皮革和制鞋工业研究院 制革铬鞣废液的高效再利用方法
CN102674639A (zh) * 2012-06-07 2012-09-19 故城县海青皮草有限公司 一种水貂皮鞣制废水处理工艺及装置
CN104556351A (zh) * 2014-12-25 2015-04-29 东南大学 一种利用高温废水加温生物反应器的设备及方法
KR101561239B1 (ko) 2015-08-04 2015-10-16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고농도 슬러지 배출을 겸한 포기장치
CN107129118A (zh) * 2017-07-07 2017-09-05 永嘉县信诚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钮扣产生过程的废水处理方法
CN112875858A (zh) * 2021-01-12 2021-06-01 安徽中环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硝酸盐工业废水的a3/o生物脱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0685A1 (de) * 1991-01-11 1992-07-16 Sued Chemie Ag Verfahren zum reinigen von phosphate und stickstoffverbindungen enthaltenden abwaessern
US5160043A (en) * 1991-09-09 1992-11-03 I. Kruger, Inc. Method of exhausting dissolved oxygen in a nitrogen remov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DE4204590C2 (de) * 1992-02-15 1995-05-04 Dyckerhoff & Widmann Ag Verfahren zur biologischen Abwasserreinigung in einem Belebungsbecken
SK278057B6 (en) * 1993-04-16 1995-11-08 Stefan Mico Method of biological cleaning of waste water and device for realization of this method
US5380438A (en) * 1993-08-17 1995-01-10 City Of Atlanta Treatment of wastewater through enhanced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EP0849230A1 (en) * 1996-12-17 1998-06-24 Krüger, Inc. Dual-stage biological process for removing nitrogen from wastewa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460B1 (ko) * 2009-11-10 2012-04-20 연기능 연속 회분식 고도처리장치
KR101942995B1 (ko) 2017-06-21 2019-01-2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물질, 인 및 중금속의 동시 제거가 가능한 합류식하수도 월류수 및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CN109455876A (zh) * 2018-11-07 2019-03-12 何福奇 一种合成革、人造革化工类污水处理降总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058C (zh) 2004-02-04
JP2002531250A (ja) 2002-09-24
EP1140707A1 (en) 2001-10-10
WO2000032522A1 (en) 2000-06-08
JP3543084B2 (ja) 2004-07-14
KR20000034072A (ko) 2000-06-15
AU5530299A (en) 2000-06-19
CN1356964A (zh) 2002-07-03
EP1140707B1 (en) 200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2522A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ewage
KR101080635B1 (ko) 연속회분식 반응조와 응집침전조가 결합된 하수고도처리시스템
KR100951184B1 (ko) 고율 미생물 반응 교반기를 이용한 축산폐수 또는고농도폐수의 자원화 및 정화 처리 방법
CN105565581B (zh) 煤制乙烯污水综合处理方法
KR100293568B1 (ko) 피혁폐수 및 슬러지 저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장치
KR19990040951A (ko) 고농도 유기물 및 암모니아성 질소가 포함된 침출수의 처리장치
JP4409532B2 (ja) 畜産廃水及び糞尿等のような高濃度の窒素を含む汚廃水の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KR100527172B1 (ko) 축산폐수 및 분뇨등 고농도의 질소를 함유하는 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1278475B1 (ko) 선회류식 무기슬러지 분리배출장치와 생물반응조를 결합한 슬러지처리장치
KR100440748B1 (ko) 연속회분식 혐기성공정과 고도처리공정을 결합한 고효율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CN105984991B (zh) 一种污水深度处理工艺
CN101402488B (zh) Cast分段进水强化脱氮的控制方法
KR100435107B1 (ko) 오.폐수 및 하수의 질소, 인 제거를 위한 고도 처리장치 및 고도처리방법
KR100312544B1 (ko) 피혁폐수의 생물학적 고도처리 방법
KR100443410B1 (ko) 하폐수의 질산화/탈질 동시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하폐수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0846693B1 (ko) 호기탈질을 이용한 축산폐수처리장치
KR0129831B1 (ko) 탈인, 탈질을 위한 하수처리공정
KR100471046B1 (ko) 생물학적 탈질 장치
KR200417756Y1 (ko) 간헐포기 및 잉여 슬러지의 직접 탈수에 의한 산화구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19990075815A (ko) 고정생물막 공법을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 및방법
KR19990030405A (ko) 분배유입방식을 이용한 폐수의 정화방법
KR100721682B1 (ko) 유기물 및 질소 화합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오/폐수의처리방법
KR19990030406A (ko) 유로변경에 의한 폐수의 영양염류 처리방법
KR101177670B1 (ko) 하폐수의 총인 제거 장치 및 이의 제거 방법
KR100521722B1 (ko) 내부반송과 분할주입을 통한 부상여재를 이용한 고도폐수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