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378B1 -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 - Google Patents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378B1
KR100289378B1 KR1019990010485A KR19990010485A KR100289378B1 KR 100289378 B1 KR100289378 B1 KR 100289378B1 KR 1019990010485 A KR1019990010485 A KR 1019990010485A KR 19990010485 A KR19990010485 A KR 19990010485A KR 100289378 B1 KR100289378 B1 KR 100289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ero
fluid
pressure device
flow rate
zero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2776A (ko
Inventor
와다도시하루
Original Assignee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4078558&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8937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다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82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2Main line flow displaces additive from shunt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영점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형상의 오목부(44)가 형성된 유량조정노브(46)와, 상기 유량조정노브(46)의 구멍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66)와, 상기 유량조정노브(46)와 삽입부재(66)의 조립상태를 영점위치로 설정하는 스토퍼(74)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오목부(44)와 홀더(26)의 영점위치를 대응시켜 위치결정하는 제 1스플라인부(78) 및 제 2스플라인부(94)를 구비하는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Zero Point Position-Determining Mechanism for Pressurized Fluid-Driven Apparatuse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주유기 등의 유체압기기에 적용되며, 적하되는 유량이 영인 상태를 위치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관한 주유기의 영점기구를 도 9에 나타낸다. 이 영점기구(1)는 외주부에 급유량을 지시하는 오목부(2)가 형성된 노브부(3)를 가진다. 상기 노브부(3)는 본체(4)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본체(4)의 상면부에는 노브부(3)를 둘러싸는 링형상의 눈금판(5)이 설치된다.
종래기술에 관한 영점기구(1)의 조립공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체(4)에 대하여 노브부(3)를 회동가능하게 조립한다. 그 후, 눈금판(5)에 표시된 '0'의 눈금을 상기 노브부(3)의 오목부(2)에 맞추어 상기 눈금판(5)을 본체(4)의 상면부에 설치된 환상돌출부(6)에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관한 영점기구에서는, 본체(4)에 대한 노브부(3)의 조립상태에 따라서 급유량을 지시하는 오목부(2)의 위치가 제각기 통일되어 있지 않다. 환언하면, 노브부(3)의 오목부(2)가 소정위치에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조립되지 않는다.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노브부(3)를 조립한 후에 오목부의 위치에 눈금판의 영점위치('0'의 눈금)를 맞추고 그 눈금판(5)을 본체(4)의 상면부에 고정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체(4)의 상면부에 고정된 눈금판(5)의 영점위치가 동일한 제품 상호간에 통일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노브부(3)를 파지하여 급유량(적하유량)을 조정할 때에 용이하게 조작할 수 없어, 조작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영점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영점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의 조작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점위치결정기구가 적용된 주유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주유기의 본체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주유기의 케이스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주유기에 설치된 유량조정노브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유량조정노브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른 종단면도.
도 7은 도 1의 VII-VII선을 따른 종단면도.
도 8은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종래기술에 관한 주유기의 영점기구를 나타내는 일부생략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주유기 12 : 본체부
14 : 케이스부 16 : 유체통로
18 : 압력유체도입포트 20 : 압력유체도출포트
22 : 블록체 26 : 홀더
30 : 설편 32 : 가요성부재
42 : 유량조정눈금 44 : 오목부
46 : 유량조정노브 52 : 케이스
54 : 챔버 62 : 암나사부
64 : 니들부 66 : 삽입부재
68 : 숫나사부 74 : 스토퍼
76 : 니들삽입용 구멍부 78, 94 : 스플라인부
80 : 간극 110, 114 : 볼부재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부호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점위치결정기구가 적용된 주유기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영점위치'라는 것은 윤활유의 급유량(적하유량)이 영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 주유기(10)는, 상부측에 설치된 본체부(12)와, 하부측에 설치된 케이스부(14)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부(1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체통로 (16)를 가진다(도 7참조). 또한 이 본체부(12)는, 상기 유체통로(16)의 일단부에 압력유체도입포트(18)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유체도입포트(18)와 반대측의 타단부에 압력유체도출포트(20)가 형성된 블록체(22)와, 상부측이 상기 블록체(22)의 내부에 형성된 오목부(24)(도 7참조)에 결합하는 홀더(26)를 갖는다. 상기 홀더(26)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부(28)내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타원형상의 설편(舌片)(30)을 가지며, 예를 들어 우레탄고무 등에 의해 형성된 가요성부재(32)가 설치된다. 상기 홀더(26) 및 가요성부재(32)는 복수의 나사부재(34)에 의해 상기 블록체(22)에 나사결합되는 부착판(3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블록체(22)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심부에 관통공(38)을 갖는 환상돌부(40)가 형성된다. 상기 환상돌부(40)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각도 이격되어 복수의 유량조정눈금(42)이 미리 표시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38)에는, 외주면에 영점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형상의 오목부 (44)(도 5참조)가 새겨진 유량조정노브(46)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유량조정노브(46)는 작업자의 파지작용 하에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량조정노브(46)와 블록체(22)의 환상돌부(40)의 사이에는 링형상의 스페이서(56)가 개재된다(도 2참조).
블록체(22)의 상면에는 급유플러그(48)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급유플러그(48)를 떼어내 블록체(22)에 형성된 포트(50)를 통하여 후술하는 케이스(52)의 챔버(54)내에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유량조정노브(46)의 하부측의 플랜지부에는, 시일기능을 하는 O링(58)을 장착하기 위한 환상홈(60)이 형성된다. 그 내주면의 하부측에는 암나사부(62)가 형성된다. 유량조정노브(46)의 내벽면의 상부에는, 하방측을 향하여 소정길이만큼 돌출하는 니들부(64)가 형성된다. 상기 니들부(64)는 하방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량조정노브(46)의 내부에 형성된 구멍부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삽입부재(66)가 장착된다. 이 삽입부재(66)의 하부측의 외주면에는, 유량조정노브 (46)의 암나사부(62)에 결합하는 숫나사부(68)가 형성된다. 상기 숫나사부(68)에 근접하여 O링(70)을 장착하기 위한 환상홈(7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재(66)의 상면부에는 환상의 스토퍼(74)가 형성된다. 이 스토퍼(74)는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즉, 유량조정노브(46)에 대하여 삽입부재(66)를 나사결합하였을 때, 유량조정노브(46)의 구멍부의 내벽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유량조정노브(46)에 대한 삽입부재(66)의 나사결합량을 규제함으로써 적하유량을 영점위치로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삽입부재(66)의 상면부에는, 니들부(64)가 삽입되는 니들삽입용 구멍부(76)가 형성된다. 한편 그 삽입부재(66)의 하부측의 내벽면에는 축선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스플라인홈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 형성된 제 1스플라인부 (78)(도 8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정노브(46)와 삽입부재(66)의 사이에는 간극(80)이 형성된다. 상기 간극(80)을 따라서 유통되는 윤활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니들삽입용 구멍부(76)에 대한 니들부(64)의 삽입상태에 따라서 그 적하량이 조정된다. 상기 간극(80)은 홀더(26)에 형성된 통로(82)에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통로(82)는 후술하는 도입관(84)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기기는 도입관(84) 및 통로(82)를 통하여 공급된 윤활유가 유량조정노브 (46)의 암나사부(62)와 삽입부재(66)의 숫나사부(68)의 결합부분의 클리어런스를 통과하여 상기 간극(80)으로 유통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윤활유를 유통시키는 통로(86)를 축선방향을 따라서 절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6)의 상부측 및 저부측에 형성된 환상홈에는 1조의 서로 다른 직경의 O링(88, 89)이 장착된다. 홀더(26)의 상부측의 개구부(90)의 중심부에는 환상돌부(92)가 설치된다. 상기 환상돌부(92)의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부재(66)의 제 1스플라인부(78)에 결합하고, 축선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스플라인홈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 형성된 제 2스플라인부(94)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스플라인부(78) 및 제 2스프라인부(94)는 위치결정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 1스플라인부(78)와 상기 제 2스플라인부(94)가 상호 결합하였을 때, 삽입부재(66)는 홀더(26)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위치결정된 상태로 지지되며, 유량조정노브(46)는 홀더(26)에 고정된 삽입부재(66)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정역의 어느 방향으로도 소정량(예를 들어, 3회전 반)만큼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요성부재(3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96)를 통하여 압력유체도입포트(18)에 연통하고, 상기 압력유체도입포트(18)로부터 공급된 얍력유체를 소정 유량으로 규제하는 고정스로틀 또는 오리피스(9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스로틀(98)을 통과한 압력유체는 케이스(52)의 챔버(54)내에 도입되며, 윤활유의 유면을 하방측을 향하여 압압하는 기능을 한다.
반타원형상으로 형성된 가요성부재(32)의 설편(30)은 통상 유체통로(16)중에 수직하게 입설한 상태에 있다. 한편 이 설편(30)은 압력유체도입포트(18)로부터 공급된 압력유체의 작용 하에 변형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비스듬히 넘어지도록 형성된다(도 7중의 2점쇄선 참조).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홀더(26)에는 유체통로(16)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는 경사면부(100)가 설치된다. 상기 경사면부(100)에 낙하하여 비산한 윤활유는 창부(102)를 통하여 유체통로(16)로 도출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부착판(36)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측방주위부에 복수의 슬릿(104)을 갖는 통형상부(106)가 형성된다. 상기 통형상부(106)의 하부측에는 관통공(108)(도 7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08)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로(96) 및 유체통로(16)를 통하여 압력유체도입포트(18)에 연통하도록 설치됨과 함께, 케이스(52)의 챔버(54)와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통형상부(106)의 일단부에는, 제 1볼부재(110)가 안착함으로써 상기 관통공(108)을 폐색하는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1볼부재(110)는, 스프링(112)의 탄발력의 작용 하에 항상 상방을 향하여 부세된다. 따라서, 제 1볼부재(110)는 안착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압된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챔버(54)내의 압력이 압력유체도입포트(18)측의 압력(1차측 압력)보다 작을 때, 제 1볼부재(110)는 스프링(112)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안착부에 안착함으로써 관통공(108)을 폐색한다. 한편, 예를 들어 1차측의 압력유체의 공급이 정지하여 챔버(54)내의 압력이 압력유체도입포트(18)측의 압력(1차측 압력)의 압력보다도 크게 되었을 때, 제 1볼부재(110)는 스프링(112)의 탄발력의 작용 하에 안착부로부터 이격되어 관통공(108)을 개방한다. 이와 같이, 제 1볼부재(110)는 압력유체도입포트(18)에 연통하는 통로(96)를 통하여 챔버(54)내에 잔존하는 압력을 급속히 배기하는 기능을 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형상부(106)에 근접하는 부착판(36)의 상면부에는, 상기 제 1볼부재(110)보다도 작은 제 2볼부재(114)가 안착하는 안착부가 팽출형성된다. 상기 안착부의 하부측에는 통로(82)에 연통하는 관통공(116)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14)는, O링(118)을 개재하여 블록체(22)의 저면부에 장착된다. 케이스부(14)는 내부에 챔버(54)가 형성된 케이스(52)와, 상기 케이스(52)를 보호하기 위해 그 케이스(52)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케이스가드(120)를 갖는다. 상기 부착판(36)의 저면부에는 상기 제 2볼부재(114)가 안착하는 관통공(116)에 연통하는 도입관(84)이 연결된다. 상기 도입관(84)의 일단부에는 요소(122)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영점위치결정기구가 적용된 주유기(10)는,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다음으로 그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유기(10)의 조립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량조정노브(46)의 구멍부 내에 삽입부재(66)을 삽입한다. 상기 유량조정노브(46)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62)와 상기 삽입부재(66)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68)를 결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암나사부(62)와 숫나사부(68)의 나사결합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삽입부재(66)의 니들삽입용 구멍부(76)에 대하여 유량조정노브(46)에 설치된 니들부(64)가 삽입된다. 유량조정노브(46)의 내벽면에 삽입부재(66)의 스토퍼(74)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나사결합량이 규제되어 급유량이 영인 영점위치로 설정된다. 그 결과, 스토퍼(74)에 의해 영점위치를 간편히 설정할 수 있음과 함께, 지나친 조임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체로 조립된 유량조정노브(46) 및 삽입부재(66)를 홀더(26)의 개구부(90)에 장착한다. 이 때, 홀더(26)의 환상돌부 (9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스플라인부(94)와 상기 삽입부재(66)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1스플라인부(78)가 결합한다. 이 경우, 홀더(26)의 환상돌부(40)에 근접하는 부분에, 예를 들어 영점위치를 나타내는 도시하지 않은 마크를 형성하여, 상기 마크에 대하여 유량조정노브(46)에 형성된 영점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형상의 오목부(44)를 맞추면서 상기 제 1스플라인부(78)와 제 2스플라인부(94)를 결합시킨다. 이 경우, 도시하지 않은 마크는 유량조정눈금(42)의 '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홀더(26)에 조립된 유량조정노브(46) 및 삽입부재(66)를 블록체(22)의 하방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상기 유량조정노브(46)가 관통공(38)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조립한다. 이 경우, 유량조정노브(46)에 형성된 영점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형상의 오목부(44)는 이미 영점위치로 위치결정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블록체(22)의 환상돌부(40)에 새겨진 유량조정눈금(42)의 영점표시와 상기 유량조정노브(46)의 오목부(44)가 대응하도록 조립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영점위치결정기구가 적용된 주유기(10)에서는, 조립공정에 있어서, 윤활유의 적하량이 영인 영점위치를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조립하고 있다. 따라서, 영점위치가 모두 통일된 제품으로 사용자에게 출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예를 들어 유체회로 중에 주유기(10)를 조립하는 준비작업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10)의 조정작업을 한결같이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주유기(10)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품의 각각이 영점위치가 다른 일이 없이 모두 통일되어 있다. 따라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라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주유기(10)를 사용시에는, 급유플러그(48)를 블록체(22)로부터 떼어낸 후, 블록체(22)에 형성된 포트(50)를 통하여 케이스(52)의 챔버(54)내에 소정량의 윤활유를 충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압력유체공급원의 부세작용 하에, 압력유체도입포트(18)로부터 도입된 압력유체(이하, '압축공기'라고 한다)의 일부는, 상호 연결하는 유체통로(16), 통로(96) 및 고정스로틀(98)을 통하여 케이스(52)의 챔버(54)내에 공급된다. 압축공기의 작용 하에 윤활유의 유면이 하방측으로 압압된다.
따라서, 챔버(54)내에 충전된 윤활유는 도입관(84)을 따라서 상승하고, 제 2볼부재(114)를 밀어 올려 통로(82)를 유통한다. 그 후, 윤활유는 유량조정노브 (46)와 삽입부재(66)의 사이의 간극(80)에 도입된다. 종국에는 윤활유는 니들삽입용 구멍부(76)에 삽입되는 니들부(64)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통과하여 소정량의 윤활유가 적하된다. 적하된 윤활유는 경사면부(100)에 낙하한다. 비산한 윤활유는 창부(102)를 통하여 유체통로(16)에 도입된다. 적하되는 윤활유의 양은 작업자가 유량조정노브(46)를 회동조작함으로써 미리 조정되어 있다.
한편, 압력유체도입포트(18)로부터 도입된 압축공기는 유체통로(16) 중에 대략 수직하게 입설된 가요성부재(32)의 설편(30)을 압압하여, 도 7의 2점쇄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넘어뜨린다. 따라서, 창부(102)를 통하여 유체통로(16) 중에 비산된 윤활유는 그 유체통로(16)를 유통하는 압축공기의 흐름에 의해 안개상태로 된다. 이 윤활유는 상기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압력유체도출포트(20)로부터 도출된다.
유체통로(16)를 유통하는 압축공기가 차단되었을 때, 케이스(52)의 챔버(54)와 유체통로(16)의 압력차에 의해 제 1볼부재(110)가 스프링(112)에 압압되어 상방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제 1볼부재(110)가 안착부로부터 이격되고, 관통공(108)을 통하여 유체통로(16)와 케이스(52)의 챔버(54)가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 챔버(54)내에 잔존하는 압축공기가 배기된다. 그 결과, 케이스(52)의 챔버(54)내에 잔존하는 압축공기의 작용 하에 윤활유가 도입관(84)을 통하여 불필요하게 유체통로(16)중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노브부재의 표시부의 영점위치를 미리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조립하고 있기 때문에, 영점위치가 모두 통일된 제품이 제조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예를 들어 유체회로 중에 유체압기기를 조립하는 준비작업에 있어서, 상기 유체압기기의 조정작업을 한결같이 행할 수 있고, 그 유체압기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유체압기기(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영점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44)가 형성된 노브부재(46)와,
    상기 노브부재(46)의 구멍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66)와,
    상기 노브부재(46)와 상기 삽입부재(66)의 나사결합량을 규제하여 상기 유체압기기(10)의 유체통로(16)내로 공급되는 적하유량이 영이 되도록 하는 영점위치설정부재(74)와,
    상기 노브부재(46)의 영점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부(44)와 유체압기기 (10)에 설치된 유량조정눈금(42)의 영점위치가 일치하도록 상기 삽입부재(66)를 위치결정하여 지지하는 위치결정부재(78, 9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점위치설정부재는, 상기 삽입부재(66)의 일단부에 형성된 환형 스토퍼(74)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74)는 노브부재(46)의 상기 구멍부의 내벽면에 접촉하여 상기 노브부재(46)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62)와 상기 삽입부재(66)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68)의 나사결합량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적하유량이 영이 되는 상기 영점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삽입부재(66)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축선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스플라인홈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제 1스플라인부(78)와, 유체압기기(10)를 구성하는 부재의 환상돌부(92)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축선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스플라인홈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제 2스플라인부(94)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스플라인부(78)와 제 2스플라인부(94)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44)가 나타내는 상기 노브부재(46)의 영점위치와 상기 유체압기기(10)에 형성된 상기 유량조정눈금(42)의 상기 영점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압기기는 주유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유기는 니들삽입용 구멍부(76)를 따라서 삽입되는 니들부(64)로 구성되며, 상기 주유기가 조립될 때, 상기 영점위치설정부재(74)를 사용하여 상기 니들삽입용 구멍부(76)에 대한 상기 니들부(64)의 삽입상태를 조정하여 상기 유체통로(16)내로 적하되는 유량이 영인 상기 영점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는 일단부의 압력유체도입포트(18)와 타측단부의 압력유체도출포트(20)사이를 연통시키는 상기 유체통로(16)가 형성된 본체부 (12)와, 상기 본체부(12)의 하측부에 연결된 챔버(54)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윤활유를 저장하는 케이스부(1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12)는 상기 유체통로(16)와 상기 챔버(54)를 연통시키는 관통공 (108)이 형성된 통형상부(106)와, 스프링부재(112)와 함께 상기 통형상부(106)에 설치되어 안착부에 안착함으로써 상기 관통공(108)을 폐색하는 볼부재(110)로 구성되며,
    상기 볼부재(110)는 상기 유체통로(16)와 상기 챔버(54)사이의 압력차에 따라서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챔버(54)내의 잔존하는 압력을 상기 개방된 관통공(108)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하는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는 상기 니들삽입용 구멍부(76)와 상기 니들부(64)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윤활유가 떨어지는 경사면부(100)와, 상기 경사면부(100)에 떨어져 비산된 상기 윤활유를 상기 유체통로(16)로 도출시키는 창부 (10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2)의 상기 유체통로(16)에는 반타원형의 가요성부재(32)로 구성되어 대략 수직하게 입설된 설편(30)이 설치되며, 상기 설편(30)은 상기 유체통로(16)를 유통하는 압력유체의 압압작용에 따라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
KR1019990010485A 1998-04-06 1999-03-26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 KR100289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9330298A JP4110489B2 (ja) 1998-04-06 1998-04-06 流体圧機器用零点位置決め機構
JP10-93302 1998-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776A KR19990082776A (ko) 1999-11-25
KR100289378B1 true KR100289378B1 (ko) 2001-05-02

Family

ID=1407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485A KR100289378B1 (ko) 1998-04-06 1999-03-26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45627A (ko)
EP (1) EP0950844B1 (ko)
JP (1) JP4110489B2 (ko)
KR (1) KR100289378B1 (ko)
CN (1) CN1131381C (ko)
DE (1) DE69932878T2 (ko)
TW (1) TW3853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13400U1 (de) * 1998-07-28 1998-12-10 J. Lorch Gesellschaft & Co. Gmbh, 71111 Waldenbuch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Schmiermittelnebels in einer Druckluftleitung
DE10002414A1 (de) * 2000-01-21 2001-08-09 Festo Ag & Co Additivzerstäubungsvorrichtung
US6453935B1 (en) * 2001-07-02 2002-09-24 E-Z Flo Injection Systems, Inc. Fluid injector with vent/proportioner ports
US20050110171A1 (en) * 2003-11-24 2005-05-26 Te-Min Yang Method for mixing fuel and air and a device for processing the method
JP2011503450A (ja) * 2007-11-02 2011-01-27 インテグリ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一体型フェイスシール
AT507433B1 (de) * 2008-12-15 2010-05-15 Parker Origa Pneumatik Gmbh Druckluftöler
CN102554525B (zh) * 2011-12-20 2014-07-09 安徽巨一自动化装备有限公司 设置在铝型材与连接件之间的位置标记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216002A (en) * 1902-07-18 1903-05-28 Percival Turner Houston Improvements in Indicating the Flow of Lubricant in Forced Lubricating Systems.
US3023849A (en) * 1960-05-16 1962-03-06 Watts Regulator Co Air line lubricator
AT260627B (de) * 1966-03-18 1968-03-11 Hoerbiger Ventilwerke Ag Zerstäuber, insbesondere für Schmierstoffe
US3511341A (en) * 1968-06-06 1970-05-12 Aro Corp Air line lubricator
US3720290A (en) * 1971-01-05 1973-03-13 Parker Hannifin Corp Supersonic lubricator
BE788722A (fr) * 1971-09-13 1973-03-12 Norgren Co C A Cloche de graisseur a debit visible
US4461425A (en) * 1982-07-13 1984-07-24 Respiratory Care, Inc. Nebulizer system
US4733753A (en) * 1986-01-24 1988-03-29 Ckd Kabushiki Kaisha Lubricator with channel which communicates reservoir with oil drop hole
US4735288A (en) * 1986-01-24 1988-04-05 Ckd Kabushiki Kaisha Detachably attaching mechanism for cup of lubricator or filter used with air-actuated device
DE3674193D1 (de) * 1986-03-21 1990-10-18 Shoketsu Kinzoku Kogyo Kk Schmiervorrichtung.
US4807721A (en) * 1986-03-21 1989-02-28 Shoketsu Kinzoku Kabushiki Kaisha Air line lubricator
US5086878A (en) * 1990-05-23 1992-02-11 Swift Steven M Tool and workplace lubrication system having a modified air line lubricator to create and to start the delivery of a uniformly flowing pressurized air flow with oil, to deliver the oil continuously and uniformly where a metal part is being formed
US5490576A (en) * 1995-01-12 1996-02-13 Huang; Fu-Shiang Air pressure adjusting module having variable blade device of independent structure
GB2303197B (en) * 1995-07-07 1999-04-28 Imi Norgren Inc Fluid metering device and compressed air lubricator including same
US5653310A (en) * 1995-07-27 1997-08-05 Parker-Hannifin Corporation Airline lubr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10489B2 (ja) 2008-07-02
CN1131381C (zh) 2003-12-17
CN1232929A (zh) 1999-10-27
DE69932878D1 (de) 2006-10-05
DE69932878T2 (de) 2007-02-22
TW385355B (en) 2000-03-21
KR19990082776A (ko) 1999-11-25
EP0950844A2 (en) 1999-10-20
JPH11294692A (ja) 1999-10-29
US6145627A (en) 2000-11-14
EP0950844B1 (en) 2006-08-23
EP0950844A3 (en) 2001-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3299B1 (en) Dual gas pressure regulator for a household appliance
US4545405A (en) Multi-position relief valve
US4241896A (en) Method of making calibrated gas metering orifice and product thereof
KR100289378B1 (ko) 유체압기기용 영점위치결정기구
US10738809B2 (en) Connection devices for fluidic devices
JP5565634B2 (ja) 流体圧機器の接続装置
KR20140012739A (ko) 내부 파일럿식 감압밸브
US20140145099A1 (en) Flow rate adjusting device
US5765588A (en) Fluid flow control device particularly useful as a pressure regulator
JPH0438158Y2 (ko)
US6866061B2 (en) Back pressure valve with dynamic pressure control
US4409867A (en) Adjustable constant level oiler and tool for making oiler adjustments
US4342376A (en) Adjustable constant level oiler and tool for making adjustments
US5246201A (en) Orifice assembly for gas metering device
US5725073A (en) Fluid metering device and compressed air lubricator including same
CN107524906B (zh) 微量润滑装置
US3135356A (en) Air line oiler
EP0101861A1 (en) Airline lubricator
US4291785A (en) Oil metering apparatus for air line lubricators
JP3522389B2 (ja) ガス供給装置
EP0286974A2 (en) Valving technique
EP1270956B1 (en) Device for regulation of the oil flow rate in a hydraulic distributor
JPH05296388A (ja) 圧力流体ラインに接続の潤滑装置
JPH082578Y2 (ja) 定量バルブ
EP0169741A2 (en) Liquid fee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