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703B1 - 복합기 - Google Patents

복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703B1
KR100288703B1 KR1019990011244A KR19990011244A KR100288703B1 KR 100288703 B1 KR100288703 B1 KR 100288703B1 KR 1019990011244 A KR1019990011244 A KR 1019990011244A KR 19990011244 A KR19990011244 A KR 19990011244A KR 100288703 B1 KR100288703 B1 KR 100288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ickup
paper
original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863A (ko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1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703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25Special roller holding or lifting means, e.g. for temporarily raising one roller of a pair of nipping rollers for inserting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68Carriage-return mechanisms, e.g. manually actuated
    • B41J19/70Carriage-return mechanisms, e.g. manually actuated powe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41J23/16Mechanisms driven by a spring tensioned by power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2Removing sheets from a stack or inputting 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업 롤러와 이송 롤러에 전달되는 동일 구동원의 구동력이 원고 급지시와 용지 급지시에 각기 서로 다른 동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전달되도록 하므로써, 구성 부품수를 줄여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제품을 소형화 하며, 원고와 용지의 연속적인 이송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에 관한 것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장치부와;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원고 독취부와; 원고 및 용지를 픽업하도록 픽업 샤프트에 설치되는 픽업 수단과; 상기 픽업 수단에 의해 픽업된 원고 및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과; 상기 픽업 수단의 회전에 연동하여 승하강 작동되는 급지판을 구비하며,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 적재 수단과;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 적재 수단과; 상기 픽업 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정역 구동 모터와;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픽업 수단에 전달하는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복합기에 있어서, 원고 픽업시와 용지 픽업시에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픽업 수단이 정역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력을 상기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의 서로 다른 동력 전달 경로를 통해 상기 픽업 수단에 전달하는 제1 동력 절환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원고 적재 수단과 용지 적재 수단은 상기 픽업 수단의 정역 회전에 따라 원고 및 용지를 픽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픽업 수단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원고 픽업부와 용지 픽업부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원고와 용지의 연속적인 이송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픽업 수단과 이송 수단에 전달되는 모터의 구동력이 원고 급지시와 용지 급지시에 각기 서로 다른 동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전달되므로 구성 부품수를 줄여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제품을 소형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기{MULTI-FUNCTIONAL PERIPHERAL DEVICE}
본 발명은 인쇄장치부와 원고 독취부를 동일한 용지 이송 경로상에서 소정 간격만큼 이격 설치하여 원고 및 용지가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 복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픽업 롤러와 이송 롤러에 전달되는 동일 구동원의 구동력이 원고 급지시와 용지 급지시에 각기 서로 다른 동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전달되도록 하므로써, 구성 부품수를 줄여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제품을 소형화 하며, 원고와 용지의 연속적인 이송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프린터, 스캐너 및 팩스 등과 같은 사무자동화(OA) 기기들을 하나의 복합적인 장치로 통합한 복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기는 일반적으로 원고 독취부와 인쇄장치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복합기를 이용하여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거나, 독취된 데이터를 다른 용지에 인쇄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형성체'는 통상적인 잉크젯 프린터 헤드를 의미하며, '용지'는 통상적인 인쇄용지 또는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여하한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복합기는 원고 이송용 구동 모터와, 상형성체인 프린터 헤드의 왕복운동을 위한 캐리지 모터 및 용지 이송 모터등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복합기는 원고 독취부의 구동 방식에 따라 배열 방식(Array Type) 복합기와 셔틀 방식 복합기로 구분되는바, 배열 방식 복합기는 원고의 폭과 동일한 크기 또는 그 이상의 크기를 갖는 원고 독취 센서를 복합기내의 소정위치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해당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라인 단위로 스캐닝하는 방식이고, 셔틀 방식 복합기는 상형성체와 원고 독취 센서를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한 구동원에 따라 해당 원고(또는 용지)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해당 라인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의 복합기를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원고와 용지가 서로 다른 이송 경로를 갖도록 형성된 배열 방식 복합기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원고와 용지가 동일한 이송 경로를 갖도록 형성된 셔틀 방식 복합기의 요부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열 방식 복합기는 스캐너 파트와 프린터 파트로 분할할 수 있다.
스캐너 파트를 보면, 해당 원고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기 위하여 복수매의 원고를 적재할 수 있도록 복합기(100)의 원고 투입구(102)로부터 연장 설치된 원고 스태커(Stacker :103)와, 원고 스태커(103)에 적재된 복수매의 원고를 한 장씩 순차적으로 픽업(Pick-Up)할 수 있도록 원고 투입구(102)로부터 인접된 지점에 장착된 원고 픽업 롤러(104) 및 마찰 패드(105)와, 원고 픽업 롤러(104)의 회전축상에 축설되어 원고 투입구(102)에 투입된 원고가 존재하는가를 감지하는 원고 감지 센서(106)와, 원고 픽업 롤러(104)와 마찰 패드(105)에 의해 이송된 원고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레지스터 센서(Register Sensor :107)와, 레지스터 센서(107)에 도달한 원고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108)와, 이송된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는 원고 독취 센서(109)와, 원고 독취 센서(109)에 의해 독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10)와, 독취가 완료된 원고를 배출시키도록 원고 독취 센서(109)의 후단에 장착된 원고 배출 롤러(111)와, 원고 배출 롤러(111)에 의해 배출된 원고를 적재시키도록 원고 토출구(112)로부터 연장 설치된 원고 트레이(11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프린터 파트를 보면, 용지(114)가 복수매 적재되며 복합기(100)의 용지 투입구(115)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지 카세트(116)와, 급지 카세트(116)에 적재된 복수매의 용지(114)를 한 장씩 픽업하도록 용지 투입구(115)로부터 인접 장착된 용지 픽업 롤러(117)와, 용지 픽업 롤러(117)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된 용지(114)의 이송 위치를 감지하는 레지스터 센서(118)와, 레지스터 센서(118)에 도달한 용지(114)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119)와, 이송 롤러(119)에 의해 이송된 용지(114)에 인쇄하고자 하는 상데이터를 형성시키는 마이크로 분사장치(120)와, 마이크로 분사장치(120)에 의해 상데이터가 기록된 용지(114)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이크로 분사장치(120)의 후단에 장착된 용지 배출 롤러(121)와, 용지 배출 롤러(121)에 의해 배출된 용지(114)를 적재할 수 있도록 용지 토출구(122)로부터 연장 설치된 용지 트레이(12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마이크로 분사장치(120)의 상세 구조를 살펴보면, 용지(114)에 상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도록 프린터 헤드(124)를 좌우 왕복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캐리지 모터(125)와, 캐리지 모터(125)로부터 연장된 모터축상에 설치되고 프린터 헤드(124)에 접촉되어 캐리지 모터(125)의 회전 운동에 따라 프린터 헤드(124)를 좌우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벨트(126)와, 용지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축(127)과, 가이드축(127)이 관통되고 이송 벨트(126)가 구동됨에 따라 가이드축(127)상을 왕복 운동하는 프린터 헤드(124)와, 이송되는 용지(114)에 대향되는 인접 위치에 프린터 헤드(124)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용지에 잉크를 분사하여 상데이터를 인쇄하는 잉크 분사부(128)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복합기(100)의 외관에는 복합기의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기능키가 배열 장착된 조작 패널(129)이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복합기의 동작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고에 기록된 상데이터를 판독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저장된 상데이터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초기에 원고를 원고 스태커(103)에 적재한 후 원고 투입위치로 세팅시키면 원고 감지 센서(106)에 의해 원고가 감지되고, 이러한 감지 신호는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았음)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감지 신호가 컨트롤러에 전달되면 컨트롤러는 스캐너 파트내에서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한 각 구동원을 구동시키는바, 이에 따라, 원고 픽업 롤러(104)가 회전되고, 원고 픽업 롤러(104)와 마찰 패드(105) 간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원고 픽업 롤러(104)와 마찰 패드(105) 사이에 위치한 복수매의 원고들이 한 장씩 순차적으로 픽업된다.
픽업된 원고는 이송 롤러(108)에 도달하여 원고의 현재 위치가 감지되며, 이송 롤러(108)는 배열 방식 원고 독취 센서(109)로 원고를 이송한 후 해당 원고의 초기 라인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원고를 정지시킨다. 이때, 배열 방식 복합기의 경우, 원고에 기록된 상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원고 독취 센서(109)의 길이가 원고의 폭과 동일하거나 혹은 원고의 폭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원고 독취 센서(109)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이송된 원고로부터 라인 단위로 데이터를 독취하고, 라인 단위의 데이터가 독취되면 이송 롤러(108)가 재구동되어 다음 라인의 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도록 원고를 라인 크기만큼 이송시킨다.
이렇게 독취된 라인 단위의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며, 해당 원고의 데이터가 모두 독취/저장되면 원고 배출 롤러(111)에 의해 해당 원고가 원고 토출구(112)로 배출되어 원고 트레이(113)에 적재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원고 배출 롤러(111)에 의해 원고가 복합기(100) 외부로 배출되면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한 각 구동원은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정지되고, 원고 독취 센서(109)에 의해 독취된 후 메모리(110)에 저장된 데이터는 모뎀 또는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Line Interface Unit)를 통하여 소정 장치(예컨대, 프린터장치)에 전송된다.
한편, 메모리(1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는 컨트롤러를 통하여 프린터 파트로 전송된다.
메모리(1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하여 컨트롤러는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원에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바, 이에 따라 용지 픽업 롤러(117)가 구동되어 급지 카세트(116)내에 적재된 복수매의 용지(114)를 한장씩 픽업한다. 픽업된 용지(114)는 레지스터 센서(118)에 도달하여 용지(114)의 현재 위치가 감지된 후, 이송 롤러(119)에 의해 프린터 헤드(124)에 의한 인쇄 영역까지 이송된다. 이후, 이송 롤러(119)가 정지되어 용지(114)는 인쇄 영역에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용지(114)가 인쇄 영역에 도달되면, 컨트롤러는 프린터 헤드(124)에 인쇄할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프린터 헤드(124)는 정해진 위치에 상이 형성되도록 잉크 분사부(128)의 잉크 분사 위치와, 잉크 분사 시점을 제어한다.
또한, 캐리지 모터(125)가 구동되어 프린터 헤드(124)를 용지(114)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좌우 왕복 운동시키면서, 일정폭의 인쇄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한 라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쇄하게 된다.
한 라인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인쇄되면, 이송 롤러(119)가 구동되어 다음 한 라인에 해당하는 위치만큼 용지(114)를 이송시킨 후, 용지(114)가 용지 토출구(122)를 통하여 용지 트레이(123)에 배출될 때까지 전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이후, 용지(114)가 용지 트레이(123)로 완전 배출되면,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원은 모두 정지된다.
한편, 원고와 용지가 동일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 셔틀 방식 복합기의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프린터 헤드(224)의 어느 일측부에 원고 독취 센서(209)를 일체로 설치하고, 프린터 헤드(224)와 원고 독취 센서(209)를 캐리지 모터(225)에 의해 원고 이송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226은 캐리지 모터의 구동력에 따라 프린터 헤드 및 원고 독취 센서를 좌우 왕복 운동시키는 이송 벨트를 의미하며, 미설명 도면부호 227은 프린터 헤드 및 원고 독취 센서의 이송 궤적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원고 독취 센서(209)가 프린터 헤드(224)의 일측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셔틀 방식 복합기에 있어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고와 인쇄 용지가 동일 스태커에 적재되며, 스태커에 적재된 원고 또는 인쇄 용지는 한개의 픽업 롤러에 의해 픽업되어 동일한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픽업 롤러 및 이송 롤러의 구동에 의해 용지가 인쇄 영역에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용지가 인쇄 영역에 도달되면, 프린터 헤드(224)는 정해진 위치에 상이 형성되도록 잉크 분사부(228)의 잉크 분사 위치와, 잉크 분사 시점을 제어한다.
또한, 캐리지 모터(225)가 구동되어 프린터 헤드(224)를 용지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좌우 왕복 운동시키면서, 일정폭의 인쇄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한 라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쇄하게 된다.
한 라인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인쇄되면, 이송 롤러가 구동되어 다음 한 라인에 해당하는 위치만큼 용지를 이송시킨 후, 용지가 용지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될 때까지 전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이후, 용지가 완전 배출되면,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원은 모두 정지된다.
그리고, 원고 전송시에는 스태커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를 제거한 상태에서 원고를 적재한다.
이후, 원고 독취 명령이 입력되면 픽업 롤러와 이송 롤러의 구동에 의해 원고가 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는 지점에 세팅되고, 캐리지 모터(225)의 구동에 의해 원고 독취 센서(209)가 가이드축(227)을 따라 셔틀방식으로 좌우 왕복 운동되면서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가 소정 면적 단위로 독취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복합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배열 방식 복합기는, 원고 독취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각 구성 부품과, 마이크로 분사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각 구성 부품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복합기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상승되며 제품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다음으로 셔틀 방식의 복합기는, 원고를 셔틀 스캐닝 함에 따라 원고 전송 시간이 매우 느리고, 원고 전송시에는 스태커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를 제거한 상태에서 원고를 적재한 후 원고를 이송시켜야 하며, 원고 이송과 복사를 연속적으로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픽업 롤러와 이송 롤러에 전달되는 동일 구동원의 구동력이 원고 급지시와 용지 급지시에 각기 서로 다른 동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전달되도록 하므로써, 구성 부품수를 줄여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제품을 소형화 하며, 원고와 용지의 연속적인 이송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원고 독취부와 인쇄장치부를 별도로 분리하여 원고와 용지가 서로 다른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배열 방식 복합기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원고 독취부와 인쇄장치부를 일체화하여 원고와 용지가 동일한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 종래 기술에 따른 셔틀 방식 복합기의 요부 구성도.
도 3은 원고 독취부와 인쇄장치부를 별도로 분리하여 원고와 용지가 동일한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배열 방식 복합기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기에 적용된 동력 전달 수단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기에 적용된 동력 전달 수단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기에 적용된 스프링 클러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기에 적용된 제3 동력 절환 수단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기에 적용된 급지판 승하강 수단의 개략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복합기에 적용된 픽업 롤러 회전 제어 수단의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 복합기 3 : 정역 구동 모터
10 : 원고 스태커 20 : 급지 카세트
30 : 픽업 롤러 40 : 레지스터 센서
50 : 원고 독취부 52 : 화이트 롤러
60 : 인쇄장치부 Z1∼Z14: 동력 전달 기어
S1∼S5: 스프링 클러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기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장치부와;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원고 독취부와; 원고 및 용지를 픽업하도록 픽업 샤프트에 설치되는 픽업 수단과; 상기 픽업 수단에 의해 픽업된 원고 및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과; 상기 픽업 수단의 회전에 연동하여 승하강 작동되는 급지판을 구비하며,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 적재 수단과;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 적재 수단과; 상기 픽업 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정역 구동 모터와;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픽업 수단에 전달하는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복합기에 있어서, 원고 픽업시와 용지 픽업시에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픽업 수단이 정역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력을 상기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의 서로 다른 동력 전달 경로를 통해 상기 픽업 수단에 전달하는 제1 동력 절환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원고 적재 수단과 용지 적재 수단은 상기 픽업 수단의 정역 회전에 따라 원고 및 용지를 픽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픽업 수단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에 있어서, 복합기에는 용지 픽업시에 급지판을 승하강 작동시키도록 픽업 샤프트의 일단부측에 설치되는 급지판 승하강 수단과, 용지 픽업시에는 급지판의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원고 픽업시에는 급지판이 하강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급지판 승하강 수단을 제어하는 제2 동력 절환 수단을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동력 절환 수단은 각각 스프링 클러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픽업 샤프트의 다른 단부측에는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픽업 샤프트에 전달되는 것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3 동력 절환 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복합기에는 이송 수단에 대한 픽업 수단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므로써 이송되는 용지 또는 원고 매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이송 수단:픽업 수단의 설정 감속비가 1:0.8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고 적재 수단은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부판에는 하부판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 수단측으로 가압하므로써 원고와 픽업 수단간에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 패드와, 하부판에 적재된 원고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원고 유무 감지 센서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원고 독취부는 원고의 폭과 동일한 크기 또는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복합기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원고 독취 센서 수단과, 픽업 수단에 의해 픽업된 원고를 원고 독취 센서 수단에 밀착시키기 위한 화이트 롤러를 포함하며, 원고 독취부는 동일한 용지 이송 경로상에서 인쇄장치부의 전방에 구비된다.
여기에서, 화이트 롤러는 이송 수단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복합기에는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송 수단에 전달하여 상기 이송 수단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이송용 동력 전달 수단과; 원고 및 용지 이송시에 모터의 구동력을 이송용 동력 전달 수단의 서로 다른 동력 전달 경로를 통해 이송 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제4 및 제5 동력 절환 수단과, 이송 수단에 대한 픽업 수단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제4 및 제5 동력 절환 수단은 스프링 클러치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기에는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구동 기어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아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과 이송용 동력 전달 수단에 전달하는 중개 수단을 더 구비하며, 중개 수단은 서로 다른 직경의 제1 및 제2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는 2단 기어로서, 상기 제1 또는 제2 기어중 어느 하나의 기어가 상기 구동 기어에 치합된다.
본 발명의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은, 제1 기어에 치합되는 제3 기어 및 제2 동력 절환 수단을 개재하여 제3 기어와 동일축상에 설치되는 제4 기어를 구비하는 제1 동력 전달 기어부와; 제3 기어에 치합되는 제5 기어 및 제1 동력 절환 수단을 개재하여 제5 기어와 동일축상에 설치되는 제6 기어를 구비하는 제2 동력 전달 기어부;를 포함하며, 제6 기어는 픽업 샤프트의 일단부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용지 픽업시에는 모터의 구동력이 제1 기어→제3 기어→제5 기어→제6 기어를 통해 픽업 수단에 전달되고, 원고 픽업시에는 모터의 구동력이 제1 기어→제3 기어→제4 기어→제6 기어를 통해 픽업 수단에 전달된다.
한편, 이송용 동력 전달 수단은, 제2 기어에 치합되는 제7 기어 및 제4 동력 절환 수단을 개재하여 제7 기어와 동일축상에 설치되는 제8 기어를 구비하는 제3 동력 전달 기어부와; 제7 기어에 치합되는 제9 기어 및 제5 동력 절환 수단을 개재하여 제9 기어와 동일축상에 설치되는 제10 기어를 구비하는 제4 동력 전달 기어부와; 제10 기어에 치합되는 제11 기어를 구비하는 제5 동력 전달 기어부와; 제11 기어에 치합되는 제12 기어를 구비하는 제6 동력 전달 기어부와; 이송 수단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제12 기어에 치합되는 제13 기어를 구비하는 제7 동력 전달 기어부와; 제8 기어와 제12 기어에 치합되는 제14 기어를 구비하는 제8 동력 전달 기어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지 픽업시에는 모터의 구동력이 제2 기어→제7 기어→제9 기어→제10 기어→제11 기어→제12 기어→제13 기어를 통해 이송 수단에 전달되고, 원고 픽업시에는 모터의 구동력이 제2 기어→제7 기어→제8 기어→제14 기어→제12 기어→제13 기어를 통해 이송 수단에 전달된다.
한편, 모터의 구동력을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과 이송용 동력 전달 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중개 수단을 1단 기어로 구성하거나, 또는 중개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구동 기어를 제3 및 제7 기어에 직접 치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원고 픽업부와 용지 픽업부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원고와 용지의 연속적인 이송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픽업 수단과 이송 수단에 전달되는 모터의 구동력이 원고 급지시와 용지 급지시에 각기 서로 다른 동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전달되므로 구성 부품수를 줄여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제품을 소형화 할 수 있다.
이하, 원고 독취부와 인쇄장치부를 별도로 분리하여 원고와 용지가 동일한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재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요소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기(1)에는 원고 스태커(10)와 급지 카세트(20)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되어 있고, 원고 스태커(10)와 급지 카세트(20) 사이의 공간에는 원고 및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 롤러(30)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 스태커(10)는 2개의 판, 즉 상부판(11)과 하부판(12)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부판(11)에는 하부판(12)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 롤러(30)측으로 가압하므로써 원고와 픽업 롤러(30)간에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 패드(13)와, 하부판(12)에 적재된 원고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원고 유무 감지 센서(14)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판(12)에는 픽업 롤러(30)의 일부가 원고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급지 카세트(20)에는 후에 기술할 급지판 승하강 수단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급지판(21)이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고 스태커(10) 및 급지 카세트(20)의 후방(용지 이송 경로상의 후방)에는 픽업 롤러(30)에 의해 이송된 원고 또는 용지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레지스터 센서(40)와, 이송된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원고 독취 센서(51) 및 이송된 원고를 원고 독취 센서(51)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농도 기준 롤러인 화이트 롤러(52)로 구성되는 원고 독취부(50)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용지에 출력하기 위한 인쇄장치부(60)와, 독취 또는 인쇄가 완료된 원고 또는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롤러(70)와, 배출 롤러(70)에 의해 배출된 원고 또는 용지가 적재되는 배출 트레이(80)가 순차적으로 장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원고 독취부(50)의 화이트 롤러(52)는 픽업 롤러(30)에 의해 픽업된 원고 또는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의 작용을 한다.
그리고, 화이트 롤러(52)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인쇄하고자 하는 상데이터를 형성시키는 인쇄장치부(6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프린터 헤드(61)를 용지 이송방향의 횡방향으로 좌우 왕복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캐리지 모터(62)와, 캐리지 모터(62)로부터 연장된 모터축상에 설치되고 프린터 헤드(61)에 접촉되어 캐리지 모터(62)의 회전 운동에 따라 프린터 헤드(61)를 좌우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벨트(63)와, 용지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축(64)과, 가이드축(64)이 관통되고 이송 벨트(63)가 구동됨에 따라 가이드축(64)상을 왕복 운동하는 프린터 헤드(61)와, 이송되는 용지에 대향되는 인접 위치에 프린터 헤드(61)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용지에 잉크를 분사하여 상데이터를 인쇄하는 잉크 분사부(65)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복합기(1)의 외관에는 복합기의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기능키가 배열 장착된 조작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픽업 롤러(40)와 화이트 롤러(5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기의 프레임(2)에는 픽업 롤러(30)와 화이트 롤러(52)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정역 구동 모터(3)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3)의 회전축(3')에는 구동 기어(ZD)가 회전축(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모터(3)의 우측으로는 플랜지(31)를 개재하여 픽업 롤러(30)가 설치된 픽업 샤프트(32)가 프레임(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모터(3)의 좌측으로는 화이트 롤러(52)가 회전축(5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터(3)의 구동력이 중계 수단과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픽업 샤프트(32)에 전달되는 한편, 중계 수단과 이송용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화이트 롤러(52)의 축(53)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계 수단은 모터의 구동 기어(ZD)에 치합되는 제1 기어(Z1) 및 동일축상에서 제1 기어(Z1)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기어(Z2)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기어(Z1,Z2)는 픽업 롤러(30)와 화이트 롤러(52)를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회전수에 맞게 모터(3)의 회전수를 적절히 감속하기 위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지만, 동력 전달을 위한 다른 기어들의 감속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경우에는 중계 수단을 1단 기어로 형성하거나, 또는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과 이송용 동력 전달 수단에 모터(3)의 구동 기어를 직접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먼저, 모터(3)의 구동력을 픽업 롤러(30)에 전달하기 위한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에 대해 살펴보면, 모터(3)의 회전축(3')에 구비된 구동 기어(ZD)에는 직경이 큰 제1 기어(Z1)가 치합되어 있고, 제1 기어(Z1)에는 제1 동력 전달 기어부의 제3 기어(Z3)가 치합되어 있다.
제1 동력 전달 기어부는 동일축상에서 제1 동력 절환 수단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제3 및 제4 기어(Z3,Z4)로 이루어지며, 제1 동력 절환 수단은 원고 픽업시와 용지 픽업시에 모터(3)의 구동력을 서로 다른 동력 전달 경로를 통해 픽업 롤러(30)에 전달하기 위한 제1 스프링 클러치(S1)로 이루어진다.
제1 스프링 클러치(S1)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의 동력은 전달하는 반면 반대방향으로의 동력은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의 동력은 전달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의 동력은 차단하도록 제3 및 제4 기어(Z3,Z4)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픽업 샤프트(32)의 일단부측에는 제2 동력 전달 기어부를 구성하는 제5 및 제6 기어(Z5,Z6)가 제3 동력 절환 수단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5 기어(Z5)는 제3 기어(Z3)에, 그리고 제6 기어(Z6)는 제4 기어(Z4)에 각각 치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3 동력 절환 수단은 모터(3)의 구동력이 픽업 샤프트(32)에 전달되는 것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 클러치(S1)와 마찬가지로 시계방향으로의 동력은 전달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의 동력은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3 스프링 클러치(S3)와, 스프링 클러치(S3)의 몸체에 구비되는 스토퍼(ST)에 접촉되어 몸체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규제하도록 스프링 클러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토퍼 액튜에이터(SA)와, 스토퍼 액튜에이터(SA)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3 스프링 클러치(S3)에 설치되는 스프링(SP)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픽업 샤프트(32)의 다른 단부측에는 급지판(21)을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급지판 승하강 수단과, 급지판 승하강 수단에 전달되는 동력을 절환하기 위한 제2 동력 절환 수단이 장치되어 있다.
상기 급지판 승하강 수단은 도 8에서와 같이, 급지판(21)을 하강시키기 위한 제1 레버(22') 및 제1 레버(22')와 일체로 형성되며 규제 레버(23)와 상호 작용하는 제2 레버(22')로 구성되는 레버 부재(22)와, 픽업 롤러(30)의 관성량에 의해 레버 부재(22)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 레버(23)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2 레버와 규제 레버에는 일방향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동력 절환 수단은 시계방향으로의 동력은 전달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의 동력은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2 스프링 클러치(S2)로서, 용지 픽업시에는 픽업 샤프트(32)의 회전력이 레버 부재(22)에 전달되도록 하는 반면, 원고 픽업시에는 픽업 샤프트(32)의 회전력이 레버 부재(22)에 전달되지 않도록 픽업 샤프트(32)와 레버 부재(22)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원고 픽업시에는 레버 부재(22)의 제1 레버(22')에 의해 급지판(21)이 하강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모터(3)의 구동력을 화이트 롤러(52)에 전달하기 위한 이송용 동력 전달 수단에 대해 살펴보면, 중개 수단의 제1 기어(Z1)와 일체로 형성된 직경이 작은 제2 기어(Z2)에는 제7 기어(Z7)가 치합되어 있고, 제7 기어(Z7)가 설치되는 축에는 제4 동력 절환 수단을 개재하여 제8 기어(Z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7 및 제8 기어(Z7,Z8)는 제3 동력 전달 기어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7 기어(Z7)에는 제9 기어(Z9)가 치합되어 있고, 제9 기어(Z9)가 설치되는 축에는 제5 동력 절환 수단을 개재하여 제10 기어(Z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0 기어(Z10)는 제3 동력 전달 기어부의 제8 기어(Z8)에 치합되어 있다.
상기 제9 및 제10 기어(Z9,Z10)는 제4 동력 전달 기어부를 구성한다.
또한, 제10 기어에는 제5 동력 전달 기어부로서의 제11 기어(Z11)가 치합되어 있고, 제11 기어(Z11)는 제6 동력 전달 기어부로서의 제12 기어(Z12)에 치합되어 있으며, 제12 기어(Z12)는 화이트 롤러(52)의 축(53) 단부에 설치된 제7 동력 전달 기어부로서의 제13 기어(Z13)에 치합되어 있다.
한편, 제4 동력 절환 수단을 개재하여 제7 기어(Z7)와 동일축상에 설치되는 제8 기어(Z8)에는 제8 동력 전달 기어부로서의 제14 기어(Z14)가 치합되어 있으며, 제14 기어는 제6 동력 전달 기어부로서의 제12 기어(Z12)에도 치합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4 및 제5 동력 절환 수단은 원고 픽업시와 용지 픽업시에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 기어부의 서로 다른 동력 전달 경로를 통해 화이트 롤러(52)의 축(53)에 설치된 제13 기어(Z13)에 전달하므로써 화이트 롤러(52)가 모터(3)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일방향(용지 이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2 및 제3 동력 절환 수단과 동일한 스프링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제4 및 제5 스프링 클러치(S4,S5)도 역시 시계방향으로의 동력은 전달하는 반면, 반시계방향으로의 동력은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기에는 화이트 롤러(52)에 대한 픽업 롤러(30)의 회전 속도를 설정 감속비(예를 들어 1:0.8)로 제어하므로써 이송되는 용지 또는 원고 매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제어 수단이 구비되는바, 이를 도 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픽업 롤러(30)와 픽업 샤프트(32) 사이에 개재되는 원통형 플랜지(31)는 픽업 롤러(30)에는 일체로 고정되지만 픽업 샤프트(32)에는 고정되지 않는 것으로, 플랜지(31)의 외주면 일부에는 픽업 샤프트(32)의 회전력이 픽업 롤러(3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아이들 구간(33)이 설정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고, 픽업 샤프트(32)에는 아이들 구간(33)에 삽입되는 규제핀(34)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정역 구동 모터(3)가 도 4 및 도 5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모터의 구동 기어(ZD)에 치합된 제1 및 제2 기어(Z1,Z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1 기어(Z1)에 치합된 제3 기어(Z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3 기어(Z3)에 치합된 제5 기어(Z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3 기어(Z3)와 동일축상에 설치된 제4 기어(Z4)에는 제1 스프링 클러치(S1)의 작용(반시계방향으로의 동력 전달은 차단함)에 의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제5 기어(Z5)와 동일축상에 설치된 제6 기어(Z6)에는 제3 스프링 클러치(S3)의 작용(시계방향으로의 동력은 전달함)에 의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정역 구동 모터(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모터의 구동력은 A경로(제1 기어→제3 기어→제5 기어→제6 기어)를 통해 픽업 샤프트(32)에 전달되어 픽업 샤프트(32) 및 픽업 롤러(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픽업 샤프트(32)의 회전력은 제5 스프링 클러치(S5)의 작용(시계방향으로의 동력은 전달함)으로 인해 레버 부재(22)에 전달되어 제1 및 제2 레버(22',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바, 이와 같이 레버 부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레버(22')에 의해 급지판(21)이 하강되어 용지와 픽업 롤러(30)간의 간섭이 방지됨과 동시에, 규제 레버(23)의 일방향 톱니와 제2 레버(22')의 일방향 톱니가 맞물려져서 급지판(21)이 승강 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픽업 롤러(30)가 용지 이송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되면 규제 레버(23)가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되어 급지판이 스프링에 의해 승강되고, 급지판(21)에 적재된 용지중 최상위의 용지가 픽업 롤러(30)에 의해 픽업된다.
그리고, 픽업 롤러(30)에 의해 용지가 픽업된 후 픽업 롤러가 계속해서 회전되면 제1 레버(22')에 의해 급지판(21)이 하강 작동됨과 동시에, 제1 스프링 클러치(S1) 및 스토퍼 액튜에이터(SA)의 작용에 의해 픽업 샤프트(32)로의 동력 전달이 일시적으로 차단된다.
이와 같은 픽업 과정중에 모터(3)의 구동력이 화이트 롤러(52)에 전달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용지 픽업시에 모터(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으므로, 모터(3)의 구동 기어(ZD)에 치합된 제1 기어(Z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기어(Z1)와 일체로 형성된 제2 기어(Z2)도 제1 기어(Z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2 기어(Z2)에 치합된 제7 기어(Z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7 기어(Z7)에 치합된 제9 기어(Z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5 스프링 클러치(S5)의 작용(시계방향으로의 동력은 전달함)에 의해 제10 기어(Z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10 기어(Z10)에 치합된 제11 기어(Z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1 기어(Z11)에 치합된 제12 기어(Z1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2 기어(Z12)에 치합된 제13 기어(Z1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7 기어(Z7)와 동일축상에 설치된 제8 기어(Z8)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제12 기어(Z12)에 치합된 제14기어(Z1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4 기어(Z14)에 치합된 제8 기어(Z8)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정역 구동 모터(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모터의 구동력은 C경로(제2 기어→제7 기어→제9 기어→제10 기어→제11 기어→제12 기어→제13 기어)를 통해 화이트 롤러(52)의 회전축(53)에 전달되어 화이트 롤러(5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픽업된 용지의 선단부가 레지스터 센서(40)에 접촉되어 용지의 선단부 위치가 감지된 후 상기 용지의 선단부가 화이트 롤러(52)에 진입되면, 용지는 인쇄 영역에 도달될 때까지 화이트 롤러(52)에 의해 이송되며, 용지가 인쇄 영역에 도달되면 모터(3)의 구동이 정지된다.
용지가 인쇄 영역에 도달되면 잉크젯 헤드(61)가 용지 이송 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한 라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쇄하게 되고, 한 라인에 해당하는 인쇄가 완료되면 모터(3)가 다시 구동되어 픽업 롤러(30) 및 화이트 롤러(52)가 정해진 회전수만큼 회전되며, 상기에서와 같이 반복적으로 인쇄가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픽업 롤러의 회전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용지가 화이트 롤러(52)와 맞물리기 전에는 픽업 샤프트(32)에 고정된 규제핀(34)이 아이들 구간(33)의 a지점에 위치되어 있다가 용지가 화이트 롤러(52)와 맞물린 후에는 픽업 롤러(30)와 픽업 샤프트(32)간의 속도 차이에 의해 b지점으로 이동되어 용지 속도가 화이트 롤러(52)의 속도와 일치되고, 다음 용지는 규제핀(34)이 a지점에 위치될 때까지 픽업 샤프트(32)가 회전된 이후에 픽업 샤프트(32)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픽업 롤러(30)에 의해 픽업된다.
따라서, 이송되는 용지 사이에 일정 거리가 유지되므로, 이송 용지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레지스터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용지간 매수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고 독취 명령이 입력되면 원고 스태커(10)에 원고가 적재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원고 유무 감지 센서(14)에 의해 감지되고, 원고가 감지되면 일정 시간(급지판을 하강시키도록 제1 레버를 회전시키는 시간)동안 모터(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용지 픽업시와 동일한 경로를 따라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급지판(21)이 제1 레버(22')에 의해 하강되며, 규제 레버(23)의 일방향 톱니와 제2 레버(22')의 일방향 톱니가 맞물려져서 급지판(21)이 승강 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원고 픽업을 위해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모터의 구동 기어(ZD)에 치합된 제1 기어(Z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3 기어(Z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1 스프링 클러치(S1)의 작용에 의해 제4 기어(Z4)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4 기어(Z4)에 치합된 제6 기어(Z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픽업 샤프트(32) 및 픽업 롤러(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3 기어(Z3)에 치합된 제5 기어(Z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만, 제3 스프링 클러치(S3)의 작용에 의해 제5 기어(Z5)의 회전력이 제6 기어(Z6)에 전달되지는 않게 된다.
그리고, 픽업 샤프트(32) 및 픽업 롤러(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픽업 샤프트(32)의 회전력은 제2 스프링 클러치(S2)의 작용에 의해 레버 부재(22)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급지판(21)의 하강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이와 같이, 원고 픽업을 위해 정역 구동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모터의 구동력은 B경로(제1 기어→제3 기어→제4 기어→제6 기어)를 통해 픽업 샤프트(32)에 전달되어 픽업 샤프트(32) 및 픽업 롤러(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픽업 롤러(30)의 상측에 설치된 원고 스태커(10)에 적재되어 있는 원고중 최하위의 원고가 픽업 롤러(30)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이와 같은 원고 픽업 과정중에 모터(3)의 구동력이 화이트 롤러(52)에 전달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와 같이, 원고 픽업시에는 모터(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으므로, 모터의 구동 기어(ZD)에 치합된 제1 기어(Z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기어(Z1)와 일체로 형성된 제2 기어(Z2)도 제1 기어(Z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2 기어(Z2)에 치합된 제7 기어(Z7) 및 제7 기어(Z7)와 동일축상에 설치된 제8 기어(Z8)가 제4 스프링 클러치(S4)의 작용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8 기어(Z8)에 치합된 제14 기어(Z1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14 기어(Z14)에 치합된 제12 기어(Z1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2 기어(Z12)에 치합된 제13 기어(Z1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7 기어(Z7)에 치합된 제9 기어(Z9)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만, 제9 기어(Z9)의 회전력은 제5 스프링 클러치(S5)의 작용에 의해 제10 기어(Z10)에 전달되지 않으며, 제10 기어(Z10)는 제11 기어(Z11)를 통해 제12 기어(Z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원고 픽업시에 모터(3)의 구동력은 D경로(제2 기어→제7 기어→제8 기어→제14 기어→제12 기어→제13 기어)를 따라 화이트 롤러(52)의 회전축(53)에 전달된다.
따라서, 픽업된 원고의 선단부가 레지스터 센서(40)에 접촉되어 원고의 선단부 위치가 감지된 후 상기 원고의 선단부가 화이트 롤러(52)에 진입되면 모터(3)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후, 모터(3)가 시계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되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화이트 롤러가 회전되어 화이트 롤러와 원고 독취 센서 수단과의 밀착을 통해 원고의 데이터가 독취되면서 원고가 배출되는바, 이때, 원고가 화이트 롤러(52)와 맞물리기 전에는 픽업 샤프트(32)에 고정된 규제핀(34)이 아이들 구간(33)의 b지점에 위치되어 있다가 원고가 화이트 롤러(52)와 맞물린 후에는 픽업 롤러(30)와 픽업 샤프트(32)간의 속도 차이에 의해 a지점으로 이동되어 원고 속도가 화이트 롤러(52)의 속도와 일치되고, 다음 원고는 규제핀(34)이 b지점에 위치될 때까지 픽업 샤프트(32)가 회전된 이후에 픽업 샤프트(32)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픽업 롤러(30)에 의해 픽업된다.
따라서, 이송되는 원고 사이에 일정 거리가 유지되므로, 이송 원고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레지스터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원고간 매수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에 의하면, 원고 스태커와 급지 카세트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원고와 용지의 연속적인 이송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고 또는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원고 독취부의 화이트 롤러로 구성하고,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것만으로도 픽업 롤러와 화이트 롤러를 적절하게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구성 부품수 및 생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Claims (17)

  1.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장치부와;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원고 독취부와; 원고 및 용지를 픽업하도록 픽업 샤프트에 설치되는 픽업 수단과; 상기 픽업 수단에 의해 픽업된 원고 및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과; 상기 픽업 수단의 회전에 연동하여 승하강 작동되는 급지판을 구비하며,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 적재 수단과;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 적재 수단과; 상기 픽업 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정역 구동 모터와;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픽업 수단에 전달하는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복합기에 있어서,
    원고 픽업시와 용지 픽업시에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픽업 수단이 정역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력을 상기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의 서로 다른 동력 전달 경로를 통해 상기 픽업 수단에 전달하는 제1 동력 절환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원고 적재 수단과 용지 적재 수단은 상기 픽업 수단의 정역 회전에 따라 원고 및 용지를 픽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픽업 수단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용지 픽업시에 상기 급지판을 승하강 작동시키도록 상기 픽업 샤프트의 일단부측에 설치되는 급지판 승하강 수단과, 용지 픽업시에는 상기 급지판의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원고 픽업시에는 상기 급지판이 하강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급지판 승하강 수단을 제어하는 제2 동력 절환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픽업 샤프트에 전달되는 것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상기 픽업 샤프트의 다른 단부측에 설치되는 제3 동력 절환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동력 절환 수단이 스프링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에 대한 상기 픽업 수단의 회전 속도를 설정 감속비로 제어하므로써 이송되는 용지 또는 원고 매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감속비가 1: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적재 수단은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하부판에 적재된 원고를 상기 픽업 수단측으로 가압하므로써 원고와 픽업 수단간에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 패드와, 상기 하부판에 적재된 원고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원고 유무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8. 제 1항 내지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독취부는 원고의 폭과 동일한 크기 또는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복합기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원고 독취 센서 수단과, 상기 픽업 수단에 의해 픽업된 원고를 상기 원고 독취 센서 수단에 밀착시키기 위한 화이트 롤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원고 독취부는 동일한 용지 이송 경로상에서 상기 인쇄장치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이 상기 화이트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 수단에 전달하여 상기 이송 수단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이송용 동력 전달 수단과;
    원고 및 용지 이송시에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용 동력 전달 수단의 서로 다른 동력 전달 경로를 통해 상기 이송 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제4 및 제5 동력 절환 수단;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및 제5 동력 절환 수단이 스프링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구동 기어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아 상기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과 이송용 동력 전달 수단에 전달하는 중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수단은 서로 다른 직경의 제1 및 제2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는 2단 기어로서, 상기 제1 또는 제2 기어중 어느 하나의 기어가 상기 구동 기어에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용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제1 기어에 치합되는 제3 기어 및 상기 제2 동력 절환 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3 기어와 동일축상에 설치되는 제4 기어를 구비하는 제1 동력 전달 기어부와;
    상기 제3 기어에 치합되는 제5 기어 및 상기 제1 동력 절환 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5 기어와 동일축상에 설치되는 제6 기어를 구비하는 제2 동력 전달 기어부;
    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제6 기어는 상기 픽업 샤프트의 일단부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픽업시에는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제1 기어→제3 기어→제5 기어→제6 기어를 통해 상기 픽업 수단에 전달되고, 상기 원고 픽업시에는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제1 기어→제3 기어→제4 기어→제6 기어를 통해 상기 픽업 수단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제2 기어에 치합되는 제7 기어 및 상기 제4 동력 절환 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7 기어와 동일축상에 설치되는 제8 기어를 구비하는 제3 동력 전달 기어부와;
    상기 제7 기어에 치합되는 제9 기어 및 상기 제5 동력 절환 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9 기어와 동일축상에 설치되는 제10 기어를 구비하는 제4 동력 전달 기어부와;
    상기 제10 기어에 치합되는 제11 기어를 구비하는 제5 동력 전달 기어부와;
    상기 제11 기어에 치합되는 제12 기어를 구비하는 제6 동력 전달 기어부와;
    상기 이송 수단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2 기어에 치합되는 제13 기어를 구비하는 제7 동력 전달 기어부와;
    상기 제8 기어와 제12 기어에 치합되는 제14 기어를 구비하는 제8 동력 전달 기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픽업시에는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제2 기어→제7 기어→제9 기어→제10 기어→제11 기어→제12 기어→제13 기어를 통해 상기 이송 수단에 전달되고, 상기 원고 픽업시에는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제2 기어→제7 기어→제8 기어→제14 기어→제12 기어→제13 기어를 통해 상기 이송 수단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KR1019990011244A 1999-03-31 1999-03-31 복합기 KR100288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244A KR100288703B1 (ko) 1999-03-31 1999-03-31 복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244A KR100288703B1 (ko) 1999-03-31 1999-03-31 복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863A KR20000061863A (ko) 2000-10-25
KR100288703B1 true KR100288703B1 (ko) 2001-04-16

Family

ID=1957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244A KR100288703B1 (ko) 1999-03-31 1999-03-31 복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223B1 (ko) * 2002-01-16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복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696B1 (ko) 2005-03-04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적재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223B1 (ko) * 2002-01-16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복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863A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765B2 (en) Document feeder for efficiently supplying originals and storing originals in a discharge stacker after reading
CN100471683C (zh) 成像装置
EP0629073B1 (en) Facsimile apparatus
US6962332B2 (en) Media conveying mechanism
KR100406995B1 (ko)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
US5587812A (en) Facsimile apparatus with common sheet conveying path
KR100288703B1 (ko) 복합기
KR100465242B1 (ko) 사무기기의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00476771B1 (ko) 화상인쇄장치 및 그의 화이트라인 보정방법
KR100296592B1 (ko) 스캐너와 프린터가 일체로 된 복합기
KR100222692B1 (ko) 잉크-젯 프린터와 셔틀 스캐너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복합장치.
KR100193724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원고 이송장치
KR100193717B1 (ko) 원고이송장치와 프린팅장치의 메디아이송장치가일체화된 잉크젯 프린팅 장치를 이용한 복합기기
KR200258634Y1 (ko) 복합기의 급지 장치
JP348336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476773B1 (ko) 복합기의 구동장치
JP4070617B2 (ja) 給紙機構及びそ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KR100208697B1 (ko) 셔틀 원고 판독 수단을 이용한 복합기
KR100238053B1 (ko) 복합기의 스캐닝/인쇄 이중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217777Y1 (ko) 복합기의 원고/용지 이송장치
KR100189762B1 (ko) 원고와 인쇄 용지의 복합 자동 급지 장치
KR20080035175A (ko) 복합기의 구동장치
KR100277774B1 (ko) 셔틀 스캐너모듈 복합기의 자동급지장치
KR200231661Y1 (ko) 화상형성장치용 용지의 위치감지장치
JPH01123778A (ja) 読取り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